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00580B1 - Harmonic motion output device of a body joints and method thereof - Google Patents

Harmonic motion output device of a body joints and method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00580B1
KR102200580B1 KR1020180131559A KR20180131559A KR102200580B1 KR 102200580 B1 KR102200580 B1 KR 102200580B1 KR 1020180131559 A KR1020180131559 A KR 1020180131559A KR 20180131559 A KR20180131559 A KR 20180131559A KR 102200580 B1 KR102200580 B1 KR 1022005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nsor
wearing
joint
signal
out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3155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00048914A (en
Inventor
황희선
김종찬
노경석
김정준
Original Assignee
한국로봇융합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로봇융합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로봇융합연구원
Priority to KR10201801315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00580B1/en
Priority to PCT/KR2018/013079 priority patent/WO2020091107A1/en
Publication of KR202000489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4891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005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0058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03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testing the shape, pattern, colour, size or movement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11Measuring movement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e.g. head or hand tremor, mobility of a limb
    • A61B5/1121Determining geometric values, e.g. centre of rotation or angular range of move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03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testing the shape, pattern, colour, size or movement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11Measuring movement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e.g. head or hand tremor, mobility of a limb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2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physiological signals or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7225Details of analog processing, e.g. isolation amplifier, gain or sensitivity adjustment, filtering, baseline or drift compensation

Abstract

본 발명은 동작 분석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신체 관절의 조화운동 출력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신체의 제 1 부분과 제 2 부분 및 상기 제 1 부분과 상기 제 2 부분을 연결하는 관절(20)에 적용하는 신체 관절의 조화운동 분석 장치에 있어서, 제 1 부분에 부착되는 제 1 착용부(100); 제 1 착용부(100)에 구비되어 상기 제 1 부분의 연신을 감지하는 제 1 센서(110); 제 2 부분에 부착되는 제 2 착용부(200); 제 2 착용부(200)에 구비되어 상기 제 2 부분의 연신을 감지하는 제 2 센서(210); 및 제 1 센서(110) 및 상기 제 2 센서(210)의 신호(321, 331)들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부분, 상기 제 2 부분 및 상기 관절(20)의 조화 운동을 전기적 출력신호(370)로 출력하는 연산부(300);가 제공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tion analysis system,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pparatus and method for outputting a harmonic motion of a body joint. To this end, in the apparatus for analyzing a harmonic motion of a body joint applied to a first part and a second part of the body and a joint 20 connecting the first part and the second part, the first part attached to the first part Wearing part 100; A first sensor 110 provided in the first wearing part 100 to detect the stretching of the first part; A second wearing part 200 attached to the second part; A second sensor 210 provided on the second wearing part 200 to detect the stretching of the second part; And a harmonic motion of the first part, the second part, and the joint 20 based on the signals 321 and 331 of the first sensor 110 and the second sensor 210. ) To output to the operation unit 300; is provided.

Description

신체 관절의 조화운동 출력 장치 및 그 방법{Harmonic motion output device of a body joints and method thereof}Harmonic motion output device of a body joints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동작 분석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신체 관절의 조화운동 출력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tion analysis system,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pparatus and method for outputting a harmonic motion of a body joint.

일반적으로, 골프 스윙, 테니스 운동에서 각 관절의 움직임을 분석하기 위해서는 카메라와 모션 센서를 이용하여 궤적을 추적하곤 하였다. 이러한 방식은 팔이나 다리의 움직임을 포착하는 것이기 때문에 팔 다리 근육에 어느 정도의 힘이 작용하고 있는지를 알 수 없었다. 즉, 거시적인 동작 좌표만을 알 수 있을 뿐이어서 근육의 긴장도, 힘의 정도 등은 파악하기 어려웠다. 이로 인해, 운동 당사자는 움직임만을 충실히 따르기 위하여 연습하였고, 이에 필요한 힘의 조절은 스스로 체득하는 수 밖에 없었다. In general, in order to analyze the motion of each joint in golf swing and tennis exercise, a trajectory was tracked using a camera and a motion sensor. Since this method captures the movement of the arm or leg, it was not known how much force was exerted on the arm and leg muscles. In other words, it was difficult to grasp the degree of muscle tension and strength as only macroscopic motion coordinates were known. For this reason, the exercisers practiced to faithfully follow only the movements, and they had no choice but to learn the necessary force control by themselves.

그 밖에, 인체공학적인 측면에서 팔과 팔꿈치 관절의 동작 및 힘에 관한 상관관계, 다리와 무릎관절과의 동작 및 힘의 상관관계 등을 정량적으로 파악할 수 있는 연구가 미비하여 관련된 응용분야(예 : 웨어러블 로봇 등)의 기술개발이 지연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In addition, in terms of ergonomics, there is insufficient research to quantitatively grasp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otion and force of the arm and elbow joint and the motion and force of the leg and knee joint, and related applications (e.g.: There was a problem that the technology development of wearable robots, etc.) was delayed.

대한민국 특허공개번호 제 10-2016-0103852 호(공개일 : 2016년 9월 2일)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6-0103852 (Publication date: September 2, 2016)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신체의 근육에서 조화운동에 따른 연신을 측정하여 출력함으로써 운동을 분석할 수 있도록 하는 신체 관절의 조화운동 출력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the object to be solved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measure and output the elongation according to the harmonic motion in the muscles of the body, so that the motion can be analyzed. It is to provide an exercise output device and a method thereof.

다만,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However, the technical problems to be achiev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technical problems mentioned above, and other technical problems that are not mentioned are clearly to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It will be understandable.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 신체의 제 1 부분과 제 2 부분 및 상기 제 1 부분과 상기 제 2 부분을 연결하는 관절(20)에 적용하는 신체 관절의 조화운동 분석 장치에 있어서, 제 1 부분에 부착되는 제 1 착용부(100); 제 1 착용부(100)에 구비되어 상기 제 1 부분의 연신을 감지하는 제 1 센서(110); 제 2 부분에 부착되는 제 2 착용부(200); 제 2 착용부(200)에 구비되어 상기 제 2 부분의 연신을 감지하는 제 2 센서(210); 및 제 1 센서(110) 및 상기 제 2 센서(210)의 신호(321, 331)들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부분, 상기 제 2 부분 및 상기 관절(20)의 조화 운동을 전기적 출력신호(370)로 출력하는 연산부(3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체 관절의 조화운동 출력 장치가 제공된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technical problem, in the first part and the second part of the body and the harmonic motion analysis apparatus of a body joint applied to the joint 20 connecting the first part and the second part, the first A first wearing part 100 attached to the part; A first sensor 110 provided in the first wearing part 100 to detect the stretching of the first part; A second wearing part 200 attached to the second part; A second sensor 210 provided on the second wearing part 200 to detect the stretching of the second part; And a harmonic motion of the first part, the second part, and the joint 20 based on the signals 321 and 331 of the first sensor 110 and the second sensor 210. An arithmetic motion output device for body joints,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또한, 제 1 센서(110)는 제 1 착용부(100)에 복수개가 균일하게 구비되는 스트레인 센서이고, 제 2 센서(210)는 제 2 착용부(200)에 복수개가 균일하게 구비되는 스트레인 센서이다. In addition, the first sensor 110 is a strain sensor uniformly provided in a plurality of the first wearing portion 100, the second sensor 210 is a strain sensor uniformly provided in a plurality of the second wearing portion 200 to be.

또한, 제 1 센서(110) 및 상기 제 2 센서(210)는 제 1 착용부(100) 및 제 2 착용부(200)상에 각각 프린팅된 전도성 필러로 형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first sensor 110 and the second sensor 210 may be formed of conductive fillers printed on the first and second wearing parts 100 and 200, respectively.

한편, 전도성 필러는 금 및 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전도성 필러는 연신성 고분자 용액과 혼합되어 함께 프린팅될 수 있다. Meanwhile, the conductive filler may include at least one of gold and silver, and the conductive filler may be mixed with a stretchable polymer solution to be printed together.

그리고, 신체에 부착되는 제 3 착용부(310)를 더 포함하고, 그리고 연산부(300)는 제 3 착용부(310)상에 구비된다. Further, a third wearing part 310 attached to the body is further included, and the operation part 300 is provided on the third wearing part 310.

또한, 제 1 부분과 상기 제 2 부분은 팔뚝(10)과 팔(30)이거나 혹은 허벅지와 종아리이다. Further, the first part and the second part are the forearms 10 and the arms 30 or the thighs and the calves.

또한, 제 1 착용부(100)와 제 2 착용부(200)중 적어도 하나는 직물 또는 고분자 시트를 포함한다. In addition, at least one of the first wearing portion 100 and the second wearing portion 200 includes a fabric or a polymer sheet.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또 다른 카테고리로써 전술한 출력 장치를 이용한 출력 방법으로서, 신체의 제 1 부분을 기준으로 관절(20)을 통해 제 2 부분을 상대적으로 움직임으로써 연산부(300)에 출력신호(370)가 나오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S100); 제 1 부분을 기준으로 상기 관절(20)을 통해 상기 제 2 부분을 상대적으로 최대 범위로 움직임으로써 가용 범위를 획득하는 단계(S200); 가용 범위 내에서 반복운동을 통해 제 1 착용부(100)의 제 1 센서(110)와 제 2 착용부(200)의 제 2 센서(210)를 교정하는 단계(S300); 및 제 1 부분과 상기 제 2 부분 및 상기 관절(20)을 반복적으로 움직일 때, 상기 연산부(300)가 상기 제 1 센서(110) 및 상기 제 2 센서(210)의 출력신호들에 기초하여 조화운동의 출력신호(370)를 출력하는 단계(S4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체 관절의 조화운동 출력 방법이 제공된다. In order to achieve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as another category, as an output method using the above-described output device, an operation unit (a) by relatively moving a second part through the joint 20 based on the first part of the body ( Checking whether the output signal 370 appears in 300 (S100); Obtaining an available range by moving the second part to a relatively maximum range through the joint 20 based on the first part (S200); Calibrating the first sensor 110 of the first wearing unit 100 and the second sensor 210 of the second wearing unit 200 through repeated movement within the usable range (S300); And when the first part, the second part, and the joint 20 are repeatedly moved, the calculation unit 300 is harmonized based on the output signals of the first sensor 110 and the second sensor 210. There is provided a method for outputting a harmonic motion of a body joint, comprising: outputting the motion output signal 370 (S400).

또한, 교정단계(S300)는, 제 1 부분을 고정한 상태에서 상기 제 2 부분을 반복운동하면서 상기 제 2 센서(210)를 교정하는 단계(S320); 및 제 2 부분을 고정한 상태에서 상기 제 1 부분을 반복운동하면서 상기 제 1 센서(110)를 교정하는 단계(S340);를 순차적으로 또는 역순으로 실행할 수 있다. Further, the calibration step (S300) may include calibrating the second sensor 210 while repeatedly moving the second part while the first part is fixed (S320); And calibrating the first sensor 110 while repeatedly moving the first part while the second part is fixed (S340). It may be performed sequentially or in reverse order.

또한, 제 1 센서(110)는 제 1 착용부(100)의 연신에 따라 연신하면서 저항이 변하는 스트레인 센서이고, 그리고 제 2 센서(210)는 제 2 착용부(200)의 연신에 따라 연신하면서 저항이 변하는 스트레인 센서이다. In addition, the first sensor 110 is a strain sensor whose resistance is changed while stretching according to the stretching of the first wearing part 100, and the second sensor 210 is stretching according to the stretching of the second wearing part 200 It is a strain sensor with a variable resistance.

또한, 출력신호(370)의 출력단계(S400)에서, 반복적인 움직임은 골프, 테니스, 탁구, 요가, 필라테스, 헬스 운동 중 하나의 움직임일 수 있다. In addition, in the output step (S400) of the output signal 370, the repetitive movement may be one of golf, tennis, table tennis, yoga, Pilates, and fitness exercises.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신체의 근육에서 조화운동에 따른 연신을 측정하여 출력함으로써 운동을 분석할 수 있다. 즉, 과학적이고 정량적인 데이터 획득이 가능하여 운동생리학 등의 스포츠 과학 분야, 웨어러블 로봇과 같은 응용분야에서 기초 설계에 사용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analyze the movement by measuring and outputting the elongation according to the harmonic movement in the muscles of the body. That is, it is possible to obtain scientific and quantitative data, and thus has a feature that can be used for basic design in sports science fields such as exercise physiology and application fields such as wearable robots.

또한, 골프, 탁구, 테니스 등과 같이 스윙 자세를 연습하는 종목에서 자세를 연습하기 위한 근육의 힘 조절 분석자료로 활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In addition,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be used as analysis data for muscle force control for practicing posture in sports such as golf, table tennis, and tennis.

아울러, 요가, 필라테스, 헬스, 역도 등과 같이 정적으로 근육이 힘을 발휘하는 종목에서 정량적인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기 때문에 교육자료 또는 분석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 In addition, since quantitative data can be obtained from events in which muscles are statically exerting strength, such as yoga, Pilates, fitness, and weightlifting, they can be used as educational or analysis data.

다만,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However, the effects obtainable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effects mentioned above,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I will be able to.

본 명세서에서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후술하는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신체 관절의 조화운동 출력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출력장치를 팔에 착용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용상태도이다.
도 3은 도 1 중 연산부(300)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사용하는 스트레인 센서를 시간에 따라 연신하였을 때 저항의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조화운동 출력 장치를 20% 반복 연신하였을 때 저항의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신체 관절의 조화운동 출력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The following drawings append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illustrat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serve to further understand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together with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o be described later, so the present invention is described in such drawings. It is limited to and should not be interpreted.
1 is a schematic configuration diagram of an apparatus for outputting a harmonic motion of a body joi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output device shown in FIG. 1 is worn on an arm.
3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operation unit 300 in FIG. 1.
4 is a graph showing a change in resistance when the strain sensor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is stretched over time.
5 is a graph showing a change in resistance when the harmonic motion outpu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repeatedly stretched by 20%.
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outputting a harmonic motion of a body joi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may easily implement the present invention. However, since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erely an embodiment for structural or functional descriptio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by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e text. That is, since the embodiments can be variously changed and have various forms,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equivalents capable of realizing the technical idea. In addition, since the object or effect presented in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mean that a specific embodiment should include all of them or only those effects,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understood as being limited thereto.

본 발명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The meaning of the terms described in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understood as follows.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Terms such as "first" and "second" are used to distinguish one component from other components, and the scope of rights is not limited by these terms. For example, a first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a second component, and similarly, a second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a first component. When a compon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although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to the other component, another component may exist in the middle. On the other hand, when it is mentioned that a component is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is no other component in the middle. On the other hand, other expressions describ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nstituent elements, that is, "between" and "just between" or "neighboring to" and "directly neighboring to" should be interpreted as well.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Singular expressions are to be understood as including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and terms such as "comprises" or "have" refer to specified features, numbers, steps, actions, components, parts, or It is to be understood that it is intended to designate that a combination exists and does not pre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or numbers, steps, ac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All terms used herein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unless otherwise defined. Terms defined in a commonly used dictionary should be interpreted as having the meaning of the related technology in context, and cannot be interpreted as having an ideal or excessively formal meaning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e present invention.

실시예의Example of 구성 Configura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신체 관절의 조화운동 출력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출력 장치는 크게 제 1 착용부(100), 제 2 착용부(200), 및 제 3 착용부(310)로 이루어진다. Hereinafter, a configuration of a preferred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1 is a schematic configuration diagram of an apparatus for outputting a harmonic motion of a body joi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1, the output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largely composed of a first wearing part 100, a second wearing part 200, and a third wearing part 310.

제 1 착용부(100)는 신축성 있는 직물이나 고분자 시트로 제작되어 팔이나 다리 또는 관절 주위에 감거나(예 : 벨크로 테잎 형태) 끼울 수 있는(예 : 토시) 형상이다. The first wearing part 100 is made of an elastic fabric or polymer sheet and has a shape that can be wrapped around an arm, leg, or joint (eg, in the form of a Velcro tape) or inserted (eg, a tosh).

제 1 센서(110)는 스트레인 센서로서 제 1 착용부(100) 상에 일체로 프린팅 또는 부착되어 제 1 착용부(100)와 함께 연신(늘어나거나 줄어듦)한다. 이를 위해, 제 1 센서(110)는 전도성 필러(예 : 금 마이크로 입자, 은 마이크로 입자, 은 나노입자 등)를 연신성 고무용액(예 : PDMS, ECOFLEX, DAI-EL G801 등)에 혼합하여 제 1 착용부(100)의 표면에 프린팅(예 : 잉크 프린터를 사용)함으로써 성형한다. 이로 인해, 제 1 센서(110)는 제 1 착용부(100)와 함께 연신하면서 저항값이 변하게 된다. 저항값의 변화는 연산부(300)에서 전압의 변화로 감지되어 파일링(Filing)이 가능해진다. The first sensor 110 is a strain sensor that is integrally printed or attached to the first wearing part 100 and stretched (stretched or decreased) together with the first wearing part 100. To this end, the first sensor 110 is prepared by mixing a conductive filler (eg, gold microparticles, silver microparticles, silver nanoparticles, etc.) into a stretchable rubber solution (eg PDMS, ECOFLEX, DAI-EL G801, etc.). 1 It is formed by printing on the surface of the wearing part 100 (eg, using an ink printer). For this reason, the resistance value of the first sensor 110 is changed while stretching together with the first wearing part 100. The change in the resistance value is sensed by the operation unit 300 as a change in voltage, so that filing is possible.

구체적으로, 제 1 센서(110)는 "ㄷ"자 형상이고, 양단에 제 1 배선(130)이 연결되는 구성이다. 선택적으로, 제 1 센서(110)의 감도를 높이기 위하여 양단 사이를 지그재그로 반복 성형하여 경로의 길이를 길게 할 수 있다. 이러한 제 1 센서(110)는 제 1 착용부(100) 상에서 균일한 간격으로 복수개(예 : 2개 ~ 10개)가 구비된다. 그리고, 복수개의 제 1 센서(110)로부터 연결되는 각각의 제 1 배선(130)은 모두 연산부(300)와 연결된다. Specifically, the first sensor 110 has a "c" shape and has a configuration in which the first wires 130 are connected to both ends. Optionally, in order to increase the sensitivity of the first sensor 110, the length of the path may be lengthened by repeatedly forming a zigzag between both ends. A plurality of such first sensors 110 (eg, 2 to 10) are provided on the first wearing part 100 at uniform intervals. In addition, each of the first wirings 130 connected from the plurality of first sensors 110 are all connected to the calculation unit 300.

제 2 착용부(200) 및 제 2 센서(210)는 각각 제 1 착용부(100) 및 제 1 센서(110)와 동일한 구성을 갖는다. The second wearing unit 200 and the second sensor 210 have the same configuration as the first wearing unit 100 and the first sensor 110, respectively.

제 3 착용부(310)는 제 1 착용부(100)와 제 2 착용부(200) 사이에 위치하며, 제 1, 2 착용부(100, 200)와 동일한 재질로 구성한다. 선택적으로, 제 3 착용부(310)는 제 1 착용부(100) 또는 제 2 착용부(200) 상에 일체로 구성할 수도 있다. The third wearing part 310 is located between the first wearing part 100 and the second wearing part 200 and is made of the same material as the first and second wearing parts 100 and 200. Optionally, the third wearing part 310 may be integrally formed on the first wearing part 100 or the second wearing part 200.

연산부(300)는 제 3 착용부(310)상에 구비되며, 가요성 인쇄회로(FPCB), 인쇄회로기판(PCB), 기판상의 전자부품(예 : 마이컴, 메모리, 저항, 캐패시터 등), 입출력 포트, 전원(예 : 배터리), (유선 또는 무선) 통신부 등으로 구성된다. 연산부(300)의 구체적인 내부 구성은 도 3에서 설명하도록 한다. The operation unit 300 is provided on the third wearing unit 310, and includes a flexible printed circuit (FPCB), a printed circuit board (PCB), electronic components (eg, microcomputer, memory, resistor, capacitor, etc.), input/output. It consists of a port, a power source (eg battery), and a communication unit (wired or wireless) A detailed internal configuration of the operation unit 30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3.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출력장치를 팔에 착용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용상태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착용부(100)는 팔뚝(10)에 단단히 감겨지며 착용되고, 제 2 착용부(200)는 팔(30)에 단단히 감겨지며 착용된다. 그리고, 제 3 착용부(310)는 관절(20, 팔꿈치)에 위치하도록 한다. 한편, 선택적인 사용예로서, 필요에 따라서는 제 1 착용부(100)를 관절(20, 팔꿈치)에 감을 수도 있다. FIG. 2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output device shown in FIG. 1 is worn on an arm. As shown in FIG. 2, the first wearing part 100 is tightly wound around the forearm 10 and worn, and the second wearing part 200 is tightly wound around the arm 30 and worn. Then, the third wearing part 310 is positioned at the joint 20 (elbow). On the other hand, as an optional use example, if necessary, the first wearing part 100 may be wound around the joint 20 (elbow).

도 3은 도 1 중 연산부(300)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산부(300)의 양측으로 제 1 입력부(320)와 제 2 입력부(330)가 구비된다. 이는 제 1 센서(110)와 제 2 센서(210)로 부터 전기적으로 각각 연결되는 제 1 배선(130) 및 제 2 배선(230)과 연결하기 위함이다. 3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operation unit 300 in FIG. 1. As shown in FIG. 3, a first input unit 320 and a second input unit 330 are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operation unit 300. This is to connect the first wire 130 and the second wire 230 electrically connected from the first sensor 110 and the second sensor 210, respectively.

제 1 입력부(320)는 가요성 인쇄회로를 포함하여 움직이는 제 1 배선(130)과의 전기적 연결을 가능하게 하며, 풀 브릿지(Full Bridge) 회로 등을 포함하여 전압값으로 출력할 수도 있다. 제 1 입력부(320)의 내부에는 ADC(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 회로를 포함하여 아날로그로 입력되는 제 1 신호(321)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한다. 제 2 입력부(330)는 제 1 입력부(320)와 대칭적으로 동일한 회로 구성을 갖는다. The first input unit 320 includes a flexible printed circuit to enable electrical connection with the moving first wiring 130, and may include a full bridge circuit and output as a voltage value. The first input unit 320 includes an analog-to-digital converter (ADC) circuit to convert the first signal 321 input through analog into a digital signal. The second input unit 330 has the same circuit configuration symmetrically as the first input unit 320.

제 1 증폭부(322)는 제 1 입력부(320)와 제 1 필터(324) 사이에 구비되어 입력되는 제 1 신호(321)를 소정 레벨로 증폭한다. 제 1 필터(324)는 제 1 증폭부(322)와 제어부(350) 사이에 구비되어 증폭된 신호들 중 불필요한 잡음(고주파 잡음)을 제거한다. 제 1 증폭부(322)와 제 1 필터(324)는 회로 구성에 따라 순서가 바뀔 수도 있다. 제 2 증폭부(332)는 제 1 증폭부(322)와 동일한 구성으로 대칭적으로 동일한 회로 연결을 갖는다. 제 2 필터(334)는 제 1 필터(324)와 동일한 구성으로 대칭적으로 동일한 회로 연결을 갖는다. The first amplifier 322 is provided between the first input unit 320 and the first filter 324 to amplify the input first signal 321 to a predetermined level. The first filter 324 is provided between the first amplification unit 322 and the control unit 350 to remove unnecessary noise (high frequency noise) among amplified signals. The order of the first amplifier 322 and the first filter 324 may be changed according to the circuit configuration. The second amplifying unit 332 has the same configuration as the first amplifying unit 322 and symmetrically has the same circuit connection. The second filter 334 has the same configuration as the first filter 324 and symmetrically has the same circuit connection.

제어부(350)는 제 1, 2 신호(321, 331)를 입력 받아 시간의 변화에 따른 저항값의 변화(또는 전압값의 변화)를 연속적으로 출력한다. 제어부(350)는 연속적으로 출력하는 신호를 저장하기 위하여 메모리를 구비한다. 이러한 제어부(350)는 CPU(중앙연산유닛) 또는 MICOM(마이컴) 등으로 구현할 수 있다. The control unit 350 receives the first and second signals 321 and 331 and continuously outputs a change in a resistance value (or a change in a voltage value) according to a change in time. The control unit 350 includes a memory to store signals that are continuously output. The control unit 350 may be implemented by a CPU (central computing unit) or MICOM (microcomputer).

출력부(360)는 제어부(350)와 연결되어 제어부(350)에서 생성한 출력신호(370)를 포트나 유무선 통신(예 : 지그비, 와이파이, 적외선 통신, 블루투스, 3G, 무선 LAN 등)을 통해 외부로 전송한다. The output unit 360 is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350 and transmits the output signal 370 generated by the control unit 350 through a port or wired/wireless communication (eg, ZigBee, Wi-Fi, infrared communication, Bluetooth, 3G, wireless LAN, etc.). Transfer to the outside.

실시예의Example of 동작 ac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의 동작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신체 관절의 조화운동 출력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먼저 도 2와 같이 제 1 착용부(100)를 팔뚝(10)에 단단히 착용하고, 제 2 착용부(200)를 팔(30)에 단단히 착용하여 관절(20) 영역에 제 3 착용부(310)가 위치하도록 한다. 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outputting a harmonic motion of a body joi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rst, as shown in FIG. 2, the first wearing part 100 is firmly worn on the forearm 10, and the second wearing part 200 is firmly worn on the arm 30, so that the third wearing part 310 is placed in the joint 20 area. ) Is located.

그 다음, 팔뚝(10)을 고정한 상태에서 팔(30)을 수회 움직여서 연산부(300)에 출력신호(370)가 나오는지 여부를 확인한다(S100). 이러한 확인단계(S100)는 출력신호(370)를 미도시된 계측기(예 : 오실로스코프나 FFT)에 연결하여 디스플레이되는 파형의 변화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Then, it is checked whether the output signal 370 appears to the operation unit 300 by moving the arm 30 several times while the forearm 10 is fixed (S100). This verification step (S100) can be confirmed by connecting the output signal 370 to an unillustrated measuring instrument (eg, oscilloscope or FFT) and changing a displayed waveform.

그 다음, 팔뚝(10)을 고정한 상태에서 팔(30)을 최대로 구부린 상태와 최대로 펼친 상태 사이를 수회 움직인다. 이로써 팔(30)이 최대로 회동(swing)할 수 있는 가용 범위(예 : 150°)를 획득한다(S200).Then, while the forearm 10 is fixed, the arm 30 is moved several times between the maximum bent state and the maximum extended state. This obtains an usable range (eg, 150°) in which the arm 30 can swing to the maximum (S200).

그 다음, 가용 범위(예 : 150°)내에서 반복운동을 통해 제 1 착용부(100)의 제 1 센서(110)와 제 2 착용부(200)의 제 2 센서(210)를 교정한다(S300). 구체적으로는 팔뚝(10)을 고정한 상태에서 팔(30)을 반복운동하면서 제 1, 2 센서(110, 210)를 교정한다(S320). 그리고, 팔(30)을 고정한 상태에서 팔뚝(10)을 반복운동하면서 제 1, 2 센서(110, 210)를 교정한다(S340). 이러한 구체적인 교정단계(S320, S340)는 순차적으로 또는 역순으로 실행될 수도 있고, 둘중 하나의 단계만 실행되어 교정될 수도 있다. Then, the first sensor 110 of the first wearing unit 100 and the second sensor 210 of the second wearing unit 200 are calibrated through repeated movement within the usable range (eg, 150°) ( S300). Specifically, the first and second sensors 110 and 210 are corrected while repeatedly moving the arm 30 while the forearm 10 is fixed (S320). Then, the first and second sensors 110 and 210 are corrected while repeatedly exercising the forearm 10 while the arm 30 is fixed (S340). These specific calibration steps (S320, S340) may be executed sequentially or in reverse order, or only one of the two steps may be executed and corrected.

교정단계(S300)는 착용자 마다의 신체 특성이 상이하기 때문에 표준화된 범위 내에서 데이터를 획득하기 위함이다. 구체적으로는 제 1, 2 신호(321, 331)의 최대값과 최소값을 조정하고, 최대값과 최소값 사이에서 입력되는 신호를 세분화(예 : 100단계 또는 200단계)하여 신호해상도를 교정한다. The correction step (S300) is to obtain data within a standardized range because body characteristics are different for each wearer. Specifically, the maximum and minimum values of the first and second signals 321 and 331 are adjusted, and the signal resolution is corrected by subdividing the input signal between the maximum and minimum values (eg, 100 steps or 200 steps).

그 다음, 팔뚝(10)과 팔(30)을 반복적으로 움직인다. 이 순간의 움직임은 골프, 테니스, 탁구, 요가, 필라테스, 헬스 운동 등에 속하는 움직임이다. 그리고, 필요에 따라 손(40)에 무거운 추(예 : 5Kg)를 들게 하여 근육에 작용하는 힘을 다르게 할 수 있다. 제 1, 2 센서(110, 210)는 연신함에 따라 저항값이 변하게 되고, 이러한 저항값은 제 1, 2 신호(321, 331)로서 제 1, 2 입력부(320, 330), 제 1, 2 증폭부(322, 332) 및 제 1, 2 필터(324, 334)를 통해 제어부(350)로 전송된다. Then, the forearm 10 and the arm 30 are repeatedly moved. The movement at this moment belongs to golf, tennis, table tennis, yoga, pilates, and fitness exercises. And, if necessary, a heavy weight (for example, 5Kg) can be lifted on the hand 40 to change the force acting on the muscles. The resistance values of the first and second sensors 110 and 210 change as they are elongated, and these resistance values are the first and second signals 321 and 331 as the first and second input units 320 and 330 and the first and second signals. It is transmitted to the control unit 350 through the amplification units 322 and 332 and the first and second filters 324 and 334.

제어부(350)는 입력된 출력신호들에 기초하여 조화운동의 출력신호(370)를 생성한다(S400), 그리고, 이렇게 생성된 출력신호(370)는 출력부(360)를 통해 외부로 전송된다. The control unit 350 generates an output signal 370 of the harmonic motion based on the input output signals (S400), and the output signal 370 thus generated is transmitt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output unit 360. .

참고로, 도 4는 본 발명에 사용하는 제 1, 2 센서(110, 210)를 시간에 따라 연신하였을 때 저항의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초기 상태에서 거의 0 Ω이었던 저항값이 30%를 연신했을 때 100Ω으로 변하고, 50%를 연신했을 때 약 250Ω까지 증가하며, 다시 연신율이 작아짐에 따라 0Ω으로 회복함을 알 수 있다. For reference, FIG. 4 is a graph showing a change in resistance when the first and second sensors 110 and 210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stretched over time. As shown in Fig. 4, the resistance value, which was almost 0 Ω in the initial state, changes to 100 Ω when 30% is stretched, increases to about 250 Ω when 50% is stretched, and returns to 0 Ω as the elongation decreases. Can be seen.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조화운동 출력 장치를 20% 반복 연신하였을 때 저항의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간의 경과에 따라 균일한 조화운동의 출력신호(예 : 사인파 곡선)가 출력됨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조화운동 출력 장치를 사용하면, 근육과 관절에 대한 정량적인 조화운동의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5 is a graph showing a change in resistance when the harmonic motion outpu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repeatedly stretched by 20%. As shown in FIG. 5, it can be seen that an output signal (eg, a sine wave curve) of a uniform harmonic motion is output over time. Therefore, by using the harmonic motion output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obtain quantitative data of harmonic motion for muscles and joints.

변형예Variation

본 발명의 변형예로서, 제 1, 2 착용부(100, 200)는 팔뚝(10)과 팔(30)외에 허벅지와 종아리에 착용하거나 허리와 골반에 착용하여 측정할 수도 있다. 그리고, 제 1 착용부(100)는 근육외에 관절부위(팔꿈치나 무릎)에 착용할 수도 있다. As a modified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and second wearing parts 100 and 200 may be measured by wearing them on the thighs and calves in addition to the forearms 10 and 30, or wearing them on the waist and pelvis. In addition, the first wearing unit 100 may be worn on a joint (elbow or knee) in addition to the muscle.

상술한 바와 같이 개시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당업자가 본 발명을 구현하고 실시할 수 있도록 제공되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본 발명의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당업자는 상술한 실시예들에 기재된 각 구성을 서로 조합하는 방식으로 이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여기에 나타난 실시형태들에 제한되려는 것이 아니라, 여기서 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치하는 최광의 범위를 부여하려는 것이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disclosed as described above has been provided to enable those skilled in the art to implement and implement the present invention. Although the above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appreciate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changes can be made to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example, those skilled in the art may use the configurations described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in a manner that combines with each other. Thus, the invention is not intended to be limited to the embodiments shown herein but is to be accorded the widest scope consistent with the principles and novel features disclosed herein.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정신 및 필수적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본 발명은 여기에 나타난 실시형태들에 제한되려는 것이 아니라, 여기서 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치하는 최광의 범위를 부여하려는 것이다. 또한, 특허청구범위에서 명시적인 인용 관계가 있지 않은 청구항들을 결합하여 실시예를 구성하거나 출원 후의 보정에 의해 새로운 청구항으로 포함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essenti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detailed description above should not be construed as restrictive in all respects and should be considered as illustrativ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reasonable interpretation of the appended claims, and all changes within the equivalent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vention is not intended to be limited to the embodiments shown herein but is to be accorded the widest scope consistent with the principles and novel features disclosed herein. In addition, the embodiments may be configured by combining claims that do not have an explicit citation relationship in the claims, or may be included as new claims by amendment after filing.

10 : 팔뚝
20 : 관절(팔꿈치),
30 : 팔,
40 : 손,
100 : 제 1 착용부,
110 : 제 1 센서,
130 : 제 1 배선,
200 : 제 2 착용부,
210 : 제 2 센서,
230 : 제 2 배선,
300 : 연산부,
310 : 제 3 착용부,
320 : 제 1 입력부,
321 : 제 1 신호,
322 : 제 1 증폭부,
324 : 제 1 필터,
330 : 제 2 입력부,
331 : 제 2 신호,
332 : 제 2 증폭부,
334 : 제 2 필터,
350 : 제어부,
360 : 출력부,
370 : 출력신호,
10: forearm
20: joint (elbow),
30: arm,
40: hand,
100: first wearing part,
110: first sensor,
130: first wiring,
200: second wearing part,
210: second sensor,
230: second wiring,
300: operation unit,
310: third wearing part,
320: first input unit,
321: first signal,
322: first amplification unit,
324: first filter,
330: second input unit,
331: second signal,
332: second amplification unit,
334: second filter,
350: control unit,
360: output,
370: output signal,

Claims (12)

신체의 제 1 부분과 제 2 부분 및 상기 제 1 부분과 상기 제 2 부분을 연결하는 팔꿈치 또는 무릎의 관절(20)에 적용하는 신체 관절의 조화운동 분석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 1 부분에 부착되는 제 1 착용부(100);
상기 제 1 착용부(100)에 구비되어 상기 제 1 부분의 연신을 감지하는 제 1 센서(110);
상기 제 2 부분에 부착되는 제 2 착용부(200);
상기 제 2 착용부(200)에 구비되어 상기 제 2 부분의 연신을 감지하는 제 2 센서(210);
상기 신체에 상기 제 1 착용부(100)와 상기 제 2 착용부(200) 사이에 부착되는 제 3 착용부(310);
상기 제 3 착용부(310)상에 구비되고, 상기 제 1 센서(110)의 제 1 신호(321) 및 상기 제 2 센서(210)의 제 2 신호(331)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부분, 상기 제 2 부분 및 상기 관절(20)의 조화 운동을 전기적 출력신호(370)로 출력하는 연산부(300);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센서(110)는 "ㄷ"자 형상이고 양단에 제 1 배선(130)이 연결되며, 상기 제 1 착용부(100)에 복수개가 균일한 간격으로 구비되는 스트레인 센서이고,
상기 제 2 센서(210)는 "ㄷ"자 형상이고 양단에 제 2 배선(230)이 연결되며, 상기 제 2 착용부(200)에 복수개가 균일한 간격으로 구비되는 스트레인 센서이며,
상기 제 1 센서(110) 및 상기 제 2 센서(210)는 금 입자 및 은 입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착용부(100) 및 상기 제 2 착용부(200)상에 각각 연신성 고분자 고무용액과 혼합되어 함께 프린팅되는 전도성 필러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체 관절의 조화운동 출력 장치.
In the apparatus for analyzing a harmonic motion of a body joint applied to a joint 20 of an elbow or a knee connecting a first part and a second part of the body and the first part and the second part,
A first wearing part 100 attached to the first part;
A first sensor 110 provided on the first wearing part 100 to detect the stretching of the first part;
A second wearing part 200 attached to the second part;
A second sensor 210 provided on the second wearing part 200 to detect the stretching of the second part;
A third wearing part 310 attached to the body between the first wearing part 100 and the second wearing part 200;
The first part provided on the third wearing part 310 and based on the first signal 321 of the first sensor 110 and the second signal 331 of the second sensor 210, Including; an operation unit 300 for outputting the harmonic motion of the second part and the joint 20 as an electrical output signal 370;
The first sensor 110 has a "c" shape and has a first wire 130 connected to both ends thereof, and a plurality of strain sensors are provided on the first wearing part 100 at uniform intervals,
The second sensor 210 is a strain sensor having a "c" shape and having second wires 230 connected to both ends thereof, and a plurality of the second wearing parts 200 being provided at uniform intervals,
The first sensor 110 and the second sensor 210 include at least one of gold particles and silver particles, and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wearing parts 100 and 200 is stretchable. Harmonic motion output device for body joints,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of a conductive filler that is mixed with a polymer rubber solution and printed together.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부분과 상기 제 2 부분은 팔뚝(10)과 팔(30)이거나 혹은 허벅지와 종아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체 관절의 조화운동 출력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first part and the second part are forearm (10) and arm (30) or thigh and calf.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착용부(100)와 상기 제 2 착용부(200)중 적어도 하나는 직물 또는 고분자 시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체 관절의 조화운동 출력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At least one of the first wearing portion 100 and the second wearing portion 200 includes a fabric or a polymer sheet.
제 1, 7,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의한 출력 장치를 이용한 출력 방법으로서,
신체의 제 1 부분을 기준으로 관절(20)을 통해 제 2 부분을 상대적으로 움직임으로써 연산부(300)에 출력신호(370)가 나오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S100);
상기 제 1 부분을 기준으로 상기 관절(20)을 통해 상기 제 2 부분을 상대적으로 최대 범위로 움직임으로써 가용 범위를 획득하는 단계(S200);
상기 가용 범위 내에서 반복운동을 통해 제 1 착용부(100)의 제 1 센서(110)와 제 2 착용부(200)의 제 2 센서(210)를 교정하는 단계(S300); 및
상기 제 1 부분과 상기 제 2 부분 및 상기 관절(20)을 반복적으로 움직일 때, 상기 연산부(300)가 상기 제 1 센서(110) 및 상기 제 2 센서(210)의 출력신호들에 기초하여 조화운동의 출력신호(370)를 출력하는 단계(S400);를 포함하고,
상기 교정단계(S300)는,
상기 제 1 부분을 고정한 상태에서 상기 제 2 부분을 반복 운동하면서 상기 제 2 신호(331)의 최대값과 최소값을 조정하고 최대값과 최소값 사이에서 입력되는 신호를 세분화하여 신호해상도를 교정함으로써 상기 제 2 센서(210)를 교정하는 단계(S320); 및
상기 제 2 부분을 고정한 상태에서 상기 제 1 부분을 반복 운동하면서 상기 제 1 신호(321)의 최대값과 최소값을 조정하고 최대값과 최소값 사이에서 입력되는 신호를 세분화하여 신호해상도를 교정함으로써 상기 제 1 센서(110)를 교정하는 단계(S340);를 순차적으로 또는 역순으로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체 관절의 조화운동 출력 방법.
An output method using the output device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7, 8,
Determining whether the output signal 370 is output to the calculating unit 300 by relatively moving the second part through the joint 20 based on the first part of the body (S100);
Obtaining an available range by moving the second part to a relatively maximum range through the joint 20 based on the first part (S200);
Calibrating the first sensor 110 of the first wearing unit 100 and the second sensor 210 of the second wearing unit 200 through repeated movement within the usable range (S300); And
When the first part, the second part, and the joint 20 are repeatedly moved, the operation unit 300 adjusts based on the output signals of the first sensor 110 and the second sensor 210. Including; outputting an output signal 370 of the exercise (S400);
The calibration step (S300),
While the first part is fixed and the second part is repeatedly moved, the maximum and minimum values of the second signal 331 are adjusted, and the signal resolution is corrected by subdividing the input signal between the maximum and minimum values. 2 calibrating the sensor 210 (S320); And
The second part is fixed by repeatedly exercising the first part, adjusting the maximum and minimum values of the first signal 321 and subdividing the input signal between the maximum and minimum values to correct the signal resolution. 1 Calibrating the sensor 110 (S340); a method for outputting a harmonic motion of a body joint, characterized in that performing sequentially or in reverse order.
삭제delete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센서(110)는 상기 제 1 착용부(100)의 연신에 따라 연신하면서 저항이 변하는 스트레인 센서이고, 그리고
상기 제 2 센서(210)는 상기 제 2 착용부(200)의 연신에 따라 연신하면서 저항이 변하는 스트레인 센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체 관절의 조화운동 출력 방법.
The method of claim 9,
The first sensor 110 is a strain sensor whose resistance changes while stretching according to the stretching of the first wearing part 100, and
The second sensor 210 is a strain sensor whose resistance is changed while stretching according to the stretching of the second wearing part 20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신호(370)의 출력단계(S400)에서, 상기 반복적인 움직임은 골프, 테니스, 탁구, 요가, 필라테스, 헬스 운동 중 하나의 움직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체 관절의 조화운동 출력 방법.
The method of claim 9,
In the output step (S400) of the output signal 370, the repetitive movement is one of golf, tennis, table tennis, yoga, Pilates, and fitness exercises.
KR1020180131559A 2018-10-31 2018-10-31 Harmonic motion output device of a body joints and method thereof KR102200580B1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1559A KR102200580B1 (en) 2018-10-31 2018-10-31 Harmonic motion output device of a body joints and method thereof
PCT/KR2018/013079 WO2020091107A1 (en) 2018-10-31 2018-10-31 Apparatus for outputting coordinated motion of body joints and method theref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1559A KR102200580B1 (en) 2018-10-31 2018-10-31 Harmonic motion output device of a body joints and method thereof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48914A KR20200048914A (en) 2020-05-08
KR102200580B1 true KR102200580B1 (en) 2021-01-11

Family

ID=704646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31559A KR102200580B1 (en) 2018-10-31 2018-10-31 Harmonic motion output device of a body joints and method thereof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200580B1 (en)
WO (1) WO2020091107A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79536B1 (en) * 2020-10-20 2022-12-20 한국과학기술원 Calibration system and method for measuring joint motion, and wearable joint motion measuring apparatus using the same
KR102535806B1 (en) * 2021-04-29 2023-05-26 한국생산기술연구원 Wearable sensing apparatus for gait analysis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4876B1 (en) 2008-07-31 2011-06-28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Muscle strengthening suit orthosis for posture correction and stiffness monitoring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3446B1 (en) * 2007-09-21 2011-03-25 주식회사 바이오에이비씨랩 Sensor Comprising A Material Which Generates An Electrical Signal In Response To Elongation
KR20140062892A (en) * 2012-11-15 2014-05-26 삼성전자주식회사 Wearable device, display device and system for providing exercise service and methods thereof
KR101722064B1 (en) 2015-02-25 2017-03-31 한국패션산업연구원 Stretchable strain sensor and sensing methode of vital siganl by using the same
KR101788664B1 (en) * 2015-08-07 2017-10-20 전자부품연구원 Method of monitoring user's movement, monitoring system performing the same
KR101990494B1 (en) * 2017-01-31 2019-06-18 광운대학교 산학협력단 Human-interactive drone remote control systems based on patch-typed strain sensor and pressure sensor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4876B1 (en) 2008-07-31 2011-06-28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Muscle strengthening suit orthosis for posture correction and stiffness monitor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0091107A1 (en) 2020-05-07
KR20200048914A (en) 2020-05-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Gentner et al.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a low-cost sensor glove for assessment of human finger movements in neurophysiological settings
US8291779B2 (en) System and garment for detecting movement
Gibbs et al. Wearable conductive fiber sensors for multi-axis human joint angle measurements
KR102200580B1 (en) Harmonic motion output device of a body joints and method thereof
JP2005524048A (en) Feedback device having a conductive fibrous body
AU2012388708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knee flexor assessment
US8348865B2 (en) Non-intrusive movement measuring apparatus and method using wearable electro-conductive fiber
US20200170547A1 (en) A human intention detection system for motion assistance
CN201691940U (en) Ankle joint isometric muscle force testing device
Abro et al. Development of a smart garment for monitoring body postures based on FBG and flex sensing technologies
Maeo et al. Muscular activities during sling-and ground-based push-up exercise
KR102177136B1 (en) Wearable apparatus for measuring muscular power and system using this
US9192335B2 (en) Athletic glove providing feedback regarding grip to a wearer
KR101366077B1 (en) Module for measuring character linked to exercise, system for analyzing character linked to exercise with the module, and method for applying the module
US20210275074A1 (en) Grip profile sensing and assessment
Cochrane Does muscular force of the upper body increase following acute, direct vibration?
van den Tillaar et al. Kinematic and EMG comparison between variations of unilateral squats under different stabilities
JP2002052000A (en) Muscle training device with body fat rate meter
Spilz et al. Development of a smart fabric force-sensing glove for physiotherapeutic Applications
US6945940B1 (en) Contact type pulse measurement device
KR101896590B1 (en) Apparatus for measuring angle of multi-joint and method for measuring the same
Zou et al. Detection of lower-limb motion using a kneepad sensor based on textile strain sensor
LT2020050A (en) Upper and lower limb isometric force measurement and training device
WO2019159951A1 (en) Operation evaluation improvement system and operation evaluation improvement method
Mohieldin BANDPASS: A Smart Resistance Exercise Band to Monitor Strength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