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04546B1 - Air cleaner - Google Patents

Air clean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04546B1
KR102204546B1 KR1020190045957A KR20190045957A KR102204546B1 KR 102204546 B1 KR102204546 B1 KR 102204546B1 KR 1020190045957 A KR1020190045957 A KR 1020190045957A KR 20190045957 A KR20190045957 A KR 20190045957A KR 102204546 B1 KR102204546 B1 KR 1022045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
frame
air
filter member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4595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90044044A (en
Inventor
박재균
문영철
윤상준
하현필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459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04546B1/en
Publication of KR201900440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4404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045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0454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082Grilles, registers or guar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8Arrangement or mounting of fil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F24F8/108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using dry filter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24F2013/205Mounting a ventilator fan therei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iltering Of Dispersed Particles In Gases (AREA)

Abstract

본 실시예는 공기 청정기에 관한 것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공기 청정기의 지지 프레임은, 상기 하부 프레임의 원주 방향으로 소정 간격 이격되는 위치에 세워져서 필터 인입부를 형성하는 한 쌍의 제 1 프레임; 및 상기 한 쌍의 제 1 프레임으로부터 상기 하부 프레임의 원주 방향으로 이격되는 위치에 세워지는 제 2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필터 인입부는, 상기 한 쌍의 제 1 프레임의 전단부들 사이의 공간으로 정의되고, 상기 제 2 프레임은 상기 한 쌍의 제 1 프레임의 후단부들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This embodiment relates to an air purifier.
The support frame of the air purifier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pair of first frames that are erected at position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a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lower frame to form a filter inlet; And a second frame erected at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pair of first frames in a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lower frame, wherein the filter inlet portion is defined as a space between front ends of the pair of first frames , The second frame may be located between rear ends of the pair of first frames.

Figure 112019040387231-pat00011
Figure 112019040387231-pat00011

Description

공기 청정기 {Air cleaner}Air cleaner

본 발명은 공기 청정기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ir purifier.

공기 청정기는 오염된 공기를 흡입하여 정화한 후, 정화된 공기를 배출시키는 장치로서 이해된다. 일례로, 공기 청정기에는, 외부의 공기를 공기 청정기의 내부로 유입시키기 위한 송풍장치 및 공기 중 먼지나 세균등을 필터링 할 수 있는 필터가 포함될 수 있다.The air purifier is understood as a device that sucks and purifies contaminated air and then discharges the purified air. As an example, the air purifier may include a blower for introducing external air into the air purifier, and a filter capable of filtering dust or bacteria in the air.

일반적으로, 공기 청정기는 가정이나 사무실과 같은 실내공간을 정화하도록 구성된다. 종래의 공기 청정기에 의하면, 그 용량이 제한되어 실내공간 전체의 공기를 정화시키는 것이 제한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상기 공기 청정기의 주변의 공기는 정화될 수 있는 반면, 상기 공기 청정기로부터 멀리 떨어진 공간의 공기는 정화되는 것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In general, an air purifier is configured to purify an indoor space such as a home or an office. According to the conventional air purifier,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capacity of the air purifier is limited and thus it is limited to purify the air in the entire indoor space. Accordingly, while the air around the air purifier can be purified, it is difficult to purify the air in a space far from the air purifier.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공기 청정기에 구비되는 팬의 성능을 개선시키는 노력이 있어 왔으나, 팬의 송풍량이 커질수록 팬으로부터 발생되는 소음이 커져 제품에 대한 신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efforts have been made to improve the performance of a fan provided in an air purifier, but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reliability of the product decreases as the noise generated from the fan increases as the blowing amount of the fan increases.

결국, 공기 청정기의 제한된 용량에 의하여, 사용자는 공기 청정기를 이동시켜 가면서, 원하는 공간의 공기를 정화시켜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Eventually, due to the limited capacity of the air purifier, the user has to move the air purifier and purify the air in a desired space.

종래의 공기청정기와 관련하여, 본 출원인은 아래와 같은 선행문헌을 개시한 바 있다.With respect to the conventional air purifier, the present applicant has disclosed the following prior literature.

1. 공개번호 (공개일자) : KR10-2012-0071992 (2012년 7월 3일)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12-0071992 (July 3, 2012)

2. 발명의 명칭 : 공기청정기2. Title of invention: Air purifier

상기 선행문헌에 의하면, 공기 청정기의 본체는 대략 직육면체 형상의 케이스 내부에, 팬과 필터와 같은 공기청정 부품이 설치된다. 그리고, 공기 흡입구는 공기청정기의 본체의 측방부 및 하부에 형성되고, 공기 토출구는 본체의 상부에 형성된다. According to the prior literature, the main body of the air purifier is provided with air cleaning components such as a fan and a filter inside a substantially rectangular parallelepiped case. Further, the air intake port is formed at the side and lower portions of the main body of the air purifier, and the air outlet port is formed at the upper part of the main body.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공기청정기를 기준으로, 제한된 방향, 즉 측방 및 하방으로부터 오염된 공기가 흡입되므로, 흡입용량이 적어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직육면체 형상을 가지는 케이스의 모서리부는 공기의 흡입을 방해하는 구조적인 저항으로서 작용하게 된다.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since contaminated air is sucked from a limited direction, that is, from the side and from the bottom based on the air purifier, there is a problem that the suction capacity is reduced. And, the corner portion of the case having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shape acts as a structural resistance that hinders the intake of air.

또한, 상기 공기 청정기의 내부에서 정화된 공기는 일방향, 즉 상방으로만 토출됨으로써, 공기 청정기 주변의 공기는 정화될 수 있는 반면, 상기 공기 청정기로부터 멀리 떨어진 공간까지는 상기 정화된 공기를 유동시키지 못하여, 공기청정 기능이 제한되는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the air purified inside the air purifier is discharged only in one direction, that is, upward, so that the air around the air purifier can be purified, whereas the purified air cannot flow to a space far from the air purifier, There was a problem that the air cleaning function was limited.

또한, 상기 공기 청정기의 본체의 내부에는 하나의 송풍팬만이 제공됨으로써, 송풍용량이 제한되는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since only one blowing fan is provided inside the main body of the air purifier,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blowing capacity is limited.

본 실시예는,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공기 청정기로 흡입되는 공기의 흡입용량을 개선할 수 있는 공기 청정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embodiment,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has an object to provide an air cleaner capable of improving the suction capacity of air sucked by the air cleaner.

또한, 케이스에 형성되는 흡입부의 위치를 개선하여, 상기 흡입부를 통하여 흡입되는 공기유량을 증가시키는 공기 청정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ir purifier that improves the position of the suction part formed in the case and increases the air flow rate sucked through the suction part.

또한, 공기 청정기의 팬을 수용하는 팬 하우징의 형상을 개선하여, 상기 흡입부를 통하여 흡입된 공기가 필터부재로 용이하게 유동될 수 있도록 하는 공기 청정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특히, 상기 흡입부로부터 필터부재를 향하는 공기 유로의 크기가 점점 커질 수 있도록, 팬 하우징의 형상을 개선하여, 상기 필터부재를 향한 공기유동이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공기 청정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ir purifier that improves the shape of a fan housing for accommodating a fan of the air purifier so that air sucked through the suction unit can easily flow to the filter member. In particular,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ir purifier that improves the shape of the fan housing so that the size of the air flow path from the suction unit toward the filter member increases gradually, so that the air flow toward the filter member can be smoothly performed. .

또한, 케이스의 구조를 개선하여, 케이스의 분리를 용이하게 하고 공기 청정기의 내부 부품에 용이하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하는 공기 청정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n addi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air purifier that improves the structure of the case, facilitates separation of the case and allows easy access to internal parts of the air purifier.

또한, 본 실시예는, 공기 청정기로부터 토출되는 공기가 다양한 방향으로 토출되고, 먼 거리까지 도달할 수 있도록 하는 공기 청정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Further,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embodiment to provide an air purifier that allows air discharged from the air purifier to be discharged in various directions and reach a long distance.

또한, 송풍용량이 증가된 공기 청정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n addi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ir purifier having an increased blowing capacity.

또한, 본 실시예는 필터의 정화능력을 개선하고, 필터의 교체가 용이한 공기 청정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특히, 원통형 케이스의 내부에 용이하게 착탈 가능한 필터부재가 구비되는 공기 청정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embodiment aims to improve the purifying ability of a filter and to provide an air purifier in which the filter can be easily replaced. In particular,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air purifier provided with a filter member that is easily detachable inside a cylindrical case.

또한, 필터부재가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는 공기 청정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n addi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ir cleaner in which the filter member can be stably supported.

또한, 상기 필터부재의 출구측에 배치되는 팬 하우징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공기 청정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ir purifier capable of stably supporting a fan housing disposed on an outlet side of the filter member.

본 실시예에 따른 공기 청정기에는, 원통형 또는 끝부분이 잘린 원뿔형 형상을 가지는 필터부재 및 상기 필터부재를 지지하기 위한 필터 프레임이 포함된다.The air purifier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filter member having a cylindrical shape or a conical shape with a cut end portion thereof, and a filter frame for supporting the filter member.

상기 필터 프레임에는, 상기 필터부재의 하부에 구비되는 하부 프레임; 상기 필터부재의 상부에 구비되는 상부 프레임; 및 상기 하부 프레임으로부터 상기 상부 프레임을 향하여 연장되는 다수의 지지 프레임이 포함된다.In the filter frame, a lower frame provided under the filter member; An upper frame provided above the filter member; And a plurality of support frames extending from the lower frame toward the upper frame.

상기 다수의 지지 프레임의 사이에는, 상기 필터부재를 인입하기 위한 인입부가 형성된다.Between the plurality of support frames, a lead-in portion for inserting the filter member is formed.

상기 다수의 지지 프레임은 원주 방향으로 배열된다.The plurality of support frames are arranged in a circumferential direction.

상기 다수의 지지프레임에는, 2개의 제 1 프레임; 및 상기 다수의 제 1 프레임의 사이 공간에 배치되는 제 2 프레임이 포함된다.In the plurality of support frames, two first frames; And a second frame disposed in a space between the plurality of first frames.

상기 인입부는, 상기 2개의 제 1 프레임의 사이 공간 중, 전방공간을 형성한다.The lead-in portion forms a front space among the spaces between the two first frames.

상기 제 2 프레임은 상기 2개의 제 1 프레임의 사이 공간 중, 후방공간에 배치된다.The second frame is disposed in a rear space among spaces between the two first frames.

상기 제 1 프레임의 원주방향 길이는, 상기 제 2 프레임의 원주방향 길이보다 길게 형성된다.The circumferential length of the first frame is longer than the circumferential length of the second frame.

상기 제 1 프레임, 또는 상기 제 2 프레임에는, 상기 흡입부를 통하여 흡입된 공기를 상기 필터부재로 가이드 하는 유동 가이드부가 포함된다.The first frame or the second frame includes a flow guide part for guiding the air sucked through the suction part to the filter member.

상기 유동 가이드부에는, 슬릿이 포함된다.A slit is included in the flow guide part.

상기 2개의 제 1 프레임 및 상기 제 2 프레임은, 상기 필터부재의 외주면을 지지하도록 배치된다.The two first frames and the second frames are disposed to support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filter member.

상기 제 1 프레임에는, 상기 필터부재의 장착을 안내하는 직면부; 및 상기 직면부로부터 상기 제 2 프레임을 향하여 라운드지게 연장되어, 상기 필터부재를 지지하는 곡면부가 포함된다.In the first frame, a facing portion for guiding the mounting of the filter member; And a curved portion extending round from the facing portion toward the second frame and supporting the filter member.

상기 제 2 프레임은 다수 개가 구비된다.A plurality of the second frames are provided.

상기 지지 프레임의 외측에 결합되는 프레임 커버; 및 상기 지지프레임과 상기 프레임 커버의 사이에 형성되며, 전선이 위치하는 전선 공간부가 더 포함된다.A frame cover coupled to the outside of the support frame; And an electric wire space part formed between the support frame and the frame cover and in which electric wires are located.

상기 하부 프레임의 내측에 배치되어 상기 필터부재의 하측을 지지하는 지지장치가 더 포함되며, 상기 다수의 지지 프레임은 상기 지지장치의 둘레를 따라 배열된다.A support device disposed inside the lower frame to support a lower side of the filter member is further included, and the plurality of support frames are arranged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support device.

상기 지지부재의 하측에 설치되며, 상기 필터부재의 상방 또는 하방 이동을 위하여, 조작 가능한 핸들이 더 포함된다.It is installed on the lower side of the support member, to move the filter member upward or downward, the handle further includes an operable.

상기 핸들의 일방향 회전시, 상기 필터부재는 상방으로 이동하여 상기 장착공간에 장착되고, 상기 핸들의 타방향 회전시, 상기 필터부재는 하방으로 이동하여 상기 장착공간으로부터 분리 가능한 위치에 있게 된다.When the handle rotates in one direction, the filter member moves upward and is mounted in the mounting space, and when the handle rotates in the other direction, the filter member moves downward to be in a position that can be separated from the mounting space.

본 실시예에 따르면, 원통형의 케이스의 외주면을 따라 흡입부가 형성되고 상기 흡입부를 통하여 반경방향으로의 공기 흡입이 가능하므로, 흡입용량이 개선될 수 있고, 공기의 흡입과정에서 케이스의 구조적인 저항이 발생되지 않는다는 효과가 있다.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since a suction part is formed alo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ylindrical case and air suction in the radial direction is possible through the suction part, the suction capacity can be improved, and the structural resistance of the case during the suction process of air is reduced. There is an effect that it does not occur.

특히, 상기 흡입부에는 다수의 통공이 포함되고, 상기 다수의 통공은 케이스의 전체 외주면에 걸쳐 고르게 형성될 수 있으므로, 공기 청정기를 기준으로 360도 방향에서, 상기 공기 청정기의 내부를 향하는 흡입유로가 형성될 수 있게 된다. 결국, 공기의 흡입면적이 증가될 수 있으며, 내실자가 앉아있거나 서 있더라도 그 주변의 공기를 충분히 흡입할 수 있다는 효과가 나타난다.In particular, since the suction part includes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and the plurality of through holes may be formed evenly over the entir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ase, the suction flow path toward the inside of the air purifier in a direction of 360 degrees based on the air purifier is Can be formed. Eventually, the intake area of air can be increased, and the effect of being able to sufficiently inhale the surrounding air even when the eunuch is sitting or standing appears.

또한, 필터부재는 필터 프레임에 의하여 안정적으로 지지되며, 상기 필터 프레임의 내부에 형성되는 장착공간에 편리하게 장착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the filter member is stably supported by the filter frame, and has an advantage that it can be conveniently mounted in a mounting space formed inside the filter frame.

특히, 상기 필터부재는 반경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장착공간에 결합될 수 있으며, 상기 장착공간으로부터 반경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장착공간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으므로 필터 착탈을 위한 사용자 편의성이 증대될 수 있다.In particular, the filter member may move in a radial direction and be coupled to the mounting space, and may be separated from the mounting space by moving radially from the mounting space, thereby increasing user convenience for attaching and detaching the filter.

또한, 필터부재는 원통형으로 구비되어, 공기가 필터부재 외측의 전 방향에서 필터부재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으므로, 흡입면적이 증대될 수 있고, 이에 따라 필터의 공기청정 능력이 개선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since the filter member is provided in a cylindrical shape, since air can be introduced into the filter member from all directions outside the filter member, the suction area can be increased, and thus the air cleaning ability of the filter can be improved. There is this.

또한, 상기 필터 프레임에는, 필터부재의 하부에 구비되는 하부 프레임과, 상기 필터부재의 상부에 구비되는 상부 프레임 및 상기 하부 프레임으로부터 상기 상부 프레임을 향하여 연장되는 지지 프레임이 포함되어 상기 필터부재의 장착공간을 마련할 수 있으므로, 공기 청정기의 공간 활용성이 개선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lter frame includes a lower frame provided below the filter member, an upper frame provided above the filter member, and a support frame extending from the lower frame toward the upper frame to mount the filter member. Since a space can be provided, space utilization of the air purifier can be improved.

또한, 상기 지지 프레임은 다수 개가 구비되므로, 상기 상부 프레임과 하부 프레임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필터 프레임의 상측에 구비되는 공기 청정기의 부품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a plurality of support frames are provided, the upper frame and the lower frame may be stably supported.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stably support components of the air purifier provided on the upper side of the filter frame.

상세히, 상기 다수 개의 지지 프레임에는, 2개의 하부 프레임 및 상기 2개의 하부 프레임 사이 공간 중 후방부에 배치되는 상부 프레임이 포함되고, 상기 2개의 하부 프레임의 사이 공간 중 전방부에는, 상기 필터부재의 인입 또는 인출을 위한 인입부가 형성될 수 있으므로, 필터부재의 착탈이 용이하며 상기 필터부재의 상측에 구비되는 팬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In detail, the plurality of support frames include two lower frames and an upper frame disposed at a rear portion of a space between the two lower frames, and a front portion of the space between the two lower frames includes the filter member Since an inlet portion for drawing in or drawing out may be formed, it is easy to attach and detach the filter member, and the fan provided on the upper side of the filter member may be stably supported.

또한, 상기 하부 프레임의 원주방향 길이(또는 폭)이 상기 상부 프레임의 원주방향 길이(또는 폭)보다 크게 형성되므로, 상기 2개의 하부 프레임의 사이 공간 중 전방부에서의 지지력을 보완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since the circumferential length (or width) of the lower frame is formed larger than the circumferential length (or width) of the upper frame, it is possible to supplement the supporting force at the front of the space between the two lower frames. There is this.

또한, 상기 필터부재의 하측에는 지지장치 및 핸들을 구비하는 레버장치가 구비되며, 상기 핸들의 조작에 의하여 필터부재의 장착위치 또는 해제위치로의 이동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In addition, a lever device having a support device and a handle is provided below the filter member, and the filter member can be easily moved to the mounting position or the release position by the operation of the handle.

또한, 상기 지지 프레임에는, 케이스의 흡입부를 통하여 흡입된 공기를 필터부재로 가이드 하는 유동 가이드부(슬릿)가 포함되므로, 공기유동을 원활히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since the support frame includes a flow guide unit (slit) that guides air sucked through the suction unit of the case to the filter member,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air flow can be smoothly performed.

또한, 상기 제 1 케이스 또는 상기 제 2 케이스는 필터 프레임에 안정적으로 지지되며, 상기 제 1,2 케이스에 형성되는 흡입부가 필터부재에 상대적으로 근접하여 위치될 수 있게 된다. 결국, 상기 흡입부를 통하여 상기 필터부재로 유동하는 공기의 유동손실을 저감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case or the second case is stably supported on the filter frame, and the suction portions formed in the first and second cases may be positioned relatively close to the filter member. As a result, it is possible to reduce a flow loss of air flowing to the filter member through the suction part.

또한, 다수의 송풍장치가 제공되므로, 공기 청정기의 송풍용량이 개선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since a plurality of blowing devices are provided,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blowing capacity of the air purifier can be improved.

또한, 공기 청정기의 송풍용량을 증가시키기 위한 원심팬 및 상기 원심팬의 출구측에 배치되는 에어가이드 장치가 구비되므로, 원심팬을 통과하여 반경방향으로 유동하는 공기가 토출부를 향하여 상방으로 용이하게 가이드 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a centrifugal fan for increasing the blowing capacity of the air purifier and an air guide device disposed at the outlet side of the centrifugal fan are provided, the air flowing in the radial direction passing through the centrifugal fan is easily guided upward toward the discharge part. Can be.

또한, 상기 제 1,2 송풍장치를 통하여 서로 독립된 공기유동이 발생되어, 공기유동 상호간에 서로 방해가 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고, 이에 따라 공기 유동성능이 개선되는 효과가 나타난다.In addition, air flows independent of each other are generated through the first and second blowers, thereby preventing a phenomenon in which air flows interfere with each other, thereby improving air flow performance.

또한, 송풍팬에는 공기를 축방향으로 흡입하여 반경방향으로 토출하는 터보 팬이 포함되므로, 풍량이 증가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Further, since the blowing fan includes a turbo fan that sucks air in the axial direction and discharges it in the radial direction,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air volume can be increased.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 청정기의 외관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 청정기의 내부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III-III'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 1 송풍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필터부재의 하측에 구비되는 부품의 구성을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지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저면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필터부재의 구성을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필터부재의 구성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8의 "A" 부분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10은 도 8의 "B" 부분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필터 프레임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팬하우징의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필터 프레임의 구성을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도 14 및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필터부재가 장착공간에 설치 및 분리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6 내지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 청정기에서의 공기유동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필터 프레임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appearance of an air purifi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internal configuration of an air purifi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III-III' of FIG. 2.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first blow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component provided on the lower side of the filter memb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bottom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suppor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filter memb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filter memb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n enlarged view of portion "A" of FIG. 8.
10 is an enlarged view of a portion "B" of FIG. 8.
11 is a diagram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filter fra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fan hous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3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filter fra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4 and 15 are views showing a state in which a filter memb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and separated in a mounting space.
16 to 18 are views showing air flow in an air purifi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9 is a diagram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filter fram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 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Hereinafter,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hrough exemplary drawings. In adding reference numerals to elements of each drawing, it should be noted that the same elements are assigned the same numerals as possible even if they are indicated on different drawings. In addition, in describ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configuration or function interferes with an understanding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In addition, in describing the constituent elements of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erms such as first, second, A, B, (a), and (b) may be used. These terms are only used to distinguish the component from other components, and the nature, order, or order of the component is not limited by the term. When a component is described as being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that componen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at other component, but another component between each compon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may be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 청정기의 외관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appearance of an air purifi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 청정기(10)에는, 공기유동을 발생시키는 송풍장치(100,200) 및 상기 송풍장치(100,200)에서 발생된 공기유동의 토출방향을 전환시키는 유동 조절장치(300)가 포함된다. 상기 송풍장치(100,200)에는, 제 1 공기유동을 발생시키는 제 1 송풍장치(100) 및 제 2 공기유동을 발생시키는 제 2 송풍장치(200)가 포함된다. Referring to FIG. 1, in an air purifier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blower 100 and 200 for generating air flow and a flow control for switching the discharge direction of the air flow generated by the blower 100 and 200 Device 300 is included. The blowing devices 100 and 200 include a first blowing device 100 for generating a first air flow and a second blowing device 200 for generating a second air flow.

상기 제 1 송풍장치(100)와 제 2 송풍장치(200)는 상하 방향으로 배열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 2 송풍장치(200)는 상기 제 1 송풍장치(100)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 1 공기유동은, 상기 공기 청정기(10)의 하부측에 존재하는 실내공기를 흡입하는 유동을 형성하며, 상기 제 2 공기유동은, 상기 공기 청정기(10)의 상부측에 존재하는 실내공기를 흡입하는 유동을 형성한다. The first blowing device 100 and the second blowing device 200 may be arranged in a vertical direction. For example, the second blowing device 200 may be disposed above the first blowing device 100. In this case, the first air flow forms a flow that sucks indoor air existing at the lower side of the air purifier 10, and the second air flow is present at the upper side of the air purifier 10. It forms a flow that sucks indoor air.

상기 제 1,2 송풍장치(100,200)는, 청정공간의 공기를 정화시키는 기능을 수행하는 점에서, 각각 "제 1 공기청정 모듈(100)", 제 2 공기청정모듈(200)"이라 이름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 송풍장치(100)는 상기 공기 청정기(10)의 하부에 배치되는 점에서 "하부 공기청정 모듈" 또는 "하부 모듈"이라 이름할 수 있으며, 상기 제 2 송풍장치(200)는 상기 공기 청정기(10)의 상부에 배치되는 점에서, "상부 공기청정 모듈" 또는 "상부 모듈"이라 이름할 수 있다.The first and second blowers 100 and 200 may be referred to as “first air cleaning module 100” and second air cleaning module 200, respectively, in that they perform a function of purifying air in a clean space. In addition, the first blower 100 may be referred to as "lower air cleaning module" or "lower module" in that it is disposed under the air purifier 10, and the second blower ( 200) may be referred to as “upper air cleaning module” or “upper module” in that it is disposed above the air purifier 10.

상기 공기 청정기(10)에는,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스(101,201)가 포함된다.The air purifier 10 includes cases 101 and 201 forming an exterior.

상세히, 상기 케이스(101,201)에는, 상기 제 1 송풍장치(100)의 외관을 형성하는 제 1 케이스(101)가 포함된다. 상기 제 1 케이스(101)는 원통형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 케이스(101)의 상부는 하부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제 1 케이스(101)는 끝부분이 잘린 원뿔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In detail, the cases 101 and 201 include a first case 101 that forms the exterior of the first air blower 100. The first case 101 may have a cylindrical shape. In addition, the upper portion of the first case 101 may be configured to have a smaller diameter than the lower portion. That is, the first case 101 may have a conical shape with an end portion cut off.

상기 제 1 케이스(101)에는, 반경방향으로 공기가 흡입되는 제 1 흡입부(102)가 형성된다. 상기 제 1 흡입부(102)는 상기 제 1 케이스(101)의 적어도 일부분이 관통되어 형성되는 관통공을 포함한다. 상기 제 1 흡입부(102)는 다수 개가 형성된다.In the first case 101, a first suction unit 102 through which air is sucked in a radial direction is formed. The first suction unit 102 includes a through hole formed by penetrating at least a portion of the first case 101. A plurality of the first suction units 102 are formed.

상기 다수의 제 1 흡입부(102)는, 상기 제 1 케이스(101)를 기준으로 어느 방향에서라도 공기 흡입이 가능하도록, 상기 제 1 케이스(101)의 외주면을 따라 원주 방향으로 고르게 형성된다. 즉, 상기 제 1 케이스(101)의 내부중심을 지나는 상하방향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360도 방향에서 공기가 흡입될 수 있다. The plurality of first suction units 102 are evenly formed in a circumferential direction alo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case 101 so that air can be sucked in any direction based on the first case 101. That is, air may be sucked in a 360-degree direction based on a center line in the vertical direction passing through the inner center of the first case 101.

이와 같이, 상기 제 1 케이스(101)가 원통형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 1 흡입부(102)가 상기 제 1 케이스(101)의 외주면을 따라 다수 개 형성됨으로써, 공기의 흡입량이 증가할 수 있다. 그리고, 종래의 공기 청정기의 케이스와 같이, 모서리부를 가지는 육면체 형상을 회피함으로써, 흡입되는 공기에 대한 유동저항을 감소시킬 수 있다는 효과가 나타난다.In this way, the first case 101 is configured in a cylindrical shape, and a plurality of the first suction units 102 are formed alo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case 101, thereby increasing the amount of air intake. And, as in the case of a conventional air purifier, by avoiding the shape of a hexahedron having a corner portion,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flow resistance to the inhaled air.

상기 제 1 흡입부(102)를 통하여 흡입되는 공기는 상기 제 1 케이스(101)의 외주면으로부터 대략 반경방향으로 유동될 수 있다. 방향을 정의한다. 도 1을 기준으로, 상하 방향을 축방향이라 이름하고, 가로 방향으로 반경방향으로 이름한다. 상기 축방향은, 후술할 제 1 팬(160) 및 제 2 팬(260)의 중심축 방향, 즉 팬의 모터축 방향에 대응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반경방향은 상기 축방향의 수직한 방향으로서 이해될 수 있다. 그리고, 원주방향이란, 상기 축방향을 중심으로 하고 상기 반경방향의 거리를 회전반경으로 하여 회전할 때 형성되는 가상의 원 방향으로서 이해된다.Air sucked through the first suction unit 102 may flow in a substantially radial direction from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first case 101. Define the direction. Referring to FIG. 1, the vertical direction is referred to as the axial direction, and the horizontal direction is referred to as the radial direction. The axial direction may correspond to a central axis direction of the first fan 160 and the second fan 260 to be described later, that is, a motor axis direction of the fan. And, the radial direction can be understood as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axial direction. In additio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is understood as an imaginary circular direction formed when rotating with the axial direction as a center and the radial distance as a rotation radius.

상기 제 1 송풍장치(100)에는, 상기 제 1 케이스(101)의 하측에 제공되며 지면에 놓여지는 베이스(20)가 더 포함된다. 상기 베이스(20)는, 상기 제 1 케이스(101)의 하단부로부터 하방으로 이격되어 위치된다. 그리고, 상기 제 1 케이스(101)와 상기 베이스(20) 사이의 이격 공간에는, 베이스흡입부(103)가 형성된다. 상기 베이스흡입부(103)를 통하여 흡입되는 공기는 상기 베이스(20)의 상측에 구비되는 흡입그릴(110, 도 2 참조)의 흡입구(112)를 통하여 상방으로 유동될 수 있다.The first blowing device 100 further includes a base 20 provided below the first case 101 and placed on the ground. The base 20 is positioned to be spaced downward from the lower end of the first case 101. In addition, a base suction part 103 is formed in the spaced space between the first case 101 and the base 20. Air sucked through the base suction part 103 may flow upward through the suction port 112 of the suction grill 110 (see FIG. 2) provided on the upper side of the base 20.

즉, 상기 제 1 송풍장치(100)에는, 복수의 흡입부(102,103)가 포함된다. 실내공간의 하부에 존재하는 공기는 상기 복수의 흡입부(102,103)를 통하여 상기 제 1 송풍장치(100)로 용이하게 유입될 수 있다. 따라서, 공기의 흡입량이 증가될 수 있다.That is, the first air blower 100 includes a plurality of suction units 102 and 103. Air existing in the lower part of the indoor space can be easily introduced into the first air blower 100 through the plurality of suction units 102 and 103. Thus, the intake amount of air can be increased.

상기 제 1 송풍장치(100)의 상부에는, 제 1 토출부(105)가 형성된다. 상기 제 1 토출부(105)는, 상기 제 1 송풍장치(100)에 구비되는 제 1 토출가이드 장치(190, 도 2 참조)의 제 1 토출그릴(195)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토출가이드 장치(190)는 상기 제 1 송풍장치(100)의 상단부 외관을 형성한다. 상기 제 1 토출부(105)를 통하여 배출되는 공기는 상방으로 유동될 수 있다. A first discharge part 105 is formed in the upper part of the first blowing device 100. The first discharge part 105 may be formed on the first discharge grill 195 of the first discharge guide device 190 (refer to FIG. 2) provided in the first blower 100. The first discharge guide device 190 forms the exterior of the upper end of the first blower device 100. Air discharged through the first discharge part 105 may flow upward.

상기 케이스(101,201)에는, 상기 제 2 송풍장치(200)의 외관을 형성하는 제 2 케이스(201)가 포함된다. 상기 제 2 케이스(201)는 원통형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2 케이스(201)의 상부는 하부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제 2 케이스(201)는 끝부분이 잘린 원뿔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The cases 101 and 201 include a second case 201 that forms the exterior of the second air blower 200. The second case 201 may have a cylindrical shape. In addition, the upper portion of the second case 201 may be configured to have a smaller diameter than the lower portion. That is, the second case 201 may have a conical shape with an end portion cut off.

상기 제 2 케이스(201)에는, 걸림장치가 구비되는 제 2 분리부(201a)를 통하여 분리 또는 결합될 수 있는 2개의 파트가 포함된다. 상기 제 2 케이스(201)는, 상기 제 1 케이스(101)와 마찬가지로 개방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자세한 설명은, 상기 제 1 케이스(101)에 관한 설명을 원용한다. The second case 201 includes two parts that can be separated or coupled through a second separation unit 201a provided with a locking device. Like the first case 101, the second case 201 may be configured to be openable. For detailed description, a description of the first case 101 is used.

상기 제 2 케이스(201)의 하단부 직경은, 상기 제 1 케이스(101)의 상단부 직경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케이스(101,201)의 전체적인 형상 관점에서, 케이스(101,201)의 하부 단면적은 상부 단면적 보다 크게 형성되며, 이에 따라 상기 공기 청정기(10)는 지면에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The diameter of the lower end of the second case 201 may be smaller than the diameter of the upper end of the first case 101. Accordingly, in view of the overall shape of the cases 101 and 201, the lower cross-sectional areas of the cases 101 and 201 are formed larger than the upper cross-sectional area, and thus the air cleaner 10 can be stably supported on the ground.

상기 제 2 케이스(201)에는, 반경방향으로 공기가 흡입되는 제 2 흡입부(202)가 형성된다. 상기 제 2 흡입부(202)는 상기 제 2 케이스(201)의 적어도 일부분이 관통되어 형성되는 관통공을 포함한다. 상기 제 2 흡입부(202)는 다수 개가 형성된다.In the second case 201, a second suction unit 202 through which air is sucked in the radial direction is formed. The second suction unit 202 includes a through hole formed by penetrating at least a portion of the second case 201. The second suction part 202 is formed in plural.

상기 다수의 제 2 흡입부(202)는, 상기 제 2 케이스(201)를 기준으로 어느 방향에서라도 공기 흡입이 가능하도록, 상기 제 2 케이스(201)의 외주면을 따라, 원주 방향으로 고르게 형성된다. 즉, 상기 제 2 케이스(201)의 내부중심을 지나는 상하방향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360도 방향에서 공기가 흡입될 수 있다. The plurality of second suction units 202 are evenly formed in a circumferential direction along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econd case 201 so that air can be sucked in any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second case 201. That is, air may be sucked in a 360-degree direction based on a vertical center line passing through the inner center of the second case 201.

이와 같이, 상기 제 2 케이스(201)가 원통형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 2 흡입부(202)가 상기 제 2 케이스(201)의 외주면을 따라 다수 개 형성됨으로써, 공기의 흡입량이 증가할 수 있다. 그리고, 종래의 공기 청정기의 케이스와 같이, 모서리부를 가지는 육면체 형상을 회피함으로써, 흡입되는 공기에 대한 유동저항을 감소시킬 수 있다는 효과가 나타난다. 상기 제 2 흡입부(202)를 통하여 흡입되는 공기는 상기 제 2 케이스(201)의 외주면으로부터 대략 반경방향으로 유동될 수 있다. In this way, the second case 201 is configured in a cylindrical shape, and a plurality of the second suction units 202 are formed alo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cond case 201, so that the amount of air intake can be increased. And, as in the case of a conventional air purifier, by avoiding the shape of a hexahedron having a corner portion,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flow resistance to the inhaled air. The air sucked through the second suction unit 202 may flow approximately radially from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econd case 201.

상기 공기 청정기(10)에는, 상기 제 1 송풍장치(100)와 상기 제 2 송풍장치(200)의 사이에 구비되는 구획장치(400)가 포함된다. 상기 구획장치(400)에는, 상기 제 1 송풍장치(100)에서 발생되는 공기유동과, 상기 제 2 송풍장치(200)에서 발생되는 공기유동을 분리 또는 차단하기 위한 구획판(430)이 포함된다. 상기 구획판(430)에 의하여, 상기 제 1,2 송풍장치(100,200)는 상하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The air purifier 10 includes a partitioning device 400 provided between the first blowing device 100 and the second blowing device 200. The partition device 400 includes a partition plate 430 for separating or blocking the air flow generated by the first blowing device 100 and the air flow generated by the second blowing device 200. . By the partition plate 430, the first and second air blowers 100 and 200 may be disposed to be spaced apart in the vertical direction.

상기 유동 조절장치(300)는 상기 제 2 송풍장치(200)의 상측에 설치될 수 있다. 공기 유동을 기준으로, 상기 제 2 송풍장치(200)의 공기유로는, 상기 유동 조절장치(300)의 공기유로와 연통될 수 있다. 상기 제 2 송풍장치(200)를 통과한 공기는 상기 유동 조절장치(300)의 공기유로를 경유하며, 제 2 토출부(305)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상기 제 2 토출부(305)는 상기 유동 조절장치(300)의 상단부에 형성된다. The flow control device 300 may be installed above the second blowing device 200. Based on the air flow, the air flow path of the second blower 200 may be in communication with the air flow path of the flow control device 300. The air passing through the second blower 200 passes through the air flow path of the flow control device 300 and may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second discharge unit 305. The second discharge part 305 is formed at the upper end of the flow control device 300.

상기 유동 조절장치(300)는 움직임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유동 조절장치(300)는, 도 1 및 도 17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누워있는 상태(제 1 위치)에 있거나, 도 18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경사지게 세워진 상태(제 2 위치)에 있을 수 있다. The flow control device 300 may be provided to be movable. In detail, the flow control device 300 is in a lying state (first position), as shown in Figs. 1 and 17, or in an inclined erect state (second position), as shown in Fig. 18 Can be in

그리고, 상기 유동 조절장치(300)의 상부에는, 공기 청정기(10)의 운전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장치(600)가 구비된다.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600)는 상기 유동 조절장치(300)와 함께 움직일 수 있다.In addition, a display device 600 that displays operation information of the air purifier 10 is provided above the flow control device 300. The display device 600 may move together with the flow control device 300.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 청정기의 내부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III-III'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 1 송풍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다.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internal configuration of an air purifi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III-III' of FIG. 2, and FIG. 4 is a first blow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device.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 1 송풍장치(100)에는, 베이스(20) 및 상기 베이스(20)의 상측에 배치되는 흡입그릴(110)이 포함된다. 2 and 3, the first blower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ase 20 and a suction grill 110 disposed above the base 20.

상기 베이스(20)에는, 지면에 놓여지며 상기 흡입그릴(110)을 지지하는 그릴지지부(21a)를 가지는 베이스본체(21)가 포함된다. 상기 그릴지지부(21a)는 대략 원형의 형상을 가지며, 상기 흡입그릴(110)의 하부돌출부(116)는 상기 그릴지지부(21a)의 내측에 지지될 수 있다.The base 20 includes a base body 21 that is placed on the ground and has a grill support portion 21a supporting the suction grill 110. The grill support part 21a has a substantially circular shape, and the lower protrusion 116 of the suction grill 110 may be supported inside the grill support part 21a.

상기 베이스본체(21)와 상기 흡입그릴(110)은 서로 결합된 상태에서, 이격되도록 배치된다. 상기 베이스(20)와 상기 흡입그릴(110)의 사이에는, 공기의 흡입공간을 형성하는 베이스흡입부(103)가 형성된다.The base body 21 and the suction grill 110 are dispos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a coupled state. Between the base 20 and the suction grill 110, a base suction part 103 that forms a suction space for air is formed.

상기 제 1 송풍장치(100)에는, 상기 흡입그릴(110)의 상측에 구비되며 사용자가 조작 가능한 레버장치(142)가 구비된다. 상기 레버장치(142)는 원주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레버본체(143)의 외주면에는, 핸들(144, 도 5 참조)이 구비된다. The first blowing device 100 is provided with a lever device 142 provided above the suction grill 110 and operable by a user. The lever device 142 may be provided to be rotatable in a circumferential direction.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lever body 143, a handle 144 (see FIG. 5) is provided.

상기 레버장치(142)의 상측에는, 상기 제 1 필터부재(120)를 지지하는 지지장치(140)가 제공된다. 상기 레버장치(142)는 상기 지지장치(140)의 하면을 지지한다. 상기 지지장치(140)는 하부 프레임(131)의 내측에 배치되어 상기 필터부재(120)의 하측을 지지하며, 다수의 제 1 필터지지부(135)는 상기 지지장치(140)의 둘레를 따라 배열된다.On the upper side of the lever device 142, a support device 140 for supporting the first filter member 120 is provided. The lever device 142 supports the lower surface of the support device 140. The support device 140 is disposed inside the lower frame 131 to support the lower side of the filter member 120, and a plurality of first filter support portions 135 are arranged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support device 140 do.

상기 지지장치(140)의 상측에는, 상기 제 1 흡입부(102) 또는 상기 베이스흡입부(103)를 통하여 흡입된 공기 중 이물을 필터링 하기 위한 제 1 필터부재(120)가 구비된다. 상기 제 1 필터부재(120)는 상부가 개구된 원통 형상을 가지며, 상기 제 1 필터부재(120)의 외주면을 통하여 공기가 유입될 수 있다. 상기 제 1 필터부재(120)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공기 중 미세먼지와 같은 불순물이 걸러질 수 있다. On the upper side of the support device 140, a first filter member 120 for filtering foreign substances in the air sucked through the first suction unit 102 or the base suction unit 103 is provided. The first filter member 120 has a cylindrical shape with an open top, and air may be introduced through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filter member 120. In the process of passing through the first filter member 120, impurities such as fine dust in the air may be filtered out.

상기 제 1 필터부재(120)가 원통형의 형상을 가짐으로써, 상기 제 1 필터부재(120)를 기준으로, 어느 방향에서나 공기의 유입이 가능하다. 따라서, 공기의 필터링 면적이 증가할 수 있다.Since the first filter member 120 has a cylindrical shape, air can be introduced from any direction based on the first filter member 120. Accordingly, the filtering area of the air can be increased.

상세히, 상기 제 1 필터부재(120)에는, 내부가 비어 있는 원통 형상의 필터부를 가지는 필터본체(121,125) 및 상기 필터본체(121,125)의 상단부에 개구되어 형성되는 필터공(122)이 포함된다. 상기 필터본체(121,125)에는, 제 1 필터부(121) 및 제 2 필터부(125)가 포함된다 (도 7 참조).In detail, the first filter member 120 includes filter bodies 121 and 125 having a cylindrical filter portion having an empty inside, and filter holes 122 formed by opening at upper ends of the filter bodies 121 and 125. The filter bodies 121 and 125 include a first filter unit 121 and a second filter unit 125 (see FIG. 7 ).

상기 제 1 필터부재에는, 상기 필터본체(121,125)의 상부 또는 하부에 구비되는 필터손잡이(120a)가 더 포함된다. 공기는 상기 필터본체(121,125)의 외주면을 통하여 상기 필터본체(121,125)의 내측으로 유입되며, 상기 필터공(122)을 통하여 상기 제 1 필터부재(120)로부터 배출될 수 있다. The first filter member further includes a filter handle 120a provided above or below the filter bodies 121 and 125. Air may be introduced into the filter bodies 121 and 125 through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s of the filter bodies 121 and 125 and discharged from the first filter member 120 through the filter holes 122.

상기 제 1 송풍장치(100)에는, 상기 제 1 필터부재(120)의 장착공간을 형성하는 제 1 필터프레임(130)이 더 포함된다. 상세히, 상기 제 1 필터프레임(130)에는, 상기 제 1 필터프레임(130)의 하부를 형성하는 하부 프레임(131) 및 상기 제 1 필터프레임(130)의 상부를 형성하는 상부 프레임(132)이 포함된다.The first air blower 100 further includes a first filter frame 130 that forms a mounting space for the first filter member 120. In detail, the first filter frame 130 includes a lower frame 131 forming a lower portion of the first filter frame 130 and an upper frame 132 forming an upper portion of the first filter frame 130. Included.

상기 하부 프레임(131)은 상기 제 1 필터부재(120)의 하부를 둘러싸도록 링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하부 프레임(131)에는, 상기 제 1 케이스(101)의 걸림돌기(미도시)가 결합되는 걸림부(131b)가 형성된다. 상기 걸림부(131b)는 제 1 필터지지부(135)의 외측에 형성될 수 있다.The lower frame 131 may have a ring shape so as to surround the lower portion of the first filter member 120. Further, the lower frame 131 is formed with a locking portion 131b to which the locking protrusion (not shown) of the first case 101 is coupled. The locking part 131b may be formed outside the first filter support part 135.

상기 상부 프레임(132)은 상기 제 1 필터부재(120)의 상부를 둘러싸도록 링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상부 프레임(132)은 상기 하부 프레임(131)으로부터 상방으로 이격되어 위치된다. The upper frame 132 may have a ring shape to surround the upper portion of the first filter member 120. The upper frame 132 is positioned to be spaced upward from the lower frame 131.

상기 상부 프레임(132)의 링 형상의 내부 공간은 프레임개구부(132a)를 형성한다. 상기 프레임개구부(132a)는 상기 제 1 필터부재(120)의 필터공(122)에 연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프레임개구부(132a)는 상기 제 1 필터프레임(130)을 통과하는 공기유로의 적어도 일부분을 형성하며, 상기 제 1 필터부재(120)의 필터공(122)을 통하여 배출된 공기는 상기 프레임개구부(132a)를 통하여 제 1 팬하우징(150)으로 유입될 수 있다. 즉, 상기 제 1 필터부재(120)는 제 1 팬(160)의 흡입측에 설치될 수 있다.The ring-shaped inner space of the upper frame 132 forms a frame opening 132a. The frame opening 132a may be configured to communicate with the filter hole 122 of the first filter member 120. That is, the frame opening (132a) forms at least a part of the air flow path passing through the first filter frame 130, and the air discharged through the filter hole 122 of the first filter member 120 is the It may flow into the first fan housing 150 through the frame opening 132a. That is, the first filter member 120 may be installed on the suction side of the first fan 160.

상기 상부 프레임(132)의 상부는 제 1 팬하우징(150)을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제 1 팬하우징(150)의 하부에는, 상기 제 1 팬하우징(150)의 내부로 공기의 유입을 가이드 하는 제 1 팬유입부(156)가 형성된다. 상기 제 1 팬유입부(156)에는, 상기 프레임개구부(132a)와 연통하는 팬 유입공(156a)이 형성된다.The upper part of the upper frame 132 may support the first fan housing 150. A first fan inlet part 156 is formed under the first fan housing 150 to guide air inflow into the first fan housing 150. A fan inlet hole 156a communicating with the frame opening 132a is formed in the first fan inlet 156.

달리 말하면, 상기 제 1 팬하우징(150)는 상기 상부 프레임(132)의 상측에 결합되며, 상기 팬 유입공(156a)과 상기 프레임개구부(132a)는 상하 방향으로 정렬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상기 프레임개구부(132a)를 통과한 공기는 상기 팬 유입공(156a)을 통하여 상기 제 1 팬하우징(150)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으며, 상기 제 1 팬하우징(150)의 외측으로 누설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In other words, the first fan housing 150 is coupled to the upper side of the upper frame 132, and the fan inlet hole 156a and the frame opening 132a are aligned in the vertical direction. 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the air passing through the frame opening 132a may be introduced into the first fan housing 150 through the fan inlet hole 156a, and the first fan housing 150 It can be prevented from leaking to the outside of the.

그리고, 상기 제 1 팬유입부(156)에는 그릴이 제공되어, 상기 제 1 필터부재(150)가 분리되었을 때, 사용자가 상기 제 1 팬하우징(150)의 내부로 손가락등을 집어 넣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In addition, a grill is provided in the first fan inlet 156 to prevent a user from inserting a finger or the like into the first fan housing 150 when the first filter member 150 is separated. can do.

상기 제 1 필터프레임(130)에는, 상기 하부 프레임(131)으로부터 상기 상부 프레임(132)을 향하여 상방으로 연장되는 제 1 필터지지부(135)가 더 포함된다. 상기 제 1 필터지지부(135)에 의하여, 상기 제 1,2 프레임(131,132)은 서로 이격될 수 있다. 상기 제 1 필터지지부(135)는 다수 개가 제공되며, 상기 다수 개의 제 1 필터지지부(135)는 원주 방향으로 배열되어 상기 제 1,2 프레임(131,132)의 테두리부에 연결될 수 있다.The first filter frame 130 further includes a first filter support part 135 extending upwardly from the lower frame 131 toward the upper frame 132. The first and second frames 131 and 132 may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the first filter support part 135. A plurality of first filter support parts 135 may be provided, and the plurality of first filter support parts 135 may be arranged in a circumferential direction to be connected to the rims of the first and second frames 131 and 132.

상기 제 1,2 프레임(131,132) 및 상기 다수의 제 1 필터지지부(135)에 의하여, 상기 제 1 필터부재(120)의 장착공간(130a, 도 11 참조)이 정의된다. The first and second frames 131 and 132 and the plurality of first filter support parts 135 define a mounting space 130a (refer to FIG. 11) of the first filter member 120.

한편, 상기 제 1 필터지지부(135)의 외측에는, 프레임커버(136)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커버(136)는, 상기 제 1 필터지지부(135)의 지지력을 보강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 필터지지부(135)와 상기 프레임커버(136)의 사이에는, 전선이 위치하는 전선 공간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전선은 팬모터(165,265,335), PCB 장치(50) 또는 디스플레이 장치(600)등을 연결하는 전기선을 포함한다.Meanwhile, a frame cover 136 may be coupled to the outside of the first filter support part 135. The frame cover 136 may perform a function of reinforcing the supporting force of the first filter support part 135. In addition, between the first filter support portion 135 and the frame cover 136, a wire space portion in which an electric wire is located may be formed. The wires include electric wires connecting the fan motors 165, 265, and 335, the PCB device 50, or the display device 600.

상기 제 1 필터프레임(130)에는, 센서장치(137)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센서장치(137)에는, 공기 중 먼지의 양을 감지하는 먼지센서(137a) 및 공기 중 가스의 양을 감지하는 가스센서(137b)가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센서장치(137)에는, 상기 먼지센서(137a) 및 가스센서(137b)를 차폐하는 센서커버(137c)가 더 포함된다.A sensor device 137 may be installed in the first filter frame 130. The sensor device 137 may include a dust sensor 137a for detecting the amount of dust in the air and a gas sensor 137b for detecting the amount of gas in the air. In addition, the sensor device 137 further includes a sensor cover 137c that shields the dust sensor 137a and the gas sensor 137b.

상기 먼지센서(137a) 및 가스센서(137b)는 상기 제 1 필터프레임(130)의 상부 프레임(132)에 지지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상부 프레임(132)에는, 상기 센서장치(137)가 설치될 수 있는 센서장착부(138)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센서장착부(138)는 상기 상부 프레임(132)의 외주면으로부터 돌출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The dust sensor 137a and the gas sensor 137b may be disposed to be supported on the upper frame 132 of the first filter frame 130. The upper frame 132 may be provided with a sensor mounting portion 138 to which the sensor device 137 may be installed. The sensor mounting part 138 may be provided to protrude from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upper frame 132.

상기 제 1 송풍장치(100)에는, 공기 중 냄새입자를 제거하거나 살균하기 위한 이오나이저(158)가 더 포함된다. 상기 이오나이저(158)는 상기 제 1 팬하우징(150)에 결합되며, 상기 제 1 팬하우징(150)의 내부를 유동하는 공기에 작용할 수 있다. The first blower 100 further includes an ionizer 158 for removing or sterilizing odor particles in the air. The ionizer 158 is coupled to the first fan housing 150 and may act on air flowing inside the first fan housing 150.

상기 센서장치(137)와 상기 이오나이저(158)는 후술할 제 2 송풍장치(200)에도 설치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상기 센서장치(137)와 상기 이오나이저(158)는 상기 제 1 송풍장치(100) 및 제 2 송풍장치(200) 중 하나의 송풍장치에 설치될 수도 있다.The sensor device 137 and the ionizer 158 may also be installed in the second blowing device 200 to be described later. As another example, the sensor device 137 and the ionizer 158 may be installed in one of the first blowing device 100 and the second blowing device 200.

상기 제 1 팬(160)은 상기 제 1 팬유입부(156)의 상측에 놓여지며, 상기 제 1 팬하우징(150)의 하우징공간부(150a)에 수용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 1 팬(160)에는, 축방향으로 공기를 유입하여 반경방향 상측으로 공기를 배출시키는 원심팬이 포함된다.The first fan 160 is placed above the first fan inlet 156 and may be accommodated in the housing space 150a of the first fan housing 150. For example, the first fan 160 includes a centrifugal fan that introduces air in the axial direction and discharges the air upward in the radial direction.

상세히, 상기 제 1 팬(160)에는, 원심팬 모터인 제 1 팬모터(165)의 회전축(165a)이 결합되는 허브(161)와, 상기 허브(161)와 이격되어 배치되는 쉬라우드(162) 및 상기 허브(161)와 상기 쉬라우드(162)의 사이에 배치되는 다수의 블레이드(163)가 포함된다. 상기 제 1 팬모터(165)는 상기 제 1 팬(160)의 상측에 결합될 수 있다.In detail, the first fan 160 includes a hub 161 to which the rotation shaft 165a of the first fan motor 165, which is a centrifugal fan motor, is coupled, and a shroud 162 spaced apart from the hub 161. ) And a plurality of blades 163 disposed between the hub 161 and the shroud 162. The first fan motor 165 may be coupled to an upper side of the first fan 160.

상기 제 1 송풍장치(100)에는, 상기 제 1 팬(160)의 상측에 결합되어 상기 제 1 팬(160)을 통과한 공기의 유동을 가이드 하는 제 1 에어가이드장치(170)가 더 포함된다. The first blowing device 100 further includes a first air guide device 170 coupled to an upper side of the first fan 160 to guide the flow of air passing through the first fan 160. .

상기 제 1 에어가이드 장치(170)에는, 원통형의 형상을 가지는 외벽(171) 및 상기 외벽(171)의 내측에 위치되며 원통형의 형상을 가지는 내벽(172)이 포함된다. 상기 외벽(171)은 상기 내벽(172)을 둘러싸도록 배치된다. 상기 외벽(171)의 내주면과, 상기 내벽(172)의 외주면의 사이에는, 공기가 유동하는 제 1 공기유로(172a)가 형성된다. The first air guide device 170 includes an outer wall 171 having a cylindrical shape and an inner wall 172 positioned inside the outer wall 171 and having a cylindrical shape. The outer wall 171 is disposed to surround the inner wall 172. A first air passage 172a through which air flows is formed betwee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outer wall 171 a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inner wall 172.

*상기 제 1 에어가이드 장치(170)에는, 상기 제 1 공기유로(172a)에 배치되는 가이드 리브(175)가 포함된다. 상기 가이드 리브(175)는 상기 내벽(172)의 외주면으로부터 상기 외벽(171)의 내주면으로 연장된다. 상기 가이드 리브(175)는 다수 개가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가이드 리브(175)는 상기 제 1 팬(160)을 거쳐 상기 제 1 에어가이드 장치(170)의 제 1 공기유로(172a)로 유입된 공기를 상방으로 안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The first air guide device 170 includes a guide rib 175 disposed in the first air flow path 172a. The guide rib 175 extends from an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inner wall 172 to an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outer wall 171. A plurality of guide ribs 175 may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The plurality of guide ribs 175 performs a function of guiding the air introduced into the first air flow path 172a of the first air guide device 170 upward through the first fan 160.

상기 가이드 리브(175)는, 상기 외벽(171) 및 내벽(172)의 하부로부터 상방을 향하여 경사지게 연장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가이드 리브(175)는 라운드지게 형성되어, 공기가 상방으로 경사지게 유동할 수 있도록 가이드 한다. The guide rib 175 may extend obliquely upward from the lower portion of the outer wall 171 and the inner wall 172. For example, the guide rib 175 is formed to be round, and guides air to flow in an upward direction.

상기 제 1 에어가이드 장치(170)에는, 상기 내벽(172)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 1 팬모터(165)를 수용하는 모터 수용부(173)가 더 포함된다. 상기 모터 수용부(173)는 하부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지는 보울(bowl)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모터 수용부(173)의 형상은, 상기 허브(161)의 형상에 대응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모터 수용부(173)는 상기 허브(161)의 내측에 삽입될 수 있다.The first air guide device 170 further includes a motor accommodating portion 173 extending downward from the inner wall 172 to accommodate the first fan motor 165. The motor accommodating part 173 may have a bowl shape whose diameter decreases toward the bottom. The shape of the motor accommodating part 173 may correspond to the shape of the hub 161. In addition, the motor accommodating part 173 may be inserted into the hub 161.

싱기 제 1 팬모터(165)는 상기 모터 수용부(173)의 상측에 지지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 팬모터(165)의 회전축(165a)은 상기 제 1 팬모터(165)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며, 상기 모터 수용부(173)의 저면부을 관통하여 상기 허브(161)의 축 결합부(161a)에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 팬모터(165)의 상측에는 모터결합부(166)가 구비되며, 상기 모터결합부(166)는 상기 제 1 팬모터(165)를 상기 제 1 에어가이드 장치(170)에 고정되도록 가이드 한다. The first fan motor 165 may be supported on the upper side of the motor accommodating part 173. In addition, the rotation shaft 165a of the first fan motor 165 extends downward from the first fan motor 165 and penetrates the bottom surface of the motor receiving part 173 to couple the shaft of the hub 161 It may be coupled to the portion 161a. In addition, a motor coupling part 166 is provided on the upper side of the first fan motor 165, and the motor coupling part 166 connects the first fan motor 165 to the first air guide device 170. Guide to be fixed.

상기 제 1 송풍장치(100)에는, 상기 제 1 에어가이드 장치(170)의 상측에 결합되며 상기 제 1 에어가이드 장치(170)를 통과한 공기를 제 1 토출가이드 장치(190)로 가이드 하는 제 2 에어가이드 장치(180)가 더 포함된다. 상기 제 2 에어가이드 장치(180)에는, 대략 원통형의 형상을 가지는 제 1 가이드벽(181) 및 상기 제 1 가이드벽(181)의 내측에 위치되며 대략 원통형의 형상을 가지는 제 2 가이드벽(182)이 포함된다. The first blowing device 100 is coupled to the upper side of the first air guide device 170 and guides the air that has passed through the first air guide device 170 to the first discharge guide device 190. 2 Air guide device 180 is further included. The second air guide device 180 includes a first guide wall 181 having a substantially cylindrical shape and a second guide wall 182 positioned inside the first guide wall 181 and having a substantially cylindrical shape. ) Is included.

상기 제 1 가이드벽(181)은 상기 제 2 가이드 벽(182)을 둘러싸도록 배치되며, 상기 제 1 가이드벽(181)의 내주면과 상기 제 2 가이드벽(182)의 외주면 사이에는, 공기가 유동하는 제 2 공기유로가 형성된다.The first guide wall 181 is arranged to surround the second guide wall 182, and air flows betwee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guide wall 181 a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cond guide wall 182 A second air flow path is formed.

원통형의 형상을 가지는 제 2 가이드벽(182)의 내측에는, 공기 청정기(10)의 운전을 제어하는 PCB 장치(500)가 장착될 수 있다. Inside the second guide wall 182 having a cylindrical shape, a PCB device 500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air cleaner 10 may be mounted.

상기 제 2 송풍장치(200)에는, 제 2 필터부재(220), 제 2 필터프레 ㅇ운(230), 제 2 팬하우징(250), 제 2 팬(260) 및 제 2 팬모터(265)가 포함된다. 이들 구성은, 제 1 송풍장치(100)에 구비되는 제 1 필터부재(120), 제 1 필터프레임(130), 제 1 팬하우징(150), 제 1 팬(160) 및 제 1 팬모터(165)들과 유사하므로, 이들에 관한 설명은 제 1 송풍장치(100)에 관한 설명을 원용한다. In the second blowing device 200, a second filter member 220, a second filter air 230, a second fan housing 250, a second fan 260, and a second fan motor 265 are provided. Included. These configurations include a first filter member 120, a first filter frame 130, a first fan housing 150, a first fan 160 and a first fan motor provided in the first blowing device 100 ( Since it is similar to those of 165, the description of these will refer to the description of the first blower 100.

그리고, 상기 제 2 송풍장치(200)에는, 상기 제 2 송풍장치(200)의 제 2 필터부재(220)를 지지하는 레버 지지장치(560)가 더 포함된다. 상기 레버 지지장치(560)의 상측에는, 제 1 송풍장치(100)에 구비되는 지지장치(140) 및 레버장치(142)가 구비될 수 있다. 이들 지지장치(140) 및 레버장치(142)에 관한 설명은, 제 2 송풍장치(200)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second blowing device 200 further includes a lever supporting device 560 supporting the second filter member 220 of the second blowing device 200. A supporting device 140 and a lever device 142 provided in the first blowing device 100 may be provided on the upper side of the lever supporting device 560. The description of the support device 140 and the lever device 142 can be equally applied to the second blower device 200.

상기 제 2 송풍장치(200)에는, 상기 제 2 팬(260)의 상측에 결합되어 상기 제 2 팬(260)을 통과한 공기의 유동을 가이드 하는 제 3 에어가이드 장치(270)가 더 포함된다. 상기 제 3 에어가이드 장치(270)는 상기 제 1 에어가이드 장치(170)의 구성과 유사하므로, 상기 제 1 에어가이드 장치(170)의 설명을 원용한다. The second air blower 200 further includes a third air guide device 270 coupled to an upper side of the second fan 260 to guide the flow of air passing through the second fan 260. . Since the third air guide device 270 is similar to the configuration of the first air guide device 170, a description of the first air guide device 170 is used.

상기 제 2 송풍장치(200)에는, 상기 제 3 에어가이드 장치(270)의 상측에 설치되며, 상기 제 3 에어가이드 장치(270)를 통과한 공기의 유동을 가이드 하는 제 2 토출가이드 장치(280)가 구비된다. In the second blowing device 200, a second discharge guide device 280 installed above the third air guide device 270 and guides the flow of air that has passed through the third air guide device 270. ) Is provided.

상기 제 2 토출가이드 장치(280)의 상측에는, 상기 유동 조절장치(300)가 움직임 가능하게 제공된다. 상기 유동 조절장치(300)에는, 제 3 팬(330)이 포함된다. 상기 제 3 팬(330)은, 상기 제 3 에어가이드 장치(270)를 통과한 공기가 공기 청정기(10)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가이드 한다. 상기 제 3 팬(330)에는, 제 3 팬모터(335)가 결합될 수 있다. Above the second discharge guide device 280, the flow control device 300 is provided to be movable. The flow control device 300 includes a third fan 330. The third fan 330 guides the air that has passed through the third air guide device 270 to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air purifier 10. A third fan motor 335 may be coupled to the third fan 330.

제 3 팬(330)에는, 축류팬이 포함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제 3 팬(330)은 상기 제 3 에어가이드 장치(270)를 통과하여 축방향으로 유입된 공기를 축방향으로 배출시키도록 작동될 수 있다. 상기 제 3 팬(330)을 통과한 공기는 상기 제 3 팬(330)의 상측에 위치하는 제 2 토출부(305)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The third fan 330 may include an axial fan. In detail, the third fan 330 may be operated to discharge air introduced in the axial direction through the third air guide device 270 in the axial direction. Air that has passed through the third fan 330 may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a second discharge unit 305 positioned above the third fan 330.

상기 공기 청정기(10)에는, 상기 제 1 송풍장치(100)의 제 1 토출부(105)와 함께 상기 제 2 토출부(305)가 구비되므로, 토출풍량이 개선되고 다양한 방향으로 공기가 토출되는 효과가 나타난다.Since the air purifier 10 is provided with the second discharge part 305 together with the first discharge part 105 of the first blower 100, the discharged air volume is improved and air is discharged in various directions. The effect appears.

상기 공기 청정기(10)의 상면에는, 상기 공기 청정기(10)의 운전정보가 표시되는 디스플레이 장치(600)가 구비될 수 있다. A display device 600 for displaying operation information of the air cleaner 10 may be provid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air cleaner 10.

상기 제 1 팬모터(165) 및 제 2 팬모터(265)는 상기 공기 청정기(10)의 세로 방향을 기준으로, 일렬로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2 팬모터(265) 및 상기 제 3 팬모터(335)는 상기 공기 청정기(10)의 세로 방향을 기준으로, 일렬로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제 1 팬(160)과, 제 2 팬(260) 및 제 3 팬(330)은 동일한 축선상에 배치될 수 있다.The first fan motor 165 and the second fan motor 265 may be arranged in a row based o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air purifier 10. Further, the second fan motor 265 and the third fan motor 335 may be arranged in a row based o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air purifier 10. That is, the first fan 160, the second fan 260, and the third fan 330 may be disposed on the same axis.

상기 유동 조절장치(300)에는, 상기 유동 조절장치(300)의 좌우방향으로의 회전 및 상하방향으로의 회전을 가이드 하는 회전가이드 장치가 더 포함된다. 상기 좌우방향으로의 회전을 "제 1 방향 회전", 상기 상하방향으로의 회전을 "제 2 방향 회전"이라 이름할 수 있다.The flow control device 300 further includes a rotation guide device for guiding the rotation of the flow control device 300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the vertical direction. The rotation in the left-right direction may be referred to as “first direction rotation”, and the vertical rotation may be referred to as “second direction rotation”.

상기 회전가이드 장치에는, 상기 유동 조절장치(300)의 제 1 방향 회전을 가이드 하기 위한 제 1 가이드 기구 및 상기 유동 조절장치(300)의 제 2 방향 회전을 가이드 하기 위한 제 2 가이드 기구가 포함된다.The rotation guide device includes a first guide mechanism for guiding rotation of the flow control device 300 in a first direction and a second guide mechanism for guiding rotation of the flow control device 300 in a second direction. .

상기 제 1 가이드 기구에는,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제 1 기어모터(363) 및 상기 제 1 기어모터(363)에 결합되어 회전될 수 있는 제 1 기어(360)가 포함된다. 일례로, 상기 제 1 기어모터(363)에는, 회전각도의 제어가 용이한 스텝 모터(step motor)가 포함될 수 있다.The first guide mechanism includes a first gear motor 363 for generating a driving force and a first gear 360 coupled to the first gear motor 363 and capable of rotating. For example, the first gear motor 363 may include a step motor that facilitates control of a rotation angle.

상기 제 2 가이드 기구에는, 상기 유동 조절장치(300)의 제 2 방향 회전을 가이드 하는 회전가이드 부재(370, 도 18 참조)가 포함된다. 상기 회전가이드 부재(370)에는, 랙(374)이 포함된다. The second guide mechanism includes a rotation guide member 370 (see FIG. 18) that guides the rotation of the flow control device 300 in the second direction. The rotation guide member 370 includes a rack 374.

상기 제 2 가이드 기구에는,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제 2 기어모터(367) 및 상기 제 2 기어모터(367)에 결합되는 제 2 기어(365)가 포함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 2 기어모터(367)에는, 스텝 모터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제 2 기어모터(367)가 구동하면, 상기 제 2 기어(365)와 상기 제 2 랙(374)의 연동에 의하여, 상기 회전가이드 부재(370)는 상하 방향으로 회전하는 움직임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유동 조절장치(300)는 상기 회전가이드 부재(370)의 움직임에 따라, 제 2 방향 회전을 수행할 수 있다.The second guide mechanism may include a second gear motor 367 generating a driving force and a second gear 365 coupled to the second gear motor 367. For example, the second gear motor 367 may include a step motor. When the second gear motor 367 is driven, the rotation guide member 370 may rotate in a vertical direction due to interlocking between the second gear 365 and the second rack 374 . Accordingly, the flow control device 300 may rotate in the second direction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rotation guide member 370.

상기 유동 조절장치(300)가 제 2 방향으로 회전하면, 상기 공기 청정기(10)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된 "제 2 위치"에 있을 수 있다(도 18 참조). 반면에, 도 1 및 도 17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상기 유동전환 장치(300)가 누워져 있는 위치를 "제 1 위치"라 이름할 수 있다. When the flow control device 300 rotates in the second direction, it may be in a “second position” protruding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air purifier 10 (see FIG. 18). 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S. 1 and 17, a position in which the flow conversion device 300 is lying may be referred to as a “first position”.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필터부재의 하측에 구비되는 부품의 구성을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지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저면 사시도이다.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component provided under the filter memb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6 is a bottom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suppor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 1 송풍장치(100)에는, 베이스(20), 흡입그릴(110), 레버장치(142) 및 지지장치(140)가 포함된다.Referring to FIG. 5, the first blowing devic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ase 20, a suction grill 110, a lever device 142, and a support device 140.

상기 베이스(20)에는, 대략 원판 형상의 베이스 본체(21)가 포함된다. 상기 베이스 본체(21)에는, 상기 흡입그릴(110)의 하부돌출부(116)를 지지하는 그릴지지부(21a)가 포함된다. 상기 하부돌출부(116)는 상기 흡입그릴(110)의 저면으로부터 하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그릴지지부(21a)의 내측에 지지될 수 있다.The base 20 includes a substantially disk-shaped base body 21. The base body 21 includes a grill support portion 21a that supports the lower protrusion 116 of the suction grill 110. The lower protrusion 116 may protrude downward from the bottom of the suction grill 110 and be supported inside the grill support 21a.

상기 베이스(20)에는, 상기 흡입그릴(110)에 체결되는 그릴체결부(23)가 더 포함된다. 상기 그릴체결부(23)는 소정의 체결부재에 의하여 상기 흡입그릴(110)의 베이스체결부(111b)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그릴체결부(23)는 다수 개가 구비될 수 있다. 일례로, 도면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상기 그릴체결부(23)는 상기 베이스 본체(21)의 테두리부에 4개가 구비될 수 있다.The base 20 further includes a grill fastening part 23 fastened to the suction grill 110. The grill fastening part 23 may be coupled to the base fastening part 111b of the suction grill 110 by a predetermined fastening member. A plurality of grill fastening parts 23 may be provided. As an example, as shown in the drawing, the grill fastening portion 23 may be provided with four at the edge of the base body 21.

상기 베이스(20)에는, 상기 지지장치(140)에 결합되는 지지결합부(22)가 더 포함된다. 상기 지지결합부(22)는 상기 베이스 본체(21)의 대략 중앙부에 돌출되도록 구성되며 체결부재(25)가 결합된다. 상기 지지결합부(22)와 체결부재(25)는 상기 지지장치(140)의 부재삽입부(141a)를 지지하며, 상기 지지장치(140)의 이동을 가이드 할 수 있다.The base 20 further includes a support coupling portion 22 coupled to the support device 140. The support coupling portion 22 is configured to protrude from an approximately central portion of the base body 21 and a fastening member 25 is coupled. The support coupling part 22 and the fastening member 25 support the member insertion part 141a of the support device 140 and guide the movement of the support device 140.

상기 지지장치(140)는 상방 또는 하방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체결부재(25)는, 상기 지지장치(140)가 설정거리만큼 상방으로 이동한 상태에서 더 이상의 상방 이동을 제한하는 스토퍼로서 기능할 수 있다. 상기 지지장치(140)가 상방으로 이동된 상태에서, 상기 제 1 필터부재(120)는 상기 장착공간(130a)에 결합된 상태(제 1 필터위치)에 있게 된다. 반면에, 상기 지지장치(140)가 하방으로 이동된 상태에서, 상기 제 1 필터부재(120)는 상기 장착공간(130a)으로부터 분리 가능한 해제 상태(제 2 필터위치)에 있게 된다.The support device 140 may be provided to be movable upward or downward. The fastening member 25 may function as a stopper that restricts further upward movement while the support device 140 is moved upward by a set distance. When the support device 140 is moved upward, the first filter member 120 is in a state (first filter position) coupled to the mounting space 130a. On the other hand, when the support device 140 is moved downward, the first filter member 120 is in a release state (second filter position) that can be separated from the mounting space 130a.

상기 흡입그릴(110)은 상기 베이스(20)의 상측에 고정된다. 상세히, 상기 흡입그릴(110)에는, 대략 링 형상의 그릴본체(111) 및 상기 그릴본체(111)의 외측에 구비되는 테두리부(111a)가 포함된다. 상기 테두리부(111a)에는, 상기 베이스 흡입부(103)를 통하여 흡입된 공기가 통과하는 그릴흡입부(112)가 구비된다. 상기 그릴흡입부(112)는 상기 테두리부(111a)의 둘레를 따라 형성된다. The suction grill 110 is fixed to the upper side of the base 20. In detail, the suction grill 110 includes an approximately ring-shaped grill main body 111 and an rim 111a provided outside the grill main body 111. A grill suction part 112 through which air sucked through the base suction part 103 passes is provided at the edge part 111a. The grill suction part 112 is formed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edge part 111a.

상기 그릴흡입부(112)를 통하여 흡입된 공기는 상방으로 이동하여 상기 제 1 펄터부재(120)를 통과할 수 있다. 상기 제 1 필터부재(120)는 원통형으로 구비되며, 공기를 필터링 하는 필터면을 가질 수 있다. 상기 그릴흡입부(112)을 통과한 공기는 원통형인 제 1 필터부재(120)의 외주면을 관통하여 그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The air sucked through the grill suction part 112 may move upward and pass through the first pulter member 120. The first filter member 120 may have a cylindrical shape and may have a filter surface for filtering air. The air passing through the grill suction part 112 may pass through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ylindrical first filter member 120 and be introduced into it.

상기 제 1 케이스(101)는 상기 그릴흡입부(112)의 상부에 지지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그릴흡입부(112)를 통하여 흡입된 공기는 상기 제 1 흡입부(102)를 통하여 흡입된 공기와 합지되어, 상기 제 1 필터부재(120)를 통과할 수 있다.The first case 101 may be supported on the grill suction part 112. Accordingly, the air sucked through the grill suction part 112 may be combined with the air sucked through the first suction part 102 and pass through the first filter member 120.

상기 흡입그릴(110)에는, 상기 레버장치(142)의 회전을 가이드 하는 가이드 돌기(113a)가 더 포함된다. 상기 가이드 돌기(113a)는 상기 그릴본체(111)의 상면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레버장치(142)의 돌기관통부(145)에 삽입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레버장치(142)가 회전되는 과정에서, 상기 가이드 돌기(113a)는 상기 돌기관통부(145)의 내부에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돌기관통부(145)는 원주 방향으로 이격되어 다수 개가 구비될 수 있다.The suction grill 110 further includes a guide protrusion 113a for guiding the rotation of the lever device 142. The guide protrusion 113a is configured to protrude upward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grill main body 111, and may be disposed to be inserted into the protrusion tube portion 145 of the lever device 142. While the lever device 142 is rotated, the guide protrusion 113a may be moved inside the protrusion tube part 145. The protrusion tube portion 145 may be spaced apart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nd may be provided in plurality.

상기 흡입그릴(110)에는, 상기 레버장치(142)의 저면을 지지하는 레버지지부(113b)가 더 포함된다. 상기 레버지지부(113b)는 원주 방향으로 이격되어 다수 개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레버장치(142)는 상기 레버지지부(113b)에 안착된 상태에서, 안정적으로 회전될 수 있다.The suction grill 110 further includes a lever support portion 113b that supports the bottom surface of the lever device 142. A plurality of the lever support portions 113b may be spaced apart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The lever device 142 may be stably rotated while seated on the lever support part 113b.

상기 흡입그릴(110)에는, 상기 그릴본체(111)로부터 하방으로 함몰되어, 상기 레버장치(142)의 장착위치를 가이드 하는 홈부(115)가 형성된다. 상기 흡입그릴(110)의 상측에 상기 레버장치(142)가 장착될 때, 상기 레버장치(142)의 핸들(144)은 상기 홈부(115)의 상측에 위치하도록 배치되며, 이 때 상기 레버장치(142)는 "장착 기준위치"에 있게 된다.In the suction grill 110, a groove 115 is formed which is recessed downward from the grill main body 111 and guides the mounting position of the lever device 142. When the lever device 142 is mounted on the upper side of the suction grill 110, the handle 144 of the lever device 142 is disposed to be located above the groove 115, and at this time, the lever device 142 is in the "mounting reference position".

상기 레버장치(142)에는, 대략 링 형상을 가지며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레버본체(143)가 포함된다. The lever device 142 includes a lever body 143 that has a substantially ring shape and is rotatably provided.

상기 레버장치(142)에는, 상기 레버본체(143)의 상면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제 1 필터부재(120)의 상방 또는 하방으로의 이동을 가이드 하는 이동 가이드부(143a)가 더 포함된다. 상기 이동 가이드부(143a)는, 상기 레버본체(143)의 상면으로부터 원주 방향으로 점점 더 돌출되는 형상을 가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이동 가이드부(143a)에는, 원주 방향으로 점점 더 돌출되는 경사면(146)이 포함될 수 있다.The lever device 142 further includes a movement guide part 143a protruding upward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lever body 143 to guide the movement of the first filter member 120 upward or downward. The movement guide part 143a may be configured to have a shape protruding more and more in a circumferential direction from an upper surface of the lever body 143. That is, the moving guide part 143a may include an inclined surface 146 protruding more and more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상기 이동 가이드부(143a)는 원주 방향으로 이격되어 다수 개가 제공될 수 있다. 일례로, 도면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상기 이동 가이드부(113)는 4개가 제공될 수 있다. 다만, 상기 이동 가이드부(113)의 개수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The moving guide part 143a may be spaced apart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nd may be provided in plurality. For example, as shown in the drawing, four movement guide units 113 may be provided. However, the number of the moving guide parts 113 is not limited thereto.

상기 레버장치(142)에는, 상기 흡입그릴(110)의 가이드 돌기(113a)가 삽입되는 돌기관통부(145)가 형성된다. 상기 돌기관통부(145)는 상기 레버본체(143)의 적어도 일부분이 관통되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돌기관통부(145)는 상기 레버본체(143)의 외주면 또는 내주면의 곡률에 대응하여, 원주 방향으로 소정의 곡률을 가지도록 라운드지게 형성될 수 있다. The lever device 142 is formed with a protrusion tube portion 145 into which the guide protrusion 113a of the suction grill 110 is inserted. The protrusion tube portion 145 may be formed through at least a portion of the lever body 143. In addition, the protrusion tube portion 145 may be formed to be rounded to have a predetermined curvature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corresponding to the curvature of the outer or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lever body 143.

그리고, 상기 돌기관통부(145)는 서로 이격되어 다수 개가 구비되며, 상기 레버본체(143)의 원주 방향으로 배열될 수 있다. 상기 돌기관통부(145)는 상기 가이드 돌기(113a)의 수에 대응하는 수로 구비될 수 있다. 일례로, 도면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상기 돌기관통부(145)는 원주 방향으로 4개가 구비될 수 있다.In addition, a plurality of the protruding pipe tube portions 145 are provid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may be arrange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lever body 143. The protrusion tube part 145 may be provided in a number corresponding to the number of the guide protrusions 113a. As an example, as shown in the drawing, the protrusion tube portion 145 may be provided with four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상기 가이드 돌기(113a)는 상기 레버본체(143)의 하측에서부터 상기 돌기관통부(145)를 관통하여 상기 레버본체(143)의 상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레버장치(142)가 회전되는 과정에서, 상기 가이드 돌기(113a)는 상기 돌기관통부(145)의 내부에서 이동될 수 있다.The guide protrusion 113a may extend from the lower side of the lever body 143 to the upper side of the lever body 143 by penetrating the protrusion tube portion 145. In addition, while the lever device 142 is rotated, the guide protrusion 113a may be moved inside the protrusion tube portion 145.

상세히, 돌기관통부(145)에는, 제 1 단부(147a) 및 제 2 단부(147b)가 포함된다. 상기 돌기관통부(145)는, 상기 제 1 단부(147a)로부터 상기 제 2 단부(147b)까지 연장되는 관통공으로서 이해될 수 있다. In detail, the protrusion tube portion 145 includes a first end 147a and a second end 147b. The protrusion tube portion 145 may be understood as a through hole extending from the first end 147a to the second end 147b.

상기 레버장치(142)가 "필터 해제위치"에 있을 때, 상기 가이드 돌기(113a)는 상기 돌기관통부(145)의 제 1 단부(147a)와 걸림이 이루어지는 위치에 있을 수 있다. 상기 "필터 해제위치"라 함은, 상기 지지장치(140)가 하방으로 내려오도록 가이드 하는 위치로서, 상기 제 1 필터부재(120)가 상기 장착공간(130a)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는 위치인 것으로 이해된다.When the lever device 142 is in the "filter release position", the guide protrusion 113a may be in a position where the first end 147a of the protrusion tube 145 is engaged. The "filter release position" is a position in which the support device 140 is guided downward, and is understood to be a position where the first filter member 120 can be separated from the mounting space 130a do.

반면에, 상기 레버장치(142)가 "필터 장착위치"에 있을 때, 상기 가이드 돌기(113a)는 상기 돌기관통부(145)의 제 2 단부(147b)와 걸림이 이루어지는 위치에 있을 수 있다. 상기 "필터 장착위치"라 함은, 상기 지지장치(140)가 상방으로 올라가도록 가이드 하는 위치로서, 상기 제 1 필터부재(120)가 상기 장착공간(130a)에 결합된 위치인 것으로 이해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lever device 142 is in the "filter mounting position", the guide protrusion 113a may be in a position where the second end portion 147b of the protrusion tube 145 is engaged. The "filter mounting position" is a position in which the support device 140 is guided upward, and it is understood that the first filter member 120 is a position coupled to the mounting space 130a.

상기 레버장치(142)가 회전하는 과정에서, 상기 가이드 돌기(113a)는 상기 제 1 단부(147a)로부터 상기 제 2 단부(147b)까지 이동될 수 있다. 즉, 상기 가이드 돌기(113a)는 상기 흡입그릴(110)에 고정된 구성이나, 상기 레버장치(142)가 회전할 때 상기 돌기관통부(145)의 내부에서 상대적인 움직임을 가질 수 있다. While the lever device 142 rotates, the guide protrusion 113a may be moved from the first end 147a to the second end 147b. That is, the guide protrusion 113a may have a configuration fixed to the suction grill 110, but may have a relative movement inside the protrusion pipe 145 when the lever device 142 rotates.

상기 레버장치(142)에는, 상기 레버본체(143)의 내주면으로부터 반경방향 내측으로 연장되는 지지판(143b)이 더 포함된다. 상기 지지판(143b)은 상기 지지장치(140)의 저면을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지지판(143b)은 상기 레버본체(143)의 양측에 복수 개로 구비될 수 있다. The lever device 142 further includes a support plate 143b extending radially inward from an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lever body 143. The support plate 143b may support the bottom surface of the support device 140. The support plate 143b may be provided in plural on both sides of the lever body 143.

상기 레버장치(142)의 외주면에는, 상기 레버장치(142)의 회전을 위하여 사용자의 조작이 가능한 핸들(144)이 더 포함된다. 사용자는 상기 핸들(144)을 조작하여, 상기 레버장치(142)를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lever device 142, a handle 144 that can be operated by a user to rotate the lever device 142 is further included. The user may manipulate the handle 144 to rotate the lever device 142 in a clockwise or counterclockwise direction.

상기 지지장치(140)는 상기 레버장치(142)의 상측에 움직임 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레버장치(142)가 회전할 때, 상기 지지장치(140)는 상기 레버장치(142)와 간섭되어 상방 또는 하방으로의 움직임을 수행한다. The support device 140 may be movably supported on the upper side of the lever device 142. In detail, when the lever device 142 rotates, the support device 140 interferes with the lever device 142 to perform an upward or downward movement.

상기 지지장치(140)가 상방으로 이동하였을 때, 상기 지지장치(140)는 상기 제 1 필터부재(120)를 밀어올려 상기 제 1 필터부재(120)가 상기 제 1 필터프레임(130)에 지지된 상태에 있게 한다. 반면에, 상기 지지장치(140)가 하방으로 이동하였을 때, 상기 지지장치(140)는 상기 제 1 필터부재(120)를 하방으로 내려오게 하여 상기 제 1 필터부재(120)가 상기 제 1 필터프레임(130)으로부터 분리 가능한 위치에 있게 한다.When the support device 140 moves upward, the support device 140 pushes up the first filter member 120 so that the first filter member 120 is supported by the first filter frame 130 Keep in a state of being On the other hand, when the support device 140 moves downward, the support device 140 moves the first filter member 120 downward so that the first filter member 120 It is in a position that can be separated from the frame 130.

상기 지지장치(140)에는, 대략 원판 형상의 지지본체(140a)가 포함된다. 상기 지지본체(140a)에는, 상기 제 1 필터부재(120)를 지지하는 필터지지면을 가진다. 상기 지지장치(140)에는, 상기 지지본체(140a)의 대략 중앙부에 구비되며 상기 체결부재(25)가 삽입되는 부재삽입부(141a)가 포함된다. 상기 부재삽입부(141a)는 상하 관통되는 관통공으로서 이해된다.The support device 140 includes a support body 140a having a substantially disk shape. The support body 140a has a filter support surface supporting the first filter member 120. The support device 140 includes a member insertion portion 141a provided at an approximately central portion of the support body 140a and into which the fastening member 25 is inserted. The member insertion portion 141a is understood as a through hole penetrating up and down.

상기 체결부재(25)는 상기 지지장치(140)의 상측에서 상기 부재삽입부(141a)로 삽입되어 하방으로 연장되며 상기 베이스(20)의 지지결합부(22)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체결부재(25)에 의하여, 상기 지지장치(140)는 좌우로 흔들리지 않고, 상기 베이스(20), 흡입그릴(120) 및 레버장치(142)에 대하여, 중심이 맞춰진 상태에서 상방 또는 하방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체결부재(25)에는, 스크류(screw)가 포함될 수 있다.The fastening member 25 is inserted into the member insertion part 141a from the upper side of the support device 140 and extends downward, and may be coupled to the support coupling part 22 of the base 20. By the fastening member 25, the support device 140 does not swing from side to side, and with respect to the base 20, the suction grill 120, and the lever device 142, the center is aligned upward or downward. Can be moved. For example, the fastening member 25 may include a screw.

상기 지지장치(140)에는, 상기 이동 가이드부(143a)와 접촉하는 지지 돌출부(141b)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지지 돌출부는 상기 지지본체(140a)의 저면으로부터 하방으로 돌출되며, 상기 이동 가이드부(143a)에 대응하는 위치에 다수 개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지지 돌출부(141b)의 형상은 상기 이동 가이드부(143a)의 형상에 대응되며, 원주 방향으로 점점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경사면이 포함된다.The support device 140 may be provided with a support protrusion 141b contacting the moving guide part 143a. The support protrusions protrude downward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support body 140a, and a plurality of support protrusions may be provided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the movement guide part 143a. In addition, the shape of the support protrusion 141b corresponds to the shape of the moving guide part 143a, and includes an inclined surface formed to gradually protrude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상기 이동 가이드부(143a)가 점점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방향과, 상기 지지 돌출부(141b)가 점점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방향은 서로 반대일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이동 가이드부(143a)가 점점 돌출되도록 구성되는 방향이 반시계방향이라면, 상기 지지 돌출부(141b)가 점점 돌출되도록 구성되는 방향은 시계방향일 수 있다. 반대로, 상기 이동 가이드부(143a)가 점점 돌출되도록 구성되는 방향이 시계방향이라면, 상기 지지 돌출부(141b)가 점점 돌출되도록 구성되는 방향은 반시계방향일 수 있다. A direction in which the movement guide part 143a is formed to gradually protrude and a direction in which the support protrusion part 141b is formed to gradually protrude may be opposite to each other. For example, if the direction in which the movement guide part 143a is configured to gradually protrude is counterclockwise, the direction in which the support protrusion part 141b is configured to gradually protrude may be a clockwise direction. Conversely, if the direction in which the movement guide part 143a is configured to gradually protrude is a clockwise direction, a direction in which the support protrusion part 141b is configured to protrude gradually may be a counterclockwise direction.

상기 레버장치(142)가 회전 과정에서, 상기 이동 가이드부(143a)와 상기 지지 돌출부(141b)는 간섭되며, 이 과정에서 상기 지지장치(140)는 상방 또는 하방으로의 움직임을 수행할 수 있다.During the rotation of the lever device 142, the movement guide part 143a and the support protrusion 141b interfere, and in this process, the support device 140 may move upward or downward. .

상세히, 상기 레버장치(142)가 일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지지 돌출부(141b)의 하부와 상기 이동 가이드부(143a)의 상부가 맞닿으면, 상기 지지장치(140)는 상방으로 들어올려진다. 그리고, 상기 지지장치(140)에 의하여 지지되는 제 1 필터부재(120)는 상방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제 1 송풍장치(100)에 결합된 상태에 있게 된다. In detail, when the lever device 142 is in one position, when the lower portion of the supporting protrusion 141b and the upper portion of the moving guide portion 143a abut, the supporting device 140 is lifted upward. In addition, the first filter member 120 supported by the support device 140 moves upward and is in a state of being coupled to the first blowing device 100.

반면에, 상기 레버장치(142)가 회전하여 타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지지 돌출부(141b)의 상부와 상기 이동 가이드부(143a)의 하부가 맞닿거나 상기 지지 돌출부와 이동 가이드부(113)의 간섭이 해제되면, 상기 지지장치(140)는 하방으로 내려온다. 그리고, 상기 지지장치(140)에 의하여 지지되는 제 1 필터부재(120)는 상기 제 1 송풍장치(100)로부터 분리 가능한 상태(해제 상태)에 있게 된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lever device 142 rotates and is in another position, the upper part of the support protrusion 141b and the lower part of the moving guide part 143a abut or the support protrusion and the moving guide part 113 interfere When this is released, the support device 140 descends downward. In addition, the first filter member 120 supported by the support device 140 is in a state (release state) detachable from the first blower device 100.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필터부재의 구성을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필터부재의 구성을 보여주는 단면도이고, 도 9는 도 8의 "A" 부분을 확대한 도면이고, 도 10은 도 8의 "B" 부분을 확대한 도면이다.7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filter memb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8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filter memb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9 is It is an enlarged view, and FIG. 10 is an enlarged view of part "B" of FIG. 8.

도 7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 1 필터부재(120)에는, 제 1 필터부(121) 및 제 2 필터부(125)가 포함된다. 상기 제 2 필터부(125)는 상기 제 1 필터부(121)의 내측에 삽입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7 to 10, the first filter member 12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filter unit 121 and a second filter unit 125. The second filter unit 125 may be disposed to be inserted into the first filter unit 121.

상기 제 1 필터부(121)는 공기 중 미세먼지나 바이러스와 같은 미생물을 필터링 하는 "이물제거 필터"로서 이해된다. 일례로, 상기 제 1 필터부(121)에는, 헤파필터(HEPA FILTER)가 포함될 수 있다.The first filter unit 121 is understood as a "foreign matter removal filter" that filters microorganisms such as fine dust or viruses in the air. For example, the first filter unit 121 may include a HEPA filter.

상세히, 상기 제 1 필터부(121)는 중공의 원통형상을 가지는 제 1 필터본체(121a) 및 상기 제 1 필터본체(121a)를 지지하는 고정프레임(122a,122b)이 포함된다. 상기 제 1 필터본체(121a)는 이물을 필터링 하기 위한 필터면을 제공한다.In detail, the first filter unit 121 includes a first filter body 121a having a hollow cylindrical shape and a fixing frame 122a and 122b supporting the first filter body 121a. The first filter body 121a provides a filter surface for filtering foreign matter.

상기 고정프레임(122a,122b)에는, 상기 제 1 필터본체(121a)의 상부를 지지하는 제 1 고정프레임(122a) 및 상기 제 1 필터본체(121a)의 하부를 지지하는 제 2 고정프레임(122b)이 포함된다. The fixing frames 122a and 122b include a first fixing frame 122a supporting an upper portion of the first filter body 121a and a second fixing frame 122b supporting a lower portion of the first filter body 121a. ) Is included.

상기 제 1 고정프레임(122a)에는, 상기 제 1 필터본체(121a)의 상부 외주면을 지지하는 제 1 외면지지부(122c) 및 상기 제 1 필터본체(121a)의 상부 내주면을 지지하는 제 1 내면지지부(122d)가 포함된다. 즉, 상기 제 1 고정프레임(122a)은, 상기 제 1 외면지지부(122c) 및 상기 제 1 내면지지부(122d)에 의하여, 상기 제 1 필터본체(121a)의 상면, 하부 외주면 및 하부 내주면에 결합될 수 있다. In the first fixing frame 122a, a first outer surface support portion 122c supporting an upper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filter body 121a and a first inner surface support portion supporting an upper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filter body 121a (122d) is included. That is, the first fixing frame 122a is coupled to the upper surface, the lower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nd the lower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filter body 121a by the first outer surface support part 122c and the first inner surface support part 122d. Can be.

상기 제 2 고정프레임(122b)에는, 상기 제 1 필터본체(121a)의 하부 외주면을 지지하는 제 1 외면지지부(122c) 및 상기 제 1 필터본체(121a)의 하부 내주면을 지지하는 제 1 내면지지부(122d)가 포함된다. 즉, 상기 제 2 고정프레임(122b)은, 상기 제 1 외면지지부(122c) 및 상기 제 1 내면지지부(122d)에 의하여, 상기 제 1 필터본체(121a)의 하면, 하부 외주면 및 하부 내주면에 결합될 수 있다. The second fixing frame 122b includes a first outer surface support part 122c supporting a lower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filter body 121a, and a first inner surface support part supporting a lower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filter body 121a. (122d) is included. That is, the second fixing frame 122b is coupled to the lower surface, the lower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nd the lower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filter body 121a by the first outer surface support part 122c and the first inner surface support part 122d. Can be.

이러한 제 1,2 고정프레임(122a,122b)의 구성에 의하여, 상기 제 1 필터부(121)는 원통형의 형상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By the configuration of the first and second fixing frames 122a and 122b, the first filter unit 121 can stably maintain a cylindrical shape.

상기 제 1 필터부(121)에는,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는 필터 손잡이(120a)가 더 포함된다. 상기 필터 손잡이(120a)는 상기 제 1 고정프레임(122a) 및 제 2 고정프레임(122b) 중 적어도 하나의 고정프레임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필터 손잡이(120a)는 상기 제 1 고정프레임(122a) 또는 상기 제 2 고정프레임(122b)의 외주면으로부터 반경방향으로 돌출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The first filter unit 121 further includes a filter handle 120a that can be gripped by a user. The filter handle 120a may be provided on at least one of the first fixing frame 122a and the second fixing frame 122b. The filter handle 120a may be provided to protrude in a radial direction from an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first fixing frame 122a or the second fixing frame 122b.

상기 제 2 필터부(125)는 공기 냄새입자를 필터링 하는 "탈취필터"로서 이해된다. 상세히, 상기 제 2 필터부(125)는 중공의 원통형상을 가지는 제 2 필터본체(125a) 및 상기 제 2 필터본체(125a)를 지지하는 고정프레임(126a,126b)이 포함된다. 상기 제 2 필터본체(125a)는 이물을 필터링 하기 위한 필터면을 제공한다.The second filter unit 125 is understood as a "deodorization filter" that filters air odor particles. In detail, the second filter unit 125 includes a second filter body 125a having a hollow cylindrical shape and fixing frames 126a and 126b for supporting the second filter body 125a. The second filter body 125a provides a filter surface for filtering foreign substances.

상기 고정프레임(126a,126b)에는, 상기 제 2 필터본체(125a)의 상부를 지지하는 제 3 고정프레임(126a) 및 상기 제 2 필터본체(125a)의 하부를 지지하는 제 4 고정프레임(126b)이 포함된다. The fixing frames 126a and 126b include a third fixing frame 126a supporting an upper portion of the second filter body 125a and a fourth fixing frame 126b supporting a lower portion of the second filter body 125a. ) Is included.

상기 제 3 고정프레임(126a)에는, 상기 제 2 필터본체(125a)의 상부 외주면을 지지하는 제 2 외면지지부(126c) 및 상기 제 2 필터본체(121a)의 상부 내주면을 지지하는 제 2 내면지지부(126d)가 포함된다. 즉, 상기 제 3 고정프레임(126a)은, 상기 제 2 외면지지부(126c) 및 상기 제 2 내면지지부(126d)에 의하여, 상기 제 2 필터본체(125a)의 상면, 하부 외주면 및 하부 내주면에 결합될 수 있다. The third fixing frame 126a includes a second outer surface support portion 126c supporting an upper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cond filter body 125a and a second inner surface support portion supporting an upper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cond filter body 121a (126d) is included. That is, the third fixing frame 126a is coupled to the upper surface, the lower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nd the lower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cond filter body 125a by the second outer surface support portion 126c and the second inner surface support portion 126d. Can be.

상기 제 3 고정프레임(126a)에는, 상기 제 1 고정프레임(122a)의 상측에 걸림이 이루어지는 걸림턱(126e)이 더 포함된다. 상기 제 2 필터부(125)가 상기 제 1 필터부(121)의 내측에 삽입되면 상기 걸림턱(126e)은 상기 제 1 고정프레임(122a)의 상면에 지지될 수 있다. 이에 의하여, 상기 제 2 필터부(125)는 상기 제 1 필터부(121)에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The third fixing frame 126a further includes a locking protrusion 126e that is hooked on the upper side of the first fixing frame 122a. When the second filter unit 125 is inserted into the first filter unit 121, the locking protrusion 126e may be suppor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fixing frame 122a. Accordingly, the second filter unit 125 may be stably supported on the first filter unit 121.

상기 제 4 고정프레임(126b)에는, 상기 제 2 필터본체(125a)의 하부 외주면을 지지하는 제 2 외면지지부(126c) 및 상기 제 2 필터본체(125a)의 하부 내주면을 지지하는 제 2 내면지지부(126d)가 포함된다. 즉, 상기 제 4 고정프레임(126b)은, 상기 제 2 외면지지부(126c) 및 상기 제 2 내면지지부(126d)에 의하여, 상기 제 2 필터본체(125a)의 하면, 하부 외주면 및 하부 내주면에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제 3,4 고정프레임(126a,126b)의 구성에 의하여, 상기 제 2 필터부(125)는 원통형의 형상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The fourth fixing frame 126b includes a second outer surface support portion 126c supporting a lower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econd filter body 125a and a second inner surface support portion supporting a lower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econd filter body 125a. (126d) is included. That is, the fourth fixing frame 126b is coupled to the lower surface, the lower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nd the lower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cond filter body 125a by the second outer surface support part 126c and the second inner surface support part 126d. Can be. By the configuration of the third and fourth fixing frames 126a and 126b, the second filter unit 125 can stably maintain a cylindrical shape.

상기 제 2 고정프레임(122b)에는, 상기 제 4 고정프레임(126b)의 하측을 지지하는 프레임지지부(126e)가 더 포함된다. 즉, 상기 제 2 고정프레임(122b)은 상기 제 1 필터부(121)의 하측에서부터 상기 제 2 필터부(125)의 하측까지 반경방향 내측으로 연장되며, 상기 제 2 필터부(125)의 하측에 위치하는 부분은 상기 프레임지지부(126e)를 형성한다. 이에 의하여, 상기 제 2 필터부(125)는 상기 제 1 필터부(121)에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The second fixing frame 122b further includes a frame support portion 126e supporting the lower side of the fourth fixing frame 126b. That is, the second fixing frame 122b extends radially inward from the lower side of the first filter unit 121 to the lower side of the second filter unit 125, and the lower side of the second filter unit 125 The portion positioned at forms the frame support portion 126e. Accordingly, the second filter unit 125 may be stably supported on the first filter unit 121.

상기 제 1 흡입부(102) 또는 상기 베이스흡입부(103)를 통하여 상기 제 1 필터부재(120)의 외주면측으로 유동한 공기는 상기 제 1 필터부(121) 및 상기 제 2 필터부(125)를 차례로 통과하면서 정화될 수 있다.The air flowing toward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first filter member 120 through the first suction unit 102 or the base suction unit 103 is the first filter unit 121 and the second filter unit 125 It can be purified by passing through one after another.

상기 제 2 필터부(125)의 상부에는, 상기 필터공(122)이 형성된다. 상기 제 1 필터부재(120)를 통과한 공기는 상기 필터공(122)을 통하여 상방으로 유동하며, 상기 제 1 팬(160)으로 유입될 수 있다. The filter hole 122 is formed on the second filter unit 125. The air that has passed through the first filter member 120 flows upward through the filter hole 122 and may be introduced into the first fan 160.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필터 프레임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팬하우징의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필터 프레임의 구성을 보여주는 개략도이다.11 is a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filter fra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fan hous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3 is a filter fra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the composition of.

도 11 내지 도 1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 1 필터 프레임(130)에는, 상기 제 1 필터프레임(130)의 하부를 형성하는 하부 프레임(131)과, 상기 제 1 필터프레임(130)의 상부를 형성하는 상부 프레임(132) 및 상기 하부 프레임(131)으로부터 상기 상부 프레임(132)을 향하여 상방으로 연장되는 제 1 필터지지부(135)가 더 포함된다. 상기 제 1 필터지지부(135)는 다수 개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 1 필터지지부(135)는 상기 제 1 필터부재(120)의 외면을 지지하는 점에서 "지지 프레임"이라 이름할 수 있다. 11 to 13, a first filter frame 13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lower frame 131 forming a lower portion of the first filter frame 130, and the first filter frame. An upper frame 132 forming an upper portion of 130 and a first filter support part 135 extending upwardly from the lower frame 131 toward the upper frame 132 are further included. A plurality of first filter support parts 135 may be provided. The first filter support part 135 may be referred to as a "support frame" in that it supports the outer surface of the first filter member 120.

상기 제 1,2 프레임(131,132) 및 상기 다수의 제 1 필터지지부(135)에 의하여, 상기 제 1 필터부재(120)가 위치되는 장착공간(130a)이 형성된다. A mounting space 130a in which the first filter member 120 is located is formed by the first and second frames 131 and 132 and the plurality of first filter support parts 135.

상세히, 상기 하부 프레임(131)은 상기 제 1 필터부재(120)의 하부를 둘러싸도록 링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하부 프레임(131)에는, 상기 하부 프레임(131)의 적어도 일부분이 절개된 형상을 가지는 프레임절개부(131a)가 포함된다. 상기 프레임절개부(131a)는 상기 레버장치(142)의 핸들(144)이 위치하는 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핸들(144)의 회전 경로에 대응하는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달리 말하면, 상기 프레임절개부(131a)는 상기 핸들(144)이 움직일 수 있는 공간부를 제공한다.In detail, the lower frame 131 may have a ring shape so as to surround the lower portion of the first filter member 120. The lower frame 131 includes a frame cutout 131a having a shape in which at least a portion of the lower frame 131 is cut. The frame cutout 131a forms a space in which the handle 144 of the lever device 142 is located, and may be formed to have a size corresponding to a rotation path of the handle 144. In other words, the frame cutout 131a provides a space in which the handle 144 can move.

상기 하부 프레임(131)에는, 프레임체결부(131c)가 형성된다. 상기 프레임체결부(131c)는, 소정의 체결부재에 의하여 상기 베이스(20)의 그릴체결부(23) 및 상기 흡입그릴(110)의 베이스체결부(111b)에 결합될 수 있다.In the lower frame 131, a frame fastening portion 131c is formed. The frame fastening part 131c may be coupled to the grill fastening part 23 of the base 20 and the base fastening part 111b of the suction grill 110 by a predetermined fastening member.

상기 상부 프레임(132)은 상기 제 1 필터부재(120)의 상부를 둘러싸도록 링 형상을 가지며, 상기 하부 프레임(131)으로부터 상방으로 이격되어 위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상부 프레임(132)의 링 형상의 내부 공간은 프레임개구부(132a)를 형성한다. 상기 프레임개구부(132a)는 상기 제 1 필터부재(120)의 필터공(122)에 연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The upper frame 132 has a ring shape so as to surround the upper portion of the first filter member 120 and may be positioned to be spaced upward from the lower frame 131. In addition, the ring-shaped inner space of the upper frame 132 forms a frame opening 132a. The frame opening 132a may be configured to communicate with the filter hole 122 of the first filter member 120.

상기 상부 프레임(132)에는, 프레임 내벽(133) 및 상기 프레임 내벽(133)을 둘러싸는 프레임 외벽(134)이 포함된다. 상기 프레임 내벽(133) 및 상기 프레임 외벽(134)은 각각, 링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프레임 공(132a)은 상기 프레임 내벽(133)의 내측 공간으로서 이해될 수 있다.The upper frame 132 includes an inner frame wall 133 and an outer frame wall 134 surrounding the frame inner wall 133. Each of the frame inner wall 133 and the frame outer wall 134 may have a ring shape. In addition, the frame hole 132a may be understood as an inner space of the frame inner wall 133.

상기 프레임 외벽(134)의 내주면은 상기 프레임 내벽(133)의 외주면으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상기 상부 프레임(132)에는, 상기 프레임 외벽(134)의 하부로부터 상기 프레임 내벽(133)의 하부로 연장되는 벽 연결부(134a)가 더 포함된다.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rame outer wall 134 may be spaced apart from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rame inner wall 133. The upper frame 132 further includes a wall connection part 134a extending from a lower portion of the frame outer wall 134 to a lower portion of the frame inner wall 133.

상기 프레임 외벽(134)의 내주면과, 상기 프레임 내벽(133)의 외주면 및 상기 벽 연결부(134a)가 이루는 공간에는, 상기 제 1 팬하우징(150)의 적어도 일부분이 위치하는 하우징삽입부(134b)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벽 연결부(134a)에는, 상기 제 1 팬하우징(150)과 결합되는 하우징결합부(134c)가 구비된다. 상기 하우징결합부(134c)는 상기 벽 연결부(134a)의 양측에 복수 개로 구비될 수 있다. 소정의 체결부재는 상기 하우징결합부(134c) 및 상기 제 1 팬하우징(150)의 프레임결합부(151a)에 결합될 수 있다.In the space formed by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rame outer wall 134,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rame inner wall 133, and the wall connection part 134a, at least a portion of the first fan housing 150 is located. Is formed. In addition, the wall connection part 134a is provided with a housing coupling part 134c that is coupled to the first fan housing 150. The housing coupling part 134c may be provided in plural on both sides of the wall connection part 134a. A predetermined fastening member may be coupled to the housing coupling portion 134c and the frame coupling portion 151a of the first fan housing 150.

상기 상부 프레임(132)에는, 상기 프레임 내벽(133)의 내주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제 1 팬하우징(150)을 지지하는 하우징안착부(133a)가 더 포함된다. 사기 하우징 안착부(133a)의 내측 공간은 상기 프레임개구부(132a)를 형성한다.The upper frame 132 further includes a housing mounting portion 133a protruding from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rame inner wall 133 to support the first fan housing 150. The inner space of the housing housing mounting portion (133a) forms the frame opening (132a).

상기 상부 프레임(132)의 상부는 제 1 팬하우징(150)을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제 1 팬하우징(150)은, 상기 제 1 필터부재(120)의 출구측에 설치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제 1 팬하우징(150)에는, 제 1 팬(160)이 수용되는 하우징공간부(150a)를 형성하는 하우징 본체(151,152,153)가 포함된다. 상기 하우징본체(151,152,153)는 상기 제 1 필터프레임(130)에 의하여 지지될 수 있다.The upper part of the upper frame 132 may support the first fan housing 150. The first fan housing 150 may be installed at the outlet side of the first filter member 120. In detail, the first fan housing 150 includes housing main bodies 151, 152, and 153 that form a housing space 150a in which the first fan 160 is accommodated. The housing bodies 151, 152, 153 may be supported by the first filter frame 130.

상기 하우징본체(151,152,153)는, 그 직경이 달라지도록, 단차지게 구성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하우징 본체(151,152,153)에는, 설정된 제 1 직경(이하, 제 1 설정직경)을 가지며 대략 원통 형상을 가지는 제 1 본체(151)가 포함된다. 상기 제 1 본체(151)는 상기 하우징 본체(151,152,153)의 상부를 형성한다.The housing bodies 151, 152, and 153 may be configured to be stepped so that their diameters are different. In detail, the housing bodies 151, 152, and 153 include a first body 151 having a set first diameter (hereinafter, a first set diameter) and having a substantially cylindrical shape. The first body 151 forms an upper portion of the housing bodies 151, 152, and 153.

상기 하우징 본체(151,152,153)에는, 하우징절개부(154a,154b)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절개부(154a,154b)는 상기 제 3 본체(153)의 적어도 일부분이 절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하우징절개부(154a,154b)는 상기 제 3 본체(153)의 하단부로부터 상방으로 소정 높이만큼 절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The housing main body 151, 152, 153 may include housing cutouts 154a and 154b. The housing cutouts 154a and 154b may be formed by cutting at least a portion of the third body 153. For example, the housing cutouts 154a and 154b may be formed to be cut upward by a predetermined height from the lower end of the third body 153.

상기 하우징절개부(154a,154b)에는, 상기 제 1 필터지지부(135)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상기 제 1 필터지지부(135)를 지지하는 제 1 절개부(154a)가 포함된다. 상기 제 1 절개부(154a)에는, 상기 제 1 필터지지부(135) 또는 프레임커버(136)가 위치될 수 있다.The housing cutouts 154a and 154b include a first cutout 154a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filter support 135 to support the first filter support 135. The first filter support part 135 or the frame cover 136 may be positioned in the first cut-out part 154a.

상기 하우징절개부(154a,154b)에는, 상기 센서 장착부(138)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상기 센서 장착부(138)를 지지하는 제 2 절개부(154b)가 포함된다. 상기 제 2 절개부(154b)에는, 상기 센서 장착부(138)가 위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2 절개부(154b)의 상측에는, 상기 센서 장착부(138)에 의하여 지지되는 센서지지부(155)가 포함된다. 상기 센서 장착부(138)와 상기 센서지지부(155)에 의하여, 상기 센서장치(137)가 설치되는 설치 공간부가 정의될 수 있다.The housing cutouts 154a and 154b include a second cutout 154b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sensor mounting part 138 to support the sensor mounting part 138. The sensor mounting part 138 may be located in the second cutout 154b. In addition, a sensor support part 155 supported by the sensor mounting part 138 is included on the upper side of the second cut-out part 154b. An installation space in which the sensor device 137 is installed may be defined by the sensor mounting part 138 and the sensor support part 155.

상기 제 3 본체(153)는 상기 상부 프레임(132)에 형성되는 하우징삽입부(134b)에 삽입하도록 위치될 수 있다. 정리하면, 상기 제 3 본체(153)는 상기 하우징삽입부에 삽입되고, 상기 하우징절개부(154a,154b)는 상기 제 1 필터프레임(135) 및 상기 센서 장착부(138)의 상부를 지지함으로써 상기 제 1 필터프레임(130)과 상기 제 1 팬 하우징(150)은 안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The third body 153 may be positioned to be inserted into the housing insertion portion 134b formed in the upper frame 132. In summary, the third main body 153 is inserted into the housing insertion part, and the housing cutouts 154a and 154b support the upper portions of the first filter frame 135 and the sensor mounting part 138, The first filter frame 130 and the first fan housing 150 may be stably coupled.

상기 다수 개의 제 1 필터지지부(135)는 상기 제 1,2 프레임(131,132)의 테두리부를 따라 원주 방향으로 배열되어, 상기 제 1 필터부재(120)의 외주면을 지지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다수 개의 제 1 필터지지부(135)는 상기 제 1 필터 프레임(130)의 후방부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 필터 프레임(130)의 전방부에는 상기 제 1 필터부재(120)가 인출 또는 인입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인입부(130b)가 형성된다. The plurality of first filter support portions 135 may be arranged in a circumferential direction along the edge portions of the first and second frames 131 and 132 to support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first filter member 120. For example, the plurality of first filter support parts 135 may be disposed at the rear part of the first filter frame 130. In addition, a lead-in portion 130b is formed at a front portion of the first filter frame 130 to provide a space through which the first filter member 120 is drawn out or introduced.

방향을 정의한다. 상기 제 1 필터부재(120)가 인출되는 방향을 제 1 필터 프레임(130)의 "전방"이라 하고, 상기 제 1 필터부재(120)가 인입되는 방향을 제 1 필터 프레임(130)의 "후방"이라 정의할 수 있다. 상기 하부 프레임(131)의 형상을 기준으로, 상기 프레임절개부(131a)는 상기 하부 프레임(131)의 전방부에 형성될 수 있다.Define the direction. The direction in which the first filter member 120 is pulled out is referred to as "front" of the first filter frame 130, and the direction in which the first filter member 120 is pulled in is referred to as "rear side" of the first filter frame 130. It can be defined as ". Based on the shape of the lower frame 131, the frame cutout 131a may be formed at a front portion of the lower frame 131.

달리 말하면, 상기 다수 개의 제 1 필터지지부(135) 중 어느 2개의 제 1 필터지지부(135) 사이의 공간 중, 상기 제 1 필터프레임(130)의 전방에 형성되는 공간에는, 상기 인입부(130b)가 형성된다. 상기 어느 2개의 제 1 필터지지부(135)는 제 1 프레임(135a,135b)을 포함한다. 상기 제 1 프레임(135a,135b)은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될 수 있다.In other words, in the space formed in front of the first filter frame 130 among the spaces between any two of the first filter support parts 135 among the plurality of first filter support parts 135, the inlet part 130b ) Is formed. Any of the two first filter support portions 135 includes first frames 135a and 135b. The first frames 135a and 135b may be disposed to face each other.

상기 제 1 프레임(135,135b) 사이의 공간 중, 상기 제 1 필터프레임(130)의 후방에 형성되는 공간에는, 제 2 프레임(135c,135d)이 원주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2 프레임(135c,135d)은 다수 개가 구비될 수 있다. Among the spaces between the first frames 135 and 135b, the second frames 135c and 135d may be arranged in a circumferential direction in a space formed behind the first filter frame 130. A plurality of second frames 135c and 135d may be provided.

도 13은 상기 제 1 필터 프레임(130) 중, 하부 프레임(131) 및 다수의 제 1 필터지지부(135)의 배치를 보여주는 개략도이다.13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n arrangement of a lower frame 131 and a plurality of first filter support parts 135 of the first filter frame 130.

상기 하부 프레임(131)의 중심(C)을 기준으로, 상기 2개의 제 1 프레임(135a,135b)은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된다. 달리 말하면, 상기 중심(C)을 지나는 중심선(ℓ1)은 상기 2개의 제 1 프레임(135a,135b)을 지날 수 있다.Based on the center C of the lower frame 131, the two first frames 135a and 135b are disposed to face each other. In other words, the center line (ℓ1) passing through the center (C) may pass through the two first frames (135a, 135b).

상기 2개의 제 1 프레임(135a,135b) 사이 공간 중, 전방공간에는 상기 제 1 필터부재(120)가 인출 또는 인입되는 인입부(130b)가 형성되며, 후방공간에는 상기 제 2 프레임(135c,135d)이 배치될 수 있다. Among the spaces between the two first frames 135a and 135b, an inlet 130b through which the first filter member 120 is drawn out or inserted is formed in a front space, and in the rear space, the second frame 135c, 135d) can be deployed.

상기 제 1 필터 프레임(130)의 지지력을 고려할 때, 상기 인입부(130b)가 형성되는 제 1 필터 프레임(130)의 전방부측의 지지력은, 상기 제 2 프레임(135c,135d)이 배치되는 후방부측의 지지력보다 작을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대적으로 작은, 전방부측의 지지력을 보강하기 위하여, 상기 제 1 프레임(135a,135b)이 상기 제 2 프레임(135c,135d)보다 크게 형성한다.In consideration of the supporting force of the first filter frame 130, the supporting force at the front side of the first filter frame 130 in which the inlet portion 130b is formed is the rear side at which the second frames 135c and 135d are disposed. It may be less than the supporting force of the negative side. In this embodiment, the first frames 135a and 135b are formed larger than the second frames 135c and 135d in order to reinforce a relatively small, supporting force on the front side.

상세히, 상기 제 1 프레임(135a,135b)의 원주방향 길이(L1)는 상기 제 2 프레임(135c,135d)의 원주방향 길이(L2)보다 더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상기 제 1 프레임(135a,135b)의 지지력은 상기 제 2 프레임(135c,135d)의 지지력보다 클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 1 필터 프레임(130)의 전방부측에 별도의 프레임이 구비되지 않는 것에 의하여 부족하게 되는 지지력이 보강될 수 있다.In detail, the circumferential length L1 of the first frames 135a and 135b may be longer than the circumferential length L2 of the second frames 135c and 135d. 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the supporting force of the first frames 135a and 135b may be greater than that of the second frames 135c and 135d. Accordingly, insufficient support force may be reinforced by not providing a separate frame on the front side of the first filter frame 130.

그리고, 상기 중심(C)으로부터 상기 2개의 제 1 프레임(135a,135b)의 각 전단부까지 연장된 2개의 연장선(ℓ2,ℓ3)이 이루는 2개의 각도 중, 상기 중심(C)의 후방측이 형성하는 각도(θ)는 180도 이상이 될 수 있다. 즉, 상기 제 1 프레임(135a,135b)의 전단부는, 상기 하부 프레임(131)의 중심(C)을 기준으로 전방측으로 더 연장됨으로써, 상기 제 1 필터 프레임(130)의 전방부측 지지력을 보강할 수 있다.And, of the two angles formed by the two extension lines (ℓ2, ℓ3) extending from the center (C) to the respective front ends of the two first frames (135a, 135b), the rear side of the center (C) The angle θ to be formed may be 180 degrees or more. That is, the front end portions of the first frames 135a and 135b are further extended to the front side based on the center C of the lower frame 131, thereby reinforcing the supporting force of the front side of the first filter frame 130. I can.

상기 제 1 프레임(135a,135b)에는, 각각 직면부(135e) 및 곡면부(135f)가 포함된다. 상기 직면부(135e)는, 상기 제 1 프레임(135a,135b)의 전단부로부터 후방을 향하여 연장되어, 상기 제 1 필터부재(120)의 인입을 가이드 한다. 그리고, 상기 곡면부(135f)는 상기 직면부(135e)로부터 후방으로 라운드진 연장되어 상기 제 1 필터부재(120)를 지지할 수 있다. 상기 곡면부(135f)의 라운드진 곡률은 상기 하부 프레임(131)의 곡률에 대응될 수 있다.Each of the first frames 135a and 135b includes a facing portion 135e and a curved portion 135f. The facing portion 135e extends rearward from the front end portions of the first frames 135a and 135b to guide the introduction of the first filter member 120. In addition, the curved portion 135f may be rounded and extended rearward from the facing portion 135e to support the first filter member 120. The rounded curvature of the curved portion 135f may correspond to the curvature of the lower frame 131.

즉, 상기 직면부(135e) 및 곡면부(135f)가 구비됨으로써, 상기 제 1 필터부재(120)가 상기 장착공간(130a)을 향하여 인입될 때 상기 제 1 프레임(135a,135b)에 간섭되지 않고, 상기 제 1 필터부재(120)가 상기 장착공간(130a)에 장착 완료되었을 때에는 상기 제 1 프레임(135a,135b)은 상기 제 1 필터부재(120)의 외주면을 용이하게 지지할 수 있다.That is, since the facing portion 135e and the curved portion 135f are provided, the first filter member 120 does not interfere with the first frames 135a and 135b when the first filter member 120 is drawn toward the mounting space 130a. When the first filter member 120 is mounted in the mounting space 130a, the first frames 135a and 135b may easily support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first filter member 120.

한편, 상기 하부 프레임(131)의 외측에는, 상기 제 1 케이스(101)가 구비된다. 달리 말하면, 상기 제 1 케이스(101)는 상기 하부 프레임(131)을 둘러싸도록 배치된다. 상기 제 1 팬(160)이 구동되면, 상기 제 1 케이스(101)의 제 1 흡입부(102)를 통하여 반경방향으로의 흡입이 이루어지며, 상기 제 1 필터프레임(130)에 의하여 지지되는 제 1 필터부재(120)로 유동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상기 공기 청정기(10)의 원주방향에서, 즉 360도 방향에서 공기의 흡입이 이루어져, 공기 청정기의 흡입용량이 증대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Meanwhile, the first case 101 is provided outside the lower frame 131. In other words, the first case 101 is disposed to surround the lower frame 131. When the first fan 160 is driven, suction in the radial direction is performed through the first suction unit 102 of the first case 101, and the first fan 160 is supported by the first filter frame 130. 1 flows to the filter member 120. 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air is sucke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air cleaner 10, that is, in a 360-degree direction, and thus the suction capacity of the air cleaner can be increased.

도 14 및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필터부재가 장착공간에 설치 및 분리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14 and 15 are views showing a state in which a filter memb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and separated in a mounting space.

도 14 및 도 1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 1 필터 프레임(130)에 형성되는 장착공간(130a)에는, 상기 제 1 필터부재(120)가 분리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14 and 15, the first filter member 120 may be detachably mounted in the mounting space 130a formed in the first filter frame 13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장착공간은 상기 제 1 필터부재(120)의 형상에 대응하여 원통형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 1 필터부재(120)는 장착과정에서, 상기 장착공간을 향하여 반경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인입될 수 있다. 반대로, 상기 제 1 필터부재(120)는 분리 과정에서, 상기 장착공간으로부터 반경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인출될 수 있다. The mounting space may be provided in a cylindrical shape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first filter member 120. The first filter member 120 may be slidably inserted toward the mounting space during the mounting process. Conversely, the first filter member 120 may be slidably drawn out from the mounting space in a radial direction during the separation process.

상세히, 도 14는 상기 제 1 필터부재(120)가 분리된 상태에 있는 모습을 보여준다. 이 때, 상기 레버장치(142)의 핸들(144)은 상기 제 1 필터부재(120)의 해제위치, 일례로 상기 프레임절개부(131a)의 일측 단부에 위치할 수 있다. 이 때의 핸들(144)의 위치를 "제 1 위치" 또는 "해제 위치"라 이름할 수 있다.In detail, FIG. 14 shows a state in which the first filter member 120 is separated. In this case, the handle 144 of the lever device 142 may be located at a release position of the first filter member 120, for example, at one end of the frame cutout 131a. The position of the handle 144 at this time may be referred to as a "first position" or a "release position".

상기 핸들(144)이 상기 제 1 위치에 있을 때에는, 상기 지지장치(140)는 하방으로 내려온 상태에 있다. 따라서, 상기 장착공간(130a)은 상기 제 1 필터부재(120)가 인입될 수 있을 정도로, 충분히 큰 공간을 형성한다.When the handle 144 is in the first position, the support device 140 is in a downwardly lowered state. Accordingly, the mounting space 130a forms a sufficiently large space so that the first filter member 120 can be inserted.

도 14의 상태에서, 상기 제 1 필터부재(120)는 상기 인입부(130b)를 통하여 후방으로 이동하여 상기 장착공간(130a)에 장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핸들(144)을 일 방향으로 회전시켜 상기 지지장치(140)가 상방으로 이동되도록 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핸들(144)은, 도 14 및 도 15를 기준으로 시계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In the state of FIG. 14, the first filter member 120 may be mounted in the mounting space 130a by moving backward through the inlet 130b. In addition, by rotating the handle 144 in one direction, the support device 140 may be moved upward. As an example, the handle 144 may be rotated clockwise based on FIGS. 14 and 15.

상기 지지장치(140)가 상방으로 이동되면, 상기 제 1 필터부재(120)는 상방으로 이동하며 상기 제 1 필터 프레임(130)의 상부, 즉 상기 상부 프레임(132)에 밀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 1 필터부재(120)는 결합위치에 있게 된다. When the support device 140 is moved upward, the first filter member 120 moves upward and may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upper portion of the first filter frame 130, that is, the upper frame 132. Accordingly, the first filter member 120 is in the coupling position.

상기 제 1 필터부재(120)가 상기 장착공간(130a)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핸들(144)을 타 방향으로 회전시켜 상기 지지장치(140)가 하방으로 이동되도록 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핸들(144)은, 도 14 및 도 15를 기준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상기 지지장치(140)가 하방으로 이동되면, 상기 제 1 필터부재(120)는 상기 장착공간(130a)으로부터 분리 가능한 위치에 있게 된다.In a state in which the first filter member 120 is mounted in the mounting space 130a, the handle 144 may be rotated in another direction so that the support device 140 may move downward. For example, the handle 144 may be rotated counterclockwise with reference to FIGS. 14 and 15. When the support device 140 is moved downward, the first filter member 120 is in a position that can be separated from the mounting space 130a.

도 16 내지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 청정기에서의 공기유동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6 내지 도 1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의 유동에 대하여 간단하게 설명한다.16 to 18 are views showing air flow in an air purifi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ures 16 to 18, a brief description of the flow of ai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제 1 송풍장치(100)의 구동에 따른 공기의 흐름을 설명한다. 제 1 팬(160)이 구동하면, 제 1 흡입부(102) 및 베이스흡입부(103)를 통하여 실내공기가 제 1 케이스(101)의 내부로 흡입된다. 흡입된 공기는 제 1 필터부재(120)를 통과하며, 이 과정에서 공기 중 이물이 필터링 될 수 있다. First, the flow of air according to the driving of the first blowing device 100 will be described. When the first fan 160 is driven, indoor air is sucked into the first case 101 through the first suction unit 102 and the base suction unit 103. The inhaled air passes through the first filter member 120, and in this process, foreign matter in the air may be filtered.

상세히, 상기 제 1 흡입부(102)의 하부 흡입부(102a)를 통하여 흡입되는 공기는 내측 반경방향으로 유동하면서 상기 제 1 필터부재(120)를 통과한다. 그리고, 상기 상부 흡입부(102b)를 통하여 흡입되는 공기는 상기 하우징 흡입유로(159)를 따라 하방으로 유동하며, 상기 제 1 필터부재(120)의 외주면측으로 유동하여 상기 제 1 필터부재(120)를 통과하게 된다. 상기 베이스흡입부(103)를 통하여 흡입되는 공기는 상기 제 1 필터부재(120)의 외주면측으로 유동하여 상기 제 1 필터부재(120)를 통과하게 된다. In detail, the air sucked through the lower suction part 102a of the first suction part 102 passes through the first filter member 120 while flowing in the inner radial direction. In addition, the air sucked through the upper suction part 102b flows downward along the housing suction passage 159 and flows towar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filter member 120 so that the first filter member 120 Will pass. The air sucked through the base suction unit 103 flows toward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first filter member 120 and passes through the first filter member 120.

상기 제 1 흡입부(102) 및 베이스흡입부(103)를 통하여 흡입된 공기가 제 1 필터부재(120)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공기는 제 1 필터부재(120)의 반경방향으로 흡입하여 필터링 된 후, 상방으로 유동한다. In the process of passing the air sucked through the first suction unit 102 and the base suction unit 103 through the first filter member 120, the air is suctioned in the radial direction of the first filter member 120 and filtered. After that, it flows upward.

상기 제 1 필터부재(120)를 통과한 공기는 제 1 팬(160)을 통과하면서 반경방향 상측으로 유동하며, 제 1,2 에어가이드 장치(170,180)를 통과하면서 안정적인 상방 유동이 이루어진다. 상기 제 1,2 에어가이드 장치(170,180)를 통과한 공기는 제 1 토출가이드 장치(190)를 지나며, 제 1 토출부(105)를 통하여 상방으로 유동한다.The air passing through the first filter member 120 flows upward in the radial direction while passing through the first fan 160, and a stable upward flow is achieved while passing through the first and second air guide devices 170 and 180. The air that has passed through the first and second air guide devices 170 and 180 passes through the first discharge guide device 190 and flows upward through the first discharge part 105.

상기 제 1 토출부(105)를 통하여 배출된 공기는 상기 제 1 토출가이드 장치(190)의 상측에 위치한 구획판(430)에 의하여 가이드 되어 상기 공기 청정기(10)의 외부로 배출된다. The air discharged through the first discharge part 105 is guided by a partition plate 430 positioned above the first discharge guide device 190 and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air purifier 10.

한편, 제 2 팬(260)이 구동하면, 제 2 흡입부(202)를 통하여 실내공기가 제 2 케이스(201)의 내부로 흡입된다. 흡입된 공기는 제 2 필터부재(220)를 통과하며, 이 과정에서 공기 중 이물이 필터링 될 수 있다. Meanwhile, when the second fan 260 is driven, indoor air is sucked into the second case 201 through the second suction unit 202. The inhaled air passes through the second filter member 220, and in this process, foreign matter in the air may be filtered.

상세히, 상기 제 2 흡입부(202)의 하부 흡입부(202a)를 통하여 흡입되는 공기는 내측 반경방향으로 유동하면서 상기 제 2 필터부재(220)를 통과한다. 그리고, 상기 상부 흡입부(202b)를 통하여 흡입되는 공기는 상기 하우징 흡입유로(259)를 따라 하방으로 유동하며, 상기 제 2 필터부재(220)의 외주면측으로 유동하여 상기 제 2 필터부재(220)를 통과하게 된다. In detail, the air sucked through the lower suction part 202a of the second suction part 202 passes through the second filter member 220 while flowing in the inner radial direction. In addition, the air sucked through the upper suction part 202b flows downward along the housing suction passage 259 and flows towar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cond filter member 220 so that the second filter member 220 Will pass.

그리고, 공기가 제 2 필터부재(220)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공기는 제 2 필터부재(220)의 반경방향으로 흡입하여 필터링 된 후, 상방으로 유동한다. In the process of passing the air through the second filter member 220, the air is sucked in the radial direction of the second filter member 220 and filtered, and then flows upward.

상기 제 2 필터부재(220)를 통과한 공기는 제 2 팬(260)을 통과하면서 반경방향 상측으로 유동하며, 제 3 에어가이드 장치(270) 및 제 2 토출가이드 장치(280)를 통과하면서 안정적인 상방 유동이 이루어진다. 상기 제 3 에어가이드 장치(270) 및 제 2 토출가이드 장치(280)를 통과한 공기는 유동 조절장치(300)를 경유하여 제 2 토출부(305)를 통하여 배출될 수 있다.The air passing through the second filter member 220 flows upward in the radial direction while passing through the second fan 260, and is stable while passing through the third air guide device 270 and the second discharge guide device 280. There is an upward flow. The air that has passed through the third air guide device 270 and the second discharge guide device 280 may be discharged through the second discharge unit 305 via the flow control device 300.

이 때, 상기 유동 조절장치(300)가 도 17과 같이 누워져 있는 제 1 위치에 있으면, 상기 유동 조절장치(300)에서 배출된 공기는 상방으로 유동된다. 반면에, 상기 유동 조절장치(300)가 도 18과 같이 세워져 있는 제 2 위치에 있으면, 상기 유동 조절장치(300)에서 배출된 공기는 전방 상측을 향하여 유동될 수 있다. 상기 유동 조절장치(300)에 의하여, 공기 청정기(10)에서 배출되는 공기의 풍량은 증가되고, 공기 청정기(10)로부터 멀리 떨어진 위치까지 정화된 공기가 공급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At this time, when the flow control device 300 is in the first position lying down as shown in FIG. 17, the air discharged from the flow control device 300 flows upward. On the other hand, when the flow control device 300 is in the second position erected as shown in FIG. 18, the air discharged from the flow control device 300 may flow toward the front and upper side. By the flow control device 300,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amount of air discharged from the air purifier 10 is increased, and the purified air can be supplied to a position far away from the air purifier 10.

도 19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필터 프레임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19 is a diagram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filter fram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제 1 필터 프레임(130)에는 상기 제 1 흡입부(102) 또는 상기 베이스흡입부(103)에서 흡입된 공기가 상기 제 1 필터부재(120)측으로 용이하게 유입될 수 있도록, 공기의 유동을 가이드 하는 유동 가이드부(135g,136a)가 포함된다.Referring to FIG. 19, in the first filter frame 13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ir sucked from the first suction unit 102 or the base suction unit 103 is transferred to the first filter member ( Flow guide portions 135g and 136a for guiding the flow of air are included so as to be easily introduced into the 120) side.

상기 유동 가이드부(135g,136a)에는, 상기 제 1 필터지지부(135)에 구비되는 제 1 유동 가이드부(135g)가 포함된다. 상기 제 1 유동 가이드부(135g)는, 상기 제 1 프레임(135a,135b) 및 상기 제 2 프레임(135c,135d)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유동 가이드부(135g,136a)에는, 상기 제 1 지지부커버(136)에 구비되는 제 2 유동 가이드부(136a)가 더 포함된다.The flow guide portions 135g and 136a include a first flow guide portion 135g provided in the first filter support portion 135. The first flow guide part 135g may be formed on the first frames 135a and 135b and the second frames 135c and 135d, respectively. Further, the flow guide portions 135g and 136a further include a second flow guide portion 136a provided on the first support portion cover 136.

상기 유동 가이드부(135g,136a)에는, 공기를 통과시킬 수 있는 슬릿(slit)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유동 가이드부(135g,136a)가 구비됨으로써, 공기는 상기 제 1 지지부커버(136) 및 상기 제 1 필터지지부(135)를 통과하여 상기 제 1 필터부재(120)로 유입될 수 있다. 즉, 상기 제 1 지지부커버(136) 및 상기 제 1 필터지지부(135)가 공기의 유동에 대하여, 저항으로서 작용하는 현상을 줄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The flow guide portions 135g and 136a may include a slit through which air can pass. Since the flow guide portions 135g and 136a are provided, air may be introduced into the first filter member 120 through the first support portion cover 136 and the first filter support portion 135. That is,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it is possible to reduce a phenomenon in which the first support part cover 136 and the first filter support part 135 act as resistance against the flow of air.

10 : 공기 청정기 20 : 베이스
100 : 송풍장치 100 : 제 1 송풍장치
101 : 제 1 케이스 110 : 흡입그릴
120 : 제 1 필터부재 130 : 제 1 필터프레임
131 : 하부 프레임 132 : 상부 프레임
135 : 제 1 필터지지부 136 : 제 1 지지부커버
140 : 지지장치 142 : 레버장치
150 : 제 1 팬하우징 160 : 제 1 팬
170 : 제 1 에어가이드 장치 180 : 제 2 에어가이드 장치
190 : 제 1 토출가이드 장치 200 : 제 2 송풍장치
201 : 제 2 케이스 220 : 제 2 필터부재
259 : 하우징 흡입유로 260 : 제 2 팬
270 : 제 3 에어가이드 장치 280 : 제 2 토출가이드 장치
300 : 유동 조절장치 400 : 구획장치
10: air cleaner 20: base
100: blowing device 100: first blowing device
101: first case 110: suction grill
120: first filter member 130: first filter frame
131: lower frame 132: upper frame
135: first filter support 136: first support cover
140: support device 142: lever device
150: first fan housing 160: first fan
170: first air guide device 180: second air guide device
190: first discharge guide device 200: second blowing device
201: second case 220: second filter member
259: housing suction flow path 260: second fan
270: third air guide device 280: second discharge guide device
300: flow control device 400: compartment device

Claims (33)

팬이 설치되는 수용공간을 가지는 팬 하우징과, 상기 팬 하우징의 흡입측에 구비되는 원통 형상의 필터부재와, 상기 필터부재의 장착공간을 형성하는 필터 프레임 및 상기 팬의 출구측에 배치되는 토출부를 포함하는 공기청정 모듈; 및
공기를 흡입하는 다수의 통공을 가지며, 원통형 또는 끝부분이 잘린 원뿔형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공기청정 모듈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케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케이스는 상기 필터부재의 외주면 일부 및 상기 필터부재의 외주면 다른 일부를 각각 차폐하는 2개의 파트로 구성되며,
상기 필터 프레임에는,
상기 필터부재의 상부에 구비되는 상부 프레임;
상기 필터부재의 하부에 구비되는 하부 프레임; 및
상기 상부 프레임과 상기 하부 프레임을 연결하는 다수의 지지 프레임이 포함되고,
상기 팬 하우징은 상기 필터 프레임의 상측에 제공되어 상기 상부 프레임에 의하여 지지되며,
상기 2개의 파트는 상기 공기 청정모듈에 결합되면, 상기 필터부재의 외주면과, 상기 필터 프레임 및 상기 팬 하우징의 외면을 감싸고,
상기 다수의 통공은 상하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필터부재와 대응되는 높이에 형성되는 하부 통공 및 상기 필터부재보다 높은 위치에 형성되는 상부 통공을 포함하여, 공기를 상기 케이스의 내부로 흡입시키며,
상기 2개의 파트가 상기 공기 청정모듈로부터 분리되면, 상기 필터부재의 외주면과, 상기 필터 프레임 및 상기 팬 하우징의 외면은 개방되고, 상기 필터부재는 상기 다수의 지지 프레임 사이의 공간을 통하여 반경방향으로 인출되는 공기 청정기.
A fan housing having an accommodation space in which a fan is installed, a cylindrical filter member provided on a suction side of the fan housing, a filter frame forming a mounting space for the filter member, and a discharge part disposed at the outlet side of the fan Air cleaning module including; And
It has a plurality of through-holes for inhaling air, is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or a conical shape with a cut end, and includes a case detachably coupled to the air cleaning module,
The case is composed of two parts respectively shielding a part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lter member and another part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lter member,
In the filter frame,
An upper frame provided above the filter member;
A lower frame provided under the filter member; And
Includes a plurality of support frames connecting the upper frame and the lower frame,
The fan housing is provided on the upper side of the filter frame and supported by the upper frame,
When the two parts are coupled to the air cleaning module, they surround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filter member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filter frame and the fan housing,
The plurality of through-holes include a lower through-hole formed at a height corresponding to the filter member and an upper through-hole formed at a position higher than the filter member based on the vertical direction, and suck air into the interior of the case,
When the two parts are separated from the air cleaning module,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lter member and the outer surfaces of the filter frame and the fan housing are opened, and the filter member radially passes through the space between the plurality of support frames. Air purifier withdraw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통공을 통하여 흡입된 공기중 먼지량을 감지하는 먼지센서 또는 가스량을 감지하는 가스센서를 포함하는 센서장치를 더 포함하며,
상기 센서장치는 상기 필터 프레임에 구비되는 공기 청정기.
The method of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sensor device comprising a dust sensor for detecting the amount of dust in the air sucked through the plurality of through holes or a gas sensor for detecting the amount of gas,
The sensor device is an air purifier provided in the filter frame.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장치는 상기 필터 프레임의 상부에 제공되어, 상기 상부 통공을 통하여 흡입되는 공기 중 일부의 공기의 오염도를 감지하는 공기 청정기.
The method of claim 2,
The sensor device is provid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filter frame, and detects a degree of contamination of some of the air sucked through the upper through hole.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장치가 설치되는 센서 장착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센서 장착부는 상기 필터 프레임의 외주면으로부터 돌출하도록 구비되는 공기 청정기.
The method of claim 2,
Further comprising a sensor mounting portion to which the sensor device is installed,
The sensor mounting portion is provided to protrude from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filter frame.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상기 센서장치 및 상기 센서 장착부를 차폐하는 공기 청정기.
The method of claim 4,
The case is an air cleaner for shielding the sensor device and the sensor mounting par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통공 및 상기 하부 통공은 상기 케이스의 외주면에 원주 방향으로 형성되어,
360도 방향에서의 공기 흡입이 이루어지는 공기 청정기.
The method of claim 1,
The upper through hole and the lower through hole are formed in a circumferential direction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ase,
Air purifier with air intake from 360 degree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2개의 파트는, 상기 케이스의 분리부를 중심으로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되는 공기 청정기.
The method of claim 1,
The two parts are disposed so as to face each other around the separation portion of the cas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지지 프레임은 상기 하부 프레임의 테두리를 따라 원주 방향으로 배열되며,
상기 다수의 지지 프레임은 상기 필터부재가 상기 장착공간으로 이동할 수 있는 인입부를 형성하는 2개의 제 1 프레임 및 상기 2개의 제 1 프레임의 원주방향 사이에 구비되는 제 2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프레임의 원주방향 길이는, 상기 제 2 프레임의 원주방향 길이보다 길게 형성되는 공기 청정기.
The method of claim 1,
The plurality of support frames are arranged in a circumferential direction along the rim of the lower frame,
The plurality of support frames include two first frames forming an inlet through which the filter member can move to the mounting space and a second frame provided betwee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s of the two first frames,
The circumferential length of the first frame is longer than the circumferential length of the second frame.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프레임의 중심(C)에 대하여, 상기 2개의 제 1 프레임의 각 단부까지 연장된 2개의 연장선이 이루는 각도는 180도 이상을 형성하는 공기 청정기.
The method of claim 8,
With respect to the center C of the lower frame, an angle formed by two extension lines extending to each end of the two first frames is formed to be 180 degrees or mor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프레임에 형성되며, 상기 다수의 통공을 통하여 흡입된 공기가 통과하는 제 1 유동 가이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1 유동 가이드부는 슬릿으로 구성되는 공기 청정기.
The method of claim 1,
It is formed in the support frame, further comprising a first flow guide through which the air sucked through the plurality of through holes pass,
The air purifier of the first flow guide portion is configured with a slit.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프레임에 결합되며, 상기 다수의 통공을 통하여 흡입된 공기가 통과하는 제 2 유동 가이드부가 형성되는 프레임 커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2 유동 가이드부는 슬릿으로 구성되는 공기 청정기.
The method of claim 10,
It is coupled to the support frame, further comprising a frame cover formed with a second flow guide portion through which air sucked through the plurality of through holes passes,
The air purifier of the second flow guide portion is composed of a sli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프레임에 결합되는 프레임 커버; 및
상기 지지프레임과 상기 프레임 커버의 사이에는, 전선이 위치하는 전선 공간부가 형성되는 공기 청정기.
The method of claim 1,
A frame cover coupled to the support frame; And
An air cleaner in which an electric wire space portion is formed between the support frame and the frame cove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프레임은 링 형상을 가지며,
상기 링 형상의 내부 공간은 상기 필터부재를 통과한 공기가 통과하는 프레임 개구부를 형성하는 공기 청정기.
The method of claim 1,
The upper frame has a ring shape,
The ring-shaped inner space forms an opening in a frame through which air passing through the filter member passes.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프레임에는 상기 팬 하우징이 놓여지는 하우징 안착부가 포함되며,
상기 하우징 안착부의 내측 공간은 상기 프레임 개구부를 형성하는 공기 청정기.
The method of claim 13,
The upper frame includes a housing mounting portion on which the fan housing is placed,
An air purifier in which an inner space of the housing seating portion forms the frame opening.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팬 하우징의 하부에 형성되며, 그릴이 제공되는 팬 유입부가 더 포함되고,
상기 그릴은 상기 프레임 개구부의 상측에 위치되는 공기 청정기.
The method of claim 13,
A fan inlet portion formed under the fan housing and provided with a grill is further included,
The grill is an air cleaner positioned above the frame opening.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프레임은 링 형상을 가지며,
상기 링 형상의 내부 공간에는, 상기 필터부재의 저면을 지지하는 지지장치가 구비되는 공기 청정기.
The method of claim 1,
The lower frame has a ring shape,
An air cleaner provided with a support device for supporting a bottom surface of the filter member in the ring-shaped inner spac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부재에는,
원통 형상의 필터면을 가지며, 필터 손잡이가 구비되는 필터본체; 및
상기 필터본체의 상단부에 개구되며, 상기 필터본체를 지난 공기가 유동하는 필터공이 포함되는 공기 청정기.
The method of claim 1,
In the filter member,
A filter body having a cylindrical filter surface and provided with a filter handle; And
An air purifier that is opened at an upper end of the filter body and includes a filter hole through which air passing through the filter body flows.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본체는 제 1 필터부 및 상기 제 1 필터부의 내부에 배치되는 제 2 필터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 2 필터부는 중공의 원통 형상을 가지고, 상기 필터공은 상기 제 2 필터부의 내주면에 형성되는 공기 청정기.
The method of claim 17,
The filter body includes a first filter unit and a second filter unit disposed inside the first filter unit,
The second filter unit has a hollow cylindrical shape, and the filter hole is formed on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cond filter unit.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 손잡이는 상기 제 1 필터부의 상단 외주면으로부터 돌출되는 공기 청정기.
The method of claim 18,
The filter handle is an air cleaner protruding from an upper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first filter part.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 본체의 상부 및 하부에 결합되는 고정 프레임을 더 포함하며,
상기 고정 프레임은,
상기 제 1 필터부의 상단부를 커버하는 제 1 고정프레임; 및
상기 제 1 필터부의 하단부를 커버하는 제 2 고정프레임을 포함하는 공기 청정기.
The method of claim 18,
Further comprising a fixed frame coupled to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filter body,
The fixed frame,
A first fixing frame covering an upper end of the first filter part; And
An air purifier comprising a second fixing frame covering a lower end of the first filter part.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프레임은,
상기 제 2 필터부의 상단부를 커버하며, 상기 제 1 고정프레임의 상측에 걸림이 이루어지는 걸림턱이 구비되는 제 3 고정프레임; 및
상기 제 2 필터부의 하단부를 커버하는 제 4 고정프레임이 포함되는 공기 청정기.
The method of claim 20,
The fixed frame,
A third fixing frame that covers an upper end of the second filter part and has a locking protrusion that is hooked on an upper side of the first fixing frame; And
An air purifier comprising a fourth fixing frame covering a lower end of the second filter part.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필터부는 헤파 필터로 구성되고,
상기 제 2 필터부는 탈취필터로 구성되는 공기 청정기.
The method of claim 18,
The first filter unit is composed of a HEPA filter,
The second filter unit is an air purifier consisting of a deodorizing filter.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190045957A 2019-04-19 2019-04-19 Air cleaner KR10220454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5957A KR102204546B1 (en) 2019-04-19 2019-04-19 Air clean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5957A KR102204546B1 (en) 2019-04-19 2019-04-19 Air cleaner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21121A Division KR101972416B1 (en) 2017-09-20 2017-09-20 Air cleaning apparatu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44044A KR20190044044A (en) 2019-04-29
KR102204546B1 true KR102204546B1 (en) 2021-01-19

Family

ID=662824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45957A KR102204546B1 (en) 2019-04-19 2019-04-19 Air clean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04546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522511A (en) * 2022-04-04 2022-05-24 朱忠荣 Building formaldehyde filtering and removing device capable of achieving all-directional effect
WO2023234655A1 (en) * 2022-05-30 2023-12-07 코웨이 주식회사 Filter assembly and air purifier including same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39487B1 (en) * 1994-02-25 1998-06-01 박영길 Air-cleaner's filter frame
KR100651476B1 (en) * 2004-09-08 2006-11-29 삼성전자주식회사 Presentation wireless terminal
HK1147020A2 (en) * 2011-01-14 2011-07-22 Akos R & D Ltd Air treatment apparatus and method
KR20160015084A (en) * 2014-07-30 2016-02-12 서울바이오시스 주식회사 Air purifi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44044A (en) 2019-04-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211346B1 (en) Air cleaner
KR101978504B1 (en) Air cleaning apparatus
US11890569B2 (en) Air cleaner
JP6700409B2 (en) Air cleaner
KR102021391B1 (en) Air cleaning apparatus
KR102021389B1 (en) Air cleaning apparatus
KR101913470B1 (en) Air cleaning apparatus
KR102204546B1 (en) Air cleaner
KR20190124680A (en) Air cleaning apparatus
KR101861012B1 (en) Air cleaning apparatus
KR102247458B1 (en) Air cleaning apparatus
KR100577278B1 (en) Vacuum cleaner
KR102114666B1 (en) Air cleaning apparatus
KR102025931B1 (en) Air cleaning apparatus
KR101972416B1 (en) Air cleaning apparatus
KR102032152B1 (en) Air cleaning apparatus
KR102152658B1 (en) Air cleaning apparatus
KR101902069B1 (en) Air cleaning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