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04783B1 - 딥러닝 기반의 빔포밍 통신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딥러닝 기반의 빔포밍 통신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04783B1
KR102204783B1 KR1020200084794A KR20200084794A KR102204783B1 KR 102204783 B1 KR102204783 B1 KR 102204783B1 KR 1020200084794 A KR1020200084794 A KR 1020200084794A KR 20200084794 A KR20200084794 A KR 20200084794A KR 102204783 B1 KR102204783 B1 KR 1022047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terminal
reference signal
base station
reception power
signal recep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847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문상미
김현성
황인태
Original Assignee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000847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0478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047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04783B1/ko
Priority to US17/219,203 priority patent/US11304063B2/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6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 H04B7/0613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 H04B7/0615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 H04B7/0617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for beam form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6/00Network planning, e.g. coverage or traffic planning tools; Network deployment, e.g. resource partitioning or cells structures
    • H04W16/22Traffic simulation tools or models
    • H04W16/225Traffic simulation tools or models for indoor or short range network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N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SPECIFIC COMPUTATIONAL MODELS
    • G06N3/00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biological models
    • G06N3/02Neural networks
    • G06N3/08Learning metho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7/00Monitoring; Testing
    • H04B17/30Monitoring; Testing of propagation channels
    • H04B17/309Measuring or estimating channel quality parameters
    • H04B17/318Received signal strength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413MIMO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6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 H04B7/0613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 H04B7/0615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 H04B7/0619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using feedback from receiving side
    • H04B7/0621Feedback content
    • H04B7/0634Antenna weights or vector/matrix coeffici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6/00Network planning, e.g. coverage or traffic planning tools; Network deployment, e.g. resource partitioning or cells structures
    • H04W16/24Cell structures
    • H04W16/28Cell structures using beam steering

Abstract

본 발명은 밀리미터파 통신을 이용한 실내 환경에서의 딥러닝 기반의 빔포밍 통신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기지국에서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로 전송한 기준신호에 대한 응답으로 각각의 사용자 단말로부터 사용자 단말의 위치 별 기준신호수신전력 및 위치 정보를 수신하여 핑거프린팅 DB를 구축하고, 구축된 핑거프린팅 데이터에서 사용자 단말의 위치 별 기준신호수신전력을 기반으로 사용자 모델 및 기지국과 사용자 단말 사이에 위치한 각 장애물에 따른 기준신호수신전력을 기반으로 장애물 모델을 구축한다.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로부터 위치 정보와 데이터 트래픽을 수신하여 수신된 데이터 트래픽에 대응하는 사용자 단말의 빔 인덱스를 심층신경망으로부터 도출 및 도출된 빔 인덱스로 기지국과 사용자 간의 통신 채널을 형성하여 실내 통신 환경에서 신뢰도 및 데이터 전송률을 향상시킨다.

Description

딥러닝 기반의 빔포밍 통신 시스템 및 방법 {DEEP LEARNING-BASED BEAMFORMING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본 발명은 딥러닝 기반의 빔포밍 통신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세는 실내 환경에서 딥러닝 기반으로 추정된 사용자 위치에 따른 최적의 빔 인덱스를 검색 및 도출함에 따라, 통신 채널의 신뢰성 및 데이터 전송율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기술에 관한 것이다.
밀리미터파 통신은 특정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주파수의 범위 즉, 넓은 대역폭으로 차세대 무선 통신을 위한 높은 데이터 속도를 지원하는 유망기술 중 하나이다.
밀리미터파 통신은 다수의 송수신 안테나를 작은 공간에 집적시킬 수 있어 수십 내지 수백개의 송신 및 수신 안테나를 통해 전송용량과 전송속도를 증가시키는 대규모 MIMO(Multiple-Input Multiple-Output) 시스템에 적합하다.
또한 대규모 MIMO 시스템은 데이터 전송 속도와 링크 신뢰성을 효과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으며 에너지 효율과 스펙트럼 효율을 각각 3배 및 1~2 배로 향상시킬 수 있다. 밀리미터파와 대규모 MIMO를 함께 사용하면 각각의 단점을 효과적으로 극복하고 장점을 충분히 활용할 수 있다.
그러나, 밀리미터파는 높은 주파수로 인한 짧은 파장 때문에 신호의 감쇄 및 전달 거리 감소와 같은 단점이 존재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고지향성 빔포밍(Beamforming) 기술을 적용하여 밀리미터파 대역에서의 큰 경로 손실을 극복하기 위한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고지향성 빔포밍은 밀리미터파 통신의 커버리지를 향상시킬 수 있지만 좁은 빔과 장애물에 의한 신호의 민감성은 밀리미터파 통신의 커버리지 및 신뢰성에 큰 영향을 준다.
밀리미터파 통신 채널을 형성하는 데 사용되는 좁은 빔은 인체 및 주변 장애물에 의해 LOS (Line of sight)링크는 차단되기 쉬우며, 인체에 의한 밀리미터파 링크는 30 dB 감쇠를 겪는다. 결과적으로 이러한 급격한 전력 감쇠는 다중 기가비트(GB) 밀리미터파 채널에서 많은 양의 데이터 손실을 야기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 및 장애물이 존재하는 실내 환경에서 기지국과 사용자 단말 간의 기준신호수신전력(Reference Signal Received Power; RSRP)의 소규모 페이딩이 최대인 빔 인덱스 및 사용자 위치 정보로 핑거프린팅 데이터를 구축하고, 구축된 핑거프린팅 데이터를 통해 사용자 및 장애물 모델을 구축하며, 사용자 위치 및 데이터 트래픽에 대하여 심층신경망이 구축된 사용자 및 장애물 모델을 기반으로 최적의 빔 인덱스를 도출하여 도출된 최적의 빔 인덱스로 기지국과 사용자 단말 간의 통신 채널을 형성하는 딥러닝 기반의 빔포밍 통신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딥러닝 기반의 빔포밍 통신 시스템은 기지국;과 실내의 소정 위치에 복수개 설치되어 상기 기지국과 통신하는 소형 기지국; 및 상기 소형 기지국과 통신하는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지국은, 상기 소형 기지국을 경유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로 전달된 기지국의 기준 신호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 및 기준신호수신전력을 상기 소형 기지국을 경유하여 수신하는 통신부; 상기 통신부로 수신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 및 기준신호수신전력을 기반으로 핑거프린팅 데이터를 구축하는 핑거프린팅 DB 구축부; 상기 핑거프린팅 데이터에서 도출된 사용자 단말의 위치 별 빔 인덱스를 기반으로 모델을 구축하는 사용자 모델 구축부; 및 심층신경망으로부터 위치 별 수신전력의 세기가 최대인 빔 인덱스를 도출하는 최적 빔 인덱스 도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기지국은, 상기 기지국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 사이에 위치한 각 장애물에 따라 변동된 기준신호수신전력을 기반으로 장애물 모델을 구축하는 장애물 모델 구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기준신호는 상기 기지국에서 완전탐색을 통해 검색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로 주기적으로 전송되고, 빔포밍 벡터를 기준으로 전송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빔포밍 벡터는 기 설정된 코드북의 코드워드에서 기준신호수신전력의 소규모 페이딩이 최대가 되는 빔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기준신호수신전력은 기지국에서 전송한 기준신호를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에서 수신 및 측정하여 도출된 수신 신호의 세기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통신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로부터 위치 정보와 데이터 트래픽을 수신하여 각각의 사용자 단말의 위치에 해당하는 기준신호수신전력의 소규모 페이딩이 최대인 빔 인덱스 정보를 최적 빔 인덱스 도출부로 요청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통신부는 상기 최적 빔 인덱스 도출부에서 도출된 빔 인덱스를 기반으로 상기 기지국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 간의 통신 채널을 형성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핑거프린팅 DB 구축부는 상기 통신부로 수신된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의 기준신호수신전력과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핑거프린팅 데이터를 구축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사용자 모델 구축부는 구축된 핑거프린팅 데이터에서 각각의 사용자 단말의 위치 별 기준신호수신전력의 소규모 페이딩이 최대인 빔 인덱스를 기반으로 사용자 모델을 구축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최적 빔 인덱스 도출부는 수신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와 데이터 트래픽을 심층신경망의 입력으로 사용하여 구축된 사용자 및 장애물 모델을 기반으로 데이터 트래픽에 대응하는 사용자 단말의 기준신호수신전력의 소규모 페이딩이 최대가 되는 빔을 도출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장애물 모델 구축부는 구축된 핑거프린팅 데이터에서 상기 기지국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 사이에 위치한 각 장애물의 방위 및 고도각으로 발생된 빔 확산 각도를 도출하고 각 클러스터 별로 연산된 기준신호수신전력의 소규모 페이딩의 손실에 따라 변동된 기준신호수신전력을 기반으로 구축할 수 있다.
기지국, 복수의 소형 기지국, 및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을 포함하는 빔포밍 통신 시스템에서 딥러닝 기반으로 최적의 빔 인덱스를 도출하는 딥러닝 기반의 빔포밍 통신 방법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은, 상기 소형 기지국을 경유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로 전달된 기지국의 기준 신호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 및 기준신호수신전력을 상기 소형 기지국을 경유하여 수신하는 통신 단계; 수신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 및 기준신호수신전력을 기반으로 핑거프린팅 데이터를 구축하는 핑거프린팅 DB 구축 단계; 상기 핑거프린팅 데이터에서 도출된 사용자 단말의 위치 별 빔 인덱스를 기반으로 모델을 구축하는 사용자 모델 구축 단계; 및 심층신경망으로부터 위치 별 수신전력의 세기가 최대인 빔 인덱스를 도출하는 최적 빔 인덱스 도출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기지국은, 상기 기지국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 사이에 위치한 각 장애물에 따라 변동된 기준신호수신전력을 기반으로 장애물 모델을 구축하는 장애물 모델 구축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기준신호는 상기 기지국에서 완전탐색을 통해 검색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로 주기적으로 전송되고, 빔포밍 벡터를 기준으로 전송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빔포밍 벡터는 기 설정된 코드북의 코드워드에서 기준신호수신전력의 소규모 페이딩이 최대가 되는 빔인 것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기준신호수신전력은 기지국에서 전송한 기준신호를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에서 수신 및 측정하여 도출된 수신 신호의 세기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통신 단계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로부터 위치 정보와 데이터 트래픽을 수신하여 각각의 사용자 단말의 위치에 해당하는 기준신호수신전력의 소규모 페이딩이 최대인 빔 인덱스 정보를 최적 빔 인덱스 도출부로 요청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통신 단계는 상기 최적 빔 인덱스 도출 단계에서 도출된 빔 인덱스를 기반으로 상기 기지국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 간의 통신 채널을 형성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핑거프린팅 DB 구축 단계는 상기 통신부로 수신된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의 기준신호수신전력과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핑거프린팅 데이터를 구축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사용자 모델 구축 단계는 구축된 핑거프린팅 데이터에서 각각의 사용자 단말의 위치 별 기준신호수신전력의 소규모 페이딩이 최대인 빔 인덱스를 기반으로 사용자 모델을 구축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최적 빔 인덱스 도출 단계는 수신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와 데이터 트래픽을 심층신경망의 입력으로 사용하여 구축된 사용자 및 장애물 모델을 기반으로 데이터 트래픽에 대응하는 사용자 단말의 기준신호수신전력의 소규모 페이딩이 최대가 되는 빔을 도출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장애물 모델 구축 단계는 구축된 핑거프린팅 데이터에서 상기 기지국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 사이에 위치한 각 장애물의 방위 및 고도각으로 발생된 빔 확산 각도를 도출하고 각 클러스터 별로 연산된 기준신호수신전력의 소규모 페이딩의 손실에 따라 변동된 기준신호수신전력을 기반으로 구축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실내 환경에서 기지국과 사용자 단말 간의 기준신호수신전력(Reference Signal Received Power; RSRP)을 기반으로 사용자 단말 위치 별 빔 인덱스로 핑거프린트 데이터를 구축하고, 구축된 핑거프린팅 데이터를 기반으로 사용자 및 장애물 모델을 구축하여 심층신경망이 사용자 단말의 위치 및 데이터 트래픽에 대해 구축된 사용자 및 장애물 모델로부터 빔 인덱스를 도출하며, 도출된 빔 인덱스로 기지국과 사용자 단말 간의 통신을 수행하여 이동 통신 환경에서 장애물에 따른 경로 손실을 최소화 하여 높은 신뢰도 및 데이터 전송률을 가질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실내환경에서 소형 기지국의 설치 위치 및 사용자와 기지국 간의 빔포밍 통신 환경을 나타낸 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딥러닝 기반의 빔포밍 통신 시스템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핑거프린팅 DB 구축부의 세부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모델 구축부의 세부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장애물 모델 구축부의 세부구성도이다.
도 6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딥러닝 기반의 빔포밍 통신 방법에서 최적 빔 도출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7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장애물 및 비장애물 시나리오에서의 기준신호수신전력의 소규모 페이딩 누적 분포 함수를 비교한 그래프이다.
도 8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자체 및 비자체 장애물이 적용된 기준신호수신전력의 소규모 페이딩 누적 분포 함수를 비교한 그래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다양한 크기의 훈련 세트에 대한 Top-1 및 Top-3 빔 예측 정확도를 비교한 그래프이다.
도 10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스펙트럼 효율의 CDF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1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딥러닝 기반의 빔포밍 통신 시스템 및 방법의 정확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딥러닝 기반의 빔포밍 통신 시스템 및 방법을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 및 효과는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자연스럽게 이해되거나 보다 분명해 질 수 있으며, 하기의 기재만으로 본 발명의 목적 및 효과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실내환경에서 소형 기지국의 설치 위치 및 사용자와 기지국 간의 빔포밍 통신 환경을 나타낸 도이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내 환경의 빔포밍 통신 시스템은 하나의 기지국(100)과 실내구조에 구비된 3개의 섹터로 구성된
Figure 112020071481816-pat00001
개의 소형 기지국(200)의 밀리미터파 대용량 MIMO(Multi-input Multi-output)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네트워크 전체 섹터의 수는
Figure 112020071481816-pat00002
일 수 있다.
각 소형 기지국(200)은 하나의 단일 안테나 사용자(300)와 통신하며,
Figure 112020071481816-pat00003
개의 UPA(Uniform Antenna Array)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각 소형 기지국(200)은 하나의 RF 체인을 가질 수 있으며, 하향링크 전송 시 위상 천이기를 통해 아날로그 빔포밍이 적용될 수 있다. 하향링크 전송에서, 임의의 소형 기지국(200)의 전송 심볼 벡터
Figure 112020071481816-pat00004
은 다음 수학식으로 표현될 수 있다.
[수학식 1]
Figure 112020071481816-pat00005
수학식 1에서,
Figure 112020071481816-pat00006
Figure 112020071481816-pat00007
은 임의의 소형 기지국의 아날로그 빔포밍 벡터와 데이터 심볼이다. 임의의 소형 기지국(200) m으로부터 서비스되는 사용자(300)의 수신신호
Figure 112020071481816-pat00008
는 원하는 신호와 인접 기지국 i로부터 간섭 신호로 표현되면 하기 수학식으로 표현될 수 있다.
[수학식 2]
Figure 112020071481816-pat00009
수학식 2에서,
Figure 112020071481816-pat00010
는 소형 기지국(200) i와 사용자(300) 사이의 밀리미터파 채널 벡터이고,
Figure 112020071481816-pat00011
은 평균이 0이고 분산이
Figure 112020071481816-pat00012
인 수신 잡음이다.
통신표준규약에 의해 정해진 송신 안테나 포트
Figure 112020071481816-pat00013
에서 기준신호수신전력(Reference Signal Received Power)는 다음 수학식과 같이 계산될 수 있다.
[수학식 3]
Figure 112020071481816-pat00014
수학식 3에서,
Figure 112020071481816-pat00015
Figure 112020071481816-pat00016
는 각각 대규모 페이딩으로 인한 경로 손실과 쉐도잉,
Figure 112020071481816-pat00017
Figure 112020071481816-pat00018
는 각각 LOS와 NLOS(Non-LOS)의 빔포밍을 포함한 소규모 페이딩 채널 계수이고,
Figure 112020071481816-pat00019
는 수신단에서 안테나 요소의 수,
Figure 112020071481816-pat00020
는 기지국의 전송 파워이다.
각 소형 기지국(200)은 DFT(Discrete Fourier Transform) 기반 코드북을 적용하여 빔포밍을 수행한다. DFT 코드북은 3GPP LTE(Long-Term Evolution) 및 NR(New Radio)에서 광범위하게 사용된다.
Figure 112020071481816-pat00021
개의 안테나 요소를 갖는 ULA(Uniform Linear Array)인 경우, DFT 코드북이
Figure 112020071481816-pat00022
번째 빔포밍 벡터는 다음 수학식으로 표현될 수 있다.
[수학식 4]
Figure 112020071481816-pat00023
수학식 4에서,
Figure 112020071481816-pat00024
이고
Figure 112020071481816-pat00025
는 오버 샘플링 계수를 나타낸다. UPA인 경우, 각각의 수평 및 수직 도메인에서 1D 빔포밍 벡터의 크로네커 곱을 사용하여 빔포밍 벡터를 다음 계산식으로 나타낼 수 있다.
[수학식 5]
Figure 112020071481816-pat00026
수학식 5에서,
Figure 112020071481816-pat00027
,
Figure 112020071481816-pat00028
이고
Figure 112020071481816-pat00029
은 크로네커 곱이다.
각 소형 기지국(200)은 완전탐색(exhaustive search)을 통해 다음과 같이 코드북의 코드워드
Figure 112020071481816-pat00030
에서 기준신호수신전력의 소규모 페이딩이 최대가 되는 빔을 빔포밍 벡터로 선택 할 수 있다.
[수학식 6]
Figure 112020071481816-pat00031
각 소형 기지국(200)과 사용자 단말(300) 사이의 채널은 3GPP SCM을 따르며, 이는 대규모 페이딩, 소규모 페이딩 및 각 레이(ray) 사이의 공간 상관을 고려한 레이 기반 채널 모델이다. S-V(Saleh-Valenzuela) 채널 모델과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다른 전파 채널 모델과 비교할 때 3GPP SCM은 각 경로가 고유한 특성을 가진 여러 개의 ray로 구성되므로 보다 현실적이지만 복잡하다.
3GPP 채널의 구성은 상위 레벨 파라미터, 대규모 파라미터 및 소규모 파라미터 설정인 3단계로 구성될 수 있다.
채널 모델링 절차는 3GPP Specification 38.901에 자세히 설명되어 있으므로 본 발명에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에서는 채널 파라미터를 결정하기 위해 InH 시나리오를 고려하였으며, 대규모 페이딩 파라미터는 아래 표 1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또한, 쉐도우 페이딩의 분포는 로그 정규이다.
InH 시나리오에서 경로 손실 및 쉐도우 페이딩 모델
LOS/NLOS Path loss [dB] Shadow fading [dB]
LOS
Figure 112020071481816-pat00032
Figure 112020071481816-pat00033

NLOS
Figure 112020071481816-pat00034

Figure 112020071481816-pat00035
Figure 112020071481816-pat00036
Figure 112020071481816-pat00037
는 주파수이다, d는 소형 기지국(200)과 사용자 단말(300) 간의 거리이다.
소규모 페이딩의 경우, 시간 t 및 지연
Figure 112020071481816-pat00038
에 해당하는 수신 (
Figure 112020071481816-pat00039
) 및 송신 (
Figure 112020071481816-pat00040
) 안테나 사이의 채널 임펄스 응답은 다음 수학식으로 표현될 수 있다.
[수학식 7]
Figure 112020071481816-pat00041
수학식 7에서,
Figure 112020071481816-pat00042
는 지연 확산이며
Figure 112020071481816-pat00043
은 Rician 요소이고,
Figure 112020071481816-pat00044
Figure 112020071481816-pat00045
는 각각 NLOS 및 LOS 채널 계수를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딥러닝 기반의 빔포밍 통신 시스템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딥러닝 기반의 빔포밍 통신 시스템은 통신부(110), 핑거프린팅 DB 구축부(120) 및 사용자 모델 구축부(130) 및 최적 빔 인덱스 도출부(150)를 포함할 수 있고, 장애물 모델 구축부(1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110)는 기지국에서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로 전송한 기준신호에 대한 응답으로 각각의 사용자 단말로부터 기준신호수신전력 및 위치 정보를 수신하여 핑거프린팅 DB 구축부(120)로 전송한다.
이 때, 핑거프린팅 데이터를 구축하기 위해 기지국(100)은 완전탐색(Exhustive Search) 기반 빔 스위핑을 수행할 수 있으며, DFT 기반 코드북을 통해 기준 신호(Reference Signal, RS)를 소형 기지국을 경유하여 사용자 단말(300)로 주기적으로 전송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300)은 기지국으로부터 전송된 기준 신호를 수신 및 측정하여 수신되었을 때의 전력인 기준신호수신전력을 도출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핑거프린팅 DB 구축부의 세부구성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핑거프린팅 구축부(120)는 수신된 각각의 사용자 단말의 기준신호수신전력 및 위치 정보를 빔 인덱스 저장 모듈(121) 및 사용자 위치 정보 저장 모듈(122)에 저장한다. 이 때, 사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는 내장된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또는 네트워크 포지셔닝 시스템으로 사용자의 위치 정보를 쉽게 알 수 있다.
또한, 핑거프린팅 DB 구축부(120)는 빔 인덱스 저장 모듈(121) 및 사용자 위치 정보 저장 모듈(122)에 저장된 각각의 사용자 단말의 위치 별 기준신호수신전력을 기반으로 핑거프린팅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핑거프린팅 DB 구축부(120)는 구축된 핑거프린팅 데이터를 사용자 모델 구축부(130)로 전송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모델 구축부의 세부구성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모델 구축부(130)는 제 1 핑거프린팅 DB 수신 모듈(131)과 제 1 최적 빔 설정 모듈(132)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모델 구축부(130)는 핑거프린팅 DB 구축부(120)로부터 핑거프린팅 데이터를 제 1 핑거프린팅 DB 수신 모듈(131)로 전달받아 핑거프린팅 데이터로부터 각각의 사용자 위치 별 기준신호수신전력의 소규모 페이딩이 최대인 빔 인덱스를 제 1 최적 빔 인덱스 설정모듈(132)에서 설정할 수 있다.
이 때, 기준신호수신전력은 실내 환경에서 사용자 단말의 위치, 데이터 트래픽 및 장애물 상태에 따라 다를 수 있다. 즉, 사용자의 위치에 따른 데이터 트래픽 및 장애물 상태에 따라 다르며, 시간에 따라 다를 수 있다.
3GPP 표준화는 확률 모델(Stochastic Model)과 기하학적 모델(Geometric Model) 두 가지 장애물 모델을 정의할 수 있다.
확률 모델(stochastic model)은 각 사용자 단말(300) 주위에 무작위로 위치한 2D 장애물을 구성할 수 있다.
장애물은 고도 및 방위각과 각도 스팬(span)으로 정의될 수 있고, 장애물 영향은 장애물에 종속된 각 다중 경로 클러스터의 감쇠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기하학적 모델(geometric model)은 3D 직사각형 모양의 장애물을 정의할 수 있고, 각각의 서브-패스(sub-path)의 감쇠는 나이프 엣지 회절 모델(knife edge diffraction model)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확률 모델은 장애물의 2D 장애물 영역으로 모방하여 모델링 복잡성을 줄이는 것을 목표로 한다.
반면에, 기하학적 모델은 장애물의 크기와 각 하위 경로가 장애물에 의해 어떻게 감쇠되는지에 대한 자세한 사항을 고려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일반적이고 계산 효율을 높이기 위해 확률 모델을 적용할 수 있다.
3GPP 확률적 장애물 모델에서는 자체(Self) 장애물과 비자체(Non-self) 장애물 모두 고려될 수 있다.
자체 장애물은 가로 모드(Portrait)와 세로 모드(Landscape)가 있으며, 사람의 특정 제스처로 휴대폰을 잡고 있을 때 인체에 의해 야기될 수 있고, 사용자 주위의 로컬 좌표 시스템에서 장애물 영역은 방위 및 고도각에서 장애물의 중심각(
Figure 112020071481816-pat00046
)과 각도 확산(
Figure 112020071481816-pat00047
)으로 표현될 수 있다.
비자체 장애물은 사람 및 차량 장애물과 같이 주변 장애물에 의해 야기될 수 있으나, InH 시나리오에서는 사람에 의한 장애물만 고려한다.
글로벌 좌표계에서 장애물의 방위각은 [
Figure 112020071481816-pat00048
] 범위에서 균일하게 분포하며, 고도 각도는
Figure 112020071481816-pat00049
에 고정 된다고 가정한다. 비자체 장애물 수 K=4로 가정하며, 이는 특정 시나리오 (예: 높은 장애물 밀도)에서 변경 될 수 있다. 또한 각도 확산은 방위 및 고도각에서 각각 [
Figure 112020071481816-pat00050
]와 [
Figure 112020071481816-pat00051
]에서 균일하다고 가정한다. 자체 및 지자체 장애물의 주요 파라미터는 표 2와 같다.
3GPP 장애물 모델
장애물 자체 장애물 (k=0) 비자체 장애물
(k=1,2,3,4)
가로 모드 세로 모드
좌표 시스템 Local Local Global
Figure 112020071481816-pat00052
260 40 Uni. in[
Figure 112020071481816-pat00053
]
Figure 112020071481816-pat00054
120 160 Uni. in[
Figure 112020071481816-pat00055
]
Figure 112020071481816-pat00056
100 110
Figure 112020071481816-pat00057
Figure 112020071481816-pat00058
80 75 Uni. in[
Figure 112020071481816-pat00059
]
감쇠 30 30 Max. 20
본 발명에서의 장애물 각도는 방위 및 고도각에서 각각
Figure 112020071481816-pat00060
Figure 112020071481816-pat00061
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장애물 모델 구축부의 세부구성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애물 모델 구축부(140)는 제 2 핑거프린팅 DB 수신 모듈(141), 장애물 상태 판단 모듈(142) 및 제 2 최적 빔 설정 모듈(143)을 포함할 수 있다.
장애물 모델 구축부(140)는 핑거프린팅 DB 구축부(120)로부터 핑거프린팅 데이터를 제 2 핑거프린팅 DB 수신 모듈(141)로 전달받고, 장애물 상태 판단 모듈(142)에서 수신된 핑거프린팅 데이터를 기반으로 기지국(100)과 사용자 단말 사이에 위치한 각 장애물의 방위 및 고도각으로 발생된 빔 확산 각도를 도출하여 각 클러스터 별로 연산된 기준신호수신전력의 소규모 페이딩의 손실에 따라 장애물 상태를 판단 할 수 있다.
이 때, 자체 장애물에 의한 손실은 각 클러스터마다 -30 dB의 감쇠가 발생할 수 있고, 비자체 장애물에 의한 감쇠는 다음 수학식으로 표현될 수 있다.
[수학식 8]
Figure 112020071481816-pat00062
수학식 8에서,
Figure 112020071481816-pat00063
는 다음 수학식으로 표현될 수 있다.
[수학식 9]
Figure 112020071481816-pat00064
수학식 9에서,
Figure 112020071481816-pat00065
는 파장, r 은 사용자 단말(300)과 장애물 사이의 거리이고,
Figure 112020071481816-pat00066
는 각각 방위각(A)과 고도각(Z)이다.
대부분의 기존 연구에서는 장애물이 LOS 경로에 있을 때, 링크가 차단되고 차단된 링크는 NLOS인 것으로 가정하지만 실제로 장애물은 다중 경로 구성 요소의 일부만을 차단할 수 있고 직접 경로는 반드시 차단 될 필요는 없다.
하지만, 각 다중 경로 구성 요소의 정확한 전파 궤적을 추적하는 것은 계산 비용이 많이 들기 때문에 3GPP 확률적 장애물 모델은 모델링 복잡성과 정확성 사이의 적절한 균형을 유지한다.
제 2 최적 빔 설정 모듈(143)은 장애물 상태 판단 모듈(142)에서 장애물에 의한 기준신호수신전력이 사용자 모델 구축부(130)에 구축된 기준신호수신전력의 소규모 페이딩이 최대인 빔 인덱스보다 감소된 형태로 나타나면 해당 사용자 단말의 위치에서 장애물을 고려한 변동된 기준신호수신전력의 소규모 페이딩이 최대인 빔 인덱스를 최적의 빔 인덱스로 설정할 수 있다.
통신부(110)는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300)로부터 위치 정보와 데이터 트래픽을 수신하여 수신된 데이터 트래픽에 대응하는 각각의 사용자 단말의 위치 별 기준신호수신전력을 최적 빔 인덱스 도출부(150)로 요청할 수 있다.
최적 빔 인덱스 도출부(150)는 각각의 사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 및 데이터 트래픽을 심층신경망의 입력으로 사용하여 구축된 사용자 및 장애물 모델을 기반으로 데이터 트래픽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의 위치에서 기준신호수신전력의 소규모 페이딩이 최대인 빔 인덱스를 도출하고, 도출된 빔 인덱스를 심층신경망이 학습할 수 있다.
통신부(110)는 도출된 기준신호수신전력의 소규모 페이딩이 최대인 빔 인덱스를 기반으로 기지국(100)과 사용자 단말(300) 간의 통신 채널을 형성할 수 있다.
즉, 심층신경망은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300)의 위치 정보 및 데이터 트래픽에 대해 구축된 사용자 및 장애물 모델로부터 기준신호수신전력의 소규모 페이딩이 최대인 빔 인덱스를 도출 및 학습하여 통신부로 하여금 각각의 사용자 단말의 위치에서 장애물 상태를 고려한 최적의 빔 인덱스로 통신 채널을 형성할 수 있다.
더욱 상세하게는, 빔 예측의 경우 코드북 사이즈(
Figure 112020071481816-pat00067
)이고, 장애물 예측의 경우 2이다. 이를 위해 하나의 입력 레이어, L-2개의 은닉 레이어 및 하나의 출력 레이어에 완전히 연결된 심층신경망이 고려될 수 있다.
심층신경망의 입력 값은 사용자 단말(300)의 위치
Figure 112020071481816-pat00068
와 데이터 트래픽
Figure 112020071481816-pat00069
이다. 사용자 단말의 위치는 소형 기지국(200) m의 위치
Figure 112020071481816-pat00070
에 따라 정규화 하며 다음 수학식으로 표현될 수 있다.
[수학식 10]
Figure 112020071481816-pat00071
데이터 트래픽은 낮음 (-1), 중간(0) 및 높음(1)의 세 가지 클래스로 분류될 수 있다.
각 은닉 레이어에서 활성화 함수로 ReLU(Rectified Linear Unit) 함수를 적용할 수 있으며, 훈련과정에서 과적합을 피하기 위해 드롭아웃(Dropout) 레이어를 추가할 수 있다. 또한, 각 예측(빔 또는 장애물)의 출력 수는 클래스 수에 따라 다를 수 있다.
즉, 심층신경망 출력 레이어는 목표 예측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빔 예측의 경우 출력 레이어는
Figure 112020071481816-pat00072
뉴런으로 완전히 연결된 레이어와 soft-max 활성화 함수를 적용될 수 있으며 출력 값은 다음과 같이 계산될 수 있다.
[수학식 11]
Figure 112020071481816-pat00073
수학식 11에서,
Figure 112020071481816-pat00074
는 D차원 벡터의
Figure 112020071481816-pat00075
번째 요소를 나타내고 는
Figure 112020071481816-pat00076
번째 빔포밍 벡터가 예측될 확률이다. 마지막으로 확률이 가장 높은 요소의 인덱스가 예측된 빔포밍 인덱스로 선택될 수 있다. 장애물 예측의 경우 D=2 뉴런을 가지며, 장애물 (
Figure 112020071481816-pat00077
)과 비장애물 (
Figure 112020071481816-pat00078
)에 해당하는 두 가지 확률을 계산할 수 있다.
심층신경망의 최종 출력값
Figure 112020071481816-pat00079
는 입력값
Figure 112020071481816-pat00080
일렬의 변환으로 표현되며 다음 수학식으로 표현될 수 있다.
[수학식 12]
Figure 112020071481816-pat00081
수학식 12에서,
Figure 112020071481816-pat00082
Figure 112020071481816-pat00083
번째 레이어의 파라미터이다. 최적화할 파라미터를
Figure 112020071481816-pat00084
로 정의하고, 이는 심층신경망 학습을 통해 최적화된다. 이 때, 심층신경망의 학습은 손실 함수가 최소화되도록 훈련될 수 있고, 손실 함수로 교차 엔트로피(Cross-entropy)를 사용하였으며, 다음 수학식으로 표현될 수 있다.
[수학식 13]
Figure 112020071481816-pat00085
수학식 13에서,
Figure 112020071481816-pat00086
는 타깃 벡터이고
Figure 112020071481816-pat00087
는 네트워크 예측이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따른 InH 시나리오는 실내 공간에 ISD(Inter-Site Distance)가 20m 인 소형 기지국(200)이 천장에 설치될 수 있다. 각 소형 기지국(200)의 높이는 3m 이고 사용자 단말(300)은 균일하게 분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따른 InH 시나리오에 사용된 파라미터는 3GPP NR 시스템에 해당하는 30GHz 반송파 주파수의 199MHz 대역폭을 기반으로 설정하였으며, 자세한 파라미터는 표 3과 같다.
모의실험 파라미터
파라미터 내용
시나리오 실내 핫스팟
캐리어 주파수 30 GHz
대역폭 100 MHz
방 사이즈 (W x L x H) 120 m x 50 m x 3 m
ISD 20 m
기지국 Tx 신호 세기 24 dBm
기지국 안테나 높이 3 m
기지국 안테나 구성 8 x 8
사용자 단말 높이 1m
사용자 단말 안테나 구성 단일 안테나
사용자 단말 안테나 패턴 Isotropic
사용자 단말 노이즈 9 dB
사용자 단말 분포 균일 분포
본 발명의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따른 심층신경망은 5개의 은닉 레이어와 레이어 당
Figure 112020071481816-pat00088
뉴런을 갖는 심층신경망을 적용하였으며, 자세한 하이퍼-파라미터는 표 4와 같다.
심층신경망 하이퍼-파라미터
파라미터 빔 예측 장애물 예측
학습률 0.1 0.1
드롭아웃 0.9 0.9
정규화
Figure 112020071481816-pat00089
Figure 112020071481816-pat00090
최대 에포크 수 100 50
데이터 사이즈 18,000 18,000
데이터 분할 70:30 70:30
제안하는 예측 방법은 Top-1 및 Top-n 분류 정확도를 통해 성능을 분석하며 다음과 같이 표현할 수 있다.
[수학식 14]
Figure 112020071481816-pat00091
수학식 14에서,
Figure 112020071481816-pat00092
은 인디케이터(indicator) 함수이고,
Figure 112020071481816-pat00093
Figure 112020071481816-pat00094
은 각각 n 번째 테스트 포인트의 예측 및 대상 클래스를 나타낸다. Top-n 정확도는 n 개의 밀리미터파 빔 중 예측된 경우이다. 또한, 예측된 빔을 사용하여 스펙트럼 효율에 대하여 성능을 분석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장애물 및 비장애물 시나리오에서의 기준신호수신전력의 소규모 페이딩 누적 분포 함수를 비교한 그래프이다.
실내 환경에서 장애물의 주요 원인은 인체 및 주변 사용자와 같은 장애물을 고려할 수 있으며, 이에 따른 기준신호수신전력의 소규모 페이딩 누적 분포 함수(Cumulative Distribution Function; CDF)를 나타낼 수 있다.
여기서, 장애물 시나리오에서는 자체 및 K = 4 비자체 장애물을 고려할 수 있다. 누적 분포 함수 0.2를 기준으로 장애물로 인해 대략 0.5dB 손실이 발생한 것을 알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자체 및 비자체 장애물이 적용된 기준신호수신전력의 소규모 페이딩 누적 분포 함수를 비교한 그래프이다.
이때, 장애물 시나리오에서 자체 (-30dB) 및 K=4 비자체 (최대 -20dB) 장애물로 인한 감쇠가 각 클러스터에 적용될 수 있다. 비 장애물 영역에서의 감쇠는 0dB 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다양한 크기의 훈련 세트에 대한 Top-1 및 Top-3 빔 예측 정확도를 비교한 그래프이다.
제안하는 심층신경망이 사용자 위치와 데이터 트래픽을 기반으로 높은 예측 정확도를 갖는 것을 알 수 있으며, 이는 Top-1 및 Top-3에 대해 각각 83% 및 94 %의 정확도를 갖는다.
도 10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스펙트럼 효율의 CDF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펙트럼 효율을 계산하기 위해 수신 신호 전력에 대비하여 간섭 전력과 잡음 전력을 더한 비를 데시벨 단위로 표현한 신호대잡음간섭비(Signal to Interference plus Noise Ratio; SINR)은 다음 수학식으로 표현될 수 있다.
[수학식 15]
Figure 112020071481816-pat00095
수학식 15에서,
Figure 112020071481816-pat00096
Figure 112020071481816-pat00097
번째 기지국의 기준신호수신전력이고
Figure 112020071481816-pat00098
는 잡음 파워 레벨이다. 도 10 결과로부터, 최적빔, Top-3 빔, Top-1 빔 및 랜덤 빔의 스펙트럼 효율 평균값은 각각 1.41, 1.38, 1.32 및 1.08 인 것을 알 수 있으며, Top-1 예측 또한 평균 스펙트럼 효율 측면에서 빔 선택과 비교하여 94% 성능을 갖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딥러닝 기반의 빔포밍 통신 시스템 및 방법의 정확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충분한 크기의 데이터 세트(16,000개 이상)와 함께 사용자 위치 및 데이터 트래픽에 따라 90% 이상의 정확도로 빔 및 장애물을 예측한다. 이는 차세대 밀리미터파 시스템의 신뢰성 및 데이터 전송률을 향상시키는 것을 보여준다.
이상에서 대표적인 실시 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한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권리 범위는 설명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와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에 의하여 정해져야 한다.
100: 기지국 200: 소형 기지국
300: 사용자 단말
110: 통신 부 120: 핑거프린팅 DB 구축부
130: 사용자 모델 구축부 140: 장애물 모델 구축부
150: 최적 빔 인덱스 도출부
121: 빔 인덱스 저장모듈 122: 사용자 위치 정보 저장모듈
131: 제 1 핑거프린팅 DB 수신 모듈
132: 제 1 최적 빔 설정 모듈
141: 제 2 핑거프린팅 DB 수신 모듈
142: 장애물 상태 판단 모듈 143: 제 2 최적 빔 설정 모듈

Claims (22)

  1. 기지국; 실내의 소정 위치에 복수개 설치되어 상기 기지국과 통신하는 소형 기지국; 및 상기 소형 기지국과 통신하는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을 포함하는 딥러닝 기반의 빔포밍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은,
    상기 소형 기지국을 경유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로 전달된 기지국의 기준 신호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 및 기준신호수신전력을 상기 소형 기지국을 경유하여 수신하는 통신부;
    상기 통신부로 수신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 및 기준신호수신전력을 기반으로 핑거프린팅 데이터를 구축하는 핑거프린팅 DB 구축부;
    상기 핑거프린팅 데이터에서 도출된 사용자 단말의 위치 별 빔 인덱스를 기반으로 모델을 구축하는 사용자 모델 구축부; 및
    심층신경망으로부터 위치 별 수신전력의 세기가 최대인 빔 인덱스를 도출하는 최적 빔 인덱스 도출부를 포함하는 딥러닝 기반의 빔포밍 통신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은 상기 기지국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 사이에 위치한 각 장애물에 따라 변동된 기준신호수신전력을 기반으로 장애물 모델을 구축하는 장애물 모델 구축부를 더 포함하는 딥러닝 기반의 빔포밍 통신 시스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신호는 상기 기지국에서 완전탐색을 통해 검색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로 주기적으로 전송되고, 빔포밍 벡터를 기준으로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딥러닝 기반의 빔포밍 통신 시스템.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빔포밍 벡터는 기 설정된 코드북의 코드워드에서 기준신호수신전력의 소규모 페이딩이 최대가 되는 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딥러닝 기반의 빔포밍 통신 시스템.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신호수신전력은 기지국에서 전송한 기준신호를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에서 수신 및 측정하여 도출된 수신 신호의 세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딥러닝 기반의 빔포밍 통신 시스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로부터 위치 정보와 데이터 트래픽을 수신하여 각각의 사용자 단말의 위치에 해당하는 기준신호수신전력의 소규모 페이딩이 최대인 빔 인덱스 정보를 최적 빔 인덱스 도출부로 요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딥러닝 기반의 빔포밍 통신 시스템.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상기 최적 빔 인덱스 도출부에서 도출된 빔 인덱스를 기반으로 상기 기지국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 간의 통신 채널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딥러닝 기반의 빔포밍 통신 시스템.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핑거프린팅 DB 구축부는 상기 통신부로 수신된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의 기준신호수신전력과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핑거프린팅 데이터를 구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딥러닝 기반의 빔포밍 통신 시스템.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모델 구축부는 구축된 핑거프린팅 데이터에서 각각의 사용자 단말의 위치 별 기준신호수신전력의 소규모 페이딩이 최대인 빔 인덱스를 기반으로 사용자 모델을 구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딥러닝 기반의 빔포밍 통신 시스템.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최적 빔 인덱스 도출부는 수신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와 데이터 트래픽을 심층신경망의 입력으로 사용하여 구축된 사용자 및 장애물 모델을 기반으로 데이터 트래픽에 대응하는 사용자 단말의 기준신호수신전력의 소규모 페이딩이 최대가 되는 빔을 도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딥러닝 기반의 빔포밍 통신 시스템.
  11.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장애물 모델 구축부는 구축된 핑거프린팅 데이터에서 상기 기지국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 사이에 위치한 각 장애물의 방위 및 고도각으로 발생된 빔 확산 각도를 도출하고 각 클러스터 별로 연산된 기준신호수신전력의 소규모 페이딩의 손실에 따라 변동된 기준신호수신전력을 기반으로 구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딥러닝 기반의 빔포밍 통신 시스템.
  12. 기지국, 복수의 소형 기지국, 및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을 포함하는 빔포밍 통신 시스템에서 딥러닝 기반으로 최적의 빔 인덱스를 도출하는 딥러닝 기반의 빔포밍 통신 방법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은,
    상기 소형 기지국을 경유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로 전달된 기지국의 기준 신호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 및 기준신호수신전력을 상기 소형 기지국을 경유하여 수신하는 통신 단계;
    수신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 및 기준신호수신전력을 기반으로 핑거프린팅 데이터를 구축하는 핑거프린팅 DB 구축 단계;
    상기 핑거프린팅 데이터에서 도출된 사용자 단말의 위치 별 빔 인덱스를 기반으로 모델을 구축하는 사용자 모델 구축 단계; 및
    심층신경망으로부터 위치 별 수신전력의 세기가 최대인 빔 인덱스를 도출하는 최적 빔 인덱스 도출 단계를 포함하는 딥러닝 기반의 빔포밍 통신 방법.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은, 상기 기지국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 사이에 위치한 각 장애물에 따라 변동된 기준신호수신전력을 기반으로 장애물 모델을 구축하는 장애물 모델 구축 단계를 더 포함하는 딥러닝 기반의 빔포밍 통신 방법.
  14.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신호는 상기 기지국에서 완전탐색을 통해 검색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로 주기적으로 전송되고, 빔포밍 벡터를 기준으로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딥러닝 기반의 빔포밍 통신 방법.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빔포밍 벡터는 기 설정된 코드북의 코드워드에서 기준신호수신전력의 소규모 페이딩이 최대가 되는 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딥러닝 기반의 빔포밍 통신 방법.
  16.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신호수신전력은 기지국에서 전송한 기준신호를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에서 수신 및 측정하여 도출된 수신 신호의 세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딥러닝 기반의 빔포밍 통신 방법.
  17.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단계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로부터 위치 정보와 데이터 트래픽을 수신하여 각각의 사용자 단말의 위치에 해당하는 기준신호수신전력의 소규모 페이딩이 최대인 빔 인덱스 정보를 최적 빔 인덱스 도출부로 요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딥러닝 기반의 빔포밍 통신 방법.
  18.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단계는 상기 최적 빔 인덱스 도출 단계에서 도출된 빔 인덱스를 기반으로 상기 기지국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 간의 통신 채널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딥러닝 기반의 빔포밍 통신 방법.
  19.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핑거프린팅 DB 구축 단계는 상기 수신된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의 기준신호수신전력과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핑거프린팅 데이터를 구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딥러닝 기반의 빔포밍 통신 방법.
  20.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모델 구축 단계는 구축된 핑거프린팅 데이터에서 각각의 사용자 단말의 위치 별 기준신호수신전력의 소규모 페이딩이 최대인 빔 인덱스를 기반으로 사용자 모델을 구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딥러닝 기반의 빔포밍 통신 방법.
  21.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최적 빔 인덱스 도출 단계는 수신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와 데이터 트래픽을 심층신경망의 입력으로 사용하여 구축된 사용자 및 장애물 모델을 기반으로 데이터 트래픽에 대응하는 사용자 단말의 기준신호수신전력의 소규모 페이딩이 최대가 되는 빔을 도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딥러닝 기반의 빔포밍 통신 방법.
  22.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장애물 모델 구축 단계는 구축된 핑거프린팅 데이터에서 상기 기지국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 사이에 위치한 각 장애물의 방위 및 고도각으로 발생된 빔 확산 각도를 도출하고 각 클러스터 별로 연산된 기준신호수신전력의 소규모 페이딩의 손실에 따라 변동된 기준신호수신전력을 기반으로 구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딥러닝 기반의 빔포밍 통신 방법.
KR1020200084794A 2020-07-09 2020-07-09 딥러닝 기반의 빔포밍 통신 시스템 및 방법 KR1022047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4794A KR102204783B1 (ko) 2020-07-09 2020-07-09 딥러닝 기반의 빔포밍 통신 시스템 및 방법
US17/219,203 US11304063B2 (en) 2020-07-09 2021-03-31 Deep learning-based beamforming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4794A KR102204783B1 (ko) 2020-07-09 2020-07-09 딥러닝 기반의 빔포밍 통신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04783B1 true KR102204783B1 (ko) 2021-01-18

Family

ID=742368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84794A KR102204783B1 (ko) 2020-07-09 2020-07-09 딥러닝 기반의 빔포밍 통신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11304063B2 (ko)
KR (1) KR102204783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881973A (zh) * 2021-01-20 2021-06-01 西北工业大学 一种基于rbf神经网络的自修正波束设计方法
WO2023113282A1 (ko) * 2021-12-13 2023-06-22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송수신기 모델에 대한 온라인 학습을 수행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WO2023211066A1 (ko) * 2022-04-26 2023-11-02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밀리미터파 및 테라헤르츠파 무선통신시스템에서 다중 센서를 이용한 빔 제어 방법, 이를 수행하기 위한 기록 매체 및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425905B1 (en) 2018-03-19 2019-09-24 Pivotal Commware, Inc. Communication of wireless signals through physical barriers
US10862545B2 (en) 2018-07-30 2020-12-08 Pivotal Commware, Inc. Distributed antenna networks for wireless communication by wireless devices
US10522897B1 (en) 2019-02-05 2019-12-31 Pivotal Commware, Inc. Thermal compensation for a holographic beam forming antenna
US10468767B1 (en) 2019-02-20 2019-11-05 Pivotal Commware, Inc. Switchable patch antenna
US10734736B1 (en) 2020-01-03 2020-08-04 Pivotal Commware, Inc. Dual polarization patch antenna system
US11069975B1 (en) 2020-04-13 2021-07-20 Pivotal Commware, Inc. Aimable beam antenna system
US11026055B1 (en) 2020-08-03 2021-06-01 Pivotal Commware, Inc.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management for user devices based on real time mapping
WO2022056024A1 (en) 2020-09-08 2022-03-17 Pivotal Commware, Inc. Installation and activation of rf communication devices for wireless networks
AU2022208705A1 (en) 2021-01-15 2023-08-31 Pivotal Commware, Inc. Installation of repeaters for a millimeter wave communications network
EP4285628A1 (en) 2021-01-26 2023-12-06 Pivotal Commware, Inc. Smart repeater systems
US11451287B1 (en) 2021-03-16 2022-09-20 Pivotal Commware, Inc. Multipath filtering for wireless RF signals
AU2022307056A1 (en) 2021-07-07 2024-02-15 Pivotal Commware, Inc. Multipath repeater systems
US20230054081A1 (en) * 2021-08-17 2023-02-23 Qualcomm Incorporated Support signaling for beam strength prediction
US11632271B1 (en) * 2022-02-24 2023-04-18 T-Mobile Usa, Inc. Location-based channel estim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TWI802358B (zh) * 2022-03-31 2023-05-11 國立陽明交通大學 波束域定位系統及方法
US11937199B2 (en) 2022-04-18 2024-03-19 Pivotal Commware, Inc. Time-division-duplex repeaters with 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timing recovery
CN115175306A (zh) * 2022-06-24 2022-10-11 国网河南省电力公司经济技术研究院 一种基于卷积神经网络的电力物联网室内定位方法
CN115802480B (zh) * 2022-10-17 2024-03-08 武汉大学 基于5g多波束下行信号的指纹定位方法及系统
CN115622596B (zh) * 2022-12-12 2023-04-18 深圳大学 一种基于多任务学习的快速波束对齐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69332A (ko) * 2017-12-11 2019-06-19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딥러닝을 이용한 빔포빙 방법
KR102067114B1 (ko) * 2018-08-22 2020-01-16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밀리미터 통신을 위한 딥러닝 기반 빔추적 및 예측 방법 그리고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3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912454B1 (en) * 2006-10-09 2013-08-14 Sony Deutschland Gmbh Transmitting device, receiving device and method for establishing a wireless communication link
US10009785B2 (en) * 2012-03-05 2018-06-26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carrying out measurement report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WO2013133645A1 (ko) * 2012-03-07 2013-09-12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접속 시스템에서 계층적 빔 포밍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CN104734761A (zh) * 2013-12-20 2015-06-24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上下行波束混合指示的方法、基站、终端和系统
WO2015133812A1 (ko) * 2014-03-04 2015-09-11 엘지전자 주식회사 다중 안테나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향상된 참조 신호 송신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WO2016129725A1 (ko) * 2015-02-13 2016-08-18 엘지전자 주식회사 밀리미터 웨이브를 지원하는 무선 접속 시스템에서 하이브리드 스캐닝 수행 방법 및 장치
US9972339B1 (en) * 2016-08-04 2018-05-15 Amazon Technologies, Inc. Neural network based beam selection
KR102641746B1 (ko) * 2016-10-18 2024-02-29 삼성전자주식회사 대규모 안테나를 이용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프리코딩을 수행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EP3619977A4 (en) * 2017-05-05 2020-05-20 ZTE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ASSIGNING RESOURCES
US10644732B2 (en) * 2017-09-05 2020-05-05 Qualcomm Incorporated Systems and methods for signaling incorporating interference avoidance or beam nulling constraints for millimeter wave communication systems
US10582332B2 (en) * 2017-12-11 2020-03-03 Nokia Of America Corporation Autonomous localization in wireless networks
US11146327B2 (en) * 2017-12-29 2021-10-12 Hughes Network Systems, Llc Machine learning models for adjusting communication parameters
US10505616B1 (en) * 2018-06-01 2019-12-10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machine learning based wide beam optimization in cellular network
EP3844982A1 (en) * 2018-08-30 2021-07-07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ethod and apparatus for location services
US11963150B2 (en) * 2018-11-01 2024-04-16 Qualcomm Incorporated Positioning enhancements for locating a mobile device in a wireless network
WO2020111986A1 (en) * 2018-11-26 2020-06-04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Apparatuses and methods for positioning
KR20200114758A (ko) * 2019-03-29 2020-10-07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최대 전송 전력 조정 방법 및 장치
WO2020218896A1 (en) * 2019-04-26 2020-10-29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system for mobility measurements in new radio (nr) based mobile communication-network
US11096176B2 (en) * 2019-05-24 2021-08-17 Huawei Technologies Co., Ltd. Location-based beam prediction using machine learning
US11805474B2 (en) * 2019-06-28 2023-10-31 Qualcomm Incorporated UE beam detection
US11026198B2 (en) * 2019-09-16 2021-06-01 Silicon Valley Bank 5G signals detection using neural network
US11477664B2 (en) * 2019-11-27 2022-10-18 Qualcomm Incorporated Dynamic beam sweep procedure
CN112886996A (zh) * 2019-11-29 2021-06-01 北京三星通信技术研究有限公司 信号接收方法、用户设备、电子设备及计算机存储介质
WO2021112592A1 (ko) * 2019-12-03 2021-06-10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인공 지능 기반의 빔 관리 방법 및 이에 대한 장치
US10959109B1 (en) * 2020-02-27 2021-03-23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Creating and using network coverage models
US11843434B2 (en) * 2020-03-26 2023-12-12 Drexel University Millimeter wave coarse beamforming using outband sub-6GHz reconfigurable antennas
WO2021191176A1 (en) * 2020-03-27 2021-09-30 Nokia Technologies Oy Reporting in wireless networks
US11672019B2 (en) * 2020-05-01 2023-06-06 Ofinno, Llc Random access procedure
US11792666B2 (en) * 2020-06-04 2023-10-17 Qualcomm Incorporated Location assistance data for wideband positioning
KR102159576B1 (ko) * 2020-07-28 2020-09-24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핑거프린트 기반의 빔 간섭 제거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69332A (ko) * 2017-12-11 2019-06-19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딥러닝을 이용한 빔포빙 방법
KR102067114B1 (ko) * 2018-08-22 2020-01-16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밀리미터 통신을 위한 딥러닝 기반 빔추적 및 예측 방법 그리고 시스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881973A (zh) * 2021-01-20 2021-06-01 西北工业大学 一种基于rbf神经网络的自修正波束设计方法
WO2023113282A1 (ko) * 2021-12-13 2023-06-22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송수신기 모델에 대한 온라인 학습을 수행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WO2023211066A1 (ko) * 2022-04-26 2023-11-02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밀리미터파 및 테라헤르츠파 무선통신시스템에서 다중 센서를 이용한 빔 제어 방법, 이를 수행하기 위한 기록 매체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20014933A1 (en) 2022-01-13
US11304063B2 (en) 2022-04-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04783B1 (ko) 딥러닝 기반의 빔포밍 통신 시스템 및 방법
Marzi et al. Compressive channel estimation and tracking for large arrays in mm-wave picocells
Huang et al. Indoor signal focusing with deep learning designed reconfigurable intelligent surfaces
Azari et al. Reshaping cellular networks for the sky: Major factors and feasibility
Hur et al. Multilevel millimeter wave beamforming for wireless backhaul
WO2013000068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network clusters for wireless backhaul networks
CN112511198B (zh) 用于波束图案优化的高效数据生成
US20220159480A1 (en) Beamforming method and apparatus, radio access network device, and readable storage medium
Anjinappa et al. Millimeter-wave V2X channels: Propagation statistics, beamforming, and blockage
Khatun et al. Millimeter wave systems for airports and short-range aviation communications: A survey of the current channel models at mmwave frequencies
Soleimani et al. Statistical approaches for initial access in mmWave 5G systems
Ghatak et al. Beamwidth optimization and resource partitioning scheme for localization assisted mm-wave communication
CN115278526A (zh) 终端定位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Gante et al. Data-aided fast beamforming selection for 5G
EP2887562A1 (en) Method to establish mm-wave links with adaptive antennas
Banday et al. SINR analysis and interference management of macrocell cellular networks in dense urban environments
Hasan et al. Performance estimation of massive MIMO drop-based propagation channel model for mmWave communication
Kang et al. Optimal receive beamwidth for time varying vehicular channels
Liu et al. A dynamic subarray structure in reconfigurable intelligent surfaces for terahertz communication systems
Ahmadi et al. Reinforcement learning for optimized beam training in multi-hop terahertz communications
Kutty et al. An improved numerical optimization method for efficient beam search in 60 GHz indoor millimeter wave wireless networks
KR20100130312A (ko) 분산 다중 입출력 시스템에서 최적의 선형적 전송 장치 및 방법
CN111372195A (zh) 移动通信网络中移动终端的位置追踪方法、设备及存储介质
CN111372190B (zh) 移动终端位置追踪的机器学习模型、方法、设备及存储介质
Tsoulos et al. Adaptive antennas for microcellular and mixed cell environments with DS-CDM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