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05869B1 - 입상의 완효성비료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입상의 완효성비료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05869B1
KR102205869B1 KR1020190040935A KR20190040935A KR102205869B1 KR 102205869 B1 KR102205869 B1 KR 102205869B1 KR 1020190040935 A KR1020190040935 A KR 1020190040935A KR 20190040935 A KR20190040935 A KR 20190040935A KR 102205869 B1 KR102205869 B1 KR 1022058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ertilizer
raw material
slow
granular
coating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409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18676A (ko
Inventor
김신호
Original Assignee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나무바이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나무바이오 filed Critical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나무바이오
Priority to KR10201900409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05869B1/ko
Publication of KR202001186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186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058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058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5FERTILISERS; MANUFACTURE THEREOF
    • C05GMIXTURES OF FERTILISERS COVERED INDIVIDUALLY BY DIFFERENT SUBCLASSES OF CLASS C05; MIXTURES OF ONE OR MORE FERTILISERS WITH MATERIALS NOT HAVING A SPECIFIC FERTILISING ACTIVITY, e.g. PESTICIDES, SOIL-CONDITIONERS, WETTING AGENTS; FERTILISE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C05G3/00Mixtures of one or more fertilisers with additives not having a specially fertilising activity
    • C05G3/40Mixtures of one or more fertilisers with additives not having a specially fertilising activity for affecting fertiliser dosage or release rate; for affecting solubility
    • C05G3/44Mixtures of one or more fertilisers with additives not having a specially fertilising activity for affecting fertiliser dosage or release rate; for affecting solubility for affecting solubility
    • CCHEMISTRY; METALLURGY
    • C05FERTILISERS; MANUFACTURE THEREOF
    • C05GMIXTURES OF FERTILISERS COVERED INDIVIDUALLY BY DIFFERENT SUBCLASSES OF CLASS C05; MIXTURES OF ONE OR MORE FERTILISERS WITH MATERIALS NOT HAVING A SPECIFIC FERTILISING ACTIVITY, e.g. PESTICIDES, SOIL-CONDITIONERS, WETTING AGENTS; FERTILISE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C05G1/00Mixtures of fertilisers belonging individually to different subclasses of C05
    • CCHEMISTRY; METALLURGY
    • C05FERTILISERS; MANUFACTURE THEREOF
    • C05GMIXTURES OF FERTILISERS COVERED INDIVIDUALLY BY DIFFERENT SUBCLASSES OF CLASS C05; MIXTURES OF ONE OR MORE FERTILISERS WITH MATERIALS NOT HAVING A SPECIFIC FERTILISING ACTIVITY, e.g. PESTICIDES, SOIL-CONDITIONERS, WETTING AGENTS; FERTILISE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C05G3/00Mixtures of one or more fertilisers with additives not having a specially fertilising activity
    • C05G3/60Biocides or preservatives, e.g. disinfectants, pesticides or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5FERTILISERS; MANUFACTURE THEREOF
    • C05GMIXTURES OF FERTILISERS COVERED INDIVIDUALLY BY DIFFERENT SUBCLASSES OF CLASS C05; MIXTURES OF ONE OR MORE FERTILISERS WITH MATERIALS NOT HAVING A SPECIFIC FERTILISING ACTIVITY, e.g. PESTICIDES, SOIL-CONDITIONERS, WETTING AGENTS; FERTILISE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C05G5/00Fertilise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C05G5/10Solid or semi-solid fertilisers, e.g. powders
    • C05G5/12Granules or flakes
    • CCHEMISTRY; METALLURGY
    • C05FERTILISERS; MANUFACTURE THEREOF
    • C05GMIXTURES OF FERTILISERS COVERED INDIVIDUALLY BY DIFFERENT SUBCLASSES OF CLASS C05; MIXTURES OF ONE OR MORE FERTILISERS WITH MATERIALS NOT HAVING A SPECIFIC FERTILISING ACTIVITY, e.g. PESTICIDES, SOIL-CONDITIONERS, WETTING AGENTS; FERTILISE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C05G5/00Fertilise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C05G5/30Layered or coated, e.g. dust-preventing coatings
    • C05G5/35Capsules, e.g. core-shell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lant Pathology (AREA)
  • Fertiliz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입상 비료의 완효성을 높인 입상의 완효성비료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a) 분상의 천연광물로 구성되는 제1원료와, 유기물로 이루어진 제2원료와, 미생물로 이루어진 제3원료와 물을 혼합하여 반죽을 제조하는 단계와, b) 상기 반죽을 입상으로 형성하여 다수개의 코어로 제조하는 단계와, c) 상기 코어 외면에 식물추출물을 코팅하여, 코팅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d) 상기 c)단계에서 제조된 제조물을 건조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식물추출물로 이루어진 코팅층의 구성으로인해 보다 안전하고, 토양에 양분의 제공이 가능한 완효성비료 및 이의 제조방법이 개시된다.

Description

입상의 완효성비료 및 이의 제조방법{The Slow Releasing Granular Fertilizer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본 발명은 비료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비료의 외면을 코팅하여 완효성을 높인 입상의 완효성비료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작물이 자라기에 좋은 환경의 토양은 검은 빛을 띤다. 검은 빛을 띠는 토양은 식물이 고사하거나, 지중동물이나 토양 미생물에 의해 분해 또는 생성되는 유기물의 함유량이 많을 경우에 나타난다. 자연환경에서의 토양은 자생식물이 해당 토양에서 자라고 죽기 때문에 양분의 손실이 없어 작물이 자라기에 좋은 환경을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지만, 농경지의 경우는 수확물이 다른 곳으로 운반되기 때문에 시간이 지남에 따라 양분이 소실된다. 때문에, 농경지 등에는 비료를 공급하여 인위적으로 토양의 양분을 증진시킨다.
한편, 토양에 지나치게 많은 양의 양분이 공급될 경우, 길항작용 혹은 삼투압작용으로 인해 작물에 피해를 입힐 수 있었고,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종래에는 비료를 입상으로 제조하고, 입상의 비료 일부에는 외면에 화학성분으로 코팅을 하여 토양에 공급하였다. 토양에 공급된 비료 및 코팅층은 수용성임에 따라, 코팅되지 않은 비료부터 분해 및 용해되고, 이후 코팅되어 있던 비료 또한 차츰 코팅층이 벗겨지면서 토양에 공급됨으로써, 비료가 장기간에 걸쳐 조금씩 공급될 수 있도록 하였다.
그런데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비료는 코팅층이 화학성분으로 이루어져 토양에 좋지 않은 영향을 끼칠 가능성이 있고, 토양에 비료 제공 시에도 코팅된 비료와 코팅이 되지 않은 비료를 섞어 제공해야 함으로써 비료 제공 작업이 번거로운 문제와, 작물의 생장 과정에 따라 필요한 성분이 다름에도 단일 구성의 비료만이 제공되는 문제가 있었다. 이에 따라, 종래의 비료보다 더욱 간편하고 안전하며, 효과적인 완효성비료의 개발이 시급한 실정이다.
1. 한국등록특허 제10-1933147호("바이오차 및 미생물을 이용한 상토 조성물, 토양개량제, 유기질비료 및 그 제조 방법") 2. 한국등록특허 제10-1948484호("유기농재료를 배합한 친환경 고형비료제조방법 및 액체비료제조방법") 3.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9-0030185호("트리-블록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부상성이 개선된 용출제어형 비료 및 이의 제조방법")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공급이 간편하면서도 완효성이 높고, 작물의 생장 단계에 따라 필요한 성분을 자동으로 공급할 수 있는 입상의 완효성비료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입상의 완효성비료의 제조방법은, a) 고령토를 포함하는 분상의 천연광물로 구성되는 제1원료와, 유기물로 이루어진 제2원료와, 방선균과, 키틴 분해미생물, 젤라틴 분해미생물 및 콜라겐 분해미생물로 이루어진 제3원료와 물을 혼합하여 반죽을 제조하는 단계; b) 상기 반죽을 입상으로 형성하여 다수개의 코어로 제조하는 단계; c) 상기 코어 외면에 식물추출물을 코팅하여, 코팅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d) 상기 c)단계에서 제조된 제조물을 건조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작물의 생장 시 작물에 고령토막을 형성하고, 해충의 체내로 농약이 흡수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d)단계 이후, c)단계 및 d)단계를 소정 횟수 반복 수행되며, c)단계와 d)단계의 반복 수행 시 상기 c)단계는 이전의 d)단계에서 건조된 제조물의 코팅층 외면에 상기 식물추출물을 재코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그리고 상기 제1원료는, 장석, 벤토나이트 중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2원료는, 쌀겨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코팅층은, 식물추출물 이외에 당밀 및 해조추출물이 추가 혼합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해조추출물은, 건조된 다시마를 물에 넣고 끓여 우러나온 물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식물추출은 40 내지 60 중량%, 상기 당밀은 20 내지 30 중량%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식물추출물은, 질경이, 죽순, 삼나무, 은행나무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이상의 추출원료로부터 추출된 추출물의 혼합으로 이루어진 것이고, 상기 추출물은, 상기 추출원료 중 어느 하나의 건조물을 물에 넣고 끓여 우러나온 물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입상의 완효성비료는, 장석과, 고령토와, 벤토나이트와, 미생물과, 쌀겨로 이루어진 코어; 및 상기 코어 외면을 감싸도록 형성되며, 식물추출물과, 당밀과, 해조추출물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코팅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한 본 발명의 입상의 완효성비료 및 이의 제조방법은, 식물추출물로 이루어진 코팅층의 구성으로인해 보다 안전하고, 토양에 양분의 제공이 가능한 완효성비료의 제공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코어와 코팅층으로 구분된 구조를 통해, 작물의 생장시기에 맞는 양분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특히, 코어에 포함된 미생물을 통하여, 농약의 해충방제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입상의 완효성비료의 제조과정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입상의 완효성비료의 제조에 사용될 수 있는 제형화기기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입상의 완효성비료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입상의 완효성비료를 처음 토양에 공급한 모습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입상의 완표성비료를 토양에 공급한 후 코팅층이 벗겨진 모습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첨부된 도면을 사용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기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첨부된 도면을 사용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일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첨부된 도면의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완효성비료의 제조방법]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입상의 완효성비료의 제조과정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입상의 완효성비료의 제조과정은 분상의 천연광물로 구성되는 제1원료와, 유기물로 이루어진 제2원료와, 미생물로 이루어진 제3원료와 물을 혼합하여 반죽을 제조하는 a)단계와, 상기 반죽을 입상으로 형성하여 다수개의 코어로 제조하는 b)단계와, 상기 코어 외면에 식물추출물을 코팅하여, 코팅층을 형성하는 c)단계 및 상기 c)단계에서 제조된 제조물을 건조시키는 d)단계와, 상기 d)단계에서 제조물을 건조하여 제작된 완효성비료를 소분하여 포장하는 e)단계를 포함한다.
상세히, 분상의 천연광물로 구성되는 제1원료와, 유기물로 이루어진 제2원료와, 미생물로 이루어진 제3원료와 물을 혼합하여 반죽을 제조하는 a)단계에서, 상기 제1원료와, 제2원료와, 제3원료를 합한 혼합물의 중량비는, 제1원료 85 내지 90 중량%, 제2원료 8 내지 13 중량%, 제3원료 0.5 내지 3 중량%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제1원료 88 내지 89 중량%, 제2원료 10 내지 11 중량%, 제3원료 0.9 내지 1.1 중량%로 이루어질 수 있다.
a)단계의 제1원료에 대해 먼저 설명하면, 상기 제1원료는 장석과, 고령토와, 벤토나이트의 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장석은 1㎤당 3만~15만개의 다층다공질로 구성되어 있고, 비표면적이 넓어 오염물질, 중금속 등을 흡착 및 분해하는 작용을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산성이나 강한 알칼리성 물을 약알칼리성(pH 7.2~7.4)으로 조절하며, 수질을 활성화하여 정수작용을 한다. 또한 장석은 흡착력이 뛰어나 화학적 산소요구량(COD) 및 생물학적 산소요구량(BOD)을 낮추어 방부작용을 하는 것은 물론 활성화에 따라 생체에 활력을 준다.
고령토는 규석, 알루미나, 포타시움 등의 성분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작물의 생장 시 작물의 잎과 줄기에 고령토막을 형성하여, 해충의 피해를 저감시키는 효과가 있다.
벤토나이트는 칼슘, 마그네슘, 게르마늄, 셀레늄 등의 천연 미네랄 성분이 포함되어, 독소, 중금속과 같은 오염 물질을 흡수하고, 수분을 흡착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a)단계에서 각 원료들이 균질하게 혼합되도록 하기 위하여, 장석과, 고령토와, 벤토나이트는 함수율이 10중량% 이하로 건조시킨 상태로 각각 분쇄하며, 분쇄된 각각의 천연광물은 메쉬 필터를 통해 걸러 줌으로써 입자의 분쇄된 천연 광물의 크기를 일정하게 한다. 제1원료에서 각 천연광물의 비율은 장석 45 내지 50 중량%, 고령토 20 내지 25 중량%, 벤토나이트 25 내지 30 중량%임이 바람직하며, 더욱 정확하게는 장석 47 내지 48 중량%, 고령토 23 내지 24 중량%, 벤토나이트 29 내지 30 중량%임이 바람직하다. a)단계에서 천연광물을 분쇄한 후 메쉬 필터를 이용해 걸러낼 때, 해당 메쉬 필터는 다수개가 사용될 수 있으며, 분쇄된 천연광물을 공급하는 전단에는 비교적 큰 공극을 가지는 메쉬필터가 위치하고, 후단으로 갈수록 작은 공극을 가지는 메쉬필터가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분쇄된 천연광물이 처음 걸러지는 부분에는 20메쉬의 메쉬 필터가 사용된다고 하면, 이후에는 40메쉬, 60메쉬의 메쉬 필터가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구성을 가져 분쇄물 중 크기가 큰 분쇄물이 먼저 걸러지고, 상대적으로 크기가 작은 분쇄물이 나중에 걸리지도록 해, 단일의 메쉬에 걸리는 압력을 낮출 수 있다.
제2원료는 쌀겨로 이루어진다. 쌀겨는 수확 등으로 부족해진 토양의 유기물을 보충해주는 역할을 함과 동시에 분해될 때 발생되는 유기산과 가스 및 기름성분을 통해 어린 잡초의 생장을 억제시키는 역할을 한다.
제3원료는 미생물 특히, 방선균과, 키틴분해 미생물과, 젤라틴 분해미생물과, 콜라겐 분해미생물로 이루어진다. 상술한 미생물은 해충의 외피에 존재하는 키틴과 젤라틴 및 콜라겐을 제거하여, 해충의 체내로 수분 및 농약이 쉽게 흡수되도록 하여, 방충효과를 높이는 역할을 한다.
a)단계의 반죽 제조를 위한 물은 제1원료와 제2원료와, 제3원료를 합한 혼합물의 중량의 1% 내지 2%임이 교반효율을 높이기에 바람직하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입상의 완효성비료의 제조에 사용될 수 있는 제형화기기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한편, 상기 반죽의 제조는 입상 제형화 기기(1000)를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입상 제형화 기기(1000)는 상단에 호퍼(1110)와 액체 주입관(1130)이 마련된 반죽실(1100)과, 상기 반죽실(1100)과 연통하도록 마련되며, 회전하는 원통형상으로 이루어진 제형실(1300)과, 상기 제형실(1300)의 일단에 마련된 배출구(1500)로 이루어진다. 반죽의 제조는 상기 반죽실(1100)에서 이루어진다. 상기 반죽실(1100) 내부에는 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스크류(1150)가 마련되어 호퍼(1110)를 통해 유입되는 상기 혼합물과 액체 주입관(1130)을 통해 유입되는 물을 교반하여 반죽을 제조한다. 이때, 액체 주입관(1130)의 물은 소량씩 여러번 나누어 고르게 공급되어 분체의 혼합물이 용해되지 않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반죽실(1100)의 끝단에는 수분측정기(미도시)가 마련되어, 반죽의 수분을 측정 및 측정된 결과에 따라 반죽에 물을 추가로 공급하여 재반죽 할 수도 있을 것이다. 참고로, 반죽의 제조는 반드시 입상 제형화 기기(1000)를 통해서만 이루어져야 하는 것은 아니므로 작업자가 수작업으로 반죽을 제조할 수도 있고, 일반적인 교반기를 통해서도 반죽을 제조할 수 있다. 단, 서로 다른 방법 또는 환경에서 반죽을 제조할 경우, 교반되는 도중의 반죽의 상태가 달라질 수 있으므로, 반죽이 진행되는 도중 또는 마지막 단계에는 상술한 수분측정기와 같이 반죽의 상태를 알 수 있는 장치가 설치되어 사용자 또는 반죽기의 제어장치에 피드백 정보를 제공할 수 있으며, 사용자 또는 반죽기의 제어장치는 상기한 피드백 정보를 통해 보다 균일한 품질의 반죽이 만들어지도록 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a)단계가 수행된 이후, 상기 반죽을 입상으로 형성하여 다수개의 코어로 제조하는 b)단계가 수행된다. 반죽을 입상으로 형성하여 제조한 코어는 후술할 코팅층이 고르게 형성될 수 있고, 입상의 완효성비료로 완성되어 토양에 공급된 후에도 완효성비료의 중심으로부터 외면까지의 길이가 모두 동일하여 고르게 용해 및 분해될 수 있다. 입상 제형화 기기(1000)를 통해서는 상기 a)단계와 b)단계를 연속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스크류(1150)는 적어도 그 끝단이 제형실(1300) 내부에 위치하도록 형성되는데, 상기 반죽실(1100)에서 제조된 반죽은 스크류(1150)의 외면에 형성된 날개의 형상 및 스크류(1150)의 회전운동에 의해 전방으로 이송되어 제형실(1300) 내부로 공급된다. 원통형상의 제형실(1300)은 회전운동을 하는데, 이에 따라 공급된 반죽에는 진동 및 회전운동을 가하여 다수의 입상 코어로 형성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b)단계가 수행된 이후, 상기 코어 외면에 식물추출물을 코팅하여, 코팅층을 형성하는 c)단계가 수행된다.
상기 식물추출물은 추출원료가 질경이, 죽순, 삼나무, 은행나무 뿌리 또는 줄기 또는 잎의 건조물이며, 식물추출물은 각 추출원료로부터 얻어진 추출물의 혼합물을 이르는 것으로, 이들의 비율은 질경이추출물 25중량%, 죽순추출물 25중량%, 삼나무추출물 25중량%, 은행나무추출물 25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각 추출원료로부터 얻어지는 추출물은, 건조된 추출원료 10중량%와 물 90중량%를 용기에 넣고, 이를 섭씨 50도씨에서 24시간 이상 가열하여 우러나온 물을 지칭한다.
상기 코팅층은 식물추출물로만 이루어 질 수도 있지만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식물추출물과, 당밀과, 해조추출물의 혼합액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여기서 혼합액의 중량을 100이라고 봤을 때, 식물추출물은 40 내지 60 중량%, 당밀이 20 내지 30 중량%, 해조추출물 20 내지 30 중량%일 수 있으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식물추출물 50 중량%, 당밀 25 중량%, 해조추출물 25 중량%일 수 있다. 덧붙여, 상기 해조추출물은 건조된 다시마를 10중량%와 물 90중량%를 용기에 넣고, 이를 섭씨 50도씨에서 24시간 이상 가열하여 우러나온 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당밀은 당성분을 탄소원으로 하여 토양에 공급될 시 토양의 토착 미생물 발효 시 에너지원을 제공하며, 당밀에 포함된 비당 유기물(질소, 인 등)과, 미네랄(칼륨, 칼슘, 마그네슘 등), 비타민 등이 미생물의 발효를 촉진하는 효과 및 발효시 발생하는 냄새를 경감시키는 효과를 발휘한다. 참고로, 당밀을 통해 성장항한 미생물은 토양의 유해한 화학 오염물질을 소멸시키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또한, 해조추출물에는 옥신, 사이토키닌 및 지베레닌과 같은 성장촉진물질이 함유되어있어, 토양에 공급될 시 작물의 종자가 쉽게 발아되도록 하는 효과를 발휘한다.
한편, 상기 코팅층은 입상 제형화 기기(1000)를 통해 형성할 시, 배출구(1500)를 폐구한 상태에서 액체 주입관(1130)에 식물추출물과, 당밀과, 해조추출물의 혼합액을 주입하고, 상기 제형실(1300)을 이루는 원통을 소정시간 회전운동 시켜, 앞서 b)단계에서 제조한 코어 외면에 주입한 식물추출물과, 당밀과, 해조추출물의 혼합액이 고르게 묻도록 하여 형성할 수 있다.
다음, 다시 도 1을 참고로, 상기 c)단계에서 제조된 제조물을 건조시키는 d)단계를 수행한다. d)단계는 외기의 온도가 섭씨 45도 내지 50도인 환경에서 40분 내지 45분 혹은 그 이상 건조시킴이 바람직하다.
필요에 따라, 상기 c)단계 및 d)단계는 소정 횟수 반복 수행될 수 있고, 반복 수행 시 c)단계는 이전의 d)단계에서 건조된 제조물의 코팅층 외면에 식물추출물 또는 식물추출물과, 해조추출물과, 당밀의 혼합액을 재코팅하여 코팅층의 두께를 두껍게 형성할 수 있을 것이다.
코팅층의 두께가 필요한 두께만큼 형성된 이후에는 d)단계에서 제조물을 건조하여 제작된 완효성비료를 소분하여 포장하는 e)단계가 수행된다.
[완효성비료]
이하, 앞서 설명한 입상의 완효성 비료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완효성비료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입상의 완효성비료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입상의 완효성비료(100)는 입상의 코어(110)와, 코어의 외면을 감싸도록 형성된 코팅층(130)으로 구성된다.
코어(110)와 코팅층(130)으로 나뉘는 입상의 완효성비료의 구조는 작물의 생장에 따른 맞춤식 양분을 공급하기 위한 것이다. 상세히, 상기 코어(110)는 장석과 고령토와 벤토나이트를 포함하는 천연광물과, 방선균과 키틴분해 미생물과 젤라틴 분해미생물과 콜라겐 분해미생물을 포함하는 미생물과, 쌀겨를 포함하는 유기물로 이루어지며, 코팅층(130)은 질경이 추출물과 죽순추출물과 삼나무 추출물과 은행나무 추출물로 이루어지는 식물추출물과, 당밀과, 다시마로부터 얻어지는 해조추출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입상의 완효성비료를 이루는 각 구성들의 비율을 설명하면, 장석 40 중량%, 고령토 20 중량%, 벤토나이트 25 중량%, 미생물 1중량%, 쌀겨 10 중량%, 식물추출물 2 중량%, 당밀 1중량%, 해조추출물 1 중량%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입상의 완효성비료를 처음 토양에 공급한 모습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물의 종자 즉, 씨앗(30)이 토양(10)에 심어진 상태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입상의 완효성비료(100)를 공급하면, 처음에는 코팅층(130)이 노출되어 있는 바, 물 등이 공급될 시 코팅층(130)이 용해 및 분해되며 코팅층(130)에 포함된 식물추출물은 씨앗(30)에 양분을 공급하고, 당밀은 토양(10)에 포함된 미생물을 활성화 및 발효를 도와 미생물로 하여금 토양(10)의 유해한 화학 오염물을 소멸시키도록 하고, 해초추출물은 씨앗(30)의 성장을 촉진시켜 발아를 돕는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입상의 완표성비료를 토양에 공급한 후 코팅층이 벗겨진 모습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앞서 코팅층이 모두 용해 및 분해될 시기가 되면, 앞서 설명한 씨앗은 코팅층에서 공급한 양분을 통해 씨앗이 발아하여 어느 정도 작물로 생장한 시점에 이른다. 코팅층이 벗겨진 입상의 완효성비료(100)는 코어(110)가 외부로 노출되며, 작물(31)의 생장을 위하여 공급되는 물에 의해 용해 및 분해된다.
한편, 이 시기에는 작물(31)의 병충해를 막기 위해 토양(10) 및 작물(31)에 농약(21)이 공급되는데, 농약은 수용성으로, 물에 희석하여 분사되며, 토양(10)에 농약이 지나치게 축적되면, 토양은 산성이 되어 작물(31)의 생장에 필요한 염기성 금속의 섭취가 어려워질 수 있다.
코어(110)가 용해 및 분해되는 과정에서 코어(110)에 포함된 장석은 토양을 약알칼리성으로 조절 및 중금속을 흡착 및 분해하는 효과를 발휘하고, 고령토는 작물의 잎과 중기에 고령토막을 형성하여 해충의 피해를 저감시키고, 벤토나이트는 중금속 등의 오염물질을 흡수 및 수분을 흡착하여 토양(10)이 촉촉한 상태를 유지하는데 도움을 준다. 또한, 쌀겨는 토양(10)에 유기물을 보충하는 역할과 유기산과 가스 및 기름성분을 발생시켜 잡초의 생장을 억제하는 역할을 하며, 미생물은 해충의 외피에 존재하는 키틴과 젤라틴 및 콜라겐을 제거하여, 해충(50)의 체내로 수용성의 농약(21)이 쉽게 흡수되도록 하여 농약(21)의 방충효과를 높이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의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하여 기술적 사상을 해석해서는 안 된다. 적용범위가 다양함은 물론이고,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업자의 수준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개량 및 변경은 당업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게 된다.
10: 토양
20: 물
21: 농약
30: 씨앗
31: 작물
50: 해충
100: 입상의 완효성비료
110: 코어
130: 코팅층
1000: 입상 제형화 기기
1100: 반죽실
1110: 호퍼
1130: 액체 주입관
1150: 스크류
1300: 제형실
1500: 배출구

Claims (9)

  1. a) 고령토를 포함하는 분상의 천연광물로 구성되는 제1원료와, 유기물로 이루어진 제2원료와, 방선균과, 키틴 분해미생물, 젤라틴 분해미생물 및 콜라겐 분해미생물로 이루어진 제3원료와 물을 혼합하여 반죽을 제조하는 단계;
    b) 상기 반죽을 입상으로 형성하여 다수개의 코어로 제조하는 단계;
    c) 상기 코어 외면에 식물추출물을 코팅하여, 코팅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d) 상기 c)단계에서 제조된 제조물을 건조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작물의 생장 시 작물에 고령토막을 형성하고, 해충의 체내로 농약이 흡수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상의 완효성비료의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상의 완효성비료의 제조방법은 상기 d)단계 이후,
    c)단계 및 d)단계를 소정 횟수 반복 수행되며,
    c)단계와 d)단계의 반복 수행 시 상기 c)단계는 이전의 d)단계에서 건조된 제조물의 코팅층 외면에 상기 식물추출물을 재코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상의 완효성비료의 제조방법.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원료는,
    장석, 벤토나이트 중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2원료는,
    쌀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상의 완효성비료의 제조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코팅층은,
    식물추출물 이외에 당밀 및 해조추출물이 추가 혼합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상의 완효성비료의 제조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해조추출물은,
    건조된 다시마를 물에 넣고 끓여 우러나온 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상의 완효성 비료의 제조방법.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식물추출은 40 내지 60 중량%, 상기 당밀은 20 내지 30 중량%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효성 비료의 제조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식물추출물은,
    질경이, 죽순, 삼나무, 은행나무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이상의 추출원료로부터 추출된 추출물의 혼합으로 이루어진 것이고,
    상기 추출물은,
    상기 추출원료 중 어느 하나의 건조물을 물에 넣고 끓여 우러나온 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상의 완효성비료의 제조방법.
  9. 상기 1항 내지 8항 중 어느 한 항에 의해 제조된 입상의 완효성비료에 있어서,
    상기 입상의 완효성비료는,
    장석과, 고령토와, 벤토나이트와, 미생물과, 쌀겨로 이루어진 코어; 및
    상기 코어 외면을 감싸도록 형성되며, 식물추출물과, 당밀과, 해조추출물의혼합물로 이루어진 코팅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상의 완효성비료.
KR1020190040935A 2019-04-08 2019-04-08 입상의 완효성비료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2058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0935A KR102205869B1 (ko) 2019-04-08 2019-04-08 입상의 완효성비료 및 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0935A KR102205869B1 (ko) 2019-04-08 2019-04-08 입상의 완효성비료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18676A KR20200118676A (ko) 2020-10-16
KR102205869B1 true KR102205869B1 (ko) 2021-01-21

Family

ID=730352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40935A KR102205869B1 (ko) 2019-04-08 2019-04-08 입상의 완효성비료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05869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54717B1 (ko) * 2016-07-21 2017-07-06 최상일 식물생장 촉진용 조성물
KR101777258B1 (ko) * 2016-12-22 2017-09-12 주식회사 파인바이오 친환경 유기농업용 농자재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787547B1 (ko) * 2017-04-10 2017-10-19 주식회사 포이엔 입상형 토양개량제의 제조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33147B1 (ko) 2017-04-13 2019-03-15 주식회사 케이디아그로 바이오차 및 미생물을 이용한 상토 조성물, 토양개량제, 유기질비료 및 그 제조 방법
KR20190018184A (ko) * 2017-08-14 2019-02-22 양향아 바이오차를 이용한 입상형 토양개량제 및 비료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AU2018332470B2 (en) 2017-09-13 2024-05-30 Lg Chem. Ltd. Controlled-release type fertilizer with decreased floating property comprising tri-block copolymer and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KR101948484B1 (ko) 2018-09-27 2019-02-14 김응준 유기농재료를 배합한 친환경 고형비료제조방법 및 액체비료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54717B1 (ko) * 2016-07-21 2017-07-06 최상일 식물생장 촉진용 조성물
KR101777258B1 (ko) * 2016-12-22 2017-09-12 주식회사 파인바이오 친환경 유기농업용 농자재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787547B1 (ko) * 2017-04-10 2017-10-19 주식회사 포이엔 입상형 토양개량제의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18676A (ko) 2020-10-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119168B (zh) 凹凸棒压缩营养土的生产方法
US4579579A (en) Method for preparing a slow-release fertilizer
CN103435380B (zh) 速生植物种植与植物堆肥替代化肥的装置和方法
CN1059510A (zh) 多效复合常效花卉肥及制造方法
US20130316903A1 (en) Solid Plant Nutrient Compositions
CN105660698A (zh) 植物免疫诱抗剂在防治黄瓜猝倒病和立枯病中的应用
JP5898879B2 (ja) 海藻含有肥料の製造方法並びにその製造方法により得られる海藻含有肥料
CN104230525A (zh) 一种防治作物病虫害的专用肥料
KR20110015487A (ko) 생분해성 화분
CN106008087A (zh) 一种微生物菌肥及其制备方法
KR102205869B1 (ko) 입상의 완효성비료 및 이의 제조방법
CN107873355A (zh) 一种乌桕树的培育方法
WO2011070586A1 (en) Organic fertilizer for sustainable crop growth and management
KR100399985B1 (ko) 종자 흙떡 및 이의 제조방법
WO1993010061A1 (de) Biologisch reines drei-phasen-naturstoff-düngemittel und verfahren zu seiner herstellung
DE102010018455B4 (de)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Pflanzenschutzmittels sowie Pflanzenschutzmittel
RU2301825C1 (ru) Искусственная почва
JP2010001263A (ja) 野菜及び花卉植物の食害防止剤
CN112913499A (zh) 一种羧甲基淀粉的应用及其生产方法
CN110330390A (zh) 一种园林种植土壤的改良肥料及其制备方法
KR102331449B1 (ko) 농약이 포함되지 않은 서방형 토양 살생제 및 그 제조방법
KR102497005B1 (ko) 새싹작물 재배용 미네랄 나노 액상비료 및 그 제조방법
Samaraweera et al. Use of Jellyfish as a potential organic fertilizer and its effect on the growth of okra, Abelmoschus esculentus
KR101994166B1 (ko) 폐농산물을 이용한 친환경 액체 아미노산약비 및 그 제조방법
CN108264428A (zh) 一种盆景用环保透气持水保肥营养土及其制备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