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98829B1 - Method for evaluating the risk of allergy based on component name - Google Patents

Method for evaluating the risk of allergy based on component n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98829B1
KR102198829B1 KR1020180172931A KR20180172931A KR102198829B1 KR 102198829 B1 KR102198829 B1 KR 102198829B1 KR 1020180172931 A KR1020180172931 A KR 1020180172931A KR 20180172931 A KR20180172931 A KR 20180172931A KR 102198829 B1 KR102198829 B1 KR 1021988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ug
atc code
converted
drugs
determin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7293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00083806A (en
Inventor
강민규
김미혜
김용기
Original Assignee
충북대학교병원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충북대학교병원,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충북대학교병원
Priority to KR10201801729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98829B1/en
Publication of KR202000838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8380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988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9882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1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for evaluating the immune or lymphatic systems
    • A61B5/411Detecting or monitoring allergy or intolerance reactions to an allergenic agent or substance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7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references
    • G16H70/4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references relating to drugs, e.g. their side effects or intended usage

Abstract

본 발명은 복용하고자 하는 약물에 대하여 해당 약을 복용하고자 하는 복용자에게 알레르기를 일으키는 지의 여부를 보다 세밀하게 평가하여 알려줄 수 있는 성분명 기반 알레르기 위험도 평가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약품의 성분 별로 금기약제, 주의약제 및 예외약제로 구분하고 환자별 맞춤약제정보가 ATC코드로 저장된 웹서버; 상기 웹서버와 통신하여 상기 단말기의 사용자 자신에 대응하는 맞춤약제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단말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성분명 기반 알레르기 위험도 평가 방법으로서, 상기 단말기 사용자로부터 약품 검색을 입력받는 단계; 상기 입력된 검색에 따라 입력된 약품검색에 대응하는 ATC코드를 검색하여 검색된 약품의 성분을 인지하는 단계; 및 상기 검색된 약품의 성분이 상기 검색어를 입력한 사용자에게 사용 가능한 약품인지의 여부를 진단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약물에 의한 알레르기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며 보다 효율적인 약물 복용이 가능하다는 효과가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evaluating the risk of allergy based on an ingredient name that can more closely evaluate and inform whether or not a drug to be taken is allergic to a user who intends to take the drug, and contraindications and cautionary drugs for each drug component And a web server classified as an exception drug and storing personalized drug information for each patient as an ATC code; A method for evaluating an allergy risk based on an ingredient name, comprising: a terminal for receiving and storing customized drug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user of the terminal by communicating with the web server, the method comprising: receiving a drug search input from the terminal user; Recognizing a component of the searched drug by searching for an ATC code corresponding to the input drug search according to the inputted search; And diagnosing whether or not the searched drug component is a drug that can be used by a user who has entered the search word. .

Description

성분명 기반 알레르기 위험도 평가 방법{METHOD FOR EVALUATING THE RISK OF ALLERGY BASED ON COMPONENT NAME}Allergy risk assessment method based on ingredient name {METHOD FOR EVALUATING THE RISK OF ALLERGY BASED ON COMPONENT NAME}

본 발명은 성분명 기반 알레르기 위험도 평가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복용하고자 하는 약물의 성분을 ATC(Anatomical Therapeutic Chemical Classification System)코드로부터 성분을 인지하고 이에 대하여 해당 약을 복용하고자 하는 복용자에게 알레르기를 일으키는 지의 여부를 보다 세밀하게 평가하여 알려줄 수 있는 성분명 기반 알레르기 위험도 평가 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gredient name-based allergy risk assessment method, and in more detail, the ingredient of a drug to be taken is recognized from the ATC (Anatomical Therapeutic Chemical Classification System) code, and allergies to a user who intends to take the drug It relates to a method of assessing the risk of allergy based on the ingredient name that can give a more detailed evaluation of whether it causes or not.

약물알레르기는 중증 약물부작용 중 하나로 우리몸의 면역체계가 특정 약물을 '항원'으로 인식하여 과민반응을 일으켜 발생한다. 약물알레르기는 약물의 약리작용과 무관하게 발생하기 때문에 예측 불가능하며, 용량과 무관하며, 노출이 반복될수록 심한 알레르기 반응이 생길 수 있다. Drug allergy is one of the severe side effects of drugs, and it occurs when the immune system of our body recognizes certain drugs as'antigens' and causes hypersensitivity reactions. Drug allergies are unpredictable because they occur irrespective of the pharmacological action of the drug, and are independent of the dose, and severe allergic reactions may occur as exposure is repeated.

전술한 바와 같이 약물알레르기는 예측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약물알레르기를 경험한 환자들이 향후 위험약물에 재노출되지 않는 2차 예방이 유일한 해결책이다. 하지만 아직까지 위험약물 재노출을 예방하기 위한 수단은 대부분 약물알레르기 환자 개개인이 주의를 기울이는 수준에 머무르고 있고, 약물알레르기 2차 예방을 위한 제도적 안전조치는 미흡한 상태이다. As described above, since drug allergies are unpredictable, the only solution is to prevent patients who have experienced drug allergies from being re-exposed to dangerous drugs in the future. However, measures to prevent re-exposure of dangerous drugs have remained at the level of attention to individual drug allergy patients, and institutional safeguards for secondary prevention of drug allergy are insufficient.

약물부작용 감시 및 예방을 위해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은 의약품안전사용정보시스템(drug utilization review, DUR)을 운영하고 있다. DUR은 2010년 12월부터 실시간(real-time)으로 의약품 처방 시 의약품 안전성과 관련된 정보를 실시간으로 제공하여 부적절한 약품 사용을 사전에 점검할 수 있도록 운영되고 있다. DUR은 보건복지부에서 고시한 병용금기, 연령금기, 임부금기, 효능중복주의, 용량주의, 투여기간주의, 노인주의 의약품 처방을 모니터링해 약물부작용을 줄이기 위한 전향적(prospective) 약물유해반응감시체계(phamacovigilance)를 운용하고 있다. To monitor and prevent adverse drug reactions, the Health Insurance Review and Assessment Service operates a drug utilization review (DUR) system. DUR has been operating since December 2010 to provide real-time information on drug safety when prescribing drugs in real-time so that inappropriate drug use can be checked in advance. DUR is a prospective drug adverse reaction monitoring system (prospective) to reduce adverse drug reactions by monitoring combination contraindications, age contraindications, pregnancy contraindications, redundant efficacy, dosage attention, administration period attention, and elderly care prescribed by the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phamacovigilance).

그러나, 한국의 DUR 시스템에는 아직까지 약물알레르기를 예방하기 위한 항목이 포함되어 있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다. 현재 DUR은 개인별 맞춤정보를 제공하지 않고 있기 때문에 DUR을 활용해 약물알레르기 환자들이 위험약물 재노출을 시스템차원에서 예방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However,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DUR system in Korea does not contain items for preventing drug allergies yet. Since DUR currently does not provide personalized information,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practically impossible to prevent re-exposure of dangerous drugs by using DUR at the system level.

개별 의료기관별로 약물알레르기 알림 시스템(drug allergy alert system)을 구축해, 외래 또는 입원 환자에서 약물알레르기 또는 중증 약물부작용 재발 방지를 위한 시스템을 구축해 놓은 경우도 있다. 즉, 전자의무기록을 열었을 때 다음과 같은 팝업창을 띄워 해당 환자가 과거 중증 약물부작용을 경험했음을 고지해서 위험약제 재노출을 예방하고자 노력하고 있다. 하지만 개별 의료기관에서 구축된 약물알레르기 알림 시스템은 의료기관 간 정보공유가 어렵기 때문에 다른 의료기관에서 발생하는 약물알레르기를 예방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In some cases, a drug allergy alert system has been established for each medical institution to prevent recurrence of drug allergy or severe adverse drug reactions in outpatient or hospitalized patients. In other words, when the electronic medical record is opened, the following pop-up window is displayed, notifying that the patient has experienced severe adverse drug reactions in the past, and is trying to prevent re-exposure of dangerous drugs. However, the drug allergy notification system built in individual medical institutions has a problem that it cannot prevent drug allergy occurring in other medical institutions because it is difficult to share information between medical institutions.

지역의약품안전센터와 연계된 종합병원은 의약품안전카드를 발급하고 있다. 의약품안전카드에는 유발약제와 증상 정보가 들어있어, 약물알레르기나 중증 약물부작용을 경험한 환자들이 외부병원 방문 시 의약품안전카드를 의료진에게 먼저 보여주도록 교육하고 있지만, 의약품안전카드의 몇가지 한계점으로 인해 중증 약물부작용을 경험한 환자들이 유사사례를 반복적으로 경험하고 있다. General hospitals linked to regional drug safety centers issue drug safety cards. The drug safety card contains information on inducing drugs and symptoms, so patients who have experienced drug allergies or severe adverse drug reactions are educated to show the drug safety card to the medical staff first when visiting an external hospital, but due to some limitations of the drug safety card, it is severe. Patients who have experienced adverse drug reactions have repeatedly experienced similar cases.

예컨대, 의약품안전카드만으로는 약물부작용 관련 임상정보를 충분히 전달하기 어렵고 향후 약물사용과 관련된 구체적인 행동지침이 포함되지 않은 경우가 많기 때문에 현실적인 효용성이 떨어진다는 문제점이 있다. For example, the drug safety card alone has a problem in that it is difficult to sufficiently deliver clinical information related to drug side effects, and since there are many cases that specific action guidelines related to future drug use are not included, the practical utility is poor.

이와 같은 문제점들은 정부와 의료기관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약물알레르기 또는 중증 약물부작용 재발 방지를 노력들이 아직까지 많은 한계가 있음을 나타낸다. 따라서 현시점에서 약물알레르기 또는 중증 약물부작용을 효과적으로 예방하기 위해서는 환자 중심의 개인별 맞춤서비스를 제공하는 약물알레르기 또는 중증 약물부작용 예방 플랫폼 구축이 필요한 시점이다. These problems indicate that efforts to prevent recurrence of drug allergies or severe adverse drug reactions, which are centered on the government and medical institutions, still have many limitations. Therefore, in order to effectively prevent drug allergies or severe adverse drug reactions at this point,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platform for preventing drug allergies or severe drug allergies to provide personalized personalized services for patients.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8-0024554호 (발명의 명칭 : 모바일 건강관리 서비스를 위한 의약품 약품설명 정보 분석 장치 및 그 방법)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2018-0024554 (Name of the invention: drug drug description information analysis device and method for mobile health care service)

따라서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가 특정 약제를 복용할 수 있는지 검색하면, 미리 구축된 의약품표준코드-ATC mapping library를 통해, 해당 약제에 매핑되어 있는 ATC코드를 검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의약품에 의한 알레르기에 의한 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성분명 기반 알레르기 위험도 평가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described above,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map to the drug through a pre-built drug standard code-ATC mapping library when searching whether a user can take a specific drug. This is to provide a method of assessing the risk of allergy based on the ingredient name that can prevent accidents caused by allergies caused by drugs by allowing the search for the ATC code that has been prepared.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성분명 기반 알레르기 위험도 평가 방법은,The method for evaluating the risk of allergy based on the ingredient name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약품의 성분 별로 금기약제, 주의약제 및 예외약제로 구분하고 환자별 맞춤약제정보가 ATC코드로 저장된 웹서버; 상기 웹서버와 통신하여 상기 단말기의 사용자 자신에 대응하는 맞춤약제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단말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성분명 기반 알레르기 위험도 평가 방법으로서, Web server that categorizes drugs into contraindications, caution drugs, and exception drugs by drug component, and stores personalized drug information for each patient in ATC code; A method for evaluating an allergy risk based on an ingredient name comprising a terminal for receiving and storing customized drug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user of the terminal by communicating with the web server,

상기 단말기 사용자로부터 약품 검색을 입력받는 단계; Receiving a drug search input from the terminal user;

상기 입력된 검색에 따라 입력된 약품검색에 대응하는 ATC코드를 검색하여 상기 ATC검색된 약품의 성분을 인지하는 단계; 및 Recognizing a component of the ATC searched drug by searching for an ATC code corresponding to the input drug search according to the input search; And

상기 검색된 약품의 성분이 상기 검색어를 입력한 사용자에게 사용 가능한 약품인지의 여부를 진단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And diagnosing whether or not a component of the searched drug is a drug available to a user who has entered the search word.

상기 단말기 사용자로부터 약품을 검색을 입력받는 단계는, The step of receiving a search input for a drug from the terminal user,

상기 단말기 사용자가 단말기를 통해 상품명을 입력받는 것, 상기 약품의 크기를 입력받는 것, 상기 약품의 형상을 입력받는 것, 상기 약품의 성분명을 입력받는 것, 상기 약품의 포장지 또는 처방전에 기록된 바코드를 입력받는 것, 상기 약품의 포장지 또는 처방전에 기록된 QR코드를 입력받는 것, 상기 약품의 주요 성분을 입력받는 것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입력받는 것일 수 있다. The terminal user receives the product name through the terminal, the size of the drug, the shape of the drug, the ingredient name of the drug, and the barcode recorded on the packaging or prescription of the drug It may be to receive at least one of receiving input, receiving a QR code recorded in the packaging paper or prescription of the drug, and receiving input of the main ingredient of the drug.

상기 입력된 검색에 따라 입력된 약품검색에 대응하는 ATC코드를 검색하여 상기 ATC검색된 약품의 성분을 인지하는 단계는, Recognizing the ingredient of the ATC searched drug by searching for the ATC code corresponding to the drug search entered according to the input search,

상기 입력된 약제가 복합제인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Determining whether the input drug is a combination drug;

상기 입력된 약제가 복합제인 경우 상기 약품의 각각의 성분명에 대응하는 각각의 ATC코드로 변환하는 제1 변환단계; A first conversion step of converting each ATC code corresponding to each component name of the drug when the input drug is a combination drug;

각각의 분류된 성분명의 ATC코드 별로 알레르기 위험성을 평가하는 제1 평가단계; A first evaluation step of evaluating the risk of allergy for each ATC code of each classified ingredient name;

상기 입력된 약제가 복합제가 아닌 경우 상기 약품에 대응하는 ATC코드로 변환하는 제2 변환단계; 및 A second conversion step of converting the input drug into an ATC code corresponding to the drug when the drug is not a combination drug; And

상기 대응하는 ATC코드의 위험성을 평가하는 제2 평가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It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second evaluation step of evaluating the risk of the corresponding ATC code.

상기 제1 평가단계는, 상기 제1 변환단계에서 변환된 각각의 ATC코드와 상기 웹서버에 저장된 ATC코드를 비교하는 단계; The first evaluation step may include comparing each ATC code converted in the first conversion step with an ATC code stored in the web server;

상기 비교단계에서의 비교결과 상기 변환된 ATC코드가 상기 웹서버에 저장된 금기약제에 포함되는 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제1 판단단계; A first determination step of determining whether or not the converted ATC code is included in the contraindications stored in the web server as a result of the comparison in the comparison step;

상기 제1 판단단계에서의 판단결과 상기 변환된 ATC코드가 금기약제에 포함되는 경우에는 예외약제에 포함되는 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제2 판단단계; A second determination step of determining whether or not the converted ATC code is included in the contraindication drug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in the first determination step;

상기 제2 판단단계에서의 판단결과 상기 변환된 ATC코드가 예외약제에 포함되는 경우에는 복용가능함으로 표시하는 단계; If the converted ATC code is included in the exception drug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in the second determination step, indicating that it is usable;

상기 제1 판단단계에서의 판단결과 상기 변환된 ATC코드가 상기 웹서버에 저장된 주의약제에 포함되는 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제3 판단단계; A third determination step of determining whether or not the converted ATC code is included in the caution drug stored in the web server as a result of determination in the first determination step;

상기 제3 판단단계에서의 판단결과 상기 변환된 ATC코드가 주의약제에 포함되는 경우에는 예외약제에 포함되는 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제4 판단단계; A fourth determination step of determining whether or not the converted ATC code is included in the caution drug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in the third determination step;

상기 제4 판단단계에서의 판단결과 상기 변환된 ATC코드가 예외약제에 포함되는 경우에는 복용가능함으로 표시하는 단계; 및If the converted ATC code is included in the exception drug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in the fourth determination step, indicating that it is available for use; And

상기 제2 판단단계 및 상기 제4 판단단계에서 판단결과 상기 변환된 ATC코드에 대응하는 약제가 각각 금기약제 또는 주의약제이며 예외약제에도 포함되지 않는 경우에는 각각 금기약제 및 주의약제임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Indicating that the drugs corresponding to the converted ATC code as a result of determination in the second determination step and the fourth determination step are contraindications or cautionary drugs, respectively, and are not included in exception drugs, respectively; It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상기 금기약제 또는 주의약제의 성분은 ATC코드의 3단계, 4단계 및 5단계의 성분을 검색하여 동일한 성분이 있는 경우에는 ATC코드의 제1 단계 및 제2 단계와 관계없이 동일 성분이 있는 것으로 간주하여 각각 금기약제 또는 주의약제에 포함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The ingredients of the contraindications or cautionary drugs are searched for ingredients in steps 3, 4, and 5 of the ATC code, and if the same ingredient is found, the same ingredient is considered to be present regardless of the first and second steps of the ATC code. Therefore, it can be configured to be included in contraindications or cautionary drugs, respectively.

상기 제2 평가단계는, 상기 제2 변환단계에서 변환된 ATC코드와 상기 웹서버에 저장된 ATC코드를 비교하는 단계; The second evaluation step may include comparing the ATC code converted in the second conversion step with the ATC code stored in the web server;

상기 비교단계에서의 비교결과 상기 변환된 ATC코드가 상기 웹서버에 저장된 금기약제에 포함되는 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제5 판단단계; A fifth determination step of determining whether the converted ATC code as a result of the comparison in the comparison step is included in the contraindications stored in the web server;

상기 제5 판단단계에서의 판단결과 상기 변환된 ATC코드가 금기약제에 포함되는 경우에는 예외약제에 포함되는 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제6 판단단계; A sixth determination step of determining whether or not the converted ATC code is included in the contraindication drug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in the fifth determination step;

상기 제6 판단단계에서의 판단결과 상기 변환된 ATC코드가 예외약제에 포함되는 경우에는 복용가능함으로 표시하는 단계; If the converted ATC code is included in the exception drug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in the sixth determination step, indicating that it is available for use;

상기 제5 판단단계에서의 판단결과 상기 변환된 ATC코드가 상기 웹서버에 저장된 주의약제에 포함되는 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제7 판단단계; A seventh determination step of determining whether or not the converted ATC code is included in the caution drug stored in the web server as a result of determination in the fifth determination step;

상기 제7 판단단계에서의 판단결과 상기 변환된 ATC코드가 주의약제에 포함되는 경우에는 예외약제에 포함되는 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제8 판단단계; An eighth determination step of determining whether or not the converted ATC code is included in the caution drug as a result of determination in the seventh determination step;

상기 제8 판단단계에서의 판단결과 상기 변환된 ATC코드가 예외약제에 포함되는 경우에는 복용가능함으로 표시하는 단계; If the converted ATC code is included in the exception drug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in the eighth determination step, indicating that it is available for use;

상기 제6 판단단계 및 상기 제8 판단단계에서 판단결과 상기 변환된 ATC코드에 대응하는 약제가 금기약제 또는 주의약제이며 예외약제에도 포함되지 않는 경우에는 각각 금기약제 및 주의약제임을 표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in the sixth determination step and the eighth determination step, when the drug corresponding to the converted ATC code is a contraindication or caution drug and is not included in an exception drug, it may be configured to indicate that it is a contraindication drug and a caution drug, respectively. have.

상기 금기약제 또는 주의약제의 성분은 ATC코드의 3단계, 4단계 및 5단계의 성분을 검색하여 동일한 성분이 있는 경우에는 ATC코드의 제1 단계 및 제2 단계와 관계없이 동일 성분이 있는 것으로 간주하여 각각 금기약제 또는 주의약제에 포함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The ingredients of the contraindications or cautionary drugs are searched for ingredients in steps 3, 4, and 5 of the ATC code, and if the same ingredient is found, the same ingredient is considered to be present regardless of the first and second steps of the ATC code. Therefore, it can be configured to be included in contraindications or cautionary drugs, respectively.

따라서 본 발명의 성분명 기반 알레르기 위험도 평가 방법은, 복용하고자 하는 약물에 대하여 해당 약을 복용하고자 하는 복용자에게 알레르기를 일으키는 지의 여부를 보다 세밀하게 평가하여 알려줄 수 있도록 하여 약물에 의한 알레르기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Therefore, the method of evaluating the risk of allergy based on the ingredient name of the present invention prevents the occurrence of allergy caused by drugs by making it possible to more closely evaluate and inform whether or not the drug to be taken causes allergy to the user who intends to take the drug. There is an effect.

또한, 본 발명의 성분명 기반 알레르기 위험도 평가 방법은, 단말기를 이용하여 자신에게 어떤 의약품들이 알레르기를 발생시키는 지의 여부를 사전에 확인할 수 있어 보다 효율적인 약물 복용이 가능하다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the method of evaluating the risk of allergy based on the ingredient name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that it is possible to take drugs more efficiently since it is possible to check in advance whether or not which drugs cause allergies to itself using a terminal.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성분명 기반 알레르기 위험도 평가 방법을 시행하기 위한 시스템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ATC코드 기반 약물에 의한 알레르기 위험도 평가하는 것을 나타낸 순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2의 ATC코드를 검색하여 검색된 약품의 성분을 인지하는 단계를 보다 상세하게 나타낸 순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3의 평가단계를 나타낸 순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ATC코드와 그에 대응하는 성분명을 나타낸 표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성분명에 따른 정렬된 ATC코드를 타나낸 표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ATC코드를 편집하여 등록한 것을 나타낸 ATC코드를 수정한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1 is a system configuration diagram for implementing an allergy risk assessment method based on an ingredient na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flow chart showing the evaluation of the risk of allergy due to ATC code-based drug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flow chart showing in more detail the step of recognizing the components of the searched drug by searching the ATC code of Figure 2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flow chart showing the evaluation step of Figure 3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table showing ATC codes and component names corresponding thereto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table showing ATC codes sorted according to component nam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view showing a modified ATC code indicating that the ATC code is edited and register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howing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성분명 기반 알레르기 위험도 평가 방법을 시행하기 위한 시스템 구성도이다. 1 is a system configuration diagram for implementing an allergy risk assessment method based on an ingredient na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시스템은 웹서버(100)와 단말기(2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 the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web server 100 and a terminal 200.

웹서버(100)는 약품의 성분 별로 금기약제, 주의약제 및 예외약제로 구분하고 환자별 맞춤약제정보가 ATC코드로 저장된다. The web server 100 categorizes drugs into contraindications, cautionary drugs, and exception drugs for each drug component, and stores personalized drug information for each patient as an ATC code.

웹서버(100)가 분류하는 ATC코드는 금기약제(군), 주의약제(군) 및 예외약제(군)으로 구분되며 이는 각 개인 환자별로 입력되어 데이터베이스 형태로 형성된다. The ATC codes classified by the web server 100 are classified into taboo drugs (group), caution drugs (group), and exception drugs (group), which are input for each individual patient and formed in the form of a database.

금기약제는 해당 환자가 복용시 환자가 알레르기 반응을 일으키기 때문에 절대적으로 복용하면 안되는 약물을 말하고, 주의약제는 해당 환자가 복용시 과민반응을 보일 수 있기 때문에 피해야만 하는 약물을 의미한다. 예외약제는 환자가 복용을 해도 전혀 알레르기 반응이나 과민반응을 나타내지 않는 안전한 약제를 의미한다. 이렇게 환자들에 대하여 각각 금기약제와 주의약제 및 예외약제로 구분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함으로써 약물에 의한 알레르기 반응으로 인한 피해를 예방할 수 있다. Contraindications refer to drugs that should not be taken because the patient causes an allergic reaction when taken by the patient, and caution drugs refer to drugs that must be avoided because the patient may overreact when taking. Exception drugs refer to safe drugs that do not show any allergic reactions or hypersensitivity reactions even if the patient takes them. In this way, each patient is classified into contraindications, cautionary drugs, and exceptional drugs, and stored in the database to prevent damage due to allergic reactions caused by drugs.

한편, 약제정보는 표준코드가 아닌 ATC코드로 입력하여 보다 효율적으로 약물을 관리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drug information can be managed more efficiently by entering the ATC code rather than the standard code.

현재 일반적인 병의원 처방전의 처방 의약품의 명칭란에는 처방된 의약품명과 함께 그 옆에 의약품의 표준코드가 표시되어 있다. 의약품 표준코드는 현재 한국에서 사용중인 의약품 분류체계로서 국가식별코드, 업체식별코드, 품목코드 및 검증번호를 나타내는 숫자들의 조합으로 표시된다. 그러나, 의약품 표준코드는 의약품 관리를 위해 사용되는 코드이기 때문에 의약품의 성분에 대한 정보는 포함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ATC코드를 이용하여 환자별 맞춤의약정보를 저장할 수 있도록 한다. Currently, in the name of the prescription drug in the general hospital prescription, the standard code of the drug is displayed next to the name of the prescribed drug. The drug standard code is a classification system for drugs currently in use in Korea, and is represented by a combination of numbers representing national identification code, company identification code, item code, and verification number. However, since drug standard codes are codes used for drug management, information on the components of drugs is not included. Therefore, in the present invention, personalized medicine information for each patient can be stored using an ATC code.

ATC코드는 WHO의 Uppsala center에서 관리하는 국제 표준 의약품 분류체계로서 해부학/약호/약물학적 특성/화학적 특성/개별성분에 따라 5단계로 구분된다. 먼저, 1단계는, Anatomical main group(약이 적용되는 해부학적인 특성에 따른 14개의 대분류군)을 나타내며 1개의 영문자로 표시한다(예, C : 심혈관계). 2단계는 Therapeutic subgroup(약효에 따른 치료적 세부 분류군)을 나타내며 2개의 숫자로 표시한다(예, C03 : 이뇨제). 3단계는 Pharmacological subgroup(약물학적 특성에 따른 분류)를 나타내며, 1개의 영문자로 표시한다(예, C03C : 고효능 이뇨제). 4단계는 Chemical subgroup(약의 화학적 특성에 따른 분류)를 나타내며 1개의 영문자료 표시한다(예, C03CA : Sulfonamide계 이뇨제). 5단계는 Chemical substance(약의 화학물질적 성분명)을 나타내며 2개의 숫자로 표시한다.(예, C03CA01 : 푸로세미드(Furosemide))The ATC code is an international standard drug classification system managed by WHO's Uppsala Center, and is divided into 5 stages according to anatomy/abbreviation/pharmacological properties/chemical properties/individual ingredients. First, the first stage represents the Anatomical main group (14 large classification groups according to the anatomical characteristics to which the drug is applied) and is indicated by one English letter (eg, C: cardiovascular system). Level 2 represents therapeutic subgroup (therapeutic subgroup according to the drug efficacy) and is indicated by two numbers (eg, C03: diuretic). Step 3 represents the Pharmacological subgroup (classification according to pharmacological properties), and is indicated by one English letter (eg, C03C: high-efficiency diuretic). Step 4 represents the Chemical subgroup (classification according to the chemical properties of the drug) and indicates one English data (eg, C03CA: Sulfonamide diuretic). Step 5 represents the chemical substance (name of the chemical substance of the drug) and is indicated by two numbers (e.g. C03CA01: Furosemide).

단말기(200)는 웹서버(100)와 통신하여 상기 단말기의 사용자 자신에 대응하는 맞춤약제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한다. 단말기(200)는 스마트폰, 컴퓨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워크스테이션(work station) 및 기타의 개인휴대 단말기 등이 될 수 있다. The terminal 200 communicates with the web server 100 to receive and store customized drug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user of the terminal. The terminal 200 may be a smart phone, a computer, personal digital assistants (PDAs), a work station, and other personal portable terminals.

단말기(200)는 바코드 또는 QR코드 및 OCR을 이용하여 처방전을 인식하는 입력수단이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바코드 또는 QR코드 및 OCR을 이용하여 처방전을 인식하는 입력수단은 단말기(200)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과 연결되어 입력수단에 의해 처방전을 인식하면 인지된 ATC코드를 비교하는 어플리케이션의 다음 단계로 진행될 수 있다. The terminal 200 may be configured with an input means for recognizing a prescription using a barcode or a QR code and an OCR. The input means for recognizing the prescription using such a barcode or QR code and OCR is connected to the application installed in the terminal 200 and when the prescription is recognized by the input means, the application can proceed to the next step of the application comparing the recognized ATC codes. have.

즉, 단말기(200)는 사전에 저장된 ATC코드와 인지된 처방전의 ATC코드를 비교하여 금기약제, 주의약제 및 예외약제로 구분할 수 있다.That is, the terminal 200 may compare the ATC code stored in advance with the ATC code of the recognized prescription and classify it into contraindicated drugs, caution drugs, and exception drugs.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ATC코드 기반 약물에 의한 알레르기 위험도 평가하는 것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Figure 2 is a flow chart showing the evaluation of the risk of allergy caused by ATC code-based drug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S202단계에서 상기 단말기 사용자로부터 약품 검색을 입력받는다. 약품의 입력은 상기 단말기 사용자가 단말기를 통해 상품명을 입력받는 것, 상기 약품의 크기를 입력받는 것, 상기 약품의 형상을 입력받는 것, 상기 약품의 성분명을 입력받는 것, 상기 약품의 포장지 또는 처방전에 기록된 바코드를 입력받는 것, 상기 약품의 포장지 또는 처방전에 기록된 QR코드를 입력받는 것, 상기 약품의 주요 성분을 입력받는 것 등의 방법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First, in step S202, a drug search is input from the terminal user. The input of the drug is that the terminal user receives the product name through the terminal, the size of the drug, the shape of the drug, the ingredient name of the drug, and the packaging paper or prescription of the drug. It may be any one of a method such as receiving a barcode recorded in the input, receiving a QR code recorded on the packaging paper or prescription of the drug, and receiving inputting the main ingredients of the drug.

S204단계에서 상기 입력된 검색에 따라 입력된 약품검색에 대응하는 ATC코드를 검색하여 상기 검색된 약품의 성분을 인지한다. In step S204, the ATC code corresponding to the input drug search is searched according to the input search, and the component of the searched drug is recognized.

S206단계에서 상기 검색된 약품의 성분이 상기 검색어를 입력한 사용자에게 사용 가능한 약품인지의 여부를 진단한다. In step S206, it is diagnosed whether the ingredient of the searched drug is a drug that can be used by the user who has entered the search word.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2의 ATC코드를 검색하여 검색된 약품의 성분을 인지하는 단계를 보다 상세하게 나타낸 순서도이다. 3 is a flow chart showing in more detail the step of recognizing the ingredient of the searched drug by searching the ATC code of FIG. 2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조하면, S302단계에서 단말기(200)를 통해 입력된 검색에 따라 입력된 약품검색에 대응하는 ATC코드를 검색하여 검색된 약품의 성분을 인지한다. 성분의 인지는 ATC코드의 3단계 내지 5단계이지만, 1단계 및 2단계도 고려사항이다. Referring to FIG. 3, in step S302, the ATC code corresponding to the input drug search is searched according to the search input through the terminal 200 to recognize the ingredient of the searched drug. Recognition of the component is from steps 3 to 5 of the ATC code, but steps 1 and 2 are also a consideration.

S304단계에서 사용자의 단말기(200)를 통해 입력된 약제가 복합제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In step S304,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drug input through the user's terminal 200 is a combination drug.

S304단계에서 상기 입력된 약제가 복합제인 경우 상기 약품의 각각의 성분명에 대응하는 각각의 ATC코드로 변환한다(S306단계). In step S304, when the input drug is a combination drug, it is converted into each ATC code corresponding to each ingredient name of the drug (step S306).

S308단계에서 각각의 분류된 성분명의 ATC코드 별로 알레르기 위험성을 평가한다. 이 위험성을 평가하는 단계에게 대해서는 후술하는 도 4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In step S308, the risk of allergy is evaluated for each ATC code of each classified ingredient. The step of evaluating this risk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4 to be described later.

S310단계에서 단말기(200)를 통해 입력된 약제가 복합제가 아닌 경우 상기 약품에 대응하는 ATC코드로 변환한다. In step S310, if the drug input through the terminal 200 is not a combination drug, it is converted into an ATC code corresponding to the drug.

S312단계에서 상기 약품에 대응하는 ATC코드의 위험성을 평가한다. 여기서 S308단계 및 S312단계에서 수행되는 위험성의 평가는 단말기(200)를 통해 수행되며, 웹서버(100)를 통해 수신한 각 개인별로 구분된 ATC코드의 금기약제(군), 주의약제(군) 및 예외약제(군)으로 구분된 정보와 단말기를 통해 S202단계에서 입력된 해당 약품의 ATC코드를 비교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후술하는 도 4의 평가단계는 S308단계 및 S312단계이며 유사한 평가과정을 거치기 때문에 후술하는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In step S312, the risk of the ATC code corresponding to the drug is evaluated. Here, the risk assessment performed in steps S308 and S312 is performed through the terminal 200, and contraindications (groups) and cautionary drugs (groups) of ATC codes classified for each individual received through the web server 100 And comparing the information classified by the exception drug (group) with the ATC code of the drug entered in step S202 through the terminal. In addition, since the evaluation steps of FIG. 4 to be described later are steps S308 and S312 and undergo similar evaluation processes, a description will be made with reference to FIG. 4 to be described later.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3의 평가단계를 나타낸 순서도이다. 4 is a flow chart showing an evaluation step of FIG. 3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S308에서의 평가단계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S402단계에서 상기 제1 변환단계에서 변환된 각각의 ATC코드와 상기 웹서버(100)로부터 수신하여 단말기(200)에 에 저장된 ATC코드를 비교한다. First, the evaluation step in S308 will be described. In step S402, each of the ATC codes converted in the first conversion step and the ATC codes received from the web server 100 and stored in the terminal 200 are compared.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ATC코드와 그에 대응하는 성분명을 나타낸 표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성분명에 따른 정렬된 ATC코드를 타나낸 표이다. 즉, 상기 금기약제의 성분은 상기 ATC코드를 1단계 및 2단계과 관계 없이 동일 성분이 있는 경우에는 3단계, 4단계 및 5단계의 성분에 따라 구분하여 고, 5 is a table showing ATC codes and component names corresponding thereto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6 is a table showing aligned ATC codes according to component nam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at is, the ingredients of the contraindicated drug are classified according to the ingredients in steps 3, 4 and 5 when the ATC code has the same ingredients regardless of steps 1 and 2,

S404단계에서 상기 S402단계에서의 비교결과 상기 변환된 ATC코드가 상기 웹서버(100)로부터 수신하여 저장된 금기약제에 포함되는 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In step S404, as a result of the comparison in step S402,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converted ATC code is received from the web server 100 and included in the stored contraindications.

이때, 도 5 및 도 6에서와 같이 해당 약제와 관련된 약제도 모두 금기약제에 포함시킨다. At this time, as shown in FIGS. 5 and 6, all drugs related to the drug are also included in contraindications.

즉, 도 6의 최하단에 표시된 chloramphenicol이라는 약을 먹지 말아야 하는 환자들의 경우 ATC코드 기반으로 차리하는 하게되면 D06AX02, D10AF03, G01AA05, J01BA01, S01AA01, S03AA08 코드에 대응하는 성분을 포함하는 약제가 블록(block)된다. 만약, 기존의 ATC코드만을 비교하는 경우에는 J01BA01만이 금기약제로 블록될 것이다. That is, in the case of patients who should not take the drug chloramphenicol shown at the bottom of FIG. 6, if they are prepared based on the ATC code, drugs containing components corresponding to the codes D06AX02, D10AF03, G01AA05, J01BA01, S01AA01, S03AA08 are blocked. )do. If only the existing ATC code is compared, only J01BA01 will be blocked as a contraindication.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ATC코드를 편집하여 등록한 것을 나타낸 ATC코드를 수정한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7 is a view showing a modified ATC code indicating that the ATC code is edited and register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을 참조하면, knowledge, ontology 기반으로 진통소염제에 대한 2ndary DB를 구축하는 과정이다. 다음과 같이 수정된 ATC코드에 대하여 보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실제로 시판되고 있는 진통소염제 중 분류/유통 등의 목적으로 ATC code: M01A 이외의 코드로 매핑(mapping)되어 있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진통소염제와 관련된 약물알레르기 사고를 적절히 예방하기 위해서는, 목적에 맞게 ATC코드를 수정한 제2 라이브러리(2ndary library)가 필요하고, 실제 분석을 할 때 WHO에서 발표한 ATC code에 도 7과 같이 제2 라이브러리를 구성하였다. Referring to FIG. 7, it is a process of constructing a 2ndary DB for analgesic anti-inflammatory drugs based on knowledge and ontology. The modified ATC code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as follows. First, since there are many cases that are mapped to codes other than ATC code: M01A for the purpose of classification/distribution among actual analgesic anti-inflammatory drugs, in order to properly prevent drug allergy accidents related to analgesic anti-inflammatory drugs, A second library with corrected ATC code was required, and when actual analysis was performed, a second library was constructed as shown in FIG. 7 in the ATC code published by WHO.

예를 들면 안구통증 등을 조절하기 위해 사용되는 진통소염제 안약인 bromfenac이라는 ATC코드 기준으로 S01BC11으로 코딩되어 있다. Bromfenac 경구 진통소염제가 없기 때문에 M01A 그룹으로 묶이지 않고, 대신 안약으로 분류되기 때문에 S01 하위 카테고리로 분류되어 있다. 하지만 진통소염제 과민반응이 있는 환자들은 진통소염제 안약에 대해서도 과민반응을 보이기 때문에, 진통소염제 과민반응 환자들은 진통소염제 안약 또는 파스 제제도 복용하지 않도록 묶어서 설정되해야 한다. 이를 위해 WHO에서 배포(release)하는 ATC코드에서는 S01BC11 코드만 부여되어 있는 bromfenac을 예를 들면 M01AX99과 같이 진통소염제 카테고리에 해당하는 코드를 인위적으로 묶도록 하여 ATC코드만으로 알레르기에 의한 부작용을 더 철저하게 방지하도록 하였다. For example, it is coded as S01BC11 based on the ATC code called bromfenac, an analgesic anti-inflammatory ophthalmic drug used to control eye pain. Bromfenac is not classified into the M01A group because it has no oral analgesic anti-inflammatory drugs, but is classified into the S01 subcategory because it is instead classified as an eye drop. However, since patients with anti-pain anti-inflammatory hypersensitivity reactions also show hypersensitivity to anti-pain anti-inflammatory eye drops, patients with anti-pain anti-inflammatory drug hypersensitivity should be set so as not to take anti-pain anti-inflammatory eye drops or parse preparations. To this end, in the ATC code released by the WHO, bromfenac, which has only the S01BC11 code, is artificially tied to the code corresponding to the analgesic category, such as M01AX99, so that side effects caused by allergies are more thoroughly eliminated with only the ATC code. To prevent it.

한편, 상기 금기약제의 성분은 ATC코드의 3단계, 4단계 및 5단계의 성분을 검색하여 동일한 성분이 있는 경우에는 ATC코드의 제1 단계 및 제2 단계와 관계없이 동일 성분이 있는 것으로 간주하여 금기약제에 포함시키도록 구성된다. 즉, 사용분야에 관계없이 금기약제와 동일한 성분의 약제가 포함된 경우에는 금기약제로 묶어서 분류한다.On the other hand, the ingredients of the contraindication drug are searched for ingredients in steps 3, 4, and 5 of the ATC code, and if there is the same ingredient, it is regarded as having the same ingredient regardless of the first and second steps of the ATC code. It is structured to include in contraindications. In other words, regardless of the field of use, when drugs with the same ingredients as contraindications are included, they are classified as contraindications.

S404단계에서의 판단결과 상기 변환된 ATC코드가 금기약제에 포함되는 경우에는 예외약제에 포함되는 지의 여부를 판단한다(S406단계).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in step S404, if the converted ATC code is included in the contraindication, it is determined whether or not it is included in the exception drug (step S406).

S406단계에서의 판단결과 상기 변환된 ATC코드가 예외약제에 포함되는 경우에는 복용가능함으로 표시한다(S408단계).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in step S406, if the converted ATC code is included in the exception drug, it is marked as available for use (step S408).

S404단계에서의 판단결과 상기 변환된 ATC코드가 상기 웹서버에 저장된 주의약제에 포함되는 지의 여부를 판단한다(S410단계). 한편, 주의약제도 도 5 내지 도 7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수정된 제2 라이브러리에 의해 주의약제로 묶여진 약제가 모두 주의약제로 설정된다.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in step S404, it is determined whether or not the converted ATC code is included in the caution drug stored in the web server (step S410). On the other hand, the caution drug system, all the drugs bound as caution drugs by the modified second library a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5 to 7 are set as caution drugs.

마찬가지로 주의약제의 성분은 ATC코드의 3단계, 4단계 및 5단계의 성분을 검색하여 동일한 성분이 있는 경우에는 ATC코드의 제1 단계 및 제2 단계와 관계없이 동일 성분이 있는 것으로 간주하여 주의약제에 포함시키도록 구성된다. 즉, 사용분야에 관계없이 주의약제와 동일한 성분의 약제가 포함된 경우에는 주의약제로 묶어서 분류한다. Similarly, ingredients of caution drugs are searched for components in steps 3, 4, and 5 of the ATC code, and if the same component is found, it is regarded as having the same component regardless of steps 1 and 2 of the ATC code. It is configured to include in. In other words, regardless of the field of use, if a drug with the same ingredients as a caution drug is included, it is classified as a caution drug.

S410단계에서의 판단결과 상기 변환된 ATC코드가 주의약제에 포함되지 않는 경우에는 복용가능함으로 표시하는 단계인 S408단계로 진행한다.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in step S410, if the converted ATC code is not included in the caution drug, the process proceeds to step S408, which indicates that it can be taken.

S410단계에서의 판단결과 상기 변환된 ATC코드가 주의약제에 포함되는 경우에는 예외약제에 포함되는 지의 여부를 판단한다(S412단계).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in step S410, if the converted ATC code is included in the caution drug, it is determined whether it is included in the exception drug (step S412).

S412단계에서의 판단결과 상기 변환된 ATC코드가 예외약제에 포함되는 경우에는 복용가능함으로 표시하는 단계인 S408단계로 진행한다.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in step S412, if the converted ATC code is included in the exception drug, the process proceeds to step S408, which indicates that it can be taken.

상기 S406단계 및 S412단계에서의 판단결과 상기 변환된 ATC코드에 대응하는 약제가 각각 금기약제 또는 주의약제이며 예외약제에도 포함되지 않는 경우에는 각각 금기약제 및 주의약제임을 표시한다(S414단계, S416단계).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in steps S406 and S412, if the drug corresponding to the converted ATC code is a contraindication or caution drug and is not included in the exception drug, it is indicated that it is a contraindication drug and a caution drug (steps S414 and S416). ).

한편, S312단계의 평가단계는 S308단계의 평가단계와 유사하며, 다만 S312단계의 평가는 복합제가 아닌 경우이므로 하나의 약품에 대응하는 하나의 약제에 대한 평가이다. 따라서 S312의 약품이 복합제가 아닌 경우의 평가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On the other hand, the evaluation step of step S312 is similar to the evaluation step of step S308, except that the evaluation of step S312 is an evaluation of one drug corresponding to one drug since it is not a combination drug. Therefore, the description of the evaluation of the case where the drug of S312 is not a combination drug will be omitted.

상기 본 발명의 내용은 도면에 도식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The cont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illustrated in the drawings, but this is only exemplary, and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will understan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other equivalent embodiments are possible therefrom. will be. Therefore, the true technical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technical spirit of the appended claims.

100 : 웹서버 200 : 단말기100: web server 200: terminal

Claims (7)

네트워크에 접속가능한 단말기에 의해 수행되는 성분명 기반 알레르기 위험도 평가 방법에 있어서,
약품의 성분 별로 금기약제, 주의약제 및 예외약제로 구분하여 환자별 맞춤약제정보가 ATC코드로 저장된 웹서버와 통신하여 상기 단말기의 사용자에 대응하는 맞춤약제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단말기 사용자로부터 약제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
상기 약제 정보에 의해 지시되는 약품이 복합제인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약품이 복합제인 경우 복합제를 구성하는 각각의 성분명을 대응하는 각각의 ATC코드로 변환하여 변환된 각각의 ATC코드 별로 알레르기 위험성을 평가하고, 상기 약품이 복합제가 아닌 경우 상기 약품에 대응하는 ATC코드로 변환하여 변환된 ATC코드에 의해 상기 약품의 알레르기 위험성을 평가하는 평가단계; 및
알레르기 위험성 평가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약품이 상기 사용자에게 사용 가능한 약품인지의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성분명 기반 알레르기 위험도 평가 방법.
In the ingredient name-based allergy risk assessment method performed by a terminal accessible to a network,
Categorizing each drug component into contraindications, cautionary drugs, and exception drugs, and receiving customized drug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a user of the terminal by communicating with a web server in which personalized drug information for each patient is stored as ATC code;
Receiving drug information from the terminal user;
Determining whether the drug indicated by the drug information is a combination drug;
If the drug is a combination drug, the name of each ingredient constituting the combination drug is converted into a corresponding ATC code to evaluate the risk of allergy for each converted ATC code, and if the drug is not a combination drug, the ATC code corresponding to the drug An evaluation step of evaluating the risk of allergy of the drug by the ATC code converted to and converted into; And
Determining whether or not the drug is a drug that can be used by the user based on the result of the allergy risk assessmen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약제정보를 입력받는 단계는,
상기 단말기 사용자가 단말기를 통해 상품명을 입력받는 것, 상기 약품의 크기를 입력받는 것, 상기 약품의 형상을 입력받는 것, 상기 약품의 성분명을 입력받는 것, 상기 약품의 포장지 또는 처방전에 기록된 바코드를 입력받는 것, 상기 약품의 포장지 또는 처방전에 기록된 QR코드를 입력받는 것, 상기 약품의 주요 성분을 입력받는 것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입력받는 것 중 하나인 성분명 기반 알레르기 위험도 평가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receiving of the drug information from the terminal user comprises:
The terminal user receives the product name through the terminal, the size of the drug, the shape of the drug, the ingredient name of the drug, and the barcode recorded on the packaging or prescription of the drug Receiving an input, receiving input of the QR code recorded on the packaging paper or prescription of the drug, and receiving input of at least one of the main ingredients of the drug, the ingredient name-based allergy risk assessment method.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평가단계는,
상기 약품이 복합제인 경우 변환된 각각의 ATC코드와 상기 웹서버로부터 수신하여 단말기에 저장된 ATC코드를 비교하는 단계;
상기 비교단계에서의 비교결과 상기 변환된 ATC코드가 상기 웹서버로부터 수신하여 단말기에 저장된 금기약제에 포함되는 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제1 판단단계;
상기 제1 판단단계에서의 판단결과 상기 변환된 ATC코드가 금기약제에 포함되는 경우에는 예외약제에 포함되는 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제2 판단단계;
상기 제2 판단단계에서의 판단결과 상기 변환된 ATC코드가 예외약제에 포함되는 경우에는 복용가능함으로 표시하는 단계;
상기 제1 판단단계에서의 판단결과 상기 변환된 ATC코드가 상기 웹서버에 저장된 주의약제에 포함되는 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제3 판단단계;
상기 제3 판단단계에서의 판단결과 상기 변환된 ATC코드가 주의약제에 포함되는 경우에는 예외약제에 포함되는 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제4 판단단계;
상기 제4 판단단계에서의 판단결과 상기 변환된 ATC코드가 예외약제에 포함되는 경우에는 복용가능함으로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판단단계 및 상기 제4 판단단계에서 판단결과 상기 변환된 ATC코드에 대응하는 약제가 각각 금기약제 또는 주의약제이며 예외약제에도 포함되지 않는 경우에는 각각 금기약제 및 주의약제임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인 성분명 기반 알레르기 위험도 평가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evaluation step,
Comparing each converted ATC code with an ATC code received from the web server and stored in a terminal when the drug is a combination drug;
A first determination step of determining whether the converted ATC code as a result of the comparison in the comparison step is included in the contraindication drug received from the web server and stored in the terminal;
A second determination step of determining whether or not the converted ATC code is included in the contraindication drug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in the first determination step;
If the converted ATC code is included in the exception drug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in the second determination step, indicating that it is usable;
A third determination step of determining whether or not the converted ATC code is included in the caution drug stored in the web server as a result of determination in the first determination step;
A fourth determination step of determining whether or not the converted ATC code is included in the caution drug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in the third determination step;
If the converted ATC code is included in the exception drug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in the fourth determination step, indicating that it is available for use; And
Indicating that the drugs corresponding to the converted ATC code as a result of determination in the second determination step and the fourth determination step are contraindications or cautionary drugs, respectively, and are not included in exception drugs, respectively; That component name-based allergy risk assessment method comprising a.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180172931A 2018-12-28 2018-12-28 Method for evaluating the risk of allergy based on component name KR10219882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72931A KR102198829B1 (en) 2018-12-28 2018-12-28 Method for evaluating the risk of allergy based on component n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72931A KR102198829B1 (en) 2018-12-28 2018-12-28 Method for evaluating the risk of allergy based on component n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83806A KR20200083806A (en) 2020-07-09
KR102198829B1 true KR102198829B1 (en) 2021-01-06

Family

ID=716024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72931A KR102198829B1 (en) 2018-12-28 2018-12-28 Method for evaluating the risk of allergy based on component n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98829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33323A (en) * 2021-09-01 2023-03-08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Apparatus, method and recording medium for assisting use of eye drops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144883A1 (en) * 2002-01-30 2003-07-31 Magnus Fagerholm Method for analyzing side effects and interactions of pharmaceuticals
JP5317783B2 (en) * 2009-03-25 2013-10-16 株式会社東芝 Drug information management device, drug information management method, and drug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24554A (en) 2016-08-30 2018-03-08 루크코리아 주식회사 Apparatus and method for analyzing insert paper text for mobile heathcare management servic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144883A1 (en) * 2002-01-30 2003-07-31 Magnus Fagerholm Method for analyzing side effects and interactions of pharmaceuticals
JP5317783B2 (en) * 2009-03-25 2013-10-16 株式会社東芝 Drug information management device, drug information management method, and drug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83806A (en) 2020-07-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30274229A1 (en) Computer-implemented system and method for associating prescription data and de-duplication
CN108986879B (en) Medicine recommendation method, device, computer equipment and storage medium
CN112700838A (en) Big data-based medication scheme recommendation method and device and related equipment
CN110910976A (en) Medical record detection method, device, equipment and storage medium
US20150356272A1 (en) Prescription analysis system and method for applying probabilistic model based on medical big data
KR101920466B1 (en) Method, system and portable device able to analyze the prescription drug
US20170083681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a clinical presentation related to controlled substance abuse or diversion
US11501864B1 (en)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ing pharmacy processing of electronic prescriptions
US20170046491A1 (en) Data mining system and method for predicting information content from a network data stream
CN109671476A (en) Recognition methods, device, terminal and the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of unrelated medication
Ball et al. Evaluating automated approaches to anaphylaxis case classification using unstructured data from the FDA Sentinel System
Welberry et al. Psychotropic medicine prescribing and polypharmacy for people with dementia entering residential aged care: the influence of changing general practitioners
KR102198829B1 (en) Method for evaluating the risk of allergy based on component name
KR102350145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tching Medicine Code
Martins et al. Generation of infectious waste during the COVID-19 pandemic: The case of a Brazilian hospital
CN109545320A (en) Medicine method of specifying error and terminal device are taken based on data processing
Hendrie et al. Experience in adverse events detection in an emergency department: incidence and outcome of events
KR102405985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Medication Guidance
Talebi et al. Medication interaction and physicians' compliance assessment through medication reconciliation forms in a university affiliated hospital
US11664120B1 (en) Apparatuses, systems, and methods for reducing return of prescriptions to stock
US20190237178A1 (en) Method to reduce errors, identify drug interactions, improve efficiency, and improve safety in drug delivery systems
JP7120677B2 (en) Medication audit processing system, method, and computer program
Anderson Information technology in medical practice: safety and privacy lessons from the United Kingdom
Adam et al. Content and usability evaluation of patient oriented drug-drug interaction websites
Ajumobi et al. Identification of non-fatal opioid overdose cases using 9-1-1 computer assisted dispatch and prehospital patient clinical record variabl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