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04416B1 - 목소리 기반 인증 서비스 방법 - Google Patents

목소리 기반 인증 서비스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04416B1
KR102204416B1 KR1020150001001A KR20150001001A KR102204416B1 KR 102204416 B1 KR102204416 B1 KR 102204416B1 KR 1020150001001 A KR1020150001001 A KR 1020150001001A KR 20150001001 A KR20150001001 A KR 20150001001A KR 102204416 B1 KR102204416 B1 KR 1022044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voice
authentication
specific
ser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010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84599A (ko
Inventor
송영호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010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04416B1/ko
Publication of KR201600845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845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044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044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32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 H04L9/3226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using a predetermined code, e.g. password, passphrase or PIN
    • H04L9/3231Biological data, e.g. fingerprint, voice or retin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목소리 기반의 인증 서비스를 제공하는데 있어서 인증용 목소리의 사전 등록 및 인증 결과에 대한 신뢰도를 효율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는 목소리 기반 인증 서비스 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Description

목소리 기반 인증 서비스 방법{AUTHENTICATION SERVICE METHOD BASED ON VOICE}
본 발명은, 목소리 기반 인증 서비스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목소리 기반의 인증 서비스를 제공하는데 있어서 인증용 목소리의 사전 등록 및 인증 결과에 대한 신뢰도를 효율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는 목소리 기반 인증 서비스 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재, 이동통신사와 같이 가입 고객 중심으로 서비스를 제공하는 업체에서는, 업체 자신이 제공하고 있는 서비스에 대한 안내서비스를 제공하는 안내서비스시스템(예 : ARS 또는 IVR)을 구비하여, 가입 고객에게 편의성을 제공하면서 동시에 업체 자신의 서비스 효율을 증대시키고 있다.
이러한 안내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안내서비스 제공에 앞서 가입 고객에 대한 본인 인증이 필수적이며, 최근에는 본인 인증을 보다 강화하기 위한 방식의 하나로 목소리 기반 인증 방식이 등장하였다.
목소리 기반 인증 방식의 경우, 가입 고객의 인증용 목소리를 사전에 등록해 두고, 본인 인증 필요 시 인증 대상인 가입 고객의 목소리 및 해당 가입 고객의 사전 등록된 인증용 목소리 간의 일치 여부에 따른 인증 결과(정상 인증, 또는 비정상 인증)을 도출하는 방식이다.
헌데, 목소리 기반 인증 방식은, 사전 등록하는 인증용 목소리가 정당한 가입 고객 본인이 아닌 다른 사람의 목소리로 등록될 경우, 정당한 가입 고객 본인이 원천적으로 정상 인증 받을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정당한 가입 고객 본인이라 할지라도 상황에 따라 목소리가 달라질 수 있고, 다른 사람이 가입 고객의 목소리를 흉낼 수 있다.
따라서, 목소리 기반 인증 방식은, 정당한 가입 고객 본인일지라도 경우에 따라서는 정상 인증을 받을 수 없거나, 정당한 가입 고객이 아닌 다른 사람임에도 불구하고 경우에 따라서는 정상 인증을 받는 등, 인증결과에 신뢰도가 떨어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목소리 기반 인증 방식(목소리 기반의 인증 서비스)에 있어서, 가입 고객 본인이 아닌 다른 사람의 목소리를 인증용 목소리로 사전 등록하는 일이 없도록 인증용 목소리의 사전 등록에 대한 신뢰도를 효율적으로 향상시키고, 또한 목소리 기반의 인증 결과에 대한 신뢰도 역시 효율적으로 향상시키고자 한다.
본 발명은 상기한 사정을 감안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 도달하고자 하는 목적은, 목소리 기반의 인증 서비스를 제공하는데 있어서 인증용 목소리의 사전 등록 및 인증 결과에 대한 신뢰도를 효율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는 목소리 기반 인증 서비스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관점에 따른 목소리 기반 인증 서비스 방법은, 인증용 목소리 등록을 위해 지정된 특정 번호를 이용하여 특정 단말이 접속되는 단말접속단계; 상기 특정 단말에 대하여, 본인인증 완료 여부를 확인하는 인증완료확인단계; 및 상기 본인인증 완료가 확인되는 경우에만, 상기 특정 단말로부터 전송되는 목소리에 따른 목소리정보를 상기 특정 단말과 관련된 인증용 목소리정보로 등록 처리하는 목소리정보등록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특정 번호는, 온라인 또는 오프라인 센터에서 인증용 목소리 등록을 위한 본인인증이 완료된 단말로 전송되는 인증메시지에서 확인되는 번호이며, 상기 인증완료확인단계는, 상기 특정 단말로 상기 인증메시지가 전송된 이력이 있는지 여부에 따라, 상기 본인인증 완료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서비스번호를 이용하여 접속된 단말을 확인하는 단계; 상기 서비스번호 및 상기 단말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상이한 매칭기준값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단말로부터 전송되는 목소리에 따른 목소리정보 및 상기 단말과 관련하여 기 등록된 인증용 목소리정보 간의 매칭률이 상기 결정한 매칭기준값 이상인지 여부에 따라서, 상기 단말에 대한 목소리 기반 인증을 처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서비스번호는, 상기 단말이 가입한 통신사의 전용 서비스번호 또는 상기 통신사와 무관한 일반 서비스번호이며, 상기 매칭기준값은, 상기 단말이 상기 전용 서비스번호를 이용하여 접속된 경우, 상기 단말이 상기 일반 서비스번호를 이용하여 접속된 경우 보다 작은 값으로 결정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매칭기준값은, 상기 단말이 목소리의 일관성을 기초로 기 지정된 특정 연령대의 사용자 단말인 경우, 상기 특정 연령대의 사용자 단말이 아닌 경우 보다 작은 값으로 결정되고, 또는 상기 단말이 특정 기간 동안 특정 횟수 이상 통화발신을 시도한 다발신 단말인 경우, 상기 다발신 단말이 아닌 경우 보다 큰 값으로 결정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른 목소리 기반 인증 서비스 방법에 의하면, 목소리 기반의 인증 서비스를 제공하는데 있어서 인증용 목소리의 사전 등록 및 인증 결과에 대한 신뢰도를 효율적으로 향상시키는 효과를 도출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목소리 기반 인증 서비스 시스템을 보여주는 예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목소리 기반 인증 서비스를 위한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목소리 기반 인증 서비스 방법의 흐름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목소리 기반 인증 서비스 시스템을 보여주고 있다.
본 발명의 목소리 기반 인증 서비스 시스템은, 이동통신사와 같이 가입 고객 중심으로 서비스를 제공하는 업체에서, 업체 자신이 제공하고 있는 서비스에 대한 안내서비스를 제공하는 안내장치(예 : ARS 또는 IVR)을 구비함으로써, 가입 고객에게 편의성을 제공하면서 동시에 업체 자신의 서비스 효율을 증대시키고자 하는 기술분야와 관련된다.
특히, 이하에서는, 가입 고객 중심으로 서비스를 제공하는 업체로서 이동통신사(예 : 통신사A)를 언급하여, 이동통신사에서 채용한 목소리 기반 인증 서비스를 중심으로 설명하겠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목소리 기반 인증 서비스 시스템은, 인증용 목소리 등록을 희망하는 단말(10), 목소리인증안내장치(40), 목소리인증장치(50)를 포함한다.
이때, 단말(10)은, 본 발명의 목소리 기반 인증 서비스를 채용한 업체 즉 이동통신사(예 : 통신사A)의 가입 고객이 사용하는 단말로서, 이동통신단말(예 : 휴대폰, 스마트폰 등)인 것이 바람직하다.
목소리인증안내장치(40)는, 본 발명의 목소리 기반 인증 서비스를 채용한 업체 즉 이동통신사(예 : 통신사A)가 제공하고 있는 이동통신서비스에 대한 안내서비스를 제공하는 안내장치(예 : ARS 또는 IVR)로서, 음성 안내서비스 또는 시각 안내서비스 또는 음성 및 시각 안내서비스 등을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목소리인증안내장치(40)는, 인증용 목소리 등록을 위해 지정된 특정 번호를 이용하여 특정 단말이 접속되면, 접속된 특정 단말에 대하여 본인인증 완료 여부를 확인한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특정 단말로서 단말(10)을 언급하여 설명하겠다.
단말(10)에서 인증용 목소리 등록을 위해 지정된 특정 번호(예 : 123456)를 다이얼링(Dialing)하여 발신을 시도하면, 단말(10)은 발신 시도에 따른 호 처리절차에 따라서 목소리인증안내장치(40)에 접속될 것이다.
목소리인증안내장치(40)는, 전술과 같이 특정 번호(예 : 123456)를 이용하여 특정 단말 즉 단말(10)이 접속되면, 단말(10)에 대하여 본인인증 완료 여부를 확인한다.
목소리인증안내장치(40)에서 단말(10)에 대한 본인인증 완료 여부를 확인하는 과정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단말(10)에서 목소리인증안내장치(40) 접속 시 이용한 특정 번호(예 : 123456)는, 온라인 또는 오프라인 센터(20)에서 인증용 목소리 등록을 위한 본인인증이 완료된 단말로 전송되는 인증메시지에서 확인되는 번호인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특정 번호(예 : 123456)는, 인증메시지에서 뿐 아니라, 온라인 또는 오프라인 센터(20)에서 인증용 목소리 등록을 위한 본인인증이 완료되면, 온라인 화면에서 확인되거나 또는 오프라인 센터 내 직원으로부터 확인될 수도 있다.
한편, 특정 번호(예 : 123456)는, 본 발명의 목소리 기반 인증 서비스를 채용한 업체 즉 이동통신사(예 : 통신사A)의 전용 번호일 수도 있으며, 이 경우라면 해당 이동통신사(예 : 통신사A)의 단말이 아닌 다른 단말(미도시)에서는 특정 번호(예 : 123456)를 다이얼링(Dialing)하여 발신을 시도하더라도 목소리인증안내장치(40)에 접속될 수 없을 것이다.
이에, 목소리인증안내장치(40)는, 전술과 같이 특정 번호(예 : 123456)를 이용하여 특정 단말 즉 단말(10)이 접속되면, 단말(10)로 인증메시지가 전송된 이력이 있는지 여부에 따라, 단말(10)에 대한 본인인증 완료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인증용 목소리 등록을 희망하는 단말(10)의 사용자(가입 고객)는, 온라인 또는 오프라인 센터(20)에 방문하여 1차적으로 본인 인증 과정을 거치게 된다.
예를 들면, 온라인 또는 오프라인 센터(20)는, 단말(10)의 사용자(가입 고객)로부터 제공받은 정보(예 : 이름, 이동통신번호, 생년월일, 아이디/패스워드 등)를 고객정보서버(30)로 제공하여 본인 인증을 요청하고, 본인 인증 완료 시 인증메시지를 단말(10)에 전송하도록 고객정보서버(30)에 요청할 수 있다.
고객정보서버(30)는, 본 발명의 목소리 기반 인증 서비스를 채용한 업체 즉 이동통신사(예 : 통신사A)에 가입된 각 고객의 고객정보를 관리하는 서버로서, 이동통신사의 U-Key장치일 수 있다.
이러한 고객정보서버(30)는, 본인 인증 요청되는 단말(10)의 정보(예 : 이름, 이동통신번호, 생년월일, 아이디/패스워드 등)를 해당 단말(10)의 고객정보와 비교하여 정상적으로 본인 인증이 완료되면, 인증용 목소리 등록을 위해 지정된 특정 번호(예 : 123456)가 포함된 인증메시지를 단말(10)에 전송해 준다.
따라서, 단말(10)은, 고객정보서버(30)로부터 전송된 인증메시지에서 특정 번호(예 : 123456)를 확인 및 인지함으로써, 전술과 같이 특정 번호(예 : 123456)를 다이얼링(Dialing)하여 발신을 시도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고객정보서버(30)는, 전술과 같이 특정 번호(예 : 123456)가 포함된 인증메시지를 단말(10)에 전송하게 되면, 단말(10)로 인증메시지를 전송한 이력을 저장하여 관리한다.
이에, 목소리인증안내장치(40)는, 전술과 같이 특정 번호(예 : 123456)를 이용하여 단말(10)이 접속되면, 고객정보서버(30)와의 연동을 통해, 단말(10)로 인증메시지가 전송된 이력이 있는지 여부에 확인함으로써, 단말(10)로 인증메시지가 전송된 이력이 있으면 단말(10)에 대한 본인인증이 완료된 것으로 확인하고, 단말(10)로 인증메시지가 전송된 이력이 없으면 단말(10)에 대한 본인인증이 완료되지 않은 것으로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단말(10)로 인증메시지가 전송된 이력을 기초로 단말(10)에 대한 본인인증 완료 여부를 확인하는 이유는, 특정 번호(예 : 123456)를 다이얼링 하여 목소리인증안내장치(40)에 접속하더라도 인증메시지 전송 이력이 없는 상태라면 인증용 목소리정보를 등록할 수 없도록 함으로써, 단말(10)을 수취한 다른 사람이 특정 번호(예 : 123456)를 혹시 알아내 목소리인증안내장치(40)에 접속하는 것이 가능할 지라도 단말(10)의 정당한 가입 고객 본인이 아닌 다른 사람의 목소리가 등록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한편,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전술의 단말(10)로 전송되는 인증메시지에는, 특정 번호(예 : 123456) 뿐 아니라 별도의 인증번호가 포함되어 함께 전송될 수 있다.
이러한 실시 예에서, 목소리인증안내장치(40)는, 전술과 같이 특정 번호(예 : 123456)를 이용하여 단말(10)이 접속되면, 고객정보서버(30)와의 연동을 통해, 단말(10)로 인증메시지가 전송된 이력이 있는지 여부에 확인함과 함께 단말(10)로부터 입력된 인증번호가 단말(10)로 전송한 인증번호와 일치하는지 여부를 확인함으로써, 단말(10)로 인증메시지가 전송된 이력이 있고 단말(10)로 전송한 인증번호와 일치하면 단말(10)에 대한 본인인증이 완료된 것으로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단말(10)에서 목소리인증안내장치(40) 접속 시 이용한 특정 번호(예 : 123456)는, 온라인 또는 오프라인 센터(20)에서 인증용 목소리 등록을 위한 본인인증이 완료된 단말로 전송되는 인증메시지에서 확인되는 번호로 정의할 수 있다.
이후, 목소리인증안내장치(40)는, 전술에서 본인인증 완료가 확인되는 경우에만, 단말(10)로부터 전송되는 목소리에 따른 목소리정보를 단말(10)과 관련된 인증용 목소리정보로 등록 처리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목소리인증안내장치(40)는, 단말(10)로부터 등록을 위해 전송되는 목소리를 목소리인증장치(50)로 전송하여 인증용 목소리 등록을 요청할 수 있다.
이에, 목소리인증장치(50)는, 목소리인증안내장치(40)를 통해 전송된 단말(10)의 목소리를 목소리 특징 분석을 통한 목소리정보(Voiceprint)로 변환하여, 목소리정보를 단말(10)과 관련된 인증용 목소리정보로 등록(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목소리인증장치(50)는, 단말(10)과 관련된 인증용 목소리정보 등록 완료를 목소리인증안내장치(40) 및 고객정보서버(30) 중 적어도 하나로 통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인증용 목소리 등록을 희망하는 단말(10)에 대하여, 단말(10)이 특정 번호(예 : 123456)를 이용해서 목소리인증안내장치(40)에 접속되는 조건을 만족하고, 더 나아가 단말(10)에서 특정 번호(예 : 123456)를 확인(인지)하게 된 경로가 고객정보서버(30)에서의 정당한 본인 인증 완료를 통한 경로인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에만, 단말(10)로부터 전송되는 목소리(정보)를 단말(10)과 관련된 인증용 목소리(정보)로서 사전 등록하게 된다.
즉, 본 발명에 따르면, 단말(10)과 관련된 인증용 목소리(정보)를 사전 등록하는데 있어서, 단말(10)에 대한 본인인증 완료 여부를 확인하는 과정은 본 발명의 목소리 기반 인증 서비스를 채용한 업체 즉 이동통신사(예 : 통신사A) 만의 고유 프로세스(고객정보서버(30))를 활용함으로써, 가입 고객((예 : 단말(10)의 사용자) 본인이 아닌 다른 사람의 목소리를 인증용 목소리로 사전 등록하는 일이 없도록, 인증용 목소리의 사전 등록에 대한 신뢰도를 효율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르면, 단말(10)과 관련된 인증용 목소리(정보)를 사전 등록하는데 있어서, 인증용 목소리(정보)를 등록하는 과정은 일반적인 공통의 프로세스(목소리인증장치(50))를 활용함으로써, 별도 프로세스 구축 비용이 절감되는 효과까지 기대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인증용 목소리 등록을 희망하는 단말(10)과 관련하여, 단말(10)과 관련된 인증용 목소리(정보)를 사전 등록하는 프로세스에 대해 설명하였다.
이하에서는, 목소리 기반의 인증을 처리하는 프로세스에 대해 설명하도록 하겠다.
목소리인증안내장치(40)는, 서비스번호를 이용하여 접속된 단말을 확인하고, 상기 서비스번호 및 상기 단말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상이한 매칭기준값을 결정한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서비스번호를 이용하여 접속된 단말로서 단말(10)을 언급하여 설명하겠다.
목소리인증안내장치(40)는, 서비스번호를 이용하여 접속된 단말(10)에 대하여, 단말(10)로부터 전송되는 목소리에 따른 목소리정보 및 단말(10)과 관련하여 기 등록된 인증용 목소리정보 간의 매칭률이 전술의 결정한 매칭기준값 이상인지 여부에 따라서, 단말(10)에 대한 목소리 기반 인증을 처리한다.
예를 들면, 목소리인증안내장치(40)는, 전술의 결정한 매칭기준값과 단말(10)로부터 인증을 위해 전송되는 목소리를 목소리인증장치(50)로 전송하여 목소리 기반 인증을 요청할 수 있다.
이에, 목소리인증장치(50)는, 목소리인증안내장치(40)를 통해 전송된 단말(10)의 목소리를 목소리 특징 분석을 통한 목소리정보(Voiceprint)로 변환하고, 금번 목소리정보 및 단말(10)과 관련하여 기 등록된 인증용 목소리정보 간을 비교하여, 상호 간의 매칭률을 확인한다. 이때, 매칭률은, 금번 목소리정보 및 인증용 목소리정보가 일치할수록 높게 확인될 것이다.
이에, 목소리인증장치(50)는, 전술에서 확인한 상호 간의 매칭률이 전술의 결정한 매칭기준값 이상인지 여부에 따라서, 매칭률이 매칭기준값 이상이면 단말(10)에 대하여 정상 인증됨을 나타내는 인증 결과를 목소리인증안내장치(40)로 제공하고, 매칭률이 매칭기준값 이상이 아니면 단말(10)에 대하여 비정상 인증됨을 나타내는 인증 결과를 목소리인증안내장치(40)로 제공할 것이다.
전술에서 알 수 있듯이, 목소리 기반의 인증 결과에 영향을 미치는 가장 중요한 요인은, 매칭기준값(예 : 0~100)이다.
이러한 매칭기준값이 큰 값일수록, 단말(10)의 사용자(가입 고객) 목소리를 흉내 내는 다른 사람을 정상 인증해 줄 확률(이하, 사칭 통과율)을 낮출 수 있지만, 반면 단말(10)의 사용자(가입 고객) 본인임에도 불구하고 경우에 따라서는 정상 인증을 받을 수 없는 확률(이하, 본인 거부율)이 높아지게 된다.
물론, 반대로 매칭기준값이 작은 값일수록, 단말(10)의 사용자(가입 고객) 본인임에도 불구하고 정상 인증을 받을 수 없는 본인 거부율을 낮출 수 있지만, 반면 단말(10)의 사용자(가입 고객) 목소리를 흉내 내는 다른 사람을 정상 인증해 줄 사칭 통과율이 높아지게 된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전술에서 간략히 언급한 바와 같이 매칭기준값을 상이하게 결정함으로써, 사칭 통과율 및 본인 거부율을 조화롭게 만족시킬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단말(10)에서 서비스번호를 다이얼링(Dialing)하여 발신을 시도하면, 단말(10)은 발신 시도에 따른 호 처리절차에 따라서 목소리인증안내장치(40)에 접속될 것이다.
이때, 서비스번호는, 목소리인증안내장치(40)에서 제공하는 안내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 지정된 번호로서, 단말(10)이 가입한 통신사 즉 이동통신사(예 : 통신사A)의 전용 서비스번호(예 : 114) 또는 이동통신사(예 : 통신사A)와 무관한 일반 서비스번호(예 : 1566-XXXX)일 수 있다.
즉, 단말(10)에서는, 전용 서비스번호(예 : 114)를 다이얼링 및 발신을 시도하거나 또는 일반 서비스번호(예 : 1566-XXXX)를 다이얼링 및 발신을 시도하여, 목소리인증안내장치(40)에 접속될 수 있다.
이후, 단말(10)은, 목소리인증안내장치(40)에서 제공하는 안내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 본인 인증을 위한 인증 방식으로서 목소리 기반 인증 방식을 선택함으로써 목소리인증안내장치(40)에 목소리 기반 인증을 요청할 수 있다.
이때, 목소리인증안내장치(40)는, 서비스번호(예 : 114 또는 1566-XXXX)를 이용하여 접속된 단말(10)로부터 목소리 기반 인증 요청을 수신하는 경우, 고객정보서버(30)에서 단말(10)의 고객정보를 조회하고, 이에 기초하여 단말(10)이 인증용 목소리정보 등록 완료된 목소리 기반 인증 대상인지 확인한다.
이에, 목소리인증안내장치(40)는, 단말(10)이 목소리 기반 인증 대상인 경우, 서비스번호 및 단말(10)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상이한 매칭기준값을 결정한다.
물론, 단말(10)이 목소리 기반 인증 방식을 선택하는 것과 달리, 단말(10)이 서비스번호(예 : 114 또는 1566-XXXX)를 이용하여 목소리인증안내장치(40)에 접속되면, 목소리인증안내장치(40)는, 단말(10)의 고객정보에 기초하여 단말(10)이 목소리 기반 인증 대상인 경우 자동으로 목소리 기반 인증 서비스를 제공하고자, 서비스번호 및 단말(10)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상이한 매칭기준값을 결정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 상이한 매칭기준값을 결정하는 과정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제1실시예를 설명하면, 매칭기준값은, 단말(10)이 전용 서비스번호(114)를 이용하여 접속된 경우, 단말(10)이 일반 서비스번호(1566-XXXX)를 이용하여 접속된 경우 보다 작은 값으로 결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목소리인증안내장치(40)는, 단말(10)이 전용 서비스번호(114)를 이용하여 접속된 경우, 단말(10)에 대한 금번 매칭기준값으로 80%를 결정할 수 있다.
한편, 목소리인증안내장치(40)는, 단말(10)이 일반 서비스번호(1566-XXXX)를 이용하여 접속된 경우, 단말(10)에 대한 금번 매칭기준값으로 90%를 결정할 수 있다.
즉, 목소리인증안내장치(40)는, 단말(10)이 전용 서비스번호(114)를 이용하여 접속된 경우, 단말(10)이 일반 서비스번호(1566-XXXX)를 이용하여 접속된 경우 결정한 매칭기준값 90% 보다 작은 매칭기준값 80%을 결정하는 것이다.
이는, 단말(10)이 전용 서비스번호(114)를 이용하여 목소리인증안내장치(40)에 접속된 경우라면, 기본적으로 단말(10)이 본 발명의 목소리 기반 인증 서비스를 채용한 업체 즉 이동통신사(예 : 통신사A)에 가입된 고객의 단말임이 인증된 것으로 보고, 사칭 통과율 보다는 본인 거부율을 낮추는 것에 중점을 두어 매칭기준값을 작게 결정하는 것이다(예 : 80%).
이 경우라면, 이후 목소리인증장치(50)에서는, 목소리인증안내장치(40)를 통해 전송된 단말(10)의 목소리에 따른 금번 목소리정보 및 단말(10)과 관련하여 기 등록된 인증용 목소리정보 간의 매칭률이, 매칭기준값 80% 이상이면 단말(10)에 대하여 정상 인증됨을 나타내는 인증 결과를 목소리인증안내장치(40)로 제공할 것이다.
한편, 단말(10)이 일반 서비스번호(1566-XXXX)를 이용하여 목소리인증안내장치(40)에 접속된 경우라면, 기본적으로 단말(10)이 본 발명의 목소리 기반 인증 서비스를 채용한 업체 즉 이동통신사(예 : 통신사A)에 가입된 고객의 단말임이 인증되는 전용 서비스번호(114)와는 달리, 본인 거부율 보다는 사칭 통과율을 낮추는 것에 중점을 두어 매칭기준값을 크게 결정하는 것이다(예 : 90%).
이 경우라면, 이후 목소리인증장치(50)에서는, 목소리인증안내장치(40)를 통해 전송된 단말(10)의 목소리에 따른 금번 목소리정보 및 단말(10)과 관련하여 기 등록된 인증용 목소리정보 간의 매칭률이, 매칭기준값 90% 이상이면 단말(10)에 대하여 정상 인증됨을 나타내는 인증 결과를 목소리인증안내장치(40)로 제공할 것이다.
한편, 다른 제2실시예를 설명하면, 매칭기준값은, 단말(10)이 목소리의 일관성을 기초로 기 지정된 특정 연령대의 사용자 단말인 경우, 상기 특정 연령대의 사용자 단말이 아닌 경우 보다 작은 값으로 결정되거나, 또는 단말(10)이 특정 기간 동안 특정 횟수 이상 통화발신을 시도한 다발신 단말인 경우, 상기 다발신 단말이 아닌 경우 보다 큰 값으로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목소리인증안내장치(40)는, 고객정보서버(30)로부터 조회한 고객정보에 기초하여 단말(10)의 사용자(가입 고객)에 대한 연령대 또는 특정 기간 동안의 통화발신 횟수를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목소리인증안내장치(40)는, 목소리의 일관성을 기초로 목소리 일관성이 떨어지는 것으로 통계 확인된 특정 연령대(예 : 60대 이상)를 지정하거나, 비정상적으로 통화발신을 빈번하게 시도하는 다발신 단말을 구분하기 위한 특정 기간(예 : 1주일 이내) 및 특정 횟수(예 : 100회)를 지정할 수 있다.
이에, 목소리인증안내장치(40)는, 단말(10)이 특정 연령대(예 : 60대 이상)의 사용자 단말인 경우 단말(10)에 대한 금번 매칭기준값으로 80%를 결정하고, 단말(10)이 특정 연령대(예 : 60대 이상)의 사용자 단말이 아닌 경우 단말(10)에 대한 금번 매칭기준값으로 더 큰 90%를 결정할 수 있다.
이는, 단말(10)의 사용자(가입 고객)이 특정 연령대(예 : 60대 이상)라면, 정당한 가입 고객 본인이라 할지라도 상황에 따라 목소리가 달라질 수 있는 것으로 보고, 사칭 통과율 보다는 본인 거부율을 낮추는 것에 중점을 두어 매칭기준값을 작게 결정하는 것이다(예 : 80%).
또는, 목소리인증안내장치(40)는, 단말(10)이 특정 기간(예 : 1주일 이내) 동안 특정 횟수(예 : 100회) 이상 통화발신을 시도한 다발신 단말인 경우 단말(10)에 대한 금번 매칭기준값으로 90%를 결정하고, 단말(10)이 다발신 단말이 아닌 경우 단말(10)에 대한 금번 매칭기준값으로 더 작은 80%를 결정할 수 있다.
이는, 단말(10)의 사용자(가입 고객)이 다발신 단말이라면, 비정상적으로 빈번한 통화발신을 의심스럽게 보고, 본인 거부율 보다는 사칭 통과율을 낮추는 것에 중점을 두어 매칭기준값을 크게 결정하는 것이다(예 : 90%).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목소리 기반 인증을 요청하는 단말(10)에 대하여, 단말(10)이 목소리인증안내장치(40)에 접속하는 경로(예 : 114 또는 1566-XXXX), 특정 연령대(예 : 60대 이상), 다발신 단말 여부 등에 따라 최적의 매칭기준값을 상이하게 결정하여 목소리 기반 인증에 반영되도록 함으로써, 단말(10)의 정당한 사용자(가입 고객)에게는 본인 거부율을 낮출 수 있고 단말(10)의 사용자(가입 고객) 목소리를 흉내 내는 다른 사람에게는 사칭 통과율을 낮출 수 있는, 목소리 기반의 인증 결과를 이끌어 내어 인증 결과의 신뢰도를 효율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결국,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목소리 기반의 인증 서비스를 제공하는데 있어서 인증용 목소리의 사전 등록 및 인증 결과에 대한 신뢰도를 효율적으로 향상시키는 효과를 도출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목소리 기반 인증 서비스를 위한 장치의 구성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겠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목소리 기반 인증 서비스를 위한 장치(100)는, 단말접속부(110), 인증완료확인부(120), 목소리등록부(130)을 포함한다.
더 나아가, 본 발명의 목소리 기반 인증 서비스를 위한 장치(100)는, 인증요청수신부(140), 매칭기준값결정부(150), 인증처리부(16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단말접속부(110)는, 인증용 목소리 등록을 위해 지정된 특정 번호(예 : 123456)를 이용하여 발신을 시도하는 특정 단말 즉 단말(10)이 접속된다.
여기서, 특정 번호(예 : 123456)는, 온라인 또는 오프라인 센터에서 인증용 목소리 등록을 위한 본인인증이 완료된 단말로 전송되는 인증메시지에서 확인되는 번호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특정 번호(예 : 123456)는, 본 발명의 목소리 기반 인증 서비스를 채용한 업체 즉 이동통신사(예 : 통신사A)의 전용 번호일 수도 있으며, 이 경우라면 해당 이동통신사(예 : 통신사A)의 단말이 아닌 다른 단말(미도시)에서는 특정 번호(예 : 123456)를 다이얼링(Dialing)하여 발신을 시도하더라도 목소리인증안내장치(40)에 접속될 수 없을 것이다.
인증완료확인부(120)는, 단말접속부(110)에 단말(10)이 접속되면, 단말(10)에 대하여 본인인증 완료 여부를 확인한다.
구체적으로는, 인증완료확인부(120)는, 단말(10)이 접속되면, 고객정보서버(30)와의 연동을 통해, 단말(10)로 인증메시지가 전송된 이력이 있는지 여부에 확인함으로써, 단말(10)로 인증메시지가 전송된 이력이 있으면 단말(10)에 대한 본인인증이 완료된 것으로 확인하고, 단말(10)로 인증메시지가 전송된 이력이 없으면 단말(10)에 대한 본인인증이 완료되지 않은 것으로 확인할 수 있다.
목소리등록부(130)는, 인증완료확인부(120에서 본인인증 완료가 확인되는 경우에만, 단말(10)로부터 전송되는 목소리에 따른 목소리정보를 단말(10)과 관련된 인증용 목소리정보로 등록 처리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목소리등록부(130)는, 단말(10)로부터 등록을 위해 전송되는 목소리를 목소리인증장치(50)로 전송하여 인증용 목소리 등록을 요청할 수 있다.
이에, 목소리인증장치(50)는, 목소리인증안내장치(40)를 통해 전송된 단말(10)의 목소리를 목소리 특징 분석을 통한 목소리정보(Voiceprint)로 변환하여, 목소리정보를 단말(10)과 관련된 인증용 목소리정보로 등록(저장)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장치(100)는, 인증용 목소리 등록을 희망하는 단말(10)에 대하여, 단말(10)이 특정 번호(예 : 123456)를 이용해서 목소리인증안내장치(40)에 접속되는 조건을 만족하고, 더 나아가 단말(10)에서 특정 번호(예 : 123456)를 확인(인지)하게 된 경로가 고객정보서버(30)에서의 정당한 본인 인증 완료를 통한 경로인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에만, 단말(10)로부터 전송되는 목소리(정보)를 단말(10)과 관련된 인증용 목소리(정보)로서 사전 등록함으로써, 인증용 목소리의 사전 등록에 대한 신뢰도를 효율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는, 인증용 목소리 등록을 희망하는 단말(10)과 관련하여, 단말(10)과 관련된 인증용 목소리(정보)를 사전 등록하는 프로세스에 대해 설명하였다.
이하에서는, 목소리 기반의 인증을 처리하는 프로세스에 대해 설명하도록 하겠다.
단말접속부(110)에는, 서비스번호(예 : 114 또는 1566-XXXX)를 이용하여 발신을 시도하는 특정 단말 즉 단말(10)이 접속될 수 있다.
인증요청수신부(140)는, 서비스번호(예 : 114 또는 1566-XXXX)를 이용하여 접속된 단말(10)로부터, 목소리 기반 인증 요청을 수신한다.
인증요청수신부(140)는, 단말(10)로부터 목소리 기반 인증 요청을 수신하는 경우, 고객정보서버(30)에서 단말(10)의 고객정보를 조회하고, 이에 기초하여 단말(10)이 인증용 목소리정보 등록 완료된 목소리 기반 인증 대상인지 확인한다.
매칭기준값결정부(150)는, 단말(10)이 목소리 기반 인증 대상인 경우, 서비스번호 및 단말(10)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상이한 매칭기준값을 결정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제1실시예의 경우 매칭기준값결정부(150)는, 단말(10)이 전용 서비스번호(114)를 이용하여 접속된 경우, 단말(10)에 대한 금번 매칭기준값으로 80%를 결정할 수 있다.
한편, 매칭기준값결정부(150)는, 단말(10)이 일반 서비스번호(1566-XXXX)를 이용하여 접속된 경우, 단말(10)에 대한 금번 매칭기준값으로 90%를 결정할 수 있다.
즉, 매칭기준값결정부(150)는, 단말(10)이 전용 서비스번호(114)를 이용하여 접속된 경우, 단말(10)이 일반 서비스번호(1566-XXXX)를 이용하여 접속된 경우 결정한 매칭기준값 90% 보다 작은 매칭기준값 80%을 결정하는 것이다.
이는, 단말(10)이 전용 서비스번호(114)를 이용하여 목소리인증안내장치(40)에 접속된 경우라면, 기본적으로 단말(10)이 본 발명의 목소리 기반 인증 서비스를 채용한 업체 즉 이동통신사(예 : 통신사A)에 가입된 고객의 단말임이 인증된 것으로 보고, 사칭 통과율 보다는 본인 거부율을 낮추는 것에 중점을 두어 매칭기준값을 작게 결정하고(예 : 80%), 한편, 단말(10)이 일반 서비스번호(1566-XXXX)를 이용하여 목소리인증안내장치(40)에 접속된 경우라면, 본인 거부율 보다는 사칭 통과율을 낮추는 것에 중점을 두어 매칭기준값을 크게 결정하는 것이다(예 : 90%).
한편, 다른 제2실시예의 경우, 매칭기준값결정부(150)는, 단말(10)이 특정 연령대(예 : 60대 이상)의 사용자 단말인 경우 단말(10)에 대한 금번 매칭기준값으로 80%를 결정하고, 단말(10)이 특정 연령대(예 : 60대 이상)의 사용자 단말이 아닌 경우 단말(10)에 대한 금번 매칭기준값으로 더 큰 90%를 결정할 수 있다.
이는, 단말(10)의 사용자(가입 고객)이 특정 연령대(예 : 60대 이상)라면, 정당한 가입 고객 본인이라 할지라도 상황에 따라 목소리가 달라질 수 있는 것으로 보고, 사칭 통과율 보다는 본인 거부율을 낮추는 것에 중점을 두어 매칭기준값을 작게 결정하는 것이다(예 : 80%).
또는, 매칭기준값결정부(150)는, 단말(10)이 특정 기간(예 : 1주일 이내) 동안 특정 횟수(예 : 100회) 이상 통화발신을 시도한 다발신 단말인 경우 단말(10)에 대한 금번 매칭기준값으로 90%를 결정하고, 단말(10)이 다발신 단말이 아닌 경우 단말(10)에 대한 금번 매칭기준값으로 더 작은 80%를 결정할 수 있다.
이는, 단말(10)의 사용자(가입 고객)이 다발신 단말이라면, 비정상적으로 빈번한 통화발신을 의심스럽게 보고, 본인 거부율 보다는 사칭 통과율을 낮추는 것에 중점을 두어 매칭기준값을 크게 결정하는 것이다(예 : 90%).
인증처리부(160)는, 매칭기준값결정부(150)에서 매칭기준값이 결정되면, 단말(10)로부터 전송되는 목소리에 따른 목소리정보 및 단말(10)과 관련하여 기 등록된 인증용 목소리정보 간의 매칭률이 전술의 결정한 매칭기준값 이상인지 여부에 따라서, 단말(10)에 대한 목소리 기반 인증을 처리한다.
예를 들면, 인증처리부(160)는, 전술의 결정한 매칭기준값과 단말(10)로부터 인증을 위해 전송되는 목소리를 목소리인증장치(50)로 전송하여 목소리 기반 인증을 요청할 수 있다.
이에, 목소리인증장치(50)는, 목소리인증안내장치(40)를 통해 전송된 단말(10)의 목소리를 목소리 특징 분석을 통한 목소리정보(Voiceprint)로 변환하고, 금번 목소리정보 및 단말(10)과 관련하여 기 등록된 인증용 목소리정보 간을 비교하여, 상호 간의 매칭률을 확인한다.
이에, 목소리인증장치(50)는, 전술에서 확인한 상호 간의 매칭률이 전술의 결정한 매칭기준값 이상인지 여부에 따라서, 매칭률이 매칭기준값 이상이면 단말(10)에 대하여 정상 인증됨을 나타내는 인증 결과를 목소리인증안내장치(40)로 제공하고, 매칭률이 매칭기준값 이상이 아니면 단말(10)에 대하여 비정상 인증됨을 나타내는 인증 결과를 목소리인증안내장치(40)로 제공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장치(100)는, 목소리 기반 인증을 요청하는 단말(10)에 대하여, 단말(10)이 목소리인증안내장치(40)에 접속하는 경로(예 : 114 또는 1566-XXXX), 특정 연령대(예 : 60대 이상), 다발신 단말 여부 등에 따라 최적의 매칭기준값을 상이하게 결정하여 목소리 기반 인증에 반영되도록 함으로써, 단말(10)의 정당한 사용자(가입 고객)에게는 본인 거부율을 낮출 수 있고 단말(10)의 사용자(가입 고객) 목소리를 흉내 내는 다른 사람에게는 사칭 통과율을 낮출 수 있는, 목소리 기반의 인증 결과를 이끌어 내어 인증 결과의 신뢰도를 효율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본 발명의 장치(100)를 구성하는 각 기능부 즉 단말접속부(110), 인증완료확인부(120), 목소리등록부(130), 인증요청수신부(140), 매칭기준값결정부(150), 인증처리부(160)는, 하나의 장치(예 : 목소리인증안내장치(40)) 내에 모두 구성될 수 있고, 여러 장치(예 : 목소리인증안내장치(40), 목소리인증장치(50) 등)에 분산 구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이하에서는, 도 3 및 도 4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목소리 기반 인증 서비스 방법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전술의 도 1에서 언급한 참조번호를 언급하여 설명하도록 하겠다.
먼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목소리 기반 인증 서비스 방법에서 인증용 목소리(정보)를 사전 등록하는 프로세스에 대해 설명하겠다.
인증용 목소리 등록을 희망하는 단말(10)의 사용자(가입 고객)는, 온라인 또는 오프라인 센터(20)에 방문하여 1차적으로 본인 인증 과정을 거치게 된다(S10).
예를 들면, 온라인 또는 오프라인 센터(20)는, 단말(10)의 사용자(가입 고객)로부터 제공받은 정보(예 : 이름, 이동통신번호, 생년월일, 아이디/패스워드 등)를 고객정보서버(30)로 제공하여 본인 인증을 요청하고, 본인 인증 완료 시 인증메시지를 단말(10)에 전송하도록 고객정보서버(30)에 요청할 수 있다(S20).
고객정보서버(30)는, 본인 인증 요청되는 단말(10)의 정보(예 : 이름, 이동통신번호, 생년월일, 아이디/패스워드 등)를 해당 단말(10)의 고객정보와 비교하여 정상적으로 본인 인증이 완료되면, 인증용 목소리 등록을 위해 지정된 특정 번호(예 : 123456)가 포함된 인증메시지를 단말(10)에 전송해 준다(S30).
이때, 고객정보서버(30)는, 전술과 같이 특정 번호(예 : 123456)가 포함된 인증메시지를 단말(10)에 전송하게 되면, 단말(10)로 인증메시지를 전송한 이력을 저장하여 관리한다.
단말(10)은, 고객정보서버(30)로부터 전송된 인증메시지에서 특정 번호(예 : 123456)를 확인 및 인지함으로써, 특정 번호(예 : 123456)를 다이얼링(Dialing)하여 발신을 시도하면, 단말(10)은 발신 시도에 따른 호 처리절차에 따라서 목소리인증안내장치(40)에 접속될 것이다(S40).
목소리인증안내장치(40)는, 전술과 같이 특정 번호(예 : 123456)를 이용하여 단말(10)이 접속되면, 고객정보서버(30)와의 연동을 통해, 단말(10)로 인증메시지가 전송된 이력이 있는지 여부에 확인함으로써(S50), 단말(10)로 인증메시지가 전송된 이력이 있으면 단말(10)에 대한 본인인증이 완료된 것으로 확인하고(S60 Yes), 단말(10)로 인증메시지가 전송된 이력이 없으면 단말(10)에 대한 본인인증이 완료되지 않은 것으로 확인할 수 있다(S60 No).
이후, 목소리인증안내장치(40)는, 전술에서 본인인증 완료가 확인되는 경우에만(S60 Yes), 단말(10)로부터 전송되는 목소리에 따른 목소리정보를 단말(10)과 관련된 인증용 목소리정보로 등록 처리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목소리인증안내장치(40)는, 단말(10)로부터 등록을 위해 전송되는 목소리를 목소리인증장치(50)로 전송하여 인증용 목소리 등록을 요청할 수 있다(S80).
이에, 목소리인증장치(50)는, 목소리인증안내장치(40)를 통해 전송된 단말(10)의 목소리를 목소리 특징 분석을 통한 목소리정보(Voiceprint)로 변환하여(S90), 목소리정보를 단말(10)과 관련된 인증용 목소리정보로 등록(저장)할 수 있다(S100).
그리고, 목소리인증장치(50)는, 단말(10)과 관련된 인증용 목소리정보 등록 완료를 목소리인증안내장치(40) 및 고객정보서버(30) 중 적어도 하나로 통지할 수 있다(S110).
이하에서는,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목소리 기반 인증 서비스 방법에서 목소리 기반의 인증을 처리하는 프로세스에 대해 설명하겠다.
단말(10)에서 서비스번호를 다이얼링(Dialing)하여 발신을 시도하면, 단말(10)은 발신 시도에 따른 호 처리절차에 따라서 목소리인증안내장치(40)에 접속될 것이다.
이때, 서비스번호는, 목소리인증안내장치(40)에서 제공하는 안내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 지정된 번호로서, 단말(10)이 가입한 통신사 즉 이동통신사(예 : 통신사A)의 전용 서비스번호(예 : 114) 또는 이동통신사(예 : 통신사A)와 무관한 일반 서비스번호(예 : 1566-XXXX)일 수 있다.
즉, 단말(10)에서는, 전용 서비스번호(예 : 114)를 다이얼링 및 발신을 시도하거나 또는 일반 서비스번호(예 : 1566-XXXX)를 다이얼링 및 발신을 시도하여, 목소리인증안내장치(40)에 접속될 수 있다.
이후, 단말(10)은, 목소리인증안내장치(40)에서 제공하는 안내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 본인 인증을 위한 인증 방식으로서 목소리 기반 인증 방식을 선택함으로써 목소리인증안내장치(40)에 목소리 기반 인증을 요청할 수 있다(S200).
목소리인증안내장치(40)는, 서비스번호(예 : 114 또는 1566-XXXX)를 이용하여 접속된 단말(10)로부터 목소리 기반 인증 요청을 수신하는 경우, 고객정보서버(30)에서 단말(10)의 고객정보를 조회하고(S210), 이에 기초하여 단말(10)이 인증용 목소리정보 등록 완료된 목소리 기반 인증 대상인지 확인한다(S220).
이에, 목소리인증안내장치(40)는, 단말(10)이 목소리 기반 인증 대상인 경우(S220 Yes), 서비스번호 및 단말(10)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상이한 매칭기준값을 결정한다(S230).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제1실시예의 경우 목소리인증안내장치(40)는, 단말(10)이 전용 서비스번호(114)를 이용하여 접속된 경우, 단말(10)에 대한 금번 매칭기준값으로 80%를 결정할 수 있다.
한편, 목소리인증안내장치(40)는, 단말(10)이 일반 서비스번호(1566-XXXX)를 이용하여 접속된 경우, 단말(10)에 대한 금번 매칭기준값으로 90%를 결정할 수 있다.
즉, 목소리인증안내장치(40)는, 단말(10)이 전용 서비스번호(114)를 이용하여 접속된 경우, 단말(10)이 일반 서비스번호(1566-XXXX)를 이용하여 접속된 경우 결정한 매칭기준값 90% 보다 작은 매칭기준값 80%을 결정하는 것이다.
이는, 단말(10)이 전용 서비스번호(114)를 이용하여 목소리인증안내장치(40)에 접속된 경우라면, 기본적으로 단말(10)이 본 발명의 목소리 기반 인증 서비스를 채용한 업체 즉 이동통신사(예 : 통신사A)에 가입된 고객의 단말임이 인증된 것으로 보고, 사칭 통과율 보다는 본인 거부율을 낮추는 것에 중점을 두어 매칭기준값을 작게 결정하고(예 : 80%), 한편, 단말(10)이 일반 서비스번호(1566-XXXX)를 이용하여 목소리인증안내장치(40)에 접속된 경우라면, 본인 거부율 보다는 사칭 통과율을 낮추는 것에 중점을 두어 매칭기준값을 크게 결정하는 것이다(예 : 90%).
한편, 다른 제2실시예의 경우, 목소리인증안내장치(40)는, 단말(10)이 특정 연령대(예 : 60대 이상)의 사용자 단말인 경우 단말(10)에 대한 금번 매칭기준값으로 80%를 결정하고, 단말(10)이 특정 연령대(예 : 60대 이상)의 사용자 단말이 아닌 경우 단말(10)에 대한 금번 매칭기준값으로 더 큰 90%를 결정할 수 있다.
이는, 단말(10)의 사용자(가입 고객)이 특정 연령대(예 : 60대 이상)라면, 정당한 가입 고객 본인이라 할지라도 상황에 따라 목소리가 달라질 수 있는 것으로 보고, 사칭 통과율 보다는 본인 거부율을 낮추는 것에 중점을 두어 매칭기준값을 작게 결정하는 것이다(예 : 80%).
또는, 목소리인증안내장치(40)는, 단말(10)이 특정 기간(예 : 1주일 이내) 동안 특정 횟수(예 : 100회) 이상 통화발신을 시도한 다발신 단말인 경우 단말(10)에 대한 금번 매칭기준값으로 90%를 결정하고, 단말(10)이 다발신 단말이 아닌 경우 단말(10)에 대한 금번 매칭기준값으로 더 작은 80%를 결정할 수 있다.
이는, 단말(10)의 사용자(가입 고객)이 다발신 단말이라면, 비정상적으로 빈번한 통화발신을 의심스럽게 보고, 본인 거부율 보다는 사칭 통과율을 낮추는 것에 중점을 두어 매칭기준값을 크게 결정하는 것이다(예 : 90%).
목소리인증안내장치(40)는, 매칭기준값을 결정한 후, 단말(10)로부터 전송되는 목소리에 따른 목소리정보 및 단말(10)과 관련하여 기 등록된 인증용 목소리정보 간의 매칭률이 전술의 결정한 매칭기준값 이상인지 여부에 따라서, 단말(10)에 대한 목소리 기반 인증을 처리한다.
예를 들면, 목소리인증안내장치(40)는, 전술의 결정한 매칭기준값과 단말(10)로부터 인증을 위해 전송되는 목소리를 목소리인증장치(50)로 전송하여 목소리 기반 인증을 요청할 수 있다(S250).
이에, 목소리인증장치(50)는, 목소리인증안내장치(40)를 통해 전송된 단말(10)의 목소리를 목소리 특징 분석을 통한 목소리정보(Voiceprint)로 변환하고(S260), 금번 목소리정보 및 단말(10)과 관련하여 기 등록된 인증용 목소리정보 간을 비교하여, 상호 간의 매칭률을 확인한다(S270).
이에, 목소리인증장치(50)는, 전술에서 확인한 상호 간의 매칭률이 전술의 결정한 매칭기준값 이상인지 여부에 따라서(S280), 매칭률이 매칭기준값 이상이면 단말(10)에 대하여 정상 인증됨을 나타내는 인증 결과를 목소리인증안내장치(40)로 제공하고(S290), 매칭률이 매칭기준값 이상이 아니면 단말(10)에 대하여 비정상 인증됨을 나타내는 인증 결과를 목소리인증안내장치(40)로 제공할 것이다(S295).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목소리 기반 인증 서비스 방법은, 목소리 기반의 인증 서비스를 제공하는데 있어서 인증용 목소리의 사전 등록 및 인증 결과에 대한 신뢰도를 효율적으로 향상시키는 효과를 도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목소리 기반 인증 서비스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록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지금까지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또는 수정이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미친다 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목소리 기반 인증 서비스 방법에 따르면, 목소리 기반의 인증 서비스를 제공하는데 있어서 인증용 목소리의 사전 등록 및 인증 결과에 대한 신뢰도를 효율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는 점에서, 기존 기술의 한계를 뛰어 넘음에 따라 관련 기술에 대한 이용만이 아닌 적용되는 장치의 시판 또는 영업의 가능성이 충분할 뿐만 아니라 현실적으로 명백하게 실시할 수 있는 정도이므로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있는 발명이다.
10 : 단말 20 : 온라인 또는 오프라인 센터
30 : 고객정보서버 40 : 목소리인증안내장치
50 : 목소리인증장치

Claims (5)

  1. 특정 단말에 대해 본인인증 완료가 확인되는 경우, 상기 특정 단말로부터 전송되는 목소리에 따른 목소리정보를 상기 특정 단말과 관련된 인증용 목소리정보로 등록 처리하는 목소리정보등록단계; 및
    단말 접속이 확인되는 경우, 상기 단말이 접속한 서비스번호, 상기 단말 사용자의 연령대, 및 상기 단말에서의 발신이력 중 적어도 하나를 기초로 상기 단말로부터 전송되는 목소리에 따른 목소리정보와 기 등록된 인증용 목소리정보의 매칭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매칭기준값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소리 기반 인증 서비스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인증용 목소리 등록을 위해 지정된 특정 번호를 이용하여 상기 특정 단말이 접속되는 단말접속단계; 및
    상기 특정 단말에 대하여, 본인인증 완료 여부를 확인하는 인증완료확인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특정 번호는,
    온라인 또는 오프라인 센터에서 인증용 목소리 등록을 위한 본인인증이 완료된 단말로 전송되는 인증메시지에서 확인되는 번호이며,
    상기 인증완료확인단계는,
    상기 특정 단말로 상기 인증메시지가 전송된 이력이 있는지 여부에 따라, 상기 본인인증 완료 여부를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소리 기반 인증 서비스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로부터 전송되는 목소리에 따른 목소리정보 및 상기 단말과 관련하여 기 등록된 인증용 목소리정보 간의 매칭률이 상기 결정한 매칭기준값 이상인지 여부에 따라서, 상기 단말에 대한 목소리 기반 인증을 처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소리 기반 인증 서비스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번호는,
    상기 단말이 가입한 통신사의 전용 서비스번호 또는 상기 통신사와 무관한 일반 서비스번호이며,
    상기 매칭기준값은,
    상기 단말이 상기 전용 서비스번호를 이용하여 접속된 경우, 상기 단말이 상기 일반 서비스번호를 이용하여 접속된 경우 보다 작은 값으로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소리 기반 인증 서비스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매칭기준값은,
    상기 단말이 목소리의 일관성을 기초로 기 지정된 특정 연령대의 사용자 단말인 경우, 상기 특정 연령대의 사용자 단말이 아닌 경우 보다 작은 값으로 결정되고,
    또는 상기 단말이 특정 기간 동안 특정 횟수 이상 통화발신을 시도한 다발신 단말인 경우, 상기 다발신 단말이 아닌 경우 보다 큰 값으로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소리 기반 인증 서비스 방법.
KR1020150001001A 2015-01-06 2015-01-06 목소리 기반 인증 서비스 방법 KR1022044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01001A KR102204416B1 (ko) 2015-01-06 2015-01-06 목소리 기반 인증 서비스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01001A KR102204416B1 (ko) 2015-01-06 2015-01-06 목소리 기반 인증 서비스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84599A KR20160084599A (ko) 2016-07-14
KR102204416B1 true KR102204416B1 (ko) 2021-01-18

Family

ID=564991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01001A KR102204416B1 (ko) 2015-01-06 2015-01-06 목소리 기반 인증 서비스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04416B1 (ko)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35647A (ko) * 2004-04-06 2004-04-29 (주)예스테크놀로지 화자인증 기술을 이용한 네트워크 기반의 전자금융거래 사용자 인증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장치
KR20060013469A (ko) * 2005-11-29 2006-02-10 (주)한국파워보이스 음성암호를 이용한 잠금장치 개폐 시스템 및 방법
KR100785894B1 (ko) * 2006-09-28 2007-12-17 사단법인 금융결제원 휴대폰을 이용한 전자서명 수행 시스템 및 방법
KR100960798B1 (ko) * 2007-08-31 2010-06-01 주식회사 케이티 문자서비스 제공 시스템, 방법, 및 그 단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84599A (ko) 2016-07-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563734B2 (en) System and method for authenticating called parties of individuals within a controlled environment
US11856132B2 (en) Validating automatic number identification data
US20170149772A1 (en) Identity authentication method, system, business server and authentication server
US9392456B2 (en) Call center SMS verification system and method
US20210266750A1 (en) User authentication based on ss7 call forwarding detection
US20070101411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user interface control
US7627472B2 (en) Method and system for person/speaker verification via communications systems
US20110307256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network-based voice authentication
US8406383B2 (en) Voice authentication for call control
US10148816B2 (en) Interactive voice response (IVR) call authentication
CN107710725B (zh) 用于通过电话号码验证用户的方法和系统
KR101762615B1 (ko) 사용자의 이용패턴 분석을 활용한 본인 인증 시스템 및 사용자 단말
JP2010109618A (ja) 認証装置、認証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06790199B (zh) 验证码处理方法及装置
WO2015169000A1 (zh) 一种身份识别方法及装置、存储介质
US20090305669A1 (en) Transaction method between two servers including a prior validating step using two mobile telephones
WO2017101571A1 (zh) 一种用户身份认证方法、装置及其系统
WO2011045616A1 (en) Authenticated voice or video calls
US20210105354A1 (en) Detecting nuisance and restricted communications via a communication privilege control system
US20240064152A1 (en) Omni channel authentication
KR102204416B1 (ko) 목소리 기반 인증 서비스 방법
CN105516057B (zh) 一种数据处理方法、装置及系统
WO2006076347A2 (en) System and method for recording network based voice and video media
US11983257B2 (en) Voice biometric authentication systems and methods
US20240348721A1 (en) Validating automatic number identification dat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