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04758B1 - 고주파 특성이 개선된 hdmi 커넥터 - Google Patents

고주파 특성이 개선된 hdmi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04758B1
KR102204758B1 KR1020190086423A KR20190086423A KR102204758B1 KR 102204758 B1 KR102204758 B1 KR 102204758B1 KR 1020190086423 A KR1020190086423 A KR 1020190086423A KR 20190086423 A KR20190086423 A KR 20190086423A KR 102204758 B1 KR102204758 B1 KR 1022047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ct
portions
bent
hdmi connector
hdmi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864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성욱
Original Assignee
(주)연호엠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연호엠에스 filed Critical (주)연호엠에스
Priority to KR10201900864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0475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047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047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60Contacts spaced along planar side wall transverse to longitudinal axis of engagem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6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specially adapted for high-frequency, e.g. structures providing an impedance match or phase match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HDMI 커넥터는, 회로 패턴을 가지는 기판, 상기 기판과 결합되는 절연체 및 상기 절연체에 삽입되며, 서로 교번하여 반복 배치되는 제1 및 제2 접속 핀으로 구성되는 접촉 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제1 및 제2 접속 핀은 각각, 상기 절연체의 일측으로 돌출되는 제1 및 제2 접촉부, 상기 절연체의 타측으로 돌출되며, 상기 기판의 회로 패턴과 연결되는 제1 및 제2 단자부 및 상기 제1 및 제2 접촉부와 상기 제1 및 제2 단자부를 연결하는 제1 및 제2 절곡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및 제2 접촉부는 각각, 평행한 2개의 접촉 평면에 배치되고, 길이 방향을 따라 동일한 두께를 가지고 배치된다.

Description

고주파 특성이 개선된 HDMI 커넥터{HDMI CONNECTOR WITH IMPROVED HIGH-FREQUENCY CHARACTERISTICS}
본 발명은 고주파 특성이 개선된 HDMI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자세하게는 접촉 부재의 형상을 변형을 줌으로써, 고주파 대역에서의 전송 손실을 감소시킬 수 있는 HDMI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는 개인용 컴퓨터와 디스플레이의 인터페이스 표준 규격인 DVI(Digital Visual Interface)를 AV 전자 제품용으로 개발한 인터페이스 규격이다.
HDMI는 영상 또는 음성을 압축하지 않고 플레이어에서 디스플레이 기기 측으로 전송하여, 소스(source) 기기와 싱크(sink) 기기간의 지연(Latency)이 거의 없으며, 별도의 디코더 칩이나 소프트웨어를 필요로 하지 않아 포맷 호환성이 높다.
또한 비디오 신호, 오디오 신호, 및 컨트롤 신호가 케이블 하나로 전송되기 때문에 복잡했던 AV 기기들의 배선을 간단히 할 수 있고, 불법 복제 방지를 위한 암호와 기술(HDCP: High-bandwidth Digital Content Protection)을 지원하여 저작권 보호 기능까지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기능을 수행하는 HDMI 케이블은 HDMI 커넥터에 의해 장치들과 연결되며, HDMI 커넥터는 접촉 부재를 감싸는 절연체와 외부 노이즈, 환경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하우징으로 구성된다. 이때, 신호를 전송하는 접촉 부재는 HDMI 케이블 단자와 연결되는 접촉부, 기판의 회로 패턴과 연결되는 단자부 및 접촉부와 단자부를 연결하는 절곡부를 포함한다.
한편, 최근 HD(High Definition) 영상 및 UHD(Ultra High Definition) 영상과 같은 고해상도, 고품질의 영상의 제작이 증가함에 따라, HDMI 케이블도 이러한 고해상도, 고품질의 영상을 전송하기 위해 전송 대역폭(Transmission Bandwidth)과 전송 속도에 대한 표준 규격이 향상되었으나, 종래의 HDMI 커넥터 구조의 특성 상 향상된 규격의 HDMI 케이블을 연결할 경우, 고주파 대역에서의 전송 손실이 필연적으로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따라서, 고주파 대역에서의 전송 손실을 감소시키며, 기존의 설계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새로운 구조의 HDMI 커넥터의 개발이 요구되며, 본 발명은 이에 관한 것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218245호(2012.12.27.)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접촉 부재의 구조에 변형을 줌으로써, 고해상도, 고품질의 영상 또는 음성을 송신하는 과정에서 고주파수 대역의 전송 손실을 감소할 수 있는 HDMI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고주파수 대역의 전송 손실을 감소시킬 수 있는 추가 구성 요소가 필요하지 않고, 정해져 있는 규격 내에서 접촉 부재의 구조만을 변형시켜 제작이 용이한 HDMI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HDMI 커넥터는 적어도 하나의 개구부를 포함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에 결합되는 절연체 및 상기 절연체에 삽입되며, 서로 교번하여 반복 배치되는 제1 및 제2 접속 핀으로 구성되는 접촉 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제1 및 제2 접속 핀은 각각, 상기 절연체의 일측으로 돌출되는 제1 및 제2 접촉부, 상기 절연체의 타측으로 돌출되는 제1 및 제2 단자부 및 상기 제1 및 제2 접촉부와 상기 제1 및 제2 단자부를 연결하는 제1 및 제2 절곡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및 제2 접촉부는 각각, 평행한 2개의 접촉 평면에 배치되고, 길이 방향을 따라 동일한 두께를 가지고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접촉 평면은, 제1 및 제2 접촉 평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절곡부는, 상기 제1 접촉 평면에서 절곡되며, 상기 제2 절곡부는, 상기 제2 접촉 평면에서 절곡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1 및 제2 절곡부는, 상기 제1 및 제2 접촉부와 인접한 영역에서 상기 제1 및 제2 접촉부와 동일한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1 및 제2 절곡부는, 서로 다른 각도를 가지고 절곡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1 및 제2 절곡부는, 하나의 절곡부가 직각으로 절곡되는 경우, 다른 하나의 절곡부가 예각 또는 둔각으로 절곡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1 및 제2 절곡부는, 서로 동일한 각도로 절곡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1 및 제2 단자부는, 상기 제1 및 제2 접촉부와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1 및 제2 절곡부는, 상기 제1 및 제2 접촉부와 상기 제1 및 제2 단자부를 연결하는 길이가 서로 상이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1 및 제2 절곡부는, 길이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1 및 제2 접촉부와 연결되는 연결 지점이 서로 상이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회로 패턴을 가지는 기판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단자부는, 상기 기판의 회로 패턴과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절연체를 감싸는 하우징을 더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접촉 부재의 제1 및 제2 단자부가 노출된 일측에서 상기 기판과 고정 결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접촉 부재를 이루는 복수 개의 접속 핀을 어레이(array)함에 있어서, 서로 다른 모양을 가지는 접속 핀들을 번갈아 배치시켜, 차동 신호의 + 단자와 - 단자 사이의 이격 거리를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HDMI 케이블과 연결되는 접촉부 영역에서 접촉되는 접속 핀의 면적을 넓힘으로써, 차동 신호의 + 단자와 - 단자 사이의 이격 거리를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차동 신호의 + 단자와 - 단자 사이의 이격 거리가 감소함에 따라 0.5GHz 이상의 고주파수 대역에서의 전송 손실이 감소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HDMI 커넥터 내 다른 구성 요소들의 형상에 변형을 주지 않고, 접촉 부재를 이루는 복수 개의 접속 핀들의 형상만을 변형시킴으로써, 제작 비용이 들지 않아 경제적인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 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HDMI 커넥터에 내장된 접촉 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종래의 HDMI 커넥터에 내장된 접촉 부재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HDMI 커넥터에 내장된 접촉 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HDMI 커넥터에 내장된 접촉 부재의 상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HDMI 커넥터에 내장된 접촉 부재의 측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HDMI 커넥터에 내장된 접촉 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HDMI 커넥터에 내장된 접촉 부재의 측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HDMI 커넥터에 내장된 접촉 부재의 상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HDMI 커넥터의 주파수에 따른 전송 손실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HDMI 커넥터의 주파수에 따른 전송 손실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HDMI 커넥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2a 및 도 12b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HDMI 커넥터의 전면 및 후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명확화하기 위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요소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도면들 중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구성을 갖는 구성요소들에 대하여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참조번호들 및 부호들을 부여하였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필요한 경우에는 장치와 방법을 함께 서술하도록 한다.
도 1은 종래의 HDMI 커넥터에 내장된 접촉 부재(10)의 사시도이고, 도 2는 종래의 HDMI 커넥터에 내장된 접촉 부재(10)의 측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HDMI 커넥터에 내장된 접촉 부재(10)는 HDMI 케이블과 접촉하는 접촉부(11), 접촉부(11)의 끝 단에 배치되며, 외부 회로 패턴과 연결될 수 있는 단자부(12), 접촉부(11)와 단자부(12)를 연결하는 절곡부(13)를 포함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HDMI 커넥터가 A타입일 경우, 종래의 접촉 부재(10)는 19개의 접속 핀들로 구성될 수 있으며, 각각의 접속 핀은 절곡부(13)를 기준으로 구부러진 형상을 이룰 수 있다. 즉, 접촉 부재(10)가 'ㄱ'형상으로 절곡되며, 접촉부(11)에 해당하는 영역에서 서로 인접한 접속 핀들이 상, 하로 교차 배치될 뿐만 아니라, 상측 및 하측에서 접촉부(11)가 도 2와 같이 소정 간격(D2)을 가지고 배치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접촉 부재(10)를 구성하는 접속 핀이 일정한 간격(D2)을 가지고 배치됨을 확인할 수 있는데, 이러한 구조는 HDMI 케이블의 표준 규격이 [표 1]과 같이 변화함에 따라 고주파수 대역에서의 전송 손실을 유발하게 된다.
HDMI 1.4 ver. HDMI 2.1 ver.
Transmission Bandwidth 10.2 Gbit/s 48.0 Gbit/s
Maximum Data Rate 8.16 Gbit/s 42.6 Gbit/s
Maximum Character Rate 340 MHz 1.2 GHz
Data Channels 3 4
Encoding Scheme 8b/10b 16b/18b
Compression (Optional) DSC 1.2
즉, HDMI 커넥터가 차동 신호(Transition Minimized Differential Signaling, TMDS)를 사용하여 대용량의 데이터를 고속으로 전송하는 과정에서, 순차적으로 + 단자, 접지 단자, - 단자의 역할을 수행하였던 핀들 간의 등간격 유지거리(D1)로 인하여, 고주파수 대역에서 전송 손실이 발생하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HDMI 커넥터(100)에 내장된 접촉 부재(130)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HDMI 커넥터(100)에 내장된 접촉 부재(130)의 상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HDMI 커넥터(100)에 내장된 접촉 부재(130)의 측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HDMI 커넥터(100)에 내장되는 접촉 부재(130)는 서로 교번하여 반복 배치되는 제1 및 제2 접속 핀(130a, 130b)으로 구성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1 및 제2 접속 핀(130a, 130b)은 각각 후술하게 될 절연체(120)의 일측으로 돌출되는 제1 및 제2 접촉부(131a, 131b), 절연체(120)의 타측으로 돌출되는 제1 및 제2 단자부(132a, 132b) 그리고 제1 및 제2 접촉부(131a, 131b)와 제1 및 제2 접촉부(132a, 132b)를 연결하는 제1 및 제2 절곡부(133a, 133b)로 구성됨을 확인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복수 개의 제1 및 제2 접속 핀(130a, 130b)이 순차적으로 [표 2]와 같이 신호를 할당 받음에 따라, 차동 신호(TMDS) 중 + 신호를 할당 받은 단자와 - 신호를 할당 받은 단자, 즉 (3), (4)번째 접속 핀, (6), (7)번째 접속 핀, (9), (10)번째 접속 핀에서 고주파수 대역에서의 전송 손실이 발생할 수 있다.
접촉부재번호 신호 할당 접촉부재번호 신호 할당
1 TMDS Data 2 + 2 TMDS Data 2 Shield
3 TMDS Data 1 - 4 TMDS Data 1 +
5 TMDS Data 1 Shield 6 TMDS Data 1 -
7 TMDS Data 0 + 8 TMDS Data 0 Shield
9 TMDS Data 0 - 10 TMDS Clock +
11 TMDS Clock Shield 12 TMDS Clock -
13 CEC 14 Reserved
15 SCL 16 SDA
17 DDC/CEC Ground 18 +5V Power
19 Hot Plug Detect
그에 따라, 본 발명에서는 제1 및 제2 접속 핀(130a, 130b)이 서로 다른 형상을 가질 수 있도록, 제1 및 제2 접속 핀(130a, 130b)을 서로 상이한 평면에서 절곡시킬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도 5를 참조하면, 제1 및 제2 접속 핀(130a, 130b)은 대략 'ㄱ' 형상을 가지며, 동일한 각도로 절곡됨을 확인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1 절곡부(133a)가 제1 접촉 평면(P1)에서 θ1의 각도를 가지고 절곡되고, 제2 절곡부(133b)도 제1 절곡부(133a)와 동일하게 θ1의 각도를 가지고 제2 접촉 평면(P2)에서 절곡될 수 있으며, 이와 연결된 제1 및 제2 접촉부(131a, 131b)도 평행한 2개의 접촉 평면(P1, P2)에서 연장 배치될 수 있다.
즉, 제1 및 제2 접속 핀(130a, 130b)은 제1 및 제2 절곡부(133a, 133b)가 형성되는 영역에서도 제1 및 제2 접촉부(131a, 131b) 사이의 간격(D3)과 동일한 크기의 간격을 가짐으로써, 측면에서 바라본 제1 및 제2 접속 핀(130a, 130b)의 형상이 겹쳐지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HDMI 커넥터(100)의 고주파수 대역에서의 전송 손실량이 감소할 수 있다.
한편, 다시 도 4를 참조하면, 제1 및 제2 접속 핀(130a, 130b)은 제1 및 제2 접촉부(131a, 131b) 그리고 제1 및 제2 절곡부(133a, 133b) 영역에서 길이 방향을 따라 동일한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즉, 종래와 달리 접촉부(131) 및 이와 연장된 절곡부(133)의 면적을 넓힘으로써, 단일 차동신호(TMDS) 간의 거리를 좁혀 주고, 그에 따라 HDMI 커넥터(100)의 전송 효율이 상승할 수 있다.
또 다른 한편, 제1 및 제2 절곡부(133a, 133b)의 끝 단에 배치된 제1 및 제2 단자부(132a, 132b)의 경우, HDMI 커넥터(100)를 구비한 장치와 HDMI 케이블과의 연결을 위해, 제1 및 제2 접촉부(131a, 131b)와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HDMI 커넥터(100)에 내장된 접촉 부재(130)의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HDMI 커넥터(100)에 내장된 접촉 부재(130)의 측면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HDMI 커넥터(100)에 내장된 접촉 부재(130)의 상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HDMI 커넥터(100)에 내장되는 접촉 부재(130)는 서로 교번하여 반복 배치되는 제1 및 제2 접속 핀(130a, 130b)으로 구성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1 및 제2 접속 핀(130a, 130b)은 각각 후술하게 될 절연체(120)의 일측으로 돌출되는 제1 및 제2 접촉부(131a, 131b), 절연체(120)의 타측으로 돌출되는 제1 및 제2 단자부(132a, 132b) 그리고 제1 및 제2 접촉부(131a, 131b)와 제1 및 제2 접촉부(132a, 132b)를 연결하는 제1 및 제2 절곡부(133a, 133b)로 구성됨을 확인할 수 있다.
아울러, 제2 실시 예에 따른 접속 부재(130)도 접속 부재(130)를 이루는 제1 및 제2 접속핀(130a, 130b)이 서로 다른 형상을 가지도록, 제1 및 제2 접속 핀(130a, 130b)을 서로 다른 평면에서 절곡시킬 뿐만 아니라, 서로 다른 각도를 가지고 절곡시킬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도 7을 참조하면, 제1 및 제2 접속 핀(130a, 130b)은 서로 다른 평면에서, 서로 다른 각도를 가지고 절곡됨을 확인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1 절곡부(133a)는 제1 접촉 평면(P1)에서 θ2의 각도를 가지고 절곡되며, 제2 절곡부(133b)는 θ3의 각도를 가지고 제2 접촉 평면(P2)에서 절곡될 수 있으며, 이와 연결된 제1 및 제2 접촉부(131a, 131b)는 각각 평행한 2개의 접촉 평면(P1, P2)에서 연장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및 제2 절곡부(133a, 133b) 중 어느 하나의 절곡부가 직각으로 절곡되는 경우, 다른 하나의 절곡부가 예각 또는 둔각으로 절곡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제1 및 제2 접속 핀(130a, 130b)은 제1 및 제2 절곡부(133a, 133b)가 형성되는 영역에서도 제1 및 제2 접촉부(131a, 131b) 사이의 간격(D4)과 동일한 크기의 간격을 가짐으로써, 측면에서 바라봤을 때 차동신호(TMDS)의 +, - 신호를 할당 받은 제1 및 제2 접속 핀(130a, 130b)의 형상이 겹쳐지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HDMI 커넥터(100)의 고주파수 대역에서의 전송 손실량이 감소할 수 있다.
아울러, 상술한 형상 이외에도 제1 및 제2 접속 핀(130a, 130b)은 제1 및 제2 접촉부(131a, 131b)를 시작으로 제1 및 제2 절곡부(133a, 133b)가 형성 및 연결되는 지점이 서로 상이하도록 형성하거나, 제1 및 제2 접촉부(131a, 131b)와 제1 및 제2 단자부(132a, 132b)를 연결하는 제1 및 제2 절곡부(133a, 133b)의 길이가 서로 상이할 수 있게 형성함으로써, 제1 및 제2 접속 핀(130a, 130b)이 동일한 형상을 가짐에 따라 발생하게 되는 고주파수 대역의 전송 손실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
한편, 도 8을 참조하면, 제1 및 제2 접속 핀(130a, 130b)은 제1 및 제2 접촉부(131a, 131b) 그리고 제1 및 제2 절곡부(133a, 133b) 영역에서 길이 방향을 따라 동일한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즉, 종래와 달리 접촉부(131) 및 이와 연장된 절곡부(133)의 면적을 넓힘으로써, 단일 차동신호(TMDS) 간의 거리를 좁혀 주고, 그에 따라 HDMI 커넥터(100)의 전송 효율이 상승할 수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의 제1 및 제2 실시 예에 따른 접촉 부재(130)의 형상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본 발명에 따르면, 통신 및 제조 규격이 정해져 있어 변경할 수 있는 사항이 제한적인 HDMI 커넥터(100)의 내부에 삽입된 접촉 부재(130)의 구조에 변형을 줌으로써, 고주파 대역에서의 전송 손실을 감소시켜 줄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HDMI 커넥터(100)의 주파수에 따른 전송 손실을 나타낸 그래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HDMI 커넥터(100)의 주파수에 따른 전송 손실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HDMI 커넥터(100)의 고주파수 대역에서의 전송 손실이 다음과 같이 나타남을 확인할 수 있으며, Lane 0, 1, 2, 3은 각각 접촉 부재(130)를 구성하는 복수 개의 제1 및 제2 접속 핀(130a, 130b) 중 고속 전송을 수행하는 3개의 차동 데이터 신호(TMDS Data 0, 1, 2), 1개의 차동 클럭 신호(TMDS clock)를 할당 받은 접속 핀 묶음을 의미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가로축의 고주파수 대역 별, 세로축의 dB 값이 높을수록 고주파수 대역에서의 전송 손실이 적음을 의미하며, HDMI 커넥터(100)의 효율이 증대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즉, 제1 실시 예와 제2 실시 예 모두 0.5GHz의 고주파수 대역에서 대략 -0.3dB, 1GHz의 고주파수 대역에서 대략 -0.9dB 정도의 전송 손실을 가지는 바, 복수 개의 제1 및 제2 접속 핀(130a, 130b)의 형상이 중첩되지 않고, 접촉 부재(130)의 접촉 면적을 증가시킬수록 전송 손실이 감소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의 제1 및 제2 실시 예에 따른 HDMI 커넥터(100)의 주파수 특성을 설명하였으며, 이하에서는 상술한 구조를 가진 HDMI 커넥터(100)의 전체 구조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HDMI 커넥터(100)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12a 및 도 12b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HDMI 커넥터(100)의 전면 및 후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HDMI 커넥터(100)는 하우징(110), 절연체(120), 접촉 부재(130) 및 기판(140)을 포함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하우징(110)은 HDMI 케이블과 연결될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의 개구부(111)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절연체(120)와 접촉 부재(130)를 외부 환경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또한, 하우징(110)도 절연체(120)와 동일하게 절연 물질로 이루어짐으로써, HDMI 케이블과 장치를 연결하는 HDMI 커넥터(100)의 존재가 신호나 전원에서의 전류 흐름을 흐트러뜨리지 않도록 보조할 수 있다.
아울러, 도 12a를 참조하면, HDMI 커넥터(100)가 결합되는 장치의 종류에 따라서 기판(140)과 결합되는 돌출부(113)가 기판(140)에 포함된 홀(H)의 위치에 대응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기판(140)과 연결되는 접촉 부재(130)의 일부 영역(제1 및 제2 단자부(132a, 132b))을 하우징(110)의 외부로 노출시키기 위해 해당 영역이 개구될 수 있다.
다시 도 11을 참조하면, 절연체(120)는 하우징(110) 내에 결합되며, HDMI 케이블과 직접적으로 접촉하는 접촉부(131)를 안전하게 보호하기 위해, 접촉부(131)의 형상과 동일한 수용부(125)를 포함할 수 있으며, 복수 개의 접촉부(131)의 일부 영역이 노출 될 수 있는 홀(미도시)을 포함하여, 접촉 부재(130)와의 결합을 안정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접촉 부재(130)는 서로 다른 형상을 가진 복수 개의 제1 및 제2 접속 핀(130a, 130b)을 포함하며, 일단이 하우징(110)의 개구부(111) 영역으로 돌출되고, 타단이 기판(140)에 형성된 회로 기판(145)과 접촉할 수 있도록 구부러질 수 있다.
즉, 도 12b와 같이, HDMI 커넥터(100)는 접촉 부재(130)의 타단 즉, 단자부(132)가 기판(140)에 형성된 회로 패턴(140)과 접함으로써, HDMI 케이블이 제공하는 고해상도, 고품질의 영상 또는 음성을 HDMI 커넥터(100)와 연결된 장치에 전송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기판(140)은 회로 패턴(145)을 포함하는 PCB(Printed Circuit Board)로서, 회로 패턴(145)은 접촉 부재(130)의 제1 및 제2 단자부(132a, 132b)와 연결되어, HDMI 케이블이 제공하는 신호를 HDMI 커넥터(100)와 연결된 장치에 전달할 수 있다.
또한, 기판(140)은 하우징(110)과 결합하기 위한 복수 개의 홀(H)을 포함할 수 있으며, HDMI 커넥터(100)가 연결되는 장치에 따라 추가되거나 제외될 수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HDMI 커넥터(100)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본 발명에 따르면, HDMI 커넥터(100) 내에 삽입되어 있는 접촉 부재(130)의 형상에 변형을 줌으로써, 고주파수 대역에서의 전송 손실을 감소시킬 수 있고, 임피던스 및 신호의 안정성을 유지할 수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도면에 도시된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중심으로 상세히 살펴보았다. 이러한 실시 예들은 이 발명을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비록 본 명세서에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각 단계는 반드시 기재된 순서대로 수행되어야 할 필요는 없고, 병렬적, 선택적 또는 개별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본질적인 기술사상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 형태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균등물은 현재 공지된 균등물뿐만 아니라 장래에 개발될 균등물 즉 구조와 무관하게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도록 발명된 모든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0: 종래의 접촉 부재
11: 종래의 접촉부
12: 종래의 단자부
13: 종래의 절곡부
100: HDMI 커넥터
110: 하우징
111: 개구부
113: 돌출부
120: 절연체
125: 수용부
130: 접촉 부재
130a, 130b: 제1 접속 핀, 제2 접속 핀
131: 접촉부
131a, 131b: 제1 접촉부, 제2 접촉부
132: 단자부
132a, 132b: 제1 단자부, 제2 단자부
133: 절곡부
133a, 133b: 제1 절곡부, 제2 절곡부
140: 기판
145: 회로 패턴

Claims (11)

  1. 적어도 하나의 개구부를 포함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에 결합되는 절연체; 및
    상기 절연체에 삽입되며, 서로 교번하여 반복 배치되는 제1 및 제2 접속 핀으로 구성되는 접촉 부재;
    를 포함하되,
    상기 제1 및 제2 접속 핀은 각각,
    상기 절연체의 일측으로 돌출되는 제1 및 제2 접촉부와,
    상기 절연체의 타측으로 돌출되는 제1 및 제2 단자부와,
    상기 제1 및 제2 접촉부와 상기 제1 및 제2 단자부를 연결하는 제1 및 제2 절곡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접촉부는 각각,
    길이 방향을 따라 동일한 두께를 가지고, 서로 평행한 2개의 접촉 평면에 배치되며,
    상기 제1 및 제2 단자부는 같은 위치에서 서로 이웃하여 나란히 배치되고, 또한 상기 제1 및 제2 접촉부와 평행하게 배치되며,
    상기 제1 및 제2 접속핀의 상기 각 접촉부와 단자부 사이의 영역은, 접속핀의 길이 방향의 측면에서 보았을 때, 적어도 일부 영역이 중첩되어 있고,
    상기 서로 평행한 2개의 접촉 평면은, 접속핀의 길이 방향의 측면에서 보았을 때, 더 위쪽의 접촉 평면의 길이 방향 길이가 더 아래 쪽의 접촉 평면의 길이 방향 길이보다 더 짧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HDMI 커넥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 평면은, 제1 및 제2 접촉 평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절곡부는, 상기 제1 접촉 평면에서 절곡되며,
    상기 제2 절곡부는, 상기 제2 접촉 평면에서 절곡되는, HDMI 커넥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절곡부는,
    상기 제1 및 제2 접촉부와 인접한 영역에서 상기 제1 및 제2 접촉부와 동일한 두께를 가지는, HDMI 커넥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절곡부는,
    서로 다른 각도를 가지고 절곡되는, HDMI 커넥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절곡부는,
    하나의 절곡부가 직각으로 절곡되는 경우, 다른 하나의 절곡부가 예각 또는 둔각으로 절곡되는, HDMI 커넥터.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절곡부는,
    서로 동일한 각도로 절곡되는, HDMI 커넥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단자부는,
    상기 제1 및 제2 접촉부와 평행하게 배치되는, HDMI 커넥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절곡부는,
    상기 제1 및 제2 접촉부와 상기 제1 및 제2 단자부를 연결하는 길이가 서로 상이한, HDMI 커넥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절곡부는,
    길이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1 및 제2 접촉부와 연결되는 연결 지점이 서로 상이한, HDMI 커넥터.
  10. 제1항에 있어서,
    회로 패턴을 가지는 기판; 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단자부는,
    상기 기판의 회로 패턴과 연결되는, HDMI 커넥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제1 및 제2 단자부가 노출된 일측에서 상기 기판과 고정 결합하는, HDMI 커넥터.
KR1020190086423A 2019-07-17 2019-07-17 고주파 특성이 개선된 hdmi 커넥터 KR1022047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6423A KR102204758B1 (ko) 2019-07-17 2019-07-17 고주파 특성이 개선된 hdmi 커넥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6423A KR102204758B1 (ko) 2019-07-17 2019-07-17 고주파 특성이 개선된 hdmi 커넥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04758B1 true KR102204758B1 (ko) 2021-01-19

Family

ID=742371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86423A KR102204758B1 (ko) 2019-07-17 2019-07-17 고주파 특성이 개선된 hdmi 커넥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04758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2217827U (zh) * 2011-09-06 2012-05-09 泰强电子(深圳)有限公司 一种优化端子结构的hdmi插座
KR101218245B1 (ko) 2011-03-10 2013-01-03 태진정밀(주) Hdmi 커넥터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
CN202772369U (zh) * 2012-07-26 2013-03-06 张乃千 Hdmi连接器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18245B1 (ko) 2011-03-10 2013-01-03 태진정밀(주) Hdmi 커넥터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
CN202217827U (zh) * 2011-09-06 2012-05-09 泰强电子(深圳)有限公司 一种优化端子结构的hdmi插座
CN202772369U (zh) * 2012-07-26 2013-03-06 张乃千 Hdmi连接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28223B2 (en) Flat cable for mounted display devices
US9136649B2 (en) HDMI type-D connector
KR101878516B1 (ko) 커넥터, 케이블, 송신 장치, 수신 장치 및 커넥터의 제조 방법
US7956290B2 (en) High-frequency digital A/V cable
CN101194397B (zh) 电连接器
US8083546B2 (en) Electric connector and electric assembly
US9640880B2 (en) Cable connector
US9496651B2 (en) HDMI connector
US7918673B1 (en) Connector assembly having signal and ground terminals
US10826243B2 (en) Electric connector terminal configuration structure
US20090264011A1 (en) High frequency digital a/v cable connector and cable assembly
US9515434B2 (en) Connector plug with two rows of pins and connector socket with two rows of holes
US9118877B2 (en) Signal transfer apparatus
US9887472B2 (en) Multimedia interface connector and electronic device having the same
US10476208B1 (en) Electric connector
KR20220062054A (ko) 커넥터, 전자 기기 및 오픈 플러그가능형 ops 기기
US20210399925A1 (en) Signal transmission device capable of transmitting multiple data streams
US20090260869A1 (en) High frequency digital a/v cable assembly
US7963809B2 (en) Microdvi connector
EP2821988A1 (en) Connector for reducing near-end crosstalk
KR102204758B1 (ko) 고주파 특성이 개선된 hdmi 커넥터
CN113810070B (zh) 可传输多组数据流的信号传输装置
US11929574B2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HDMI 2.1 specification and a simple structure that can meet the conditions required for high-frequency signal transmission
CN1905283B (zh) 一种电连接器
US11791586B2 (en) Electrical connector in compliance with HDMI 2.1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