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11763B1 - 글자 검출 장치,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글자 검출 장치,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211763B1 KR102211763B1 KR1020180114369A KR20180114369A KR102211763B1 KR 102211763 B1 KR102211763 B1 KR 102211763B1 KR 1020180114369 A KR1020180114369 A KR 1020180114369A KR 20180114369 A KR20180114369 A KR 20180114369A KR 102211763 B1 KR102211763 B1 KR 10221176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image
- character
- area
- character detection
- detection model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06K9/00402—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20/00—Scenes; Scene-specific elements
- G06V20/60—Type of objects
- G06V20/62—Text, e.g. of license plates, overlay texts or captions on TV images
- G06V20/63—Scene text, e.g. street name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N—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SPECIFIC COMPUTATIONAL MODELS
- G06N20/00—Machine learning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N—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SPECIFIC COMPUTATIONAL MODELS
- G06N3/00—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biological models
- G06N3/02—Neural networks
- G06N3/08—Learning method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10—Segmentation; Edge detection
- G06T7/11—Region-based segmentation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00—Arrangements for 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70—Arrangements for 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using pattern recognition or machine learning
- G06V10/77—Processing image or video features in feature spaces; using data integration or data reduction, e.g.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PCA] or independent component analysis [ICA] or self-organising maps [SOM]; Blind source separation
- G06V10/774—Generating sets of training patterns; Bootstrap methods, e.g. bagging or boosting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30/00—Character recognition; Recognising digital ink; Document-oriented image-based pattern recognition
- G06V30/10—Character recognition
- G06V30/14—Image acquisition
- G06V30/148—Segmentation of character regions
-
- G06K2209/01—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07/00—Indexing scheme for image analysis or image enhancement
- G06T2207/20—Special algorithmic details
- G06T2207/20081—Training; Learn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ultimedia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Image Analysis (AREA)
- Character Discrimination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글자 검출 장치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글자 검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3은 글자 검출 모델로 입력된 이미지와 글자 검출 모델로부터 출력된 이미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글자 검출 모델의 신경망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5는 글자 영역의 위치 값이 어노테이션된 학습용 이미지로 글자 검출 모델을 훈련시키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6은 학습용 이미지에 기반한 글자 검출 모델의 훈련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학습용 이미지로부터 GT 이미지를 생성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단어 영역의 위치 값이 어노테이션된 학습용 이미지로 글자 검출 모델을 훈련시키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학습용 이미지에 기반한 글자 검출 모델의 훈련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단어 영역의 위치 값이 어노테이션된 학습용 이미지에서 글자 영역의 위치 값을 결정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은 단어 영역 이미지를 글자 검출 모델에 입력하였을 때 출력되는 중간 출력 이미지를 에포크(epoch)별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2는 단어 영역 이미지에서 글자 영역을 검출하는 다른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3은 일 실시예에 따른 글자 검출 장치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14는 일 실시예에 따른 글자 검출 장치의 기능 블록도이다.
도 15는 일 실시예에 따른 글자 검출 장치가 적용될 수 있는 서버 장치 및 클라이언트 장치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6은 학습용 이미지에 기반한 글자 검출 모델의 훈련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1310: 메모리
1330: 프로세서
1410: 글자 검출 모델
1430: 데이터 처리부
1450: 모델 훈련 제어부
Claims (12)
- 글자 검출 장치에 의한 글자 검출 방법에 있어서,
신경망을 포함하는 글자 검출 모델을 훈련시키는 단계; 및
상기 훈련된 글자 검출 모델에 입력 이미지를 입력하고, 상기 글자 검출 모델로부터 출력되는 하나 이상의 출력 이미지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출력 이미지는, 상기 입력 이미지 내에서 글자가 존재할 확률을 상기 입력 이미지와 대응되는 위치의 이미지 공간상에 나타내는 확률 값 이미지를 포함하고,
상기 훈련시키는 단계는,
적어도 하나의 글자를 포함하는 단어 영역의 위치 값이 어노테이션된 제 1 학습용 이미지로부터 상기 단어 영역 내 글자 영역의 위치 값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정된 글자 영역의 위치 값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학습용 이미지에 대응하는 슈도 GT(pseudo ground truth) 이미지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학습용 이미지에 대응하여 상기 글자 검출 모델에서 출력되는 출력 이미지와 상기 슈도 GT 이미지의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글자 검출 모델이 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글자 검출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 이미지는,
상기 입력 이미지에서 검출된 글자들의 연결성을 나타내는 링크 이미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글자 검출 방법.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 이미지는 상기 입력 이미지에서 검출된 인접한 글자들의 중심을 연결한 라인을 포함하며,
상기 라인의 두께는, 상기 검출된 글자 각각을 포함하는 글자 영역의 크기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글자 검출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훈련시키는 단계는,
글자 영역의 위치 값이 어노테이션된 제 2 학습용 이미지로부터GT 이미지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학습용 이미지에 대응하여 상기 글자 검출 모델에서 출력되는 출력 이미지와 상기 GT 이미지의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글자 검출 모델이 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글자 검출 방법.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슈도 GT 이미지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제 1 학습용 이미지로부터 상기 단어 영역의 위치 값에 대응하는 단어 영역 이미지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추출된 단어 영역 이미지를 상기 글자 검출 모델에 입력하여 상기 단어 영역 이미지에 대응하는 중간 출력 이미지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중간 출력 이미지에서 검출된 각 글자 영역으로부터 상기 단어 영역 이미지 내 각 글자 영역의 위치 값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단어 영역 이미지 내 글자 영역의 위치 값을 이용하여 상기 제 1 학습용 이미지 내 글자 영역의 위치 값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정된 글자 영역의 위치 값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학습용 이미지에 대응하는 슈도 GT 이미지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글자 검출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훈련시키는 단계는,
상기 제 1 학습용 이미지 내 상기 단어 영역에 포함된 글자의 정답 개수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단어 영역에 포함된 글자의 정답 개수와, 상기 단어 영역의 위치 값에 대응하는 단어 영역 이미지에 기초하여 획득된 중간 출력 이미지에서 검출된 글자의 개수를 비교하여 보정 웨이트 값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정된 보정 웨이트 값을, 상기 글자 검출 모델에서 출력되는 출력 이미지와 상기 슈도 GT 이미지 사이의 비교 결과에 적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글자 검출 방법.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단어 영역 이미지 내 각 글자 영역의 위치 값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중간 출력 이미지에서 검출된 글자의 개수가 소정 개수 미만인 경우, 상기 단어 영역 이미지를 상기 글자의 정답 개수에 따라 분할하는 단계; 및
상기 단어 영역 이미지로부터 분할된 각 분할 영역의 위치 값을 상기 단어 영역 이미지 내 각 글자 영역의 위치 값으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글자 검출 방법.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 출력 이미지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추출된 단어 영역 이미지를 이미지 처리 알고리즘에 따라 변형하는 단계; 및
상기 변형된 단어 영역 이미지를 상기 글자 검출 모델에 입력하여 상기 변형된 단어 영역 이미지에 대응하는 중간 출력 이미지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단어 영역 이미지 내 각 글자 영역의 위치 값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변형된 단어 영역 이미지 내 각 글자 영역의 위치 값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학습용 이미지 내 글자 영역의 위치 값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변형된 단어 영역 이미지 내 글자 영역의 위치 값을 이용하여 상기 제 1 학습용 이미지 내 글자 영역의 위치 값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글자 검출 방법.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글자 검출 방법은,
상기 확률 값 이미지에서 제 1 임계 값 이상의 확률 값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지점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결정된 적어도 하나의 지점 각각으로부터, 상기 제 1 임계 값보다 작은 제 2 임계 값 이상의 확률 값을 갖는 지점까지 바운딩 영역을 증가시키는 단계; 및
상기 증가된 바운딩 영역에 대응하는 바운딩 박스를 상기 입력 이미지 상에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글자 검출 방법.
- 프로세서; 및
적어도 하나의 인스트럭션을 저장하는 메모리를 포함하되,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인스트럭션에 따라,
신경망을 포함하는 글자 검출 모델을 훈련시키고,
상기 훈련된 글자 검출 모델에 입력 이미지를 입력하고, 상기 글자 검출 모델로부터 출력되는 하나 이상의 출력 이미지를 획득하고,
상기 출력 이미지는, 상기 입력 이미지 내에서 글자가 존재할 확률을 상기 입력 이미지와 대응되는 위치의 이미지 공간상에 나타내는 확률 값 이미지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글자 검출 모델의 훈련을 위해, 적어도 하나의 글자를 포함하는 단어 영역의 위치 값이 어노테이션된 제 1 학습용 이미지로부터 상기 단어 영역 내 글자 영역의 위치 값을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글자 영역의 위치 값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학습용 이미지에 대응하는 슈도 GT 이미지를 생성하며,
상기 제 1 학습용 이미지에 대응하여 상기 글자 검출 모델에서 출력되는 출력 이미지와 상기 슈도 GT 이미지의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글자 검출 모델이 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글자 검출 장치.
- 적어도 하나의 글자를 포함하는 단어 영역의 위치 값이 어노테이션된 제 1 학습용 이미지를 이용하여, 신경망을 포함하는 글자 검출 모델을 훈련시키는 서버 장치; 및
상기 서버 장치로부터 상기 글자 검출 모델의 실행을 위한 데이터를 수신하고, 입력 이미지가 획득되면, 상기 글자 검출 모델에 상기 입력 이미지를 입력하여 상기 글자 검출 모델로부터 하나 이상의 출력 이미지를 획득하는 클라이언트 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출력 이미지는, 상기 입력 이미지 내에서 글자가 존재할 확률을 상기 입력 이미지와 대응되는 위치의 이미지 공간상에 나타내는 확률 값 이미지를 포함하며,
상기 서버 장치는 상기 글자 검출 모델의 훈련을 위해, 상기 제 1 학습용 이미지로부터 상기 단어 영역 내 글자 영역의 위치 값을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글자 영역의 위치 값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학습용 이미지에 대응하는 슈도 GT 이미지를 생성하며,
상기 제 1 학습용 이미지에 대응하여 상기 글자 검출 모델에서 출력되는 출력 이미지와 상기 슈도 GT 이미지의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글자 검출 모델이 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글자 검출 시스템.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114369A KR102211763B1 (ko) | 2018-09-21 | 2018-09-21 | 글자 검출 장치, 방법 및 시스템 |
CN201980061869.8A CN112868021B (zh) | 2018-09-21 | 2019-07-17 | 字母检测装置、方法以及系统 |
JP2021515507A JP7198350B2 (ja) | 2018-09-21 | 2019-07-17 | 文字検出装置、文字検出方法及び文字検出システム |
PCT/KR2019/008820 WO2020060019A1 (ko) | 2018-09-21 | 2019-07-17 | 글자 검출 장치, 방법 및 시스템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114369A KR102211763B1 (ko) | 2018-09-21 | 2018-09-21 | 글자 검출 장치, 방법 및 시스템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036098A KR20200036098A (ko) | 2020-04-07 |
KR102211763B1 true KR102211763B1 (ko) | 2021-02-03 |
Family
ID=698873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114369A Active KR102211763B1 (ko) | 2018-09-21 | 2018-09-21 | 글자 검출 장치, 방법 및 시스템 |
Country Status (4)
Country | Link |
---|---|
JP (1) | JP7198350B2 (ko) |
KR (1) | KR102211763B1 (ko) |
CN (1) | CN112868021B (ko) |
WO (1) | WO2020060019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1639717A (zh) * | 2020-06-04 | 2020-09-08 | 网易(杭州)网络有限公司 | 图像字符识别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
KR102270198B1 (ko) * | 2020-06-08 | 2021-06-28 | 주식회사 에스아이에이 | 앵커-프리 rpn 기반의 물체 검출 방법 |
KR102436814B1 (ko) * | 2020-09-29 | 2022-08-25 | 이용재 | 광학 문자 인식 장치 및 그 제어방법 |
CN112818985A (zh) * | 2021-01-28 | 2021-05-18 | 深圳点猫科技有限公司 | 一种基于分割的文本检测方法、装置、系统及介质 |
KR102535054B1 (ko) * | 2021-09-07 | 2023-05-26 |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 패치기반의 딥러닝 알고리즘을 통한 실내도면 이미지에서의 실내공간정보 자동추출방법 및 그 장치 |
KR102646607B1 (ko) * | 2021-10-15 | 2024-03-13 | 한국딥러닝 주식회사 | 딥러닝 기반의 문자 인식 시스템 |
WO2024043485A1 (ko) * | 2022-08-26 | 2024-02-29 | 삼성전자주식회사 | 텍스트를 포함하는 이미지를 처리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방법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805318B1 (ko) * | 2016-11-01 | 2017-12-06 | 포항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 텍스트 영역 식별 방법 및 장치 |
Family Cites Families (10)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8674855B2 (en) * | 2006-01-13 | 2014-03-18 | Essex Pa, L.L.C. | Identification of text |
JP2012164051A (ja) * | 2011-02-04 | 2012-08-30 | Jvc Kenwood Corp | ナンバープレート文字認識装置及びナンバープレート文字認識方法 |
KR20120127000A (ko) * | 2011-05-13 | 2012-11-21 | 삼성전자주식회사 | 문자인식을 이용한 이미지 관리 장치 및 그 방법 |
KR101403876B1 (ko) * | 2012-03-19 | 2014-06-09 |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 차량 번호판 인식 방법과 그 장치 |
WO2015129062A1 (ja) * | 2014-02-28 | 2015-09-03 | オリンパス株式会社 |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及び画像処理プログラム |
JP6208094B2 (ja) * | 2014-08-26 | 2017-10-04 | 株式会社東芝 |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方法及びそのプログラム |
JP6325401B2 (ja) * | 2014-09-17 | 2018-05-16 | 株式会社東芝 | 情報処理装置、画像変更方法及びプログラム |
CN105574513B (zh) * | 2015-12-22 | 2017-11-24 | 北京旷视科技有限公司 | 文字检测方法和装置 |
CN107203765B (zh) * | 2017-03-30 | 2023-08-25 | 腾讯科技(上海)有限公司 | 敏感图像检测方法和装置 |
CN108304835B (zh) * | 2018-01-30 | 2019-12-06 | 百度在线网络技术(北京)有限公司 | 文字检测方法和装置 |
-
2018
- 2018-09-21 KR KR1020180114369A patent/KR102211763B1/ko active Active
-
2019
- 2019-07-17 CN CN201980061869.8A patent/CN112868021B/zh active Active
- 2019-07-17 JP JP2021515507A patent/JP7198350B2/ja active Active
- 2019-07-17 WO PCT/KR2019/008820 patent/WO2020060019A1/ko active Application Filing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805318B1 (ko) * | 2016-11-01 | 2017-12-06 | 포항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 텍스트 영역 식별 방법 및 장치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CN112868021A (zh) | 2021-05-28 |
CN112868021B (zh) | 2024-12-27 |
KR20200036098A (ko) | 2020-04-07 |
JP7198350B2 (ja) | 2022-12-28 |
WO2020060019A1 (ko) | 2020-03-26 |
JP2022501719A (ja) | 2022-01-0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211763B1 (ko) | 글자 검출 장치, 방법 및 시스템 | |
US11768974B2 (en) | Building information model (BIM) element extraction from floor plan drawings using machine learning | |
US10354168B2 (en) | Systems and methods for recognizing characters in digitized documents | |
US10997463B2 (en) | Training text recognition systems | |
CA3204361A1 (en) | Image processing method,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non-transitory storage medium | |
CN111488826A (zh) | 一种文本识别方法、装置、电子设备和存储介质 | |
CN110147786A (zh) | 用于检测图像中的文本区域的方法、装置、设备以及介质 | |
CN113673432B (zh) | 手写识别方法、触摸显示设备、计算机设备及存储介质 | |
RU2621601C1 (ru) | Устранение искривлений изображения документа | |
US20220318541A1 (en) | Dynamic head for object detection | |
US20240169701A1 (en) | Affordance-based reposing of an object in a scene | |
US20240104951A1 (en) | Image and semantic based table recognition | |
CN113658195B (zh) | 图像分割方法、装置及电子设备 | |
KR102206604B1 (ko) | 글자 인식 장치 및 이에 의한 글자 인식 방법 | |
CN107545223B (zh) | 图像识别方法及电子设备 | |
CN113359986B (zh) | 增强现实数据展示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 |
US20230067934A1 (en) | Action Recognition Method, Apparatus and Device, Storage Medium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 |
US10977511B2 (en) | Optical character recognition of series of images | |
CN113537187A (zh) | 文本识别方法、装置、电子设备及可读存储介质 | |
CN114120305A (zh) | 文本分类模型的训练方法、文本内容的识别方法及装置 | |
CN115004261B (zh) | 文本行检测 | |
CN118522019B (zh) | 文本识别方法、电子设备以及存储介质 | |
KR102351578B1 (ko) | 글자 인식 장치 및 이에 의한 글자 인식 방법 | |
CN113591845A (zh) | 一种多题型识别方法、装置和计算机设备 | |
US20180329872A1 (en) | Electronic book display device, electronic book display method, and program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80921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Patent event date: 20181203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0030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01028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1012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1012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1226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1223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