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10347B1 - 식사패턴인식기능을 구비한 스마트 식사도구 및 그것을 이용한 식사패턴인식방법 - Google Patents

식사패턴인식기능을 구비한 스마트 식사도구 및 그것을 이용한 식사패턴인식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10347B1
KR102210347B1 KR1020190012918A KR20190012918A KR102210347B1 KR 102210347 B1 KR102210347 B1 KR 102210347B1 KR 1020190012918 A KR1020190012918 A KR 1020190012918A KR 20190012918 A KR20190012918 A KR 20190012918A KR 102210347 B1 KR102210347 B1 KR 1022103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od
eating
unit
resistance
hand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129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95166A (ko
Inventor
김민
Original Assignee
김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민 filed Critical 김민
Priority to KR10201900129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10347B1/ko
Publication of KR202000951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951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103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103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1/00Table-war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1/00Table-ware
    • A47G21/02Forks; Forks with ejectors; Combined forks and spoons; Salad serv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1/00Table-ware
    • A47G21/04Spoons; Pastry serv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3/00Other table equipment
    • A47G23/10Devices for counting or marking the number of consumptions
    • A47G23/12Consumption counters combined with table-ware or table-servic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PMEASURING LINEAR OR ANGULAR SPEED,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SHOCK; INDICATING PRESENCE, ABSENCE, OR DIRECTION, OF MOVEMENT
    • G01P15/00Measuring acceleration; Measuring deceleration; Measuring shock, i.e. sudden change of acceleration
    • G01P15/003Kinematic accelerometers, i.e. measuring acceleration in relation to an external reference frame, e.g. Ferratis acceleromet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PMEASURING LINEAR OR ANGULAR SPEED,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SHOCK; INDICATING PRESENCE, ABSENCE, OR DIRECTION, OF MOVEMENT
    • G01P15/00Measuring acceleration; Measuring deceleration; Measuring shock, i.e. sudden change of acceleration
    • G01P15/02Measuring acceleration; Measuring deceleration; Measuring shock, i.e. sudden change of acceleration by making use of inertia forces using solid seismic masses
    • G01P15/03Measuring acceleration; Measuring deceleration; Measuring shock, i.e. sudden change of acceleration by making use of inertia forces using solid seismic masses by using non-electrical means
    • G01P15/032Measuring acceleration; Measuring deceleration; Measuring shock, i.e. sudden change of acceleration by making use of inertia forces using solid seismic masses by using non-electrical means by measuring the displacement of a movable inertial mass
    • G01P15/034Measuring acceleration; Measuring deceleration; Measuring shock, i.e. sudden change of acceleration by making use of inertia forces using solid seismic masses by using non-electrical means by measuring the displacement of a movable inertial mass for indicating angular acceler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PMEASURING LINEAR OR ANGULAR SPEED,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SHOCK; INDICATING PRESENCE, ABSENCE, OR DIRECTION, OF MOVEMENT
    • G01P15/00Measuring acceleration; Measuring deceleration; Measuring shock, i.e. sudden change of acceleration
    • G01P15/18Measuring acceleration; Measuring deceleration; Measuring shock, i.e. sudden change of acceleration in two or more dimens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2Social work or social welfare, e.g. community support activities or counselling servic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식사패턴인식기능을 구비한 스마트 식사도구 및 그것을 이용한 식사패턴인식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은 식사도구의 각속도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식사도구의 각속도가 설정된 값이상이면 저항변화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식사도구에서 저항변화가 설정된 값 이상으로 감지되면 음식물 투입회수로 카운팅을 발생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가 식사도구를 가지고 음식물을 담아서 입에 투입하였는지를 정확하게 감지하여 사용자의 식사 패턴을 정확하게 인식한다.

Description

식사패턴인식기능을 구비한 스마트 식사도구 및 그것을 이용한 식사패턴인식방법{SMART EATING TOOLS HAVING EATING PATTERN RECOGNITION FUNCTION AND EATING PATTERN RECOGNITION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식사패턴인식기능을 구비한 스마트 식사도구 및 그것을 이용한 식사패턴인식방법에 관한 것이다.
인간이 건강한 생활을 유지하기 위하여 적정한 영양분의 섭취, 규칙적이고 적정한 운동 및 충분한 수면은 기본 원칙이라 할 수 있다. 하지만, 바쁜 현대생활에서는 이러한 기본 원칙을 잘 지키는 것이 쉬운 일이 아니다. 특히, 음식물을 적절하게 섭취하는 것은 어려운 문제이다. 운동량이나 수면시간은 개개인 자신이 대략적인 인지가 가능하지만, 음식물 섭취의 경우에는 음식물에 대한 정확한 정보 파악 자체가 어렵기 때문이다. 대다수가 자신이 습관적으로 섭취하는 염분의 농도가 적정한 수준인지, 적정한 열량인지, 또한 섭취속도가 적정한지를 인지하지 못하고 있다.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1793622호(2017. 11. 06. 공개일)(이하, 선행기술이라 함)에는 사용자가 식사도구를 가지고 식사를 할 때 사용자의 손목이 움직임에 따라 측정되는 가속도 신호를 이용하여 식사 시간을 추정하고 그 추정된 식사 시간으로 식사 패턴을 인식하는 방법 및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선행기술은 사용자가 식사도구를 가지고 식사를 할 때 손목의 움직임에 따른 가속도의 신호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식사도구로 식사를 한 것으로 추정하게 되므로 사용자가 식사도구를 움직이면서 실제로 사용자의 입에 투입하였는지 아니면 음식물을 투입하지 않고 버렸는지를 정확하게 파악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가 식사도구를 가지고 음식물을 담아서 입에 투입하였는지를 정확하게 감지하여 사용자의 식사 패턴을 정확하게 인식하는, 식사패턴인식기능을 구비한 스마트 식사도구 및 그것을 이용한 식사패턴인식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음식물을 지지하는 음식물지지부; 상기 음식물지지부에 연결된 손잡이부; 상기 손잡이부에 구비되는 측정유닛; 상기 손잡이부에 구비되며, 상기 측정유닛에서 측정되는 데이터를 처리하는 제어부; 상기 손잡이부에 구비되는 전원부; 상기 제어부에서 처리되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부;를 포함하며, 상기 측정유닛은 자이로 센서, 저항 센서를 포함하는 식사패턴인식기능을 구비한 스마트 식사도구가 제공된다.
상기 측정유닛은, 나트륨 센서, 무게 센서, 온도 센서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손잡이부에 구비되어 상기 제어부에서 처리되는 테이터를 송수신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손잡이부에 구비되어 알람신호를 발생시키는 알람부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저항 센서는 상기 전원부의 음극단자와 음식물지지부를 연결하는 제1 금속라인과, 상기 전원부의 양극단자와 음식물지지부를 연결하는 제2 금속라인과, 상기 제1,2 금속라인을 연결하여 상기 음식물지지부에서 발생되는 저항을 측정하는 측정부를 포함하며, 상기 음식물지지부는 금속재질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식사도구의 각속도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식사도구의 각속도가 설정된 값이상이면 저항변화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식사도구에서 저항변화가 설정된 값 이상으로 감지되면 음식물 투입회수로 카운팅을 발생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스마트 식사도구를 이용한 식사패턴인식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식사도구의 각속도를 감지한 후 상기 식사도구에 놓여진 음식물의 정보를 감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음식물의 정보는 음식물의 질량, 온도, 염도 중의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식사도구의 음식물 투입회수로 카운팅이 발생되는 경우 상기 투입된 음식물의 정보를 테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식사도구에서 설정된 시간동안 설정된 투입회수 이상의 카운팅이 발생되면 알람신호를 발생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알람신호는 진동을 발생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알람신호는 '식사를 천천히 하세요'라는 음성신호를 발생시킬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사용자가 식사도구로 식사시 각속도를 감지하고 그 각속도의 값이 설정된 값이상이면 이어 저항 변화를 감지하여 저항 변화값이 설정된 값이상이면 음식물을 투입한 것(넣은 것)으로 카운팅하게 되므로 사용자가 음식물을 실제로 입에 투입하였을 때만 카운팅을 하게 되어 사용자의 정확한 식사 패턴을 인식하게 된다. 이로 인하여 사용자의 정확한 식사 패턴 및 섭취한 음식물 정보를 제공하게 되어 사용자의 식사패턴 조정 및 음식물 조절이 정확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식사패턴인식기능을 구비한 스마트 식사도구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식사패턴인식기능을 구비한 스마트 식사도구의 일실시예를 분해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식사도구 일실시예의 일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식사패턴인식기능을 구비한 스마트 식사도구의 다른 일실시예를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식사도구를 이용한 식사패턴인식방법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순서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식사패턴인식기능을 구비한 스마트 식사도구 및 그것을 이용한 식사패턴인식방법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식사패턴인식기능을 구비한 스마트 식사도구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식사패턴인식기능을 구비한 스마트 식사도구의 일실시예를 분해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식사패턴인식기능을 구비한 스마트 식사도구 일실시예의 일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 2,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식사패턴인식기능을 구비한 스마트 식사도구의 일실시예는, 음식물지지부(10), 손잡이부(20), 측정유닛(30), 제어부(40), 전원부(50), 메모리부(60)를 포함한다.
음식물지지부(10)는 음식물을 퍼담을 수 있도록 중심부가 오복한 곡면 형상으로 형성된다. 음식물지지부(10)는 금속재질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손잡이부(20)는 사용자가 손으로 집을 수 있는 형태로 형성되어 음식물지지부(10)의 일측에 결합됨이 바람직하다. 손잡이부(20)의 일예로,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음식물지지부(10)와 연결되는 하부케이스(11)와, 그 하부케이스(11)를 복개하도록 하부케이스(11)에 결합되어 하부케이스(11)와 함께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상부케이스(12)와, 하부케이스(11)와 상부케이스(12)의 결합부분에 구비되는 실링부재(13)를 포함한다. 하부케이스(11)는 설정된 길이와 폭을 가지며 한쪽 단부에 음식물지지부(10)의 한쪽이 결합되는 하프결합부(4)가 구비되고 내부에 고정리브(5)들이 구비된다. 상부케이스(12)는 하부케이스(11)와 상응하는 길이와 폭을 가지며 한쪽 단부에 음식물지지부(10)의 한쪽이 결합되는 하프결합부(6)가 구비되며 내부에 고정리브(미도시)들이 구비된다. 하부케이스(11)와 상부케이스(12)는 비금속인 것이 바람직하고, 실링부재는 탄성재질일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하부케이스(11)와 상부케이스(12)는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측정유닛(30)은 손잡이부(20)에 구비되어 음식물지지부(10)에 담기는 음식물의 정보를 측정한다. 측정유닛(30)의 일예로,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측정유닛(30)은 각속도를 측정하는 자이로 센서(31)와, 저항을 측정하는 저항 센서(32)를 포함한다. 자이로 센서(31)는 사용자가 손잡이부(20)를 잡고 음식물지지부(10)를 움직임시 그 각속도를 측정한다. 자이로 센서(133)는 특별한 제약이 없지만 손잡이부(20)의 내부에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저항 센서(32)는 사용자가 음식물지지부(10)를 입에 넣음을 측정한다. 저항 센서(32)의 일예로, 저항 센서(32)는 전원부(50)의 음극단자(51)와 음식물지지부(10)를 연결하는 제1 금속라인(1)과, 전원부(50)의 양극단자(52)와 음식물지지부(10)를 연결하는 제2 금속라인(2)과, 제1,2 금속라인(1)(2)을 연결하여 음식물지지부(10)에서 발생되는 저항을 측정하는 측정부(3)를 포함한다. 음식물지지부(10)는 금속재질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저항 센서(32)는 전원부(50)의 전류가 양극에서 제2 금속라인(2)과 음식물지지부(10)와 제1 금속라인(1)을 통해 흐르면서 음식물지지부(10)에서 발생되는 저항을 측정부(3)에서 측정한다. 음식물지지부(10)가 사용자의 입속에 넣었을 때 음식물지지부(10)가 사용자의 입속 피부에 접촉되면 저항 변화가 발생되며, 그 저항 변화를 측정부(3)에서 측정하여 음식물지지부(10)의 음식물이 실제로 입에 투입되었는지를 측정하게 된다. 측정유닛(30)은 나트륨 센서, 무게 센서, 온도 센서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트륨 센서는 음식물지지부(10)에 담겨진 음식물의 염도를 측정하고, 온도 센서는 음식물지지부(10)에 담겨진 음식물의 온도를 측정하고, 무게 센서는 음식물지지부(10)에 담겨진 음식물의 중량을 측정한다. 측정유닛(30)을 구성하는 개별 센서들은 음식물지지부(10)에 담겨진 음식물이 가진 정보를 감지하기에 적합한 위치에 설치된다.
제어부(40)는 손잡이부(20)에 구비되어 측정유닛(30)에서 측정되는 데이터를 처리한다. 일예로, 제어부(40)는 자이로 센서(31)에서 측정되는 각속도 값과 저항 센서(32)에서 측정되는 저항 변화값으로 투입회수를 카운팅한다. 제어부(40)는 자이로 센서(31)에서 측정되는 각속도 값이 설정된 값이상이고 이어 저항 센서(32)에서 측정되는 저항 변화값이 설정된 값이상이면 사용자가 음식물지지부(10)에 담겨진 음식물을 입으로 투입한 것으로 판단하여 1회 투입회수를 카운팅한다. 제어부(40)는 측정유닛(30)에서 측정되는 데이터를 처리할 뿐만 아니라 구성 요소들을 제어한다. 제어부(40)는 인쇄회로기판(B)과 그 인쇄회로기판(B)에 장착되는 부품들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전원부(50)는 손잡이부(20)에 구비된다. 전원부(50)는 다른 구성요소들의 구동을 위한 전원을 제공하며, 전원부(50)는 1차전지이거나 충전 사용이 가능한 2차전지인 것이 바람직하다.
메모리부(60)는 손잡이부(20)에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메모리부(60)는 제어부(40)에서 처리되는 데이터 및 기타 데이터를 저장한다.
손잡이부(20)에 알람부(미도시)가 더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알람부는 알람신호를 발생시킨다. 알람부는 제어부(40)에서 카운팅되는 투입회수가 기준회수보다 많으면 알람을 발생시킨다. 알람부는 음성으로 발생시키거나 진동으로 발생시키거나 표시램프로 발생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음성으로 알람을 발생시킬 경우 일예로, '식사를 천천히 하세요'로 발생시킬 수 있다.
손잡이부(20)에 통신부가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통신부는 컴퓨터 장치와 같은 외부장치와 유/무선 통신이 가능한 요소이다. 컴퓨터 장치는 데스트탑PC, 노트북 PC, 스마트폰, 테블릿, 스마트패드와 같이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앱)이 설치/구동될 수 있는 장치이다. 통신부는 제어부(40)에서 처리되는 테이터(투입회수, 음식정보 등)를 외부장치인 컴퓨터 장치 또는 휴대단말기에 송신하거나 외부장치에서 송신하는 데이터를 수신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식사패턴인식기능을 구비한 스마트 식사도구의 다른 일실시예로,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음식물지지부(10), 손잡이부(20), 측정유닛(30), 제어부(40), 전원부(50), 메모리부(60)를 포함하며, 음식물지지부(10)가 음식물을 집는 막대 형태로 형성되고, 손잡이부(20)가 막대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음식물지지부가 포크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식사도구를 이용한 식사패턴인식방법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식사도구를 이용한 식사패턴인식방법의 일실시예는, 먼저, 식사도구의 각속도를 감지하는 단계(S1)가 진행된다. 식사도구의 각속도는 식사도구에 구비되는 자이로 센서(31)에 의해 감지(측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식사도구의 각속도를 감지하기 전 식사도구의 무게 변화를 먼저 감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무게의 변화는 손잡이부(20)에 구비되는 무게 센서에 의해 감지됨이 바람직하다. 무게의 변화가 감지되면 식사도구에 음식물이 담겨진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식사도구의 각속도를 측정한 후 식사도구의 각속도가 설정된 값이상이면 저항변화를 감지하는 단계(S2)가 진행된다. 식사도구의 저항변화는 식사도구에 구비되는 저항 센서(31)에 의해 감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식사도구에서 저항변화를 감지한 후 식사도구에서 저항변화가 설정된 값 이상으로 감지되면 투입회수로 카운팅을 발생시키는 단계(S3)가 진행된다. 처음 카운팅된 시간과 마지막 카운팅된 시간으로 사용자의 식사시간을 도출하게 되고, 식사시간 동안 카운팅된 총 투입회수로 투입 주기를 산출하고, 각 음식을 입으로 투입하는 시간 간격을 파악하게 되면 사용자의 식사패턴을 정확하게 인식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식사도구에서 설정된 시간동안 설정된 투입회수 이상의 카운팅이 발생되면 식사도구에서 알람신호를 발생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알람신호는 진동을 발생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알람신호는 표시램프를 이용하여 빛을 발생시킬 수도 있다. 또한 알람신호는 스피커를 이용하여 음성으로 발생시킬 수도 있다. 음성으로 알람신호를 발생시킬 경우 그 알람신호는 '식사를 천천히 하세요'라는 음성신호를 발생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식사도구의 각속도를 감지한 후 식사도구에 놓여진 음식물의 정보를 감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음식물의 정보는 음식물의 질량, 온도, 염도 중의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식사도구의 음식물 투입회수로 카운팅이 발생되는 경우 음식물의 정보를 메모리부에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부는 무선 통신이 가능한 외부 컴퓨터장치 또는 휴대단말기에 구현할 수도 있다.
또한, 저항 변화를 감지한 후 무게의 변화를 감지한 후 무게의 변화가 설정된 값이상이 되면 음식물 투입회수로 카운팅을 발생시킬 수도 있다. 무게의 변화는 손잡이부(20)에 구비되는 무게 센서에 의해 감지됨이 바람직하다. 즉, 가속도의 값이 설정된 값이상이면 무게를 감지하고 이어 저항 변화를 감지하여 그 저항 변화가 설정된 값이상이면 무게의 변화를 감지하고 그 무게의 변화가 설정된 값 이상이면 음식물 투입회수로 카운팅을 발생시킨다. 무게의 변화는 음식물지지부에 담겨진 음식물에 해당됨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식사패턴인식기능을 구비한 스마트 식사도구 및 그것을 이용한 식사패턴인식방법의 작용과 효과를 설명한다.
사용자가 본 발명의 스마트 식사도구의 손잡이부(20)를 손으로 잡고 식기에 담긴 음식물을 음식물지지부(10)에 담아 입으로 들어 올리게 되면 손잡이부(20)에 구비된 측정유닛(30)의 자이로 센서(31)가 각속도를 측정하게 되며 이어 음식물지지부(10)에 담긴 음식물을 입으로 투입하게 되면 측정유닛(30)의 저항 센서(32)가 저항 변화를 감지하게 된다. 자이로 센서(31)에서 측정된 각속도의 값과 저항 센서(32)에서 감지되는 저항 변화값은 제어부(40)에 의해 처리되어 메모리부(60)에 저장된다. 제어부(40)는 자이로 센서(31)에서 측정된 각속도의 값이 설정된 값 이상이고 이어 저항 센서(32)에서 감지되는 저항 변화가 설정된 값 이상이 되면 사용자가 음식물을 1회 투입한 것으로 카운팅하며, 그 카운팅되는 회수는 메모리부(60)에 저장된다. 만일, 자이로 센서(31)에서 측정된 각속도의 값이 설정된 값 이상이고 이어 저항 센서(32)에서 감지되는 저항 변화가 설정된 값 이상이 되지 않게 되면 사용자가 음식물을 입에 투입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고 카운팅을 발생시키지 않는다. 사용자가 식사를 마치고 나면 메모리부(60)에 저장된 데이터를 근거로 하여 사용자의 식사패턴을 인식할 수 있게 된다.
손잡이부(20)에 알람부가 구비되는 경우 설정된 시간동안 설정된 투입회수 이상이 카운팅되면 알람부에서 알람신호를 발생시켜 사용자로 하여금 지금 식사 속도가 빠르다는 것을 알려주게 된다. 알람신호가 손잡이부(20)에서 발생되면 사용자는 식사 속도가 빠르다는 것을 인지하고 식사 속도를 늦출 수 있게 된다.
또한, 식사도구의 각속도를 감지한 후 식사도구에 놓여진 음식물의 정보, 즉, 음식물의 질량, 온도, 염도를 감지하고 그 음식물이 사용자의 입으로 투입되어 투입회수로 카운팅이 발생하게 되면 그 감지된 음식물의 정보를 메모리부(60)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한다. 사용자의 식사가 완료되면 메모리부(60)에 저장된, 섭취한 음식물의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사용자는 제공된 섭취 음식물 정보를 바탕으로 다음 식사때 음식물의 조절이 가능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사용자가 식사도구로 식사시 각속도를 감지하고 그 각속도의 값이 설정된 값이상이면 이어 저항 변화를 감지하여 저항 변화값이 설정된 값이상이면 음식물을 투입한 것(넣은 것)으로 카운팅하게 되므로 사용자가 음식물을 실제로 입에 투입하였을 때만 카운팅을 하게 되어 사용자의 정확한 식사 패턴을 인식하게 된다. 이로 인하여, 사용자의 정확한 식사 패턴 및 섭취한 음식물 정보를 제공하게 되어 사용자의 식사패턴 조정 및 음식물 조절이 정확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10; 음식물지지부 20; 손잡이부
30; 측정유닛 40; 제어부
50; 전원부 60; 메모리부

Claims (7)

  1. 음식물을 지지하며, 금속재질을 포함하는 음식물지지부;
    상기 음식물지지부에 연결되며, 비금속재질을 포함하는 손잡이부;
    상기 손잡이부에 구비되는 측정유닛;
    상기 손잡이부에 구비되며, 상기 측정유닛에서 측정되는 데이터를 처리하는 제어부;
    상기 손잡이부에 구비되는 전원부;
    상기 제어부에서 처리되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부;를 포함하며,
    상기 측정유닛은 자이로 센서, 저항 센서를 포함하며,
    상기 저항 센서는 상기 전원부의 음극단자와 음식물지지부를 연결하는 제1 금속라인과, 상기 전원부의 양극단자와 음식물지지부를 연결하는 제2 금속라인과, 상기 제1,2 금속라인을 연결하여 상기 음식물지지부에서 발생되는 저항을 측정하는 측정부를 포함하며,
    상기 음식물지지부가 사용자의 입속에 넣었을 때 음식물지지부가 사용자의 입속 피부에 접촉되면 저항 변화가 발생되어 상기 측정부에서 그 저항 변화를 측정하여 상기 음식물지지부의 음식물이 실제로 사용자의 입에 투입되었는지를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사패턴인식기능을 구비한 스마트 식사도구.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부에 구비되어 알람신호를 발생시키는 알람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사패턴인식기능을 구비한 스마트 식사도구.
  4. 음식물을 지지하며, 금속재질을 포함하는 음식물지지부;
    상기 음식물지지부에 연결되며 비금속재질을 포함하는 손잡이부;
    상기 손잡이부에 구비되는 측정유닛;
    상기 손잡이부에 구비되며, 상기 측정유닛에서 측정되는 데이터를 처리하는 제어부;
    상기 손잡이부에 구비되는 전원부;
    상기 제어부에서 처리되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부;를 포함하며,
    상기 측정유닛은 자이로 센서, 저항 센서를 포함하며,
    상기 저항 센서는 상기 전원부의 음극단자와 음식물지지부를 연결하는 제1 금속라인과, 상기 전원부의 양극단자와 음식물지지부를 연결하는 제2 금속라인과, 상기 제1,2 금속라인을 연결하여 상기 음식물지지부에서 발생되는 저항을 측정하는 측정부를 포함하는 스마트 식사도구에 있어서,
    상기 식사도구의 자이로 센서로 각속도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식사도구의 각속도가 설정된 값이상이면 상기 저항 센서로 저항변화를 감지하되, 상기 음식물지지부가 사용자의 입속에 넣었을 때 음식물지지부가 사용자의 입속 피부에 접촉되면 저항 변화가 발생되어 상기 측정부에서 그 저항 변화를 측정하여 감지하는 단계;
    상기 식사도구의 저항 센서에서 저항변화가 설정된 값 이상으로 감지되면 음식물 투입회수로 카운팅을 발생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스마트 식사도구를 이용한 식사패턴인식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식사도구의 각속도를 감지한 후 상기 식사도구에 놓여진 음식물의 정보를 감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음식물의 정보는 음식물의 질량, 온도, 염도 중의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식사도구를 이용한 식사패턴인식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식사도구의 음식물 투입회수로 카운팅이 발생되는 경우 상기 투입된 음식물의 정보를 테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식사도구를 이용한 식사패턴인식방법.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식사도구에서 설정된 시간동안 설정된 투입회수 이상의 카운팅이 발생되면 식사도구에서 알람신호를 발생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스마트 식사도구를 이용한 식사패턴인식방법.
KR1020190012918A 2019-01-31 2019-01-31 식사패턴인식기능을 구비한 스마트 식사도구 및 그것을 이용한 식사패턴인식방법 KR1022103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2918A KR102210347B1 (ko) 2019-01-31 2019-01-31 식사패턴인식기능을 구비한 스마트 식사도구 및 그것을 이용한 식사패턴인식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2918A KR102210347B1 (ko) 2019-01-31 2019-01-31 식사패턴인식기능을 구비한 스마트 식사도구 및 그것을 이용한 식사패턴인식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95166A KR20200095166A (ko) 2020-08-10
KR102210347B1 true KR102210347B1 (ko) 2021-01-29

Family

ID=720495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12918A KR102210347B1 (ko) 2019-01-31 2019-01-31 식사패턴인식기능을 구비한 스마트 식사도구 및 그것을 이용한 식사패턴인식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10347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7162497A (ja) * 2009-03-20 2017-09-14 クリスティーヌ コンタン 食事摂取の監視及び調節を行うための食器
JP2018092640A (ja) * 2018-01-18 2018-06-14 株式会社ニコン 電子機器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7162497A (ja) * 2009-03-20 2017-09-14 クリスティーヌ コンタン 食事摂取の監視及び調節を行うための食器
JP2018092640A (ja) * 2018-01-18 2018-06-14 株式会社ニコン 電子機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95166A (ko) 2020-08-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57892B1 (ko) 건강관리용 스푼 및 그를 이용하는 섭취 음식물 관리 시스템
US10413218B2 (en) Wristband-type arm movement determination device and wristband-type activity tracker
US20140372045A1 (en) Method and an apparatus for indirect measurement of fluid in a container and communication thereof
US20080276461A1 (en) Eating utensil capable of automatic bite counting
US9773427B2 (en) Calorie balance system
CN103310092A (zh) 健康照护管理系统及方法
EP3489638B1 (en) Smart tray for measuring food intake and weight change, and weight management system comprising same
KR102210347B1 (ko) 식사패턴인식기능을 구비한 스마트 식사도구 및 그것을 이용한 식사패턴인식방법
US20180007862A1 (en) Systems, methods and apparatus for rodent behavioural monitoring
WO2015170244A1 (en) Calorie balance system
CN106456061B (zh) 动作信息测定装置与其防止忘记穿戴辅助方法及程序
CN106579707B (zh) 智能儿童餐盒及工作方法
WO2016184089A1 (zh) 信息获取方法、装置和计算机存储介质
CN110049698A (zh) 监测进食器具的方法以及智能进食器具
CN105572420B (zh) 一种获取进食速度的方法及装置
US20180074463A1 (en) Diet Watch
CN105380595B (zh) 活动状态信息运算系统
CN115335913B (zh) 控制方法
JP2015119912A (ja) 生体情報測定システム、生体情報測定機器、および生体情報測定方法
CN205322321U (zh) 智能腕带
WO2017109910A1 (ja) 電子機器、判定方法および判定プログラム
CN207832200U (zh) 具有防近视功能的智能穿戴设备
US20230096307A1 (en) Techniques for temperature measurement according to a calibrated temperature
KR101793622B1 (ko) 가속도 신호를 이용한 식사 시간 추정 방법 및 장치
CN106886668A (zh) 一种饮食健康监测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