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00275B1 - 네트워크 장애경보 관리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네트워크 장애경보 관리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00275B1
KR102200275B1 KR1020180070912A KR20180070912A KR102200275B1 KR 102200275 B1 KR102200275 B1 KR 102200275B1 KR 1020180070912 A KR1020180070912 A KR 1020180070912A KR 20180070912 A KR20180070912 A KR 20180070912A KR 102200275 B1 KR102200275 B1 KR 1022002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ilure
cluster
alarm
time
failure alar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709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43229A (ko
Inventor
진기범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to KR10201800709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00275B1/ko
Publication of KR201901432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432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002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002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06Management of faults, events, alarms or notifications
    • H04L41/0631Management of faults, events, alarms or notifications using root cause analysis; using analysis of correlation between notifications, alarms or events based on decision criteria, e.g. hierarchy, tree or time analysis
    • H04L41/065Management of faults, events, alarms or notifications using root cause analysis; using analysis of correlation between notifications, alarms or events based on decision criteria, e.g. hierarchy, tree or time analysis involving logical or physical relationship, e.g. grouping and hierarch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06Management of faults, events, alarms or notifications
    • H04L41/0631Management of faults, events, alarms or notifications using root cause analysis; using analysis of correlation between notifications, alarms or events based on decision criteria, e.g. hierarchy, tree or time analysis
    • H04L41/064Management of faults, events, alarms or notifications using root cause analysis; using analysis of correlation between notifications, alarms or events based on decision criteria, e.g. hierarchy, tree or time analysis involving time analysi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06Management of faults, events, alarms or notifications
    • H04L41/069Management of faults, events, alarms or notifications using logs of notifications; Post-processing of notific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네트워크 장애경보 관리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복수의 네트워크 장애경보들을 군집화하는 네트워크 장애경보 관리장치는, 시간적 연관성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장애경보를 포함하는 장애군집이 순차적으로 정렬된 군집 리스트를 저장하는 저장부; 실시간으로 전송되는 장애경보를 상기 장애군집과 매칭하여 포함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결과에 따라 상기 군집 리스트를 정렬하는 장애경보 군집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네트워크 장애경보 관리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managing Network Trouble Alarm}
본 발명은 네트워크 장애 분석시 입력으로 사용되는 네트워크 장애경보의 전처리에 관한 기술로, 보다 구체적으로 네트워크 장비의 장애로 발생한 복수의 네트워크 장애경보들의 연관성을 찾아 군집화하고 군집화된 네트워크 장애경보들을 관리하여 네트워크 장애 분석을 용이하게 하는 장애경보 관리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네트워크 장비에 장애가 발생하면 장애에 영향을 받는 장비들은 정해진 규칙에 따라 네트워크 장애경보를 생성한다. 운영자는 발생한 네트워크 장애경보의 종류 및 유형을 분석하여 장애에 대한 원인을 파악한 후 원인에 대응하는 조치를 취하게 된다. 한편, 소형 장애가 발생하는 경우 생성되는 네트워크 장애경보의 수는 적지만, 대형 장애가 발생하면 수십에서 수백 대의 연관된 네트워크 장비에서 네트워크 장애경보가 동시 다발적으로 생성되어 운영자가 장애경보에 기초하여 근원장애를 분석하는데 많은 시간이 걸리고 조치도 늦어지게 되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네트워크 장애경보의 종류, 유형 등을 분석하여 규칙을 만드는 네트워크 장애 분석 방법이 제안되기도 하였으나, 네트워크 장비의 종류가 다양하고 같은 장비라 하더라도 제조사마다 모델이 다르며 다양한 네트워크 토폴로지 등으로 인해 다양한 네트워크 상황을 포괄하여 구성하기는 어렵다. 뿐만 아니라, 기술 발전으로 새로운 장비가 개발되어 네트워크에 도입되는 경우, 종래 규칙을 새로 도입되는 장비들에 맞추어 변경해야 하는 어려움이 존재하여 운영의 효율성이 낮은 문제가 있다.
일부 네트워크 장애 분석방법으로, 네트워크 관리 시스템(NMS: Network Management System)에서 수집된 장애경보를 대상으로 근원장애를 분석하는 방법이 제안되기도 하였으나, 네트워크 장비의 성능, 정책 등 다양한 이유로 발생한 순서보다 늦게 네트워크 관리 시스템(NMS)에 전파되는 장애경보를 포괄하여 분석하는 것이 어려워 근원장애 분석의 정밀도가 낮은 문제가 있다. 또한, 특정 장애에 의해 발생한 장애경보가 모두 보고될 때까지 근원장애 분석을 수행하지 못하여 분석결과 도출이 늦어지고, 수집된 장애경보가 산발적으로 저장되어 있는 경우 전체 장애경보를 모두 분석하는 것이 요구되어 과도한 연산과정이 요구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628089호, "네트워크 기기 및 그것의 장애 복구 보장 방법"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복수의 네트워크 장애경보들의 발생시간의 연관성에 기초하여 실시간으로 전파되는 장애경보를 군집화함으로써 발생시간보다 늦게 전파되는 장애경보들도 연관된 장애경보들과 함께 근원장애 분석에 이용될 수 있는 네트워크 장애경보 관리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장애경보가 모두 전파될 때까지 기다릴 필요 없이 실시간으로 장애경보에 대한 근원장애 분석을 수행할 수 있는 네트워크 장애경보 관리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전체 장애군집에 대한 근원장애 분석을 배제하고 장애경보가 전파될 때마다 해당 장애경보를 포함하는 장애군집을 정렬하고 정렬된 장애군집에 한하여 근원장애 분석을 반복하여 수행하는 네트워크 장애경보 관리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일 측면에 따른, 복수의 네트워크 장애경보들을 군집화하는 네트워크 장애경보 관리장치는, 시간적 연관성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장애경보를 포함하는 장애군집이 순차적으로 정렬된 군집 리스트를 저장하는 저장부; 실시간으로 전송되는 장애경보를 상기 장애군집과 매칭하여 포함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결과에 따라 상기 군집 리스트를 정렬하는 장애경보 군집부;를 포함한다.
상기 장애경보 군집부는, 상기 전송된 장애경보의 발생시간과 상기 장애군집의 설정시간을 매칭하여 포함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설정시간은, 상기 장애군집에 포함되는 장애경보의 발생시간 및 동일한 장애로 생성된 복수의 장애경보들의 발생시간 간격에 대응하는 인접경보 보완시간에 기초하여 산정될 수 있다.
상기 설정시간은, 제1 수학식을 만족하고 상기 제1 수학식은, " (시작시간 - 인접경보 보완시간) ≤ 설정시간 ≤ (종료시간 + 인접경보 보완시간)" 이고 상기 시작시간은 상기 장애군집에 포함되는 장애경보 중 가장 먼저 발생한 장애경보의 발생시간이고 상기 종료시간은 장애군집에 포함되는 장애경보 중 가장 나중에 발생한 장애경보의 발생시간일 수 있다.
상기 장애경보 군집부는, 상기 전송된 장애경보가 상기 장애군집에 포함되면 상기 전송된 장애경보의 발생시간을 반영하여 상기 전송된 장애경보가 포함되는 장애군집의 설정시간을 재산정할 수 있다.
상기 장애경보 군집부는, 상기 전송된 장애경보가 상기 장애군집에 비포함되면 상기 전송된 장애경보를 포함하는 신규 장애군집을 생성하고 상기 신규 장애군집의 설정시간을 산정하여 상기 군집 리스트에 순차적으로 정렬시킬 수 있다.
상기 장애경보 군집부는, 상기 장애군집의 시작시간에 기초하여 상기 군집 리스트에 순차적으로 정렬시킬 수 있다.
상기 장애경보 군집부는, 상기 군집 리스트를 정렬한 이후 상기 전송된 장애경보가 포함된 장애군집에 관한 정보를 근원장애 분석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복수의 네트워크 장애경보들을 군집화하는 네트워크 장애경보 관리장치는, 근원장애 분석장치에서 근원장애 분석에 이용된 장애경보 또는 유효기간이 경과한 장애경보를 상기 장애군집에서 삭제하여 군집 리스트를 관리하는 군집 리스트 관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측면에 따른 복수의 네트워크 장애경보들을 군집화하는 네트워크 장애경보 관리방법은, 시간적 연관성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장애경보를 포함하는 장애군집이 순차적으로 정렬된 군집 리스트와 실시간으로 전송되는 장애경보를 매칭하여 상기 전송된 장애경보의 장애군집에 포함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결과에 따라 상기 군집 리스트를 정렬하여 장애경보를 군집화하는 단계; 및 군집 리스트를 관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장애경보를 군집화하는 단계는, 상기 전송된 장애경보의 발생시간과 상기 장애군집의 설정시간을 매칭하여 포함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설정시간은, 상기 장애군집에 포함되는 장애경보의 발생시간 및 동일한 장애로 생성된 복수의 장애경보들의 발생시간 간격에 대응하는 인접경보 보완시간에 기초하여 산정될 수 있다.
상기 설정시간은, 제1 수학식을 만족하고 상기 제1 수학식은, " (시작시간 - 인접경보 보완시간) ≤ 설정시간 ≤ (종료시간 + 인접경보 보완시간)" 이고 상기 시작시간은 상기 장애군집에 포함되는 장애경보 중 가장 먼저 발생한 장애경보의 발생시간이고 상기 종료시간은 장애군집에 포함되는 장애경보 중 가장 나중에 발생한 장애경보의 발생시간일 수 있다.
상기 장애경보를 군집화하는 단계는, 상기 전송된 장애경보가 상기 장애군집에 포함되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전송된 장애경보의 발생시간을 반영하여 상기 전송된 장애경보가 포함되는 장애군집의 설정시간을 재산정하여 상기 군집 리스트를 정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장애경보를 군집화하는 단계는, 상기 전송된 장애경보가 상기 장애군집에 비포함되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전송된 장애경보를 포함하는 신규 장애군집을 생성하고 상기 신규 장애군집의 설정시간을 산정하여 상기 군집 리스트를 순차적으로 정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신규 장애군집의 설정시간을 산정하여 상기 군집 리스트에 순차적으로 정렬시키는 단계는, 상기 장애군집의 시작시간에 기초하여 상기 군집 리스트에 순차적으로 정렬시킬 수 있다.
상기 장애경보를 군집화하는 단계는, 상기 군집 리스트를 정렬한 이후 상기 전송된 장애경보가 포함된 장애군집에 관한 정보를 근원장애 분석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군집 리스트를 관리하는 단계는, 근원장애 분석장치로부터 근원장애 분석 사실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근원장애 분석 사실에 근원장애 분석 가능 사실의 포함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근원장애 분석 가능 사실의 포함여부 판단결과에 따라 근원장애 분석에 이용된 장애경보를 장애군집에서 삭제하는 단계; 및 상기 삭제된 장애경보를 포함하는 장애군집을 정렬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의 네트워크 장애경보들의 발생시간의 연관성에 기초하여 실시간으로 전파되는 장애경보를 군집화함으로써 발생시간보다 늦게 전파되는 장애경보들도 연관된 장애경보들과 함께 근원장애 분석에 이용될 수 있어 네트워트 장애분석의 정밀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장애경보가 모두 전파될 때까지 기다릴 필요 없이 실시간으로 장애경보에 대한 근원장애 분석을 수행할 수 있으므로 분석의 신속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장애경보가 전파될 때마다 해당 장애경보를 포함하는 장애군집을 정렬하고 정렬된 장애군집에 한하여 근원장애 분석을 반복하여 수행함으로써 전체 장애군집에 대한 근원장애 분석을 배제하여 근원장애 분석의 부하를 낮출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장애경보 관리시스템을 설명하는 블럭도이다.
도 2는 도 1의 네트워크 관리 시스템(NMS)이 수집하여 장애경보 관리장치로 전달하는 복수의 장애경보들의 일 예시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2의 제1 장애경보를 수신한 장애경보 관리장치가 군집 리스트를 정렬하는 예시도이다.
도 4는 도 2의 제2 장애경보를 수신한 장애경보 관리장치가 군집 리스트를 정렬하는 예시도이다.
도 5는 도 2의 제3 장애경보를 수신한 장애경보 관리장치가 군집 리스트를 정렬하는 예시도이다.
도 6은 도 2의 제4 장애경보를 수신한 장애경보 관리장치가 군집 리스트를 정렬하는 예시도이다.
도 7은 도 2의 제5 장애경보를 수신한 장애경보 관리장치가 군집 리스트를 정렬하는 예시도이다.
도 8은 도 2의 제6 장애경보를 수신한 장애경보 관리장치가 군집 리스트를 정렬하는 예시도이다.
도 9는 도 2의 제7 장애경보를 수신한 장애경보 관리장치가 군집 리스트를 정렬하는 예시도이다.
도 10은 일 실시예에 따른 장애경보 관리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11는 도 10의 장애경보 군집화 단계를 자세하게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12는 도 10의 군집 리스트 관리단계를 자세하게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의 실시 예들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 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도면과 명세서에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 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소자,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소자,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함을 배제하지 않는다.
그러면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네트워크 장애경보 관리장치 및 방법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장애경보 관리시스템을 설명하는 블럭도이고, 도 2는 도 1의 네트워크 관리 시스템(NMS)이 수집하여 장애경보 관리장치로 전달하는 복수의 장애경보들의 일 예시를 설명하는 도면이고, 도 3 내지 도 9는 도 2에 도시된 장애경보를 순차적으로 수신한 장애경보 관리장치가 군집 리스트를 정렬하는 예시도이다.
도 1을 참고하면, 장애경보 관리시스템은, 네트워크 장비(10), 네트워크 관리 시스템(NMS: Network Management System)(20), 장애경보 관리장치(30), 그리고 근원장애 분석장치(40)를 포함한다.
네트워크 장비(10)는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장비로서 전송망(ex, ROADM, POTN, PTN, MSPP 등)으로 연결되는 복수의 네트워크 장비들(10: 1, 2, …, N)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네트워크 장비(10)에 장애가 발생하는 경우, 장애가 발생한 네트워크 장비(10)뿐만 아니라 해당 네트워크 장비(10)와 연결된 복수의 네트워크 장비(10: 1, 2, …, N)들도 네트워크 장애경보를 생성하여 네트워크 관리 시스템(NMS)(20)으로 전송할 수 있다.
네트워크 관리 시스템(NMS)(20)은, 네트워크 장비(10)를 모니터링하고 관리하는데 사용되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 관리 시스템(NMS)(20)은 네트워크 장비(10)에서 생성된 네트워크 장애경보(이하, 장애경보)를 실시간으로 수집하여 장애경보 관리장치(30)로 전송할 수 있다.
네트워크 관리 시스템(NMS)(20)에 도달하는 장애경보의 순서는 네트워크 장비(10)의 성능, 정책, 장애 유형 등 다양한 이유로 실제 네트워크 장비(10)에서 생성된 장애경보의 순서와 상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장애경보의 발생시간은 1시인데 네트워크 관리 시스템(NMS)(20)에 도달한 시간(이하, 전파시간)은 1시30분인 반면, 제2 장애경보의 발생시간은 1시 15분으로 제1 장애경보보다 늦게 생성되었으나 전파시간은 1시 20분으로 제1 장애경보보다 네트워크 관리 시스템(NMS)(20)에 먼저 도달할 수 있다. 네트워크 관리 시스템(NMS)(20)은 도달한 순서에 따라 장애경보를 순차적으로 장애경보 관리장치(30)로 전송하며, 이때, 장애경보의 발생시간, 장애경보의 전파시간, 장애경보를 생성한 네트워크 장비(10)의 명칭(이하, 장비명) 및 경보명 등의 정보를 장애경보 관리장치(30)로 함께 전송할 수 있다.
장애경보 관리장치(30)는, 네트워크 관리 시스템(NMS)(20)으로부터 실시간으로 전송되는 장애경보들의 발생시간의 연관성을 찾아 군집 리스트를 생성하고 관리하여 근원장애 분석장치(40)에서 수행되는 네트워크 장애분석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장애경보 관리장치(30)는 네트워크 관리 시스템(NMS)(20)에 한정되어 장애경보를 수신하지 않으며 다양한 루트를 통해 장애경보를 수신할 수 있다.
장애경보 관리장치(30)는, 메모리, 메모리 제어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CPU), 주변 인터페이스, 입출력(I/O) 서브시스템, 디스플레이 장치, 입력 장치 및 통신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는 고속 랜덤 액세스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고, 또한, 하나 이상의 자기 디스크 저장 장치, 플래시 메모리 장치와 같은 불휘발성 메모리, 또는 다른 불휘발성 반도체 메모리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 및 주변 인터페이스와 같은 다른 구성요소에 의한 메모리로의 액세스는 메모리 제어기에 의하여 제어될 수 있다. 메모리는 각종 정보와 프로그램 명령어를 저장할 수 있고, 프로그램은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된다.
주변 인터페이스는 장애경보 관리장치(30)의 입출력 주변 장치를 프로세서 및 메모리와 연결한다.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는 다양한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및/또는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명령어 세트를 실행하여 장애경보 관리장치(30)를 위한 여러 기능을 수행하고 데이터를 처리한다. I/O 서브시스템은 디스플레이 장치, 입력 장치와 같은 입출력 주변장치와 주변 인터페이스 사이에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디스플레이 장치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기술 또는 LPD(light emitting polymer display) 기술을 사용할 수 있다.
프로세서는 장애경보 관리장치(30)에 연관된 동작을 수행하고 명령어들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프로세서로서, 예를 들어, 메모리로부터 검색된 명령어들을 이용하여, 장애경보 관리장치(30)의 컴포넌트 간의 입력 및 출력 데이터의 수신과 조작을 제어할 수 있다. 통신 회로는 외부 포트를 통한 통신 또는 RF 신호에 의한 통신을 수행한다. 통신 회로는 전기 신호를 RF 신호로 또는 그 반대로 변환하며 이 RF 신호를 통하여 통신 네트워크, 다른 이동형 게이트웨이 장치 및 통신 장치와 통신할 수 있다.
도 1을 참고하면, 장애경보 관리장치(30)는 장애경보 군집부(31), 저장부(33) 그리고 군집 리스트 관리부(35)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요소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어 메모리에 저장되어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수 있고, 또는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장애경보 군집부(31)는, 네트워크 관리 시스템(NMS)(20)으로부터 실시간으로 전송되는 장애경보를 수신하고 전송된 장애경보의 발생시간을 군집 리스트에 정렬된 장애군집의 설정시간(Tg)과 매칭하여 장애군집에 포함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장애경보 군집부(31)는, 판단결과에 따라 군집 리스트를 정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판단결과 수신된 장애경보가 군집 리스트에 정렬된 장애군집에 포함되지 않으면, 장애경보 군집부(31)는, 수신된 장애경보를 포함하는 신규 장애군집을 생성하고 신규 장애군집의 설정시간(Tg)을 산정하여 군집 리스트에 순차적으로 정렬시킬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판단결과 수신된 장애경보가 군집 리스트에 정렬된 장애군집에 포함되면, 장애경보 군집부(31)는 수신된 장애경보가 포함되는 장애군집의 설정시간(Tg)을 수신된 장애경보의 발생시간을 반영하여 재산정하여 군집 리스트를 정렬할 수 있다.
설정시간(Tg)은, 장애군집에 포함되는 장애경보의 발생시간과 인접경보 보완시간(T)에 기초하여 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설정시간(Tg)은, 이하 제1 수학식을 만족할 수 있다.
TS - T ≤ Tg ≤ Tf + T
[제1 수학식]
시작시간(TS)은 장애군집에 포함되는 장애경보 중 가장 먼저 발생한 장애경보의 발생시간이고, 종료시간(Tf)은 장애군집에 포함되는 장애경보 중 가장 나중에 발생한 장애경보의 발생시간이다. 인접경보 보완시간(T)은 동일한 장애로 생성된 복수의 장애경보들의 발생시간 간격에 대응하는 시간으로 관리자에 의해 설정될 수 있다.
군집 리스트를 정렬한 이후, 장애경보 군집부(31)는, 근원장애 분석장치(40)로 장애경보의 수신사실 및 수신된 장애경보가 포함된 장애군집에 관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장애군집에 관한 정보는 해당 장애군집에 포함되는 경보명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근원장애 분석장치(40)는, 해당 장애군집에 포함되는 경보명에 기초하여 근원장애 분석을 수행할 수 있고 분석결과를 군집 리스트 관리부(35)로 전송할 수 있다.
저장부(33)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장애군집이 시작시간(TS) 순서로 정렬되고, 각각의 장애군집은 시간적 연관성을 갖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장애경보를 포함하는 군집 리스트를 저장할 수 있다.
군집 리스트 관리부(35)는, 근원장애 분석장치(40)에 의해 근원장애 분석에 이용된 장애경보나 유효기간이 경과하여도 장애경보 분석에 이용되지 않고 존재하는 장애경보를 장애군집에서 삭제하여 군집 리스트를 관리할 수 있다. 또한, 군집 리스트 관리부(35)는, 장애경보를 삭제한 결과 해당 장애군집에 장애경보가 하나도 존재하지 않는 경우 해당 장애군집을 군집 리스트에서 삭제하여 군집 리스트를 관리할 수 있다.
도 2를 참고하면, 발생시간은 네트워크 장비(10)에서 실제 장애경보가 생성된 시간이고, 전파시간은 해당 장애경보를 네트워크 관리 시스템(NMS)(20)이 수신한 시간이다. 장비명은 장애경보를 생성한 네트워크 장비(10)의 명칭이고, 경보명은 네트워크 장비(10)가 감지한 비정상적인 상태 정보를 나타낸다. 장애경보 군집부(31)는 네트워크 관리 시스템(NMS)(20)으로부터 도 2에 표시된 제1 장애경보부터 제7 장애경보까지 전파시간에 따라 순차적으로 수신한다고 가정한다. 또한, 장애경보 군집부(31)는 제1 장애경보를 수신하기 이전에 다른 장애경보를 수신한 적이 없고 군집 리스트에는 기저장된 장애군집이 존재하지 않는다고 가정한다.
도 2 및 3을 참고하면, 장애경보 군집부(31)는 수신된 제1 장애경보를 군집 리스트와 매칭하여 군집 리스트에 정렬된 장애군집에 포함 여부를 판단하나, 기저장된 장애군집이 존재하지 않으므로 제1 장애경보의 군집 리스트 불포함 결과를 도출할 수 있다.
장애경보 군집부(31)는 제1 장애경보를 포함하는 신규 장애군집(A)을 생성하고 장애군집(A)의 설정시간(Tg)을 산정하여 도 3과 같이 군집 리스트를 정렬할 수 있다. 설정시간(Tg) 산정과 관련하여, 인접경보 보완시간(T)은 30초로 가정하고, 장애군집(A)에는 제1 장애경보만 포함되므로 시작시간(TS)과 종료시간(Tf)은 모두 제1 장애경보의 발생시간인 "01/01-00:04:43"에 해당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애경보 군집부(31)는 제1 수학식에 기초하여 장애군집(A)의 설정시간(Tg)을 "01/01-00:04:13 ≤ 설정시간(Tg) ≤ 01/01-00:05:13" 로 산정할 수 있다.
장애군집(A)이 군집 리스트에 정렬된 이후, 근원장애 분석장치(40)는, 장애군집(A)에 포함되는 경보명(가)에 기초하여 근원장애 분석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경보명(가)만으로는 근원장애 분석 결과를 도출을 할 수 없다고 가정하면, 근원장애 분석장치(40)는 근원장애 분석 불과 사실을 군집 리스트 관리부(35)에 전송할 수 있다.
도 2 및 도 4를 참고하면, 장애경보 군집부(31)는 수신된 제2 장애경보를 군집 리스트와 매칭하여 군집 리스트에 정렬된 장애군집(A)에 포함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장애경보의 발생시간("01/01-00:04:44")이 장애군집(A)의 설정시간("01/01-00:04:13 ≤ 설정시간(Tg) ≤ 01/01-00:05:13")에 포함되므로, 장애경보 군집부(31)는 제2 장애경보의 장애군집(A)에 포함 결과를 도출할 수 있다.
장애경보 군집부(31)는 제2 장애경보가 포함되는 장애군집(A)의 설정시간(Tg)을 제2 장애경보의 발생시간을 반영하여 재산정할 수 있다. 장애군집(A)에는 제1 장애경보 및 제2 장애경보가 포함되며, 시작시간(TS)은 제1 장애경보의 발생시간인 "01/01-00:04:43", 종료시간(Tf)은 제2 장애경보의 발생시간인 "01/01-00:04:44"에 해당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애경보 군집부(31)는 제1 수학식에 기초하여 장애군집(A)의 설정시간(Tg)을 "01/01-00:04:13 ≤ 설정시간(Tg) ≤ 01/01-00:05:14"로 재산정할 수 있다.
장애군집(A)이 군집 리스트에 정렬된 이후, 근원장애 분석장치(40)는, 장애군집(A)에 포함되는 경보명(가) 및 (나)에 기초하여 근원장애 분석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경보명(가) 및 (나)만으로는 근원장애 분석 결과를 도출을 할 수 없다고 가정하면, 근원장애 분석장치(40)는 근원장애 분석 불과 사실을 군집 리스트 관리부(35)에 전송할 수 있다.
도 2 및 도 5를 참고하면, 장애경보 군집부(31)는 수신된 제3 장애경보를 군집 리스트와 매칭하여 군집 리스트에 정렬된 장애군집(A)에 포함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 장애경보의 발생시간("01/01-00:04:43")이 장애군집(A)의 설정시간("01/01-00:04:13 ≤ 설정시간(Tg) ≤ 01/01-00:05:14")에 포함되므로, 장애경보 군집부(31)는 제3 장애경보의 장애군집(A)에 포함 결과를 도출할 수 있다.
장애경보 군집부(31)는 제3 장애경보가 포함되는 장애군집(A)의 설정시간(Tg)을 제3 장애경보의 발생시간을 반영하여 재산정할 수 있다. 장애군집(A)에는 제1 장애경보 내지 제3 장애경보가 포함되며, 시작시간(TS)은 제1 장애경보 및 제3 장애경보의 발생시간인 "01/01-00:04:43", 종료시간(Tf)은 제2 장애경보의 발생시간인 "01/01-00:04:44"에 해당한다. 도 5 상단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애경보 군집부(31)는 제1 수학식에 기초하여 장애군집(A)의 설정시간(Tg)을 "01/01-00:04:13 ≤ 설정시간(Tg) ≤ 01/01-00:05:14" 로 재산정할 수 있다.
장애군집(A)이 군집 리스트에 정렬된 이후, 근원장애 분석장치(40)는, 장애군집(A)에 포함되는 경보명(가), (나) 및 (다)에 기초하여 근원장애 분석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경보명(가) 및 (다)에 기초하여 근원장애 분석이 가능하여 근원장애 분석장치(40)가 근원장애 분석 결과를 도출하였다고 가정하면, 근원장애 분석장치(40)는 근원장애 분석 가능 사실 및 근원장애 분석 결과에 관한 정보, 예를 들어, 근원장애 분석에 이용된 제1 장애경보 및 제3 장애경보에 관한 정보를 군집 리스트 관리부(35)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군집 리스트 관리부(35)는, 근원장애 분석에 이용된 제1 장애경보 및 제3 장애경보를 장애군집(A)에서 삭제하고, 장애군집(A)의 설정시간(Tg)을 도 5의 하단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재산정할 수 있다.
도 2 및 도 6을 참고하면, 장애경보 군집부(31)는 수신된 제4 장애경보를 군집 리스트와 매칭하여 군집 리스트에 정렬된 장애군집(A)에 포함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4 장애경보의 발생시간("01/01-00:03:39")이 장애군집(A)의 설정시간("01/01-00:04:14 ≤ 설정시간(Tg) ≤ 01/01-00:05:14")에 포함되지 않으므로, 장애경보 군집부(31)는 제4 장애경보의 장애군집(A)에 불포함 결과를 도출할 수 있다.
장애경보 군집부(31)는 제4 장애경보를 포함하는 신규 장애군집(B)을 생성하고 장애군집(B)의 설정시간(Tg)을 산정하여 도 6과 같이 군집 리스트를 정렬할 수 있다. 장애군집(B)에는 제4 장애경보만이 포함되므로 시작시간(TS)과 종료시간(Tf)은 모두 제4 장애경보의 발생시간인 "01/01-00:03:39"에 해당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애경보 군집부(31)는 제1 수학식에 기초하여 장애군집(B)의 설정시간(Tg)을 "01/01-00:03:09 ≤ 설정시간(Tg) ≤ 01/01-00:04:09"로 산정하고, 장애군집(B)를 군집 리스트에 순차적으로 정렬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장애경보 군집부(31)는 장애군집(A)와 장애군집(B)의 시작시간(TS)에 따라 군집 리스트에 순차적으로 정렬시킬 수 있으며, 장애군집(B)의 시작시간("01/01-00:03:39")이 장애군집(A)의 시작시간("01/01-00:04:44")보다 빠르므로 장애군집(B)를 군집 리스트 최상단에 정렬시킬 수 있다.
장애군집(B)이 군집 리스트에 정렬된 이후, 근원장애 분석장치(40)는, 장애군집(B)에 포함되는 경보명(가)에 기초하여 근원장애 분석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경보명(가)만으로는 근원장애 분석 결과를 도출을 할 수 없다고 가정하면, 근원장애 분석장치(40)는 근원장애 분석 불과 사실을 군집 리스트 관리부(35)에 전송할 수 있다.
도 2 및 도 7을 참고하면, 장애경보 군집부(31)는 수신된 제5 장애경보를 군집 리스트와 매칭하여 군집 리스트에 정렬된 장애군집(B) 또는 장애군집(A)에 포함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5 장애경보의 발생시간("01/01-00:07:20")이 장애군집(B)의 설정시간("01/01-00:03:09 ≤ 설정시간(Tg) ≤ 01/01-00:04:09") 그리고 장애군집(A)의 설정시간("01/01-00:04:14 ≤ 설정시간(Tg) ≤ 01/01-00:05:14") 모두 포함되지 않으므로, 장애경보 군집부(31)는 제5 장애경보의 장애군집(B) 및 장애군집(A)에 불포함 결과를 도출할 수 있다.
장애경보 군집부(31)는 제5 장애경보를 포함하는 신규 장애군집(C)을 생성하고 장애군집(C)의 설정시간(Tg)을 산정하여 도 7과 같이 군집 리스트를 정렬할 수 있다. 장애군집(C)에는 제5 장애경보만이 포함되므로 시작시간(TS)과 종료시간(Tf)은 모두 제5 장애경보의 발생시간인 "01/01-00:07:20"에 해당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애경보 군집부(31)는 제1 수학식에 기초하여 장애군집(C)의 설정시간(Tg)을 "01/01-00:06:50 ≤ 설정시간(Tg) ≤ 01/01-00:07:50"으로 산정하고, 장애군집(C)를 군집 리스트에 순차적으로 정렬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장애경보 군집부(31)는 장애군집(A), 장애군집(B) 및 장애군집(C)의 시작시간(TS)에 따라 군집 리스트에 순차적으로 정렬시킬 수 있으며, 장애군집(C)의 시작시간("01/01-00:07:20")이 장애군집(A)의 시작시간("01/01-00:04:44")보다 느리므로 군집 리스트 최하단에 정렬시킬 수 있다.
장애군집(C)이 군집 리스트에 정렬된 이후, 근원장애 분석장치(40)는, 장애군집(C)에 포함되는 경보명(라)에 기초하여 근원장애 분석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경보명(라)만으로는 근원장애 분석 결과를 도출을 할 수 없다고 가정하면, 근원장애 분석장치(40)는 근원장애 분석 불과 사실을 군집 리스트 관리부(35)에 전송할 수 있다.
도 2 및 도 8을 참고하면, 장애경보 군집부(31)는 수신된 제6 장애경보를 군집 리스트와 매칭하여 군집 리스트에 정렬된 장애군집(B), 장애군집(A) 또는 장애군집(C)에 포함 여부를 순차적으로 판단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방법과 동일하게 제6 장애경보에 대해 판단하면 제6 장애경보는 장애군집(B), 장애군집(A) 그리고 장애군집(C) 모두에 포함되지 않으므로 장애경보 군집부(31)는 제6 장애경보의 장애군집(B), 장애군집(A) 및 장애군집(C)에 불포함 결과를 도출할 수 있다.
장애경보 군집부(31)는 앞서 설명한 방법과 동일하게 신규 장애군집(D)을 생성하고,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군집 리스트에 장애군집(D)을 순차적으로 정렬할 수 있다. 또한, 장애군집(D)가 군집 리스트에 정렬된 이후, 근원장애 분석장치(40)가 장애군집(D)에 포함되는 경보명(마)만으로는 근원장애 분석 결과를 도출을 할 수 없다고 가정하면, 근원장애 분석 불과 사실을 군집 리스트 관리부(35)에 전송할 수 있다.
도 9를 참고하면, 장애경보 군집부(31)는 수신된 제7 장애경보를 군집 리스트와 매칭하여 군집 리스트에 정렬된 장애군집(B), 장애군집(A), 장애군집(D) 또는 장애군집(C)에 포함 여부를 순차적으로 판단할 수 있다. 도 2를 참고하면, 제7 장애경보는 제6 장애경보보다 늦게 전송되나 발생시간이 동일하므로, 장애경보 군집부(31)는 제7 장애경보의 장애군집(D)에 포함 결과를 도출할 수 있다.
장애경보 군집부(31)는 제7 장애경보가 포함되는 장애군집(D)의 설정시간(Tg)을 제7 장애경보의 발생시간을 반영하여 재산정할 수 있다. 장애군집(D)에는 제6 장애경보 및 제7 장애경보가 포함되나 발생시간이 동일하므로, 장애경보 군집부(31)가 장애군집(D)의 설정시간(Tg)을 재산정한 결과는 도 8에 도시된 장애군집(D)의 설정시간(Tg)과 동일할 수 있다. 또한, 장애군집(D)이 군집 리스트에 정렬된 이후, 근원장애 분석장치(40)는 장애군집(D)에 포함되는 경보명(마)만으로는 근원장애 분석 결과를 도출할 수 없으므로 근원장애 분석 불과 사실을 군집 리스트 관리부(35)에 전송할 수 있다.
근원장애 분석장치(40)는, 군집 리스트에 기초하여 다양한 장애분석 프로세스를 적용하여 네트워크 근원장애 분석을 수행할 수 있다. 장애분석 프로세스는 시간적 연관성을 갖는 군집 리스트에 기초하여 근원장애를 분석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네트워크 장비의 연결정보, 장애경보 발생규칙 등의 정보에 기초하여 근원장애를 분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근원장애 분석장치(40)는, 새로 발생한 장애경보가 군집 리스트에 저장되면 새로 발생한 장애경보가 포함된 장애군집을 대상으로 근원장애 분석을 수행할 수 있다. 근원장애 분석장치(40)는 장애경보 관리장치(30)로부터 새로 발생한 장애경보가 저장된 군집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여 근원장애를 분석하고, 분석이 완료되면 근원장애 분석 결과에 관한 정보를 장애경보 관리장치(30)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근원장애 분석 결과에 관한 정보는 근원장애 분석에 이용된 장애경보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0은 일 실시예에 따른 장애경보 관리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고, 도 11는 도 10의 장애경보 군집화 단계를 자세하게 설명하는 흐름도이고, 도 12는 도 10의 군집 리스트 관리단계를 자세하게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10을 참고하면, 장애경보 관리 방법은, 장애경보 군집화 단계(S10), 근원장애 분석단계(S30), 그리고 군집 리스트 관리단계(S50)를 포함한다.
단계 S10에서, 장애경보 관리장치(30)는 실시간으로 전송되는 장애경보를 군집 리스트와 매칭하여 장애군집에 포함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결과에 따라 상기 군집 리스트를 정렬하여 장애경보를 군집화할 수 있다. 여기서, 군집 리스트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장애군집이 시작시간(TS) 순서로 정렬되고, 각각의 장애군집은 시간적 연관성을 갖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장애경보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1을 참고하면, 장애경보 관리장치(30)는 네트워크 관리 시스템(NMS)(20)으로부터 실시간으로 전송되는 장애경보를 수신하고(S11), 전송된 장애경보의 발생시간을 군집 리스트에 정렬된 장애군집의 설정시간(Tg)과 매칭하여 군집 리스트에 기정렬된 장애군집에 포함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12).
판단결과 수신된 장애경보가 군집 리스트에 정렬된 장애군집에 포함되면(S12, Yes), 장애경보 관리장치(30)는 전송된 장애경보의 발생시간을 반영하여 전송된 장애경보가 포함되는 장애군집의 설정시간(Tg)을 재산정하여 군집 리스트를 정렬할 수 있다(S13).
판단결과 전송된 장애경보가 군집 리스트에 정렬된 장애군집에 포함되지 않으면(S12, No), 장애경보 관리장치(30)는 전송된 장애경보를 포함하는 신규 장애군집을 생성하고 신규 장애군집의 설정시간(Tg)을 산정하여 군집 리스트에 순차적으로 정렬시킬 수 있다(S14).
설정시간(Tg)은, 장애군집에 포함되는 장애경보의 발생시간과 인접경보 보완시간(T)에 기초하여 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설정시간(Tg)은, 이하 제1 수학식을 만족할 수 있다.
TS - T ≤ Tg ≤ Tf + T
[제1 수학식]
시작시간(TS)은 장애군집에 포함되는 장애경보 중 가장 먼저 발생한 장애경보의 발생시간이고, 종료시간(Tf)은 장애군집에 포함되는 장애경보 중 가장 나중에 발생한 장애경보의 발생시간이다. 인접경보 보완시간(T)은 동일한 장애로 생성된 복수의 장애경보들의 발생시간 간격에 대응하는 시간으로 관리자에 의해 설정될 수 있다.
군집 리스트를 정렬한 이후, 장애경보 관리장치(30)는 전송된 장애경보가 포함된 장애군집에 관한 정보를 근원장애 분석장치(40)로 전송할 수 있다(S15). 여기서, 장애군집에 관한 정보는 해당 장애군집에 포함되는 경보명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단계 S30에서, 근원장애 분석장치(40)는 장애경보 관리장치(30)로부터 전송된 장애군집에 관한 정보를 기초로 장애분석 프로세스를 적용하여 네트워크 근원장애 분석을 수행할 수 있다. 장애분석 프로세스는 시간적 연관성을 갖는 군집 리스트에 기초하여 근원장애를 분석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네트워크 장비의 연결정보, 장애경보 발생규칙 등의 정보에 기초하여 근원장애를 분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근원장애 분석장치(40)는, 새로 발생한 장애경보가 군집 리스트에 저장되면 새로 발생한 장애경보가 포함된 장애군집을 대상으로 근원장애 분석을 수행할 수 있다. 근원장애 분석장치(40)는, 해당 장애군집에 포함되는 경보명에 기초하여 근원장애 분석을 수행할 수 있고, 분석이 완료되면 근원장애 분석 결과에 관한 정보를 장애경보 관리장치(30)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근원장애 분석 결과에 관한 정보는 근원장애 분석에 이용된 장애경보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단계 S50에서, 장애경보 관리장치(30)는 근원장애 분석장치(40)에 의해 근원장애 분석에 이용된 장애경보를 장애군집에서 삭제하여 군집 리스트를 관리할 수 있다. 또한, 군집 리스트 관리부(35)는, 장애경보를 삭제한 결과 해당 장애군집에 장애경보가 하나도 존재하지 않는 경우 해당 장애군집을 군집 리스트에서 삭제하여 군집 리스트를 관리할 수 있다.
도 12를 참고하면, 장애경보 관리장치(30)는 근원장애 분석장치(40)로부터 근원장애 분석 결과를 수신하고(S51), 수신된 근원장애 분석 결과에 근원장애 분석 가능 사실의 포함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근원장애 분석 가능 사실은 근원장애 분석에 이용된 장애경보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근원장애 분석 가능 사실이 포함된 경우(S52, Yes), 장애경보 관리장치(30)는 근원장애 분석에 이용된 장애경보를 장애군집에서 삭제하고(S53) 군집 리스트를 정렬할 수 있다(S54). 예를 들어, 도 5를 참고하면, 근원장애 분석장치(40)에서 경보명(가) 및 (다)에 기초하여 근원장애 분석이 가능하여 근원장애 분석 결과를 도출한 경우, 장애경보 관리장치(30)는 근원장애 분석에 이용된 제1 장애경보 및 제3 장애경보를 장애군집(A)에서 삭제하고, 장애군집(A)의 설정시간(Tg)을 도 5의 하단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재산정하여 군집 리스트를 정렬할 수 있다.
근원장애 분석 가능 사실이 포함되지 않은 경우(S52, No), 장애경보 관리장치(30)는 별도의 조치를 취하지 않는다. 도 3, 4, 6 내지 9를 참고하면, 근원장애 분석장치(40)에서 근원장애 분석이 불가능하여 근원장애 분석 불과 사실을 장애경보 관리장치(30)로 전송하며, 장애경보 관리장치(30)는 별도의 조치를 취하지 않으므로 군집 리스트 내 정보들은 삭제되지 않고 유지될 수 있다.
본 명세서는 많은 특징을 포함하는 반면, 그러한 특징은 본 발명의 범위 또는 특허청구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개별적인 실시예에서 설명된 특징들은 단일 실시예에서 결합되어 구현될 수 있다. 반대로, 본 명세서에서 단일 실시예에서 설명된 다양한 특징들은 개별적으로 다양한 실시예에서 구현되거나, 적절히 결합되어 구현될 수 있다.
도면에서 동작들이 특정한 순서로 설명되었으나, 그러한 동작들이 도시된 바와 같은 특정한 순서로 수행되는 것으로, 또는 일련의 연속된 순서, 또는 원하는 결과를 얻기 위해 모든 설명된 동작이 수행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된다. 특정 환경에서 멀티태스킹 및 병렬 프로세싱이 유리할 수 있다. 아울러, 상술한 실시예에서 다양한 시스템 구성요소의 구분은 모든 실시예에서 그러한 구분을 요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상술한 프로그램 구성요소 및 시스템은 일반적으로 단일 소프트웨어 제품 또는 멀티플 소프트웨어 제품에 패키지로 구현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방법은 프로그램으로 구현되어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형태로 기록매체(시디롬, 램, 롬,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광자기 디스크 등)에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으므로 더 이상 상세히 설명하지 않기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10: 네트워크 장비 20: 네트워크 관리 시스템(NMS)
30: 장애경보 관리장치 31: 장애경보 군집부
33: 저장부 35: 군집 리스트 관리부
40: 근원장애 분석장치

Claims (16)

  1. 복수의 네트워크 장애경보들을 군집화하는 네트워크 장애경보 관리장치에 있어서,
    시간적 연관성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장애경보를 포함하는 장애군집이 순차적으로 정렬된 군집 리스트를 저장하는 저장부;
    실시간으로 전송되는 장애경보의 발생시간과 상기 장애군집의 설정시간을 매칭하여 포함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전송된 장애경보가 상기 장애군집에 포함되는 경우, 상기 전송된 장애경보를 포함하여 상기 군집 리스트를 정렬하고, 상기 전송된 장애경보의 발생시간을 반영하여 상기 설정시간을 재산정하는 장애경보 군집부;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장애경보 관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시간은, 상기 장애군집에 포함되는 장애경보의 발생시간 및 동일한 장애로 생성된 복수의 장애경보들의 발생시간 간격에 대응하는 인접경보 보완시간에 기초하여 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장애경보 관리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시간은, 제1 수학식을 만족하고
    상기 제1 수학식은, " (시작시간 - 인접경보 보완시간) ≤ 설정시간 ≤ (종료시간 + 인접경보 보완시간)" 이고
    상기 시작시간은 상기 장애군집에 포함되는 장애경보 중 가장 먼저 발생한 장애경보의 발생시간이고 상기 종료시간은 장애군집에 포함되는 장애경보 중 가장 나중에 발생한 장애경보의 발생시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장애경보 관리장치.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애경보 군집부는,
    상기 전송된 장애경보가 상기 장애군집에 비포함되면 상기 전송된 장애경보를 포함하는 신규 장애군집을 생성하고 상기 신규 장애군집의 설정시간을 산정하여 상기 군집 리스트에 순차적으로 정렬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장애경보 관리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장애경보 군집부는,
    상기 장애군집의 시작시간에 기초하여 상기 군집 리스트에 순차적으로 정렬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장애경보 관리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장애경보 군집부는,
    상기 군집 리스트를 정렬한 이후 상기 전송된 장애경보가 포함된 장애군집에 관한 정보를 근원장애 분석장치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장애경보 관리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근원장애 분석장치에서 근원장애 분석에 이용된 장애경보 또는 유효기간이 경과한 장애경보를 상기 장애군집에서 삭제하여 군집 리스트를 관리하는 군집 리스트 관리부;를 더 포함하는 네트워크 장애경보 관리장치.
  9. 복수의 네트워크 장애경보들을 군집화하는 네트워크 장애경보 관리방법에 있어서,
    시간적 연관성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장애경보를 포함하는 장애군집이 순차적으로 정렬된 군집 리스트의 상기 장애군집의 설정시간과 실시간으로 전송되는 장애경보의 발생시간을 매칭하여 상기 전송된 장애경보의 장애군집에 포함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전송된 장애경보가 상기 장애군집에 포함되는 경우, 상기 전송된 장애경보를 포함하여 상기 군집 리스트를 정렬하여 장애경보를 군집화하는 단계;
    상기 전송된 장애경보의 발생시간을 반영하여 상기 설정시간을 재산정하는 단계; 및
    군집 리스트를 관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장애경보 관리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시간은, 상기 장애군집에 포함되는 장애경보의 발생시간 및 동일한 장애로 생성된 복수의 장애경보들의 발생시간 간격에 대응하는 인접경보 보완시간에 기초하여 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장애경보 관리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시간은, 제1 수학식을 만족하고
    상기 제1 수학식은, " (시작시간 - 인접경보 보완시간) ≤ 설정시간 ≤ (종료시간 + 인접경보 보완시간)" 이고
    상기 시작시간은 상기 장애군집에 포함되는 장애경보 중 가장 먼저 발생한 장애경보의 발생시간이고 상기 종료시간은 장애군집에 포함되는 장애경보 중 가장 나중에 발생한 장애경보의 발생시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장애경보 관리방법.
  12. 삭제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장애경보를 군집화하는 단계는,
    상기 전송된 장애경보가 상기 장애군집에 비포함되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전송된 장애경보를 포함하는 신규 장애군집을 생성하고 상기 신규 장애군집의 설정시간을 산정하여 상기 군집 리스트를 순차적으로 정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네트워크 장애경보 관리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신규 장애군집의 설정시간을 산정하여 상기 군집 리스트에 순차적으로 정렬시키는 단계는,
    상기 장애군집의 시작시간에 기초하여 상기 군집 리스트에 순차적으로 정렬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장애경보 관리방법.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장애경보를 군집화하는 단계는,
    상기 군집 리스트를 정렬한 이후 상기 전송된 장애경보가 포함된 장애군집에 관한 정보를 근원장애 분석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네트워크 장애경보 관리방법.
  16.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군집 리스트를 관리하는 단계는,
    근원장애 분석장치로부터 근원장애 분석 사실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근원장애 분석 사실에 근원장애 분석 가능 사실의 포함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근원장애 분석 가능 사실의 포함여부 판단결과에 따라 근원장애 분석에 이용된 장애경보를 장애군집에서 삭제하는 단계; 및
    상기 삭제된 장애경보를 포함하는 장애군집을 정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장애경보 관리방법.
KR1020180070912A 2018-06-20 2018-06-20 네트워크 장애경보 관리장치 및 방법 KR1022002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0912A KR102200275B1 (ko) 2018-06-20 2018-06-20 네트워크 장애경보 관리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0912A KR102200275B1 (ko) 2018-06-20 2018-06-20 네트워크 장애경보 관리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43229A KR20190143229A (ko) 2019-12-30
KR102200275B1 true KR102200275B1 (ko) 2021-01-07

Family

ID=691033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70912A KR102200275B1 (ko) 2018-06-20 2018-06-20 네트워크 장애경보 관리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0027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99997A (ko) 2021-12-28 2023-07-05 주식회사 케이티 경보관리장치 및 경보관리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09057B1 (ko) * 2020-07-16 2023-03-10 주식회사 케이티 네트워크 관제 시스템 및 그 방법
CN111953541B (zh) * 2020-08-10 2023-12-05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告警信息处理方法、装置、计算机设备及存储介质
KR102393839B1 (ko) * 2020-09-21 2022-05-03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통신 네트워크 장비의 장애 관리 시스템 및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176554A (ja) * 2010-02-24 2011-09-08 Kddi R & D Laboratories Inc 監視装置、監視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1628089B1 (ko) * 2014-12-16 2016-06-09 주식회사 시큐아이 네트워크 기기 및 그것의 장애 복구 보장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123342A (ko) * 2008-05-27 2009-12-02 삼성전자주식회사 연관성 있는 메시지 표시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176554A (ja) * 2010-02-24 2011-09-08 Kddi R & D Laboratories Inc 監視装置、監視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1628089B1 (ko) * 2014-12-16 2016-06-09 주식회사 시큐아이 네트워크 기기 및 그것의 장애 복구 보장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99997A (ko) 2021-12-28 2023-07-05 주식회사 케이티 경보관리장치 및 경보관리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43229A (ko) 2019-12-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00275B1 (ko) 네트워크 장애경보 관리장치 및 방법
US9348687B2 (en) Determining a number of unique incidents in a plurality of incidents for incident processing in a distributed processing system
US10284444B2 (en) Visual representation of end user response time in a multi-tiered network application
US10069684B2 (en) Core network analytics system
US9213590B2 (en) Network monitoring and diagnostics
US20180337832A1 (en) Traffic management apparatus and traffic management method
US9246777B2 (en) Computer program and monitoring apparatus
US8954811B2 (en) Administering incident pools for incident analysis
EP3338191B1 (en) Diagnostic framework in computing systems
US9658902B2 (en) Adaptive clock throttling for event processing
US20160378583A1 (en) Management computer and method for evaluating performance threshold value
ZA200400131B (en) Method and system for correlating and determining root causes of system and enterprise events.
US9772895B2 (en) Identifying intervals of unusual activity in information technology systems
US20150081376A1 (en) Customization of event management and incident management policies
US10122603B2 (en) Inter-nodes multicasting communication in a monitoring infrastructure
US11743113B2 (en) Fault rectification operation recommendation method and apparatus, and storage medium
US20200099570A1 (en) Cross-domain topological alarm suppression
US8954563B2 (en) Event enrichment using data correlation
US20130073718A1 (en) Test analysis system of network and analysis method thereof
WO2022042126A1 (en) Fault localization for cloud-native applications
US20230359514A1 (en) Operation-based event suppression
US9674060B2 (en) Dynamic and selective management of integration points using performance metrics
KR20210058468A (ko) 지능형 에지 네트워킹의 인공지능 운용자 지원 시스템 장치 및 방법
US20170109250A1 (en) Monitoring apparatus, method of monitoring an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KR20230099997A (ko) 경보관리장치 및 경보관리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