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97164B1 - 휴대통신기기용 커버 - Google Patents

휴대통신기기용 커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97164B1
KR102197164B1 KR1020190092180A KR20190092180A KR102197164B1 KR 102197164 B1 KR102197164 B1 KR 102197164B1 KR 1020190092180 A KR1020190092180 A KR 1020190092180A KR 20190092180 A KR20190092180 A KR 20190092180A KR 102197164 B1 KR102197164 B1 KR 1021971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munication device
portable communication
cover
walls
are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921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우상기
Original Assignee
우상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우상기 filed Critical 우상기
Priority to KR10201900921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9716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971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971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001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36Reinforcements for edges, corners, or other part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2011/002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for portable handheld communication devices, e.g. mobile phone, pager, beeper, PDA, smart phone

Landscapes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마트폰과 같은 휴대통신기기가 충격으로 인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휴대폰의 안테나 성능을 최대한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배터리 사용 시간을 연장시키고 통화품질도 개선할 수 있는 휴대통신기기용 커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통신기기용 커버는, 휴대통신기기의 외부 크기에 맞추어 형성된 하부와, 상기 하부로부터 연장하는 복수의 벽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벽 중에서, 상기 휴대통신기기에 있어서 안태나가 구비된 영역과 접하는 벽의 내측에는 상기 안태나가 구비된 영역의 전부 또는 일부와 이격될 수 있도록, 홈 또는 하나 이상의 돌기가 형성되고, 사용자가 통신할 때 상기 휴대통신기기를 파지하는 부분의 외면에는 상기 복수의 벽의 다른 부분에 비해 돌출된 영역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휴대통신기기용 커버 {Cover for portable commucation devices}
본 발명은 휴대통신기기용 커버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스마트폰과 같은 휴대통신기기가 충격으로 인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휴대통신기기의 안테나 성능을 최대한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배터리 사용 시간을 연장시키고 통신품질도 개선할 수 있는 휴대통신기기용 커버에 관한 것이다.
전자 기술의 발달로 인해 스마트폰과 같은 휴대통신기기가 널리 보급되고 있는데, 최근의 스마트폰은 LCD나 OLED와 같은 고가의 디스플레이와 함께, 다양한 기능 구현을 위한 많은 부품을 포함하고 있어, 제품의 가격이 점점 높아지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따라, 제조사에서도 충격에 의한 파손을 대비한 설계를 하여 제품을 출시하고는 있으나, 스마트폰을 떨어뜨릴 때와 같이 강한 충격이 발생할 때 디스플레이 등이 파손되는 것을 막는 것이 어려운 실정이다.
이러한 사정으로 인해, 대부분의 사용자들은 외부에서 가해지는 충격으로부터 고가의 스마트폰을 보호할 수 있는 보호용 커버를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보호용 커버는 기본적으로 충격으로부터 스마트폰을 보호하는 기능을 증대시킨 것과 함께, 커버에 스마트폰의 디스플레이를 연동시켜 커버 사용에 따른 불편감을 최소화하는 것과 같이 소정의 기능을 동시에 부여한 것이 사용되고 있다.
최근의 스마트폰의 경우, 유튜브와 같은 동영상 시청 시간의 증대와, 고속 통신으로 인한 전송 속도 및 데이터량의 증가에 따라, 배터리 사용량이 증가하고 있어, 과거에 비해 고용량의 배터리가 요구되고 있고, 스마트폰 동작 시의 에너지 효율성도 중요해지고 있다.
그런데, 스마트폰의 사용 시에 통신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 스마트폰은 출력을 높여서 통신을 시도하게 되고, 이 과정에서 배터리 소모량이 증가하는 현상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충격으로부터 스마트폰과 같은 휴대통신기기의 손상을 방지하는 보호 기능을 가짐과 동시에, 휴대통신기기의 커버로 인해 발생하는 RF 성능 저하를 최소한으로 줄이고, 사용자가 휴대통신기기를 파지한 상태에서도 기지국과의 통신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게 함으로써, 기존 커버에 비해 통신 품질을 향상시키고, RF 성능 저하로 인해 발생하는 불필요하게 증가하는 통신기기의 출력을 줄임으로써 배터리 사용시간을 늘릴 수 있는 휴대통신기기용 커버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 본 발명은, 휴대통신기기의 외부 크기에 맞추어 형성된 하부와, 상기 하부로부터 연장하는 복수의 벽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벽 중에서, 상기 휴대통신기기에 있어서 안태나가 구비된 영역과 접하는 벽의 내측에는 상기 안태나가 구비된 영역의 전부 또는 일부와 이격될 수 있도록, 홈 또는 하나 이상의 돌기가 형성되고, 사용자가 통신할 때 상기 휴대통신기기를 파지하는 부분의 외면에는 상기 복수의 벽의 다른 부분에 비해 돌출된 영역이 구비된, 휴대통신기기용 커버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통신기기용 커버에 있어서, 바람직하게, 상기 휴대통신기기에 상기 휴대통신기기용 커버를 부착하였을 때, 상기 안태나가 구비된 영역과의 이격 거리는 0.1 ~ 2mm 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통신기기용 커버에 있어서, 바람직하게, 상기 돌출된 영역은 상기 복수의 벽의 다른 부분에 비해 0.1 ~ 2mm 높이로 돌출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통신기기용 커버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벽 중에서, 상기 휴대통신기기의 안태나가 구비된 영역과 접하는 벽의 내측에는 상기 복수의 벽의 물질과 상이한 물질로 이루어진 층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통신기기용 커버에 있어서, 바람직하게, 상기 휴대통신기기용 커버의 하부와 복수의 벽은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우레탄, 또는 ABS(acrylonitrile-butadiene-styrene) 수지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통신기기용 커버는, 충격으로부터 스마트폰과 같은 휴대통신기기의 손상을 방지하는 보호 기능을 할 수 있다.
또한, 휴대통신기기용 커버가 없는 상태에서 사용하거나, 또는 기존의 휴대통신기기용 커버를 끼운 상태에서 사용자가 파지하여 사용하는 경우에 비해, 통신 품질을 현저하게 향상시키고 배터리 사용 시간을 늘릴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스마트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스마트폰에 있어서, 안테나가 배치된 영역을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휴대통신기기용 커버의 전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휴대통신기기용 커버의 후면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3의 휴대통신기기용 커버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휴대통신기기용 커버의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그 구성 및 작용을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실시예 1]
도 1은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스마트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스마트폰에 있어서, 안테나가 배치된 영역을 나타낸 것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 스마트폰의 하우징을 구성하는 일측에 안테나가 형성된다.
상기 안테나가 배치되는 위치는 제조사에 따라 다를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 스마트폰의 하우징의 하측의 일부 또는 하측에서 좌우측으로 연장된 형태(도 2에서 회색으로 표시된 부분 참조)로 배치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휴대통신기기용 커버의 전면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휴대통신기기용 커버의 후면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3의 휴대통신기기용 커버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휴대통신기기용 커버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휴대통신기기용 커버(10)는, 크게 휴대통신기기의 외부 크기에 맞추어 형성된 하부(11)와, 상기 하부로부터 연장하는 복수의 벽(12)를 포함하여 형성된다.
상기 하부(11)는 적어도 휴대통신기기의 후면의 적어도 일부, 바람직하게는 전부를 덮을 수 있을 정도의 영역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복수의 벽(12)은 상기 하부(11)로부터 연장하여 상기 휴대통신기기의 하우징의 측부를 커버하여 고정할 수 있도록 형성되며, 휴대통신기기의 적어도 2측면을 커버하도록, 바람직하게는 4측면을 커버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복수의 벽(12) 중에서 휴대통신기기의 하우징 중에서 안태나가 형성된 부분과 접하는 3개의 면(하면과, 좌우 측면)의 내측에는, 상기 안태나가 구비된 영역과 이격될 수 있도록, 다수의 돌기(12a)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 1에서는 다수의 돌기(12a)를 사용하여 휴대통신기기의 벽(12)과 휴대통신기기의 안태나가 형성된 부분이 직접적으로 접하지 않도록 하고 있으나, 하나의 돌기를 사용하거나, 다양한 형상(예를 들어 피라미드 형상, 엠보싱 형상 등)의 요철부를 형성하거나, 전체적으로 홈을 형성하여 안태나가 형성된 부분과 접하는 부분이 없도록 이격시키는 방법을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다수의 돌기(12a)는 돌기(12a)를 제외한 상기 벽(12)의 나머지 부분이 휴대통신기기의 안태나와 소정 거리 이격되도록 하면서 이격되는 벽(12)의 부분이 안정적으로 지지되도록 하는 기능을 한다. 이때 돌기(12a)의 높이는 0.1mm 미만일 경우 휴대통신기기의 커버(10)가 휴대통신기기의 안태나의 성능을 저하시키는 것을 충분히 막지 못하고, 2mm 초과일 경우, 휴대통신기기의 커버(10)의 크기가 커지고 그립감도 저하될 수 있으므로, 0.1 ~ 2mm 범위로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다수의 돌기(12a)가 형성된 벽(12)의 두께를 다른 부분에 비해 얇게 형성함으로써, 전체적으로 커버(10)의 크기를 줄일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벽 중에서, 사용자가 정상적으로 통신할 때, 상기 휴대통신기기를 파지하는 부분의 외면에는 상기 복수의 벽의 다른 부분에 비해 돌출된, 돌출부(12b)가 구비된다. 상기 돌출부(12b)는 사용자의 손이 휴대통신기기의 안테나에 영향을 주는 것을 줄이기 위한 것이다. 상기 돌출부(12b)는 일반적으로 사용자가 휴대통신기기를 사용할 때 파지할 때 안테나가 형성된 부분 또는 안테나와 인접한 부분에 있어서 손(특히, 손바닥 또는 손가락)이 접하는 부분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 및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돌출부(12b)는 커버(10)의 좌우 양측의 하부 모서리로부터 상부로 소정 길이 연장된 형태로 형성됨과 동시에, 커버(10)의 뒷면(휴대통신기기를 장착하였을 때, 휴대통신기기의 뒷면)에서부터 전면에 이르는 영역의 약 1/2의 영역 또는 2/3 정도의 영역에 걸쳐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는데, 이는 사용자가 일반적인 방법으로 파지하였을 때, 커버와 접하는 부분을 고려한 것이다.
상기 돌출부(12b)의 돌출 높이는, 복수의 벽의 외면 부분에 비해, 0.1mm 미만일 경우 파지한 손이 안태나의 성능을 저하시키는 것을 충분히 막지 못하고, 2mm 초과일 경우, 그립감이 저하되므로, 0.1 ~ 2mm 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휴대통신기기용 커버(10)의 하부(11), 복수의 벽(12), 돌기(12a) 및 돌출부(12b) 등은,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PE), 폴리프로필렌(PP), 폴리우레탄(PU), 또는 ABS(acrylonitrile-butadiene-styrene) 수지와 같은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휴대통신기기용 커버(10)로 사용될 수 있는 재질이라면 특별히 제한 없이 사용될 수 있다.
[실시예 2]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휴대통신기기용 커버의 사시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휴대통신기기용 커버(20)는, 크게 휴대통신기기의 외부 크기에 맞추어 형성된 하부(21)와, 상기 하부로부터 연장하는 복수의 벽(22)를 포함하여 형성된다.
상기 하부(21)는 적어도 휴대통신기기의 후면의 적어도 일부, 바람직하게는 전부를 덮을 수 있을 정도의 영역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복수의 벽(22)은 상기 하부(21)로부터 연장하여 상기 휴대통신기기의 하우징의 측부를 커버하여 고정할 수 있도록 형성되며, 휴대통신기기의 적어도 2측면을 커버하도록, 바람직하게는 4측면을 커버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복수의 벽(22) 중에서 휴대통신기기의 하우징 중에서 안태나가 형성된 부분과 접하는 3개의 면(하면과, 좌우 측면)의 내측에는, 상기 복수의 벽(22)을 이루는 재질과 다른 재질로 이루어진 삽입체(23)가 삽입되어 있으며, 상기 삽입체(23)에는 다수의 돌기(23a)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다른 재질로 이루어진 삽입체(23)는 상기 휴대통신기기에 구비된 안테나의 작동에 방해를 줄일 수 있는 재료 특성을 갖는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예를 들어, 복수의 벽(22)의 대부분이 ABS 수지로 이루어질 경우, 상기 삽입체(23)는 폴리에틸렌이나 폴리프로필렌과 같은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경우, 안테나의 작동에 방해를 줄 수 있는 부분만 그립감이 떨어지는 폴리프로필렌 수지와 같은 재질을 사용하고, 나머지 부분과 ABS 수지로 이루어진 바깥쪽 부분은 그립감이 좋은 ABS 수지를 사용할 경우, 상품성을 보다 높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휴대통신기기를 파지하는 부분의 외측에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형상의 돌출부(22b)가 구비된다.
상기 본 발명의 실시예 1 및 실시예 2에 따른 휴대통신기기용 커버가 휴대통신기기의 통신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하여, 평가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아래 표 1과 표 2는 파지하지 않은 프리 스페이스(free space) 상태의 평가 결과를 나타낸 것이고, 표 3과 표 4는 사용자가 파지한 상태를 모사한 핸드 팬텀(hand phantom) 상태를 적용한 평가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또한, 아래 표 1 내지 표 4에 있어서, '비교예 1'은 현재 시판중인 L사의 제품이고, '비교예 2'는 현재 시판중인 S사 제품으로, 모두 디스플레이가 보이는 전면이 노출되고, 4측면의 벽이 형성된 본 발명의 실시예 1 및 2와 유사한 형상을 갖는 제품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경우, 도 3의 형상을 가지고, 재질은 폴리프로필렌 수지로 제조된 것이며, 실시예 2의 경우, 도 5의 형상을 가지고, 재질은 ABS 수지로 제조되고, 삽입체는 폴리프로필렌 수지로 제조된 것이다.
또한, 각각의 표에 기재된 '갤럭시 S10 플러스', '아이폰 XR'은 테스트에 사용한 스마트폰의 모델명이다.
갤럭시 S10 플러스 LTE B1 LTE B5 LTE B7 LTE B8 LTE 4개 대역
TX/RX평균
Wifi 2.4G b Wifi 5.8G a Wifi 2개 대역
TX/RX평균
TX RX TX RX TX RX TX RX TX RX TX RX
초기
(Initial)
측정 18.03 -96.46 13.98 -95.05 16.68 -95.56 13.96 -95.16   12.36 -80.84 12.44 -71.96  
비교예 1 측정 16.71 -95.31 12.34 -93.81 16 -94.17 12.07 -92.9   11.04 -79.32 8.75 -69.59  
배리에이션 dB 1.32 1.15 1.64 1.24 0.68 1.39 1.89 2.26   1.32 1.52 3.69 2.37  
배리에이션 % -35.5 -30.3 -45.9 -33.0 -16.9 -37.7 -54.5 -68.3 -40.3 -35.5 -41.9 -133.9 -72.6 -71.0
비교예 2 측정 16.77 -94.67 11.8 -93.63 15.46 -93.99 11.55 -92.22   11.04 -78.85 8.03 -68.67  
배리에이션 dB 1.26 1.79 2.18 1.42 1.22 1.57 2.41 2.94   1.32 1.99 4.41 3.29  
배리에이션 % -33.7 -51.0 -65.2 -38.7 -32.4 -43.5 -74.2 -96.8 -54.4 -35.5 -58.1 -176.1 -113.3 -95.8
실시예 1
PP(PE)
측정 17.65 -95.76 13.84 -94.6 16.91 -95.08 14.16 -93.92   11.96 -80.33 11.12 -70.95  
배리에이션 dB 0.38 0.7 0.14 0.45 -0.23 0.48 -0.2 1.24   0.4 0.51 1.32 1.01  
배리에이션 % -9.1 -17.5 -3.3 -10.9 5.2 -11.7 4.5 -33.0 -9.5 -9.6 -12.5 -35.5 -26.2 -21.0
실시예 2
PP+ABS
조합
측정 17.48 -95.67 13.75 -94.29 16.83 -94.9 13.98 -93.78   11.88 -79.71 10.92 -70.3  
배리에이션 dB 0.55 0.79 0.23 0.76 -0.15 0.66 -0.02 1.38   0.48 1.13 1.52 1.66  
배리에이션 % -13.5 -19.9 -5.4 -19.1 3.4 -16.4 0.5 -37.4 -13.5 -11.7 -29.7 -41.9 -46.6 -32.5
아이폰 XR LTE B1 LTE B5 LTE B7 LTE B8 LTE 4개 대역
TX/RX평균
Wifi 2.4G b Wifi 5.8G a Wifi 2개 대역
TX/RX평균
TX RX TX RX TX RX TX RX TX RX TX RX
초기
(Initial)
측정 16.94 -95.41 15.9 -93.64 16.36 -91.77 15.65 -93.06   7.71 -81.96 5.78 -67.59  
비교예 1 측정 16.5 -93.01 16.3 -91.84 12.2 -87.7 14.14 -90.85   2.79 -75.58 1.99 -66.19  
배리에이션 dB 0.44 2.4 -0.4 1.8 4.16 4.07 1.51 2.21   4.92 6.38 3.79 1.4  
배리에이션 % -10.7 -73.8 8.8 -51.4 -160.6 -155.3 -41.6 -66.3 -68.9 -210.5 -334.5 -139.3 -38.0 -180.6
비교예 2 측정 16.66 -93.88 15.76 -91.86 14.21 -88.54 14.44 -91.61   4.8 -78.44 4.96 -66.25  
배리에이션 dB 0.28 1.53 0.14 1.78 2.15 3.23 1.21 1.45   2.91 3.52 0.82 1.34  
배리에이션 % -6.7 -42.2 -3.3 -50.7 -64.1 -110.4 -32.1 -39.6 -43.6 -95.4 -124.9 -20.8 -36.1 -69.3
실시예 1
PP(PE)
측정 16.86 -94.59 15.76 -92.88 15.67 -90.74 14.93 -91.72   7.12 -80.01 4.74 -67.6  
배리에이션 dB 0.08 0.82 0.14 0.76 0.69 1.03 0.72 1.34   0.59 1.95 1.04 -0.01  
배리에이션 % -1.9 -20.8 -3.3 -19.1 -17.2 -26.8 -18.0 -36.1 -17.9 -14.6 -56.7 -27.1 0.2 -24.5
실시예 2
PP+ABS
조합
측정 16.97 -94.34 16.16 -92.96 15.3 -89.35 14.85 -91.92   5.9 -79.85 4.74 -67.31  
배리에이션 dB -0.03 1.07 -0.26 0.68 1.06 2.42 0.8 1.14   1.81 2.11 1.04 0.28  
배리에이션 % 0.7 -27.9 5.8 -16.9 -27.6 -74.6 -20.2 -30.0 -23.9 -51.7 -62.6 -27.1 -6.7 -37.0
갤럭시 S10 플러스
(핸드)
LTE B1 LTE B5 LTE B7 LTE B8 LTE 4개 대역
TX/RX평균
TX RX TX RX TX RX TX RX
초기
(Initial)
측정 11.87 -93.92 16.58 -95.41 11.37 -92.64 15.63 -95.36  
비교예 1 측정 13.06 -93.88 16.31 -94.93 10.06 -92.02 14.83 -94.38  
배리에이션 dB -1.19 0.04 0.27 0.48 1.31 0.62 0.8 0.98  
배리에이션 % 24.0 -0.9 -6.4 -11.7 -35.2 -15.3 -20.2 -25.3 -11.4
실시예 1 측정 12.9 -94.22 17.22 -96.42 11.19 -92.26 17.39 -96.73  
배리에이션 dB -1.03 -0.3 -0.64 -1.01 0.18 0.38 -1.76 -1.37  
배리에이션 % 21.1 6.7 13.7 20.7 -4.2 -9.1 33.3 27.1 13.7
아이폰 XR
(핸드)
LTE B1 LTE B5 LTE B7 LTE B8 LTE 4개 대역
TX/RX평균
TX RX TX RX TX RX TX RX
초기
(Initial)
측정 12.11 -92.82 17.05 -92.54 15.01 -90.05 14.47 -92.46  
비교예 2 측정 13.66 -91.82 18.26 -93.8 15.49 -88.95 16.46 -93.71  
배리에이션 dB -1.55 1 -1.21 -1.26 -0.48 1.1 -1.99 -1.25  
배리에이션 % 30.0 -25.9 24.3 25.2 10.5 -28.8 36.8 25.0 12.1
실시예 1 측정 13.84 -93.02 18.57 -94.42 14.79 -89.97 17.5 -95.21  
배리에이션 dB -1.73 -0.2 -1.52 -1.88 0.22 0.08 -3.03 -2.75  
배리에이션 % 32.9 4.5 29.5 35.1 -5.2 -1.9 50.2 46.9 24.0
위 표 3에서 비교예 1과 실시예 1을 비교한 것은, 프리 스페이스 상태에서 비교예 1이 비교예 2에 비해 갤럭시 S10 플러스 모델에서 더 나은 결과를 나타내었기 때문이다. 또한, 위 표 4에서 비교예 2와 실시예 1을 비교한 것은, 프리 스페이스 상태에서 비교예 2가 비교예 1에 비해 아이폰 XR 모델에서 더 나은 결과를 나타내었기 때문이다.
아래 표 5는 프리 스페이스(free space) 상태에서 측정한 표 1 및 표 2의 결과의 평균값으로 정리한 것이다.
프리 스페이스 LTE 4개 대역, TX, RX
초기값 대비 열화량
전체 평균
Wifi 2개 대역, TX, RX
초기값 대비 열화량
전체 평균
갤럭시 S10 플러스 아이폰 XR 갤럭시 S10 플러스 아이폰 XR
비교예 1 -40.2% (열화) -68.8% (열화) -70.9% (열화) -180.5% (열화)
비교예 2 -54.4% (열화) -43.6% (열화) -95.7% (열화) -69.3% (열화)
실시예 1 -9.4% (열화) -17.9% (열화) -20.9% (열화) -24.5% (열화)
실시예 2 -13.5% (열화) -23.8% (열화) -32.4% (열화) -36.9% (열화)
위 표 5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 1 및 2에 따른 커버를 적용한 경우, 프리 스페이스 상태에서 평균적으로 비교예 1 및 비교예 2에 비해 현저하게 향상된 통신 특성을 나타내는 것을 알 수 있다.
아래 표 6은 핸드 팬텀(hand phantom) 상태에서 측정한 표 3 및 표 4의 결과의 평균값으로 정리한 것이다.
핸드 팬텀 LTE 4개 대역, TX, RX
초기값 대비 열화량
전체 평균
갤럭시 S10 플러스 아이폰 XR
비교예 1/2 -11.3% (열화) 12.1% (개선)
실시예 1 13.6% (개선) 24% (개선)
위 표 6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커버를 적용한 경우, 사용자가 파지한 상태 즉 핸드 팬텀 상태에서 평균적으로 비교예 1 또는 비교예 2에 비해 상당히 향상된 통신 특성을 나타내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본 발명에 따른 휴대통신기기용 커버가 휴대통신기기의 파손을 막음과 동시에, 휴대통신기기의 통신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음을 알 수 있으며, 이와 같이 향상된 통신 품질은 휴대통신기기가 통신 과정에 사용되는 출력을 낮출 수 있어, 배터리 사용 시간을 연장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다.
10, 20: 휴대통신기기용 커버
11, 21: 하부
12, 22: 벽
23: 삽입체
12a, 23a: 돌기
12b, 22b: 돌출부

Claims (5)

  1. 휴대통신기기의 외부 크기에 맞추어 형성된 하부와,
    상기 하부로부터 연장하는 복수의 벽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벽 중에서, 상기 휴대통신기기에 있어서 안태나가 구비된 영역과 인접하는 벽의 내측에는 상기 안태나가 구비된 영역의 전부 또는 일부와 이격될 수 있도록, 홈 또는 하나 이상의 돌기가 형성되고,
    그리고 상기 복수의 벽 중에서, 상기 휴대통신기기에 있어서 안태나가 구비된 영역과 인접하는 벽 중에서 사용자가 통신할 때 상기 휴대통신기기를 파지하는 부분의 외면에는 상기 복수의 벽의 다른 부분에 비해 외측으로 돌출된 영역이 구비되고,
    상기 돌출된 영역은, 상기 하부와 접하는 후면에서 전면에 이르는 영역 중에서, 후면에서 전면을 향하여 2/3 까지만 형성되고 나머지 영역에는 형성되지 않는, 휴대통신기기용 커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통신기기에 상기 휴대통신기기용 커버를 부착하였을 때, 상기 안태나가 구비된 영역과의 이격 거리는 0.1 ~ 2mm인, 휴대통신기기용 커버.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된 영역은 상기 복수의 벽의 다른 부분에 비해 0.1 ~ 2mm 높이로 돌출된, 휴대통신기기용 커버.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벽 중에서, 상기 휴대통신기기의 안태나가 구비된 영역과 접하는 벽의 내측에는 상기 복수의 벽의 물질과 상이한 물질로 이루어진 층이 형성되어 있는, 휴대통신기기용 커버.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통신기기용 커버의 하부와 복수의 벽은,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우레탄, 또는 ABS(acrylonitrile-butadiene-styrene) 수지로 이루어진, 휴대통신기기용 커버.
KR1020190092180A 2019-07-30 2019-07-30 휴대통신기기용 커버 KR1021971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2180A KR102197164B1 (ko) 2019-07-30 2019-07-30 휴대통신기기용 커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2180A KR102197164B1 (ko) 2019-07-30 2019-07-30 휴대통신기기용 커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97164B1 true KR102197164B1 (ko) 2020-12-31

Family

ID=740875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92180A KR102197164B1 (ko) 2019-07-30 2019-07-30 휴대통신기기용 커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97164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8515B1 (ko) * 2013-11-19 2014-12-05 이태성 휴대 단말기용 케이스
KR101750427B1 (ko) * 2014-01-03 2017-06-23 테크 21 라이센싱 리미티드 스크린을 구비한 모바일 장치용 케이스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8515B1 (ko) * 2013-11-19 2014-12-05 이태성 휴대 단말기용 케이스
KR101750427B1 (ko) * 2014-01-03 2017-06-23 테크 21 라이센싱 리미티드 스크린을 구비한 모바일 장치용 케이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26101B2 (en) Wireless electronic device with antenna cycling
US9293808B1 (en) Radio frequency properties of a case for a communications device
US9041606B2 (en) Uninterrupted bezel antenna
KR101890145B1 (ko) 스피커 음 증폭 경로를 갖는 휴대 단말기용 보호 케이스
US20130106661A1 (en) Case or attachment for an electronic communications device
WO2018113178A1 (zh) 壳体组件、双摄像头模组及移动终端
US20160031625A1 (en) Case having a shock absorbing structure for electronic devices
CN109167857B (zh) 校准方法、电子装置、存储介质和计算机设备
US20220231720A1 (en) Protective case for electronic device
US20170117929A1 (en)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grip guide
KR200465394Y1 (ko) 이중 구조를 갖는 휴대폰 케이스
KR102197164B1 (ko) 휴대통신기기용 커버
KR102406222B1 (ko) 휴대폰 케이스
EP2963835B1 (en) Attachment for an electronic communications device
KR20180012703A (ko) 모바일 장치용 케이스
KR101229079B1 (ko) 휴대단말기용 범퍼케이스
CN205285371U (zh) 手机保护套
CN112654194B (zh) 保护壳
US20170264332A1 (en) Attachment for an electronic communications device
CN208158688U (zh) 超薄手机壳结构
KR20130003893U (ko) 휴대폰 케이스
CN216414362U (zh) 一种手机保护套
CN210927171U (zh) 一种电子产品快速充电装置
CN213846736U (zh) 电子设备防护框及电子设备组件
CN218728816U (zh) 平板电脑保护壳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