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99187B1 - Apparatus for reducing noise between floors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reducing noise between floor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99187B1
KR102199187B1 KR1020190046333A KR20190046333A KR102199187B1 KR 102199187 B1 KR102199187 B1 KR 102199187B1 KR 1020190046333 A KR1020190046333 A KR 1020190046333A KR 20190046333 A KR20190046333 A KR 20190046333A KR 102199187 B1 KR102199187 B1 KR 1021991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floor plate
ceiling
noise reduction
vibr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4633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00123363A (en
Inventor
조태준
김태수
황보경
Original Assignee
대진대학교 산학협력단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진대학교 산학협력단,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대진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900463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99187B1/en
Publication of KR202001233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2336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991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9918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9/00Buildings, groups of buildings or shelters adapted to withstand or provide protection against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e.g. war-like action, earthquake or extreme climate
    • E04H9/02Buildings, groups of buildings or shelters adapted to withstand or provide protection against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e.g. war-like action, earthquake or extreme climate withstanding earthquake or sinking of ground
    • E04H9/021Bearing, supporting or connecting constructions specially adapted for such buildings
    • E04H9/0215Bearing, supporting or connecting constructions specially adapted for such buildings involving active or passive dynamic mass damping system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4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 E04B1/82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sound only
    • E04B1/8209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sound only sound absorbing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9/00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 E04B9/001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haracterised by provisions for heat or sound insul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층간소음 저감장치는, 구조물의 위층 바닥판 및 아래층의 천정 중 어느 한쪽에 마련되거나 상기 바닥판과 상기 천정의 사이 공간에 마련되는 지지부; 상기 지지부와 결합되며, 상기 지지부를 중심으로 복수개가 방사상으로 마련되는 지지보; 및 상기 지지보의 양단부에 각각 설치되는 중량부; 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보 및 상기 중량부는, 상기 바닥판에 가해지는 진동의 세기 또는 진동의 위치에 무관하게 상기 바닥판에 가해진 진동을 저감하거나 제어할 수 있다. The inter-floor noise reduc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upport part provided on one of the upper floor plate and the lower floor ceiling of the structure, or provided in a space between the floor plate and the ceiling; A support beam coupled to the support part and having a plurality of support beams radially provided around the support part; And weight parts respectively installed at both ends of the support beam. Including, the support beam and the weight part, regardless of the intensity of the vibration applied to the floor plate or the position of the vibration may reduce or control the vibration applied to the floor plate.

Description

층간소음 저감장치{APPARATUS FOR REDUCING NOISE BETWEEN FLOORS}Floor noise reduction device {APPARATUS FOR REDUCING NOISE BETWEEN FLOORS}

본 발명은 층간소음 저감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구조물의 위층 바닥판에 가해지는 진동을 저감하여 위층 바닥판에 가해진 진동에 의한 아래층으로의 소음 발생을 감소시킬 수 있는 층간소음 저감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ter-floor noise reduction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n inter-floor noise reduction device capable of reducing the vibration applied to the upper floor plate of the structure to reduce the generation of noise to the lower floor by the vibration applied to the upper floor plate. About.

일반적으로 아파트, 다세대주택, 연립주택, 오피스텔이나 빌딩 등의 층과 층 사이는 콘크리트인 슬래브에 의해 구분된다. 이러한 슬래브 위에는 단열과 난방 배관을 위하여 스티로폼을 설치하고 그 위에 기포 콘크리트를 타설한 다음 난방 배관을 설치하고 미장 모르타르 공사로 이어지는 바닥공사가 행해진다. In general, the floors and floors of apartments, multi-family houses, row houses, officetels and buildings are separated by slabs made of concrete. Styrofoam is installed on the slab for insulation and heating pipes, foamed concrete is poured thereon, heating pipes are installed, and floor works leading to plastering mortar work are performed.

그러나, 이와 같은 바닥공사에도 불구하고 다층 건물의 경우에는, 사람의 보행, 물건의 낙하, 가전제품, 가구 등의 집기의 이동 등으로 인해 바닥에 충격이나 마찰이 가해진다. 바닥에 가해진 충격이나 마찰은 고스란히 슬래브를 통해 위층에서 아래층으로 전달되기 때문에, 층간소음으로 인한 소음 공해가 심각한 문제점이 있다. However, in the case of a multi-storey building despite such a floor construction, impact or friction is applied to the floor due to walking of a person, falling of objects, movement of household appliances, furniture, and the like. Since the impact or friction applied to the floor is transmitted from the upper floor to the lower floor through the slab intact, noise pollution due to inter-floor noise has a serious problem.

층간소음은 대체적으로 물건 등의 낙하 충격음이나 집기 등의 이동 마찰음과 같이 고주파수 성분의 소음을 포함하고 있는 경량 충격음과, 성인의 보행이나 어린이가 뛰어다님으로 인해 발생되는 저주파수 성분의 소음인 중략충격음으로 구분된다. The interfloor noise is generally divided into a light-weight impact sound that contains high-frequency component noise, such as a falling impact sound of objects or moving fricatives such as furniture, and a neutral impact sound, which is a low-frequency component noise generated by walking or running by children do.

참고로, 주택건설 기준 등의 규정에 의하면, 다층 건물의 시공시 경량충격음은 58 데시벨(dB) 이하이어야 하고 중량충격음은 50 데시벨(dB) 이하로 시공하거나 또는 건설교통부장관이 정하여 고시하는 표준바닥구조로 시공하여야 한다고 명시되어 있다. For reference, according to regulations such as housing construction standards, when constructing a multi-story building, the lightweight impact sound must be 58 decibels (dB) or less and the weight impact sound is 50 decibels (dB) or less, or the standard floor determined and notified by the Minister of Construction and Transportation. It is stated that it should be constructed as a structure.

이러한 노력에도 불구하고, 층간소음으로 인하여 이웃간의 분쟁이 많이 발생하여 심각한 사회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Despite these efforts, many disputes between neighbors have arisen due to inter-floor noise, which has emerged as a serious social problem.

이에, 층간소음을 완화시키기 위한 다양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는 실정이다. Accordingly, various researches to mitigate inter-floor noise are being actively conducted.

예컨대, 위층 바닥판과 온돌 마감재 사이에 층간소음 완충재를 삽입하거나, 또는 아래층의 천정에 차음막을 설치하여 위층에서 가해지는 진동에 의한 소음이 아랫층으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한다. For example, an interlayer noise cushioning material is inserted between the upper floor plate and the ondol finishing material, or a sound insulation film is installed on the ceiling of the lower floor to block the transmission of noise caused by vibration applied from the upper floor to the lower floor.

그러나, 층간소음 완충재를 사용하거나 차음막을 사용할 경우에는 경량충격음은 어느 정도 차단되는 효과가 있으나, 중량충격음의 경우에는 위층 바닥판의 진동에 의하여 발생하므로 층간소음 완충재나 차음막으로는 차단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However, in the case of using an interlayer noise cushioning material or a sound insulation film, the light impact sound is blocked to some extent, but in the case of a heavy impact sound, it is caused by the vibration of the upper floor plate, so it cannot be blocked by the interlayer noise buffer material or sound insulation film. There is this.

또한, 아파트에 TMD(Tuned Mass Damper; 동조질량감쇠기)를 위층 바닥판과 아래층 천정 사이의 공간에 설치하여 위층 바닥판의 진동에 의한 아래층의 소음 발생을 감소시킬 수 있다. In addition, by installing TMD (Tuned Mass Damper) in the apartment in the space between the upper floor plate and the lower floor ceiling,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noise generation of the lower floor due to vibration of the upper floor plate.

그러나, TMD의 경우 무게가 무겁기 때문에 얇은 두께를 가지는 아래층 천정이 무너질 위험이 있고, 가격이 비싸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TMD는 진동 위치, 진동 하중의 크기를 고려하여 설치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However, in the case of TMD, since the weight is heavy, there is a risk that the ceiling of the lower layer having a thin thickness is collapsed, and the price is high. In addition, the TMD has to be installed in consideration of the vibration location and the size of the vibration load.

따라서, 본 출원인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을 제안하게 되었으며, 이와 관련된 선행기술문헌으로는,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17-0130212호 (발명의 명칭: 층간소음방지장치, 공개일: 2017.11.28.)가 있다.Accordingly, the present applicant has proposed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as a prior art document related thereto, 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10-2017-0130212 (Name of the invention: interlayer noise prevention device, published Day: 2017.11.28.)

본 발명의 목적은 위층 바닥판과 아래층 천정의 하중이나 위층에서 아래층으로 가해지는 진동의 위치를 고려하지 않고 층간소음 저감장치를 설치하여 위층의 진동에 의한 아래층으로의 소음 발생을 저감할 수 있는 층간소음 저감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install an inter-floor noise reduction device without considering the load of the upper floor plate and the ceiling of the lower floor or the position of the vibration applied from the upper floor to the lower floor, thereby reducing the generation of noise to the lower floor due to the vibration of the upper floor. It is to provide a noise reduction device.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The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problems mentioned above, and other problems that are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상기의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구조물의 위층 바닥판 및 아래층의 천정 중 어느 한쪽에 마련되거나 상기 바닥판과 상기 천정의 사이 공간에 마련되는 지지부; 상기 지지부와 결합되며, 상기 지지부를 중심으로 복수개가 방사상으로 마련되는 지지보; 및 상기 지지보의 양단부에 각각 설치되는 중량부; 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보 및 상기 중량부는, 상기 바닥판에 가해지는 진동의 세기 또는 진동의 위치에 무관하게 상기 바닥판에 가해진 진동을 저감하거나 제어하는 층간소음 저감장치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The above object i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upport provided on either one of the upper floor plate and the ceiling of the lower floor of the structure or provided in the space between the floor plate and the ceiling; A support beam coupled to the support part and having a plurality of support beams radially provided around the support part; And weight parts respectively installed at both ends of the support beam. Including, the support beam and the weight, regardless of the strength of the vibration applied to the floor plate or the position of the vibration may be achieved by an interlayer noise reduction device for reducing or controlling the vibration applied to the floor plate.

상기 지지보 및 상기 중량부는 상기 바닥판에 가해지는 진동을 저감시키는 댐퍼의 기능을 가질 수 있다. The support beam and the weight portion may have a function of a damper to reduce vibration applied to the bottom plate.

상기 중량부는, 상기 바닥판에 가해지는 진동의 세기 또는 진동의 위치와 무관하게 진동을 저감시키거나 제어하도록 상기 중량부의 중량을 달리하여 상기 지지보의 양단부에 마련될 수 있다. The weight portion may be provided at both ends of the support beam by varying the weight of the weight portion so as to reduce or control the vibration regardless of the intensity of the vibration applied to the bottom plate or the location of the vibration.

상기 지지보는 서로 다른 스프링 상수를 가지도록 마련될 수 있다. The support beams may be provided to have different spring constants.

상기 지지보는, 상기 지지부를 기준으로 상기 지지부에서부터 상기 지지보의 일단까지의 길이가 서로 동일하게 마련되거나 서로 다른 길이로 마련될 수 있다. The support beam may have the same length or different lengths from the support part to one end of the support beam based on the support part.

상기 중량부는, 상기 지지부를 중심으로 어느 한 방향을 따라 중량이 선형적으로 증가하거나 감소하도록 상기 지지보의 양단부에 마련될 수 있다. The weight part may be provided at both ends of the support beam so that the weight linearly increases or decreases in any one direction around the support part.

상기 지지보는, 상기 지지부를 중심으로 어느 한 방향을 따라 상기 지지부에서부터 일단까지의 길이가 선형적으로 증가하거나 감소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The support beam may be provided so that the length from the support part to one end increases or decreases linearly along any one direction around the support part.

상기 지지보는, 상기 지지부를 중심으로 어느 한 방향을 따라 스프링 상수가 선형적으로 증가하거나 감소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The support beam may be provided so that the spring constant linearly increases or decreases along any one direction around the support part.

상기 지지부의 일단부는 상기 바닥판의 하단면에 결합되고 상기 지지부의 타단부는 상기 천정 쪽으로 매달린 상태로 마련되며, 상기 지지보는 상기 지지부의 타단부에 결합될 수 있다. One end of the support part is coupled to a lower surface of the bottom plate, the other end of the support part is provided in a state suspended toward the ceiling, and the support beam may be coupled to the other end of the support part.

상기 지지부의 일단부는 상기 천정의 하단면에 결합되고 상기 지지부의 타단부는 상기 천정에서부터 하방으로 매달린 상태로 마련되며, 상기 지지보는 상기 지지부의 타단부에 결합될 수 있다. One end of the support part is coupled to a lower surface of the ceiling, the other end of the support part is provided in a state suspended downward from the ceiling, and the support beam may be coupled to the other end of the support part.

상기 지지부, 상기 지지보 및 상기 중량부는 상기 천정의 하면에 마련된 조명부재의 내부에 마련되거나 상기 조명부재와 일체로 마련될 수 있다. The support part, the support beam, and the weight part may be provided inside a lighting member provided on a lower surface of the ceiling, or may be provided integrally with the lighting member.

본 발명의 층간소음 저감장치는 위층 바닥판에 가해지는 진동의 세기 또는 진동의 위치를 고려하지 않고 층간소음 저감장치를 설치하여도 위층에서 발생되는 진동을 제어할 수 있기 때문에 아래층으로의 소음 발생을 효과적으로 저감할 수 있다. The interfloor noise reduction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control the vibration generated in the upper floor without considering the intensity of the vibration applied to the upper floor plate or the location of the vibration. It can be effectively reduced.

또한, 본 발명의 층간소음 저감장치는 종래 TMD와는 다르게, 지지부, 지지부와 결합되는 지지보 및 지지보의 양단부에 각각 설치되는 중량부로 간단한 구조로 형성되고 매우 가볍기 때문에 위층 바닥판보다 얇은 두께로 형성되는 아래층의 천정에도 설치할 수 있다. In addition, unlike the conventional TMD, the interlayer noise reduction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in a simple structure with a support part, a support beam combined with the support part, and a weight part installed at both ends of the support beam, and is very light, so it is formed with a thickness thinner than the upper floor plate It can also be installed on the ceiling of the lower floor.

또한, 본 발명의 층간소음 저감장치는 종래 TMD에 비하여 구조가 간단하여 저가형이므로 층간소음 저감장치의 제조 비용을 줄일 수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interlayer noise reduction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imple structure and is inexpensive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TMD, the manufacturing cost of the interlayer noise reduction device can be reduced.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층간소음 저감장치의 개념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층간소음 저감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한 층간소음 저감장치가 위층 바닥판과 아래층 천정 사이에 설치된 상태에서 위층 바닥판에 가해지는 하중에 따른 층간소음 저감장치의 효과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4 및 도 5는 도 2에 도시한 층간소음 저감장치의 지지부를 중심으로 마련되는 지지보의 길이 변화와 중량부의 중량 변화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층간소음 저감장치를 설명하기 위해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층간소음 저감장치를 설명하기 위해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1 is a conceptual diagram of an interlayer noise reduction apparatus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interlayer noise reduction apparatus shown in FIG. 1.
3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the effect of the inter-floor noise reduction device according to the load applied to the upper floor plate in a state in which the inter-floor noise reduction device shown in FIG. 2 is installed between the upper floor plate and the lower floor ceiling.
4 and 5 are views for explaining a change in length of a support beam and a change in weight of a weight part provided around a support part of the interlayer noise reduction device shown in FIG. 2.
6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n apparatus for reducing interlayer nois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n apparatus for reducing interlayer noise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may easily implement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and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도면들은 개략적이고 축적에 맞게 도시되지 않았다는 것을 일러둔다. 도면에 있는 부분들의 상대적인 치수 및 비율은 도면에서의 명확성 및 편의를 위해 그 크기에 있어 과장되거나 감소되어 도시되었으며 임의의 치수는 단지 예시적인 것이지 한정적인 것은 아니다. 그리고 둘 이상의 도면에 나타나는 동일한 구조물, 요소 또는 부품에는 동일한 참조 부호가 유사한 특징을 나타내기 위해 사용된다. Note that the drawings are schematic and have not been drawn to scale. Relative dimensions and ratios of parts in the drawings are exaggerated or reduced in size for clarity and convenience in the drawings, and any dimensions are illustrative only and not limiting. In additio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to indicate similar features to the same structure, element or part appearing in two or more drawings.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상적인 실시예들을 구체적으로 나타낸다. 그 결과, 도면의 다양한 변형이 예상된다. 따라서 실시예는 도시한 영역의 특정 형태에 국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제조에 의한 형태의 변형도 포함한다.Examples of the present invention specifically represent ideal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s a result, various modifications of the drawings are expected. Accordingly, the embodiment is not limited to a specific shape in the illustrated area, and includes, for example, a modification of the shape by manufacturing.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층간소음 저감장치(100, 100', 100'')를 설명한다. Hereinafter, an interlayer noise reduction apparatus 100, 100', 100''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우선,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층간소음 저감장치(100)를 설명한다. First, an interlayer noise reduction apparatus 100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5.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층간소음 저감장치의 개념도,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층간소음 저감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도 2에 도시한 층간소음 저감장치가 위층 바닥판과 아래층 천정 사이에 설치된 상태에서 위층 바닥판에 가해지는 하중에 따른 층간소음 저감장치의 효과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도 4 및 도 5는 도 2에 도시한 층간소음 저감장치의 지지부를 중심으로 마련되는 지지보의 길이 변화와 중량부의 중량 변화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1 is a conceptual diagram of an interlayer noise reduction apparatus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the interlayer noise reduction apparatus shown in FIG. 1, and FIG. 3 is a schematic diagram of the interlayer noise reduction apparatus shown in FIG. Conceptual diagram for explaining the effect of the inter-floor noise reduction device according to the load applied to the upper floor plate in the state installed between the upper floor plate and the lower floor ceiling, FIGS. 4 and 5 are the supporting parts of the inter-floor noise reduction device shown in FIG. It is a diagram for explaining the change in the length of the support beam provided as the center and the change in the weight of the weight part.

도 1 내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층간소음 저감장치(100)는 구조물 또는 건축물(미도시)의 위층 바닥판(102)과 아래층의 천정(104) 사이의 공간에 마련되는 지지부(110); 지지부(110)와 결합되며, 지지부(110)를 중심으로 복수개가 방사상으로 마련되는 지지보(120) 및 지지보(120)의 양단부에 각각 설치되는 중량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ures 1 to 5, the inter-floor noise reduction device 1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between the upper floor plate 102 and the lower floor ceiling 104 of a structure or building (not shown). A support 110 provided in the space of the; It is coupled to the support portion 110, it may include a plurality of support beams 120 radially provided around the support portion 110 and a weight portion 130 respectively installed at both ends of the support beam 120.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층간소음 저감장치(100)는 위층 바닥판(102)과 아래층 천정(104) 사이의 공간에 마련될 수 있다. The interfloor noise reduction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rovided in a space between the upper floor plate 102 and the lower ceiling 104.

이때, 지지부(110)는 위층 바닥판(102)의 하단면(102b)에 결합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지지부(110)의 일단부는 위층 바닥판(102)의 하단면(102b)에 결합되고 지지부(110)의 타단부는 아래층의 천정(104) 쪽으로 매달린 상태로 마련될 수 있다. 참고로, 위층 바닥판(102)의 상단면(102a)은 위층의 사람이 움직이거나 가구, 전자제품 등이 위치되는 위층의 바닥면 일 수 있다. In this case, the support part 110 may be coupled to the lower surface 102b of the upper floor plate 102. In other words, one end of the support part 110 may be coupled to the lower end surface 102b of the upper floor plate 102 and the other end of the support part 110 may be provided in a state suspended toward the ceiling 104 of the lower floor. For reference, the upper surface 102a of the upper floor plate 102 may be a floor surface of an upper floor on which a person on the upper floor moves or furniture, electronic products, etc. are located.

지지부(110)의 일단부는 볼트(bolt) 등의 결합부재(112)를 이용하여 위층 바닥판(102)의 하단면(102b)과 결합되고, 지지부(110)이 타단부에는 결합부재(112)를 이용하여 후술할 지지보(120)가 결합될 수 있다. One end of the support part 110 is coupled to the lower end surface 102b of the upper floor plate 102 using a coupling member 112 such as a bolt, and the support part 110 is at the other end of the coupling member 112 By using the support beam 120 to be described later may be coupled.

한편, 지지부(110)는 지지부(110)에 결합되는 지지보(120) 및 중량부(130)를 위층 바닥판(102)과 아래층의 천정(104) 사이에 위치되도록 하기 위한 일종의 지지부재이다. 이를 위하여, 지지부(110)의 두께는 적어도 지지보(120)의 두께보다 두껍게, 중량부(130)의 중량(M) 보다는 무겁게 마련됨으로써 지지보(120) 및 중량부(130)를 위층 바닥판(102)의 하단면(102b)에 대해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support part 110 is a kind of support member for positioning the support beam 120 and the weight part 130 coupled to the support part 110 between the upper floor plate 102 and the ceiling 104 of the lower floor. To this end, the thickness of the support portion 110 is provided at least thicker than the thickness of the support beam 120 and is heavier than the weight (M) of the weight portion 130 so that the support beam 120 and the weight portion 130 are placed on the upper floor plate. It can stably support the lower surface 102b of (102).

참고로, 지지부(110)는 그 외주면이 평면 또는 곡면 등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For reference,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upport 110 may be formed in various shapes such as a flat surface or a curved surface, but is not limited thereto.

지지부(110)에 결합되는 지지보(120)는 후술하는 중량부(130)와 함께 위층 바닥판(102)에 가해지는 진동을 저감시키는 일종의 댐퍼(damper)와 같은 기능을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지지보(120)는 위층 바닥판(102)에 가해진 진동이 지지부(110)를 통해 전달되면, 위층 바닥판(102)에 가해진 진동이 아래층 천정(104)으로 전달되지 않도록 저감시킬 수 있다. The support beam 120 coupled to the support unit 110 may function as a damper for reducing vibration applied to the upper floor plate 102 together with the weight unit 130 to be described later. Accordingly, the support beam 120 can reduce the vibration applied to the upper floor plate 102 so that when the vibration applied to the upper floor plate 102 is transmitted through the support part 110, the vibration applied to the upper floor plate 102 is not transmitted to the lower ceiling 104. have.

상술한 바와 같이, 지지보(120)는 지지부(110)와 볼트(bolt) 등과 같은 결합부재(112)를 이용하여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지지보(120)는 결합부재(112)에 의하여 지지부(110)와 결합되는 위치에 따라 스프링 상수가 다르게 마련될 수 있는데, 이러한 내용에 관해서는 하기에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As described above, the support beam 120 may be coupled by using the support portion 110 and a coupling member 112 such as a bolt. At this time, the support beam 120 may be provided with different spring constants depending on the position coupled to the support portion 110 by the coupling member 112, thi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elow.

지지보(120)의 양단부 각각에는 중량부(130)가 설치될 수 있다. 중량부(130)는 소정의 중량을 가지는 물체일 수 있다. 참고로, 중량부(130)를 형성하는 중량(M)은 모두 동일한 크기로 마련될 수도 있고, 설치되는 지지보(120)의 위치에 따라 서로 다른 크기의 중량으로 마련될 수도 있다. A weight portion 130 may be installed at each of both ends of the support beam 120. The weight part 130 may be an object having a predetermined weight. For reference, the weights M forming the weight part 130 may all be provided with the same size, or may be provided with different weights depending on the location of the support beam 120 to be installed.

이러한, 중량부(130)는 지지보(120)와 같이 지지부(110)에 결합되어 위층 바닥판(102)에 가해지는 진동을 저감시키는 댐퍼와 같은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즉, 중량부(130)는 지지보(120)와 함께 고유한 진동수를 형성함으로써, 지지부(110)를 통해 전달된 위층 바닥판(102)에 가해진 진동을 저감시키거나 상쇄시킬 수 있다. The weight part 130 may be coupled to the support part 110 like the support beam 120 to perform a function such as a damper for reducing vibration applied to the upper floor plate 102. That is, the weight part 130 may reduce or cancel the vibration applied to the upper floor plate 102 transmitted through the support part 110 by forming a unique frequency together with the support beam 120.

한편,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층간소음 저감장치(100)는 지지보(120) 및 중량부(130)는 위층 바닥판(102)에 가해지는 진동의 세기 또는 진동의 위치와 무관하게 위층 바닥판(102)에 가해진 진동을 저감하거나 제어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inter-floor noise reduction device 1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support beam 120 and the weight part 130 regardless of the intensity of the vibration applied to the upper floor plate 102 or the position of the vibration. Vibration applied to the upper floor plate 102 may be reduced or controlled.

예컨대, 종래 위층의 진동을 저감시키기 위한 TMD의 경우에는 구조물, 즉 위층 바닥판(102)에 가해지는 진동의 세기 또는 진동의 위치를 고려하여 위층에서 가해진 진동을 저감하거나 상쇄되도록 정해진 위치에 설치된다. 이러한 경우,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위층 바닥판(102)의 상단면(102a)에 미리 정해진 위치가 아닌 위치에 F1, F2의 힘이 가해지게 되면, 미리 정해진 위치에 설치된 TMD를 이용하여 위층 바닥판(102)에 가해진 진동을 저감시키거나 상쇄시키는 것이 어렵게 된다. For example, in the case of a conventional TMD for reducing the vibration of the upper floor, it is installed in a predetermined position to reduce or cancel the vibration applied from the upper floor in consideration of the strength of the vibration applied to the structure, that is, the upper floor plate 102 or the location of the vibration. . In this case, as shown in FIG. 3, when the force of F1, F2 is applied to a position other than a predetermined position on the upper surface 102a of the upper floor plate 102, the TMD installed at the predetermined position is used. It becomes difficult to reduce or cancel the vibration applied to the upper floor plate 102.

그러나,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층간소음 저감장치(100)는 지지부(110)에 대해 지지보(120)의 길이(L) 또는 중량부(130)의 중량(M) 크기를 다르게 형성하여, 각각의 지지보(120) 또는 중량부(130)에 의해 발생되는 진동수의 영역이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위층 바닥판(102)에 대해 어떠한 위치에서 어떠한 세기의 진동이 가해지더라도, 위층 바닥판(102)과 아래층 천정(104)의 사이 공간에 설치된 층간소음 저감장치(100)에 의해 위층 바닥판(102)에 가해진 진동을 저감시키거나 상쇄시켜 아래층으로 전달되지 않도록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However, the interlayer noise reduction device 1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differently in the length (L) of the support beam 120 or the weight (M) of the weight portion 130 with respect to the support portion 110 Thus, regions of the frequency generated by each of the support beams 120 or 130 may be formed in various ways. Accordingly, no matter what intensity of vibration is applied to the upper floor plate 102 at any position, the upper floor floor by the inter-floor noise reduction device 100 installed in the space between the upper floor plate 102 and the lower ceiling 104 There is an effect of reducing or canceling the vibration applied to the plate 102 so that it is not transmitted to the lower layer.

한편,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지지보(120)는 지지부(110)를 중심으로 복수개가 방사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복수개의 지지보(120)가 방사상으로 마련됨에 따라 더욱더 효과적으로 위층 바닥판(102)에 가해지는 진동의 세기 또는 진동의 위치와 무관하게 위층 바닥판(102)에 가해진 진동을 저감하거나 제어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층간소음 저감장치(100)는 랜덤(random) 진동을 효과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다.Meanwhile, a plurality of support beams 12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radially provided around the support part 110. In this way, as the plurality of support beams 120 are radially provided, the vibration applied to the upper floor plate 102 is more effectively reduced or controlled regardless of the intensity of the vibration applied to the upper floor plate 102 or the position of the vibration. can do. That is, the interlayer noise reduction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effectively reduce random vibration.

여기서, 지지부(110)에 대해 복수개가 방사상으로 마련되는 지지보(120)는 서로 동일한 길이(L)로 마련되어 동일한 스프링 상수를 가지도록 마련될 수도 있고, 이와는 다르게 복수개가 방사상으로 마련된 지지보(120)는 서로 다른 길이(L)로 마련되어 서로 다른 스프링 상수를 가지도록 마련될 수도 있다.Here, a plurality of support beams 120 provided radially with respect to the support part 110 may be provided to have the same length (L) to have the same spring constant, and differently, a plurality of support beams 120 provided radially. ) May be provided with different lengths (L) to have different spring constants.

우선,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지보(120)는 지지부(110)를 기준으로 지지부(110)에서부터 지지보(120)의 일단까지의 길이(L)가 서로 동일하게 마련될 수 있다. 이때, 지지보(120)의 양단에 각각 설치되는 중량부(130)는 서로 동일한 크기의 중량(M)으로 마련되거나 서로 다른 크기의 중량(M)으로 마련될 수 있다. First, as shown in FIG. 4, the support beam 120 may have the same length L from the support part 110 to one end of the support beam 120 based on the support part 110. In this case, the weight parts 130 installed at both ends of the support beam 120 may be provided with a weight M of the same size or may be provided with a weight M of different sizes.

예컨대, 지지보(120)가 동일한 길이(L)로 마련되고 각각의 지지보(120)의 양단에 설치되는 중량부(130)가 동일한 크기의 중량(M)으로 마련될 경우, 지지보(120) 및 중량부(130)에 의한 진동수와 위층 바닥판(102)에 가해진 진동수가 서로 동일한 주파수 영역일 경우에만 위층 바닥판(102)에 가해진 진동을 상쇄시킬 수 있다. 만약, 위층 바닥판(102)에 가해진 진동수가 지지보(120) 및 중량부(130)에 의해 형성되는 진동수와 서로 다른 주파수 영역일 경우에는 위층 바닥판(102)에 가해진 진동을 저감시키거나 상쇄시키지 못하여서 위층 바닥판(102)에 가해진 진동에 의한 소음이 아래층으로 발생되도록 할 수 있다. For example, when the support beam 120 is provided with the same length (L) and the weight portions 130 installed at both ends of each support beam 120 are provided with the same size of weight (M), the support beam 120 ), the vibration applied to the upper floor plate 102 can be canceled only when the frequency by the weight part 130 and the frequency applied to the upper floor plate 102 are in the same frequency range. If the frequency applied to the upper floor plate 102 is in a frequency range different from that formed by the support beam 120 and the weight part 130, the vibration applied to the upper floor plate 102 is reduced or canceled. As a result, noise due to vibration applied to the upper floor plate 102 may be generated to the lower floor.

참고로, 지지보(120)가 동일한 길이(L)로 마련되고 각각의 지지보(120)의 양단에 설치되는 중량부(130)가 서로 다른 크기 중량(M)으로 마련될 경우, 각각의 지지보(120) 및 중량부(130)에 의해 다양한 영역의 진동수를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위층 바닥판(102)에 가해지는 진동의 세기 및 진동의 위치와 무관하게 위층 바닥판(102)에 가해진 진동을 저감시키거나 제어할 수 있다. For reference, when the support beams 120 are provided with the same length (L) and the weight portions 130 installed at both ends of each support beam 120 are provided with different size weights (M), each support The beam 120 and the weight 130 may have a frequency of various regions.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reduce or control the vibration applied to the upper floor plate 102 regardless of the intensity of the vibration applied to the upper floor plate 102 and the position of the vibration.

한편, 지지보(120)는 지지부(110)를 기준으로 지지부(110)에서부터 지지보(120)의 일단까지의 길이가 서로 다르게 마련될 수 있다. Meanwhile, the support beam 120 may have different lengths from the support portion 110 to one end of the support beam 120 based on the support portion 110.

특히, 도 5를 참조하면, 지지보(120)는 지지부(110)를 중심으로 어느 한 방향을 따라 지지부(110)에서부터 일단까지의 길이가 선형적으로 증가하거나 감소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때, 지지보(120)의 양단에 각각 설치되는 중량부(130)도 서로 다른 크기의 중량(M)으로 마련될 수 있다. 더욱이, 중량부(130)도 지지부(110)를 중심으로 어느 한 방향을 따라 중량이 선형적으로 증가하거나 감소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In particular, referring to FIG. 5, the support beam 120 may be provided to linearly increase or decrease in length from the support part 110 to one end along any one direction around the support part 110. In this case, the weight portions 130 respectively installed at both ends of the support beam 120 may be provided with different weights M. Moreover, the weight part 130 may also be provided so that the weight increases or decreases linearly along any one direction around the support part 110.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지부(110)를 중심으로 지지부(110)의 일측에 위치된 지지보(120)의 길이가 L1이고 길이가 L1인 지지보(120)의 일단부에 설치되는 중량부(130)의 중량이 M1이면, 지지부(110)를 중심으로 시계 반대 방향을 따라 지지보(120)의 길이(L)가 L1에서 L2, L3, L4, L5, L6, L7, L8로 선형적으로 증가하고 중량부(130)의 중량(M) 크기도 지지보(120)의 길이(L)의 증가와 함께 M1에서 M2, M3, M4, M5, M6, M7, M8로 선형적으로 증가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 5, the weight installed at one end of the support beam 120 having a length L1 and a length L1 of the support beam 120 positioned on one side of the support 110 with the support 110 as the center If the weight of the part 130 is M1, the length (L) of the support beam 120 along the counterclockwise direction around the support part 110 is linear from L1 to L2, L3, L4, L5, L6, L7, L8 The weight (M) size of the weight part 130 increases linearly from M1 to M2, M3, M4, M5, M6, M7, M8 with an increase in the length (L) of the support beam 120. can do.

참고로, 도 5에는 지지보(120)의 길이(L)가 증가함에 따라 지지보(120)의 일단부에 설치되는 중량부(130)의 중량(M) 크기도 증가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지만, 지지부(110)를 중심으로 시계 반대 방향을 따라 지지보(120)의 길이(L)는 증가되고 지지보(120)의 일단부에 설치되는 중량부(130)의 중량(M) 크기는 감소되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For reference, FIG. 5 shows that as the length (L) of the support beam 120 increases, the weight (M) size of the weight portion 130 installed at one end of the support beam 120 increases, but the support portion In the counterclockwise direction around (110), the length (L) of the support beam 120 is increased, and the weight (M) size of the weight portion 130 installed at one end of the support beam 120 is reduced. May be.

한편, 상기와 같이, 지지보(120)의 길이(L)와 중량부(130)의 중량(M) 크기를 다르게 함께 따라, 지지보(120)는 지지부(110)를 중심으로 어느 한 방향을 따라 스프링 상수가 선형적으로 증가하거나 감소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지지보(120)의 스프링 상수는 지지보(120)의 길이(L)와 지지보(120)의 일단부에 설치되는 중량부(130)의 중량(M) 크기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지지보(120)의 길이(L)가 길어지고 중량부(130)의 중량(M) 크기가 커지게 되면 지지보(120)의 스프링 상수도 커질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length (L) of the support beam 120 and the weight (M) size of the weight portion 130 together differently, the support beam 120 is in any one direction around the support portion 110 Accordingly, the spring constant may be provided to increase or decrease linearly. The spring constant of the support beam 120 may vary depending on the length (L) of the support beam 120 and the size of the weight (M) of the weight portion 130 installed at one end of the support beam 120. In other words, when the length (L) of the support beam 120 is increased and the size of the weight (M) of the weight portion 130 increases, the spring constant of the support beam 120 may also increase.

즉,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지부(110)를 중심으로 시계 반대 방향을 따라 지지보(120)의 길이(L)가 선형적으로 증가하고 지지보(120)에 설치된 중량부(130)의 중량(M) 크기가 선형적으로 증가하게 되면, 지지보(120)의 스프링 상수도 선형적으로 증가될 수 있다. 또한, 도 5에 도시한 바와는 다르게, 지지부(110)를 중심으로 시계 반대 방향을 따라 지지보(120)의 길이(L)가 선형적으로 감소하게 되면, 지지보(120)의 스프링 상수도 선형적으로 감소될 수 있다. That is, as shown in FIG. 5, the length (L) of the support beam 120 increases linearly along the counterclockwise direction around the support portion 110, and the weight portion 130 installed on the support beam 120 When the size of the weight (M) increases linearly, the spring constant of the support beam 120 may also increase linearly. In addition, unlike shown in FIG. 5, when the length L of the support beam 120 decreases linearly along the counterclockwise direction around the support 110, the spring water of the support beam 120 is also linear. Can be reduced by enemies.

이와 같이, 지지보(120)의 스프링 상수가 증가되거나 감소됨에 따라 지지보(120) 및 중량부(130)에 의해 얻어지는 고유진동수 내지 진동수도 달라지게 되므로, 위층 바닥판(102)에 가해지는 진동에 대응할 수 있는 영역이 커지게 된다. In this way, as the spring constant of the support beam 120 is increased or decreased, the natural frequency or frequency obtained by the support beam 120 and the weight part 130 also changes, so the vibration applied to the upper floor plate 102 The area that can respond to is increased.

한편,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층간소음 저감장치(100')를 전술한 실시예와 상이한 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On the other hand, with reference to Figure 6, the interlayer noise reduction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focusing on the difference from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층간소음 저감장치를 설명하기 위해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6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n apparatus for reducing interlayer noise according to another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층간소음 저감장치(100')는 층간소음 저감장치(100')가 설치되는 위치를 제외하고,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그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명칭 및 도면부호를 부여하였으며, 그에 대한 설명은 전술한 실시예를 준용하기로 한다. The interlayer noise reduction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same as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except for the location where the interlayer noise reduction apparatus 100' is installed, so the same name and Reference numerals have been given, and the descriptions thereof will apply mutatis mutandis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층간소음 저감장치(100')는 위층 바닥판(102)과 아래층의 천정(104) 사이의 공간에 마련될 수 있다. 이때, 지지부(110)의 타단부는 아래층 천정(104)의 상단면(104a)에 결합되고 지지부(110)의 일단부는 아래층 천정(104)에서부터 상방으로 위층 바닥판(102) 쪽으로 바라보는 상태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지지보(120)는 지지부(110)의 일단부에 결합될 수 있다. As shown in FIG. 6, the interlayer noise reduction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rovided in a space between the upper floor plate 102 and the lower ceiling 104. At this time, the other end of the support part 110 is coupled to the upper surface 104a of the lower ceiling 104, and one end of the support part 110 is in a state facing upward from the lower ceiling 104 toward the upper floor plate 102. Can be provided. In addition, the support beam 120 may be coupled to one end of the support portion 110.

여기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층간소음 저감장치(10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지지부(110), 지지보(120) 및 중량부(130)로 구성되기 때문에 종래의 TMD에 비하여 그 무게가 가벼울 수 있다. 그에 따라, 층간소음 저감장치(100')가 위층 바닥판(102) 보다 얇은 두께로 형성되며 합판 재질이나 목조 재질로 형성되는 아래층 천정(104)에 설치되더라도 아래층 천정(104)에 안정적으로 위치될 수 있게 된다. 더욱이, 아래층 천정(104)에 설치된 층간소음 저감장치(100')에 의하여 위층 바닥판(102)에서 가해진 진동이 아래층 천정(104)으로 전달되더라도 아래층으로 위층 바닥판(102)에 가해진 진동에 의한 소음이 발생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Here, the interlayer noise reduction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osed of a support 110, a support 120, and a weight 130, as described above, compared to a conventional TMD. Its weight can be light. Accordingly, even if the interlayer noise reduction device 100' is formed to a thickness thinner than the upper floor plate 102 and is installed on the lower ceiling 104 formed of a plywood or wooden material, it will be stably located on the lower ceiling 104. You will be able to. Moreover, even if the vibration applied from the upper floor plate 102 is transmitted to the lower floor ceiling 104 by the inter-floor noise reduction device 100' installed in the lower floor ceiling 104, the vibration applied to the upper floor plate 102 to the lower floor Noise can be prevented.

한편,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층간소음 저감장치(100'')를 전술한 실시예들과 상이한 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On the other hand, referring to FIG. 7, the interlayer noise reduction apparatus 100 ″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focusing on differences from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층간소음 저감장치를 설명하기 위해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7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n apparatus for reducing interlayer nois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층간소음 저감장치(100'')는 층간소음 저감장치(100'')의 설치 위치를 제외하고, 전술한 실시예들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그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명칭 및 도면부호를 부여하였으며, 그에 대한 설명은 전술한 실시예들을 준용하기로 한다. The inter-floor noise reduction device 100 ″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ubstantially the same as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except for the installation location of the inter-floor noise reduction device 100 ″. The same names and reference numerals have been assigned to them, and the descriptions thereof will apply mutatis mutandis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층간소음 저감장치(100'')는 아래층 천정(104)에 설치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층간소음 저감장치(100'')의 지지부(110)의 일단부는 아래층 천정(104)의 하단면(104b)에 결합되고 지지부(110)의 타단부는 아래층 천정(104)에서부터 하방으로 매달린 상태로 마련될 수 있다. 이때, 지지보(120)는 지지부(110)의 하단부에 결합될 수 있다. The inter-floor noise reduction device 100 ″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nstalled on the lower ceiling 104. In other words, one end of the support portion 110 of the interlayer noise reduction device 100 ″ is coupled to the lower surface 104b of the lower ceiling 104, and the other end of the support portion 110 moves downward from the lower ceiling 104 Can be provided in a suspended state. In this case, the support beam 120 may be coupled to the lower end of the support portion 110.

이에 따라, 위층 바닥판(102)에 가해지는 진동이 아래층 천정(104)에 까지 전달되더라도 아래층 천정(104)의 하단면(104b)에 설치된 층간소음 저감장치(100'')에 의해 위층 바닥판(102)에 가해진 진동이 아래층으로 전달되지 않도록 할 수 있고, 진동에 따른 소음이 아래층으로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Accordingly, even if the vibration applied to the upper floor plate 102 is transmitted to the lower floor ceiling 104, the upper floor plate by the inter-floor noise reduction device 100 ″ installed on the lower surface 104b of the lower ceiling 104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vibration applied to 102 from being transmitted to the lower floor, and to prevent the noise caused by the vibration from being generated to the lower floor.

층간소음 저감장치(100'')가 아래층 천정(104)의 하단면(104b)에 설치될 경우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층간소음 저감장치(100'')의 외부로의 노출을 방지하기 위하여 천정(104)에 마련되는 조명부재(106)의 내부에 마련될 수도 있고, 조명부재(106)와 일체로 마련되도록 할 수도 있다. When the interlayer noise reduction device 100 ″ is installed on the lower surface 104b of the ceiling 104 on the lower floor, it may be exposed to the outside. It may be provided inside the lighting member 106 provided on the ceiling 104 to prevent exposure of the interlayer noise reduction device 100'' to the outside, or may be provided integrally with the lighting member 106 have.

조명부재(106)는, 조명부재(106)의 조명을 발생시키기 위한 부가적인 장치들을 제외하고 조명부재(106)의 내부에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조명부재(106) 내부의 공간에 층간소음 저감장치(100'')를 설치하게 되면, 층간소음 저감장치(100'')가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그와 동시에 위층 바닥판(102)에 가해진 진동이 아래층 천정(104)으로 전달되더라도 전달된 진동에 의해 아래층으로 소음이 발생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The lighting member 106 may have a space formed inside the lighting member 106 except for additional devices for generating illumination of the lighting member 106. If the interlayer noise reduction device 100'' is installed in the space inside the lighting member 106,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interlayer noise reduction device 100'' from being exposed to the outside, and at the same time, the upper floor plate ( Even if the vibration applied to 102) is transmitted to the lower ceiling 104,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prevent noise from being generated to the lower floor by the transmitted vibration.

참고로, 도 1 내지 도 7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층간소음 저감장치(100, 100', 100'')가 위층 바닥판(102)이나 아래층 천정(104)에 설치되지 않고, 아래층 천정(104)과 수직하게 접하는 아래층의 벽면에 설치될 수도 있다. For reference, although not shown in FIGS. 1 to 7, inter-floor noise reduction devices 100, 100 ′, 100 ″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installed on the upper floor plate 102 or the lower ceiling 104 It may be installed on the wall of the lower floor in vertical contact with the lower ceiling 104.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층간소음 저감장치(100, 100', 100'')는 진동이 발생되는 구조물의 위층 바닥판, 아래층 천정(104)은 물론이고 벽면에도 설치할 수 있고, 그에 따라 위층에서 발생한 진동이 아래층으로 전달되어 소음을 발생시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Accordingly, the inter-floor noise reduction apparatus 100, 100 ′, 100 ″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nstalled on the wall as well as the upper floor plate and the lower ceiling 104 of the structure where vibration is generated,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vibration generated in the upper floor from being transmitted to the lower floor and generating noise.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As described above, in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specific matters such as specific components, etc., and limited embodiments and drawings have been described, but this is only provided to help a more general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based on the above embodiments. It is not limited, and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are possible from these descriptions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Accordingly,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limited to the described embodiments and should not be defined, and all things equivalent or equivalent to the claims as well as the claims to be described later belong to the scope of the inventive concept.

100, 100', 100'': 층간소음 저감장치
102: 위층 바닥판
104: 아래층 천정
106: 조명부재
110: 지지부
120: 지지보
130: 중량부
100, 100', 100'': interfloor noise reduction device
102: upper floor plate
104: ceiling downstairs
106: lighting member
110: support
120: support
130: parts by weight

Claims (11)

구조물의 위층 바닥판 또는 아래층의 천정 중 어느 한쪽에 마련되거나 상기 바닥판과 상기 천정의 사이 공간에 마련되는 지지부;
상기 지지부와 결합되며, 상기 지지부를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마련되는 복수개의 지지보; 및
상기 복수개의 지지보의 양단부에 각각 설치되는 복수개의 중량부;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개의 지지보는 상기 지지부를 중심으로 어느 한 방향을 따라 상기 지지부에서부터 일단까지의 길이가 선형적으로 증가하거나 감소하도록 마련되고,
상기 복수개의 중량부는 상기 지지부를 중심으로 어느 한 방향을 따라 중량이 선형적으로 증가하거나 감소하도록 상기 복수개의 지지보의 양단부에 마련되며,
상기 복수개의 지지보 및 상기 복수개의 중량부는 상기 구조물의 위층 바닥판 또는 아래층의 천정에서부터 동일한 높이에 위치하도록 마련되어, 상기 바닥판에 가해지는 진동의 세기 또는 진동의 위치에 무관하게 상기 바닥판에 가해진 진동을 저감하거나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간소음 저감장치.
A support part provided on one of the upper floor plate of the structure or the lower floor ceiling, or provided in a space between the floor plate and the ceiling;
A plurality of support beams coupled to the support portion and provided radially around the support portion; And
Includes; a plurality of weight parts respectively installed at both ends of the plurality of support beams,
The plurality of support beams are provided to linearly increase or decrease in length from the support part to one end along any one direction around the support part,
The plurality of weight portions are provided at both ends of the plurality of support beams such that the weight linearly increases or decreases in any one direction around the support portion,
The plurality of support beams and the plurality of weight parts are provided to be located at the same height from the upper floor plate of the structure or the ceiling of the lower floor, and applied to the floor plate regardless of the intensity of vibration applied to the floor plate or the position of the vibration. Interlayer noise reduc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o reduce or control vibra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지지보 및 상기 복수개의 중량부는 상기 바닥판에 가해지는 진동을 저감시키는 댐퍼의 기능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간소음 저감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plurality of support beams and the plurality of weight portions have a function of a damper for reducing vibration applied to the floor pla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중량부는, 상기 바닥판에 가해지는 진동의 세기 또는 진동의 위치와 무관하게 진동을 저감시키거나 제어하도록 상기 복수개의 중량부의 중량을 달리하여 상기 복수개의 지지보의 양단부에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간소음 저감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plurality of weight portions are provided at both ends of the plurality of support beams by varying the weights of the plurality of weight portions to reduce or control the vibration regardless of the intensity of the vibration applied to the floor plate or the position of the vibration. Floor noise reduction device.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지지보는 서로 다른 스프링 상수를 가지도록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간소음 저감장치.
The method of claim 3,
The interlayer noise reduc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plurality of support beams are provided to have different spring constants.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지지보는, 상기 지지부를 중심으로 어느 한 방향을 따라 스프링 상수가 선형적으로 증가하거나 감소하도록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간소음 저감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plurality of support beams, interlayer noise reduc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provided to linearly increase or decrease the spring constant along any one direction around the support.
제1항 내지 제4항 및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의 일단부는 상기 바닥판의 하단면에 결합되고 상기 지지부의 타단부는 상기 천정 쪽으로 매달린 상태로 마련되며,
상기 복수개의 지지보는 상기 지지부의 타단부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간소음 저감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4 and 8,
One end of the support part is coupled to the lower end of the bottom plate, and the other end of the support part is provided in a state suspended toward the ceiling,
The interlayer noise reduc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plurality of support beams are coupled to the other end of the support.
제1항 내지 제4항 및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의 일단부는 상기 천정의 하단면에 결합되고 상기 지지부의 타단부는 상기 천정에서부터 하방으로 매달린 상태로 마련되며,
상기 복수개의 지지보는 상기 지지부의 타단부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간소음 저감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4 and 8,
One end of the support part is coupled to the lower end of the ceiling, and the other end of the support part is provided in a state suspended downward from the ceiling,
The interlayer noise reduc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plurality of support beams are coupled to the other end of the support.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 상기 복수개의 지지보 및 상기 복수개의 중량부는 상기 천정의 하면에 마련된 조명부재의 내부에 마련되거나 상기 조명부재와 일체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간소음 저감장치.
The method of claim 10,
The support part, the plurality of support beams, and the plurality of weight parts are provided inside a lighting member provided on a lower surface of the ceiling or integrally provided with the lighting member.
KR1020190046333A 2019-04-19 2019-04-19 Apparatus for reducing noise between floors KR10219918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6333A KR102199187B1 (en) 2019-04-19 2019-04-19 Apparatus for reducing noise between floor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6333A KR102199187B1 (en) 2019-04-19 2019-04-19 Apparatus for reducing noise between floor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3363A KR20200123363A (en) 2020-10-29
KR102199187B1 true KR102199187B1 (en) 2021-01-07

Family

ID=731294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46333A KR102199187B1 (en) 2019-04-19 2019-04-19 Apparatus for reducing noise between floor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99187B1 (en)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124835B2 (en) * 1995-10-27 2008-07-23 一登 背戸 Design method of multiple dynamic vibration absorber
KR101058440B1 (en) * 2008-12-22 2011-08-24 조상규 Spacer having vibration reducing tool
KR20170054963A (en) * 2015-11-10 2017-05-18 윤진성 Interlayer noise reduction device using a concurrently generating offset vibr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3363A (en) 2020-10-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45376B1 (en) Structure for excluding the interlayer noise of anapartment house
KR101723976B1 (en) Building having double slave
US9567742B2 (en) Acoustic damping building material
KR101509586B1 (en) Noise Insulation Heating Device having Double Flooring Structure
KR101482983B1 (en) Apparatus for decreasing floor impact sound of building 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 for the same
KR20090011998U (en) Sound-proof Material Using in Structured Spring on Floors
KR102199187B1 (en) Apparatus for reducing noise between floors
KR102028754B1 (en) Floor 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 for prevention of inter-floor noise
KR101488443B1 (en) Vibration absorbing device for reducing inter layer noise and floor structure using the same
KR101994131B1 (en) Structure for reducing noise between floors in apartment house
KR101424593B1 (en) Floor space noise prevention structure for apart and thereof
KR101953900B1 (en) Structure for preventing noise in floor
JP2006070494A (en) Floor structure
KR20200018884A (en) A Study on the Construction Method of Floor Noise Floor Panels in Residential Buildings and its Construction Method.
KR102275307B1 (en) Ceiling structure for preventing noise between floors
JP2015163759A (en) Sound insulation structure of double floor and ceiling, and building having the same
JP2006077517A (en) Ceiling structure
KR100705845B1 (en) Double Slab Structure of Building
KR102223415B1 (en) Ceiling corner bass trap for reduction of floor impact sound
KR101642320B1 (en) Floors apparatus of an apartment house using impact sound insulating material
KR102217494B1 (en) Floor construction method to reduce floor noise
KR20190031823A (en) Sound-absorbing panels for interlayer noise
KR102245920B1 (en) panel assembly for preventing noise
KR102555427B1 (en) Floor buffer structure provided with a buffer plate with improved support
KR102216466B1 (en) Building having a floor noise prevention structu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