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09894B1 - 발전기 상태표시장치를 가지는 비상발전기 제어장치 - Google Patents

발전기 상태표시장치를 가지는 비상발전기 제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09894B1
KR102209894B1 KR1020200066920A KR20200066920A KR102209894B1 KR 102209894 B1 KR102209894 B1 KR 102209894B1 KR 1020200066920 A KR1020200066920 A KR 1020200066920A KR 20200066920 A KR20200066920 A KR 20200066920A KR 102209894 B1 KR102209894 B1 KR 1022098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nerator
signal
control panel
output
emergenc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669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동희
Original Assignee
이동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동희 filed Critical 이동희
Priority to KR10202000669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0989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098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098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9/00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 H02J9/04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in which the distribution system is disconnected from the normal source and connected to a standby source
    • H02J9/06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in which the distribution system is disconnected from the normal source and connected to a standby source with automatic change-over, e.g. UPS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7/00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 A62C37/36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an actuating signal being generated by a sensor separate from an outlet device
    • A62C37/38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an actuating signal being generated by a sensor separate from an outlet device by both sensor and actuator, e.g. valve, being in the danger zon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34Testing dynamo-electric machin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36Arrangements for testing, measuring or monitoring the electrical condition of accumulators or electric batteries, e.g.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 G01R31/382Arrangements for monitoring battery or accumulator variables, e.g. SoC
    • G01R31/3835Arrangements for monitoring battery or accumulator variables, e.g. SoC involving only voltage measurement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H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 H02H7/00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types of electric machines or apparatus or for sectionalised protection of cable or line systems, and effecting automatic switching in the event of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working conditions
    • H02H7/06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types of electric machines or apparatus or for sectionalised protection of cable or line systems, and effecting automatic switching in the event of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working conditions for dynamo-electric generators; for synchronous capaci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70/00Technologies for an efficient end-user side electric power management and consumption
    • Y02B70/30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and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carbon footprint of the management of residential or tertiary loads, i.e. smart grids as 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y in the buildings sector, including also the last stages of power distribution and the control, monitoring or operating management systems at local leve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20/00Management or operation of end-user stationary applications or the last stages of power distribution; Controlling, monitoring or operating thereof
    • Y04S20/20End-user application control systems

Abstract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비상발전기 제어장치에 있어서 소방전원을 공급하는 발전기; 화재 시 불길을 감지하고 소화하는 장비로 형성되는 소방장치; 비상급수시설, 기계식주차장 등의 전력의 우선공급 필요한 시설인 비상시설; 상기 발전기 또는 상기 소방장치와 상기 발전기 둘 중 하나 이상을 제어하는 장치로 형성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와 연결되어 수신된 신호가 입력 및 출력되는 디스플레이; 상기 제어부에 연결된 통신수단에 의해 중계된 신호를 수신하여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을 통해 출력되는 모바일폰; 및 상기 제어부에 연결되어 송출된 신호에 의해 작동되는 스피커; 를 포함하며, 상기 발전기는 주전원선로 또는 상기 발전기에 연결되어 상기 발전기의 운전, 정지상태 및 전력, 전압, 전류, 역률, 주파수, 회전수, 소방전원보존, 보호장치 작동 상태 변화를 측정하여 신호를 송출하는 계측장치; 및 상기 발전기에 내장된 배터리에 연결되어 전압을 측정하고 상기 제어부에 신호 형태로 송출하는 배터리테스터; 를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는 흑백, 칼라 또는 RGB LED Backlight 방식 중 어느 하나의 화면의 형태로 출력되는 LCD화면; 을 포함하며 상기 LCD화면은 상기 계측장치 및 상기 배터리테스터에 의해 측정되는 배터리 전압, 상기 발전기의 운전, 정지상태, 전력, 전압, 전류, 역률, 주파수, 회전수, 소방전원보존작동, 보호장치 작동, 입출력 상태, BLOCK MODE 중 어느 하나 이상이 음향, 문자, 도형, 기호, 그림 및 인디게이터 중 어느 하나 이상의 형태로 출력되는 비상발전기 제어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Description

발전기 상태표시장치를 가지는 비상발전기 제어장치{EMERGENCY GENERATOR CONTROLLER HAVING DEVICE FOR DISPLAYING GENERATOR STATUS}
본 발명은 비상발전기 제어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자세하게는 비상시의 가동에 대비하고 발전기의 상태 파악과 운용 관리가 용이한 비상발전기 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화재 발생에 의한 국민의 생명과 재산 보호를 위하여 건축물과 화재위험 시설물에 설치하는 소방시설로서 대피시설, 경보설비, 소화설비 및 소화활동설비는 자체 필요에 의해 또는 의무적으로 설치하도록 규정된 소방 관련 법령에 의해 설치되고 있다. 이에 소요되는 소방부하 전력은 상용 전력 이외에 별도로 정전 시를 대비하여 비상전원을 확보하도록 국내의 경우 "화재예방, 소방시설 설치유지 및 안전관리에 관한 법률"에 근거한 국가화재안전기준으로서 옥내소화전설비의 화재안전기준 (NFSC 102) 제8조 2항(지하층을 제외한 7층 이상으로서, 연면적 2,000㎡ 이상의 건축물 또는 지하층의 연면적이 3,000㎡이상인 건축물) 등, 미국의 경우 미국방화협회 규격인 NFPA CODE, 그리고 일본의 경우 일본 소방법 시행규칙 제 12조 4항(연면적 1,000㎡이상의 건축물) 등으로 규정되어 있다. 비상전원의 확보에는 경제성, 편의성, 효용성에 의해 주로 자가 발전기를 채용하고 있다. 또한 소방용 전력 부하 이외에 비 화재 정전 시 전력공급이 요구되는 비상용 전력부하가 있는데, 이는 상용전원의 정전시의 건축물 입주자의 편의 제공을 위하여 상용 전력부하 중 일부(약 1/3 정도)에 대하여 비상전원으로 공급되도록 설계 및 시공되고 있다.
이와 같은 소방 및 기타 비상 겸용발전기는 비상시 작동할 수 있도록 제어장치의 기능이 확보되어 있어야 하고 항시 충분한 배터리 충전상태를 유지하고 있어야 한다. 이에 따라 안전하고 효율적인 운용을 위해 소방용 또는 소방 및 비상 겸용발전기의 제어상태 파악 및 배터리 충전상태 파악을 장소에 상관없이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비상발전기 제어장치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는 상황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비상발전기 제어장치에 있어서 비 상주 관리에 의한 비상발전기 운용의 문제나 배터리의 방전 또는 이상으로 인해 비상발전기가 기동 불능 조건으로 방치되거나 유사시 가동하지 못하거나 원활한 운용이 되지 못하여 화재 시 재난상황이 초래되는 위험에 대비하여 관리자가 비상발전기의 운용상태 및 배터리의 충전상태의 확인을 용이하게 하는 비상발전기 제어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소방전원을 공급하는 발전기; 화재 시 불길을 감지하고 소화하는 장비로 형성되는 소방장치; 상기 소방장치 및 상기 발전기를 제어하는 장치로 형성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와 연결되어 수신된 신호가 입력 및 출력되는 디스플레이; 상기 제어부에 연결된 통신수단에 의해 중계된 신호를 수신하여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을 통해 출력되는 모바일폰; 및 상기 제어부에 연결되어 송출된 신호에 의해 작동되는 스피커; 를 포함하며, 상기 발전기는 주전원선로 또는 상기 발전기에 연결되어 상기 발전기의 운전, 정지상태, 전력, 전압, 전류, 역률, 주파수, 회전수, 소방전원보존, 보호장치 작동 상태 변화를 측정하여 신호를 송출하는 계측장치; 및 상기 발전기에 내장된 배터리에 연결되어 전압을 측정하고 상기 제어부에 신호 형태로 송출하는 배터리테스터; 를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는 흑백, 단색, 칼라 또는 RGB LED Backlight 방식 중 어느 하나의 화면의 형태로 출력되는 LCD화면; 을 포함하며 상기 LCD화면은 상기 계측장치 및 상기 배터리테스터에 의해 측정되는 배터리 전압, 상기 발전기의 정지, 운전 상태, 전력, 전압, 전류, 역률, 주파수, 회전수, 소방전원보존, 보호장치 작동, 입출력 상태, BLOCK MODE 중 어느 하나 이상이 음향, 문자, 도형, 기호, 그림, 인디게이터, 램프, 모바일폰 중 어느 하나 이상의 형태로 출력되는 비상발전기 제어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비상발전기 제어장치는 제어부에 의해 비상발전기의 상태 파악 또는 제어 중 하나 이상으로 하여 유사시 안정적인 사용을 위한 관리가 되도록 한다. 특히, 이와 같은 본 실시 예들의 비상발전기 제어장치는 제어부에 유무선으로 연결된 모바일폰, 스피커, 화면의 문자, 기호, 도형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램프 또는 음향 형태로 정보를 출력하여 관리자에 의한 발전기의 관리 운용 상태 및 배터리 충전상태 파악과 운용 관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상발전기 제어장치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비상발전기 제어장치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테스터의 작동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결함표시램프의 작동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상태표시램프의 작동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폰의 작동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이하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의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알려둔다. 이하의 실시예들은 해당 기술 분야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으로, 불필요하게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의 구성에 대해서는 상세한 기술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상발전기 제어장치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을 참고하면, 비상발전기 제어장치는 비상전력이 발생되는 발전기(100), 화재 시 불길을 소화하도록 형성되는 소방장치(200), 비상발전기 제어장치(10)의 구성을 제어하는 제어부(C), 발전기(100)와 제어부(C)에 연결되는 계측장치(120), 제어부(C)에서 송출된 신호가 입력되어 시각 및 청각의 형태로 출력되는 디스플레이(400), 신호가 입력 및 출력되는 모바일폰(500) 및 경보를 음향의 형태로 출력되는 스피커(600)가 포함될 수 있다.
비상발전기 제어장치에 구성된 발전기(100)는 비 화재 정전시의 비상용과 화재 시의 소방시설용 부하인 소방용으로 사용하는 비상전원용 자가발전기가 될 수 있다. 또한, 발전기(100)는 정전 중 화재 또는 화재 중 정전이 발생한 경우에 제어부(C)의 신호에 따라 자동 운전되어 비상부하 및 소방부하에 비상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또한, 발전기(100)는 발생된 화재를 원인으로 하는 소요 전력부하의 변화나 소방시설의 작동을 감지하여 소방용도 이외의 부하를 설정된 조건에서 차단시키거나 또는 즉시 일괄 차단시킴으로써 발전기 과부하 조건에 도달하여도 소방전원의 공급이 유지될 수 있다.
한편, 비상발전기 제어장치는 소방장치(200)를 포함할 수 있다. 소방장치(200)는 화재의 탐지와 경보, 화재의 진압, 대피 및 소방활동을 위한 시설을 말하며, 경보설비, 감지기와 중계기 및 수신반으로 구성된 자동화재탐지설비, 옥내소화전설비, 스프링클러설비, 포소화설비, 물분무소화설비, 가스계소화설비, 분말소화설비, 연결송수관설비, 옥외소화전설비, 비상콘센트설비, 제연설비, 유도등, 비상조명등설비, 기타 소방시설이 포함된다. 또한, 소방장치(200)는 소화약제와 기계기구 및 배관과 개폐기, 스위치 등 관련 작동기기로 구성될 수 있다. 넓게는 비상용 승강기, 피난용 승강기, 배연설비, 가동식 방화구획설비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비상발전기 제어장치는 제어부(C)가 형성될 수 있다. 제어부(C)는 발전기(100) 및 소방장치(200)를 제어하고 작업자에게 정보를 출력되는 구성이 연결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제어부(C)는 소방장치(200) 및 발전기(100)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반(300)이 포함될 수 있다. 제어반(300)은 소방장치(200)와 발전기(100)뿐만 아니라, 표시램프(미도시), 디스플레이(400), 모바일폰(500) 및 스피커(600)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제어반(300)은 발전기(100)의 배터리 전압 측정 데이터를 수신하여 디스플레이(400), 모바일폰(500) 및 스피커(600)에 동작 신호가 전달될 수 있다. 또한, 제어반(300)은 발전기(100)의 동작상태를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발전기(100)는 대기, 운전, 정지, 소방전원보존 및 보호장치작동의 상태가 될 수 있다. 이때, 발전기(100)의 대기, 운전, 정지, 소방전원보존 및 보호장치 작동의 상태는 전환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작업자의 제어반(300) 조작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 소방전원보존 및 보호장치작동 상태의 경우 계측장치(120)에 의해 계측된 값이 용량 초과에 의해 운전중단 위험 상태에 이를 경우 작업자의 조작과 별도로 제어반(300)에 의해 자동제어되어 소방전원보존 상태로 전환될 수 있다.
한편, 발전기(100)에서 소방장치(200) 및 비상시설(240)로 전원이 공급되는 선로는 제어반(30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제어반(300)과 소방장치(200) 및 비상시설(240)이 연결되는 선로에는 발전기주차단기(220)가 배치될 수 있다. 발전기주차단기(220)는 계전기접점형태가 될 수 있다. 발전기주차단기(220)는 발전기(100)에서 소방장치(200) 및 비상시설(240)로 인가되는 전원의 공급 및 차단하는 차단장치가 될 수 있다. 이때, 비상시설(240)은 비상급수시설, 기계식주차장 등의 전력의 우선공급이 필요한 시설이 될 수 있다.
한편, 발전기주차단기(220)에서 소방장치(200)에 전원이 연결되는 선로에는 소방장치차단기(210)가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및 비상시설(240)에 전원이 연결되는 선로에는 비상시설차단기(230)가 배치될 수 있다. 소방장치차단기(210) 및 비상시설차단기(230)는 일반접점방식이 될 수 있다. 또한, 제어반(300)의 제어를 받아 개폐되어 전원이 인가 및 차단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화재가 발생될 경우, 제어반(300)은 발전기주차단기(220)를 닫아 전원이 공급될 수 있다. 또한, 소방장치차단기(210)가 닫히며 전원이 공급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발전기(100)로부터 전원이 소방장치(200)로 인가되어 소방장치(200)가 정상작동 될 수 있다. 이때, 제어반(300)은 비상시설차단기(230)를 개방하여 비상시설(240)에 인가되는 전원을 차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발전기(100)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이 소방장치(200) 및 비상시설(240)에 모두 공급되어 전원이 부족하게 되는 현상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비상시설차단기(230)는 화재와 동시 또는 화재로 인해 상기 발전기가 과부하가 될 경우 중의 하나에서 개방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소방장치(200)의 전력공급에 장애발생이 방지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비상발전기 제어장치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를 참고하면, 제어부(C)는 제어반(300), 중앙제어반(300A), 소방제어장치(302)를 포함할 수 있다.
중앙제어반(300A)은 소방제어장치(302) 및 제어반(300)과 별개로 구비되어 전체를 제어하도록 동작될 수 있다. 중앙제어반(300A)은 소방장치(200) 및 발전기(100)를 모두 제어하는 장치가 될 수 있다. 또한, 중앙제어반(300A)은 소방제어장치(302)에 신호를 전달하여 소방장치(200)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중앙제어반(300A)은 제어반(300)에 연결되어 발전기(100)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중앙제어반(300A) 내지 제어반(300)은 디스플레이(400)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중앙제어반(300A) 내지 제어반(300)은 스피커(600)와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중앙제어반(300A)은 제어반(300)으로부터 수신되는 발전기(100)의 상태 및 소방제어장치(302)의 상태를 디스플레이(400) 및 스피커(600)를 통해 화면출력 또는 음향출력의 형태로 나타낼 수 있다. 이와 같이 형성된 비상발전기 제어장치는 중앙제어반(300A)에서 발전기(100) 및 소방장치(200)의 작동을 제어하고 제어반(300) 및 소방제어장치(302)에서 각각의 장치가 제어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소방장치(200) 및 발전기(100)의 작동LOG의 교차확인이 가능하게 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테스터의 작동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3을 참고하면, 배터리테스터(110)는 발전기 장치에 부설된 배터리의 전압을 측정하는 장치가 될 수 있다. 배터리테스터(110)는 발전기(100)에 부설된 배터리(미도시)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배터리테스터(110)는 제어부(C)와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배터리테스터(110)에 의해 발전기(100)의 배터리 전압이 측정될 수 있다. 배터리테스터(110)에 의해 측정된 배터리(미도시)의 전압은 데이터 신호 형태로 제어반(300)에 송출될 수 있다. 또한, 제어반(300)으로 수신된 배터리의 전압데이터는 연산과정을 거쳐 제어부(C)에 연결된 디스플레이(400), 모바일폰(500), 스피커(600)에 신호가 전달되어 음향출력, 화면출력 및 음향과 화면출력의 동시 동작의 형태로 출력될 수 있다. 이때 연산과정은 배터리테스터(100)에 의해 측정된 발전기(100)의 배터리 전압이 작업자가 제어반(300)에 설정한 값(이하 설정값으로 표기)의 범위에 포함되는지 비교하는 연산과정이 될 수 있다. 설정값은 상한값 및 하한값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한값은 설계도서상의 설정상한값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하한값은 설계도서상의 설정하한값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설정값은 소정의 범위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배터리의 전압값이 설정값 범위내에 포함될 경우, 제어부(C)에 연결된 디스플레이(400) 및 모바일폰(500)에 신호를 송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400)는 배터리의 전압값이 화면에 출력될 수 있다. 또한, 모바일폰(500)은 별도의 어플리케이션 실행을 통해 배터리의 전압값이 화면에 출력될 수 있다.
반면, 배터리테스터(110)에 의해 측정된 배터리의 전압값이 설정값을 초과하거나 미만일 경우 제어부(C)는 디스플레이(400), 모바일폰(500) 및 스피커(600) 중 하나 이상에 신호가 송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400), 모바일폰(500) 및 스피커(600) 중 하나 이상에 신호가 수신되어 음향출력 또는 시각적인 출력 형태로 작동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를 참고하면, 비상발전기 제어장치(300)는 디스플레이(400)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400)는 제어부(C)에 포함된 제어반(300) 내지 중앙제어반(300A)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400)는 제어부(C)와 일체형 또는 분리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400)는 유선 또는 무선통신을 통해 출력신호가 수신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400)는 LCD화면(310)이 포함될 수 있다. 일례로 LCD화면(400)은 제어반(300)에서 입력되는 운전, 정지상태와 전력, 전압, 전류, 역률, 주파수, 회전수, 소방전원보존, 보호장치작동, 배터리 전압 및 입출력 상태가 출력될 수 있다. 일례로 LCD화면(400)은 흑백 또는 RGB LED Backlight 방식 중 어느 하나의 화면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LCD화면(400)은 도트매트릭스 LCD 모듈장치가 될 수 있다. 또한, LCD화면(400)은 수신된 신호가 문자, 도형, 기호, 그림 및 인디게이터의 형태로 출력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반(300)에서 송출되는 운전, 정지상태와 전력, 전압, 전류, 역률, 주파수, 회전수, 소방전원보존, 보호장치작동, 배터리 전압, 입출력 상태에 관한 신호는 음향, 문자, 도형, 기호, 그림 및 인디게이터의 형태로 출력될 수 있다. 이때 LCD화면(400)에 출력되는 발전기(100)의 운전, 정지상태 및 전력, 전압, 전류, 역률, 주파수, 소방전원보존, 보호장치작동, 회전수는 계측장치(120)로부터 계측된 신호나 제어장치 입력값이나 출력되는 결과값이 될 수 있다.
또한, LCD화면(400)에 출력되는 발전기(100)의 배터리 전압은 배터리테스터(110)로부터 측정된 신호가 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400)는 결함표시램프(420)가 포함될 수 있다. 결함표시램프(420)는 Light Fault램프(421) 및 Heavy Fault램프(422)를 포함할 수 있다. 결함표시램프(420)는 LCD화면(410)과 근접한 좌측 또는 우측에 위치될 수 있다. 또한, 결함표시램프(420)는 노란빛으로 발광되는 램프가 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결함표시램프(420)는 명시성이 높게 형성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결함표시램프의 작동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5를 참고하면, 발전기(100)는 계측장치(120)에 의해 신호가 측정될 수 있다. 또한, 발전기(100)에서 측정된 신호가 계측장치(120)에 의해 제어반(300)으로 신호가 송출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계측장치(120)는 발전기(100)의 운전, 정지상태, 전력, 전압, 전류, 역률, 주파수, 회전수, 소방전원보존, 보호장치 작동, 변화를 계측한 값(이하 계측값)을 신호 형태로 제어반(300)으로 송출하는 장치가 될 수 있다.
이때, 보호장치는 전압 계측, 전류 계측, 오일 온도센서, 오일 압력센서, 수온센서, 속도센서과 같은 장치가 될 수 있다. 이때, 전압 계측은 저전압과 과전압을 계측할 수 있다. 전류계측은 과전류를 계측할 수 있다. 오일 온도센서는 엔진 오일의 온도를 측정하는 센서가 될 수 있다. 오일압력센서는 엔진 오일의 압력을 측정하는 센서가 될 수 있다. 또한, 수온센서는 냉각수의 온도를 측정하는 센서가 될 수 있다. 속도센서는 발전기(100)의 엔진 회전수를 측정하는 센서가 될 수 있다.
한편, 계측장치(120)에서 제어반(300)으로 송출된 신호는 제어반(300) 또는 중앙제어반(300A)에 전달 및 연산되어 출력장치인 디스플레이(400), 모바일폰(500) 및 스피커(600)로 신호가 송출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계측장치(120)의 계측값이 기준값 이상일 경우 제어반(300)에서 디스플레이(400)로 신호가 송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LCD화면(410)에 계측된 전력부하 값이 출력될 수 있다.
반면, 계측장치(120)의 계측값이 기준값 미만일 경우, 제어반(300)은 다음 연산 단계로 진행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측정가능 상태 측정불가능 상태로 구분될 수 있다. 이때 기준값은 작업자가 설정하는 값이 될 수 있다. 또한, 기준값은 발전기(100)가 구동될 수 있는 운전, 정지상태, 전력, 전압, 전류, 역률, 주파수, 회전수 변화, 소방전원보존, 보호장치작동의 상태를 나타내는 값이 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계측장치(120)에 의해 계측된 값이 제어반(300)에 측정가능 상태일 경우 Light Fault램프(421)가 점등되며 LCD화면(410)에 신호가 출력될 수 있다. 이때 LCD화면(410)는 조건에 상관없이 측정된 정보가 모두 출력될 수 있다. 반면, 결함표시램프(420)는 별도의 연산에 따라 점등될 수 있다.
또한, LCD화면(410)은 수신된 데이터 값인 운전, 정지상태, 전력, 전압, 전류, 역률, 주파수, 회전수 변화, 소방전원보존, 보호장치작동의 조건에 상관없이 모두 출력될 수 있다. 반면 계측장치(120)에서 측정된 값이 과전류가 되는 값일 경우, Light Fault램프(421)가 점등되도록 제어반(300)에서 신호가 송출될 수 있다.
반면, 계측장치(120)에 측정된 계측 값이 발전기의 보호장치가 작동하는 발전기 동체나 엔진의 위험상태일 경우, Heavy Fault램프(322)가 점등되도록 제어반(300)에서 신호가 송출될 수 있다. 또한, 모바일폰(500) 및 스피커(600)가 함께 동작되는 신호가 제어반(300)에서 송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모바일폰(500) 및 스피커(600)는 화면출력 및 음향의 형태로 경보가 작동될 수 있다.
또한, 계측값이 동작불가능 상태일 경우 디스플레이(400)의 LCD화면(400) 및 발광가능한 구성은 점멸동작상태가 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작업자는 디스플레이(400)를 인접하게 접근하여 확인하지 않아도 발전기의 동작불가능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이때, 점멸동작상태가 되는 구성은 LCD화면(400), 결함표시램프(320), 배터리상태표시램프(330) 및 조작버튼(340)이 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400)는 배터리상태표시램프(430)가 포함될 수 있다.
도 6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상태표시램프(430)의 작동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4 및 도 6를 참고하면, 배터리상태표시램프(430)는 LCD화면(410)의 인접한 일측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배터리상태표시램프(430)는 BAT.NORMAL램프(431) 및 BAT.FAULT램프(432)로 구성될 수 있다. 배터리상태표시램프(430)는 배터리테스터(110)에 측정된 발전기 배터리의 전압에 따라 점등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배터리테스터(110)에 측정된 전압값이 작업자의 설정값 범위 이내일 경우, 제어반(300)은 배터리테스터(110)로부터 송출된 전압값을 LCD화면(410)에 출력하도록 신호가 송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LCD화면(410)은 제어반(300)에서 송출된 신호를 수신하여 전압값을 문자, 도형, 기호, 그림 및 인디게이터의 형태로 출력하도록 동작될 수 있다. 또한, 제어반(300)은 배터리상태표시램프(430)에 신호를 송출하여 BAT.NORLMAL램프(431)는 점등될 수 있다. 이때, 작업자의 설정값은 발전기(100)가 구동될 수 있는 범위내의 전압값이 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 배터리테스터(110)에 측정된 전압값이 작업자가 설정한 값 범위를 초과하거나 미만일 경우, 제어반(300)은 배터리테스터(110)로부터 송출된 전압값을 확인하여 LCD화면(410)에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제어반(300)은 배터리상태표시램프(430)에 신호를 송출하여 BAT.FAULT램프(432)가 점등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400)는 조작버튼(440)을 포함할 수 있다.
조작버튼(440)은 LCD화면(410)의 일측에 위치될 수 있다. 조작버튼(440)은 방향버튼(441), ESC버튼(442), ENTER버튼(443) 및 SETUP버튼(444)으로 형성될 수 있다. 조작버튼(440)은 LCD화면(410)에서 출력되는 화면을 이동하거나 설정값을 입력하기 위한 기능버튼이 될 수 있다. 또한, 조작버튼(440)은 BLOCK MODE에서 입력될 수 있다. 여기서 BLOCK MODE는 기동중지 실행과 설정 값 및 기준값을 입력할 수 있는 화면상태가 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방향버튼(441)는 LCD화면(410)에서 BLOCK MODE가 출력될 경우 상하 또는 좌우로 이동하기위한 버튼이 될 수 있다.
ESC버튼(442)은 LCD화면(410)에서 BLOCK MODE가 출력될 경우 입력 시 이전에 출력된 화면으로 이동되는 버튼이 될 수 있다.
ENTER버튼(443)은 LCD화면(410)에서 BLOCK MODE가 출력될 경우 입력 시 다음화면으로 이동되는 버튼이 될 수 있다.
SETUP버튼(444)은 LCD화면(410)에서 BLOCK MODE가 출력될 경우 입력 시 환경설정을 위한 버튼이 될 수 있다. 이와 같은 SETUP버튼(444)은 LCD화면(410)의 밝기를 조정할 수 있는 화면으로 이동되는 버튼이 될 수 있다.
또한, SETUP버튼(444)은 주간모드 및 야간모드의 전환을 수행할 수 있는 메뉴로 이동하는 버튼이 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주간모드일 경우의 LCD화면(410)은 야간모드일 경우의 LCD화면(410)보다 휘도가 높게 형성될 수 있다. 자세히 말하면 주간모드의 LCD화면(410)은 야간모드의 LCD화면(410)보다 일례로서 약 15배의 휘도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LCD화면(410)은 주간모드의 휘도는 야간모드의 휘도보다 30배이하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주간모드의 LCD화면(410)은 약 80~120nit의 휘도로 출력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야간모드의 LCD화면(410)은 약 5~15nit의 휘도로 출력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주간에는 시인성이 높게 형성된 화면이 출력될 수 있으며, 야간모드에는 충분한 시인성을 형성하며, 절전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폰의 작동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1, 2 및 도 7을 참고하면, 모바일폰(500)은 비상발전기 제어장치(300)는 모바일폰(500)을 포함할 수 있다. 모바일폰(500)은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는 무선의 통신기계가 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모바일폰(500)은 스마트폰이 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모바일폰(500)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수행할 수 있으며 휴대가 용이한 통신기계라면 어떤 것도 무방하다. 모바일폰(500)는 제어부(C)에 포함된 제어반(300) 또는 중앙제어반(300A) 중 어느 하나에 연결될 수 있다. 이때, 모바일폰(500)과 제어부(C)의 연결을 중계하는 통신수단(510)이 포함될 수 있다. 통신수단(510)은 유선 또는 무선의 통신 연결되는 장치가 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모바일폰(500)은 통신수단(510)의 중계를 통해 제어부(C)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은 연결로 모바일폰(500)은 제어부(C)로부터 송출된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필요 시 통신수단(510)은 비상발전기 제어장치(10)가 설치된 건물외부에 통신하기 위한 안테나와 같은 중계장치가 포함될 수 있다.
제어부(C)는 배터리테스터(110)에서 송출된 신호를 모바일폰(500)으로 전달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모바일폰(500)은 수신된 데이터를 별도의 어플리케이션(A)이 실행되어 출력될 수 있다. 이때 어플리케이션(A)은 모바일폰(500)에서 실행되어 제어반(300)에서 송출되는 신호를 화면 또는 음향의 형태로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C)는 계측장치(120)로터 수신된 신호를 모바일폰(500)으로 전달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모바일폰(500)은 발전기(100)에서 출력되는 전압상태에 관한 데이터를 수신하여 출력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C)는 발전기(100)의 작동상태에 관한 신호를 모바일폰(500)으로 송출할 수 있다. 자세히 말하면, 제어부(C)는 발전기의 대기, 운전, 정지, 소방전원보존 및 보호장치 작동상태에 관한 신호를 송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모바일폰(500)은 제어부(C)의 신호를 수신하여 어플리케이션(A)이 실행되어 화면에 출력될 수 있다.
도 7을 참고하면, 제어반(300)에 수신된 데이터는 분류되어 처리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계측장치(120) 또는 배터리테스터(110)에서 측정되는 정전, 엔진 운전 중, 전압확립 중, 회로전원, 복전 및 운전 중 상태의 신호는 제어반(300)에서 통신수단(510)으로 중계되어 신호가 송출될 수 있다. 통신수단(510)에 의해 중계된 신호는 모바일폰(500)으로 송출되어 음향 또는 화면에 출력될 수 있다. 모바일폰(500)은 통신수단(510)에서 중계된 신호를 설치된 어플리케이션(A)을 통해 출력될 수 있다. 이때, 어플리케이션(A)은 모바일폰(500)에 상시 실행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어플리케이션(A)에 의해 모바일폰(500)과 제어반(300)의 연결을 유지될 수 있으며, 제어반(300)에서 통신수단(510)으로 송출되는 신호가 수신될 수 있고, 모바일폰(500)에서 제어반에 정상 작동 유도와 제어를 위한 지시를 할 수 있다.
이때, 모바일폰(500)의 음향 출력의 경우 스피커(600)와 함께 동작될 수 있다.
도 1 내지 2를 참고하면 비상발전기 제어장치는 스피커(600)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스피커의 작동에 관한 설명은 도 7을 참고하도록 한다. 스피커(600)는 작동 시 음향이 출력되는 장치가 될 수 있다. 스피커(600)는 제어부(C)에 포함되는 제어반(300) 또는 중앙제어반(300A)에 연결될 수 있다. 제어부(C)에 연결된 스피커(600)의 작동은 먼저 배터리테스터(110) 및 계측장치(120)에서 송출되는 신호가 제어반(300)으로 전달될 수 있다. 이때 제어반(300)은 수신된 신호를 연산하여 스피커(600)가 작동하도록 신호를 송출할 수 있다. 이 때 스피커(600)의 작동에 시행되는 연산은 디스플레이(400)의 BAT.FAULT램프(432)가 점등 또는 Heavy Fault램프(422)의 점등조건과 같은 연산이 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스피커(600)는 제어반(300)의 주변 또는 작업자가 음향출력을 인지할 수 있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음향을 출력하여 관리자에게 이상여부를 알리게 된다. 또한, 스피커(600)의 출력 동작과 함께 제어반(300)은 통신수단(510)에 신호를 송출하여 모바일폰(500)에서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A)을 통해 음향 및 화면형태로 출력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작업자는 발전기(100)가 문제가 되는 상황을 인지할 수 있다. 음향은 멜로디, 경보음의 형태가 될 수 있다. 또한, 모바일폰(500)은 음향출력 시 진동발생이 함께 동작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작업자는 비상발전기 제어장치의 상태를 외부에서 인지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 본 실시예들에 따른 비상발전기 제어장치는 제어부에 의해 비상발전기 및 소방장치 제어하여 유사시 사용할 수 있도록 관리되도록 한다. 특히, 이와 같은 본 실시예들의 비상발전기 제어장치는 제어부에 연결된 모바일폰, 스피커, 디스플레이에 측정된 비상발전기 운용 상태와 배터리전압 및 이상여부를 화면 또는 음향 형태로 출력하여 관리자에 의한 배터리의 충전상태 또는 발전기의 상태 파악이 용이하게 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00 : 발전기 110 : 배터리테스터
120: 계측장치 200 : 소방장치
300 : 제어반 300A : 중앙제어반
400 : 디스플레이 410 : LCD화면
420 : 결함표시램프 421 : Light Fault램프
421 : Heavy Fault램프 430 : 배터리상태표기램프
431 : BAT.NORMAL램프 432 : BAT.FAULT램프
440 : 조작버튼 441 : 방향버튼
442 : ESC버튼 443 : ENTER 버튼
444 : SETUP버튼 500 : 모바일폰
600 : 스피커 A : 어플리케이션

Claims (6)

  1. 비상발전기 제어장치에 있어서
    소방전원을 공급하는 발전기(100);
    화재 시 불길을 감지하고 소화하는 장비로 형성되는 소방장치(200);
    비상급수시설, 기계식주차장 등의 전력의 우선공급 필요한 시설인 비상시설(240);
    상기 발전기(100) 또는 상기 소방장치(200)와 상기 발전기(100) 둘 중 하나 이상을 제어하는 장치로 형성되는 제어부(C);
    상기 제어부(C)와 연결되어 수신된 신호가 입력 및 출력되는 디스플레이(400);
    상기 제어부(C)에 연결된 통신수단(510)에 의해 중계된 신호를 수신하여 어플리케이션(A)의 실행을 통해 출력되는 모바일폰(500); 및
    상기 제어부(C)에 연결되어 송출된 신호에 의해 작동되는 스피커(600); 를 포함하며,
    상기 발전기(100)는
    주전원선로(130) 또는 상기 발전기(100)에 연결되어 상기 발전기(100)의 운전, 정지상태 및 전력, 전압, 전류, 역률, 주파수, 회전수, 소방전원보존, 보호장치 작동 상태 변화를 측정하여 신호를 송출하는 계측장치(120); 및
    상기 발전기(100)에 내장된 배터리에 연결되어 전압을 측정하고 상기 제어부(C)에 신호 형태로 송출하는 배터리테스터(110); 를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400)는
    흑백, 칼라 또는 RGB LED Backlight 방식 중 어느 하나의 화면의 형태로 출력되는 LCD화면(410); 을 포함하며
    상기 LCD화면(410)은
    상기 계측장치(120) 및 상기 배터리테스터(110)에 의해 측정되는 배터리 전압, 상기 발전기의 운전, 정지상태, 전력, 전압, 전류, 역률, 주파수, 회전수, 소방전원보존작동, 보호장치 작동, 입출력 상태, BLOCK MODE 중 어느 하나 이상이 음향, 문자, 도형, 기호, 그림 및 인디게이터 중 어느 하나 이상의 형태로 출력되며
    상기 제어부(C)는
    상기 배터리테스터(110) 및 상기 계측장치(120)에 의해 측정된 상기 발전기(100)의 상태의 신호를 수신하여 제어하는 제어반(300);
    상기 소방장치(200)를 제어하는 소방제어장치(302); 및
    상기 소방제어장치(302) 및 상기 제어반(300)을 제어하는 중앙제어반(300A); 을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400)는
    상기 제어반(300)에서 송출된 신호로 점등되는 결함표시램프(420);
    상기 배터리테스터(110)에 의해 측정된 상기 발전기(100)의 배터리 전압량에 대한 신호를 받아 점등되는 배터리상태표시램프(430); 및
    관리자가 BLOCK MODE에서 메뉴 이동 및 각종 입력과 설정을 위한 조작버튼(440); 을 포함하며,
    상기 결함표시램프(420)는
    상기 계측장치(120)에 의해 측정된 신호를 상기 제어반(300)에서 수신하여 기준값 미만 및 상기 발전기(100)에서 동작 가능상태에 점등되는 Light Fault램프(421); 및
    상기 계측장치(120)에 의해 측정된 신호를 상기 제어반(300)에서 수신하여 기준값 미만 및 상기 발전기(100)에서 동작 불가능상태에 점등되는 Heavy Fault램프(422); 를 포함하며,
    상기 배터리상태표시램프(430)는
    상기 배터리테스터(110)에 의해 측정된 상기 발전기(100)에 내장된 배터리의 측정된 전압이 설정값 이내일 경우 상기 제어반(300)에서 신호가 전달되어 점등되는 BAT.NORMAL램프(431); 및
    상기 배터리테스터(110)에 의해 측정된 상기 발전기(100)에 내장된 배터리의 전압측정량이 설정값을 초과 또는 미만이 될 경우 상기 제어반(300)에서 신호가 전달되어 점등되는 BAT.FAULT램프(432); 를 포함하며,
    상기 조작버튼(440)은
    상기 LCD화면(410)에서 BLOCK MODE가 출력되는 경우 입력 시 상하좌우로 이동되는 방향버튼(441);
    입력되어 상기 LCD화면(410)에서 BLOCK MODE가 출력되는 경우 입력 시 이전에 출력된 화면으로 이동되는 ESC버튼(442);
    입력되어 상기 LCD화면(410)에서 BLOCK MODE가 출력되는 경우 입력 시 이동할 화면이 선택되는 ENTER버튼(443); 및
    입력될 경우 상기 LCD화면(410)의 화면밝기조정, 주간모드 및 야간모드의 전환을 수행할 수 있는 화면으로 이동되는 SETUP버튼(444); 을 포함하며
    상기 디스플레이(400)는
    상기 계측장치(120)에 의해 계측된 값이 동작불가능상태일 경우 상기 LCD화면(410), 상기 결함표시램프(420), 상기 배터리상태표시램프(430) 및 상기 조작버튼(440)이 점멸동작 되며
    상기 통신수단(510)은
    유선 또는 무선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어부(C)와 상기 모바일폰(500)을 중계하며,
    상기 모바일폰(500)은
    상기 어플리케이션(A)의 실행을 통해 상기 제어부(C)에서 송출된 배터리테스터(110), 계측장치(120)의 신호 및 발전기의 대기, 운전, 정지, 소방전원보존 및 보호장치 작동상태에 관한 신호를 수신하여 음향 및 화면 형태로 출력되고
    상기 중앙제어반(300A) 및 상기 제어반(300)은
    상기 소방장치(200) 및 상기 발전기(100)의 작동LOG의 교차확인이 가능하게 형성되며
    상기 스피커(600)의 작동에 시행되는 연산은 상기 BAT.FAULT램프(432)의 점등 또는 HEAVY FAULT램프(422)의 점등조건과 같은 연산으로 형성되고
    상기 스피커(600)의 출력동작과 함께 상기 제어반(300)은 상기 통신수단(510)에 상기 모바일폰(500)에서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A)을 통해 음향 및 화면형태로 출력되도록 신호가 송출되는 비상발전기 제어장치.
  2. 삭제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LCD화면(410)은
    소정의 휘도값으로 형성되어 화면이 출력되는 야간모드 또는 야간모드보다 소정 높은 15배 전후의 휘도로 화면이 출력되는 주간모드가 형성되는 비상발전기 제어장치.
  5. 삭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C)는
    상기 발전기(100)에서 상기 소방장치(200) 및 상기 비상시설(240)로 전원이 공급되는 선로를 제어하도록 동작되며,
    상기 제어반(300) 및 상기 소방장치(200) 및 상기 비상시설(240)이 연결되는 선로에 배치되는 발전기주차단기(220);
    상기 발전기주차단기(220)에서 상기 소방장치(200)에 전원이 연결되는 선로에 배치되는 소방장치차단기(210);
    상기 발전기주차단기(220)에서 상기 비상시설(240)에 전원이 연결되는 선로에 배치되는 비상시설차단기(230); 를 포함하고,
    화재가 발생될 경우, 상기 제어반(300)의 제어에 의해 상기 발전기주차단기(220) 및 상기 소방장치차단기(210)가 닫히고, 상기 비상시설차단기(230)는 화재와 동시 또는 화재로 인해 상기 발전기가 과부하가 될 경우 중의 하나에서 개방되는 비상발전기 제어장치.
KR1020200066920A 2020-06-03 2020-06-03 발전기 상태표시장치를 가지는 비상발전기 제어장치 KR1022098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6920A KR102209894B1 (ko) 2020-06-03 2020-06-03 발전기 상태표시장치를 가지는 비상발전기 제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6920A KR102209894B1 (ko) 2020-06-03 2020-06-03 발전기 상태표시장치를 가지는 비상발전기 제어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09894B1 true KR102209894B1 (ko) 2021-01-29

Family

ID=742366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66920A KR102209894B1 (ko) 2020-06-03 2020-06-03 발전기 상태표시장치를 가지는 비상발전기 제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0989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05175B1 (ko) * 2021-03-02 2021-09-27 임영묵 공동건물에 설치되는 소방전원 컨트롤러장치
KR20220153857A (ko) 2021-05-12 2022-11-21 윤성업 스타트모터를 포함하는 옥내 소화전용 전동기 초기 기동전류 저감장치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41688A (ko) * 2008-10-14 2010-04-22 이원강 소방전원 보존형 자가발전기
KR101097124B1 (ko) * 2011-06-15 2011-12-23 이원강 소방전원 보존 작동 및 그 구분 표시 장치를 가진 소방전원 보존형 발전기 컨트롤러
KR101343194B1 (ko) * 2013-06-14 2013-12-19 이동희 안전 강화용 소방전원 보존형 발전기 및 그 제어장치
JP2017149314A (ja) * 2016-02-25 2017-08-31 株式会社クボタ 作業車の表示装置
KR20170136217A (ko) * 2016-06-01 2017-12-11 주식회사 나스필코리아 주/야간 모드 조절버튼을 가지는 원형 센서등
KR20190067539A (ko) * 2017-12-07 2019-06-17 주식회사 씨엔에이치시스템 모니터링 및 부하 장치 제어를 위한 순간정전 보상 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41688A (ko) * 2008-10-14 2010-04-22 이원강 소방전원 보존형 자가발전기
KR101097124B1 (ko) * 2011-06-15 2011-12-23 이원강 소방전원 보존 작동 및 그 구분 표시 장치를 가진 소방전원 보존형 발전기 컨트롤러
KR101343194B1 (ko) * 2013-06-14 2013-12-19 이동희 안전 강화용 소방전원 보존형 발전기 및 그 제어장치
JP2017149314A (ja) * 2016-02-25 2017-08-31 株式会社クボタ 作業車の表示装置
KR20170136217A (ko) * 2016-06-01 2017-12-11 주식회사 나스필코리아 주/야간 모드 조절버튼을 가지는 원형 센서등
KR20190067539A (ko) * 2017-12-07 2019-06-17 주식회사 씨엔에이치시스템 모니터링 및 부하 장치 제어를 위한 순간정전 보상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05175B1 (ko) * 2021-03-02 2021-09-27 임영묵 공동건물에 설치되는 소방전원 컨트롤러장치
KR20220153857A (ko) 2021-05-12 2022-11-21 윤성업 스타트모터를 포함하는 옥내 소화전용 전동기 초기 기동전류 저감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54604B1 (ko) 소방전원 보존형 자가발전기
CN201927150U (zh) 火灾智能报警灭火系统
KR102209894B1 (ko) 발전기 상태표시장치를 가지는 비상발전기 제어장치
KR101796054B1 (ko) Ip 네트워크를 이용한 스마트 화재 감지 시스템
CN101964130B (zh) 测温式电气火灾监控系统
CN110801588B (zh) 一种车辆自动灭火系统及其灭火方法
CN111145482A (zh) 一种消防指挥控制系统
CN112382045A (zh) 一种远程消防监控管理系统
CN216629500U (zh) 一种隧道火灾自动报警灭火系统
CN103065415A (zh) 具应急照明功能的应急疏散指引装置
KR20210020392A (ko) P형 복합식 수신기의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KR101145414B1 (ko) 전력감시장치 연동형 화재수신시스템
KR101745972B1 (ko) 통합형 수배전반 경고 시스템 및 그에 따른 운영방법
KR102008618B1 (ko) 소방설비의 선로저항측정기
KR102045411B1 (ko) 전등기구에 적용 가능한 화재 감지 장치
CN109140585B (zh) 分布式空调系统及其空调室内机和消防方法
KR20130059248A (ko) 자동 소화 시스템
KR20170000100A (ko) 다중영역 관리용 소화시스템
KR102271905B1 (ko) 소방차량용 원격 정비관리 시스템
KR20220144037A (ko) 소방차 원격 점검 시스템
CN112865026A (zh) 一种自动消防安全的智能配电方法及系统
CN210384673U (zh) 灭火控制系统
CN113053047A (zh) 基于5g通信技术的分布式疏散指示系统
KR20120087591A (ko) 고장감지 장치 및 그 방법
CN111991743A (zh) 消防工程用喷淋灭火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