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96712B1 - 개인의 소셜 매체를 이용한 콘텐츠 제공 방법 및 그 방법이 기록된 기록매체 - Google Patents

개인의 소셜 매체를 이용한 콘텐츠 제공 방법 및 그 방법이 기록된 기록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96712B1
KR102196712B1 KR1020140066546A KR20140066546A KR102196712B1 KR 102196712 B1 KR102196712 B1 KR 102196712B1 KR 1020140066546 A KR1020140066546 A KR 1020140066546A KR 20140066546 A KR20140066546 A KR 20140066546A KR 102196712 B1 KR102196712 B1 KR 1021967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social
information
customer
acquaintanc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665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38593A (ko
Inventor
오충록
Original Assignee
오충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충록 filed Critical 오충록
Priority to KR10201400665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96712B1/ko
Publication of KR201501385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385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967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967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1Social network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개인의 소셜 매체를 이용한 콘텐츠 제공 방법 및 그 방법이 기록된 기록매체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른 통신망과 결합된 서버장치에서 수행되는 콘텐츠 제공 방법은, 고객에 의해 구매된 콘텐츠에 대한 정보와 고객에 대한 고객정보를 판매자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고객이 가입된 소셜 매체에 콘텐츠에 대한 정보를 게재함으로써, 소셜 매체에 등록된 고객의 소셜 지인들에게 콘텐츠에 대한 정보를 노출시키는 단계; 및 소셜 지인들 중 미리 설정된 기준에 따라 콘텐츠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개인의 소셜 매체를 이용한 콘텐츠 제공 방법 및 그 방법이 기록된 기록매체{Method for providing contents using individual social medium and recording-medium recorded thereof}
본 발명은 콘텐츠 제공에 관한 것으로서, 좀 더 상세하게는 개인의 페이스북, 트위터 등의 소셜 매체를 이용한 콘텐츠 제공 방법 및 그 방법이 기록된 기록매체에 관한 것이다.
근래에는 다양한 콘텐츠가 이용되고 있는데, 콘텐츠에 대한 구매 및 유통은 대부분 온라인상에서 이루어지고 있다. 예를 들어, 커피숍 등 오프라인 마켓에서 이용되는 쿠폰과 같은 콘텐츠도 온라인을 통해 고객들에게 판매 또는 제공되고 있다. 온라인의 특성 상 언제 어디서나 인터넷이 가능한 곳이라면 콘텐츠를 쉽게 구매하거나 이용할 수 있다는 편의성은 존재하나, 사용자들 입장에서 아직까지는 오프라인상에서 돈을 주고 물건을 사는 것에 익숙하여 그 이용성이 떨어지는 것도 사실이다.
그리고, 최근에는 오프라인 상점을 통한 상품의 매매뿐 아니라, 온라인 마켓을 통한 상품의 매매가 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인터넷을 이용한 온라인 마켓은 컴퓨팅장치를 통해 많은 상품을 비교하여 구매할 수 있어 더욱 이용률이 높아가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최근에는 많은 수의 온라인 마켓이 오픈되어 운영되고 있는데, 각 온라인 마켓은 배너광고, 포털사이트 키워드 광고 등 회원들을 모집하기 위한 광고에 많은 금액을 투자하고 있는데, 실질적으로 그 광고에 따른 효과를 측정하기가 어려운 실정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오프라인 상에서 콘텐츠를 쉽게 구매하고, 온라인을 통해 유통시킬 수 있는 개인의 소셜 매체를 이용한 콘텐츠 제공 방법 및 그 방법이 기록된 기록매체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콘텐츠 구매자가 이용하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NS)를 광고/홍보 수단으로 이용함으로써, 콘텐츠 판매자에게는 홍보 효과를 제공하고 콘텐츠 구매자에게는 할인혜택 등을 제공하게 되는 개인의 소셜 매체를 이용한 콘텐츠 제공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은 이하에 서술되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보다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통신망과 결합된 서버장치에서 수행되는 콘텐츠 제공 방법에 있어서, 고객에 의해 구매된 콘텐츠에 대한 정보와 상기 고객에 대한 고객정보를 판매자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기 고객이 가입된 소셜 매체에 상기 콘텐츠에 대한 정보를 게재함으로써, 상기 소셜 매체에 등록된 상기 고객의 소셜 지인들에게 상기 콘텐츠에 대한 정보를 노출시키는 단계; 및 상기 소셜 지인들 중 미리 설정된 기준에 따라 상기 콘텐츠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콘텐츠 제공 방법 및 그 방법을 실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가 제공된다.
여기서, 상기 판매자 단말로부터 상기 고객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고객에 대한 상기 소셜매체에서의 소셜지수를 확인하여 상기 콘텐츠에 대한 판매가격을 결정하여 상기 판매자 단말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소셜 매체에 게재된 콘텐츠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접속된 소셜 지인들에게 미리 설정된 게임을 제공하고, 각 게임 실행 결과에 따른 어느 하나 이상의 소셜 지인을 선택하여 상기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콘텐츠를 제공받은 소셜 지인에 대한 정보를 상기 고객에게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오프라인 상에서 콘텐츠를 쉽게 구매하고, 온라인을 통해 유통시킬 수 있어, 콘텐츠 구매의 편의성뿐 아니라 사용의 편의성을 함께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콘텐츠 구매자가 이용하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NS)를 광고/홍보 수단으로 이용함으로써, 콘텐츠 판매자에게는 홍보 효과를 제공하고 콘텐츠 구매자에게는 할인혜택 등을 제공하여 구매자 및 판매자 모두 이익을 얻을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콘텐츠를 구매하는 구매자가 이용하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NS)를 광고/홍보 수단으로 이용함으로써, 개인의 SNS 파급력에 따라 콘텐츠 매매 금액을 차별화하여 개인 맞춤형 할인 정책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인의 소셜 매체를 이용한 콘텐츠 제공을 위한 전체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제공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원의 관련SNS 정보를 예시한 테이블.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셜지수에 따른 콘텐츠 판매가격 결정과정을 도시한 흐름도.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상관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인의 소셜 매체를 이용한 콘텐츠 제공을 위한 전체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전체 시스템은 사용자단말(10-1, 10-2, ..., 10-n, 이하 10으로 통칭), 판매자 단말(20), 하나 이상의 SNS 서버(30-1, 30-2, ..., 30-m, 이하 30으로 통칭) 및 서비스 서버(50)를 포함한다.
사용자단말(10)은 통신망을 통한 통신이 가능한 장치로서 차후 설명하겠으나 구매자 또는 구매자의 소셜 매체에 지인으로 등록된 사용자들이 구비한 단말장치이며, 예를 들어 사용자단말(10)은 일반개인용컴퓨터뿐 아니라 스마트폰, 태블릿PC와 같은 휴대용 단말장치를 포함하는 컴퓨팅장치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사용자단말(10)은 스마트폰인 경우를 가정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판매자 단말(20)은 콘텐츠를 판매하는 판매자가 보유한 단말장치로서, 예를 들어 커피숍, 편의점 등 오프라인 매장에 설치되는 단말장치일 수 있으며, 또는 온라인 오픈마켓에서 운영되는 서버장치일 수도 있다.
SNS 서버(30)는 최근 많은 이용자 수를 갖고 있는 페이스북(facebook), 트위터(twitter), 밴드(band) 등의 SNS(social networking service)를 제공하는 서버이다. 사용자들은 이러한 SNS 서버(30)에 회원 등록하여 부여 받은 계정을 가지고 지인(이하 쇼셜 지인이라 칭함)들과의 소셜 서비스를 이용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단말(10)은 페이스북과 같은 SNS 서버(30)로 접속하여 자신의 계정에 등록된 소셜 지인들과 다양한 콘텐츠를 공유할 수 있다.
판매자 단말(20)은 구매자가 콘텐츠를 구매하면, 해당 구매자에 대한 정보(예를 들어, 전화번호, 이름 등)와 구매된 콘텐츠에 대한 정보를 서비스 서버(50)로 제공한다.
서비스 서버(50)는 판매자 단말(20)로부터 수신된 정보들에 기반하여, 구매자가 계정을 가진 상술한 바와 같은 SNS 서버(30)에 의한 소셜 매체에 구매자의 계정으로 해당 콘텐츠(구매자가 구매한 콘텐츠)에 대한 정보(예를 들어, 콘텐츠에 대한 설명 및 해당 콘텐츠에 접근할 수 있는 접속정보(예를 들어, URL 등)가 포함됨)가 노출되도록 게시물을 게재한다. 따라서, 구매자의 소셜매체에 따른 소셜 지인들은 구매자가 구매한 콘텐츠에 대한 정보를 자신의 사용자단말(10)을 이용하여 소셜매체에 따른 계정으로 로그인하여 확인할 수 있으며, 또한 그 콘텐츠에 접근할 수 있다.
그리고, 서비스 서버(50)는 구매자의 소셜 지인들 중 미리 설정된 규칙에 따라 어느 하나 이상의 소셜 지인에게 해당 콘텐츠를 제공한다. 예를 들어, 서비스 서버(50)는 가장 먼저 해당 게시물에 표시되는 접속정보를 이용하여 접속을 시도한 소셜 지인의 사용자단말(10)로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예에 따르면, 서비스 서버(50)는 해당 게시물을 이용하여 접속한 소셜 지인들에게 게임(예를 들어, 사다리타기 게임) 서비스를 제공하고, 소셜 지인들이 해당 게임을 실행한 결과에 따른 어느 하명(또는 복수일 수도 있음)에게 콘텐츠를 제공할 수도 있다.
정리하자면, 구매자가 자신이 구매한 콘텐츠를 소셜매체를 활용하여 소셜 지인에게(즉, 소셜 지인이 보유한 사용자단말(10)) 제공하여 이용하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이해의 편의를 위해 쉬운 예를 하나 들자면, 구매자는 커피숍에서 커피 할인 쿠폰을 구매하면, 그 할인 쿠폰이 소셜매체를 통해 소셜 지인 중 어느 하나에게 제공되어, 해당 소셜 지인은 그 할인 쿠폰을 해당 커피숍에서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이하, 서비스 서버(50)에서 수행되는 콘텐츠 제공 과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제공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서비스 서버(50)는 판매자 단말(20)로부터 콘텐츠 구매 정보를 수신하는데(S210), 콘텐츠 구매 정보로는 구매자에 대한 정보, 판매되는 콘텐츠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서비스 서버(50)는 구매자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구매자가 이용하는 소셜 매체를 확인하고(미리 구매자에 대한 회원정보로서 계정을 가진 소셜매체에 대한 정보 등을 구비할 수 있으며, 또는 실시간 SNS 서버와 연동하여 구매자의 소셜매체 및 그 계정을 확인할 수도 있음), 해당 소셜 매체에 구매자의 계정으로 구매된 콘텐츠에 대한 정보가 노출되는 게시물을 게시한다(S220). 여기서, 다른 일례에 따르면, 서비스 서버(50)는 구매자의 계정이 아니더라도, 구매자의 쇼셜 지인들에게 노출되는 방식이라면 어떠한 계정을 이용하더라도 무관하게 게시물을 게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비스 서버(50) 자체에서 구비한 계정으로 소셜 매체에 게시물을 게시하더라도, 해당 구매자가 그 게시물을 등록한 것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인데, 페이스북의 경우 게시물의 내용에는 구매자가 등록한 것과 같이 표시하고, 구매자가 [좋아요]버튼을 누른 것으로 처리함으로써, 구매자의 소셜 지인들에게 해당 게시물이 노출되도록 할 수 있다.
콘텐츠 정보가 포함된 게시물은 구매자의 소셜 지인들에게 노출될 수 있는데(예를 들어, 소셜 지인들의 해당 소셜매체에 각자의 계정으로 로그인 한 경우), 상술한 바와 같이 서비스 서버(50)는 그 소셜 지인들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선택하여 해당 콘텐츠를 제공한다(S230).
따라서 콘텐츠를 취득한 소셜 지인은 자신의 사용자단말(10)에 콘텐츠를 저장하여 언제든지 이용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다른 일례에 따르면 구매자에게 판매되는 콘텐츠의 판매 가격은 해당 구매자의 소셜 지수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쉽게 말해 회원이 SNS 서버(30)에서 제공하는 SNS에 대한 활동 내역을 지수화하여, 그에 따른 콘텐츠의 매매 서비스(예를 들어, 소셜 지수에 따른 콘텐츠 할인 가격 책정 등)를 제공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user001이라는 아이디를 갖는 회원이 등록한 페이스북 계정에 친구로 등록된 지인이 총 50명인 경우, 해당 등록SNS인 페이스북의 지인수는 50이 되는 것이다. 일례에 따르면, 서비스 서버(50)는 해당 SNS 서버(30)와 연동하여, 회원의 지인수 등에 대한 소셜 활동과 관련된 정보들을 취득할 수 있을 것이다.
서비스 서버(50)는 이러한 회원들의 등록SNS에 대한 정보를 기반으로, 회원의 소셜 지수를 산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각 등록SNS 지인수, 해당 회원이 각 SNS 서버(30)에 게시한 게시물의 수(또는 타인의 조회수, 추천수, 댓글수도 이용 가능) 등이 소셜 지수의 산출에 이용될 수 있다. 물론 이는 하나의 일례일 뿐이며, 소셜 지수로서 각 등록SNS의 지인수만이 그대로 이용될 수도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원의 관련SNS 정보를 예시한 테이블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정보가 서비스 서버(50)에서 관리됨으로써, 서비스 서버(50)는 구매자가 회원으로 등록된 경우 구매자의 소셜지수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도면을 참조하면, 소셜지수의 산출에는 각 SNS의 지인수의 총합 또는 그 평균, 또는 가장 큰 수 또는 가장 작은 수 중 어느 하나가 이용될 수 있을 것이다. 만일 지인수만이 이용되는 경우, 아이디 user001의 소셜 지수는 95(총합), 31.6(평균), 50(가장 큰 수) 또는 15(가장 작은 수)일 것이다. 또한, 각 SNS마다 지인들 중 중복되는 사람들이 있을 수 있는데, 이러한 경우 각 SNS 서버(30)들에서 전화번호, 주민등록번호와 같은 유니크한 식별정보가 이용된다면, 매매 서버(50)는 그 중복성을 체크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회원은 콘텐츠의 구매 시 활용하고자 하는 SNS를 선택할 수 있는데, 다시 말해 등록된 등록SNS 중 자신이 원하는 것(이하 가용SNS라 칭함, 도 5 참조)만 선택해서 활용할 수도 있다. 이때엔 하나 이상의 가용SNS들에 대해서만 활동 지수가 이용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이러한 구매자의 소셜지수를 활용하여, 판매자는 소셜지수에 따른 콘텐츠의 판매가격을 달리하여 콘텐츠를 판매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셜지수에 따른 콘텐츠 판매가격 결정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서비스 서버(50)는 판매자 단말(20)로부터 콘텐츠 구매 정보가 수신되면(211), 구매자의 소셜지수를 확인하고(S213), 그 소셜지수에 따른 콘텐츠의 판매 가격을 결정한다(S215). 쉬운 예를 들어, 콘텐츠의 원가가 \1,000원인 경우, 소셜 지수가 50이하인 경우엔 원가 그대로, 소셜 지수가 50이상인 경우 \200원 할인된 \800원으로 판매가격을 결정한다.
서비스 서버(50)는 결졍된 판매 가격에 대한 정보를 판매자 단말(20)로 제공하며(S217), 이에 따라 판매자 단말(20)은 구매자에게 해당 판매가격으로 콘텐츠를 판매함으로써, 각 구매자의 소셜지수에 따라 차별화된 콘텐츠 판매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구매자가 콘텐츠를 구매함에 따른 결재는 판매자에 의해 직접 이루어질 수도 있으나, 다른 일례에 따르면 서비스 서버(50)에 의해 온라인 결재가 처리될 수도 있다. 즉, 서비스 서버(50)는 판매자 단말로부터 콘텐츠 구매 정보가 수신되면, 해당 구매자의 사용자단말(10)로 콘텐츠 결재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 구매자가 서비스 서버(50)에 접속하여 결재하도록 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른 소셜 지수를 이용한 개인 차별화 상품 매매 방법은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로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해독될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된 모든 종류의 기록 매체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ROM(Read Only Memory), RAM(Random Access Memory), 자기 테이프, 자기 디스크, 플래쉬 메모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을 수 있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통신망으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또한,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1, 10-2, ..., 10-n : 사용자단말
20 : 판매자 단말
30-1, 30-2, ..., 30-m : SNS 서버
50 : 서비스 서버

Claims (5)

  1. 통신망과 결합된 서버장치에서 수행되는 콘텐츠 제공 방법에 있어서,
    판매자 단말로부터 오프라인상에서 매매하고자 하는 콘텐츠 및 고객에 대한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고객에 대한 소셜매체에서의 지인수에 의해 측정되는 소셜지수를 확인하여 상기 콘텐츠에 대한 판매가격을 결정하여 상기 판매자 단말로 제공하는 단계;
    상기 판매자 단말로부터 상기 고객에 의한 상기 콘텐츠의 구매내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고객이 가입된 소셜매체에 구매된 상기 콘텐츠에 대한 정보를 게재함으로써, 상기 소셜매체에 등록된 상기 고객의 소셜 지인들에게 상기 콘텐츠에 대한 정보를 게시물로서 노출시키는 단계;
    상기 게시물에 표시되는 미션을 가장먼저 수행한 소셜지인에게 상기 콘텐츠를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콘텐츠를 제공받은 소셜 지인에 대한 정보를 상기 고객에게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콘텐츠 제공 방법.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 1항의 방법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컴퓨터가 읽을 수 있도록 기록된 기록 매체.
KR1020140066546A 2014-05-30 2014-05-30 개인의 소셜 매체를 이용한 콘텐츠 제공 방법 및 그 방법이 기록된 기록매체 KR1021967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66546A KR102196712B1 (ko) 2014-05-30 2014-05-30 개인의 소셜 매체를 이용한 콘텐츠 제공 방법 및 그 방법이 기록된 기록매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66546A KR102196712B1 (ko) 2014-05-30 2014-05-30 개인의 소셜 매체를 이용한 콘텐츠 제공 방법 및 그 방법이 기록된 기록매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38593A KR20150138593A (ko) 2015-12-10
KR102196712B1 true KR102196712B1 (ko) 2020-12-30

Family

ID=549789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66546A KR102196712B1 (ko) 2014-05-30 2014-05-30 개인의 소셜 매체를 이용한 콘텐츠 제공 방법 및 그 방법이 기록된 기록매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96712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30073385A1 (en) * 2011-09-19 2013-03-21 LaShou Group INC. Communication method and system for online and offline social commerce
US20140089072A1 (en) * 2012-09-25 2014-03-27 Google Inc. Posting purchase information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47219A (ko) * 2011-10-31 2013-05-08 엘지전자 주식회사 Sns를 이용하여 소셜 커머스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30073385A1 (en) * 2011-09-19 2013-03-21 LaShou Group INC. Communication method and system for online and offline social commerce
US20140089072A1 (en) * 2012-09-25 2014-03-27 Google Inc. Posting purchase inform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38593A (ko) 2015-1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058604B2 (en) Converged web-identity and mobile device based shopping
KR101020628B1 (ko) 인터넷을 이용한 전자상거래에서의 묶음할인 상품 판매방법및 이를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수 있는 기록매체
AU2016244286A1 (en) System and method for personalized add-on purchase
US20140297383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price calculation method, and recording medium
KR101369033B1 (ko) 인터넷을 이용한 전자상거래에서의 단골매장 관리서비스 방법 및 이를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US20140222611A1 (en) System and method for a curator recommended sale of commodities
US20210374784A1 (en) Method for incorporating a product in a multi-level marketing system and allowing user to motivate their downline
WO2018204744A1 (en) Rules-based voucher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for processing self-service substantiation voucher
US20220358467A1 (en) Permissions for retailer types within a marketing system
KR100896613B1 (ko) 쇼핑몰 사이트 운영 방법
Rajan The Flipkart story in India: From the start to Walmart
KR20140021111A (ko) 코드를 이용한 온라인 상품 판매 방법 및 그 방법이 기록된 기록매체
KR20170024245A (ko) 상품 이미지 등 상품 식별을 위한 최소 정보를 활용하여 상품 주문/결제 커머스 모델
KR102196712B1 (ko) 개인의 소셜 매체를 이용한 콘텐츠 제공 방법 및 그 방법이 기록된 기록매체
KR20190107835A (ko) 멀티채널 쇼핑몰 시스템
US20150046215A1 (en) Scoring sales leads in a sales lead marketplace
KR20140093771A (ko) 개인의 소셜 지수를 이용한 상품 매매 방법 및 그 방법이 기록된 기록매체
Tabaei et al. Developing online customer satisfaction strategic maps: With Iranian online retailing case studies
KR20110019529A (ko) 판매 시스템
Mridha et al. Factors influencing consumers’ attitude towards online shopping in Rangpur City
Narisara The intention purchase toward fashion product from live streaming channel
KR102002584B1 (ko) 가맹점을 선택한 사용자에게 추가 적립금을 제공하는 적립금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140047473A (ko) 마일리지 서비스 시스템
Rao et al. Online Marketing-The Powerful Astra in the Strategic Armory of Marketers.
Khanna Online retailing: Challenges and opportuniti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