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10432B1 - 동물용 임플란트 - Google Patents

동물용 임플란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10432B1
KR102210432B1 KR1020180131538A KR20180131538A KR102210432B1 KR 102210432 B1 KR102210432 B1 KR 102210432B1 KR 1020180131538 A KR1020180131538 A KR 1020180131538A KR 20180131538 A KR20180131538 A KR 20180131538A KR 102210432 B1 KR102210432 B1 KR 1022104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wer member
upper member
implant
protrusion
recei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315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48905A (ko
Inventor
김정성
서정우
심보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비트러스트메디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비트러스트메디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비트러스트메디텍
Priority to KR10201801315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10432B1/ko
Publication of KR202000489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489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104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104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30Joints
    • A61F2/38Joints for elbows or knees
    • A61F2/3859Femoral compon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30Joints
    • A61F2/32Joints for the hip
    • A61F2/36Femoral heads ; Femoral endoprostheses
    • A61F2/3609Femoral heads or necks; Connections of endoprosthetic heads or necks to endoprosthetic femoral shaf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30Joints
    • A61F2/38Joints for elbows or knees
    • A61F2/3836Special connection between upper and lower leg, e.g. constrain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30Joints
    • A61F2/38Joints for elbows or knees
    • A61F2/3877Patellae or trochlea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30Joints
    • A61F2002/30001Additional features of subject-matter classified in A61F2/28, A61F2/30 and subgroups thereof
    • A61F2002/30003Material related properties of the prosthesis or of a coating on the prosthesis
    • A61F2002/3006Properties of materials and coating materials
    • A61F2002/3008Properties of materials and coating materials radio-opaque, e.g. radio-opaque mark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30Joints
    • A61F2002/30001Additional features of subject-matter classified in A61F2/28, A61F2/30 and subgroups thereof
    • A61F2002/30667Features concerning an interaction with the environment or a particular use of the prosthesis
    • A61F2002/307Prostheses for anim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30Joints
    • A61F2/38Joints for elbows or knees
    • A61F2/3859Femoral components
    • A61F2002/3863Condyles fitted on an anchored bas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Transplantation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ard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 Prosthe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동물용 임플란트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슬개골(Patella) 아래의 대퇴골(Femur)에 스크류으로 부착되는 하부부재와, 상기 하부부재과 결합하는 상부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부재는 상기 대퇴골의 활차홈(Trochlear Groove)을 형성하는 상부와, 상기 하부부재와 상응하는 형상을 가지는 하부를 포함하며, 상기 상부부재의 하부는 상기 하부부재가 삽입되도록 하는 하부부재 수용부를 포함하여 임플란트 전체의 두께를 절감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물용 임플란트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동물용 임플란트{Animal Implant}
본 발명은 동물용 임플란트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슬개골(Patella) 아래의 대퇴골(Femur)에 스크류으로 부착되는 하부부재와, 상기 하부부재과 결합하는 상부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부재는 상기 대퇴골의 활차홈(Trochlear Groove)을 형성하는 상부와, 상기 하부부재와 상응하는 형상을 가지는 하부를 포함하며, 상기 상부부재의 하부는 상기 하부부재가 삽입되도록 하는 하부부재 수용부를 포함하여 임플란트 전체의 두께를 절감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물용 임플란트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생활수준이 향상되고 가족구성원이 핵가족화됨에 따라 적적함을 달래고 정서적으로 안정감을 얻는 등 삶의 질을 높이기 위하여 많은 사람들이 애완동물을 기르고 있다. 특히, 애완동물 중에서도 애완견은 다른 동물에 비해 높은 지능과 적응력을 가지면서 주인과 교감하며 공존하는 능력이 뛰어나기 때문에, 애완견을 기르는 사람들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애완견을 취미 등으로 키우는 단순한 동물이 아닌 가족의 일 구성원으로 인식하면서 반려견으로서의 유대감과 동질감을 느끼는 애견문화가 일반화되어 가고 있는 추세이다.
한편, 아파트로 대표되는 주거문화의 변화에 따라 애완견을 마당과 같은 실외보다는 주로 실내에서 가족들과 함께 생활하면서 기르게 되며, 그에 따라 애완견으로는 예컨대 말티즈, 포메라니안, 푸들, 치와와 등과 같은 작은 소형견들이 주를 이루게 되는데, 이러한 소형견들은 대부분 선천적으로 슬개골이 고정되어 있는 움푹 파인 홈(활차홈: Trochlear Groove)의 깊이가 낮아서 무릎관절(슬관절)의 탈구가 더 잘 일어날 수 있다. 또한, 애완견(특히 소형견)은 대부분의 시간을 실내에서 생활하는데, 미끄러운 마루바닥에서의 생활, 침대나 소파에서 뛰어오르고 뛰어내리는 행동, 안아달라거나 할 때 두발로 서는 행동 등은 무릎관절 탈구의 후천적 원인이 되고 무릎관절 탈구의 증상을 악화시킨다.
도1은 무릎관절에 관한 도면으로서 본 발명과 관련된 동작에 관련된 관절의 요소들만이 도시되어 있다. 도1을 참조하면, 무릎관절(71)은 대퇴골(72), 경골(73), 슬개골(74)을 포함한다. 슬개골(74)의 뒷면은 4mm 내지 6mm 두께의 연골로 덮여 있으며, 무릎을 신전시키는 과정에서 대퇴골(72)의 끝의 둥근 돌기 전방에 위치하며 활차홈(725) 내에서 위 아래로 이동하면서 대퇴사두근의 무릎을 펴주는 힘을 향상시켜준다. 슬개골 인대(75)는 슬개골(74)의 하방에서 경골(73) 상단의 융기에 부착되어 슬개골(74)과 경골(73)을 이어주는 인대로서 무릎을 신전시키는 기능을 한다.
도2a 내지 도2c는 도1의 A-A평면을 따른 무릎관절의 단면도이다. 활차홈(725) 자체는 슬개골(74)을 제 위치에 유지하고 대퇴골(72) 상에서 슬개골(74)의 적절한 이동을 허용하는 고유한 형상을 가진다. 상기 도1의 대퇴골(72)은 활차홈(725)의 내측(M: Medial)과 외측(L: Lateral)으로 연장되는 볼록부(723, 724)를 가진다. 도2a는 정상상태의 무릎관절의 단면도로서, 슬개골(74)은 활차홈(725) 내에서 제 위치를 유지하고 있다. 도2b는 내측(M) 볼록부(723)의 손상이나 과도한 마모로 인하여 슬개골(74)이 내측(M) 방향으로 미끄러져서 활차홈(725) 내에서의 제 위치를 이탈한 상태를 보여준다. 도2c는 외측(L) 볼록부(724)의 손상이나 과도한 마모로 인하여 슬개골(74)이 외측(L) 방향으로 미끄러져서 활차홈(725) 내에서의 제 위치를 이탈한 상태를 보여준다. 이러한 손상은 정상적인 관절운동을 불가능하게 만들 수 있으며, 이를 치료하는 방법으로는 운동이나 약물치료 등을 이용한 보존적 치료와 수술적 치료가 있고, 수술적 치료의 한 방법으로서 손상된 관절을 플라스틱과 금속으로 대체하는 인공관절 치환술이 각광받고 있다.
도3 내지 도6은 인공관절 치환술에 사용되는 임플란트에 관한 도면으로, 이는 미국특허공개공보 US2012/0209395A1(2012.08.16)에 개시되어 있다. 도3은 임플란트가 삽입된 무릎관절의 측면도이고, 도4는 임플란트가 삽입된 무릎관절의 일부 정면도이고, 도5는 임플란트를 구성하는 하부부재의 사시도, 도6은 임플란트를 구성하는 상부부재의 측면도(a), 정면도(b), 저면도(c)이다.
도3 내지 도6을 참조하면, 인공관절 치환은 손상된 부위인 슬개골 아래의 대퇴골을 평면 절단(700)하여 제거하고, 상기 평면 절단부 상에 하부부재(94)를 대퇴골 내로 삽입하고, 상부부재(93)를 상기 하부부재(94)에 결합함으로써 손상된 관절을 임플란트가 대체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무릎관절 임플란트는 그 구조상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존재한다.
첫째는, 하부부재(94)의 상측에 상부부재(93)가 그대로 위치하여 결합하므로, 임플란트 전체의 두께가 두꺼워지는 문제가 있다. 이와 같이 두께가 두꺼운 임플란트를 삽입하게 되면, 임플란트의 활차홈에 위치하게 되는 슬개골은 돌출되게 되고, 이로 인하여 슬개골(74)과 경골(73)을 이어주는 슬개골 인대(75)는 팽팽한 상태가 되어 슬개골 인대(75)가 손상되거나 무릎을 신전시키는 기능을 다 할 수 없게 된다. 이러한 문제를 회피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대퇴골(72)의 골 삭제량을 늘이는 방법을 생각해 볼 수도 있겠으나, 이는 회복속도를 더디게 할 뿐만 아니라, 슬개-대퇴관절 기능의 변경을 일으키는 부작용을 야기하며, 또한 애완동물인 소형견이나 고양이 등 골이 작은 소형동물에 대하여는 적용하기 어려운 방법이다.
둘째는, 하부부재(94)과 상부부재(93)의 결합방식이 상부부재에 포함된 페그(932)와 하부부재에 포함된 홀(942)이 결합되는 방법으로 이루어지는데, 이러한 결합은 결합면이 불연속이어서 페그(932)와 홀(942)의 결합위치가 어긋날 염려가 있고, 또한 제 위치에서 결합이 이루어지더라도 결합이 견고하지 못하고 그 결과 하부부재(94)로부터 상부부재(93)가 분리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셋째는, 하부부재(94)을 대퇴골의 절단면(700)에 결합하는 스크류(95)의 헤드가 하부부재(94) 상측으로 일부 돌출되는 경우에 하부부재(94)와 상부부재(93) 사이의 간격을 발생시키고, 이 간격은 하부부재(94)와 상부부재(93)의 불완전한 결합을 야기시키며 임플란트 전체의 두께를 두꺼워지게 하는 요인이 되고, 전술한 바와 같이 두께가 두꺼운 임플란트는 골이 작은 소형동물에 대하여는 인공관절 치환술을 적용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상부부재의 하부는 하부부재가 삽입되도록 하는 하부부재 수용부를 포함하여 임플란트 전체의 두께를 절감시키는 동물용 임플란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임플란트 전체의 두께를 절감시켜 골이 작은 소형동물에도 임플란트 치환술을 용이하게 적용 가능한 동물용 임플란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하부부재의 측판은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부재의 측판수용면은 상기 돌기가 압입결합되는 돌기 수용홈을 포함하여, 상기 하부부재와 상기 상부부재의 결합이 견고한 동물용 임플란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돌기와 상기 돌기 수용홈은 곡면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돌기가 형성하는 곡면의 곡률반경이 상기 돌기 수용홈이 형성하는 곡면의 곡률반경보다 짧은 것을 특징으로 하여, 상기 하부부재와 상기 상부부재의 결합이 견고한 동물용 임플란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돌기와 상기 돌기 수용홈은 좌우 대칭으로 형성되어 결합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상기 하부부재와 상기 상부부재의 결합이 견고한 동물용 임플란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하부부재는 상기 상부부재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상부부재의 상부가 형성하는 활차홈의 깊이를 표시하는 활차홈 표시부를 포함하여, 임플란트의 시술이 완료된 뒤에 X-ray 촬영영상에서 상기 활차홈의 깊이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동물용 임플란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상부부재는 표시공을 포함하고, 상기 동물용 임플란트는 상기 표시공에 끼움결합되는 X-ray 비투과성 소재로 형성된 표시봉을 포함하여, X-ray 촬영영상에서 상기 상부부재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는 동물용 임플란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상부부재는 상기 스크류의 헤드가 삽입되도록 하는 체결수단 수용면을 포함하여, 상기 스크류의 헤드가 상기 하부부재 하판 위로 돌출되더라도 상기 하부부재와 상기 상부부재 사이의 간격 발생을 방지하는 동물용 임플란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하부부재는 대퇴골에 상기 하부부재를 스크류로 부착하기 위한 복수의 결합공을 포함하고, 상기 결합공은 경사면를 포함하여 상기 하부부재가 상기 대퇴골에 부착되었을때 상기 스크류의 헤드가 상기 하부부재의 상부 표면 위로 돌출되지 않도록 하는 동물용 임플란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부부재와 하부부재 각각의 측부면에 오목하게 형성된 파지홈을 포함하여, 임플란트 시술과정에 있어서 골이 작은 소형동물에 부착되는 소형의 상기 상부부재와 하부부재를 시술도구로 용이하게 파지할 수 있는 동물용 임플란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부부재를 저 마찰 재료로 형성하거나, 적어도 상기 상부부재의 일부분인 상면은 저 마찰 재료로 코팅하여, 상기 상부부재의 상면에서 낮은 마찰면이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상부부재가 형성하는 활차홈 내에서 슬개골과의 마찰로 인한 열 생성을 열 괴사 임계 이하로 유지할 수 있는 동물용 임플란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앞서 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다음과 같은 구성을 가진 실시예에 의해서 구현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슬개골(Patella) 아래의 대퇴골(Femur)에 스크류로 부착되는 하부부재와, 상기 하부부재와 결합하는 상부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부재는 상기 대퇴골의 활차홈(Trochlear Groove)을 형성하는 상부와, 상기 하부부재와 상응하는 형상을 가지는 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상부부재의 하부는 상기 하부부재가 삽입되도록 하는 하부부재를 수용하는 하부부재 수용부를 포함하여 임플란트 전체의 두께를 절감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하부부재는 슬개골 아래의 대퇴골을 평면 절단한 면과 접합하는 하판과, 상기 하판의 양 측면에서 각각 상측 직각방향으로 절곡연장된 측판을 포함하고, 상기 상부부재의 하부는 슬개골 아래의 대퇴골을 평면 절단한 면과 접합하는 골접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하부부재 수용부는 상기 골접합부에서 상측으로 절곡 연장되고 이어서 수평방향으로 절곡 연장되어 형성된 하판수용면을 포함하여 상기 하부부재의 하판이 상기 하판수용면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하부부재 수용부는 상기 하판수용면에서 상측 직각방향으로 절곡연장된 측판수용면을 포함하여 상기 하부부재의 측판이 상기 측판수용면에 삽입되어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측판은 내측면에 돌출되어 형성된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부재의 측판수용면은 상기 돌기와 상응하는 형상으로 내측으로 함입된 돌기 수용홈을 포함하여, 상기 돌기가 상기 돌기 수용홈에 압입되어 결합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돌기와 상기 돌기 수용홈은 곡면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돌기가 형성하는 곡면의 곡률반경이 상기 돌기 수용홈이 형성하는 곡면의 곡률반경보다 짧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돌기와 상기 돌기 수용홈은 좌우 대칭으로 형성되어 견고한 결합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측판은 상기 상부부재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상부부재의 상부가 형성하는 활차홈의 깊이를 표시하는 활차홈 표시부를 포함하고, 상기 하부부재는 X-ray 비투과성 소재이고, 상기 상부부재는 X-ray 투과성 소재로 형성되어 X-ray 촬영영상에서 상기 활차홈의 깊이를 확인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상부부재는 표시공을 포함하고, 상기 동물용 임플란트는 상기 관통공에 끼움결합되는 X-ray 비투과성 소재로 형성된 표시봉을 포함하여, X-ray 촬영영상에서 상기 상부부재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상부부재의 하부부재 수용부는 상기 스크류의 헤드가 삽입되도록 하는 체결수단 수용면을 포함하여, 상기 스크류의 헤드가 상기 하부부재 하판 위로 돌출되더라도 상기 하부부재와 상기 상부부재 사이의 간격 발생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하판은 상기 대퇴골에 상기 하부부재를 스크류로 부착하기 위한 복수의 결합공을 포함하고, 상기 결합공은 경사면을 포함하여 상기 하부부재가 상기 대퇴골에 부착되었을 때 상기 스크류의 헤드가 상기 하부부재의 하판 위로 돌출되지 않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상부부재는 측부 외면에 오목하게 형성된 파지부를 포함하여, 동물용 임플란트 시술과정에 있어서 시술도구로 상기 상부부재를 용이하게 파지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측판은 외면에 오목하게 형성된 파지부를 포함하여, 동물용 임플란트 시술과정에 있어서 시술도구로 상기 하부부재를 용이하게 파지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앞서 본 실시예와 하기에 설명할 구성과 결합, 사용관계에 의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은, 상부부재의 하부는 하부부재가 삽입되도록 하는 하부부재 수용부를 포함하여 임플란트 전체의 두께를 절감시키는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은, 임플란트 전체의 두께를 절감시켜 골이 작은 소형동물에도 임플란트 치환술을 용이하게 적용 가능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 하부부재의 측판은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부재의 측판수용면은 상기 돌기가 압입결합되는 돌기 수용홈을 포함하여, 상기 하부부재과 상기 상부부재의 결합이 견고한 효과를 도출한다.
본 발명은, 상기 돌기와 상기 돌기 수용홈은 곡면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돌기가 형성하는 곡면의 곡률반경이 상기 돌기 수용홈이 형성하는 곡면의 곡률반경보다 짧은 것을 특징으로 하여, 상기 하부부재와 상기 상부부재의 결합이 견고한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은, 상기 돌기와 상기 돌기 수용홈은 좌우 대칭으로 형성되어 결합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상기 하부부재와 상기 상부부재의 결합이 견고한 효과를 도출한다.
본 발명은, 상기 하부부재는 상기 상부부재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상부부재의 상부가 형성하는 활차홈의 깊이를 표시하는 활차홈 표시부를 포함하여, 임플란트의 시술이 완료된 뒤에 X-ray 촬영영상에서 상기 활차홈의 깊이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상부부재는 표시공을 포함하고, 상기 동물용 임플란트는 상기 관통공에 끼움결합되는 X-ray 비투과성 소재로 형성된 표시봉을 포함하여, X-ray 촬영영상에서 상기 상부부재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은, 상기 상부부재의 결합부는 상기 스크류의 헤드가 삽입되도록 하는 체결수단 수용면을 포함하여, 상기 스크류의 헤드가 상기 하부부재의 하판 위로 돌출되더라도 상기 하부부재와 상기 상부부재 사이의 간격 발생을 방지하는 효과를 도출한다.
본 발명은, 하부부재는 대퇴골에 상기 하부부재를 스크류로 부착하기 위한 복수의 결합공을 포함하고, 상기 결합공은 경사면를 포함하여 상기 하부부재가 상기 대퇴골에 부착되었을때 상기 스크류의 헤드가 상기 하부부재의 하판 위로 돌출되지 않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상부부재와 하부부재 각각의 측부면에 오목하게 형성된 파지홈을 포함하여, 임플란트 시술과정에 있어서 골이 작은 소형동물에 부착되는 소형의 상기 상부부재와 하부부재를 시술도구로 용이하게 파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은, 상부부재를 저 마찰 재료로 형성하거나, 적어도 상기 상부부재의 일부분인 상면은 저 마찰 재료로 코팅하여, 상기 상부부재의 상면에서 낮은 마찰면이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상부부재가 형성하는 활차홈 내에서 슬개골과의 마찰로 인한 열 생성을 열 괴사 임계 이하로 유지할 수 있는 효과를 도출한다.
도 1은 무릎 관절의 측면도
도 2a는 정상 상태의 도1의 A-A평면을 따른 슬개골-대퇴 연결부의 단면도
도 2b는 대퇴연골의 내측 마모 또는 손상상태에서 도1의 A-A평면을 따른 슬개골-대퇴 연결부의 단면도
도 2c는 대퇴연골의 외측 마모 또는 손상상태에서 도1의 A-A평면을 따른 슬개골-대퇴 연결부의 단면도
도 3은 종래의 임플란트가 삽입된 무릎관절의 측면도
도 4는 종래의 임플란트가 삽입된 무릎관절의 일부 정면도
도 5는 종래의 임플란트를 구성하는 하부부재의 사시도
도 6은 (a)는 종래의 임플란트를 구성하는 상부부재의 측면도, (b)는 종래의 임플란트를 구성하는 상부부재의 정면도, (c)는 종래의 임플란트를 구성하는 상부부재의 저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임플란트의 사시도
도 8은 도 7의 분해사시도
도 9는 하부부재의 상측 사시도
도 10은 상부부재의 하측 사시도
도 11은 도7의 A-A 절단면에 따른 평단면도
도 12는 도7의 B-B 절단면에 따른 정단면도
도 13은 도7의 C-C 절단면에 따른 측단면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동물용 임플란트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들은 가능한 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들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특별한 정의가 없는 한 본 명세서의 모든 용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기술자가 이해하는 당해 용어의 일반적 의미와 동일하고 만약 본 명세서에 사용된 용어의 의미와 충돌하는 경우에는 본 명세서에 사용된 정의에 따른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임플란트의 전면사시도이고, 도 8은 도 7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7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인 동물용 임플란트는, 손상된 무릎관절에 관한 수술적 치료의 한 방법으로서 인공관절 치환술에 사용되는 임플란트에 관한 것으로서, 스크류(5)와, 슬개골(Patella) 아래의 대퇴골(Femur)을 평면 절단하여 제거하고 상기 평면 절단부 상에 상기 스크류(5)로 부착되는 하부부재(1)와, 상기 하부부재(1)와 결합하여 절단된 대퇴골의 활차홈을 대신하여 슬개골을 수용하는 상부부재(3)와, X-ray 촬영영상에서 상기 상부부재의 위치를 표시하는 표시봉(6)을 포함한다.
도 9는 하부부재의 상측 사시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하부부재(1)는, 인공관절 치환술에 사용되는 임플란트를 대퇴골의 절단면에 부착하기 위한 구성으로, 절단부와 접하는 하판(11)과, 상부부재(3)와 결합을 형성하는 한 쌍의 측판(13)을 포함한다. 상기 하부부재(1)는 인간 또는 동물의 몸에 이식하기 위한 임의의 물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뼈와의 양호한 접착성을 제공하는 재료로서 금속으로 이루어지거나 뼈의 성장 또는 뼈의 성장을 위해 모양을 만들거나 코팅될 수 있다.
상기 하판(11)은 전체적으로 평평한 형상으로서, 하면은 대퇴골의 절단면과 접하게 되고 상면은 상부부재(3)와 접하며, 대퇴골의 절단면에 스크류(5)로 부착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결합공(111)을 포함한다.
상기 결합공(111)은 대퇴골에서 손상된 활차홈이 절단되어 제거된 대퇴골의 절단면에 상기 하부부재(1)를 스크류(5)로 부착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적어도 2개 이상의 복수의 결합공(111)이 구비된다. 상기 결합공(111)은 상기 하부부재(1)가 상기 대퇴골의 절단면에 상기 스크류(5)로 부착되었을 때, 상기 스크류(5)의 헤드가 상기 하부부재(1)의 하판(11) 위로 돌출되지 않고 상기 하판(11)의 높이로 함몰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스크류(5)의 헤드와 상응하는 형상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를 위하여 결합공(111)의 둘레가 스크류 헤드의 경사와 동일한 각도를 가지는 경사면(1111)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측판(13)은 한 쌍이며, 상기 하판(11)의 양 측면에서 각각 상측 직각방향으로 절곡연장되어 상기 하부부재(1)의 정면도가 "凹" 모양으로 형성되도록 하는 구성으로서, 임플란트 시술과정에 있어서 시술도구로 상기 하부부재(1)를 용이하게 파지할 수 있도록 하는 파지부(131)와, 상부부재(3)와 결합을 형성하는 돌기(132)와, 임플란트 시술이 완료된 뒤에 X-ary 촬영영상에서 상부부재(3)의 상부(31)가 형성하는 활차홈의 깊이를 확인할 수 있는 활차홈 표시부(133)를 포함한다.
상기 하부부재의 파지부(131)는 상기 하부부재(1)의 측판(13) 외면에 오목하게 형성된 홈으로서, 임플란트 시술과정에 있어서 시술도구로 상기 하부부재(1)를 용이하게 파지할 수 있도록 한다. 특히 애완동물인 소형견이나 고양이 등 골이 작은 소형동물에 사용되는 임플란트는 그 크기가 작아서 시술도구로 상기 하부부재(1)를 파지할 때 어려움이 있는데, 본 발명은 시술도구로 임플란트를 용이하게 파지할 수 있는 홈을 제공함으로써 정교함이 요구되는 인공관절 치환술을 진행하는데 불편함이 없도록 하였다.
상기 돌기(132)는 각각의 측판(13)에서 좌우 대칭되는 위치에서 상기 측판(13)의 내면으로부터 내측 공간으로 돌출되어 곡면을 이루고 형성되며, 후술할 상부부재(3)의 하부(33)에 포함된 돌기 수용홈(33221)에 압입됨으로써 상기 상부부재(3)가 하부부재(1)와 결합을 이루는 결합력을 제공한다.
종래의 임플란트는 하부부재(94)와 상부부재(93)의 결합방식이 상부부재에 포함된 페그(932)와 하부부재에 포함된 홀(942)이 결합되는 방법으로 이루어지는데(도5 내지 도6 참조), 이러한 결합은 결합면이 불연속이어서 페그(932)와 홀(942)의 결합위치가 어긋날 염려가 있고, 또한 제 위치에서 결합이 이루어지더라도 결합이 견고하지 못하고 그 결과 하부부재(94)와 상부부재(93)의 분리가 발생할 수 있는 문제가 있었다.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임플란트는 상기 하부부재(1)의 돌기(132)와 상기 상부부재(3)의 돌기 수용홈(33221)이 서로 상응하는 형상인 곡면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돌기((132)가 형성하는 곡면의 곡률반경이 상기 돌기 수용홈(33221)이 형성하는 곡면의 곡률반경보다 짧은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돌기(132)와 상기 돌기 수용홈(33221)은 좌우 대칭되는 위치에서 형성되고, 상기 하부부재(1)는 금속으로 형성되고, 상기 상부부재(3)는 Peek 소재로 형성되는바, 각각의 상기 돌기(132)가 상기 돌기 수용홈(33221)에 압입되어 견고한 결합력을 형성하게 된다. 도 11에서 돌기(132)와 돌기 수용홈(33221)의 결합면을 확대한 부분은 상기 돌기(132)가 상기 돌기 수용홈(33221)에 압입되어 결합을 형성하는 것을 보여주고 있는데, 점선 부분은 돌기 수용홈(33221)의 본래의 형상이고, 실선 부분은 상기 돌기(132)가 상기 돌기 수용홈(33221)에 압력을 가하여 상기 돌기 수용홈(33221)의 형상이 돌기(132)의 형상과 같은 형상으로 변형되어 압입결합이 이루어지는 것을 도시한 것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활차홈 표시부(133)는 상기 하부부재(1)의 측판(13)의 상면에서 아래방향으로 절곡연장되고 이어서 수평방향으로 절곡연장된 면으로서, 상부부재(3)의 상부(31)가 형성하는 활차홈의 깊이와 일치되도록 형성되어, 임플란트의 시술이 완료된 뒤에 X-ray 촬영영상에서 상부부재(3)의 상부(31)가 형성하는 활차홈의 깊이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임플란트의 시술이 완료된 뒤에 시술결과를 확인하는 과정에서 X-ray 촬영영상을 통하여 활차홈의 깊이를 확인할 필요가 발생하는데, 본 발명은 상부부재(3)를 X-ray 투과성 물질로 구성하고, 하부부재(1)를 X-ray 비투과성 물질로 구성함과 동시에 상부부재(3)의 상부(31)가 형성하는 활차홈의 깊이와 일치되도록 형성되는 활차홈 표시부(133)를 포함하여, X-ray 촬영영상에서 상기 활차홈 표시부(133)를 통하여 간접적으로 활차홈의 깊이를 확인할 수 있다.
도 10은 상부부재의 하측 사시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상부부재(3)는 X-ray 투과성 소재로 구성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PEEK(PolyarylEtherEtherKetone) 소재로 구성될 수 있고, 대퇴골의 활차홈을 형성하는 상부(31)와, 하부부재와 상응하는 형상을 가지는 하부(33)와, 측면을 형성하는 측부(35)와, 표시봉(6)이 삽입되는 표시공(37)을 포함한다.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상부(31)는 절단된 대퇴골의 활차홈을 대신하여 슬개골을 수용하는 부분으로, 대퇴골의 활차홈의 형상에 상응하는 형상을 가지며 임플란트 시술 뒤에 상기 슬개골은 상기 상부부재의 상부(31)가 형성하는 활차홈 내에서 미끄러지고, 슬개골 인대는 상기 슬개골의 하방에서 경골 상단의 융기에 부착되어 슬개골과 경골을 이어주며 무릎을 신전시키는 기능을 하게 된다. 상기 상부부재의 상부(31)가 형성하는 활차홈 내에서 슬개골과의 마찰로 인한 열 생성을 열 괴사 임계 이하로 유지하기 위하여, 상기 상부부재의 상부(31)는 낮은 마찰면이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상부부재의 하부(33)는 하부부재(1)와 접하고 대퇴골의 절단면과 접하는 부분으로서, 골접합부(331), 하부부재 수용부(332)를 포함한다.
상기 골접합부(331)는 슬개골 아래의 대퇴골을 평면 절단한 면과 접하는 부분으로서, 평평한 형상을 가지며, 하부부재(1)와 상부부재(3)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골접합부(331)와 하부부재의 하판(11)은 동일 평면에서 상기 대퇴골을 평면 절단한 면과 접하게 된다.
상기 하부부재 수용부(332)는 하부부재(1)가 삽입되도록 하는 하부부재를 수용하는 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하부부재(1)의 돌기(132)와 결합이 이루어지는 부분으로서, 하판수용면(3321), 측판수용면(3322), 체결수단 수용면(3323)에 의해 규정된다.
상기 하판수용면(3321)은 골접합부(331)에서 상측으로 절곡 연장되고 이어서 수평방향으로 절곡 연장되어 형성된 부분으로, 하부부재의 하판(11)을 수용하는 공간을 제공한다.
종래 임플란트는 하부부재의 상측에 상부부재가 그대로 위치하여 결합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져, 임플란트 전체의 두께가 두꺼워지는 문제가 있었다. 이와 같이 두께가 두꺼운 임플란트를 이용하여 인공관절 치환술을 시술하게 되면, 임플란트의 활차홈에 위치하게 되는 슬개골은 돌출되게 되고, 이로 인하여 슬개골과 경골을 이어주는 슬개골 인대는 팽팽한 상태가 되어 슬개골 인대가 손상되거나 무릎을 신전시키는 기능을 다할 수 없게 된다. 이러한 문제를 회피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대퇴골의 골 삭제량을 늘이는 방법을 생각해 볼 수도 있겠으나, 이는 회복속도를 더디게 할 뿐만 아니라, 슬개-대퇴관절 기능의 변경을 일으키는 부작용을 야기하며, 또한 애완동물인 소형견이나 고양이 등 골이 작은 소형동물에 대하여는 적용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이 제공하는 임플란트는 상부부재의 하부(33)에 하부부재(1)의 하판(11)이 삽입될 수 있도록 하는 하판수용면(3321)을 포함하여, 상기 하부부재(1)와 상기 상부부재(3)가 결합되었을 때 임플란트의 전체 두께를 얇게 함으로써, 종래의 임플란트가 가지고 있던 문제점인 인공관절 치환술 시술 뒤에 슬개골이 돌출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고, 슬개골이 돌출되는 문제를 회피하기 위한 골 삭제량을 늘리는 방법의 시술을 할 필요가 없으므로 애완동물인 소형견이나 고양이 등 골이 작은 소형동물에 대하여도 인공관절 치환술을 적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 하판수용면(3321)에 상기 하판(11)이 삽입된 구조는 도 13에서 확인할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측판수용면(3322)은 상기 하판수용면(3321)에서 상측 직각방향으로 절곡연장되어 형성된 부분으로, 하부부재의 측판(13)을 수용하는 공간을 제공한다. 본 발명이 제공하는 임플란트는 상기 하부부재(1)와 상기 상부부재(3)가 결합되었을 때 임플란트의 부피를 작게 함으로써, 애완동물인 소형견이나 고양이 등 골이 작은 소형동물에 대하여도 인공관절 치환술을 적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 측판수용면(3322)에 상기 측판(13)이 삽입된 구조는 도 12에서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측판수용면(3322)은 전술한 하부부재(1)의 돌기(132)와 대응하여, 상기 돌기(132)가 압입되어 결합될 수 있는 돌기 수용홈(33221)을 포함한다.
상기 돌기 수용홈(33221)은 각각의 측판수용면(3322)에서 좌우 대칭되는 위치에서 오목하게 형성된 홈으로써, 상기 돌기(132)의 형상과 상응하여 곡면의 형상을 가지되, 상기 돌기 수용홈(33221)이 형성하는 곡면의 곡률반경은 상기 돌기(132)가 형성하는 곡면의 곡률반경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하부부재(1)는 금속으로 형성되고, 상기 상부부재(3)는 Peek 소재로 형성되는바, 각각의 상기 돌기(132)가 상기 돌기 수용홈(33221)에 압입되어 견고한 결합력을 형성하게 된다.
상기 돌기(132)가 상기 돌기 수용홈(33221)에 압입되어 결합을 형성하는 구조는 도 11에서 확인할 수 있는데, 돌기(132)와 돌기 수용홈(33221)의 결합면을 확대한 부분은 상기 돌기(132)가 상기 돌기 수용홈(33221)에 압입되어 결합을 형성하는 것을 보여주고 있는데, 점선 부분은 돌기 수용홈(33221)의 본래의 형상이고, 실선 부분은 상기 돌기(132)가 상기 돌기 수용홈(33221)에 압력을 가하여 상기 돌기 수용홈(33221)의 형상이 돌기(132)의 형상과 같은 형상으로 변형되어 압입결합이 이루어지는 것을 도시한 것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체결수단 수용면(3323)은 스크류(5)의 헤드 형상에 대응되도록 상기 하판수용면(3321)에서 상측으로 함몰되어 형성된 부분으로, 대퇴골의 절단면에 하부부재(1)를 부착하는 스크류(5)의 헤드를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한다. 도 1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도 13에서 좌측의 스크류(5)는 임플란트 시술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져서 스크류(5)의 헤드가 하부부재(1)의 하판(11) 위로 돌출되지 않은 경우이고, 우측의 스크류(5)는 임플란트 시술이 비정상적으로 이루어져서 스크류(5)의 헤드가 하판(11) 위로 돌출되었지만 돌출된 스크류(5)의 헤드가 상기 체결수단 수용면(3323)에 삽입되어 수용됨으로써 상기 하부부재(1)와 상기 상부부재(3)의 결합의 간극 발생을 방지한 경우를 도시한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하부부재(1)에 형성된 복수의 결합공(111)은 각각 경사면(1111)을 포함하여 상기 하부부재(1)가 상기 대퇴골의 절단면에 상기 스크류(5)로 부착되었을때 상기 스크류(5)의 헤드가 상기 하부부재(1)의 하판(11) 위로 돌출되지 않고 함몰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정상적인 임플란트 시술과정에 있어서는 상기 스크류(5)의 헤드가 상기 하부부재(1)의 하판(11) 위로 돌출될 염려가 없어서, 상기 하부부재(1)와 상기 상부부재(3)의 결합면에 간극을 발생시키지 않는다. 그러나 잘못된 임플란트 시술이나 기타 다른 문제로 인하여 상기 스크류(5)의 헤드가 상기 하부부재(1)의 하판(11) 위로 돌출되는 경우에는 상기 하부부재(1)와 상기 상부부재(3)의 결합에 간극을 발생시키게 되고, 이는 상기 하부부재(1)와 상기 상부부재(3)의 결합을 약화시킬 수 있어서 분리 문제가 발생할 수 있고, 또한 상기 상부부재(3)가 분리되지 않더라도 임플란트 전체의 두께를 증가시키는 원인이 될 수 있다. 본 발명이 제공하는 임플란트는 이러한 상황에 대비하여 상기 상부부재의 하부(32)에 체결수단 수용면(3323)을 포함하여, 상기 스크류(5)의 헤드가 상기 하부부재(1)의 하판(11) 위로 돌출되더라도 돌출된 스크류(5)의 헤드가 상기 체결수단 수용면(3323)에 삽입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하부부재(1)와 상기 상부부재(3)의 결합면에 간극이 발생할 여지를 차단하는 효과가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측부(35)는 상부부재(3)의 측면을 형성하는 부분으로, 그 외면에 형성된 파지부(351)을 포함한다.
상기 파지부(351)는 상기 상부부재(3)의 측부(35) 외면에 오목하게 형성된 홈으로서, 임플란트 시술과정에 있어서 시술도구로 상기 상부부재(3)를 용이하게 파지할 수 있도록 한다. 특히 애완동물인 소형견이나 고양이 등 골이 작은 소형동물에 사용되는 임플란트는 그 크기가 작아서 시술도구로 상기 상부부재(3)를 파지할 때 어려움이 있는데, 본 발명은 시술도구로 임플란트를 용이하게 파지할 수 있는 홈을 제공함으로써 정교함이 요구되는 인공관절 치환술을 진행하는데 불편함이 없도록 하였다.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표시공(37)은 표시봉(6)이 삽입되는 공간으로, 임플란트 시술이 완료된 뒤에 X-ray 촬영영상에서 상기 표시봉(6)을 통하여 상기 상부부재(3)의 위치를 확인하기 위한 부분이다. 상기 표시공(37)의 위치가 특정부분으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시술자가 상기 X-ray 촬영영상에서 확인하고자 하는 상부부재(3)의 위치에 맞도록 상기 표시공(37)이 형성될 수 있다.
도 7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표시봉(6)은 X-ray 비투과성 소재로 형성되고 전술한 상부부재(3)의 표시공(37)에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표시공(37)과 상응하는 형상을 가진다. 상기 상부부재(3)가 X-ray 투과성 소재로 형성되는 경우에, 시술자는 X-ray 촬영영상에서 상기 상부부재(3)를 확인할 수 없는데, 상기 표시공(37)에 삽입된 표시봉(6)의 위치를 통하여, 상기 상부부재(3)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동물용 임플란트를 이용하여 슬관절 치환술을 시술하는 과정을 살펴보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개골(74) 아래의 대퇴골(72)의 말단을 직선 절단면(700)을 따라 절단하여 활차홈의 손상된 부분을 제거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단면(700)은 내측(M) 또는 외측(L) 연장부(723, 724)의 손상된 부분 아래에 위치하고, 절단면(700)은 상기 동물용 임플란트를 부착하기 위해 대퇴골(72)의 표면 상에 평평한 표면을 제공한다. 상기 대퇴골(72)이 절단된 후에 하부부재(1)는 상기 절단면(700)에 의하여 생성된 평평한 평면 상에 위치되고 상기 하부부재(1)는 스크류(5)로 대퇴골의 절단면에 부착된다. 대퇴골(72)의 절단은 대퇴골(72)의 표면만을 제거하기 때문에 상기 스크류(5)로 상기 하부부재(1)를 견고하게 부착하기 위한 실질적인 뼈가 남아 있다. 이 과정에서 본 발명이 제공하는 동물용 임플란트의 특징을 살펴보면,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하부부재의 결합공(111)이 경사면(1111)을 포함하여 스크류(5)의 헤드가 돌출되지 않고 상기 하부부재(1)의 하판(11)의 높이로 함몰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스크류(5)의 헤드가 일부 돌출되더라도 상기 하부부재(1)와 결합하는 상부부재(3)의 하부(32)에 체결수단 수용면(3323)을 마련하여 상기 하부부재(1)와 상기 상부부재(3) 결합사이의 간격 발생이 방지된다(도 13 참고).
다음 과정으로 상기 하부부재(1)가 대퇴골(72)의 절단면(700)에 부착된 뒤에 상부부재(3)가 상기 하부부재(1)와 결합하여 상기 상부부재(3)가 제 위치에 고정된다. 이 과정에서 본 발명이 제공하는 동물용 임플란트의 특징을 살펴보면,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상부부재(3)가 상기 하부부재(1)에 그대로 위치하여 결합하는 것이 아니라, 임플란트 전체의 두께를 줄이기 위하여 상기 상부부재(3)의 하부(33)는 상기 하부부재(1)가 삽입되어 결합할 수 있는 하부부재 수용부(332)를 포함함으로써 종래의 임플란트가 가지고 있던 골삭제량이 늘어나는 문제를 해결하였고, 따라서 본 발명이 제공하는 동물용 임플란트는 애완견이나 고양이 등 골이 작은 소형동물에 적용하는 경우에도 문제가 없도록 하였다. 또한, 상기 하부부재(1)의 돌기(132)와 상기 상부부재(3)의 하부부재 수용부(332)가 서로 상응하는 형상을 가지고 삽입되어 결합이 이루어짐으로써 견고한 결합을 이루게 되는데, 상기 돌기(132)가 상기 상부부재 하부부재 수용부(332)에 포함된 돌기 수용홈(33221)에 압입되어 결합함으로써, 상기 하부부재(1)와 상기 상부부재(3)가 견고하게 결합된다.
다음 과정으로 슬개골(74)은 상부부재(3)의 상부(31)이 형성하는 활차홈 내에 위치되고 임의의 인대 및 근육이 다시 부착됨으로써 임플란트 시술을 마치게 된다. 이 과정에서 본 발명이 제공하는 동물용 임플란트의 특징을 살펴보면,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상부부재(3)의 상부(31)에서 낮은 마찰면이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상부부재(3)가 형성하는 활차홈 내에서 슬개골(74)과의 마찰로 인한 열 생성을 열 괴사 임계 이하로 유지할 수 있다는데 특징이 있다.
또한, 임플란트 시술 전체 과정에 있어서, 본 발명이 제공하는 동물용 임플란트는 상부부재(3)와 하부부재(1) 각각의 측면에 오목하게 형성된 파지홈을 마련함으로써, 골이 작은 소형동물에 적용되는 소형의 상기 상부부재(3)와 하부부재(1)를 시술도구로 용이하게 파지할 수 있도록 하여 고도의 정교함이 요구되는 임플란트 시술을 진행하는데 어려움이 없도록 하였다는데 특징이 있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의 동물용 임플란트의 시술을 마친 뒤에 X-ray 촬영영상을 통하여 시술결과를 확인하는 과정에 있어서, 상부부재(3)는 X-ray 투과성 소재로 구성하고, 하부부재(1)는 X-ray 비투과성 소재로 구성하되, 상기 하부부재(1)에 상기 상부부재의 상부(31)이 형성하는 활차홈의 깊이를 확인하기 위한 활차홈 표시부(133)를 포함하여, X-ray 촬영영상에서 활차홈의 깊이를 확인할 수 있으며, 또한 표시봉(6)을 통하여 상부부재(3)의 위치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는데 특징이 있다.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이다. 또한 전술한 내용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나타내어 설명하는 것이며, 본 발명은 다양한 다른 조합, 변경 및 환경에서 사용할 수 있다. 즉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발명의 개념의 범위, 저술한 개시 내용과 균등한 범위 및/또는 당업계의 기술 또는 지식의 범위 내에서 변경 또는 수정이 가능하다. 전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기 위한 최선의 상태를 설명하는 것이며, 본 발명의 구체적인 적용 분야 및 용도에서 요구되는 다양한 변경도 가능하다. 따라서 이상의 발명의 상세한 설명은 개시된 실시 상태로 본 발명을 제한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또한, 첨부된 청구범위는 다른 실시 상태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하부부재
11: 하판
111: 결합공
1111: 경사면
13: 측판
131: 파지부
132: 돌기
133: 활차홈 표시부
3: 상부부재
31: 상부
33: 하부
331: 골접합부
332: 하부부재 수용부
3321: 하판수용면
3322: 측판수용면
33221: 돌기 수용홈
3323: 체결수단 수용면
35: 측부
351: 파지부
37: 표시공
5: 스크류
6: 표시봉
71: 무릎관절
72: 대퇴골
723: 내측 볼록부
724: 외측 볼록부
725: 활차홈
73: 경골
74: 슬개골
75: 슬개골 인대
700: 대퇴골 절단면

Claims (13)

  1. 슬개골과 접하는 활차 홈 부분이 제거된 대퇴골에 고정되는 하부부재와, 상기 하부부재에 결합하여 제거된 활차 홈 부분을 복원하는 상부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상부부재는, 활차 홈을 형성하는 상부와, 상기 상부의 반대측에 위치한 하부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부재의 하부는, 활차 홈을 간섭하지 않으면서, 상기 상부부재를 상기 하부부재에 결합시키더라도 임플란트의 두께가 상기 상부부재의 본래 두께를 유지하도록, 상기 하부부재와 상응하는 형상으로 상기 하부의 중심부에서 상측방향 및 좌우측방향으로 함입되어 상기 하부부재의 수용 공간을 형성하는 하부부재 수용부를 포함해 임플란트 전체의 두께를 절감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물용 임플란트.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부재는 슬개골 아래의 대퇴골을 평면 절단한 면과 접합하는 하판과, 상기 하판의 양 측면에서 각각 상측 직각방향으로 절곡연장된 측판을 포함하고,
    상기 상부부재의 하부는 슬개골 아래의 대퇴골을 평면 절단한 면과 접합하는 골접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하부부재 수용부는 상기 골접합부에서 상측으로 절곡 연장되고 이어서 수평방향으로 절곡 연장되어 형성된 하판수용면을 포함하여 상기 하부부재의 하판이 상기 하판수용면에 삽입되는 동물용 임플란트.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부재 수용부는 상기 하판수용면에서 상측 직각방향으로 절곡연장된 측판수용면을 포함하여 상기 하부부재의 측판이 상기 측판수용면에 삽입되어 결합하는 동물용 임플란트.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측판은 내측면에 돌출되어 형성된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부재의 측판수용면은 상기 돌기와 상응하는 형상으로 내측으로 함입된 돌기 수용홈을 포함하여, 상기 돌기가 상기 돌기 수용홈에 압입되어 결합을 이루는 동물용 임플란트.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와 상기 돌기 수용홈은 곡면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돌기가 형성하는 곡면의 곡률반경이 상기 돌기 수용홈이 형성하는 곡면의 곡률반경보다 짧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물용 임플란트.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와 상기 돌기 수용홈은 좌우 대칭으로 형성되어 견고한 결합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물용 임플란트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측판은 상기 상부부재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상부부재의 상부가 형성하는 활차홈의 깊이를 표시하는 활차홈 표시부를 포함하고,
    상기 하부부재는 X-ray 비투과성 소재이고, 상기 상부부재는 X-ray 투과성 소재로 형성되어 X-ray 촬영영상에서 상기 활차홈의 깊이를 확인할 수 있는 동물용 임플란트.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부재는 표시공을 포함하고,
    상기 동물용 임플란트는 상기 표시공에 끼움결합되는 X-ray 비투과성 소재로 형성된 표시봉을 포함하여, X-ray 촬영영상에서 상기 상부부재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는 동물용 임플란트.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부재의 하부부재 수용부는 스크류의 헤드가 삽입되도록 하는 체결수단 수용면을 포함하여, 스크류의 헤드가 상기 하부부재 하판 위로 돌출되더라도 상기 하부부재와 상기 상부부재 사이의 간격 발생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물용 임플란트.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하판은 상기 대퇴골에 상기 하부부재를 스크류로 부착하기 위한 복수의 결합공을 포함하고,
    상기 결합공은 경사면을 포함하여 상기 하부부재가 상기 대퇴골에 부착되었을 때 상기 스크류의 헤드가 상기 하부부재의 하판 위로 돌출되지 않도록 하는 동물용 임플란트.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부재는 측부 외면에 오목하게 형성된 파지부를 포함하여, 동물용 임플란트 시술과정에 있어서 시술도구로 상기 상부부재를 용이하게 파지할 수 있는 동물용 임플란트.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측판은 외면에 오목하게 형성된 파지부를 포함하여, 동물용 임플란트 시술과정에 있어서 시술도구로 상기 하부부재를 용이하게 파지할 수 있는 동물용 임플란트.
KR1020180131538A 2018-10-31 2018-10-31 동물용 임플란트 KR1022104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1538A KR102210432B1 (ko) 2018-10-31 2018-10-31 동물용 임플란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1538A KR102210432B1 (ko) 2018-10-31 2018-10-31 동물용 임플란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48905A KR20200048905A (ko) 2020-05-08
KR102210432B1 true KR102210432B1 (ko) 2021-02-02

Family

ID=706782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31538A KR102210432B1 (ko) 2018-10-31 2018-10-31 동물용 임플란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10432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128719A1 (en) 2001-03-06 2002-09-12 Burkinshaw Brian D. Mobile bearing patella prosthesis
US20030033018A1 (en) 2001-08-07 2003-02-13 Merchant Alan C. Patello-femoral joint arthroplasty
US20120209395A1 (en) * 2009-04-19 2012-08-16 Slobodan Tepic Trochlear groove prosthesis
CN104799979A (zh) * 2015-05-11 2015-07-29 北京爱康宜诚医疗器材股份有限公司 髌骨假体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128719A1 (en) 2001-03-06 2002-09-12 Burkinshaw Brian D. Mobile bearing patella prosthesis
US20030033018A1 (en) 2001-08-07 2003-02-13 Merchant Alan C. Patello-femoral joint arthroplasty
US20120209395A1 (en) * 2009-04-19 2012-08-16 Slobodan Tepic Trochlear groove prosthesis
CN104799979A (zh) * 2015-05-11 2015-07-29 北京爱康宜诚医疗器材股份有限公司 髌骨假体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48905A (ko) 2020-05-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10434B1 (ko) 동물의 해부학적 구조를 반영한 동물용 슬관절 임플란트
CN101301231B (zh) 具有非平面界面的活动支承组件
US4822366A (en) Modular knee prosthesis
KR100901528B1 (ko) 인대손상 방지를 위한 인공 슬관절
US20180098858A1 (en) Talar implant for modifying joint kinematics
US20080119938A1 (en) Knee joint prosthesis for bi-compartmental knee replacement and surgical devices thereof
JPH0113854B2 (ko)
JP2006511278A (ja) 高性能な膝プロテーゼ
CN110731837B (zh) 一种韧带保留型胫骨肿瘤组配式半膝关节假体
US10265179B2 (en) Adjustable modular spacer device for the articulation of the knee
US8287601B2 (en) Femoral component of a knee prosthesis having an angled cement pocket
US20140257501A1 (en) Joint Energy Absorbing System and Method of Use
CN111050703B (zh) 人造踝关节胫骨要素
CN110786969A (zh) 胫骨平台托和应用其的单髁膝关节假体
US10117749B2 (en) Subtalar joint implant
KR102210432B1 (ko) 동물용 임플란트
KR102186329B1 (ko) 과신전을 방지하는 슬관절 임플란트
JP6358677B2 (ja) 人工膝関節
Kuemmerle et al. Treatment of a coxofemoral luxation in a pony using a prosthetic capsule technique
TWI607746B (zh) 人工膝關節及其脛骨構件與股骨構件
KR101952368B1 (ko) 환자 맞춤형 수술기구
Farrell et al. Patellar ligament‐bone autograft for reconstruction of a distal patellar ligament defect in a dog
Belch et al. Stifle arthrodesis in two cats
JP2018523497A (ja) 関節キネマティクスを変更するための距骨インプラント
CN219323544U (zh) 一种动物用的膝关节假体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