KR102212177B1 - 노이즈캔슬링 기능을 구비한 컴퓨터 - Google Patents

노이즈캔슬링 기능을 구비한 컴퓨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12177B1
KR102212177B1 KR1020200105336A KR20200105336A KR102212177B1 KR 102212177 B1 KR102212177 B1 KR 102212177B1 KR 1020200105336 A KR1020200105336 A KR 1020200105336A KR 20200105336 A KR20200105336 A KR 20200105336A KR 102212177 B1 KR102212177 B1 KR 1022121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ise
parts
weight
sound
comput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053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철진
이진한
조윤기
Original Assignee
잘만테크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잘만테크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잘만테크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053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1217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121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12177B1/ko
Priority to PCT/KR2021/010822 priority patent/WO2022039459A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8Packaging or power distribution
    • G06F1/181Enclosures
    • G06F1/182Enclosures with special features, e.g. for use in industrial environments; grounding or shielding against radio frequency interference [RFI] or electromagnetical interference [EMI]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20Cooling mea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KSOUND-PRODUCING DEVICES;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ACOUST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K11/00Methods or devices for transmitting, conducting or directing sound in general;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 G10K11/16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83Reduction of ambient noise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20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 H05K7/20009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using a gaseous coolant in electronic enclosures
    • H05K7/20136Forced ventilation, e.g. by fans
    • H05K7/20172Fan mounting or fan spec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10/00Microphones
    • H04R2410/05Noise reduction with a separate noise microphon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99/00Aspects covered by H04R or H04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eir subgroups
    • H04R2499/10General applications
    • H04R2499/15Transducers incorporated in visual displaying devices, e.g. televisions, computer displays, lapto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oundproofing, Sound Blocking, And Sound Damping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노이즈캔슬링 기능을 구비한 컴퓨터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 내에 장착된 것으로 컴퓨팅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전자부품; 상기 전자부품을 냉각하기 위해 상기 케이스의 일 측에 장착된 팬; 상기 팬의 구동 시 발생하는 팬 소음을 입력받는 마이크; 상기 마이크 주변에 설치된 스피커; 상기 팬 소음의 파동 특성을 분석하는 소음 분석모듈과, 상기 파동 특성에 대응하는 역상 파동 특성을 파악하는 역상 파동 특성 파악모듈 및, 상기 역상 파동 특성을 가진 사운드를 상기 스피커로 출력하는 사운드 출력모듈을 구비한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노이즈캔슬링 기능을 구비한 컴퓨터에 의하면, 컴퓨터의 소음을 기존의 방식인 팬의 회전 속도를 감소시키는 것이 아닌 마이크 및 스피커를 통한 능동 소음 제어 방식의 노이즈캔슬링 기능으로 제거하여 컴퓨터의 성능저하 발생 없이도 소음을 줄일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노이즈캔슬링 기능을 구비한 컴퓨터{COMPUTER EQUIPPED WITH NOISE CANCELLING FUNCTION}
본 발명은 노이즈캔슬링 기능을 구비한 컴퓨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히는 컴퓨터를 사용할 시 발생될 수 있는 다양한 소음의 역상 파동을 출력하여 소음을 완화 내지 제거할 수 있는 노이즈캔슬링 기능을 포함함으로써 보다 조용한 환경에서 컴퓨터를 사용할 수 있는 노이즈캔슬링 기능을 구비한 컴퓨터에 관한 것이다.
컴퓨터에 포함된 부품 중에는 컴퓨터를 사용하는 도중 필연적으로 소음이 발생할 수밖에 없는 각종 부품이 포함되어 있는데, 이러한 부품 및 부품이 발생시킨 소음의 예를 들면 다음과 같다.
하드디스크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원판인 플래터(platter)가 고속으로 회전하면서 발생하는 소음 및 데이터를 읽는 역할을 하는 헤드가 플래터와 마찰을 일으키면서 발생하는 삐빅 거리는 소음을 발생시킨다.
팬은 회전하여 공기를 유동시키는 중 먼지가 쌓이게 되는데, 이 경우 방열이 원활이 일어나지 않아 컴퓨터는 팬의 회전 속도를 더욱 빠르게 제어하게 되고 이로 인해 소음이 발생하게 되는바, 이러한 팬의 소음은 컴퓨터 소음의 주요 원인이기도하다.
그래픽 카드는 고사양의 게임과 같이 그래픽 카드에 부하를 주는 환경에서 내부 전압을 변환하는 DC컨버터 및 트랜지스터의 구동 주파수가 사람의 가정 주파수 대역으로 발생하며 소음을 발생시킨다.
이와 같이 발생된 컴퓨터의 소음에 의해 사용자는 불쾌함이나 집중력 분산을 호소할 수 있는바, 소음을 줄일 수 있는 방법으로 기존에는 소음의 주요 원인인 팬의 회전 속도를 하향 제어하는 방법을 주로 적용하였다.
그러나 이 같은 방법은 발열에 의한 컴퓨터의 성능 저하를 유발하므로 컴퓨터의 성능을 유지하면서도 소음을 줄일 수 있는 기술에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바, 이에 대한 선행 기술로 한국 등록 특허 제 10-1183368호(발명의 명칭: 컴퓨터의 소음 제어 장치 및 방법)이 등록되어 있다.
상기 선행기술은 컴퓨터의 소음을 제어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의 외부 소음을 측정하는 외부 소음 센서; 상기 컴퓨터의 내부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 센서; 상기 외부 소음 센서가 측정하는 외부 소음의 크기 및 상기 온도 센서가 측정하는 컴퓨터의 내부 온도에 따라 상기 컴퓨터의 동작모드를 결정하는 동작모드 제어부; 및 상기 동작모드 제어부의 동작 모드 설정을 위한 설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동작모드 제어부는 상기 설정부에 의해 설정된 동작 모드가 있는 경우, 상기 외부 소음의 크기 및 상기 내부 온도에 관계 없이 상기 설정된 동작 모드에 따라 동작하는 컴퓨터의 소음 제어 장치를 제시하고 있다.
상기 선행기술에 의하면 컴퓨터의 내부 온도를 측정하고 이에 따라 팬의 속도를 조절하는 동작 모드를 차등 적용할 수 있으나, 컴퓨터의 발열과 소음이 동시에 발생한 경우 이를 해결하는 방법이 명확하지 않아 사용자의 설정 선택에 맡겨야 하는 문제점이 따른다.
이러한 문제점의 해결 방법으로 팬의 회전 속도를 조절하지 않고도 소음을 줄일 수 있는 해결법으로 노이즈캔슬링을 제시할 수 있는데, 노이즈캔슬링은 반대되는(역상의) 위상을 가진 파동들이 만나 진폭이 감소되는 현상인 상쇄간섭을 이용해 소음을 제거하는 방법이다.
따라서, 이러한 노이즈캔슬링을 적용함으로써 컴퓨터의 성능 저하를 유발하지 않고도 컴퓨터의 소음을 제거할 수 있는 신규하고 진보한 노이즈캔슬링 기능을 구비한 컴퓨터를 개발할 필요성이 대두되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 기술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컴퓨터의 기능 저하를 유발하지 않으면서도 컴퓨터의 구동 중 팬에서 발생하는 소음을 노이즈캔슬링 기능을 통해 제거할 수 있는 컴퓨터를 제공하는 것을 주요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컴퓨터의 구동 중 소음을 발생시키는 부품인 파워 서플라이의 소음을 입력받아 이를 상쇄시킬 수 있는 반대 위상을 가진 소리를 출력하여 노이즈캔슬링 기능을 강화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컴퓨터가 특정한 기능을 수행하는 도중 발생한 소음 별로 반대 위상을 가진 소리를 출력함으로써 컴퓨터의 소음을 효과적으로 제거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추가 목적은, 사용자가 소지한 단말을 통해 소음의 반대 위상을 가진 소리의 데시벨을 조절받는 수단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노이즈캔슬링 기능을 구비한 컴퓨터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 내에 장착된 것으로 컴퓨팅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전자부품; 상기 전자부품을 냉각하기 위해 상기 케이스의 일 측에 장착된 팬; 상기 팬의 구동 시 발생하는 팬 소음을 입력받는 마이크; 상기 마이크 주변에 설치된 스피커; 상기 팬 소음의 파동 특성을 분석하는 소음 분석모듈과, 상기 파동 특성에 대응하는 역상 파동 특성을 파악하는 역상 파동 특성 파악모듈 및, 상기 역상 파동 특성을 가진 사운드를 상기 스피커로 출력하는 사운드 출력모듈을 구비한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전자부품은, 파워 서플라이를 포함하고, 상기 컴퓨터는, 상기 파워 서플라이의 구동 시 발생하는 파워 서플라이 소음을 입력받는 서브 마이크와, 상기 서브 마이크 주변에 설치된 서브 스피커를 포함하며, 상기 소음 분석모듈은, 상기 파워 서플라이 소음의 파동 특성을 분석하고, 상기 역상 파동 특성 파악모듈은, 상기 파워 서플라이 소음의 파동 특성에 대응하는 역상 파동 특성을 파악하며, 상기 사운드 출력모듈은, 상기 파워 서플라이 소음에 대한 역상 파동 특성을 가진 사운드를 상기 서브 스피커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불어,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전자부품의 특정 컴퓨팅 기능을 인식하는 컴퓨팅 인식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소음 분석모듈은, 상기 특정 컴퓨팅 기능 별로 상기 전자부품 소음의 중첩된 파동 특성을 구분하며, 상기 서브 중첩 특성 파악부는, 상기 중첩된 파동 특성의 역상 파동 특성을 상기 컴퓨팅 기능 별로 구분하며, 상기 사운드 출력모듈은, 상기 컴퓨팅 인식모듈과 연동되어 상기 특정 컴퓨팅 기능 수행 시 상기 컴퓨팅 기능을 기준으로 구분된 역상 파동 특성을 가진 사운드를 상기 스피커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추가적으로, 상기 컨트롤러는, 사용자 단말과 통신하는 통신부를 포함하고, 상기 사운드 출력모듈은, 상기 사용자 단말의 조작에 따라 상기 역상 파동 특성을 가진 사운드의 데시벨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노이즈캔슬링 기능을 구비한 컴퓨터에 의하면,
1) 컴퓨터의 소음을 기존의 방식인 팬의 회전 속도를 감소시키는 것이 아닌 마이크 및 스피커를 통한 능동 소음 제어 방식의 노이즈캔슬링 기능으로 제거하여 컴퓨터의 성능저하 발생 없이도 소음을 줄일 수 있고,
2) 파워 서플라이에서 발생한 소음을 입력 받는 마이크 및 역상 파동 특성을 가진 소리를 출력하는 스피커를 추가로 구비하여 컴퓨터의 소음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으며,
3) 컴퓨터가 특정한 컴퓨팅 기능을 수행할 시 발생하는 소음에 대한 역상 파동 특성을 분석해 해당 컴퓨팅 기능을 수행할 시 이러한 역상 파동 특성을 가진 소리를 출력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4) 스피커에서 출력되는 소리의 데시벨을 사용자에게 수동 조절 받을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개인적으로 소음이 가장 적게 들리는 데시벨을 설정하여 사용 만족도를 높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컴퓨터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투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컨트롤러의 세부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3은 능동 소음 제어 방식의 노이즈캔슬링을 도시한 그래프.
도 4는 중첩된 파동 특성 및 이의 역상 파동을 변위-시간 그래프에 도시한 개념도.
도 5는 본 발명의 흡음 보조재를 제조하는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첨부된 도면은 축척에 의하여 도시되지 않았으며, 각 도면의 동일한 참조 번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컴퓨터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투시 사시도이다.
도 1을 보아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의 컴퓨터는 케이스(10), 전자부품(20), 팬(30), 마이크(40), 스피커(60), 컨트롤러(100)를 포함한다.
케이스(10)는 본 발명의 컴퓨터의 외관을 이루는 것으로서, 다시 말해 컴퓨터 내부의 전자부품(20)을 보호하기 위한 하우징과 같은 역할을 수행한다. 도 1에서는 일반적인 컴퓨터 본체의 형상과 같은 직육면체 형태를 예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된 것은 아니고 다양한 디자인적 요소가 포함된 여러 가지 형태가 가능하다.
전자부품(20)은 잘 알려진 컴퓨터의 컴퓨팅 기능(예를 들어, 문서작업, 컴퓨터 그래픽스)을 수행하기 위해 케이스(10)의 내에 장착된 부품으로서 CPU, 하드디스크, RAM, 그래픽 카드를 비롯하여 컴퓨터에 전원을 공급하는 파워 서플라이(21)와 같은 다양한 부품일 수 있다.
상술한 전자부품(20)은 컴퓨터가 동작하는 도중 필연적으로 열이 발생하는데, 이 열을 케이스(10)의 외부로 배출시키는 수단이 요구되는바, 이러한 냉각 수단으로 팬(30)을 구비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팬(30)은 케이스(10)의 일 측, 예를 들어 좌측면, 우측면, 상면 등에 장착될 수 있는데, 팬(30)의 구동, 즉 회전을 통해 케이스(10) 내의 뜨거운 공기를 외부로 송풍하여 냉각 기능을 구현한다. 이러한 팬(30)은 회전 구동되면서 소음을 발생시키는바, 본 발명에서는 팬(30)이 발생시키는 소음을 '팬 소음'이라 칭한다.
이러한 케이스(10) 및 전자부품(20) 및 팬(30)은 공지된 컴퓨터에 포함된 일반적인 구성이므로 별도의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컴퓨터는 공지의 컴퓨터로서의 역할을 수행하는 것을 기본으로 하되, 후술할 구성에 의해 노이즈캔슬링 기능을 구현할 수 있는바, 이하 이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마이크(40)는 팬(30)의 회전 구동되면서 발생하는 팬 소음을 입력받는 음향 센서이다. 이러한 마이크(40)는 도 1과 같이 팬(30)의 주변에 설치되어 컴퓨터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소음 중 팬 소음 위주로 입력받는 것이 가능한데, 팬(30)의 회전으로 발생한 바람이 마이크(40)에 직접 들어가지 않는 정도에서 가능한 근접한 거리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는 본 발명의 컨트롤러의 세부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고, 도 3은 능동 소음 제어 방식의 노이즈캔슬링을 도시한 그래프이다.
본 발명의 컨트롤러(100)는 소음 분석모듈(110), 역상 파동 특성 파악모듈(120), 사운드 출력모듈(130)을 포함한다.
소음 분석모듈(110)은 마이크(40)가 입력받은 팬 소음을 분석하는 기능을 제공하는바, 공지의 음향 분석 프로그램 또는 고유의 음향 분석 알고리즘을 포함하여 팬 소음의 파동 특성을 분석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때, 파동 특성은 파동으로 전파되는 소리의 시간당 진폭 변화, 즉 위상을 의미한다.
이러한 소음 분석모듈(110)에서 팬 소음을 분석하는 기능은 공지의 다양한 방법을 적용할 수 있는데, 이 중에서 옥타브 스펙트럼을 통한 분석 방법을 예시하도록 한다.
옥타브 스펙트럼을 통한 분석 방법은 사람의 가청 주파수 대역 중 16Hz 내지 20kHz의 주파수 대역을 24등급으로 나누고 다시 8(octave)레벨로 구분하여 소음이 높은 등급 및 레벨의 파동 특성을 추출하는 방법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소음 분석모듈(110)이 분석한 팬 소음의 파동은 (a)와 같이 시간(초)에 따라 변위(㎛)가 마루와 골을 이루며 주기적으로 변하는 파동 특성을 가진 파동 그래프로 표현될 수 있는데, 여기서 x축으로 작은 단위로 표현 가능한 데시벨이 아니라 변위로 설정한 것은, 이 경우 도 3과 같이 그래프에 영점이 포함됨으로써 위상의 변화를 보다 직관적으로 산출하여 역상의 파동을 생성하는 것이 용이하기 때문이다.
역상 파동 특성 파악모듈(120)은 이렇게 분석된 팬 소음의 파동 특성에 대응되는 시간대에 반대 위상을 가진 파동의 특성인 '역상 파동 특성'을 파악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역상 파동 특성은 (b)와 같이 (a)의 파동 특성과 같은 시간대의 변위에 -1을 곱한 수치를 변위로 가지는 그래프로 표현될 수 있다. 쉽게 말해 도 3에서 (a)는 0.25초에 10000㎛의 변위를 가지는 반면, (b)는 0.25초에 -10000㎛의 변위를 가지는바, 팬 소음의 파동 특성과 모든 시간대에서 반대 변위를 가지는 파동의 특성이 역상 파동 특성이다.
이러한 역상 파동 특성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컴퓨터는 능동 소음 제어 방식의 노이즈캔슬링 기능을 구현할 수 있는바, 능동 소음 제어 방식(active noise control)은 도 3의 (c)와 같이 정 위상의 파동과 역 위상의 파동이 합쳐지면 0의 변위로 수렴하게 되는 상쇄간섭을 통해 팬 소음을 제거하는 노이즈캔슬링 방식이다.
사운드 출력모듈(130)은 공지의 음향 생성 프로그램 및 증폭기를 포함한 음향 재생 장치를 포함한 상태에서 상술한 역상 파동 특성을 가진 사운드를 생성하여 스피커(60)를 통해 사운드를 출력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여기서, 스피커(60)는 이러한 역상 파동 특성을 가진 사운드를 출력하는 것으로서, 팬(30)과 근접한 위치, 예를 들어 마이크(40)의 주변에 설치될 수 있으나 마이크(40)에 사운드가 직접 입력되지 않도록 일정 거리 이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정리하면, 본 발명의 컴퓨터는 노이즈캔슬링 기능을 통해 팬 소음을 제거하는바, 이를 통해 기존의 팬 소음 제거 방식인 팬(30)의 회전 속도를 낮추는 방식의 문제점으로 지적되는 팬(30)의 냉각 성능이 하락해 컴퓨터의 성능 저하를 유발하는 문제점을 해소하여 소음 제거와 성능 유지를 겸비한 특성을 제공한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컴퓨터에는 전자부품(20)의 하나로 파워 서플라이(21)가 포함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상술한 전자부품(20)에는 전원 공급 장치인 파워 서플라이(21)가 필수적으로 포함되는데 파워 서플라이(21)는 컴퓨터 외부(콘센트 또는 배터리)로부터 전류를 받아들이고 전압을 낮추어 각각의 전자부품(20)에 전원을 공급하는바, 이 과정에서 열이 발생하여 이를 냉각하기 위한 파워 팬이 구비된다.
즉, 컴퓨터에서는 파워 서플라이(21)에 구비된 파워 팬의 구동으로 인한 소음이 추가적으로 발생하게 되는바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소음을 '파워 서플라이 소음'이라 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컴퓨터는 파워 팬의 주변(상술한 마이크(40)와 같이 파워 팬의 바람이 직접 닿지 않는 가능한 근접한 위치)에 파워 서플라이 소음을 입력받는 서브 마이크(50)를 포함할 수 있다.
소음 분석모듈(110)은 서브 마이크(50)를 통해 입력받은 파워 서플라이 소음의 파동 특성을 파악하는 기능을 추가로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역상 파동 특성 파악모듈(120)은 이러한 파워 서플라이 소음의 파동에 대한 역상 파동 특성을 파악하여 파워 서플라이 소음을 제거하는 기반을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대응하여, 본 발명의 컴퓨터는 서브 마이크(50)의 주변에 서브 스피커(70)를 포함하여, 파워 서플라이 소음의 역상 파동을 가진 사운드를 출력할 수 있다.
더불어, 사운드 출력모듈(130)은 서브 스피커(70)에 역상 파동 특성 파악모듈(120)에서 파악한 파워 서플라이 소음의 역상 파동을 가진 사운드를 생성 및 이를 서브 스피커(70)를 통해 출력하는 기능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다시 말해, 본 발명의 컴퓨터는 서브 마이크(50) 및 서브 스피커(70)를 추가로 포함함으로써, 팬(30) 및 파워 서플라이(21)에서 발생한 소음 양자를 모두 제거해 노이즈캔슬링 기능을 보강할 수 있는 특성을 제공한다.
도 4는 중첩된 파동 특성 및 이의 역상 파동을 변위-시간 그래프에 도시한 개념도이다.
일반적으로 알려진 소리의 특성에 의해 팬 소음 및 파워 서플라이 소음은 컴퓨터의 사용자에게 각기 전달되는 것이 아니라 각각의 소음의 파동이 중첩된 합성음으로 전달되는데, 즉 본 발명의 컴퓨터는 각각의 소음을 제거하는 방식은 물론이고 소음의 합성음을 제거하는 방식을 통해 노이즈캔슬링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본 발명의 컴퓨터는 서브 스피커(70)를 추가로 구비하지 않고 하나의 스피커(60)로 팬 소음 및 파워 서플라이 소음을 제거하는 것 또한 가능하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컴퓨터는 팬(30)과 파워 팬의 주변에 마이크(40) 및 서브 마이크(50)를 구비한 상태로, 스피커(60)를 케이스(10) 일 측에 포함할 수 있는바, 이 경우 팬(30) 및 파워 팬의 사이인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된 것은 아니다.
다시 말해, 팬 소음과 파워 서플라이 소음을 각각 그 주변에 설치된 2 개의 마이크(40, 50)를 통해 디테일하게 입력받는다는 의미이다.
이에 대응하여, 소음 분석모듈(110)은 팬 소음 및 파워 서플라이 소음에 대한 파동 특성을 분석하고, 역상 파동 특성 파악모듈(120)은 중첩부(121)를 포함하여 각각의 파동을 중첩해 합성음의 파동을 생성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중첩부(121)에서 팬 소음과 파워 서플라이 소음의 파동을 중첩한 일 예를 포함하여 도시하였는데, 구체적으로 도 4에서 (a)는 팬 소음, (b)는 파워 서플라이 소음의 파동을 의미하는바, 팬 소음 및 파워 서플라이 소음을 중첩한 합성음의 파동은 (c)와 같을 수 있다.
또한, 역상 파동 특성 파악모듈(120)은 중첩 특성 파악부(122)를 포함할 수 있다.
중첩 특성 파악부(122)는 중첩부(121)에서 생성한 합성음의 파동에 대한 역상 파동 특성을 파악하는 것으로서, 도 4를 참조하여 예를 들면 중첩 특성 파악부(122)가 파악한 역상 파동 특성은 (d)와 같을 수 있는바, 즉 (d)는 합성음의 파동인 (c)의 역상 파동 특성을 가진다.
사운드 출력모듈(130)은 스피커(60)를 매개로 이러한 합성음의 역상 파동 특성을 가진 사운드를 출력할 수 있는바, 즉 출력된 사운드를 통해 팬 소음 및 파워 서플라이 소음의 합성음을 제거하는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정리하면, 본 발명의 컴퓨터는 팬(30) 및 파워 서플라이(21)의 주변에 두 개의 스피커(60,70)를 구비함으로써 각각 팬 소음 및 파워 서플라이 소음을 제거해 노이즈캔슬링 기능을 구현하는 특징을 제공한다.
또 다른 실시예로서, 본 발명의 컴퓨터는 하나의 스피커(60)로 팬 소음 및 파워 서플라이 소음의 합성음을 제거하여 노이즈캔슬링 기능을 구현할 수도 있다.
즉, 본 발명의 컴퓨터는 하나의 마이크(40)를 통해 팬 소음은 전자부품(20)의 소음, 즉 전자부품 소음을 함께 입력받고 이를 기반으로 노이즈캔슬링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즉, 하나의 마이크(40)로 전자부품 소음 및 팬 소음을 함께 입력받을 수 있는바, 이 경우 마이크(40)는 케이스(10) 내에 구비되어 팬 소음 및 다양한 전자부품 소음을 입력받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자부품(20)에는 파워 서플라이(21), 하드디스크, 그래픽 카드, CPU와 같이 여러 가지 부품이 포함되는바, 전자부품(20)의 구동 중에는 다양한 전자부품 소음이 발생하게 된다.
예를 들어, 하드디스크에서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원판인 플래터가 고속으로 회전하면서 데이터를 읽어 들이는 헤드와 마찰을 일으키며 소음이 발생한다.
또한, 그래픽 카드에서는 컴퓨터 게임, 고사양의 그래픽 프로그램(어도비 포토샵 등)의 구동과 같이 그래픽 카드에 부하가 가해지는 환경에서 그래픽 카드 내부 전압을 변환하는 DC컨버터, 트랜지스터와 같은 변전 수단의 구동 주파수가 사람의 가청 주파수 대역으로 발생하며 소음을 발생된다.
이에 대응하여, 소음 분석모듈(110)은 팬 소음 및 전자부품 소음 각각의 파동 특성을 분석하는 기능을 추가로 수행할 수 있고, 역상 파동 특성 파악모듈(120)은 서브 중첩부(123) 및 서브 중첩 특성 파악부(124)를 포함할 수 있다.
서브 중첩부(123)는 팬 소음 및 전자부품 소음의 파동을 중첩한 합성음의 파동을 생성하는 것으로서, 서브 중첩부(123)의 역할은 상술한 중첩부(121)의 역할과 유사하나 팬 소음과 파워 서플라이 소음의 파동 중첩하는 것이 아닌 팬 소음과 전자부품 소음의 파동을 중첩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것에서 차이가 있다. 물론 전자부품 소음은 상술한 파워 서플라이 소음을 포함할 수 있다.
더불어, 서브 중첩 특성 파악부(124)는 서브 중첩부(123)에서 생성한 합성음의 파동에 대한 역상 파동 특성을 파악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합성음의 역상 파동 특성을 가진 사운드를 생성하는 기반을 제공할 수 있다.
사운드 출력모듈(130)은 스피커(60)를 매개로 이러한 팬 소음 및 전자부품 소음의 합성음에 대한 역상 파동 특성을 가진 사운드를 출력하여 팬 소음 및 전자부품 소음을 제거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본 발명의 컴퓨터는 하나의 마이크(40) 및 하나의 스피커(60)로 노이즈캔슬링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정리하면, 본 발명의 컴퓨터는 마이크(40) 및 스피커(60)를 구비하는 개수에 따라, 즉 두 개의 마이크(40,50)와 두 개의 스피커(60,70)를 구비하는 경우 두 개의 마이크(40,50)와 한 개의 스피커(60)를 구비하는 경우, 한 개의 마이크(40)와 한개의 스피커(60)를 구비하는 경우 각각 마이크(40) 및 스피커(60)를 설치하는 위치를 달리할 수 있는바, 이를 통해 케이스(10)의 형태 및 전자부품(20)의 배치와 같이 사용자의 니즈에 따라 달라질 수 있는 컴퓨터의 다양한 구조에 마이크(40) 및 스피커(60)를 적용하여 노이즈캔슬링 기능을 구현할 수 있는 특성을 제공한다.
추가적으로, 컨트롤러(100)는 컴퓨팅 인식모듈(140)을 포함할 수 있다.
컴퓨팅 인식모듈(140)은 문서작성 프로그램(예를 들어, 아래아 한글 프로그램)의 가동, 중앙처리장치나 그래픽 카드 등에 전반적인 부하를 주는 고사양 게임 프로그램의 가동과 같은 컴퓨팅 기능을 인식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우선, 본 발명의 컨트롤러(100)는 상술한 전자부품(20)의 일부이거나 아니면 전자부품(20)과 별도의 전자부품일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컨트롤러(100)가 상술한 전자부품과 별도로 이격된 전자부품(즉, 별도의 중앙처리장치나 메모리 등을 포함한 전자부품)인 경우에는 컨트롤러(100)가 전자부품(20)의 구동에 의한 컴퓨팅 기능을 인식하기 위해서는 소프트웨어적인 접근이 아니라 하드웨어적인 접근이 필요하다.
이러한 하드웨어적으로 컴퓨팅 기능을 인식하기 위한 수단은 다양한 것들이 존재할 수 있는데, 일 예로서 컴퓨팅 인식모듈(140)은 전자부품(20) 중 그래픽 카드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선과 유선으로 연결되거나 파워 서플라이와 연동되어 그래픽 카드에 공급되는 전력량을 파악하는 역할을 수행함으로써 이 전력량의 고저에 따라 그래픽 카드의 특정 컴퓨팅 기능을 인식하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문서작성 프로그램의 구동 시 그래픽 카드에 공급된 전력량이 a이고, 고사양 게임 프로그램의 구동 시 그래픽 카드에 공급된 전력량이 b일 경우 컴퓨팅 인식모듈(140)은 각 구동 프로그램별 a,b와 같은 전력량 데이터를 룩업 테이블(look-up table)로 보유하고 있다가 그래픽 카드에서 실제 a 또는 b의 전력량을 공급되었음을 인지한 경우 어느 특정 프로그램이 구동, 즉 어느 특정 컴퓨팅 기능을 수행되고 있다는 것을 판단할 수 있다는 의미이다.
이와 같은 컴퓨팅 기능이 실행될 때의 전자부품 소음은 전자부품(20) 중 집중적으로 사용되는(전력, 데이터 처리 등이 집중되는) 전자부품(20)에서 발생된 소음의 파동 특성이 중첩된 합성음일 수 있다.
이에 대응하여, 소음 분석모듈(110)은 상술한 특정 컴퓨팅 기능을 실행할 시 발생하는 전자부품 소음의 합성음을 분석하여 구분하는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구분이라 함은 다양한 전자부품 소음의 합성음 중 특정 컴퓨팅 기능을 수행할 시 발생하는 전자부품 소음의 합성음에 대한 중첩된 파동 특성을 구별하여 컨트롤러(100)에 구비된 파동 특성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포토샵 프로그램의 실행음은 주로 GPU에서 발생하는데, 소음 분석모듈(110)은 이러한 포토샵 프로그램의 실행음이 포함된 전자부품 소음의 합성음을 분석하여 중첩된 파동 특성을 생성하여 파동 특성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것이 가능하다.
더불어, 서브 중첩 특성 파악부(124)는 소음 분석모듈(110)에서 분석한 특정 컴퓨팅 기능별 중첩된 파동 특성의 역상 파동 특성을 생성하여 역상 파동 특성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할 수 있다.
즉, 역상 파동 특성 데이터베이스에는 특정 컴퓨팅 기능별로 구분된 역상 파동 특성이 저장됨으로써, 사운드 출력모듈(130)이 전자부품 소음의 역상 파동 특성을 가진 사운드를 출력하는 기반을 제공할 수 있다.
사운드 출력모듈(130)은 컴퓨팅 인식모듈과 연동되어 특정 컴퓨팅 기능의 실행을 인식한 경우, 역상 파동 특성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특정 컴퓨팅 기능에 해당하는 역상 파동 특성을 가진 사운드를 출력하여 노이즈캔슬링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상술한 포토샵 프로그램의 예를 들어 정리하면, 포토샵 프로그램이 실행되는 경우 컴퓨팅 인식모듈(140)은 그래픽 카드에 공급되는 전력량의 수치의 실행 여부를 인식하고, 이에 따라 소음 분석모듈(110) 및 서브 중첩 특성 파악부(124)는 포토샵 프로그램의 실행음이 포함된 전자부품 소음의 파동 특성 및 역상 파동 특성을 분석 및 구분해 파동 특성 데이터베이스 및 역상 파동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며, 사운드 출력모듈(130)은 역상 파동 특성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포토샵 프로그램의 실행음이 포함된 전자부품 소음의 역상 파동 특성을 가진 사운드를 출력한다.
다시 말해, 본 발명의 컨트롤러(100)는 특정 컴퓨팅 기능별로 발생되는 전자부품 소음에 대한 사운드를 출력하여 보다 정밀한 노이즈캔슬링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특성을 제공한다.
나아가, 컨트롤러(100)는 통신부(150)를 포함하여 사용자 단말과 연결될 수 있다,
통신부(150)는 블루투스, 와이파이와 같은 무선 통신 수단을 통해 사용자 단말과 통신하는 것이 가능한데, 예를 들어 이러한 통신부(150)는 USB 단자에 접속된 블루투스 동글(dongle)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자라 함은 컴퓨터를 구동시키고 컴퓨팅 기능을 이용하는 자를 의미하고, 사용자 단말은 이 사용자가 소지한 단말을 의미한다.
즉, 사용자 단말은 노트북, 넷북과 같은 휴대용 컴퓨터일 수도 있지만 컴퓨터의 제어를 위해 휴대용 컴퓨터를 따로 구비 및 실행하는 것이 비현실적이므로, 통신 기능이 포함되고 일상적으로 소지하고 있는 스마트폰인 것이 일반적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사용자 단말은 스피커(60)에서 출력되는 역상 파동 특성을 가진 사운드의 소리 크기, 즉 데시벨을 조절하는 신호를 생성 및 통신부(140)에 전달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 또는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에 대응하여, 상술한 사운드 출력모듈(130)은 사용자 단말의 조작에 따라 사운드의 데시벨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컨트롤러(100)는 이러한 통신부(150) 및 사운드 출력모듈(130)을 통해 사용자로 하여금 사운드의 데시벨 고저를 조절받을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하는바, 이 기능을 통해 사운드의 데시벨이 팬 소음의 데시벨 보다 높아 사운드가 소음으로 들리는 경우 및 사운드의 데시벨이 팬 소음의 데시벨보다 낮아 노이즈캔슬링 기능이 완전히 수행되지 않는 경우에 사운드의 데시벨 고저를 수동 조절할 수 있는 것이 가능하다.
또 다른 실시예로서, 본 발명의 컴퓨터는 케이스(10)의 내측 면 중 팬(30)의 주변 부위에 부착된 흡음 시트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흡음 시트는 컴퓨터에서 발생되는 소음의 주요 요인으로 지적되는 팬 소음을 흡수하여 케이스(10) 외부로 온전히 전달되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흡음 시트는 폴리우레탄을 베이스로 폴리스티렌(Polystyrene) 및 폴리이소프렌(Polyisoprene) 및 리그닌(Lignin)을 포함한 흡음 보조재를 포함할 수 있는바, 구체적으로 폴리우레탄 베이스 70 내지 80 중량부, 흡음 보조재 20 내지 30 중량부를 60 내지 80℃에서 30 내지 60분 동안 혼합한 다음 발포하여 제조될 수 있다.
즉, 흡음 시트는 흡음 보조재가 포함된 폴리우레탄 폼일 수 있는데, 폴리우레탄은 MDI, TDI와 같은 이소사이아네이트 및 에틸렌글리콜, 소르비톨과 같은 폴리올의 2 액형 혼합 물질로서 흡음 보조재는 이러한 이소사이아네이트 및 폴리올의 혼합 과정에 포함되는 것이 가능하다. 이때, 흡음 보조재의 구체적인 제조 방법에 대해서는 후술하도록 한다.
더불어, 흡음 시트의 혼합 과정에는 아조디카본아마이드, 소듐 중탄산염과 같은 발포제가 1 내지 5 중량부 혼합되어 발포될 수 있다.
이렇게 혼합 및 발포된 흡음 시트는 폴리우레탄 베이스의 탄성을 통해 팬 소음의 진동을 상쇄시킬 수 있음은 물론이고, 발포된 다공성 구조를 통해 팬 소음에 따라 함께 진동하여 흡음 기능을 보강한 특성을 제공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흡음 보조재를 제조하는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상술한 흡음 보조재는 폴리스티렌 및 폴리이소프렌의 혼성 공중합체인 SIS 수지(styrene-isoprene-styrene resin)에 식물성 섬유에 포함된 페놀고분자인 리그닌을 포함하는 것을 기본으로 하는바, 이에 더하여 흡음 보조재의 강도 및 내열성을 증진시키는 카본블랙, 개질제인 아세트산, pH를 조절하는 수산화나트륨, 커플링제인 아미노실란(Aminosilane) 및 가교제인 디쿠밀퍼옥사이드(Dicumyl peroxide)를 포함하여 제조될 수 있다.
이러한 흡음 보조재는 도 5를 보아 알 수 있듯이 1차 물질 제조 단계(S100), 2차 물질 제조 단계(S110), 여과물 수득 단계(S120)를 거쳐 제조될 수 있다.
먼저, 1차 물질 제조 단계(S100)는 폴리스티렌 40 내지 50 중량부, 폴리이소프렌 30 내지 40 중량부, THF(Tetrahydrofuran) 20 내지 30 중량부를 130 내지 150℃에서 1 내지 2시간 동안 혼합하여 1차 물질을 제조하는 과정이다.
1차 물질은 용매인 THF에 폴리스티렌 및 폴리이소프렌이 용해된 상태로서 SIS 수지를 제조하는 출발 물질이다.
다음, 2차 물질 제조 단계(S110)는 1차 물질 50 내지 60 중량부, 리그닌 20 내지 30 중량부, 아세트산 10 내지 20 중량부, 카본블랙 5 내지 10 중량부를 60 내지 80℃에서 30 내지 60분 동안 혼합하여 2차 물질을 제조하는 과정이다.
여기서, 페놀고분자인 리그닌은 분자량이 매우 큰 물질로서 흡음 보조재의 사슬을 연장해 진동을 효과적으로 흡수 할 수 있는 인장력을 부가한다. 더불어, 아세트산은 산성을 통해 2차 물질을 개질하여 흡음 보조재와 흡음 시트의 상용성을 증진시키고, 카본블랙은 강도 보강 및 내열성 증진 목적으로 포함된다.
마지막으로, 여과물 수득 단계(S120)는 2차 물질 50 내지 70 중량부, 아미노실란(Aminosilane) 20 내지 40 중량부, 수산화나트륨 10 내지 20 중량부, 디쿠밀퍼옥사이드(Dicumyl peroxide) 1 내지 5 중량부를 100 내지 130℃에서 1 내지 2시간 동안 혼합한 다음 여과한 여과물인 흡음 보조재를 수득하는 과정이다.
이중, 아미노실란은 실란계 커플링제로서 상술한 1차 물질 및 2차 물질의 리그닌의 결합을 보조하고, 수산화나트륨은 아세트산으로 인해 하락한 pH를 높여줌으로써 흡음 보조재의 중합 속도를 증진시키며, 디쿠밀퍼옥사이드는 분자 내에 보유한 산소-산소 연결이 끊어지며 라디칼을 생성하는 가교제로서 흡음 보조재의 중합 반응을 개시한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제조된 흡음 보조재는 고탄성의 SIS 수지를 기본으로 리그닌을 포함해 인장력을 증진시킴으로써 흡음 시트가 팬 소음의 진동을 효과적으로 흡수할 수 있도록 보조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나아가, 상술한 여과물 수득 단계(S120)에는 내열 보강재가 포함될 수 있다.
내열 보강재는 실리콘카바이드(Silicon carbide) 및 IPDA(Isophorone diamine)을 포함하여 제조되는 것으로서, 이러한 내열 보강재를 포함한 여과물 수득 단계(S120)는 2차 물질 50 내지 60 중량부, 아미노실란(Aminosilane) 20 내지 30 중량부, 내열 보강재 5 내지 15 중량부, 수산화나트륨 10 내지 20 중량부, 디쿠밀퍼옥사이드(Dicumyl peroxide) 1 내지 5 중량부를 100 내지 130℃에서 1 내지 2시간 동안 혼합한 다음 여과한 여과물을 수득하는 단계일 수 있다
내열 보강재는 팬(30)이 냉각 기능을 수행하면서 팬(30) 주변에 부착된 흡음 시트 주변의 온도가 상승해 흡음 보조재가 열파괴 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제공하는바, 제 1 물질 제조 단계, 제 2 물질 제조 단계, 가소 단계를 거쳐 제조될 수 있다.
먼저, 제 1 물질 제조 단계는 실리콘카바이드 50 내지 60 중량부, 수산화마그네슘(Mg(OH)2) 20 내지 30 중량부, 알루미나(Al2O3) 20 내지 30 중량부를 20 내지 50℃에서 5 내지 10분 동안 혼합하여 제 1 물질을 제조하는 과정이다.
여기서, 실리콘카바이드는 같은 4족 원소인 탄소와 규소가 규칙적으로 배열된 물질로서 우수한 방열성을 보유하여 흡음 보조재의 열파괴를 방지할 수 있다. 더불어 알루미나는 내부식성을 부가하는 물질로서 앞서 언급한 중량부보다 많이 투입될 경우 점도 및 비중이 과하게 증가하여 혼합성이 떨어질 수 있고 반대로 낮을 경우에는 내부식 기능이 충분히 발휘되지 않을 수 있으므로 상술한 바람직한 범위의 중량부로 포함된다. 수산화마그네슘은 후술할 2차 물질 제조단계(S110)에서 물에 해리되어 이온화됨으로써 물을 용매화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즉, 제 1 물질은 분말상의 실리콘카바이드, 수산화마그네슘, 알루미나의 혼합 분말일 수 있다.
다음, 제 2 물질 제조 단계는 제 1 물질 40 내지 50 중량부, 물 40 내지 50 중량부, 산화아연 5 내지 15 중량부를 80 내지 100℃에서 1 내지 2시간 동안 혼합하여 제 2 물질을 제조하는 과정이다.
상술하였듯이 제 1 물질의 수산화마그네슘이 물에 해리되어 용매화 될 수 있는바, 산화아연은 넓은 밴드갭을 보유한 물질로서 이를 통해 내열 보강재의 내열성을 증진시킬 수 있다. 이때, 끓는점 오름 현상으로 인해 물이 100℃에서도 끓지 않지만 이보다 높은 온도로 가열할 경우 물이 과하게 증발할 수 있으므로 상술한 온도 범위를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마지막으로, 가소 단계는 제 2 물질 60 내지 70 중량부, 3-GTOS(3-Glycidyl oxypropyl trimethoxysilane) 20 내지 30 중량부, DTBP(Di-tert-butyl peroxide) 5 내지 10 중량부를 혼합한 다음 300 내지 350℃에서 2 내지 4시간 동안 가소하는 과정이다.
여기서, 3-GTOS는 커플링제로서 제 2 물질에 포함된 물질들을 서로 연결하여 고분자 형태의 고형물인 내열 보강재를 이루도록 하는바, DTBP는 3-GTOS의 중합 반응을 개시하는 개시제이다.
이렇게 가소되어 제조된 내열 보강재는 덩어리진 고체이므로 여과물 수득 단계(S120)에서 여과될 수 있는 10 내지 50㎛로 분쇄되어 포함될 수 있다.
정리하면, 내열 보강재는 내열성을 가진 실리콘카바이드 및 산화아연을 포함하여 흡음 보조재의 열파괴를 방지하는 것을 기본적인 기능으로 하는바, 알루미나가 부가되어 열풍을 받는 상황에서 발생할 수 있는 열산화를 방지하는 기능을 추가로 제공할 수 있다.
지금까지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노이즈캔슬링 기능을 구비한 컴퓨터의 구성 및 작용을 상기 설명 및 도면에 표현하였지만 이는 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여 본 발명의 사상이 상기 설명 및 도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 케이스 20: 전자부품
21: 파워 서플라이 30: 팬
40: 마이크 50: 서브 마이크
60: 스피커 70: 서브 스피커
100: 컨트롤러 110: 소음 분석모듈
120: 역상 파동 특성 파악모듈 121: 중첩부
122: 중첩 특성 파악부 123: 서브 중첩부
124: 서브 중첩 특성 파악부 130: 사운드 출력모듈
140: 컴퓨팅 인식모듈 150: 통신부
S100: 1차 물질 제조 단계 S110: 2차 물질 제조 단계
S120: 여과물 수득 단계

Claims (9)

  1. 노이즈캔슬링 기능을 구비한 컴퓨터로서,
    케이스;
    상기 케이스 내에 장착된 것으로 컴퓨팅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전자부품;
    상기 전자부품을 냉각하기 위해 상기 케이스의 일 측에 장착된 팬;
    상기 팬의 구동 시 발생하는 팬 소음을 입력받는 마이크;
    상기 마이크 주변에 설치된 스피커;
    상기 팬 소음의 파동 특성을 분석하는 소음 분석모듈과, 상기 파동 특성에 대응하는 역상 파동 특성을 파악하는 역상 파동 특성 파악모듈 및, 상기 역상 파동 특성을 가진 사운드를 상기 스피커로 출력하는 사운드 출력모듈을 구비한 컨트롤러;를 포함하되,
    상기 컴퓨터는,
    상기 팬 주변의 상기 케이스의 내측 면에 부착된 것으로, 폴리우레탄 베이스 70 내지 80 중량부, 폴리스티렌(Polystyrene) 및 폴리이소프렌(Polyisoprene) 및 리그닌(Lignin)을 포함하는 흡음 보조재 20 내지 30 중량부를 60 내지 80℃에서 30 내지 60분 동안 혼합한 다음 발포한 흡음 시트를 포함하고,
    상기 흡음 보조재는,
    상기 폴리스티렌 40 내지 50 중량부, 상기 폴리이소프렌 30 내지 40 중량부, THF(Tetrahydrofuran) 20 내지 30 중량부를 130 내지 150℃에서 1 내지 2시간 동안 혼합하여 1차 물질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1차 물질 50 내지 60 중량부, 상기 리그닌 20 내지 30 중량부, 아세트산 10 내지 20 중량부, 카본블랙 5 내지 10 중량부를 60 내지 80℃에서 30 내지 60분 동안 혼합하여 2차 물질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2차 물질 50 내지 70 중량부, 아미노실란(Aminosilane) 20 내지 40 중량부, 수산화나트륨 10 내지 20 중량부, 디쿠밀퍼옥사이드(Dicumyl peroxide) 1 내지 5 중량부를 100 내지 130℃에서 1 내지 2시간 동안 혼합한 다음 여과한 여과물을 수득하는 단계;를 거쳐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이즈캔슬링 기능을 구비한 컴퓨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부품은, 파워 서플라이를 포함하고,
    상기 컴퓨터는,
    상기 파워 서플라이의 구동 시 발생하는 파워 서플라이 소음을 입력받는 서브 마이크와, 상기 서브 마이크 주변에 설치된 서브 스피커를 포함하며,
    상기 소음 분석모듈은,
    상기 파워 서플라이 소음의 파동 특성을 분석하고,
    상기 역상 파동 특성 파악모듈은,
    상기 파워 서플라이 소음의 파동 특성에 대응하는 역상 파동 특성을 파악하며,
    상기 사운드 출력모듈은,
    상기 파워 서플라이 소음에 대한 역상 파동 특성을 가진 사운드를 상기 서브 스피커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이즈캔슬링 기능을 구비한 컴퓨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부품은, 파워 서플라이를 포함하고,
    상기 컴퓨터는,
    상기 파워 서플라이의 구동 시 발생하는 파워 서플라이 소음을 입력받는 서브 마이크를 포함하며,
    상기 소음 분석모듈은,
    상기 팬 소음과 상기 파워 서플라이 소음의 파동 특성을 분석하고,
    상기 역상 파동 특성 파악모듈은,
    상기 팬 소음과 상기 파워 서플라이 소음의 파동을 중첩하는 중첩부와, 상기 중첩부를 통해 중첩된 파동 특성의 역상 파동 특성을 파악하는 중첩 특성 파악부를 포함하며,
    상기 사운드 출력모듈은,
    상기 중첩된 파동 특성의 역상 파동 특성을 가진 사운드를 상기 스피커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이즈캔슬링 기능을 구비한 컴퓨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는,
    상기 전자부품의 구동 시 발생하는 전자부품 소음을 상기 팬 소음과 함께 입력받고,
    상기 소음 분석모듈은,
    상기 팬 소음과 상기 전자부품 소음의 파동 특성을 분석하고,
    상기 역상 파동 특성 파악모듈은,
    상기 팬 소음과 상기 전자부품 소음의 파동을 중첩하는 서브 중첩부와, 상기 서브 중첩부를 통해 중첩된 파동 특성의 역상 파동 특성을 파악하는 서브 중첩 특성 파악부를 포함하며,
    상기 사운드 출력모듈은,
    상기 중첩된 파동 특성의 역상 파동 특성을 가진 사운드를 상기 스피커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이즈캔슬링 기능을 구비한 컴퓨터.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전자부품의 컴퓨팅 기능을 인식하는 컴퓨팅 인식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소음 분석모듈은,
    상기 컴퓨팅 기능 별로 상기 전자부품 소음의 중첩된 파동 특성을 구분하며,
    상기 서브 중첩 특성 파악부는,
    상기 중첩된 파동 특성의 역상 파동 특성을 상기 컴퓨팅 기능 별로 구분하며,
    상기 사운드 출력모듈은,
    상기 컴퓨팅 인식모듈과 연동되어 특정 컴퓨팅 기능 수행 시 상기 컴퓨팅 기능을 기준으로 구분된 역상 파동 특성을 가진 사운드를 상기 스피커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이즈캔슬링 기능을 구비한 컴퓨터.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사용자 단말과 통신하는 통신부를 포함하고,
    상기 사운드 출력모듈은,
    상기 사용자 단말의 조작에 따라 상기 역상 파동 특성을 가진 사운드의 데시벨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이즈캔슬링 기능을 구비한 컴퓨터.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여과물을 수득하는 단계는,
    상기 2차 물질 50 내지 60 중량부, 아미노실란(Aminosilane) 20 내지 30 중량부, 실리콘카바이드(Silicon carbide) 및 3-GTOS(3-Glycidyloxypropyl trimethoxysilane)을 포함한 내열 보강재 5 내지 15 중량부, 수산화나트륨 10 내지 20 중량부, 디쿠밀퍼옥사이드(Dicumyl peroxide) 1 내지 5 중량부를 100 내지 130℃에서 1 내지 2시간 동안 혼합한 다음 여과한 여과물을 수득하는 단계이되,
    상기 내열 보강재는,
    상기 실리콘카바이드 50 내지 60 중량부, 수산화마그네슘(Mg(OH)2) 20 내지 30 중량부, 알루미나(Al2O3) 20 내지 30 중량부를 20 내지 50℃에서 5 내지 10분 동안 혼합하여 제 1 물질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제 1 물질 40 내지 50 중량부, 물 40 내지 50 중량부, 산화아연 5 내지 15 중량부를 80 내지 100℃에서 1 내지 2시간 동안 혼합하여 제 2 물질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제 2 물질 60 내지 70 중량부, 상기 3-GTOS 20 내지 30 중량부, DTBP(Di-tert-butyl peroxide) 5 내지 10 중량부를 혼합한 다음 300 내지 350℃에서 2 내지 4시간 동안 가소하는 단계;를 거쳐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이즈캔슬링 기능을 구비한 컴퓨터.
  8. 삭제
  9. 삭제
KR1020200105336A 2020-08-21 2020-08-21 노이즈캔슬링 기능을 구비한 컴퓨터 Active KR1022121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5336A KR102212177B1 (ko) 2020-08-21 2020-08-21 노이즈캔슬링 기능을 구비한 컴퓨터
PCT/KR2021/010822 WO2022039459A1 (ko) 2020-08-21 2021-08-13 노이즈캔슬링 기능을 구비한 컴퓨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5336A KR102212177B1 (ko) 2020-08-21 2020-08-21 노이즈캔슬링 기능을 구비한 컴퓨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12177B1 true KR102212177B1 (ko) 2021-02-04

Family

ID=745585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05336A Active KR102212177B1 (ko) 2020-08-21 2020-08-21 노이즈캔슬링 기능을 구비한 컴퓨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212177B1 (ko)
WO (1) WO2022039459A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17086B1 (ko) 2021-06-07 2021-10-25 서병찬 컴퓨팅 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WO2022039459A1 (ko) * 2020-08-21 2022-02-24 잘만테크 주식회사 노이즈캔슬링 기능을 구비한 컴퓨터
KR102544793B1 (ko) * 2023-03-29 2023-06-20 경상남도 (교육청) 노이즈 캔슬링 원리 체험 장치
KR20240132628A (ko) * 2023-02-27 2024-09-04 주식회사 유니크테크노 블루투스 스피커가 구비된 서큘레이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40071362A1 (en) * 2022-08-24 2024-02-29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Noise cancellations via system management buses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85881A (ja) * 1999-09-09 2001-03-30 Hitachi Cable Ltd 騒音低減型冷却ファン
KR20050033975A (ko) * 2003-10-07 2005-04-14 김성일 컴퓨터의 소음 감쇄장치 및 소음 감쇄방법
KR20130122030A (ko) * 2005-04-01 2013-11-06 부케예 테크놀로지스 인코포레이티드 방음용 부직포 재료 및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2905B1 (ko) * 2009-05-22 2011-07-29 주식회사 세종엔진 전원 공급 장치
KR101752719B1 (ko) * 2015-02-10 2017-07-11 (주)파트론 노이즈 감쇄 기능을 구비하는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170055329A (ko) * 2015-11-11 2017-05-19 삼성전자주식회사 노이즈를 제거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전자 장치
KR102212177B1 (ko) * 2020-08-21 2021-02-04 잘만테크 주식회사 노이즈캔슬링 기능을 구비한 컴퓨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85881A (ja) * 1999-09-09 2001-03-30 Hitachi Cable Ltd 騒音低減型冷却ファン
KR20050033975A (ko) * 2003-10-07 2005-04-14 김성일 컴퓨터의 소음 감쇄장치 및 소음 감쇄방법
KR20130122030A (ko) * 2005-04-01 2013-11-06 부케예 테크놀로지스 인코포레이티드 방음용 부직포 재료 및 제조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39459A1 (ko) * 2020-08-21 2022-02-24 잘만테크 주식회사 노이즈캔슬링 기능을 구비한 컴퓨터
KR102317086B1 (ko) 2021-06-07 2021-10-25 서병찬 컴퓨팅 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KR20240132628A (ko) * 2023-02-27 2024-09-04 주식회사 유니크테크노 블루투스 스피커가 구비된 서큘레이터
KR102808171B1 (ko) * 2023-02-27 2025-05-16 주식회사 유니크테크노 블루투스 스피커가 구비된 서큘레이터
KR102544793B1 (ko) * 2023-03-29 2023-06-20 경상남도 (교육청) 노이즈 캔슬링 원리 체험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2039459A1 (ko) 2022-02-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12177B1 (ko) 노이즈캔슬링 기능을 구비한 컴퓨터
US11693939B2 (en) Ear proximity detection
US11615803B2 (en) Methods, apparatus and systems for biometric processes
CN108989952B (zh) 声处理器、移动装置以及声处理方法
WO2022008862A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biometric processes
CN104604247B (zh) 立体声耳机
WO2019008389A1 (en) METHODS, APPARATUS AND SYSTEMS FOR AUTHENTICATION
US20180308462A1 (en) Karaoke device
CN110491362A (zh) 一种空调器的噪音处理方法、装置、空调器及移动终端
CN106535050A (zh) 一种消除汽车噪音的主动降噪模块
TWI635485B (zh) 無人機噪音抑制裝置及其方法
CN103888604A (zh) 一种终端应用模式的切换方法及终端
CN211604080U (zh) 主动式降噪静音的键盘
CN206620288U (zh) 发声装置模组
CN108711434A (zh) 车辆降噪方法及装置
CN105302287A (zh) 启动特定功能的电子装置及方法
CN108806659A (zh) 空气净化器的降噪方法及装置、电子设备
CN203563183U (zh) 发声装置及电子设备
JP2010156077A (ja) 建設機械用ヘルメット装置
CN104349238A (zh) 手持式电子装置及其护套
CN113411724B (zh) 基于骨导耳机通话的回音消除方法、计算机程序介质、骨导耳机
CN216014803U (zh) 降噪装置
US20210349549A1 (en) Noise-cancelling keyboard
CN209489083U (zh) 一种点唱机后壳体
CN113556647A (zh) 扬声器装置及其减少壳振的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00821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00825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00821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0092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10119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1012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1012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