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04048B1 -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측정을 설정하는 정보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측정을 설정하는 정보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04048B1
KR102204048B1 KR1020140003190A KR20140003190A KR102204048B1 KR 102204048 B1 KR102204048 B1 KR 102204048B1 KR 1020140003190 A KR1020140003190 A KR 1020140003190A KR 20140003190 A KR20140003190 A KR 20140003190A KR 102204048 B1 KR102204048 B1 KR 1022040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asurement
nct
base station
information
ce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031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95969A (ko
Inventor
안재현
권기범
정명철
허강석
Original Assignee
팬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팬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팬텍 주식회사
Priority to PCT/KR2014/000303 priority Critical patent/WO2014115989A1/ko
Publication of KR201400959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959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040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040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10Scheduling measurement reports ; Arrangements for measurement repor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8Access point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측정 설정 정보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은 NCT 반송파로 구성된 NCT(New Carrier Type) 셀 관련 정보를 기초로 결정되는 측정 설정 관련 정보를 네트워크로부터 수신함, NCT 관련 측정을 설정하는 측정 설정 정보를 포함하는 RRC 연결 재설정을 단말로 전송함 및 상기 단말이 측정을 수행한 결과를 포함하는 측정 보고를 상기 단말로부터 수신함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측정을 설정하는 정보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TRANMITTING OR RECEIVING CONFIGURATION INFORMATION OF MEASUREMENT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본 발명은 무선통신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단말이 수행하는 측정을 설정하는 정보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무선통신 시스템은 송신을 위해 대역폭을 이용한다. 예를 들어, 2세대 무선통신 시스템은 200KHz ~ 1.25MHz의 대역폭을 사용하고, 3세대 무선통신 시스템은 5MHz ~ 10 MHz의 대역폭을 사용한다. 증가하는 송신 용량을 지원하기 위해, 20MHz 또는 그 이상까지 계속 그 대역폭을 확장하고 있다. 송신 용량을 높이기 위해서 대역폭을 늘리는 것은 필수적이라 할 수 있지만, 요구되는 서비스의 수준이 낮은 경우에도 큰 대역폭을 지원하는 것은 커다란 전력 소모를 야기할 수 있다.
하나의 대역폭과 중심 주파수를 갖는 반송파를 정의하고, 복수의 반송파를 통해 광대역으로 데이터를 송신 및/또는 수신할 수 있도록 하는 다중 요소반송파(Multiple Component Carrier) 시스템이 있다. 다중 반송파 시스템은 반송파 집성(carrier aggregation)을 지원할 수 있는 무선통신 시스템을 의미한다. 반송파 집성이란 조각난 작은 대역을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위한 기술이며, 주파수 영역에서 물리적으로 비연속적인(non-continuous) 다수 개의 밴드를 묶어 논리적으로 큰 대역의 밴드를 사용하는 것과 같은 효과를 낼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의 반송파가 5MHz의 대역폭에 대응된다면, 4개의 반송파를 사용함으로써 최대 20MHz의 대역폭을 지원할 수 있다.
상기 반송파 집성과 관련하여, 단말이 지원하는 서빙셀들의 특성을 고려한 전력 불균형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이 필요한 실정이다. 일 예로, 단말이 다수의 반송파들을 지원함에 따라 발생되는 전력 불균형에 대하여, 주반송파 및 또는 다수의 부반송파들 중 특정 부반송파의 특성을 고려한 구체적인 전력 불균형 해결 기법이 필요하다.
반송파의 운용 효율을 높이기 위해 NCT(New Carrier Type)이 제안된다. 운용 효율 향상의 예로, 제어 신호 오버헤드 감쇠(control signaling overhead reduction), 네트워크 및 단말 전력 절약(network and MS power saving) 및 간섭 감쇠(interference reduction)등이 있다.
운용 효율을 높이기 위해서 NCT에서는 LCT(Legacy Carrier Type)에서 기준 신호(Reference Signal : RS), 방송 신호(Broadcasting signal) 등에 변화를 기대하고, LCT와 같이 운용하는데 있어서 여러 제약이 발생할 것이다.
LCT와 독립적으로 NCT를 동작시키는 개념, 즉, standalone NCT에 대해서도 고려되지만, 일단 LCT와 연계된 NCT(NCT associated with LCT)가 기본 개념으로서 제시된다. 여기서, LCT와 연계된 NCT를 non-standalone NCT라고 부른다. Non-standalone NCT는 주서빙셀로서 사용될 수는 없다. 즉, 주서빙셀로서는 LCT 반송파 만을 사용되며, 부서빙셀로서 non-standalone NCT 반송파가 사용될 수 있다.
이때, 레거시 단말(Legacy UE)와 기존 네트워크(Legacy network)는 NCT 반송파에 대한 존재를 모르기 때문에, NCT 반송파가 측정(measurement) 상에서 제거되지 않으면 레거시 단말에서의 불필요한 측정 트리거링가 수행되거나 불필요한 측정보고가 네트워크에게 전달될 수 있다. 이러한, 오동작들을 방지하기 위한 방법이 네트워크 측면과 단말 측면에서 제안된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측정 설정 정보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기술적 과제는 NCT 셀을 고려한 측정을 수행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측정 결과로부터 NCT 셀 관련 결과의 보고를 무시하는 방법 및 장치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NCT 셀을 고려한 측정 설정 정보를 생성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르면, 기지국이 측정 설정 정보를 전송하는 방법은 NCT 반송파로 구성된 NCT(New Carrier Type) 셀 관련 정보를 기초로 결정되는 측정 설정 관련 정보를 네트워크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NCT 관련 측정을 설정하는 측정 설정 정보를 포함하는 RRC 연결 재설정을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단말이 측정을 수행한 결과를 포함하는 측정 보고를 상기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단말이 측정을 수행하는 방법은 NCT 셀 정보를 기초로 NCT 관련 측정을 설정하는 측정 설정 정보를 포함하는 RRC 연결 재설정을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기 측정 설정 정보를 기초로 NCT를 고려한 측정을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측정을 수행한 결과를 포함하는 측정 보고를 상기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에 따르면, 측정 설정 정보를 전송하는 기지국은 NCT 반송파로 구성된 NCT(New Carrier Type) 셀 관련 정보를 기초로 결정되는 측정 설정 관련 정보를 네트워크로부터 수신하는 수신부, NCT 관련 측정을 설정하는 측정 설정 정보를 포함하는 RRC 연결 재설정을 단말로 전송하는 전송부를 포함하며, 상기 수신부는 상기 단말이 측정을 수행한 결과를 포함하는 측정 보고를 상기 단말로부터 수신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에 따르면, 측정을 수행하는 단말은 NCT 셀 정보를 기초로 NCT 관련 측정을 설정하는 측정 설정 정보를 포함하는 RRC 연결 재설정을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측정 설정 정보를 기초로 NCT를 고려한 측정을 수행하는 측정부 및 상기 측정을 수행한 결과를 포함하는 측정 보고를 상기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전송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LCT와 NCT 반송파가 공존하더라도 레거시 단말이 측정을 오작동없이 수행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모빌리티(mobility), MRO(mobility robustness optimization) 등의 과정에서의 오류를 방지할 수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무선통신 시스템을 나타낸다.
도 2 내지 도 4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반송파 집성의 예를 나타낸다.
도 5는 다중 반송파 시스템에서 하향링크 요소 반송파와 상향링크 요소 반송파간의 연결설정을 나타낸다.
도 6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CRS 및 TRS 전송 영역의 일 예를 나타낸다.
도 7 내지 도 9는 레거시 단말이 측정을 수행하는 환경의 일 예를 나타낸다.
도 10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레거시 단말에서 NCT 반송파를 측정하는 것의 일 예를 나타낸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라서 측정 설정 정보를 송수신함의 일 예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라서 측정 설정 정보를 송수신함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라서 측정 설정 정보를 송수신함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에 따라서 측정 설정 정보를 송수신하는 기지국의 동작의 일 예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에 따라서 측정 설정 정보를 수신하는 단말의 동작의 일 예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에 따라서 측정 설정 정보를 송수신하는 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무선통신 시스템을 나타낸다.
도 1을 참조하면, 무선통신 시스템(10)은 음성, 패킷 데이터 등과 같은 다양한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널리 배치된다. 무선통신 시스템(10)은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11; evolved-NodeB, eNB)을 포함한다. 각 기지국(11)은 특정 셀(cell)(15a, 15b, 15c)에 대해 통신 서비스를 제공한다. 하나의 기지국은 다수의 셀을 담당할 수 있다. 기지국(11)은 셀룰러 통신을 위해 단말과의 정보 및 제어 정보 공유 등을 수행하게 되는 송수신단을 의미하며 BS(Base Station), BTS(Base Transceiver System),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 펨토(femto) 기지국, 가내 기지국(Home nodeB), 릴레이(relay) 등 다른 용어로 불릴 수 있다. 셀은 메가셀, 매크로셀, 마이크로셀, 피코셀, 펨토셀 등 다양한 커버리지 영역을 모두 포괄하는 의미이다.
단말(12; user equipment, UE)은 고정되거나 이동성을 가질 수 있으며, MS(mobile station), MT(mobile terminal), UT(user terminal), SS(subscriber station), 무선기기(wireless device),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무선 모뎀(wireless modem), 휴대기기(handheld device) 또는 단말 장치나 무선 장치 등 다른 용어로 불릴 수 있다.
하향링크(downlink)는 기지국(11)에서 단말(12) 방향의 전송링크(transmission link)를 의미하며, 상향링크(uplink)는 단말(12)에서 기지국(11) 방향으로의 전송링크를 의미한다. 하향링크에서 송신기는 기지국(11)의 일부분일 수 있고, 수신기는 단말(12)의 일부분일 수 있다. 상향링크에서 송신기는 단말(12)의 일부분일 수 있고, 수신기는 기지국(11)의 일부분일 수 있다.
상향링크 전송 및 하향링크 전송은 서로 다른 시간을 사용하여 전송되는 TDD(Time Division Duplex) 방식이 사용되거나 서로 다른 주파수를 사용하여 전송되는 FDD(Frequency Division Duplex) 방식이 사용될 수 있다.
단말(12)과 기지국(11) 사이의 무선 인터페이스 프로토콜(radio interface protocol)의 계층들은 통신시스템에서 널리 알려진 개방형 시스템간 상호접속 (Open System Interconnection; OSI) 모델의 하위 3개 계층을 바탕으로 제1 계층(L1), 제2 계층(L2), 제3 계층(L3)으로 구분될 수 있다. 이 중에서 제1 계층에 속하는 물리계층은 물리채널(physical channel)을 이용한 정보 전송 서비스(information transfer service)를 제공할 수 있다.
물리계층에서 물리채널들이 사용된다. 물리하향링크 제어 채널(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이하 PDCCH)은 하향링크 공용채널(Downlink Shared Channel: DL-SCH)의 자원 할당 및 전송 포맷을 나르고, 상향링크 공용채널(Uplink Shared Channel: UL-SCH)의 자원 할당 정보를 나르고, 물리하향링크 공용채널(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 PDSCH)상으로 전송되는 랜덤 액세스 응답과 같은 상위 계층 제어 메시지의 자원 할당, 임의의 단말 그룹내 개별 단말들에 대한 전송 전력 제어(transmission power control: TPC) 명령(command)의 집합 등을 나를 수 있다.
반송파 집성(carrier aggregation; CA)은 복수의 요소 반송파를 지원하는 기술이며, 스펙트럼 집성 또는 대역폭 집성(bandwidth aggregation)이라고도 한다. 반송파 집성에 의해 묶이는 개별적인 단위 반송파를 요소 반송파(component carrier : CC)라고 하며, 각 CC는 대역폭과 중심 주파수로 정의될 수 있다. 반송파 집성은 증가되는 수율(throughput)을 지원하고, 광대역 RF(radio frequency) 소자의 도입으로 인한 비용 증가를 방지하고, 기존 시스템과의 호환성을 보장하기 위해 도입되는 것이다. 예를 들어, 5MHz 대역폭을 갖는 반송파 단위의 그래뉼래리티(granularity)로서 5개의 CC가 할당된다면, 최대 25Mhz의 대역폭을 지원할 수 있는 것이다.
CC는 활성화 여부에 따라 1차(primary) CC(이하 PCC) 또는 2차(secondary) CC(이하 SCC)로 나뉠 수 있다. PCC는 항상 활성화되어 있는 반송파이고, SCC는 특정 조건에 따라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되는 반송파이다. 여기서, 활성화는 트래픽 데이터의 송신 또는 수신이 행해지거나 준비 상태(standby state)에 있는 것을 말한다. 또한, 비활성화는 트래픽 데이터의 송신 또는 수신이 불가능하고, 측정이나 최소 정보의 송신/수신이 가능한 것을 말한다. 단말은 하나의 PCC만을 사용하거나, PCC와 더불어 하나 또는 그 이상의 SCC를 사용할 수 있다. 단말은 PCC 및/또는 SCC를 기지국으로부터 할당받을 수 있다.
도 2 내지 도 4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반송파 집성의 예를 나타낸다. 도 2는 밴드내 인접 반송파 집성(intra-band contiguous CA)의 예이고, 도 3은 밴드내 비인접 반송파 집성(intra-band non-contiguous CA)의 예이고, 도 4는 밴드간 반송파 집성(inter-band CA)의 예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밴드내 인접 반송파 집성은 동일 밴드내에서 인접한(또는 연속적인) CC들 사이에서 이루어진다. 예를 들어, 집성되는 CC들인 CC#1, CC#2, CC#3, ... , CC #N이 모두 인접하다.
도 3을 참조하면, 밴드내 비인접 반송파 집성은 불연속적인 CC들 사이에 이루어진다. 예를 들어, 집성되는 CC들인 CC#1, CC#2는 서로 특정 주파수만큼 이격되어 존재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밴드간 반송파 집성은 다수의 CC들이 존재할 때, 그 중 하나 이상의 CC가 다른 주파수 대역상에서 집성되어 이루어진다. 예를 들어, 집성되는 CC들인 CC #1은 밴드(band) #1에 존재하고, CC #2는 밴드 #2에 존재하고, CC #N은 밴드 #K에 존재할 수 있다.
하향링크와 상향링크 간에 집성되는 반송파들의 수는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하향링크 CC 수와 상향링크 CC 수가 동일한 경우를 대칭적(symmetric) 집성이라고 하고, 그 수가 다른 경우를 비대칭적(asymmetric) 집성이라고 한다.
또한, CC들의 크기(즉 대역폭)는 서로 다를 수 있다. 예를 들어, 70MHz 대역의 구성을 위해 5개의 CC들이 사용된다고 할 때, 5MHz CC(carrier #0) + 20MHz CC(carrier #1) + 20MHz CC(carrier #2) + 20MHz CC(carrier #3) + 5MHz CC(carrier #4)과 같이 구성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 다중 반송파(multiple carrier) 시스템이라 함은 반송파 집성을 지원하는 시스템을 말한다. 다중 반송파 시스템에서 인접 반송파 집성 및/또는 비인접 반송파 집성이 사용될 수 있으며, 또한 대칭적 집성 또는 비대칭적 집성 어느 것이나 사용될 수 있다.
도 5는 다중 반송파 시스템에서 하향링크 요소 반송파와 상향링크 요소 반송파간의 연결설정(linkage)을 나타낸다.
도 5를 참조하면, 하향링크에서 하향링크 요소 반송파(Downlink CC : DL CC)인 D1, D2, D3이 집성되고, 상향링크에서 상향링크 요소 반송파(Uplink CC : UL CC) U1, U2, U3이 집성되어 있다. 여기서 Di는 DL CC의 인덱스이고, Ui는 UL CC의 인덱스이다(i=1, 2, 3). 적어도 하나의 DL CC는 PCC이고, 나머지는 SCC이다. 마찬가지로, 적어도 하나의 UL CC는 PCC이고, 나머지는 SCC이다. 예를 들어, D1, U1이 PCC이고, D2, U2, D3, U3은 SCC이다.
FDD 시스템에서 DL CC와 UL CC는 1:1로 연결 설정되며, D1은 U1과, D2는 U2와, D3은 U3과 각각 1:1로 연결 설정된다. 단말은 논리채널 BCCH(Broadcast Control Channel)가 전송하는 시스템정보 또는 DCCH(Dedicated Control Channel)가 전송하는 단말전용 RRC메시지를 통해, 상기 DL CC들과 UL CC들간의 연결설정을 한다. 각 연결설정은 셀 특정하게(cell specific) 설정할 수도 있으며, 단말 특정하게(UE specific) 설정할 수도 있다.
도 5는 DL CC와 UL CC간의 1:1 연결설정만을 예시로 들었으나, 1:n 또는 n:1의 연결설정도 성립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요소 반송파의 인덱스는 요소 반송파의 순서 또는 해당 요소 반송파의 주파수 대역의 위치에 일치하는 것은 아니다.
한편, 본 발명에 적용되는 새로운 타입의 반송파(New Carrier Type : NCT)을 설명한다.
무선 통신 시스템(예, LTE 통신 시스템)에서는 반송파의 운용 효율을 높이기 위해 새로운 타입의 반송파 NCT가 사용될 수 있다. NCT의 사용 목적은 오버헤드(overhead)의 감소, 네트워크와 단말의 전력 절감 및 간섭의 감쇠 등이다. 또는 해당 타입의 반송파가 서비스하고 있는 데이터의 성질에 따라 활성화된 서비스가 없을 때에 반송파의 RF를 on/off하여 기지국 간의 간섭을 줄이고, 전력 절감의 효과를 얻기 위함일 수도 있다. 또는 3D MIMO(or FD-MIMO or massive MIMO)와 같이 기존과는 다른 수평/수직 (horizontal/vertical) 방향의 차원 (dimension)을 갖는 MIMO 시스템을 지원하기 위함일 수도 있다.
NCT가 아닌 반송파(예, rel-8 또는 rel-10에서 사용되는 반송파, 이하 LCT(legacy carrier type)라한다)와 NCT는 기준 신호(reference signal : RS) 또는 방송 신호(Broadcasting signal : BS)를 전송함에 있어서 차이점이 있을 수 있다.
NCT 반송파와 LCT 반송파가 하나의 네트워크 상에서 반드시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인 것은 아니다. 하나의 네트워크 상에서 동일한 주파수 대역을 통해서 NCT 반송파와 LCT 반송파가 구성되어 전송에 쓰일 수도 있다.
NCT는 LCT와 독립적으로 동작되는 NCT인 '독립 NCT'('standalone NCT'이라고도 한다)와 LCT와 연계된 NCT인 'LCT 연계 NCT'('NCT associated with LCT' 또는 'non-standalone NCT', 또는 '연계 NCT'라 한다)가 있다.
본 발명에서, 'LCT와 연계된 NCT'라 함은 해당 NCT에서의 RRC(Radio Resource Control) 설정을 LCT를 통해서 수행하게 됨을 의미한다. 즉, LCT를 통해 RRC 연결 설정된 NCT를 non-standalone NCT라 칭한다. 해당 NCT 는 연계된 LCT가 없이 독립적으로 단말의 접근(access)을 허용하지 못한다.
NCT 셀은 NCT 반송파로 구성된(consist of) 셀을 말한다. 이종간 네트워크 시스템 (HetNet network system)에서 LCT 셀은 매크로 셀(Macro cell)을 의미하고, NCT 셀은 매크로 셀에 연결되는 소형 셀(small cell)을 의미할 수 있음을 포함한다. 다시 설명하면, 'NCT associated with LCT'는 'NCT associated with Macro cell'라 정의될 수 있다. 또는, NCT 셀은 반송파 집성 상황에서는 매크로 셀(macro cell)일 수도 있다. 즉, NCT 셀이라 함은 셀의 크기에 종속되어있는 개념은 아니다.
레거시 단말(legacy UE)는 NCT 반송파의 존재를 알지 못하는(not know the existence) 단말을 말하며, 레거시 기지국(legacy eNB)는 NCT 반송파의 존재를 알지 못하는 기지국을 말하며, 레거시 네트워크(legacy network)는 NCT 반송파의 존재를 알지 못하는 기지국을 말한다. 또한, NCT 단말은 NCT 반송파의 존재를 알고 있으며 NCT 반송파를 다루거나(implement) 관리(manage)할 수 있는 단말을 말하며, NCT 기지국은 NCT 반송파의 존재를 알고 있으며 NCT 반송파를 다루거나 관리할 수 있는 기지국을 말하며, NCT 네트워크는 NCT 반송파의 존재를 알고 있으며 NCT 반송파를 다루거나 관리할 수 있는 네트워크를 말한다.
독립 NCT(standalone NCT)는 주서빙셀(Primary serving cell : PCell)로서 사용될 수 있지만, 연계 NCT(non-standalone NCT)는 주서빙셀로서 사용될 수 없다. 독립 NCT 및 연계 NCT 모두 부서빙셀로서 사용될 수 있다. 일 예로, 네트워크는 독립 NCT를 주서빙셀에서 사용하고, 연계 NCT를 부서빙셀에서 사용할 수 있다.
NCT에서 기준 신호(Reference Signal : RS)가 간소화되어 사용될 수 있으며, 이러한 RS를 '감소된 CRS(reduced CRS)' 또는 'TRS(Tracking Reference Signal)'라고도 부른다.
TRS는 측정을 위하여 사용되거나, 동기 신호(synchronized signal)을 추적(tracking)하는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TRS는 매 서브프레임마다 전송되지 않을 수 있으며, 정확도가 떨어진다고 판단되면 채널 추정을 위하여 사용되지 않을 수 있다.
셀특정 RS(Cell-specific RS : CRS)는 채널 추정(channel estimation)을 위해서 사용되거나, RRM 측정을 위하여(예, 평균값을 통해서 채널 품질(channel quality)를 판단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MIMO 시스템(예, 8*8 안테나)은 CSI-RS(Channel State Information RS)를 측정에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반송파의 운용 효율을 높이기 위해 새로운 타입의 반송파(New Carrier Type : NCT)가 사용될 수 있다. NCT를 이용하면 제어 신호의 전송으로 인한 오버헤드(overhead)가 감소하고, 네트워크와 단말의 전력을 절감하고, 간섭이 감쇠되는 효과가 있다.
NCT는 기준 신호(reference signal : RS) 또는 방송 신호(Broadcasting signal)를 전송하는 경우는 NCT가 아닌 레거시 반송파(legacy carrier type:LCT)를 전송하는 경우와는 다른 제약이 있을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CRS 또는 TRS 전송 영역의 일 예를 나타낸 것으로, 상기 언급한 NCT의 다양한 형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CRS 안테나 포트(예, 안테나 포트 0)을 이용하여 자원 요소를 맵핑할 수 있다(600). 단말이 반송파를 통해서 수신하는 데이터를 복조(demodulation) 하기 위해서 DM-RS(DeModulation-Reference Signal)가 사용될 수 있다. 여기서, DM-RS는 데이터가 전송되는 영역에 대해서만 특정 단말에 대해서 구분되어 전송되는 RS를 말한다. 단말이 기지국으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지 않는 영역에 대해서는 DM-RS가 전송되지 않는다.
한편, 일 예로 CRS는 모든 서브프레임에 전 시스템 대역(System Bandwidth)에 걸쳐서 디자인될 수 있다(610).
반면, TRS 또는 감소된 CRS는 CRS의 서브셋(subset)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TRS 또는 감소된 CRS의 서브셋의 구성은 시간 상에서 이루어지거나, 주파수 상에서 이루어지거나, 시간 및 주파수 상에서 동시에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일 예로, 시간 측면에서 특정 서브프레임에서 TRS 또는 감소된 CRS가 전송될 수 있다. 예를 들어, TRS 또는 감소된 CRS의 서브셋의 구성은 5ms마다 한번씩 전송되도록 디자인 될 수 있다(620).
다른 예로, 주파수 측면에서 시스템 대역의 일부 대역에서 TRS 또는 감소된 CRS가 전송될 수 있다(630).
또 다른 예로, 시간 및 주파수 측면에서 특정 서브프레임에 시스템 대역의 일부 대역에서 TRS 또는 감소된 CRS가 전송될 수 있다. 예를 들어, TRS 또는 감소된 CRS의 서브셋의 구성은 5ms마다 한번씩 전송되며 시스템 대역의 일부 대역에서 전송될 수 있다(640).
도 7 내지 도 9는 레거시 단말이 측정을 수행하는 환경의 일 예를 나타낸다.
도 7은 레거시 단말이 NCT 셀 근처에 위치(locate)하는 NCT 기지국에 연결되는 상황을 나타낸다.
도 7을 참조하면, 레거시 단말은 NCT 기지국에 의해서 측정 설정이 주어지며, 주변에 NCT 셀이 존재할 수 있는 환경에 있다.
도 8은 레거시 단말이 NCT 셀 근처에 위치하는 레거시 기지국에 연결되며, 레거시 기지국이 NCT 네트워크에 의해서 관리되는 상황을 나타낸다.
도 8을 참조하면, 레거시 단말은 레거시 기지국에 의해서 측정 설정이 주어지며, 주변에 NCT 셀이 존재할 수 있는 환경에 있다.
도 9는 레거시 단말이 NCT 셀 근처에 위치하는 레거시 기지국에 연결되며, 레거시 기지국은 레거시 네트워크에서 관리된다.
도 9를 참조하면, 레거시 단말은 레거시 기지국에 의해서 측정 설정이 주어지고, 주변에 NCT 셀이 존재할 수 있는 환경에 있다. 이때, 레거시 기지국 및 NCT 기지국 모두 NCT 네트워크에 의해서 관리되거나, 레거시 기지국은 레거시 네트워크에서 관리되고 NCT 기지국은 NCT 네트워크에서 관리될 수 있다. 레거시 네트워크 및 NCT 네트워크 사이에 신호가 송수신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레거시 단말에서 NCT 반송파를 측정하는 것의 일 예를 나타낸다.
도 10을 참조하면, 측정 샘플(measurement sample)은 특별한 패턴 제약(pattern restriction)이 없을 때 내부 알고리즘(예, 단말 내부의 알고리즘)에 의해서 결정된다.
따라서, 레거시 단말의 경우 TRS의 위치와 측정 샘플간에 시간 프레임(time frame) 상에서 일치하지 않을 경우(1010, 1030)에 측정값이 일치하는 경우(1020)와 비교하여 큰 차이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
여기서, 측정 값 또는 측정 샘플은 RSRP(Reference Signal Received Power)인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되지만, RSRQ(Reference Signal Received Quality)일 수 있으며, RSRQ인경우에도 유사하게 적용된다.
이와 같이 TRS의 위치와 측정 샘플간에 시간 프레임 상에서 일치하지 않을 경우 생기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는 네트워크에서 측정 설정 방안 또는 단말의 측정 방안이 요구된다.
이제, 본 발명에 따른 측정 설정 정보 전송 방법 및 장치를 설명한다. 이하에서, NCT는 주서빙셀로 설정될 수 없는 'non-standalone NCT' 또는 연계 NCT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단 NCT가 standalone NCT인 경우에도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단말은 RRC 연결 모드에서 동작하고 있는 상황이다.
또한, 네트워크라 함은 기지국과 OAM(Operation And Management)을 제외한 코어 네트워크(core network)의 구성 요소들을 말하며, 일 예로, MME(Mobile Mobility Entity), PGW(Packet data network GateWay), SGW(Serving GateWay)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라서 측정 설정 정보를 송수신함의 일 예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상기 도 7과 같이 레거시 단말이 NCT 셀 근처에 위치하는 NCT 기지국에 연결되는 경우이며, NCT 기지국으로부터 설정되는 레거시 단말이 NCT 반송파를 측정하는 경우이다.
OAM으로부터 측정 설정 관련 정보가 네트워크로 전송된다(S1100). 여기서, 측정 설정 관련 정보는 NCT 네트워크로 NCT 셀 정보(NCT cell information), NCT 반송파의 측정 제한(measurement restriction) 관련 정보 또는 MDT(Minimization of Drive Test) 영역 범위(MDT area scope, 예를 들어, TA(Tracking Area)) 정보를 포함한다.
일 예로, NCT 셀 정보는 NCT 셀을 포함하는 주파수 반송파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NCT 셀을 포함하는 주파수 반송파는 EARFCN(E-UTRA Absolute Radio Frequency Channel Number) 값으로 지시 될 수 있다.
다른 예로, NCT 셀 정보는 NCT 셀로 구성된 NCT 셀 리스트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NCT 셀 리스트는 물리적 셀 ID(physical cell ID : PCI)의 리스트로 구성되거나, ECGI(E-UTRAN Cell Global Identifier) 리스트로 구성될 수 있다. PCI는 기지국에서 PSS/SSS(Primary Synchronized Signal/Secondary Synchronized Signal)를 통해 전송하는 ID 값을 말한다. ECGI는 글로벌하게(globally) 셀을 구분하는 ID로서 PLMN ID(Public Land Mobile Network ID), 셀 ID를 포함할 수 있다. 셀 ID는 기지국 ID를 포함할 수 있다.
NCT 반송파의 측정 제한 관련 정보는 측정이 가능한 위치 또는 측정이 제한되는 위치를 알려주는 정보일 수 있다. 일 예로, 측정 제한에 관련된 정보는 어떠한 서브프레임에서 측정이 가능한지를 비트맵 패턴(Bitmap pattern)의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해당 비트맵 패턴은 하나의 비트맵 패턴일 수도 있고, 여러 개의 비트맵 패턴일 수도 있다. 또한 셀 별로 다른 비트맵 패턴을 포함한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다.
단계 S1100에 이어서, NCT 네트워크는 측정 설정 관련 정보를 NCT 기지국으로 전달한다(S1105). 측정 설정 관련 정보는 앞서 설명한 측정 NCT 셀 정보, NCT 반송파의 측정 제한 관련 정보 또는 MDT 영역 범위(예를 들어, TA) 정보를 말한다.
측정 제한 정보를 네트워크에서 결정해서 기지국으로 전달할 수 있는데, 네트워크는 TRS를 적절히 측정할 수 있도록 설정한다. 이때, 측정 제한 정보는 비트맵 패턴을 포함하거나 측정 주기 및 오프셋 값을 포함할 수 있다.
MDT 영역 범위 정보(또는 MDT 영역 정보라고도 한다)는 NCT 셀에 관한 측정이 수행되지 않도록 설정하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네트워크가 MDT 영역 범위를 설정할 때, MDT 영역에서 NCT 셀을 제외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일 예로, NCT 네트워크는 MDT 영역에서 셀을 정의를 할 때, NCT 셀을 제외한 셀들을 설정하여 시그널링 할 수 있다.
다른 예로, NCT 네트워크는 MDT 영역과 함께 블랙 셀 리스트(Black cell list)를 설정하여 시그널링할 수 있다. 즉, NCT 셀과 같이 로그된 MDT(logged MDT)에서 제외할 셀에 대해서 추가적으로 설정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MDT 영역에서 NCT 셀이 제외되지 않은 채 시그널링 될 수 있다. 이때, NCT 네트워크는 MDT 영역에서 NCT 셀을 제거하는 작업은 NCT 기지국이 수행하도록 관련 정보만 시그널링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MDT 영역에서 NCT 셀을 제거하는 작업이 NCT 기지국에서 수행되는 경우, 레거시 기지국에서는 NCT 셀을 제거할 수 있다.
다음 표는 MME 에서 기지국으로 전송되는 MDT 초기 콘텍스트 셋업(Initial Context Setup) 정보(또는 메시지)에 포함되는 MDT 설정 파라미터(MDT configuration parameter)의 일 예를 나타낸다. 즉, MDT 초기 콘텍스트 셋업 정보는 다음 표의 파라미터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MME에서 기지국에게 MDT를 활성화할 때, MDT 설정 파라미터는 초기 콘텍스트 셋업 내 메시지에 포함될 수 있다.
파라미터
Area scope (TA, Cell)
Trace Reference
Trace Recording Session Reference
List of measurements
Reporting Trigger
Report Amount
Report Interval
Event Threshold
Logging Interval
Logging Duration
IP address of Trace Collection Entity
Measurement period for M4
Measurement period for M5
Positioning method
단계 S1105에 이어서, NCT기지국은 단말에 대하여 RRC 연결 재설정(RRC connection reconfiguration)을 수행한다(S1110). 일 예로, 기지국이 단말로 RRC 연결 재설정 메시지를 전송한다. RRC 연결 재설정(또는 RRC 재설정 또는 RRC 설정이라고도한다)은 측정 설정 또는 측정 해제설정을 포함한다.
기지국은 네트워크로부터 수신한 측정 설정 관련 정보(예, NCT 셀 정보, NCT 반송파의 측정 제한 정보, MDT 영역 범위)를 참조하여, 레거시 단말에 대해서 측정 해제설정(release configuraton 또는 deconfiguration) 혹은 블랙 리스트를 설정한다.
일 예로, NCT 셀 정보에 특정 주파수 반송파가 모두 NCT로만 구성된다면, 기지국은 해당 주파수를 해당 단말에 대해서 측정 해제설정을 수행한다.
기지국은 측정 설정을 수행할 측정 오브젝트(measurement object)들에 의해서 단말이 측정을 수행해야 하는 주파수 반송파를 지칭한다.
여기서, '측정 해제설정'이라 함은 해당 주파수에 대한 측정 오브젝트를 단말에게 설정해주지 않는 것을 말하며, 단말은 해당 주파수에서 측정을 수행하지 않는다. 또한, '측정 블랙 셀 리스트화'이라 함은 측정 오브젝트 내에 블랙 셀 리스트를 추가하여 해당 주파수에서 해당 셀이 감지(detect)되었을 때에는 해당 셀에 대해서는 측정을 수행하지 않는 동작을 의미한다.
측정 해제 설정의 다른 예로, 측정 제한(Measurement restriction)이 있다.
측정 제한이란 NCT 반송파가 주변 셀(또는 이웃셀)에 겹쳐 있을 때, TRS가 존재하는 영역에서만 레거시 단말이 측정을 수행하도록 제한하는 기법이며, 일 예로, RSRP, RSRQ, CSI 등을 측정하는 서브프레임을 제한하는 기법을 말한다. 예를 들어, eICIC(enhance Inter-Cell Interference Cancellation) 동작을 위해서 사용되는 기법이다.
측정 제한을 위해서 비트맵 패턴이 전달될 수 있는데, 상기 비트맵 패턴은 TRS와 프레임 설정(Frame configuration)등을 기초로 결정될 수 있다.
일 예로, 단말 또는 기지국이 eICIC 동작을 위해서 사용되는 비트맵 패턴(예, MeasSubframePatternConfigNeigh)을 이용될 수 있으며, 기지국은 상기 비트맵 패턴 및 비트맵 패턴이 적용되는 셀 리스트를 단말로 시그널링할 수 있다. eICIC 동작을 위해서 사용되는 비트맵 패턴이라 함은 간섭을 피하기 위해 특정 서브프레임에서만의 측정을 위해 쓰이는 비트맵 패턴을 의미한다. 즉, 해당 비트맵에서 허용하지 않는 영역에서는 단말에서 측정이 수행되지 않는다. 또 다른 예로, 시그널링 되는 비트맵 패턴(예, MeasSubframePatternConfigNeigh)이 복수개일 수 있고, 배트맵 패턴이 적용되는 셀 리스트도 복수개일 수 있다. 또는, 비트맵 패턴 및 비트맵 패턴이 적용되는 셀 리스트의 시그널링이 복수회 수행될 수 있다. 이때, 복수개의 시그널링을 위하여, 레거시 단말은 이러한 복수개의 시그널링 구조에 대해서 인지할 능력이 있다.
다른 예로, 기지국은 새로운 비트맵 패턴(예, MeasSubframePatternConfigNeighForNCT)을 생성하여 단말로 시그널링 할 수 있다. 새로운 비트맵 패턴을 사용하기 위해서, 레거시 단말은 새로운 비트맵 패턴의 시그널링의 구조에 대해서 인지할 능력이 있다.
또 다른 예로, 기지국은 측정 주기 및 오프셋 값을 생성하여 단말로 시그널링할 수 있다.
S1110에 이어서, 단말은 측정을 수행한다(S1115).
단말은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한 측정 설정을 기초로 측정을 수행한다. 이때 단말은 NCT를 고려한 측정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예로(실시예 1), 단말은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한 측정 설정을 기초로 측정을 수행하되, 이상한 징후를 가지는 측정 샘플 경향이 검출될 경우(또는 감지되는 경우, 또는 측정 되는 경우를 포함한다)에 해당 측정 샘플을 무시하는 동작(ignore or denial)을 수행한다.
여기서, '이상한 징후를 가지는 측정 샘플 경향'이란 필터링(예, L1 필터링) 이후 측정 결과 값이 갑작스러운 변화하거나, 측정 결과 값이 지나치게 낮은 값(예, 소정의 임계값 보다 낮은 값)을 갖는 경우를 포함한다.
이때, 일 예로, '갑작스러운 변화'의 정도 또는 '지나치게 낮은 값'의 기준은 기지국의 측정 설정을 기준으로 결정될 수 있다. 즉, 기지국에서 단말로 해당 기준을 시그널링을 통하여 설정하는 것을 의미한다. 다른 예로, '갑작스러운 변화'의 정도 또는 '지나치게 낮은 값'의 기준은 단말 내에서 소정의 특정값으로 정해질 수도 있다. 즉, 모든 기지국과 모든 단말에서, 상기 소정의 특정값을 기준으로 이상한 징후를 가지는 측정 샘플 경향을 포착함이 구현(implementation) 단계에서 인지됨을 말한다. 또 다른 예로, '갑작스러운 변화'의 정도는 dB 단위로 정해질 수 있고(예, 30dB이상의 변화), '지나치게 낮은 값'의 dBm 단위로 정해질 수 있다(예, -40dBm이하의 값).
다른 예로(실시예2), '이상한 징후를 가지는 측정 샘플 경향'이 포착된 경우, 측정 트리거링 이벤트가 수행되지 않을 수 있으며, 트리거링된 셀 리스트에 '이상한 징후를 가지는 측정 샘플 경향'이 포착된 셀을 추가하지 않을 수 있다. 즉, 측정 보고는 '이상한 징후를 가지는 측정 샘플 경향'에 관한 측정 결과가 포함되지 않는다.
S1115에 이어서, 단말은 측정 보고(measurement report)를 기지국으로 전송한다(S1120). 즉, 단말은 측정 결과(measurement result)를 기지국으로 보고한다. 측정 보고는 주기적 트리거링 또는 이벤트 트리거링를 기초로 수행될 수 있다.
일 예로, 기지국은 측정 결과가 보고되더라도 이상한 징후가 포착된 측정 결과는 무시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라서 측정 설정 정보를 송수신함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상기 도 8과 같이 레거시 단말이 NCT 셀 근처에 위치하는 레거시 기지국에 연결되는 경우이며, NCT 네트워크에 의해서 관리되는 레거시 기지국으로부터 설정되는 레거시 단말이 NCT 반송파를 측정하는 경우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OAM으로부터 측정 설정 관련 정보가 네트워크로 전송된다(S1200). 여기서, 측정 설정 관련 정보는 NCT 네트워크로 NCT 셀 정보, NCT 반송파의 측정 제한 관련 정보 또는 MDT 영역 범위(예, TA) 정보를 포함한다.
일 예로, NCT 셀 정보는 NCT 셀을 포함하는 주파수 반송파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NCT 셀을 포함하는 주파수 반송파는 EARFCN 값으로 지시 될 수 있다.
다른 예로, NCT 셀 정보는 NCT 셀로 구성된 NCT 셀 리스트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NCT 셀 리스트는 물리적 셀 ID의 리스트로 구성되거나, ECGI 리스트로 구성될 수 있다. ECGI는 PLMN ID, 셀 ID를 포함할 수 있다. 셀 ID는 기지국 ID를 포함할 수 있다.
단계 S1200에 이어서, NCT 네트워크는 측정 설정 관련 정보를 레거시 기지국으로 전송한다(S1205).
측정 설정 관련 정보는 앞서 설명한 측정 NCT 셀 정보, NCT 반송파의 측정 제한 관련 정보 또는 MDT 영역 범위(예를 들어, TA) 정보를 포함할 수 있는데, 레거시 기지국은 NCT 셀을 알지 못하므로 레거시 기지국이 이해할 수 있는 형태의 정보(예, 블랙 셀 리스트)가 전송될 수 있다.
측정 제한 관련 정보를 네트워크는 TRS를 적절히 측정할 수 있도록 설정한다.
NCT 네트워크가 MDT 영역 범위를 설정할 때, MDT 영역에서 NCT 셀을 제외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일 예로, NCT 네트워크는 MDT 영역에서 셀을 정의를 할 때, NCT 셀을 제외한 셀들을 설정하여 시그널링 할 수 있다.
다른 예로, NCT 네트워크는 MDT 영역과 함께 블랙 셀 리스트를 설정하여 시그널링할 수 있다. 즉, NCT 셀과 같이 로그된 MDT에서 제외할 셀에 대해서 추가적으로 설정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MDT 영역에서 NCT 셀이 제외되지 않은 채 시그널링 될 수 있다. 이때, MDT 영역에서 NCT 셀을 제거하는 작업은 NCT 기지국이 수행하도록 관련 정보만 시그널링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MDT 영역에서 NCT 셀을 제거하는 작업이 NCT 기지국에서 수행되는 경우, 레거시 기지국에서는 NCT 셀을 제거하는 시그널링을 단말에게 전달할 필요가 없다.
이때, 상기 표 1의 MDT 설정 파라미터 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MME 에서 기지국으로 전송되는 MDT 초기 콘텍스트 셋업 정보(또는 메시지)에 포함되어 전송될 수 있다. MME에서 기지국에게 MDT를 활성화할 때, MDT 설정 파라미터는 초기 콘텍스트 셋업 내 메시지에 포함될 수 있다.
단계 S1205에 이어서, NCT기지국은 단말에 대하여 RRC 연결 재설정을 수행한다(S1210). 일 예로, 기지국이 단말로 RRC 연결 재설정 메시지를 전송한다. RRC 연결 재설정(또는 RRC 재설정 또는 RRC 설정이라고도한다)은 측정 설정 또는 측정 해제설정을 포함한다.
기지국은 네트워크로부터 수신한 측정 설정 관련 정보(예, NCT 셀 정보, NCT 반송파의 측정 제한 정보, MDT 영역 범위)를 참조하여, 레거시 단말에 대해서 측정 해제설정 혹은 블랙 리스트를 설정한다.
일 예로, NCT 셀 정보에 특정 주파수 반송파가 모두 NCT로만 구성된다면, 기지국은 해당 주파수를 해당 단말에 대해서 측정 해제설정을 수행한다.
기지국은 측정 설정을 수행할 측정 오브젝트들에 의해서 단말이 측정을 수행해야 하는 주파수 반송파를 지칭한다.
측정 해제 설정의 다른 예로, 측정 제한이 있다.
측정 제한을 위해서 비트맵 패턴이 전달될 수 있는데, 상기 비트맵 패턴은 TRS와 프레임 설정등을 기초로 결정될 수 있다.
일 예로, 단말 또는 기지국이 eICIC 동작을 위해서 사용되는 비트맵 패턴(예, MeasSubframePatternConfigNeigh)을 이용될 수 있으며, 기지국은 상기 비트맵 패턴 및 비트맵 패턴이 적용되는 셀 리스트를 단말로 시그널링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시그널링 되는 비트맵 패턴(예, MeasSubframePatternConfigNeigh)이 복수개일 수 있고, 배트맵 패턴이 적용되는 셀 리스트도 복수개일 수 있다. 또는, 비트맵 패턴 및 비트맵 패턴이 적용되는 셀 리스트의 시그널링이 복수회 수행될 수 있다. 이때, 복수개의 시그널링을 위하여, 레거시 단말은 이러한 복수개의 시그널링 구조에 대해서 인지할 능력이 있다.
다른 예로, 기지국은 새로운 비트맵 패턴(예, MeasSubframePatternConfigNeighForNCT)을 생성하여 단말로 시그널링 할 수 있다. 새로운 비트맵 패턴을 사용하기 위해서, 레거시 단말은 새로운 비트맵 패턴의 시그널링의 구조에 대해서 인지할 능력이 있다.
S1210에 이어서, 단말은 측정을 수행한다(S1215).
일 예로, 단말은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한 측정 설정을 기초로 측정을 수행한다.
다른 예로, 단말은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한 측정 설정을 기초로 측정을 수행하되, 이상한 징후를 가지는 측정 샘플 경향이 검출될 경우(또는 감지되는 경우, 또는 측정 되는 경우를 포함한다)에 해당 측정 샘플을 무시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이때, 일 예로, '갑작스러운 변화'의 정도 또는 '지나치게 낮은 값'의 기준은 기지국의 측정 설정을 기준으로 결정될 수 있다. 다른 예로, '갑작스러운 변화'의 정도 또는 '지나치게 낮은 값'의 기준은 단말 내에서 소정의 특정값으로 정해질 수도 있다. 즉, 모든 기지국과 모든 단말에서, 상기 소정의 특정값을 기준으로 이상한 징후를 가지는 측정 샘플 경향을 포착함이 구현 단계에서 인지됨을 말한다. 또 다른 예로, '갑작스러운 변화'의 정도는 dB 단위로 정해질 수 있고(예, 30dB이상의 변화), '지나치게 낮은 값'의 dBm 단위로 정해질 수 있다(예, -40dBm이하의 값).
또 다른 예로, '이상한 징후를 가지는 측정 샘플 경향'이 포착된 경우, 측정 트리거링 이벤트가 수행되지 않을 수 있으며, 트리거링된 셀 리스트에 '이상한 징후를 가지는 측정 샘플 경향'이 포착된 셀을 추가하지 않을 수 있다. 즉, 측정 보고는 '이상한 징후를 가지는 측정 샘플 경향'에 관한 측정 결과가 포함되지 않는다.
S1215에 이어서, 단말은 측정 보고를 기지국으로 전송한다(S1220). 즉, 단말은 측정 결과를 기지국으로 보고한다. 측정 보고는 주기적 트리거링 또는 이벤트 트리거링를 기초로 수행될 수 있다.
일 예로, 기지국은 측정 결과가 보고되더라도 이상한 징후가 포착된 측정 결과는 무시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라서 측정 설정 정보를 송수신함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상기 도 9와 같이 레거시 단말이 NCT 셀 근처에 위치하는 레거시 기지국에 연결되는 경우이며, 레거시 네트워크에 의해서 관리되는 레거시 기지국으로부터 설정되는 레거시 단말이 NCT 반송파를 측정하는 경우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NCT 네트워크는 OAM으로 NCT 셀 정보를 전달한다(S1300).
여기서, 측정 설정 관련 정보는 NCT 네트워크로 NCT 셀 정보, NCT 반송파의 측정 제한 관련 정보 또는 MDT 영역 범위(예, TA) 정보를 포함한다.
일 예로, NCT 셀 정보는 NCT 셀을 포함하는 주파수 반송파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NCT 셀을 포함하는 주파수 반송파는 EARFCN 값으로 지시 될 수 있다.
S1300에 이어서, OAM은 레거시 네트워크로 수신한 NCT 셀 정보를 기초로 측정 설정 관련 정보를 전달한다(S1305).
레거시 네트워크는 NCT 셀에 관한 존재를 알지 못하므로, OAM은 NCT 네트워크로부터 수신한 NCT 셀 정보를 기초로 레거시 단말이 측정을 수행하거나 수행하지 않아야 할 정보를 전달한다.
일 예로, 측정 설정 관련 정보는 블랙 셀 리스트, 측정 해제설정 정보, 측정 제한 정보 또는 MDT 영역 정보(예, TA, 셀)를 포함한다. 여기서 측정 해제설정 정보라 함은 기존에 설정되어 있던 측정 대역 등을 해제시키는 설정을 의미한다. 예를 들면, 설정되어 있던 측정 대역 중의 일정 대역에 대해서 NCT 셀이 설비(deployment)가 될 경우, 레가시 네트워크는 상기 측정 해제설정 정보를 기반으로 기존에 상기 일정 대역을 측정하고 있던 단말이 더 이상 상기 일정 대역에서 측정을 수행하지 않도록 설정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해당 대역을 제외시키는 일련의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NCT 네트워크는 MDT 영역과 함께 블랙 셀 리스트를 설정하여 시그널링할 수 있다. 즉, NCT 셀과 같이 로그된 MDT의 측정 대상에서 제외할 셀에 대해서 추가적으로 설정할 수 있다.
S1305에 이어서, 레거시 네트워크는 레거시 기지국으로 측정 설정 관련 정보(블랙 셀 리스트, 측정 해제설정 정보, 측정 제한 정보, 또는 MDT 영역 정보(예, TA, 셀))를 전달한다(S1310).
일 예로, 블랙 셀 리스트가 레거시 기지국으로 전달된다.
다른 예로, 측정 해제설정 정보가 레거시 기지국으로 전달된다.
또 다른 예로, 측정 제한 정보가 레거시 기지국으로 전달되며, TRS를 고려하여 TRS를 측정할 수 있는 설정정보가 전달된다.
또 다른 예로, MDT 영역 범위 설정시, NCT 셀을 제외하는 시그널링이 전달된다. 일 예로, MDT 영역 범위에서 셀로 정의할 때 NCT 셀을 제외하도록 하는 설정이 시그널링된다. 다른 예로, MDT 영역 범위와 함께 블랙 셀 리스트가 전달된다. 즉, NCT 셀과 같이 로그된 MDT에서 제외할 셀들을 설정한다.
한편, NCT 셀을 제외하는 시그널링이 별도로 전송되지 않아도, MDT 영역 범위에서 NCT 셀을 제거하는 동작을 NCT 기지국에서 수행할 수도 있다.
S1310에 이어서, 레거시 기지국은 레거시 단말에 대하여 RRC 연결 재설정을 수행한다(S1315). 일 예로, 기지국이 단말로 RRC 연결 재설정 메시지를 전송한다. RRC 연결 재설정(또는 RRC 재설정 또는 RRC 설정이라고도한다)은 측정 설정 또는 측정 해제설정을 포함한다.
기지국은 네트워크로부터 수신한 측정 설정 관련 정보(예, NCT 셀 정보, NCT 반송파의 측정 제한 정보, MDT 영역 범위)를 참조하여, 레거시 단말에 대해서 측정 해제설정(deconfiguraton) 혹은 블랙 리스트를 설정한다.
일 예로, NCT 셀 정보에 특정 주파수 반송파가 모두 NCT로만 구성된다면, 기지국은 해당 주파수를 해당 단말에 대해서 측정 해제설정을 수행한다.
기지국은 측정 설정을 수행할 측정 오브젝트들에 의해서 단말이 측정을 수행해야 하는 주파수 반송파를 지칭한다.
측정 해제 설정의 다른 예로, 측정 제한이 있다.
측정 제한을 위해서 비트맵 패턴이 전달될 수 있는데, 상기 비트맵 패턴은 TRS와 프레임 설정 등을 기초로 결정될 수 있다.
일 예로, 단말 또는 기지국이 eICIC 동작을 위해서 사용되는 비트맵 패턴(예, MeasSubframePatternConfigNeigh)을 이용될 수 있으며, 기지국은 상기 비트맵 패턴 및 비트맵 패턴이 적용되는 셀 리스트를 단말로 시그널링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시그널링 되는 비트맵 패턴(예, MeasSubframePatternConfigNeigh)이 복수개일 수 있고, 배트맵 패턴이 적용되는 셀 리스트도 복수개일 수 있다. 또는, 비트맵 패턴 및 비트맵 패턴이 적용되는 셀 리스트의 시그널링이 복수회 수행될 수 있다. 이때, 복수개의 시그널링을 위하여, 레거시 단말은 이러한 복수개의 시그널링 구조에 대해서 인지할 능력이 있다.
다른 예로, 기지국은 새로운 비트맵 패턴(예, MeasSubframePatternConfigNeighForNCT)을 생성하여 단말로 시그널링 할 수 있다. 새로운 비트맵 패턴을 사용하기 위해서, 레거시 단말은 새로운 비트맵 패턴의 시그널링의 구조에 대해서 인지할 능력이 있다.
또 다른 예로, 기지국은 측정 주기 및 오프셋 값을 생성하여 단말로 시그널링할 수 있다.
단말은 측정을 수행할 수 있다(S1320).
단말은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한 측정 설정을 기초로 측정을 수행한다. 이때 단말은 NCT를 고려한 측정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예로, 단말은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한 측정 설정을 기초로 측정을 수행하되, 이상한 징후를 가지는 측정 샘플 경향이 검출될 경우(또는 감지되는 경우, 또는 측정 되는 경우를 포함한다)에 해당 측정 샘플을 무시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이때, 일 예로, '갑작스러운 변화'의 정도 또는 '지나치게 낮은 값'의 기준은 기지국의 측정 설정을 기준으로 결정될 수 있다. 즉, 기지국에서 단말로 해당 기준을 시그널링을 통하여 설정하는 것을 의미한다. 다른 예로, '갑작스러운 변화'의 정도 또는 '지나치게 낮은 값'의 기준은 단말 내에서 소정의 특정값으로 정해질 수도 있다. 즉, 모든 기지국과 모든 단말에서, 상기 소정의 특정값을 기준으로 이상한 징후를 가지는 측정 샘플 경향을 포착함이 구현 단계에서 인지됨을 말한다. 또 다른 예로, '갑작스러운 변화'의 정도는 dB 단위로 정해질 수 있고(예, 30dB이상의 변화), '지나치게 낮은 값'의 dBm 단위로 정해질 수 있다(예, -40dBm이하의 값).
다른 예로(실시예2), '이상한 징후를 가지는 측정 샘플 경향'이 포착된 경우, 측정 트리거링 이벤트가 수행되지 않을 수 있으며, 트리거링된 셀 리스트에 '이상한 징후를 가지는 측정 샘플 경향'이 포착된 셀을 추가하지 않을 수 있다. 즉, 측정 보고는 '이상한 징후를 가지는 측정 샘플 경향'에 관한 측정 결과가 포함되지 않는다.
S1320에 이어서, 단말은 측정 보고를 기지국으로 전송한다(S1325). 즉, 단말은 측정 결과를 기지국으로 보고한다. 측정 보고는 주기적 트리거링 또는 이벤트 트리거링를 기초로 수행될 수 있다.
일 예로, 기지국은 측정 결과가 보고되더라도 이상한 징후가 포착된 측정 결과는 무시할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에 따라서 측정 설정 정보를 송수신하는 기지국의 동작의 일 예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기지국은 레거시 기지국이거나 NCT 기지국일 수 있으며, NCT 셀 근처에 위치하는 경우일 수 있다. 기지국은 NCT 네트워크 또는 레거시 네트워크로부터 NCT 관련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도 14를 참조하면, 기지국은 네트워크로부터 측정 설정 관련 정보를 수신한다(S1400).
일 예로, 기지국이 NCT 기지국인 경우 측정 설정 관련 정보는 측정 NCT 셀 정보, NCT 반송파의 측정 제한 관련 정보 또는 MDT 영역 범위(예를 들어, TA)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기지국이 레거시 기지국인 경우 측정 설정 관련 정보는 블랙 셀 리스트, 측정 해제 설정 정보, 측정 제한 정보 또는 NCT 반송파를 제외한 MDT 영역 범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NCT 셀 정보는 NCT 셀을 포함하는 주파수 반송파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NCT 셀을 포함하는 주파수 반송파는 EARFCN 값으로 지시 될 수 있다.
다른 예로, NCT 셀 정보는 NCT 셀로 구성된 NCT 셀 리스트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NCT 셀 리스트는 물리적 셀 ID의 리스트로 구성되거나, ECGI 리스트로 구성될 수 있다. ECGI는 PLMN ID, 셀 ID를 포함할 수 있다. 셀 ID는 기지국 ID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측정 제한 정보를 네트워크에서 결정해서 기지국으로 전달된 정보일 수 있으며, TRS를 적절히 측정할 수 있도록 하는 정보일 수 있다. 이때, 측정 제한 정보는 비트맵 패턴을 포함하거나 측정 주기 및 오프셋 값을 포함할 수 있다.
MDT 영역 범위 정보(또는 MDT 영역 정보라고도 한다)는 NCT 셀에 관한 측정이 수행되지 않도록 설정하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네트워크가 MDT 영역 범위를 설정할 때, MDT 영역에서 NCT 셀을 제외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일 예로, MDT 영역에서 셀을 정의를 할 때, NCT 셀을 제외한 셀들이 설정되어 시그널링 될 수 있다. 다른 예로, MDT 영역과 함께 블랙 셀 리스트가 설정되어 시그널링 될 수 있다. 즉, NCT 셀과 같이 로그된 MDT에서 제외할 셀에 대해서 추가적으로 설정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MDT 영역에서 NCT 셀이 제외되지 않은 채 시그널링 될 수 있다. 이때, MDT 영역에서 NCT 셀을 제거하는 작업은 NCT 기지국이 수행하도록 관련 정보만 시그널링 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MDT 영역에서 NCT 셀을 제거하는 작업이 NCT 기지국에서 수행되는 경우, 레거시 기지국에서는 NCT 셀을 제거할 수 있다.
기지국은 상기 표 1과 같은 MDT 설정 파라미터 들 중 적어도 하나를 MME로부터 MDT 초기 콘텍스트 셋업(Initial Context Setup) 정보(또는 메시지)를 통해 수신할 수 있다. 일 예로, MME에서 기지국에게 MDT를 활성화할 때, MDT 설정 파라미터는 초기 콘텍스트 셋업 내 메시지에 포함될 수 있다.
단계 S1400에 이어서, 기지국은 단말에 대하여 RRC 연결 재설정을 수행한다(S1405). 일 예로, 기지국이 단말로 RRC 연결 재설정 메시지를 전송한다. RRC 연결 재설정(또는 RRC 재설정 또는 RRC 설정이라고도한다)은 측정 설정 또는 측정 해제설정을 포함한다.
기지국은 네트워크로부터 수신한 측정 설정 관련 정보(예, NCT 셀 정보, NCT 반송파의 측정 제한 정보, MDT 영역 범위)를 참조하여, 레거시 단말에 대해서 측정 해제설정(release configuration 또는 deconfiguration) 혹은 블랙 리스트를 설정할 수 있다.
일 예로, NCT 셀 정보에 특정 주파수 반송파가 모두 NCT로만 구성된다면, 기지국은 해당 주파수를 해당 단말에 대해서 측정 해제설정을 수행할 수 있다.
기지국은 측정 설정을 수행할 측정 오브젝트들에 의해서 단말이 측정을 수행해야 하는 주파수 반송파를 지칭한다.
측정 해제 설정의 다른 예로, 측정 제한이 있다.
측정 제한을 위해서 비트맵 패턴이 전달될 수 있는데, 상기 비트맵 패턴은 TRS와 프레임 설정 등을 기초로 결정될 수 있다.
일 예로, 단말 또는 기지국이 eICIC 동작을 위해서 사용되는 비트맵 패턴(예, MeasSubframePatternConfigNeigh)을 이용될 수 있으며, 기지국은 상기 비트맵 패턴 및 비트맵 패턴이 적용되는 셀 리스트를 단말로 시그널링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시그널링 되는 비트맵 패턴(예, MeasSubframePatternConfigNeigh)이 복수개일 수 있고, 배트맵 패턴이 적용되는 셀 리스트도 복수개일 수 있다. 또는, 비트맵 패턴 및 비트맵 패턴이 적용되는 셀 리스트의 시그널링이 복수회 수행될 수 있다. 이때, 복수개의 시그널링을 위하여, 레거시 단말은 이러한 복수개의 시그널링 구조에 대해서 인지할 능력이 있다.
다른 예로, 기지국은 새로운 비트맵 패턴(예, MeasSubframePatternConfigNeighForNCT)을 생성하여 단말로 시그널링 할 수 있다. 새로운 비트맵 패턴을 사용하기 위해서, 레거시 단말은 새로운 비트맵 패턴의 시그널링의 구조에 대해서 인지할 능력이 있다.
또 다른 예로, 기지국은 측정 주기 및 오프셋 값을 생성하여 단말로 시그널링할 수 있다.
기지국은 단말로부터 측정 보고를 수신할 수 있다(S1410).
측정 보고에 포함되는 측정 결과는 단말이 기지국에서 전송된 측정 설정을 기초로 수행된 결과일 수 있다. 즉, 단말이 NCT를 고려하여 수행한 측정의 결과일 수 있다.
일 예로(실시예 1), 측정 결과는 단말이 측정 도중 이상한 징후를 가지는 측정 샘플 경향이 검출될 경우(또는 감지되는 경우, 또는 측정 되는 경우를 포함한다)에 해당 측정 샘플을 무시한 결과일 수 있다. 이때, 일 예로, '갑작스러운 변화'의 정도 또는 '지나치게 낮은 값'의 기준은 기지국의 측정 설정을 기준으로 결정될 수 있다. 다른 예로, '갑작스러운 변화'의 정도 또는 '지나치게 낮은 값'의 기준은 단말 내에서 소정의 특정값으로 정해질 수도 있다. 즉, 모든 기지국과 모든 단말에서, 상기 소정의 특정값을 기준으로 이상한 징후를 가지는 측정 샘플 경향을 포착함이 구현 단계에서 인지됨을 말한다. 또 다른 예로, '갑작스러운 변화'의 정도는 dB 단위로 정해질 수 있고(예, 30dB이상의 변화), '지나치게 낮은 값'의 dBm 단위로 정해질 수 있다(예, -40dBm이하의 값).
다른 예로(실시예 1), 측정 결과는 단말이 측정 도중 이상한 징후를 가지는 측정 샘플 경향이 검출될 경우(또는 감지되는 경우, 또는 측정 되는 경우를 포함한다)가 아닐때에만 보고하도록 트리거링된 결과일 수 있다. 또는, 측정 결과는 셀 리스트에 '이상한 징후를 가지는 측정 샘플 경향'이 포착된 셀이 포함되지 않은 결과 일 수 있다.
상기 측정 보고는 주기적 트리거링 또는 이벤트 트리거링를 기초로 수행될 수 있다.
이때, 일 예로, 기지국은 측정 결과가 보고되더라도 이상한 징후가 포착된 측정 결과는 무시할 수 있다.
도 15는 본 발명에 따라서 측정 설정 정보를 수신하는 단말의 동작의 일 예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단말은 레거시 단말일 수 있으며, NCT 셀 근처에 위치하는 경우일 수 있다. 기지국은 레거시 기지국 또는 NCT 기지국일 수 있다.
도 15를 참조하면, 단말은 RRC 연결 재설정을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한다(S1500). RRC 연결 재설정은 측정 설정 또는 측정 해제설정을 포함한다. 측정을 설정하는 측정 설정 정보는 블랙 셀 리스트, 측정 해제설정 또는 측정 제한 정보를 포함한다. 이때, 측정 제한 정보를 네트워크에서 결정해서 기지국으로 전달된 정보일 수 있으며, TRS를 적절히 측정할 수 있도록 하는 정보일 수 있다. 이때, 측정 제한 정보는 비트맵 패턴을 포함하거나 측정 주기 및 오프셋 값을 포함할 수 있다.
기지국은 네트워크로부터 수신한 측정 설정 관련 정보(예, NCT 셀 정보, NCT 반송파의 측정 제한 정보, MDT 영역 범위)를 참조하여, 레거시 단말에 대해서 측정 해제설정(release configuration 또는 deconfiguration) 혹은 블랙 리스트를 설정할 수 있다.
일 예로, NCT 셀 정보에 특정 주파수 반송파가 모두 NCT로만 구성된다면, 기지국은 해당 주파수를 해당 단말에 대해서 측정 해제설정을 수행할 수 있다.
기지국은 측정 설정을 수행할 측정 오브젝트들에 의해서 단말이 측정을 수행해야 하는 주파수 반송파를 지칭한다.
측정 해제 설정의 다른 예로, 측정 제한이 있다.
측정 제한을 위해서 비트맵 패턴이 전달될 수 있는데, 상기 비트맵 패턴은 TRS와 프레임 설정 등을 기초로 결정될 수 있다.
일 예로, 단말 또는 기지국이 eICIC 동작을 위해서 사용되는 비트맵 패턴(예, MeasSubframePatternConfigNeigh)을 이용될 수 있으며, 기지국은 상기 비트맵 패턴 및 비트맵 패턴이 적용되는 셀 리스트를 단말로 시그널링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시그널링 되는 비트맵 패턴(예, MeasSubframePatternConfigNeigh)이 복수개일 수 있고, 배트맵 패턴이 적용되는 셀 리스트도 복수개일 수 있다. 또는, 비트맵 패턴 및 비트맵 패턴이 적용되는 셀 리스트의 시그널링이 복수회 수행될 수 있다. 이때, 복수개의 시그널링을 위하여, 레거시 단말은 이러한 복수개의 시그널링 구조에 대해서 인지할 능력이 있다.
다른 예로, 기지국은 새로운 비트맵 패턴(예, MeasSubframePatternConfigNeighForNCT)을 생성하여 단말로 시그널링 할 수 있다. 새로운 비트맵 패턴을 사용하기 위해서, 레거시 단말은 새로운 비트맵 패턴의 시그널링의 구조에 대해서 인지할 능력이 있다.
또 다른 예로, 기지국은 측정 주기 및 오프셋 값을 생성하여 단말로 시그널링할 수 있다.
단말은 측정 설정 정보를 기초로 측정을 수행할 수 있다(S1505)
단말은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한 측정 설정을 기초로 측정을 수행한다. 이때 단말은 NCT를 고려한 측정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예로, 단말은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한 측정 설정을 기초로 측정을 수행하되, 이상한 징후를 가지는 측정 샘플 경향이 검출될 경우(또는 감지되는 경우, 또는 측정 되는 경우를 포함한다)에 해당 측정 샘플을 무시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이때, 일 예로, '갑작스러운 변화'의 정도 또는 '지나치게 낮은 값'의 기준은 기지국의 측정 설정을 기준으로 결정될 수 있다. 다른 예로, '갑작스러운 변화'의 정도 또는 '지나치게 낮은 값'의 기준은 단말 내에서 소정의 특정값으로 정해질 수도 있다. 즉, 모든 기지국과 모든 단말에서, 상기 소정의 특정값을 기준으로 이상한 징후를 가지는 측정 샘플 경향을 포착함이 구현 단계에서 인지됨을 말한다. 또 다른 예로, '갑작스러운 변화'의 정도는 dB 단위로 정해질 수 있고(예, 30dB이상의 변화), '지나치게 낮은 값'의 dBm 단위로 정해질 수 있다(예, -40dBm이하의 값).
다른 예로, '이상한 징후를 가지는 측정 샘플 경향'이 포착된 경우, 측정 트리거링 이벤트가 수행되지 않을 수 있으며, 트리거링된 셀 리스트에 '이상한 징후를 가지는 측정 샘플 경향'이 포착된 셀을 추가하지 않을 수 있다. 즉, 측정 보고는 '이상한 징후를 가지는 측정 샘플 경향'에 관한 측정 결과가 포함되지 않는다.
단말은 측정 보고를 기지국으로 전송할 수 있다(S1510). 즉, 단말은 측정 결과를 기지국으로 보고한다. 측정 보고는 주기적 트리거링 또는 이벤트 트리거링를 기초로 수행될 수 있다.
도 16은 본 발명에 따라서 측정 설정 정보를 송수신하는 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기지국은 레거시 기지국이거나 NCT 기지국일 수 있으며, NCT 셀 근처에 위치하는 경우일 수 있다. 기지국은 NCT 네트워크 또는 레거시 네트워크로부터 NCT 관련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단말은 레거시 단말일 수 있으며, NCT 셀 근처에 위치하는 경우일 수 있다.
도 16은 본 발명에 따라서 측정 설정 정보를 송수신하는 장치의 일 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6을 참조하면, 단말(1600)은 수신부(1605), 제어부(1610), 전송부(1620)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제어부(1610)는 측정부(161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측정부(1615)의 동작으로 수행되도록 설명되는 것은 측정부(1615)가 아닌 제어부(1610) 자체에서 수행될 수도 있다.
수신부(1605)는 RRC 연결 재설정을 기지국(1650)으로부터 수신한다. RRC 연결 재설정은 측정 설정 또는 측정 해제설정을 포함한다. 측정을 설정하는 측정 설정 정보는 블랙 셀 리스트, 측정 해제설정 또는 측정 제한 정보를 포함한다. 이때, 측정 제한 정보를 네트워크에서 결정해서 기지국(1650)으로 전달된 정보일 수 있으며, TRS를 적절히 측정할 수 있도록 하는 정보일 수 있다. 이때, 측정 제한 정보는 비트맵 패턴을 포함하거나 측정 주기 및 오프셋 값을 포함할 수 있다.
RRC 연결 재설정을 통해, 수신부(1605)는 기지국(1650)이 네트워크로부터 수신한 측정 설정 관련 정보(예, NCT 셀 정보, NCT 반송파의 측정 제한 정보, MDT 영역 범위)를 기초로 생성된 측정 설정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일 예로, NCT 셀 정보에 특정 주파수 반송파가 모두 NCT로만 구성된다면, 수신부(1605)는 해당 주파수를 측정 해제설정하는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측정 해제 설정의 다른 예로, 측정 제한이 있다.
수신부(1605)는 측정 제한을 위한 비트맵 패턴을 수신할 수 있는데, 상기 비트맵 패턴은 TRS와 프레임 설정 등을 기초로 결정될 수 있다.
일 예로, 단말(1600) 또는 기지국(1650)이 eICIC 동작을 위해서 사용되는 비트맵 패턴(예, MeasSubframePatternConfigNeigh)을 이용될 수 있으며, 수신부(1605)는 상기 비트맵 패턴 및 비트맵 패턴이 적용되는 셀 리스트를 수신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수신부(1605)가 수신하는 비트맵 패턴(예, MeasSubframePatternConfigNeigh)이 복수개일 수 있고, 배트맵 패턴이 적용되는 셀 리스트도 복수개일 수 있다. 또는, 수신부(1605)는 비트맵 패턴 및 비트맵 패턴이 적용되는 셀 리스트를 복수회 수신할 수 있다. 이때, 복수개의 시그널링을 위하여, 단말(1600)은 이러한 복수개의 시그널링 구조에 대해서 인지할 능력이 있다.
다른 예로, 수신부(1605)는 기지국(1650)이 생성한 새로운 비트맵 패턴(예, MeasSubframePatternConfigNeighForNCT)을 수신할 수 있다. 새로운 비트맵 패턴을 사용하기 위해서, 단말(1600)은 새로운 비트맵 패턴의 시그널링의 구조에 대해서 인지할 능력이 있다.
또 다른 예로, 수신부(1605)는 기지국(1650)이 생성한 측정 주기 및 오프셋 값을 수신할 수 있다.
측정부(1615)는 측정 설정 정보를 기초로 측정을 수행한다.
측정부(1615)는 NCT를 고려한 측정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예로, 측정부(1615)는 기지국(1650)으로부터 수신한 측정 설정을 기초로 측정을 수행하되, 이상한 징후를 가지는 측정 샘플 경향이 검출될 경우(또는 감지되는 경우, 또는 측정 되는 경우를 포함한다)에 해당 측정 샘플을 무시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이때, 일 예로, '갑작스러운 변화'의 정도 또는 '지나치게 낮은 값'의 기준은 기지국(1650)의 측정 설정을 기준으로 결정될 수 있다. 다른 예로, '갑작스러운 변화'의 정도 또는 '지나치게 낮은 값'의 기준은 단말(1600) 내에서 소정의 특정값으로 정해질 수도 있다. 즉, 모든 기지국과 모든 단말에서, 상기 소정의 특정값을 기준으로 이상한 징후를 가지는 측정 샘플 경향을 포착함이 구현 단계에서 인지됨을 말한다. 또 다른 예로, '갑작스러운 변화'의 정도는 dB 단위로 정해질 수 있고(예, 30dB이상의 변화), '지나치게 낮은 값'의 dBm 단위로 정해질 수 있다(예, -40dBm이하의 값).
다른 예로, '이상한 징후를 가지는 측정 샘플 경향'이 포착된 경우, 측정부(1615)는 측정 트리거링 이벤트를 수행하지 않을 수 있으며, 트리거링된 셀 리스트에 '이상한 징후를 가지는 측정 샘플 경향'이 포착된 셀을 추가하지 않을 수 있다. 즉, 측정 보고는 '이상한 징후를 가지는 측정 샘플 경향'에 관한 측정 결과가 포함되지 않는다.
전송부(1610)는 측정 보고를 기지국(1650)으로 전송한다. 즉, 전송부(1610)는 측정 결과를 기지국(1650)으로 보고한다. 측정 보고는 주기적 트리거링 또는 이벤트 트리거링를 기초로 수행될 수 있다.
한편, 기지국(1650)은 전송부(1655), 수신부(1660), 제어부(1665)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제어부(1665)는 측정 설정 정보 생성부(16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 제어부(1665)에 관한 설명은 측정 설정 정보 생성부(1670)에 대해서도 적용되며, 측정 설정 정보 생성부(1670)에 대한 설명은 제어부(1665)에 대해서도 적용된다.
기지국(1650)은 레거시 기지국이거나 NCT 기지국일 수 있으며, NCT 셀 근처에 위치하는 경우일 수 있다. 기지국(1650)은 NCT 네트워크 또는 레거시 네트워크로부터 NCT 관련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수신부(1660)는 네트워크로부터 측정 설정 관련 정보를 수신한다.
일 예로, 기지국(1650)이 NCT 기지국인 경우, 수신부(1660)는 측정 NCT 셀 정보, NCT 반송파의 측정 제한 관련 정보 또는 MDT 영역 범위(예를 들어, TA) 정보를 포함하는 측정 설정 관련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다른 예로, 기지국(1650)이 레거시 기지국인 경우, 수신부(1660)는 블랙 셀 리스트, 측정 해제 설정 정보, 측정 제한 정보 또는 NCT 반송파를 제외한 MDT 영역 범위를 포함하는 측정 설정 관련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측정 해제설정 정보라 함은 기존에 설정되어 있던 측정 대역 등을 해제시키는 설정을 의미한다. 예를 들면, 설정되어 있던 측정 대역 중의 일정 대역에 대해서 NCT 셀이 설비(deployment)가 될 경우, 레가시 네트워크는 상기 측정 해제설정 정보를 기반으로 기존에 상기 일정 대역을 측정하고 있던 단말(1600)이 더 이상 상기 일정 대역에서 측정을 수행하지 않도록 설정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해당 대역을 제외시키는 일련의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예로, NCT 셀 정보는 NCT 셀을 포함하는 주파수 반송파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NCT 셀을 포함하는 주파수 반송파는 EARFCN 값으로 지시 될 수 있다.
다른 예로, NCT 셀 정보는 NCT 셀로 구성된 NCT 셀 리스트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NCT 셀 리스트는 물리적 셀 ID의 리스트로 구성되거나, ECGI 리스트로 구성될 수 있다. ECGI는 PLMN ID, 셀 ID를 포함할 수 있다. 셀 ID는 기지국 ID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측정 제한 정보는 네트워크에서 결정되어 기지국(1650)으로 전달된 정보일 수 있으며, TRS를 적절히 측정할 수 있도록 하는 정보일 수 있다. 이때, 측정 제한 정보는 비트맵 패턴을 포함하거나 측정 주기 및 오프셋 값을 포함할 수 있다.
MDT 영역 범위 정보(또는 MDT 영역 정보라고도 한다)는 NCT 셀에 관한 측정이 수행되지 않도록 설정하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네트워크가 MDT 영역 범위를 설정할 때, MDT 영역에서 NCT 셀을 제외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일 예로, MDT 영역에서 셀을 정의를 할 때, NCT 셀을 제외한 셀들이 설정되어 시그널링 될 수 있다. 다른 예로, MDT 영역과 함께 블랙 셀 리스트가 설정되어 시그널링 될 수 있다. 즉, NCT 셀과 같이 로그된 MDT에서 제외할 셀에 대해서 추가적으로 설정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MDT 영역에서 NCT 셀이 제외되지 않은 채 시그널링 될 수 있다. 이때, MDT 영역에서 NCT 셀을 제거하는 작업은 NCT 기지국이 수행하도록 관련 정보만 시그널링 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MDT 영역에서 NCT 셀을 제거하는 작업이 NCT 기지국에서 수행되는 경우, 레거시 기지국에서는 NCT 셀을 제거할 수 있다.
기지국(1650)은 상기 표 1과 같은 MDT 설정 파라미터들 중 적어도 하나를 MME로부터 MDT 초기 콘텍스트 셋업(Initial Context Setup) 정보(또는 메시지)를 통해 수신할 수 있다. 일 예로, MME에서 기지국(1650)에게 MDT를 활성화할 때, MDT 설정 파라미터는 초기 콘텍스트 셋업 내 메시지에 포함될 수 있다.
기지국(1650)은 단말(1600)에 대하여 RRC 연결 재설정을 수행한다. 일 예로, 전송부(1655)는 단말(1600)로 RRC 연결 재설정 메시지를 전송한다. RRC 연결 재설정(또는 RRC 재설정 또는 RRC 설정이라고도한다)은 측정 설정 또는 측정 해제설정을 포함한다.
측정 설정 정보 생성부(1670)는 네트워크로부터 수신한 측정 설정 관련 정보(예, NCT 셀 정보, NCT 반송파의 측정 제한 정보, MDT 영역 범위)를 참조하여, 레거시 단말에 대해서 측정 해제설정(release configuration 또는 deconfiguration) 혹은 블랙 리스트를 설정하는 정보를 생성할 수 있고, 전송부(1655)가 이를 전송할 수 있다.
일 예로, NCT 셀 정보에 특정 주파수 반송파가 모두 NCT로만 구성된다면, 측정 설정 정보 생성부(1670)는 해당 주파수를 해당 단말(1600)에 대해서 측정 해제설정하는 정보를 생성할 수 있고, 전송부(1655)가 이를 전송할 수 있다.
기지국(1650)은 측정 설정을 수행할 측정 오브젝트들에 의해서 단말(1600)이 측정을 수행해야 하는 주파수 반송파를 지칭한다.
측정 해제 설정의 다른 예로, 측정 제한이 있다.
측정 제한을 위해서 비트맵 패턴이 전달될 수 있는데, 상기 비트맵 패턴은 TRS와 프레임 설정 등을 기초로 결정될 수 있다.
일 예로, 단말(1600) 또는 기지국(1650)이 eICIC 동작을 위해서 사용되는 비트맵 패턴(예, MeasSubframePatternConfigNeigh)을 이용될 수 있으며, 전송부(1655)는 상기 비트맵 패턴 및 비트맵 패턴이 적용되는 셀 리스트를 단말(1600)로 시그널링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시그널링 되는 비트맵 패턴(예, MeasSubframePatternConfigNeigh)이 복수개일 수 있고, 배트맵 패턴이 적용되는 셀 리스트도 복수개일 수 있다. 또는, 비트맵 패턴 및 비트맵 패턴이 적용되는 셀 리스트의 시그널링이 복수회 수행될 수 있다. 이때, 복수개의 시그널링을 위하여, 레거시 단말(1600)은 이러한 복수개의 시그널링 구조에 대해서 인지할 능력이 있다.
다른 예로, 측정 설정 정보 생성부(1670)는 새로운 비트맵 패턴(예, MeasSubframePatternConfigNeighForNCT)을 생성하며, 전송부(1655)는 이를 단말(1600)로 시그널링 할 수 있다. 새로운 비트맵 패턴을 사용하기 위해서, 레거시 단말(1600)은 새로운 비트맵 패턴의 시그널링의 구조에 대해서 인지할 능력이 있다.
또 다른 예로, 측정 설정 정보 생성부(1670)는 측정 주기 및 오프셋 값을 생성하며, 전송부(1655)가 이를 단말(1600)로 시그널링할 수 있다.
수신부(1660)는 단말(1600)로부터 측정 보고를 수신한다(S1410).
측정 보고에 포함되는 측정 결과는 단말(1600)이 기지국(1650)에서 전송된 측정 설정을 기초로 수행된 결과일 수 있다. 즉, 단말(1600)이 NCT를 고려하여 수행한 측정의 결과일 수 있다.
일 예로, 측정 결과는 단말(1600)이 측정 도중 이상한 징후를 가지는 측정 샘플 경향이 검출될 경우(또는 감지되는 경우, 또는 측정 되는 경우를 포함한다)에 해당 측정 샘플을 무시한 결과일 수 있다. 이때, 일 예로, '갑작스러운 변화'의 정도 또는 '지나치게 낮은 값'의 기준은 기지국(1650)의 측정 설정을 기준으로 결정될 수 있다. 다른 예로, '갑작스러운 변화'의 정도 또는 '지나치게 낮은 값'의 기준은 단말(1600) 내에서 소정의 특정값으로 정해질 수도 있다. 즉, 모든 기지국과 모든 단말에서, 상기 소정의 특정값을 기준으로 이상한 징후를 가지는 측정 샘플 경향을 포착함이 구현 단계에서 인지됨을 말한다. 또 다른 예로, '갑작스러운 변화'의 정도는 dB 단위로 정해질 수 있고(예, 30dB이상의 변화), '지나치게 낮은 값'의 dBm 단위로 정해질 수 있다(예, -40dBm이하의 값).
다른 예로, 측정 결과는 단말(1600)이 측정 도중 이상한 징후를 가지는 측정 샘플 경향이 검출될 경우(또는 감지되는 경우, 또는 측정 되는 경우를 포함한다)가 아닐때에만 보고하도록 트리거링된 결과일 수 있다. 또는, 측정 결과는 셀 리스트에 '이상한 징후를 가지는 측정 샘플 경향'이 포착된 셀이 포함되지 않은 결과 일 수 있다.
이때, 일 예로, 제어부(1665)는 측정 결과가 보고되더라도 이상한 징후가 포착된 측정 결과는 무시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6)

  1. 기지국이 측정 설정 정보를 전송하는 방법에 있어서,
    NCT(New Carrier Type) 반송파로 구성된 NCT 셀 관련 정보를 기초로 결정되는 측정 설정 관련 정보를 네트워크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NCT 관련 측정을 설정하는 측정 설정 정보를 포함하는 RRC(radio resource control) 연결 재설정을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단말이 측정을 수행한 결과를 포함하는 측정 보고를 상기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되, 상기 측정 설정 관련 정보는 측정 NCT 셀 정보, NCT 반송파의 측정 제한 관련 정보, MDT(Minimization of Drive Test) 영역 범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단말이 측정을 수행하는 방법에 있어서,
    NCT(New Carrier Type) 셀 정보를 기초로 NCT 관련 측정을 설정하는 측정 설정 정보를 포함하는 RRC(radio resource control) 연결 재설정을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기 측정 설정 정보를 기초로 NCT를 고려한 측정을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측정을 수행한 결과를 포함하는 측정 보고를 상기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되, 상기 측정 설정 정보는 측정 NCT 셀 정보, NCT 반송파의 측정 제한 관련 정보, MDT(Minimization of Drive Test) 영역 범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KR1020140003190A 2013-01-25 2014-01-10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측정을 설정하는 정보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장치 KR1022040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4/000303 WO2014115989A1 (ko) 2013-01-25 2014-01-10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측정을 설정하는 정보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8906 2013-01-25
KR20130008906 2013-01-2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95969A KR20140095969A (ko) 2014-08-04
KR102204048B1 true KR102204048B1 (ko) 2021-01-19

Family

ID=517441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03190A KR102204048B1 (ko) 2013-01-25 2014-01-10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측정을 설정하는 정보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04048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256855A1 (en) 2008-12-16 2011-10-20 Zte Corporation Method for base station to obtain radio capability information of user equipment in long term evolution system
WO2012081923A2 (ko) 2010-12-16 2012-06-21 주식회사 팬택 다중 요소 반송파 시스템에서 무선연결 재설정 수행장치 및 방법
CN102883408A (zh) * 2012-09-21 2013-01-16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小小区的发现方法和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256855A1 (en) 2008-12-16 2011-10-20 Zte Corporation Method for base station to obtain radio capability information of user equipment in long term evolution system
WO2012081923A2 (ko) 2010-12-16 2012-06-21 주식회사 팬택 다중 요소 반송파 시스템에서 무선연결 재설정 수행장치 및 방법
CN102883408A (zh) * 2012-09-21 2013-01-16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小小区的发现方法和装置

Non-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3GPP R1-124856*
3GPP TSG-RAN WG1 Meeting #71, R1-124856, 2012.11.02.
3GPP TSG-RAN WG1 Meeting #72, R1-130178, 2013.01.18.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95969A (ko) 2014-08-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777304B1 (en) Measurement configuration for global cell identifier reporting
EP2606666B1 (en) Sensing in cognitive radio communications
US9462520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using enhanced receiver and gaps when handling interference
RU2573220C2 (ru) Способ и компоновка для сигнализации параметров в беспроводной сети
US10660046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network adaptation support in wireless network
US9019905B2 (en) Uplink interference reduction at base station with restricted wireless access
US10075903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ceiving system inform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9794811B2 (en) Cell measuring method and information transmitting method therefor
US10721766B2 (en) Method and device for determining LBT priority class
US10368277B2 (en) Method for transmitting data by termina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supporting high-speed uplink, and apparatus for same
KR20150079922A (ko) 강하고 그리고/또 크게 변하는 간섭의 존재를 측정하는 방법
EP2944146A1 (en) A radio node, a controlling node, a coordinating node and methods therein
KR20130045240A (ko) 셀 측정 방법 및 단말
WO2011157224A1 (en) Measurement configuration in multi-carrier ofdm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KR20150109334A (ko) 간섭 제거를 통한 측정 수행 방법 및 단말
KR20150035570A (ko) 매크로셀과 소규모셀이 공존하는 환경에서 단말이 소규모셀을 검출하는 방법
KR20150037821A (ko) 매크로셀과 소규모셀이 공존하는 환경에서 단말이 소규모셀로의 핸드오버를 위한 방법
EP2888912B1 (en) Low-power carrier type and related methods and apparatus
KR102204048B1 (ko)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측정을 설정하는 정보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장치
KR20140111863A (ko)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네트워크 환경 파악을 위한 로그 측정 관련 정보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장치
KR20140080198A (ko)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전력 불균형 제어 장치 및 방법
KR20140080196A (ko)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전력 불균형 제어 장치 및 방법
KR20150124046A (ko) 스몰 셀 디스커버리 참조 신호 송수신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