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07357B1 - Improved sinker for fishing - Google Patents

Improved sinker for fishing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07357B1
KR102207357B1 KR1020200093797A KR20200093797A KR102207357B1 KR 102207357 B1 KR102207357 B1 KR 102207357B1 KR 1020200093797 A KR1020200093797 A KR 1020200093797A KR 20200093797 A KR20200093797 A KR 20200093797A KR 102207357 B1 KR102207357 B1 KR 1022073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ngdol
weight
weight adjustment
fishing
adjustment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93797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조형균
Original Assignee
조형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형균 filed Critical 조형균
Priority to KR10202000937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07357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073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0735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5/00Sinkers for angling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1/00Lines
    • A01K91/03Connecting devices
    • A01K91/04Connecting devices for connecting lines to hooks or lur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3/00Floats for angling, with or without signalling devices
    • A01K93/02Floats for angling, with or without signalling devices with signalling devic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mproved fishing sinker applied to float fishing and forming balance with a floa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improved fishing sinker comprises: a sinker body providing base weight; a lower sinker ring connected to a fishing hook with a fishing line; an upper sinker ring connected to the float with the fishing line; and a weight adjusting means for finely adjusting the weight of the sinker. The weight control means includes a weight adjustment member additionally coupled to the weight control unit and a movement limiting means for limiting horizontal movement of the sinker at the bottom of the water and allowing only movement in a vertical direction is formed on the lower part of the sinker body. Accordingly, balance between the buoyancy of the float and the gravity of the sinker can be adjusted and clear movement of the float is provided as a fish actively bites the bait and moves up and down, thereby enabling an angler to perform proper hooking.

Description

개량형 낚시 봉돌 {IMPROVED SINKER FOR FISHING}Improved fishing rod {IMPROVED SINKER FOR FISHING}

본 출원의 발명(이하 ‘본원발명’이라 함)은 낚시 봉돌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낚시에는 찌를 사용하여 어신(魚信)을 감지하는 찌낚시와 찌 없이 낚싯대 끝을 통하여 전달되는 물고기의 입질을 손으로 느끼는 맥낚시가 있는데, 본원발명은 찌낚시에 적용되는 것이므로 상기 찌와 균형을 이루는 ‘봉돌’을 개량한 것이다. The invention of the present application (hereinafter referred to as “the original invention”) relates to a fishing rod. More specifically, fishing includes a float fishing that uses a float to detect a fish, and a mac fishing that feels the bite of a fish transmitted through the tip of a fishing rod without a float.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float fishing. It is an improved'Bongdol' that achieves balance.

본원발명은 낚싯대에 갖추어져 쓰이는 여러 물건인 낚싯바늘(hook), 낚싯줄(line), 찌(float) 따위를 지칭하는 낚시채비 중 하나인 ‘봉돌(sinker)’에 관한 것이다. 이를 통상 낚시채비의 4대 구성 요소라 한다. 일반적으로 낚싯대에 갖추어지는 낚시채비는 낚싯줄, 낚시찌, 봉돌, 도래, 낚싯바늘이 순차적으로 연계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통상 물에 잠기는 낚싯줄에는 중량체로 이루어진 봉돌이 물속에서 가라앉을 수 있도록 되어 있고, 낚싯줄의 하부에는 낚싯바늘이 목줄에 연결되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sinker', which is one of fishing rigs that refer to various items, such as hooks, fishing lines, and floats, which are used on fishing rods. This is commonly referred to as the four major components of fishing gear. In general, fishing rigs equipped on fishing rods are configured so that the fishing line, fishing floats, bongdol, advent, and fishing needles are sequentially linked, and a fishing line that is usually submerged in water has a rod made of a heavy body so that it can sink in the water. In the lower part, a fishing hook is connected to the neckline.

‘봉돌’에 대하여 설명한다. ‘낚싯봉’ 또는 ‘낚시 추(錘)’ 등으로 불리는 ‘봉돌’은 미끼를 던져 보내고 물속으로 가라앉히는 운반용(運搬用)의 구실을 한다. 기존에는 거의 납으로 만들어져 있어 칼이나 소형 가위로 깎아 손쉽게 그 무게를 가감할 수 있도록 되어 있었으나, 2012년 9월 10일부로 「낚시 관리 및 육성법」제8조 ‘유해 낚시도구의 제조 등의 금지’ 조항에 의하여 낚시에 납으로 된 봉돌이나 납 성분이 들어간 봉돌을 사용하지 못하게 되었다. 본원발명은 이런 환경하에서 구체적으로 후술하는 바와 같이 봉돌의 무게를 쉽게 가감할 수 있다는 특징을 가진다.Explain'bongdol'. 'Bongdol', called'fishing rod' or'fishing chu(錘)', is used as a transport for throwing bait and sinking into the water. In the past, it was almost made of lead, so the weight could be easily increased or decreased by cutting with a knife or small scissors, but as of September 10, 2012, Article 8 of the 「Fishing Management and Fostering Act」'Prohibition on the manufacture of harmful fishing tackle' As a result, the use of lead rods or rods containing lead was not allowed for fishing. The present invention has a characteristic that the weight of the bongdol can be easily added or subtracted under such an environment as will be described later in detail.

봉돌의 기능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봉돌은 낚싯줄이나 그물이 물속에 빨리 가라앉게 하거나 원하는 위치에 머무르게 하는 기능을 하는데, 물속에서 찌의 부력과 무게 평형을 맞추어 물고기의 어신을 찌에 전달하게 하는 기능도 한다. 따라서 봉돌은 원거리까지 낚시채비를 보낼 수 있는 원투력, 어신이나 외력이 없는 경우에 흔들림이나 기울임이 없어야 하는 안정감, 오랜 기간 사용할 수 있는 내구력뿐만 아니라 수중 물고기의 행위에 찌가 민감하게 반응할 수 있는 예민성 등이 요구된다.To explain the function of Bongdol in more detail, Bongdol allows the fishing line or net to quickly sink into the water or stay at a desired location.It is used to balance the buoyancy and weight of the float in the water to deliver the fish's body to the float. It also functions. Therefore, Bongdol can be used for long distances, as well as the long throw power that can send fishing gear to a long distance, the stability that should not be shaken or tilted when there is no fishing or external force, and the durability that can be used for a long period of time, as well as the floats can react sensitively to the actions of underwater fish. Sensitivity, etc. are required.

‘찌’는 낚시에 있어 시신경(視神經)과 같은 것으로 눈에 보이지 않는 물고기의 움직임을 전달해 줌으로써 무엇보다 그 예민성이 강조된다. 찌의 예민성이라 함은 미끼를 취하는 물고기의 작은 움직임까지도 정확히 전달해주는 것을 말하며, 이를 위해서는 부력(浮力)이 강하면서도 가볍고 물의 저항을 많이 받지 않아야 한다. 또한 낚시인의 눈에 잘 띄어야 하며 견고성도 요구된다.'Ji' is the same as the optic nerve in fishing, and its sensitivity is emphasized above all by conveying the movement of the fish invisible to the eye. The sensibility of the fish means that it accurately conveys even the small movements of the fish taking the bait, and for this, the buoyancy is strong and light, and it is not subject to much resistance from water. In addition, it must be easily seen by the angler, and robustness is also required.

봉돌과 찌의 관계에서 중요한 점은, 찌가 예민하기 위해서는 봉돌의 무게와 찌의 부력이 잘 균형을 이루어야 한다는 것이다. 예를 들어 민물의 붕어 낚시 등에 있어서는 이 봉돌의 무게와 찌의 부력을 거의 동일하게 하여 무중력·무부력 상태가 되도록 한다. The important poin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Bongdol and Jji is that in order for Jji to be sensitive, the weight of Bongdol and the buoyancy of Jji must be well balanced. For example, in freshwater crucian fishing, the weight of this rod and the buoyancy of the float are almost the same, so that the state of zero gravity and no buoyancy is achieved.

이를 위해서 봉돌은 그 무게를 쉽게 가감(加減)할 수 있으면 좋고, 미세하게 그 무게를 조절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봉돌과 찌에 작용하는 부력으로 봉돌은 하상(河床) 등 물 밑바닥에 위치하고, 찌는 일부 물에 잠기어 수면 위로 일부 노출되되, 무중력·무부력 상태가 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For this purpose, it is good if the weight of Bongdol can be easily added or decreased, and it is preferable that the weight can be finely adjusted. This is to ensure that the bongdol is a buoyant force acting on the bongdol and the bobbin, and the bongdol is located at the bottom of the water, such as a river bed, and the bongdol is partially exposed to the surface of the water by being immersed in water, so that it can be in a state of zero gravity or buoyancy.

이와 관련하여 예를 들면 아래와 같은 선행기술이 공개되어 있다.In this regard, for example, the following prior art has been disclosed.

대한민국특허청 공개특허공보 2007-0121302. 공개일 2007년 12월 27일. 출원번호 2006-0056175. 이 선행문헌 발명의 명칭은 “봉돌”이며, 그 대표적인 도면은 아래와 같다. Korean Intellectual Property Office Patent Publication 2007-0121302. Publication date December 27, 2007. Application No. 2006-0056175. The name of the invention of this prior document is “Bongdol”, and its representative drawings are as follows.

Figure 112020078966024-pat00001
Figure 112020078966024-pat00001

위 선행기술은 봉돌의 무게를 조절할 수 있지만, 그 무게를 가감할 때 봉돌을 분리해야 하므로 불편하다. 본원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고자 한다. The above prior art can adjust the weight of bongdol, but it is inconvenient because bongdol must be separated when adding or subtracting the weight. The present invention seeks to solve such a problem.

한편, 낚시터에서 적절한 포인트를 선정한 후 대 편성을 하고 미끼를 달아서 찌를 세우는 과정이 낚시의 준비과정이다. 이후 물고기가 낚싯바늘을 물기를 기다리고, 물고기가 미끼를 건드려서 찌가 움직일 때 적절하게 낚싯대를 살짝 들어 올려야만 물고기를 낚을 수 있다. 이른바 ‘챔질’(hookset)은 물고기의 ‘입질’을 분석하여 낚싯바늘이 물고기의 입에 확실히 걸릴 수 있도록 낚싯대를 민감하게 움직이는 것을 의미한다. On the other hand, the preparation of fishing is the process of selecting an appropriate point at the fishing site, forming a large group, and attaching a bait to poke. Afterwards, the fish waits for the fishing hook to bite, and when the fish touches the bait and the float moves, you can only catch the fish by slightly lifting the fishing rod properly. The so-called “hookset” means to move the fishing rod sensitively so that the fishing hook can be caught in the fish's mouth by analyzing the “bite quality” of the fish.

이 챔질은 물고기의 ‘입질’을 분석하는 것이고, 물고기의 입질은 찌의 운동을 통하여 파악할 수밖에 없다. 낚시꾼은 수중에서 벌어지는 물고기의 입질을 볼 수 없고, 물고기의 입질은 이른바 ‘찌 놀림’으로 나타난다. 찌 놀림은 곧 물고기의 수중 행동이다. This chimney is to analyze the “bite quality” of the fish, and the bite quality of the fish cannot but be grasped through the movement of the fish. The angler cannot see the bite of the fish taking place underwater, and the bite of the fish appears as a so-called "jumping". Poke is a fish's underwater behavior.

그런데 물고기가 미끼와 낚싯바늘에 점차 적응하여 근래에는 입질만 계속하면서 미끼를 조금씩 먹고, 미끼를 물어 이동하지 않으려는 경향이 나타나고 있다. 특히, 이런 현상은 저수지나 양식 물고기를 풀어놓은 인공 낚시터 등에서 눈에 띄게 드러난다. 근래 두드러진 이런 현상에 대응하기 위한 방안에 대한 고민이 크지만, 마땅히 대응할 방법을 찾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However, as fish gradually adapt to the bait and fishing hook, in recent years, there is a tendency to eat the bait little by little while continuing to bite, and not to move by biting the bait. In particular, this phenomenon is conspicuously revealed in reservoirs or artificial fishing grounds where farmed fish are released. Recently, there have been great concerns about how to cope with this remarkable phenomenon, but the situation has not been able to find a proper way to respond.

이에 대응하는 방법으로 물고기의 생태(生態)를 고려할 필요가 있다. 흡입과 배출을 하는 이른바 입질은 물고기의 자연에서 살아가는 당연한 행태 중 하나이다. 적극적으로 고려할 사항으로 물고기가 흡입과 배출을 할 때 미끼가 이에 따라 움직이지 않으면 적극적으로 입에 물게 되고, 흔들거나 이동하려고 하는데, 이때 물 밑바닥에 기울어진 상태로 입질을 하던 물고기는 수평상태가 되면서 봉돌을 위로 들어 올리게 되고, 이런 물고기의 행동은 찌 놀림을 통하여 명확하게 파악할 수 있다. As a countermeasure, it is necessary to consider the ecology of fish. The so-called biting of inhalation and discharge is one of the natural behaviors of fish living in nature. As a matter to consider actively, if the bait does not move accordingly when the fish is inhaled and discharged, it will actively bite into the mouth, shake or move.At this time, the fish that bite in a tilted state at the bottom of the water becomes horizontal. The stick is lifted up, and the behavior of these fish can be clearly grasped through poke fun.

대한민국특허청 공개특허공보 2007-0121302. 공개일 2007년 12월 27일.Korean Intellectual Property Office Patent Publication 2007-0121302. Publication date December 27, 2007.

본원발명의 목적은 봉돌의 구조를 개선하여 찌의 부력과 봉돌의 무게평형을 용이하게 조절하는 봉돌을 제공하는 데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bongdol that improves the structure of bongdol to easily adjust the buoyancy of the bongdol and the weight balance of bongdol.

본원발명의 목적은 물고기의 생태를 고려하여, 입질에 따라 봉돌이 수평으로 움직이는 것을 제한하고자 한다.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limit the horizontal movement of the bongdol according to the bite quality in consideration of the ecology of the fish.

본원발명의 목적은 봉돌의 수평을 제한하는 구조를 제공함에 있어 재사용이 가능하고, 낚시 환경에 따라 그 구조를 변경할 수 있도록 함에 있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tructure that limits the horizontality of the bongdol, so that it can be reused and the structure can be changed according to the fishing environment.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원발명은 찌낚시에서 낚싯바늘, 낚싯줄, 찌와 함께 사용하는 봉돌로서, 상기 봉돌은 기본 무게를 제공하는 봉돌 몸체, 상기 낚싯줄로 상기 낚싯바늘에 연결되는 봉돌 하부 고리, 상기 낚싯줄로 상기 찌에 연결되는 봉돌 상부 고리를 포함하되, 상기 봉돌은 상기 봉돌의 무게를 미세 조절하기 위한 무게 조절 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무게 조절 수단은 상기 봉돌에 형성된 무게 조절부에 무게 조절 부재를 추가로 결합하는 것이되, 상기 무게 조절 부재는 상기 봉돌을 분리하지 않고 상기 무게 조절부에 결합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돌을 제시한다.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is a bongdol used with a fishing hook, a fishing line, and a bobbin in bobbin fishing, the bongdol being a bongdol body providing a basic weight, a bongdol lower ring connected to the fishing hook with the fishing line, and the fishing line It includes a bongdol upper ring connected to the bongdol, wherein the bongdol further includes a weight adjustment means for finely adjusting the weight of the bongdol, and the weight adjustment means includes a weight adjustment member in the weight adjustment unit formed on the bongdol. It is to be further coupled, the weight adjustment member proposes a bongdol, characterized in that it can be coupled to the weight adjustment unit without separating the bongdol.

본원발명의 상기 무게 조절부는 상기 봉돌 몸체와 결합, 고정되거나 분리될 수 있는 구성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The weight control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figuration can be coupled, fixed or separated from the bongdol body.

본원발명의 상기 무게 조절부의 하부에 고정 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봉돌 몸체 상부에는 끼움부가 형성되어 상기 무게 조절부의 고정 나사산이 상기 봉돌 몸체 상부의 끼움부에 결합, 고정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It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a fixing screw thread is formed in the lower part of the weight adjustment par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fitting part is formed in the upper part of the bongdol body, so that the fixing screw thread of the weight adjustment part can be coupled and fixed to the fitting part of the upper part of the bongdol body. have.

본원발명의 상기 무게 조절부에는 상기 무게 조절부를 탈착할 때 회전이 용이하도록 그 외주가 확장된 그립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The weight control par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grip is formed to facilitate rotation when the weight control part is detached.

본원발명의 상기 무게 조절부는 봉 또는 바 형태의 것이고, 상기 무게 조절 부재는 상기 무게 조절부에 끼우는 일정한 두께를 가지는 판 형태의 것이되, 상기 무게 조절 부재의 중앙부에 상기 무게 조절부가 위치할 수 있도록 상기 무게 조절 부재의 외주 일정부분이 중앙까지 절개된 형태의 무게 조절부 끼움 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The weight control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 the form of a rod or bar, and the weight control member is in the form of a plate having a constant thickness to be fitted to the weight control unit, so that the weight control unit can be located at the center of the weight control member. It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the weight control unit fitting groove is formed in a form in which a certain portion of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weight control member is cut to the center.

본원발명의 상기 무게 조절부에는 상기 무게 조절 수단이 움직이지 않도록 결합되어 유지되는 무게 조절 부재 안착부가 형성되고, 상기 무게 조절부 중 일정 부분은 그 두께가 얇게 형성된 끼움부이며, 상기 무게 조절부 끼움 홈은 상기 끼움부에 대응한 폭으로 형성되어 있되, 상기 무게 조절 부재의 중앙부의 끼움 홈은 상기 무게 조절부의 안착부에 대응하여 형성되어, 상기 무게 조절 부재는 상기 끼움부에 상기 무게 조절부 끼움 홈을 끼워 상기 끼움부가 상기 무게 조절 부재의 중앙에 오도록 한 후 상기 무게 조절 부재를 상기 무게 조절 수단 안착부에 위치하도록 하여 상기 무게 조절 부재가 상기 무게 조절부에서 분리되지 않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The weight adjustment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with a weight adjustment member seating portion coupled to and maintained so that the weight adjustment means does not move, and a certain portion of the weight adjustment portion is a fitting portion formed with a thin thickness, and the weight adjustment unit is fitted. The groove is formed to have a width corresponding to the fitting portion, but the fitting groove in the central portion of the weight adjusting member is formed corresponding to the seating portion of the weight adjusting portion, and the weight adjusting member fits the weight adjusting portion in the fitting portion After inserting a groove so that the fitting part is located in the center of the weight adjusting member, the weight adjusting member is positioned in the seating part of the weight adjusting means so that the weight adjusting member is not separated from the weight adjusting part. have.

본원발명의 상기 무게 조절부에는 위아래로 이동할 수 있도록 끼워져 있되, 상기 무게 조절부에 끼워져 상기 무게 조절 수단 안착부에 위치한 상기 무게 조절 수단을 눌러주어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하는 무게 조절 부재 누름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The weight adjustment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weight adjustment member pressing means fitted so as to move up and down, and is fitted to the weight adjustment unit to press the weight adjustment means located in the weight adjustment means seating unit to fix it so as not to move. It can be characterized by that.

본원발명의 상기 무게 조절부의 외주면에는 외주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무게 조절 부재 누름 수단의 중앙에는 상기 무게 조절부가 끼워지는 통공이 있되, 상기 통공의 내주면에는 상기 외주 나사산에 대응한 통공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무게 조절 부재 누름 수단을 회전시켜 상기 무게 조절부를 위아래로 이동하고, 상기 무게 조절 수단 안착부에 위치하는 상기 무게 조절 부재를 상기 무게 조절 부재 누름 수단을 회전시킴으로 눌러주어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An outer circumferential thread is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weight adjusting par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through hole into which the weight adjusting part is inserted is formed in the center of the weight adjusting member pressing means, and a through hole thread corresponding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thread is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hrough hole So that the weight adjustment member is rotated to move the weight adjustment unit up and down by rotating the weight adjustment member pressing means, and the weight adjustment member located in the weight adjustment means seating portion is pressed by rotating the weight adjustment member pressing means to be fixed so as not to move. It can be characterized by that.

본원발명의 상기 외주 나사산은 끼움부의 위아래로 형성되어, 상기 무게 조절 부재를 끼우거나 뺄 때에는 상기 무게 조절 부재 누름 수단을 상기 끼움부의 위쪽에 위치하는 외주 나사산에 결합함으로써 상기 무게 조절 부재를 용이하게 끼우거나 뺄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The outer circumferential screw thread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above and below the fitting part, and when the weight adjusting member is inserted or removed, the weight adjusting member is easily inserted by coupling the weight adjusting member pressing means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thread located above the fitting part. It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it can be removed or subtracted.

본원발명의 상기 봉돌 몸체 하부에는 물 밑바닥에 상기 봉돌이 수평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은 제한하고, 수직 방향으로만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이동 제한 수단이 형성되어, 물고기가 입질로 찌의 상하 운동 없이 상기 낚싯바늘이 좌우로 움직이면서 미끼만을 먹을 수 없도록 하여, 물고기가 상기 낚싯바늘을 물고 움직여 상기 봉돌이 수직 방향으로 움직이게 되고, 그에 따라 상기 찌가 상하로 움직이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In the lower part of the bongdol body of the present invention, a movement limiting means is formed to limit the movement of the bongdol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o the bottom of the water, and to allow the bongdol to move only in the vertical direction, so that the fishing needle It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the fish cannot eat only the bait while moving from side to side, so that the fish bites the fishing needle so that the rod moves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accordingly, the float moves up and down.

본원발명의 상기 이동 제한 수단은 상기 봉돌 몸체 하부에 아래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고정핀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The movement limiting mean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the fixing pin is elongated in the downward direction under the body of the bongdol.

본원발명의 상기 봉돌 몸체의 하부에는 상기 봉돌 몸체의 내부로 삽입공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고정핀은 상기 삽입공에 끼워져 고정됨으로써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In the lower portion of the bongdol body of the present invention, an insertion hole is formed into the inside of the bongdol body, and the fixing pin may be formed by being inserted into and fixed to the insertion hole.

본원발명의 상기 삽입홈은 2개 이상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The insertion groove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two or more are formed.

본원발명의 상기 봉돌 몸체의 외주에서 중심 방향으로 위아래로 길게 패인 절개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고정핀은 상기 절개 홈에 끼워져 고정됨으로써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In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bongdol body of the present invention, an incision groove that is elongated upward and downward in a central direction is formed, and the fixing pin is formed by being fitted and fixed in the incision groove.

본원발명의 상기 절개홈은 상기 봉돌 몸체의 중심 방향으로 깊게 형성되어, 상기 고정핀이 2개 이상 끼워져 고정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The incision groove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formed deeply in the direction of the center of the bongdol body, and the two or more fixing pins may be inserted and fixed.

본원발명은 봉돌의 구조를 개선하여 찌의 부력과 봉돌의 무게평형을 용이하게 조절하는 봉돌을 제공하여, 필요에 따라 찌와 봉돌 간의 부력 및 중력의 균형을 맞출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bongdol that easily adjusts the buoyancy of the bongdol and the weight balance of bongdol by improving the structure of the bongdol, so that the buoyancy between the bongdol and the gravitational force can be balanced if necessary.

본원발명은 물고기의 생태를 고려하여, 입질에 따라 봉돌이 수평으로 움직이는 것을 제한함으로써 물고기가 미끼와 낚싯바늘을 적극적으로 물고 위아래로 행동을 하게 됨에 따라 찌 놀림을 명확하게 하고, 그에 따라 적절한 챔질을 할 수 있도록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considers the ecology of the fish and restricts the horizontal movement of the stick depending on the bite, thereby clarifying the pokes as the fish actively bites the bait and fishing needle and moves up and down, and accordingly, the proper chiseling is achieved. To be able to do it.

본원발명은 봉돌의 수평을 제한하는 구조를 제공함에 있어 재사용이 가능하고, 낚시 환경에 따라 그 구조를 변경할 수 있도록 하여, 경제성과 관리 용이성을 도모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can be reused in providing a structure that limits the horizontality of the bongdol, and the structure can be changed according to the fishing environment, thereby achieving economical efficiency and ease of management.

도 1은 본원발명에 따른 일 실시 예인 다기능 개량 봉돌을 정면에서 보인 도면이다.
도 2는 본원발명에 따른 일 실시 예인 다기능 개량 봉돌에 있어서, 봉돌 몸체와 무게 조절부가 분리된 상태를 보인 것이다.
도 3 내지 도 5는 본원발명에 따른 일 실시 예인 다기능 개량 봉돌에 있어서, 무게 조절부와 무게 조절 부재의 결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도 3은 결합 전, 도 4는 결합 후, 도 5는 고정 후를 보인 것이다.
도 6는 본원발명에 따른 제2 실시 예인 다기능 개량 봉돌을 아래에서 비스듬하게 보인 것이다.
도 7은 본원발명에 따른 제2 실시 예인 다기능 개량 봉돌의 삽입공에 고정핀을 꽂는 것을 개념적으로 보인 것이다.
도 8은 본원발명에 따른 제3 실시 예인 다기능 개량 봉돌을 아래에서 비스듬하게 보인 것이다.
도 9는 본원발명에 따른 제2 실시 예인 다기능 개량 봉돌의 절개홈에 고정핀을 끼우는 것을 개념적으로 보인 것이다.
도 10은 본원발명에 따른 제1 실시 예인 봉돌과 찌가 물고기의 입질에 따라 반응하는 것을 보인 것이다.
도 11은 본원발명에 따른 제2 및 제3 실시 예인 다기능 개량 봉돌이 수중에서 바닥에 고정핀을 꽂은 상태를 보인 것이고, 도 12는 본원발명에 따른 제2 및 제3 실시 예인 다기능 개량 봉돌이 물고기의 입질에 따라 좌우로 움직이지 않아 물고기가 적극적으로 먹이를 물고 이동하게 됨에 따라 위아래로 움직이는 것을 개념적으로 보인 것이다.
1 is a view showing from the front a multi-functional improved bongdol, an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bongdol body and the weight control unit are separated in the multifunctional improved bongdol which is an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to 5 are diagrams for explaining the combination of the weight adjustment member and the weight adjustment member in the multi-functional improved bongdo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before bonding, FIG. 4 is after bonding, and FIG. 5 is It was shown after fixing.
Figure 6 is a view obliquely from below the multi-functional improved bongdol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conceptual view showing the insertion of the fixing pin into the insertion hole of the multi-functional improved bongdol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view obliquely from the bottom of the multi-functional improved bongdol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conceptual view showing a fixing pin inserted into the incision groove of the multi-functional improved bongdol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view showing that the first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ongdol and jji, react according to the bite of the fish.
11 is a second and third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howing a state in which a fixing pin is inserted into the bottom of the multi-functional improved bongdol underwater, and Fig. 12 is a multifunctional improved bongdol fish according to the second and third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conceptually shown that the fish does not move from side to side according to the bite of the fish and moves up and down as the fish actively bites and moves.

이하, 본원발명의 일 실시 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원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일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는 본원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Hereinafter,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one embodiment disclosed below, but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and only this embodiment makes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lete, and the scope of the invention is completely limited to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It is provided to inform you.

본원발명은 찌낚시에서 낚싯바늘, 낚싯줄, 찌와 함께 사용하는 봉돌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봉돌은 기본 무게를 제공하는 봉돌 몸체, 상기 낚싯줄로 상기 낚싯바늘에 연결되는 봉돌 하부 고리, 상기 낚싯줄로 상기 찌에 연결되는 봉돌 상부 고리, 상기 봉돌의 무게를 미세 조절하기 위한 무게 조절 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무게 조절 수단은 상기 봉돌에 형성된 무게 조절부에 추가로 무게 조절 부재를 결합하는 것인데, 상기 무게 조절 부재는 상기 봉돌 중 어느 부분도 분리하지 않고 상기 무게 조절부에 결합될 수 있다는 점에 특징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ongdol used with a fishing hook, a fishing line, and a bobbin in bobbin fishing, wherein the bongdol is a bongdol body providing a basic weight, a bongdol lower ring connected to the fishing hook with the fishing line, and the fishing line to the bobbin.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n upper ring of bongdol to be connected, and a weight adjustment means for finely adjusting the weight of the bongdol. The weight adjustment means is to couple a weight adjustment member in addition to the weight adjustment unit formed on the bongdol, characterized in that the weight adjustment member can be coupled to the weight adjustment unit without separating any part of the bongdol have.

도 1은 본원발명에 따른 일 실시 예인 다기능 개량 봉돌을 정면에서 보인 도면이다. 봉돌이 찌와 균형을 이루어 무중력·무부력 상태가 되도록 일정한 무게를 제공하여야 하는데,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일정한 무게는 항상 제공되는 ‘기본 무게’와 환경에 따라 조절할 수 있는 ‘조절 무게’로 이루어진다. 상기 기본 무게는 봉돌 몸체(10)로 제공된다. 도 1에서 봉돌 하부 고리는 도면 부호 11, 봉돌 상부 고리는 도면 부호 12에 해당한다.1 is a view showing from the front a multi-functional improved bongdol, an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necessary to provide a certain weight so that it is balanced with the bongdol jji so that it becomes zero gravity and no buoyancy. In this embodiment, the constant weight consists of a'basic weight' that is always provided and a'adjusted weight' that can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environment. The basic weight is provided by the bongdol body 10. In FIG. 1, the lower ring of bongdol corresponds to 11, and the upper ring of bongdol corresponds to 12.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조절 무게’는 상기 봉돌의 무게를 미세 조절하기 위한 무게 조절 수단인데, 상기 무게 조절 수단은 무게 조절부(20)와 무게 조절 부재(30)로 구성된다. In this embodiment, the'adjusted weight' is a weight adjusting means for finely adjusting the weight of the bongdol, and the weight adjusting means is composed of a weight adjusting part 20 and a weight adjusting member 30.

종래에도 봉돌의 무게 조절을 위하여 추가로 무게가 나가는 구성을 봉돌에 다는 형태의 것들이 있었으나, 낚시를 하는 중에 봉돌로부터 분리되는 경우가 많았다. 봉돌에 추가로 무게가 나가는 구성을 쉽게 분리되지 않도록 결합하는 경우에도 상기 봉돌을 분리한 후 상기 추가로 무게가 나가는 구성을 끼우고 다시 봉돌을 결합하는 것이어서 상기 추가로 무게가 나가는 구성을 봉돌에 결합하는 것이 불편했다. Conventionally, there were some types of adding weight to the bongdol to control the weight of the bongdol, but there were many cases that were separated from the bongdol while fishing. Even in the case of combining a component that weighs additional weight to the bongdol so that it is not easily separated, the component that weighs additional weight is inserted after separating the bongdol, and then the bongdol is combined again. It was uncomfortable to do.

본 실시 예는 구체적으로 후술하는 바와 같이 상기 무게 조절 부재(30)가 상기 무게 조절부(20)에 탈착할 수 있는 구성이되, 상기 무게 조절 부재(30)가 상기 무게 조절부(20)에 결합된 상태에서 임의로 분리되지 않도록 쉽게 빠지지 않는 구성이면서도, 상기 봉돌 중 어느 부분도 분리하지 않고 상기 무게 조절 부재(30)를 상기 무게 조절부(20)에 결합할 수 있는 특징을 가진다. In this embodiment, as will be described later in detail, the weight adjustment member 30 is configured to be detachable from the weight adjustment unit 20, but the weight adjustment member 30 is attached to the weight adjustment unit 20. In the combined state, it is not easily detached so as not to be separated arbitrarily, but has a characteristic that the weight adjustment member 30 can be coupled to the weight adjustment unit 20 without removing any part of the stick.

한편, 상기 무게 조절부는 상기 봉돌 몸체와 결합하여 고정되거나 분리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무게 조절부의 하부에 고정 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봉돌 몸체 상부에는 끼움부가 형성되어 상기 무게 조절부의 고정 나사산이 상기 봉돌 몸체 상부의 끼움부에 결합, 고정될 수도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weight control unit may be fixed or separated by being combined with the bongdol body. For example, a fixing screw may be formed below the weight adjustment part, and a fitting part may be formed on the upper part of the bongdol body, so that the fixing screw thread of the weight adjustment part may be coupled and fixed to the fitting part of the upper part of the bongdol body.

본 실시 예에서 상기 무게 조절부(20)는 상기 봉돌 몸체(10)의 상부에 위치한다. 상기 무게 조절부(20)와 상기 봉돌 몸체(10)는 분리 가능한 구조이다. 본 실시 예는 상기 무게 조절부(20)의 하부에 고정 나사산(21)이 형성되어 있고, 이에 대응하여 상기 봉돌 몸체 상부에 끼움부(미도시)가 형성되어 상기 무게 조절부(20)와 상기 봉돌 몸체(10)가 결합, 고정되거나 분리 가능하다. In this embodiment, the weight adjustment unit 20 is located above the bongdol body 10. The weight adjustment part 20 and the bongdol body 10 have a detachable structure. In the present embodiment, a fixing screw 21 is formed at the lower portion of the weight adjustment unit 20, and a fitting portion (not shown) is formed on the upper body of the bongdol body corresponding thereto, so that the weight adjustment unit 20 and the The bongdol body 10 may be combined, fixed or detachable.

상기 무게 조절부(20)가 필요하지 않으면, 즉 상기 기본 무게만으로 낚시를 할 경우에는 상기 무게 조절부(20)를 상기 봉돌 몸체(10)에서 분리하고 상기 무게 조절부(20)를 대신하여 탈착 가능한 봉돌 상부 고리(미도시)를 결합하여 기본 무게 봉돌로 사용할 수도 있다. 도 2는 본원발명에 따른 일 실시 예인 다기능 개량 봉돌에 있어서, 봉돌 몸체와 무게 조절부가 분리된 상태를 보인 것이다.If the weight adjustment unit 20 is not required, that is, when fishing with only the basic weight, the weight adjustment unit 20 is separated from the bongdol body 10 and detached in place of the weight adjustment unit 20 It can also be used as a basic weight by combining the upper ring (not shown) as possible. 2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bongdol body and the weight control unit are separated in the multifunctional improved bongdol which is an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무게 조절부에는 상기 무게 조절부를 탈착할 때 회전이 용이하도록 그 외주가 확장된 그립이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그립(grip, 도면 부호 22)은 미끄럼 방지 처리가 되어 마찰력(摩擦力)이 향상된 손잡이이다. 본 실시 예는 상기 그립의 외주를 다이아몬드[세목(細目)] 형태로 널링(knurling) 가공하여 미끄럼 방지 마찰력을 향상시켰다. The weight control unit may have a grip whose outer circumference is extended to facilitate rotation when the weight control unit is detached. In this embodiment, the grip (reference numeral 22) is a handle with improved friction due to anti-slip treatment. In this embodiment, the outer periphery of the grip is knurled in a diamond (fine-neck) shape to improve the anti-slip friction.

상기 무게 조절부는 봉 또는 바 형태의 것이고, 상기 무게 조절 부재는 상기 무게 조절부에 끼우는 일정한 두께를 가지는 판 형태의 것이되, 상기 무게 조절 부재의 중앙부에 상기 무게 조절부가 위치할 수 있도록 상기 무게 조절 부재의 외주 일정부분이 중앙까지 절개된 형태의 무게 조절부 끼움 홈이 형성될 수 있다. The weight control unit is in the form of a rod or bar, and the weight control member is in the form of a plate having a constant thickness to be fitted to the weight control unit, and the weight control unit is positioned at the center of the weight control member. A weight control unit fitting groove may be formed in which a predetermined portion of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member is cut to the center.

도 3 내지 도 5는 본원발명에 따른 일 실시 예인 다기능 개량 봉돌에 있어서, 무게 조절부와 무게 조절 부재의 결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도 3은 결합 전, 도 4는 결합 후, 도 5는 고정 후를 보인 것이다.3 to 5 are diagrams for explaining the combination of the weight adjustment member and the weight adjustment member in the multi-functional improved bongdo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before bonding, FIG. 4 is after bonding, and FIG. 5 is It was shown after fixing.

본 실시 예의 상기 무게 조절 부재(30)는 평면이 원형인 판 형태이나, 본원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무게 조절 부재의 평면 형태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형태가 적용될 수 있다. 상기 무게 조절부(20)는 길게 형성된 봉 또는 바의 형상인데, 상기 무게 조절부 끼움 홈(31)은 상기 무게 조절부(20)의 두께보다 조금 더 크게 형성된 절개부이어서 상기 무게 조절부(20)가 상기 무게 조절부 끼움 홈(31)에 끼워져 결합될 수 있다. The weight adjustment member 30 of the present embodiment has a circular plate shape, but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flat shape of the weight adjustment member, and various shapes may be applied. The weight control unit 20 is in the shape of a long rod or bar, and the weight control unit fitting groove 31 is an incision formed slightly larger than the thickness of the weight control unit 20, so that the weight control unit 20 ) May be inserted into the weight adjustment unit fitting groove 31 to be coupled.

상기 무게 조절부에는 상기 무게 조절 수단이 움직이지 않도록 결합되어 유지되는 무게 조절 부재 안착부가 형성되고, 상기 무게 조절부 중 일정 부분은 그 두께가 얇게 형성되어 끼움부가 되며, 상기 무게 조절부 끼움 홈은 상기 끼움부에 대응한 폭으로 형성되어 있되, 상기 무게 조절 부재의 중앙부의 끼움 홈은 상기 무게 조절부의 안착부에 대응하여 형성되어, 상기 무게 조절 부재는 상기 끼움부에 상기 무게 조절부 끼움 홈을 끼워 상기 끼움부가 상기 무게 조절 부재의 중앙에 오도록 한 후 상기 무게 조절 부재를 상기 무게 조절 수단 안착부에 위치하도록 할 수 있다. The weight adjustment unit is formed with a weight adjustment member seating portion that is coupled and maintained so that the weight adjustment means does not move, and a certain portion of the weight adjustment portion is formed to have a thin thickness to become a fitting portion, and the weight adjustment portion fitting groove is It is formed with a width corresponding to the fitting portion, but the fitting groove in the central portion of the weight adjusting member is formed corresponding to the seating portion of the weight adjusting portion, and the weight adjusting member has the weight adjusting portion fitting groove in the fitting portion. After fitting, the fitting part may be positioned at the center of the weight adjusting member, and then the weight adjusting member may be positioned in the seating part of the weight adjusting means.

본 실시 예에서 상기 무게 조절 부재 안착부(23)는 상기 무게 조절부(20)의 아래 부분이다. 상기 무게 조절부(20)의 끼움부(24)에서 끼워져 상기 무게 조절 부재 안착부(23)에 위치하는 상기 무게 조절 부재(30)는 상기 무게 조절부 끼움 홈(31)이 그 중앙 부분만 상기 무게 조절 부재 안착부(23)에 대응하여 좀 더 크게 형성되므로 상기 무게 조절부(20)의 끼움부(24)가 아닌 이상 빠지지 않게 되는 것이다.In this embodiment, the weight adjustment member seating portion 23 is a lower portion of the weight adjustment portion 20. The weight adjustment member 30, which is fitted in the fitting portion 24 of the weight adjustment portion 20 and located in the weight adjustment member seating portion 23, has the weight adjustment portion fitting groove 31 above only the central portion thereof. Since the weight adjustment member is formed to be larger in correspondence with the seating portion 23, it will not be removed unless it is the fitting portion 24 of the weight adjustment portion 20.

이를 보다 자세히 설명하면, 상기 끼움부(24)는 상기 무게 조절 부재 안착부(23)의 위쪽에 형성된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끼움부(24)에서 상기 무게 조절부 끼움 홈(31)에 상기 무게 조절 부재(30)를 삽입한 후 상기 무게 조절 부재(30)를 상기 무게 조절 부재 안착부(23) 방향으로 내려서 안착시키는 것이다. 상기 무게 조절부 끼움 홈은 상기 끼움부에 대응한 폭으로 형성되어 있되, 상기 무게 조절부의 중앙의 끼움 홈은 상기 무게 조절 수단 안착부에 대응하여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무게 조절 부재 안착부(23)에 있는 상기 무게 조절 부재(30)는 빠지지 않게 된다. 다만, 상기 무게 조절 부재(30)가 위아래로 움직여 상기 끼움부(24)로 이동하게 되면 상기 끼움부(24)를 통해 상기 무게 조절부(20)에서 분리될 수 있으므로, 상기 무게 조절 부재 안착부(23)에 있는 상기 무게 조절 부재(30)를 눌러 줄 수단이 필요하다. In more detail, the fitting portion 24 is formed above the weight adjustment member seating portion 23. 3 and 4, after inserting the weight adjusting member 30 into the weight adjusting part fitting groove 31 in the fitting part 24, the weight adjusting member 30 is attached to the weight adjusting member. It is to be seated down in the direction of the seating portion (23). Since the weight adjustment unit fitting groove is formed to have a width corresponding to the fitting portion, the weight adjustment member seating portion 23 is formed because the fitting groove at the center of the weight adjustment unit is formed corresponding to the weight adjustment means seating portion. The weight adjustment member 30 in the will not fall out. However, when the weight adjustment member 30 moves up and down to move to the fitting part 24, it can be separated from the weight adjusting part 20 through the fitting part 24, so that the weight adjusting member seating part A means is needed to press the weight adjustment member 30 in (23).

이는 상기 무게 조절부에는 위아래로 이동할 수 있도록 끼워져 있되, 상기 무게 조절부에 끼워져 상기 무게 조절 수단 안착부에 위치한 상기 무게 조절 수단을 눌러주어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하는 무게 조절 부재 누름 수단이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무게 조절 부재 누름 수단(40)은, 금속 재질이나 고무 재질일 수 있다. 상기 무게 조절 부재(30)를 상기 끼움부(24)를 통해 상기 무게 조절부(20)에 결합할 때, 상기 무게 조절 부재 누름 수단(40)은 상기 끼움부(24)보다 위쪽에 위치한다. This is a weight adjustment member pressing means that is fitted to the weight adjustment unit so as to move up and down, and that is fitted to the weight adjustment unit and fixes the weight adjustment unit so as to press the weight adjustment unit located on the weight adjustment means seating unit so as not to move. In this embodiment, the weight adjustment member pressing means 40 may be made of a metal material or a rubber material. When the weight adjusting member 30 is coupled to the weight adjusting part 20 through the fitting part 24, the weight adjusting member pressing means 40 is positioned above the fitting part 24.

바람직하게는 상기 무게 조절부의 외주면에 외주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무게 조절 부재 누름 수단의 중앙에는 상기 무게 조절부가 끼워지는 통공이 있되, 상기 통공의 내주면에는 상기 외주 나사산에 대응한 통공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무게 조절 부재 누름 수단을 회전시켜 상기 무게 조절부를 위아래로 이동하고, 상기 무게 조절 수단 안착부에 위치하는 상기 무게 조절 부재를 상기 무게 조절 부재 누름 수단을 회전시킴으로 눌러주어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Preferably, an outer circumferential screw thread is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weight adjusting unit, and a through hole into which the weight adjusting unit is inserted is formed at the center of the weight adjusting member pressing means, and a through hole thread corresponding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thread is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hrough hole So that the weight adjustment member is rotated to move the weight adjustment unit up and down by rotating the weight adjustment member pressing means, and the weight adjustment member located in the weight adjustment means seating portion is pressed by rotating the weight adjustment member pressing means to be fixed so as not to move. It is desirable to do.

상기 외주 나사산은 끼움부의 위아래로 형성되어, 상기 무게 조절 부재를 끼우거나 뺄 때에는 상기 무게 조절 부재 누름 수단을 상기 끼움부의 위쪽에 위치하는 외주 나사산에 결합함으로써 상기 무게 조절 부재를 용이하게 끼우거나 뺄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는 상기 무게 조절 부재 누름 수단(40)으로 상기 무게 조절 부재(30)의 위쪽을 누르고 있는 것을 보인 것인데, 도면에서 상기 끼움부 아래쪽(26)이나 상기 끼움부 위쪽(25)에 형성되는 상기 외주 나사산은 그 도시를 생략하였다.The outer circumferential screw thread is formed above and below the fitting part, and when the weight adjusting member is inserted or removed, the weight adjusting member can be easily inserted or removed by coupling the weight adjusting member pressing means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thread located above the fitting part. It is desirable to do so. Figure 5 shows that the weight adjustment member pressing means 40 is pressing the upper portion of the weight adjustment member 30, in the figure, the fitting portion formed on the lower portion 26 or the upper portion 25 The outer thread is omitted from the illustration.

이하 본원발명에 따른 제2 실시 예 및 제3 실시 예인 다기능 개량 봉돌을 설명한다. 제2 및 제3 실시 예의 구성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에 앞서 낚시에서 물고기의 입질과 찌의 운동을 도면으로 설명한다. Hereinafter, a second embodiment and a third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a multifunctional improved bongdol. Before describing the configurations of the second and third embodiments in detail, the movement of biting and floating fish in fishing will be described with drawings.

도 10은 본원발명에 따른 제1 실시 예인 봉돌과 찌가 물고기의 입질에 따라 반응하는 것을 보인 것이다. 물고기는 수중에서 미끼 가까이에서 흡입과 배출로써 입질을 하게 되는데, 이때 미끼와 봉돌은 좌우로 움직이게 되고, 물고기는 낚싯바늘의 미끼를 입질하는 과정에서 조금씩 먹게 된다. 이 과정에서 미끼와 봉돌이 좌우로 움직이므로 찌는 움직이지 않거나 미세하게 움직여 적절하게 챔질을 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10 is a view showing that the first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ongdol and jji, react according to the bite of the fish. Fish are bitten by suction and discharge near the bait in the water. At this time, the bait and bongdol move from side to side, and the fish eat little by little in the process of biting the bait from the fishing hook. In this process, the bait and the stick move left and right, so the steaming does not move or moves finely, so there is a problem that it cannot be properly chamfered.

도 11은 본원발명에 따른 제2 및 제3 실시 예인 다기능 개량 봉돌이 수중에서 바닥에 고정핀을 꽂은 상태를 보인 것이고, 도 12는 본원발명에 따른 제2 및 제3 실시 예인 다기능 개량 봉돌이 물고기의 입질에 따라 좌우로 움직이지 않아 물고기가 적극적으로 먹이를 물고 이동하게 됨에 따라 봉돌이 위아래로 움직이는 것을 개념적으로 보인 것이다. (도 11의 도면 부호 50은 고정핀인데, 이에 관하여는 구체적으로 후술한다.) 물고기는 입질을 할 때에는 머리를 아래 방향으로 하지만, 이동할 때에는 몸을 수평으로 하는바, 이때 좌우로 움직이지 않던 상기 봉돌이 위아래로 움직이며, 챔질을 할 수 있도록 찌의 위아래 움직임을 만든다. 11 is a second and third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howing a state in which a fixing pin is inserted into the bottom of the multi-functional improved bongdol underwater, and Fig. 12 is a multifunctional improved bongdol fish according to the second and third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was shown conceptually that the fish does not move from side to side according to the bite of the fish, and the fish moves up and down as the fish actively bites and moves. (A reference numeral 50 in FIG. 11 is a fixing pin, which will be described in detail later.) For fish, the head is turned downward when biting, but the body is horizontal when moving. The bongdol moves up and down, and makes the up and down movement of the bob so that it can be struck.

도 6은 본원발명에 따른 제2 실시 예인 다기능 개량 봉돌을 아래에서 비스듬하게 보인 것이다. 이하, 제2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에서, 제2 실시 예의 제1 실시 예와 같은 구성은, 편의상 같은 도면 부호를 사용하고 그 설명은 생략하였다. Figure 6 is a view obliquely from below the multifunctional improved bongdol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ereinafter, in the drawings for explaining the second embodiment, the same components as those of the first embodiment of the second embodiment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for convenience and description thereof is omitted.

상기 봉돌 몸체 하부에는 물 밑바닥에 상기 봉돌이 수평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은 제한하고, 수직 방향으로만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이동 제한 수단이 형성되어, 물고기가 입질로 찌의 상하 운동 없이 상기 낚싯바늘이 좌우로 움직이면서 미끼만을 먹을 수 없도록 하여, 물고기가 상기 낚싯바늘을 물고 움직여 상기 봉돌이 수직 방향으로 움직이게 되고, 그에 따라 상기 찌가 상하로 움직이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the lower part of the body of the bongdol, a movement limiting means is formed that restricts the movement of the bongdol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t the bottom of the water, and allows the bongdol to move only in the vertical direction, so that the fishing needle moves from side to side without the vertical movement of the fish. It is preferable to make it impossible to eat only the bait while moving, so that the fish moves with the fishing hook so that the rod moves in a vertical direction, and the float moves up and down accordingly.

전술한 바와 같이 찌와 봉돌은 무중력·무부력 상태를 유지하기 때문에 횡력(橫力)이 조금만 작용하여도 옆으로 움직이게 되고, 물 밑바닥에서 물고기가 흡입과 배출의 입질을 하게 되면 미끼가 그에 따라 움직이므로 물고기는 미끼를 깊게 물지 않게 된다. 따라서 상기 봉돌을 물 밑바닥에 고정하여 수평 운동을 제한하려는 것이다.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fish and bongdol maintain zero gravity and no buoyancy, they move sideways even if a small amount of lateral force is applied, and the bait moves accordingly when the fish bites in and out at the bottom of the water. So the fish won't bite the bait deeply. Therefore, it is intended to limit horizontal movement by fixing the bongdol to the bottom of the water.

본원발명은 상기 이동 제한 수단으로 상기 봉돌 몸체 하부에 아래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고정핀을 제시한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고정핀(50)은 길게 형성된 금속제 또는 합성수지제의 핀이다. 상기 고정핀은 물 밑바닥에 꽂히게 되어 상기 봉돌 몸체(10)의 수평 운동을 제한하게 된다. The present invention proposes a fixing pin that is elongated in a downward direction under the body of the bongdol as the movement limiting means. In this embodiment, the fixing pin 50 is a pin made of metal or synthetic resin that is formed to be elongated. The fixing pin is inserted into the bottom of the water to limit the horizontal movement of the bongdol body 10.

상기 봉돌 몸체의 하부에는 상기 봉돌 몸체의 내부로 길게 삽입공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고정핀은 상기 삽입공에 끼워져 고정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삽입공은 2개 이상 형성될 수 있다. An insertion hole is formed at a lower portion of the bongdol body into the inside of the bongdol body, and the fixing pin may be formed by being inserted into and fixed to the insertion hole. In addition, two or more insertion holes may be formed.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삽입공(13)은 상기 봉돌 몸체(10)의 하부에 상기 봉돌 하부 고리(11)를 둘러서 4개가 형성되어 있다(도 6에는 2개가 보임). 상기 삽입공(13)에 상기 고정핀(50)을 2개 이상 끼워 사용할 수도 있고, 낚시 중에 상기 고정핀(50)이 끊어지는 경우 상기 삽입공(13)에 이미 끼워져 있는 부분을 제거하기 어려우므로, 끊어진 고정핀(50)을 잘라 버리고 여분의 삽입공(13)에 새로운 고정핀(50)을 꽂아 사용할 수 있다. 도 7은 본원발명에 따른 제2 실시 예인 다기능 개량 봉돌의 삽입공에 고정핀을 꽂는 것을 개념적으로 보인 것이다. In this embodiment, four insertion holes 13 are formed on the lower portion of the bongdol body 10 by surrounding the bongdol lower ring 11 (two are shown in FIG. 6). Two or more of the fixing pins 50 may be inserted into the insertion hole 13, and when the fixing pin 50 is cut off during fishing, it is difficult to remove the part already inserted in the insertion hole 13 , Cut off the broken fixing pin 50 and insert a new fixing pin 50 into the extra insertion hole 13 to use. 7 is a conceptual view showing the insertion of the fixing pin into the insertion hole of the multi-functional improved bongdol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원발명에 따른 제3 실시 예인 다기능 개량 봉돌을 설명한다. Hereinafter, a third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a multifunctional improved bongdol.

도 8은 본원발명에 따른 제3 실시 예인 다기능 개량 봉돌을 아래에서 비스듬하게 보인 것이다. 이하, 제3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에서, 제3 실시 예의 제1 실시 예와 같은 구성은, 편의상 같은 도면 부호를 사용하고 그 설명은 생략하였다. 8 is a view obliquely from the bottom of the multi-functional improved bongdol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ereinafter, in the drawings for explaining the third embodiment, the same components as those of the first embodiment of the third embodiment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for convenience and description thereof is omitted.

상기 봉돌 몸체의 외주에서 중심 방향으로 위아래로 길게 패인 절개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고정핀은 상기 절개 홈에 끼워져 고정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An incision groove that is elongated upward and downward in a central direction from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bongdol body is formed, and the fixing pin may be formed by being fitted and fixed in the incision groove.

상기 제2 실시 예의 경우 삽입공이 물 밑바닥의 진흙 등으로 막히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제3 실시 예는 상기 절개홈(14)을 형성하여 이 문제를 해결한다. 상기 절개홈(14)은 상기 봉돌 몸체(10) 측면에 길게 형성되는 것이므로 물 밑바닥의 진흙 등으로 일부 메워지더라도 위아래로 긁어 이를 쉽게 제거할 수 있다. In the case of the second embodiment, there may be a problem that the insertion hole is clogged with mud at the bottom of the water. Therefore, this third embodiment solves this problem by forming the cut-out groove 14. Since the incision groove 14 is formed long on the side of the bongdol body 10, even if it is partially filled with mud, etc., it can be easily removed by scratching it up and down.

상기 절개홈은 상기 봉돌 몸체의 중심 방향으로 깊게 형성되어, 상기 고정핀이 2개 이상 끼워져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t is preferable that the incision groove is formed deeply in the direction of the center of the bongdol body so that two or more fixing pins can be inserted and fixed.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절개홈(14)에 끼워진 상기 고정핀(50)이 끊어지더라도, 이미 끼워져 있는 상기 고정핀(50)을 제거하지 않더라도 다른 상기 고정핀(50)을 추가로 상기 절개홈(14)에 끼워 고정할 수 있다. 상기 절개홈(14)에 상기 고정핀(50)을 삽입하여 고정하는 방법은 강제 끼움이나 화학적 본딩 등 임의의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In this embodiment, even if the fixing pin 50 inserted into the cutting groove 14 is broken, the other fixing pin 50 is additionally inserted into the cutting groove ( 14) and can be fixed. A method of inserting and fixing the fixing pin 50 in the incision groove 14 may use any method such as forced fitting or chemical bonding.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는 얼마든지 수정 및 변형 실시가 가능함은 물론이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specific embodiment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It goes without saying that any number of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are possible within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10: 봉돌 몸체
11: 봉돌 하부 고리
12: 봉돌 상부 고리
13: 삽입공
14: 절개홈
20: 무게 조절부
21: 고정 나사산
22: 그립
23: 무게 조절 부재 안착부
24: 끼움부
25: 끼움부 위쪽
26: 끼움부 아래쪽
30: 무게 조절 부재
31: 무게 조절부 끼움 홈
40: 무게 조절 부재 누름 수단
50: 고정핀
10: Bongdol body
11: lower ring of bongdol
12: upper ring of bongdol
13: insertion hole
14: incision groove
20: weight control unit
21: fixing thread
22: grip
23: weight adjustment member seating portion
24: fitting
25: above the fitting
26: lower part of fitting
30: weight adjustment member
31: weight adjustment unit fitting groove
40: weight adjustment member pressing means
50: fixing pin

Claims (15)

찌낚시에서 낚싯바늘, 낚싯줄, 찌와 함께 사용하는 봉돌로서,
상기 봉돌은 기본 무게를 제공하는 봉돌 몸체,
상기 낚싯줄로 상기 낚싯바늘에 연결되는 봉돌 하부 고리,
상기 낚싯줄로 상기 찌에 연결되는 봉돌 상부 고리를 포함하되,
상기 봉돌 몸체 하부에는 물 밑바닥에 상기 봉돌이 수평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은 제한하고, 수직 방향으로만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이동 제한 수단이 형성되어, 물고기가 입질로 찌의 상하 운동 없이 상기 낚싯바늘이 좌우로 움직이면서 미끼만을 먹을 수 없도록 하여, 물고기가 상기 낚싯바늘을 물고 움직여 상기 봉돌이 수직 방향으로 움직이게 되고, 그에 따라 상기 찌가 상하로 움직이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돌
As a stick used with fishing hooks, fishing lines, and floats in float fishing,
The bongdol is a bongdol body that provides a basic weight,
A lower ring of bongdol connected to the fishing hook with the fishing line,
Including a bongdol upper ring connected to the float by the fishing line,
In the lower part of the body of the bongdol, a movement limiting means is formed that restricts the movement of the bongdol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t the bottom of the water, and allows the bongdol to move in the vertical direction, so that the fishing needle moves from side to side without the vertical movement of the fish It characterized in that the fish can not eat only the bait while moving, so that the fish bites the fishing hook so that the rod moves in a vertical direction, and accordingly, the float moves up and down.
Bongdol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봉돌은 상기 봉돌의 무게를 미세 조절하기 위한 무게 조절 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무게 조절 수단은 상기 봉돌에 형성된 무게 조절부에 무게 조절 부재를 추가로 결합하는 것이되,
상기 무게 조절 부재는 상기 봉돌을 분리하지 않고 상기 무게 조절부에 결합될 수 있는 것이며,
상기 무게 조절부는 상기 봉돌 몸체와 결합, 고정되거나 분리될 수 있는 구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돌
The method of claim 1,
The bongdol further includes a weight adjustment means for finely adjusting the weight of the bongdol,
The weight control means is to further couple a weight control member to the weight control portion formed on the bongdol,
The weight adjustment member may be coupled to the weight adjustment unit without separating the stick,
The weight control unit,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figuration that can be coupled, fixed or separated from the bongdol body
Bongdol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무게 조절부의 하부에 고정 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봉돌 몸체 상부에는 끼움부가 형성되어 상기 무게 조절부의 고정 나사산이 상기 봉돌 몸체 상부의 끼움부에 결합, 고정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돌
The method of claim 2,
Characterized in that a fixing screw thread is formed in the lower part of the weight adjustment part, and a fitting part is formed in the upper part of the bongdol body, so that the fixing screw thread of the weight adjustment part can be coupled and fixed to the fitting part of the upper part of the bongdol body.
Bongdol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무게 조절부에는 상기 무게 조절부를 탈착할 때 회전이 용이하도록 그 외주가 확장된 그립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돌
The method of claim 3,
The weight control unit, characterized in that the outer circumferentially extended grip is formed to facilitate rotation when the weight control unit is detached.
Bongdol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무게 조절부는 봉 또는 바 형태의 것이고,
상기 무게 조절 부재는 상기 무게 조절부에 끼우는 일정한 두께를 가지는 판 형태의 것이되, 상기 무게 조절 부재의 중앙부에 상기 무게 조절부가 위치할 수 있도록 상기 무게 조절 부재의 외주 일정부분이 중앙까지 절개된 형태의 무게 조절부 끼움 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돌
The method of claim 2,
The weight control unit is in the form of a rod or bar,
The weight adjustment member is in the form of a plate having a constant thickness that is fitted to the weight adjustment member, and a certain portion of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weight adjustment member is cut to the center so that the weight adjustment unit can be located at the center of the weight adjustment member. Characterized in that the weight control unit fitting groove is formed
Bongdol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무게 조절부에는 상기 무게 조절 수단이 움직이지 않도록 결합되어 유지되는 무게 조절 부재 안착부가 형성되고,
상기 무게 조절부 중 일정 부분은 그 두께가 얇게 형성된 끼움부이며,
상기 무게 조절부 끼움 홈은 상기 끼움부에 대응한 폭으로 형성되어 있되, 상기 무게 조절 부재의 중앙부의 끼움 홈은 상기 무게 조절부의 안착부에 대응하여 형성되어, 상기 무게 조절 부재는 상기 끼움부에 상기 무게 조절부 끼움 홈을 끼워 상기 끼움부가 상기 무게 조절 부재의 중앙에 오도록 한 후 상기 무게 조절 부재를 상기 무게 조절 수단 안착부에 위치하도록 하여 상기 무게 조절 부재가 상기 무게 조절부에서 분리되지 않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돌
The method of claim 5,
The weight adjustment unit is formed with a weight adjustment member seating portion that is coupled and maintained so that the weight adjustment means does not move,
A certain part of the weight control part is a fitting part formed to have a thin thickness,
The weight adjustment unit fitting groove is formed to have a width corresponding to the fitting portion, and the central fitting groove of the weight adjustment member is formed corresponding to the seating portion of the weight adjustment unit, and the weight adjustment member is formed in the fitting portion. After inserting the weight adjusting part fitting groove so that the fitting part is located at the center of the weight adjusting member, the weight adjusting member is positioned at the weight adjusting means seating part so that the weight adjusting member is not separated from the weight adjusting part. Characterized by
Bongdol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무게 조절부에는 위아래로 이동할 수 있도록 끼워져 있되, 상기 무게 조절부에 끼워져 상기 무게 조절 수단 안착부에 위치한 상기 무게 조절 수단을 눌러주어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하는 무게 조절 부재 누름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돌
The method of claim 6,
The weight adjustment unit is fitted to move up and down, and further comprising a weight adjustment member pressing means fitted to the weight adjustment unit to press the weight adjustment means located in the weight adjustment means seating portion to fix it so as not to move. With
Bongdol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무게 조절부의 외주면에는 외주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무게 조절 부재 누름 수단의 중앙에는 상기 무게 조절부가 끼워지는 통공이 있되, 상기 통공의 내주면에는 상기 외주 나사산에 대응한 통공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무게 조절 부재 누름 수단을 회전시켜 상기 무게 조절부를 위아래로 이동하고, 상기 무게 조절 수단 안착부에 위치하는 상기 무게 조절 부재를 상기 무게 조절 부재 누름 수단을 회전시킴으로 눌러주어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돌
The method of claim 7,
An outer peripheral thread is form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weight adjustment unit,
In the center of the weight adjustment member pressing means, there is a through hole into which the weight adjustment part is inserted, and a through hole thread corresponding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thread is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hrough hole,
Rotating the weight adjustment member pressing means to move the weight adjustment unit up and down, and pressing the weight adjustment member located in the weight adjustment means seating portion by rotating the weight adjustment member pressing means to fix it so as not to move With
Bongdol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외주 나사산은 끼움부의 위아래로 형성되어,
상기 무게 조절 부재를 끼우거나 뺄 때에는 상기 무게 조절 부재 누름 수단을 상기 끼움부의 위쪽에 위치하는 외주 나사산에 결합함으로써 상기 무게 조절 부재를 용이하게 끼우거나 뺄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돌
The method of claim 8,
The outer circumferential thread is formed above and below the fitting part,
When the weight adjustment member is inserted or removed, the weight adjustment member pressing means is coupled to an outer circumferential thread located above the fitting portion, thereby allowing the weight adjustment member to be easily inserted or removed.
Bongdol
삭제delete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제한 수단은 상기 봉돌 몸체 하부에 아래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고정핀인 것을 특징을 하는
봉돌
The method of claim 1,
The movement limiting means is a fixing pin that is elongated in a downward direction under the bongdol body.
Bongdol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봉돌 몸체의 하부에는 상기 봉돌 몸체의 내부로 삽입공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고정핀은 상기 삽입공에 끼워져 고정됨으로써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돌
The method of claim 11,
In the lower portion of the bongdol body, an insertion hole is formed into the inside of the bongdol body, and the fixing pin is formed by being inserted and fixed in the insertion hole.
Bongdol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공은 2개 이상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돌
The method of claim 12,
Characterized in that two or more insertion holes are formed
Bongdol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봉돌 몸체의 외주에서 중심 방향으로 위아래로 길게 패인 절개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고정핀은 상기 절개홈에 끼워져 고정됨으로써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돌
The method of claim 11,
In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bongdol body, an incision groove that is elongated upward and downward in the center direction is formed, and the fixing pin is formed by being inserted into and fixed to the incision groove.
Bongdol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절개홈은 상기 봉돌 몸체의 중심 방향으로 깊게 형성되어, 상기 고정핀이 2개 이상 끼워져 고정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돌
The method of claim 14,
The incision groove is formed deeply in the direction of the center of the bongdol body, characterized in that the two or more fixing pins can be inserted and fixed
Bongdol
KR1020200093797A 2020-07-28 2020-07-28 Improved sinker for fishing KR10220735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3797A KR102207357B1 (en) 2020-07-28 2020-07-28 Improved sinker for fishing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3797A KR102207357B1 (en) 2020-07-28 2020-07-28 Improved sinker for fishing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07357B1 true KR102207357B1 (en) 2021-01-22

Family

ID=743098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93797A KR102207357B1 (en) 2020-07-28 2020-07-28 Improved sinker for fishing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07357B1 (en)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61923A (en) * 1994-05-10 1997-09-02 Fellowes; Robert Fishing weight apparatus
KR200344808Y1 (en) * 2003-12-08 2004-03-10 김영부 Weight on a fishline
KR20070121302A (en) 2006-06-22 2007-12-27 오정용 A sinker
JP2016535981A (en) * 2013-09-30 2016-11-24 ビョン, ジェ マンBYEON, Jae Man Fishing weight assembly
KR20170135073A (en) * 2016-05-30 2017-12-08 주식회사 타스코 Fishing sinker
KR20180047097A (en) * 2016-10-31 2018-05-10 한병수 Sinkers for fishing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61923A (en) * 1994-05-10 1997-09-02 Fellowes; Robert Fishing weight apparatus
KR200344808Y1 (en) * 2003-12-08 2004-03-10 김영부 Weight on a fishline
KR20070121302A (en) 2006-06-22 2007-12-27 오정용 A sinker
JP2016535981A (en) * 2013-09-30 2016-11-24 ビョン, ジェ マンBYEON, Jae Man Fishing weight assembly
KR20170135073A (en) * 2016-05-30 2017-12-08 주식회사 타스코 Fishing sinker
KR20180047097A (en) * 2016-10-31 2018-05-10 한병수 Sinkers for fishing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50282464A1 (en) Artificial fish lures and methods
KR101882086B1 (en) Double fishing float easy to measure the depth of water and possible to control buoyancy minutely
US5042189A (en) Selectively convertible fish lure
KR102207357B1 (en) Improved sinker for fishing
US4477994A (en) Artificial fishing lures
KR101963942B1 (en) A Sinker for Fishing of Fresh Water
JP2005218331A (en) Bait log
KR100964289B1 (en) Fishing float
WO2011109723A1 (en) Fishing lure
US4890410A (en) Automatic fishing hook setting device
KR20210095600A (en) fish synker
KR200370603Y1 (en) Stick type holl float
KR100375352B1 (en) The float
KR200484050Y1 (en) A float for fishing
KR200391787Y1 (en) Float
US20010023551A1 (en) Fishing artificial bait and fishing terminal tackle
JP2012161299A (en) Fishing tackle
KR102456712B1 (en) The changing connecter for a fishing float
KR200202746Y1 (en) The float
KR20130119677A (en) An electronic incline float for fishing
KR20240015400A (en) Fishing jig with hook
KR200361713Y1 (en) Fishing rod that compose float
KR20180024087A (en) Fishing float
KR200401513Y1 (en) Improved a float
KR20150000702U (en) Zero Point Float For Fish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