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05072B1 - Polarizer, polarizing plate, and image display apparatus - Google Patents

Polarizer, polarizing plate, and image display apparatu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05072B1
KR102205072B1 KR1020190091871A KR20190091871A KR102205072B1 KR 102205072 B1 KR102205072 B1 KR 102205072B1 KR 1020190091871 A KR1020190091871 A KR 1020190091871A KR 20190091871 A KR20190091871 A KR 20190091871A KR 102205072 B1 KR102205072 B1 KR 1022050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arizer
image display
dyed
display device
resin fil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9187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00014701A (en
Inventor
마사카즈 모치즈키
미에 나카타
Original Assignee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000147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1470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050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0507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02B5/3025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528Polarisers

Abstract

(과제) 디자인성이 우수한 화상 표시 장치를 실현할 수 있는 편광자를 제공하는 것.
(해결 수단) 본 발명의 편광자는, 염색부와 비염색부를 갖는다. 이 비염색부는 편광자의 외측 가장자리를 따른 전체 둘레에 형성되어 있다.
(Task) To provide a polarizer that can realize an image display device with excellent design.
(Solution means) The polarizer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dyed portion and a non-dyed portion. This undyed portion is formed around the entire circumference along the outer edge of the polarizer.

Description

편광자, 편광판, 및 화상 표시 장치{POLARIZER, POLARIZING PLATE, AND IMAGE DISPLAY APPARATUS}A polarizer, a polarizing plate, and an image display device TECHNICAL FIELD [POLARIZER, POLARIZING PLATE, AND IMAGE DISPLAY APPARATUS}

본 발명은 편광자, 편광판, 및 화상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디자인성이 우수한 화상 표시 장치를 실현할 수 있는 편광자, 이 편광자를 포함하는 편광판, 및 이 편광판을 포함하는 화상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larizer, a polarizing plate, and an image display device. More specifically, it relates to a polarizer capable of realizing an image display device having excellent design, a polarizing plate including the polarizer, and an image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polarizing plate.

편광판은 휴대 전화 및 노트형 퍼스널 컴퓨터 (PC) 등의 여러 가지 화상 표시 장치에 사용되고 있다. 최근, 카메라, 및 각종 센서를 구비하는 화상 표시 장치가 개발되고 있다. 이와 같은 화상 표시 장치에 사용되는 편광자로서, 카메라에 대응하는 부분을 부분적으로 탈색한 편광자가 제안되어 있다 (특허문헌 1). 최근, 기능뿐만 아니라, 디자인성도 우수한 화상 표시 장치가 요구되고 있다. 예를 들어, 베젤 부분이 보다 좁은 화상 표시 장치, 및 표시 부분의 단차가 보다 작은 (풀 플랫 디자인) 의 화상 표시 장치가 제안되어 있다. 이들의 높은 디자인성에 관한 요구에도 대응 가능한 편광자가 요구되고 있다.Polarizing plates are used in various image display devices such as mobile phones and notebook personal computers (PCs). Recently, an image display device including a camera and various sensors has been developed. As a polarizer used in such an image display device, a polarizer in which a portion corresponding to a camera is partially decolored has been proposed (Patent Document 1). In recent years, there is a demand for an image display device having not only a function but also excellent design. For example, an image display device having a narrower bezel portion and an image display device having a smaller step difference between the display portions (full flat design) have been proposed. There is a demand for a polarizer capable of responding to these high design demands.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4-112238호Japanese Unexamined Patent Publication No. 2014-112238

본 발명은 상기 종래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이루어진 것으로, 그 주된 목적은 디자인성이 우수한 화상 표시 장치를 실현할 수 있는 편광자, 이 편광자를 포함하는 편광판, 및 이 편광판을 포함하는 화상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order to solve the above conventional problems, the main object of which is to provide a polarizer capable of realizing an image display device having excellent design, a polarizing plate including the polarizer, and an image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polarizing plate. There is one.

본 발명의 편광자는 염색부와 비염색부를 갖는다. 이 비염색부는 그 편광자의 외측 가장자리를 따른 전체 둘레에 형성되어 있다.The polarizer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dyed portion and a non-dyed portion. This undyed portion is formed around the entire circumference along the outer edge of the polarizer.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비염색부는 탈색부이다.In one embodiment, the said non-dyed part is a discolored part.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비염색부의 폭은 1 ㎜ 이상이다.In one embodiment, the width of the undyed portion is 1 mm or more.

본 발명의 다른 국면에 있어서는, 편광판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편광판은 상기 편광자를 구비한다.In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olarizing plate is provided. The polarizing plate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polarizer.

본 발명의 또 다른 국면에 있어서는, 화상 표시 장치가 제공된다. 이 화상 표시 장치는 상기 편광판을 구비한다.In yet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image display device is provided. This image display device includes the polarizing plate.

본 발명에 의하면, 디자인성이 우수한 화상 표시 장치를 실현할 수 있는 편광자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편광자는 염색부와 비염색부를 가지고 있고, 비염색부가 편광자의 외측 가장자리를 따른 전체 둘레에 형성되어 있다. 당해 비염색부에 있어서는, 편광자의 색에 영향을 미치는 일 없이 여러 가지 색채를 적용할 수 있기 때문에, 외측 가장자리부의 디자인의 다양화를 실현할 수 있다. 또, 화상 표시 장치가 구비하는 카메라 및 각종 센서의 기능을 편광자가 방해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 때문에, 화상 표시 장치가 구비하는 각종 기능을 보다 고도로 발휘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편광자를 사용함으로써, 보다 단차가 작은 (플랫한) 화상 표시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polarizer capable of realizing an image display device having excellent design can be provided. The polarizer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dyed portion and a non-dyed portion, and the non-dyed portion is formed around the entire circumference along the outer edge of the polarizer. In the non-dyed portion, since various colors can be applied without affecting the color of the polarizer, the design of the outer edge portion can be diversified. Further, it is possible to prevent a polarizer from interfering with the functions of a camera and various sensors included in the image display device. Therefore, various functions provided by the image display device can be exhibited more highly. Further, by using the polarizer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flat) image display device having a smaller step difference.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편광자의 개략 평면도이다.1 is a schematic plan view of a polarizer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들 실시형태에는 한정되지 않는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se embodiments.

A. 편광자A. Polarizer

본 발명의 편광자는, 염색부와 비염색부를 갖는다. 이 비염색부는, 편광자의 외측 가장자리를 따른 전체 둘레에 형성되어 있다. 그 때문에, 보다 디자인성이 우수한 화상 표시 장치를 실현할 수 있는 편광자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여러 가지 센서 및 카메라 등의 기능을 탑재한 화상 표시 장치에 있어서도 이들 기능을 방해하는 것을 방지하여, 각종 기능을 보다 고도로 발휘시킬 수 있다.The polarizer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dyed portion and a non-dyed portion. This non-dyed portion is formed around the entire periphery along the outer edge of the polarizer. Therefore, it is possible to provide a polarizer capable of realizing an image display device having more excellent design. In addition, even in an image display device equipped with functions such as various sensors and cameras, these functions are prevented from being disturbed, and various functions can be exhibited more highly.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편광자의 평면도이다. 도시예의 편광자 (10) 는, 염색부 (12) 와 비염색부 (11) 를 갖는다. 도시예에 있어서, 편광자 (10) 는 사각형이다. 도시예에서는 편광자 (10) 의 외측 가장자리, 즉 4 변을 따른 전체 둘레에 비염색부 (12) 가 형성되어 있다. 비염색부 (12) 가 편광자의 외측 가장자리를 따른 전체 둘레에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보다 디자인성이 우수한 화상 표시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 스마트폰 및 PC 등의 고기능 화상 표시 장치에서는 둘레 가장자리부에 카메라 및 센서 등이 구비될 수 있다. 편광자의 외측 가장자리를 따른 전체 둘레에 비염색부가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이들 기능이 방해되는 것을 방지하여, 각종 기능을 보다 고도로 발휘시킬 수 있다.1 is a plan view of a polarizer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olarizer 10 in the illustrated example has a dyed portion 12 and a non-dyed portion 11. In the illustrated example, the polarizer 10 is a square. In the illustrated example, the non-dyed portion 12 is formed around the outer edge of the polarizer 10, that is, the entire circumference along the four sides. Since the non-dyed portion 12 is formed around the entire circumference along the outer edge of the polarizer, it is possible to provide an image display device having more excellent design. In addition, in high-performance image display devices such as smartphones and PCs, cameras and sensors may be provided at the periphery. Since the non-dyed portion is formed around the entire circumference along the outer edge of the polarizer, these functions are prevented from being disturbed, and various functions can be exhibited more highly.

편광자 (10) 는 사용되는 용도 등에 따라 임의의 적절한 형상으로 설계될 수 있다. 편광자 (10) 의 형상으로는, 예를 들어, 사각형, 원형, 마름모꼴, 이형 등을 들 수 있다.The polarizer 10 may be designed in any suitable shape depending on the intended use or the like. As the shape of the polarizer 10, for example, a square, a circle, a rhombus, a deformed shape, etc. are mentioned.

편광자는 대표적으로는 수지 필름을 요오드 등의 이색성 물질로 염색함으로써 제조된다. 수지 필름을 형성하는 수지로는, 임의의 적절한 수지가 사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이하, 「PVA 계 수지」 라고 칭한다) 가 사용된다. PVA 계 수지로는, 예를 들어, 폴리비닐알코올, 에틸렌-비닐알코올 공중합체를 들 수 있다. 폴리비닐알코올은, 폴리아세트산비닐을 비누화함으로써 얻어진다. 에틸렌-비닐알코올 공중합체는, 에틸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를 비누화함으로써 얻어진다. PVA 계 수지의 비누화도는, 통상 85 몰% 이상 100 몰% 미만이고, 바람직하게는 95.0 몰% ∼ 99.95 몰%, 더욱 바람직하게는 99.0 몰% ∼ 99.93 몰% 이다. 비누화도는, JIS K 6726-1994 에 준하여 구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비누화도의 PVA 계 수지를 사용함으로써, 내구성이 우수한 편광자를 얻을 수 있다. 비누화도가 지나치게 높은 경우에는, 겔화되어 버릴 우려가 있다.The polarizer is typically manufactured by dyeing a resin film with a dichroic material such as iodine. As the resin for forming the resin film, any suitable resin can be used. Preferably, polyvinyl alcohol-based resin (hereinafter, referred to as "PVA-based resin") is used. Examples of the PVA-based resin include polyvinyl alcohol and ethylene-vinyl alcohol copolymer. Polyvinyl alcohol is obtained by saponifying polyvinyl acetate. The ethylene-vinyl alcohol copolymer is obtained by saponifying an ethylene-vinyl acetate copolymer. The degree of saponification of the PVA-based resin is usually 85 mol% or more and less than 100 mol%, preferably 95.0 mol% to 99.95 mol%, and more preferably 99.0 mol% to 99.93 mol%. The degree of saponification can be obtained according to JIS K 6726-1994. By using a PVA-based resin having such a degree of saponification, a polarizer having excellent durability can be obtained. When the degree of saponification is too high, there is a risk of gelation.

PVA 계 수지의 평균 중합도는, 목적에 따라 적절히 선택될 수 있다. 평균 중합도는, 통상 1000 ∼ 10000 이고, 바람직하게는 1200 ∼ 4500, 더욱 바람직하게는 1500 ∼ 4300 이다. 또한, 평균 중합도는, JIS K 6726-1994 에 준하여 구할 수 있다.The average degree of polymerization of the PVA-based resin can be appropriately selected depending on the purpose. The average degree of polymerization is usually 1000 to 10000, preferably 1200 to 4500, more preferably 1500 to 4300. In addition, the average polymerization degree can be calculated|required according to JIS K 6726-1994.

이색성 물질로는, 예를 들어, 요오드, 유기 염료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 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해도 된다. 바람직하게는 요오드가 사용된다. 비염색부가 탈색된 부분인 경우, 후술하는 염기성 용액과의 접촉에 의해, 비염색부가 양호하게 형성될 수 있기 때문이다.As a dichroic substance, iodine, an organic dye, etc. are mentioned, for example. These may be used alone or in combination of two or more. Preferably iodine is used. This is because, when the undyed portion is a decolored portion, the undyed portion can be formed satisfactorily by contact with a basic solution described later.

염색부 (12) 는, 수지 필름의 이색성 물질로 염색된 부분을 말한다. 비염색부 (11) 는, 이색성 물질로 염색하지 않은 부분이어도 되고, 이색성 물질로 염색한 후, 임의의 적절한 방법에 의해 탈색한 부분이어도 된다. 비염색부는 바람직하게는 이색성 물질로 염색한 후, 탈색한 부분 (탈색부) 이다. 염색한 후에 탈색함으로써, 비염색부의 강도가 향상될 수 있다.The dyed part 12 refers to a part dyed with a dichroic substance of a resin film. The non-dyed portion 11 may be a portion not dyed with a dichroic substance, or may be a portion decolored by any suitable method after dyeing with a dichroic substance. The non-dyed part is preferably a part (discolored part) which is bleached after dyeing with a dichroic material. By decolorizing after dyeing, the strength of the undyed portion can be improved.

비염색부의 폭은, 임의의 적절한 값으로 설정된다. 비염색부의 폭은, 바람직하게는 1 ㎜ 이상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 이상이다. 비염색부의 폭이 이와 같은 범위이면, 편광자의 색 빠짐을 바람직하게 방지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비염색부를 형성함으로써, 화상 표시 장치의 디자인성의 폭이 확대될 수 있다. 디자인성의 관점에서는, 비염색부의 상한은 없고, 임의의 적절한 폭으로 설정할 수 있다.The width of the undyed portion is set to any appropriate value. The width of the undyed portion is preferably 1 mm or more, and more preferably 10 mm or more. If the width of the non-dyed portion is within such a range, color loss of the polarizer can be preferably prevented. As described above, by forming the undyed portion, the width of the design of the image display device can be expanded. From the viewpoint of design, there is no upper limit of the undyed portion, and it can be set to any appropriate width.

비염색부의 투과율 (예를 들어, 23 ℃ 에 있어서의 파장 550 ㎚ 의 광으로 측정한 투과율) 은, 바람직하게는 50 %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60 %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75 %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90 % 이상이다. 이와 같은 투과율이면, 디자인성이 우수한 화상 표시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카메라나 센서 등의 기능이 방해되는 것을 방지하여, 각종 기능을 보다 고도로 발휘시킬 수 있다.The transmittance of the undyed portion (for example, the transmittance measured with light having a wavelength of 550 nm at 23°C) is preferably 50% or more, more preferably 60% or more, still more preferably 75% or more, particularly Preferably it is 90% or more. With such transmittance, an image display device having excellent design can be provided. In addition, by preventing obstruction of functions such as cameras and sensors, various functions can be exhibited more highly.

편광자 (비염색부를 제외한다) 는, 바람직하게는 파장 380 ㎚ ∼ 780 ㎚ 의 범위에서 흡수 이색성을 나타낸다. 편광자 (비염색부를 제외한다) 의 단체 투과율 (Ts) 은, 바람직하게는 39 %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39.5 %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40 %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40.5 % 이상이다. 또한, 단체 투과율의 이론상의 상한은 50 % 이고, 실용적인 상한은 46 % 이다. 또, 단체 투과율 (Ts) 은, JIS Z8701 의 2 도 시야 (C 광원) 에 의해 측정하여 시감도 보정을 실시한 Y 값이고, 예를 들어, 현미 분광 시스템 (람다비전 제조, LVmicro) 을 사용하여 측정할 수 있다. 편광자 (비염색부를 제외한다) 의 편광도는, 바람직하게는 99.8 %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99.9 %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99.95 % 이상이다.The polarizer (excluding the undyed portion) preferably exhibits absorption dichroism in a wavelength range of 380 nm to 780 nm. The single transmittance (Ts) of the polarizer (excluding the undyed portion) is preferably 39% or more, more preferably 39.5% or more, still more preferably 40% or more, and particularly preferably 40.5% or more. In addition, the theoretical upper limit of the single transmittance is 50%, and the practical upper limit is 46%. In addition, the single transmittance (Ts) is a Y value obtained by measuring with a 2-degree field of view (C light source) of JIS Z8701 and performing luminous sensitivity correction, and can be measured using, for example, a microscopic spectroscopy system (manufactured by Lambda Vision, LVmicro). I can. The degree of polarization of the polarizer (excluding the undyed portion) is preferably 99.8% or more, more preferably 99.9% or more, and still more preferably 99.95% or more.

편광자의 두께는, 임의의 적절한 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두께는, 대표적으로는 0.5 ㎛ 이상 80 ㎛ 이하이고, 바람직하게는 30 ㎛ 이하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25 ㎛ 이하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18 ㎛ 이하이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12 ㎛ 이하이고, 특히 더욱 바람직하게는 8 ㎛ 미만이다. 두께의 하한값은 바람직하게는 1 ㎛ 이상이다. 두께가 얇을수록, 탈색에 의해 비염색부를 양호하게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후술하는 염기성 용액을 접촉시킬 때, 보다 단시간에 비염색부를 형성할 수 있다. 또, 염기성 용액을 접촉시킨 부분의 두께가 다른 부분보다 얇아지는 경우가 있다. 두께가 얇음으로써, 염기성 용액에 접촉시킨 부분과 다른 부분의 두께의 차를 작게 할 수 있다.The thickness of the polarizer can be set to any suitable value. The thickness is typically 0.5 µm or more and 80 µm or less, preferably 30 µm or less, more preferably 25 µm or less, still more preferably 18 µm or less, particularly preferably 12 µm or less, particularly More preferably, it is less than 8 μm. The lower limit of the thickness is preferably 1 µm or more. The thinner the thickness, the better the undyed portion can be formed by decolorization. For example, when the basic solution described later is brought into contact, a non-dyed portion can be formed in a shorter time. In addition, the thickness of the portion contacted with the basic solution may become thinner than that of other portions. By being thin,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difference in thickness between the portion contacted with the basic solution and the other portion.

비염색부가 탈색부인 경우, 탈색부의 이색성 물질의 함유량은, 바람직하게는 1.0 중량%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0.5 중량%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0.2 중량% 이하이다. 탈색부의 이색성 물질의 함유량이 이와 같은 범위이면, 비염색부 (탈색부) 에 원하는 투명성을 충분히 부여할 수 있다. 한편, 비염색부의 이색성 물질의 함유량의 하한값은, 통상, 검출 한계값 이하이다. 또한, 이색성 물질로서 요오드를 사용하는 경우, 요오드 함유량은, 예를 들어, 형광 X 선 분석으로 측정한 X 선 강도로부터, 미리 표준 시료를 사용하여 작성한 검량선에 의해 구해진다.When the non-dyed portion is a decolorized portion, the content of the dichroic substance in the decolored portion is preferably 1.0% by weight or less, more preferably 0.5% by weight or less, and still more preferably 0.2% by weight or less. When the content of the dichroic substance in the decolorization portion is such a range, desired transparency can be sufficiently imparted to the undyed portion (decolorization portion). On the other hand, the lower limit of the content of the dichroic substance in the undyed portion is usually less than or equal to the detection limit. In addition, when iodine is used as the dichroic substance, the iodine content is obtained by a calibration curve previously prepared using a standard sample from the X-ray intensity measured by fluorescence X-ray analysis, for example.

B. 편광자의 제조 방법B. Manufacturing method of polarizer

본 발명의 편광자는 임의의 적절한 방법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지 필름에 팽윤 처리, 연신 처리, 요오드 등의 이색성 물질에 의한 염색 처리, 가교 처리, 세정 처리, 건조 처리 등의 각종 처리를 실시함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비염색부가 염색 처리를 실시하지 않음으로써 형성되는 경우, 임의의 적절한 보호재를 사용하여 비염색부가 되는 부분을 보호한 상태에서 염색 처리 등의 각종 처리를 실시함으로써, 비염색부를 형성할 수 있다. 또, 비염색부가 탈색부인 경우, 염색 처리를 실시한 편광자의 외측 가장자리를 따른 전체 둘레에 탈색 처리를 실시함으로써, 비염색부를 형성할 수 있다. 대표적으로는, 매엽 (枚葉) 으로 절단된 편광자에 탈색 처리를 실시함으로써, 비염색부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각종 처리를 실시할 때, 수지 필름은, 기재 상에 형성된 수지층이어도 된다. 기재와 수지층의 적층체는, 예를 들어, 상기 수지 필름의 형성 재료를 포함하는 도포액을 기재에 도포하는 방법, 기재에 수지 필름을 적층하는 방법 등에 의해 얻을 수 있다.The polarizer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manufactured by any suitable method. For example, it can be manufactured by subjecting a resin film to various treatments such as swelling treatment, stretching treatment, dyeing treatment with a dichroic substance such as iodine, crosslinking treatment, washing treatment, and drying treatment. When the non-dyed part is formed by not performing the dyeing treatment, the non-dyed part can be formed by performing various treatments such as dyeing treatment while protecting the part to be the non-dyed part using any suitable protective material. In addition, when the undyed portion is a decolored portion, the undyed portion can be formed by performing decolorization treatment around the entire periphery along the outer edge of the dyed polarizer. Typically, a non-dyed portion can be formed by subjecting the polarizer cut into a single leaf to be subjected to a decolorization treatment. In addition, when performing various treatments, the resin film may be a resin layer formed on the substrate. The laminate of the substrate and the resin layer can be obtained, for example, by a method of applying a coating liquid containing the material for forming the resin film to the substrate, a method of laminating a resin film on the substrate, or the like.

염색 처리는, 대표적으로는 이색성 물질을 흡착시킴으로써 실시한다. 당해 흡착 방법으로는, 예를 들어, 이색성 물질을 포함하는 염색액에 수지 필름을 침지시키는 방법, 수지 필름에 당해 염색액을 도공하는 방법, 당해 염색액을 수지 필름에 분무하는 방법 등을 들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염색액에 수지 필름을 침지시키는 방법이다. 이색성 물질이 양호하게 흡착될 수 있기 때문이다.The dyeing treatment is typically performed by adsorbing a dichroic substance. Examples of the adsorption method include a method of immersing a resin film in a dyeing solution containing a dichroic substance, a method of applying the dyeing solution to a resin film, and a method of spraying the dyeing solution onto a resin film. I can. Preferably, it is a method of immersing the resin film in the dyeing solution. This is because the dichroic material can be adsorbed well.

이색성 물질로는, 예를 들어, 요오드, 유기 염료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 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해도 된다. 바람직하게는 요오드가 사용된다. 후술하는 염기성 용액과의 접촉에 의해, 비염색부가 양호하게 형성될 수 있기 때문이다.As a dichroic substance, iodine, an organic dye, etc. are mentioned, for example. These may be used alone or in combination of two or more. Preferably iodine is used. This is because a non-dyed portion can be formed satisfactorily by contact with a basic solution described later.

염색 처리를 실시하지 않음으로써 비염색부를 형성하는 경우, 수지 필름의 외측 가장자리를 따른 전체 둘레 (비염색부에 상당하는 부분) 를, 임의의 적절한 보호재로 보호하고, 염색 처리를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수지 필름의 보호재로는, 예를 들어, 보호 필름, 표면 보호 필름을 들 수 있다. 보호 필름은, 편광자의 보호 필름으로서 그대로 이용될 수 있는 것이다. 표면 보호 필름은, 편광자의 제조시에 일시적으로 사용되는 것이다. 표면 보호 필름은, 임의의 적절한 타이밍에 수지 필름으로부터 제거되기 때문에, 대표적으로는, 수지 필름에 점착제층을 개재하여 첩합 (貼合) 된다. 보호재의 다른 구체예로는, 포토레지스트 등을 들 수 있다.In the case of forming the undyed portion by not performing the dyeing treatment, it is preferable to protect the entire periphery (the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undyed portion) along the outer edge of the resin film with an arbitrary suitable protective material, and to perform the dyeing treatment . Specifically, as a protective material of a resin film, a protective film and a surface protective film are mentioned, for example. The protective film can be used as it is as a protective film of a polarizer. The surface protection film is temporarily used at the time of manufacture of a polarizer. Since the surface protection film is removed from the resin film at any appropriate timing, typically, it is bonded to the resin film through an adhesive layer. As another specific example of a protective material, a photoresist etc. are mentioned.

이색성 물질로서 요오드를 사용하는 경우, 염색액으로는, 요오드 수용액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요오드의 배합량은, 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바람직하게는 0.04 중량부 ∼ 5.0 중량부이다. 요오드의 물에 대한 용해도를 높이기 위해, 요오드 수용액에 요오드화물을 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요오드화물로는, 요오드화칼륨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요오드화물의 배합량은, 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바람직하게는 0.3 중량부 ∼ 15 중량부이다.When iodine is used as the dichroic substance, an aqueous iodine solution is preferably used as the dyeing solution. The blending amount of iodine is preferably 0.04 parts by weight to 5.0 parts by weigh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water. In order to increase the solubility of iodine in water, it is preferable to mix iodide with an aqueous iodine solution. As the iodide, potassium iodide is preferably used. The blending amount of iodide is preferably 0.3 parts by weight to 15 parts by weigh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water.

상기 연신 처리에 있어서, 수지 필름은, 대표적으로는 3 배 ∼ 7 배로 1 축 연신된다. 또한, 연신 방향은, 얻어지는 편광자의 흡수축 방향에 대응할 수 있다.In the said extending|stretching process, a resin film is uniaxially stretched typically 3 times-7 times. In addition, the stretching direction can correspond to the absorption axis direction of the obtained polarizer.

비염색부가 탈색부인 경우, 편광자의 탈색은 임의의 적절한 방법으로 실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레이저에 의한 탈색, 또는 염기성 화합물을 포함하는 염기성 용액과의 접촉 등을 들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염기성 용액과의 접촉이다. 염기성 용액과의 접촉에 의해 비염색부를 형성함으로써, 시간 경과적으로 비염색부의 투명성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비염색부의 강도가 향상될 수 있다. 또, 비염색부의 배리어성을 향상시켜, 편광자의 색 빠짐을 방지할 수 있다.When the non-dyed portion is a decolored portion, decolorization of the polarizer can be performed by any suitable method. For example, decolorization by laser, or contact with a basic solution containing a basic compound, etc. are mentioned. It is preferably contact with a basic solution. By forming the undyed portion by contact with the basic solution, the transparency of the undyed portion can be maintained over time. In addition, the strength of the undyed portion may be improved. Further, the barrier property of the non-dyed portion can be improved, and color loss of the polarizer can be prevented.

염기성 용액의 접촉 방법으로는, 임의의 적절한 방법이 채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지 필름에 대해, 염기성 용액을 적하, 도공, 스프레이하는 방법, 수지 필름을 염기성 용액에 침지시키는 방법을 들 수 있다.As the contact method of the basic solution, any suitable method can be employed. For example, a method of dripping, coating, and spraying a basic solution with respect to a resin film, and a method of immersing a resin film in a basic solution are mentioned.

염기성 용액의 접촉시에, 원하는 부위 이외에 염기성 용액이 접촉하지 않게 (탈색되지 않게), 임의의 적절한 보호재로 편광자를 보호해도 된다. 보호재로는, 상기의 비염색 부분을 보호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보호재를 들 수 있다.When the basic solution is contacted, the polarizer may be protected with any suitable protective material so that the basic solution does not contact (not decolorized) other than the desired site. As the protective material, a protective material used to protect the non-dyed portion can be mentioned.

상기 염기성 화합물로는, 임의의 적절한 염기성 화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염기성 화합물로는, 예를 들어, 수산화나트륨, 수산화칼륨, 수산화리튬 등의 알칼리 금속의 수산화물, 수산화칼슘 등의 알칼리 토금속의 수산화물, 탄산나트륨 등의 무기 알칼리 금속염, 아세트산나트륨 등의 유기 알칼리 금속염, 암모니아수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바람직하게는 알칼리 금속 및/또는 알칼리 토금속의 수산화물이 사용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수산화나트륨, 수산화칼륨, 수산화리튬이 사용된다. 이색성 물질을 효율적으로 이온화할 수 있고, 보다 간편하게 비염색부를 형성할 수 있다. 이들 염기성 화합물은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 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해도 된다.As the basic compound, any suitable basic compound can be used. Examples of the basic compound include hydroxides of alkali metals such as sodium hydroxide, potassium hydroxide, and lithium hydroxide, hydroxides of alkaline earth metals such as calcium hydroxide, inorganic alkali metal salts such as sodium carbonate, organic alkali metal salts such as sodium acetate, and aqueous ammonia. Can be lifted. Among these, a hydroxide of an alkali metal and/or an alkaline earth metal is preferably used, and sodium hydroxide, potassium hydroxide, and lithium hydroxide are more preferably used. The dichroic material can be efficiently ionized, and a non-dyed portion can be formed more easily. These basic compounds may be used alone or in combination of two or more.

염기성 용액의 용매로는, 임의의 적절한 용매를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물, 에탄올, 메탄올 등의 알코올, 에테르, 벤젠, 클로로포름, 및 이들의 혼합 용매를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이온화된 이색성 물질이 양호하게 용매로 이행할 수 있으므로, 물, 알코올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As the solvent of the basic solution, any suitable solvent can be used. Specifically, alcohols such as water, ethanol and methanol, ether, benzene, chloroform, and mixed solvents thereof are mentioned. Among these, water and alcohol are preferably used because the ionized dichroic substance can transfer favorably to the solvent.

염기성 용액의 농도는, 예를 들어, 0.01 N ∼ 5 N 이고, 바람직하게는 0.05 N ∼ 3 N 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1 N ∼ 2.5 N 이다. 농도가 이와 같은 범위이면, 원하는 비염색부가 양호하게 형성될 수 있다.The concentration of the basic solution is, for example, 0.01 N to 5 N, preferably 0.05 N to 3 N, and more preferably 0.1 N to 2.5 N. If the concentration is in such a range, the desired undyed portion can be formed satisfactorily.

염기성 용액의 액온은, 예를 들어, 20 ℃ ∼ 50 ℃ 이다. 수지 필름과 염기성 용액의 접촉 시간은, 수지 필름의 두께나, 염기성 화합물의 종류, 및 염기성 용액의 농도에 따라 설정할 수 있고, 예를 들어, 5 초간 ∼ 30 분간이다.The liquid temperature of the basic solution is, for example, from 20°C to 50°C. The contact time between the resin film and the basic solution can be set depending on the thickness of the resin film, the type of the basic compound, and the concentration of the basic solution, and is, for example, from 5 seconds to 30 minutes.

수지 필름에 염기성 용액을 접촉시킴으로써, 접촉부에 알칼리 금속 및/또는 알칼리 토금속의 수산화물이 잔존할 수 있다. 또, 수지 필름에 염기성 용액을 접촉시킴으로써, 접촉부에 알칼리 금속 및/또는 알칼리 토금속의 금속염이 생성될 수 있다. 이들은 수산화물 이온을 생성할 수 있고, 생성한 수산화물 이온은, 접촉부 주위에 존재하는 이색성 물질 (예를 들어, 요오드 착물) 에 작용 (분해·환원) 하여, 비염색 영역을 넓힐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염기성 용액과의 접촉 후, 염기성 용액을 접촉시킨 접촉부에 있어서, 수지 필름에 포함되는 알칼리 금속 및/또는 알칼리 토금속을 저감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알칼리 금속 및/또는 알칼리 토금속을 저감시킴으로써, 치수 안정성이 우수한 비염색부를 얻을 수 있다.By bringing the basic solution into contact with the resin film, an alkali metal and/or alkaline earth metal hydroxide may remain in the contact portion. Further, by contacting the resin film with the basic solution, a metal salt of an alkali metal and/or an alkaline earth metal can be generated in the contact portion. These can generate hydroxide ions, and the generated hydroxide ions act on (decompose and reduce) a dichroic substance (eg, an iodine complex) existing around the contact portion, thereby widening the non-dyed region. Therefore, it is preferable to reduce the alkali metal and/or alkaline earth metal contained in the resin film in the contact portion to which the basic solution is brought into contact after the contact with the basic solution. By reducing the alkali metal and/or alkaline earth metal, a non-dyed portion excellent in dimensional stability can be obtained.

상기 저감 방법으로는, 바람직하게는, 염기성 용액과의 접촉부에 처리액을 접촉시키는 방법이 사용된다. 이와 같은 방법에 의하면, 수지 필름에서 처리액으로 알칼리 금속 및/또는 알칼리 토금속을 이행시켜, 그 함유량을 저감시킬 수 있다.As the reduction method, a method of bringing a treatment liquid into contact with a contact portion with a basic solution is preferably used. According to such a method, the alkali metal and/or alkaline earth metal can be transferred from the resin film to the treatment liquid, and the content thereof can be reduced.

처리액의 접촉 방법으로는, 임의의 적절한 방법이 채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염기성 용액과의 접촉부에 대해, 처리액을 적하, 도공, 스프레이하는 방법, 염기성 용액과의 접촉부를 처리액에 침지시키는 방법을 들 수 있다.As a method of contacting the treatment liquid, any suitable method may be employed. For example, a method of dropping, coating, and spraying a treatment liquid on a contact portion with a basic solution, and a method of immersing the contact portion with a basic solution in the treatment liquid.

염기성 용액의 접촉시에, 임의의 적절한 보호재로 수지 필름을 보호했을 경우, 그대로의 상태에서 처리액을 접촉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처리액의 온도가 50 ℃ 이상인 경우). 이와 같은 형태에 의하면, 염기성 용액과의 접촉부 이외의 부위에 있어서, 처리액에 의한 편광 특성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When the resin film is protected by any suitable protective material at the time of contact with the basic solution, it is preferable to contact the treatment liquid as it is (in particular, when the temperature of the treatment liquid is 50°C or higher). According to such an aspect, it is possible to prevent a decrease in polarization characteristics due to the treatment liquid in a portion other than the contact portion with the basic solution.

상기 처리액은, 임의의 적절한 용매를 포함할 수 있다. 용매로는, 예를 들어, 물, 에탄올, 메탄올 등의 알코올, 에테르, 벤젠, 클로로포름, 및 이들의 혼합 용매를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알칼리 금속 및/또는 알칼리 토금속을 효율적으로 이행시키는 관점에서, 물, 알코올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물로는, 임의의 적절한 물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돗물, 순수, 탈이온수 등을 들 수 있다.The treatment liquid may contain any suitable solvent. Examples of the solvent include alcohols such as water, ethanol, and methanol, ether, benzene, chloroform, and mixed solvents thereof. Among these, water and alcohol are preferably used from the viewpoint of efficiently transferring an alkali metal and/or an alkaline earth metal. As water, any suitable water can be used. For example, tap water, pure water, deionized water, etc. are mentioned.

접촉시의 처리액의 온도는, 예를 들어 20 ℃ 이상이고, 바람직하게는 50 ℃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60 ℃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70 ℃ 이상이다. 이와 같은 온도이면, 알칼리 금속 및/또는 알칼리 토금속을 처리액에 효율적으로 이행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수지 필름의 팽윤율을 현저하게 향상시켜, 수지 필름 내의 알칼리 금속 및/또는 알칼리 토금속을 물리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한편, 물의 온도는, 실질적으로는 95 ℃ 이하이다.The temperature of the treatment liquid upon contact is, for example, 20°C or higher, preferably 50°C or higher, more preferably 60°C or higher, and still more preferably 70°C or higher. At such a temperature, the alkali metal and/or alkaline earth metal can be efficiently transferred to the treatment liquid. Specifically, the swelling ratio of the resin film can be remarkably improved, and the alkali metal and/or alkaline earth metal in the resin film can be physically removed. On the other hand, the temperature of water is substantially 95°C or less.

접촉 시간은, 접촉 방법, 처리액 (물) 의 온도, 수지 필름의 두께 등에 따라, 적절히 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온수에 침지시키는 경우, 접촉 시간은, 바람직하게는 10 초 ∼ 30 분, 보다 바람직하게는 30 초 ∼ 15 분, 더욱 바람직하게는 60 초 ∼ 10 분이다.The contact time can be appropriately adjusted depending on the contact method, the temperature of the treatment liquid (water), the thickness of the resin film, and the like. For example, in the case of immersion in hot water, the contact time is preferably 10 seconds to 30 minutes, more preferably 30 seconds to 15 minutes, and still more preferably 60 seconds to 10 minutes.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처리액으로서 산성 용액이 사용된다. 산성 용액을 사용함으로써, 수지 필름에 잔존하는 알칼리 금속 및/또는 알칼리 토금속의 수산화물을 중화시켜, 수지 필름 내의 알칼리 금속 및/또는 알칼리 토금속을 화학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an acidic solution is used as the treatment liquid. By using an acidic solution, the alkali metal and/or alkaline earth metal hydroxide remaining in the resin film can be neutralized, and the alkali metal and/or alkaline earth metal in the resin film can be chemically removed.

산성 용액에 포함되는 산성 화합물로는, 임의의 적절한 산성 화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산성 화합물로는, 예를 들어, 염산, 황산, 질산, 불화수소, 붕산 등의 무기산, 포름산, 옥살산, 시트르산, 아세트산, 벤조산 등의 유기산 등을 들 수 있다. 산성 용액에 포함되는 산성 화합물은, 바람직하게는 무기산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염산, 황산, 질산이다. 이들 산성 화합물은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 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해도 된다.As the acidic compound contained in the acidic solution, any suitable acidic compound can be used. Examples of the acidic compound include inorganic acids such as hydrochloric acid, sulfuric acid, nitric acid, hydrogen fluoride, and boric acid, and organic acids such as formic acid, oxalic acid, citric acid, acetic acid and benzoic acid. The acidic compound contained in the acidic solution is preferably an inorganic acid, more preferably hydrochloric acid, sulfuric acid, or nitric acid. These acidic compounds may be used alone or in combination of two or more.

바람직하게는, 산성 화합물로서, 붕산보다 산성도가 강한 산성 화합물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알칼리 금속 및/또는 알칼리 토금속의 금속염 (붕산염) 에도 작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 구체적으로는, 붕산염으로부터 붕산을 유리시키고, 수지 필름 내의 알칼리 금속 및/또는 알칼리 토금속을 화학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Preferably, as the acidic compound, an acidic compound having a stronger acidity than boric acid is preferably used. This is because it can act on a metal salt (borate) of an alkali metal and/or an alkaline earth metal. Specifically, boric acid can be released from a boric acid salt, and alkali metal and/or alkaline earth metal in the resin film can be chemically removed.

상기 산성도의 지표로는, 예를 들어, 산해리 정수 (定數) (pKa) 를 들 수 있고, 붕산의 pKa (9.2) 보다 pKa 가 작은 산성 화합물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구체적으로는, pKa 는, 바람직하게는 9.2 미만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5 이하이다. pKa 는 임의의 적절한 측정 장치를 사용하여 측정해도 되고, 화학 편람 기초편 개정 5 판 (일본 화학회편, 마루젠 출판) 등의 문헌에 기재된 값을 참조해도 된다. 또, 다단 해리되는 산성 화합물에서는, 각 단계에서 pKa 의 값이 바뀔 수 있다. 이와 같은 산성 화합물을 사용하는 경우, 각 단계의 pKa 의 값 중 어느 것이 상기의 범위 내인 것이 사용된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pKa 는 25 ℃ 의 수용액에 있어서의 값을 말한다.As an index of the acidity, an acid dissociation constant (pKa) is mentioned, for example, and an acidic compound having a smaller pKa than the pKa (9.2) of boric acid is preferably used. Specifically, pKa is preferably less than 9.2, more preferably 5 or less. The pKa may be measured using any suitable measuring device, or a value described in literature such as the 5th edition of the Basic Edition of the Chemical Handbook (Japanese Chemical Society, Maruzen Publication) may be referred to. In addition, in an acidic compound that dissociates in multiple stages, the value of pKa may change in each step. In the case of using such an acidic compound, any of the values of pKa in each step is used within the above range. In addition, in this specification, pKa means the value in 25 degreeC aqueous solution.

산성 화합물의 pKa 와 붕산의 pKa 의 차는, 예를 들어 2.0 이상이고, 바람직하게는 2.5 ∼ 15 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2.5 ∼ 13 이다. 이와 같은 범위이면, 알칼리 금속 및/또는 알칼리 토금속을 처리액에 효율적으로 이행시킬 수 있고, 결과적으로, 비염색부에 있어서의 원하는 알칼리 금속 및/또는 알칼리 토금속 함유량을 실현할 수 있다.The difference between the pKa of the acidic compound and the pKa of boric acid is, for example, 2.0 or more, preferably 2.5 to 15, and more preferably 2.5 to 13. In such a range, the alkali metal and/or alkaline earth metal can be efficiently transferred to the treatment liquid, and as a result, the desired content of the alkali metal and/or alkaline earth metal in the undyed portion can be realized.

상기 pKa 를 만족시킬 수 있는 산성 화합물로는, 예를 들어, 염산 (pKa : -3.7), 황산 (pK2 : 1.96), 질산 (pKa : -1.8), 불화수소 (pKa : 3.17), 붕산 (pKa : 9.2) 등의 무기산, 포름산 (pKa : 3.54), 옥살산 (pK1 : 1.04, pK2 : 3.82), 시트르산 (pK1 : 3.09, pK2 : 4.75, pK3 : 6.41), 아세트산 (pKa : 4.8), 벤조산 (pKa : 4.0) 등의 유기산 등을 들 수 있다.As an acidic compound capable of satisfying the pKa, for example, hydrochloric acid (pKa: -3.7), sulfuric acid (pK 2 : 1.96), nitric acid (pKa: -1.8), hydrogen fluoride (pKa: 3.17), boric acid ( Inorganic acids such as pKa: 9.2), formic acid (pKa: 3.54), oxalic acid (pK 1 : 1.04, pK 2 : 3.82), citric acid (pK 1 : 3.09, pK 2 : 4.75, pK 3 : 6.41), acetic acid (pKa: 4.8) and organic acids such as benzoic acid (pKa: 4.0), and the like.

또한, 산성 용액 (처리액) 의 용매는 상기 서술한 바와 같고, 처리액으로서 산성 용액을 사용하는 본 형태에 있어서도, 상기 수지 필름 내의 알칼리 금속 및/또는 알칼리 토금속의 물리적인 제거는 일어날 수 있다.In addition, the solvent of the acidic solution (treatment liquid) is as described above, and also in this embodiment in which an acidic solution is used as the treatment liquid, physical removal of the alkali metal and/or alkaline earth metal in the resin film may occur.

상기 산성 용액의 농도는, 예를 들어, 0.01 N ∼ 5 N 이고, 바람직하게는 0.05 N ∼ 3 N 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1 N ∼ 2.5 N 이다.The concentration of the acidic solution is, for example, 0.01 N to 5 N, preferably 0.05 N to 3 N, and more preferably 0.1 N to 2.5 N.

상기 산성 용액의 액온은, 예를 들어 20 ℃ ∼ 50 ℃ 이다. 산성 용액에 대한 접촉 시간은, 수지 필름의 두께나, 산성 화합물의 종류, 및 산성 용액의 농도에 따라 설정할 수 있고, 예를 들어, 5 초간 ∼ 30 분간이다.The liquid temperature of the acidic solution is, for example, 20°C to 50°C. The contact time with respect to the acidic solution can be set according to the thickness of the resin film, the kind of the acidic compound, and the concentration of the acidic solution, and is, for example, from 5 seconds to 30 minutes.

본 발명의 편광자는, 이색성 물질을 포함하는 수지 필름에 이들 처리가 실시됨으로써 얻어질 수 있다. 또한, 수지 필름은 상기 처리 이외에, 임의의 적절한 다른 처리를 추가로 실시할 수 있다. 다른 처리로는, 염기성 용액 및/또는 산성 용액의 제거, 그리고 세정 등을 들 수 있다.The polarizer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obtained by subjecting a resin film containing a dichroic substance to these treatments. In addition, the resin film can be further subjected to any appropriate other treatment in addition to the above treatment. Other treatments include removal of a basic solution and/or an acidic solution, and washing.

염기성 용액 및/또는 산성 용액의 제거 방법의 구체예로는, 웨이스트 등에 의한 닦아내기 제거, 흡인 제거, 자연 건조, 가열 건조, 송풍 건조, 감압 건조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건조 온도는, 예를 들어, 20 ℃ ∼ 100 ℃ 이다.Specific examples of the method of removing the basic solution and/or the acidic solution include wiping removal by waste or the like, suction removal, natural drying, heat drying, air drying, vacuum drying, and the like. The drying temperature is, for example, from 20°C to 100°C.

세정 처리는 임의의 적절한 방법에 의해 실시된다. 세정 처리에 사용하는 용액은, 예를 들어, 순수, 메탄올, 에탄올 등의 알코올, 산성 수용액, 및 이들의 혼합 용매 등을 들 수 있다. 세정 처리는 임의의 적절한 단계에서 실시될 수 있다. 세정 처리는 복수회 실시해도 된다.The cleaning treatment is carried out by any suitable method. Examples of the solution used for the washing treatment include pure water, alcohol such as methanol and ethanol, an acidic aqueous solution, and a mixed solvent thereof. The cleaning treatment can be carried out in any suitable step. The washing treatment may be performed a plurality of times.

C. 편광판C. Polarizer

본 발명의 편광판은, 상기 편광자를 갖는다. 본 발명의 편광판은, 대표적으로는, 적어도 그 편측에 보호 필름을 적층시켜 사용된다. 보호 필름의 형성 재료로는, 예를 들어, 디아세틸셀룰로오스,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 등의 셀룰로오스계 수지, (메트)아크릴계 수지, 시클로올레핀계 수지, 폴리프로필렌 등의 올레핀계 수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계 수지 등의 에스테르계 수지, 폴리아미드계 수지,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이들의 공중합체 수지 등을 들 수 있다.The polarizing plate of this invention has the said polarizer. The polarizing plat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ypically used by laminating a protective film on at least one side thereof. Examples of the material for forming the protective film include cellulose resins such as diacetyl cellulose and triacetyl cellulose, (meth)acrylic resins, cycloolefin resins, olefin resins such as polypropylene, polyethylene terephthalate resins, etc. Ester resins, polyamide resins, polycarbonate resins, and copolymer resins thereof.

보호 필름의 편광자를 적층시키지 않는 면에는, 표면 처리층으로서, 하드 코트층, 반사 방지 처리층, 확산 내지 안티글레어를 목적으로 한 처리층이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On the surface of the protective film on which the polarizer is not laminated, as a surface treatment layer, a hard coat layer, an antireflection treatment layer, and a treatment layer for the purpose of diffusion or anti-glare may be formed.

보호 필름의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10 ㎛ ∼ 100 ㎛ 이다. 보호 필름은, 대표적으로는, 접착층 (구체적으로는, 접착제층, 점착제층) 을 개재하여 편광자에 적층된다. 접착제층은, 대표적으로는 PVA 계 접착제나 활성화 에너지선 경화형 접착제로 형성된다. 점착제층은, 대표적으로는 아크릴계 점착제로 형성된다.The thickness of the protective film is preferably 10 µm to 100 µm. The protective film is typically laminated on a polarizer via an adhesive layer (specifically, an adhesive layer, an adhesive layer). The adhesive layer is typically formed of a PVA-based adhesive or an activated energy ray-curable adhesive.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is typically formed of an acrylic pressure-sensitive adhesive.

D. 화상 표시 장치D. Image display device

본 발명의 화상 표시 장치는, 상기 편광판을 구비한다. 화상 표시 장치로는, 예를 들어, 액정 표시 장치, 유기 EL 디바이스를 들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액정 표시 장치는, 액정 셀과, 이 액정 셀의 편측 혹은 양측에 배치된 상기 편광자를 포함하는 액정 패널을 구비한다. 유기 EL 디바이스는, 시인측에 상기 편광자가 배치된 유기 EL 패널을 구비한다.The image display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polarizing plate. As an image display device,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an organic EL device are mentioned, for example. Specifically,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includes a liquid crystal cell and a liquid crystal panel including the polarizer disposed on one or both sides of the liquid crystal cell. The organic EL device includes an organic EL panel in which the polarizer is disposed on the viewing side.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편광자는 편광자의 외측 가장자리를 따른 전체 둘레에 비염색부가 형성되어 있다. 그 때문에, 화상 표시 장치의 둘레 가장자리부의 색채가 제한되지 않는다. 그 때문에, 보다 디자인성이 우수한 화상 표시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 카메라 및 센서 등의 기능이 방해되는 것을 방지하여 각종 기능을 보다 고도로 발휘시키는 것이 가능한 화상 표시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polarizer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non-dyed portion formed around the entire circumference along the outer edge of the polarizer. Therefore, the color of the peripheral edge portion of the image display device is not limited. Therefore, an image display device having more excellent design can be provided.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n image display device capable of exhibiting various functions more highly by preventing the functions of cameras and sensors from being obstructed.

본 발명의 편광자는, 액정 표시 장치, 유기 EL 디바이스 등의 화상 표시 장치에 바람직하게 사용된다.The polarize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eferably used in image display devices such as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s and organic EL devices.

10 편광자
11 비염색부
12 염색부
10 polarizer
11 Undyed area
12 Dyeing area

Claims (6)

염색부와 비염색부를 갖는 편광자로서,
상기 비염색부가 상기 편광자의 외측 가장자리를 따른 전체 둘레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비염색부의 폭이 1 ㎜ 이상인, 편광자.
As a polarizer having a dyed portion and a non-dyed portion,
The non-dyed portion is formed around the entire circumference along the outer edge of the polarizer,
A polarizer having a width of 1 mm or more of the undyed portio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비염색부가 탈색부인, 편광자.
The method of claim 1,
The non-dyed portion is a decolored portion, a polarizer.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기재된 편광자를 구비하는 편광판.A polarizing plate comprising the polarizer according to claim 1 or 2. 제 5 항에 기재된 편광판을 구비하는 화상 표시 장치.An image display device comprising the polarizing plate according to claim 5.
KR1020190091871A 2018-08-01 2019-07-29 Polarizer, polarizing plate, and image display apparatus KR102205072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8-145030 2018-08-01
JP2018145030A JP2020020973A (en) 2018-08-01 2018-08-01 Polarizer, polarizing plate, and image display de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14701A KR20200014701A (en) 2020-02-11
KR102205072B1 true KR102205072B1 (en) 2021-01-19

Family

ID=694274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91871A KR102205072B1 (en) 2018-08-01 2019-07-29 Polarizer, polarizing plate, and image display apparatus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2020020973A (en)
KR (1) KR102205072B1 (en)
CN (1) CN110794501A (en)
TW (1) TWI719528B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211548A (en) * 2013-04-19 2014-11-13 住友化学株式会社 Production method of polarizing laminate film having region showing no polarizance, and polarizing plate
JP2015194776A (en) * 2015-07-30 2015-11-05 日東電工株式会社 Polarizing plat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143668B2 (en) 2010-10-29 2015-09-22 Apple Inc. Camera lens structures and display structures for electronic devices
US9618669B2 (en) * 2013-11-08 2017-04-11 Apple Inc. Electronic device display with polarizer windows
WO2015147551A1 (en) * 2014-03-26 2015-10-01 주식회사 엘지화학 Method for manufacturing polarizing members comprising locally bleached region, method for manufacturing polarizing member roll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ingle-type polarizing members
JP6215262B2 (en) * 2014-06-27 2017-10-18 日東電工株式会社 Manufacturing method of long polarizer
WO2016003107A1 (en) * 2014-06-30 2016-01-07 주식회사 엘지화학 Polarizing plate and preparation method for same
CN106662695B (en) * 2014-10-06 2019-09-13 株式会社Lg化学 For manufacturing the method for polarizing film and using the polarizing film of its manufacture
JP6525587B2 (en) * 2014-12-26 2019-06-05 日東電工株式会社 Method of manufacturing polarizing plate
JP6152128B2 (en) * 2015-02-16 2017-06-21 日東電工株式会社 Manufacturing method of polarizer
JP6872312B2 (en) * 2015-09-30 2021-05-19 日東電工株式会社 Method for manufacturing polarizing plate
JP6188845B2 (en) * 2016-02-22 2017-08-30 住友化学株式会社 Polarizing plate and image display device
JP6684630B2 (en) * 2016-03-31 2020-04-22 住友化学株式会社 Polarizing plat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polarizing plate
JP6945286B2 (en) * 2016-09-13 2021-10-06 日東電工株式会社 Polarizer manufacturing method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211548A (en) * 2013-04-19 2014-11-13 住友化学株式会社 Production method of polarizing laminate film having region showing no polarizance, and polarizing plate
JP2015194776A (en) * 2015-07-30 2015-11-05 日東電工株式会社 Polarizing plat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14701A (en) 2020-02-11
TWI719528B (en) 2021-02-21
TW202008016A (en) 2020-02-16
JP2020020973A (en) 2020-02-06
CN110794501A (en) 2020-0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686627B (en) Polarizer, polarizer and image display device
KR102337923B1 (en) Polarizer, polarizing plate, and image display apparatus
KR102337921B1 (en) Polarizer, polarizing plate, and image display apparatus
US10782462B2 (en) Polarizer, polarizing plate, and image display apparatus
KR101868676B1 (en) Polarizer production method
TW202032172A (en) Polarize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KR102205074B1 (en) Method of producing polarizer
KR102193246B1 (en) Polarizer, polarizing plate, and image display apparatus
KR102205072B1 (en) Polarizer, polarizing plate, and image display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