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05556B1 - Method and apparatus for creating model for categorizing cultural properties using automatic analysis of formative element - Google Patents

Method and apparatus for creating model for categorizing cultural properties using automatic analysis of formative elemen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05556B1
KR102205556B1 KR1020190091996A KR20190091996A KR102205556B1 KR 102205556 B1 KR102205556 B1 KR 102205556B1 KR 1020190091996 A KR1020190091996 A KR 1020190091996A KR 20190091996 A KR20190091996 A KR 20190091996A KR 102205556 B1 KR102205556 B1 KR 1022055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ltural
cultural property
information
shape
proper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91996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지현
강우진
김송이
김정화
박도윤
홍진혁
Original Assignee
광주과학기술원
고려대학교 세종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광주과학기술원, 고려대학교 세종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광주과학기술원
Priority to KR10201900919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05556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055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0555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06K9/627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8/00Pattern recognition
    • G06F18/20Analysing
    • G06F18/24Classification techniques
    • G06F18/241Classification techniques relating to the classification model, e.g. parametric or non-parametric approaches
    • G06F18/2413Classification techniques relating to the classification model, e.g. parametric or non-parametric approaches based on distances to training or reference patterns
    • G06K9/00442
    • G06K9/46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90Determination of colour characteristic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00Arrangements for 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40Extraction of image or video fea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30/00Character recognition; Recognising digital ink; Document-oriented image-based pattern recognition
    • G06V30/40Document-oriented image-based pattern recogni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ultimedia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arket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informatics & Computational Bi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Evolutionary Biology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and an apparatus for creating a model for categorizing cultural assets by using automatic analysis of figurative elements produced through machine learning. The method comprises the steps of: accessing a database in which cultural asset information is stored; extracting formation information by applying a shape recognition algorithm to the image of a first cultural asset stored in the database; extracting material information by applying a material recognition algorithm to the image of the first cultural asset; extracting color information by applying a color recognition algorithm to the image of the first cultural asset; extracting pattern information by applying a pattern recognition algorithm to the image of the first cultural asset; extracting the use of the first cultural asset by applying a text analysis algorithm to the explanatory text of the first cultural asset stored in the database; repeating the above steps on each cultural asset stored in the database; and creating a cultural asset classification database by tagging shape information, material information, color information, pattern information, and use extracted by repeating the steps on the image of each cultural asset. Therefore, the cultural assets can be classified and searched for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thereof.

Description

조형요소 자동분석을 이용하여 문화재 분류를 위한 모델을 생성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CREATING MODEL FOR CATEGORIZING CULTURAL PROPERTIES USING AUTOMATIC ANALYSIS OF FORMATIVE ELEMENT}Method and device for creating a model for classification of cultural properties using automatic analysis of formative elements {METHOD AND APPARATUS FOR CREATING MODEL FOR CATEGORIZING CULTURAL PROPERTIES USING AUTOMATIC ANALYSIS OF FORMATIVE ELEMENT}

본 발명은 조형요소 자동분석을 이용하여 문화재 분류를 위한 모델을 생성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문화재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기존 데이터베이스에 조형적 요소를 포함한 특징들의 추출을 위한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문화재에 관한 정보를 카테고리별로 추출함으로써 검색이 용이한 문화재 분류 데이터베이스를 생성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a model for classifying cultural properties using automatic analysis of formative elements, and more specifically, for extracting features including formative elements in an existing database storing cultural property informa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a cultural property classification database that is easy to search by extracting information on cultural properties by category by applying an algorithm.

역사가 진행되면서 인류는 여러 활동을 통해 문화적 업적을 성취하여 왔고, 선진된 문화권에서는 이러한 문화적 업적을 발굴, 보존 및 기록하여 다음 세대가 이를 이어받아 민족적 정체성을 확립하고, 그 위에 전진된 문화 발전을 이룩하도록 하고 있다.As history progresses, mankind has achieved cultural achievements through various activities, and advanced cultures have discovered, preserved, and recorded these cultural achievements, and succeeded by the next generation to establish a national identity and achieve advanced cultural development on top of them. I am doing it.

아울러, 전자 기록 매체의 발달 및 정보 통신 기술의 발달에 따라, 문화재를 발굴, 보존 및 기록할 수 있는 새로운 방법들이 발전되고 있다.In addition, with the development of electronic recording media and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new methods for discovering, preserving and recording cultural properties are being developed.

이와 관련하여, 한국등록특허 제1776059호는 "문화재 조사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문화재 조사용 어플리케이션이 탑재된 사용자 단말기의 요청에 따라 해당 지역의 문화재 관련 위치, 지적, 고건물 정보, 고증 및 학술자료, 고지도 정보 및 연대 분석 정보를 다수의 레이어들로 형성하고, 다수의 레이어들 중에서 사용자의 선택에 따른 레이어들을 중첩하여 표시해줌으로써, 문화재 조사 또는 발굴시 사용자에게 유용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 문화재 조사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한다. In this regard, Korean Registered Patent No. 1776059 relates to "a system and method for investigating cultural assets", and according to the request of a user terminal equipped with an application for investigating cultural assets, the location, cadastral, old building information, and evidence And academic data, old map information, and chronological analysis information are formed in a plurality of layers, and layers according to the user's selection are displayed by overlapping among the plurality of layers, so that useful information can be provided to users when investigating or discovering cultural properties. Provides a cultural property investigation system and its method.

한편, 상당한 노력을 통해 발굴, 보존 및 기록된 문화재 정보가 현재적 의미를 가지기 위해서는 현재 세대들에 의해 용이하게 검색 및 학습될 수 있어야 한다. Meanwhile, in order for cultural property information discovered, preserved and recorded through considerable effort to have a present meaning, it must be able to be easily searched and learned by current generations.

그러나, 현재까지는 문화재 정보가 전산상으로 체계적으로 정리되어 있지 못하여 검색 및 학습이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However, until now,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difficult to search and learn because cultural property information has not been systematically arranged on a computerized basis.

이에 따라, 문화재를 발굴, 보존 및 기록하는 것 뿐만 아니라, 기록된 문화재 정보에 용이하고 체계적으로 접근할 수 있게 하는 분류된 데이터베이스를 조형요소를 자동으로 분석할 수 있는 인공지능을 이용하여 생성할 수 있는 기술에 대한 필요가 있다.Accordingly, a classified database that not only discovers, preserves, and records cultural properties, but also allows easy and systematic access to recorded cultural property information, can be created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that can automatically analyze formative elements. There is a need for skills that are there.

한편, 전술한 선행기술은 발명자가 본 발명의 도출을 위해 보유하고 있었거나, 본 발명의 도출 과정에서 습득한 기술 정보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게 공개된 공지기술이라 할 수는 없다.Meanwhile, the above-described prior art is technical information possessed by the inventor for deriv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or acquired in the derivation proces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s not necessarily known to be publicly known to the general public prior to filing the present invention. .

본 발명의 실시예는 문화재에 대한 정보가 나열식으로 기록되어 있는 데이터베이스를 통해서는 문화재에 대한 체계적인 검색이 이루어질 수 없다는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한다.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ims to solve the problem that a systematic search for cultural properties cannot be performed through a database in which information on cultural properties is recorded in an array format.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종래 데이터베이스에서는 각 문화재에 대한 특징이 카테고리별로 정리되어 있지 않아 문화재의 특징별로 분류 및 검색이 이루어질 수 없다는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한다.In additio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problem that the characteristics of each cultural property are not arranged by category in the conventional database, and thus classification and search by characteristics of cultural property cannot be performed.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문화재 정보를 기록하고 있는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수작업으로 정보를 분류하고 체계적으로 정리하는 경우 너무 많은 시간과 비용이 지출되는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한다.In additio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problem of spending too much time and money when manually classifying and systematically organizing information from a database in which cultural property information is recorded.

상술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인공지능을 이용한 조형요소 자동분석을 통해 기존 문화재 데이터베이스로부터 문화재 분류를 위한 모델을 생성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a model for classifying cultural assets from an existing cultural heritage database through automatic analysis of formative elements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문화재 분류를 위한 모델을 생성하기 위한 방법은, 형상 인식 알고리즘을 통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문화재 이미지로부터 문화재의 형상을 추출하고, 텍스트 분석 알고리즘을 통해 문화재의 용도를 추출하여, 문화재의 형상과 문화재의 용도에 대한 상관관계를 분석하는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A method for generating a model for classifying cultural asset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extracting the shape of the cultural asset from the image of the cultural asset stored in the database through a shape recognition algorithm, and extracting the use of the cultural asset through a text analysis algorithm. It can provide a method to analyze the correlation between the shape of the spear and the use of cultural properties.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문화재 분류를 위한 모델을 생성하기 위한 방법은, 머신 러닝을 통해 생성된 형상 인식 모델을 통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문화재 이미지로부터 문화재의 형상을 추출하고, 추출된 형상과 문화재의 용도를 상관시켜 문화재의 형상에 따른 용도에 대한 추정 모델을 생성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method for generating a model for classification of cultural properti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extract the shape of the cultural property from the cultural property image stored in the database through a shape recognition model generated through machine learning, and extract the shape and cultural property. It is possible to create an estimation model for the use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cultural property by correlating the use of it.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형요소 자동분석을 이용하여 문화재 분류를 위한 모델을 생성하기 위한 방법은, 문화재 정보가 저장된 데이터베이스에 접속하는 단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제 1 문화재의 이미지에 형상 인식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형태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제 1 문화재의 이미지에 재질 인식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재질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제 1 문화재의 이미지에 색 인식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색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제 1 문화재의 이미지에 패턴 인식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문양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데이터베이스의 제 1 문화재에 대한 설명 텍스트에 텍스트 분석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제 1 문화재의 용도를 추출하는 단계, 위의 단계들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각각의 문화재들을 대상으로 반복하는 단계, 및 각 문화재의 이미지에 위의 반복하는 단계에 의해 추출된 형태 정보, 재질 정보, 색 정보, 문양 정보, 및 용도를 태깅하여 문화재 분류 데이터베이스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 method for generating a model for classifying cultural properties using automatic analysis of formative element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ccessing a database storing cultural property information, and recognizing a shape in the image of the first cultural property stored in the database. Extracting shape information by applying an algorithm, extracting material information by applying a material recognition algorithm to the image of the first cultural property, extracting color information by applying a color recognition algorithm to the image of the first cultural property, 1 Extracting pattern information by applying a pattern recognition algorithm to the image of the cultural property, extracting the purpose of the first cultural property by applying a text analysis algorithm to the explanatory text of the first cultural property in the database, and performing the above steps in the database. Step of repeating each of the stored cultural assets, and creating a cultural asset classification database by tagging the shape information, material information, color information, pattern information, and usage extracted by the above repeating step on the image of each cultural asset It may include.

여기서, 제1 문화재의 용도를 추출하는 단계는, 텍스트 분석 알고리즘에 의해 추출된 용도를 사용자에게 확인 요청하는 신호를 생성하고, 용도에 대한 사용자로부터의 확인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step of extracting the use of the first cultural property may include generating a signal for requesting confirmation from the user of the use extracted by the text analysis algorithm, and receiving a confirmation signal from the user regarding the use.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문화재 분류 모델을 생성하기 위한 방법은, 반복하는 단계에 의해 축적된 각각의 문화재의 형태 정보와 용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여, 문화재의 형태 정보와 용도에 대한 추정 모델을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A method for generating a cultural asset classification mode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n estimation model for the form information and use of the cultural asset by analyzing the correlation between the form information and the use of each cultural asset accumulated by the repeating step. It may further include the step of generating.

여기서, 추정 모델을 생성하는 단계는, 반복하는 단계에 의해 축적된 각각의 문화재의 형태 정보에 사용자에 의해 확인된 용도를 레이블(label)로 태깅한 데이터 세트로 심층 신경망 모델을 훈련시켜, 문화재의 형태 정보에 따른 용도를 추정하는 DNN(DEEP NEURAL NETWORK) 모델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Here, in the step of generating the estimation model, the deep neural network model is trained with a data set tagged with a label indicating the use identified by the user in the form information of each cultural property accumulated by the repeating step. It may include generating a DEEP NEURAL NETWORK (DNN) model for estimating the use according to the type information.

한편, 색 인식 알고리즘은 재질에 의한 색 변화를 고려하여 이미지의 색을 보정한 후 색 정보를 판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Meanwhile, the color recognition algorithm may be configured to determine color information after correcting a color of an image in consideration of a color change due to a material.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문화재 분류 모델을 생성하기 위한 방법은, 용도에 대한 사용자로부터의 확인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후에, 제2 문화재에 대해 상기 a 내지 f 단계들을 반복하는 경우, 제1 문화재에 대해 추출된 형태 정보와 제2 문화재에 대해 추출된 형태 정보가 일치하면, 제2 문화재에 대한 용도 추출 단계에서 제 1 문화재에 대해 확인된 용도를 제2 문화재에 대한 용도로 추출하고 용도에 대한 확인 신호를 사용자로부터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 method for generating a cultural property classification mode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fter the step of receiving a confirmation signal from a user for a use, when the steps a to f are repeated for a second cultural property, the first If the shape information extracted for the cultural property matches the shape information extracted for the second cultural property, the use identified for the first cultural property in the step of extracting the use for the second cultural property is extracted as the use for the second cultural property, and It may further include the step of receiving a confirmation signal from the user.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문화재 분류 모델을 생성하기 위한 방법은, 용도에 대한 사용자로부터의 확인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후에, 확인된 상기 용도에 따라 제1 문화재에 대한 세부 형태 분석을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세부 형태 분석은, 용도가 병, 항아리 또는 주전자인 경우는 제1 문화재의 형태를 주둥이, 목, 몸통, 밑바닥, 손잡이 및 뚜껑으로 나누어 분석하고, 용도가 발(鉢) 또는 잔인 경우는 상기 제1 문화재의 형태를 테두리, 몸통 및 손잡이로 나누어 분석하고, 용도가 접시인 경우는 상기 제1 문화재의 형태를 테두리, 몸통 및 밑바닥으로 나누어 분석하고, 용도가 합인 경우는 상기 제1 문화재의 형태를 몸통, 뚜껑 및 층으로 나누어 분석할 수 있다.A method for generating a cultural property classification mode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fter receiving a confirmation signal from a user for a use, performing detailed shape analysis on the first cultural property according to the identified use. Further comprising a step, the detailed shape analysis, if the purpose is a bottle, jar, or kettle, analyze the shape of the first cultural property by dividing it into a spout, a neck, a trunk, a bottom, a handle, and a lid, and the purpose is foot or In the case of cruelty, the first cultural property is analyzed by dividing the shape of the first cultural property into a frame, a body, and a handle. If the purpose is a plate, the first cultural property is analyzed by dividing it into a frame, a body, and a bottom. 1 It is possible to analyze the shape of a cultural property by dividing it into a body, a lid, and a layer.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문화재 분류 모델을 생성하기 위한 방법은, 데이터베이스의 제 1 문화재에 대한 설명 텍스트에 텍스트 분석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제 1 문화재의 제작 시기, 제작 장소 또는 제작자 중 적어도 하나를 추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A method for generating a cultural property classification mode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determine at least one of the production time, production place, or producer of the first cultural property by applying a text analysis algorithm to the description text for the first cultural property in the database. It may further include the step of extracting.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문화재 분류 모델을 생성하기 위한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 매체는 컴퓨터를 이용하여 위의 방법 중 어느 하나를 실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이 저장된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 매체일 수 있다.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generating a cultural property classification mode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storing a computer program for executing any of the above methods using a computer.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형요소 자동분석을 이용하여 문화재 분류를 위한 모델을 생성하기 위한 장치는, 문화재 정보가 저장된 데이터베이스에 접속하기 위한 통신부,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문화재의 이미지에 형상 인식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형태 정보를 추출하고, 문화재의 이미지에 재질 인식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재질 정보를 추출하고, 문화재의 이미지에 색 인식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색 정보를 추출하고, 문화재의 이미지에 패턴 인식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문양 정보를 추출하고, 데이터베이스의 상기 문화재에 대한 설명 텍스트에 텍스트 분석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문화재의 용도를 추출하기 위한 특징 추출부, 각 문화재의 이미지에 추출부에 의해 추출된 형태 정보, 재질 정보, 색 정보, 문양 정보, 및 용도를 태깅하여 문화재 분류 데이터베이스를 생성하는 분류 DB 생성부를 포함할 수 있다.An apparatus for generating a model for classification of cultural properties using automatic analysis of formative element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mmunication unit for accessing a database storing cultural property information, and a shape recognition algorithm applied to an image of a cultural property stored in the database. Then, shape information is extracted, material information is extracted by applying a material recognition algorithm to images of cultural properties, color information is extracted by applying a color recognition algorithm to images of cultural properties, and pattern recognition algorithms are applied to the images of cultural properties. Feature extraction unit for extracting information and extracting the use of cultural assets by applying a text analysis algorithm to the explanatory text of the cultural assets in the database, shape information, material information, and color information extracted by the extraction unit on images of each cultural asset It may include a classification DB generator for generating a cultural property classification database by tagging, pattern information, and usage.

이 외에도,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다른 방법, 다른 시스템 및 상기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이 더 제공될 수 있다.In addition to this, another method for implementing the present invention, another system, and a computer program for executing the method may be further provided.

아울러, 전술한 것 외의 다른 측면, 특징, 이점이 이하의 도면, 특허청구범위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In addition, aspects, features, and advantages other than those described above will becom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rawings, claims, and detailed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본 발명의 실시예는 문화재에 대한 정보가 나열식으로 기록되어 있는 데이터베이스에 기록되어 있는 정보들을 이용하여 문화재에 대한 정보가 체계적으로 분류된 데이터베이스를 자동으로 생성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automatically generate a database in which information on cultural assets is systematically classified by using information recorded in a database in which information on cultural assets is recorded in an array manner.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문화재에 대한 특징이 카테고리별로 정리되어 있지 않은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해서 각 문화재에 대한 특징이 카테고리별로 정리되는 문화재 분류 데이터베이스를 생성하고 이러한 문화재 분류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문화재의 특징별로 분류 및 검색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할 수 있다.In additio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reates a cultural asset classification database in which the characteristics of each cultural asset are arranged by category using a database in which the characteristics of cultural assets are not arranged by category, and the cultural asset classification database is classified by characteristics of the cultural asset. And search can be made.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문화재 정보를 기록하고 있는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자동으로 정보를 분류하고 체계적인 정리가 이루어지도록 하여 문화재 분류 데이터베이스를 생성하는데 시간과 비용이 절약되도록 할 수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save time and cost in creating a cultural property classification database by automatically classifying and systematically organizing information from a database in which cultural property information is recorded.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ose mentioned above,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문화재 분류 데이터베이스 및 문화재 분류 모델을 생성하기 위한 환경을 도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조형요소를 이용하여 문화재의 특징을 분류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문화재의 이미지에 형상 인식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문화재의 형태 정보를 추출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문화재의 특징을 카테고리별로 분류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문화재 분류 모델을 생성하기 위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문화재의 용도별 분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문화재를 용도별로 분류한 후 추가적으로 세부 형태를 분류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병, 항아리, 주전자로 분류된 문화재의 세부 형태를 분류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문화재의 문양을 분류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문화재의 재질을 분류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1 shows an environment for generating a cultural property classification database and a cultural property classification mode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method of classifying features of cultural properties by using formative element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view for explaining a process of extracting form information of a cultural property by applying a shape recognition algorithm to an image of a cultural propert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method of classifying features of cultural assets by categor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for generating a cultural property classification mode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classification of cultural assets by us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method of classifying cultural properties by us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n classifying detailed forms additionally.
8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method of classifying detailed forms of cultural assets classified into bottles, jars, and kettl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view for explaining a method of classifying patterns of cultural properti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view for explaining a method of classifying a material of a cultural propert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설명되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아래에서 제시되는 실시 예들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아래에 제시되는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method of achieving them will become apparent with reference to embodiments described in detail together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presented below, but may be implemented in a variety of different forms, and includes all transformations, equivalents, or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embodiments presented below are provided to complete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o fully inform a person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technology ma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The terms us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are used only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In the present application, terms such as "comprise" or "have" are intended to designate the presence of features, numbers, steps, ac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but one or more other feature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ce or addition of elements or numbers, steps, ac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does not preclude in advance. Terms such as first and second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elements, but the elem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terms. Thes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component.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in the description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dentical or corresponding components are assigned the same reference numbers, and redundant descriptions thereof are omitted. I will do it.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문화재 분류 데이터베이스 및 문화재 분류 모델을 생성하기 위한 환경을 도시한다.1 illustrates an environment for generating a cultural property classification database and a cultural property classification mode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문화재 분류 모델을 생성하기 위한 시스템은 문화재 데이터베이스(2000), 문화재 분류 추정 서버(3000) 및 사용자 단말(5000)을 포함할 수 있다.A system for generating a cultural property classification model may include a cultural property database 2000, a cultural property classification estimation server 3000, and a user terminal 5000.

문화재 데이터베이스(2000)는 도 1에서와 같이 다양한 문화재들에 대한 이미지 정보 및 각각의 문화재에 대한 텍스트로 된 설명을 포함할 수 있다. 텍스트로 된 설명에는, 문화재의 용도, 색, 재질, 문양, 문화재의 제작 연대와 같은 제작 시기, 제작자, 제작 장소, 제작 배경, 제작 방법, 발굴 정보 등에 대해 기재되어 있을 수 있다.As shown in FIG. 1, the cultural property database 2000 may include image information on various cultural properties and a textual description of each cultural property. In the textual description, the purpose of the cultural property, color, material, pattern, production time such as the production date of the cultural property, the maker, the production place, production background, production method, excavation information, and the like may be described.

문화재 데이터베이스(2000)에 저장된 문화재에 대한 정보는 각 문화재의 이미지에 위의 텍스트 정보가 연결되어 저장되어 있을 뿐이고, 문화재에 대한 정보가 카테고리별로 체계적으로 분류되어 있지는 않다.Information on cultural properties stored in the cultural properties database 2000 is only stored by linking the above text information to images of each cultural property, and information on cultural properties is not systematically classified by category.

사용자 단말(5000)은 스마트폰, 태블릿, 컴퓨터 등 다양한 정보 처리 기기일 수 있으며, 문화재 데이터베이스(2000)에 접속하여 문화재에 관한 정보들을 검색할 수 있는 통신모듈을 포함하는 전자 기기이다.The user terminal 5000 may be a variety of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s such as a smart phone, a tablet, a computer, etc., and is an electronic device including a communication module capable of accessing the cultural asset database 2000 to search for information on cultural assets.

사용자 단말(5000)은 다양한 형태의 유/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문화재 데이터베이스(2000) 및 문화재 분류 추정 서버(3000)와 통신할 수 있다.The user terminal 5000 may communicate with the cultural property database 2000 and the cultural property classification estimation server 3000 through various types of wired/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사용자 단말(5000)은 사용자에 의해 또는 미리 설정된 프로그램에 의해 통신망을 통해 문화재 데이터베이스(2000)에 접속하여 각각의 문화재를 검색한다. 먼저 검색된 문화재를 제1 문화재라고 지칭하면, 사용자 단말(5000)은 제1 문화재의 이미지에 형상 인식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제1 문화재의 형태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The user terminal 5000 searches for each cultural property by accessing the cultural property database 2000 through a communication network by a user or by a preset program. When the first cultural property searched is referred to as a first cultural property, the user terminal 5000 may extract shape information of the first cultural property by applying a shape recognition algorithm to the image of the first cultural property.

형상 인식 알고리즘은 이미지 분석을 통해 사물의 아웃라인을 추출하는 여러 알고리즘이 사용될 수 있다 형상 인식 알고리즘은 OpenCV, 외곽선 추적 알고리즘 등 다양한 알고리즘을 활용하여 만들어진 프로그램일 수 있다.The shape recognition algorithm may use several algorithms that extract the outline of an object through image analysis. The shape recognition algorithm may be a program created using various algorithms such as OpenCV and an outline tracking algorithm.

형상 인식 알고리즘은 사용자 단말(5000)에 내장되어 있을 수도 있고, 문화재 분류 추정 서버(3000)와 같은 외부 서버에 저장되어 있고, 사용자 단말(5000)이 이러한 서버에 접속하여 활용하도록 설계될 수도 있다.The shape recognition algorithm may be embedded in the user terminal 5000, stored in an external server such as the cultural property classification estimation server 3000, and designed to allow the user terminal 5000 to access and utilize such a server.

아울러, 사용자 단말(5000)은 제1 문화재의 이미지로부터 재질 인식 알고리즘을 통해 제1 문화재의 재질에 대한 정보를, 색 인식 알고리즘을 통해 제1 문화재의 색 정보를, 패턴 인식 알고리즘을 통해 제1 문화재의 문양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user terminal 5000 provides information on the material of the first cultural property through a material recognition algorithm from the image of the first cultural property, color information of the first cultural property through a color recognition algorithm, and the first cultural property through a pattern recognition algorithm. The pattern information of can be extracted.

또한, 사용자 단말(5000)은 제1 문화재에 대한 텍스트 설명으로부터 텍스트 분석 알고리즘을 통해 제1 문화재의 용도, 제작 시기, 제작 장소 및 제작자 등에 대한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user terminal 5000 may extract information about the purpose, production time, production place, and producer of the first cultural property through a text analysis algorithm from the text description of the first cultural property.

형상 인식 알고리즘과 같이 재질 인식 알고리즘, 색 인식 알고리즘, 패턴 인식 알고리즘, 텍스트 분석 알고리즘은 사용자 단말(5000)에 내장되어 있을 수도 있고, 문화재 분류 추정 서버(3000)와 같은 외부 서버에 저장되어 있고, 사용자 단말(5000)이 이러한 서버에 접속하여 활용하도록 설계될 수도 있다.Like the shape recognition algorithm, the material recognition algorithm, color recognition algorithm, pattern recognition algorithm, and text analysis algorithm may be embedded in the user terminal 5000, or stored in an external server such as the cultural property classification estimation server 3000, and the user The terminal 5000 may be designed to access and utilize such a server.

사용자 단말(5000)은 문화재 데이터베이스(2000)에 저장된 각각의 문화재들을 대상으로 위와 같은 각각의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형태 정보, 재질 정보, 색 정보, 문양 정보, 및 용도 등에 대하여 추출할 수 있다.The user terminal 5000 may extract shape information, material information, color information, pattern information, usage, and the like by applying each of the above algorithms to each cultural property stored in the cultural property database 2000.

사용자 단말(5000)은 각각의 문화재의 이미지에 위에서 추출된 형태 정보, 재질 정보, 색 정보, 문양 정보, 및 용도 등의 정보를 태깅하여(tagging) 문화재 분류 데이터베이스를 생성할 수 있다. The user terminal 5000 may generate a cultural asset classification database by tagging information such as shape information, material information, color information, pattern information, and usage, etc. extracted from the above images of each cultural property.

문화재 분류 데이터베이스는 사용자 단말(5000)에 저장될 수도 있고, 문화재 분류 추정 서버(3000)에 저장될 수도 있다.The cultural property classification database may be stored in the user terminal 5000 or in the cultural property classification estimation server 3000.

사용자 단말(5000) 또는 문화재 분류 추정 서버(3000)는 저장된 문화재 분류 데이터베이스를 기초로 인공지능의 심층 신경망 네트워크 등을 이용하여 문화재 분류 추정 모델을 생성할 수 있다.The user terminal 5000 or the cultural asset classification estimation server 3000 may generate a cultural asset classification estimation model using a deep neural network of artificial intelligence based on the stored cultural asset classification database.

일 예로, 사용자 단말(5000) 또는 문화재 분류 추정 서버(3000)는 축적된 각각의 문화재의 형태 정보와 용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여, 문화재의 형태 정보와 용도에 대한 추정 모델을 생성할 수도 있다.For example, the user terminal 5000 or the cultural property classification estimation server 3000 may analyze a correlation between the accumulated form information and usage of each cultural property to generate an estimation model for the form information and usage of the cultural property.

보다 구체적으로, 사용자 단말(5000) 또는 문화재 분류 추정 서버(3000)는 축적된 각각의 문화재의 형태 정보에 추출된 용도를 레이블(label)로 태깅한 데이터 세트로 심층 신경망 모델을 훈련시켜, 문화재의 형태 정보에 따른 용도를 추정하는 DNN(DEEP NEURAL NETWORK) 모델을 생성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the user terminal 5000 or the cultural property classification estimation server 3000 trains a deep neural network model with a data set tagged with a label for the purpose extracted from the accumulated shape information of each cultural property, A DEEP NEURAL NETWORK (DNN) model that estimates the use according to the shape information can be created.

사용자 단말(5000) 또는 문화재 분류 추정 서버(3000)는 미리 설정된 프로그램에 의해 프로세서의 명령에 따라 위의 동작들을 수행할 수 있다.The user terminal 5000 or the cultural property classification estimation server 3000 may perform the above operations according to a command of a processor by a preset program.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조형요소를 이용하여 문화재의 특징을 분류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FIG. 2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method of classifying features of cultural properties by using formative element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발명자에 의해 연구된 체계에 따르면 문화 유물은 기능, 색, 모양, 재질 및 문양으로 분류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system studied by the inventors of the present invention, cultural relics can be classified into function, color, shape, material, and pattern.

예를 들어, 국립중앙 박물관에 소장된 청자상감 국모란문 장경병은 기능으로는 병이고, 색은 초록색이며, 모양은 길죽한 주둥이와 목을 가지고, 볼록한 몸통을 가졌으며, 재질은 청자이고, 문양은 모란무늬와 국화무늬를 가지고 있다.For example, the celadon inlaid Gukmoranmun Jang Kyung-byeong, which is in the collection of the National Museum of Korea, is a bottle in function, green in color, has a long snout and neck, a convex body, and the material is celadon, and the pattern is It has peony pattern and chrysanthemum pattern.

상기 예와 같이 문화재는 5가지의 정해진 카테고리를 통해 분류될 수 있으며, 카테고리의 수는 실시예에 따라 다양하게 결정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As in the above example, cultural properties may be classified through five predetermined categories, and the number of categories may be determined in various ways according to exemplary embodiments.

다만, 통일된 데이터베이스 체계를 위해서 분류 카테고리는 일괄되게 정해져서 모든 문화재에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However, for a unified database system, it may be desirable to set classification categories collectively and apply them to all cultural properties.

도 2의 카테고리에서 기능은 문화재에 대해 설명하는 텍스트를 분석하여 추출될 수 있다. 다른 예로는, 제2 문화재에 대한 용도를 결정할 때 이전에 용도가 결정된 제1 문화재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제1 문화재와 제2 문화재의 형태가 유사하다면 기능 또한 유사할 것으로 판단하여 제2 문화재와 형태가 유사한 제1 문화재의 용도를 제2 문화재의 용도로 채택할 수도 있다.In the category of FIG. 2, functions may be extracted by analyzing text describing cultural properties. As another example, when deciding the use of the second cultural property, using information on the first cultural property whose purpose was previously determined, if the shape of the first cultural property and the second cultural property are similar, it is determined that the function will be similar, The use of the first cultural property similar in shape to that of the second cultural property may be adopted.

색 정보는 문화재의 이미지로부터 색 인식 알고리즘을 통해 추출할 수 있고, 모양 또는 형태 정보는 문화재의 이미지로부터 형상 인식 알고리즘을 통해 추출할 수 있다.Color information can be extracted from an image of a cultural property through a color recognition algorithm, and shape or shape information can be extracted from an image of a cultural property through a shape recognition algorithm.

한편, 동일한 색이라도 재질에 따라 사진에서 다르게 표현될 수 있으므로, 색 인식 알고리즘은 재질에 의한 색 변화를 고려하여 이미지의 색을 보정한 후 색 정보를 판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Meanwhile, since even the same color may be expressed differently in a photo depending on a material, a color recognition algorithm may be configured to determine color information after correcting the color of an image in consideration of color change due to the material.

재질은 문화재의 이미지로부터 재질 인식 알고리즘을 통해 추출될 수도 있고, 문화재에 대한 텍스트 설명으로부터 텍스트 분석 알고리즘을 통해 추출될 수도 있다.The material may be extracted from the image of the cultural property through a material recognition algorithm, or may be extracted from the text description of the cultural property through a text analysis algorithm.

문화재의 문양은 문화재의 이미지로부터 패턴 인식 알고리즘을 통해 추출될 수도 있고, 문화재에 대한 텍스트 설명으로부터 텍스트 분석 알고리즘을 통해 추출될 수도 있다.Patterns of cultural properties can be extracted from images of cultural properties through a pattern recognition algorithm, or from text descriptions of cultural properties through text analysis algorithms.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문화재의 이미지에 형상 인식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문화재의 형태 정보를 추출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3 is a view for explaining a process of extracting form information of a cultural property by applying a shape recognition algorithm to an image of a cultural propert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사용자 단말(5000)이 문화재 데이터베이스(2000)에 접속하여 제1 문화재에 대한 이미지를 불러온 후, 형상 인식 알고리즘을 통해 제1 문화재 이미지의 아웃라인을 추출할 수 있다. After the user terminal 5000 accesses the cultural asset database 2000 to load the image for the first cultural asset, the outline of the first cultural asset image may be extracted through a shape recognition algorithm.

도 3과 같이 형상 인식 알고리즘은 이미지의 외곽선을 추적하여 사진 형태의 이미지를 단순한 선으로 이루어진 이미지 정보로 변환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3, the shape recognition algorithm may convert a photographic image into image information composed of simple lines by tracking the outline of the image.

여기서, 제1 문화재의 색, 재질, 문양과 같은 정보는 생략되어 보다 간단한 형식으로 형태만을 나타내는 형태 정보가 결과적으로 산출될 수 있음을 알 수 잇다.Here, it can be seen that information such as color, material, and pattern of the first cultural property is omitted so that form information indicating only the form in a simpler form can be calculated as a result.

특정 기능을 수행하는 문화재들은 그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유사한 형태를 가지게 되므로, 문화재의 형태 정보는 해당 문화재의 기능 또는 용도를 추정할 수 있는 수단이 될 수 있다.Since cultural properties performing a specific function have a similar shape to perform the function, information on the shape of the cultural property can be a means for estimating the function or purpose of the corresponding cultural property.

한편, 문화재의 텍스트 설명으로부터 텍스트 분석 알고리즘을 통해 추출한 용도나 유사한 형태의 문화재의 용도 정보를 참고하여 판단한 용도는 모두 완전히 정확할 수는 없으므로, 사용자의 확인을 구하여 용도 정보의 정확도를 높일 수 있다.On the other hand, since the uses extracted from the text description of the cultural property through a text analysis algorithm or the use determined by referring to the use information of a similar type of cultural property cannot be completely accurate, the accuracy of the usage information can be increased by obtaining user confirmation.

이러한 경우, 사용자 단말(5000)은 텍스트 분석 알고리즘에 의해 추출된 용도를 사용자에게 확인 요청하는 신호를 생성하고, 사용자로 하여금 추출된 용도를 확인하게 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user terminal 5000 may generate a signal requesting the user to confirm the purpose extracted by the text analysis algorithm, and allow the user to confirm the extracted purpose.

사용자는 추출된 용도가 맞다면 용도에 대한 확인 신호를 사용자 단말(5000)로 송신하도록 확인 버튼을 터치할 수 잇고, 틀리다면, 취소 버튼을 터치할 수 있다.If the extracted purpose is correct, the user may touch the confirmation button to transmit a confirmation signal for the use to the user terminal 5000, and if it is wrong, the user may touch the cancel button.

사용자 단말(5000)은 사용자의 피드백에 따라 추출한 용도가 맞는지 틀리는지를 확인할 수 있고, 사용자에 의해 확인된 용도만을 해당 문화재에 대한 용도로 저장할 수도 있다.The user terminal 5000 may check whether the extracted purpose is correct or incorrect according to the user's feedback, and may store only the purpose identified by the user as a use for a corresponding cultural property.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문화재의 특징을 카테고리별로 분류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4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method of classifying features of cultural assets by categor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문화재가 하나의 색만으로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으므로, 색 정보는 가장 밝은 부분부터 가장 어두운 부분까지의 특정한 수의 색에 대한 정보로 표현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도 4에서는 도자기 사긴에서 보이는 5가지 색을 추출하도록 설정되었다.Since cultural properties may not consist of only one color, color information may be expressed as information about a specific number of colors from the brightest to the darkest. For example, in FIG. 4, it was set to extract five colors seen in porcelain sagin.

모양 또는 형태에 따른 용도는 병, 항아리, 접시, 발(鉢), 잔, 합, 주전자로 분류될 수 있다. 이러한 용도에 따라 기본 형태에 더하여 세부 형태 분류가 추가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Uses according to shape or shape can be classified into bottles, jars, dishes, feet, cups, sums, and kettles. In addition to the basic shape, detailed shape classification may be additionally performed according to these uses.

예를 들어, 추가적인 세부 형태 분석은 용도가 병, 항아리 또는 주전자인 경우는 문화재의 형태를 주둥이, 목, 몸통, 밑바닥, 손잡이 및 뚜껑으로 나누어 분석하고, 용도가 발(鉢) 또는 잔인 경우는 문화재의 형태를 테두리, 몸통 및 손잡이로 나누어 분석하고, 용도가 접시인 경우는 문화재의 형태를 테두리, 몸통 및 밑바닥으로 나누어 분석하고, 용도가 합인 경우는 문화재의 형태를 몸통, 뚜껑 및 층으로 나누어 분석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For example, additional detailed shape analysis is conducted by dividing the shape of a cultural property into a spout, neck, body, bottom, handle, and lid if the purpose is a bottle, jar, or kettle, and if the purpose is foot or cruel, it is a cultural property. The shape of the cultural property is divided into frame, body, and handle to analyze.If the purpose is a plate, the shape of the cultural property is divided into frame, body and bottom, and if the purpose is combined, the shape of the cultural property is divided into body, lid, and layer. Can be configured to

문화재의 문양은 식물, 동물, 자연산수, 기물, 문자, 인물 등으로 분류될 수 있으며, 문양 종류가 분류된 후 문양이 단독인지, 연속인지, 혼합되었는지가 추가적으로 분석될 수도 있다.Patterns of cultural properties can be classified into plants, animals, natural landscapes, objects, characters, and people, and after the types of patterns are classified, whether the patterns are single, continuous, or mixed can be additionally analyzed.

문화재의 재질은 토기, 청자, 분청사기, 백자, 옹기 등으로 분류될 수 있으며, 도 4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재질에 따라 세부 분류가 추가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material of the cultural property may be classified into earthenware, celadon, buncheongsagi, white porcelain, pottery, and the like, and as shown in FIG. 4, detailed classification may be additionally performed according to the material.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문화재 분류 모델을 생성하기 위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for generating a cultural property classification mode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문화재 분류 모델을 생성하기 위한 사용자 단말(5000)은 미리 정해진 프로그램에 의해 문화재 데이터베이스(2000)에 접속하고(S110), 문화재를 선택할 수 있다. First, the user terminal 5000 for generating a cultural property classification model may access the cultural property database 2000 by a predetermined program (S110) and select a cultural property.

사용자 단말(5000)은 선택된 문화재의 이미지로부터 형상 인식 알고리즘을 통해 형태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S120). 여기서, 형상 인식 알고리즘은 사용자 단말(5000)에 저장된 것일 수도 있고, 외부 서버에 저장된 것을 사용자 단말(5000)이 이용하는 것일 수도 있다.The user terminal 5000 may extract shape information from the image of the selected cultural property through a shape recognition algorithm (S120). Here, the shape recognition algorithm may be stored in the user terminal 5000 or stored in an external server may be used by the user terminal 5000.

사용자 단말(5000)은 또한 문화재 이미지로부터 재질 인식 알고리즘을 통해 재질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S130). 더하여, 사용자 단말(5000)은 문화재 이미지로부터 색 인식 알고리즘을 통해 색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S140). 여기서, 색 정보는 재질에 따라 사진에서 다르게 보일 수 있으므로, 색 인식 알고리즘은 재질에 따른 색 변화를 보정하여 색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The user terminal 5000 may also extract material information from the cultural property image through a material recognition algorithm (S130). In addition, the user terminal 5000 may extract color information from a cultural property image through a color recognition algorithm (S140). Here, since the color information may look different in the photo depending on the material, the color recognition algorithm may extract color information by correcting the color change according to the material.

또한, 사용자 단말(5000)은 패턴 인식 알고리즘을 통해 선택된 문화재의 문양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S150). 패턴 인식 알고리즘은 문화재의 표면에 나타나는 반복적인 패턴들을 감지하여 문양으로 인식할 수 있다. 문양은 단일 문양이거나 복수의 문양이 혼합되어 배치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user terminal 5000 may extract pattern information of the selected cultural property through a pattern recognition algorithm (S150). The pattern recognition algorithm can detect repetitive patterns appearing on the surface of cultural properties and recognize them as patterns. The pattern can be a single pattern or a mixture of multiple patterns.

이후, 사용자 단말(5000)은 선택된 문화재의 용도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S160). 용도 정보는 선택된 문화재에 대한 텍스트 설명으로부터 텍스트 분석 알고리즘을 통해 추출할 수도 있고, 사용자의 직접 입력을 요청할 수도 있으며, 형태가 비슷한 다른 문화재의 용도 정보를 이용하여 추출할 수도 있다.Thereafter, the user terminal 5000 may extract usage information of the selected cultural property (S160). The usage information can be extracted from the text description of the selected cultural property through a text analysis algorithm, a user's direct input can be requested, or the usage information of other cultural properties having a similar shape can be extracted.

예를 들어, 제1 문화재에 대해 용도가 사용자 확인 등을 통해 접시로 확정되었는데 제2 문화재의 형태가 제1 문화재와 유사하다고 판단되면, 사용자 단말(5000)은 제2 문화재의 용도도 접시일 것이라고 추정할 수 있다. 이러한 추정에 대해서는 사용자 확인을 거쳐서 정확한 용도를 확정할 수 있다.For example, if the purpose of the first cultural property is determined to be a plate through user confirmation, etc., and it is determined that the shape of the second cultural property is similar to the first cultural property, the user terminal 5000 will indicate that the use of the second cultural property is also a plate. Can be estimated. For these estimates, the correct use can be determined through user confirmation.

추출된 용도 정보에 대해서는 사용자 확인 요청 신호를 발생시켜 추출된 용도 정보가 정확한지 확인을 받을 수 있다(S170). 사용자로부터 추출된 용도 정보에 대한 확인 신호를 수신하면, 추출된 용도 정보를 문화재 이미지와 함께 문화재 분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할 수 있다. 문화재 분류 데이터베이스는 사용자 단말(5000)의 메모리에 형성될 수도 있고, 문화재 분류 추정 서버(3000)에 형성될 수도 있다.With respect to the extracted usage information, a user confirmation request signal may be generated to receive confirmation whether the extracted usage information is correct (S170). Upon receiving a confirmation signal for the extracted usage information from the user, the extracted usage information may be stored in the cultural property classification database together with the cultural property image. The cultural asset classification database may be formed in the memory of the user terminal 5000 or may be formed in the cultural asset classification estimation server 3000.

사용자가 추출된 용도 정보에 대해 확인을 거부하면, 사용자 단말(5000)은 선택된 문화재에 대한 용도 정보에 대해 입력해줄 것을 사용자에게 요청하고 이에 대한 응답을 수신할 수 있다(S175).If the user refuses to confirm the extracted usage information, the user terminal 5000 may request the user to input usage information for the selected cultural property and receive a response thereto (S175).

사용자는 자신의 지식 또는 자신이 탐색한 결과에 따라 선택된 문화재에 대한 용도를 정확하게 응답할 수 있다.The user can accurately respond to the purpose of the selected cultural property according to his or her knowledge or the result of his search.

사용자 단말(5000)은 입력 받은 용도 정보를 문화재 이미지와 함께 문화재 분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할 수 있다.The user terminal 5000 may store the received usage information together with the image of the cultural asset in the cultural asset classification database.

S120부터 S180까지의 단계는 문화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문화재들에 대해 반복적으로 수행될 수 있고, 이에 따라, 각각의 문화재에 대해 형태 정보, 재질 정보, 색 정보, 문양 정보, 용도 정보 등이 도출될 수 있다.Steps S120 to S180 may be repeatedly performed on cultural assets stored in the cultural asset database, and accordingly, shape information, material information, color information, pattern information, usage information, etc. for each cultural asset may be derived. .

이러한 반복하는 단계에서는, 용도 정보를 도출할 때 이전에 다른 문화재에 대해 추출된 용도 정보를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전에 용도가 확인된 제1 문화재에 대해 추출된 형태 정보와 상기 제2 문화재에 대해 추출된 형태 정보가 일치하면, 제2 문화재의 용도를 제 1 문화재에 대해 확인된 용도로 추출할 수 있다.In this repetitive step, use information previously extracted for other cultural properties may be used when deriving the use information. For example, if the shape information extracted for the first cultural property whose purpose was previously identified and the shape information extracted for the second cultural property match, the use of the second cultural property is extracted as the purpose identified for the first cultural property. can do.

물론, 이러한 경우에도 추출된 용도에 대한 확인 신호를 사용자로부터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Of course, even in this case, it may further include receiving a confirmation signal for the extracted use from the user.

또한, 도 5에서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사용자 단말(5000)은 문화재 데이터베이스(2000)의 문화재에 대한 설명 텍스트에 텍스트 분석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문화재의 제작 시기, 제작 장소 또는 제작자 등 다른 정보를 추가적으로 추출할 수 있다.In addition, although not shown in FIG. 5, the user terminal 5000 may additionally extract other information such as the production time, production place, or producer of the cultural property by applying a text analysis algorithm to the explanatory text of the cultural property in the cultural property database 2000. have.

한편, 도 5에서와 같은 단계들을 수행하기 위한 조형요소 자동분석을 이용하여 문화재 분류를 위한 모델을 생성하기 위한 장치는, 문화재 정보가 저장된 데이터베이스에 접속하기 위한 통신부, 문화재의 특징을 추출하는 특징 추출부, 및 문화재 이미지에 추출된 정보를 태깅하여 문화재 분류 데이터베이스를 생성하는 분류 DB(Database) 생성부를 포함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device for generating a model for classifying cultural properties using automatic analysis of formative elements for performing the steps as in FIG. 5 includes a communication unit for accessing a database storing cultural property information, and feature extraction for extracting features of cultural properties. It may include a classification DB (Database) generation unit that generates a cultural property classification database by tagging the information extracted to the sub and the cultural property image.

여기서, 특징 추출부는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문화재의 이미지에 형상 인식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형태 정보를 추출하고, 문화재의 이미지에 재질 인식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재질 정보를 추출하고, 문화재의 이미지에 색 인식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색 정보를 추출하고, 문화재의 이미지에 패턴 인식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문양 정보를 추출하고, 데이터베이스의 문화재에 대한 설명 텍스트에 텍스트 분석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문화재의 용도를 추출할 수 있다.Here, the feature extraction unit extracts form information by applying a shape recognition algorithm to the image of cultural property stored in the database, extracts material information by applying a material recognition algorithm to the image of the cultural property, and applies a color recognition algorithm to the image of the cultural property. Color information can be extracted, pattern information can be extracted by applying a pattern recognition algorithm to images of cultural properties, and text analysis algorithms can be applied to explanatory texts of cultural properties in a database to extract the uses of cultural properties.

특징 추출부는 특정 문화재에 대해 추출된 각각의 특징에 대해 확률적으로 표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징 추출부는 추출 결과를 제1 문화재의 상부가 붉은색일 확률 95%, 주황색일 확률 3%, 보라색일 확률 1%와 같은 방식으로 표현할 수 있다.The feature extraction unit may probabilistically express each feature extracted for a specific cultural property. For example, the feature extraction unit may express the extraction result in a manner such as 95% probability that the upper part of the first cultural property is red, 3% probability that it is orange, and 1% probability that it is purple.

분류 DB 생성부는 각 문화재의 이미지에 추출부에 의해 추출된 형태 정보, 재질 정보, 색 정보, 문양 정보, 및 용도를 태깅하여 문화재 분류 데이터베이스를 생성할 수 있다.The classification DB generation unit may generate a cultural property classification database by tagging the shape information, material information, color information, pattern information, and usage extracted by the extraction unit on the image of each cultural property.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문화재의 용도별 분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6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classification of cultural assets by us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자기 및 토기는 병류, 항아리류, 접시류, 및 발류로 구분될 수 있다. 병류, 항아리류, 접시류 및 발류는 형태에 따라서 보다 세분화되어 구분될 수 있다.Pottery and earthenware can be classified into bottles, jars, dishes, and bales. Bottles, jars, dishes, and bales can be further subdivided and classified according to their shape.

병류는 보다 세분화되어, 장경병, 매병, 옥호춘병, 떡메병, 통형병, 표형병, 사각병, 유병, 자라병, 정병, 장군, 편병, 다각병, 과형병, 광구병, 양이병 등으로 구분될 수 있다.The bottles are more subdivided, and are divided into Jangkyungbyeong, Maebyeong, Okhochunbyeong, Rice Cakebyeong, Tongyeongbyeong, Pyeongyeongbyeong, Square Byeong, Yubyeong, Jarabyeong, Jeongbyeong, General, Pyeonbyeong, Polygonal Byeong, Overhaul, Gwanggubyeong, Yangyi Byeong, etc. Can be.

항아리류는 입호, 원호, 단경호, 장경호, 광구호, 타호, 쌍이호, 사이호, 대부호, 유공광구호, 주구호, 단지, 유개호, 태항아리, 골호 등으로 구분될 수 있다.Urns can be divided into Ipho, Wonho, Dankyungho, Jangkyungho, Gwangguho, Tahoe, Ssangyiho, Saiho, Daebuho, Yugonggwangho, Juguho, complex, Yugaeho, Taehangari, and Golho.

접시류는, 절요접시, 직구접시, 입술접시, 전접시, 화형접시, 방형접시, 다각접시, 굽다리접시, 대반 등으로 구분될 수 있다.Dishes may be classified into an abscess dish, a direct-ball dish, a lip dish, a front dish, a fire dish, a square dish, a multi-angle dish, a bent dish, and a large dish.

발류는, 대접, 발, 종지, 수반/대야, 귀매발, 파수부발, 굽다바리 등으로 구분될 수 있다.Feet can be divided into a bowl, a foot, a pendulum, a head/basin, an ear head, a guard foot, and a bend.

도 6과 같은 분류표는 미리 제작되고, 사용자 단말(5000)은 문화재 데이터베이스(2000)로부터 각 문화재의 형태 정보 및 용도 정보를 추출한 후 분류표를 기준으로 문화재를 분류할 수 있다.The classification table as shown in FIG. 6 is prepared in advance, and the user terminal 5000 may classify cultural assets based on the classification table after extracting form information and usage information of each cultural asset from the cultural asset database 2000.

다른 예로는, 사용자 단말(5000)이 문화재 데이터베이스(2000)에 저장된 문화재로부터 형태 정보 및 용도 정보를 추출하고 추출된 형태 정보와 용도 정보를 기준으로 각 문화재를 그룹으로 분류할 수 있다.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5000)을 통해 그룹별로 명칭을 붙일 수 있다. 이러한 작업을 통해 도 6과 같은 분류표가 생성될 수도 있다.As another example, the user terminal 5000 may extract form information and use information from cultural assets stored in the cultural assets database 2000 and classify each cultural asset into groups based on the extracted form information and use information. The user can name each group through the user terminal 5000. Through this operation, a classification table as shown in FIG. 6 may be generated.

상술된 분류 방식은 예시로서 주어졌을 뿐이고, 본 발명의 내용이 이에 의해 제한되지는 않는다.The above-described classification scheme is given only as an example, and the cont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문화재를 용도별로 분류한 후 추가적으로 세부 형태를 분류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7 is a view for explaining a method of classifying a cultural property by us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n further classifying detailed forms.

문화재들은 용도에 따라 특정한 형태적 한계를 가지게 되고, 이에 따라 용도별로 문화재의 세부 형태를 나눌 기준을 정할 수 있다.Cultural properties have certain morphological limitations depending on their use, and accordingly, criteria for dividing detailed forms of cultural properties for each use can be determined.

병은 일반적으로 주둥이, 목, 몸통, 밑바닥으로 구분될 수 있고, 주전자는 뚜껑/목, 주둥이, 손잡이, 몸통, 밑바닥으로 구분될 수 있고, 항아리는 주둥이/목, 손잡이, 몸통, 밑바닥으로 구분될 수 있다.Bottles can be generally divided into spout, neck, body, and bottom, kettle can be divided into lid/neck, spout, handle, body, and bottom, and jar can be divided into spout/neck, handle, body, and bottom. I can.

또한, 접시는 테두리, 몸통, 밑바닥으로 구분될 수 있고, 발은 테두리, 몸통, 밑바닥으로 구분될 수 있고, 잔은 테두리, 몸통, 밑바닥으로 구분될 수 있고, 합은 뚜껑, 몸통으로 구분될 수 있다.In addition, a plate can be divided into a rim, a body, and a bottom, a foot can be divided into a rim, a body, and a bottom, a cup can be divided into a rim, a body, and a bottom, and the sum can be divided into a lid and a body. have.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병, 항아리, 주전자로 분류된 문화재의 세부 형태를 분류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8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method of classifying detailed forms of cultural assets classified into bottles, jars, and kettl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술된 바와 같이 특정 용도의 문화재마다 구분되는 카테고리에 따라 세부 형태를 구분할 수 있으나, 도 8에서는 여러 용도의 문화재들 중 병, 항아리, 주전자의 경우 세부 형태를 분류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As described above, detailed shapes may be classified according to categories classified for each cultural property for a specific purpose, but FIG. 8 describes a method of classifying detailed shapes for bottles, jars, and kettles among cultural properties for various uses.

예를 들어, 주둥이 부분은 모양이, 무형, 원뿔대형, 입술형, 광구형, 화형, 나팔형, 접시형인지로 나누어질 수 있고, 목은 높이, 폭넓이, 위치에 따라 나누어질 수 있고, 몸통은 상단, 중단, 하단의 높이와 폭넓이에 따라 나누어질 수 있다. 또한, 모양은 기본형 또는 부가형으로 나눌 수 있다. For example, the snout can be divided into shape, intangible, cone-shaped, lip-shaped, wide-sphere, burning, trumpet-shaped, and plate-shaped, and the neck can be divided according to height, width, and position, The body can be divided according to the height and width of the top, middle, and bottom. In addition, the shape can be divided into a basic type or an additional type.

밑바닥은 폭넓이, 다리유무, 받침 유무에 따라 나누어질 수 있고, 손잡이는 손잡이의 유무로, 뚜껑은 뚜겅의 유무로 나누어질 수 있다. 손잡이와 뚜껑은 보다 세부적으로는 형태에 따라 나누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The bottom can be divided according to the width, the presence of legs, and the presence or absence of a base, the handle can be divided by the presence or absence of a handle, and the lid can be divided by the presence or absence of a lid. Of course, the handle and lid can be divided according to the shape in more detail.

상술된 구분 방식은 예시로서 주어졌을 뿐이고, 본 발명의 내용이 이에 의해 제한되지는 않는다.The above-described classification method is given only as an example, and the cont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문화재의 문양을 분류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9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method of classifying patterns of cultural properti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문양은 문화재의 표면에 새겨진 또는 그려진 모양으로서, 크게 자연/산수, 인물, 기물, 문자, 기하의 카테고리로 나눌 수 있다.A pattern is a shape engraved or drawn on the surface of a cultural property, and can be largely divided into categories of nature/landscape, figures, objects, characters, and geometry.

자연/산수에는 구름, 물결, 물가풍경, 십장생, 세한삼우 등이 있을 수 있고, 인물에는 성인과 동자 등이 있을 수 있으며, 기물에는 보자기, 보배, 여의두가 있을 수 있다.In nature/landscape, there may be clouds, waves, waterside scenery, tenjangsaeng, and Sehansamwoo, a person may have an adult and a child, and a piece may have a bojagi, a treasure, and a Yeouido.

문자에는 만자, 수복강녕자, 수복자, 수자, 아자, 회자, 복자, 강녕자, 연년익수, 만수무강 등이 있을 수 있고, 기하에는 번개, 귀갑, 선, 그물 등이 있을 수 있다.In the text, there may be swastika, restorative gangnyeongja, restorative character, suja, aja, hoeja, bokja, gangnyeongja, annual Iksu, Mansumugang, etc., and geometry may include lightning, tortoiseshell, line, and net.

상술된 문양들은 예시로서 주어졌을 뿐이고, 본 발명의 내용이 이에 의해 제한되지는 않는다.The above-described patterns are given only as examples, and the cont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문화재의 재질을 분류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10 is a view for explaining a method of classifying a material of a cultural propert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문화재를 재질을 기준으로 분류하면, 크게 토기류, 청자류, 분청사기류로 나누어질 수 있다.When cultural assets are classified by material, they can be largely divided into earthenware, celadon, and buncheongsagi.

토기류에는 연질토기, 경질토기, 연유토기 등이 있을 수 있고, 청자류에는, 녹청자, 상감청자, 진사청자, 연리문자, 순청자, 회청자, 철재청자가 있을 수 있다.Earthenware may include soft earthenware, hard earthenware, and condensed earthenware, and celadon may include green celadon, inlaid celadon, Jinsa celadon, Yeonri character, pure celadon, hoe celadon, and iron celadon.

또한, 분청사기류는 인화기법, 박지기법, 철화기법, 분장기법, 상감기법, 음각기법, 귀얄기법 등 제작에 사용된 기법으로 구분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Buncheongsagi can be classified into techniques used in manufacturing such as printing technique, bakjiki technique, iron painting technique, make-up technique, inlay technique, intaglio technique, and earyal technique.

상술된 기준별 문화재 분류 체계는 사람에 의한 자료 수집 및 연구를 통해 세워지고, 이러한 기준에 따라 사용자 단말(5000)이 문화재 데이터베이스(2000)에 있는 문화재들을 세워진 분류 체계에 따라 구분할 수 있다.The above-described classification system for cultural properties by criteria is established through data collection and research by humans, and according to these criteria, the user terminal 5000 can classify cultural properties in the cultural properties database 2000 according to the established classification system.

그러나, 사람에 의해 자료 수집 및 연구를 통한 분류 체계를 세우지 않고, 사용자 단말(5000)이 위에서 언급된 각종 특징 추출 알고리즘을 통해 문화재 데이터베이스(2000)의 문화재들의 특징을 추출하고 분류하여 체계화된 문화재 분류 데이터베이스를 생성하는 방식도 가능하다.However, without establishing a classification system through data collection and research by humans, the user terminal 5000 extracts and classifies the features of the cultural assets database 2000 through the various feature extraction algorithms mentioned above, and classifies the cultural assets systematically. It is also possible to create a database.

이러한 방식을 취하면 방대한 양의 문화재 자료에 대해 수동으로 분류하는 것이 아니라, 인공지능을 통한 자동분류가 가능하게 될 수 있으며, 사람이 수행한 방식과는 다른 새로운 분류 체계가 도출될 수도 있다.By taking this method, instead of manually classifying vast amounts of cultural property data, automatic classification through artificial intelligence may be possible, and a new classification system different from the method performed by humans may be derived.

이상 설명된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는 컴퓨터 상에서 다양한 구성요소를 통하여 실행될 수 있는 컴퓨터 프로그램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이때, 매체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ROM 및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um), 및 ROM, 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어를 저장하고 실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The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computer program that can be executed through various components on a computer, and such a computer program may be recorded in a computer-readable medium. In this case, the medium is a magnetic medium such as a hard disk, a floppy disk, and a magnetic tape, an optical recording medium such as a CD-ROM and a DVD, a magnetic-optical medium such as a floptical disk, and a ROM. , A hardware device specially configured to store and execute program instructions, such as RAM, flash memory, and the like.

한편,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분야의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하여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하여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도 포함될 수 있다.Meanwhile, the computer program may be specially designed and configured for the present invention, or may be known and usable to those skilled in the computer software field. Examples of the computer program may include not only machine language codes such as those produced by a compiler, but also high-level language codes that can be executed by a computer using an interpreter or the like.

본 발명의 명세서(특히 특허청구범위에서)에서 "상기"의 용어 및 이와 유사한 지시 용어의 사용은 단수 및 복수 모두에 해당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범위(range)를 기재한 경우 상기 범위에 속하는 개별적인 값을 적용한 발명을 포함하는 것으로서(이에 반하는 기재가 없다면),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상기 범위를 구성하는 각 개별적인 값을 기재한 것과 같다. In the specific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especially in the claims), the use of the term "above" and a reference term similar thereto may correspond to both the singular and the plural. In addition, when a range is described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invention to which an individual value falling within the range is applied (unless otherwise stated), and each individual value constituting the range is describ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Same as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구성하는 단계들에 대하여 명백하게 순서를 기재하거나 반하는 기재가 없다면, 상기 단계들은 적당한 순서로 행해질 수 있다. 반드시 상기 단계들의 기재 순서에 따라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 모든 예들 또는 예시적인 용어(예들 들어, 등등)의 사용은 단순히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 이상 상기 예들 또는 예시적인 용어로 인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당업자는 다양한 수정, 조합 및 변경이 부가된 특허청구범위 또는 그 균등물의 범주 내에서 설계 조건 및 팩터에 따라 구성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If there is no explicit order or contradictory description of the steps constituting the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teps may be performed in a suitable ord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necessarily limited according to the order of description of the steps. The use of all examples or illustrative terms (for example, etc.) in the present invention is merely for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in detail,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limited by the above examples or illustrative terms unless limited by the claims. It does not become. In addition,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recognize that various modifications, combinations, and changes may be configured according to design conditions and factors within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or their equivalents.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상기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또는 이로부터 등가적으로 변경된 모든 범위는 본 발명의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Therefore,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should not be determined, and all ranges equivalent to or equivalently changed from the claims to be described later as well as the claims to be described later are the scope of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be said to belong to.

Claims (10)

조형요소 자동분석을 이용하여 문화재 분류를 위한 모델을 생성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a) 문화재 정보가 저장된 데이터베이스에 접속하는 단계;
b)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제 1 문화재의 이미지에 형상 인식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형태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c) 상기 제 1 문화재의 이미지에 재질 인식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재질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d) 상기 제 1 문화재의 이미지에 색 인식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색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e)상기 제 1 문화재의 이미지에 패턴 인식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문양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f) 상기 데이터베이스의 상기 제 1 문화재에 대한 설명 텍스트에 텍스트 분석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상기 제 1 문화재의 용도를 추출하는 단계;
g) 상기 단계들을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각각의 문화재들을 대상으로 반복하는 단계; 및
h) 각 문화재의 이미지에 상기 반복하는 단계에 의해 추출된 형태 정보, 재질 정보, 색 정보, 문양 정보, 및 용도를 태깅하여 문화재 분류 데이터베이스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문화재의 용도를 추출하는 단계는,
상기 텍스트 분석 알고리즘에 의해 추출된 용도를 사용자에게 확인 요청하는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용도에 대한 사용자로부터의 확인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문화재 분류를 위한 모델을 생성하기 위한 방법은,
상기 용도에 대한 사용자로부터의 확인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후에,
확인된 상기 용도에 따라 상기 제 1 문화재에 대한 세부 형태 분석을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세부 형태 분석은,
상기 용도가 병, 항아리 또는 주전자인 경우는 상기 제 1 문화재의 형태를 주둥이, 목, 몸통, 밑바닥, 손잡이 및 뚜껑으로 나누어 분석하고,
상기 용도가 발(鉢) 또는 잔인 경우는 상기 제 1 문화재의 형태를 테두리, 몸통 및 손잡이로 나누어 분석하고,
상기 용도가 접시인 경우는 상기 제 1 문화재의 형태를 테두리, 몸통 및 밑바닥으로 나누어 분석하고,
상기 용도가 합인 경우는 상기 제 1 문화재의 형태를 몸통, 뚜껑 및 층으로 나누어 분석하는,
문화재 분류를 위한 모델을 생성하기 위한 방법.
As a method for generating a model for classification of cultural properties using automatic analysis of formative elements,
a) accessing a database in which cultural property information is stored;
b) extracting shape information by applying a shape recognition algorithm to the image of the first cultural property stored in the database;
c) extracting material information by applying a material recognition algorithm to the image of the first cultural property;
d) extracting color information by applying a color recognition algorithm to the image of the first cultural property;
e) extracting pattern information by applying a pattern recognition algorithm to the image of the first cultural property;
f) extracting a purpose of the first cultural property by applying a text analysis algorithm to the description text of the first cultural property in the database;
g) repeating the steps for each cultural property stored in the database; And
h) including the step of creating a cultural property classification database by tagging the image of each cultural property with shape information, material information, color information, pattern information, and usage extracted by the repeating step,
The step of extracting the use of the first cultural property,
Generating a signal for requesting confirmation from the user for the purpose extracted by the text analysis algorithm, and receiving a confirmation signal from the user for the purpose,
The method for generating a model for classification of the cultural property,
After receiving a confirmation signal from the user for the use,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performing a detailed shape analysis of the first cultural property according to the identified use,
The detailed shape analysis,
When the use is a bottle, jar, or kettle, the shape of the first cultural property is analyzed by dividing it into a spout, a neck, a body, a bottom, a handle and a lid,
If the purpose is feet or cruel, the first cultural property is divided into a frame, a body, and a handle, and analyzed,
If the use is a plate, the shape of the first cultural property is analyzed by dividing it into a frame, a body, and a bottom,
If the above uses are summed, analyzing the shape of the first cultural property by dividing it into a body, a lid, and a layer,
A method for creating a model for classification of cultural properties.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문화재 분류를 위한 모델을 생성하기 위한 방법은,
상기 반복하는 단계에 의해 축적된 각각의 문화재의 형태 정보와 용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여, 문화재의 형태 정보와 용도에 대한 추정 모델을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문화재 분류를 위한 모델을 생성하기 위한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The method for generating a model for classification of the cultural property,
Analyzing the correlation between the type information and the use of each cultural property accumulated by the repeating step,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generating an estimation model for the type information and use of the cultural property,
A method for creating a model for classifying cultural properties.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추정 모델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반복하는 단계에 의해 축적된 각각의 문화재의 형태 정보에 사용자에 의해 확인된 상기 용도를 레이블(label)로 태깅한 데이터 세트로 심층 신경망 모델을 훈련시켜, 문화재의 형태 정보에 따른 용도를 추정하는 DNN 모델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문화재 분류를 위한 모델을 생성하기 위한 방법.
The method of claim 3,
Generating the estimation model,
Training a deep neural network model with a data set in which the use identified by the user is tagged with a label in the form information of each cultural property accumulated by the iterative step to estimate the use according to the form information of the cultural property. Including the step of generating a DNN model,
A method for creating a model for classifying cultural propertie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색 인식 알고리즘은 재질에 의한 색 변화를 고려하여 이미지의 색을 보정한 후 색 정보를 판단하도록 구성된,  
문화재 분류를 위한 모델을 생성하기 위한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The color recognition algorithm is configured to determine color information after correcting the color of the image in consideration of color change due to material,
A method for creating a model for classifying cultural properties.
삭제delete 조형요소 자동분석을 이용하여 문화재 분류를 위한 모델을 생성하기 위한 장치로서,
문화재 정보가 저장된 데이터베이스에 접속하기 위한 통신부;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문화재의 이미지에 형상 인식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형태 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문화재의 이미지에 재질 인식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재질 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문화재의 이미지에 색 인식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색 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문화재의 이미지에 패턴 인식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문양 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데이터베이스의 상기 문화재에 대한 설명 텍스트에 텍스트 분석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상기 문화재의 용도를 추출하기 위한 특징 추출부;
각 문화재의 이미지에 상기 추출부에 의해 추출된 형태 정보, 재질 정보, 색 정보, 문양 정보, 및 용도를 태깅하여 문화재 분류 데이터베이스를 생성하는 분류 DB 생성부를 포함하고,
상기 특징 추출부는,
상기 문화재의 용도를 추출한 후, 상기 텍스트 분석 알고리즘에 의해 추출된 용도를 사용자에게 확인 요청하는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용도에 대한 사용자로부터의 확인 신호를 수신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며,
상기 특징 추출부는,
상기 용도에 대한 사용자로부터의 확인 신호를 수신하면, 확인된 상기 용도에 따라 문화재에 대한 세부 형태 분석을 수행하도록 추가적으로 구성되고,
상기 세부 형태 분석은,
상기 용도가 병, 항아리 또는 주전자인 경우는 상기 문화재의 형태를 주둥이, 목, 몸통, 밑바닥, 손잡이 및 뚜껑으로 나누어 분석하고,
상기 용도가 발(鉢) 또는 잔인 경우는 상기 문화재의 형태를 테두리, 몸통 및 손잡이로 나누어 분석하고,
상기 용도가 접시인 경우는 상기 문화재의 형태를 테두리, 몸통 및 밑바닥으로 나누어 분석하고,
상기 용도가 합인 경우는 상기 문화재의 형태를 몸통, 뚜껑 및 층으로 나누어 분석하는,
문화재 분류를 위한 모델을 생성하기 위한 장치.
As a device for generating a model for classification of cultural properties using automatic analysis of formative elements,
A communication unit for accessing a database in which cultural property information is stored;
Shape information is extracted by applying a shape recognition algorithm to the image of the cultural property stored in the database, material information is extracted by applying a material recognition algorithm to the image of the cultural property, and color information by applying a color recognition algorithm to the image of the cultural property A feature extraction unit configured to extract pattern information by applying a pattern recognition algorithm to the image of the cultural property, and extracting the purpose of the cultural property by applying a text analysis algorithm to the explanatory text of the cultural property in the database;
Includes a classification DB generation unit for generating a cultural property classification database by tagging the shape information, material information, color information, pattern information, and usage extracted by the extraction unit on the image of each cultural property,
The feature extraction unit,
After extracting the use of the cultural property, it is further configured to generate a signal requesting confirmation from the user for the purpose extracted by the text analysis algorithm, and to receive a confirmation signal from the user for the use,
The feature extraction unit,
When receiving a confirmation signal from the user for the use, it is additionally configured to perform detailed shape analysis of the cultural property according to the identified use,
The detailed shape analysis,
If the use is a bottle, jar, or kettle, the shape of the cultural property is analyzed by dividing it into a spout, a neck, a body, a bottom, a handle, and a lid,
If the above uses are feet or cruel, analyze the shape of the cultural property by dividing it into a frame, a body, and a handle,
If the use is a plate, the shape of the cultural property is divided into a frame, a body and a bottom, and analyzed,
When the above uses are summed, the shape of the cultural property is analyzed by dividing it into a body, a lid, and a layer,
A device for creating a model for classifying cultural properties.
삭제delete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특징 추출부는,
제 1 문화재의 용도에 대해 사용자로부터의 확인 신호를 수신한 후, 제2 문화재에 대해 추출된 형태 정보와 상기 제 1 문화재에 대해 추출된 형태 정보가 일치하면, 상기 제 1 문화재에 대해 확인된 용도를 상기 제2 문화재에 대한 용도로 추출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는,
문화재 분류를 위한 모델을 생성하기 위한 장치.
The method of claim 7,
The feature extraction unit,
After receiving a confirmation signal from the user regarding the use of the first cultural property, if the shape information extracted for the second cultural property matches the shape information extracted for the first cultural property, the confirmed use for the first cultural property Is further configured to extract for use for the second cultural property,
A device for creating a model for classifying cultural properties.
삭제delete
KR1020190091996A 2019-07-29 2019-07-29 Method and apparatus for creating model for categorizing cultural properties using automatic analysis of formative element KR10220555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1996A KR102205556B1 (en) 2019-07-29 2019-07-29 Method and apparatus for creating model for categorizing cultural properties using automatic analysis of formative elemen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1996A KR102205556B1 (en) 2019-07-29 2019-07-29 Method and apparatus for creating model for categorizing cultural properties using automatic analysis of formative elemen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05556B1 true KR102205556B1 (en) 2021-01-20

Family

ID=743047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91996A KR102205556B1 (en) 2019-07-29 2019-07-29 Method and apparatus for creating model for categorizing cultural properties using automatic analysis of formative elemen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05556B1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44669A (en) * 2008-10-22 2010-04-30 엔에이치엔비즈니스플랫폼 주식회사 Method, system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providing information on goods based on image matching
KR101699765B1 (en) * 2016-09-23 2017-01-25 (주) 천기화생활과학연구소 Method for purchasing goods using picture taken by consumer
KR20180049786A (en) * 2016-11-03 2018-05-11 삼성전자주식회사 Data recognition model construc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structing data recognition model thereof, and data recogni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recognizing data thereof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44669A (en) * 2008-10-22 2010-04-30 엔에이치엔비즈니스플랫폼 주식회사 Method, system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providing information on goods based on image matching
KR101699765B1 (en) * 2016-09-23 2017-01-25 (주) 천기화생활과학연구소 Method for purchasing goods using picture taken by consumer
KR20180049786A (en) * 2016-11-03 2018-05-11 삼성전자주식회사 Data recognition model construc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structing data recognition model thereof, and data recogni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recognizing data thereof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이지은 외6명. 한국HCI학회 학술대회. 한국HCI학회. 2019.02.28. 웹기반 문화재 이미지 조형 요소 레이블링을 위한 어노테이션 시스템 제안 및 사용성 평가. 1부.*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2950661B (en) Attention-based generation method for generating network face cartoon
CN104036255B (en) A kind of facial expression recognizing method
CN110097094B (en) Multiple semantic fusion few-sample classification method for character interaction
CN110580500A (en) Character interaction-oriented network weight generation few-sample image classification method
CN110163115A (en) A kind of method for processing video frequency, device and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CN104142995B (en) The social event recognition methods of view-based access control model attribute
CN105844283A (en) Method for identifying category of image, image search method and image search device
CN107330444A (en) A kind of image autotext mask method based on generation confrontation network
CN108596046A (en) A kind of cell detection method of counting and system based on deep learning
CN108492224A (en) Based on deep learning online education Students ' Comprehensive portrait tag control system
CN106485984A (en) A kind of intelligent tutoring method and apparatus of piano
CN110111236A (en) The method for generating image based on the multiple target sketch that gradual confrontation generates network
CN110222728A (en) The training method of article discrimination model, system and article discrimination method, equipment
CN105574063A (en) Image retrieval method based on visual saliency
Wan et al. Representation Learning for Scene Graph Completion via Jointly Structural and Visual Embedding.
CN110446063A (en) Generation method, device and the electronic equipment of video cover
CN111126138A (en) AI image recognition method for garbage classification
KR102084782B1 (en) Method generating personification character with gan algorithm
CN109408821A (en) A kind of corpus generation method, calculates equipment and storage medium at device
CN109214346A (en) Picture human motion recognition method based on hierarchical information transmitting
CN111126280B (en) Gesture recognition fusion-based aphasia patient auxiliary rehabilitation training system and method
CN106845513A (en) Staff detector and method based on condition random forest
CN104915354A (en) Multimedia file pushing method and device
CN109242030A (en) Draw single generation method and device, electronic equipment,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CN104462526A (en) Multi-user online collaboration rapid vectorization method for high-resolution remote sensing imag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