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04056B1 - 동 재질을 이용한 열회수 시스템 - Google Patents

동 재질을 이용한 열회수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04056B1
KR102204056B1 KR1020200094014A KR20200094014A KR102204056B1 KR 102204056 B1 KR102204056 B1 KR 102204056B1 KR 1020200094014 A KR1020200094014 A KR 1020200094014A KR 20200094014 A KR20200094014 A KR 20200094014A KR 102204056 B1 KR102204056 B1 KR 1022040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supply pipe
pipe
copper
exhaust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940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대일
Original Assignee
김대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대일 filed Critical 김대일
Priority to KR10202000940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0405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040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040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2/00Use of energy recovery systems in air conditioning, ventilation or screening
    • F24F12/001Use of energy recovery systems in air conditioning, ventilation or screening with heat-exchange between supplied and exhausted air
    • F24F12/006Use of energy recovery systems in air conditioning, ventilation or screening with heat-exchange between supplied and exhausted air using an air-to-air heat exchang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4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 F24F7/06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 F24F7/08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with separate ducts for supplied and exhausted air with provisions for reversal of the input and output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D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DO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 F28D21/00Heat-exchange apparatus not covered by any of the groups F28D1/00 - F28D20/00
    • F28D21/0001Recuperative heat exchangers
    • F28D21/0003Recuperative heat exchangers the heat being recuperated from exhaust gases
    • F28D21/0005Recuperative heat exchangers the heat being recuperated from exhaust gases for 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 F28D21/0008Air hea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1/00Tubular elements; Assemblies of tubular elements
    • F28F1/10Tubular elements and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projections, with recesses
    • F28F1/42Tubular elements and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projections, with recesses the means being both outside and inside the tubular ele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21/00Constructions of heat-exchange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selection of particular materials
    • F28F21/08Constructions of heat-exchange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selection of particular materials of metal
    • F28F21/081Heat exchange elements made from metals or metal alloys
    • F28F21/085Heat exchange elements made from metals or metal alloys from copper or copper allo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3/00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 F24F3/12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 F24F3/16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purification, e.g. by filtering; by sterilisation; by ozonis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30/00Energy efficient heating, ventilation or air conditioning [HVAC]
    • Y02B30/56Heat recovery un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Geometry (AREA)
  • Heat-Exchange Devices With Radiators And Conduit Assembl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환기를 위해 실외로 배기되는 실내 공기와 환기 내지 냉난방을 위해 급기되는 실외 공기가, 구리를 포함한 금속 재질이면서 동판, 동코일, 동관 중 하나 이상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배기관과 급기관을 통과하면서 열전도를 통한 열교환이 이루어지게 하여, 실외로 배출되는 열에너지를 회수해 냉난방 효율의 향상 및 열에너지의 절약이 가능하게 하면서, 구리 성분을 이용한 살균 및 균 증식 억제를 통해 쾌적한 공기를 실내로 공급할 수 있게 하는 다이아몬드형 동관을 구비한 열회수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동 재질을 이용한 열회수 시스템{AIR VENTILATION SYSTEM}
본 발명은 환기를 위해 실외로 배기되는 실내 공기와 환기 내지 냉난방을 위해 급기되는 실외 공기가, 구리를 포함한 금속 재질이면서 동판, 동코일, 동관 중 하나 이상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배기관과 급기관을 통과하면서 열전도를 통한 열교환이 이루어지게 하여, 실외로 배출되는 열에너지를 회수해 냉난방 효율의 향상 및 열에너지의 절약이 가능하게 하면서, 구리 성분을 이용한 살균 및 균 증식 억제를 통해 쾌적한 공기를 실내로 공급할 수 있게 하는 다이아몬드형 동관을 구비한 열회수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공장 등의 대형 건물에 대한 공조와 환기를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 환기 겸용 복합 공조장치가 개발되어 있다.
도 6은 종래의 환기 겸용 복합 공조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로써,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환기 겸용 복합 공조장치는, 본체(1)의 내부에 공조(냉방 또는 난방)를 위한 냉난방용 열교환기(2)와, 실내로부터 오염된 실내 공기(이하 실내 공기로 통칭함.)를 실외로 배기되도록 하는 배기팬(3)과, 실외로부터 유입된 신선한 실외 공기(이하 실외 공기로 통칭함.)가 상기 냉난방용 열교환기(2)를 거쳐 실내로 공급되도록 하는 공조팬(4)이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의 환기 겸용 복합 공조장치는, 배기팬(3)의 작동에 의해 실내에서 흡기된 실내 공기가 실외로 배출됨과 동시에, 공조팬(4)의 작동에 의해 실외에서 흡기된 실외 공기가 냉난방용 열교환기(2)를 거치면서 열교환이 이루어져 냉각 또는 가열된 후 실내로 급기된다.
이때 냉난방용 열교환기로 공급되는 공기는 냉방 시 온도가 낮고, 난방 시 온도가 높아야, 냉난방용 열교환기를 거치면서 발생하는 열교환 효율이 높아져 냉난방에 사용되는 열에너지를 절감할 수 있음은 주지의 사실이다.
그러나 하절기에 실외 공기의 온도가 높고, 동절기에 실외 공기의 온도가 낮은 것이 당연하므로, 각 절기마다 냉난방을 위한 열교환 효율이 떨어질 수밖에 없어 건물 공조에 많은 열에너지가 사용되고 있다.
특히 동남아와 같은 기후를 갖는 지역에서는, 1년 내내 실외 공기가 고온다습하게 유지되므로, 공조를 위해 흡기되는 실외 공기의 온도가 매우 높아(평균 40℃ 내외) 냉방을 위한 열교환 효율이 매우 떨어질 수밖에 없다.
한편 이러한 종래의 환기 겸용 복합 공조장치는 실내의 냉난방 공조와 동시에 환기가 이루어지므로, 일정 시간 이상 냉난방에 사용된 실내 공기를 실외로 그냥 배출하게 되는데, 이때 하절기 냉방된 실내 공기 또는 동절기 난방된 실내 공기가 배출되면서 냉난방에 필요한 열에너지도 함께 배출되어, 그만큼 냉난방 공조에 필요한 열에너지의 사용량이 증가될 수밖에 없는 문제점이 있다.
참고로 환기 겸용 복합 공조장치와 관련된 기술로는 등록특허 제10-0902502호, 등록특허 제10-0567416호 등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실외로 배출되는 열에너지를 회수해 냉난방 효율의 향상 및 열에너지의 절약이 가능하게 하면서, 구리 성분을 이용한 살균 및 균 증식 억제를 통해 쾌적한 공기를 실내로 공급할 수 있게 하는 다이아몬드형 동관을 구비한 열회수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열회수 시스템은,
실내 공기를 흡기하는 환기팬과, 흡기된 실내 공기를 실외로 배기하는 배기관을 구비한 환기라인; 및
실외 공기를 흡기하는 공조팬과, 흡기된 실외 공기를 실내로 공급하는 급기관을 구비한 공조라인;을 포함한 열회수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배기관과 급기관 중 하나 이상은 구리를 포함한 금속 재질이면서 동판 또는 동코일 또는 동관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하여, 상기 배기관과 급기관 중 하나의 내부에 상기 배기관과 급기관 중 복수개의 다른 하나가 소정 간격 이격되게 배열되어, 배기되는 실내 공기와 흡기되는 실외 공기 사이에 열전도를 통한 열교환이 이루어지게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열회수 시스템에서,
상기 급기관은 다이아몬드형 동관이면서 둘레 방향을 따라 내, 외측 지그재그 방향으로 절곡 성형된 주름관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열회수 시스템에서,
상기 배기관은 사각 단면 형상의 외장 덕트로써, 외장 덕트 내부에 상기 급기관이 플렌지 타입으로 거치되도록 상기 급기관이 끼워지는 다이아몬드형 장착공을 구비한 장착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열회수 시스템에서,
상기 장착공의 내경이 상기 다이아몬드형 동관의 외경보다 크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열회수 시스템은,
구리를 포함한 금속 재질의 배기관과, 다이아몬드형 동관으로 실내 공기와 실외 공기가 서로 반대 방향으로 송풍되면서 실내 공기에 포함된 열에너지를 회수함으로써, 열교환 효율을 높여 냉난방 공조에 필요한 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음과 동시에, 구리 성분의 살균 특성을 이용해 실내로 보다 쾌적한 공기를 급기할 수 있으며,
단위 면적 대비 실내 공기와 실외 공기가 서로 접하는 면적을 최대한으로 증대시켜 열회수 효율을 극대화하면서, 외장 덕트 시공의 원가 절감을 달성할 수 있고,
다이아몬드형 주름관인 급기관을 사각 외장 덕트인 배기관 내부에 안전하게 설치하여, 시공 안정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열회수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 및 외장 덕트의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급, 배기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외장 덕트의 샘플을 촬영한 사진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열회수 시스템의 냉난방 공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념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장착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은 종래의 환기 겸용 복합 공조장치를 도시한 구성도.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구현예(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 특히 십의 자리 및 일의 자리 수, 또는 십의 자리, 일의 자리 및 알파벳이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갖는 부재를 나타내고, 특별한 언급이 없을 경우 도면의 각 참조부호가 지칭하는 부재는 이러한 기준에 준하는 부재로 파악하면 된다.
또 각 도면에서 구성요소들은 이해의 편의 등을 고려하여 크기나 두께를 과장되게 크거나(또는 두껍게) 작게(또는 얇게) 표현하거나, 단순화하여 표현하고 있으나 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구현예(태양, 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기재한 ~제1~, ~제2~ 등은 서로 다른 구성 요소들임을 구분하기 위해서 지칭할 것일 뿐, 제조된 순서에 구애받지 않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청구범위에서 그 명칭이 일치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열회수 시스템을 설명함에 있어 편의를 위하여 엄밀하지 않은 대략의 방향 기준을 도 1의 단면도를 참고하여 특정하면, 중력이 작용하는 방향을 하측으로 하여 보이는 방향 그대로 상하좌우를 정하고, 다른 도면과 관련된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청구범위에서도 다른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이 기준에 따라 방향을 특정하여 기술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열회수 시스템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실내 공기를 흡기하는 환기팬(11)과, 흡기된 실내 공기를 실외로 배기하는 배기관(12)을 구비한 환기라인(10); 실외 공기를 흡기하는 공조팬(21)과, 흡기된 실외 공기를 실내로 공급하는 급기관(23)을 구비한 공조라인(20);을 포함한다.
이러한 환기라인(10)과 공조라인(20)은 건물에 설치된 덕트(D)를 형성할 수 있으며, 벽에 설치되는 액자형 환기유닛, 천정 설치용 열회수 환기유닛 등으로 변형될 수 있고,
이러한 환기라인(10)과 공조라인(20)은 그 자체만으로 열교환을 통해 열을 회수함은 물론, 별도의 열교환기(22)로 열교환된 실외 공기를 공급하는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이해의 편의를 위해, 열교환기(22)로 공급되기 전의 실외 공기와 배기되는 실내 공기 사이에 열교환이 이루어지는 실시예를 대표하여 설명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실내 공기를 흡기하는 환기팬(11)과, 흡기된 실내 공기를 실외로 배기하는 배기관(12)을 구비한 환기라인(10) 및
실외 공기를 흡기하는 공조팬(21)과, 흡기된 실외 공기를 냉난방용 열교환기(22)로 공급하는 급기관(23)과, 열교환된 냉난방 공기를 실내로 공급하는 송풍관(24)을 구비한 공조라인(20)을 포함한 열회수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배기관(12)과 급기관(23)은 구리를 포함한 금속 재질이면서, 동판 또는 동코일 또는 동관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하여, 상기 배기관(12)과 급기관(23) 중 하나의 내부에 상기 배기관(12)과 급기관(23) 중 복수개의 다른 하나가 소정 간격 이격되게 배열되어, 배기되는 실내 공기와 흡기되는 실외 공기 사이에 열전도를 통한 열교환이 이루어지게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상기 배기관(12)에 복수개의 급기관(23)이 내장되거나 또는 상기 급기관(23) 내부에 복수개의 배기관(12)이 내장되는 형태로써, 각 관이 플레이트 또는 코일형 관 또는 일반 파이프형 관을 통해 서로 열교환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환기팬(11)은 실외와 연결된 배기관(12)과, 건물 내부에 설치된 환풍관(13) 사이에 설치되는 것으로, 흡기된 실내 공기를 상기 배기관(12)을 거쳐 실외로 강제 배출한다.
상기 환풍관(13)은 건물의 벽면이나 천장 등에 구비된 환기구에 연결되는 것으로, 각 환기구에는 실내 급기관(23)을 위한 별도의 환풍기 등이 추가로 설치될 수 있으며, 별도의 환풍기로 실내 흡기가 이루어지는 경우, 상기 환기팬(11)은 배기관(12)의 출구 측에 설치되어 배기관(12)으로 배기된 실내 공기를 실외로 배출할 수 있다.
상기 배기관(12)은 상기 환기팬(11)에 의해 배출되는 실내 공기가 흐르는 관으로, 사각 단면 형상의 외장 덕트(D)로 구비된다.
이때 상기 배기관(12)과 환풍관(13)은, 실내 공기가 배기될 때 급기관(23)과 열교환이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있냐는 기준에 따른 편의상의 구분으로써, 흡기된 실내 공기가 배출되는 기능상으로 동일한 부재로 해석되어야 하며, 건물의 모든 실내 환기를 위한 배관 구조, 환기구의 개수나 환기팬(11)(또는 환풍기)이 설치되는 위치 등에 따라 배기관(12)과 환풍관(13)의 별도의 연도로 상호 연결될 수 있음은 물론, 동일한 유로를 갖는 하나의 연도 그 자체일 수 있으며, 배기관(12) 외장 덕트(D)에 다수개의 환풍관(13)이 분기되어 연결되는 형태일 수도 있다.
다음으로 상기 공조라인(20)은 신선한 실외 공기를 실내로 공급하며, 이때 공급되는 실외 공기를 냉난방 목적에 맞게 냉각 또는 가열시켜 공급한다.
상기 공조팬(21)은 실외에 설치되는 것으로, 실외 공기를 흡기하여 열교환기(22)로 강제 공급하고, 열교환기(22)를 거치면서 냉각 또는 가열된 냉난방 공기를 상기 송풍관(24)을 거쳐 실내로 강제 배출한다.
상기 열교환기(22)는 실내의 냉난방 공조를 위한 것으로, 공급되는 실외 공기를 냉각하거나 가열하는 공지의 장치로써, 급기관(23)과 송풍관(24) 사이에 설치되어, 냉난방 공기를 각 송풍관(24)으로 중앙 공급하여, 일종의 패키지 공조 방식(packaged air conditioner, 중앙 냉난방 방식)의 공조 장치를 구성하게 된다.
이러한 열교환기(22)는, 예를 들어 필요에 따라 냉매가 흐르게 하거나 온수가 흐르게 가변할 수 있는 코일 등으로 구성될 수 있는데,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공지의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급기관(23) 및 송풍관(24)은 상기 공조팬(21)에 의해 흡기된 실외 공기 및 열교환기(22)를 거친 냉난방 공기가 흐르는 관도로써, 일종의 파이프이다.
상기 급기관(23) 및 송풍관(24)은 흡기된 실외 공기가 열교환기(22)의 전, 후에서 흐르는 위치에 따른 편의상의 구분으로, 흡기된 실외 공기가 실내로 급기되는 기능상으론 동일한 부재로 해석되어야 하며, 건물의 실내 구조, 급기구의 개수나 열교환기(22)가 설치되는 개수(또는 위치) 등에 따라 급기관(23) 및 송풍관(24)의 별도의 연도로 상호 연결될 수 있음은 물론, 송풍관(24)이 생략되고 열교환기(22)에서 냉난방 공기가 실내로 바로 급기되어 열교환기(22) 자체가 송풍관(24)의 기능을 대신할 수도 있다.
상기 사각 단면 외장 덕트(D)인 배기관(12)과 다이아몬드형 동관인 급기관(23)은 열전도성 및 살균성이 뛰어난 구리를 포함한 금속 재질의 동관으로 이루어지며, 여기서 구리 성분을 포함한다는 것은 순수 구리 재질뿐만 아니라 구리 성분이 소정 이상의 비율로 포함된 구리 합금을 포괄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때 상기 급기관(23)을 열교환기(22)와 연결된 복수개로 구성하고, 상기 배기관(12)을 상기 파이프들이 내장되는 외장 덕트(D)로 구성하여, 배기관(12)의 외장 덕트(D) 내부에 복수개의 다이아몬드형 동관이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게 행렬로 배열된 형태의 순동열교환부를 형성하게 되며, 도 3에는 5*4로 배열된 급기관(23)들이 대표적으로 도시되어 있고, 급기관(23)의 개수나 배치 형태에 제한이 없다.
이때 상기 급기관(23)은 그 단면이 유사 다이아몬드 형상(마름모 형)으로 이루어진 다이아몬드형 동관이다.
특히 상기 급기관(23)은 둘레 방향을 따라 내, 외측 지그재그 방향으로 절곡 성형된 주름관으로 구성된다.
이렇게 유사 다이아몬드 형상이면서 주름관으로 이루어진 다이아몬드형 동관 배기관(12)의 외장 덕트(D) 내부에 배열하면, 외장 덕트(D) 전체의 단위 면적 대비 실외 공기가 접촉되는 급기관(23)의 표면적을 최대한으로 증대시켜, 실내 공기와 실외 공기 사이의 열교환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나아가 상기 복수개의 급기관(12)을 외장 덕트(D)의 중간 높이에 설치하여 열회수 가능한 면적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상기 배기관(12)은 외장 덕트(D) 내부에 상기 급기관(23)이 플렌지 타입으로 거치되도록 상기 급기관(23)이 끼워지는 다이아몬드형 장착공(14a)을 구비한 장착판(14)을 포함한다.
상기 장착판(14)은 외장 덕트(D)의 길이 방향으로 소정 위치에 설치되는 것으로, 도 3과 같이 외장 덕트(D)의 양측 끝단부에 설치될 경우 외장 덕트(D)의 단면에 상응하는 너비를 가져 외장 덕트(D)를 기밀시키며,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외장 덕트(D)의 중단부에 설치될 경우 외장 덕트(D)의 중단부에 설치되어 상, 하부 공간을 배기관(12)의 유로로 사용함으로써, 열회수 면적을 최대한으로 확보한다.
이러한 장착판(14)은 상기 배기관(12)과 급기관(23)과 같은 구리 성분을 포함한 금속 재질로 이루어져, 상기 급기관(23)의 설치 기능뿐만 아니라, 장착판(14) 자체를 통해 열교환이 이루어지게 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급기관(23)은 표면이 지그재그 구조로 연결되어 표면적이 증가함에 따라, 실외공기가 급기관(23)과 접촉하여 지나가는 면적이 증대되어 열전달 효율을 높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한 구성의 열회수 시스템을 이용한 실내 공조 작동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우선 하절기에 실내를 냉방으로 공조시키기 위해 시스템을 가동하면, 상기 환기팬(11)과 공조팬(21) 및 열교환기(22)가 작동한다.
그리고 환기팬(11)의 작동에 의해, 환기구 등으로 흡기된 실내 공기는 배기관(12)을 통해 실외로 배출된다.
동시에 공조팬(21)의 작동에 의해 흡기된 실외 공기는 급기관(23)을 통해 열교환기(22)로 투입되며, 열교환기(22)에서는 냉매 등을 이용한 열교환이 이루어지면서 실외 공기를 냉각시키고, 이렇게 냉각된 공기(이하 냉기로 통칭함.)는 송풍관(24)을 통해 실내로 급기된다.
그리고 시스템의 가동이 일정 시간 경과되면, 급기되는 냉기에 의해 실내의 온도가 설정 온도까지 하강하여 건물의 냉방 공조가 이루어지는데,
이때 본 발명은 실내 공기에 대한 환기가 계속 이루어지므로, 실내의 냉기가 환기라인(10)을 통해 실외로 계속 배출된다.
그리고 본 발명은 배기관(12)과 급기관(23)이 구리를 포함한 금속 재질의 동관으로써, 상호간에 열교환이 가능한 형태로 설치되어 있는 바,
급기관(23)을 지나는 고온다습의 실외 공기는 배기관(12)을 통해, 서로 크로스(cross)되는 방향(반대 방향)으로 흐르는 실내 냉기로부터 냉열을 회수하게 된다.
즉, 배기관(12)의 실내 냉기가 급기관(23)을 흐르는 고온의 외기로부터 열에너지를 흡수하여, 실외 공기가 냉각된다.
이렇게 냉각된 실외 공기는 급기관(23)을 통해 열교환기(22)로 투입된다.
이때 실내로 급기되는 실외 공기는 급기관(23)의 구리 성분에 의해 살균 작용이 발생한다.
또한 다이아몬드형 주름관 형태의 급기관(23)으로 인해 실내 공기와의 접촉 면적이 증대됨에 따라, 단위 면적 대비 열전달 효율이 극대화되어 실외 공기의 열 회수율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이렇게 배기되는 실내 냉기로부터 냉열을 흡수해 일정 온도 이하로 냉각된 실외 공기가 열교환기(22)로 공급되면, 열교환기(22) 자체에서의 열교환 효율이 높아져, 더 적은 에너지로의 사용만으로 종전 방식과 동일한 냉방 공조를 유지할 수 있다.
반대로 동절기에는 저온으로 흡기되는 실외 공기가 고온으로 배기되는 실내 공기로부터 온열을 흡수하여, 일정 온도 이상으로 가열된 상태로 열교환기(22)에 공급되므로 난방 공조에 필요한 에너지 소비량을 줄일 수 있으며, 난방 공조 시 적용되는 구체적인 작동은 냉방 공조와 실내외 공기의 온도만 차이가 있을 뿐 대동소이하므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러한 열회수 시스템은, 실외 공기가 실내로 공급되기 전에 열교환이 이루어지므로, 열교환기(22)를 거치지 않더라도 계절에 맞게 실내 공기로부터 열회수가 이루어진 상태로 실내로 공급될 수 있어, 그 자체만으로 환기유닛 또는 냉난방 공조기로 사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장착판(14)의 장착공(14a)은 상기 급기관(23)에 대응하는 유사 다이아몬드 형태로써, 급기관(23)의 장착이 편리하도록 장착공(14a)의 내경이 급기관(23)의 외경보다 크게 형성된다.
이때 급기관(23)의 양측 끝단부에 설치되는 장착판(14)의 장착공(14a)은 상기한 내, 외경의 차이로 틈새가 발생하게 되므로, 해당 틈새를 실리콘 등의 접착제로 기밀시켜야 열에너지의 낭비를 줄일 수 있다.
그런데 급기관(23)은 길이가 긴 연도로써, 접착제로 틈새를 메우더라도 접착제가 경화되기 전에 급기관(23)의 수평이 틀어질 수 있으며, 이렇게 급기관(23)의 수평이 틀어지면 반대편으로 갈수록 높이가 맞지 않아 급기관(23)을 다른 장착판(14)에 안정적으로 끼워서 장착할 수 없다.
이에 본 발명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장착공(14a)의 유격 틈새에 급기관(23)의 소정 높이로 안전하게 장착 유지되게 하는 장착부재(30)를 더 포함한다.
상기 장착부재(30)는, 상기 급기관(23)의 표면 주름 모서리에 상응하는 각도로 내측면의 표면에 고무 등의 완충패드(32)가 장착된 끼움부(31)를 갖는 몸체(32), 상기 몸체(32)의 외측면에서 시소 구조로 결합되어 오므려지거나 벌어지게 회동하며 외측 끝단부에 고무 등의 완충패드(35)가 구비된 한 쌍의 가압바(36), 상기 가압바(36)를 오므림 방향으로 탄성 지지하는 스프링(38)을 포함하여,
상기 한 쌍의 가압바(36)를 벌린 상태에서 상기 장착공(14a)의 틈새로 끼우면, 상기 끼움부(31)의 완충패드(32)가 상기 급기관(23)의 모서리에 밀착되면서, 상기 스프링(38)에 의해 상기 한 쌍의 가압바(36)가 오므려져 상기 완충패드(35)가 상기 장착판(14)의 양면을 가압하여, 상기 급기관(23)이 고정,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몸체(32)의 일측면과 일측 가압바(36A)는 바(bar) 형태의 파지부(34)(37)가 외측으로 돌출되어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가압바(36)는 내측으로 오목한 'V'자 형태로써, 각 가압바(36A)(36B)의 내측단이 상기 몸체(32) 내부에서 서로 힌지 결합되어 힌지축(36b)을 축으로 시소 구조를 통해 서로 오므려지거나 벌어진다.
또한 상기 스프링(38)은 상기 몸체(32)의 내측 지지부와 각 가압바(36A)(36B)의 연결부 사이에 개재되어 길이방향으로 탄성력을 발휘하는 압축 스프링으로 이루어져, 가압바(36)에 외력이 가해지지 않는 한 스프링(38)에 의해 가압바(36A)(36B)들이 서로 오므려지게 강제된다.
따라서 작업자가 상기 파지부(34)(37)들을 잡고 가압바(36A)(36B)들을 벌린 상태에서, 타측 가압바(36B)를 장착공(14a)의 틈새로 끼워서 걸은 후, 상기 몸체(32)의 끼움부(31)를 상기 급기관(23)의 표면 모서리에 맞춰 삽입한 다음, 파지부(34)(37)들을 놓게 되면 가압바(36A)(36B)들이 오므려지면서 장착판(14)의 양면을 가압하여 장착이 완료된다.
이러한 장착부재(30)를 급기관(23)의 둘레방향 모서리부에 각각 장착하면 상기 급기관(23)은 상기 장착공(14a)의 중앙 높이에 안정적으로 고정, 유지되며, 이 상태에서 접착제 등으로 장착공(14a)의 틈새를 메우면 급기관(23)의 수평이 틀어지지 않은 상태로 급기관(23)의 장착이 완료된다.
이렇게 장착된 급기관(23)은 접착 전 장착 상태가 유지됨은 물론, 송풍 압력에 의한 진동이 발생하더라도 상기 완충패들이 진동을 흡수함에 따라 급기관(23)이 보다 안정적으로 장착, 유지됨과 동시에, 진동에 의한 소음 발생을 억제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열회수 시스템을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하고, 이러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은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환기라인 11 : 환기팬
12 : 배기관 13 : 환풍관
14 : 장착판
20 : 공조라인 21 : 공조팬
22 : 열교환기 23 : 다이아몬드 동관
24 : 송풍관
30 : 장착부재

Claims (4)

  1. 실내 공기를 흡기하는 환기팬과, 흡기된 실내 공기를 실외로 배기하는 배기관을 구비한 환기라인; 및
    실외 공기를 흡기하는 공조팬과, 흡기된 실외 공기를 실내로 공급하는 급기관을 구비한 공조라인;을 포함한 열회수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배기관과 급기관 중 하나 이상은 구리를 포함한 금속 재질이면서 동판 또는 동코일 또는 동관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하여, 상기 배기관과 급기관 중 하나의 내부에 상기 배기관과 급기관 중 복수개의 다른 하나가 소정 간격 이격되게 배열되어, 배기되는 실내 공기와 흡기되는 실외 공기 사이에 열전도를 통한 열교환이 이루어지게 설치되어 있되,
    상기 급기관은 다이아몬드형 동관이면서 둘레 방향을 따라 내, 외측 지그재그 방향으로 절곡 성형된 주름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회수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급기관을 지나는 실외 공기와 상기 배기관을 지나는 실내 공기는 서로 반대 방향으로 흐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회수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관은 사각 단면 형상의 외장 덕트로써, 외장 덕트 내부에 상기 급기관이 플렌지 타입으로 거치되도록 상기 급기관이 끼워지는 다이아몬드형 장착공을 구비한 장착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회수 시스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공의 내경이 상기 다이아몬드형 동관의 외경보다 크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회수 시스템.
KR1020200094014A 2020-07-28 2020-07-28 동 재질을 이용한 열회수 시스템 KR1022040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4014A KR102204056B1 (ko) 2020-07-28 2020-07-28 동 재질을 이용한 열회수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4014A KR102204056B1 (ko) 2020-07-28 2020-07-28 동 재질을 이용한 열회수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04056B1 true KR102204056B1 (ko) 2021-01-18

Family

ID=742367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94014A KR102204056B1 (ko) 2020-07-28 2020-07-28 동 재질을 이용한 열회수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04056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21045A (ko) * 2015-08-17 2017-02-27 양석표 열회수용 환기 덕트
KR20190013430A (ko) * 2017-07-31 2019-02-11 김대일 에너지 절약형 실내 환기 덕트 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21045A (ko) * 2015-08-17 2017-02-27 양석표 열회수용 환기 덕트
KR20190013430A (ko) * 2017-07-31 2019-02-11 김대일 에너지 절약형 실내 환기 덕트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094894B2 (ja) 空調システム
CN101979927B (zh) 一种转轮除湿与冷板辐射供冷的复合式空调系统及其空气调节方法
KR102047444B1 (ko) 에너지 절약형 실내 환기 덕트 시스템
KR101872225B1 (ko) 급배기 겸용 역류방지댐퍼와 축열소자를 이용한 고효율 환기시스템
Dieckmann et al. Air-to-air energy recovery heat exchangers
KR20120096679A (ko) 열에너지 회수형 환기장치
CN205090669U (zh) 一种空调蒸发器及空调系统
WO2013060105A1 (zh) 毛细管网仿生空调系统
CN102425820A (zh) 一种可以实现夜间通风的分体式空调器
JP2006189241A (ja) 室内空気の換気装置と換気方法
KR20100011144A (ko) 히트펌프가 구비된 환기장치
CN203964178U (zh) 带全热新风净化一体型风管室内机
KR102204056B1 (ko) 동 재질을 이용한 열회수 시스템
CN101699176B (zh) 一种带显热回收功能的空调箱
CN201429163Y (zh) 新型新风换气机
CN205332357U (zh) 一种双温空调室内机
CN201513999U (zh) 一种节能环保通风系统
CN211011666U (zh) 一种余热回收型高送风温度新风除湿机组
CN203657137U (zh) 一种自调温热回收型通风系统
KR101270510B1 (ko) 비대칭형 하이브리드 폐열 회수 환기장치
CN2669062Y (zh) 一种具有热回收功能的新风处理装置
KR100601214B1 (ko) 폐열회수 환기장치
CN214275937U (zh) 一种制热运行除湿空调
KR102484540B1 (ko) 탄소중립 고효율 열 회수 시스템
CN213019956U (zh) 一种卫生间用空调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