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11139B1 - 해양신재생플랜트에 기반한 미세먼지 저감용 해무발생장치 - Google Patents

해양신재생플랜트에 기반한 미세먼지 저감용 해무발생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11139B1
KR102211139B1 KR1020190037671A KR20190037671A KR102211139B1 KR 102211139 B1 KR102211139 B1 KR 102211139B1 KR 1020190037671 A KR1020190037671 A KR 1020190037671A KR 20190037671 A KR20190037671 A KR 20190037671A KR 102211139 B1 KR102211139 B1 KR 1022111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
supply unit
seawater
energy
seawe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376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16220A (ko
Inventor
고진환
Original Assignee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900376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11139B1/ko
Publication of KR202001162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162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111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111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7/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air or vapours by liquid as separating agent
    • B01D47/06Spray cleaning
    • B01D47/063Spray cleaning with two or more jets impinging against each oth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2Filters adapted for location in special places, e.g. pipe-lines, pumps, stop-cock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Cultivation Of Seaweed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해양신재생플랜트에 기반한 미세먼지 저감용 해무발생장치를 개시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무발생장치(1)는 해양신재생플랜트(10)에 인접한 해수면에 설치되는 부유구조물(100); 및 상기 부유구조물(100) 상에 설치되며, 상기 해양신재생플랜트(10)에서 생산되는 에너지를 이용하여 해무를 생성하고 이를 대기 중으로 분사하는 해무발생모듈(200);을 포함한다.

Description

해양신재생플랜트에 기반한 미세먼지 저감용 해무발생장치{A sea fog generating apparatus based on ocean renewable plants for dust reduction}
본 발명은 해양신재생플랜트에 기반한 미세먼지 저감용 해무발생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해양신재생플랜트에 연계설치되며 그로부터 에너지를 받아 작동하여 미세먼지 저감을 위한 해무를 생성하고 이를 대기 중으로 분사하는 해무발생장치에 관한 것이다.
공기 중의 미세먼지는 폐질환, 천식, 기관지염 등의 질병을 유발할 수 있으며 심한 경우 사망원인으로도 작용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최근 들어 미세먼지가 기준량을 초과하는 날이 증가함에 따라 대기 중의 미세먼지를 줄이기 위한 노력이 여러 방면으로 시도되고 있다.
비교적 넓은 범위에서 대기 중의 미세먼지를 저감하기 위해 시도되고 있는 대표적인 기술로는 인공강우 기술을 들 수 있는데 이를 통해 아직까지는 뚜렷한 효과를 얻지 못하고 있다.
이와 같이 미세먼지 저감은 건강과 삶의 질에 매우 중요한 이슈임에도 아직까지 미세먼지 저감에 실질적인 유용성을 갖는 기술이 없는 실정이므로, 미세먼지 저감을 위한 유용한 기술의 개발이 절실히 요구된다.
1. 대한민국 특허공개문헌 제10-2018-0127766호 (2018.11.30) 2. 대한민국 특허등록문헌 제10-1669791호 (2016.10.20)
본 발명은 대기 중의 미세먼지 저감을 실효성 있게 달성할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은 해양신재생플랜트에 기반한 미세먼지 저감용 해무발생장치(1)로서, 해양신재생플랜트(10)에 인접한 해수면에 설치되는 부유구조물(100); 및 상기 부유구조물(100) 상에 설치되며, 상기 해양신재생플랜트(10)에서 생산되는 에너지를 이용하여 해무를 생성하고 이를 대기 중으로 분사하는 해무발생모듈(200);을 포함하는 해무발생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해무발생모듈(200)은 해수가 유입되는 취수구(220); 상기 취수구(220)와 연결되며 상기 에너지에 의해 작동하는 해수공급부(230); 상기 에너지에 의해 작동하는 압축공기공급부(240); 및 상기 해수공급부(230) 및 상기 압축공기공급부(240)로부터 해수 및 공기를 각각 공급받아 해무를 생성 및 분사하는 복수의 분무노즐(26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해수공급부(230)는 상기 해수를 상기 복수의 분무노즐(260)에 소정의 압력으로 공급하기 위한 워터부스터(232)); 및 상기 취수구(220)와 상기 워터부스터(232) 사이에 연결되어 이물질을 걸러내는 필터유닛(23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압축공기공급부(240)는 에어컴프레셔(242); 및 상기 에어컴프레셔(242)에 의해 저장되는 압축공기를 상기 복수의 분무노즐(260)에 공급하는 에어탱크(24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해무발생모듈(200)은 적어도 하나의 분무파이프(250)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분무파이프(250)에 상기 복수의 분무노즐(260)이 장착될 수 있다.
상기 해무발생장치 상기 취수구(220)를 둘러싸도록 상기 부유구조물(100)의 하측에 설치된 거름망체(3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부유구조물(100)은 상기 해무발생모듈(200)을 지지하는 베이스프레임(110); 및 상기 베이스프레임(110)의 하측에 부착된 적어도 하나의 부력체(1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에너지는 전기에너지 또는 유압에너지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해무발생장치를 통해 대기 중으로 해무를 분사함으로써 대기 중의 미세먼지를 효과적으로 저감할 수 있다. 특히 해양신재생플랜트 단지의 확대 조성 추세를 고려하면, 해양신재생플랜트에 기반하는 본 발명의 해무발생장치는 미세먼지 저감을 위한 유용한 해결책이 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해무발생장치는 해양신재생플랜트에 연결설치되며 또한 그로부터 에너지를 공급받아 작동하므로, 장치 설계가 비교적 간단해질 수 있고 설치 및 구동에 소요되는 비용 면에서도 매우 경제적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해무발생장치가 해상풍력발전플랜트와 연계 설치된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해무발생장치가 해상풍력발전플랜트와 연계 설치된 모습을 보다 구체적으로 나타낸 도면으로서, 도 2-(a)는 해무발생장치가 해상풍력발전플랜트로부터 전기에너지를 공급받아 작동하는 경우를 나타낸 것이고, 도 2-(b)는 해무발생장치가 해상풍력발전플랜트로부터 유압에너지를 공급받아 작동하는 경우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해무발생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해무발생장치를 분리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해무발생장치를 측단면도로 보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해무발생장치에서 복수의 분무노즐에 해수 및 공기를 공급하기 위해 구비된 구성들을 개략적으로 보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해무발생장치에 구비되는 분무노즐의 종단면을 보이는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해무발생장치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해무발생장치가 해상풍력발전플랜트와 연계 설치된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해무발생장치(1)는 해상에 설치되어 대기 중으로 해무를 분사함으로써 대기 중의 미세먼지를 저감시키는 목적으로 사용되는 장치이다.
해무발생장치(1)는 해양신재생플랜트에 연계 설치되어 그 플랜트에서 생산되는 에너지를 이용하여 작동된다.
해양신재생플랜트의 대표적인 예로는 해상풍력발전플랜트, 조력발전플랜트, 파력발전플랜트 또는 수상태양광플랜트를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도면에서는 해양신재생플랜트의 예로 해상풍력발전플랜트(10)를 도시하였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 해양신재생플랜트는 대규모 단지 형태로 구축된다. 이러한 신재생플랜트 단지에 설치된 다수의 해양신재생플랜트마다 본 발명의 해무발생장치(1)가 1개 이상 연계설치될 수 있다. 도 1의 예에서는 해양신재생플랜트 각각에 해무발생장치(1)가 1개씩 연계설치된 모습이 도시되었는데, 해양신재생플랜트 각각에 해무발생장치(1)가 2개 이상 연계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해양신재생플랜트 단지에 설치되는 다수의 해무발생장치들(1)을 통해 해수면 상의 대기 중으로 상당 규모의 해무를 분사함으로써, 대기 중의 미세먼지를 효과적으로 저감시킬 수 있다.
신재생에너지 활성화 정책으로 인해 해양신재생플랜트 단지의 수는 점점 늘어가고 있으며, 향후 그 추세가 더욱 가속화될 것으로 전망된다. 따라서 해양신재생플랜트에 연계설치되어 사용되는 본 발명의 해무발생장치(1)는 미세먼지 문제의 해결을 위한 실효적인 방안이 될 수 있다.
특히 국내의 경우, 서해안은 해양신재생플랜트 단지의 조성을 위한 대표적인 적합지라는 점과 상당량의 미세먼지들이 서해를 통해 한반도로 유입되는 점을 고려해본다면, 서해안에 이미 조성된 해양신재생플랜트 단지들 그리고 향후 조성될 해양신재생플랜트 단지들에 본 발명의 해무발생장치(1)를 적용하여 서해상의 대기 중에 넓은 규모로 해무를 분사하는 것은 국내의 미세먼지 문제 해결에 크게 기여할 수 있을 수 것으로 기대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해무발생장치가 해상풍력발전플랜트와 연계 설치된 모습을 보다 구체적으로 나타낸 도면으로서, 도 2-(a)는 해무발생장치가 해상풍력발전플랜트로부터 전기에너지를 공급받아 작동하는 경우를 나타낸 것이고, 도 2-(b)는 해무발생장치가 해상풍력발전플랜트로부터 유압에너지를 공급받아 작동하는 경우를 나타낸 것이다.
해무발생장치(1)는 계류라인(2)을 통해 해양신재생플랜트(10)에 연결됨으로써 해양신재생플랜트(10)에 인접한 해수면 상에 설치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양신재생플랜트(10)가 해상풍력발전플랜트인 경우, 해무발생장치(1)는 연결라인(2)을 통해 플랜트베이스(17)의 고정구(17a)에 연결될 수 있다.
해무발생장치(1)는 해양신재생플랜트(10)로부터 동력원으로서 전기에너지 또는 유압에너지를 공급받는다.
도 2-(a)는 해양신재생플랜트(10)가 해상풍력발전플랜트이고 이로부터 해무발생장치(1)가 전기에너지를 받아 작동하는 경우를 나타낸 것이다.
이에 대해 설명하면, 해양신재생플랜트(10)의 헤드부(11) 내에 로터(12)의 축(12a)에 연결되어 전기를 생산하는 에너지변환장치(13)가 구비되며, 그 전력을 육상으로 공급하는 전송라인(20)으로부터 분기된 분기라인(21)을 통해 해무발생장치(1)가 전력의 일부를 공급받아 작동한다.
도 2-(b)는 해양신재생플랜트(10)가 해상풍력발전플랜트이고 이로부터 해무발생장치(1)가 유압에너지를 받아 작동하는 경우를 나타낸 것이다.
이에 대해 설명하면, 해양신재생플랜트(10)의 헤드부(11) 내에 로터(12)의 축(12a)에 연결되어 고유압을 발생시키는 에너지변환장치(13)가 구비되고, 전송라인(20)을 통해 에너지변환장치(13)에 연결된 발전기(19)에서 전기가 생산되어 전력라인(30)을 통해 육상으로 공급되는 한편, 해무발생장치(1)는 전송라인(20)로부터 분기된 분기라인(21)을 통해 고유압의 일부를 공급받아 작동한다.
이와 같이 해무발생장치(1)는 해양신재생플랜트(10)에 연결설치되는 한편 그것에서 생성되는 전기에너지 또는 유압에너지의 일부를 공급받아 작동하므로, 해무발생장치(1)의 설치 및 구동을 위한 경제적인 비용이 최소화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해무발생장치(1)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해무발생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해무발생장치를 분리하여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해무발생장치를 측단면도로 보이는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해무발생장치에서 복수의 분무노즐에 해수 및 공기를 공급하기 위해 구비된 구성들을 개략적으로 보이는 도면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해무발생장치에 구비되는 분무노즐의 종단면을 보이는 도면이다.
해무발생장치(1)는 부유구조물(100), 해무발생모듈(200) 및 거름망체(300)를 포함한다.
부유구조물(100)은 베이스프레임(110) 및 적어도 하나의 부력체(120)를 포함한다.
베이스프레임(110)은 해무발생모듈(200)을 지지하는 구성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프레임(110)의 중앙부에는 비교적 넓은 크기의 홀이 형성될 수 있다.
부력체(120)는 베이스프레임(110)의 하측에 부착되어 해무발생장치(1)가 해수면에 뜰 수 있는 부력을 제공하는 구성이다. 도 4의 예에는 2개의 부력체(120)가 구비되어 있는데, 그 개수는 실시예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예로써 부력체(120)는 스티로폼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해무발생모듈(200)은 부유구조물(100) 상에 설치된다. 해무발생모듈(200)은 해양신재생플랜트(100)에서 생산된 에너지를 이용하여 해무를 생성하고 이를 해수면 상의 대기 중으로 분사한다.
해무발생모듈(200)은 상판(210), 취수구(220), 해수공급부(230), 압축공기공급부(240), 분무파이프(250) 및 복수의 분무노즐(260)을 포함한다.
상판(210)은 전술한 베이스프레임(110) 상에 결합된다. 상판(210) 위에 해수공급부(230), 압축공기공급부(240) 및 분무파이프(250)가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판(210)은 전술한 베이스프레임(110)과 분리된 구성으로 설명하지만,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상판(210)과 베이스프레임(110)은 일체적으로 제작될 수도 있다.
취수구(220)는 해수가 유입될 수 있도록 해수면 아래로 잠기게 설치된다. 취수구(220)를 통해 유입된 해수는 연결관(221)을 통해 해수공급부(230)에 전달된다. 도 5를 참조하면, 상판(210)에는 연결관(221) 설치를 위한 관통공(211)이 형성되어 있다.
해수공급부(230)는 해양신재생플랜트(10)로부터 받은 에너지를 이용하여 취수구(220)를 통해 해수를 빨아들여 이를 복수의 분무노즐(260)에 공급하는 구성이다.
도 4 및 도 6을 참조하면, 해수공급부(230)는 케이싱(231), 워터부스터(232) 및 집진필터(233)을 포함한다.
워터부스터(232)에는 해양신재생플랜트(10)의 에너지가 전송되는 전술한 분기라인(21)에서 분기된 제1 최종분기라인(21a)이 연결되어 있으며, 이를 통해 에너지를 공급받아 작동한다. 워터부스터(232)가 작동함에 따라 취수구(220)를 통해 해수가 취수되어 복수의 분무노즐(260)에 소정의 압력으로 공급된다.
필터유닛(233)은 취수구(220)와 워터부스터(232) 사이에 연결되어 이물질을 걸러내는 역할을 한다. 필터유닛(233)의 주요 필터링 대상은 비교적 작은 사이즈의 생물체들이다. 이러한 생물체들이 유입될 경우 워터부스터(232), 분무노즐(260) 등의 부품들의 수명을 단축시킬 수 있는데, 필터유닛(233)을 통해 이를 방지한다.
도 4 및 도 6을 참조하면, 압축공기공급부(240)는 케이싱(241), 에어컴프레셔(242) 및 에어탱크(243)를 포함한다.
에어컴프레셔(242)에는 해양신재생플랜트(10)의 에너지가 전송되는 전술한 분기라인(21)에서 분기된 제2 최종분기라인(21b)이 연결되어 있으며, 이를 통해 에너지를 공급받아 작동한다. 에어컴프레셔(242)의 작동에 의해 에어탱크(243)에 압축공기가 저장되며 그 압축공기가 복수의 분무노즐(260)에 공급된다. 본 실시예에서 압축공기공급부(240)에 에어탱크(243)가 구비되지만, 이를 구비하지 않고 에어컴프레셔(242)와 복수의 분무노즐(260)이 바로 연결하는 것도 가능하다.
분무파이프(250)는 전술한 해수공급부(230) 및 압축공기공급부(240)와 연결되어 있으며, 그 위에는 복수의 분무노즐(260)이 장착된다. 분무파이프(250) 내에는 해수분배라인(미도시) 및 압축공기분배라인(미도시)이 구비되어 있어서, 분무파이프(250)에 공급된 해수 및 압축공기가 복수의 분무노즐(260)에 고르게 분배된다.
본 명세서의 도면에서 분무파이프(250)는 1개 구비되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분부파이프(250)의 개수는 2개, 3개, 4개 등으로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의 도면에서 분무파이프(250)는 대략 네모 모양이지만 그 모양은 직선형, L자형 등으로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복수의 분무노즐(260)은 해수공급부(230) 및 압축공기공급부(240)로부터 해수 및 압축공기를 각각 공급받아 해무를 생성 및 분사하는 구성이다.
예로써 분무노즐(260)은 도 7에 예시된 구조를 갖는 것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분무노즐(260)은 몸체(261) 내에 해수유입로(262), 공기유입로(263), 분사챔버(264) 및 복수의 오리피스(265)가 형성된 구조를 가지며, 분사챔버(264)로 공급된 압축공기에 의해 분사챔버(264)로 유입된 해수가 복수의 오리피스(265)로 미세방울 상태(안개 상태)로 공급되는 방식으로 작동하는 것일 수 있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거름망체(300)는 취수구(220)를 둘러싸도록 부유구조물(100)의 하측에 설치됨으로써 취수구(220) 안으로 비교적 큰 사이즈의 이물질들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거름망체(300)가 없는 경우 해수구(220) 안으로 해조류 등의 이물질이 유입되어 해수공급라인이 막히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될 수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거름망체(300)가 구비되어 있으므로 그러한 문제점이 방지된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상술한 구조의 해무발생장치(1)의 동작에 대해 간략히 정리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해양신재생플랜트(10)로부터 생산된 동력(전기에너지 또는 유압에너지)을 이용하여 해수공급부(230) 및 압축공기공급부(240)가 작동한다.
해수공급부(230)가 작동함에 따라 취수구(220)를 통해 해수가 유입되어 복수의 분무노즐(260)에 공급되는 한편, 압축공기공급부(240)가 작동함에 따라 복수의 분무노즐(260)에 압축공기가 공급된다.
해수 공급 과정에서 거름망체(300) 및 필터유닛(233)에 의해 다양한 크기의 이물질들이 걸러질 수 있다.
해수 및 압축공기가 공급된 복수의 분무노즐(260)에서 해수가 미세방울로 변환되어 해무 형태로 대기 중으로 분사됨으로써, 대기 중의 미세먼지가 그 해무를 통해 저감된다.
1 : 해무발생장치
10 : 해양신재생플랜트
100 : 부유구조물
110 : 베이스프레임
120 : 부력체
200 : 해무발생모듈
210 : 상판
220 : 취수구
230 : 해수공급부
231 : 케이싱
232 : 워터부스터
233 : 필터유닛
240 : 압축공기공급부
241 : 케이싱
242 : 에어컴프레셔
243 : 에어탱크
250 : 분무파이프
260 : 분무노즐

Claims (8)

  1. 해양신재생플랜트 기반 미세먼지 저감용 해무발생장치(1)로서,
    해양신재생플랜트(10)에 인접하여 해수면에 뜨게 설치된 부유구조물(100); 및
    상기 부유구조물(100) 상에 설치되며, 상기 해양신재생플랜트(10)에서 생산되는 에너지를 이용하여 해무를 생성하고 이를 대기 중으로 분사하는 해무발생모듈(200);을 포함하며,
    상기 해무발생모듈(200)은
    해수가 유입되는 취수구(220);
    상기 취수구와 연결되며 상기 에너지에 의해 작동하는 해수공급부(230);
    상기 에너지에 의해 작동하는 공기공급부(240); 및
    상기 해수공급부(230) 및 상기 공기공급부(240)로부터 해수 및 공기를 각각 공급받아 해무를 생성 및 분사하는 복수의 분무노즐(260);을 포함하는,
    해무발생장치.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해수공급부(230)는
    상기 해수를 상기 복수의 분무노즐(260)에 소정의 압력으로 공급하기 위한 워터부스터(232)); 및
    상기 취수구(220)와 상기 워터부스터(232) 사이에 연결되어 이물질을 걸러내는 필터유닛(233);을 포함하는,
    해무발생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공기공급부(240)는
    에어컴프레셔(242); 및
    상기 에어컴프레셔(242)에 의해 저장되는 압축공기를 상기 복수의 분무노즐(260)에 공급하는 에어탱크(243);를 포함하는,
    해무발생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해무발생모듈(200)은 적어도 하나의 분무파이프(250)를 포함하며,
    상기 분무파이프(250)에 상기 복수의 분무노즐(260)이 장착되는,
    해무발생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취수구(220)를 둘러싸도록 상기 부유구조물(100)의 하측에 설치된 거름망체(300)를 포함하는,
    해무발생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부유구조물(100)은
    상기 해무발생모듈을 지지하는 베이스프레임(110); 및
    상기 베이스프레임(110)의 하측에 부착된 적어도 하나의 부력체(120);를 포함하는,
    해무발생장치.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에너지는 전기에너지 또는 유압에너지인,
    해무발생장치.
KR1020190037671A 2019-04-01 2019-04-01 해양신재생플랜트에 기반한 미세먼지 저감용 해무발생장치 KR1022111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7671A KR102211139B1 (ko) 2019-04-01 2019-04-01 해양신재생플랜트에 기반한 미세먼지 저감용 해무발생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7671A KR102211139B1 (ko) 2019-04-01 2019-04-01 해양신재생플랜트에 기반한 미세먼지 저감용 해무발생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16220A KR20200116220A (ko) 2020-10-12
KR102211139B1 true KR102211139B1 (ko) 2021-02-01

Family

ID=728864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37671A KR102211139B1 (ko) 2019-04-01 2019-04-01 해양신재생플랜트에 기반한 미세먼지 저감용 해무발생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11139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7331Y1 (ko) 2005-11-19 2006-01-26 거성에이티엘(주) 부력 분수
KR100631079B1 (ko) 2005-03-21 2006-10-04 레인보우스케이프주식회사 부양식 분수대
KR100962708B1 (ko) 2009-11-30 2010-06-11 (주)대기산업 해양부상 분수장치
KR101669791B1 (ko) 2016-04-07 2016-10-26 강석관 인공강우 생성 및 미세먼지 저감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19784B1 (ko) * 2010-12-03 2013-01-09 주식회사 미주코리아 수질정화기능을 갖는 분수대
KR20180127766A (ko) 2017-05-22 2018-11-30 유장호 황사 또는 미세먼지 저감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31079B1 (ko) 2005-03-21 2006-10-04 레인보우스케이프주식회사 부양식 분수대
KR200407331Y1 (ko) 2005-11-19 2006-01-26 거성에이티엘(주) 부력 분수
KR100962708B1 (ko) 2009-11-30 2010-06-11 (주)대기산업 해양부상 분수장치
KR101669791B1 (ko) 2016-04-07 2016-10-26 강석관 인공강우 생성 및 미세먼지 저감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16220A (ko) 2020-10-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960636A (zh) 一种能集聚的多功能组合式海洋发电平台及集聚群
CN210592333U (zh) 一种防生物附着海洋浮标
KR102197606B1 (ko) 부유물 청소 및 녹조방지장치
KR101219784B1 (ko) 수질정화기능을 갖는 분수대
EP1713979B1 (en) Wave energy plant for electricity generation
CN115638083A (zh) 具有流体供应组件的海上风力涡轮机
KR102211139B1 (ko) 해양신재생플랜트에 기반한 미세먼지 저감용 해무발생장치
WO2010025532A2 (en) Plant for electricity generation and/or desalination by water current turbines
KR101466465B1 (ko) 발전장치 및 담수화장치 일체형 플로팅 설비
CN1800629A (zh) 海洋波能发电装置
US7578126B2 (en) Wave power installation
CN215365107U (zh) 一种太阳能净化式组合生态浮岛
CN214693507U (zh) 一种汽提紫外耦合喷灌式生态净水装置
CN101559992A (zh) 海洋中的淡水泉
RU2770360C1 (ru) Способ опреснения морской воды
AU2007231797A1 (en) Desalination and power generation plant
CN115638082A (zh) 带有包括清洁单元的流体供应组件的海上风力涡轮机
WO1998001676A1 (fr) Dispositif a emulsion servant a purifier de l'eau et a generer de l'energie
CN102976540A (zh) 塔式太阳能-风能海水汽化制水设备
KR20120122359A (ko) 수중 회전체의 유기물 부착 방지장치
CN215586950U (zh) 一种可调距的水面成套浮排喷射设备
KR101036508B1 (ko) 기포 부력을 이용한 발전장치
CN111439844A (zh) 一种生态景观水质净化装置及其净化方法
CN106045114B (zh) 一种基于反渗透海水淡化技术的淡水储备站
CN217323577U (zh) 一种漂浮式太阳能曝气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