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07201B1 - 비접촉식 마스크 건조 및 살균장치 - Google Patents

비접촉식 마스크 건조 및 살균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07201B1
KR102207201B1 KR1020200040452A KR20200040452A KR102207201B1 KR 102207201 B1 KR102207201 B1 KR 102207201B1 KR 1020200040452 A KR1020200040452 A KR 1020200040452A KR 20200040452 A KR20200040452 A KR 20200040452A KR 102207201 B1 KR102207201 B1 KR 1022072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sk
drying
sterilization
dry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404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성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쓰리디플러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쓰리디플러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쓰리디플러스
Priority to KR10202000404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0720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072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072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2/08Radi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2/04Heat
    • A61L2/06Hot ga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2/08Radiation
    • A61L2/10Ultraviolet radi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1/00Arrangements or duct systems, e.g. in combination with pallet boxes, for supplying and controlling air or gase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 F26B21/004Nozzle assemblies; Air knives; Air distributors; Blow box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3/00Heating arrangements
    • F26B23/04Heating arrangements using electric heat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2Apparatus for isolating biocidal substances from the environment
    • A61L2202/121Sealings, e.g. doors, covers, valves, slu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2Apparatus for isolating biocidal substances from the environment
    • A61L2202/122Chambers for sterilis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8Aseptic storing mea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Apparatus For Disinfection Or Sterilis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염성 질병에 대비하여 마스크를 반복하여 재사용하기 위해 다양한 타입의 마스크를 손쉽게 살균 건조할 수 있는 비접촉식 마스크 건조 및 살균장치를 제공코자 하는 것이다.
즉, 본 발명은 마스크(1)가 격리 수용되도록 덮개(12)에 의해 개폐되는 드라이룸(14)이 형성되고, 내부 바닥에 송풍구(16)가 형성되는 드라이챔버(10); 상기 송풍구(16)에 연결되어 열풍을 공급하도록 구비되는 히팅부(20); 상기 송풍구(16)를 통하여 토출되는 확산 분사하는 아치형 바스켓(30); 상기 아치형 바스켓(30) 양측에 설치되고, 마스크 끈(2)이 양방향으로 확장 지지하도록 구비되는 걸이수단(40); 및 상기 덮개(12) 및 아치형 바스켓(30)에 설치되어, 마스크(1) 양면으로 살균광을 출력하도록 구비되는 상, 하부 살균램프(50)(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비접촉식 마스크 건조 및 살균장치를 이용하면, 마스크 양면 살균, 건조 시간이 크게 단축됨과 더불어 전기에너지 절감, 휴대성 및 경제성이 대폭 향상되고, 특히 판형 마스크는 물론 만곡형 마스크를 포함하는 다양한 타입의 마스크를 간단한 조작으로 손쉽게 적용하여 빈틈없이 청결하게 건조, 살균처리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비접촉식 마스크 건조 및 살균장치 {Non-contact mask drying and sterilization device}
본 발명은 비접촉식 마스크 건조 및 살균장치에 관련되며, 보다 상세하게는 전염성 질병에 대비하여 마스크를 반복하여 재사용하기 위해 다양한 타입의 마스크를 손쉽게 살균 건조할 수 있도록 한 비접촉식 마스크 건조 및 살균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생활속에 노출된 매연과 분진 등의 각종 오염 물질과 꽃가루, 최근 심각한 환경 문제로 인식되고 있는 미세먼지와 코로나19로부터 호흡기를 보호하기 위하여 마스크 착용이 생활화되고 있다.
하지만 마스크를 착용할 경우, 입김에 의해 축축해지면서 세균이 번식하기 쉬운 환경이 조성되고, 특히 입냄새로 인해 잠깐 착용했던 마스크 조차 재사용을 꺼리는 실정이다. 이처럼 하나의 마스크를 오랫동안 사용하는 것은 위생상 해롭지만 잠깐 사용한 마스크를 버리고 새로운 마스크를 사용하는 것은 경제적으로나 환경적으로 바람직하지 않으며, 특히 근래 전세계적으로 코로나19로 마스크의 수급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아서 마스크의 구입이 어려운 시기에는 마스크의 재사용이 절실히 필요하였던 것이다.
이에 종래에 개시된 등록특허 제10-2044622호에서, 휴대 가능한 크기의 본체에 결합된 커버의 내부에 마스크를 접혀지도록 삽입한 후 다시 밀폐되게 결합하여 램프를 구동되게 하면 자외선 또는 UV 빛을 마스크에 조사하여 살균작용을 하게 되고, 송풍팬을 구동되게 하면 본체 전면의 흡입구를 통해 강제 송풍되는 바람이 커버의 내부에 삽입되어 있는 마스크를 경유하여 배출구로 배출되는 과정에 습기를 제거하는 건조동작을 하며, 상기 램프와 송풍팬을 동시에 구동되게 하면 살균과 건조는 물론 탈취작용을 병행하는 기술이 선 등록된 바 있지만, 커버 내부에 마스크를 절반으로 접은 상태로 수용되므로 접혀진 면에 대한 살균 및 건조 효율이 저하됨과 더불어 평면형 마스크, 입체형 마스크를 포함하는 다양한 형태의 마스크를 범용으로 살균처리하지 못하는 폐단이 따랐다.
또한, 다른 종래기술인 특허등록 제10-1832472호에서, 마스크가 수용되는 공간을 가지는 '컵(cup)' 형상의 살균조와; 상기 살균조에 결합되며 전원공급부의 전원을 제어수단의 제어를 통해 전달받아 상기 살균조의 내부로 자외선광을 방출하도록 된 자외선 램프가 구비된 본체와; 상기 본체에 각각 사이간격을 가면서 구비되어 걸림고정되는 마스크가 상기 살균조의 바닥면에 대하여 이격되도록 구비되도록 마스크의 양단에 구비되는 귀걸이끈들을 각각 걸어 고정하며 사이간격을 가지면서 배치되는 고정고리들이 구비된 고정수단;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기술이 선 제시된 바 있지만, 마스크 양면 동시 살균이 불가능하고, 특히 발열체를 이용하여 살균조 내부를 히팅하는 방식으로 인해 전기에너지 소모가 크고 건조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따르는 등 다수의 문제점이 있었던 것이다.
KR 10-2044622 B1 (2019.11.07.) KR 10-2044622 B1 (2013.03.21.)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착안된 것으로서, 콤팩트하게 구조 개선되면서 마스크와 직접적으로 접촉하지 않도록 비접촉식으로 열풍 건조 및 살균기능을 복합적으로 제공함으로써 마스크 양면 살균, 건조 시간이 크게 단축되므로 에너지 절감으로 경제적 이익과 함께 청결성, 휴대성, 범용성, 편의성 등을 제고시키는 다양한 효능을 갖춘 비접촉식 마스크 건조 및 살균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특징은, 마스크(1)가 격리 수용되도록 덮개(12)에 의해 개폐되는 드라이룸(14)이 형성되고, 내부 바닥에 송풍구(16)가 형성되는 드라이챔버(10); 상기 송풍구(16)에 연결되어 열풍을 공급하도록 구비되는 히팅부(20); 상기 송풍구(16)를 통하여 토출되는 열풍을 확산 분사하도록 상면에 복수의 분사구(32)가 형성되는 아치형 바스켓(30); 상기 아치형 바스켓(30) 양측에 설치되고, 마스크 끈(2)이 양방향으로 확장 거치되어 마스크(1)를 아치형 바스켓(30) 상부에 펼침 지지하도록 구비되는 걸이수단(40); 및 상기 덮개(12) 및 아치형 바스켓(30)에 설치되어, 마스크(1) 양면으로 살균광을 출력하도록 구비되는 상, 하부 살균램프(50)(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히팅부(20)는, 상기 드라이챔버(10) 하부에 형성되어 송풍구(16)와 연결되고, 측면에 외부공기 흡입공(22a)이 형성되는 히팅챔버(22)와, 흡입공(22a)에 설치되어 외부공기를 여과하는 필터(24)와, 흡입공(22a)을 통하여 외부공기를 흡입하여 송풍구(16)로 토출하는 송풍기(26)와, 송풍기(26) 전방에 설치되어 송풍을 가열하는 히터(28)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걸이수단(40)은, 상기 드라이챔버(10) 또는 아치형 바스켓(30)에 고정되어 인출식으로 횡방향 길이 조절되는 횡형 신축바(41)와, 횡형 신축바(41)에 연결되어 인출식으로 종방향 길이 조절되는 종형 신축바(42)와, 종형 신축바(42) 상단부에 형성되어 마스크 끈(2)이 거치되는 고리(43)로 구성되거나, 상기 드라이챔버(10) 또는 아치형 바스켓(30)에 일단이 고정되는 탄성바(44)와, 탄성바(44) 상부에 서로 상이한 높이로 형성되는 복수의 고리(43')로 구성되고, 상기 걸이수단(40)을 이용하여 마스크 끈(2)의 거치 높낮이를 조절함에 있어, 마스크 형태에 따라 판형 마스크 끈(2) 대비 만곡형 마스크의 끈(2)이 낮게 거치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덮개(12)에 구비되는 상부 살균램프(50)는 양단부로 갈수록 하향 형성되는 계단형 플레이트(51) 또는 다각형 플레이트(52)에 서로 상이한 높이로 이격 배치되거나, 상기 살균램프(50)는 막대형으로 형성되어 한 쌍의 고정형 플레이트(53)에 의해 경사각으로 지지되도록 구비되거나, 상기 살균램프(50)는 막대형으로 형성되어, 이송스크루(54) 작동에 의해 가이드레일(55)을 타고 횡방향으로 직선 왕복운동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드라이챔버(10)에는 드라이룸(14) 내부 공기를 배기하는 단방향 체크밸브(60)가 구비되고, 상기 체크밸브(60)는 분사구(32)를 통하여 공급되는 송풍에 의해 드라이룸(14) 내부 압력이 설정압력에 도달시 개방작동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체크밸브(60)를 통하여 배기되는 공기는 방열관(70)을 타고 히팅챔버(22) 내부를 경유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방열관(70)를 타고 배기되는 공기는 히팅챔버(22) 내부로 유입되는 외부공기와의 열교환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의 구성 및 작용에 의하면, 본 발명은 콤팩트하게 구조 개선되어 비접촉식으로 열풍 건조 및 살균기능을 복합적으로 제공함에 있어서, 상, 하부 살균램프와 히팅부에 의해서 마스크 양면을 동시에 살균하면서 열풍으로 건조가 동시에 이루어져서 살균 및 건조에 소요되는 시간이 대폭 단축시킬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전기에너지 절감으로 전기사용료를 현저히 줄일 수 있으며, 콤팩트한 구조 및 형태와 크기로 인하여 휴대성 및 경제성을 대폭 향상시키면서 제품 호응도를 월등히 향상시킬 수 있으며, 특히 아치형 바스켓에 의해서 평평한 판형 마스크는 물론이거니와 가운데가 돌출된 입체형 마스크를 포함하는 다양한 타입의 마스크를 간단한 조작으로 손쉽게 적용할 수 있어서 범용성과 사용상의 편의성을 제고시킬 수 있으며, 마스크를 걸이수단에 의해서 장치에 비접촉식으로 장착되어 청결성을 더욱 향상시키면서 제품의 살균작용에 대한 신뢰성을 월등히 향상시킬 수 있는 등 다양한 효과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비접촉식 마스크 건조 및 살균장치를 전체적으로 나타내는 입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비접촉식 마스크 건조 및 살균장치의 내부 구조를 나타내는 종단면도.
도 3a 내지 도 3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비접촉식 마스크 건조 및 살균장치의 걸이수단을 나타내는 예시도.
도 4a 내지 도 4d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비접촉식 마스크 건조 및 살균장치의 상부 살균램프에 의한 살균광 출력구조를 나타내는 예시도.
도 5a 내지 도 5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비접촉식 마스크 건조 및 살균장치의 드라이룸 내부 공기 배기 구조를 나타내는 예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에 대하여 이 분야의 기술자들에게 자명한 사항으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은 비접촉식 마스크 건조 및 살균장치에 관련되며, 이는 콤팩트하게 구조 개선되어 비접촉식으로 열풍 건조 및 살균기능을 복합적으로 제공함으로써 마스크 양면 살균, 건조 시간이 크게 단축됨과 더불어 전기에너지 절감, 휴대성 및 경제성이 대폭 향상되고, 특히 판형 마스크는 물론 만곡형 마스크를 포함하는 다양한 타입의 마스크를 간단한 조작으로 손쉽게 적용하여 빈틈없이 청결하게 건조, 살균처리 할 수 있도록 드라이챔버(10), 히팅부(20), 아치형 바스켓(30), 걸이수단(40), 상, 하부 살균램프(50)(50')를 주요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드라이챔버(10)는 마스크(1)가 격리 수용되도록 덮개(12)에 의해 개폐되는 드라이룸(14)이 형성되고, 내부 바닥에 송풍구(16)가 형성된다. 덮개(12)는 힌지를 축으로 선회작동되도록 구비되고, 덮개(12)에 의해 개폐되는 드라이룸(14) 내부에는 마스크(1)를 거치하는 걸이수단(40), 마스크 측으로 열풍을 공급하는 히팅부(20) 및 마스크(1)를 살균 소독하는 상, 하부 살균램프(50)(50')가 설치되며, 상기 상, 하부 살균램프(50)(50')는 자외선(UV)살균램프 또는 자외선 엘이디(LED) 등을 선택하여 설치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드라이챔버(10)는 도 1과 같이 상면이 평면 스테이지(11)로 형성되고, 상기 덮개(12)는 하부가 개방된 박스형으로 형성된다. 이에 상기 덮개(12)를 닫을 시 덮개(12) 내부 공간으로 인해 드라이룸(14)이 구획되게 형성되고, 상기 덮개(12)를 개방 시 평면 스테이지(11) 주변이 개방된 상태로 걸이수단(40)이 완전 노출됨에 따라 주변 간섭없이 손쉽게 마스크(1)를 거치하거나 분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히팅부(20)는 상기 송풍구(16)에 연결되어 열풍을 공급하도록 구비된다. 히팅부(20)는 외부공기를 히팅하여 드라이룸(14) 내부로 공급하는 구성으로, 마스크(1) 일면 즉, 착용자 안면과 대응하는 면으로 열풍을 고르게 확산 분사하게 된다.
이때, 상기 히팅부(20)는, 상기 드라이챔버(10) 하부에 형성되어 송풍구(16)와 연결되고, 측면에 외부공기 흡입공(22a)이 형성되는 히팅챔버(22)와, 흡입공(22a)에 설치되어 외부공기를 여과하는 필터(24)와, 흡입공(22a)을 통하여 외부공기를 흡입하여 송풍구(16)로 토출하는 송풍기(26)와, 송풍기(26) 전방에 설치되어 송풍을 가열하는 히터(28)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흡입공(22a)은 히팅챔버(22) 측벽에 복수로 형성되어, 송풍기(26) on 작동시 히팅챔버(22) 사방에서 흡입공(22a)을 통하여 외부공기가 흡입되고, 이때 외부공기는 필터(24)에 의해 여과된 상태로 송풍구(16)로 분사된다.
그리고, 상기 히터(28)는 컨트롤부(31)에 의해 열풍 온도를 조절하도록 구비되는바, 즉, 컨트롤부(31)를 통하여 드라이챔버(10) 내부 온도가 설정되면, 온도센서에 의해 드라이챔버(10) 내부 온도를 검출하여 히터(28) 출력 및 on/ff 작동을 제어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아치형 바스켓(30)은 상기 송풍구(16)를 통하여 토출되는 열풍을 확산 분사하도록 상면에 복수의 분사구(32)가 형성된다. 아치형 바스켓(30)은 상면이 송풍구(16) 대비 확장되면서 아치형으로 돌출 형성되어 판형 마스크는 물론 만곡형 마스크의 표면을 따라 긴밀하게 배치되어 열풍을 고르게 분사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분사구(32)는 도 2의 확대도와 같이, 열풍이 토출되는 방향으로 갈수록 내경이 확장되도록 형성되어 열풍이 토출되는 순간 360° 방향으로 확산 분사되고, 또 분사구(32)의 토출 단부는 아치형 바스켓(30)과 평면 상이 일치되거나, 아치형 바스켓(30) 표면 대비 돌출되어 열풍 분사 거리를 연장하는 구성도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걸이수단(40)은 상기 아치형 바스켓(30) 양측에 설치되고, 마스크 끈(2)이 양방향으로 확장 거치되어 마스크(1)를 아치형 바스켓(30) 상부에 펼침 지지하도록 구비된다. 걸이수단(40)은 마스크 끈(2)을 4개소에서 탄력적으로 확장 지지하여 마스크(1)를 횡방향으로 거치하게 된다.
도 3a는 상기 걸이수단(40)의 일실시예로서, 상기 드라이챔버(10) 또는 아치형 바스켓(30)에 고정되어 인출식으로 횡방향 길이 조절되는 횡형 신축바(41)와, 횡형 신축바(41)에 연결되어 인출식으로 종방향 길이 조절되는 종형 신축바(42)와, 종형 신축바(42) 상단부에 형성되어 마스크 끈(2)이 거치되는 고리(43)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횡, 종형 신축바(41)(42)는 도 3a의 확대도와 같이 복수의 스톱홀(40a)이 형성되는 외관(41a)(42a)과, 외관(41a)(42a)에 삽입되어 스톱홀(40a)에 맞물리도록 스톱볼(40b)이 탄성체(40c)에 의해 탄력 지지되도록 구비되는 내관(41b)(42b)으로 구성된다.
이에 상기 횡형 신축바(41)에 의해 고리(43) 간에 횡방향 간격이 조절되면서 다양한 사이즈의 마스크가 탄력적으로 거치되고, 또 종형 신축바(42)에 의해 고리(43) 높낮이가 조절되어 판형 마스크, 입체형 마스크를 포함하는 마스크 형태에 따라 마스크(1)와 아치형 바스켓(30) 간에 간격이 조절된다.
도 3b는 상기 걸이수단(40)의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드라이챔버(10) 또는 아치형 바스켓(30)에 일단이 고정되는 탄성바(44)와, 탄성바(44) 상부에 서로 상이한 높이로 형성되는 복수의 고리(43')로 구성된다.
이에 상기 탄성바(44)의 탄성 변형에 의해 고리(43) 간에 횡방향 간격이 조절되면서 다양한 사이즈의 마스크가 탄력적으로 거치되고, 또 고리(43')가 복수로 구비되어 마스크 끈(2)을 거는 위치에 따라 마스크(1) 높낮이가 조절되어 판형 마스크, 입체형 마스크를 포함하는 마스크 형태에 따라 마스크(1)와 아치형 바스켓(30) 간에 간격이 조절가능하게 된다.
즉, 상기 걸이수단(40)을 이용하여 마스크 끈(2)의 거치 높낮이를 조절함에 있어, 마스크 형태에 따라 판형 마스크 끈(2) 대비 입체형 마스크의 끈(2)을 낮게 거치하여 입체형 마스크(1) 면이 아치형 바스켓(30)에 긴밀하게 인접하도록 설정하여 열풍 건조효율 향상을 도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 하부 살균램프(50)(50')는 상기 덮개(12) 및 아치형 바스켓(30)에 설치되어, 마스크(1) 양면으로 살균광을 출력하도록 구비된다. 상기 상, 하부 살균램프(50)(50')는 자외선램프를 포함하는 살균기능을 가진 램프로서, 상기 상부 살균램프(50)는 덮개(12)에 설치되어 마스크(1) 외측 표면으로 살균광을 조사하고, 하부 살균램프(50')는 아치형 바스켓(30) 상면에 복수로 구비되어 마스크(1) 내측 표면으로 살균광을 조사하게 된다.
이때, 상기 덮개(12)에 구비되는 상부 살균램프(50)는 다양한 형태로 구현되는바, 도 4a 내지 4b처럼 양단부로 갈수록 하향되게 위치토록 형성되는 계단형 플레이트(51) 또는 다각형 플레이트(52)에 서로 상이한 높이로 이격 배치되거나, 도 4c와 같이 상기 살균램프(50)는 막대형으로 형성되어 한 쌍의 고정형 플레이트(53)에 의해 경사지게 설치되도록 구비되거나, 도 4d처럼 상기 살균램프(50)는 막대형으로 형성되어, 이송스크루(54) 작동에 의해 가이드레일(55)을 타고 횡방향으로 직선 왕복운동되도록 구비된다.
그리고 도 4a 내지 4d와 같이 상부 살균램프(50)의 광역 출력 구조에 의해 입체형 마스크를 포함하는 다양한 타입의 마스크 양면이 짧은 시간에 빈틈없이 청결하게 살균처리된다.
이처럼, 상기 드라이룸(14) 내부에 아치형 바스켓(30) 및 상, 하부 살균램프(50)(50')가 구비되는 콤팩트한 구조로 인해 비접촉식으로 열풍 건조 및 살균기능을 복합적으로 제공함으로써 마스크 양면 살균, 건조 시간이 크게 단축됨과 더불어 전기에너지 절감, 휴대성 및 경제성이 대폭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도 5a에서, 상기 드라이챔버(10)에는 드라이룸(14) 내부 공기를 배기하는 단방향 체크밸브(60)가 구비되고, 상기 체크밸브(60)는 분사구(32)를 통하여 공급되는 송풍에 의해 드라이룸(14) 내부 압력이 설정압력에 도달 시 개방작동되도록 구비된다.
이에 드라이룸(14) 내에서 열풍이 머무르는 시간이 지연되어 드라이룸(14) 내부 온도가 짧은 시간에 상승하고, 이로 인해 마스크(1)에 흡수된 수분이 충분히 기화된 후에 배기되므로 건조시간 단축과 더불어 건조효율 향상을 도모한다.
도 5b에서, 상기 체크밸브(60)를 통하여 배기되는 공기는 방열관(70)을 타고 히팅챔버(22) 내부를 경유하도록 구성된다. 이에 상기 방열관(70)를 타고 배기되는 공기는 히팅챔버(22) 내부로 유입되는 외부공기와의 열교환에 의해 예열 됨에 따라 히팅부(20)에 의한 전기 에너지 절감 및 외부 기온에 영향을 받지 않고 드라이룸(14)이 신속하게 가열되어 건조효율이 향상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는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 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범위에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는 다양한 변형실시도 가능하다 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상기 실시 예에 한정하여 정하여 질 것이 아니라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기술들과 이들 기술로부터 균등한 기술수단들에까지 보호범위가 인정되어야 할 것이다.
1: 마스크
2: 마스크 끈
10: 드라이챔버
11: 평면 스테이지
12: 덮개
14: 드라이룸
16: 송풍구
20: 히팅부
22: 히팅챔버
22a: 흡입공
24: 필터
26: 송풍기
28: 히터
30: 아치형 바스켓
31: 컨트롤부
32: 분사구
40: 걸이수단
40a: 스톱홀
40b: 스톱볼
40c: 탄성체
41: 횡형 신축바
42: 종형 신축바
41a, 42a: 외관
41b, 42b: 내관
43, 43': 고리
44: 탄성바
50, 50': 상, 하부 살균램프
51: 계단형 플레이트
52: 다각형 플레이트
53: 고정형 플레이트
54: 이송스크루
55: 가이드레일
60: 체크밸브
70: 방열관

Claims (6)

  1. 마스크(1)가 격리 수용되도록 덮개(12)에 의해 개폐되는 드라이룸(14)이 형성되고, 내부 바닥에 송풍구(16)가 형성되는 드라이챔버(10);
    상기 송풍구(16)에 연결되어 열풍을 공급하도록 구비되는 히팅부(20);
    상기 송풍구(16)를 통하여 토출되는 열풍을 확산 분사하도록 상면에 복수의 분사구(32)가 형성되는 아치형 바스켓(30);
    상기 아치형 바스켓(30) 양측에 설치되고, 마스크 끈(2)이 양방향으로 확장 거치되어 마스크(1)를 아치형 바스켓(30) 상부에 펼침 지지하도록 구비되는 걸이수단(40);
    상기 덮개(12) 및 아치형 바스켓(30)에 설치되어, 마스크(1) 양면으로 살균광을 출력하도록 구비되는 상, 하부 살균램프(50)(50');를 포함하며,
    상기 걸이수단(40)은, 상기 드라이챔버(10) 또는 아치형 바스켓(30)에 고정되어 인출식으로 횡방향 길이 조절되는 횡형 신축바(41)와, 횡형 신축바(41)에 연결되어 인출식으로 종방향 길이 조절되는 종형 신축바(42)와, 종형 신축바(42) 상단부에 형성되어 마스크 끈(2)이 거치되는 고리(43)로 구성되거나, 상기 드라이챔버(10) 또는 아치형 바스켓(30)에 일단이 고정되는 탄성바(44)와, 탄성바(44) 상부에 서로 상이한 높이로 형성되는 복수의 고리(43')로 구성되고, 상기 걸이수단(40)을 이용하여 마스크 끈(2)의 거치 높낮이를 조절함에 있어, 마스크 형태에 따라 판형 마스크 끈(2) 대비 만곡형 마스크의 끈(2)이 낮게 거치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접촉식 마스크 건조 및 살균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히팅부(20)는, 상기 드라이챔버(10) 하부에 형성되어 송풍구(16)와 연결되고, 측면에 외부공기 흡입공(22a)이 형성되는 히팅챔버(22)와, 흡입공(22a)에 설치되어 외부공기를 여과하는 필터(24)와, 흡입공(22a)을 통하여 외부공기를 흡입하여 송풍구(16)로 토출하는 송풍기(26)와, 송풍기(26) 전방에 설치되어 송풍을 가열하는 히터(28)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접촉식 마스크 건조 및 살균장치.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12)에 구비되는 상부 살균램프(50)는 양단부로 갈수록 하향 형성되는 계단형 플레이트(51) 또는 다각형 플레이트(52)에 서로 상이한 높이로 이격 배치되거나, 상기 살균램프(50)는 막대형으로 형성되어 한 쌍의 고정형 플레이트(53)에 의해 경사각으로 지지되도록 구비되거나, 상기 살균램프(50)는 막대형으로 형성되어, 이송스크루(54) 작동에 의해 가이드레일(55)을 타고 횡방향으로 직선 왕복운동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접촉식 마스크 건조 및 살균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드라이챔버(10)에는 드라이룸(14) 내부 공기를 배기하는 단방향 체크밸브(60)가 구비되고, 상기 체크밸브(60)는 분사구(32)를 통하여 공급되는 송풍에 의해 드라이룸(14) 내부 압력이 설정압력에 도달시 개방작동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접촉식 마스크 건조 및 살균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체크밸브(60)를 통하여 배기되는 공기는 방열관(70)을 타고 히팅챔버(22) 내부를 경유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방열관(70)를 타고 배기되는 공기는 히팅챔버(22) 내부로 유입되는 외부공기와 열교환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접촉식 마스크 건조 및 살균장치.
KR1020200040452A 2020-04-02 2020-04-02 비접촉식 마스크 건조 및 살균장치 KR1022072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0452A KR102207201B1 (ko) 2020-04-02 2020-04-02 비접촉식 마스크 건조 및 살균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0452A KR102207201B1 (ko) 2020-04-02 2020-04-02 비접촉식 마스크 건조 및 살균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07201B1 true KR102207201B1 (ko) 2021-01-25

Family

ID=742379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40452A KR102207201B1 (ko) 2020-04-02 2020-04-02 비접촉식 마스크 건조 및 살균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07201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171475A (zh) * 2021-05-15 2021-07-27 吕建丽 一种医用口罩内部消毒装置
GB2606226A (en) * 2021-04-30 2022-11-02 Salupont Consulting Ltd Portable sanitisation device for sanitising flexible face masks
KR20230124315A (ko) * 2022-02-18 2023-08-25 호남대학교 산학협력단 마스크 살균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62606A (ko) * 2014-11-25 2016-06-02 박병욱 학습교구 및 완구류 제품의 살균 건조 장치
KR101832472B1 (ko) * 2017-12-26 2018-02-26 김형주 마스크 살균 및 건조장치
KR101946439B1 (ko) * 2016-11-24 2019-02-12 정진선 도마 살균기
KR20190052450A (ko) * 2017-11-08 2019-05-16 주식회사 우리원에너지 보일러 겸용 음이온 온풍기
KR102044622B1 (ko) 2018-02-21 2019-11-14 (주)아이담테크 마스크 살균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62606A (ko) * 2014-11-25 2016-06-02 박병욱 학습교구 및 완구류 제품의 살균 건조 장치
KR101946439B1 (ko) * 2016-11-24 2019-02-12 정진선 도마 살균기
KR20190052450A (ko) * 2017-11-08 2019-05-16 주식회사 우리원에너지 보일러 겸용 음이온 온풍기
KR101832472B1 (ko) * 2017-12-26 2018-02-26 김형주 마스크 살균 및 건조장치
KR102044622B1 (ko) 2018-02-21 2019-11-14 (주)아이담테크 마스크 살균장치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606226A (en) * 2021-04-30 2022-11-02 Salupont Consulting Ltd Portable sanitisation device for sanitising flexible face masks
WO2022229588A1 (en) * 2021-04-30 2022-11-03 Salupont Consulting Limited Portable sanitisation device for sanitising flexible face masks
CN113171475A (zh) * 2021-05-15 2021-07-27 吕建丽 一种医用口罩内部消毒装置
CN113171475B (zh) * 2021-05-15 2024-01-23 中山市赛夫特劳保用品有限公司 一种医用口罩内部消毒装置
KR20230124315A (ko) * 2022-02-18 2023-08-25 호남대학교 산학협력단 마스크 살균장치
KR102652919B1 (ko) * 2022-02-18 2024-04-01 호남대학교 산학협력단 마스크 살균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07201B1 (ko) 비접촉식 마스크 건조 및 살균장치
KR101030583B1 (ko) 출입자 살균소독실
CN107876458A (zh) 一种医疗器械清洗消毒干燥一体化装置
KR102146866B1 (ko) 마스크 살균기
KR20090100329A (ko) 살균장치가 장착된 살균처리 부스제작 방법과 그 이용 방법
KR20110031810A (ko) 살균 에어 커튼 장치
KR100970468B1 (ko) 도서 소독기
KR200348688Y1 (ko) 살균기가 구비된 핸드 드라이어
KR20090044661A (ko) 승강기내의 방향제 및 살균제 분사 장치
KR100648298B1 (ko) 은나노 분무 신발 소독장치
JP2016158960A (ja) プラズマジェットで除菌する手指乾燥機
CN213453338U (zh) 一种杀菌灯具
CN107802865A (zh) 一种环保型医疗臭氧消毒柜
CN209915825U (zh) 一种毛巾烘干机及具有该毛巾烘干机的智能毛巾架
CN211560506U (zh) 一种兽医用动物接生清洗装置
CN111118846A (zh) 雾化式消毒系统和晾衣系统
KR20220023535A (ko) 감염병 방지 기능을 갖는 에어컨 시스템 및 동 시스템을 구비한 선박
KR20110048761A (ko) 복합 살균 공기정화기
CN214440640U (zh) 一种化妆品瓶烘干杀菌装置
CN211872352U (zh) 雾化式消毒系统和晾衣系统
KR200379898Y1 (ko) 클린룸
KR102281353B1 (ko) 건조 기능을 구비한 살균 소독용 미스트 샤워 장치
CN217154466U (zh) 一种吸入式紫外线消毒机
JP3236431B2 (ja) 害虫除去機能付き換気装置
CN212829838U (zh) 一种带干燥消毒功能的口罩盒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