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03756B1 -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03756B1
KR102203756B1 KR1020140017710A KR20140017710A KR102203756B1 KR 102203756 B1 KR102203756 B1 KR 102203756B1 KR 1020140017710 A KR1020140017710 A KR 1020140017710A KR 20140017710 A KR20140017710 A KR 20140017710A KR 102203756 B1 KR102203756 B1 KR 1022037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mera
unit
display device
display
display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177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96880A (ko
Inventor
조대우
이성한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177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03756B1/ko
Priority to PCT/KR2015/001579 priority patent/WO2015122740A1/ko
Priority to CN201580005542.0A priority patent/CN106416276A/zh
Priority to US15/114,948 priority patent/US20160352990A1/en
Priority to EP15749320.6A priority patent/EP3110137B1/en
Publication of KR201500968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968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037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037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63Generation or supply of power specially adapted for television receiv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7Mechanical or electrical details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specially adapted for being embedded in other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3Camera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1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 H04N21/4312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 H04N21/4316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for displaying supplemental content in a region of the screen, e.g. an advertisement in a separate window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3OS processes, e.g. booting an STB, implementing a Java virtual machine in an STB or power management in an STB
    • H04N21/4436Power management, e.g. shutting down unused components of the receiv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4Systems for two-way working
    • H04N7/141Systems for two-way working between two video terminals, e.g. videophone
    • H04N7/142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terminal equipment, e.g. arrangements of the camera and the display

Abstract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디스플레이장치는, 렌즈를 통해 투과된 영상을 감지하는 이미지센서를 포함하고, 디스플레이장치의 상부에 업/다운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사용 시 업되어 디스플레이장치의 외부로 돌출되는 카메라와; 이미지센서에서 감지된 영상에 대응하는 영상신호를 처리하는 영상처리부와; 처리된 영상신호를 영상으로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와; 카메라의 업/다운을 감지하는 감지부와; 디스플레이장치의 각 구성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와; 디스플레이장치의 전원이 오프된 상태에서 감지부에서 카메라가 돌출되는 것이 감지되면, 디스플레이장치의 전원이 온 되도록 전원공급부를 제어하고, 카메라를 통해 입력되는 영상에 대응하는 프리뷰 화면이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도록 영상처리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이에 의하여, 디스플레이장치를 카메라 푸시에 의해 간편하게 온/오프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장치의 활용성 및 카메라 활용에 대한 접근성을 높이고, 사용자의 편의가 보다 증대될 수 있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카메라가 설치된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TV와 같은 디스플레이장치에는 사진촬영, 화상통신 등의 다양한 기능을 제공하는 카메라가 설치될 수 있다.
TV 카메라는 사생활 보호를 위해 디스플레이장치에 업/다운 가능하게 설치되며, 사용 시 디스플레이장치 외부로 돌출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사용자는 예를 들어 사진촬영을 위해 카메라를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 카메라가 돌출되도록 조작하고, 디스플레이장치가 제공하는 응용 프로그램들 중에서 카메라 어플리케이션을 찾아서 실행시키는 과정을 필요로 하게 된다. 경우에 따라, 디스플레이장치의 전원이 오프 상태인 경우, 디스플레이의 전원을 온 시키고, 카메라를 돌출시키고, 필요한 어플리케이션을 찾아서 실행시키는 더욱 번거로운 과정이 필요할 수 있다.
따라서, TV 카메라의 사용에 있어 사용자에게 보다 직관적이고 편리하며, 카메라의 활용도를 보다 높일 수 있는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할 필요성이 있다.
본 발명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는, 렌즈를 통해 투과된 영상을 감지하는 이미지센서를 포함하고, 디스플레이장치의 상부에 업/다운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사용 시 업되어 디스플레이장치의 외부로 돌출되는 카메라와; 이미지센서에서 감지된 영상에 대응하는 영상신호를 처리하는 영상처리부와; 처리된 영상신호를 영상으로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와; 카메라의 업/다운을 감지하는 감지부와; 디스플레이장치의 각 구성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와; 디스플레이장치의 전원이 오프된 상태에서 감지부에서 카메라가 돌출되는 것이 감지되면, 디스플레이장치의 전원이 온 되도록 전원공급부를 제어하고, 카메라를 통해 입력되는 영상에 대응하는 프리뷰 화면이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도록 영상처리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는, 정보를 제공하는 기설정된 응용 프로그램을 실행하고, 응용 프로그램에서 제공하는 정보를 더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할 수 있다.
기설정된 응용 프로그램은 날씨 위젯, 시계 위젯, 교통정보 위젯, 주식 위젯 및 일정 위젯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기설정된 응용 프로그램은 카메라를 활용하는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는, 카메라를 활용하는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하는 어플리케이션 목록을 더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는, 감지부에서 카메라가 침강하는 것이 감지되면, 디스플레이장치의 전원이 오프되도록 전원공급부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는, 카메라가 침강하는 것이 감지되면, 디스플레이장치가 카메라의 돌출에 응답하여 전원이 온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결과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장치의 전원이 오프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장치의 전원이 온된 상태에서 감지부에서 카메라가 돌출되는 것이 감지되면, 카메라를 활용하는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하는 어플리케이션 목록을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할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 목록이 미리 저장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상부에 업/다운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사용 시 업되어 디스플레이장치의 외부로 돌출되는 카메라가 설치된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은, 디스플레이장치의 전원이 오프된 상태에서 카메라가 돌출되는 것을 감지하는 단계와; 디스플레이장치의 전원이 온되는 단계와; 카메라를 통해 입력되는 영상에 대응하는 프리뷰 화면을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정보를 제공하는 기설정된 응용 프로그램을 실행하고, 응용 프로그램에서 제공하는 정보를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기설정된 응용 프로그램은 날씨 위젯, 시계 위젯, 교통정보 위젯, 주식 위젯 및 일정 위젯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기설정된 응용 프로그램은 카메라를 활용하는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를 활용하는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하는 어플리케이션 목록을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가 침강하는 것을 감지하는 단계와; 디스플레이장치의 전원을 오프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가 침강하는 것이 감지되면, 디스플레이장치가 카메라의 돌출에 응답하여 전원이 온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판단결과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장치의 전원을 오프시킬 수 있다.
디스플레이장치의 전원이 온된 상태에서 감지부에서 카메라가 돌출되는 것을 감지하는 단계와; 카메라를 활용하는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하는 어플리케이션 목록을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장치의 예시도이며,
도 2는 도 1의 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며,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 일실시예에 의해 카메라가 업/다운되는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 실시예에 따라 디스플레이장치가 전원 오프된 상태에서 카메라가 돌출되는 경우를 예로 들어 도시한 도면이며,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 실시예에 따라 디스플레이장치가 전원 온된 상태에서 카메라가 돌출되는 경우를 예로 들어 도시한 도면이며,
도 9는 본 발명 일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며,
도 10은 본 발명 다른 실시예에 의에 의한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장치(100)의 예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장치(100)에는 카메라(140)가 설치된다. 본 실시예의 카메라(140)는 디스플레이장치(100)의 상부에 업/다운(up/down) 즉, 승강 및 하강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사용 시(동작 시) 상측으로 업(up)되어 디스플레이장치(100)의 상측 외부로 돌출된다. 카메라(140)디스플레이장치(100)의 후면 상부에는 카메라(140)가 하측으로 다운(down) 즉, 침강 시 내부에 카메라(140)가 수용되는 인입부(미도시)가 마련될 수 있다.
도 1에서는 카메라(140)가 디스플레이장치(100)의 후면 상부에 설치된 경우를 예로 들어 도시하고 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업/다운을 포함한 슬라이드 구조에 의해 외부로 돌출 가능하게 설치된 경우를 모두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100)는 사용 시에만 외부로 돌출되는 구조를 가지므로, 사용자가 카메라(140)의 동작 여부를 직관적으로 알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카메라(140)가 외부로 돌출된 경우에만 이미지 센서(142) 및 음성 취득부(143)에 전원이 공급되도록 구현으로써, 사용자의 사생활 보호 기능을 가지도록 구현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장치(100)는 외부의 영상공급원(미도시)으로부터 제공되는 영상신호를 기 설정된 영상처리 프로세스에 따라서 처리하여 영상으로 표시한다.
본 실시예의 디스플레이장치(100)는 방송국의 송출장비로부터 수신되는 방송신호/방송정보/방송데이터에 기초한 방송 영상을 처리하는 TV로 구현되는 경우에 관해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이 디스플레이장치(100)의 구현 예시에 한정되지 않는 바, 디스플레이장치(100)는 TV 이외에도 영상을 처리 가능한 다양한 종류의 구현 예시 예컨대, 모니터 등에도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장치(100)는 표시 가능한 영상의 종류가 방송 영상에 한정되지 않는 바,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장치(100)는 다양한 형식의 영상공급원(미도시)으로부터 수신되는 신호/데이터에 기초한 동영상, 정지영상,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 OSD(on-screen display), 다양한 동작 제어를 위한 GUI(graphic user interface) 등의 영상을 표시하도록 처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장치(100)는 스마트 TV로 구현될 수 있다. 스마트 TV는 실시간으로 방송신호를 수신하여 표시할 수 있고, 웹 브라우저 기능을 가지고 있어 실시간 방송신호의 표시와 동시에 인터넷을 통하여 다양한 컨텐츠 검색 및 소비가 가능하고 이를 위하여 편리한 사용자 환경을 제공할 수 있는 TV이다. 또한, 스마트 TV는 개방형 소프트웨어 플랫폼을 포함하고 있어 사용자에게 양방향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스마트TV는 개방형 소프트웨어 플랫폼을 통하여 다양한 컨텐츠, 예를 들어 소정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응용 프로그램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다양한 종류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응용 프로그램은, 예를 들어 SNS, 금융, 뉴스, 날씨, 지도, 교통정보, 음악, 영화, 게임, 전자 책 등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 또는 위젯을 포함한다. 또한, 본 실시예의 응용 프로그램은 카메라(140)를 활용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 예를 들어 카메라 촬영, 화상통화(영상통화),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영상을 조회하는 갤러리, 사용자의 모습을 촬영한 프리뷰(preview) 화면을 표시하는 미러(mirror) 등의 기능을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을 더 포함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장치(100)는 영상신호를 수신하는 영상수신부(110)와, 영상수신부(110)에 수신되는 영상신호를 처리하는 영상처리부(120)와, 영상처리부(120)에 의해 처리되는 영상신호를 영상으로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130)와, 카메라(140) 내부에 마련되며 촬영 대상에 대응하는 영상을 감지하는 이미지 센서(142)와, 카메라(140)의 업/다운을 감지하는 감지부(150)와,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사용자 입력부(160)와, 외부장치와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170)와, 각종 데이터가 저장되는 저장부(175)와, 디스플레이장치(100)의 각 구성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180)와, 디스플레이장치(100)를 제어하는 제어부(190)를 포함한다.
카메라(140)는 영상이 투과되는 렌즈(141)를 더 포함하며, 이미지센서(142)는 렌즈(141)를 통해 투과된 영상을 감지한다.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장치(100)는 도 2와 같이 사용자가 발화한 음성을 입력받는 음성취득부(143)를 더 포함하며, 음성취득부(143)는 카메라(140)에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 실시예에서는 음성취득부(143)가 카메라(140)에 탑재된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음성취득부(143)가 카메라(140)와 분리된 디스플레이장치(100)의 소정 위치에 마련되는 경우를 포함한다. 또한, 음성취득부(143)는 디스플레이장치(100)와 분리 이격된 장치, 예를 들어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리모트 컨트롤러에 마련될 수 있다. 음성취득부(143)가 리모트 컨트롤러에 마련된 경우 디스플레이장치(100)는 리모트 컨트롤러로부터 통신부(170)의 무선통신에 의해 취득된 음성을 전송받게 된다.
영상수신부(110)는 영상신호를 수신하여 영상처리부(120)에 전달하며, 수신하는 영상신호의 규격 및 디스플레이장치(100)의 구현 형태에 대응하여 다양한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영상수신부(110)는 방송국(미도시)으로부터 송출되는 RF(radio frequency)신호를 무선으로 수신하거나, 컴포지트(composite) 비디오, 컴포넌트(component) 비디오, 슈퍼 비디오(super video), SCART,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규격 등에 의한 영상신호를 유선으로 수신할 수 있다. 영상수신부(110)는 영상신호가 방송신호인 경우, 이 방송신호를 채널 별로 튜닝하는 튜너(tuner)를 포함한다.
또한, 영상신호는 외부기기로부터 입력될 수 있으며, 예컨대, 영상신호는 PC, AV기기, 스마트폰, 스마트패드 등과 같은 외부기기로부터 입력될 수 있다. 또한, 영상신호는 인터넷 등과 같은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되는 데이터로부터 기인한 것일 수 있다. 이 경우, 디스플레이장치(100)는, 통신부(170)를 통해 네트워크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영상신호는 플래시메모리, 하드디스크 등과 같은 비휘발성의 저장부(175)에 저장된 데이터로부터 기인한 것일 수 있다. 저장부(175)는 디스플레이장치(100)의 내부 또는 외부에 마련될 수 있으며, 외부에 마련되는 경우 저장부(175)가 연결되는 연결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영상처리부(120)는 영상신호에 대해 기 설정된 다양한 영상처리 프로세스를 수행한다. 영상처리부(120)는 이러한 프로세스를 수행한 영상신호를 디스플레이부(130)에 출력함으로써, 디스플레이부(130)에 영상이 표시되게 한다.
영상처리부(120)가 수행하는 영상처리 프로세스의 종류는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다양한 영상 포맷에 대응하는 디코딩(decoding), 디인터레이싱(de-interlacing), 프레임 리프레시 레이트(frame refresh rate) 변환, 스케일링(scaling), 영상 화질 개선을 위한 노이즈 감소(noise reduction), 디테일 강화(detail enhancement), 라인 스캐닝(line scanning)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영상처리부(120)는 이러한 각 프로세스를 독자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개별적 구성의 그룹으로 구현되거나, 또는 여러 기능을 통합시킨 SoC(system-on-chip)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영상처리부(120)는 카메라(140)의 이미지센서(142)를 통해 얻은 영상을 더 처리할 수 있다. 이렇게 처리된 영상은 디스플레이부(130)에 표시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사용자의 푸시 조작에 의해 카메라(140)가 상부로 돌출되면, 디스플레이장치(100)에서 미러(mirror) 기능이 실행되어, 카메라(140)에서 획득된 사용자 영상을 영상처리부(120)에서 처리하고, 처리된 영상을 프리뷰 화면으로 디스플레이부(130)에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130)는 카메라(140)에서 획득되어 영상처리부(120)에서 처리된 영상과, 상대방의 카메라에서 획득되어 통신부(170)를 통해 수신된 영상을 함께 표시함으로써, 사용자가 화상통신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디스플레이부(130)는 영상처리부(120)에 의해 처리되는 영상신호에 기초하여 영상을 표시한다. 디스플레이부(130)의 구현 방식은 한정되지 않으며, 예컨대 액정(liquid crystal), 플라즈마(plasma), 발광 다이오드(light-emitting diode), 유기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면전도 전자총(surface-conduction electron-emitter), 탄소 나노 튜브(carbon nano-tube), 나노 크리스탈(nano-crystal) 등의 다양한 디스플레이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30)는 그 구현 방식에 따라서 부가적인 구성을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부(130)가 액정 방식인 경우, 디스플레이부(130)는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미도시)과, 이에 광을 공급하는 백라이트유닛(미도시)과, 패널(미도시)을 구동시키는 패널구동기판(미도시)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부(130)는 카메라(140)의 동작상태(예를 들어, 대기상태 또는 활성화 상태)를 나타내는 아이콘, 텍스트 등을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UI), 디스플레이장치(100)에서 실행되는 다양한 응용 프로그램들을 더 표시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 디스플레이장치(100)는 영상처리부(120)에서 분리된 오디오신호를 출력하는 오디오출력부(예를 들어, 스피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140)에 마련되는 이미지센서(142)는 CCD/CMOS 이미지 센서로 구현될 수 있다.
음성취득부(143)는 사용자가 발화한 음성을 입력받는 것으로서, 디지털 또는 아날로그 마이크로 폰(이하, 마이크 라고도 함)을 포함한다.
음성취득부(143)는 입력된 사용자 발화 음성을 전기적인 음성신호로 변환한다. 변환된 음성신호는 PCM(pulse code modulation) 상태 또는 압축된 형태의 오디오 파형의 형태를 가진다.
여기서, 음성취득부(143)가 아날로그 마이크로 폰인 경우, 디스플레이장치(100)는 별도의 음성변환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별도로 구비되는 음성변환부는 사용자의 입력음성을 디지털로 변환하는 A/D 변환부로 구현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카메라(140)는 상부에 대한 사용자의 푸시(push) 입력에 대응하여 업/다운되는 구조를 가진다.
도 3과 도 4는 본 발명 일실시예에 의해 카메라가 업/다운되는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카메라(140)가 수용되는 인입부(미도시)와 카메라(140)에 스프링 등의 탄성부재가 결합되어, 탄성부재의 탄성력이 구동원으로 작용할 수 있다. 탄성부재는 카메라(140)의 업/다운(상승/하강)에 대응하여 신장 또는 수축된다.
카메라(140)는 이러한 탄성 작용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푸시 입력(push input)에 대응하여 업/다운된다.
구체적으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메라(140)는 인입부에 수용되어 외부로 노출되지 않은 다운 상태에서 사용자의 푸시 입력에 의해 업되어 상측으로 돌출된다. 여기서, 도 3의 (c)과 같이, 카메라(140)는 소정 방향, 예를 들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며 상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메라(140)는 돌출된 상태에서 다시 사용자의 푸시 입력에 의해 다운 즉, 침강하여, 인입부 내에 수용된다. 여기서, 도 4의 (a) 및 (b)와 같이, 카메라(140)는 소정 방향, 예를 들어 시계 방향으로의 회전에 의해 침강하여 디스플레이장치(100) 내에 수용될 수 있다. 카메라(140)가 수용되는 인입부의 내부에는 카메라(140)가 침강에 따라 슬라이드되게 하는 가이드 부재(미도시)가 마련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100)의 감지부(150)에는 카메라(140)의 업/다운에 따라 동작하는 스위치(미도시)가 마련될 수 있다. 스위치는 카메라(140)의 업/다운에 대응하여 온/오프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감지부(150)는 스위치의 동작에 따라 카메라(140)의 업/다운을 감지한다. 감지부(150)는 카메라(140)가 돌출되는 것을 감지하여 제어부(190)로 통지한다. 제어부(190)는 이에 응답하여 이미지센서(142)와 음성취득부(143)를 활성화시키는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같은 방식으로, 감지부(150)는 카메라(140)가 침강되는 것을 감지하여 제어부(190)로 통지한다. 제어부(190)는 이에 응답하여 카메라(140)와 음성취득부(143)를 동작하지 않는 대기상태로 전환하는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활성화 상태는 후술하는 전원공급부(180)로부터 카메라(140) 및 음성취득부(143)에 전원이 공급되는 상태이며, 대기상태에서는 카메라(140) 및 음성취득부(143)로 공급되는 전원이 차단된다.
감지부(150)는 후술하는 제어부(190)로 대기 또는 활성화 상태를 나타내는 신호를 출력하며, 제어부(190)는 감지부(150)로부터 수신된 신호에 기초하여 전원공급부(180)의 전원공급을 제어한다.
본 실시예의 감지부(150)에 마련되는 스위치는 전압을 감지하거나, 도체를 이용하는 캐패시턴스 센스 스위치(capacitance sense switch)를 이용하여 감지하도록 구현되거나, 러그 스위치(lug switch), 적외선 소자, 조도센서 등의 다양한 스위치 방식을 적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60)는 사용자의 조작 및 입력에 의해, 기 설정된 다양한 제어 커맨드 또는 한정되지 않은 정보를 제어부(190)에 전달한다.
본 실시예의 사용자 입력부(160)는 디스플레이장치(100)에 마련된 숫자키, 메뉴키 등의 버튼을 포함하는 키패드(또는 입력 패널)(미도시)와, TV를 원격으로 제어 가능하게 기 설정된 커맨드(command)/데이터/정보/신호를 생성하여 기기(100)로 전송하는 리모트 컨트롤러(remote controller), 키보드(keyboard), 마우스 등의 본체와 이격 분리된 입력장치를 포함한다. 입력장치는 기기(100) 본체와 무선통신이 가능한 외부장치이며, 무선통신은 블루투스, 와이파이 다이렉트, 적외선 통신, RF 통신, 무선랜 등을 포함한다. 입력장치는 사용자에 의해 조작됨으로써 기 설정된 커맨드를 디스플레이장치(100)에 전송한다.
키패드는 디스플레이장치(100)의 전면 및/또는 측면에 형성되는 물리적인 키패드와, 디스플레이부(130)의 터치스크린에 표시되는 가상 키패드 및 무선으로 연결가능한 물리적인 키패드를 포함한다. 디스플레이장치(100)의 전면 및/또는 측면에 형성되는 물리적인 키패드는 기기(100)의 성능 또는 구조에 따라 제외될 수 있다는 것은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에게 용이하게 이해될 것이다.
또한, 사용자 입력부(160)는 리모트 컨트롤러에 마련되며 사용자의 터치를 감지하는 터치 감지부(미도시) 및/또는 사용자에 의한 자체 모션을 감지하는 모션감지부(미도시)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디스플레이장치(100)는 사용자 입력부(160) 뿐 아니라, 감지부(150)에 의한 사용자 조작, 즉 푸시 입력을 감지 가능하도록 구현된다.
통신부(170)는 주변기기와 통신을 수행한다. 본 실시예의 통신부(170)는 적외선 통신, RF, 지그비, 블루투스, 와이파이 다이렉트 등과 같은 무선통신 모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통신부(170)는 음성취득부(143)가 디스플레이장치(100)와 분리 이격된 장치(예를 들어, 리모트 컨트롤러)에 마련된 경우, 음성취득부(143)에 입력된 음성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170)는 카메라(140)의 다운 시 외부장치에 마련된 음성취득부(143)를 오프시키는 커맨드를 전송할 수 있다.
저장부(175)에는 제어부(190)의 제어에 따라서 한정되지 않은 데이터가 저장된다. 저장부(175)는 플래시메모리(flash-memory), 하드디스크 드라이브(hard-disc drive)와 같은 비휘발성 저장매체로 구현된다. 저장부(175)는 제어부(190)에 의해 액세스되며, 제어부(190)에 의한 데이터의 독취/기록/수정/삭제/갱신 등이 수행된다.
저장부(175)에 저장되는 데이터는,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장치(100)의 구동을 위한 운영체제를 비롯하여, 이 운영체제 상에서 실행 가능한 다양한 응용 프로그램, 영상데이터, 부가데이터 등을 포함한다.
전원공급부(180)는 디스플레이장치(100)를 구성하는 각 구성요소로 전원을 공급한다. 전원공급부(160)는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상용 교류전원을 디스플레이장치(100)의 각 구성요소로 공급되는 전원으로 변환하여 공급하며, SMPS (Switching Mode Power Supply)로 구현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디스플레이장치(100)의 전원이 오프(off)된 상태 즉, 대기상태에서도 최소한의 구성, 예를 들어 카메라(140)의 업/다운을 감지하는 감지부(150)와, 감지부(150)의 감지 결과를 수신하는 제어부(190)의 일부 구성에는 대기전원을 공급하도록 구현된다. 따라서, 감지부(150)는 전원 오프 상태에서 카메라(140)의 업/다운을 감지할 수 있는 신호입력 대기상태로 동작하게 된다.
제어부(190)는 디스플레이장치(100)의 다양한 구성에 대한 제어동작을 수행한다. 예를 들면, 제어부(190)는 영상처리부(120)가 처리하는 영상처리 프로세스의 진행, 리모트 컨트롤러로부터의 커맨드에 대한 대응 제어동작을 수행함으로써, 디스플레이장치(100)의 전체 동작을 제어한다. 제어부(190)는 예를 들어 CPU에 소프트웨어가 결합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제어부(190)는 감지부(150)의 감지 결과에 따라, 전원공급부(180)로부터 디스플레이장치(100)에 공급되는 전원을 제어할 수 있다.
도 5와 도 6은 본 발명 실시예에 따라 디스플레이장치가 전원 오프된 상태에서 카메라가 돌출되는 경우를 예로 들어 도시한 도면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장치(100)의 전원이 오프된 상태에서, 사용자로부터 카메라(140)에 대한 푸시 입력이 수신될 수 있다.
제어부(190)는 감지부(150)에서 카메라(140)가 돌출되는 것이 감지되면, 디스플레이장치(100)가 온(on)되어 각 구성들에 전원이 공급되도록 전원공급부(180)를 제어한다.
위와 같이 디스플레이장치(100)의 전원이 오프된 상태에서 카메라(140)가 돌출되는 것을 감지하는 경우, 제어부(190)는 미러 기능을 실행하여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메라(140)를 통해 입력되는 영상에 대응하는 프리뷰 화면(11)이 디스플레이부(130)의 일 영역에 표시되도록 영상처리부(120)를 제어한다.
그리고, 제어부(190)는 정보를 제공하는 기설정된 응용 프로그램을 실행하고, 실행된 응용 프로그램에서 제공하는 정보를 더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부(130)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기설정된 응용 프로그램은 날씨 위젯, 시계 위젯, 교통정보 위젯, 주식 위젯 및 일정 위젯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도 6은 날씨 위젯(13)과 주식 위젯(14)이 실행된 경우를 예로 들어 도시한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 기설정된 응용 프로그램은 카메라(140)를 사용하는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부(190)는 카메라(140)를 활용하는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하는 어플리케이션 목록(application list)을 더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부(130)를 제어할 수 있다. 사용자는 표시된 어플리케이션 목록에서 실행하고자 하는 어플리케이션, 예를 들어 화상통신 어플리케이션을 선택하여 해당 기능을 간편하게 실행할 수 있다.
한편, 도 5 및 도 6의 실시예와 같이, 디스플레이장치(100)가 전원 오프된 상태에서 카메라(140)의 돌출에 의해 디스플레이장치(100)의 전원이 온된 경우, 제어부(190)는 감지부(150)에서 카메라(140)가 침강하는 것이 감지되면, 디스플레이장치(100)의 전원이 오프되도록 전원공급부(180)를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90)는 감지부(150)에 의해 카메라(140)가 침강하는 것이 감지되면, 디스플레이장치(100)가 카메라(140)의 돌출에 응답하여 전원이 온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결과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장치(100)의 전원이 오프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5 및 도 6의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는 외출 준비 시에 디스플레이장치(100)의 카메라(140)를 푸시하는 간단한 조작만으로, 디스플레이장치(100)를 온하고, 프리뷰 화면(11)을 통해 자신의 준비 상태를 확인할 수 있으며, 응용 프로그램을 통해 외출에 필요한 다양한 정보를 취득할 수 있다. 그리고, 외출 준비를 마친 사용자가 카메라(140)를 푸시하는 간단한 조작으로 디스플레이장치(100)가 오프된다.
한편,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본 발명 실시예에서는 전원 오프 상태에서는 카메라(140)의 돌출에 응답하여 프리뷰 화면(21)과, 정보 위젯(13, 14)을 표시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도시하고 있으나, 본 발명은 전원 오프 상태에서는 카메라(140)의 돌출에 응답하여 카메라(140)를 이용한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아이콘(도 8의 21, 22, 23, 24)을 디스플레이부(130)에 더 표시하여 사용자의 카메라(140) 활용의 편의성을 더 향상시키도록 구현될 수도 있을 것이다.
도 7과 도 8은 본 발명 실시예에 따라 디스플레이장치가 전원 온된 상태에서 카메라가 돌출되는 경우를 예로 들어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장치(100)의 전원이 온된 상태 예를 들어, 외부로부터 수신된 방송신호에 대응하는 영상이 표시되는 상태에서, 사용자로부터 카메라(140)에 대한 푸시 입력이 수신될 수 있다.
제어부(190)는 감지부(150)에서 카메라(140)가 돌출되는 것이 감지되면, 카메라(140)를 활용하는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하는 어플리케이션 목록을 복수의 아이콘(21, 22, 23, 24)으로 팝업(pop-up)하여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부(130)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디스플레이부(130)에는 사용자에게 어플리케이션 선택을 안내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UI)(25), 카메라(140)를 활용한 인식 엔진으로의 상태표시, 예를 들어 카메라의 활성화 여부를 나타내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미도시) 등이 더 표시될 수 있다.
사용자는 사용자 입력부(160)를 조작하여 표시된 어플리케이션 목록에서 실행하고자 하는 어플리케이션, 예를 들어 카메라 촬영에 대응하는 아이콘(21)을 선택하여 해당 기능을 간편하게 실행할 수 있다.
여기서, 카메라(140)의 돌출에 응답하여 디스플레이부(130)에 표시되는 어플리케이션 목록은 미리 작성되어 저장부(175)에 저장될 수 있다.
한편, 도 7 및 도 8의 실시예와 같이, 디스플레이장치(100)가 전원 온된 상태에서 카메라(140)의 돌출에 의해 카메라(140)를 이용한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된 경우, 제어부(190)는 감지부(150)에서 카메라(140)가 침강하는 것이 감지되면, 이전 화면으로 복귀, 예를 들어 도 7의 방송신호에 대응하는 영상이 다시 표시되도록 디스플레이부(130)를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90)는 감지부(150)에 의해 카메라(140)가 침강하는 것이 감지되면, 디스플레이장치(100)가 카메라(140)의 돌출이 아닌 사용자 입력부(160)의 조작에 응답하여 전원이 온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결과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부(130)가 이전 화면으로 복귀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7 및 도 8의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는 디스플레이장치(100)가 온된 상태, 예를 들어 TV를 시청하고 있는 상태에서 카메라(140)가 돌출되는 경우, 카메라(140)를 이용하는 어플리케이션 목록을 자동으로 표시함으로써, 사용자가 필요한 어플리케이션을 수동으로 찾아서 실행시키는 불편을 해소할 수 있다.
한편,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본 발명 실시예에서는 전원 온 상태에서는 카메라(140)의 돌출에 응답하여 어플리케이션 목록(21, 22, 23, 24)을 표시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도시하였지만, 본 발명은 전원 온 상태에서는 카메라(140)의 돌출에 응답하여 미러 기능에 대응하는 아이콘이나, 정보 위젯(도 6의 13,14)을 디스플레이부(130)에 더 표시하여, 사용자의 외출 준비의 편의까지 향상시키도록 구현될 수도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장치(100)의 온/오프 여부에 관계없이 사용자가 쉽고 간편하게 필요한 기능, 서비스, 정보 등에 접근이 가능하게 된다.
이하, 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에 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9는 본 발명 일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장치(100)가 전원 오프인 상태에서 카메라(140)가 외부로 돌출될 수 있다(S302). 여기서, 카메라(140)는 도 3과 같은 사용자의 푸시 입력에 대응하여 디스플레이장치(100)의 상부로 돌출될 수 있다.
단계 S602에서 카메라(140)가 돌출되면, 오프 상태인 디스플레이장치(100)가 온되어 전원공급부(180)로부터 전원이 공급될 수 있다(S304). 이에 따라, 카메라(140)에도 전원이 공급되어, 카메라가 활성화 된다.
제어부(190)는 활성화된 카메라(140)를 통해 입력되는 영상에 대응하는 프리뷰 화면(11)을 디스플레이부(130)에 표시한다(S306).
그리고, 제어부(190)는 기설정된 응용 프로그램(13, 14)을 실행하고, 응용 프로그램(13, 14)에서 제공하는 정보를 디스플레이부(130)에 더 표시한다(S308). 여기서, 기설정된 응용 프로그램은 사용자에게 정보를 제공하는 정보 위젯으로서 날씨 위젯, 시계 위젯, 교통정보 위젯, 주식 위젯 및 일정 위젯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또한, 응용 프로그램은 경우에 따라 카메라(140)를 활용하는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21, 22, 23, 24)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단계 S308에서 응용 프로그램(13, 14)은 사용자의 조작에 응답하여 선택적으로(optionally) 실행될 수 있다.
제어부(190)는 감지부(150)를 통해 단계 S302에서 돌출된 카메라(140)가 침강하는 것을 감지할 수 있다(S310). 여기서, 카메라(140)는 도 4과 같은 사용자의 푸시 입력에 대응하여 디스플레이장치(100) 내로 침강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단계 S308의 응용 프로그램(13, 14)을 실행하지는 과정 없이, 단계 306의 프리뷰 화면(11)이 표시된 상태에서, 단계 S310에서의 사용자의 푸시 입력을 감지하도록 구현되는 것을 포함한다.
단계 S310에서 카메라(140)가 침강하는 것이 감지되면, 제어부(190)는 디스플레이장치(100)가 단계 S302에서 카메라(140) 돌출에 의해 온된 것이므로, 디스플레이장치(100)의 전원이 오프되도록 전원공급부(180)를 제어한다(S312).
도 10은 본 발명 다른 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장치(100)가 전원 온인 상태 예를 들어, TV 방송이 표시된 상태에서 카메라(140)가 외부로 돌출될 수 있다(S402). 여기서, 카메라(140)는 도 3과 같은 사용자의 푸시 입력에 대응하여 디스플레이장치(100)의 상부로 돌출될 수 있다.
단계 S602에서 카메라(140)가 돌출되면, 제어부(190)는 카메라(140)에 전원이 공급되어 카메라가 활성화 되도록 제어하고, 카메라(140)와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 목록(21, 22, 23, 24)을 디스플레이부(130)에 표시한다(S404). 여기서, 제어부(190)는 사용자에게 정보를 제공하는 정보 위젯을 실해하여, 해당 위젯이 제공하는 정보를 디스플레이부(130)에 더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는 단계 S404에서 표시된 어플리케이션 목록(21, 22, 23, 24)에서 적어도 하나를 선택하여, 사용하고자 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S406).
그리고, 제어부(190)는 감지부(150)를 통해 단계 S402에서 돌출된 카메라(140)가 침강하는 것을 감지할 수 있다(S408).
단계 S408에서 카메라(140)가 침강하는 것이 감지되면, 제어부(190)는 디스플레이장치(100)가 단계 S402의 카메라(140) 돌출과 관계없이 이미 온 되어 방송을 표시하고 있었으므로, 단계 S402에서 표시된 이전 화면으로 복귀하도록 디스플레이부(130)를 제어한다(S412).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전원 오프인 디스플레이장치를 카메라 푸시에 의해 간편하게 온/오프할 수 있으며, 카메라 돌출 시 사용자 프리뷰 화면과 정보 위젯을 실행시켜, 디스플레이장치의 활용성을 높이고, 사용자에게 보다 다양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카메라 돌출에 응답하여 카메라와 관련된 어플리케이션 목록을 표시함으로써, 카메라 활용에 대한 접근성을 높이고, 사용자의 편의가 보다 증대될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컴퓨터가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로 실시될 수 있다. 컴퓨터가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는 전송매체 및 컴퓨터 시스템에 의해 판독 가능한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매체를 포함한다. 전송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이 상호 결합된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구현 가능하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하드웨어와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로서, 제어부(190)는 소프트웨어인 컴퓨터프로그램이 저장되는 비휘발성메모리와, 비휘발성메모리에 저장된 컴퓨터프로그램이 로딩되는 RAM과, RAM에 로딩된 컴퓨터프로그램을 실행하는 CPU를 포함할 수 있다. 비휘발성메모리는 하드디스크드라이브, 플래쉬메모리, ROM, CD-ROMs, 자기테이프(magnetic tapes), 플로피 디스크, 광기억 장치(optical storage), 인터넷을 이용한 데이터 전송장치 등을 포함하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비휘발성메모리는 본 발명의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의 일례이다.
컴퓨터프로그램은 CPU가 읽고 실행할 수 있는 코드로서,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단계 S302 내지 단계 S312 및/또는 단계 S204 내지 S410과 같은 제어부(190)의 동작을 수행하도록 하는 코드를 포함한다.
컴퓨터프로그램은 디스플레이장치(100)에 구비된 운영체제(operating system) 또는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하는 소프트웨어 및/또는 외부장치와 인터페이스하는 소프트웨어에 포함되어 구현될 수 있다.
이상,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다.
100 : 디스플레이장치 110 : 영상수신부
120 : 영상처리부 130 : 디스플레이부
140 : 카메라 141 : 렌즈
142 : 이미지센서 143 : 음성취득부
150 : 감지부 160 : 사용자 입력부
170 : 통신부 175 : 저장부
180 : 전원공급부 190: 제어부

Claims (17)

  1. 디스플레이장치에 있어서,
    렌즈를 통해 투과된 영상을 감지하는 이미지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의 상부에 업/다운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사용 시 업되어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의 외부로 돌출되는 카메라와;
    상기 이미지센서에서 감지된 영상에 대응하는 영상신호를 처리하는 영상처리부와;
    상기 처리된 영상신호를 영상으로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카메라의 업/다운을 감지하는 감지부와;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의 각 구성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와;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전원이 오프된 상태에서, 상기 감지부에서 상기 카메라가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의 외부로 돌출되는 것이 감지되거나 또는 사용자 입력부를 통해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는 것이 감지되면,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전원이 온 되도록 상기 전원공급부를 제어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전원이 온된 상태에서, 상기 감지부에서 상기 카메라가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의 내부로 침강하는 것이 감지되면,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상기 사용자 입력에 의해 온된 것인지 또는 상기 카메라의 돌출에 의해 온된 것인지 여부를 식별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상기 카메라의 돌출에 의해 온된 것으로 식별되면,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전원이 오프 되도록 상기 전원공급부를 제어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상기 사용자 입력에 의해 온된 것으로 식별되면,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상기 카메라가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의 외부로 돌출되기 이전의 화면이 표시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부에서 상기 카메라가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의 외부로 돌출되는 것이 감지되면, 정보를 제공하는 기설정된 응용 프로그램을 실행하고, 상기 응용 프로그램에서 제공하는 정보를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기설정된 응용 프로그램은 날씨 위젯, 시계 위젯, 교통정보 위젯, 주식 위젯 및 일정 위젯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기설정된 응용 프로그램은 상기 카메라를 활용하는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부에서 상기 카메라가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의 외부로 돌출되는 것이 감지되면, 상기 카메라를 활용하는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하는 어플리케이션 목록을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6.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부에서 상기 카메라가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의 외부로 돌출되는 것이 감지되면, 상기 카메라를 통해 입력되는 영상에 대응하는 프리뷰 화면을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7. 삭제
  8.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의 전원이 온된 상태에서 상기 감지부에서 상기 카메라가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의 외부로 돌출되는 것이 감지되면, 상기 카메라를 활용하는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하는 어플리케이션 목록을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 목록이 미리 저장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10.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의 디스플레이부의 전원이 오프된 상태에서,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의 상부에 업/다운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사용 시 업되어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의 외부로 돌출되는 카메라가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의 외부로 돌출되거나 또는 사용자입력부를 통해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는 것을 감지하는 단계와;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전원이 온되는 단계와;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전원이 온된 상태에서, 상기 카메라가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의 내부로 침강하는 것이 감지되면,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상기 사용자 입력에 의해 온된 것인지 또는 상기 카메라의 돌출에 의해 온된 것인지 여부를 식별하는 단계와;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상기 카메라의 돌출에 의해 온된 것으로 식별되면,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전원이 오프 되도록 제어하는 단계와;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상기 사용자 입력에 의해 온된 것으로 식별되면,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상기 카메라가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의 외부로 돌출되기 이전의 화면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가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의 외부로 돌출되는 것이 감지되면, 정보를 제공하는 기설정된 응용 프로그램을 실행하고, 상기 응용 프로그램에서 제공하는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기설정된 응용 프로그램은 날씨 위젯, 시계 위젯, 교통정보 위젯, 주식 위젯 및 일정 위젯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기설정된 응용 프로그램은 상기 카메라를 활용하는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
  14. 제10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가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의 외부로 돌출되는 것이 감지되면, 상기 카메라를 활용하는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하는 어플리케이션 목록을 더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
  15. 제10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가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의 외부로 돌출되는 것이 감지되면,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상기 카메라를 통해 입력되는 영상에 대응하는 프리뷰 화면을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
  16. 삭제
  17. 제10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의 전원이 온된 상태에서 상기 카메라가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의 외부로 돌출되는 것을 감지하는 단계와;
    상기 카메라를 활용하는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하는 어플리케이션 목록을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

KR1020140017710A 2014-02-17 2014-02-17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22037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7710A KR102203756B1 (ko) 2014-02-17 2014-02-17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PCT/KR2015/001579 WO2015122740A1 (ko) 2014-02-17 2015-02-16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CN201580005542.0A CN106416276A (zh) 2014-02-17 2015-02-16 显示装置及其控制方法
US15/114,948 US20160352990A1 (en) 2014-02-17 2015-02-16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EP15749320.6A EP3110137B1 (en) 2014-02-17 2015-02-16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f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7710A KR102203756B1 (ko) 2014-02-17 2014-02-17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96880A KR20150096880A (ko) 2015-08-26
KR102203756B1 true KR102203756B1 (ko) 2021-01-15

Family

ID=538004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17710A KR102203756B1 (ko) 2014-02-17 2014-02-17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160352990A1 (ko)
EP (1) EP3110137B1 (ko)
KR (1) KR102203756B1 (ko)
CN (1) CN106416276A (ko)
WO (1) WO201512274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866237B (zh) 2019-04-30 2022-06-03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弹出式摄像模组和终端
TWI783777B (zh) * 2021-11-11 2022-11-11 佳世達科技股份有限公司 攝像組件及具有其之顯示裝置
KR102408854B1 (ko) * 2022-03-30 2022-06-15 유환아이텍(주) 다중영상재생이 가능한 실물화상기 내장형 전자칠판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812958B1 (en) * 1998-09-10 2004-11-02 Intel Corporation Storable digital camera associated with a computer system
KR20020014388A (ko) * 2000-08-17 2002-02-25 김홍기 모니터용 통신카메라의 탈/부착 장치
US7109908B2 (en) * 2002-10-18 2006-09-19 Contec Corporation Programmable universal remote control unit
US20050014527A1 (en) * 2003-07-18 2005-01-20 Agere Systems Incorporated Retractable rotatable camera module for mobile communication device and method of operation thereof
JP4703474B2 (ja) * 2006-04-24 2011-06-15 株式会社日立国際電気 通信装置
KR100946824B1 (ko) * 2007-10-31 2010-03-09 (주)피엑스디 디지털 방송 위젯 시스템 및 위젯 출력 방법
KR101366859B1 (ko) * 2007-10-31 2014-02-21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
IE86454B1 (en) * 2008-11-18 2014-11-05 Ash Technologies Res Ltd A handheld viewing device
US20110164175A1 (en) * 2010-01-05 2011-07-07 Rovi Technologies Corporation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subtitles on a wireless communications device
US8542264B2 (en) * 2010-11-18 2013-09-24 Cisco Technology, Inc.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optics in a video environment
KR101947572B1 (ko) * 2012-07-06 2019-02-14 삼성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982075B1 (ko) * 2012-09-28 2019-05-24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Tv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60352990A1 (en) 2016-12-01
KR20150096880A (ko) 2015-08-26
EP3110137A4 (en) 2017-09-06
CN106416276A (zh) 2017-02-15
EP3110137A1 (en) 2016-12-28
WO2015122740A1 (ko) 2015-08-20
EP3110137B1 (en) 2019-08-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80376099A1 (en) Remote controll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screen thereof
US10939065B2 (en)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display of display apparatus
KR101947572B1 (ko)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2198783B1 (ko) 복수 개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이용하여 영상을 표시하는 방법 및, 복수 개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어하는 전자 장치
US20130179795A1 (en) Electronic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for electronic apparatus
CN107534752A (zh) 图像显示装置及其操作方法
US9420327B2 (en) User terminal apparatus and UI providing method thereof
US20170300192A1 (en) Method of providing multi-screen environment and apparatus thereof
KR101890626B1 (ko) 이동 단말기, 영상표시장치 및 이들을 이용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CN105635609A (zh) 显示设备和显示方法
EP3119096A1 (en) Image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KR20160099388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EP3038374A1 (en) Display device and display method
KR102203756B1 (ko)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CN112543359A (zh) 一种显示设备及自动配置视频参数的方法
KR102204676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모바일 장치, 이를 포함하는 시스템 및 그 접속 제어방법
KR102395701B1 (ko)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제어방법
KR102300435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방법
KR20180024179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방법
KR102267194B1 (ko) 단말기 및 그의 동작 방법
CN111259639A (zh) 一种表格的自适应调节方法及显示设备
US9294706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laying back a moving picture
KR20140087787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KR20130071148A (ko) 영상표시장치의 동작 방법
KR20200095442A (ko) 디스플레이장치, 음성취득장치 및 그 음성인식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