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98885B1 - Base for print object of flat bed printer - Google Patents

Base for print object of flat bed print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98885B1
KR102198885B1 KR1020190137716A KR20190137716A KR102198885B1 KR 102198885 B1 KR102198885 B1 KR 102198885B1 KR 1020190137716 A KR1020190137716 A KR 1020190137716A KR 20190137716 A KR20190137716 A KR 20190137716A KR 102198885 B1 KR102198885 B1 KR 1021988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inting
base
print
tray
prin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37716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범서
김봉현
Original Assignee
유원대학교 산학협력단
디올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원대학교 산학협력단, 디올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유원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901377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98885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988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9888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FPRINTING MACHINES OR PRESSES
    • B41F1/00Platen presses, i.e. presses in which printing is effected by at least one essentially-flat pressure-applying member co-operating with a flat type-bed
    • B41F1/26Details
    • B41F1/28Sheet-conveying, -aligning or -clamping devices
    • B41F1/36Clamps for conveying sheets and for holding same on the plate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FPRINTING MACHINES OR PRESSES
    • B41F27/00Devices for attaching printing elements or formes to supports
    • B41F27/04Devices for attaching printing elements or formes to supports for attaching printing elements to flat type-be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andling Of Sheets (AREA)
  • Accessory Devices And Overall Control Thereof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ase for an object to be printed, which is seated on a printing tray of a flatbed printer. The printing tray has a seating hole formed in a predetermined portion of a main body panel. The base for an object to be printed comprises: first and second frames having an empty space in the center, and having a fastening protrusion corresponding to a fastening groove on a lower surface thereof; and a central frame form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frames, and having a fastening unit at an arbitrary portion. Moreover, the base for an object to be printed has a size to be inserted and fixed in seating hole, and is seated on the printing tray in a state of coupling a printing piece by coupling a fastening member of the printing piece, which has the fastening member fastened to the fastening unit at a lower surface and a printing surface on an upper surface, with the fastening unit.

Description

평판 프린터용 인쇄 대상물용 베이스{BASE FOR PRINT OBJECT OF FLAT BED PRINTER}BASE FOR PRINT OBJECT OF FLAT BED PRINTER}

본 발명은 평판 프린터용 인쇄 대상물용 베이스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base for a printing object for a flatbed printer.

최근들어, 일반적으로 봉제인형이란 솜이나 캐시밀론 등과 같은 충전물을 채운 상태로 여러 장의 천을 재봉하여 사람이나 동물 등을 형상화한 인형으로서, 오래전부터 사용되어 온 대표적인 장난감의 하나로서 각종 선물용 등으로 널리 애용되어 왔다.In recent years, generally, a stuffed toy is a doll in the shape of a person or animal by sewing several pieces of fabric in a state filled with fillings such as cotton or cashmilon.It is one of the representative toys that have been used for a long time and has been widely used for various gifts, etc. come.

그런데 이러한 봉제인형은 지금까지 강아지, 아기곰, 펜더 등과 같이 사람들에게 친근한 이미지를 주는 동물이나, 미키마우스, 포켓몬스터, 아기공룡 둘리 등 같이 사람들에게 널리 알려진 애니메이션 캐릭터 등을 주요 대상으로 하여 형상화되어 왔다.However, these stuffed toys have been formed with animals that give people a friendly image such as dogs, baby bears, and fenders, and animation characters widely known to people such as Mickey Mouse, Pokémon, and baby dinosaur Dooly. .

따라서, 기존의 봉제인형은 거의 정형화되고 규격화되어 있기 때문에 사람들의 다양한 취향이나 개성을 충족시키기에는 미흡한 측면이 많았으며, 최근에는 규격화되고 정형화된 기존의 봉제인형에 비해 개성이 강하고 특이한 인형이 선호되고 있는 실정이다.Therefore, since the existing stuffed toys are almost standardized and standardized, there are many aspects that are insufficient to satisfy people's various tastes and personalities, and recently, compared to the standardized and standardized conventional stuffed toys, a unique doll with strong personality is preferred. There is a situation.

특히나, 최근의 청소년들의 경우는 남들과 같은 정형화된 선물을 싫어하는 경향이 더욱 뚜렷하여 하나의 선물을 주고받더라도 자신만의 개성을 살리면서 기억에 오래 남는 선물을 주고받길 더욱 선호하는데, 종래의 정형화된 봉제인형은 이러한 최근의 수요를 충족시킬 수 없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In particular, in the case of recent adolescents, the tendency to dislike standardized gifts like others is more pronounced, so even if you give and receive one gift, they prefer to give and receive gifts that last a long time while maintaining their own personality. Plush toys have a problem that cannot meet these recent demands.

이런 이유로, 특정 입체 형성화된 얼굴 성형물에 구매자의 얼굴 사진을 인쇄 형성하여 자기만의 캐릭터 상품을 얻을 수 있게 하는 장치, 즉 이미지 인쇄가 가능한 평판 프린터가 개발되었다.For this reason, a device capable of obtaining their own character product by printing a photo of a buyer's face on a specific three-dimensionally formed face molding, that is, a flatbed printer capable of printing images has been developed.

종래의 평판 프린터는 소정의 트레이, 즉 사용자가 선택한 이미지에 맞는 트레이를 이용하여 이미지를 인쇄한 후 이를 출력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평판 프린터를 통해 출력한 출력물을 최종 상품에 결합한다. A conventional flatbed printer prints an image using a predetermined tray, that is, a tray suitable for an image selected by a user, and then outputs the image. Accordingly, the user combines the output output through the flatbed printer with the final product.

그러나, 종래의 평판 프린터는 다양한 제품에 따라 트레이를 추가하거나 변경해야 하기 때문에 다양한 제품에 대한 인쇄가 번거러운 단점이 있다.However, the conventional flatbed printer has a disadvantage in that printing for various products is cumbersome because trays must be added or changed according to various products.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58889호(2012.02.20. 등록)Republic of Korea Utility Model Bulletin No. 20-0458889 (2012.02.20 registered)

본 발명은 평판 프린터의 인쇄 트레이에 안착 가능하고, 인쇄면을 구비한 다양한 형태의 인쇄 피스가 체결될 수 있는 평판 프린터의 인쇄 대상물용 베이스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base for a printing object of a flatbed printer that can be mounted on a printing tray of a flatbed printer and to which various types of printing pieces having a printing surface can be fastened.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상기에서 언급한 것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아래의 기재들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ones mentioned above, and another problem to be solved that is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s. will be.

상술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평판 프린터의 인쇄 트레이는 본체 판넬의 소정 부분에 형성된 안착용 홀을 구비하며, 상기 인쇄 대상물용 베이스는 중앙에 빈 공간을 갖는 제 1 및 제 2 프레임과, 상기 제 1 및 제 2 프레임의 사이에 형성되고 임의의 부분에 체결부를 갖는 중심 프레임으로 구성되고, 상기 안착용 홀에 삽입 및 고정되는 크기를 가지며, 상기 체결부에 체결될 수 있는 체결부재를 하부면에 구비하고, 상부면에 인쇄면을 구비하는 인쇄 피스의 상기 체결부재와 상기 체결부간의 결합을 통해 상기 인쇄 피스가 결합되며, 상기 체결용 홈과 상기 체결용 돌기간의 결합을 통해 상기 인쇄 트레이에 안착될 수 있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 to be solv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inting tray of the flatbed printer includes a mounting hole formed in a predetermined portion of the main panel, and the base for the printing object has an empty space in the center. It is form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frames and the first and second frames and is composed of a central frame having a fastening part in an arbitrary part, and has a size that is inserted and fixed in the seating hole, and the fastening part The printing piece is coupled through the coupling between the fastening member and the fastening portion of a printing piece having a fastening member on the lower surface and having a printing surface on the upper surface, and the fastening groove and the fastening portion It can be seated on the printing tray through the combination of the protrusions.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인쇄 대상물용 베이스는 상기 중심 프레임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상기 제 1 및 제 2 프레임이 접히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ase for a printing object may have a structure in which the first and second frames are folded with respect to a center line of the center frame.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인쇄 대상물용 베이스는 상기 제 1 프레임의 좌측면과 상기 제 2 프레임의 우측면에 형성된 이탈 방지용 돌기를 더 구비하며, 상기 이탈 방지용 돌기가 상기 인쇄 트레이의 안착용 홀의 좌우측에 안착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ase for the object to be printed further includes a separation preventing protrusion formed on a left side of the first frame and a right side of the second frame, and the separation preventing protrusion is formed of a mounting hole of the print tray. Can be seated on the left and right.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에 따르면, 평판 프린터의 인쇄 트레이에 안착 가능하고, 인쇄면을 구비한 다양한 형태의 인쇄 피스가 체결될 수 있는 평판 프린터의 인쇄 대상물용 베이스를 제공함으로서, 다양한 인쇄 피스를 장착 가능하기 때문에 인쇄 트레이 교체 없이 다양한 이미지를 인쇄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problem solving means of the present invention, by providing a base for a printing object of a flatbed printer that can be mounted on a printing tray of a flatbed printer and to which various types of printing pieces having a printing surface can be fastened, various printing pieces Since it can be installed, various images can be printed without replacing the print tray.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평판 프린터용 인쇄 대상물용 베이스가 안착되는 평판 프린터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쇄 대상물용 베이스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쇄 대상물용 베이스와 인쇄 피스간의 결합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평판 프린터에 연결되어 프린터를 제어하는 프린터 제어용 단말기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평판 프린터를 이용한 이미지 인쇄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1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structure of a flatbed printer in which a base for a print object for a flatbed printer is mount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 base for a printing objec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view for explaining a bonding process between a printing piece and a base for a printing objec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printer control terminal connected to a flatbed printer to control a prin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flowchart showing an image printing process using a flatbed prin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의 상세한 설명은 본 명세서에서 기술된 방법, 장치 및/또는 시스템에 대한 포괄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 제공된다. 그러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며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Hereinafter, a specific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is provided to aid in a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the methods, devices, and/or systems described herein. However, this is only an example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상세한 설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지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기술하기 위한 것이며, 결코 제한적이어서는 안 된다. 명확하게 달리 사용되지 않는 한, 단수 형태의 표현은 복수 형태의 의미를 포함한다. 본 설명에서, "포함" 또는 "구비"와 같은 표현은 어떤 특성들, 숫자들, 단계들, 동작들, 요소들, 이들의 일부 또는 조합을 가리키기 위한 것이며, 기술된 것 이외에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성, 숫자, 단계, 동작, 요소, 이들의 일부 또는 조합의 존재 또는 가능성을 배제하도록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In describing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known technology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In addition, terms to be described later are terms defined in consideration of functions in the present invention and may vary according to the intention or custom of users or operators. Therefore, the definition should be made based on the contents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The terms us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are only for describing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should not be limiting. Unless explicitly used otherwise, expressions in the singular form include the meaning of the plural form. In this description, expressions such as "comprising" or "feature" are intended to refer to certain features, numbers, steps, actions, elements, some or combination thereof, and one or more other than those described. It should not be construed to exclude the presence or possibility of other features, numbers, steps, actions, elements, any part or combination thereof.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평판 프린터용 인쇄 대상물용 베이스 및 이를 이용한 이미지 인쇄 방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a base for a printing object for a flatbed printer and an image printing method using the sam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평판 프린터의 인쇄 대상물용 베이스가 안착되는 평판 프린터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1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structure of a flatbed printer in which a base for a print object of a flatbed printer is mount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판 프린터(10)는 평판 프린터(10)를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컨트롤 보드(11), 기본 인쇄 동작을 제어하는 메인보드(12), 인쇄 대상물이 안착되는 인쇄 트레이(13), 잉크를 저장하고 헤드에 잉크를 공급하기 위한 잉크 저장부(14) 및 잉크를 인쇄 대상물에 분사하는 헤드 뭉치(15)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1, the flatbed printer 10 includes a control board 11 that controls the flatbed printer 10, a main board 12 that controls basic printing, and a printing object on which a print object is mounted. It may include a tray 13, an ink storage unit 14 for storing ink and supplying ink to a head, and a head bundle 15 for spraying ink onto an object to be printed.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적용되는 평판 프린터(10)는 철(iron) 재질 또는 알루미늄으로 구성되어 있는 인쇄판위에 종이가 아닌 플라스틱, 고무재질 등의 인쇄 대상물에 임의의 사이즈로 인쇄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flatbed printer 10 applied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print on a printing plate made of iron or aluminum in an arbitrary size, not on a printing object such as plastic or rubber.

인쇄 대상물은 인쇄 대상물용 베이스(도 2의 100)를 통해 인쇄 트레이(13)에 안착될 수 있다.The object to be printed may be mounted on the printing tray 13 through the base for the object to be printed (100 in FIG. 2).

또한, 인쇄 트레이(13)는 본체 판넬의 소정 부분에 인쇄 대상물용 베이스(100)가 삽입되어 안착될 수 있는 안착용 홀(13a)을 구비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inting tray 13 may include a mounting hole 13a through which the base 100 for an object to be printed may be inserted and seated in a predetermined portion of the main panel.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평판 프린터(10)의 인쇄 트레이(13)에 안착되는 인쇄 대상물용 베이스(100)에 대해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The base 100 for a print object mounted on the print tray 13 of the flatbed printer 10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2 and 3.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쇄 대상물용 베이스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쇄 대상물용 베이스와 인쇄 피스간의 결합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2 is a view showing a structure of a base for a printing objec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is a view for explaining a coupling process between the base for a printing object and a printing pie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판 프린터용 인쇄 대상물용 베이스(100)는 중앙이 빈 공간을 갖는 제 1 및 제 2 프레임(110, 120)이 상호 결합된 형태를 가지며, 제 1 및 제 2 프레임(110, 120) 사이에 형성되는 중심 프레임(130) 및 중심 프레임(130)의 소정 부분, 예컨대 중심 부분에 형성된 인쇄 피스(200)의 체결부(132)를 포함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2, the base 100 for a printing object for a flatbed printer has a form in which first and second frames 110 and 120 having an empty space in the center are coupled to each other, and the first and second frames It may include a central frame 130 formed between (110, 120) and a predetermined portion of the central frame 130, for example, a fastening portion 132 of the printing piece 200 formed in the central portion.

이러한 체결부(132)는 도 3의 인쇄 피스(200)의 하부면에 형성된 체결 부재(210)와 체결될 수 있다.The fastening part 132 may be fastened to the fastening member 210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printing piece 200 of FIG. 3.

인쇄 대상물용 베이스(100)의 높이 및 크기는 평판 프린터(10)의 인쇄 트레이(13)의 안착용 홀(13a) 크기 및 높이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The height and size of the base 100 for the object to be printed may be determined according to the size and height of the mounting hole 13a of the print tray 13 of the flatbed printer 10.

제 1 및 제 2 프레임(110, 120)은 중앙에 빈 공간을 구비할 수 있으며, 중심 프레임(130)의 양측은 오목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The first and second frames 110 and 120 may have an empty space in the center, and both sides of the center frame 130 may have a concave shape.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쇄 대상물용 베이스(100)는 제 1 프레임(110)의 좌측면과 제 2 프레임(120)의 우측면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이탈 방지용 돌기(미도시)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이탈 방지용 돌기는 인쇄 트레이(13)의 안착용 홀(13a)의 좌우측에 안착되어 인쇄 대상물용 베이스(100)에 안착용 홀(13a)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base 100 for a print objec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t least one protrusion (not shown) formed on the left side of the first frame 110 and the right side of the second frame 120. can do. Such separation preventing protrusions are seat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mounting holes 13a of the printing tray 13 to prevent separation from the mounting holes 13a in the base 100 for printing objects.

이러한 구조를 갖는 인쇄 대상물용 베이스(100)는 중심 프레임(130)을 기준으로 중앙에 빈 공간을 갖는 제 1 및 제 2 프레임(110, 120)으로 구성되고, 중심 프레임(130)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접히는 형태를 가질 수도 있다.The base 100 for a printing object having such a structure is composed of first and second frames 110 and 120 having an empty space in the center with respect to the center frame 130, and is based on the center line of the center frame 130. It can also have a form that folds into.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및 제 2 프레임(110, 120)과 중심 프레임(130)이 결합되어 인쇄 대상물용 베이스(100)를 형성하는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하였지만, 제 1, 2 및 중심 프레임(110, 120, 130)이 일체형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Meanwhil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it has been described for example that the first and second frames 110 and 120 and the center frame 130 are combined to form the base 100 for a printing object. , The first, second and center frames 110, 120, 130 may be configured integrally.

상술한 바와 같이, 인쇄 대상물용 베이스(100)의 중심 프레임(130)의 체결부(132)에 인쇄 피스(200)의 체결부재(210)를 고정시킨 후 이를 평판 프린터의 인쇄 트레이(13)의 안착용 홀(13a)에 안착시킴으로써, 인쇄 트레이(13)의 교체 없이 평판 프린터(10)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선택 및 편집한 이미지를 인쇄 피스(200)의 인쇄면에 인쇄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fter fixing the fastening member 210 of the printing piece 200 to the fastening portion 132 of the center frame 130 of the base 100 for printing, it is By seating in the mounting hole 13a, the image selected and edited by the user using the flatbed printer 10 can be printed on the printing surface of the printing piece 200 without replacing the print tray 13.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인쇄 대상물용 베이스(100)를 이용하여 평판 프린터(10)는 외부의 단말, 즉 프린터 제어용 단말기(도 4의 400)에 의해 제어되어 동작할 수 있다. 이러한 프린터 제어용 단말기(400)에 대해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The flatbed printer 10 can be controlled and operated by an external terminal, that is, a printer control terminal (400 in FIG. 4) by using the base 100 for a print object having the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This printer control terminal 40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4.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평판 프린터(10)에 연결되어 프린터를 제어하는 프린터 제어용 단말기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4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printer control terminal connected to the flatbed printer 10 to control the prin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평판 프린터(10)는 프린터 제어용 단말기(400)로부터 제공받은 인쇄 설정 정보에 따라 사용자가 선택 및 편집한 이미지를 인쇄 트레이(13)에 안착된 인쇄 대상물용 베이스(100)의 인쇄 피스(200)에 인쇄하여 출력할 수 있다.The flatbed printer 10 transfers the image selected and edited by the user according to the print setting information provided from the printer control terminal 400 to the printing piece 200 of the base 100 for a printing object mounted on the print tray 13. You can print it out.

인쇄 설정 정보는 프린터 제어용 단말기(400)를 통해 사용자가 선택한 상품, 이미지 및 편집 정보에 의거하여 결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린터 제어용 단말기(400)는 사용자가 선택한 상품, 이미지 및 편집 정보와 기 저장된 인쇄 대상물용 베이스(100)의 기본 스펙 정보, 예컨대 높이, 길이 등의 기본 스펙 정보를 이용하여 인쇄 좌표 값, 인쇄 높이, 영역 등의 인쇄 설정 정보를 결정하며, 결정한 인쇄 설정 정보에 따라 평판 프린터(10)를 제어하여 인쇄 트레이(13)에 안착된 인쇄 대상물용 베이스(100)의 인쇄 피스(200)에 사용자가 선택 및 편집한 이미지를 인쇄할 수 있다.The print setting information may be determined based on the product, image, and editing information selected by the user through the printer control terminal 400. Specifically, the printer control terminal 400 uses the product, image, and editing information selected by the user, and basic specification information of the base 100 for a previously stored print object, for example, a print coordinate value, using basic specification information such as height and length. Determines print setting information such as print height and area, and controls the flatbed printer 10 according to the determined print setting information to allow the user to access the print piece 200 of the base 100 for a print object seated on the print tray 13 Selected and edited images can be printed.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프린터 제어용 단말기(400)는 상품 선택, 이미지를 선택 및 편집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편집용 어플리케이션(410), 상품의 선택에 따라 상품에 대응되는 인쇄 대상물용 베이스(100)의 기본 스펙 정보, 예컨대 높이, 길이 등의 정보를 메모리(430)에서 추출함과 더불어 선택된 이미지와 이에 대한 편집 정보를 기반으로 인쇄 설정 정보를 생성하는 인쇄 제어용 어플리케이션(420)을 포함할 수 있다.To this end, the terminal 400 for controlling a prin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editing application 410 that provides an interface for selecting a product, selecting and editing an image, and a print object corresponding to the product according to the selection of the product. A print control application 420 that extracts basic specification information of the base 100, such as height and length, from the memory 430 and generates print setting information based on the selected image and editing information Can include.

편집용 어플리케이션(410) 및 인쇄 제어용 어플리케이션(420)은 프린터 제어용 단말기(400) 내 기록매체(미도시됨)에 실행 가능한 형태로 저장되어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미도시됨)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즉, 편집용 어플리케이션(410)은 사용자의 조작, 즉 상품 선택에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수 있으며, 인쇄 제어용 어플리케이션(420)은 상품 선택, 이미지 선택 및 편집 등이 완료된 후 출력 버튼의 조작에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어 평판 프린터(10)를 제어할 수 있다.The editing application 410 and the print control application 420 may be stored in an executable form in a recording medium (not shown) in the printer control terminal 400 and executed by at least one processor (not shown). That is, the editing application 410 may be executed by at least one processor according to a user's manipulation, that is, product selection, and the print control application 420 manipulates the output button after product selection, image selection, and editing are completed. According to this, it is executed by at least one or more processors to control the flatbed printer 10.

이하에서는 평판 프린터를 이용한 이미지 인쇄 과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an image printing process using a flatbed printer will be described.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평판 프린터를 이용한 이미지 인쇄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image printing process using a flatbed prin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설명에 앞서, 본 발명의 평판 프린터(10)의 인쇄 트레이(13)에 장착되는 인쇄 대상물용 베이스(100)는 인쇄 피스(200)와 더불어 상품 내 포함될 수 있다.Prior to the description, the base 100 for a printing object mounted on the printing tray 13 of the flatbed printer 10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ncluded in a product together with the printing piece 200.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상품의 선택과 더불어 상품 내 포함된 인쇄 대상물용 베이스(100)의 체결부(132)에 인쇄 피스(200)의 체결 부재(210)를 체결한 후 인쇄 트레이(13)에 안착시킨다(S500).As shown in FIG. 5, the user selects a product and fastens the fastening member 210 of the printing piece 200 to the fastening portion 132 of the base 100 for a print object included in the product, and then the printing tray Settled in (13) (S500).

이후, 사용자는 선택한 상품에 대응되는 정보를 프린터 제어용 단말기(400) 상에서 선택함에 따라 프린터 제어용 단말기(400)의 편집용 어플리케이션(410)은 상품에 대응되는 정보에 따라 인쇄 대상물용 베이스(100)의 기본 스펙 정보를 메모리(430)에서 추출(S502)함과 더불어 이미지 선택 및 편집을 위한 편집용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S504).Thereafter, as the user selects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product on the printer control terminal 400, the editing application 410 of the printer control terminal 400 displays the print object base 100 according to th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product. The basic specification information is extracted from the memory 430 (S502), and an editing interface for selecting and editing an image is provided (S504).

편집용 인터페이스를 통해 편집이 완료된 후 출력 버튼이 조작되면(S506), 프린터 제어용 단말기(400)의 인쇄 제어용 어플리케이션(420)은 편집용 인터페이스를 통해 편집된 정보와 기본 스펙 정보를 기반으로 인쇄 설정 정보를 생성(S508)한 후 이를 기반으로 평판 프린터(10)를 제어하여 인쇄 트레이(13)에 안착된 인쇄 대상물용 베이스(100)와 체결된 인쇄 피스(200)의 인쇄면에 이미지를 인쇄시킨다(S510).When the output button is manipulated after editing is completed through the editing interface (S506), the print control application 420 of the printer control terminal 400 provides print setting information based on the edited information and basic specification information through the editing interface. After generating (S508), based on this, the flatbed printer 10 is controlled to print an image on the printing surface of the printing piece 200 fastened with the base 100 for a printing object mounted on the printing tray 13 ( S510).

한편, 첨부된 블록도의 각 블록과 흐름도의 각 단계의 조합들은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범용 컴퓨터, 특수용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에 탑재될 수 있으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를 통해 수행되는 그 인스트럭션들이 블록도의 각 블록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수행하는 수단을 생성하게 된다.Meanwhile, combinations of each block of the attached block diagram and each step of the flowchart may be performed by computer program instructions. Since these computer program instructions can be mounted on the processor of a general purpose computer, special purpose computer, or other programmable data processing equipment, the instructions executed by the processor of the computer or other programmable data processing equipment are described in each block of the block diagram. It creates a means to perform functions.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특정 방식으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지향할 수 있는 컴퓨터 이용 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매체(또는 메모리) 등에 저장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그 컴퓨터 이용 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매체(또는 메모리)에 저장된 인스트럭션들은 블록도의 각 블록에서 설명된 기능을 수행하는 인스트럭션 수단을 내포하는 제조 품목을 생산하는 것도 가능하다.These computer program instructions can also be stored on a computer-usable or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or memory) that can be directed to a computer or other programmable data processing equipment to implement a function in a specific manner, so that the computer can be used. Alternatively, instructions stored on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or memory) may produce an article of manufacture including instruction means for performing the functions described in each block of the block diagram.

그리고,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 탑재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서 일련의 동작 단계들이 수행되어 컴퓨터로 실행되는 프로세스를 생성해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수행하는 인스트럭션들은 블록도의 각 블록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단계들을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In addition, since computer program instructions can be mounted on a computer or other programmable data processing equipment, a series of operation steps are performed on a computer or other programmable data processing equipment to create a process that is executed by a computer, It is also possible for the instructions to perform possible data processing equipment to provide steps for executing the functions described in each block of the block diagram.

또한, 각 블록은 특정된 논리적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실행 가능한 인스트럭션들을 포함하는 모듈, 세그먼트 또는 코드의 일부를 나타낼 수 있다. 또, 몇 가지 대체 실시 예들에서는 블록들에서 언급된 기능들이 순서를 벗어나서 발생하는 것도 가능함을 주목해야 한다. 예컨대, 잇달아 도시되어 있는 두 개의 블록들은 사실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고 또는 그 블록들이 때때로 해당하는 기능에 따라 역순으로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In addition, each block may represent a module, segment, or part of code including at least one or more executable instructions for executing the specified logical function(s). In addition, it should be noted that in some alternative embodiments, functions mentioned in blocks may occur out of order. For example, two blocks shown in succession may in fact be executed substantially simultaneously, or the blocks may sometimes be executed in reverse order depending on the corresponding function.

100 : 인쇄 대상물용 베이스
110, 120 : 제 1, 2 프레임
130 : 중심 프레임
132 : 체결부
200 : 인쇄 피스
210 : 체결부재
100: base for printing object
110, 120: first and second frames
130: center frame
132: fastening part
200: printing piece
210: fastening member

Claims (3)

평판 프린터의 인쇄 트레이에 안착되는 인쇄 대상물용 베이스에 있어서,
상기 인쇄 트레이는 본체 판넬의 소정 부분에 형성된 안착용 홀을 구비하며,
상기 인쇄 대상물용 베이스는,
중앙에 빈 공간을 갖는 제 1 및 제 2 프레임과, 상기 제 1 및 제 2 프레임의 사이에 형성되고 임의의 부분에 체결부를 갖는 중심 프레임으로 구성되고, 상기 안착용 홀에 삽입 및 고정되는 크기를 가지며,
상기 체결부에 체결될 수 있는 체결부재를 하부면에 구비하고, 상부면에 인쇄면을 구비하는 인쇄 피스의 상기 체결부재와 상기 체결부간의 결합을 통해 상기 인쇄 피스를 결합한 상태로 상기 인쇄 트레이에 안착되고,
상기 중심 프레임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상기 제 1 및 제 2 프레임이 접히는 구조를 갖는 평판 프린터의 인쇄 대상물용 베이스.
In the base for a print object to be mounted on a print tray of a flatbed printer,
The printing tray has a mounting hole formed in a predetermined portion of the main panel,
The base for the object to be printed,
First and second frames having an empty space in the center, and a center frame form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frames and having a fastening portion at an arbitrary portion, and the size to be inserted and fixed in the seating hole Have,
In a state in which the printing piece is coupled to the printing piece through coupling between the fastening member and the fastening portion of a printing piece having a printing surface on a lower surface and having a printing surface on the upper surface, Settled,
A base for a printing object of a flatbed printer having a structure in which the first and second frames are folded based on a center line of the center fram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 대상물용 베이스는,
상기 제 1 프레임의 좌측면과 상기 제 2 프레임의 우측면에 형성된 이탈 방지용 돌기를 더 구비하며,
상기 이탈 방지용 돌기가 상기 인쇄 트레이의 안착용 홀의 좌우측에 안착되는 평판 프린터의 인쇄 대상물용 베이스.
The method of claim 1,
The base for the object to be printed,
Further comprising a separation preventing protrusion formed on the left side of the first frame and the right side of the second frame,
A base for a printing object of a flatbed printer in which the separation preventing protrusions are mount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mounting holes of the printing tray.
KR1020190137716A 2019-10-31 2019-10-31 Base for print object of flat bed printer KR10219888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7716A KR102198885B1 (en) 2019-10-31 2019-10-31 Base for print object of flat bed print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7716A KR102198885B1 (en) 2019-10-31 2019-10-31 Base for print object of flat bed print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98885B1 true KR102198885B1 (en) 2021-01-26

Family

ID=743099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37716A KR102198885B1 (en) 2019-10-31 2019-10-31 Base for print object of flat bed print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98885B1 (en)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33034A (en) * 1998-11-19 2000-06-15 윤종용 Tray apparatus for discharging paper of ink image forming apparatus
KR20040027277A (en) * 2003-04-24 2004-04-01 원용권 Tray for semiconductor device
KR20110048372A (en) * 2009-11-02 2011-05-11 주식회사 에스에프에이 Chucking tray for oled manufacturing
KR200458889Y1 (en) 2009-10-19 2012-03-15 주식회사 블리스코어 Printed matters fixing jig of flat-board printer
JP2012086434A (en) * 2010-10-19 2012-05-10 Konica Minolta Opto Inc Work holder and printer
KR101627493B1 (en) * 2015-07-17 2016-06-07 (주)에코스킨팩토리 Jig unit for Printing and Printer including the same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33034A (en) * 1998-11-19 2000-06-15 윤종용 Tray apparatus for discharging paper of ink image forming apparatus
KR20040027277A (en) * 2003-04-24 2004-04-01 원용권 Tray for semiconductor device
KR200458889Y1 (en) 2009-10-19 2012-03-15 주식회사 블리스코어 Printed matters fixing jig of flat-board printer
KR20110048372A (en) * 2009-11-02 2011-05-11 주식회사 에스에프에이 Chucking tray for oled manufacturing
JP2012086434A (en) * 2010-10-19 2012-05-10 Konica Minolta Opto Inc Work holder and printer
KR101627493B1 (en) * 2015-07-17 2016-06-07 (주)에코스킨팩토리 Jig unit for Printing and Printer including the sam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009626A (en) Human lifelike dolls, mannequins and humanoids and pet animal dolls and methods of individualizing and personalizing same
US9754399B2 (en) Customized augmented reality animation generator
Silber Pixel art for game developers
US8283012B2 (en) Printable pre-sewn stuffed toy composite sheets
ATE286286T1 (en) METHOD FOR CREATING 3-D FACIAL MODELS FROM FACIAL IMAGES
KR102198885B1 (en) Base for print object of flat bed printer
US20120276804A1 (en) Photo-customization for figurines
US5148196A (en) System for creating custom-made miniatures
US6932668B2 (en) Method for a customer-controlled stuffed toy
KR102084584B1 (en) Education Device for Infant Modeling Three-Dimention Shape Through Identification Part and Recognition of Colors in Characters
US10632680B2 (en) 3D printed pin and void systems and methods
US20060286512A1 (en) Computerized system for designing a pattern to be applied to a doll or toy
KR20200071794A (en) Control method for color flatbed 3d printer
KR101885746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gegerating a operation content by using a smart device
US6929526B1 (en) Puppet book
JP7447887B2 (en) Gift method, terminal device, printing system and program
JP2015142689A (en) Hat-type covering mask and decoration system for hat-type covering mask
JP6734411B2 (en) Program,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and game system
Kane Digital Art and Experimental Color Systems at Bell Laboratories, 1965–1984: Restoring Interdisciplinary Innovations to Media History
KR101623573B1 (en) System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rag doll by IT network
WO2018123544A1 (en) Figur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JP2023170342A (en) Jigsaw puzzle manufacturing method and jigsaw puzzle
DE102007027724A1 (en) Fabrication method for soft toy, involves inputting individual features of subject or toy characterizing biometric data and embossing onto toy or puppet
KR20200064484A (en) Custom figure head automatic painting device
JP3078930U (en) Amenities using 3D Anamorphos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