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09806B1 - 범용 틀니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범용 틀니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09806B1
KR102209806B1 KR1020190116780A KR20190116780A KR102209806B1 KR 102209806 B1 KR102209806 B1 KR 102209806B1 KR 1020190116780 A KR1020190116780 A KR 1020190116780A KR 20190116780 A KR20190116780 A KR 20190116780A KR 102209806 B1 KR102209806 B1 KR 1022098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nture
arch
denture body
color
gu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167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진철
김진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디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디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디오
Priority to KR10201901167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0980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098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098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3/00Dental prostheses; Making same
    • A61C13/01Palates or other bases or supports for the artificial teeth; Making sam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3/00Dental prostheses; Making same
    • A61C13/0001In-situ dentures; Trial or temporary dentur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3/00Dental prostheses; Making same
    • A61C13/0024Repairing or adjusting dentures; Location of irritating zo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3/00Dental prostheses; Making same
    • A61C13/01Palates or other bases or supports for the artificial teeth; Making same
    • A61C13/02Palates or other bases or supports for the artificial teeth; Making same made by galvanoplastic methods or by plating; Surface treatment; Enamelling; Perfuming; Making antiseptic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3/00Dental prostheses; Making same
    • A61C13/08Artificial teeth; Making sam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3/00Dental prostheses; Making same
    • A61C13/12Tools for fastening artificial teeth; Holders, clamps, or stands for artificial teeth
    • A61C13/14Vulcanising devices for artificial teeth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ntal Prosthetics (AREA)

Abstract

경제적이면서도 신속하게 구강에 설치되도록, 본 발명은 외면이 대합악궁과 교합되며 기설정된 표준치열궁 프로파일에 대응하여 원호형으로 형성된 인공치아부와, 상기 인공치아부의 하단부로부터 일체로 연장되어 대상악궁의 잇몸부를 감싸도록 내면이 오목하게 구비되는 인공잇몸부를 포함하는 틀니몸체부의 설계정보를 기반으로 아크릴계 올리고머를 포함하는 베이스수지가 3차원 프린팅되어 실물의 틀니몸체부로 제조되는 제1단계; 상기 틀니몸체부가 경화광에 30~60초 동안 예비 노출되어 반경화되는 제2단계; 반경화된 상기 틀니몸체부의 내면이 기설정된 연화온도 범위로 가온처리되어 연화되되, 교합압력을 통해 가압 변형되어 내외면 사이 높이가 기설정된 수직고경에 대응하도록 1차 보정되어 상기 내면에 변형보정홈부가 형성되는 제3단계; 1차 보정된 상기 틀니몸체부가 경화광에 4~5분 동안 노출되어 완전 경화되는 제4단계; 및 완전 경화된 상기 틀니몸체부의 내면에 형성된 상기 변형보정홈부에 폴리 에틸 메타크릴레이트와 가소제를 포함하는 경화성 레진이 도포 및 상기 교합압력을 통해 상기 대상악궁의 잇몸과의 간극에 충진되어 내면부가 상기 대상악궁의 잇몸부 외면 프로파일과 형합되도록 2차 보정되어 형합보정면부가 적층 형성된 범용 틀니장치로 제조되는 제5단계를 포함하는 범용 틀니장치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범용 틀니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general purpose denture apparatu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reof}
본 발명은 범용 틀니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경제적이면서도 신속하게 구강에 설치할 수 있는 범용 틀니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틀니는 의치라고도 하며, 자연치아가 빠졌을 때 결손된 치아의 모양과 기능을 인공적으로 회복시켜주는 구강 내 인공삽입물이다.
상세히, 자연치아가 상실된 상태로 방치될 경우 결손된 치아의 인접치아 및 대합치아에 치열의 뒤틀림이 발생되어 안면형상의 변형이 초래되며, 저작기능이 저하되어 일상생활에 불편함이 가중된다. 더욱이, 자연치아의 상실 상태가 장기간 지속되는 경우 결손된 치아를 둘러싸고 있던 치조골이 체내로 흡수되어 보철물의 설치가 어려워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때, 상기 틀니는 구강 내부에 설치되어 저작기능을 회복시키고 치주 조직의 변형을 방지하되, 결손된 치아의 개수에 따라 부분틀니 및 완전틀니, 고정 방법에 따라 고정식 및 가철식으로 구분될 수 있다. 즉, 상기 부분틀니는 상악 또는 하악 내의 부분적인 무치악 부분에 주변 치아, 주변 치아 사이의 치조골, 잇몸 등과 같은 잔여조직을 이용하여 설치되며, 상기 완전틀니는 무치악 조직인 상악 또는 하악 전체의 치조골, 잇몸 등을 완전히 감싸도록 설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틀니는 설치대상 잇몸을 감싸 고정되는 틀니베이스와 결손된 치아를 대신하는 인공치아부를 포함하며, 종래에는 대상자별로 상이한 치아의 배열, 형태, 저작면 높이에 매칭되도록 개별적으로 제조되었다.
그러나, 이와 같이 개별 제조되는 종래의 틀니는 인상채득 또는 구강내 이미지 획득, 개별 설계 및 제조와 같은 복잡한 제조과정 포함하므로 그 제조기간이 수 일에서 길게는 수 주가량 소요된다. 이로 인해, 틀니의 제조 기간 동안 대상자가 음식을 제대로 저작하지 못하는 등의 불편함이 가중되며, 제조기간 중 구강의 변형이 발생한 경우 제조된 틀니가 구강에 정확하게 매칭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틀니의 설계과정에서 고가의 장치 및 전문인력을 필요로 하며 제조공수가 증가함으로 인해 제품 자체가 고가로 제공되므로 대상자들에게 경제적 부담감이 가중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더욱이, 상기 틀니를 구강에서 분리하거나 설치하는 과정 또는 세척하는 과정에서 상기 틀니가 바닥으로 추락하면서 고가의 틀니가 쉽게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로 인해, 상기 틀니를 다시 제조함에 따른 경제적 부담감이 더욱 가중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 등록특허 제10-0403834호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경제적이면서도 신속하게 구강에 설치할 수 있는 범용 틀니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해결과제로 한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외면이 대합악궁과 교합되며 기설정된 표준치열궁 프로파일에 대응하여 원호형으로 형성된 인공치아부와, 상기 인공치아부의 하단부로부터 일체로 연장되어 대상악궁의 잇몸부를 감싸도록 내면이 오목하게 구비되는 인공잇몸부를 포함하는 틀니몸체부의 설계정보를 기반으로 아크릴계 올리고머를 포함하는 베이스수지가 3차원 프린팅되어 실물의 틀니몸체부로 제조되는 제1단계; 상기 틀니몸체부가 경화광에 30~60초 동안 예비 노출되어 반경화되는 제2단계; 반경화된 상기 틀니몸체부의 내면이 기설정된 연화온도 범위로 가온처리되어 연화되되, 교합압력을 통해 가압 변형되어 내외면 사이 높이가 기설정된 수직고경에 대응하도록 1차 보정되어 상기 내면에 변형보정홈부가 형성되는 제3단계; 1차 보정된 상기 틀니몸체부가 경화광에 4~5분 동안 노출되어 완전 경화되는 제4단계; 및 완전 경화된 상기 틀니몸체부의 내면에 형성된 상기 변형보정홈부에 폴리 에틸 메타크릴레이트와 가소제를 포함하는 경화성 레진이 도포 및 상기 교합압력을 통해 상기 대상악궁의 잇몸과의 간극에 충진되어 내면부가 상기 대상악궁의 잇몸부 외면 프로파일과 형합되도록 2차 보정되어 형합보정면부가 적층 형성된 범용 틀니장치로 제조되는 제5단계를 포함하는 범용 틀니장치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외면이 대합악궁과 교합되며 기설정된 표준치열궁 프로파일에 대응하여 원호형으로 형성된 인공치아부와 상기 인공치아부의 하단부로부터 연장되어 대상악궁의 잇몸부를 감싸도록 내면이 오목하게 구비되는 인공잇몸부를 포함하여 범용으로 규격화되어 일체형으로 구비되되, 기설정된 연화온도 범위로 가온처리되어 연화되되 교합압력을 통해 가압 변형되어 상기 대상악궁의 잇몸부와 예비 형합되는 내면 프로파일로 1차 보정되고 경화되어 형성되는 변형보정홈부가 상기 인공잇몸부의 내면에 구비된 올리고머 재질의 틀니몸체부; 및 내면부가 상기 대상악궁의 잇몸부 프로파일과 형합되도록 상기 변형보정홈부에 도포되되 상기 교합압력을 통해 상기 대상악궁의 잇몸부와의 간극에 충진되도록 2차 보정되는 경화성 레진이 경화되어 형성된 형합보정면부를 포함하는 범용 틀니장치를 제공한다.
상기의 해결 수단을 통해서,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첫째, 상기 틀니몸체부가 일체형으로 심플하게 범용으로 규격화되어 준비되되, 잇몸부에 설치되는 내면을 가온처리하여 연화시켜 교합하는 간단한 방법으로 복잡한 설계과정 없이도 다양한 피시술자에게 개별 매칭되도록 정밀 보정되므로 제조비용이 저렴하면서도 상기 범용 틀니장치를 내원 즉시 신속하고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다.
둘째, 상기 틀니몸체부가 교합압력을 안정적으로 지지하도록 다단계 경화되는 과정 중에 대상악궁의 잇몸부 및 수직고경에 맞게 보정이 수행되어 피시술자에게 형합되는 정밀성 및 지지강도를 동시에 개선하는 상승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셋째, 상기 변형보정홈부가 형성된 상기 틀니몸체부를 경화광을 통해 완전 경화시킨 후 내면에 탄성체로 경화되는 경화성 레진을 도포 및 교합하여 간극을 충진함으로써 잇몸부에 더욱 정밀하게 형합되면서도 교합압력을 완충시켜 저작시 통증 및 이물감이 최소화되므로 사용 편의성 및 만족감이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
넷째, 상악측에 설치되는 경우 상기 인공잇몸부의 양단부 사이를 커버하여 경구개와 형합되는 보강형합부가 형성되므로 내구성이 더욱 향상되면서도, 전후방향으로 절개된 범용슬롯부를 통해 규격화되어 형성된 사이즈를 구강 크기에 맞게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어 제조 정밀성 및 활용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범용 틀니장치의 제조과정을 나타낸 흐름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범용 틀니장치가 구강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틀니몸체부를 정면에서 바라본 투영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틀니몸체부를 외면측에서 바라본 투영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틀니몸체부를 내면측에서 바라본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틀니몸체부의 상악용 구조를 외면측에서 바라본 투영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틀니몸체부의 1차 보정 과정을 나타낸 예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범용 틀니장치의 제조과정에서 경화광에 노출되는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틀니몸체부를 나타낸 단면예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범용 틀니장치 및 그의 제조방법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때, 이하에서 설명될 대상악궁은 상기 범용 틀니장치가 실질적으로 설치되는 치악을 의미하며 무치악인 하악으로 설명 및 도시한다. 그리고, 대합악궁은 상기 대상악궁과 교합되는 치악을 의미하며 유치악인 상악으로 설명 및 도시한다. 이때, 본 실시예는 하악에 설치되는 완전틀니의 제조과정을 예로서 설명 및 도시하나, 본 발명을 통해 상악에 설치되는 완전틀니 또는 상하악 중 어느 일측에 설치되는 부분틀니도 제조 가능하다.
더불어, 상기 범용 틀니장치는 최종 제조되는 최종 디지털틀니의 제조기간 중 피시술자가 임시로 사용 가능한 임시 치아 수복물로서, 기설정된 규격으로 양산되되 각 피시술자의 구강에 개별 매칭되도록 보정 가능하게 제조되는 것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물론, 경우에 따라 상기 범용 틀니장치를 최종 치아 수복물로서 사용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범용 틀니장치의 제조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범용 틀니장치가 구강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예시도이다. 그리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틀니몸체부를 정면에서 바라본 투영예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틀니몸체부를 외면측에서 바라본 투영예시도이다. 그리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틀니몸체부를 내면측에서 바라본 예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틀니몸체부의 상악용 구조를 외면측에서 바라본 투영예시도이다. 그리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틀니몸체부의 1차 보정 과정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범용 틀니장치(10)는 틀니몸체부(11) 및 형합보정면부(19)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범용 틀니장치(10)는 상기 틀니몸체부(11)의 3차원 프린팅(s10), 상기 틀니몸체부(11) 반경화(s20) 및 1차 보정(s30), 상기 틀니몸체부(11) 완전 경화(s40), 그리고 형합보정면부(19)가 적층 및 범용 틀니장치(10)의 제조(s50)와 같은 일련의 단계를 포함하여 제조된다.
이러한 상기 범용 틀니장치의 제조방법은 플래닝부 및 제조장치를 포함하는 범용 틀니장치 제조시스템을 통해 수행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플래닝부는 상기 틀니몸체부(11)를 설계하기 위한 정보를 취합 및 모델링하는 컴퓨터장치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조장치는 상기 틀니몸체부의 설계정보에 따라 실물의 틀니몸체부(11)를 제조하는 3차원 프린터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3차원 프린터는 램프 또는 LED의 광에너지로 패터닝된 단면을 경화하는 DLP(digital light processing) 방식의 광조형 프린터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 3차원 프린팅되는 상기 틀니몸체부가 기설정된 설계정보와 최소한의 오차로 정밀하게 출력될 수 있다. 따라서, 출력된 상기 틀니몸체부의 외면을 추가로 보정하는 작업이 실질적으로 생략될 수 있어 제조 편의성 및 신속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범용 틀니장치(10)는 상기 틀니몸체부(11) 및 상기 형합보정면부(19)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틀니몸체부(11)는 인공치아부(12)와 인공잇몸부(13)를 포함하며, 상기 인공치아부(12)와 상기 인공잇몸부(13)가 일체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상기 인공치아부(12)와 상기 인공잇몸부(13)가 일체로 형성됨에 따라 상기 범용 틀니장치(10)가 실질적으로 단일의 구성품으로 형성되므로 제조공정이 단순화된다. 또한, 상기 틀니몸체부(11)가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내구성이 향상되므로 교합을 통한 가압력을 안정적으로 지지하므로 사용수명이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인공치아부(12)는 외면이 상기 대합악궁(3)과 교합되며, 복수개의 치아가 기설정된 표준치열궁 프로파일(r)에 대응하여 배열된 형상으로 형성되되 치간(12a)이 일체로 연결되어 원호형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인공치아부(12)에는 실제 치아와 유사한 치간(12a) 및 저작면(12b)이 음각 형태로 형성되면서도, 각 치간(12a)이 연결되어 일체형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범용 틀니장치(10)를 구강에 설치한 상태에서 외형적인 이질감이 최소화되면서도 상기 교합압력에 대한 지지강도를 보장받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치간(12a)은 구강에 설치시 대합치의 치간 또는 소대와 정렬되어 설치위치를 가이드하는 정렬기준으로 사용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인공잇몸부(13)는 상기 인공치아부(12)의 하단부로부터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대상악궁(2)의 잇몸부를 감싸도록 연장된 여유부(15)를 포함하여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여유부(15)는 상기 대상악궁(2)의 잇몸부 내외측면을 감싸 배치되도록 내면이 오목하게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잇몸부의 내측면은 설측(lingual)에 대응하는 부분이고 상기 잇몸부의 외측면은 순측(labial)에 대응하는 부분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표준치열궁 프로파일(r)이라 함은 치아가 실제 배열된 프로파일과 대응하는 원호형의 가상선 또는 가상영역이 연장된 형상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원호형이라 함은 소정의 반경값을 갖도록 이어진 곡선형태가 아니라 일단과 양단 사이가 라운드지게 구부려진 형상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표준치열궁 프로파일(r)은 연령별 및 성별 해부학적 편차를 고려하여 표준화되어 산출되되 다양한 피시술자의 구강에 보편적으로 적용되도록 단계별로 규격화되어 설정된다. 예컨대, 상기 틀니몸체부(11)는 대/중/소로 규격화되는 기성품으로 준비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틀니몸체부(11)는 치과 등의 시술자측 또는 치기공소 등의 제조자측에서 3차원 프린터를 통해 프린팅할 수 있는 3차원 설계정보로 준비됨이 바람직하다.
상세히, 상기 틀니몸체부의 설계정보는 상기 플래닝부를 통해 상기 표준치열궁 프로파일(r)에 따라 단계별로 규격화된 상기 인공치아부 및 상기 인공잇뭄부의 3차원 외면정보를 포함하여 설정 및 저장된다. 이때, 상기 틀니몸체부의 설계정보는 3차원 프린터를 통해 프린팅 가능한 3차원 데이터로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틀니몸체부의 설계정보는 상기 시술자측 또는 상기 제조자측에서 유무선 통신을 통해 로딩 가능하며, 로딩된 상기 틀니몸체부의 설계정보가 3차원 프린터로 전송되어 프린팅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틀니몸체부(11)가 하악에 설치되는 하악용인 경우, 상기 인공치아부(12) 및 상기 인공잇몸부(13)의 원호형 프로파일 내측이 혀가 유동 가능하도록 개구된 공간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틀니몸체부(11A)가 상악에 설치되는 상악용인 경우, 상기 인공잇몸부(13)의 원호형 프로파일 내측에 보강형합부(15a)가 일체로 연결됨이 바람직하다. 즉, 'U'자형의 상기 인공잇몸부(13) 사이가 상기 보강형합부(15a)를 통해 지지되면서 내구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보강형합부(15a)의 내면도 후술되는 가온처리 단계에서 연화됨에 따라 경구개와 형합되도록 보정될 수도 있다.
더욱이, 상기 보강형합부(15a)에는 상기 표준치열궁 프로파일(r)의 반경에 대한 오차범위를 포함하여 절개된 범용슬롯부(15b)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틀니몸체부(11)의 지지강도를 위해 상기 인공잇몸부(13)의 원호형 프로파일 내측까지 일체형으로 연결되더라도 상기 인공잇몸부(13)의 양단부 사이 간격을 상기 대상악궁에 적합하도록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틀니몸체부(11A)가 범용으로 제작되더라도 다양한 피시술자의 구강에 따라 용이하게 조절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범용슬롯부(15b)는 설측으로 갈수록 좌우 간격이 확장되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틀니몸체부(11)의 전치측을 기준으로 상기 인공잇몸부(13)의 원심측 양단부 사이 간격이 좁아지더라도 상기 범용슬롯부(15b)의 양단 테두리가 중첩됨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임시로 단기간 사용되는 상기 범용 틀니장치(10)를 설계하는데 복잡하고 정밀한 고도의 스킬 및 설계정보가 요구되지 않아 제조비용이 현저히 절감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틀니몸체부(11)를 3차원 프린팅 후 각 피시술자의 구강에 맞게 보정하는 과정만 거치면 신속하게 임시 치아 수복물로서 사용할 수 있어 경제적이다. 즉, 상기 틀니몸체부(11)가 범용으로 규격화되어 준비되되, 이러한 범용 3차원 출력물을 보정함에 따라 각 피시술자에게 개별 맞춤되도록 제조될 수 있다. 더불어, 광경화 과정을 거치지 않아 강도가 약한 틀니몸체부(11)가 배송 과정에서 파손됨이 최소화될 수 있으며, 상기 틀니몸체부(11)를 다량으로 구매 및 보관하면서 불필요한 및 비용이 낭비됨을 방지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틀니몸체부(11)는 기설정된 연화온도 범위로 가온처리되어 연화되되 상기 연화온도 범위 이하에서 교합압력을 지지하는 강도를 가지도록 경화되는 열가소성 올리고머 재질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틀니몸체부(11)는 경화광에 노출되어 경화되는 아크릴계 올리고머를 포함하는 베이스수지가 3차원 프린팅되어 구비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베이스수지는 우레탄 디메타크릴레이트(urethane dimethacrylate, 이하 UDMA), 에톡시화 비스페놀 에이 디메타크릴레이트(ethoxylated 30 bisphenol A dimethacrylate, 이하 EBADMA)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올리고머 및 이소보닐 아크릴레이트(isobonyl acrylate, 이하 IBOA)를 포함하는 모노머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경화광에서 경화를 유도하는 광개시제 및 각 성분이 균일하게 분산되도록 분산제가 더 포함됨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상기 베이스수지는 상기 베이스수지 전체 중량에 대하여 UDMA 68~78 중량%, EBADMA 3~8 중량%, IBOA 17~23 중량%, 광개시제 1.85~2.05 중량%, 그리고 분산제 0.007~0.015 중량%로 조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수지가 3차원 프린팅된 상기 틀니몸체부(11)는 경화광에서 30~60초 동안 예비 노출되어 반경화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경화광은 특히 300~400nm의 파장을 갖는 UV-A 범위의 자외선 광인 것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이때, 예비 노출된다 함은 상기 틀니몸체부(11)를 완전히 경화시키기 위함이 아니라 상기 교합압력을 지지하면서도 상기 연화온도 범위로 가온처리시 연화될 수 있는 정도로 광경화되도록 상기 경화광에 노출되는 것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틀니몸체부(11)가 상기 경화광에 짧은 시간 노출되면 상기 인공잇몸부(13)의 내면은 가온처리되어 연화될 수 있을 정도로 반경화됨에 따라 상기 대상악궁(2)의 잇몸부에 대응하여 예비 형합되도록 1차 보정될 수 있다. 이때, 예비 형합이라 함은 상기 대상악궁(2)의 잇몸부와 고도로 정밀하게 형합되지 않더라도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대합악궁(3)과 교합관계가 안정적으로 형성될 수 있도록 형합된 것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인공잇몸부(13)의 연화된 내면이 가압되면서 상기 틀니몸체부(11)의 와면과의 사이 간격이 피시술자의 저작감도에 따른 수직고경(VD)과 대응하도록 보정되면서도 상기 인공치아부(12)의 형상이 변형됨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틀니몸체부(11)가 상기 경화광에 30초 미만으로 예비 노출되면 상기 인공치아부(12)가 상기 교합압력을 지지할 수 있는 강도로 경화되지 못한다. 반면, 상기 틀니몸체부(11)가 상기 경화광에 60초를 초과하여 예비 노출되면 상기 인공잇몸부(13)의 내면이 상기 연화온도 범위로 가온처리되더라도 연화되기 어렵다. 따라서, 상기 틀니몸체부(11)는 상기 경화광에 30~60초 동안 예비 노출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3차원 프린팅된 상기 틀니몸체부(11)가 상기 경화광에 예비 노출되어 반경화되되, 상기 인공잇몸부(13)의 내면이 상기 연화온도 범위로 20~25초 동안 가온처리된다. 이때, 상기 연화온도는 60~70℃ 범위로 설정되며, 60~70℃의 온수에 상기 틀니몸체부(11)의 일부분, 즉 상기 인공잇몸부(13)의 내면측이 국소적으로 침지되어 가온처리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온수는 별도의 복잡한 장치 없이도 용이하게 준비하여 취급 가능하다. 또한, 온수의 온도가 60~70℃인 경우, 실제로 연화된 상기 인공잇몸부(13)의 내면은 이보다 낮은 온도로 가온되므로 구강에 직접 접촉되더라도 화상위험 또는 고온으로 인한 고통 및 조직 손상이 실질적으로 수반되지 않는다.
그리고, 상기 틀니몸체부(11)는 상기 인공잇몸부(13)의 내면이 상기 연화온도 범위로 가온처리되어 연화된 상태에서 구강에 설치되되 피시술자의 저작감도에 따라 최적화되도록 교합된다. 이때, 피시술자의 교합압력을 통해 연화된 상기 인공잇몸부(13)의 내면이 상기 대상악궁(2)의 잇몸부에 눌려지면서 상기 틀니몸체부(11)의 내외면 사이 높이가 피시술자에게 적합한 수직고경(VD)에 대응하도록 가압 변형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연화된 상기 인공잇몸부(13)의 내면이 가압되면서 상기 대상악궁(2)의 잇몸부와 형합되도록 1차 보정되어 변형보정홈부(16)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변형보정홈부(16)는 상기 인공잇몸부(13)의 내면이 가온처리되어 연화되되 상기 대상악궁(2)의 잇몸부와 대응되도록 가압 변형 되어 1차 보정된 상태가 경화되어 형성되는 부분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규격화된 설계정보를 기반으로 다양한 구강 크기에 범용으로 사용 가능하도록 제조되는 상기 틀니몸체부(11)를 임시 치아 수복물로서 활용한다. 이를 통해, 임시틀니까지 각 피시술자에 따라 설계 및 제작됨으로 인해 치아 수복의 전반적인 제조비용 및 제조기간이 증가하던 종래와 달리, 실질적으로 단기간 사용하는 임시 치아 수복물의 제조기간을 최소한으로 단축할 수 있다. 즉, 최종 치아 수복물의 설계를 위한 구강의 정보를 획득하기 위하여 피시술자가 시술자측 또는 제조자측에 방문한 시점에서 상기 틀니몸체부(11)를 3차원 프린팅하고 구강에 물어 보정하기만 하면 범용 틀니장치(10)를 제조 및 설치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인공잇몸부(13)의 내면이 1차 보정되어 상기 변형보정홈부(16)가 형성된 상기 틀니몸체부(11)가 경화광에 4~5분 동안 노출되어 완전 경화된다. 여기서, 완전 경화라 함은 상기 틀니몸체부(11)가 상기 교합압력뿐만 아니라 상기 연화온도 범위 이상에서도 연화되거나 변형되지 않도록 비가역적으로 경화된 상태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 상기 인공치아부(12) 및 1차 보정되어 형성된 상기 변형보정홈부(16)까지 견고하게 경화되어 상기 교합압력을 지지하는 강도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완전 경화된 상기 틀니몸체부(11)의 내면, 즉 상기 변형보정홈부(16)에 경화성 레진이 도포된다. 그리고, 상기 경화성 레진이 상기 변형보정홈부(16)에 도포된 상기 틀니몸체부(11)가 상하악 사이에서 교합되면 상기 교합압력을 통해 상기 대상악궁(2)의 잇몸부와 상기 변형보정홈부(16)의 간극에 상기 경화성 레진이 충진된다. 이를 통해, 내면부가 상기 대상악궁(2)의 잇몸부 외면 프로파일과 정확하게 형합되도록 2차 보정되어 형합보정면부(19)가 형성된 상기 범용 틀니장치(10)로 제조될 수 있다. 즉, 상기 형합보정면부(19)는 상기 변형보정홈부(16)의 내면에 도포되되 간극이 충진되도록 가압되어 2차 보정된 상기 경화성 레진이 경화되어 형성된 것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이처럼, 상기 틀니몸체부(11)는 상기 인공잇몸부(13)의 내면이 가온처리되어 연화되되 상기 교합압력을 통해 내외면 사이 높이 및 상기 인공잇몸부(13)의 내면부 형상이 수직고경(VD) 및 상기 대상악궁(2)의 잇몸부와 대응하도록 1차 보정된다. 그리고, 경화광을 통해 완전 경화되어 딱딱해진 상기 변형보정홈부(16)의 내면에 상기 경화성 레진이 도포되되 상기 교합압력을 통해 상기 대상악궁(2)의 잇몸부에 정밀하게 형합되도록 2차 보정된다.
이때, 상기 범용 틀니장치(10)가 규격화된 상기 틀니몸체부의 설계정보를 기반으로 제조되더라도 구강에 설치하여 저작감도에 따라 교합하는 간단한 방법으로 각 피기술자에게 적합하게 보정된다. 따라서, 제조비용 및 제조공정이 현저히 절감될 수 있으며, 제조난이도가 낮아 제조 편의성이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틀니몸체부의 설계정보에는 상기 경화성 레진의 도포시 접촉면적이 증가되도록 복수개로 함몰 형성되는 요철홈의 설계정보가 더 포함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인공잇몸부(13)의 내면에는 상기 요철홈(16a)이 함몰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경화성 레진이 상기 요철홈에 보강 충진됨에 따라 상기 형합보정면부(19)가 상기 변형보정홈부(16)에 적층된 상태가 견고하게 유지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요철홈(16a)은 도 3에서와 같이, 상기 틀니몸체부(11)의 외면측으로 가장 함몰되는 원호형의 중심홈을 기준으로 내측면 및 외측면에 교번 배치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요철홈(16a)이 교번 배치되는 경우 상기 경화성 레진과의 접촉면적은 증가하면서도 상기 인공잇몸부(13)의 내면에 함몰부분이 최소화되므로 내구성이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 물론, 상기 요철홈(16a)은 상기 인공잇몸부(13)의 내면에 격자 또는 비정형 패턴의 홈으로 형성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변형예는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한편, 상기 형합보정면부(19)가 상기 대상악궁(2)의 잇몸부 프로파일에 형합되도록 가압 변형되되 상기 교합압력을 완충 지지하는 탄성층으로 기능하도록, 상기 경화성 레진은 폴리 에틸 메타크릴레이트와 가소제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상기 경화성 레진은 폴리 에틸 메타크릴레이트(poly ethyl methacrylate, 이하 PEMA) 및 부틸 프탈릴 부틸 글리콜레이트(butyl phthalate butyl glycolaet, 이하 BPBG)를 포함하는 제1제, 폴리 메틸 메타크릴레이트(poly methyl methacrylate, 이하 PMMA) 및 디부틸 프탈레이트(dibutyl phthalate, 이하 DBP)를 포함하는 제2제 및 에탄올로 구비되는 희석용제를 포함하여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PEMA와 상기 PMMA는 아크릴계 수지로 포함되며, 상기 BPBG와 상기 DBP는 가소제로서 포함되는 것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경화성 레진의 전체 중량에 대하여 제1제 80~87 중량%, 상기 제2제 8~15 중량%, 상기 희석용제 4.5~5.5 중량%를 포함하여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제1제 86.9 중량%, 상기 제2제 8.2 중량%, 상기 희석용제 4.9 중량%를 포함하여 조성될 수 있다.
또는, 상기 경화성 레진은 상기 제1제와, 디부틸 프탈레이트를 단독으로 포함하는 제3제와 상기 희석용제를 포함하여 구비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경화성 레진의 전체 중량에 대하여 상기 제1제 80~90 중량%, 상기 제3제 2~6 중량%, 상기 희석용제 7~15 중량%를 포함하여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제1제 80.9 중량%, 상기 제3제 4.3 중량%, 상기 희석용제 14.8 중량%를 포함하여 조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화성 레진이 경화되어 형성되는 상기 형합보정면부(19)는 내면부가 상기 대상악궁(2)의 잇몸부 프로파일에 정밀하게 형합되면서도, 쿠션감을 통해 상기 대상악궁(2)에 가해지는 교합압력을 완충한다. 따라서, 상기 범용 틀니장치(10)를 구강에 설치다더라도 연조직인 잇몸부에 딱딱하게 경화된 상기 인공잇몸부(13)의 내면이 직접 접촉됨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교합시 잇몸의 연조직 및 상기 치조골에 압박감 또는 이물감이 감소되므로 사용시 편의성이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틀니몸체부(11)가 상기 대상악궁(2) 및 상기 대합악궁(3)의 색상과 매칭되도록, 상기 인공치아부(12) 및 상기 인공잇몸부(13)의 표면에 색상발현층(C)이 형성되는 단계를 더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색상발현층(C)은 하도코팅층(c1)과, 발색코팅층(c2)과, 상도코팅층(c5)을 포함하며, 상기 변형보정홈부(16)가 형성된 후 상기 경화광에 노출되기 전단계 또는 상기 형합보정면부(19)가 적층 형성된 후단계에서 형성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틀니몸체부(11)의 표면 색상을 차폐하도록 아크릴계 수지 재질의 제1코팅액이 도포 및 건조되어 상기 하도코팅층(c1)이 적층된다. 이때, 상기 제1코팅액은 상기 아크릴계 수지 재질 및 지르코늄이 포함된 액상 또는 콜로이드 상태로 구비되며 상기 틀니몸체부(11)의 표면에 1~3회 적층 도포된다.
이때, 상기 제1코팅액에 포함된 상기 아크릴계 수지 재질은 상기 틀니몸체부(11)와 동형 재질인 아크릴계 수지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동일한 재질 간의 고도의 융착력을 통하여 상기 하도코팅층(c1)이 상기 틀니몸체부(11)의 표면과 실질적으로 일체화되도록 견고하게 밀착 도포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틀니몸체부(11)의 색상을 실질적으로 차폐하여 상기 발색코팅층(c2)의 색상이 선명하게 표시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하도코팅층(c1)의 외면으로 상기 발색코팅층(c2)이 적층되되, 상기 발색코팅층(c2)은 상기 인공잇몸부(13)와 상기 인공치아부(12)에 각각 대응되는 안료를 포함하는 색상도료로 구분되어 적층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발색코팅층(c2)은 치아의 색상으로 표현되는 제1발색부(c3)와 잇몸부의 색상으로 표현되는 제2발색부(c4)를 포함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인공치아부(12)에 적층된 상기 하도코팅층(c1)의 외면에는 치아 색상과 매칭되도록 조성된 제1색상도료가 도포 및 경화되어 상기 제1발색부(c3)로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1색상도료는 실제 치아와 유사한 색상으로 형성되도록 흰색 안료 및 황색 안료를 포함하여 조합된 제1안료 및 분산제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인공잇몸부(13)에 적층된 상기 하도코팅층(c1)의 외면에는 잇몸부 색상과 매칭되도록 조성된 제2색상도료가 도포 및 경화되어 상기 제2발색부(c4)로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2색상도료는 상기 대상악궁(2)의 잇몸부와 유사한 색상으로 형성되도록 흰색 안료, 황색 안료, 및 적색 안료를 포함하여 조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하도코팅층(c1)이 흰색으로 적층 도포되므로, 상기 인공치아부(12)는 상기 제1색상도료의 도포 없이 상기 하도코팅층(c1)의 색상으로 대체될 수도 있다.
더불어, 상기 발색코팅층(c2)의 표면을 보강하도록 제2코팅액이 도포 및 건조되어 상도코팅층(c5)이 적층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상도코팅층(c5)은 아크릴계 올리고머로 형성되는 상기 범용 틀니장치(10)의 표면에 광택을 부여하여 심미적인 만족감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틀니몸체부(11) 및 상기 발색코팅층(c2)의 마모, 긁힘, 박리, 세척용액 등으로 인한 변성을 방지하여 상기 범용 틀니장치(10)의 사용수명이 연장될 수 있다.
이처럼, 상기 틀니몸체부(11)의 외면에 상기 색상발현층(C)이 형성됨에 따라 상기 범용 틀니장치(10)가 임시로 사용되더라도 사용기간 중 심미적 만족감이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색상발현층(C)은 상기 틀니몸체부(11)의 재질과 동형 재질을 포함하므로 상기 색상발현층(C)과 상기 틀니몸체부(11)간의 부착강도가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
한편,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범용 틀니장치의 제조과정에서 경화광에 노출되는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틀니몸체부(11)는 3차원 프린팅된 후 상기 경화광에 예비 노출되어 반경화되며, 상기 변형보정홈부(16)가 형성되도록 1차 보정된 후 상기 경화광에 노출되어 완전 경화된다. 이때, 상기 틀니몸체부(11)는 상기 경화광이 조사되는 광경화장치(300)에 수납되어 반경화 및 완전 경화가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광경화장치(300)는 대각선방향으로 마주보게 배치되는 각 광원(314,324)으로부터 기설정된 화각(a1,a2)을 가지며 사선방향으로 조사되는 경화광(L1,L2)이 경화공간(S) 내부의 중앙에 다중 중첩되어 광량이 집중되는 중첩경화영역(h)이 형성된다. 따라서, 입체적으로 형성되는 상기 틀니몸체부(11)의 전체적인 부분이 상기 경화광(L1,L2)에 노출되면서 경화취약 부분 없이 균일한 경화강도로 경화되므로 교합압력에 대한 굽힘강도가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틀니몸체부(11)가 안착되는 경화플레이트(330)가 투명으로 형성되며, 각 광원(314,324)이 상기 경화플레이트(330)와 상측 및 하측으로 이격된 각 케이스(310,320)의 양측 모서리에 경사지게 배치된다. 따라서, 상기 틀니몸체부(11)가 상기 경화플레이트(330)에 안정적으로 안착 배치된 상태에서 하면부까지 상기 경화광이 조사되므로 경화효율이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틀니몸체부(11)가 상기 경화광(L1,L2)에 예비 노출되어 반경화되는 단계에서, 상기 경화플레이트(330)의 하측에 배치된 광원을 OFF하거나, 상기 경화플레이트(330)를 차폐하여 불투명하게 처리할 수도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연화온도 범위로 가온처리되는 상기 틀니몸체부(11)의 내면이 상기 경화광(L1)으로 인해 과도하게 경화됨을 방지할 수도 있다.
한편,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틀니몸체부를 나타낸 단면예시도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보강홈부(117) 및 보강와이어(118)를 제외한 상기 틀니몸체부(110)의 기본적인 구성은 상술한 일실시예와 동일하므로 동일한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도 9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틀니몸체부(111)의 설면측에는 상기 표준치열궁 프로파일에 대응하여 연속적으로 함몰된 보강홈부(117)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보강홈부(117)에는 상기 표준치열궁 프로파일에 대응하는 길이의 원주 바 형상으로 굴곡지게 구비되는 보강와이어(118)가 삽입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색상발현층(C)은 상기 틀니몸체부(111)의 표면 및 상기 보강와이어(118)를 동시에 커버하도록 적층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보강홈부(117)는 상기 인공치아부(112)와 상기 인공잇몸부(113)가 연결되는 부분의 설면측에 원호형 프로파일을 따라 함몰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보강와이어(118)는 생체친화성 및 내식성이 우수한 금속 재질로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틀니몸체부(111)가 합성수지 재질로 3차원 프린팅되어 최종 치아 수복물보다 강도가 다소 약하게 제조되더라도 상기 보강와이어(118)를 통해 지지강도가 보강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범용 틀니장치(110)의 사용 기간 중 교합압력으로 인한 파절이 방지되므로 내구성 및 사용수명이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강와이어(118)가 삽입된 흔적이 실질적으로 구강 외로 표시되지 않으므로 심미감이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보강와이어(118)가 상기 보강홈부(117)에 삽입되되 상기 색상발현층(C)이 적층 코팅됨에 따라 차폐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색상발현층(C) 중 상기 하도코팅층이 상기 틀니몸체부(111)를 형성하는 베이스수지와 동형 재질을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틀니몸체부(111)에 상기 보강홈부(117)가 함몰 형성되더라도 상기 색상발현층(C)을 통해 함몰된 부분이 충진 및 상기 보강와이어(118)의 색상이 차폐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범용 틀니장치(110)의 내구성은 향상되면서도 실질적으로 일체화된 외형을 통해 심미감이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은 상기 틀니몸체부(11)가 일체형으로 심플하게 범용으로 규격화되어 준비된다. 그리고, 잇몸부에 설치되는 내면을 가온처리하여 연화시켜 교합하는 간단한 방법으로 복잡한 설계과정 없이도 다양한 피시술자에게 개별 매칭되도록 정밀 보정된다. 따라서, 기존 틀니보다 제조비용이 저렴하면서도 내원 즉시 신속하고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틀니몸체부(11)가 교합압력을 안정적으로 지지하도록 다단계 경화되는 과정 중에 대상악궁의 잇몸부 및 수직고경에 맞게 보정이 수행된다. 이를 통해, 피시술자에게 형합되는 정밀성 및 지지강도를 동시에 개선하는 상승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변형보정홈부(16)가 형성된 상기 틀니몸체부(11)를 경화광을 통해 완전 경화시킨 후 내면에 탄성체로 경화되는 경화성 레진을 도포 및 교합하여 간극을 충진함으로써 잇몸부에 더욱 정밀하게 형합된다. 이와 동시에, 탄성체로 경화됨에 따라 교합압력을 완충시켜 저작시 통증 및 이물감이 최소화되므로 사용 편의성 및 만족감이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
더불어, 상악측에 설치되는 경우 상기 인공잇몸부(13)의 양단부 사이를 커버하여 경구개와 형합되는 보강형합부(15a)가 형성되므로 내구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이와 함께, 전후방향으로 절개된 범용슬롯부(15b)를 통해 규격화되어 형성된 사이즈를 구강 크기에 맞게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어 제조 정밀성 및 활용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이때,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구비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술한 각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청구항에서 청구하는 범위를 벗어남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변형 실시되는 것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실시는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10: 범용 틀니장치 11: 틀니몸체부
12: 인공치아부 13: 인공잇몸부
16: 변형보정홈부 19: 형합보정면부
C: 색상발현층

Claims (6)

  1. 외면이 대합악궁과 교합되며 기설정된 표준치열궁 프로파일에 대응하여 원호형으로 형성된 인공치아부와, 상기 인공치아부의 하단부로부터 일체로 연장되어 대상악궁의 잇몸부를 감싸도록 내면이 오목하게 구비되는 인공잇몸부를 포함하는 틀니몸체부의 설계정보를 기반으로 아크릴계 올리고머를 포함하는 베이스수지가 3차원 프린팅되어 실물의 틀니몸체부로 제조되는 제1단계;
    상기 틀니몸체부가 경화광에 30~60초 동안 예비 노출되어 반경화되는 제2단계;
    반경화된 상기 틀니몸체부의 내면이 기설정된 연화온도 범위로 가온처리되어 연화되되, 교합압력을 통해 가압 변형되어 내외면 사이 높이가 기설정된 수직고경에 대응하도록 1차 보정되어 상기 내면에 변형보정홈부가 형성되는 제3단계;
    1차 보정된 상기 틀니몸체부가 경화광에 4~5분 동안 노출되어 완전 경화되는 제4단계; 및
    완전 경화된 상기 틀니몸체부의 내면에 형성된 상기 변형보정홈부에 폴리 에틸 메타크릴레이트와 가소제를 포함하는 경화성 레진이 도포 및 상기 교합압력을 통해 상기 대상악궁의 잇몸과의 간극에 충진되어 내면부가 상기 대상악궁의 잇몸부 외면 프로파일과 형합되도록 2차 보정되어 형합보정면부가 적층 형성된 범용 틀니장치로 제조되는 제5단계를 포함하는 범용 틀니장치의 제조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단계에서, 상기 틀니몸체부의 설계정보에는 상기 경화성 레진의 도포시 접촉면적이 증가되도록 복수개로 함몰 형성되는 요철홈의 설계정보가 더 포함되며,
    상기 제3단계에서, 상기 변형보정홈부는 상기 인공잇몸부의 내면이 상기 연화온도 범위로 국소적으로 가온처리되어 연화되되 상기 교합압력을 통해 상기 대상악궁의 잇몸부에 예비 형합되도록 가압 보정되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범용 틀니장치의 제조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3단계와 상기 제5단계 중 적어도 어느 단계는, 상기 틀니몸체부의 색상을 차폐하는 하도코팅층이 적층되는 단계와, 치아 색상과 매칭되도록 조성된 제1색상도료 및 잇몸부 색상과 매칭되도록 조성된 제2색상도료가 각각 인공치아부 및 인공잇몸부에 적층된 하도코팅층의 외면에 도포 및 경화되어 발색코팅층이 적층되는 단계와, 상기 발색코팅층의 표면을 보강하도록 상도코팅층이 적층되어 색상발현층이 형성되는 단계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범용 틀니장치의 제조방법.
  4. 외면이 대합악궁과 교합되며 기설정된 표준치열궁 프로파일에 대응하여 원호형으로 형성된 인공치아부와 상기 인공치아부의 하단부로부터 연장되어 대상악궁의 잇몸부를 감싸도록 내면이 오목하게 구비되는 인공잇몸부를 포함하여 범용으로 규격화되어 일체형으로 구비되되, 기설정된 연화온도 범위로 가온처리되어 연화되되 교합압력을 통해 가압 변형되어 1차 보정되고 경화되어 상기 대상악궁의 잇몸부와 예비 형합되도록 형성되는 변형보정홈부가 상기 인공잇몸부의 내면에 구비된 올리고머 재질의 틀니몸체부; 및
    내면부가 상기 대상악궁의 잇몸부 프로파일과 형합되도록 상기 변형보정홈부에 도포되되 상기 교합압력을 통해 상기 대상악궁의 잇몸부와의 간극에 충진되도록 2차 보정되는 경화성 레진이 경화되어 형성된 형합보정면부를 포함하는 범용 틀니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틀니몸체부는 아크릴계 올리고머를 포함하는 베이스수지가 3차원 프린팅되고 경화광에 예비 노출되어 상기 연화온도 범위에서 연화되는 강도로 예비 경화되되, 연화된 상기 내면이 가온 처리되어 상기 교합압력을 통해 상기 대상악궁의 잇몸부에 예비 형합되고 내외면 사이 간격이 기설정된 수직고경에 대응하는 높이로 1차 보정되되 상기 경화광에 노출되어 내외면 전체가 상기 교합압력을 지지하는 강도로 완전 경화되어 형성되며,
    상기 형합보정면부가 상기 교합압력을 통해 상기 대상악궁의 잇몸부 프로파일과 형합되도록 가압 변형되어 형성되되 상기 교합압력을 완충 지지하는 탄성층으로 기능하도록, 상기 경화성 레진은 폴리 에틸 메타크릴레이트와 가소제를 포함하되,
    상기 변형보정홈부에는 상기 경화성 레진의 도포시 접촉면적이 증가되도록 복수개로 함몰 형성되어 상기 경화성 레진이 보강 충진되는 요철홈이 형성되며,
    상기 인공잇몸부의 원호형 프로파일 내측에 일체로 연결되되 상기 인공잇몸부의 양단부 사이를 지지하도록 형성되는 보강형합부가 더 포함되되, 상기 보강형합부에는 상기 표준치열궁 프로파일 반경에 대한 오차범위를 포함하여 절개된 범용슬롯부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범용 틀니장치.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틀니몸체부의 외면에 도포되어 형성되는 색상발현층을 더 포함하되, 상기 색상발현층은
    상기 틀니몸체부의 색상을 차폐하도록 적층되는 하도코팅층과,
    치아 색상과 매칭되도록 조성된 제1색상도료 및 잇몸부 색상과 매칭되도록 조성된 제2색상도료가 각각 인공치아부 및 인공잇몸부에 적층된 하도코팅층의 외면에 도포 및 경화되어 적층되는 발색코팅층과,
    상기 발색코팅층의 표면을 보강하도록 적층되는 상도코팅층을 포함하여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범용 틀니장치.
KR1020190116780A 2019-09-23 2019-09-23 범용 틀니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2098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6780A KR102209806B1 (ko) 2019-09-23 2019-09-23 범용 틀니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6780A KR102209806B1 (ko) 2019-09-23 2019-09-23 범용 틀니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09806B1 true KR102209806B1 (ko) 2021-01-29

Family

ID=742366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16780A KR102209806B1 (ko) 2019-09-23 2019-09-23 범용 틀니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0980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62840A (ko) * 2019-11-22 2021-06-01 주식회사 디오 유치용 크라운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30059181A (ko) * 2021-10-25 2023-05-03 주식회사 디오 디지털보철 및 그의 제조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03834B1 (ko) 2000-10-19 2003-11-01 권칠수 트래이를 이용한 틀니의 제작장치
KR101957203B1 (ko) * 2018-04-18 2019-03-12 주식회사 디오 디지털보철 제조방법
KR101956072B1 (ko) * 2017-09-14 2019-03-12 주식회사 디오 디지털틀니 제조방법
JP2019521188A (ja) * 2016-06-20 2019-07-25 デンツプライ シロナ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層状歯科用製品を製造するための3次元造形材料系および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03834B1 (ko) 2000-10-19 2003-11-01 권칠수 트래이를 이용한 틀니의 제작장치
JP2019521188A (ja) * 2016-06-20 2019-07-25 デンツプライ シロナ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層状歯科用製品を製造するための3次元造形材料系および方法
KR101956072B1 (ko) * 2017-09-14 2019-03-12 주식회사 디오 디지털틀니 제조방법
KR101957203B1 (ko) * 2018-04-18 2019-03-12 주식회사 디오 디지털보철 제조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62840A (ko) * 2019-11-22 2021-06-01 주식회사 디오 유치용 크라운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280258B1 (ko) 2019-11-22 2021-07-21 주식회사 디오 유치용 크라운
KR20230059181A (ko) * 2021-10-25 2023-05-03 주식회사 디오 디지털보철 및 그의 제조방법
KR102652030B1 (ko) 2021-10-25 2024-03-28 주식회사 디오 디지털보철 및 그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1107804A (zh) 牙修复模具
US8753114B2 (en) Method for dental restoration and related kit
JP4834082B2 (ja) 歯科矯正治療用のインダイレクトボンディングトレイの作成方法
US7217131B2 (en) Method for dental restoration and kit
US8366445B2 (en) Method for dental restoration and related kit
CN112714637B (zh) 牙修复模具
JP2013081785A (ja) 歯列矯正アライナー器具の直接製造
KR101957203B1 (ko) 디지털보철 제조방법
Fabbri et al. The full-mouth mock-up: a dynamic diagnostic approach (DDA) to test function and esthetics in complex rehabilitations with increased vertical dimension of occlusion
US11896451B2 (en) Method of manufacturing overdenture and flattening guide applied thereto for manufacturing the overdenture
KR102296246B1 (ko) 디지털 오버덴쳐 제조방법
KR102209806B1 (ko) 범용 틀니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
Patil et al. A hollow definitive obturator fabrication technique for management of partial maxillectomy
Oh et al. A digital technique for fabricating an interim implant-supported fixed prosthesis immediately after implant placement in patients with complete edentulism
JP2014133134A (ja) 歯列矯正アライナー器具の直接製造
KR102280258B1 (ko) 유치용 크라운
KR101957204B1 (ko) 디지털보철 제조방법
Paris et al. Smile Esthetics: a Methodology for Success in a Complex Case.
Revilla‐León et al. Silicone additive manufactured indices performed from a virtual diagnostic waxing for direct composite diastema closure combined with resin infiltration technique on white spot lesions: a case report
Zaninovich et al. Same day implant bridge for full‐arch implant fixed rehabilitation
US20150282906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eparing contoured glazed composite dental veneers
Yadav et al. Esthetics with prosthetics in case of maxillary canine transposition: A clinical report
Nokar et al. Use of digital-conventional method for managing a patient with severely worn dentition: A clinical report
Watanabe et al. A dual composite resin injection molding technique with 3D-printed flexible indices for biomimetic replacement of a missing mandibular lateral incisor
Spear An interdisciplinary approach to the use of long-term temporary restoratio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