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98042B1 - 조립식 신발 - Google Patents

조립식 신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98042B1
KR102198042B1 KR1020190144928A KR20190144928A KR102198042B1 KR 102198042 B1 KR102198042 B1 KR 102198042B1 KR 1020190144928 A KR1020190144928 A KR 1020190144928A KR 20190144928 A KR20190144928 A KR 20190144928A KR 102198042 B1 KR102198042 B1 KR 1021980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sole
midsole
protrusion
hole
coup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449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효진
이규선
Original Assignee
박효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효진 filed Critical 박효진
Priority to KR10201901449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9804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980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980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9/00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assembling of the individual part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28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ir attachment, also attachment of combined soles and heels
    • A43B13/36Easily-exchangeable sole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23/00Uppers; Boot legs; Stiffeners; Other single parts of footwear
    • A43B23/02Uppers; Boot legs
    • A43B23/0245Uppers; Boot leg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Landscapes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립식 신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 아웃솔, 미드솔, 내피 및 인솔을 포함하고, 상기 아웃솔, 미드솔, 내피 및 인솔이 순서대로 적층되는 조립식 신발에 있어서, 상기 아웃솔, 미드솔, 내피 및 인솔을 결합시키는 외피를 더 포함하고, 상기 아웃솔은, 상기 외피가 삽입되는 다수개의 아웃솔홀을 포함하며, 상기 외피는, 상기 아웃솔과 미드솔 사이에 구비되는 외피 본체와 상기 외피 본체의 측면에 탄성소재로 상기 외피 본체의 중앙부를 향하여 회동가능하며 양측에 대응되도록 구비되는 다수개의 결합스틱을 포함하고, 상기 다수개의 결합스틱은, 각각 단부에 스틱홀을 포함하여, 조립 시 상기 다수개의 결합스틱이 상기 아웃솔의 외측방향으로 상기 다수개의 아웃솔홀에 각각 대응되도록 삽입되고, 상기 내피의 외주면을 감싼 상태에서 상기 스틱홀에 고정수단을 묶어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조립식 신발{Assembling shoes}
본 발명은 조립식 신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신발의 각 구성요소를 재봉이나 접착제의 사용 없이 조립식으로 제조하되, 신발의 사용 목적에 따라 선택적으로 구성요소를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는 조립식 신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슬리퍼, 샌들, 구두, 운동화 등의 각종 신발은 주로 밑창과 갑피로 분할 구성되며, 상기 밑창에 재봉이나 접착제를 사용하여 갑피를 결합 구성하고 있는 실정이었으나, 이러한 종래 신발의 경우 장시간 사용하게 되면 밑창과 갑피가 결합된 부분에 재봉이 떨어지거나 접착제의 수명이 다 되어서 갑피가 밑창에서 쉽게 이탈되어 신발 자체를 사용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밑창과 갑피의 결합부위를 수리하여 재사용하더라도 얼마가지 못하여 다시 떨어지는 단점과 더불어서 밑창의 노후로 바닥부분이 닳거나 파손되었을 시 밑창만 교체할 수 없어서 노후 및 파손된 부위에 관계없이 신발 전체를 새로 구입해야 하므로 재 구입비용이 증가하는 등 다수의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이러한 종래 일반적인 신발의 문제점을 해결코자 근자에 들어 하기의 선행기술문헌에서와 같이 조립식으로 이루어지도록 한 신발이 개발되고 있으며,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0013028(2005.2.2.)호에서는 밑창과 갑피를 지퍼로 조립되도록 한 운동화나 갑피와 밑창을 볼트, 너트로 연결되도록 한 신발에 대하여 기재되어 있으나, 이러한 종래 조립식 운동화 등의 신발은 전체 신발의 구성부재 중 일부 구성부재만 분리되고, 나머지 구성부재들은 모두 기존 재봉이나 접착제를 사용하여 제작되며, 그리고 신발의 조립을 위해 신발의 구성부재와는 별도의 지퍼 또는 볼트, 너트 등의 조립수단을 구비해야 하는 단점이 있었다.
그리고, 현대사회에서는 사용자의 다양한 욕구와 기술 혁신의 가속화로 인해 제품의 수명 주기가 짧아지고 있음에 따라 버려지는 신발로 인한 환경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일례로, 디자인의 유행의 변화로 인해 버려지는 신발이 증가하고 있고, 그로인한 환경처리비용 증가는 국가와 소비자에게 돌아오는 악순환이 반복되고 있는 것이다.
또한, 사용 목적에 따른 일례로, 워킹화, 런닝화, 축구화 등과 같이 분야별 최적화된 신발의 수요가 증가하고 있지만, 다양한 취미생활을 위해서는 개별적으로 구매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대한민국공개특허 제10-2005-0013028호(2005.02.02.)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신발의 각 구성요소를 재봉이나 접착제의 사용 없이 조립식으로 제조하되, 신발의 사용 목적에 따라 선택적으로 구성요소를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는 조립식 신발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여기에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신발에 있어서, 아웃솔, 미드솔, 내피 및 인솔을 포함하고, 상기 아웃솔, 미드솔, 내피 및 인솔이 순서대로 적층되는 조립식 신발에 있어서, 상기 아웃솔, 미드솔, 내피 및 인솔을 결합시키는 외피를 더 포함하고, 상기 아웃솔은, 상기 외피가 삽입되는 다수개의 아웃솔홀을 포함하며, 상기 외피는, 상기 아웃솔과 미드솔 사이에 구비되는 외피 본체와 상기 외피 본체의 측면에 탄성소재로 상기 외피 본체의 중앙부를 향하여 회동가능하며 양측에 대응되도록 구비되는 다수개의 결합스틱을 포함하고, 상기 다수개의 결합스틱은, 각각 단부에 스틱홀을 포함하여, 조립 시 상기 다수개의 결합스틱이 상기 아웃솔의 외측방향으로 상기 다수개의 아웃솔홀에 각각 대응되도록 삽입되고, 상기 내피의 외주면을 감싼 상태에서 상기 스틱홀에 고정수단을 묶어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아웃솔은 상기 아웃솔의 하부일측에 지면방향으로 돌출되어 구비되는 돌출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돌출부재는 상기 돌출부재의 중앙부에 지면과 평행한 방향으로 구비되는 돌출홀을 포함하여, 조립 시 상기 다수개의 결합스틱이 상기 돌출홀에 삽입되도록 하여 결합력을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상기 미드솔은, 상기 미드솔의 하부일측에 지면방향으로 돌출되어 구비되는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돌기는 상기 돌기의 중앙부에 지면과 평행한 방향으로 구비되는 돌기홀을 포함하며, 상기 아웃솔은 상기 아웃솔의 일측에 상기 돌기에 대응되도록 구비되는 아웃솔홈을 더 포함하고, 조립 시 상기 다수개의 결합스틱이 상기 돌기홀에 삽입되고, 상기 돌기가 상기 아웃솔홈에 삽입된 후, 상기 내피의 외주면을 감싼 상태에서 상기 스틱홀에 고정수단을 묶어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은, 조립 시 상기 외피본체가 상기 내피의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다수개의 결합스틱이 상기 내피의 상부에서 하부방향으로 회동하여 상기 돌기홀에 삽입되어 고정됨으로써, 상기 고정수단을 묶는 과정을 생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상기 돌기는, 다수개로 구비되고, 조립 시 상기 다수개의 결합스틱은 각각 상기 다수개의 돌기홀에 지그재그 형태로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과제의 해결 수단에 의해, 본 발명의 조립식 신발은, 구성별로 수명이 다한 낡은 부분의 교체가 가능하여 효율적이며, 반영구적으로 사용가능한 조립식 신발을 제공하는데 그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신발은, 구성별 교체가 가능하여 신발의 용도에 따라 선택적으로 구성의 교체가능한 조립식 신발을 제공하는데 그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신발은, 구성별 교체가 가능하여 상황에 따라 선택적으로 디자인을 변경할 수 있는 조립식 신발을 제공하는데 그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신발은, 접착제를 사용하지 않고 조립하여 제작함으로써 환경친화성을 높일 수 있는 조립식 신발을 제공하는데 그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신발은, 구성별 교체가 가능하여 상황에 따라 선택적으로 신발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어 사용자의 키를 조절할 수 있는 조립식 신발을 제공하는데 그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신발은, 구성별 교체가 가능하여 특히, 발 사이즈의 변화가 큰 성장기의 사용자에게 적합한 크기의 내피 등을 조립하여 사용함으로써, 신발의 구입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데 그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신발은, 조립 및 분해가 용이하여 남녀노소 누구나 사용가능한 조립식 신발을 제공한데 그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신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신발의 조립이 완료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신발의 조립이 완료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의 (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신발의 돌출부재가 구비되고, 조립이 완료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의 (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신발의 아웃솔홈에 돌기가 삽입되는 모습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4의 (c)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신발의 아웃솔홈에 돌기가 삽입되는 모습을 확대한 다른 도면이다.
도 5의 (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3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신발의 조립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의 (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3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신발의 미드솔홈에 돌기가 삽입되는 모습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6의 (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4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신발의 외피가 상부에서 하부로 회동하여 조립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의 (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4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신발의 돌기홀에 결합스틱이 삽입되는 모습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6의 (c)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4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신발의 돌기홀에 결합스틱이 지그재그 형태로 삽입되는 모습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7의 (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5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신발의 돌출부재가 고정홈에 삽입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의 (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5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신발의 돌출부재가 고정홈에 삽입되는 모습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8의 (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6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신발의 아웃솔홈에 돌기가 삽입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의 (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6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신발의 아웃솔홈에 돌기가 삽입되는 모습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9의 (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7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신발의 미드솔홈에 돌출부재가 삽입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의 (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7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신발의 미드솔홈에 돌출부재가 삽입되는 모습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10의 (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8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신발의 돌기가 고정홈에 삽입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의 (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8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신발의 돌기가 고정홈에 삽입되는 모습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11의 (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9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신발의 돌기가 고정홈에 삽입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의 (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9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신발의 돌기가 고정홈에 삽입되는 모습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12의 (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0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신발의 조립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의 (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0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신발의 미드솔홈에 돌출부재가 삽입되는 모습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13의 (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1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신발의 조립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의 (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1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신발의 돌출부재가 고정홈에 삽입되는 모습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14의 (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2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신발의 조립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4의 (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2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신발의 H빔부재의 모습을 확대한 도면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고, 본 발명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대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과제의 해결 수단, 발명의 효과를 포함한 구체적인 사항들은 다음에 기재할 실시 예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신발은,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아웃솔(100), 미드솔(300), 내피(400) 및 인솔(500)을 포함하고, 상기 아웃솔(100), 미드솔(300), 내피(400) 및 인솔(500)이 순서대로 적층되는 조립식 신발에 있어서, 상기 아웃솔(100), 미드솔(300), 내피(400) 및 인솔(500)을 결합시키는 외피(20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아웃솔(100)은, 상기 외피(200)가 삽입되는 다수개의 아웃솔홀(110)을 포함하며, 상기 외피(200)는, 상기 아웃솔(100)과 미드솔(300) 사이에 구비되는 외피 본체(210)와 상기 외피 본체(210)의 측면에 탄성소재로 상기 외피 본체(210)의 중앙부를 향하여 회동가능하며 양측에 대응되도록 구비되는 다수개의 결합스틱(220)을 포함하고, 상기 다수개의 결합스틱(220)은, 각각 단부에 스틱홀(230)을 포함하여, 조립 시 상기 다수개의 결합스틱(220)이 상기 아웃솔(100)의 외측방향으로 상기 다수개의 아웃솔홀(110)에 각각 대응되도록 삽입되고, 상기 내피(400)의 외주면을 감싼 상태에서 상기 스틱홀(230)에 고정수단(600)을 묶어 고정하여 조립된다.
먼저, 상기 아웃솔(100)이 마련된다. 상기 아웃솔(100)은 지면에 놓이는 부분으로 체중의 분산과 충격 흡수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탄성소재로 형성된다. 또한, 발의 편안함을 위하여 유연성과 신축성을 가진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아웃솔(100)은 지면의 이물질로부터 상기 미드솔(300) 및 내피(400)를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다음으로, 상기 미드솔(300)이 마련된다. 상기 미드솔(300)은 상기 아웃솔(100)과 내피(400) 사이에 구비되고, 체중의 분산과 충격 흡수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탄성소재로 형성된다.
다음으로, 상기 내피(400)가 마련된다. 상기 내피(400)는 상기 미드솔(300)의 상부에 구비되며 사용자의 발바닥, 발등 및 발뒤꿈치를 감쌀 수 있도록 내부에 공간을 마련한다. 즉, 상기 내피(400)는 발을 감싸서 보호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내피(400)는 체중의 분산과 충격 흡수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탄성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인솔(500)이 마련된다. 상기 인솔(500)은 사용자의 발바닥이 닿는 부분으로 땀의 흡수가 원활히 이루어 질 수 있도록 흡수성이 높은 소재로 형성된다. 즉, 상기 인솔(500)은 상기 내피(400) 내부에 구비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인솔(500)은 체중의 분산과 충격 흡수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탄성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외피(200)가 마련된다. 상기 외피(200)는 상기 아웃솔(100), 미드솔(300), 내피(400) 및 인솔(500)을 결합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보다 상세하게, 상기 외피(200)는 상기 아웃솔(100)과 미드솔(300) 사이에 구비되는 외피 본체(210)와 상기 외피 본체(210)의 측면에 탄성소재로 상기 외피 본체(210)의 중앙부를 향하여 회동가능하며 양측에 대응되도록 구비되는 다수개의 결합스틱(220)을 포함한다.
먼저, 상기 외피 본체(210)는 상기 아웃솔(100)의 상부에 구비되며, 충격에 견딜 수 있도록 강성이 높은 소재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외피 본체(210)는 강성을 유지하면서, 공기의 순환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트러스트 구조로 형성된다. 즉, 상기 외피 본체(210)는 강성을 유지하면서, 공기의 순환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트러스트홀(211)을 다수개 구비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다수개의 결합스틱(220)은 상기 외피 본체(210)를 기준으로 양측에 대응되도록 구비된다. 상기 다수개의 결합스틱(220)은 상기 외피 본체(210)의 중앙부 방향으로 각각 구부러져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다수개의 결합스틱(220)은 상기 외피 본체(210)의 전방으로 각각 구부러져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다수개의 결합스틱(220)은 탄성소재로 형성되어 상기 외피 본체(210)의 중앙부를 향하여 일정량 회동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상기 다수개의 결합스틱(220)은 하기 아웃솔홀(110)에 용이하게 삽입되어 질 수 있도록 전체적으로 탄성을 가지는 것이다.
또한, 상기 다수개의 결합스틱(220)은 단부에 각각 상기 스틱홀(230)이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아웃솔(100)은 상기 외피(200)가 삽입되는 다수개의 아웃솔홀(110)을 포함한다. 따라서, 조립 시 상기 다수개의 결합스틱(220)이 상기 아웃솔(100)의 외측방향으로 상기 다수개의 아웃솔홀(110)에 각각 대응되도록 삽입되고, 상기 내피(400)의 외주면을 감싼 상태에서 상기 스틱홀(230)에 상기 고정수단(600)을 묶어 고정하여 조립되는 것이다. 상기 고정수단(600)은 끈, 밸크로 및 밴드형태가 될 수 있으며, 상기 조립식 신발을 고정할 수 있다면 어떠한 형태로든 구비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신발의 조립순서는 먼저, 상기 다수개의 아웃솔홀(110)에 각각 상기 다수개의 결합스틱(220)이 대응되도록 삽입한다. 이후, 상기 아웃솔(100)의 상부에 상기 미드솔(300), 내피(400) 및 인솔(500)을 순서대로 적층시킨다. 이후, 상기 다수개의 결합스틱(220)을 회동시켜 즉, 사용자의 발등의 중앙부로 구부림으로써, 상기 스틱홀(230)이 상기 사용자 발등의 상측 중앙부로 위치되도록 한다. 결과적으로, 상기 다수개의 결합스틱(220)이 상기 미드솔(300)과 내피(400)를 감싼 상태가 된다, 이후, 상기 고정수단(600)을 상기 스틱홀(230)과 서로 대응되는 스틱홀(230)을 묶어 고정되도록 한다.
이를 통하여, 신발의 일부 부품이 손상되는 경우에 그 일부 부품만을 교체할 수 있으며, 사용 용도나 취향에 따라 각 부품을 교체하여 신발의 기능성을 변경하거나 디자인을 변경할 수 있으며, 아울러 접착제를 사용하지 않고 조립에 의하여 신발을 완성함으로써 환경친화성을 높일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아웃솔(100)은 상기 아웃솔(100)의 하부일측에 지면방향으로 돌출되어 구비되는 돌출부재(120)를 더 포함하고, 상기 돌출부재(120)는 상기 돌출부재(120)의 중앙부에 지면과 평행한 방향으로 구비되는 상기 돌출홀(130)을 포함하여, 조립 시 상기 다수개의 결합스틱(220)이 상기 돌출홀(130)에 삽입되도록 하여 결합력을 증가시킨다.
보다 상세하게, 상기 아웃솔(100)은 중앙부가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아웃솔(100)의 측면은 지면과 닿는 부분이고, 상기 아웃솔(100)의 중앙부는 오목하게 형성되어, 지면과 닿지 않는 부분인 것이다. 이때, 상기 돌출부재(120)는 상기 아웃솔(100)의 중앙하부에 다수개로 구비된다. 즉, 상기 돌출부재(120)는 지면에 닿지 않도록 구비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상기 돌출부재(120)가 지면에 닿아 사용자가 이물감을 느끼거나, 상기 돌출부재(120)가 손상되어 결합력이 감소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돌출부재(120)는 상기 돌출부재(120)의 중앙부에 지면과 평행한 방향으로 구비되는 상기 돌출홀(130)을 포함한다. 상기 돌출홀(130)은 상기 다수개의 결합스틱(220)이 용이하게 통과할 수 있는 지름을 가지되, 마찰력이 높은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다수개의 결합스틱(220)이 상기 돌출홀(130)을 통과한 후, 상기 돌출홀(130)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결합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신발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실시예는, 제1실시예와 비교하여 돌기(312), 돌기홀(322) 및 아웃솔홈(142)을 포함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1실시예와 중첩되는 구성에 대해서는 일실시예의 설명을 원용한다.
도 4를 참조하면, 미드솔(302)은 상기 미드솔(302)의 하부일측에 지면방향으로 돌출되어 구비되는 상기 돌기(312)를 포함하고, 상기 돌기(312)는 상기 돌기(312)의 중앙부에 지면과 평행한 방향으로 구비되는 상기 돌기홀(322)을 포함하며, 상기 아웃솔(102)은 상기 아웃솔(102)의 일측에 상기 돌기(312)에 대응되도록 구비되는 상기 아웃솔홈(142)을 포함하고, 조립 시 다수개의 결합스틱(222)이 상기 돌기홀(322)에 삽입되고, 상기 돌기(312)가 상기 아웃솔홈(142)에 삽입된 후, 내피(402)의 외주면을 감싼 상태에서 스틱홀(232)에 고정수단(602)을 묶어 고정하여 조립된다.
보다 상세하게, 상기 돌기(312)는 다수개로 상기 미드솔(302)의 하부에 균일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돌기(312)는 마찰력이 높은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아웃솔홈(142)은 다수개로 상기 다수개의 돌기(312)에 각각 대응되도록 구비된다. 또한, 상기 아웃솔홈(142)은 마찰력이 높은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조립 시 상기 다수개의 돌기(312)는 상기 다수개의 아웃솔홈(142)에 각각 삽입되어 고정되는 것이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신발의 조립순서는 먼저, 상기 미드솔(302) 및 내피(402)를 적층시킨 상태에서 상기 다수개의 결합스틱(222)을 상기 돌기홀(322)에 삽입한다. 이후, 상기 돌기(312)를 상기 아웃솔홈(142)에 삽입한다. 이후, 상기 스틱홀(232)에 상기 고정수단(602)을 묶어 고정한다. 따라서, 신발의 조립 및 분해가 용이하여 남녀노소 누구나 사용가능하며, 신발의 조립 및 분해에 소요되는 시간을 감소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3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신발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실시예는, 제1실시예와 비교하여 돌출부재(113)가 아웃솔(103)의 상측에 형성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1실시예와 중첩되는 구성에 대해서는 일실시예의 설명을 원용한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아웃솔(103)은 상기 아웃솔(103)의 상부일측에 지면의 반대방향으로 돌출되어 구비되는 상기 돌출부재(113)를 포함하고, 상기 돌출부재(113)는 상기 돌출부재(113)의 중앙부에 지면과 평행한 방향으로 구비되는 돌출홀(123)을 포함하며, 미드솔(303)은 상기 미드솔(303)의 일측에 상기 돌출부재(113)에 대응되도록 구비되는 미드솔홈(343)을 포함하고, 조립 시 다수개의 결합스틱(223)이 상기 돌출홀(123)에 삽입되고, 상기 돌출부재(113)가 상기 미드솔홈(343)에 삽입된 후, 내피(403)의 외주면을 감싼 상태에서 스틱홀(233)에 고정수단(603)을 묶어 고정하여 조립된다.
보다 상세하게, 상기 돌출부재(113)는 다수개로 상기 아웃솔(103)의 상부에 균일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돌출부재(113)는 마찰력이 높은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미드솔홈(343)은 다수개로 상기 다수개의 돌출부재(113)에 각각 대응되도록 구비된다. 또한, 상기 미드솔홈(343)은 마찰력이 높은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조립 시 상기 다수개의 돌출부재(113)는 상기 다수개의 미드솔홈(343)에 각각 삽입되어 고정되는 것이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3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신발의 조립순서는 먼저, 상기 미드솔(303) 및 내피(403)를 적층시킨 상태에서 상기 다수개의 결합스틱(223)을 상기 돌출부재홀(123)에 삽입한다. 이후, 상기 돌출부재(113)를 상기 미드솔홈(343)에 삽입한다. 이후, 상기 스틱홀(233)에 상기 고정수단(603)을 묶어 고정한다. 따라서, 신발의 조립 및 분해가 용이하여 남녀노소 누구나 사용가능하며, 신발의 조립 및 분해에 소요되는 시간을 감소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4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신발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실시예는, 제2실시예와 비교하여 조립 시, 외피본체(214)가 내피(404)의 상부에 구비되어, 다수개의 결합스틱(224)이 상기 내피(404)의 상부에서 하부방향으로 회동하여 돌기홀(324)에 삽입되어 고정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2실시예와 중첩되는 구성에 대해서는 일실시예의 설명을 원용한다.
도 6을 참조하면, 조립 시, 상기 외피본체(210)가 상기 내피(404)의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다수개의 결합스틱(224)이 상기 내피(404)의 상부에서 하부방향으로 회동하여 상기 돌기홀(324)에 삽입되어 고정된다.
보다 상세하게, 돌기(314)는 상기 돌기(314)의 중앙부에 지면과 평행한 방향으로 2개의 돌기홀(324)을 포함한다. 즉, 상기 2개의 돌기홀(324)은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형성되며, 상기 결합스틱(224)이 각각 양방향으로 삽입되어 고정된다. 일례로, 상기 외피본체(214)의 좌측에 구비된 결합스틱(224)은 상기 2개의 돌기홀(324) 중 상부에 마련된 돌기홀(324)에 삽입되고, 상기 외피본체(210)의 우측에 구비된 결합스틱(224)은 상기 2개의 돌기홀(324) 중 하부에 마련된 돌기홀(324)에 삽입되는 것이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4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신발의 조립순서는 먼저, 미드솔(304) 및 내피(404)를 적층시킨 상태에서 상기 다수개의 결합스틱(224)을 상기 2개의 돌기홀(324)에 각각 삽입한다. 이후, 상기 돌기(314)를 아웃솔홈(144)에 삽입한다. 결과적으로, 본 실시예의 조립식 신발은 조립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도 6의 (c)를 참조하면, 상기 결합스틱(224)이 2개의 돌기홀(324)에 삽입 될시, 지그재그 형태로 삽입될 수 있다. 즉, 상기 돌기(314)는 다수개로 마련되며, 상기 돌기(314) 각각은 상기 2개의 돌기홀(324)을 포함한다. 일례로, 상기 외피본체(214)의 좌측에 구비된 결합스틱(224)은 상기 2개의 돌기홀(324) 중 상부에 마련된 돌기홀(324)에 삽입된 후, 인접한 돌기(314)를 통과할 시, 상기 돌기(314)의 하부에 마련된 돌기홀(324)에 삽입되며 이후, 인접한 돌기(314)를 통과할 때, 상기 돌기(314)의 상부에 마련된 돌기홀(324)에 삽입되는 것이다. 결과적으로, 상기 결합스틱(224)이 상기 2개의 돌기홀(324)에 지그재그 형태로 삽입됨으로써, 결합력을 증가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5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신발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실시예는, 제1실시예와 비교하여 고정부재(705) 및 고정홈(715)을 포함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1실시예와 중첩되는 구성에 대해서는 일실시예의 설명을 원용한다.
도 7을 참조하면, 아웃솔(105)은 돌출부재(125)에 삽입되어 결합스틱(225)이 돌출홀(135)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상기 고정부재(705)를 더 포함한다. 상기 고정부재(705)는 탄성소재로 형성되며, 조립 시 상기 아웃솔(105)의 하부에 놓인다. 또한, 상기 고정부재(705)는 상기 돌출부재(125)가 삽입될 수 있는 고정홈(715)을 포함한다. 상기 고정홈(715)은 다수개로 형성될 수 있으며, 마찰력이 높은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부재(705) 및 고정홈(715)은 상기 돌출부재(125)에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면 어떠한 형태로든 구비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조립이 완료된 후, 상기 돌출부재(125)를 상기 고정홈(715)에 삽입함으로써, 상기 결합스틱(225)이 이탈하여 분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6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신발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실시예는, 제2실시예와 비교하여 돌기(316)가 미드솔(306)의 양측면에 각각 구비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2실시예와 중첩되는 구성에 대해서는 일실시예의 설명을 원용한다.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미드솔(306)은 상기 미드솔(306)의 양측면에 지면방향으로 볼록하게 돌출되어 구비되는 상기 돌기(316)를 포함한다. 즉, 상기 돌기(316)는 상기 미드솔(306)의 양측면에 각각 형성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돌기(316)는 상기 돌기(316)의 중앙부에 지면과 평행한 방향으로 구비되는 상기 돌기홀(326)을 포함한다. 그리고, 아웃솔(106)은 상기 아웃솔(106)의 양측에 각각 상기 돌기(316)에 대응되도록 구비되는 아웃솔홈(146)을 포함하고, 조립 시 다수개의 결합스틱(226)이 상기 돌기홀(326)에 삽입되고, 상기 돌기(316)가 상기 아웃솔홈(146)에 삽입된 후, 내피(406)의 외주면을 감싼 상태에서 스틱홀(236)에 고정수단(602)을 묶어 고정하여 조립된다.
보다 상세하게, 상기 돌기(316)는 마찰력이 높은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아웃솔홈(146)은 상기 돌기(316)에 각각 대응되도록 구비된다. 또한, 상기 아웃솔홈(146)은 마찰력이 높은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조립 시 상기 돌기(316)는 상기 아웃솔홈(146)에 각각 삽입되어 고정되는 것이다. 즉, 상기 돌기(316)와 아웃솔홈(146)은 2개로 각각 상기 미드솔(306)과 아웃솔(106)의 양측면에 구비되는 것이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6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신발의 조립순서는 먼저, 상기 미드솔(306) 및 내피(406)를 적층시킨 상태에서 상기 다수개의 결합스틱(226)을 상기 돌기홀(326)에 삽입한다. 이후, 상기 돌기(316)를 상기 아웃솔홈(146)에 삽입한다. 이후, 상기 스틱홀(236)에 상기 고정수단(606)을 묶어 고정한다. 따라서, 신발의 조립 및 분해가 용이하여 남녀노소 누구나 사용가능하며, 신발의 조립 및 분해에 소요되는 시간을 감소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상기 결합스틱(226)은 상기 내피(406)의 상측에서부터 상기 미드솔(306)의 측면까지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결합스틱(226)은 상기 내피(406)의 양측면에 각각 형성되어 독립적으로 상기 조립식 신발을 결합할 수 있는 것이다. 결과적으로, 상기 조립식 신발의 양측면에 상기 결합스틱(226)이 각각 구비되어 결합함으로써, 상기 조립식 신발의 양측면의 결합정도를 각각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일례로, 사용자의 복숭아뼈가 평균보다 큰 경우에 상기 복숭아뼈가 위치된 측면의 결합스틱(226)을 느슨하게 조절하여 편리하게 상기 조립식 신발을 신을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7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신발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실시예는, 제3실시예와 비교하여 돌출부재(317)가 아웃솔(107)의 양측면에 각각 구비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3실시예와 중첩되는 구성에 대해서는 일실시예의 설명을 원용한다.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아웃솔(107)은 상기 아웃솔(107)의 상부일측에 지면의 반대방향으로 볼록하게 돌출되어 구비되는 상기 돌출부재(117)를 포함하고, 상기 돌출부재(117)는 상기 돌출부재(117)의 중앙부에 지면과 평행한 방향으로 구비되는 돌출홀(127)을 포함하며, 미드솔(307)은 상기 미드솔(307)의 일측에 상기 돌출부재(117)에 대응되도록 구비되는 미드솔홈(347)을 포함하고, 조립 시 다수개의 결합스틱(227)이 상기 돌출홀(127)에 삽입되고, 상기 돌출부재(117)가 상기 미드솔홈(347)에 삽입된 후, 내피(407)의 외주면을 감싼 상태에서 스틱홀(237)에 고정수단(607)을 묶어 고정하여 조립된다.
보다 상세하게, 상기 돌출부재(117)는 마찰력이 높은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미드솔홈(347)은 상기 돌출부재(113)에 각각 대응되도록 구비된다. 또한, 상기 미드솔홈(347)은 마찰력이 높은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조립 시 상기 다수개의 돌출부재(117)는 상기 다수개의 미드솔홈(347)에 각각 삽입되어 고정되는 것이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7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신발의 조립순서는 먼저, 상기 미드솔(307) 및 내피(407)를 적층시킨 상태에서 상기 다수개의 결합스틱(227)을 상기 돌출부재홀(127)에 삽입한다. 이후, 상기 돌출부재(117)를 상기 미드솔홈(347)에 삽입한다. 이후, 상기 스틱홀(237)에 상기 고정수단(607)을 묶어 고정한다. 따라서, 신발의 조립 및 분해가 용이하여 남녀노소 누구나 사용가능하며, 신발의 조립 및 분해에 소요되는 시간을 감소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상기 결합스틱(227)은 상기 내피(407)의 상측에서부터 상기 미드솔(307)의 측면까지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결합스틱(227)은 상기 내피(407)의 양측면에 각각 형성되어 독립적으로 상기 조립식 신발을 결합할 수 있는 것이다. 결과적으로, 상기 조립식 신발의 양측면에 상기 결합스틱(227)이 각각 구비되어 결합함으로써, 상기 조립식 신발의 양측면의 결합정도를 각각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일례로, 사용자의 복숭아뼈가 평균보다 큰 경우에 상기 복숭아뼈가 위치된 측면의 결합스틱(227)을 느슨하게 조절하여 편리하게 상기 조립식 신발을 신을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8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신발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실시예는, 제6실시예와 비교하여 아웃솔(108)이 고정부재(708)를 더 포함한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6실시예와 중첩되는 구성에 대해서는 일실시예의 설명을 원용한다.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아웃솔(108)은 상기 아웃솔(108)의 하부 양측면에 구비되는 아웃솔홀(118)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아웃솔(108)은 상기 아웃솔홀(118)에 삽입되어 결합스틱(228)이 돌기홀(328)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상기 고정부재(708)를 더 포함한다. 상기 고정부재(708)는 탄성소재로 형성되며, 조립 시, 상기 아웃솔(108)의 하부에 놓인다. 또한, 상기 고정부재(708)는 상기 돌기(318)가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돌기(318)의 단부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구비되는 고정홈(718)을 포함한다. 상기 고정홈(718)은 다수개로 형성될 수 있으며, 마찰력이 높은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부재(708) 및 고정홈(718)은 상기 돌기(318)에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면 어떠한 형태로든 구비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조립이 완료된 후, 상기 돌기(318)를 상기 고정홈(718)에 삽입함으로써, 상기 결합스틱(228)이 이탈하여 분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9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신발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실시예는, 제8실시예와 비교하여 고정부재(709)의 양측면에 고정홈(719)이 각각 구비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8실시예와 중첩되는 구성에 대해서는 일실시예의 설명을 원용한다.
도 11을 참조하면, 상기 고정부재(709)는 탄성소재로 중앙부가 오목하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고정부재(709)는 조립 시, 아웃솔(109)의 하부에 놓이며, 돌기(319)가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돌기(319)의 단부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상기 고정부재(709)의 양측면에 상기 고정홈(719)이 마련된다. 즉, 상기 고정홈(719)은 다수개로 형성될 수 있으며, 마찰력이 높은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부재(709) 및 고정홈(719)은 상기 돌기(319)에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면 어떠한 형태로든 구비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조립이 완료된 후, 상기 돌기(319)를 상기 고정홈(719)에 삽입함으로써, 결합스틱(229)이 이탈하여 분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상기 고정부재(709)의 양측에 형성된 상기 고정홈(719) 각각에 상기 돌기(319)가 각각 삽입되어 양측의 균형을 유지할 수 있으며, 한 번에 상기 고정부재(709)와 돌기(319)를 조립할 수 있어 조립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0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신발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실시예는, 제3실시예와 비교하여 결합스틱(1220)이 신발의 상부에서 하부방향으로 미드솔(1300) 및 내피(1400) 감싸도록 형성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3실시예와 중첩되는 구성에 대해서는 일실시예의 설명을 원용한다.
도 12를 참조하면, 상기 결합스틱(1220)은 신발의 상부에서 하부방향으로 상기 미드솔(1300) 및 내피(1400) 감싸도록 형성된다. 또한, 돌출부재(1120)의 상측과 하측에 각각 돌출홀(1130) 형성되어, 상기 결합스틱(1220)이 보다 더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1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신발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실시예는, 제5실시예와 비교하여 고정부재(1701)가 미드솔(1301)과 아웃솔(1101)사이에 구비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5실시예와 중첩되는 구성에 대해서는 일실시예의 설명을 원용한다.
도 13을 참조하면, 상기 고정부재(1701)가 상기 미드솔(1301)과 아웃솔(1101)사이에 구비되어 조립됨으로써, 상기 고정부재(1701)가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미드솔(1301)과 아웃솔(1101)의 결합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고정부재(1701)는 ‘ㄷ’자 형태로 내부에 고정홈(1711)을 포함하며, 돌출부재(1121)가 상기 고정홈(1711)에 삽입되는 형태로 조립된다. 이에 따라, 상기 고정부재(1701)가 결합스틱(1221)을 눌러주는 효과가 있어, 상기 결합스틱(1221)이 보다 더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2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신발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실시예는, 제11실시예와 비교하여 고정부재(1703)가 H빔부재(1713)를 포함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11실시예와 중첩되는 구성에 대해서는 일실시예의 설명을 원용한다.
도 14를 참조하면, 상기 고정부재(1703)는 상기 고정부재(1703)의 하부에 구비되는 상기 H빔부재(171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H빔부재(1713)는 상부와 하부가 지면과 수평한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어 결합스틱(1223)의 이탈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H빔부재(1713)는 상기 결합스틱(1223)이 관통하여 고정될 수 있도록 H빔홀(1714)을 포함한다. 상기 H빔홀(1714)은 복수개로 상기 H빔부재(1713)의 중앙부에 구비되어 조립 시, 상기 결합스틱(1223)이 삽입된다. 결과적으로, 상기 결합스틱(1223)이 상기 H빔홀(1714)에 삽입되는 형태로 조립되어, 상기 결합스틱(1223)이 상하방향으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보다 더 견고한 조립을 가능하게 한다.
이와 같이, 상술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당업자가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나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또한, 상기한 실시예는 혼합하여 적용가능하다.
100 : 아웃솔
110 : 아웃솔홀
200 : 외피
210 : 외피 본체
211 : 트러스트홀
220 : 결합스틱
230 : 스틱홀
300 : 미드솔
400 : 내피
500 : 인솔
600 : 고정수단
102 : 아웃솔
112 : 아웃솔홀
222 : 결합스틱
302 : 미드솔
312 : 돌기
322 : 돌기홀
402 : 내피
602 : 고정수단
103 : 아웃솔
113 : 돌출부재
123 : 돌출홀
223 : 결합스틱
303 : 미드솔
343 : 미드솔홀
403 : 내피
603 : 고정수단
104 : 아웃솔
144 : 아웃솔홈
224 : 결합스틱
304 : 미드솔
314 : 돌기
324 : 돌기홀
404 : 내피
604 : 고정수단
105 : 아웃솔
115 : 아웃솔홀
125 : 돌출부재
135 : 돌출홀
225 : 결합스틱
305 : 미드솔
405 : 내피
605 : 고정수단
705 : 고정부재
715 : 고정홈
106 : 아웃솔
146 : 아웃솔홈
226 : 결합스틱
306 : 미드솔
316 : 돌기
326 : 돌기홀
406 : 내피
606 : 고정수단
716 : 고정홈
107 : 아웃솔
117 : 돌출부재
127 : 돌출홀
227 : 결합스틱
307 : 미드솔
347 : 미드솔홈
407 : 내피
607 : 고정수단
108 : 아웃솔
148 : 아웃솔홈
228 : 결합스틱
308 : 미드솔
318 : 돌기
328 : 돌기홀
408 : 내피
608 : 고정수단
708 : 고정부재
718 : 고정홈
109 : 아웃솔
149 : 아웃솔홈
229 : 결합스틱
309 : 미드솔
319 : 돌기
329 : 돌기홀
409 : 내피
609 : 고정수단
709 : 고정부재
719 : 고정홈
1100 : 아웃솔
1110 : 아웃솔홀
1120 : 돌출부재
1130 : 돌출홀
1220 : 결합스틱
1300 : 미드솔
1340 : 미드솔홈
1400 : 내피
1600 : 고정수단
1101 : 아웃솔
1111 : 아웃솔홀
1121 : 돌출부재
1131 : 돌출홀
1221 : 결합스틱
1301 : 미드솔
1401 : 내피
1601 : 고정수단
1701 : 고정부재
1711 : 고정홈
1103 : 아웃솔
1113 : 아웃솔홀
1223 : 결합스틱
1303 : 미드솔
1403 : 내피
1603 : 고정수단
1703 : 고정부재
1713 : H빔부재
1714 : H빔홀

Claims (5)

  1. 아웃솔;, 미드솔;, 내피; 및 인솔;을 포함하고, 상기 아웃솔, 미드솔, 내피 및 인솔이 순서대로 적층되는 조립식 신발에 있어서,
    상기 아웃솔, 미드솔, 내피 및 인솔을 결합시키는 외피;를 더 포함하고,
    상기 아웃솔은, 상기 외피가 삽입되는 다수개의 아웃솔홀;을 포함하며,
    상기 외피는,
    상기 아웃솔과 미드솔 사이에 구비되는 외피 본체; 및
    상기 외피 본체의 측면에 탄성소재로 상기 외피 본체의 중앙부를 향하여 회동가능하며 양측에 대응되도록 구비되는 다수개의 결합스틱;을 포함하고,
    상기 다수개의 결합스틱은, 각각 단부에 스틱홀;을 포함하여,
    조립 시, 상기 다수개의 결합스틱이 상기 아웃솔의 외측방향으로 상기 다수개의 아웃솔홀에 각각 대응되도록 삽입되고, 상기 내피의 외주면을 감싼 상태에서 상기 스틱홀에 고정수단;을 묶어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신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아웃솔은,
    상기 아웃솔의 하부일측에 지면방향으로 돌출되어 구비되는 돌출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돌출부재는,
    상기 돌출부재의 중앙부에 지면과 평행한 방향으로 구비되는 돌출홀;을 포함하여,
    조립 시, 상기 다수개의 결합스틱이 상기 돌출홀에 삽입되도록 하여 결합력을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신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미드솔은,
    상기 미드솔의 하부일측에 지면방향으로 돌출되어 구비되는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돌기는,
    상기 돌기의 중앙부에 지면과 평행한 방향으로 구비되는 돌기홀;을 포함하며,
    상기 아웃솔은,
    상기 아웃솔의 일측에 상기 돌기에 대응되도록 구비되는 아웃솔홈;을 더 포함하고,
    조립 시, 상기 다수개의 결합스틱이 상기 돌기홀에 삽입되고, 상기 돌기가 상기 아웃솔홈에 삽입된 후, 상기 내피의 외주면을 감싼 상태에서 상기 스틱홀에 고정수단을 묶어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신발.
  4. 제 3항에 있어서,
    조립 시, 상기 외피본체가 상기 내피의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다수개의 결합스틱이 상기 내피의 상부에서 하부방향으로 회동하여 상기 돌기홀에 삽입되어 고정됨으로써, 상기 고정수단을 묶는 과정을 생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신발.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는, 다수개로 구비되고,
    조립 시, 상기 다수개의 결합스틱은 각각 상기 다수개의 돌기홀에 지그재그 형태로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신발.
KR1020190144928A 2019-11-13 2019-11-13 조립식 신발 KR1021980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4928A KR102198042B1 (ko) 2019-11-13 2019-11-13 조립식 신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4928A KR102198042B1 (ko) 2019-11-13 2019-11-13 조립식 신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98042B1 true KR102198042B1 (ko) 2021-01-04

Family

ID=741275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44928A KR102198042B1 (ko) 2019-11-13 2019-11-13 조립식 신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9804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88468B1 (ko) * 2023-06-22 2023-10-11 김규덕 조립식 신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13028A (ko) 2003-07-26 2005-02-02 이승연 조립식 신발
US20130104422A1 (en) * 2011-08-02 2013-05-02 Nike, Inc. Golf Shoe with Natural Motion Structures
KR20170033282A (ko) * 2017-02-20 2017-03-24 (주)이너스코리아 조립식 신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13028A (ko) 2003-07-26 2005-02-02 이승연 조립식 신발
US20130104422A1 (en) * 2011-08-02 2013-05-02 Nike, Inc. Golf Shoe with Natural Motion Structures
KR20170033282A (ko) * 2017-02-20 2017-03-24 (주)이너스코리아 조립식 신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88468B1 (ko) * 2023-06-22 2023-10-11 김규덕 조립식 신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09984B2 (en) Sole structures and articles of footwear having a lightweight midsole with segmented protective elements
US11122854B2 (en) Footwear upper having selectively located padding
EP2319340B1 (en) Adjustable ankle support for an article of footwear
AU2014303040B2 (en) Method of making an article of footwear
US10405607B2 (en) Tensioning system for an article of footwear
US10085516B2 (en) Article of footwear with reinforced elastic upper
CN110691531B (zh) 带有内部反馈元件的鞋类制品
US11672305B2 (en) Articles of footwear with bootie components having fixed connections and non-fixed regions
KR102198042B1 (ko) 조립식 신발
US10736382B2 (en) Pair of asymmetrical footwear articles
CA2517941A1 (en) Shoes with side panel for connecting outsole
KR200384444Y1 (ko) 샌들용 밑창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