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11194B1 - Apparatus for separating foreign substances in construction waste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separating foreign substances in construction wast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11194B1
KR102211194B1 KR1020200089044A KR20200089044A KR102211194B1 KR 102211194 B1 KR102211194 B1 KR 102211194B1 KR 1020200089044 A KR1020200089044 A KR 1020200089044A KR 20200089044 A KR20200089044 A KR 20200089044A KR 102211194 B1 KR102211194 B1 KR 1022111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in
scraper
construction waste
shafts
foreign substanc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89044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정일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파워리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파워리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파워리텍
Priority to KR10202000890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11194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111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1119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23/00Auxiliary methods or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crushing or disintegrating not provided for in preceding groups or not specially adapted to apparatus covered by a single preceding group
    • B08B1/005
    • B08B1/02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1/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 B08B1/1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leaning tool
    • B08B1/16Rigid blades, e.g. scrapers; Flexible blades, e.g. wipers
    • B08B1/165Scra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1/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 B08B1/20Cleaning of moving articles, e.g. of moving webs or of objects on a convey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2201/00Codes relating to disintegrating devices adapted for specific materials
    • B02C2201/02Codes relating to disintegrating devices adapted for specific materials for reinforced concret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Disintegrating Or Milling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oreign object removal device in construction waste, comprising: a frame installed on an upper part of a crusher; first and second shafts rotatably installed at first and second positions of the frame, respectively; a rotation actuator for rotationally driving at least one of the first and second shafts; a sprocket installed on the first and second shafts, respectively, and rotated depending on the rotation of the first and second shafts; a chain installed to surround the outer periphery of the sprockets of the first and second shafts; and a plurality of scrapers installed at regular intervals on the chain to form a space through which construction waste passes, and scraping and removing foreign objects in the construction waste by moving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positions. Accordingly, the foreign objects can be effectively removed.

Description

건설 폐기물 내 이물질 제거 장치 {Apparatus for separating foreign substances in construction waste}Device for removing foreign substances in construction waste {Apparatus for separating foreign substances in construction waste}

본 발명은 건설 폐기물 내의 철근, 철사, 비닐, 천조각 등의 이물질을 제거하여 파쇄기로 투입하기 위한 건설 폐기물 내 이물질 제거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for removing foreign substances in construction waste for removing foreign substances such as reinforcing bars, wires, vinyl, and cloth in construction waste and putting them into a crusher.

최근, 자원 재활용에 대한 관심 증가, 환경 오염에 대한 심각성 인식에 따라, 건설 폐기물에서 발생되는 폐콘크리트 및 석재 등을 파쇄하여 레미콘, 아스팔트용 모래 등으로 생산하기 위한 리사이클링 기술에 대한 요구가 증대되고 있다. In recent years, as interest in resource recycling and awareness of the seriousness of environmental pollution, there is an increasing demand for recycling technology to crush waste concrete and stone generated from construction waste to produce ready-mixed concrete and sand for asphalt. .

건설 폐기물의 재활용을 위한 처리 공정을 대략적으로 살펴보면, 수집된 건설폐기물 중의 폐콘크리트 덩어리들을 1차 죠 크러셔를 통해 100mm 이하로 파쇄한 다음, 2차 더블 죠 크러셔를 통해 50mm 이하로 파쇄시킨 후, 50mm 이하로 파쇄된 폐골재들을 다시 3차 콘 크러셔를 통해 20mm 이하로 파쇄하여 최종적으로 샌드 밀을 통해 10mm 이하로 파쇄키는 과정으로 이루어지며, 각 과정에서 스크린 선별을 통해 필요한 입경의 골재로 재생하게 된다A rough look at the treatment process for recycling of construction wastes is that the waste concrete lumps in the collected construction waste are crushed to less than 100 mm through a primary jaw crusher, and then crushed to less than 50 mm through a secondary double jaw crusher, and then 50 mm The waste aggregates crushed below are crushed to 20 mm or less through a third cone crusher, and finally crushed to 10 mm or less through a sand mill. In each process, it is regenerated as an aggregate of the required particle size through screen selection. do

건설 폐기물 내에는 철근, 철사, 비닐, 천조각 등 다양한 종류의 이물질이 포함되어 있는데, 위와 같은 폐콘크리트의 처리 과정에서 이와 같은 이물질들은 죠 크러셔나 콘 크러셔와 같은 파쇄기에 의해 쉽게 파쇄되지 않아 파쇄기에 끼어서 잘 배출되지 않는 등 원활한 처리 과정의 저해 요인으로 작용하여 이러한 이물질들의 제거가 필요하다. 또한, 고품질의 재생 골재를 생산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이와 같은 이물질들을 선별하여 제거해 주어야 하는데, 이러한 이물질들을 제거하기 위해 복잡한 과정이나 장비가 필요한 문제가 있다.Construction waste contains various kinds of foreign substances such as rebar, wire, vinyl, cloth, etc. In the process of treating waste concrete as described above, such foreign substances are not easily crushed by crushers such as jaw crusher or cone crusher. It is necessary to remove these foreign substances as it acts as a factor that hinders the smooth treatment process, such as being trapped and not easily discharged. In addition, in order to produce high-quality recycled aggregate, such foreign substances must be selected and removed, but there is a problem that a complicated process or equipment is required to remove such foreign substances.

예를 들어, 철근이나 철사를 제거하기 위한 자력 선별기와 비닐이나 천조각 등을 제거하기 위한 풍력 선별기 등이 사용될 수 있는데, 다양한 종류의 이물질을 선별하기 위해서는 장치의 구성이나 선별 공정이 복잡해지는 단점이 있다. 아울러 이러한 이물질들은 폐콘크리트 덩어리와 일체화된 상태이기 때문에 자력이나 풍력의 세기가 폐콘크리트 덩어리의 무게를 감당할 정도로 그 세기가 충분치 않은 경우 선별이 불가능한 문제가 있다.For example, a magnetic separator for removing reinforcing bars or wires and a wind separator for removing vinyl or cloth may be used.However, in order to sort out various kinds of foreign substances, the configuration of the device and the sorting process are complicated. have. In addition, since these foreign substances are integrated with the waste concrete mass,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impossible to select if the strength of magnetic force or wind power is insufficient enough to cover the weight of the waste concrete mass.

등록특허공보 제10-0582847호 (2005.05.17)Registered Patent Publication No. 10-0582847 (2005.05.17)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간단한 구조 및 방식을 통해 건설 폐기물 내의 철근, 철사, 비닐, 천조각 등의 이물질을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건설 폐기물 내 이물질 제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to provide an apparatus for removing foreign substances in construction waste that can efficiently remove foreign substances such as reinforcement, wire, vinyl, and cloth in construction waste through a simple structure and method. Make it a technical task.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technical problems to be achieved by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technical problems mentioned above, and other technical problems that are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I will be able to.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파쇄기의 상부에 설치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제1 및 제2 위치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 및 제2 샤프트와; 상기 제1 및 제2 샤프트 중 적어도 하나를 회전 구동시키는 회전 구동기와; 상기 제1 및 제2 샤프트에 각각 설치되며, 상기 제1 및 제2 샤프트의 회전에 따라 회전 동작하는 스프로켓과; 상기 제1 및 제2 샤프트의 스프로켓의 외곽을 둘러싸도록 설치되는 체인과; 건설 폐기물이 통과하는 공간을 형성하도록 상기 체인 상에 일정 간격을 두고 복수로 설치되며, 상기 제1 및 제2 위치의 사이를 이동함에 따라 상기 건설 폐기물 내 이물질을 스크레이핑하여 제거하는 스크레이퍼;를 포함하는, 건설 폐기물 내 이물질 제거 장치가 제공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frame installed on the upper part of the crusher; First and second shafts that are rotatably installed at first and second positions of the frame, respectively; A rotation driver for rotating at least one of the first and second shafts; A sprocket installed on the first and second shafts, respectively, and rotating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first and second shafts; A chain installed to surround an outer periphery of the sprockets of the first and second shafts; A plurality of scrapers are installed on the chain at regular intervals to form a space through which construction waste passes, and scraping and removing foreign substances in the construction waste as they move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positions; Containing, a device for removing foreign substances in construction waste is provided.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체인은 상기 제1 및 제2샤프트의 양단 위치에 각각 설치되는 제1 및 제2 체인을 포함하며, 상기 스크레이퍼는 상기 제1 체인과 제2 체인의 사이를 연결하는 바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hain includes first and second chains respectively installed at both ends of the first and second shafts, and the scraper connects the first chain and the second chain. It can take the form of a bar.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설 폐기물 내 이물질 제거 장치는, 상기 체인 상에 일정 간격만큼 이격되게 설치되며 상기 스크레이퍼가 마운트되도록 상기 스크레이퍼를 지지하는 복수의 마운트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스크레이퍼는 상기 마운트 부재에 탈부착 가능하게 체결되어 상기 스크레이퍼의 마운트 위치에 따라 복수의 상기 스크레이퍼 사이의 간격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 가능하다.The apparatus for removing foreign substances in construction was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plurality of mount members installed on the chain to be spaced apart by a predetermined interval and supporting the scraper so that the scraper is mounted. In this case, the scraper may be detachably fastened to the mount member so that the distance between the plurality of scrapers can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mounting position of the scraper.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설 폐기물 내 이물질 제거 장치는, 복수의 상기 스크레이퍼의 둘레를 감싸도록 설치되며 서로 일정 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설치되는 복수의 보조 사슬;을 더 포함할 수 있다.The apparatus for removing foreign substances in construction was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plurality of auxiliary chains installed to surround the circumference of the plurality of scrapers and installed in parallel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each other.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스크레이퍼에는 상기 보조 사슬을 고정하기 위한 고정 나사가 체결되는 고정 나사 체결공이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복수로 형성되며, 상기 보조 사슬의 고정 위치에 따라 상기 보조 사슬 사이의 간격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 가능하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fixing screw fastening holes through which fixing screws for fixing the auxiliary chain are fastened are formed in the scraper at regular intervals along the length direction, and the auxiliary chain is fixed according to the fixing position of the auxiliary chain. It is configurable to allow adjustment of the spacing between chains.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설 폐기물 내 이물질 제거 장치는, 상기 프레임에 연결되며 상기 체인의 하부에 배치되는 지지 레일; 및 상기 지지 레일에 돌출되게 형성되며 상기 체인의 이동시 상기 체인을 푸시하여 스크레이퍼에 상하 진동을 발생시키는 푸싱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An apparatus for removing foreign substances in construction was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upport rail connected to the frame and disposed under the chain; And a pushing member protruding from the support rail and pushing the chain when the chain is moved to generate vertical vibration in the scraper.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설 폐기물 내 이물질 제거 장치는, 상기 제1 샤프트 또는 제2 샤프트에 인가되는 회전 부하가 기설정치에 도달하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토크 리미터;를 더 포함하고, 상기 회전 구동기는 토크 리미터의 신호 발생에 따라 회전 구동 방향을 변경하도록 작동될 수 있다. The apparatus for removing foreign substances in construction was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torque limiter that detects whether a rotation load applied to the first shaft or the second shaft reaches a preset value, wherein the rotation driver It can be operated to change the direction of rotational drive according to the generation of a signal from the torque limiter.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파쇄기의 상부에 설치되어 체인 구동을 통해 복수의 스크레이퍼가 이동하여 건설 폐기물 내 이물질을 제거하는 장치를 제공함으로써 간단한 구조 및 방식을 통해 철근, 철사, 비닐, 천조각 등 다양한 종류의 이물질을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providing a device installed on the top of the crusher to remove foreign substances in construction waste by moving a plurality of scrapers through chain drive, reinforcement, wire, vinyl, cloth, etc. through a simple structure and method. There is an effect that can efficiently remove various kinds of foreign substances.

또한, 각 스크레이퍼를 복수의 마운트 부재에 탈부착 가능하게 설치하여 스크레이퍼 사이의 간격을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In addition,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each scraper is detachably installed on a plurality of mounting members to freely adjust the spacing between the scrapers.

또한, 체인의 하부에 푸싱 부재가 구비된 지지 레일을 설치하여 스크레이퍼에 상하 진동을 발생시킬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스크레이퍼 사이에 폐콘크리트 덩어리가 끼는 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In addition, by installing a support rail provided with a pushing member in the lower part of the chain, it is possible to generate vertical vibration in the scraper, and through this, there is an advantage of minimizing the phenomenon that waste concrete lumps get stuck between the scrapers.

나아가, 토크 리미터를 통해 일정 이상의 회전 부하가 발생하는 경우 회전 구동기를 회전 구동 방향을 변경함으로써 장치의 성능 및 수명 저하를 막는 이점이 있다.Furthermore, when a rotational load of a certain amount or more is generated through the torque limiter, the rotational driving direction of the rotational driver is changed, thereby preventing deterioration of the performance and life of the devic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설 폐기물 내 이물질 제거 장치의 측단면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건설 폐기물 내 이물질 제거 장치의 평면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건설 폐기물 내 이물질 제거 장치의 정단면도.
도 4는 도 1에 표시된 A 및 B 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
1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an apparatus for removing foreign substances in construction was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lan view of the apparatus for removing foreign substances in construction waste shown in FIG. 1.
3 is a front cross-sectional view of the apparatus for removing foreign substances in construction waste shown in FIG. 1.
4 is an enlarged view of portions A and B shown in FIG. 1;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Since the present invention can apply various transformations and have various embodiments, specific embodiments ar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will be described in detail in the detailed description. However,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o a specific embodiment, it is to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conversions, equivalents, and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technology ma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Terms such as first and second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terms. Thes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component.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terms us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are used only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In the present application, terms such as "comprises" or "have" are intended to designate the presence of features, numbers, steps, ac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but one or more other feature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ce or addition of elements or numbers, steps, ac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does not preclude in advance.

이하, 본 발명에 의한 건설 폐기물 내 이물질 제거 장치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apparatus for removing foreign substances in construction wast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in the description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same or corresponding components are given the same reference numbers, and thus A redundant description of this will be omitt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설 폐기물 내 이물질 제거 장치의 측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건설 폐기물 내 이물질 제거 장치의 평면도이고. 도 3은 도 1에 도시된 건설 폐기물 내 이물질 제거 장치의 정단면도이다.1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an apparatus for removing foreign substances in construction was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2 is a plan view of the foreign material removal device in the construction waste shown in Figure 1; 3 is a front cross-sectional view of the apparatus for removing foreign substances in construction waste shown in FIG. 1.

본 실시예의 건설 폐기물 내 이물질 제거 장치는 건설 폐기물(폐콘크리트 및 석재 등)를 파쇄하기 위한 파쇄기(1, 도 3 참조)의 상부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이러한 파쇄기(1)는 죠 크러셔, 더블 죠 크러셔, 콘 크러셔, 롤 크러셔 등 다양한 종류의 파쇄기를 포함할 수 있다. 건설 폐기물 내 이물질 제거 장치는 상부에서 낙하하는 폐골재 내에서 철근, 철사, 비닐, 천조각 등의 이물질만을 선별하여 제거하고, 폐골재는 그대로 통과시켜 그 하부에 위치한 파쇄기(1)로 투입하도록 구성된다. The apparatus for removing foreign substances in construction waste of this embodiment is installed on the upper part of a crusher (see 1, 3) for crushing construction waste (waste concrete and stone, etc.), and such crusher 1 is a jaw crusher, a double jaw crusher. , Cone crusher, roll crusher, etc. may include various types of crusher. The device for removing foreign substances in construction waste is configured to select and remove foreign substances such as rebar, wire, vinyl, and cloth from the waste aggregate falling from the top, and to pass the waste aggregate as it is and put it into the crusher (1) located below it. do.

예를 들어, 건설 폐기물 내 이물질 제거 장치는 2차 더블 죠 크러셔의 상부에 설치되어 1차 죠 크러셔를 통해 파쇄된 폐콘크리트 덩어리로부터 이물질을 제거하여 2차 더블 죠 크러셔로 투입시키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For example, a device for removing foreign substances in construction waste is installed on the top of the second double jaw crusher to remove foreign substances from the crushed waste concrete mass through the first jaw crusher and insert it into the second double jaw crusher. have.

도 1 내지 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건설 폐기물 내 이물질 제거 장치는, 프레임(10), 제1 및 제2 샤프트(20, 30), 회전 구동기(40), 스프로켓(51, 52, 53, 54), 체인(61, 62) 및 스크레이퍼(70)를 포함한다.1 to 3, the apparatus for removing foreign substances in construction wast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frame 10, first and second shafts 20 and 30, a rotation driver 40, and sprockets 51 and 52. 53, 54), chains 61, 62 and scraper 70.

프레임(10)은 파쇄기(1)의 상부에 설치되며, 이를 위하여 별도의 지지 구조(예를 들어, 지지대, 지지 프레임 등)을 통해 파쇄기(1)의 상부에 위치하도록 지지될 수 있다. 프레임(10)의 상측에는 건설 폐기물(또는 폐골재)의 투입시 그 이동을 가이하하기 위한 가이드부(12)가 배치될 수 있으며, 이 또한 별도의 지지 구조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The frame 10 is installed on the top of the crusher 1, and for this purpose, it may be supported to be positioned above the crusher 1 through a separate support structure (eg, support, support frame, etc.). On the upper side of the frame 10, a guide portion 12 for facilitating movement of construction waste (or waste aggregate) may be disposed, and this may also be supported by a separate support structure.

제1 샤프트(20)와 제2 샤프트(30)는 프레임(10)의 제1 위치와 제2 위치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여기서 도 1 및 2의 도시와 같이, 제1 위치는 프레임(10)의 중앙 부분을 기준으로 전방 부분에 해당하고, 제2 위치는 후방 부분에 해당할 수 있다.The first shaft 20 and the second shaft 30 are rotatably installed at the first and second positions of the frame 10, respectively. Here, as shown in FIGS. 1 and 2, the first position may correspond to a front part based on the central part of the frame 10, and the second position may correspond to a rear part.

회전 구동기(40)는 제1 및 제2 샤프트(20, 30) 중 적어도 하나를 회전 구동시킨다. 회전 구동기(40)는 프레임(10)에 구비된 안착부(11)에 안착 및 설치될 수 있으며, 체인, 벨트 등의 동력 전달 수단(45)을 통해 제1 샤프트(20) 또는 제2 샤프트(30)로 회전 동력을 전달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회전 구동기(40)는 제1 샤프트(20)를 회전 구동시키며, 제2 샤프트(30)는 제1 샤프트(20)의 회전에 종속되어 회전 운동하는 구성을 갖는다. 다만, 이러한 구성 이외에도 회전 구동기(40)가 제2 샤프트(30)를 회전 구동시키도록 구성되거나, 제1 및 제2 샤프트(20, 30)를 개별적으로 회전 구동시키도록 두 개의 회전 구동기(40)가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The rotation driver 40 drives at least one of the first and second shafts 20 and 30 to rotate. The rotation driver 40 may be seated and installed on the seating portion 11 provided in the frame 10, and through a power transmission means 45 such as a chain or a belt, the first shaft 20 or the second shaft ( 30) can transmit rotational power.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the rotation driver 40 drives the first shaft 20 to rotate, and the second shaft 30 has a configuration that rotates depending on the rotation of the first shaft 20. However, in addition to this configuration, the rotation driver 40 is configured to rotate the second shaft 30, or two rotation drivers 40 to individually rotate the first and second shafts 20 and 30 It is also possible to be provided.

스프로켓(51, 52. 53. 54)은 제1 및 제2 샤프트(20, 30)에 각각 설치되며, 제1 및 제2 샤프트(20, 30)의 회전에 따라 회전 동작한다. 스프로켓(51, 52, 53, 54)은 제1 샤프트(20)의 양단에 설치되는 한 쌍의 전방 스프로켓(51, 52)과, 제2 샤프트(30)의 양단에 설치되는 한 쌍의 후방 스프로켓(53, 54)을 포함할 수 있다.The sprockets 51, 52, 53. 54 are installed on the first and second shafts 20 and 30, respectively, and rotate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first and second shafts 20 and 30. Sprockets (51, 52, 53, 54) are a pair of front sprockets (51, 52) installed at both ends of the first shaft 20, and a pair of rear sprockets installed at both ends of the second shaft (30) (53, 54) may be included.

체인(61, 62)은 제1 및 제2 샤프트(20, 30)의 스프로켓(51, 52, 53, 54)의 외곽을 둘러싸도록 설치된다. 즉, 체인(61, 62)은 루프의 형태로서 전방 스프로켓(51, 52)과 후방 스프로켓(53, 54)에 설치되어, 이들의 회전에 따라 일정 궤도로 선회 이동한다. 이와 같은 구성에 따라 체인(61, 62)의 제1 및 제2 위치 사이의 부분은 직선 경로를 따라 이동하게 된다. The chains 61 and 62 are installed to surround the outer peripheries of the sprockets 51, 52, 53 and 54 of the first and second shafts 20 and 30. That is, the chains 61 and 62 are installed in the front sprockets 51 and 52 and the rear sprockets 53 and 54 in the form of a loop, and move in a certain orbit according to their rotation. 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the portion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positions of the chains 61 and 62 moves along a linear path.

체인(61, 62)은 제1 및 제2샤프트(20, 30)의 양단 위치(즉, 좌우 위치)에 각각 설치되는 제1 체인(61) 및 제2 체인(62)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체인(61)은 좌측 전후방 스프로켓(51, 53)에 설치되고, 제2 체인(62)은 우측 전후방 스프로켓(52, 54)에 설치될 수 있다.The chains 61 and 62 may include a first chain 61 and a second chain 62 respectively installed at both ends (ie, left and right positions) of the first and second shafts 20 and 30. For example, the first chain 61 may be installed on the left front and rear sprockets 51 and 53, and the second chain 62 may be installed on the right front and rear sprockets 52 and 54.

스크레이퍼(70)는 체인(61, 62) 상에 일정 간격을 두고 복수개로 설치되며, 제1 위치와 제2 위치의 사이를 이동함에 따라 건설 폐기물 내 이물질을 스크레이핑하여 제거하도록 구성된다. 복수의 스크레이퍼(70) 사이의 이격 공간은 건설 폐기물, 예를 들어 폐콘크리트 덩어리가 통과하는 공간을 형성한다. 스크레이퍼(70)는 제1 체인(61)과 제2 체인(62)의 사이를 연결하는 바의 형태로서, 본 실시예와 같이 양 사이드가 절곡된 바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A plurality of scrapers 70 are installed on the chains 61 and 62 at regular intervals, and are configured to scrape and remove foreign substances in the construction waste as they move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positions. The spaced space between the plurality of scrapers 70 forms a space through which construction waste, for example, waste concrete lumps pass. The scraper 70 is in the form of a bar connecting the first chain 61 and the second chain 62, and may have a bar shape in which both sides are bent as in the present embodiment.

체인(61, 62) 상에는 스크레이퍼(70)를 마운트시키기 위한 마운트 부재(80)가 복수개로 형성될 수 있다. 복수개의 마운트 부재(80)는 체인(61, 62) 상에 일정 간격만큼 이격되게 설치되며, 체인(61, 62) 상에 용접 등의 방식을 통해 체인(61, 62)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마운트 부재(80)에는 스크레이퍼(70)와의 나사 체결을 위한 체결홀(81)이 형성될 수 있으며, 스크레이퍼(70)는 제1 체인(61)과 제2 체인(62)의 마운트 부재(80)에 의해 그 저면이 지지된 상태에서 나사와 같은 체결 수단을 통해 마운트 부재(80)에 고정될 수 있다.A plurality of mount members 80 for mounting the scraper 70 may be formed on the chains 61 and 62. The plurality of mount members 80 are installed on the chains 61 and 62 to be spaced apart by a predetermined interval, and may be integrally formed with the chains 61 and 62 through a method such as welding on the chains 61 and 62. have. A fastening hole 81 for screwing with the scraper 70 may be formed in the mount member 80, and the scraper 70 includes a mounting member 80 of the first chain 61 and the second chain 62. By means of a fastening means such as a screw, it may be fixed to the mount member 80 while the bottom surface is supported.

스크레이퍼(70)는 마운트 부재(80)에 탈부착 가능하게 설치되며, 스크레이퍼(70)의 마운트 위치에 따라 스크레이퍼(70) 사이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의 도시에 따르면, 하나의 체인(61)을 기준으로 스크레이퍼(70) 사이에 2개의 마운트 부재(80)가 위치하도록 스크레이퍼(70)가 설치되어 있으며, 이 상태에서 스크레이퍼(70) 사이에 1개의 마운트 부재(80)가 위치하도록 스크레이퍼(70)를 설치하여 간격을 그보다 좁히거나, 스크레이퍼(70) 사이에 3개의 마운트 부재(70)가 위치하도록 설치하여 간격을 그보다 넓힐 수도 있다.The scraper 70 is detachably installed on the mount member 80, and the spacing between the scrapers 70 may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mounting position of the scraper 70. For example, according to the illustration of FIG. 2, a scraper 70 is installed so that two mount members 80 are positioned between the scraper 70 based on one chain 61, and in this state, the scraper ( 70) by installing a scraper 70 so that one mount member 80 is positioned between them to narrow the gap, or by installing three mount members 70 between the scrapers 70 to make the gap wider. have.

한편, 스크레이퍼(70)의 둘레에는 복수의 보조 사슬(90)이 추가로 설치될 수 있다. 보조 사슬(90)은 체인(61, 62)과 유사한 방식으로 복수의 스크레이퍼(70)의 둘레를 감싸도록 설치된다. 복수의 보조 사슬(90)은 서로 일정 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설치되며, 이에 따라 복수의 스크레이퍼(70)와 보조 사슬(90)이 조합되어 격자 형태의 폐골재 통과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Meanwhile, a plurality of auxiliary chains 90 may be additionally installed around the scraper 70. The auxiliary chain 90 is installed to surround the circumference of the plurality of scrapers 70 in a similar manner to the chains 61 and 62. A plurality of auxiliary chains 90 are installed in parallel with each other at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accordingly, a plurality of scrapers 70 and auxiliary chains 90 may be combined to form a grid-shaped waste aggregate passage space.

스크레이퍼(70)에는 보조 사슬(90)을 고정하기 위한 고정 나사가 체결되는 고정 나사 체결공(75)이 형성될 수 있다. 보조 사슬(90)은 스크레이퍼(70)에 고정된 상태로 스크레이퍼(70)와 함께 이동하게 된다. 고정 나사 체결공(75)은 스크레이퍼(7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복수로 형성될 수 있다. 스크레이퍼(70) 사이의 간격 조절 방식과 마찬가지로, 보조 사슬(70)의 고정 위치에 따라 보조 사슬(70) 사이의 간격 조절이 가능하다.A fixing screw fastening hole 75 through which a fixing screw for fixing the auxiliary chain 90 is fastened may be formed in the scraper 70. The auxiliary chain 90 moves together with the scraper 70 while being fixed to the scraper 70. The fixing screw fastening holes 75 may be formed in plural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long the length direction of the scraper 70. Similar to the method of adjusting the spacing between the scrapers 70, the spacing between the auxiliary chains 70 can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fixed position of the auxiliary chains 70.

이상에서 설명한 구성의 건설 폐기물 내 이물질 제거 장치의 작동 상태에 대하여 설명하면, 회전 구동기(40)가 작동함에 따라 그 회전 동력이 제1 샤프트(20)로 전달되어 전방 스프로켓(51, 52)이 회전하게 되고, 그에 설치된 제1 및 제2 체인(61, 62)이 선회 이동하게 된다. 제1 및 제2 체인(61, 62)에 연결된 제2 샤프트(30) 또한 이와 함께 회전하게 되어 제1 및 제2 체인(61, 62)의 선회 이동이 지속하여 이루어진다.When explaining the operating state of the device for removing foreign substances in construction waste of the configuration described above, as the rotation driver 40 operates, the rotation power is transmitted to the first shaft 20 so that the front sprockets 51 and 52 rotate. Then, the first and second chains 61 and 62 installed therein are rotated. The second shaft 30 connected to the first and second chains 61 and 62 also rotates with it, so that the first and second chains 61 and 62 continue to rotate.

제1 및 제2 샤프트(20, 30)가 각각 설치된 제1 및 제2 위치 사이에서 제1 및 제2 체인(61, 62)는 직선 이동하게 되며, 그 사이에 연결된 복수의 스크레이퍼(70)들이 직선 이동하게 된다.The first and second chains 61 and 62 move linearly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positions in which the first and second shafts 20 and 30 are respectively installed, and a plurality of scrapers 70 connected therebetween It will move in a straight line.

상부로부터 건설 폐기물이 투입되면 건설 폐기물은 가이드부(12)에 의해 안내되어 이동 중에 있는 스크레이퍼(70) 쪽으로 투입되게 되며, 건설 폐기물 내에 포함된 철근, 철사, 비닐 등의 이물질이 이동 중의 스크레이퍼(70)에 의해 스크레이핑되어 걸리게 된다. 이에 따라 이물질은 스크레이퍼(70)와 보조 사슬(90)에 의해 걸린 상태로 이물질 제거 장치의 가장자리까지 이동하게 되어 사이드에서 낙하하게 된다. 이물질 제거 장치의 양 사이드 하부에는 이물질을 수거하기 위한 수거 탱크가 배치될 수 있다.When the construction waste is input from the top, the construction waste is guided by the guide unit 12 and is introduced to the moving scraper 70, and foreign substances such as reinforcement, wire, and vinyl contained in the construction waste are transferred to the scraper 70 ), it is scraped and caught. Accordingly, the foreign matter moves to the edge of the foreign matter removal device while being caught by the scraper 70 and the auxiliary chain 90 and falls from the side. Collection tanks for collecting foreign substances may be disposed under both sides of the foreign substance removing device.

이와 같은 작용에 의하여 이물질이 제거된 건설 폐기물은 스크레이퍼(70)와 보조 사슬(90) 사이의 공간을 통과하여 하부로 낙하하게 되어 더블 죠 크러셔와 같은 파쇄기(1)로 투입되게 된다.The construction waste from which the foreign substances are removed by this action passes through the space between the scraper 70 and the auxiliary chain 90 and falls downward, and is fed into the crusher 1 such as a double jaw crusher.

한편, 철근이나 철사 등의 이물질은 페콘크리트 덩어리와 일체화된 형태(즉, 폐콘크리트 덩어리 외부로 철근이나 철사가 돌출된 형태)를 갖는 경우가 많은데, 이러한 경우 그 크기가 비교적 크기 때문에 폐콘크리트 덩어리의 철근이나 철사가 인접한 두 개 이상의 스크레이퍼(70)에 걸쳐진 형태로 이동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foreign substances such as reinforcing bars or wires are often integrated with the waste concrete mass (that is, in the form of reinforcing bars or wires protruding outside the waste concrete mass).In this case, the size of the waste concrete mass is relatively large. Reinforcing bars or wires can be moved in a form spanning two or more adjacent scrapers 70.

이 때 두 개의 스크레이퍼(70)의 사이에 폐콘크리트 덩어리가 끼인 상태로 이동할 수 있는데, 만약 이것이 이물질 제거 장치의 사이드에서 낙하하지 않고 스크레이퍼(70) 사이에 끼인 상태를 유지한다면, 체인(61, 62)이나 스프로켓(51, 52, 53, 54)의 동작을 방해하게 되며, 이는 제1 샤프트(20)나 제2 샤프트(30)의 회전 동작에 부하로서 작용하게 된다. 이러한 회전 부하가 과도할 경우 이물질 제거 장치의 성능이나 수명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At this time, it is possible to move in a state where the waste concrete lump is caught between the two scrapers 70, and if this does not fall from the side of the foreign matter removal device and remains sandwiched between the scrapers 70, the chains 61 and 62 ) Or the sprocket (51, 52, 53, 54), which interferes with the rotation of the first shaft 20 or the second shaft 30 acts as a load. When such a rotational load is excessive, it may affect the performance or life of the foreign material removal device.

이와 같은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회전 구동기(40)에는 제1 샤프트(20) 또는 제2 샤프트(30)에 인가되는 회전 부하가 기설정치에 도달하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토크 리미터가 연결될 수 있다. 회전 부하가 기설정정치에 도달하면 토크 리미터에서 신호를 발생시키며, 회전 구동기(40)는 토크 리미터의 신호 발행에 따라 회전 구동 방향을 변경하도록 작동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회전 구동기(40)가 정방향으로 회전 구동 중인 상태에서 토크 리미터의 신호 발생에 따라 역방향으로 회전 구동 방향을 변경하여 회전 부하를 저감할 수 있으며, 나아가 스크레이퍼(70)를 왕복 운동시킴으로써 회전 부하를 발생시키는 물체의 이탈을 유도할 수 있다.In order to minimize such an effect, a torque limiter that detects whether a rotation load applied to the first shaft 20 or the second shaft 30 reaches a preset value may be connected to the rotation driver 40. When the rotational load reaches a preset value, the torque limiter generates a signal, and the rotation driver 40 may operate to change the rotational driving direction according to issuance of a signal from the torque limiter. For example, while the rotation driver 40 is rotating in the forward direction, rotational load can be reduced by changing the rotational driving direction in the reverse direction according to the generation of a signal from the torque limiter, and further, rotation by reciprocating the scraper 70 It can induce the deviation of the object that generates the load.

한편, 토크 리미터에는 경보기가 연결되어, 토크 리미터의 신호 발생시 경보를 발생시킬 수 있으며, 경보 발생시 오퍼레이터가 스크레이퍼(70) 사이에 끼인 물체를 직접 제거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an alarm is connected to the torque limiter, and an alarm can be generated when a signal from the torque limiter is generated, and when an alarm occurs, an operator can directly remove an object caught between the scraper 70.

도 4는 도 1에 표시된 A 및 B 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이다.FIG. 4 is an enlarged view of portions A and B shown in FIG. 1.

도 4의 도시와 같이, 프레임(10)에는 체인(61, 62)의 노후화로 인한 처짐 발생시 체인(61, 62)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 레일(100, 110)이 연결될 수 있다. 도 4의 (a)는 도 1의 A 부분으로서 상부 레일(100)을 보이고 있으며, (b)는 도 1의 B 부분으로서 하부 레일(110)을 보이고 있다.As shown in FIG. 4, the frame 10 may be connected to support rails 100 and 110 for supporting the chains 61 and 62 when sagging occurs due to the aging of the chains 61 and 62. 4(a) shows the upper rail 100 as part A of FIG. 1, and (b) shows the lower rail 110 as part B of FIG. 1.

프레임(10)의 내측에는 내측 연결 부재(15, 도 1 및 2 참조)가 연결될 수 있고, 그 상부에 지지 바(16)가 설치되어 상부 레일(100)을 지지할 수 있다. 그리고, 프레임(10)의 하부에는 하부 연결 부재(14, 도 1 및 2 참조)가 연결될 수 있고, 이들 에 지지된 다른 지지 수단으로부터 지지 바(17)가 연장되어 하부 레일(110)을 지지할 수 있다.An inner connecting member 15 (see FIGS. 1 and 2) may be connected to the inside of the frame 10, and a support bar 16 may be installed thereon to support the upper rail 100. Further, a lower connection member 14 (see FIGS. 1 and 2) may be connect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frame 10, and the support bar 17 extends from other support means supported thereon to support the lower rail 110. I can.

각 지지 레일(100, 110)에는 푸싱 부재(120)가 돌출되게 형성되며, 푸싱 부재(120)는 체인(61, 62)의 이동시 체인(61, 62)을 푸싱하여 스크레이퍼(70)에 상하 진동을 발생시킨다. 푸싱 부재(120)는 상향 경사면과 하향 경사면이 연속적으로 형성된 형태로서, 체인(61, 62)의 롤러가 상향 경사면을 타고 넘어 하향 경사면으로 내려 오면서 체인(61, 62)의 상하 유격을 발생시키게 되며, 이에 따라 스크레이퍼(70) 사이의 물체 끼임 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Each support rail (100, 110) is formed to protrude a pushing member (120), the pushing member (120) pushes the chains (61, 62) when the chain (61, 62) is moved up and down by the scraper (70) Occurs. The pushing member 120 has a shape in which an upward inclined surface and a downward inclined surface are continuously formed, and the rollers of the chains 61 and 62 cross the upward inclined surface and descend to the downward inclined surface, thereby generating a vertical gap of the chains 61 and 62.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minimize the object jamming phenomenon between the scraper (70).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특정의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Although the above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specific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relevant technical field may vary the present invention within the scope no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in the following claims. You will understand that it can be modified and changed.

10: 프레임 11: 안착부
12: 가이드부 14: 하부 연결 부재
15: 내측 연결 부재 16, 17: 지지 바
20: 제1 샤프트 30: 제2 샤프트
40: 회전 구동부 51, 52: 전방 스프로켓
53, 54: 후방 스프로켓 61: 제1 체인
62: 제2 체인 70: 스크레이퍼
75: 고정나사 체결공 80: 마운트 부재
81: 체결홀 90: 보조 사슬
100, 110: 지지 레일 120: 푸싱 부재
10: frame 11: seat
12: guide portion 14: lower connection member
15: inner connecting member 16, 17: support bar
20: first shaft 30: second shaft
40: rotation drive 51, 52: front sprocket
53, 54: rear sprocket 61: first chain
62: second chain 70: scraper
75: fixing screw fastening hole 80: mount member
81: fastening hole 90: auxiliary chain
100, 110: support rail 120: pushing member

Claims (7)

파쇄기의 상부에 설치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제1 및 제2 위치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 및 제2 샤프트;
상기 제1 및 제2 샤프트 중 적어도 하나를 회전 구동시키는 회전 구동기;
상기 제1 및 제2 샤프트에 각각 설치되며, 상기 제1 및 제2 샤프트의 회전에 따라 회전 동작하는 스프로켓;
상기 제1 및 제2 샤프트의 스프로켓의 외곽을 둘러싸도록 설치되는 체인;
건설 폐기물이 통과하는 공간을 형성하도록 상기 체인 상에 일정 간격을 두고 복수로 설치되며, 상기 제1 및 제2 위치의 사이를 이동함에 따라 상기 건설 폐기물 내 이물질을 스크레이핑하여 제거하는 스크레이퍼; 및
복수의 상기 스크레이퍼의 둘레를 감싸도록 설치되며, 서로 일정 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설치되는 복수의 보조 사슬;을 포함하고,
상기 스크레이퍼에는 상기 보조 사슬을 고정하기 위한 고정 나사가 체결되는 고정 나사 체결공이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복수로 형성되며,
상기 보조 사슬의 고정 위치에 따라 상기 보조 사슬 사이의 간격 조절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 폐기물 내 이물질 제거 장치.
A frame installed on the top of the crusher;
First and second shafts rotatably installed at first and second positions of the frame, respectively;
A rotation driver for rotating at least one of the first and second shafts;
A sprocket installed on the first and second shafts, respectively, and rotating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first and second shafts;
A chain installed to surround an outer periphery of the sprockets of the first and second shafts;
A scraper installed on the chain at regular intervals to form a space through which construction waste passes, and scraping and removing foreign substances in the construction waste as it moves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positions; And
Including; a plurality of auxiliary chains installed to surround the circumference of the plurality of scrapers and installed in parallel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each other,
In the scraper, a plurality of fixing screw fastening holes into which a fixing screw for fixing the auxiliary chain is fastened are form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long the length direction,
A device for removing foreign substances in construction wast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ossible to adjust the distance between the auxiliary chains according to the fixed position of the auxiliary chai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체인은 상기 제1 및 제2샤프트의 양단 위치에 각각 설치되는 제1 및 제2 체인을 포함하며,
상기 스크레이퍼는 상기 제1 체인과 제2 체인의 사이를 연결하는 바의 형태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 폐기물 내 이물질 제거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chain includes first and second chains respectively installed at both ends of the first and second shafts,
The scraper is characterized in that it has the form of a bar connecting between the first chain and the second chain, foreign matter removal device in construction was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체인 상에 일정 간격만큼 이격되게 설치되며, 상기 스크레이퍼가 마운트되도록 상기 스크레이퍼를 지지하는 복수의 마운트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스크레이퍼는 상기 마운트 부재에 탈부착 가능하게 체결되어 상기 스크레이퍼의 마운트 위치에 따라 복수의 상기 스크레이퍼 사이의 간격 조절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 폐기물 내 이물질 제거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It further comprises a plurality of mounting members that are installed on the chain to be spaced apart by a predetermined interval and support the scraper so that the scraper is mounted,
The scraper is detachably fastened to the mounting member, and the distance between the plurality of scrapers can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mounting position of the scraper.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에 연결되며, 상기 체인의 하부에 배치되는 지지 레일; 및
상기 지지 레일에 돌출되게 형성되며, 상기 체인의 이동시 상기 체인을 푸시하여 스크레이퍼에 상하 진동을 발생시키는 푸싱 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 폐기물 내 이물질 제거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A support rail connected to the frame and disposed under the chain; And
A pushing member formed to protrude from the support rail and generating vertical vibration in the scraper by pushing the chain when the chain move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샤프트 또는 제2 샤프트에 인가되는 회전 부하가 기설정치에 도달하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토크 리미터;를 더 포함하고,
상기 회전 구동기는 토크 리미터의 신호 발생에 따라 회전 구동 방향을 변경하도록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 폐기물 내 이물질 제거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A torque limiter for detecting whether the rotational load applied to the first shaft or the second shaft reaches a preset value; further comprising,
The rotation driver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operation to change the rotation driving direction in response to the generation of a signal from a torque limiter, the foreign matter removal device in the construction waste.
KR1020200089044A 2020-07-17 2020-07-17 Apparatus for separating foreign substances in construction waste KR10221119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9044A KR102211194B1 (en) 2020-07-17 2020-07-17 Apparatus for separating foreign substances in construction wast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9044A KR102211194B1 (en) 2020-07-17 2020-07-17 Apparatus for separating foreign substances in construction wast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11194B1 true KR102211194B1 (en) 2021-02-05

Family

ID=745589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89044A KR102211194B1 (en) 2020-07-17 2020-07-17 Apparatus for separating foreign substances in construction wast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11194B1 (en)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9415U (en) * 1992-07-15 1994-02-08 小橋工業株式会社 Agricultural product sorter
KR20050018077A (en) * 2003-08-13 2005-02-23 하나환경산업 주식회사 Apparatus for separating wastes from the scrapped materials in recycling system of waste materials
KR100582847B1 (en) 2005-11-15 2006-05-23 (주)금광 이 엔 지 Selecting apparatus and its method for recycling construction waste material
JP2010201393A (en) * 2009-03-05 2010-09-16 Fuji Seisakusho:Kk Vibration sieve apparatus
WO2012094219A1 (en) * 2011-01-08 2012-07-12 Ssi Shredding Systems, Inc. Controlled feed-rate shredding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9415U (en) * 1992-07-15 1994-02-08 小橋工業株式会社 Agricultural product sorter
KR20050018077A (en) * 2003-08-13 2005-02-23 하나환경산업 주식회사 Apparatus for separating wastes from the scrapped materials in recycling system of waste materials
KR100582847B1 (en) 2005-11-15 2006-05-23 (주)금광 이 엔 지 Selecting apparatus and its method for recycling construction waste material
JP2010201393A (en) * 2009-03-05 2010-09-16 Fuji Seisakusho:Kk Vibration sieve apparatus
WO2012094219A1 (en) * 2011-01-08 2012-07-12 Ssi Shredding Systems, Inc. Controlled feed-rate shredding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23668B1 (en) apparatus for seperating waste from constructionwaste matter
KR102263086B1 (en) Production apparatus for circulating aggregate
KR20140141342A (en) Production apparatus for circulating aggregate
US4899942A (en) Jaw crusher
KR101217241B1 (en) Peeling foreign substances off equipment of recycled aggregate used rolling friction of drum, hammer and paddle
JP2011020039A (en) Waste concrete crusher
JP2009101365A (en) Crushing treating apparatus
JP2741155B2 (en) Gala reproduction machine
KR101034664B1 (en) Multi-layer crusher for construct waste and recycled aggregate producing facility generated on intermediate treatment of construct and domestic waste using this
EP2987556A1 (en) Grinding machine
DE19708185C2 (en) Method and device for loading and operating a plant for shredding recyclable old goods
KR102211194B1 (en) Apparatus for separating foreign substances in construction waste
US5799884A (en) Universal shredder
KR100793167B1 (en) A drum bell for prevention of mesh clogged devices for crash, volume improvement, motal removal, sorting sand production of construction wastes
AU590549B2 (en) Breaking bulk material into certain size & screening
KR100570901B1 (en) Processing Device for Recycling Gravels of Production in Waste Construction Materials
KR200300900Y1 (en) Multi-Plate and Steps Grizzly Feeder
JP3748840B2 (en) Roll crusher discharge assist device
US20160303572A1 (en) Adjustable Dwell Shredder
KR20050035378A (en) A sorting drum of construction waste matter regenerating system
DE102014216452B4 (en) crusher
KR101935313B1 (en) Aggregate Treatment Equipment for Soft Soil Improvement using Construction Waste
KR200224687Y1 (en) Abstraction device of natural gravel
CN217492113U (en) Dregs crushing equipment
CN219849763U (en) Recycled concrete aggregate sieving mechanis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