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97678B1 - Fastening block for container connection - Google Patents

Fastening block for container connecti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97678B1
KR102197678B1 KR1020190027782A KR20190027782A KR102197678B1 KR 102197678 B1 KR102197678 B1 KR 102197678B1 KR 1020190027782 A KR1020190027782 A KR 1020190027782A KR 20190027782 A KR20190027782 A KR 20190027782A KR 102197678 B1 KR102197678 B1 KR 1021976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exible body
spreader
insert
flat surface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2778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00108732A (en
Inventor
김은호
Original Assignee
한미테크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미테크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미테크윈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277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97678B1/en
Publication of KR202001087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0873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976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9767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0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 B66C1/1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 B66C1/62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comprising article-engaging members of a shape complementary to that of the articles to be handled
    • B66C1/66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comprising article-engaging members of a shape complementary to that of the articles to be handled for engaging holes, recesses, or abutments on articles specially provided for facilitating handling thereof
    • B66C1/663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comprising article-engaging members of a shape complementary to that of the articles to be handled for engaging holes, recesses, or abutments on articles specially provided for facilitating handling thereof for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0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 B66C1/1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 B66C1/101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for contain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oad-Engaging Elements For Cra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 연결용 체결블록은 스프레더에 탄성 변형 가능하게 체결되어, 컨테이너와 스프레더 간의 충격을 흡수하는 컨테이너 연결용 체결블록으로서, 길이 방향 양단을 통해 스프레더와 연결되는 플렉시블 몸체, 상기 플렉시블 몸체의 양단에 구비되며 상기 스프레더와 체결되는 인서트너트, 상기 플렉시블 몸체의 내측에 삽입되며 상기 인서트너트를 고정하는 인서트플레이트, 및 상기 플렉시블 몸체의 길이에 대응하여 형성되며, 상기 플렉시블 몸체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플렉시블 몸체의 내부에 설치되는 이중 판스프링 구조체를 포함한다. A container connection fastening blo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container connection fastening block that is elastically deformable to the spreader and absorbs the impact between the container and the spreader, and is a flexible body connected to the spreader through both ends in the length direction, An insert nut provided at both ends of the flexible body and fastened to the spreader, an insert plate inserted into the inside of the flexible body and fixing the insert nut, and formed corresponding to the length of the flexible body, the length of the flexible body It includes a double leaf spring structure installed inside the flexible body along the direction.

Figure R1020190027782
Figure R1020190027782

Description

컨테이너 연결용 체결블록{FASTENING BLOCK FOR CONTAINER CONNECTION}Container connection fastening block {FASTENING BLOCK FOR CONTAINER CONNECTION}

본 발명은 컨테이너 연결용 체결블록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astening block for connecting a container.

컨테이너 연결용 체결블록은 컨테이너와 스프레더 사이를 연결하는데 사용된다. The container connection fastening block is used to connect the container and the spreader.

여기서, 스프레더는 컨테이너를 집어 올려 하역하는 설비를 말한다. Here, the spreader refers to a facility that picks up and unloads containers.

일반적으로 컨테이너 스프레더 설비는 컨테이너를 적재하는데 사용된다. In general, container spreader equipment is used to load containers.

예를 들어, 스프레더는 컨테이너의 상부에 결합되며, 컨테이너를 위로 이동시키며 다수의 컨테이너를 다단으로 적재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For example, the spreader is coupled to the top of the container and is configured to move the container upward and to load multiple containers in multiple stages.

이와 같이, 스프레더는 다수의 컨테이너와 반복적으로 결합 및 해제되는 과정을 거치게 된다. In this way, the spreader goes through a process of being repeatedly coupled and released with a plurality of containers.

따라서, 스프레더는 관용적으로 플리퍼 등으로 통칭되는 별도의 컨테이너 연결장치를 구비하고 있다. Therefore, the spreader has a separate container connecting device commonly referred to as a flipper or the like.

예컨대, 일반적으로 알려진 컨테이너 연결장치는 스프레더에 유압식으로 동작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하로 승, 하강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컨테이너의 모서리 위치로 가이드 하는 역할을 한다. For example, a commonly known container connection device is configured to be operably connected to a spreader in a hydraulic manner to rise and fall, and serves to guide the container to a corner position.

다만, 종래의 컨테이너 연결장치의 경우 컨테이너의 모서리 위치를 향해 상하로 가이드 되는 동안 연결 부위와 잦은 충돌을 겪게 된다. 그 결과, 부품의 파손 또는 손상이 유발되고, 유지 보수 또는 교체가 필요한 문제점이 있었다. However, in the case of the conventional container connecting device, while being guided up and down toward the edge of the container, frequent collisions with the connecting portion occur. As a result, damage or damage of parts is caused, and maintenance or replacement is required.

본 발명과 관련된 종래의 선행기술로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095085호(2011.12.09. 공고일)가 있으며, 상시 선행문헌에는 컨테이너의 다단 적재를 위한 크레인 스프레더의 가이드 플리퍼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As a prior art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1095085 (announced on Dec. 9, 2011), and a guide flipper device of a crane spreader for multi-stage loading of containers is disclosed in the prior literature.

본 발명의 목적은 컨테이너와 스프레더 간의 연결 시 발생되는 충격에 대해 탄성 변형이 가능하여, 충격력 흡수를 통해 크레인 스프레더는 물론 전체 시스템의 손상 및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컨테이너 연결용 체결블록을 제공한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ntainer connection fastening block capable of elastic deformation against the impact generated when the container and the spreader are connected, thereby preventing damage and damage to the entire system as well as the crane spreader through absorption of impact force.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이해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The obj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objects, and other object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that are not mentioned can be understood by the following description, and will be more clearly understood by examples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it will be easily understood that the object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realized by the means shown in the claims and combinations thereof.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컨테이너 연결용 체결블록은, 스프레더에 탄성 변형 가능하게 체결되어, 컨테이너와 스프레더 간의 충격을 흡수하는 컨테이너 연결용 체결블록을 제공한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ainer connection fastening block is elastically deformable to the spreader to provide a container connection fastening block that absorbs the impact between the container and the spreader.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 연결용 체결블록은 길이 방향 양단을 통해 스프레더와 연결되는 플렉시블 몸체와, 상기 플렉시블 몸체의 양단에 구비되며 상기 스프레더와 체결되는 인서트너트와, 상기 플렉시블 몸체의 내측에 삽입되며 상기 인서트너트를 고정하는 인서트플레이트 및 상기 플렉시블 몸체의 길이에 대응하여 형성되며, 상기 플렉시블 몸체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플렉시블 몸체의 내부에 설치되는 이중 판스프링 구조체를 포함한다. The container connection fastening blo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lexible body connected to the spreader through both end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sert nuts provided at both ends of the flexible body and fastened to the spreader, and the inside of the flexible body. An insert plate that is inserted and fixes the insert nut, and a double plate spring structure formed to correspond to a length of the flexible body and installed inside the flexible body along a length direction of the flexible body.

상기 플렉시블 몸체는, 상기 컨테이너와 상기 스프레더 간의 연결 시 발생되는 충격력을 흡수하여 탄성 변형이 가능한 고무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The flexible body may be made of a rubber material capable of elastic deformation by absorbing an impact force generated when the container is connected to the spreader.

또한, 상기 플렉시블 몸체는, 평탄한 면을 갖는 평탄면부와, 상기 평탄면부의 양측에 형성되며 상기 플렉시블 몸체의 내부에 설치되는 상기 인서트플레이트가 대면 배치되는 측면부와, 상기 평탄면부의 반대편에 위치하며, 상기 플렉시블 몸체의 길이 방향을 따라 폭 중앙에 V형 홈이 구비되는 홈구비면부를 구비하는 직육면체 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In addition, the flexible body has a flat surface portion having a flat surface, a side portion formed on both sides of the flat surface portion and on which the insert plate installed in the flexible body faces, and is located opposite the flat surface portion, It may have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bar shape having a grooved surface portion in which a V-shaped groove is provided in the center of the width along the length direction of the flexible body.

이에 더하여, 상기 평탄면부와 상기 측면부 간의 연결 부위에 구비되는 모따기부를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it may include a chamfer provided at a connection portion between the flat surface portion and the side portion.

상기 V형 홈은, 상기 홈구비면부의 폭 방향 중심을 따르는 기준선을 사이에 두고 소정의 각도로 양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제1, 2 경사면을 구비할 수 있다. The V-shaped groove may have first and second inclined surfaces formed to be inclined to both sides at a predetermined angle with a reference line along a center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grooved surface portion therebetween.

이때, 상기 제1, 2 경사면은 동일 길이를 가지며, 상기 평탄면부를 기준으로 동일한 기울기를 갖도록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first and second inclined surfaces may have the same length, and may be formed to be inclined to have the same inclination based on the flat surface portion.

또한, 상기 인서트플레이트는, 상기 측면부 각각의 길이 방향 양단에 근접하여 배치되되, 상기 플렉시블 몸체의 내부에서 상기 측면부와 평행을 이루어 배치되도록 설치되며, 상기 인서트너트는, 상기 인서트플레이트의 높이 방향 및 전후 방향으로 설정 간격을 두고 복수 개가 체결 고정되어, 상기 측면부 외측으로 나사 홀이 노출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insert plate is disposed close to both ends in the length direction of each of the side portions, and is installed so as to be arranged in parallel with the side portion inside the flexible body, and the insert nut is provided in the height direction and front and rear of the insert plate. A plurality of pieces are fastened and fixed at a set interval in the direction, so that the screw hole may be exposed outside the side surface.

또한, 상기 인서트플레이트는, 직사각형 플레이트 형상을 가지며, 상기 플렉시블 몸체의 내부에서 상기 플렉시블 몸체의 길이 방향 중앙을 향해 위치하는 내측단부; 상기 내측단부의 반대편에 위치하며, 상기 플렉시블 몸체의 길이 방향 양단을 향해 위치하는 외측단부; 및 상기 내측단부 및 상기 외측단부 사이에서 서로 다른 높이로 위치한 2개의 장변을 따라 설정 간격을 두고 서로 대칭을 이루어 형성되며, 상기 인서트너트가 하나씩 삽입 고정되는 복수의 라운드홀을 구비하는 인서트너트 고정부;를 포함한다. In addition, the insert plate, having a rectangular plate shape, the inner end portion located toward the center of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lexible body from the inside of the flexible body; An outer end positioned opposite the inner end and positioned toward both ends of the flexible body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an insert nut fixing portion formed symmetrically with each other at a set interval along two long sides positioned at different heights between the inner end and the outer end, and having a plurality of round holes into which the insert nuts are inserted and fixed one by one. Includes;

이때, 상기 내측단부의 돌출 길이는, 상기 인서트너트 고정부를 기준으로 상기 외측단부의 돌출 길이에 비해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스프레더의 제1, 2 연결부재가 연결될 경우 내측단부가 외측단부에 비해 하중이 상대적으로 더 집중될 수 있기 때문에 이를 보강하기 위한 형상으로서, 내측단부의 삽입 면적을 더 키워 내측단부에 근접하여 체결되는 제1, 2 체결나사를 보다 견고하게 고정시켜줄 수 있어 구조적인 안정성을 도모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protruding length of the inner end may be longer than the protruding length of the outer end based on the insert nut fixing part. This is a shape to reinforce the inner end when the first and second connecting members of the spreader are connected, because the load may be relatively concentrated compared to the outer end.This is a shape to increase the insertion area of the inner end and fasten it closer to the inner end. Structural stability can be achieved because the first and second fastening screws can be fixed more firmly.

또한, 이중 판스프링 구조체는, 상기 평탄면부에 근접하여 상호 대면하여 배치되도록 상기 플렉시블 몸체의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double leaf spring structure may be installed inside the flexible body so as to be disposed to face each other in close proximity to the flat surface.

이때, 상기 평탄면부는 컨테이너와 스프레더 간의 연결 시 굽혀지면서 탄성 변형이 크게 발생되는 부위로서, 평탄면부에 대면하여 이중 판스프링 구조체를 플렉시블 몸체의 내부에 삽입시켜 탄성력을 보강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이중 판스프링 구조체는 플렉시블 몸체를 구조적으로 보강하여 플렉시블 몸체가 지나치게 탄성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여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In this case, the flat surface portion is a portion where elastic deformation occurs while being bent when the container and the spreader are connected, and the double leaf spring structure is inserted into the inside of the flexible body while facing the flat surface portion to reinforce the elastic force. In addition, the double leaf spring structure structurally reinforces the flexible body to prevent excessive elastic deformation of the flexible body, thereby improving durability.

또한, 상기 이중 판스프링 구조체는 복수로 구비되며, 상기 복수의 이중 판스프링 구조체 각각은 상기 평탄면부의 폭 방향 중앙을 기준으로 좌우로 이격하여 배치되며, 상기 평탄면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길게 배치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double plate spring structure is provided in plural, and each of the plurality of double plate spring structures is dispos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left and right with respect to the center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flat surface portion, and to be elongated along the length direction of the flat surface portion. Can

또한, 상기 복수의 이중 판스프링 구조체 각각은, 상기 평탄면부에 더 근접하여 상기 플렉시블 몸체의 내부에 설치되는 제1 판스프링과, 상기 제1 판스프링으로부터 설정 간격을 두고 상기 제1 판스프링의 하측에 평행하게 배치되는 제2 판스프링을 포함한다. In addition, each of the plurality of double plate spring structures includes a first plate spring installed inside the flexible body closer to the flat surface, and a lower side of the first plate spring at a set distance from the first plate spring. It includes a second leaf spring arranged parallel to the.

이때, 제2 판스프링은 제1 판스프링과 마주하여 제1 판스프링의 하측에 평행 배치될 수 있다. 탄성력이 보강될 수 있으며, 플렉시블 몸체가 지나치게 구부러져 손상 및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여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In this case, the second leaf spring may be disposed parallel to the lower side of the first leaf spring to face the first leaf spring. Elasticity can be reinforced, and durability can be improved by preventing the flexible body from being excessively bent and damaged.

또한, 상기 제2 판스프링은 상기 인서트너트의 나사 홀 상단 높이에 대응하여 위치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2 경사면이 만나는 상기 V형 홈의 내측 높이는 상기 제2 판스프링의 높이에 대응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V형 홈의 내측과 평탄면부 사이로 제1, 2 판스프링이 설정 간격을 두고 상하로 평행하게 이격 배치될 수 있어 탄성력 확보에 용이하며, 플렉시블 몸체를 구조적으로 보강하는 효과가 향상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second plate spring may be positioned to correspond to a height of an upper end of the screw hole of the insert nut. In addition, the inner height of the V-shaped groove where the first and second inclined surfaces meet may be formed to correspond to the height of the second plate spring. Accordingly, the first and second leaf springs can be spaced apart in parallel up and down at a set interval between the inner side of the V-shaped groove and the flat surface, so it is easy to secure elasticity and the effect of structurally reinforcing the flexible body can be improved. have.

한편, 상기 스프레더는 유압식으로 구동되는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구동부와, 일단부는 상기 구동부의 출력 축에 연결되고, 타단부는 상기 플렉시블 몸체의 일단부에 고정된 상기 인서트너트에 제1 체결나사로 체결되는 제1 연결부재와, 일단부는 상기 플렉시블 몸체의 타단부에 고정된 상기 인서트너트에 제2 체결나사로 체결되고, 타단부는 컨테이너의 상단 모서리로 가이드 되는 제2 연결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spreader has a driving unit that generates a rotational force that is hydraulically driven, one end is connected to the output shaft of the driving unit, and the other end is fastened to the insert nut fixed to one end of the flexible body with a first fastening screw. The first connecting member and one end portion may be fastened to the insert nut fixed to the other end of the flexible body with a second fastening screw, and the other end may include a second connecting member that is guided to the upper edge of the container.

본 발명에 의하면 컨테이너와 스프레더 간의 연결 시 발생되는 충격에 대해 탄성 변형이 가능하여, 충격력 흡수를 통해 크레인 스프레더는 물론 전체 시스템의 손상 및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elastically deform the impact generated when the container and the spreader are connected, so that damage and breakage of the entire system as well as the crane spreader can be prevented through absorption of impact force.

상술한 효과와 더불어 본 발명의 구체적인 효과는 이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사항을 설명하면서 함께 기술한다.In addition to the above-described effects, specific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together while describing specific details for carrying out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컨테이너 연결용 체결블록을 간략히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컨테이너 연결용 체결블록을 간략히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컨테이너 연결용 체결블록을 간략히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4는 발명의 컨테이너 연결용 체결블록 중 인서트플레이트를 간략히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컨테이너 연결용 체결블록을 간략히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컨테이너 연결용 체결블록 중 제1, 2 판스프링이 이격하여 배치된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컨테이너 연결용 체결블록이 적용된 스프레더 설비의 일부를 간략히 도시한 도면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briefly showing a fastening block for connecting a container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schematic plan view showing a container connection fastening block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side view briefly showing the container connection fastening block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n insert plate of the fastening block for connecting the container of the invention.
5 is a front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fastening block for connecting a container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view showing a structure in which first and second leaf springs are spaced apart from one of the fastening blocks for container conn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part of the spreader equipment to which the fastening block for container conn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implement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and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수 있다.In order to clearly describe the present invention, parts irrelevant to the description have been omitted, and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assigned to the same or similar compon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Further,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exemplary drawings. In adding reference numerals to elements of each drawing, the same elements may have the same numerals as possible even if they are indicated on different drawings. In addition,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configuration or function ma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may be omitted.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 차례, 순서 또는 개수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다른 구성 요소가 "개재"되거나, 각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를 통해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In describing the constituent ele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erms such as first, second, A, B, (a), (b) may be used. These terms are only for distinguishing the component from other components, and the nature, order, order, or number of the component is not limited by the term. When a component is described as being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the componen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at other component, but other components between each component It is to be understood that is "interposed", or that each component may be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through other components.

또한, 본 발명을 구현함에 있어서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구성요소를 세분화하여 설명할 수 있으나, 이들 구성요소가 하나의 장치 또는 모듈 내에 구현될 수도 있고, 혹은 하나의 구성요소가 다수의 장치 또는 모듈들에 나뉘어져서 구현될 수도 있다.In addition, in implementing the present invention, components may be subdivided and described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but these components may be implemented in one device or module, or one component may be a plurality of devices or modules. It can also be implemented by being divided into.

도 1은 본 발명의 컨테이너 연결용 체결블록을 간략히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컨테이너 연결용 체결블록을 간략히 도시한 평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컨테이너 연결용 체결블록을 간략히 도시한 측면도이다. 그리고 도 5는 본 발명의 컨테이너 연결용 체결블록을 간략히 도시한 정면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fastening block for connecting a container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lan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fastening block for connecting a container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is a simplified view showing the fastening block for connecting a container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side view. And Figure 5 is a front view briefly showing the container connection fastening block of the present invention.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컨테이너 연결용 체결블록(100)은 플렉시블 한 소재로 이루어져 스프레더(200, 도 7 참조)에 탄성 변형 가능하게 체결된다. As show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ainer connection fastening block 100 is made of a flexible material and is elastically deformable to the spreader 200 (see FIG. 7 ).

컨테이너 연결용 체결블록(100)은 컨테이너와 스프레더(200, 도 7 참조) 간의 충격을 흡수하고, 스프레더 일부 또는 전체 시스템에 충격이 가해지는 것을 방지한다. The container connection fastening block 100 absorbs the impact between the container and the spreader 200 (refer to FIG. 7 ), and prevents the impact from being applied to a part of the spreader or the entire system.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 연결용 체결블록(100)은 플렉시블 몸체(110), 인서트너트(130), 인서트플레이트(150), 이중 판스프링 구조체(170)를 포함한다. The container connection fastening block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lexible body 110, an insert nut 130, an insert plate 150, and a double plate spring structure 170.

플렉시블 몸체(110)는 길이 방향 양단을 통해 스프레더와 연결된다. The flexible body 110 is connected to the spreader through both end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구체적인 예로서, 플렉시블 몸체(110)는 상기 컨테이너와 상기 스프레더 간의 연결 시 발생되는 충격력을 흡수하도록 플렉시블 하게 탄성 변형이 가능한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As a specific example, the flexible body 110 may be made of a material capable of elastically deforming flexibly to absorb an impact force generated when the container is connected to the spreader.

바람직한 예로서, 플렉시블 몸체(110)는 플렉시블 러버(즉, 고무) 등의 소재를 이용하여 제작될 수 있다. As a preferred example, the flexible body 110 may be manufactured using a material such as flexible rubber (ie, rubber).

또한, 플렉시블 몸체(110)는 평탄면부(111), 측면부(113), 및 홈구비면부(115)를 구비하는 직육면체 바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In addition, the flexible body 110 may be formed in the shape of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having a flat surface portion 111, a side portion 113, and a grooved surface portion 115.

평탄면부(111)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렉시블 몸체(110)의 일면(예: 상부 면 등)을 이루며 평탄한 면을 갖는다. The flat surface part 111 forms one surface (eg, an upper surface, etc.) of the flexible body 110 as shown in FIG. 1 and has a flat surface.

측면부(113)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평탄면부(111)의 양측에 형성된다. Side portions 113 ar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flat surface portion 111 as shown in FIG. 1.

구체적으로는, 측면부(113)에는 플렉시블 몸체(110)의 내부에 설치되는 인서트플레이트(150, 도 2 참조)가 평행을 이루어 대면하여 배치될 수 있다. Specifically, an insert plate 150 (refer to FIG. 2) installed inside the flexible body 110 may be disposed in parallel to face to face on the side portion 113.

홈구비면부(115)는 평탄면부(111)의 반대편(예: 하부 등)에 위치하며, 플렉시블 몸체(110)의 타면(예: 하부 면 등)을 이루는 부위이다. The grooved surface portion 115 is located on the opposite side (eg, lower portion) of the flat surface portion 111 and is a portion forming the other surface (eg, lower surface, etc.) of the flexible body 110.

구체적으로는, 홈구비면부(115)는 플렉시블 몸체(1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폭 중앙에 V형 홈이 구비될 수 있다. 홈구비면부(115)의 V형 홈은 스프레더와 컨테이너의 연결 중 모서리 부위에 접촉하기에 원활한 형상을 제공한다. Specifically, the grooved surface portion 115 may be provided with a V-shaped groove at the center of the width along the length direction of the flexible body 110. The V-shaped groove of the grooved surface portion 115 provides a smooth shape to contact the edge portion during the connection between the spreader and the container.

이에 더하여, 평탄면부(111)와 측면부(113) 간의 모서리 연결 부위에는 모따기부(117)가 구비될 수 있다. In addition, a chamfer portion 117 may be provided at a corner connection portion between the flat surface portion 111 and the side portion 113.

홈구비면부(115)에 형성된 V형 홈은 홈구비면부(115)의 폭 방향 중심을 따르는 기준선(즉, 폭 방향 중심의 센터 라인)을 사이에 두고 소정의 각도(θ, 도 5 참조)로 양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제1, 2 경사면(1151, 1152)을 구비한다. The V-shaped groove formed on the grooved surface portion 115 is at a predetermined angle (θ, see FIG. 5) with a reference line along the center of the grooved surface portion 115 in the width direction (that is, the center line in the width direction) therebetween. It includes first and second inclined surfaces 1151 and 1152 formed inclined to both sides.

이때, 상기 제1, 2 경사면(1151, 1152)은 동일 길이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this case, it is preferable that the first and second inclined surfaces 1151 and 1152 have the same length.

또한, 상기 제1, 2 경사면(1151, 1152)은 상기 평탄면부(111)를 기준으로 동일한 기울기를 갖도록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도 5 참조).In addition, the first and second inclined surfaces 1151 and 1152 are preferably formed to be inclined to have the same inclination with respect to the flat surface portion 111 (see FIG. 5).

이는 컨테이너 연결용 체결블록(100)이 외부 충격에 의해 탄성 변형되는 경우 폭 중심을 기준으로 좌우로 대칭되는 형상을 가져야만 폭의 좌, 우 중 한 쪽으로 변형이 집중되지 않기 때문이다. This is because, when the container connection fastening block 100 is elastically deformed by an external impact, it must have a shape that is symmetrical to the left and right with respect to the center of the width so that the deformation is not concentrated to one of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width.

즉, 충격이 가해질 때 안정적으로 탄성 변형이 가능해 질 수 있기 때문이다. That is, it is because elastic deformation can be stably possible when an impact is applied.

인서트너트(130)는 플렉시블 몸체(110)의 양단에 구비되며 상기 스프레더와 체결된다. Insert nuts 130 are provided at both ends of the flexible body 110 and are fastened to the spreader.

인서트너트(130)는 플렉시블 몸체(110)의 양단, 즉 양쪽 측면부(113) 각각에 복수 개(예: 12개 등)가 구비될 수 있다(도 2 참조). Insert nut 130 may be provided with a plurality (eg, 12, etc.) at both ends of the flexible body 110, that is, both side portions 113 (see FIG. 2).

인서트너트(130)의 위치 및 개수는 후술할 인서트플레이트(150)에 따라 변경될 수 있으며, 구체적인 설명은 인서트플레이트(150)의 설명 시 다루기로 한다. The position and number of the insert nuts 130 may be changed according to the insert plate 150 to be described later, and a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given when describing the insert plate 150.

인서트플레이트(150)는 플렉시블 몸체(110)의 내측에 삽입되며 상기 인서트너트(130)를 고정한다. The insert plate 150 is inserted into the inside of the flexible body 110 and fixes the insert nut 130.

구체적으로는, 인서트플레이트(150)는 측면부(113) 각각의 길이 방향 양단에 근접하여 배치된다. Specifically, the insert plate 150 is disposed close to both ends of each of the side surfaces 113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더 구체적으로는, 인서트플레이트(150)는 측면부(113) 각각의 길이 방향 양단에 근접하여 배치되며, 플렉시블 몸체(110)의 내부에서 측면부(113)와 평행을 이루어 배치된다(도 2 참조) More specifically, the insert plate 150 is disposed close to both end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each of the side parts 113, and is disposed in parallel with the side parts 113 inside the flexible body 110 (see FIG. 2).

한편, 인서트너트(130)는 인서트플레이트(150)의 높이 방향 및 전후 방향으로 설정 간격을 두고 복수 개가 체결 고정된다. Meanwhile, a plurality of insert nuts 130 are fastened and fixed at a set interval in the height direction and the front-rear direction of the insert plate 150.

구체적으로는 인서트너트(130)는 측면부(113)의 외측으로 제1, 2 체결나사(311, 312, 도 7 참조)가 체결될 나사 홀이 노출되는 형태로 고정될 수 있다. Specifically, the insert nut 130 may be fixed to the outside of the side portion 113 in such a manner that a screw hole to which the first and second fastening screws 311 and 312 are fastened is exposed.

도 4는 인서트플레이트를 간략히 도시한 도면이다. 4 is a schematic diagram of an insert plate.

도시된 바와 같이, 인서트플레이트(150)는 내측단부(151), 외측단부(155), 및 복수의 라운드홀(1531, 1533, 1535)을 구비하는 인서트너트 고정부(153)를 포함한다. As shown, the insert plate 150 includes an inner end portion 151, an outer end portion 155, and an insert nut fixing portion 153 having a plurality of round holes 1531, 1533, and 1535.

인서트플레이트(150)는 직사각형 플레이트 형상을 가지며 각 모서리 부분은 라운드 진 형상을 갖는다. The insert plate 150 has a rectangular plate shape, and each corner portion has a rounded shape.

인서트플레이트(150)에서 내측단부(151)는 플렉시블 몸체(110)의 내부에서 상기 플렉시블 몸체(110)의 길이 방향 중앙을 향해 위치하는 부분을 말한다. In the insert plate 150, the inner end portion 151 refers to a portion located from the inside of the flexible body 110 toward the center of the flexible body 11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외측단부(155)는 내측단부(151)의 반대편에 위치한다. 다시 말해, 외측단부(115)는 플렉시블 몸체(110)의 길이 방향 양단을 향해 위치하는 부분을 말한다. The outer end 155 is locat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inner end 151. In other words, the outer end 115 refers to a portion located toward both ends of the flexible body 11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인서트너트 고정부(153)는 복수의 라운드홀(1531, 1533, 1535)을 구비한다. The insert nut fixing part 153 includes a plurality of round holes 1531, 1533, and 1535.

내측단부(151)와 외측단부(155) 사이에는 서로 다른 높이로 위치한 2개의 장변(즉, 긴 변)이 형성되는데, 이 2개의 장변을 통해 상하로 간격을 두고 서로 대칭을 이루어 복수의 라운드홀(1531, 1533, 1535)이 형성된다. 그리고 복수의 라운드홀(1531, 1533, 1535)에는 인서트너트(130)가 하나씩 삽입 고정될 수 있다. Two long sides (i.e., long sides) located at different heights are formed between the inner end 151 and the outer end 155, and through the two long sides, a plurality of round holes are symmetrical with each other at an interval between the top and bottom. (1531, 1533, 1535) is formed. In addition, one insert nut 130 may be inserted and fixed to the plurality of round holes 1531, 1533, 1535.

도시된 바로는 복수의 라운드홀(1531, 1533, 1535)은 6개로 상부에 3개, 하부에 3개로 형성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4개, 8개, 10개 등으로 그 개수는 변경 가능하며 도시된 개수에 한정되지 않는다. As shown, a plurality of round holes (1531, 1533, 1535) is shown as having 6 and 3 at the top and 3 at the bottom, but the number can be changed to 4, 8, 10, etc. It is not limited to the number.

내측단부(151)의 돌출 길이(W1)는 인서트너트 고정부(150)를 기준으로 외측단부(155)의 돌출 길이(W2)에 비해 길게 형성될 수 있다. The protruding length W1 of the inner end portion 151 may be formed to be longer than the protruding length W2 of the outer end portion 155 with respect to the insert nut fixing portion 150.

이는 스프레더의 제1, 2 연결부재(310, 320, 도 7 참조)가 연결될 경우 위치적으로 내측단부(151)가 외측단부(155)에 비해 하중이 상대적으로 더 집중될 수 있기 때문에 이를 보강하기 위한 것이다. This is because when the first and second connecting members 310 and 320 of the spreader (refer to FIG. 7) are connected, the load may be more concentrated at the inner end 151 than the outer end 155 in position. For.

즉, 내측단부(151)의 돌출 길이(W1)를 상대적으로 길게 형성하여 내측단부(151)의 삽입 면적을 더 키워 내측단부(151)에 근접하여 체결되는 제1, 2 체결나사를 보다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In other words, by forming a relatively long protruding length W1 of the inner end 151, the insertion area of the inner end 151 is increased to make the first and second fastening screws closer to the inner end 151. Can be fixed.

이중 판스프링 구조체(170)는 상기 플렉시블 몸체(110)의 길이에 대응하여 형성된다. The double leaf spring structure 170 is formed corresponding to the length of the flexible body 110.

그리고 이중 판스프링 구조체(170)는 상기 플렉시블 몸체(1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플렉시블 몸체(110)의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double leaf spring structure 170 may be installed inside the flexible body 110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lexible body 110.

구체적인 예로서, 이중 판스프링 구조체(170)는 평탄면부(111)에 근접하여 상호 대면하여 배치되도록 플렉시블 몸체(110)의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 As a specific example, the double plate spring structure 170 may be installed inside the flexible body 110 so as to be disposed close to the flat surface portion 111 and face each other.

평탄면부(111)는 컨테이너와 스프레더 간의 연결 시 가장 심하게 구부러지는 부위로서 탄성 변형이 크게 발생된다. The flat surface portion 111 is a portion that is bent most severely when the container and the spreader are connected, so that elastic deformation occurs largely.

따라서, 이중 판스프링 구조체(170)가 평탄면부(111)에 근접하여 배치됨으로써 플렉시블 몸체(110)의 탄성력을 보강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double plate spring structure 170 is disposed close to the flat surface portion 111 to reinforce the elastic force of the flexible body 110.

또한, 이중 판스프링 구조체(170)는 플렉시블 몸체(110)의 내측에 삽입됨에 따라 플렉시블 몸체(110)를 손상 및 파손을 방지할 수 있어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In addition, as the double plate spring structure 170 is inserted into the inside of the flexible body 110, it is possible to prevent damage and damage to the flexible body 110, thereby improving durability.

구체적인 예로서, 이중 판스프링 구조체(170)는 복수로 구비될 수 있다. As a specific example, the double leaf spring structure 170 may be provided in plural.

복수의 이중 판스프링 구조체(170) 각각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탄면부(111)의 폭 방향 중앙을 기준으로 소정 거리(L1)를 두고 좌우로 이격하여 배치될 수 있다.Each of the plurality of double leaf spring structures 170 may be disposed to be spaced from side to side with a predetermined distance L1 based on the center of the flat surface part 111 in the width direction as shown in FIG. 2.

그리고 복수의 이중 판스프링 구조체(170) 각각은 평탄면부(111)의 길이 방향을 따라 길게 배치될 수 있다 In addition, each of the plurality of double plate spring structures 170 may be long disposed along the length direction of the flat surface portion 111.

예를 들어, 복수의 이중 판스프링 구조체(170) 각각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 높이(H1)를 두고 상하로 배치된 제1, 2 판스프링(171, 173)을 포함한다. For example, each of the plurality of double leaf spring structures 170 includes first and second leaf springs 171 and 173 disposed vertically with a predetermined height H1 as shown in FIG. 3.

제1 판스프링(171)은 평탄면부(111)에 더 근접하여 플렉시블 몸체의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 The first leaf spring 171 may be installed inside the flexible body closer to the flat surface portion 111.

제2 판스프링(173)은 제1 판스프링(171)으로부터 소정 높이를 두고 제1 판스프링(171)의 하측에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The second leaf spring 173 may be disposed parallel to the lower side of the first leaf spring 171 with a predetermined height from the first leaf spring 171.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제2 판스프링(173)은 제1 판스프링(171)과 마주하여 제1 판스프링(171)의 하측에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5 and 6, the second leaf spring 173 may be disposed parallel to the lower side of the first leaf spring 171 to face the first leaf spring 171.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의 판스프링(171, 173)이 서로 마주하여 소정 높이(H1)를 두고 상하로 평행하게 배치됨에 따라, 플렉시블 몸체(110)와 함께 필요한 탄성력을 충분히 제공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the plurality of leaf springs 171 and 173 face each other and are arranged vertically in parallel with a predetermined height H1, sufficient elastic force required together with the flexible body 110 is provided. can do.

또한, 복수의 판스프링(171, 173)은 플렉시블 몸체(110)가 지나치게 구부러져 손상 및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여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plurality of leaf springs 171 and 173 can improve durability by preventing the flexible body 110 from being excessively bent and damaged or damaged.

한편, 도 5를 참조하면, 제2 판스프링(173)은 인서트너트(130)의 나사 홀 상단 높이에 대응하여 위치할 수 있다. Meanwhile, referring to FIG. 5, the second leaf spring 173 may be positioned to correspond to the height of the top of the screw hole of the insert nut 130.

그리고 제2 판스프링(173)은 제1, 2 경사면(1151, 1152)이 만나는 V형 홈의 내측 높이와 대응하는 높이에 위치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second leaf spring 173 may be positioned at a height corresponding to an inner height of the V-shaped groove where the first and second inclined surfaces 1151 and 1152 meet.

이에 따라, 홈구비면부(115)의 V형 홈 내측과 평탄면부(111) 사이로 제1, 2 판스프링(1151, 1152)이 H1의 높이를 두고 상하로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어 탄성력 확보에 용이하며, 플렉시블 몸체(110)를 보강할 수 있다. Accordingly, the first and second leaf springs 1151 and 1152 can be arranged in parallel vertically with the height of H1 between the inside of the V-shaped groove of the grooved surface portion 115 and the flat surface portion 111, so it is easy to secure elasticity. And, it is possible to reinforce the flexible body 110.

도 7은 본 발명의 컨테이너 연결용 체결블록이 적용된 스프레더 설비의 일부를 간략히 도시한 도면이다.7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part of the spreader equipment to which the fastening block for container conn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도 7을 참조하면, 스프레더(200)는 유압식으로 구동되는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구동부(210)를 포함한다. 또한, 스프레더(200)에는 제1, 2 연결부재(310, 320)가 더 연결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7, the spreader 200 includes a driving unit 210 that generates a rotational force driven hydraulically. In addition, the first and second connecting members 310 and 320 may be further connected to the spreader 200.

예를 들면, 제1 연결부재(310)의 일단부는 구동부(210)의 출력 축에 연결되고, 타단부는 체결블록(100)(더 구체적으로는 플렉시블 몸체)의 일단부에 고정된 인서트너트에 제1 체결나사(311)로 체결될 수 있다. For example, one end of the first connecting member 310 is connected to the output shaft of the driving unit 210, and the other end is attached to an insert nut fixed to one end of the fastening block 100 (more specifically, a flexible body). It may be fastened with the first fastening screw 311.

또한, 제2 연결부재(320)의 일단부는 체결블록(100)(더 구체적으로는 플렉시블 몸체)의 타단부에 고정된 인서트너트에 제2 체결나사(321)로 체결되고, 타단부는 컨테이너의 상단 모서리로 가이드 될 수 있다. In addition, one end of the second connection member 320 is fastened with a second fastening screw 321 to an insert nut fixed to the other end of the fastening block 100 (more specifically, a flexible body), and the other end of the container Can be guided to the top edge.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르면, 컨테이너와 스프레더 간의 연결 시 발생되는 충격에 대해 탄성 변형이 가능하여, 충격력 흡수를 통해 크레인 스프레더는 물론 전체 시스템의 손상 및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elastically deform the impact generated when the container and the spreader are connected, so that damage and damage to the entire system as well as the crane spreader can be prevented by absorbing the impact force.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대해서 예시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 내에서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자명하다. 아울러 앞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면서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른 작용 효과를 명시적으로 기재하여 설명하지 않았을지라도, 해당 구성에 의해 예측 가능한 효과 또한 인정되어야 함은 당연하다.As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illustrated for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 embodiments and drawings disclo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various by a person skilled in the art within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obvious that transformation can be made. In addition, even if not explicitly described and described the effect of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hile describing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natural that the predictable effect by the configuration should also be recognized.

100: 컨테이너 연결용 체결블록
110: 플렉시블 몸체
111: 평탄면부
113: 측면부
115: 홈구비면부
1151: 제1 경사면
1152: 제2 경사면
117: 모따기부
130: 인서트너트
150: 인서트플레이트
151: 내측단부
153: 인서트너트 고정부
1531: 제1 라운드홀
1532: 제2 라운드홀
1533: 제3 라운드홀
155: 외측단부
170: 이중 판스프링 구조체
171: 제1 판스프링
173: 제2 판스프링
200: 스프레더
210: 구동부
310: 제1 연결부재
311: 제1 체결나사
320: 제2 연결부재
321: 제2 체결나사
100: container connection fastening block
110: flexible body
111: flat surface portion
113: side portion
115: grooved side
1151: first slope
1152: second slope
117: chamfer
130: insert nut
150: insert plate
151: inner end
153: insert nut fixing part
1531: 1st round hole
1532: second round hole
1533: 3rd round hole
155: outer end
170: double leaf spring structure
171: first leaf spring
173: second leaf spring
200: spreader
210: driving unit
310: first connecting member
311: first fastening screw
320: second connecting member
321: second fastening screw

Claims (7)

스프레더에 탄성 변형 가능하게 체결되어, 컨테이너와 스프레더 간의 충격을 흡수하는 컨테이너 연결용 체결블록으로서,
길이 방향 양단을 통해 스프레더와 연결되는 플렉시블 몸체;
상기 플렉시블 몸체의 양단에 구비되며 상기 스프레더와 체결되는 인서트너트;
상기 플렉시블 몸체의 내측에 삽입되며 상기 인서트너트를 고정하는 인서트플레이트; 및
상기 플렉시블 몸체의 길이에 대응하여 형성되며, 상기 플렉시블 몸체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플렉시블 몸체의 내부에 설치되는 이중 판스프링 구조체;를 포함하고,
상기 플렉시블 몸체는, 평탄한 면을 갖는 평탄면부와, 상기 평탄면부의 양측에 형성되며 상기 플렉시블 몸체의 내부에 설치되는 상기 인서트플레이트가 대면 배치되는 측면부와, 상기 평탄면부의 반대편에 위치하며, 상기 플렉시블 몸체의 길이 방향을 따라 폭 중앙에 V형 홈이 구비되는 홈구비면부를 구비하며,
상기 인서트플레이트는, 상기 측면부 각각의 길이 방향 양단에 근접하여 배치되되, 상기 플렉시블 몸체의 내부에서 상기 측면부와 평행을 이루어 배치되도록 설치되며, 상기 인서트너트는, 상기 인서트플레이트의 높이 방향 및 전후 방향으로 설정 간격을 두고 복수 개가 체결 고정되어, 상기 측면부 외측으로 나사 홀이 노출되고,
상기 이중 판스프링 구조체는, 복수로 구비되며 상기 평탄면부에 근접하여 상호 대면하여 배치되도록 상기 플렉시블 몸체의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복수의 이중 판스프링 구조체 각각은, 상기 평탄면부의 폭 방향 중앙을 기준으로 좌우로 이격하여 배치되며, 상기 평탄면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길게 배치되며,
상기 복수의 이중 판스프링 구조체 각각은, 상기 평탄면부에 더 근접하여 상기 플렉시블 몸체의 내부에 설치되는 제1 판스프링과, 상기 제1 판스프링의 하측에 평행하게 배치되는 제2 판스프링을 포함하며,
상기 제2 판스프링은 상기 인서트너트의 나사 홀 상단 높이에 대응하여 위치하고,
상기 제1, 2 경사면이 만나는 상기 V형 홈의 내측 높이는 상기 제2 판스프링의 높이에 대응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연결용 체결블록.
As a container connection fastening block that is elastically deformable to the spreader and absorbs the impact between the container and the spreader,
A flexible body connected to the spreader through both end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sert nuts provided at both ends of the flexible body and fastened to the spreader;
An insert plate inserted into the flexible body and fixing the insert nut; And
Including; is formed corresponding to the length of the flexible body, a double plate spring structure installed in the inside of the flexible body along the length direction of the flexible body,
The flexible body includes a flat surface portion having a flat surface, a side portion formed on both sides of the flat surface portion and on which the insert plate installed in the flexible body faces, and is located opposite the flat surface portion, and the flexible body It has a grooved surface portion in which a V-shaped groove is provided in the center of the width along the length direction of the body,
The insert plate is disposed adjacent to both ends in the length direction of each of the side portions, and is installed so as to be arranged parallel to the side portion in the flexible body, and the insert nut is disposed in a height direction and a front-rear direction of the insert plate A plurality of pieces are fastened and fixed at a set interval, so that the screw hole is exposed outside the side portion,
The double plate spring structure is provided in plural and is installed inside the flexible body so as to be disposed to face each other in proximity to the flat surface, and each of the plurality of double leaf spring structures is based on the center of the width direction of the flat surface. It is disposed to be spaced apart from side to side, and is disposed long along the length direction of the flat surface portion,
Each of the plurality of double plate spring structures includes a first plate spring installed inside the flexible body closer to the flat surface portion, and a second plate spring disposed parallel to a lower side of the first plate spring, and ,
The second plate spring is located corresponding to the height of the top of the screw hole of the insert nut,
Characterized in that the inner height of the V-shaped groove where the first and second inclined surfaces meet is formed corresponding to the height of the second plate spring
Fastening block for container connec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렉시블 몸체는,
상기 컨테이너와 상기 스프레더 간의 연결 시 발생되는 충격력을 흡수하여 탄성 변형이 가능한 고무 소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연결용 체결블록.
The method of claim 1,
The flexible body,
Characterized in that it is made of a rubber material capable of elastic deformation by absorbing the impact force generated when the container and the spreader are connected
Fastening block for container connec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렉시블 몸체는,
직육면체 바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연결용 체결블록.
The method of claim 1,
The flexible body,
Characterized in that it has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bar shape
Fastening block for container connec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V형 홈은,
상기 홈구비면부의 폭 방향 중심을 따르는 기준선을 사이에 두고 소정의 각도로 양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제1, 2 경사면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연결용 체결블록.
The method of claim 1,
The V-shaped groove,
And first and second inclined surfaces formed to be inclined to both sides at a predetermined angle with a reference line along the center of the grooved surface portion in the width direction therebetween.
Fastening block for container connection.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서트플레이트는,
직사각형 플레이트 형상을 가지며,
상기 플렉시블 몸체의 내부에서 상기 플렉시블 몸체의 길이 방향 중앙을 향해 위치하는 내측단부;
상기 내측단부의 반대편에 위치하며, 상기 플렉시블 몸체의 길이 방향 양단을 향해 위치하는 외측단부; 및
상기 내측단부 및 상기 외측단부 사이에서 서로 다른 높이로 위치한 2개의 장변을 따라 설정 간격을 두고 서로 대칭을 이루어 형성되며, 상기 인서트너트가 하나씩 삽입 고정되는 복수의 라운드홀을 구비하는 인서트너트 고정부;
를 포함하는 컨테이너 연결용 체결블록.
The method of claim 1,
The insert plate,
Has a rectangular plate shape,
An inner end portion located from the inside of the flexible body toward the cente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lexible body;
An outer end positioned opposite the inner end and positioned toward both ends of the flexible body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An insert nut fixing portion formed to be symmetrical to each other at a set interval along two long sides positioned at different heights between the inner end and the outer end, and having a plurality of round holes into which the insert nuts are inserted and fixed one by one;
Fastening block for connecting the container comprising a.
삭제delete
KR1020190027782A 2019-03-11 2019-03-11 Fastening block for container connection KR10219767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7782A KR102197678B1 (en) 2019-03-11 2019-03-11 Fastening block for container connec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7782A KR102197678B1 (en) 2019-03-11 2019-03-11 Fastening block for container connecti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8732A KR20200108732A (en) 2020-09-21
KR102197678B1 true KR102197678B1 (en) 2020-12-31

Family

ID=727080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27782A KR102197678B1 (en) 2019-03-11 2019-03-11 Fastening block for container connectio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97678B1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7506614A (en) * 2014-02-27 2017-03-09 インドゥストゥリア アルヘシレーニャ デ メカニサド イ レパラシオネス,ソシエダ リミターダ Elastic flipper for container spreader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7506614A (en) * 2014-02-27 2017-03-09 インドゥストゥリア アルヘシレーニャ デ メカニサド イ レパラシオネス,ソシエダ リミターダ Elastic flipper for container spread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8732A (en) 2020-09-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71191B2 (en) Connecting means
US7845594B2 (en) Helicopter collapsible deck
US20060278137A1 (en) Loading pallet
US9576705B2 (en) Sleeve support module for transmission line
KR102197678B1 (en) Fastening block for container connection
EP3015345A1 (en) Structure for lower part of vehicle body
KR102125691B1 (en) Buckling restrained brace with enhanced damping performance
KR102121907B1 (en) Apparatus for connecting deck plate for having shock absorbing function and deck having thereof
JP2018154400A (en) Buffer material
KR101216117B1 (en) Module for supporting transmioosin line sleeve
KR102247869B1 (en) Seismic appatatus for preventing breakaway and fall of structure
US20120124780A1 (en) Device for connecting at least two belts
JP2005075344A (en) Automobile bumper
KR101768996B1 (en) Clip type damper fixing system
KR102393461B1 (en) Fixing Device for Stone Cladding Plate
KR101707635B1 (en) Float assembly
KR101154060B1 (en) Damper for coupling beam and Assembly of coupling beam using the same
KR101906278B1 (en) Easy-to-replace pin-hook type soundproof wall
KR20110077658A (en) Steel top plate for flat trailers with anti-slip structure
EP0125754A2 (en) Marine fender
KR102367029B1 (en) Movable ground bar
KR102034843B1 (en) Coupling device for wood deck, wood deck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KR102520156B1 (en) Metallic Slit Damper
KR20120000926A (en) Elastic support and base isolation device provided with the same
CN210366498U (en) Car bottom limiting device of automobile eleva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90311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0062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01201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0122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0122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113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1205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