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99165B1 - Smart living platform system for disabled child and family thereof - Google Patents

Smart living platform system for disabled child and family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99165B1
KR102199165B1 KR1020180170405A KR20180170405A KR102199165B1 KR 102199165 B1 KR102199165 B1 KR 102199165B1 KR 1020180170405 A KR1020180170405 A KR 1020180170405A KR 20180170405 A KR20180170405 A KR 20180170405A KR 102199165 B1 KR102199165 B1 KR 1021991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ildren
service
disabilities
provides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7040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00080693A (en
Inventor
이세환
박지영
Original Assignee
제이에스씨(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이에스씨(주) filed Critical 제이에스씨(주)
Priority to KR10201801704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99165B1/en
Publication of KR202000806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8069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991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9916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2Social work or social welfare, e.g. community support activities or counselling 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5/00Digital computers in general; Data processing equipment in general
    • G06F15/16Combinations of two or more digital computers each having at least an arithmetic unit, a program unit and a register, e.g. for a simultaneous processing of several progra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5Retrieval from the web
    • G06F16/953Querying, e.g. by the use of web search engines
    • G06F16/9537Spatial or temporal dependent retrieval, e.g. spatiotemporal queri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장애 아동의 건강 상태에 따른 서비스 개요, 목적, 내용, 이용방법, 연락처, 지역을 포함하는 장애 아동 관련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데이터베이스, 입력된 검색조건에 따라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는 장애 아동 관련 정보를 검색하고, 검색된 해당 장애 아동의 인지수준 및 건강요구 영역과 사회경제적 상황의 조건에 따른 건강서비스 정보를 제공하는 네비게이터 서비스와, 장애 아동의 인지수준 및 건강요구 영역과 사회경제적 상황의 조건에 따른 VR(Virtual Reality) 체험을 제공하는 스마트 돌봄 서비스를 제공하는 통합 서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장애 아동의 양육, 치료 및 재활 과정에 도움을 줄 수 있고, 그 가족의 어려움을 경감시키고, 삶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is a database storing information related to a disabled child including service overview, purpose, content, usage method, contact information, and area according to the health status of a disabled child, and a disabled child stored in the database according to an input search condition. A navigator service that searches related information and provides health service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searched cognitive level and health demand area of the child with a disability and conditions of socio-economic situation, and the cognitive level and health demand area of the child with a disability and conditions of socio-economic situation It includes an integrated server that provides a smart care service that provides VR (Virtual Reality) experience according to.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n effect that it can help in the process of raising, treatment and rehabilitation of a child with a disability, alleviating the difficulties of the family, and improving the quality of life.

Figure 112018130925306-pat00001
Figure 112018130925306-pat00001

Description

장애 아동과 그 가족을 위한 스마트 리빙 서비스 플랫폼 시스템 {Smart living platform system for disabled child and family thereof} Smart living platform system for disabled children and their families {Smart living platform system for disabled child and family thereof}

본 발명은 장애 아동과 그 가족을 위한 스마트 서비스 플랫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장애 아동과 그 가족을 위한 맞춤형 건강, 돌봄(care) 서비스를 제공하는 플랫폼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mart service platform for disabled children and their families, and more particularly, to a platform that provides customized health and care services for disabled children and their families.

스마트 리빙(Smart living)은 통합적인 ICT(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를 활용하여 집이나 집밖의 공간에서의 일상생활을 연계해 나가는 것을 말하며, 우리의 가정과 지역사회의 통합적인 설계로 볼 수 있다. 스마트 리빙은 기술과 인문학의 통합으로서, 음식, 의약품, 주거, 교육 및 엔터테인먼트 같은 일상생활의 필수요소들을 얻을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것을 포함하여 혁신적인 정보통신기술(ICT)을 인간 생활의 모든 측면에서 제공하고자 하는 것을 말한다.Smart living refers to connecting daily life at home or outside the home by utilizing integrated ICT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and can be viewed as an integrated design of our home and community. Smart Living is an integration of technology and humanities, aiming to provide innovativ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in all aspects of human life, including helping to obtain essential elements of everyday life such as food, medicine, housing, education and entertainment. Say what to do.

스마트 리빙 서비스는 사물인터넷(IoT: Internet of Things)과 관련이 있으며, 사물인터넷은 표준화된 프로토콜을 기반으로, 고유한 방법으로 도입될 수 있는, 상호연결된 사물들간의 전세계적 네트워크(연계망)라고 할 수 있다. Smart living service is related to the Internet of Things (IoT), and the Internet of Things is based on a standardized protocol and can be introduced in a unique way, and is called a worldwide network (connected network) between interconnected things. I can.

스마트 서비스는 인터넷에 연결된 사물을 통해 수집된 데이터를 분석, 활용하여 고객의 요구에 맞춤형으로 제공하는 지능형 서비스를 의미한다. EU에서는 향후 IoT가 창출하는 시장의 49%를, 서비스와 솔류션이 차지할 것으로 추정하며, 이러한 서비스를 통칭하여 스마트 서비스 또는 서비스인터넷(Internet of Services)이라고 부른다. Smart service refers to an intelligent service that analyzes and utilizes data collected through objects connected to the Internet to provide customized services to customer needs. In the EU, it is estimated that 49% of the future IoT-created market will be occupied by services and solutions, and these services are collectively referred to as smart services or Internet of Services.

우리나라는 「서비스 R&D 추진 종합계획(`12)」을 추진하는 등 첨단 서비스 산업에 투자하고 있으나, 양적 확대에 비해 스마트서비스 지원 전략이 체계적이지 못하여 한계가 있다. 사물인터넷을 통하여 초연결사회를 이루기 위해서는, 사물인터넷의 기반 구축과 더불어 스마트서비스 분야의 적극적인 육성의 필요성을 전문가들이 제기하고 있는데, 그 중에서도 다양한 분야가 융합되고 상호 호환할 수 있는 개방형 스마트서비스 플랫폼 개발을 가장 중요한 우선과제로 제기하고 여기에 공공 분야의 역할이 중요함을 강조하고 있다. Korea is investing in the high-tech service industry, such as promoting the “Comprehensive Service R&D Promotion Plan” ('12), but compared to quantitative expansion, the smart service support strategy is not systematic, so there is a limit. In order to achieve a hyper-connected society through the IoT, experts are raising the necessity of actively fostering the smart service field as well as building the foundation of the Internet of Things. Is raised as the most important priority and emphasizes the importance of the role of the public sector.

스마트 헬스케어는 정보통신기술을 활용해 시간·장소의 제약 없이 개인별 건강상태 관리와 맞춤형 의료를 시행하는 서비스나 환경을 의미하며, 개인의 건강과 의료에 관한 정보, 기기, 시스템, 플랫폼을 다루는 산업분야로서 건강관련서비스와 의료IT가 융합된 분야로 개인맞춤형 건강관리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Smart healthcare refers to a service or environment that manages individual health conditions and conducts customized medical care without time and place constraints using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and an industry that deals with information, devices, systems, and platforms related to personal health and medical care. As a field, it aims to provide personalized health care services in a field where health-related services and medical IT are converged.

스마트헬스에 대한 우리나라의 현 정책은 전체적으로 ICT의 지원을 통해 건강문제를 가진 대상자를 모니터링하고 통합된 질병정보를 분석해서 대상자에 적합한 맞춤형 서비스를 찾아낼 수 있는 의사결정 지원 시스템 구축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다. 즉, 전문적인 의료서비스 향상에 목적을 두고 있어서 ICT 활용을 통한 국민의 일상 삶의 고통경감이나 문제해결에까지 스마트 리빙을 구현하고 있지는 못한 실정이다. Korea's current policy on smart health focuses on establishing a decision support system that can monitor targets with health problems through the support of ICT and analyze integrated disease information to find customized services suitable for the target. have. In other words, since it aims to improve professional medical services, it is not possible to implement smart living to reduce pain or solve problems in people's daily lives through the use of ICT.

리빙랩(Living Lab)은 사용자들이 연구혁신의 대상이 아니라 연구혁신 활동의 주체로 기능하는 '사용자 참여형 혁신공간'으로서, 실제 생활 현장에서의 시험 및 실증 강조하는데 기반을 두고 발전하고 있으며, 최근에는 거버넌스, 지속가능성 제고를 위한 수단으로 그 의미가 확장되어 사용되고 있다. Living Lab is a'user participatory innovation space' that functions as a subject of research innovation activities, rather than the subject of research innovation, and is developing based on emphasizing tests and demonstrations in real life. Its meaning has been expanded and used as a means to improve governance and sustainability.

리빙랩은 PPP(Public-Private-People Partnership)을 기반으로 협력관계에 사용자가 포함됨으로써 사용자의 요구도를 파악하여 혁신과정에 반영함으로써 문제해결력과 사회적 가치를 증대시킬 수 있다. Living Lab can increase problem-solving power and social value by identifying users' needs and reflecting them in the innovation process by including users in the partnership based on PPP (Public-Private-People Partnership).

한편, 광의의 개념에서 발달장애 아동이란 선천적 또는 발달하고 있는 대뇌에 발생된 비진행성 뇌 손상으로 인하여 초래되는 지능 및 운동 발달장애, 언어발달장애, 시각, 청각 등의 감각 기능장애, 기타 학습장애 등이 나타나는 아동을 포괄적으로 지칭하는 개념이다. On the other hand,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in the broader conception are intellectual and motor development disorders caused by non-progressive brain damage in the congenital or developing cerebrum, language development disorders, sensory dysfunction such as vision, hearing, and other learning disorders. Is a concept that generically refers to the child who appears.

“장애인복지법” 제2조에 의하면, 장애인이란 “신체적정신적 장애로 오랫동안 일상생활이나 사회생활에서 상당한 제약을 받은자”를 말하는 것으로, 여기서 '신체적 장애'라 함은 주요 외부 신체기능의 장애, 내부기관의 장애 등을 말하는 것이고, '정신적 장애'라 함은 발달장애 또는 정신질환으로 발생하는 장애를 말한다. 또한, “장애인복지법”에서는 15개의 장애유형을 분류하고 있다. According to Article 2 of the “Disabled Welfare Act”, a person with a disability refers to a person who has been severely restricted in daily life or social life for a long time due to a physical or mental disorder. Here, the term “physical disability” refers to a disorder of major external physical functions and internal organs. 'Mental disorder' refers to a disorder caused by a developmental disorder or mental illness. In addition, 15 types of disability are classified in the “Welfare Act for the Disabled”.

2016년 12월 기준으로 보건복지부에서 확인된 전국 소아청소년 장애아동 수는 80,854명이었으며, 1급 장애아동은 23,435(29.0%), 2급 장애아동은 23,942명(29.6%), 3급 장애아동은 22,903명(28.3%), 4급 장애아동은 3,647명(4.5%), 5급 장애아동은 3,394명(4.2%), 6급 장애아동은 3,533명(4.4%)으로 확인된다. As of December 2016, the number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in children and adolescents nationwide identified by the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was 80,854, 23,435 (29.0%)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in class 1, 23,942 (29.6%) children with disabilities in class 2, and children with disabilities in class 3 There were 22,903 (28.3%), 3,647 (4.5%) children with class 4 disabilities, 3,394 (4.2%) children with class 5 disabilities, and 3,533 (4.4%) children with class 6 disabilities.

장애아동과 가족의 삶의 질은 이전부터 논의되어 왔으나, 많은 노력에도 불구하고 삶의 질이 많이 향상되지 못하였으며, 사회적 고립감에 대한 문제제기가 상당히 높은 상태이다. 장애아동은 스스로 목소리를 내기 어렵기 때문에 장애아동 가족이 온전히 책임을 도맡게 되며, 사회적으로 소수집단이기 때문에 더욱 더 사각지대로 몰리게 된다. 사회적 고립감은 지속적으로 보고되고 있는 현상으로 개별 가족의 사회적 생태체계의 제한점 때문에 다양한 자원의 접근성이 떨어지고 있다.The quality of life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and their families has been discussed for a long time, but despite a lot of efforts, the quality of life has not improved much, and concerns about social isolation are quite high. Because children with disabilities cannot speak out on their own, the family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takes full responsibility, and because they are socially minority groups, they are increasingly driven into blind spots. Social isolation is a continuously reported phenomenon, and access to various resources is decreasing due to the limitations of the social ecological system of individual families.

전문가들은 현재 장애아동과 부모의 어려움에 대해 전 국민적으로 장애에 대한 문화개선 노력이 미흡하고, 특히 일선교사의 장애학생을 돌보는 역량이 부족한 것, 장애아가 장애가 없는 아동들과 함께 지낼 수 있는 시설과 지원인력 등이 부재한 것 등을 주요 장애물로 제기한다. 또한 장애아와 그 가족이 사회구성원으로 행복하게 살고 있는지에 대한 지속적인 감시체계가 필요하고, 장애아동 및 가족을 위한 통합프로그램을 마련하는 것, 이를 통해 장애아동 및 가족의 삶의 정상화(normalization)를 증진시키는 것이 국가적 과제임을 지적하고 있다.Experts are concerned about the difficultie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and their parents, and the efforts to improve the culture of disabilities are insufficient across the country, and in particular, the lack of capacity of missionaries to care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facilities and facilities for disabled children to live with children without disabilities. The absence of support personnel, etc., is raised as a major obstacle. In addition, there is a need for a continuous monitoring system for whether children with disabilities and their families live happily as members of society, and to prepare an integrated program for children with disabilities and their families, thereby promoting the normalization of the live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and their families. It points out that this is a national task.

최적의 지원은 대상자의 요구에 가장 적합한 자원을 대상자가 연결해서 이용할 수 있게 돕는 것이다. 장애아동과 가족의 고충에 대한 선행보고에서 공통적으로 제기되는 사회, 정서적 고립 및 자원고갈, 이로 인한 무거운 질병부담 등에 대해 적극적이고도 직접적인 문제해결전략이 필요하다. 취약아동과 부모가 지역사회 자원에 접근하는 것이 제한적이고 이로 인해 자원의 활용이 원활하지 못한데, 여기에는 건강관리자들이 활용 가능한 공공 및 민간 자원을 효율적으로 연계할 수 있는 플랫폼이 부재한 것이 원인이라고 할 수 있다. Optimal support is to help the subject connect and use the resources that best suit their needs. An active and direct problem-solving strategy is needed for social, emotional isolation, resource depletion, and the heavy burden of diseases that are commonly raised in previous reports on the grievance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and their families. Access to community resources is limited by vulnerable children and parents, and this makes the use of resources difficult. This is attributed to the lack of a platform to efficiently link public and private resources available to health managers. I can.

사회적 자원의 원활한 지원은 장애아동과 가족의 심리 및 정서적 양육 부담감을 감소시키고, 스트레스를 감소시켜 가족 구성원의 적응유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사회적 자원은 가족탄력성에 영향을 주며 긍정적 가족탄력성은 문제해결능력 향상에 영향을 미친다. 더 나아가 가족의 삶의 질 또한 향상시킬 수 있다. 따라서 장애아동과 가족의 사회적 자원에 대한 접근성을 향상시키는 것은 힘든 상황에 대한 가족의 적응을 돕고 가족탄력성을 향상시키며 가족기능의 정상화(normalization)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볼 수 있다. The smooth support of social resources can reduce the psychological and emotional burden of raising children and their families with disabilities, reduce stress, and improve the adaptability of family members. In addition, social resources affect family resilience, and positive family resilience affects improvement of problem-solving ability. Furthermore, it can also improve the quality of life of the family. Therefore, it can be seen that improving the accessibility of children and their families to social resources helps the family to adapt to difficult situations, improves family resilience, and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normalization of family functions.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887204Korean Patent Registration 10-1887204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장애 아동 및 그 가족의 스마트 리빙 서비스 플랫폼의 구현을 위해, 리빙랩을 구축하고, 기획 및 개발, 검증, 적용, 확산의 전 과정에 장애아동 및 가족과 의료진 및 서비스 제공자, ICT 서비스 개발자, 지역사회 자원 관련 공공기관 등이 리빙랩의 구성원으로 지속적인 변화 및 혁신을 통해 실효성 있는 스마트 리빙 서비스 플랫폼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was devi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to implement a smart living service platform for children with disabilities and their families, a living lab was established, and obstacles to the entire process of planning and development, verification, application, and spread The aim is to provide a smart living service platform system that is effective through continuous change and innovation as members of Living Lab, including children and families, medical staff and service providers, ICT service developers, and public organizations related to community resources.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object, and other object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장애 아동과 그 가족을 위한 스마트 리빙 서비스 플랫폼 시스템에서, 장애 아동의 건강 상태에 따른 서비스 개요, 목적, 내용, 이용방법, 연락처, 지역을 포함하는 장애 아동 관련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데이터베이스, 입력된 검색조건에 따라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는 장애 아동 관련 정보를 검색하고, 검색된 해당 장애 아동의 인지수준 및 건강요구 영역과 사회경제적 상황의 조건에 따른 건강서비스 정보를 제공하는 네비게이터 서비스와, 장애 아동의 인지수준 및 건강요구 영역과 사회경제적 상황의 조건에 따른 VR(Virtual Reality) 체험을 제공하는 스마트 돌봄 서비스를 제공하는 통합 서버, 사용자의 머리에 착용되어 VR 화면이 디스플레이되며, 사용자의 손 동작을 인식하기 위한 손 동작 인식 센서를 포함하는 HMD(Head mounted Display), 사용자의 몸 동작을 인식하기 위한 몸 동작 인식 센서, 상기 HMD와 통신하며, 상기 HMD에 VR 화면을 제공하되, VR 화면을 통해 상기 통합 서버의 스마트 돌봄 서비스에 해당하는 컨텐츠를 제공하고, 상기 손 동작 인식 센서로부터 인식된 사용자의 손 동작과 상기 몸 동작 인식 센서로부터 인식된 사용자의 몸 동작을 반영하여 인터랙션이 가능한 컨텐츠를 제공하는 컨텐츠 제공 컴퓨터 및 사용자가 사용하는 단말로서, 네비게이터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하여, 장애 아동 관련 정보를 입력하여 상기 통합 서버에 전송하는 사용자 단말을 포함한다. In the smart living service platform system for children with disabilities and their famili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o achieve such an object, services related to disabled children including service overview, purpose, content, usage method, contact information, and region according to the health status of disabled children A database storing information, searches for information on children with disabilities stored in the database according to the entered search conditions, and provides information on health services in accordance with the searched conditions of the child's cognitive level and health needs and socio-economic conditions. An integrated server that provides a navigator service provided, a smart care service that provides VR (Virtual Reality) experience according to the cognitive level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and health demand areas and conditions of socio-economic conditions, and a VR screen worn on the user's head. A head mounted display (HMD) including a hand motion recognition sensor for recognizing a user's hand motion, a body motion recognition sensor for recognizing a user's body motion, and communicating with the HMD, and displaying a VR screen on the HMD. However, by providing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smart care service of the integrated server through a VR screen, and reflecting the user's hand motion recognized by the hand motion recognition sensor and the user's body motion recognized from the body motion recognition sensor. A content providing computer that provides interactive content and a terminal used by a user, and includes a user terminal that inputs information related to a child with a disability and transmits it to the integrated server in order to use a navigator service.

상기 사용자 단말은 데스크탑 PC, 랩탑 PC, 스마트폰, 태블릿 PC를 포함하며, 상기 통합 서버는 상기 사용자 단말의 디스플레이 환경에 따라 해상도, 레이아웃, 화면의 크기가 자동으로 최적화되도록 조절되는 반응형 웹(responsive web)을 지원할 수 있다. The user terminal includes a desktop PC, a laptop PC, a smartphone, and a tablet PC, and the integrated server is a responsive web that adjusts to automatically optimize the resolution, layout, and screen size according to the display environment of the user terminal. web).

상기 통합 서버는 네비게이터 서비스를 제공함에 있어서, 장애 아동의 지원분류체계 기반하여 입력받은 조건에 따른 건강서비스 정보를 제공하고, 사용자 단말의 위치를 기반으로 주변의 장애아동 지원시설의 위치 및 연락처를 포함하는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In providing the navigator service, the integrated server provides health service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conditions received based on the support classification system for children with disabilities, and includes the location and contact information of nearby disabled children support facilities based on the location of the user terminal. Can provide information to

상기 통합 서버는 상기 스마트 돌봄 서비스를 제공함에 있어서, 장애 아동이 주인공이 되어 학습하는 장애 아동을 위한 VR 체험형 컨텐츠와, 장애 아동 가족의 심리 안정을 위한 명상을 포함하는 VR 힐링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In providing the smart care service, the integrated server may provide VR experience-type content for disabled children who learn as the main characters of disabled children, and VR healing content including meditation for psychological stability of families of disabled children. have.

본 발명에 의하면, 장애아동과 그 가족을 위한 스마트 리빙 서비스 플랫폼을 제공함으로써, 장애 아동의 양육, 치료 및 재활 과정에 도움을 줄 수 있고, 그 가족의 어려움을 경감시키고, 삶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providing a smart living service platform for children with disabilities and their families, it is possible to help children with disabilities in the process of raising, treating and rehabilitation, alleviating the difficulties of their families, and improving the quality of life. There is an effect that you can.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애 아동과 그 가족을 위한 스마트 리빙 서비스 플랫폼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애 아동과 그 가족을 위한 스마트 리빙 서비스 플랫폼의 개념을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애 아동과 그 가족을 위한 스마트 리빙 서비스 플랫폼의 리빙랩 구축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리빙 서비스 플랫폼 시스템에서 네비게이터 서비스의 진행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리빙 서비스 플랫폼 시스템에서 웹 사이트의 구조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리빙 서비스 플랫폼 시스템에서 관리자 용 웹 사이트 구조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리빙 서비스 플랫폼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웹 사이트의 초기 화면예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리빙 서비스 플랫폼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웹 사이트의 초기 화면의 시안을 도시한 것이다.
도 10 내지 도 6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리빙 서비스 플랫폼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웹 사이트의 화면예이다.
1 and 2 schematically show the configuration of a smart living service platform system for disabled children and their famili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llustrates the concept of a smart living service platform for disabled children and their famili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constructing a living lab of a smart living service platform for children with disabilities and their famili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navigator service process in a smart living service platform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structural diagram of a web site in a smart living service platform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structural diagram of a web site for an administrator in a smart living service platform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n initial screen example of a web site provided by a smart living service platform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schematic diagram of an initial screen of a web site provided by a smart living service platform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to 63 are screen examples of web sites provided by the smart living service platform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and various embodiments may be provided, and specific embodiments will b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However,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o a specific embodiment, it is to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changes, equivalents, and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terms us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are only used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In the present application, terms such as "comprise" or "have" are intended to designate the presence of features, numbers, steps, ac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but one or more other feature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ce or addition of elements or numbers, steps, ac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does not preclude in advance.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갖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갖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Unless otherwise defined,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Terms as defined in a commonly used dictionary should be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meaning in the context of the related technology, and should not be interpreted as an ideal or excessively formal meaning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is application. Does not.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In addition, in the description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assigned to the same components regardless of the reference numerals, and redundant descriptions thereof will be omitted.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related known technologies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본 발명은 장애 아동과 그 가족을 위한 스마트 리빙 서비스 플랫폼 시스템에 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mart living service platform system for disabled children and their families.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애 아동과 그 가족을 위한 스마트 리빙 서비스 플랫폼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1 and 2 schematically show the configuration of a smart living service platform system for disabled children and their famili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스마트 리빙 서비스 플랫폼 시스템은 HMD(Head mounted Display)(100), 몸 동작 인식 센서(310, 320), 컨텐츠 제공 컴퓨터(200), 사용자 단말(410, 420), 통합 서버(500), 데이터베이스(database)(510)를 포함한다. 1 and 2, the smart living service platform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ead mounted display (HMD) 100, a body motion recognition sensor 310, 320, a content providing computer 200, a user terminal 410, 420), the integration server 500, and a database (database) 510.

도 2에서 HMD(100), 몸 동작 인식 센서(310, 320), 컨텐츠 제공 컴퓨터(200)가 장애 아동의 가정(10)에 구비된 실시예를 예시하고 있다. In FIG. 2, an HMD 100, body motion recognition sensors 310 and 320, and a content providing computer 200 are provided in the home 10 of a child with a disability.

HMD(100)는 사용자의 머리에 착용되어 VR 화면이 디스플레이되며, 사용자의 손 동작을 인식하기 위한 손 동작 인식 센서를 포함한다. The HMD 100 is worn on the user's head to display a VR screen, and includes a hand motion recognition sensor for recognizing the user's hand motion.

몸 동작 인식 센서(310, 320)는 사용자의 몸 동작을 인식하는 역할을 한다. 예를 들어, 몸 동작 인식 센서(310, 320)는 IR 깊이(depth) 센서, RGB 센서로 구현될 수 있다.The body motion recognition sensors 310 and 320 serve to recognize a user's body motion. For example, the body motion recognition sensors 310 and 320 may be implemented as an IR depth sensor or an RGB sensor.

컨텐츠 제공 컴퓨터(200)는 HMD(100)와 통신하며, HMD(100)에 VR 화면을 제공하되, VR 화면을 통해 통합 서버(500)의 스마트 돌봄 서비스에 해당하는 컨텐츠를 제공하고, 손 동작 인식 센서로부터 인식된 사용자의 손 동작과 몸 동작 인식 센서(310, 320)로부터 인식된 사용자의 몸 동작을 반영하여 인터랙션이 가능한 컨텐츠를 제공한다. The content providing computer 200 communicates with the HMD 100 and provides a VR screen to the HMD 100, but provides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smart care service of the integrated server 500 through the VR screen, and recognizes hand gestures. An interactive content is provided by reflecting the user's hand motion recognized by the sensor and the user's body motion recognized by the body motion recognition sensors 310 and 320.

사용자 단말(410, 420)은 사용자가 사용하는 단말로서, 네비게이터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하여, 장애 아동 관련 정보를 입력하여 통합 서버(500)에 전송하며, 통합 서버(500)로부터 장애 아동과 관련한 다양한 정보를 제공받아 디스플레이한다. 도 2의 실시예에서 사용자 단말은 스마트폰(410)과 데스크탑 PC(420)를 예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태블릿 PC, 랩탑 PC 등 다양한 단말이 사용될 수 있다. User terminals 410 and 420 are terminals used by users, and in order to use the navigator service, input information related to children with disabilities and transmit them to the integrated server 500, and various information related to children with disabilities from the integrated server 500 Is provided and displayed. In the embodiment of FIG. 2, the user terminal exemplifies a smartphone 410 and a desktop PC 420,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various terminals such as a tablet PC and a laptop PC may be used.

데이터베이스(510)는 장애 아동의 건강 상태에 따른 서비스 개요, 목적, 내용, 이용방법, 연락처, 지역을 포함하는 장애 아동 관련 정보를 저장하고 있다. The database 510 stores information related to a child with a disability, including service overview, purpose, content, usage method, contact information, and area according to the health condition of the child with a disability.

통합 서버(500)는 입력된 검색조건에 따라 데이터베이스(510)에 저장되어 있는 장애 아동 관련 정보를 검색하고, 검색된 해당 장애 아동의 인지수준 및 건강요구 영역과 사회경제적 상황의 조건에 따른 건강서비스 정보를 제공하는 네비게이터 서비스와, 장애 아동의 인지수준 및 건강요구 영역과 사회경제적 상황의 조건에 따른 VR(Virtual Reality) 체험을 제공한다.The integrated server 500 searches for information related to children with disabilities stored in the database 510 according to the input search conditions, and provides information on health services according to the searched conditions of the child's cognitive level and health needs and socio-economic conditions. It provides a navigator service that provides and provides VR (Virtual Reality) experience according to the conditions of the cognitive level and health need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and the socio-economic situa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 단말은 데스크탑 PC, 랩탑 PC, 스마트폰, 태블릿 PC를 포함하여 다양한 기기로 구현될 수 있다. 이때, 통합 서버(500)는 사용자 단말의 디스플레이 환경에 따라 해상도, 레이아웃, 화면의 크기가 자동으로 최적화되도록 조절되는 반응형 웹(responsive web)을 지원할 수 있다.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 terminal may be implemented with various devices including a desktop PC, a laptop PC, a smart phone, and a tablet PC. In this case, the integrated server 500 may support a responsive web in which the resolution, layout, and screen size are automatically optimized according to the display environment of the user terminal.

본 발명에서 통합 서버(500)는 네비게이터 서비스를 제공함에 있어서, 장애 아동의 지원분류체계 기반하여 입력받은 조건에 따른 건강서비스 정보를 제공하고, 사용자 단말(410, 420)의 위치를 기반으로 주변의 장애아동 지원시설의 위치 및 연락처를 포함하는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in providing the navigator service, the integrated server 500 provides health service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conditions received based on the support classification system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and based on the location of the user terminals 410 and 420 Information including the location and contact information of support facilities for children with disabilities can be provided.

그리고, 통합 서버(500)는 스마트 돌봄 서비스를 제공함에 있어서, 장애 아동이 주인공이 되어 학습하는 장애 아동을 위한 VR 체험형 컨텐츠와, 장애 아동 가족의 심리 안정을 위한 명상을 포함하는 VR 힐링 컨텐츠를 포함하여 다양한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In addition, in providing a smart care service, the integrated server 500 provides VR experience-type content for children with disabilities who learn as the protagonist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and VR healing content including meditation for psychological stability of familie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It can provide various contents including.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애 아동과 그 가족을 위한 스마트 리빙 서비스 플랫폼의 개념을 도시한 것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애 아동과 그 가족을 위한 스마트 리빙 서비스 플랫폼의 리빙랩 구축예를 도시한 것이다. 3 shows the concept of a smart living service platform for disabled children and their famili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4 is a smart living service for disabled children and their famili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shows an example of building a living lab of the platform.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장애 아동 및 그 가족의 스마트 리빙 서비스 플랫폼은 장애 아동과 그 가족을 위한 아동 건강 네비게이터와 스마트 돌봄 서비스로 구성된 플랫폼으로서, 장애아동 및 가족이 지역사회 서비스 자원을 효과적으로 제공받을 수 있는 스마트 서비스 플랫폼이다. 3 and 4, the smart living service platform for children with disabilities and their famili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platform composed of a child health navigator and smart care service for children with disabilities and their families. It is a smart service platform that can effectively receive resources.

본 발명에 의하면, 장애아동과 그 가족을 위한 서비스와 관련된 데이터베이스를 제공하고, 온라인 커뮤니티의 장을 마련하여 원활한 피드백을 기반으로 서비스 제공이 가능하며, VR 기반 다양한 체험서비스를 제공한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database related to services for children with disabilities and their families is provided, and services can be provided based on smooth feedback by providing an online community, and various VR-based experience services are provided.

본 발명에서 장애 아동 건강 네비게이터(Child Health Navigator) 서비스는 장애아동의 건강요구에 따른 서비스 개요 및 목적, 내용, 이용방법, 연락처, 지역 등에 대한 정보를 담은 데이터베이스로서, 장애아동의 인지수준 및 건강요구영역, 사회경제적 상황 등의 조건에 따라 유용가능한 건강서비스를 추출해서 세부 사항을 확인할 수 있는 서비스이다. 이 네비게이터 서비스를 통하여 장애아동과 가족을 위한 건강서비스 정보를 통합적으로 전달함으로써, 서비스 이용률을 높이고 건강관리 및 양육의 편의성이 증대될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hild Health Navigator service is a database that contains information on the service outline and purpose, content, usage method, contact information, region, etc. according to the health need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and the cognitive level and health need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It is a service that allows you to check the details by extracting useful health services according to conditions such as domain and socio-economic conditions. By integrating health service information for children with disabilities and their families through this navigator service, the service utilization rate can be increased, and the convenience of health management and parenting can be increased.

스마트 돌봄 서비스는 장애아동과 가족의 인지수준 및 건강요구영역과 사회경제적 상황 등의 조건에 따라 일상생활 속에서 다양한 서비스를 체험할 수 있도록 제공되는 서비스로서, 장애아동의 사회성 및 신체적 활동뿐만 아니라, 가족의 정서적 지지를 위해 제공되는 서비스이다. Smart care service is a service that is provided so that children with disabilities and their families can experience various services in their daily life according to conditions such as cognitive level, health demand area, and socio-economic situation, as well as social and physical activitie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It is a service provided for the emotional support of the family.

본 발명의 스마트 리빙 서비스 플랫폼 시스템의 주사용자는 장애아동과 부모, 의료진, 공공기관의 장애아동 및 가족 지원부서 담당자 등이다. 본 발명의 스마트 리빙 서비스 플랫폼 시스템을 통해 장애아동과 가족들의 상호작용을 활성화시키고 다양한 서비스에 대한 접근성을 증가시켜 치료 및 재활과정에 적극적인 주체로 참여할 수 있도록 도울 수 있고, 장애아동과 가족들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고 가족역동을 증가시킬 수 있다. The main users of the smart living service platform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children with disabilities, their parents, medical staff, and the person in charge of the support department for children with disabilities and families in public institutions. Through the smart living service platform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teraction between children with disabilities and their families can be activated, and access to various services can be increased to help them actively participate in the treatment and rehabilitation process. It can improve quality and increase family dynamics.

본 발명에서 스마트 리빙 서비스 플랫폼은 장애아동, 장애아동 부모, 재활병원 및 의료진, 관련 공공기관 등이 네트워크를 이뤄서, 서로 긴밀하게 정보를 주고받고 협력하는 구조이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mart living service platform is a structure in which children with disabilities, parent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rehabilitation hospitals and medical staff, and related public institutions form a network to closely exchange information and cooperate with each other.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리빙 서비스 플랫폼 시스템에서 네비게이터 서비스의 진행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5 is a diagram showing a progress of a navigator service in a smart living service platform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네비게이터 서비스는 장애아동의 인지수준 및 건강요구영역, 사회경제적 상황 등의 조건에 따라, 유용 가능한 건강서비스를 추출해서 세부 사항을 확인할 수 있는 데이터베이스 기반 스마트 검색 및 가장 적합한 정보를 통합적으로 전달함으로써, 서비스 이용률을 높이고 건강관리 및 양육의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Referring to FIG. 5, the navigator ser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database-based smart search and simulation that extracts and checks details of useful health services according to conditions such as cognitive level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health demand areas, and socio-economic conditions. By delivering appropriate information in an integrated manner, it is possible to increase service utilization and increase the convenience of health management and parenting.

본 발명의 네비게이터 서비스는 스마트폰, PC 등 다양한 디바이스 디스플레이 크기별 맞춤 GUI 구성을 제공할 수 있도록 HTML5 + CSS3 + Javascript 및 서버 개발언어를 사용하여 반응형 웹사이트를 제작한다. The navigator ser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creates a responsive website using HTML5 + CSS3 + Javascript and server development language to provide customized GUI configurations for various device display sizes such as smartphones and PCs.

그리고, 장애아동의 지원 분류체계(Taxonomy) 기반 다양한 조건에 최적화된 맞춤 정보를 사용자 친화적인 쉽고, 효과적인 방법으로 검색하여 제공한다. In addition, customized information optimized for various conditions based on a taxonomy for children with disabilities is searched and provided in a user-friendly, easy and effective way.

그리고, 사용자 단말 주변의 지원시설 위치를 간편하게 제공할 수 있도록 HTML5와 외부 지도 서비스의 GPS 추적정보 연계를 활용한 위치기반 검색 기능을 구현한다. In addition, it implements a location-based search function using HTML5 and GPS tracking information linkage of external map services to conveniently provide the location of support facilities around the user terminal.

이처럼, 본 발명에서는 장애아동의 건강요구에 따른 서비스 개요 및 목적, 내용, 이용방법, 연락처, 지역 등에 대한 정보를 담은 장애아동 건강 네비게이터(Child Health Navigator)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한다. As described above, in the present invention, a child health navigator database is constructed that contains information on the service outline and purpose, content, usage method, contact information, region, etc. according to the health need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본 발명의 스마트 돌봄(care) 서비스는 장애아동과 그 가족의 가장 큰 문제인 사회정서적 고립감과 정보접근의 취약성을 해결하고, 장애아동의 사회성 및 신체적 활동뿐만 아니라, 가족의 정서적 지지를 위해 첨단 ICT 기술을 활용한 VR 체험형 스마트 돌봄서비스 콘텐츠 및 온라인 커뮤니티 시스템을 제공한다. The smart care ser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solves the social and emotional isolation and vulnerability of information access, which are the biggest problem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and their families, and provides advanced ICT technology for the emotional support of the family as well as the social and physical activitie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It provides VR experience-type smart care service contents and online community system using

먼저, 장애아동을 위한 VR 체험형 스마트 돌봄 서비스 콘텐츠는 장애아동 본인이 가상현실의 주인공이 되어 즐겁게 학습하는'VR 체험형 콘텐츠'를 통해 사회적 상호작용, 인지발달, 신체발달이 가능한 실감형 스마트 돌봄 콘텐츠이다. 이 컨텐츠는 VR + 동작인식 + 장애아동 지원 프로그램 + 게이미피케이션(Gamification) + 인터랙션 융합 체험 콘텐츠로 구성된다. First, VR experience-type smart care service content for children with disabilities is a realistic smart care that enables social interaction, cognitive development, and physical development through'VR experience-type contents' where children with disabilities become the protagonists of virtual reality and learn happily. It's content. This content is composed of VR + motion recognition + support program for children with disabilities + gamification + interactive experience content.

예를 들어, 장애아동이 3D 입체 가상 콘텐츠에 직접 참여해서 친숙한 헬로카봇 캐릭터와 함께 상호 인터랙션하며 다양한 체험을 하는 장애아동 스마트 돌봄 서비스 콘텐츠가 있을 수 있고, TV모니터(또는 대형스크린)에 펼쳐진 3차원 가상현실 공간에 카메라에 비친 장애아동이 실사 인물로 등장하여 동화체험, 우주공간, 해외 유명 박물관, 유적지 등을 직접 가지 않고도 가상현실 속에서 체험할 수 있는 콘텐츠가 있을 수 있다. For example, there may be smart care service content for children with disabilities where children with disabilities directly participate in 3D stereoscopic virtual contents and interact with familiar Hello Carbot characters and experience various experiences, and there may be three-dimensional content on a TV monitor (or large screen). In the virtual reality space, a child with a disability reflected on a camera appears as a live-action person, and there may be contents that can be experienced in virtual reality without going to a fairy tale experience, outer space, famous overseas museums, and historical sites.

이처럼, 본 발명의 장애아동을 위한 VR 체험형 스마트 돌봄 서비스 콘텐츠는 단순히 읽고, 보고, 생각하는 전통적 돌봄 프로그램을 탈피하여, 현실에서 접할 수 없는 경험을 쉽고, 안전하고, 저렴하게 공간적 제약 없이 가정에서 체험할 수 있다. As such, the VR experience-type smart care service content for children with disabilities of the present invention breaks away from the traditional care program that simply reads, sees, and thinks, and provides an experience that cannot be encountered in reality easily, safely, and inexpensively at home without space constraints. You can experience it.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장애아동 가족의 심리안정을 위한 VR 힐링 콘텐츠를 제공한다. 이 컨텐츠는 모바일 VR HMD 기반 장애 가족(부모)의 심리안정을 위한 힐링 콘텐츠로서, VR Mindfulness(마음챙김, 명상, 컬러) 테라피와, 장애아동을 돌보느라 지친 가족이 잠시 돌봄의 부담에서 벗어나 가상현실 명상을 통해 심리안정을 할 수 있는 콘텐츠로 구성되어 있으며, 특화된 힐링 영상, 컬러, 음악, 나래이션으로 이루어진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VR healing contents for psychological stability of familie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This content is a mobile VR HMD-based healing content for psychological stability of disabled families (parents), VR Mindfulness (mindfulness, meditation, color) therapy, and virtual reality for families tired of caring for disabled children to escape from the burden of caring for a while. It is composed of contents that can stabilize the mind through meditation, and consists of specialized healing images, colors, music, and narration.

또한, 본 발명에서는 장애아동 및 가족을 위한 온라인 커뮤니티 서비스를 제공한다. 이를 위하여, 장애아동 및 가족의 심리정서 지원을 위한 온라인 채팅 시스템을 제공한다. 이러한 온라인 채팅 시스템을 통해 유사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장애아동 가족들의 공감대를 형성하고, 고민 상담을 위한 실시간 문자 채팅 환경을 제공할 수 있으며, 스마트 네비게이터 웹 서비스와 연동될 수 있다. 또한, 솔직한 대화 유도를 통해 외로움과 스트레스를 해소할 수 있도록 익명 기반 채팅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online community service for children with disabilities and their families. To this end, an online chat system is provided to support psychological and emotional support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and their families. Through such an online chat system, it is possible to form a consensus among familie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who are experiencing similar difficulties, provide a real-time text chat environment for counseling problems, and can be linked with a smart navigator web service. In addition, an anonymous-based chat function can be implemented to relieve loneliness and stress through inducing honest conversation.

본 발명에서는 장애아동의 VR 체험형 스마트 돌봄 콘텐츠 체험활동에 대한 온라인 모니터링 및 피드백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즉, 장애아동의 VR 콘텐츠 체험활동 결과를 부모와 병원(센터) 담당자가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피드백 정보를 제공하고, 축적된 DB 정보를 치료 자료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클라이언트 및 서버 간 통신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n online monitoring and feedback system for VR experience-type smart care content experience activitie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In other words, to provide feedback information so that parents and hospital (center) personnel can monitor the results of VR content experience activitie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and provide a communication environment between clients and servers so that accumulated DB information can be used as treatment data. I can.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리빙 서비스 플랫폼 시스템에서 웹 사이트의 구조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리빙 서비스 플랫폼 시스템에서 관리자 용 웹 사이트 구조도이다. 6 is a structural diagram of a web site in a smart living service platform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7 is a structural diagram of a web site for an administrator in a smart living service platform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에서 붉은 색 박스는 권한 체크가 필요한 페이지를 나타내고, 도 7의 관리자용 웹 사이트는 별도의 지정된 웹페이지로 주소로 접속한다. In FIG. 6, a red box indicates a page that requires permission check, and the administrator web site of FIG. 7 accesses a separate designated web page with an address.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리빙 서비스 플랫폼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웹 사이트의 초기 화면예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리빙 서비스 플랫폼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웹 사이트의 초기 화면의 시안을 도시한 것이다. 도 8 및 도 9의 실시예에서 로고부분인 SINVIE는 Smart Innovative Navigating Virtual Interactive Environment의 약자이다. 8 is an initial screen example of a web site provided by a smart living service platform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9 is an initial screen example of a web site provided by a smart living service platform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shows the draft of the screen. In the embodiments of FIGS. 8 and 9, SINVIE, which is a logo part, stands for Smart Innovative Navigating Virtual Interactive Environment.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웹 페이지의 초기 화면에서 “네비게이터”, “게시판”, “설문”, “채팅룸”, “로그인” 등의 파트로 구분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8 and 9, it can be seen that the initial screen of the web page provid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divided into parts such as "navigator", "bulletin board", "survey", "chat room", and "login". .

도 10 내지 도 6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리빙 서비스 플랫폼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웹 사이트의 화면예이다. 10 to 63 are screen examples of web sites provided by the smart living service platform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0은 회원 가입시 계정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화면예로서, “장애아동 가족”, “서비스 제공자(Service Provider)” 또는 “해당없음”으로 회원을 가입할 수 있으며, 선택한 계정 종류에 따라 입력해야하는 필수 정보, 선택 정보의 내용이 다르게 표시된다. Fig. 10 is an example of a screen for selecting an account when registering as a member. You can sign up for a member with "Family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Service Provider" or "None", and must be entered according to the selected account type. The contents of information and selection information are displayed differently.

도 11 내지 도 18은 회원 가입시 “장애아동 가족” 계정으로 선택한 경우의 추가 정보 입력란을 예시한 화면예이다. 11 to 18 are screen examples illustrating an additional information input field when a “family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account is selected when registering as a member.

도 11 내지 도 1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장애아동 가족” 계정으로 가입하는 경우, 아동 생년월일, 거주지역, 국적, 소득수준, 급여수급자 종류, 건강보험료, 재산수준, 아동 건강상태로서 장애 종별, 기능상태, 보조기기 사용여부, 보조기기 종류, 보조기기 사용기간, 가족형태, 부모 생년월일, 부모 장애여부, 거주형태, 보호자 부재 여부 등의 추가정보를 입력하는 화면이 제공된다. As shown in Figs. 11 to 18, when registering with a “family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account, the child's date of birth, residential area, nationality, income level, beneficiary type, health insurance premium, property level, and child health status by disability type and function A screen is provided for inputting additional information such as status, use of auxiliary equipment, type of auxiliary equipment, period of use of auxiliary equipment, family type, parent's date of birth, parental disability, type of residence, absence of a guardian.

도 19는 회원 가입시 “서비스 제공자” 계정으로 선택한 경우의 추가 정보 입력란을 예시한 화면예이다. 19 is a screen example illustrating an additional information input field when a “service provider” account is selected when registering as a member.

도 19를 참조하면, “서비스 제공자” 계정으로 가입하는 경우, 이름, 직책, 시설번호, 시설명, 시설구분, 시설 위치, 시설 전화번호 등의 추가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9, when signing up with a “service provider” account, additional information such as name, title, facility number, facility name, facility classification, facility location, and facility phone number may be input.

도 20 및 도 21은 네비게이터 메뉴에서 리스트 페이지 화면예이다. 20 and 21 are examples of list page screens in the navigator menu.

도 20 및 도 21에서 장애아동 지역사회 서비스 네비게이터 화면예가 표시되고, 입력된 조건에 맞는 관련 기관 정보를 표출한다. 이때 입력된 조건에 맞는 기관이 없으면, 해당하는 기관이 없음을 표시한다. In FIGS. 20 and 21, an example screen of a community service navigator for a child with a disability is displayed, and information of related organizations meeting the input conditions is displayed. At this time, if there is no institution that meets the input conditions, it indicates that there is no such institution.

도 22 내지 도 26은 네비게이터 메뉴에서 서비스 내용에 대한 검색 조건을 입력할 수 있는 페이지의 화면예이다. 22 to 26 are screen examples of pages in which a search condition for service content can be entered in a navigator menu.

도 22 내지 도 26을 참조하면, 네비게이터 메뉴에서 서비스 내용에 대해 다양한 항목별로 다양한 내용에 대한 체크박스가 있고, 분류항목 간에는 AND 검색이고, 항목 내의 체크박스 단위에서는 OR 검색으로 필터링 처리한다. Referring to FIGS. 22 to 26, there are check boxes for various contents according to various items for service contents in the navigator menu, and an AND search is performed between classification items, and an OR search is performed for filtering in the unit of check boxes within the items.

도 27 내지 도 34는 네비게이터 메뉴에서 서비스대상자를 검색하기 위한 검색조건 입력 페이지를 보여주는 화면예이다. 27 to 34 are screen examples showing a search condition input page for searching for a service target in a navigator menu.

도 27 내지 도 34를 참조하면, 서비스 대상자를 검색하기 위한 검색조건을 입력할 수 있으며, 이렇게 입력된 검색조건을 기반으로, 회원가입시 입력된 추가정보를 검색하게 된다. Referring to FIGS. 27 to 34, a search condition for searching for a service target may be input. Based on the input search condition, additional information input at the time of membership registration is searched.

도 35 내지 도 50은 네비게이터 메뉴에서 데이터 등록/수정 페이지의 화면예로서, 이 페이지에는 데이터 등록 권한이 있는 계정만 들어올 수 있다. 35 to 50 are screen examples of a data registration/edit page in the navigator menu, and only accounts with data registration authority can enter this page.

도 38 내지 도 42는 네비게이터 메뉴에서 서비스 내용에 대한 검색조건을 등록/수정할 수 있는 페이지의 화면예이다. 38 to 42 are screen examples of pages in which a search condition for service content can be registered/modified in a navigator menu.

그리고, 도 43 내지 도 50은 네비게이터 메뉴에서 서비스 대상자에 대한 검색조건을 등록/수정할 수 있는 페이지의 화면예이다. 43 to 50 are screen examples of pages in which a search condition for a service target can be registered/modified in a navigator menu.

도 51은 네비게이터 메뉴에서 데이터 등록/수정이 완료된 등록완료 화면예이다. 51 is an example of a registration completion screen in which data registration/modification is completed in a navigator menu.

도 52는 네비게이터 메뉴에서 항목상세 페이지의 화면예로서, 장애아동 지역사회 서비스 네비게이터의 내용이 표시되며, 서비스명, 등록자, URL, 주최, 해당지역, 후원, 목적, 대상, 서비스 장소, 비용, 서비스 제공기간, 신청절차, 비고, 연락처 등의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레이아웃이 마련되며, 정보를 수정하거나 삭제할 수 있는 버튼이 마련되어 있다. 52 is an example of a screen of the item detail page in the navigator menu, and the contents of the service navigator for the community service for children with disabilities are displayed, service name, registrant, URL, sponsor, corresponding region, sponsor, purpose, target, service location, cost, service A layout is provided for inputting information such as provision period, application procedure, remarks, and contact information, and a button for modifying or deleting information is provided.

도 53은 도 52의 화면예에서 데이터를 삭제하고자 하는 경우 삭제 확인을 위한 페이지 화면예이고, 도 54는 데이터 삭제 완료를 표시하는 화면예이다. 53 is a screen example of a page for confirming deletion when data is to be deleted in the screen example of FIG. 52, and FIG. 54 is an example of a screen displaying data deletion completion.

도 55는 채팅룸 메뉴에서 개설된 채팅룸 리스트를 보여주는 화면예이다. 55 is an example of a screen showing a list of chat rooms opened in a chat room menu.

도 55의 채팅룸 리스트에서 선택하여 채팅룸에 입장할 수 있는데, 채팅룸 이용권한이 없으면, 도 5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채팅룸 이용 권한이 없어서 입장할 수 없다는 내용이 표시된다.55 may be selected from the chat room list to enter the chat room. If there is no right to use the chat room, as shown in Fig. 56, a content indicating that the user cannot enter the chat room due to lack of permission is displayed.

또는, 도 55의 채팅룸 리스트에서 선택하여 입장한 채팅룸의 참여인원이 초과되면, 도 5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참여인원이 초과하여 입장할 수 없다는 메시지가 표시된다. Alternatively, when the number of participants in the chat room selected and entered from the chat room list of FIG. 55 is exceeded, a message indicating that the number of participants cannot be exceeded is displayed as shown in FIG. 57.

도 58은 채팅룸을 생성하기 위한 페이지의 화면예로서, 방제목을 입력하고 생성 버튼을 클릭하면, 채팅룸이 생성되고, 도 59는 채팅룸에 입장한 경우의 화면예이다. 58 is a screen example of a page for creating a chat room. When a room title is input and a create button is clicked, a chat room is created, and FIG. 59 is a screen example when entering a chat room.

도 60은 설문 메뉴에서 설문 리스트가 표시된 페이지의 화면예이다. 60 is a screen example of a page displaying a questionnaire list in a questionnaire menu.

도 61은 설문 메뉴에서 설문 리스트 중에서 진행 중이면서 참여하지 않은 설문을 선택하여 설문에 참여하는 경우의 설문 내용이 표시된 페이지이다. 61 is a page showing the contents of a questionnaire when a questionnaire is selected from a questionnaire list that is in progress and has not been participated in a questionnaire menu.

도 62는 설문 메뉴에서 설문 결과가 표시된 페이지이다. 62 is a page in which a survey result is displayed in a survey menu.

도 63은 게시판 메뉴에서 게시판 리스트가 표시된 페이지의 화면예이다. 63 is a screen example of a page on which a bulletin board list is displayed in a bulletin board menu.

이상 본 발명을 몇 가지 바람직한 실시예를 사용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들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지닌 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제시된 권리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양한 변화와 수정을 가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using several preferred embodiments, these embodiments are exemplary and not limiting.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will understand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can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cope of the rights presented in the appended claims.

100 HMD 310, 320 몸 동작 인식 센서
200 컨텐츠 제공 컴퓨터 410, 420 사용자 단말
500 통합 서버 510 데이터베이스
100 HMD 310, 320 body motion sensor
200 Content providing computer 410, 420 User terminal
500 Integration Server 510 Database

Claims (4)

장애 아동과 그 가족을 위한 스마트 리빙 서비스 플랫폼 시스템에서,
장애 아동의 건강 상태에 따른 서비스 개요, 목적, 내용, 이용방법, 연락처, 지역을 포함하는 장애 아동 관련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데이터베이스;
입력된 검색조건에 따라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는 장애 아동 관련 정보를 검색하고, 검색된 해당 장애 아동의 인지수준 및 건강요구 영역과 사회경제적 상황의 조건에 따른 건강서비스 정보를 제공하는 네비게이터 서비스와, 장애 아동의 인지수준 및 건강요구 영역과 사회경제적 상황의 조건에 따른 VR(Virtual Reality) 체험을 제공하는 스마트 돌봄 서비스를 제공하는 통합 서버;
사용자의 머리에 착용되어 VR 화면이 디스플레이되며, 사용자의 손 동작을 인식하기 위한 손 동작 인식 센서를 포함하는 HMD(Head mounted Display);
사용자의 몸 동작을 인식하기 위한 몸 동작 인식 센서;
상기 HMD와 통신하며, 상기 HMD에 VR 화면을 제공하되, VR 화면을 통해 상기 통합 서버의 스마트 돌봄 서비스에 해당하는 컨텐츠를 제공하고, 상기 손 동작 인식 센서로부터 인식된 사용자의 손 동작과 상기 몸 동작 인식 센서로부터 인식된 사용자의 몸 동작을 반영하여 인터랙션이 가능한 컨텐츠를 제공하는 컨텐츠 제공 컴퓨터; 및
사용자가 사용하는 단말로서, 네비게이터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하여, 장애 아동 관련 정보를 입력하여 상기 통합 서버에 전송하는 사용자 단말을 포함하며,
상기 통합 서버는 스마트 리빙 서비스 플랫폼 기반 웹페이지를 제공하되, 상기 웹페이지의 초기 화면에 '네비게이터', '채팅룸'을 포함하는 메뉴를 선택할 수 있는 기능이 제공되고,
상기 통합 서버는 상기 웹페이지의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한 회원가입시, '장애아동 가족' 및 '서비스 제공자' 계정으로 구분하여 회원 가입할 수 있도록 하는 화면을 제공하며,
상기 통합 서버는 상기 '장애아동 가족' 계정으로 회원 가입하는 경우, 아동 생년월일, 거주지역, 국적, 소득수준, 급여수급자 종류, 건강보험료, 재산수준, 아동 건강상태로서 장애 종별, 기능상태, 보조기기 사용 여부, 보조기기 종류, 보조기기 사용기간, 가족형태, 부모 생년월일, 부모 장애 여부, 거주형태, 보호자 부재 여부를 포함하는 정보를 입력하는 화면을 제공하고,
상기 통합 서버는 상기 '서비스 제공자' 계정으로 회원 가입하는 경우, 이름, 직책, 시설번호, 시설명, 시설구분, 시설 위치, 시설 전화번호를 포함하는 정보를 입력하는 화면을 제공하고,
상기 통합 서버는 회원 가입시 입력된 정보를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저장된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네비게이터 서비스를 제공하되, 상기 웹페이지의 초기화면에서 '네비게이터' 메뉴가 선택되면, 장애 아동의 지원 분류체계(Taxonomy) 기반의 검색 조건을 입력할 수 있는 화면을 제공하고, 입력된 검색 조건에 따라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정보를 검색하여 서비스를 받는 서비스 대상자와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자 정보를 제공하며,
상기 통합 서버는 상기 웹페이지의 초기화면에서 '채팅룸' 메뉴가 선택되면, 개설된 채팅룸 리스트를 화면에 제공하거나, '채팅룸' 메뉴와 '네비게이터' 메뉴를 연동하여 제공하고,
상기 통합 서버는 상기 스마트 돌봄 서비스를 제공함에 있어서, 장애 아동이 주인공이 되어 학습하는 장애 아동을 위한 VR 체험형 컨텐츠와, 장애 아동 가족의 심리 안정을 위한 명상을 포함하는 VR 힐링 컨텐츠를 제공하되, 장애 아동의 인지수준, 건강요구 영역 및 사회경제적 상황의 조건에 맞는 VR 체험형 컨텐츠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리빙 서비스 플랫폼 시스템.
In a smart living service platform system for disabled children and their families,
A database that stores information related to children with disabilities, including service overview, purpose, content, usage method, contact information, and area according to the health statu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A navigator service that searches information on children with disabilities stored in the database according to the entered search conditions and provides health service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searched cognitive level and health demand area of the disabled child and conditions of socio-economic conditions, and disability. An integrated server that provides a smart care service that provides VR (Virtual Reality) experiences according to the conditions of children's cognitive level and health needs and socio-economic conditions;
A head mounted display (HMD) that is worn on a user's head to display a VR screen, and includes a hand motion recognition sensor for recognizing a user's hand motion;
A body motion recognition sensor for recognizing a user's body motion;
It communicates with the HMD, provides a VR screen to the HMD, provides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smart care service of the integrated server through the VR screen, and provides the user's hand motion and the body motion recognized by the hand motion recognition sensor. A content providing computer that provides interactive content by reflecting the user's body motion recognized from the recognition sensor; And
A terminal used by a user, comprising a user terminal for inputting information related to a disabled child and transmitting it to the integrated server in order to use the navigator service,
The integrated server provides a web page based on a smart living service platform, and a function to select a menu including'navigator'and'chatroom' is provided on the initial screen of the web page,
The integrated server provides a screen for registering as a member by dividing into'family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and'serviceprovider' accounts when registering as a member to use the service of the web page,
The integrated server is the child's date of birth, residential area, nationality, income level, beneficiary type, health insurance premium, property level, and child's health status, such as the type of disability, functional status, and auxiliary equipment when registering as a member through the'family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account. Provides a screen for inputting information including whether to use, type of assistive device, period of use of assistive device, family type, parent's date of birth, parental disability, type of residence, absence of a guardian,
The integrated server provides a screen for entering information including name, title, facility number, facility name, facility classification, facility location, and facility phone number when registering as a member with the'service provider' account,
The integrated server stores the information entered at the time of membership registration in the database and provides the navigator service based on the stored information, but when the'navigator' menu is selected on the initial screen of the web page, the support classification system for disabled children ( Taxonomy)-based search conditions can be entered, and information stored in the database is searched according to the input search conditions to provide service targets and service provider information providing services,
When the'chat room' menu is selected on the initial screen of the web page, the integrated server provides a list of opened chat rooms on the screen, or in conjunction with the'chat room' menu and the'navigator' menu,
In providing the smart care service, the integrated server provides VR experience-type content for children with disabilities who learn as the protagonist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and VR healing content including meditation for psychological stability of familie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A smart living service platform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it provides VR experience-type contents that meet the conditions of the cognitive level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health needs, and socio-economic conditions.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은 데스크탑 PC, 랩탑 PC, 스마트폰, 태블릿 PC를 포함하며,
상기 통합 서버는 상기 사용자 단말의 디스플레이 환경에 따라 해상도, 레이아웃, 화면의 크기가 자동으로 최적화되도록 조절되는 반응형 웹(responsive web)을 지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리빙 서비스 플랫폼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user terminal includes a desktop PC, a laptop PC, a smartphone, a tablet PC,
The integrated server is a smart living service platform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it supports a responsive web (responsive web) is adjusted to automatically optimize the resolution, layout, and screen size according to the display environment of the user terminal.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통합 서버는 네비게이터 서비스를 제공함에 있어서, 장애 아동의 지원분류체계 기반하여 입력받은 조건에 따른 건강서비스 정보를 제공하고, 사용자 단말의 위치를 기반으로 주변의 장애아동 지원시설의 위치 및 연락처를 포함하는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리빙 서비스 플랫폼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In providing the navigator service, the integrated server provides health service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conditions received based on the support classification system for children with disabilities, and includes the location and contact information of nearby disabled children support facilities based on the location of the user terminal. Smart living service platform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it provides information to the.
삭제delete
KR1020180170405A 2018-12-27 2018-12-27 Smart living platform system for disabled child and family thereof KR10219916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70405A KR102199165B1 (en) 2018-12-27 2018-12-27 Smart living platform system for disabled child and family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70405A KR102199165B1 (en) 2018-12-27 2018-12-27 Smart living platform system for disabled child and family thereof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80693A KR20200080693A (en) 2020-07-07
KR102199165B1 true KR102199165B1 (en) 2021-01-06

Family

ID=716028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70405A KR102199165B1 (en) 2018-12-27 2018-12-27 Smart living platform system for disabled child and family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99165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01360A (en) 2022-06-24 2024-01-03 주식회사 범고래마루 Developmental improvement system customized for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71913A (en) 2020-11-24 2022-05-31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Smart play method and device for disabled children using motion detection
KR102422357B1 (en) 2020-11-27 2022-07-18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Method and device for guiding service for health management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59877A (en) * 2001-06-01 2002-12-13 Nippon Signal Co Ltd:The System for providing location-related information, information-providing server, communications equipment and information transmitting medium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66756B1 (en) * 2010-06-10 2012-07-25 주식회사 메이아이 System and control method for supporting occupational therapy
KR101887204B1 (en) 2015-10-06 2018-08-09 대구대학교 산학협력단 Severe disability care system using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KR20170124978A (en) * 2017-09-20 2017-11-13 이연화 Device of VR Cognitive Rehabilitation Contents for Mild cognitive Impairment Patient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59877A (en) * 2001-06-01 2002-12-13 Nippon Signal Co Ltd:The System for providing location-related information, information-providing server, communications equipment and information transmitting medium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01360A (en) 2022-06-24 2024-01-03 주식회사 범고래마루 Developmental improvement system customized for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80693A (en) 2020-07-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ownsend Boundaries and bridges to adult mental health: Critical occupational and capabilities perspectives of justice
Wilding Families, intimacy and globalization: Floating ties
Johnson et al. Rethinking concepts in participatory action research and their potential for social transformation: Post‐structuralist informed methodological reflections from LGBT and trans‐collective projects
KR102199165B1 (en) Smart living platform system for disabled child and family thereof
Sales et al. The use of telepsychiatry within forensic practice: a literature review on the use of videolink–a ten-year follow-up
Veiga-Seijo et al. Strategies and actions to enable meaningful family connections in nursing homes during the COVID-19: a scoping review
Moreno et al. Changing the culture of neurodisability through language and sensitivity of providers: creating a safe place for LGBTQIA+ people
Korsbek Corecovery: Mental health recovery in a dynamic interplay between humans in a relationship
Aranda et al. Let's go outside: using photography to explore values and culture in mental health nursing
Matsuoka Recovery‐oriented nursing care based on cultural sensitivity in community psychiatric nursing
Ingvars The social butterfly: Hunted subjectivity and emergent masculinities among refugees
Worrall et al. The World Report on Disability as a blueprint for international, national, and local aphasia services
Bell et al. An ecological approach to reducing the social isolation of people with an intellectual disability
Sandu Pandemic-catalyst of the virtualization of the social space
Best et al. Virtual space: creating a place for social support in second life
Fletcher et al. User perspectives of robotic telepresence technology in schools: A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Mogul et al. Expanding the Facebook platform to engage and educate online communities
Çaro et al. ‘I am the God of the House’: How Albanian Rural Men Shift their Performance of Masculinities in the City
de Souza e Silva et al. COVID-19 now and then: Reflections on mobile communication and the pandemic
Bone et al. The lived experience of volatile substance misuse: How support contributes to recovery and sustained well-being
Lindegaard Moensted Nearness and distance: The double-sided nature of belonging for young refugees in Australia
Peres et al. Twenty years of the brazilian psychiatric reform: meanings for psychiatric and mental health nursing
Capel et al. Access to information and support for health: some potential issues and solutions for an ageing population
Gutiérrez et al. How COVID-19 changed telephone interpreting in Spain
Anyim Sensitization and Awareness Campaign Roles of Libraries against Coronavirus Pandemic in Nigeri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