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11323B1 - 고주파 캐비티 필터 및 이를 포함하는 통신 기기 - Google Patents

고주파 캐비티 필터 및 이를 포함하는 통신 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11323B1
KR102211323B1 KR1020200030169A KR20200030169A KR102211323B1 KR 102211323 B1 KR102211323 B1 KR 102211323B1 KR 1020200030169 A KR1020200030169 A KR 1020200030169A KR 20200030169 A KR20200030169 A KR 20200030169A KR 102211323 B1 KR102211323 B1 KR 1022113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onator
filter body
high frequency
filter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301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여선구
신명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트로닉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트로닉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트로닉스
Priority to KR10202000301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11323B1/ko
Priority to PCT/KR2020/004712 priority patent/WO2021182668A1/ko
Priority to KR1020210010752A priority patent/KR202101148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113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113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PWAVEGUIDES; RESONATORS, LINES, OR OTHER DEVICES OF THE WAVEGUIDE TYPE
    • H01P1/00Auxiliary devices
    • H01P1/20Frequency-selective devices, e.g. filters
    • H01P1/201Filters for transverse electromagnetic waves
    • H01P1/205Comb or interdigital filters; Cascaded coaxial cavities
    • H01P1/2053Comb or interdigital filters; Cascaded coaxial cavities the coaxial cavity resonators being disposed parall to each oth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PWAVEGUIDES; RESONATORS, LINES, OR OTHER DEVICES OF THE WAVEGUIDE TYPE
    • H01P1/00Auxiliary devices
    • H01P1/20Frequency-selective devices, e.g. filters
    • H01P1/207Hollow waveguide filt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ontrol Of Motors That Do Not Use Commutators (AREA)

Abstract

고주파 캐비티 필터 및 이를 포함하는 통신 기기가 개시된다. 개시되는 일 실시예에 따른 고주파 캐비티 필터는, 도전성 재질로 이루어지는 필터 몸체 및 필터 몸체 내에 마련되는 하나 이상의 공진기를 포함하는 고주파 캐비티 필터로서, 필터 몸체는, 필터 몸체의 상부면을 이루는 베이스 플레이트, 베이스 플레이트의 일측에서 하부로 마련되는 제1 측면 플레이트, 베이스 플레이트의 타측에서 하부로 마련되는 제2 측면 플레이트, 베이스 플레이트의 전단에서 제1 측면 플레이트 및 제2 측면 플레이트의 일단과 각각 연결되는 전면 플레이트, 베이스 플레이트의 후단에서 제1 측면 플레이트 및 제2 측면 플레이트의 타단과 각각 연결되는 배면 플레이트, 및 베이스 플레이트의 공진기와 대응되는 위치에 마련되고, 베이스 플레이트를 관통하여 마련되는 공진기 홀을 포함하고, 공진기는, 공진기 홀의 테두리에서 하부로 돌출되어 마련된다.

Description

고주파 캐비티 필터 및 이를 포함하는 통신 기기{HIGH FREQUENCY CAVITY FILTER AND COMMUNICATION DEVICE WITH THE SAME}
본 발명의 실시예는 고주파 캐비티 필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고주파 필터는 이동통신 기지국 또는 중계기 등 대부분의 송수신 통신 장비에 사용된다. 그 중 이동통신 기지국과 같이 하이 파워가 요구되는 장치에는 캐비티(Cavity) 구조를 가진 캐비티 필터가 주로 사용된다. 캐비티 필터는 필터 내부에 다수의 캐비티를 형성하고, 캐비티 내부에 공진기를 설치하는 구조를 가지며, 각 캐비티에서 공진을 통해 필터링을 수행하는 필터이다. 기존의 고주파 캐비티 필터는 부품이 많아 조립이 어렵고 제조 비용 및 제조 시간이 많이 소모되며 튜닝 포인트가 많아 대량 생산에 적합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09-0036327호(2009.04.14)
본 발명의 실시예는 새로운 구조의 고주파 캐비티 필터 및 이를 포함하는 통신 기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개시되는 일 실시예에 따른 고주파 캐비티 필터는, 도전성 재질로 이루어지는 필터 몸체 및 상기 필터 몸체 내에 마련되는 하나 이상의 공진기를 포함하는 고주파 캐비티 필터로서, 상기 필터 몸체는, 상기 필터 몸체의 상부면을 이루는 베이스 플레이트;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일측에서 하부로 마련되는 제1 측면 플레이트;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타측에서 하부로 마련되는 제2 측면 플레이트;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전단에서 상기 제1 측면 플레이트 및 상기 제2 측면 플레이트의 일단과 각각 연결되는 전면 플레이트;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후단에서 상기 제1 측면 플레이트 및 상기 제2 측면 플레이트의 타단과 각각 연결되는 배면 플레이트; 및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기 공진기와 대응되는 위치에 마련되고,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를 관통하여 마련되는 공진기 홀을 포함하고, 상기 공진기는, 상기 공진기 홀의 테두리에서 하부로 돌출되어 마련된다.
상기 공진기는, 내부가 비어 있는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기 공진기의 내부는 상기 공진기 홀을 통해 외부와 연통되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고주파 캐비티 필터는, 상기 공진기의 단부에서 상기 공진기의 내벽과 이격되어 마련되는 튜닝부; 및 상기 공진기의 내벽과 상기 튜닝부를 연결하며 마련되는 복수 개의 튜닝 연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튜닝부는, 상기 공진기의 내경보다 작은 직경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튜닝 연결부에 의해 연결되는 지점을 제외한 부분에서 상기 공진기의 내벽 사이에 틈이 형성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고주파 캐비티 필터는, 도전성 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필터 몸체의 하부에서 상기 필터 몸체와 결합되며 상기 필터 몸체의 개방된 하부면을 커버하며 마련되는 커버부; 및 상기 공진기의 단부에 결합되고, 상기 커버부와 대향하여 마련되는 주파수 조절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공진기는, 상기 공진기의 단부에 마련되고 상기 주파수 조절부가 결합되는 주파수 조절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주파수 조절부는, 중앙에 삽입홀이 마련되고, 상기 커버부와 대향하여 마련되는 주파수 조절 본체; 및 상기 삽입홀의 테두리에서 상기 공진기를 향하여 돌출되고, 상기 주파수 조절 결합부의 외측에 끼임 결합되는 끼임 결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주파 캐비티 필터는, 상기 필터 몸체의 하단 테두리를 따라 마련되는 테두리부; 상기 테두리부의 표면에 마련되는 복수 개의 프레스 돌기; 도전성 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필터 몸체의 하부에서 상기 필터 몸체와 결합되며 상기 필터 몸체의 개방된 하부면을 커버하며 마련되는 커버부; 및 상기 커버부의 테두리를 따라 마련되고, 상기 복수 개의 프레스 돌기가 삽입되어 프레스 공정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복수 개의 제1 결합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주파 캐비티 필터는, 상기 필터 몸체의 내부에서 상기 필터 몸체의 폭 방향을 따라 마련되고 상기 공진기들 사이에 마련되는 격벽; 상기 격벽의 단부에서 연장되어 돌출되는 결합 돌출부; 및 상기 커버부에 마련되고 상기 결합 돌출부가 삽입되어 결합되는 제2 결합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주파 캐비티 필터는, 도전성 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필터 몸체의 하부에서 상기 필터 몸체와 결합되며 상기 필터 몸체의 개방된 하부면을 커버하며 마련되는 커버부; 상기 필터 몸체 내부의 일측에서 하부로 돌출되어 마련되는 입력 단자부; 상기 필터 몸체 내부의 타측에서 하부로 돌출되어 마련되는 출력 단자부; 상기 커버부에 마련되고 상기 입력 단자부가 삽입되어 외부로 노출되는 제1 단자 삽입홀; 및 상기 커버부에 마련되고 상기 출력 단자부가 삽입되어 외부로 노출되는 제2 단자 삽입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입력 단자부 및 상기 출력 단자부는, 상기 필터 몸체의 하단보다 하부로 돌출되어 마련되고, 상기 제1 단자 삽입홀 및 상기 제2 단자 삽입홀은, 각각 직경이 상기 입력 단자부 및 상기 출력 단자부의 직경보다 크게 마련되어 상기 입력 단자부 및 상기 출력 단자부와 각각 이격될 수 있다.
상기 고주파 캐비티 필터는, 상기 커버부의 하부에 마련되고, 상기 입력 단자부와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제1 접속부 및 상기 출력 단자부와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제2 접속부를 포함하는 기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개시되는 실시예에 의하면, 필터 몸체와 커버부가 프레스 공정을 통해 결합됨에 따라, 고주파 캐비티 필터의 부품 간 조립이 간편하며 부품의 수를 줄여 제조 비용 및 제조에 따른 수고를 줄일 수 있게 된다.
또한, 튜닝부가 각 공진기의 단부에 마련됨에 따라, 공진기의 개수와 튜닝부의 개수가 동일하여 튜닝에 소요되는 시간을 줄일 수 있게 된다.
또한, 공진기의 내부가 비어 있고 튜닝 나사를 통해 튜닝부를 눌러 튜닝을 하게 되므로, 스크래치 등 공진기의 외관에 영향을 주지 않게 된다. 그리고, 공진기와 튜닝부 사이에 틈이 존재하여 습기로 인한 응결이 없어지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주파 캐비티 필터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주파 캐비티 필터의 결합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주파 캐비티 필터에서 필터 몸체의 내부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주파 캐비티 필터에서 필터 몸체와 커버부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주파 캐비티 필터에서 주파수 조절부가 공진기에 결합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주파 캐비티 필터의 공진기를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주파 캐비티 필터에서 튜닝부를 통한 공진기의 튜닝 방법을 나타낸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주파 캐비티 필터의 S 파라미터를 나타낸 그래프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주파 캐비티 필터의 불요파를 나타낸 그래프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의 상세한 설명은 본 명세서에서 기술된 방법, 장치 및/또는 시스템에 대한 포괄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 제공된다. 그러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며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상세한 설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지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기술하기 위한 것이며, 결코 제한적이어서는 안 된다. 명확하게 달리 사용되지 않는 한, 단수 형태의 표현은 복수 형태의 의미를 포함한다. 본 설명에서, "포함" 또는 "구비"와 같은 표현은 어떤 특성들, 숫자들, 단계들, 동작들, 요소들, 이들의 일부 또는 조합을 가리키기 위한 것이며, 기술된 것 이외에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성, 숫자, 단계, 동작, 요소, 이들의 일부 또는 조합의 존재 또는 가능성을 배제하도록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한편, 상측, 하측, 일측, 타측 등과 같은 방향성 용어는 개시된 도면들의 배향과 관련하여 사용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는 다양한 배향으로 위치 설정될 수 있으므로, 방향성 용어는 예시를 목적으로 사용되는 것이지 이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 요소는 제2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 요소도 제1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주파 캐비티 필터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주파 캐비티 필터의 결합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주파 캐비티 필터에서 필터 몸체의 내부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주파 캐비티 필터에서 필터 몸체와 커버부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고주파 캐비티 필터(100)는 필터 몸체(102), 공진기(104), 커버부(106), 및 기판(108)을 포함할 수 있다.
필터 몸체(102)는 내부에 캐비티 공간을 형성하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필터 몸체(102)는 하면이 개방되는 직육면체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그 형상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필터 몸체(102)는 도전성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필터 몸체(102)는 베이스 플레이트(102a), 제1 측면 플레이트(102b), 제2 측면 플레이트(102c), 전면 플레이트(102d), 및 배면 플레이트(102e)를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 플레이트(102a)는 고주파 캐비티 필터(100)의 상부면을 이루는 부분일 수 있다. 베이스 플레이트(102a)는 소정 길이와 폭을 갖는 직사각형 형태의 평면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그 형태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1 측면 플레이트(102b)는 베이스 플레이트(102a)의 일측에서 하부로 마련될 수 있다. 제1 측면 플레이트(102b)는 베이스 플레이트(102a)의 일측 테두리를 따라 마련될 수 있다.
제2 측면 플레이트(102c)는 베이스 플레이트(102a)의 타측에서 하부로 마련될 수 있다. 제2 측면 플레이트(102c)는 베이스 플레이트(102a)의 타측 테두리를 따라 마련될 수 있다. 제2 측면 플레이트(102c)는 제1 측면 플레이트(102b)와 대향하여 마련될 수 있다.
전면 플레이트(102d)는 베이스 플레이트(102a)의 전단에서 하부로 마련될 수 있다. 전면 플레이트(102d)는 베이스 플레이트(102a)의 전단 측 테두리를 따라 마련될 수 있다. 전면 플레이트(102d)는 제1 측면 플레이트(102b) 및 제2 측면 플레이트(102c)의 일단과 각각 연결될 수 있다.
배면 플레이트(102e)는 베이스 플레이트(102a)의 후단에서 하부로 마련될 수 있다. 배면 플레이트(102e)는 베이스 플레이트(102a)의 후단 측 테두리를 따라 마련될 수 있다. 배면 플레이트(102e)는 제1 측면 플레이트(102b) 및 제2 측면 플레이트(102c)의 타단과 각각 연결될 수 있다. 배면 플레이트(102e)는 전면 플레이트(102d)와 대향하여 마련될 수 있다.
한편, 필터 몸체(102)의 하단에는 필터 몸체(102)의 테두리를 따라 테두리부(111)가 마련될 수 있다. 즉, 테두리부(111)는 제1 측면 플레이트(102b), 제2 측면 플레이트(102c), 전면 플레이트(102d), 및 배면 플레이트(102e)의 하단을 따라 마련될 수 있다. 테두리부(111)는 필터 몸체(102)의 두께보다 두껍게 마련될 수 있다.
테두리부(111)의 일면(즉, 커버부(106)를 향하는 면)에는 복수 개의 프레스 돌기(111a)가 마련될 수 있다. 프레스 돌기(111a)는 테두리부(111)를 따라 복수 개가 상호 이격되어 마련될 수 있다.
또한, 필터 몸체(102)의 내부에는 하나 이상의 격벽(113)이 마련될 수 있다. 격벽(113)은 필터 몸체(102)의 내부에서 공진기(104)와 공진기(104) 사이에 마련될 수 있다. 격벽(113)의 일단은 제1 측면 플레이트(102b)에 연결되고, 격벽(113)의 타단은 제2 측면 플레이트(102c)에 연결될 수 있다. 즉, 격벽(113)은 필터 몸체(102)의 내부에서 필터 몸체(102)의 폭 방향을 따라 마련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격벽(113)은 필터 몸체(102)와 일체로 마련될 수 있다.
격벽(113)은 공진기(104)와 공진기(104) 간의 전기적 커플링을 조절할 수 있다. 공진기(104)와 공진기(104) 간의 전기적 커플링을 조절하기 위해 격벽(113)에는 윈도우(113a)가 마련될 수 있다. 윈도우(113a)는 격벽(113)이 일부 절개되어 마련될 수 있다. 윈도우(113a)의 크기에 따라 공진기(104)와 공진기(104) 간의 전기적 커플링을 조절되어 공진기(104)의 주파수 대역폭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어, 윈도우(113a)의 크기가 커질수록 공진기(104)의 주파수 대역폭이 넓어지게 되고, 윈도우(113a)의 크기가 작을수록 공진기(104)의 주파수 대역폭이 좁아지게 된다.
격벽(113)에는 격벽(113)의 단부에서 연장되어 돌출되는 결합 돌출부(115)가 마련될 수 있다. 결합 돌출부(115)는 필터 몸체(102)와 커버부(106)를 결합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또한, 필터 몸체(102)의 내부에는 입력 단자부(131) 및 출력 단자부(133)가 각각 마련될 수 있다. 입력 단자부(131)는 필터 몸체(102)의 내부의 일측에 마련될 수 있다. 입력 단자부(131)는 베이스 플레이트(102a)에서 하부로 돌출되어 마련될 수 있다. 입력 단자부(131)는 필터 몸체(102)의 하단보다 하부로 돌출되어 마련될 수 있다. 입력 단자부(131)로는 통신 시스템의 안테나가 수신한 신호가 입력될 수 있다.
출력 단자부(133)는 필터 몸체(102)의 내부의 타측에 마련될 수 있다. 출력 단자부(133)는 베이스 플레이트(102a)에서 하부로 돌출되어 마련될 수 있다. 출력 단자부(133)는 필터 몸체(102)의 하단보다 하부로 돌출되어 마련될 수 있다. 출력 단자부(133)로는 고주파 캐비티 필터(100)를 통해 필터링 된 신호가 출력될 수 있다.
공진기(104)는 필터 몸체(102)에 복수 개가 상호 이격되어 마련될 수 있다. 공진기(104)가 복수 개가 형성되는 경우, 각 공진기(104)는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마련될 수 있다. 공진기(104)의 개수는 고주파 캐비티 필터(100)를 사용하는 통신 시스템의 성능 및 해당 통신 시스템에서 요구되는 주파수 선택도에 따라 적절한 개수로 설정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공진기(104)는 필터 몸체(102)와 일체로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공진기(104)와 대응하는 위치의 베이스 플레이트(102a)에는 공진기 홀(117)이 마련될 수 있다. 공진기(104)는 베이스 플레이트(102a)의 공진기 홀(117)의 테두리에서 하부로 돌출되어 마련될 수 있다. 즉, 공진기(104)는 필터 몸체(102)에서 하부를 향하여 마련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공진기(104)는 원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그 형상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공진기(104)의 내부는 비어 있는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공진기(104)의 내부는 공진기 홀(117)을 통해 외부와 연통되어 마련될 수 있다. 공진기(104)의 단부에는 튜닝부(119)가 마련될 수 있다. 튜닝부(119)는 공진기(104)의 공진 주파수를 튜닝 할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공진기(104)에는 주파수 조절부(121)가 결합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주파 캐비티 필터에서 주파수 조절부(121)가 공진기(104)에 결합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공진기(104)의 단부에는 주파수 조절부(121)가 삽입되어 결합되는 주파수 조절 결합부(104a)가 마련될 수 있다. 주파수 조절 결합부(104a)는 외경이 공진기(104) 본체의 외경 보다 작게 마련될 수 있다. 주파수 조절 결합부(104a)의 내경은 공진기(104) 본체의 내경과 동일하게 마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공진기(104) 본체와 주파수 조절 결합부(104a)의 경계에서 단턱이 형성될 수 있다.
주파수 조절부(121)는 공진기(104)의 단부에 결합될 수 있다. 주파수 조절부(121)는 공진기(104)의 단부에 결합된 상태에서 커버부(106)와 대향하여 마련될 수 있다. 주파수 조절부(121)는 커버부(106)와 대향하는 면적을 넓혀 주어 커패시턴스 값을 크게 함에 따라 공진기(104)의 공진 주파수가 낮아지도록 조절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그로 인해, 고주파 캐비티 필터(100)의 전체 크기(높이)를 작게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주파수 조절부(121)로 인해 공진기(104)의 인덕턴스 값보다 커패시턴스 값이 커져 불요파 특성이 향상되게 된다.
주파수 조절부(121)는 주파수 조절 본체(121a) 및 끼임 결합부(121b)를 포함할 수 있다. 주파수 조절 본체(121a)는 커버부(106)와 대향하여 마련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주파수 조절 본체(121a)는 원형의 판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그 형상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그 이외의 다양한 형상(예를 들어, 사각형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주파수 조절 본체(121a)에는 삽입홀(121a-1)이 마련될 수 있다. 삽입홀(121a-1)은 주파수 조절 본체(121a)의 중앙에 마련될 수 있다.
끼임 결합부(121b)는 삽입홀(121a-1)의 테두리에서 공진기(104)를 향하여 돌출되어 마련될 수 있다. 끼임 결합부(121b)는 주파수 조절 결합부(104a)의 외측에 끼임 결합될 수 있다. 끼임 결합부(121b)의 내경은 주파수 조절 결합부(104a)의 외경보다 작게 마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주파수 조절부(121)를 프레스 하여 끼임 결합부(121b)는 주파수 조절 결합부(104a)의 외측에 끼임 결합되도록 할 수 있다.
커버부(106)는 필터 몸체(102)의 하부에 마련될 수 있다. 커버부(106)는 필터 몸체(102)의 하부에서 필터 몸체(102)와 결합될 수 있다. 커버부(106)가 필터 몸체(102)에 결합됨에 따라 필터 몸체(102) 및 커버부(106)의 내부에 캐비티가 형성되게 된다. 커버부(106)는 도전성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커버부(106)는 필터 몸체(102)의 개방된 하면을 커버하며 마련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커버부(106)는 플레이트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커버부(106)의 테두리에는 제1 결합홀(106a)이 복수 개가 마련될 수 있다. 제1 결합홀(106a)은 커버부(106)의 테두리를 따라 복수 개가 상호 이격되어 마련될 수 있다. 제1 결합홀(106a)은 프레스 돌기(111a)와 대응하여 마련될 수 있다.
커버부(106)는 프레스를 통해 필터 몸체(102)와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커버부(106)의 제1 결합홀(106a)이 필터 몸체(102)의 프레스 돌기(111a)와 각각 대응되도록 커버부(106)를 필터 몸체(102)의 하부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커버부(106)를 필터 몸체(102) 측으로 밀어 올리면 프레스 돌기(111a)가 제1 결합홀(106a)에 삽입되어 커버부(106)의 반대면으로 돌출되게 된다. 이때, 프레스 공정을 수행하면, 돌출된 프레스 돌기(111a)가 압박되면서 커버부(106)의 반대면에 눌러지게 되어 커버부(106)와 필터 몸체(102) 간에 견고한 결합이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커버부(106)에는 제2 결합홀(106b)이 마련될 수 있다. 제2 결합홀(106b)은 격벽(113)의 결합 돌출부(115)와 대응하여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결합 돌출부(115)가 제2 결합홀(106b)에 끼움 결합되면서 커버부(106)와 필터 몸체(102) 간 결합이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커버부(106)에는 제1 단자 삽입홀(106c) 및 제2 단자 삽입홀(106d)이 각각 마련될 수 있다. 제1 단자 삽입홀(106c)에는 입력 단자부(131)가 삽입되어 하부로 노출될 수 있다. 제2 단자 삽입홀(106d)에는 출력 단자부(133)가 삽입되어 하부로 노출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단자 삽입홀(106c) 및 제2 단자 삽입홀(106d)의 직경은 각각 입력 단자부(131) 및 출력 단자부(133)의 직경보다 크게 마련될 수 있다. 그로 인해, 입력 단자부(131) 및 출력 단자부(133)는 제1 단자 삽입홀(106c) 및 제2 단자 삽입홀(106d)에 각각 삽입된 상태에서 제1 단자 삽입홀(106c) 및 제2 단자 삽입홀(106d)과 각각 이격될 수 있다.
기판(108)은 커버부(106)의 하부에 마련될 수 있다. 기판(108)에는 입력 단자부(131)와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제1 접속부(108a) 및 출력 단자부(133)와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제2 접속부(108b)가 각각 마련될 수 있다.
한편, 고주파 캐비티 필터(100)는 노치 필터부(12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노치 필터부(123)는 고주파 캐비티 필터(100)의 사용 주파수 대역에 인접한 주파수 대역을 제거하기 위해 마련될 수 있다. 즉, 노치 필터부(123)는 고주파 캐비티 필터(100)의 신호가 인접한 주파수 대역의 신호와 간섭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고주파 캐비티 필터(100)의 신호에서 고주파 캐비티 필터(100)의 사용 주파수 대역에 인접한 주파수 대역을 제거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노치 필터부(123)는 필터 몸체(102)의 내부에 장착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주파 캐비티 필터의 공진기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주파 캐비티 필터에서 튜닝부를 통한 공진기의 튜닝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의 (a)는 튜닝 전의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7의 (b)는 튜닝 후의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공진기(104)의 단부에는 튜닝부(119)가 마련될 수 있다. 튜닝부(119)는 공진기(104)의 단부에서 공진기(104)의 내벽과 이격되어 마련될 수 있다. 즉, 튜닝부(119)는 공진기(104)의 내경 보다 작은 직경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튜닝부(119)는 튜닝 연결부(141)를 통해 공진기(104)와 연결될 수 있다. 튜닝 연결부(141)는 복수 개가 상호 이격되어 마련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튜닝 연결부(141)는 120도 간격으로 마련되어 튜닝부(119)를 공진기(104)의 내벽과 연결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 경우, 튜닝부(119)는 3 지점에서 튜닝 연결부(141)를 통해 공진기(104)의 내벽과 연결되며, 그 이외의 부분에서 공진기(104)의 내벽과의 사이에 틈이 형성되게 된다.
여기서, 튜닝 나사(50)를 공진기 홀(117)을 통해 삽입한 후 튜닝부(119)를 누르게 되면, 튜닝부(119)가 금속의 인성으로 인해 아래로 늘어나게 된다. 그에 따라, 튜닝부(119)와 커버부(106) 간의 간격이 좁아지게 되어 공진기(104)의 커패시턴스 값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개시되는 실시예에 의하면, 튜닝부(119)가 각 공진기(104)의 단부에 마련됨에 따라, 공진기(104)의 개수와 튜닝부(119)의 개수가 동일하여 튜닝에 소요되는 시간을 줄일 수 있게 된다. 즉, 기존의 고주파 캐비티 필터는 공진기 개수의 약 2배에 해당하는 튜닝부가 존재하여 튜닝에 따른 시간이 많이 소요되나, 개시되는 실시예에서는 공진기의 개수와 튜닝부의 개수를 동일하게 하여 튜닝에 소요되는 시간을 줄일 수 있게 된다.
또한, 공진기(104)의 내부가 비어 있고 튜닝 나사(50)를 통해 튜닝부(119)를 눌러 튜닝을 하게 되므로, 스크래치 등 공진기(104)의 외관에 영향을 주지 않게 된다. 그리고, 공진기(104)와 튜닝부(119) 사이에 틈이 존재하여 습기로 인한 응결이 없어지게 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주파 캐비티 필터의 S 파라미터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 여기서는, 고주파 캐비티 필터(100)의 사용 주파수 대역이 3.6 ~ 3.7GHz인 것을 나타내었다.
도 8을 참조하면, 고주파 캐비티 필터(100)는 사용 주파수 대역인 3.6GHz 및 3.7GHz 대역과 인접한 대역에서 노치(Notch) 특성이 나타나는 것을 볼 수 있다. 이는 노치 필터부(123)에 의해 고주파 캐비티 필터(100)의 사용 주파수 대역 인근에서 노치 특성이 나타나도록 한 결과이다. 이를 통해, 고주파 캐비티 필터(100)는 인접한 주파수 대역의 신호와 간섭이 일어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주파 캐비티 필터의 불요파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고주파 캐비티 필터(100)는 중심 주파수(즉, 3.6GHz)의 4.8배 이상에서 불요파가 나타나는 것을 볼 수 있다. 즉, 일반적으로 불요파는 중심 주파수의 2배에서 발생하나, 개시되는 실시예에서는 주파수 조절부(121)로 인해 공진기(104)의 인덕턴스보다 커패시턴스가 커져 중심 주파수(즉, 3.6GHz)의 4.8배 이상에서 불요파가 나타나게 되며, 그로 인해 불요파 특성이 향상되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대표적인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한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0 : 고주파 캐비티 필터
102 : 필터 몸체
102a : 베이스 플레이트
102b : 제1 측면 플레이트
102c : 제2 측면 플레이트
102d : 전면 플레이트
102e : 배면 플레이트
104 : 공진기
104a : 주파수 조절 결합부
106 : 커버부
106a : 제1 결합홀
106b : 제2 결합홀
106c : 제1 단자 삽입홀
106c : 제2 단자 삽입홀
108 : 기판
108a : 제1 접속부
108b : 제2 접속부
111 : 테두리부
111a : 프레스 돌기
113 : 격벽
113a : 윈도우
115 : 결합 돌출부
117 : 공진기 홀
119 : 튜닝부
121 : 주파수 조절부
121a : 주파수 조절 본체
121a-1 : 삽입홀
121b : 끼임 결합부
123 : 노치 필터부
131 : 입력 단자부
133 : 출력 단자부
141 : 튜닝 연결부

Claims (12)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도전성 재질로 이루어지는 필터 몸체;
    상기 필터 몸체의 상부면을 관통하여 마련되는 공진기 홀;
    상기 공진기 홀의 테두리에서 하부로 돌출되어 마련되고, 내부가 비어 있으며 상기 공진기 홀을 통해 외부와 연통되어 마련되는 하나 이상의 공진기;
    도전성 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필터 몸체의 하부에서 상기 필터 몸체와 결합되며 상기 필터 몸체의 개방된 하부를 커버하며 마련되는 커버부;
    상기 필터 몸체 내부의 일측에서 하부로 돌출되어 마련되는 입력 단자부;
    상기 필터 몸체 내부의 타측에서 하부로 돌출되어 마련되는 출력 단자부;
    상기 커버부에 마련되고 상기 입력 단자부가 삽입되어 외부로 노출되는 제1 단자 삽입홀; 및
    상기 커버부에 마련되고 상기 출력 단자부가 삽입되어 외부로 노출되는 제2 단자 삽입홀을 포함하고,
    상기 입력 단자부 및 상기 출력 단자부는, 상기 필터 몸체의 하단보다 하부로 돌출되어 마련되고,
    상기 제1 단자 삽입홀 및 상기 제2 단자 삽입홀은, 각각 직경이 상기 입력 단자부 및 상기 출력 단자부의 직경보다 크게 마련되어 상기 입력 단자부 및 상기 출력 단자부와 각각 이격되는, 고주파 캐비티 필터.
  10. 삭제
  11.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고주파 캐비티 필터는,
    상기 커버부의 하부에 마련되고, 상기 입력 단자부와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제1 접속부 및 상기 출력 단자부와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제2 접속부를 포함하는 기판을 더 포함하는, 고주파 캐비티 필터.
  12. 청구항 9 및 청구항 11 중 어느 하나의 항에 기재된 고주파 캐비티 필터를 포함하는 통신 기기.
KR1020200030169A 2020-03-11 2020-03-11 고주파 캐비티 필터 및 이를 포함하는 통신 기기 KR1022113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0169A KR102211323B1 (ko) 2020-03-11 2020-03-11 고주파 캐비티 필터 및 이를 포함하는 통신 기기
PCT/KR2020/004712 WO2021182668A1 (ko) 2020-03-11 2020-04-08 고주파 캐비티 필터 및 이를 포함하는 통신 기기
KR1020210010752A KR20210114857A (ko) 2020-03-11 2021-01-26 고주파 캐비티 필터 및 이를 포함하는 통신 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0169A KR102211323B1 (ko) 2020-03-11 2020-03-11 고주파 캐비티 필터 및 이를 포함하는 통신 기기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10752A Division KR20210114857A (ko) 2020-03-11 2021-01-26 고주파 캐비티 필터 및 이를 포함하는 통신 기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11323B1 true KR102211323B1 (ko) 2021-02-03

Family

ID=74572218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30169A KR102211323B1 (ko) 2020-03-11 2020-03-11 고주파 캐비티 필터 및 이를 포함하는 통신 기기
KR1020210010752A KR20210114857A (ko) 2020-03-11 2021-01-26 고주파 캐비티 필터 및 이를 포함하는 통신 기기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10752A KR20210114857A (ko) 2020-03-11 2021-01-26 고주파 캐비티 필터 및 이를 포함하는 통신 기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2) KR102211323B1 (ko)
WO (1) WO2021182668A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219013A1 (en) * 2004-04-06 2005-10-06 Pavan Kumar Comb-line filter
KR20090036327A (ko) 2007-10-09 2009-04-14 주식회사 이롬테크 고주파 필터
CN101924262A (zh) * 2009-06-11 2010-12-22 深圳市大富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腔体滤波器
KR101386941B1 (ko) * 2012-10-10 2014-04-18 주식회사 이너트론 조립식 대역 저지 필터
KR101728152B1 (ko) * 2016-09-21 2017-04-19 (주)웨이브텍 캐비티형 무선 주파수 필터 및 그것의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518295A1 (en) * 2002-06-28 2005-03-30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Integrated filter construction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219013A1 (en) * 2004-04-06 2005-10-06 Pavan Kumar Comb-line filter
KR20090036327A (ko) 2007-10-09 2009-04-14 주식회사 이롬테크 고주파 필터
CN101924262A (zh) * 2009-06-11 2010-12-22 深圳市大富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腔体滤波器
KR101386941B1 (ko) * 2012-10-10 2014-04-18 주식회사 이너트론 조립식 대역 저지 필터
KR101728152B1 (ko) * 2016-09-21 2017-04-19 (주)웨이브텍 캐비티형 무선 주파수 필터 및 그것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182668A1 (ko) 2021-09-16
KR20210114857A (ko) 2021-09-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262639B1 (en) Bandpass filter with dielectric resonators
KR102074493B1 (ko) 고주파 필터 및 이를 포함하는 통신 기기
EP4084213A1 (en) Band-stop filter and radio frequency device
KR102194401B1 (ko) 고주파 캐비티 필터의 제조 방법 및 시스템
KR102211323B1 (ko) 고주파 캐비티 필터 및 이를 포함하는 통신 기기
KR102285497B1 (ko) 동축 고주파 필터 및 이를 구비하는 통신 기기
CN113497315B (zh) 一种滤波器及通信设备
CN113540721B (zh) 一种滤波器及通信设备
CN113497317B (zh) 一种滤波器及通信设备
CN212323176U (zh) 一种滤波器及通信设备
CN113497316B (zh) 一种滤波器及通信设备
CN113839161A (zh) 一种滤波器及通信设备
CN212323179U (zh) 一种滤波器及通信设备
CN212571291U (zh) 一种滤波器及通信设备
CN113675559A (zh) 一种滤波器及通信设备
CN212323178U (zh) 一种滤波器及通信设备
CN112787055B (zh) 腔体滤波器及通信射频器件
CN113131157A (zh) 一种滤波器及通信设备
CN113571854A (zh) 一种滤波器及通信设备
CN113675565A (zh) 一种滤波器及通信设备
CN113571855A (zh) 一种滤波器及通信设备
CN113540720A (zh) 一种滤波器及通信设备
CN113540719A (zh) 一种滤波器及通信设备
CN113131155A (zh) 一种滤波器及通信设备
CN113571853A (zh) 一种滤波器及通信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