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11234B1 - 무선 통신 기기용 안테나의 정재파비 측정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무선 통신 기기용 안테나의 정재파비 측정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11234B1
KR102211234B1 KR1020200066146A KR20200066146A KR102211234B1 KR 102211234 B1 KR102211234 B1 KR 102211234B1 KR 1020200066146 A KR1020200066146 A KR 1020200066146A KR 20200066146 A KR20200066146 A KR 20200066146A KR 102211234 B1 KR102211234 B1 KR 1022112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anding wave
wave ratio
measurement
jig
pneumat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661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명식
Original Assignee
(주)브로드텍인터내셔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브로드텍인터내셔널 filed Critical (주)브로드텍인터내셔널
Priority to KR10202000661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1123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112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112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7/00Monitoring; Testing
    • H04B17/10Monitoring; Testing of transmitters
    • H04B17/101Monitoring; Testing of transmitters for measurement of specific parameters of the transmitter or components thereof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27/00Arrangements for measuring resistance, reactance, impedance, or electric characteristics derived therefrom
    • G01R27/02Measuring real or complex resistance, reactance, impedance, or other two-pole characteristics derived therefrom, e.g. time constant
    • G01R27/04Measuring real or complex resistance, reactance, impedance, or other two-pole characteristics derived therefrom, e.g. time constant in circuits having distributed constants, e.g. having very long conductors or involving high frequencies
    • G01R27/06Measuring reflection coefficients; Measuring standing-wave ratio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7/00Monitoring; Testing
    • H04B17/10Monitoring; Testing of transmitters
    • H04B17/15Performance testing
    • H04B17/19Self-test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7/00Monitoring; Testing
    • H04B17/30Monitoring; Testing of propagation channels
    • H04B17/309Measuring or estimating channel quality parameters
    • H04B17/318Received signal strength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onitoring And Testing Of Transmission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무선 통신 기기용 안테나의 정재파비 측정 제어 장치는, 공압 실린더의 공압 흡입을 통해 지그 상부판을 포그(FORG) 핀이 구비된 지그 하부판으로 하강시켜 상기 포그 핀의 신호를 검출하는 안테나의 정재파비(VSWR) 측정 제어 장치로서, 스타트 스위치의 사용자 조작에 따라 측정 스타트 신호를 발생하는 입력부와, 발생된 상기 측정 스타트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공압 실린더로의 공압 흡입을 통해 상기 지그 상부판이 상기 지그 하부판으로 하강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공압 실린더의 공압 흡입 또는 공압 배기를 위해, 상기 제어부로부터의 제어에 따라 솔레노이드 밸브를 작동시키는 밸브 구동부와, 상기 포그 핀의 신호를 검출하여 정재파비 측정기로 전달하고, 상기 정재파비 측정기로부터 검출 신호에 기반한 정재파비 측정 결과를 수신하는 통신부와, 수신된 상기 정재파비 측정 결과에 따라 정재파비의 양품 또는 불량을 시각적으로 표출시키는 양부 표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정재파비 측정 결과가 상기 양품이면 상기 지그 상부판이 기 설정된 측정 준비 위치로 자동 상승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Description

무선 통신 기기용 안테나의 정재파비 측정 제어 장치 및 그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MEASURING VSWR OF ANTENNA IN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본 발명은 무선 통신 기기용 안테나의 성능 측정을 제어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휴대폰 등의 무선 단말에 내장되는 안테나의 정재파비(VSWR, voltage standing wave ratio)의 측정을 제어하는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알려진 바와 같이, 무선 통신 기기(예컨대, 휴대폰 등의 무선 단말)에 사용되어지는 내장형 안테나는 안테나의 정재파비(VSWR) 성능을 검사(측정)하는 것이 필요한데, 이를 위해 정재파비를 측정하기 위한 측정 장비가 사용되고 있다.
여기에서 정재파는 도파관이나 동축 케이블 또는 다른 전송 선로에서 발생하는 입사파와 반사파가 중첩되어 나타나는 파형을 의미할 수 있다.
그리고, 정재파비, 즉 VSWR은 정재파에서 최대 전압점의 전압 진폭과 인접하는 최소 전압점의 전압 진폭의 비율로서 산출될 수 있는데, 이러한 VSWR을 측정함으로써 안테나의 이상(양품 또는 불량) 유무를 판단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안테나 제품의 정재파비를 측정할 때 공압의 흡입 및 배기를 통해 공압 실린더를 동작시킴으로써 측정용 지그 상부판을 지그 하부판으로 하강시켜 안테나 제품을 누르는 방식으로 지그 하부판에 고정된 포그(FORG) 핀에서 신호를 검출하고, 이 검출된 신호를 정재파비 측정기로 전달하는 방식으로 안테나의 정재파비를 측정한다.
이때, 종래 방식에서는 공압 스위치에 대한 사용자 수동 조작을 통해 수동으로 공압의 흐름 방향(흡입 또는 배기)을 전환시키는 방식으로 지그 상부판을 지그 하부판으로 하강시키거나 혹은 지그 상부판을 측정 준비 위치로 상승시킨다.
예컨대, 종래 방식에 따르면, 안테나 제품을 지그 하부판의 목표 위치에 셋팅한 후 작업자가 공압 스위치를 수동 조작하여 공압 실린더에 공압을 흡입함으로써 지그 상부판을 지그 하부판 측으로 하강시키고, 정재파비의 측정이 완료되면 작업자가 공압 스위치를 다시 수동 조작하여 공압 실린더의 공압을 배기시킴으로써 지그 상부판을 측정 준비 위치로 상승시킨다.
따라서, 사용자의 수동 조작을 통해 발생하는 공압 실린더의 흡입 또는 배기를 통해 지그 상부판을 하강 또는 상승시키는 종래 방식은 생산성이 저하될 수밖에 없는 단점을 갖는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8-0119305호(공개일: 2018. 11. 02.)
본 발명은 마이크로프로세서를 이용하는 전자 제어 방식을 통해 지그 상부판을 하강 또는 상승시키는 동력을 전달하는 공압 실린더의 흡입 모드 또는 배기 모드를 자동으로 전환시킬 수 있는 무선 통신 기기용 안테나의 정재파비 측정 제어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상기에서 언급한 것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아래의 기재들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일 관점에 따라, 공압 실린더의 공압 흡입을 통해 지그 상부판을 포그(FORG) 핀이 구비된 지그 하부판으로 하강시켜 상기 포그 핀의 신호를 검출하는 안테나의 정재파비(VSWR) 측정 제어 장치로서, 스타트 스위치의 사용자 조작에 따라 측정 스타트 신호를 발생하는 입력부와, 발생된 상기 측정 스타트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공압 실린더로의 공압 흡입을 통해 상기 지그 상부판이 상기 지그 하부판으로 하강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공압 실린더의 공압 흡입 또는 공압 배기를 위해, 상기 제어부로부터의 제어에 따라 솔레노이드 밸브를 작동시키는 밸브 구동부와, 상기 포그 핀의 신호를 검출하여 정재파비 측정기로 전달하고, 상기 정재파비 측정기로부터 검출 신호에 기반한 정재파비 측정 결과를 수신하는 통신부와, 수신된 상기 정재파비 측정 결과에 따라 정재파비의 양품 또는 불량을 시각적으로 표출시키는 양부 표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정재파비 측정 결과가 상기 양품이면 상기 지그 상부판이 기 설정된 측정 준비 위치로 자동 상승되도록 제어하는 무선 통신 기기용 안테나의 정재파비 측정 제어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측정 스타트 신호는, 상기 정재파비의 측정 에러를 줄이기 위해, 기 설정된 소정 지연 시간이 경과한 후에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는, DC 구동 솔레노이드 밸브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정재파비 측정 결과가 양품일 때, 기 설정된 소정 지연 시간이 경과한 후에 상기 지그 상부판이 상기 기 설정된 측정 준비 위치로 자동 상승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정재파비 측정 결과의 불량으로 인해 상기 지그 상부판이 하강 상태로 유지될 때, 상기 지그 상부판을 상기 기 설정된 측정 준비 위치로 강제 상승시키기 위한 사용자 조작 기반의 리셋 스위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제어부는, 상기 리셋 스위치가 조작되면, 기 설정된 소정 지연 시간이 경과한 후에 상기 지그 상부판이 상기 기 설정된 측정 준비 위치로 강제 상승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다른 관점에 따라, 공압 실린더의 공압 흡입을 통해 지그 상부판을 포그(FORG) 핀이 구비된 지그 하부판으로 하강시켜 상기 포그 핀의 신호를 검출하는 안테나의 정재파비(VSWR) 측정 제어 방법으로서, 스타트 스위치의 사용자 조작에 의거하여 측정 스타트 신호를 발생하면, 상기 공압 실린더로의 공압 흡입을 위해 솔레노이드 밸브를 작동시켜 상기 지그 상부판을 상기 지그 하부판으로 하강시키는 단계와, 상기 포그 핀의 신호를 검출하여 정재파비 측정기로 전달하는 단계와, 상기 정재파비 측정기로부터 검출 신호에 기반한 정재파비 측정 결과를 수신하는 단계와, 수신된 상기 정재파비 측정 결과에 따라 정재파비의 양품 또는 불량을 시각적으로 표출시킴과 더불어 상기 양품일 때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를 작동시켜 상기 지그 상부판을 기 설정된 측정 준비 위치로 자동 상승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기기용 안테나의 정재파비 측정 제어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하강시키는 단계는, 상기 정재파비의 측정 에러를 줄이기 위해, 기 설정된 소정 지연 시간이 경과한 후에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를 작동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자동 상승시키는 단계는, 상기 정재파비 측정 결과가 양품일 때, 기 설정된 소정 지연 시간이 경과한 후에 상기 지그 상부판이 상기 기 설정된 측정 준비 위치로 자동 상승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정재파비 측정 결과의 불량으로 인해 상기 지그 상부판이 하강 상태로 유지된 상태에서 사용자 조작 기반의 리셋 신호가 인가되면, 상기 지그 상부판을 상기 기 설정된 측정 준비 위치로 강제 상승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강제 상승시키는 단계는, 사용자 리셋 조작이 발생하면, 기 설정된 소정 지연 시간이 경과한 후에 상기 리셋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마이크로프로세서를 이용하는 전자 제어 방식을 통해 지그 상부판을 하강 또는 상승시키는 동력을 전달하는 공압 실린더의 흡입 모드 또는 배기 모드를 자동으로 전환시킴으로써, 안테나 제품의 정재파비를 측정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대폭적으로 절감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안테나 제품의 VSWR 성능 검사를 위한 생산성을 효과적으로 증진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재파비 측정 제어 장치가 적용되는 정재파비 측정 제어 시스템에 대한 예시 사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기기용 안테나의 정재파비 측정 제어 장치에 대한 블록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전자식 제어 방식으로 무선 통신 기기용 안테나의 정재파비 측정을 제어하는 주요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먼저, 본 발명의 장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지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여기에서,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의 범주를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시적으로 제공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청구항들에 의해 정의되어야 할 것이다.
아울러, 아래의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 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인 것으로, 이는 사용자, 운용자 등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발명의 설명 전반에 걸쳐 기술되는 기술사상을 토대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재파비 측정 제어 장치가 적용되는 정재파비 측정 제어 시스템에 대한 예시 사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정재파비 측정 제어 시스템은, 크게 구분해 볼 때, 측정 제어기(110), 측정 보조기(120) 및 정재파비 측정기(13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먼저, 측정 제어기(110)는, 예컨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재파비 측정 제어 장치 등이 내장될 수 있는 것으로, 외부 상단 위치에 스타트 스위치(112), 양품(PASS) 램프(114), 불량(NG) 램프(116), 리셋 스위치(118) 등이 구비될 수 있는데, 이러한 측정 제어기(110)는 솔레노이드 밸브(119) 및 다수의 케이블 등을 통해 측정 보조기(120) 및 정재파비 측정기(130) 등에 전기적(물리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스타트 스위치(112)는, 예컨대 측정 보조기(120)의 목표 위치에 탑재된 안테나의 정재파비 측정을 개시하기 위한 측정 스타트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한 사용자 조작 스위치이다.
양품(PASS) 램프(114)는 정재파비 측정기(130)를 통해 측정한 안테나의 정재파비 측정 결과가 양품일 때, 예컨대 녹색 광을 시각적으로 표출(디스플레이)시키기 위한 램프로서 기능할 수 있고, 불량(NG) 램프(116)는 정재파비 측정기(130)를 통해 측정한 안테나의 정재파비 측정 결과가 불량일 때, 예컨대 적색 광을 시각적으로 표출(디스플레이)시키기 위한 램프로서 기능할 수 있다. 여기에서, 양품 램프(114)와 불량 램프(116)는, 일례로서 도 2에 도시된 양부 표출부(210)로 통칭될 수 있다.
리셋 스위치(118)는 정재파비 측정 결과의 불량으로 인해 측정 보조기(120)의 지그 상부판(122)이 하강 상태로 유지될 때, 지그 상부판(122)을 기 설정된 측정 준비 위치로 강제 상승시키기 위한 사용자 조작 스위치이다.
솔레노이드 밸브(119)는 케이블을 통해 측정 보조기(120)의 공압 실린더(121)에 물리적으로 연결됨으로써, 공압 실린더(121)에서 공압 흡입 또는 공압 배기가 수행되도록 기능할 수 있다. 여기에서, 솔레노이드 밸브(119)는, 예컨대 DC 구동 솔레노이드 밸브일 수 있다.
그리고, 측정 보조기(120)는 공압 실린더(121), 지그 상부판(122), 포그(FORG) 핀(124)이 구비된 지그 하부판(123) 등을 포함하는 구조물로 제작될 수 있는데, 여기에서 참조번호 125는 측정 대상 기기, 즉 무선 통신 기기용 안테나 제품을 의미한다.
먼저, 스타트 스위치(112)의 사용자 조작에 따라 측정 스타트 신호가 발생함으로써 솔레노이드 밸브(119)가 작동되어 공압 흡입 모드가 수행되면, 측정 보조기(120)의 지그 상부판(122)이 지그 하부판(123)으로 하강하게 됨으로써, 포그 핀(124)의 신호가 검출되어 정재파비 측정기(130)로 전달된다.
따라서, 정재파비 측정기(130)에서는 포그 핀의 검출신호에 의거하여 측정 대상 기기인 무선 통신 기기(예컨대, 휴대폰 등)용 안테나의 정재파비를 측정할 수 있는데, 여기에서의 정재파비 측정 결과는 측정 제어기(110)의 내부에 장착된 도 2의 통신부(208)를 통해 제어부(204)로 전달될 수 있다.
이때, 정재파비 측정기(130)는 정재파비의 측정 결과가 양품일 때, 표시 패널(132)을 통해 "PASS"라는 메시지(양품 메시지)를 시각적으로 표출할 수 있고, 정재파비의 측정 결과가 불량일 때, 표시 패널(132)을 통해 "FAIL"이라는 메시지(불량 메시지)를 시각적으로 표출할 수 있다. 여기에서, 표시 패널(132)은, 예컨대 측정기용 양부 표출부로 정의될 수 있다.
그리고, 정재파비 측정 결과가 양품일 때 자동 발생(전환)하는 공압 배기 모드에 따라 솔레노이드 밸브(119)가 작동되어 공압 배기 모드가 수행되면, 측정 보조기(120)의 지그 상부판(122)은 기 설정된 측정 준비 위치로 자동 상승되도록 제어된다.
또한, 정재파비 측정 결과가 불량일 때 리셋 스위치(118)의 사용자 리셋 조작에 의해 발생(전환)하는 공압 배기 모드에 따라 솔레노이드 밸브(119)가 작동되어 공압 배기 모드가 수행되면, 측정 보조기(120)의 지그 상부판(122)은 기 설정된 측정 준비 위치로 강제 상승되도록 제어된다.
즉, 정재파비 측정 결과가 불량이면, 공압 흡입 모드가 공압 배기 모드로 자동 전환되지 않기 때문에 사용자는 리셋 스위치(118)를 조작하여 공압 흡입 모드를 공압 배기 모드로 강제 전환시키게 되며, 이를 통해 지그 상부판(122)을 기 설정된 측정 준비 위치로 강제 상승시킬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기기용 안테나의 정재파비 측정 제어 장치에 대한 블록 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정재파비 측정 제어 장치는 도 1의 측정 제어기(110)의 내부에 장착(탑재)될 수 있는 것으로, 입력부(202), 제어부(204), 밸브 구동부(206), 통신부(208), 양부 표출부(210) 및 리셋 스위치(212)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먼저, 입력부(202)는 사용자가 도 1의 스타트 스위치(112)를 조작하면, 사용자 조작에 상응하는 측정 스타트 신호를 발생시켜 제어부(204)로 전달하는 등의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여기에서, 측정 스타트 신호는, 정재파비의 측정 에러를 줄일 수 있도록, 기 설정된 소정 지연 시간(예컨대, 50mS, 100mS 등)이 경과한 후에 발생되도록 제어될 수 있다.
다음에, 제어부(204)는, 예컨대 정재파비 측정 제어 장치를 통해 실행될 수 있는 전반적인 동작 제어를 수행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 등을 의미할 수 있는 것으로, 입력부(202)로부터 제공되는 측정 스타트 신호에 응답하여, 공압 실린더(121)로의 공압 흡입이 실행되도록 공압 흡입 모드를 자동 수행할 수 있는데, 이러한 공압 흡입 모드가 수행되면 제어부(204)로부터의 제어에 따라 밸브 구동부(206)가 구동됨으로써, 솔레노이드 밸브(119)가 작동되며, 그에 따라 공압 실린더(121)의 기 설정된 측정 준비 위치에 셋팅되어 있던 지그 상부판(122)이 지그 하부판(123)으로 하강된다.
그 결과, 지그 하부판(123)에 구비된 포그 핀(124)의 신호가 검출되어 정재파비 측정기(130)로 전달됨으로써, 정재파비 측정기(130)에서는 포그 핀의 검출신호에 의거하여 측정 대상 기기인 무선 통신 기기(예컨대, 휴대폰 등)용 안테나의 정재파비를 측정할 수 있다. 여기에서 발생되는 정재파비 측정 결과는 통신부(208)를 통해 제어부(204)로 전달된다.
그리고, 정재파비 측정기(130)에서는 정재파비의 측정 결과가 양품일 때, 표시 패널(132)을 통해 "PASS"라는 메시지(양품 메시지)를 시각적으로 표출할 수 있고, 정재파비의 측정 결과가 불량일 때, 표시 패널(132)을 통해 "FAIL"이라는 메시지(불량 메시지)를 시각적으로 표출할 수 있다.
다음에, 제어부(204)는 통신부(208)를 통해 전달되는 정재파비 측정 결과에 대한 양부, 즉 측정 결과가 양품인지 혹은 불량인지의 여부를 체크할 수 있는데, 체크 결과 양품인 것으로 판단되면, 측정 보조기(120) 내의 공압 실린더(121)가 공압 흡입 모드에서 공압 배기 모드로 자동 전환되도록 하기 위한 공압 제어신호를 발생하여 밸브 구동부(206)로 전달함과 더불어 측정 대상의 안테나 제품이 양품임을 시각적으로 표출하기 위한 표출 제어신호를 발생하여 양부 표출부(210)로 전달하는 등의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여기에서, 공압 제어신호는 기 설정된 소정 지연 시간(예컨대, 50mS, 100mS 등)이 경과한 후에 발생되도록 설계될 수 있다.
이에 응답하여, 밸브 구동부(206)는 제어부(204)로부터의 구동 제어에 따라 솔레노이드 밸브(119)를 작동시킴으로써, 공압 실린더(121)의 공압을 배기시키며, 그 결과 지그 상부판(122)은 기 설정된 측정 위치로 자동 상승된다.
그리고, 양부 표출부(210)는, 예컨대 도 1의 양품 램프(114)와 불량 램프(116) 등을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양품 램프(114)에서의 녹색 광 점등을 통해 측정 대상의 안테나 제품이 양품임을 시각적으로 표출한다.
또한, 제어부(204)는 측정 결과가 불량인 것으로 판단되면, 측정 대상의 안테나 제품이 불량임을 시각적으로 표출하기 위한 표출 제어신호를 발생하여 양부 표출부(210)로 전달하는 등의 기능을 제공할 수 있으며, 그 결과 양부 표출부(210)는 불량 램프(116)에서의 적색 광 점등을 통해 측정 대상의 안테나 제품이 불량임을 시각적으로 표출한다.
따라서, 사용자(작업자)는 도 1의 리셋 스위치(118)의 온 조작하여 공압 흡입 모드를 공압 배기 모드로 강제 전환시킬 수 있는데, 사용자 리셋 조작이 입력되면, 제어부(204)는 측정 보조기(120) 내의 공압 실린더(121)가 공압 흡입 모드에서 공압 배기 모드로 강제 전환되도록 하기 위한 공압 제어신호를 발생하여 밸브 구동부(206)로 전달할 수 있다.
도 2에 있어서, 리셋 스위치(212)는, 도 1의 리셋 스위치(118)에 실질적으로 대응되는 동일 구성부재를 의미할 수 있는 것으로, 정재파비 측정 결과의 불량으로 인해 측정 보조기(120)의 지그 상부판(122)이 하강 상태로 유지될 때, 측정 보조기(120)의 지그 상부판(122)을 기 설정된 측정 준비 위치로 강제 상승시키기 위한 사용자 리셋 조작신호를 발생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 리셋 조작에 따라 발생하는 공압 제어신호는 리셋 조작이 입력되고 기 설정된 소정 지연 시간(예컨대, 50mS, 100mS 등)이 경과한 후에 발생되도록 설계될 수 있다.
또한, 밸브 구동부(206)는 제어부(204)로부터의 구동 제어에 따라 솔레노이드 밸브(119)를 작동시킴으로써, 공압 실린더(121)의 공압을 강제 배기시키며, 그 결과 지그 상부판(122)은 기 설정된 측정 위치로 강제 상승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전자식 제어 방식으로 무선 통신 기기용 안테나의 정재파비 측정을 제어하는 주요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사용자가 스타트 스위치(112)를 조작하면, 입력부(202)에서는 사용자 조작에 상응하는 측정 스타트 신호를 발생시켜 제어부(204)로 전달하는데(단계 302), 여기에서, 측정 스타트 신호는, 정재파비의 측정 에러를 줄일 수 있도록, 기 설정된 소정 지연 시간(예컨대, 50mS, 100mS 등)이 경과한 후에 발생될 수 있다(단계 304).
그리고, 제어부(204)에서는 측정 스타트 신호에 응답하여, 공압 실린더(121)로의 공압 흡입이 실행되도록 공압 흡입 모드를 자동 수행한다(단계 306).
예컨대, 제어부(204)의 공압 흡입 모드 수행에 따라 밸브 구동부(206)가 구동됨으로써, 솔레노이드 밸브(119)가 작동되며, 그에 따라 공압 실린더(121)의 기 설정된 측정 준비 위치에 셋팅되어 있던 지그 상부판(122)이 지그 하부판(123)으로 하강된다.
이후, 지그 하부판(123)에 구비된 포그 핀(124)의 신호가 검출되어 정재파비 측정기(130)로 전달되며, 정재파비 측정기(130)에서는 포그 핀의 검출신호에 의거하여 측정 대상 기기인 무선 통신 기기(예컨대, 휴대폰 등)용 안테나의 정재파비(VSWR)를 측정한다(단계 308).
그리고, 이러한 정재파비 측정 결과는 통신부(208)를 통해 제어부(204)로 전달, 즉 정재파비 측정 결과가 측정 제어기(110) 내의 제어부(204)로 수신된다(단계 310).
이때, 정재파비 측정기(130)에서는 정재파비의 측정 결과가 양품일 때, 표시 패널(132)을 통해 "PASS"라는 메시지를 시각적으로 표출하고, 정재파비의 측정 결과가 불량일 때, 표시 패널(132)을 통해 "FAIL"이라는 메시지를 시각적으로 표출한다.
다시, 제어부(204)에서는 통신부(208)를 통해 전달되는 정재파비 측정 결과에 대한 양부, 즉 측정 결과가 양품인지 혹은 불량인지의 여부를 체크한다(단계 312).
상기 단계(312)에서의 체크 결과, 안테나 제품의 정재파비 측정 결과가 양품인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204)에서는 소정의 지연 시간을 가진 후에(단계 314), 현재의 공압 흡입 모드를 공압 배기 모드로 자동 전환시키며(단계 316), 그에 따라 밸브 구동부(206)가 솔레노이드 밸브(119)를 작동시켜 공압 실린더(121)의 공압이 배기됨으로써, 지그 상부판(122)은 기 설정된 측정 위치로 자동 상승(자동 복귀)된다(단계 324).
이와 동시에, 양부 표출부(210)에서는 제어부(204)로부터의 표출 제어에 따라 측정 대상의 안테나 제품에 대한 정재파비 측정 결과가 양품임을 나타내는 녹색 광을 소정 시간 동안 점등시킨다.
한편, 상기 단계(312)에서의 체크 결과, 안테나 제품의 정재파비 측정 결과가 불량인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204)로부터의 표출 제어에 따라, 양부 표출부(210)에서는 측정 대상의 안테나 제품에 대한 정재파비 측정 결과가 불량임을 나타내는 적색 광을 소정 시간 동안 점등시킨다.
따라서, 작업자는 리셋 스위치(118)의 온 조작하여 공압 흡입 모드를 공압 배기 모드로 강제 전환시킬 수 있는데, 사용자 리셋 조작이 입력되면(단계 318), 제어부(204)에서는 소정의 지연 시간을 가진 후에(단계 320), 현재의 공압 흡입 모드를 공압 배기 모드로 강제 전환(배기 모드의 수동 수행)시킨다(단계 322).
그 결과, 밸브 구동부(206)가 솔레노이드 밸브(119)를 작동시켜 공압 실린더(121)의 공압을 강제 배기시킴으로써, 지그 상부판(122)은 기 설정된 측정 위치로 강제 상승(수동 복귀)된다(단계 324).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 등이 가능함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즉,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후술되는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10 : 측정 제어기
112 : 스타트 스위치
114 : 양품 램프
116 : 불량 램프
118 : 리셋 스위치
119 : 솔레노이드 밸브
120 : 측정 보조기
121 : 공압 실린더
122 : 지그 상부판
123 : 지그 하부판
124 : 포그 핀
130 : 정재파비 측정기
132 : 표지 패널
202 : 입력부
204 : 제어부
206 : 밸브 구동부
208 : 통신부
210 : 양부 표출부
212 : 리셋 스위치

Claims (6)

  1. 공압 실린더(121)의 공압 흡입을 통해 지그 상부판(122)을 포그(FORG) 핀(124)이 구비된 지그 하부판(123)으로 하강시켜 상기 포그 핀(124)의 신호를 검출하는 안테나의 정재파비(VSWR) 측정 제어 장치로서, 스타트 스위치(112)의 사용자 조작에 따라 측정 스타트 신호를 발생하는 입력부(202)와, 발생된 상기 측정 스타트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공압 실린더(121)로의 공압 흡입을 통해 상기 지그 상부판(122)이 상기 지그 하부판(123)으로 하강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204)와, 상기 공압 실린더(121)의 공압 흡입 또는 공압 배기를 위해, 상기 제어부(204)로부터의 제어에 따라 솔레노이드 밸브(119)를 작동시키는 밸브 구동부(206)와, 상기 포그 핀(124)의 신호를 검출하여 정재파비 측정기(130)로 전달하고, 상기 정재파비 측정기(130)로부터 검출 신호에 기반한 정재파비 측정 결과를 수신하는 통신부(208)와, 수신된 상기 정재파비 측정 결과에 따라 정재파비의 양품 또는 불량을 시각적으로 표출시키는 양부 표출부(210)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204)는, 상기 정재파비 측정 결과가 상기 양품이면 상기 지그 상부판(122)이 기 설정된 측정 준비 위치로 자동 상승되도록 제어하는 무선 통신 기기용 안테나의 정재파비 측정 제어 장치를 이용하여, 공압 실린더(121)의 공압 흡입을 통해 지그 상부판(122)을 포그(FORG) 핀이 구비된 지그 하부판(123)으로 하강시켜 상기 포그 핀(124)의 신호를 검출하는 안테나의 정재파비(VSWR) 측정 제어 방법으로서,
    스타트 스위치(112)의 사용자 조작에 의거하여 측정 스타트 신호를 발생하면, 상기 공압 실린더(121)로의 공압 흡입을 위해 솔레노이드 밸브(119)를 작동시켜 상기 지그 상부판(122)을 상기 지그 하부판(123)으로 하강시키는 단계와,
    상기 포그 핀(124)의 신호를 검출하여 정재파비 측정기(130)로 전달하는 단계와,
    상기 정재파비 측정기(130)로부터 검출 신호에 기반한 정재파비 측정 결과를 수신하는 단계와,
    수신된 상기 정재파비 측정 결과에 따라 정재파비의 양품 또는 불량을 시각적으로 표출시킴과 더불어 상기 양품일 때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119)를 작동시켜 상기 지그 상부판(122)을 기 설정된 측정 준비 위치로 자동 상승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자동 상승시키는 단계는, 상기 정재파비 측정 결과가 양품일 때, 기 설정된 소정 지연 시간이 경과한 후에 상기 지그 상부판(122)이 상기 기 설정된 측정 준비 위치로 자동 상승되도록 제어하며,
    상기 정재파비 측정 결과의 불량으로 인해 상기 지그 상부판(122)이 하강 상태로 유지된 상태에서 사용자 조작 기반의 리셋 신호가 인가되면, 상기 지그 상부판(122)을 상기 기 설정된 측정 준비 위치로 강제 상승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정재파비 측정 결과의 불량으로 판단되면, 양부 표출부(210)에서는 측정 대상의 안테나 제품에 대한 정재파비 측정 결과가 불량임을 나타내는 적색 광을 점등시키는 무선 통신 기기용 안테나의 정재파비 측정 제어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강시키는 단계는, 상기 정재파비의 측정 에러를 줄이기 위해, 기 설정된 소정 지연 시간이 경과한 후에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119)를 작동시키는 무선 통신 기기용 안테나의 정재파비 측정 제어 방법.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1020200066146A 2020-06-02 2020-06-02 무선 통신 기기용 안테나의 정재파비 측정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KR1022112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6146A KR102211234B1 (ko) 2020-06-02 2020-06-02 무선 통신 기기용 안테나의 정재파비 측정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6146A KR102211234B1 (ko) 2020-06-02 2020-06-02 무선 통신 기기용 안테나의 정재파비 측정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11234B1 true KR102211234B1 (ko) 2021-02-03

Family

ID=745725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66146A KR102211234B1 (ko) 2020-06-02 2020-06-02 무선 통신 기기용 안테나의 정재파비 측정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11234B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21096U (ko) * 1993-02-10 1994-09-24 자동초음파 검사장치의 탐촉자 보호장치
KR0183610B1 (ko) * 1995-06-29 1999-04-15 배순훈 다중검사가 용이한 인쇄회로기판 자동검사 조정장치의 제어시스템
KR20010060303A (ko) * 1999-12-06 2001-07-06 윤종용 램버스 핸들러
JP2002022810A (ja) * 2000-07-10 2002-01-23 Advantest Corp 半導体試験装置
KR20040028165A (ko) * 2002-09-30 2004-04-03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안테나 매칭 선택 장치
KR20050058229A (ko) * 2003-12-11 2005-06-16 소니 인터내셔널(유로파) 게엠베하 초광대역 어플리케이션용 3차원 전방향성 안테나 설계
KR20150069809A (ko) * 2013-12-16 2015-06-24 자누스씨앤아이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용 안테나의 무선특성 검사장치
KR20180119305A (ko) 2017-04-25 2018-11-02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안테나의 정재파비 측정을 위한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21096U (ko) * 1993-02-10 1994-09-24 자동초음파 검사장치의 탐촉자 보호장치
KR0183610B1 (ko) * 1995-06-29 1999-04-15 배순훈 다중검사가 용이한 인쇄회로기판 자동검사 조정장치의 제어시스템
KR20010060303A (ko) * 1999-12-06 2001-07-06 윤종용 램버스 핸들러
JP2002022810A (ja) * 2000-07-10 2002-01-23 Advantest Corp 半導体試験装置
KR20040028165A (ko) * 2002-09-30 2004-04-03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안테나 매칭 선택 장치
KR20050058229A (ko) * 2003-12-11 2005-06-16 소니 인터내셔널(유로파) 게엠베하 초광대역 어플리케이션용 3차원 전방향성 안테나 설계
KR20150069809A (ko) * 2013-12-16 2015-06-24 자누스씨앤아이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용 안테나의 무선특성 검사장치
KR20180119305A (ko) 2017-04-25 2018-11-02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안테나의 정재파비 측정을 위한 장치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571936B (zh) 智能电表与表外断路器自动关联配对方法
EP2704254A1 (en) Dual-feedpoint antenna system and method for feedpoint switchover of dual-feedpoint antenna system
CN105577225A (zh) 一种通讯设备的功率切换装置及其方法
KR102027806B1 (ko) 하네스 케이블 검사장치
KR102211234B1 (ko) 무선 통신 기기용 안테나의 정재파비 측정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CN103618897B (zh) 一种电视一体机机芯主板测试设备
WO2015139410A1 (zh) 近场通信系统和终端
CN105101318B (zh) 无线通信抗干扰方法及无线通信模块
KR101832836B1 (ko) 휴대용 단말기에서 유전체 접근을 파악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CN201674474U (zh) 高频开关控制器
CN106898507B (zh) 开关触发设备
CN204330239U (zh) 绝缘手套密封性检测装置
CN109557441A (zh) 可精确定位的局部放电检测装置
JP2021032647A (ja) 負荷試験装置
JP2010074664A (ja) 無線通信装置および無線通信方法
KR101731391B1 (ko) 이어폰 기능 검사장치 및 검사방법
CN211577297U (zh) 一种测试校准仪器
CN209417218U (zh) 可精确定位的局部放电检测装置
CN203909158U (zh) 自动校验装置
CN207410112U (zh) 中、高压成套设备的语音提示操作系统
CN107645416B (zh) 一种网络配置方法和电子设备
WO2013113234A1 (zh) 手机及其功率调整方法
KR100680207B1 (ko)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
CN210141876U (zh) 一种自动化校准光学传感器的装置
CN104198903A (zh) 一种磁保持继电器耐压测试工装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