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96574B1 - 블록체인을 활용한 매출 정보관리시스템 및 블록체인을 활용한 매출 정보관리방법 - Google Patents

블록체인을 활용한 매출 정보관리시스템 및 블록체인을 활용한 매출 정보관리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96574B1
KR102196574B1 KR1020190068695A KR20190068695A KR102196574B1 KR 102196574 B1 KR102196574 B1 KR 102196574B1 KR 1020190068695 A KR1020190068695 A KR 1020190068695A KR 20190068695 A KR20190068695 A KR 20190068695A KR 102196574 B1 KR102196574 B1 KR 1021965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hash value
file
sales information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686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41760A (ko
Inventor
이중
강태이
김홍석
임성호
표영빈
심규선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 filed Critical 대한민국
Priority to KR10201900686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96574B1/ko
Publication of KR202001417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417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965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965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06Q10/103Workflow collaboration or project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9Performance analysis of employees; Performance analysis of enterprise or organisation oper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06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the encryption apparatus using shift registers or memories for block-wise or stream coding, e.g. DES systems or RC4; Hash functions; Pseudorandom sequence generators
    • H04L9/0643Hash functions, e.g. MD5, SHA, HMAC or f9 MAC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08Key distribution or management, e.g. generation, sharing or updating, of cryptographic keys or passwords
    • H04L9/0816Key establishment, i.e. cryptographic processes or cryptographic protocols whereby a shared secret becomes available to two or more parties, for subsequent use
    • H04L9/0819Key transport or distribution, i.e. key establishment techniques where one party creates or otherwise obtains a secret value, and securely transfers it to the other(s)
    • H04L9/0825Key transport or distribution, i.e. key establishment techniques where one party creates or otherwise obtains a secret value, and securely transfers it to the other(s) using asymmetric-key encryption or public key infrastructure [PKI], e.g. key signature or public key certificat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5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using hash chains, e.g. blockchains or hash trees
    • H04L2209/38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Economic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Marketing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블록체인을 활용한 매출 정보관리시스템 및 블록체인을 활용한 매출 정보관리방법에 관한 것이다. 여기서, 본 발명의 블록체인을 활용한 매출 정보관리시스템은, 매출정보를 문서파일로 형성하며 문서파일에 제1해시값을 매핑하고, 문서파일을 서로 다른 제1키로 암호화하는 클라이언트모듈;
클라이언트모듈과 네트워크 연결되어 클라이언트모듈에 제1키를 제공하며 제1키와 짝을 이루는 제2키를 포함하고, 문서파일을 다운로드하여 제2키로 문서파일을 복호화한 후, 제2해시값을 연산한 후, 클라이언트모듈에서 전송되는 제1해시값과 제2해시값을 대비시켜, 일치 여부를 판단한 후, 일치 하는 경우 일치신호를 발생시키며 확정자료로 형성하고, 확정자료를 적어도 하나의 블록에 저장하고 블록에 블록번호를 할당하며 블록파일을 형성하는 감독기관모듈; 및 감독기관모듈로부터 블록파일을 수신한 후, 복수 개의 유관기관모듈과 공유하는 블록체인모듈을 포함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블록체인을 활용한 매출 정보관리방법은 클라이언트모듈이 매출정보를 문서파일로 형성하며 문서파일에 제1해시값을 매핑하고, 문서파일을 서로 다른 제1키로 암호화하는 (A)단계;
감독기관모듈이 클라이언트모듈과 네트워크 연결되어 클라이언트모듈에 제1키를 제공하며 제1키와 짝을 이루는 제2키를 포함하고, 문서파일을 다운로드하여 제2키로 문서파일을 복호화하며 제2해시값을 연산한 후, 클라이언트모듈에서 전송되는 제1해시값과 제2해시값을 대비시켜, 일치 여부를 판단한 후, 일치 하는 경우 일치신호를 발생시키며 확정자료로 형성하고, 확정자료를 적어도 하나의 블록에 저장하고 블록에 블록번호를 할당하며 블록파일을 형성하는 (B)단계; 및 블록체인모듈이 상기 감독기관모듈로부터 상기 블록파일을 수신한 후, 복수 개의 유관기관모듈과 공유하는 (C)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블록체인을 활용한 매출 정보관리시스템 및 블록체인을 활용한 매출 정보관리방법{Sales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Based on Block chain And Sales Information Management Method Based on Block chain}
본 발명은 블록체인 기술에 기반한 영업장의 매출 정보를 관리하는 시스템과 관련된 기술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영업장의 매출 데이터에 대한 결손과 부정합이 없도록 하는 기술이다.
중앙정부 및 여러 지자체 등은 다수의 기업 및 영업장 등의 매출 정보를 파악하고자 매출액에 대한 정보를 요구하고 있다. 이중 많은 영업장은 지자체에 서면으로 매출정보를 제출하고 있다. 일례로, 카지노는 자금을 세탁하는 곳으로 사용될 수 있는 온실임에도 불구하고, 운영상의 여러 문제로 매출액에 대한 정보를 서면으로 제출하고 있다. 매출액을 서면으로 제출 시, 제출자가 감독자의 감독하에 서류에 기재된 정보를 엑셀파일로 형성하고 감독자가 이를 확인하는 절차로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절차에서는 제출자가 수많은 숫자를 하나하나 입력하는 과정에서 입력 오류가 발생되는 문제가 있다. 그리고 감독자는 제출자의 입력 오류가 고의적으로 한 것인지 아니면 단순 실수에 의한 것인지를 정확히 판별하지 못하는 문제가 존재한다. 더욱이, 일정기간 동안의 자료를 취합한 후 입력함에 따라 영업장의 일일 매출액을 즉시 파악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이에, 감독기관과 영업장과 연동 시스템 구축에 대한 검토가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감독기관의 편의를 위해 영업장에 검토 시스템의 설치를 요구한다는 것은 영업장에 부담을 줄 수 있다. 더욱이, 영세한 영업장에 고가의 검토 시스템을 설치하라는 것은 영업장의 존폐의 기로에 서게 하는 상황을 만들기도 한다.
이와 같은 문제에 기인하여 영업장에 검토 시스템 구축이 활발하게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다. 또한, 감독기관에서 비용을 부담하여 구축하더라도 특정 분야의 영업을 지원하는 예산을 쓰기에도 어려움이 있다. 이러한 이유 때문에 매출 정보를 관리하는 시스템은 기존의 서류로 제출하는 방식에서 크게 변화되지 못하고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9-0053778호 (공개일: 2019.05.20)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기존의 서류로 제출하는 방식에서 크게 변화되지 않으면서도 큰 비용을 들이지 않고 영업장에서 만든 디지털 문서를 안전하게 관리하며 무결성을 보증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즉, 큰 비용을 들이지 않으면서도 디지털 문서를 안정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과제는 관리되고 있는 데이터로부터 유용한 정보를 추출할 수 있도록 하며 추출한 정보를 주요 정책 결정에도 활용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그리고, 다른 분야에서도 쉽게 적용되어 사용될 수 있도록 하는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매출정보를 문서파일로 생성하며 상기 문서파일의 제1해시값을 연산하고, 상기 문서파일을 비대칭키인 제1키로 암호화하는 클라이언트모듈; 상기 클라이언트모듈과 네트워크 연결되어 상기 클라이언트모듈에 상기 제1키를 제공하며 상기 제1키와 짝을 이루는 제2키를 포함하고, 상기 문서파일을 다운로드하여 상기 제2키로 상기 문서파일을 복호화하며 제2해시값을 연산하고, 상기 클라이언트모듈에서 전송되는 상기 제1해시값과 상기 제2해시값을 대비시켜, 일치 여부를 판단한 후, 일치하는 경우 일치 신호를 발생시키며 확정자료로 형성하고, 상기 확정자료를 블록에 저장하고 상기 블록에 블록번호를 할당하며 블록파일을 형성하는 감독기관모듈; 및 상기 감독기관모듈로부터 상기 블록파일을 수신한 후, 복수 개의 유관기관모듈과 공유하는 블록체인모듈을 포함하는 블록체인을 활용한 매출 정보관리시스템을 제공한다.
상기에서, 감독기관모듈은 상기 클라이언트모듈에서 제1해시값을 수신하고, 상기 제2해시값을 대비시키며 일치여부를 판단하는 해시값판단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해시값판단부는 상기 제1해시값과 상기 제2해시값이 일치하지 않은 경우, 상기 클라이언트모듈에 문서파일의 재전송을 요청하는 신호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감독기관모듈은 상기 제1해시값과 상기 제2해시값이 일치하는 경우, 상기 문서파일을 수신한 후, 복호화된 문서파일의 문자열을 토큰으로 분류하고 구문트리로 재구성하는 파싱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감독기관모듈은, 기 설정된 기준구문을 포함하여, 상기 파싱부에서 재구성된 구문트리를 기준구문과 대비하여 기준구문과 구문트리 간 일치 여부를 판단하는 검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검증부는 기준구문과 구문트리가 일치하면 문서파일을 확정자료로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감독기관모듈은, 상기 기준구문과 상기 구문트리가 일치한 확정자료들을 설정크기의 블록에 저장켜 하나의 블록파일을 생성하며 각 블록파일에 블록번호를 할당하는 블록형성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확정자료는 등급, 형태, 클라이언트모듈의 명, 파일 생성 일자, 상기 감독기관모듈에서 업로드한 날짜, 파일 형태, 제1해시값 및 상기 감독기관의 명칭을 포함하는 트랜젝센 데이터를 포함하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블록형성부는 상기 확정자료들이 하나의 블록(제1블록)에 다 저장되지 못한 경우, 다음 블록(제2블록)에 저장하고, 상기 블록형성부는 제1블록에 포함된 트랜잭션 데이터가 선택되면, 상기 제1블록에 포함된 복수의 트랜잭션 데이터들의 해시값을 연산하여, 상기 제2블록의 해시값으로 설정하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블록형성부는 상기 블록번호를 일련번호로 설정하고, 상기 제2블록의 해시값을 클라이언트모듈로 전송하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유관기관모듈은 상기 감독기관모듈에서 인증되며, 상기 확정자료를 공유하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은 클라이언트모듈이 매출정보를 문서파일로 생성하며 상기 문서파일의 제1해시값을 연산하고, 상기 문서파일을 비대칭키인 제1키로 암호화하는 (A)단계; 감독기관모듈이 상기 클라이언트모듈과 네트워크 연결되어 상기 클라이언트모듈에 상기 제1키를 제공하며 상기 제1키와 짝을 이루는 제2키를 포함하고, 상기 문서파일을 다운로드하여 상기 제2키로 상기 문서파일을 복호화하며 제2해시값을 연산하고, 상기 클라이언트모듈에서 전송되는 상기 제1해시값과 상기 제2해시값을 대비시켜, 일치 여부를 판단한 후, 일치 하는 경우 일치신호를 발생시키며 확정자료로 형성하고, 상기 확정자료를 적어도 하나의 블록에 저장하고 상기 블록에 블록번호를 할당하며 블록파일을 형성하는 (B)단계; 및 블록체인모듈이 상기 감독기관모듈로부터 상기 블록파일을 수신한 후, 복수 개의 유관기관모듈과 공유하는 (C)단계를 포함하는 블록체인을 활용한 매출 정보관리방법을 제공한다.
상기에서, (B)단계는 제1해시값을 수신하고, 상기 제2해시값을 대비시키며 일치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B)단계는 상기 제1해시값과 상기 제2해시값이 일치하지 않은 경우, 상기 클라이언트모듈에 문서파일의 재전송을 요청하는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B)단계는 상기 제1해시값과 상기 제2해시값이 일치하는 경우, 상기 문서파일을 수신한 후, 복호화된 문서파일의 문자열을 토큰으로 분류하고 구문트리로 재구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B)단계는, 기 설정된 기준구문을 포함하여, 상기 파싱부에서 재구성된 구문트리를 기준구문과 대비하여 기준구문과 구문트리 간 일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B)단계는 기준구문과 구문트리가 일치하면 일치신호를 발생시키면 상기 확정자료로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B)단계는, 상기 기준구문과 상기 구문트리가 일치하였을 때, 확정자료들을 설정크기의 블록에 저장시켜 하나의 블록파일을 생성하며 각 블록파일에 블록번호를 할당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B)단계는 상기 확정자료들이 하나의 블록(제1블록)에 다 저장되지 못한 경우, 다음 블록(제2블록)에 저장하고, 상기 블록형성부는 제1블록에 포함된 트랜잭션 데이터가 선택되면, 상기 제1블록에 포함된 복수의 트랜잭션 데이터들의 해시값을 연산하여, 상기 제2블록의 해시값으로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B)단계는 상기 블록번호를 일련번호로 설정하고, 상기 제2블록의 해시값을 클라이언트모듈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블록체인을 활용한 매출 정보관리시스템 및 블록체인을 활용한 매출 정보관리방법은 영업장에서 디지털화된 시스템을 구축하지 않고도 기존 출력 방식을 PDF파일 또는 엑셀파일로 매출정보를 간단하게 형성해 감독기관에 디지털 파일로 제출할 수 있도록 한다. 이에, 기존 매출 정보와 관련하여 서류로 제출하며 발생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형성된 데이터를 블록체인 시스템상에서 관리하며, 관리하고 있는 정보에 대한 높은 신뢰도를 나타낼 수 있다. 그리고 관리되고 있는 파일을 감독기관에서 파싱(정보의 추출)할 수 있도록 하며 파일의 검증, 정보의 검증을 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통해, 블록체인을 활용한 매출 정보관리시스템 및 블록체인을 활용한 매출 정보관리방법은 감독기관에서 제출된 매출 정보가 임의로 변경되거나, 잘못된 정보를 제출하는 것에 대해 쉽게 관리 감독을 할 수 있도록 한다. 더욱이, 제출되는 데이터로부터 유용한 정보를 추출해 주요한 통계 자료로 가공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아울러, 블록체인을 활용한 매출 정보관리시스템 및 블록체인을 활용한 매출 정보관리방법은 이와 같은 매출 정보에 대한 데이터를 관리하는 것뿐 아니라, 향후 금융업체에서 국가기관 또는 감독기관에 금융 거래와 관련된 서류를 제출하는 경우에도 동일한 방법으로 사용되며 다양한 시스템으로 확장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블록체인을 활용한 매출 정보관리시스템에 대한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의 클라이언트모듈과 감독기관모듈 간 연결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클라이언트모듈과 감독기관모듈에서 데이터를 처리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도 1의 감독기관모듈이 데이터를 처리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도 1의 감독기관모듈에서 생성한 블록파일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도 1의 블록체인모듈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트랜잭션 데이터의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블록체인을 활용한 매출 정보관리방법에 대한 순서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기 위한 방법들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본 실시 예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일 뿐이다. 본 발명의 청구범위는 청구항에 의해 정의될 수 있다. 아울러,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또한, 본 명세서 전체에 걸쳐 기술된 블록체인을 활용한 매출 정보관리시스템에 포함되는 모든 구성요소는 블록체인을 활용한 매출 정보관리방법에 그대로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대한 설명이 간결하고 명확해질 수 있도록,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블록체인을 활용한 매출 정보관리시스템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이후, 블록체인을 활용한 매출 정보관리시스템에 대한 설명을 바탕으로 도 8을 참조하며 블록체인을 활용한 매출 정보관리방법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먼저,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블록체인을 활용한 매출 정보관리시스템에 대해 개괄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블록체인을 활용한 매출 정보관리시스템에 대한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블록체인을 활용한 매출 정보관리시스템(1)은 클라이언트모듈(10)이 매출 정보를 자체적으로 쉽게 제작할 수 있는 디지털 파일로 문서파일을 만들어 감독기관모듈(20)에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감독기관모듈(20)에서는 암호화된 디지털 파일을 검증하며 검증 통과 여부에 따라 클라이언트모듈(10)에 파일에 대한 재전송을 요청한다. 그리고,디지털 파일(문서파일)을 블록체인 기술에 기반하여 관리한다.
이를 통해, 블록체인을 활용한 매출 정보관리시스템(1)은 매출정보를 서류로 받았을 때, 서류에 기재된 내용의 부정확성 및 누락 등에 대한 낮은 신뢰도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더욱이, 블록체인을 활용한 매출 정보관리시스템(1)은 감독기관모듈(20)에서 파일을 파싱(parsing)하여 파일의 검증, 정보의 검증이 보다 원활하게 진행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블록체인을 활용한 매출 정보관리시스템(1)은 파일을 구문 분석하여 관리되고 있는 데이터로부터 정확한 정보를 추출해 주요한 통계 자료로 사용될 수 있도록 한다. 아울러, 블록체인을 활용한 매출 정보관리시스템(1)은 매출 정보에 대한 데이터를 관리하는 것에서 나아가 데이터를 관리하는 시스템에 적용되며 확장되어 사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특징을 갖는 블록체인을 활용한 매출 정보관리시스템(1)은 클라이언트모듈(10), 감독기관모듈(20), 블록체인모듈(30) 및 유관기관모듈(40)을 구성요소로 포함한다.
이하,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블록체인을 활용한 매출 정보관리시스템를 구성하는 각 구성요소 및 각 구성요소의 특징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2는 도 1의 클라이언트모듈과 감독기관모듈의 연결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도 1의 클라이언트모듈과 감독기관모듈에서 데이터를 처리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그리고 도 4는 도 1의 감독기관모듈이 데이터를 처리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도 1의 감독기관모듈에서 생성한 블록파일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도 1의 블록체인모듈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그리고 도 7은 트랜잭션 데이터의 형태를 예시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클라이언트모듈(10)은 감독기관모듈(20)에 매출정보를 제출해야 하는 영업장이 될 수 있다. 이러한 클라이언트모듈(10)은 문서파일을 생성하고, 문서파일을 감독기관모듈(20)에서 관리하는 웹 페이지에 업로드 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 설치된 컴퓨터를 포함한다.
클라이언트모듈(10)은 컴퓨터 및 컴퓨터에 설치된 프로그램을 통해 생성되는 문서파일 일례로, PDF파일 또는 엑셀 파일로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클라이언트모듈(10)은 도 3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시 함수 기능을 포함하여 임의의 길이의 데이터를 고정된 길이의 데이터(해시값)로 매핑할 수 있다. 즉, 해시함수에 의하여 문서파일에 대한 제1해시값이 연산된다.
그리고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클라이언트모듈(10)은 감독기관에서 각 클라이언트모듈(10)에 ID를 설정하여 제공한 비밀키(이하에서 "제1키"라 함)로 문서파일을 암호화한다. 일례로, 클라이언트모듈(10)에서 “영업장 A의 2018년 05월 25일 매출정보”라는 문서파일이 제1키로 암호화되고, 해시함수에 의하여 해당 문서파일의 제1해시값이 연산된다. 문서파일은 감독기관모듈(20)에서 ID별로 제공하는 제1키에 의해 암호화된다.
클라이언트모듈(10)은 감독기관모듈(20)로부터 제공받은 기 설정된 ID로, 감독기관모듈(20)의 웹페이지(110)에 로그인하여 암호화된 문서파일과 제1해시값을 업로드한다.
본 명세서상에서 클라이언트모듈(10)은 카지노 및 카지노에 설치된 컴퓨터가 되는 것을 일례로 한다. 이는, 본 발명의 블록체인을 활용한 매출 정보관리시스템(1)은 일일 매출액에 대한 검증의 필요성에 따라 개발되었으며, 본 발명이 자금 세탁에 온실이 되는 카지노에 유용하게 적용될 수 있기 때문이다.
감독기관모듈(20)은 클라이언트모듈(10)과 네트워크 연결되어 클라이언트모듈(10)로부터 제1해시값과 암호화된 문서파일을 수신한다. 상기 감독기관모듈(20)은 복호화부(201), 해시값판단부(202), 파싱부(203), 검증부(204), 블록형성부(205)를 포함한다.
상기 복호화부(201)는 제1키와 짝을 이루는 공개키인 비대칭키(이하에서 "제2키"라 한다)를 포함한다. 복호화부(201)에서는 제1키에 의해 암호화된 문서파일이 제2키로 복호화되며, 복호화된 문서파일로부터 해시함수에 의하여 제2해시값이 연산된다.
해시값판단부(202)에서는 클라이언트모듈(10)에서 수신한 제1해시값과, 복호화부(201)에서 연산된 제2해시값이 대비되어 일치 여부가 판단된다. 해시값판단부(202)는 제1해시값과 제2해시값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클라이언트모듈(10)에 문서파일의 재전송을 요청하는 신호를 전송하고, 제1해시값과 제2해시값이 일치하는 경우, 복호화된 문서파일을 파싱부(203)에 전송한다.
상기 파싱부(203)에서는 복호화된 문서파일의 정보의 문장 단위의 문자열이 토큰(Token)으로 분류되고 구문트리(Parse Tree)로 재구성된다.
상기 검증부(204)는 기 설정된 기준구문을 포함하여 파싱부(203)에서 재구성된 구문트리를 기준구문과 대비하며 기준구문과 구문트리 간 일치 여부를 판단한다. 이때, 검증부(204)는 기준구문과 구문트리가 일치하면 일치신호를 발생시켜 문서파일을 블록형성부(205)에 전송한다. 이 과정을 거쳐 확정자료가 생성되고, 확정자료는 블록의 트랜잭션 데이터가 된다.
도 7은 블록의 트랜잭션 데이터의 형태를 예시적으로 도시한 것으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블록에 포함될 확정자료인 트랜잭션 데이터는 Class(등급), Type(형태), Uploader(예, 업로드 ID나 영업장명), Registered date(파일 생성 일자), Upload date(감독기관모듈(20)에 업로드한 날짜), File Type(파일 형태, 예를 들면 PDF파일인지 엑셀 파일인지 여부 등), File Number(예, 감독기관 문서 규정에 따른 형식의 문서번호), File Hash(문서파일의 해시값, 즉, 제1해시값), Data(파싱 데이터 형식으로 문서화된 거래 내역 데이터), Owner(감독기관명)와 같은 정보를 포함한다.
블록형성부(205)에서는 감독기관모듈(20)에 업로된 문서파일로서 검증된 문서파일(확정자료)을 트랜잭션 데이터로 하여 블록에 포함시킨다. 블록형성부(205)에는 하나의 블록에 포함될 트랜잭션 데이터의 크기가 미리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의 블록에 포함될 트랜잭션 데이터들의 크기가 100MB로 설정된 경우, 복수의 트랜잭션 데이터가 Registered date(파일 생성 일자) 순서로 정렬되고, 생성일자 순서대로 제1블록에 포함될 트랜잭션 데이터들이 차례로 선택되고, 선택된 트랜잭션 데이터들의 크기가 100MB 넘어서는 경우 마지막으로 선택된 트랜잭션 데이터는 제2블록에 포함된다. 제1블록에 포함될 트랜잭션 데이터들이 선택되면, 블록번호가 일련번호로 설정되고, 해당 블록에 포함된 복수의 트랜잭션 데이터들의 해시값이 연산되어 해당 블록의 해시값(현재 트랜잭션 해시)이 된다. 해당 문서파일이 트랜잭션 데이터로 포함된 블록번호는 감독기관모듈(20)에서 클라이언트모듈(10)로 전송되어, 클라이언트모듈(10)에서 확인될 수 있도록 한다.
일례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블록형성부(205)에서는 이전블록 해시값, 현재 트랜잭션 데이터들의 해시값(현재 트랜잭션 해시) 및 타임스탬프를 갖는 헤더와 복수의 트랜잭션 데이터를 갖는 바디(PayLoad)로 구성된 블록파일이 형성된다. 그리고 그 블록파일에 블록 N+1, 블록 N 및 블록 N-1와 같은 일련 번호인 블록번호가 할당되어 저장된다.
블록형성부(205)는 헤더와 바디에 있는 정보를 기반으로 블록파일이 안정적으로 추적될 수 있도록 한다. 더욱이, 블록형성부(205)는 설정된 유관기관만 블록파일을 검증할 수 있는 블록체인모듈(30) 즉, 프라이빗(Private) 블록체인에서 블록파일이 보다 빠르게 처리될 수 있도록 논스(Nonce) 값이 없는 블록파일을 형성한다. 블록형성부(205)는 위와 같은 형태의 블록파일을 블록체인모듈(30)에 전송한다.
복수 개의 유관기관모듈은 블록체인모듈(30)에 접속되어 블록체인모듈(30)의 블록파일을 분산 저장한다. 즉, 블록체인모듈(30)은 복수 개의 유관기관모듈과 블록파일을 공유한다. 블록체인모듈(30)은 감독기관모듈(20)과 유관기관모듈(40, 정보 검토 기관, 정책 결정 기관, 등)을 결정하는 블록체인으로 형성된다. 일례로 블록체인모듈(30)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드 A, 노드 B, 노드 C 및 노드 D간에 블록파일을 공유할 수 있도록 하며 상호 간에서 검증 받을 수 있는 프라이빗 블록체인으로 형성될 수 있다. 블록체인모듈(30)은 감독기관모듈(20)에서 노드 B, 노드 C 및 노드 D에 한하여 블록파일을 공유하며 블록파일에 포함된 트랜잭션 데이터들의 무결성을 보증한다. 이때, 노드 B∼D는 감독기관모듈(20)과 정보를 공유할 수 있는 시민단체, 정책 결정기관 등이 될 수 있다. 도 6에서 노드 A는 감독기관을 나타낸다.
이와 같은 블록체인을 활용한 매출 정보관리시스템(1)은 블록형성부(205)를 통해 데이터 입력 및 블록화함에 따라 제출된 서류를 수기로 입력하는 오류 및 클라이언트모듈(10)에서 임의로 수정, 변경할 수 없도록 한다. 그리고 감독기관모듈에 의해서도 제출된 데이터가 변경되지 않도록 한다.
이하, 지금까지 설명한 블록체인을 활용한 매출 정보관리시스템에 대한 설명을 바탕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블록체인을 활용한 매출 정보관리방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블록체인을 활용한 매출 정보관리방법에 대한 설명은 도 8을 기준으로 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블록체인을 활용한 매출 정보관리방법에 대한 순서도이다.
블록체인을 활용한 매출 정보관리방법은 영업장의 일일 매출액이 확정되면 해당정보의 무결성을 보증하며 데이터를 관리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더욱이, 블록체인을 활용한 매출 정보관리방법은 매출액의 자동 입력 및 검증, 향후 주기별 자금의 흐름을 작동으로 분석할 수 있도록 한다.
블록체인을 활용한 매출 정보관리방법은 클라이언트모듈(10)에 포함되는 컴퓨터에서 문서파일을 생성하고, 해시값을 연산하는 프로그램을 설치하는 단계로부터 시작될 수 있다. 이러한 단계 이후, 클라이언트모듈(10)이 매출정보를 문서파일로 생성하는 것으로부터 진행될 수 있다. 이후, 문서파일에서 제1해시값이 연산되고, 문서파일은 제1키로 암호화된다[(A)단계(S110)]로 진행된다.
블록체인을 활용한 매출 정보관리방법은 (A)단계(S110단계) 이후, 제1키로 암호화된 문서파일을 복호화하는 단계, 감독기관모듈(20)에서 블록번호를 할당하는 단계로 진행된다. 이후, 감독기관모듈(20)에서는 클라이언트모듈(10)로부터 업로드된 문서파일을 복호화한 후 복호화된 문서파일을 해시함수로 연산한 제2해시값이 클라이언트모듈(10)에서 업로드한 제1해시값과 일치하는지 판단한다. 제1해시값과 제2해시값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클라이언트모듈(10)에 문서파일의 재전송을 요청하는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로 진행될 수 있다.
제1해시값과 제2해시값이 일치하는 경우, 복호화된 문서파일의 정보를 문장 단위의 문자열을 토큰(Token)으로 분류하고 구문트리(Parse Tree)로 재구성하는 단계로 진행되고, 기 설정된 기준구문을 포함하여, 구문트리를 기준구문과 대비하며 기준구문과 구문트리 간 일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로 진행된다. 그리고 기준구문과 구문트리가 일치하였을 때, 복호화된 문서파일은 확정자료로 되어 블록에 포함될 트랜잭션 데이터가 된다. 각 클라이언트모듈(10)에서 업로된 복수의 문서파일은 위와 같은 과정을 거쳐 해시값이 비교되고 확정자료로 되어 블록에 포함될 트랜잭션 데이터가 된다.
복수의 트랜잭션 데이터는 분류되어 블록(블록의 바디인 Payload)에 포함되고, 복수의 트랜잭션 데이터의 해시값이 연산되고(현재 트랜잭션의 해시), 이전 블록의 해시 그리고 타임스탬프 정보와 함께 해당 블록의 헤더가 되며, 블록번호가 할당되어 블록이 생성된다[(B)단계(S120)]. 생성된 블록은 블록체인모듈(30)로 전송되어 업로드되고, 설정되어 있는 복수 개의 유관기관모듈(40)에 블록체인모듈(30)에 공유된다[(C)단계(S130)].
블록체인을 활용한 매출 정보관리방법은 (A)단계(S110) 내지 (C)단계(S130단계)r가 순차적으로 진행될 수 있다. 이러한 일련의 단계를 통해, 블록체인을 활용한 매출 정보관리방법은 디지털 파일로의 변경뿐 아니라, 제출된 매출 정보가 임의로 변경되거나 잘못된 정보를 제출하는 것에 대해 쉽게 관리 감독을 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무결성이 보증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정확한 통계 자료를 생성할 수 있도록 하며, 정책 결정에도 반영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 한다.
1: 블록체인을 활용한 매출 정보관리시스템
10: 클라이언트모듈 110: 웹페이지
20: 감독기관모듈
201: 복호화부 202: 해시값판단부
203: 파싱부 204: 검증부
205: 블록형성부
30: 블록체인모듈
40: 유관기관모듈

Claims (20)

  1. 매출정보를 문서파일로 생성하며 상기 문서파일의 제1해시값을 연산하고, 상기 문서파일을 비대칭키인 제1키로 암호화하는 클라이언트모듈;
    상기 클라이언트모듈과 네트워크 연결되어 상기 클라이언트모듈에 상기 제1키를 제공하며 상기 제1키와 짝을 이루는 제2키를 포함하고, 상기 문서파일을 다운로드하여 상기 제2키로 상기 문서파일을 복호화하며 제2해시값을 연산하고, 상기 클라이언트모듈에서 전송되는 상기 제1해시값과 상기 제2해시값을 대비시켜, 일치 여부를 판단한 후, 일치하는 경우 일치 신호를 발생시키며 확정자료로 형성하고, 상기 확정자료를 블록에 저장하고 상기 블록에 블록번호를 할당하며 블록파일을 형성하는 감독기관모듈; 및
    상기 감독기관모듈로부터 상기 블록파일을 수신한 후, 복수 개의 유관기관모듈과 공유하는 블록체인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체인을 활용한 매출 정보관리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독기관모듈은 상기 클라이언트모듈에서 제1해시값을 수신하고, 상기 제2해시값을 대비시키며 일치여부를 판단하는 해시값판단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체인을 활용한 매출 정보관리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해시값판단부는 상기 제1해시값과 상기 제2해시값이 일치하지 않은 경우, 상기 클라이언트모듈에 문서파일의 재전송을 요청하는 신호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체인을 활용한 매출 정보관리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감독기관모듈은 상기 제1해시값과 상기 제2해시값이 일치하는 경우, 상기 문서파일을 수신한 후, 복호화된 문서파일의 문자열을 토큰으로 분류하고 구문트리로 재구성하는 파싱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체인을 활용한 매출 정보관리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감독기관모듈은, 기 설정된 기준구문을 포함하여, 상기 파싱부에서 재구성된 구문트리를 기준구문과 대비하여 기준구문과 구문트리 간 일치 여부를 판단하는 검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체인을 활용한 매출 정보관리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검증부는 기준구문과 구문트리가 일치하면 문서파일을 확정자료로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체인을 활용한 매출 정보관리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감독기관모듈은, 상기 기준구문과 상기 구문트리가 일치한 확정자료들을 설정크기의 블록에 저장켜 하나의 블록파일을 생성하며 각 블록파일에 블록번호를 할당하는 블록형성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체인을 활용한 매출 정보관리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확정자료는 등급, 형태, 클라이언트모듈의 명, 파일 생성 일자, 상기 감독기관모듈에서 업로드한 날짜, 파일 형태, 제1해시값 및 상기 감독기관의 명칭을 포함하는 트랜젝센 데이터를 포함하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체인을 활용한 매출 정보관리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형성부는 상기 확정자료들이 하나의 블록(제1블록)에 다 저장되지 못한 경우, 다음 블록(제2블록)에 저장하고, 상기 블록형성부는 제1블록에 포함된 트랜잭션 데이터가 선택되면, 상기 제1블록에 포함된 복수의 트랜잭션 데이터들의 해시값을 연산하여, 상기 제2블록의 해시값으로 설정하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체인을 활용한 매출 정보관리시스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형성부는 상기 블록번호를 일련번호로 설정하고, 상기 제2블록의 해시값을 클라이언트모듈로 전송하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체인을 활용한 매출 정보관리시스템.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관기관모듈은 상기 감독기관모듈에서 인증되며, 상기 확정자료를 공유하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체인을 활용한 매출 정보관리시스템.
  12. 클라이언트모듈이 매출정보를 문서파일로 생성하며 상기 문서파일의 제1해시값을 연산하고, 상기 문서파일을 비대칭키인 제1키로 암호화하는 (A)단계;
    감독기관모듈이 상기 클라이언트모듈과 네트워크 연결되어 상기 클라이언트모듈에 상기 제1키를 제공하며 상기 제1키와 짝을 이루는 제2키를 포함하고, 상기 문서파일을 다운로드하여 상기 제2키로 상기 문서파일을 복호화하며 제2해시값을 연산하고, 상기 클라이언트모듈에서 전송되는 상기 제1해시값과 상기 제2해시값을 대비시켜, 일치 여부를 판단한 후, 일치 하는 경우 일치신호를 발생시키며 확정자료로 형성하고, 상기 확정자료를 적어도 하나의 블록에 저장하고 상기 블록에 블록번호를 할당하며 블록파일을 형성하는 (B)단계; 및
    블록체인모듈이 상기 감독기관모듈로부터 상기 블록파일을 수신한 후, 복수 개의 유관기관모듈과 공유하는 (C)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체인을 활용한 매출 정보관리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B)단계는 제1해시값을 수신하고, 상기 제2해시값을 대비시키며 일치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체인을 활용한 매출 정보관리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B)단계는 상기 제1해시값과 상기 제2해시값이 일치하지 않은 경우, 상기 클라이언트모듈에 문서파일의 재전송을 요청하는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체인을 활용한 매출 정보관리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B)단계는 상기 제1해시값과 상기 제2해시값이 일치하는 경우, 상기 문서파일을 수신한 후, 복호화된 문서파일의 문자열을 토큰으로 분류하고 구문트리로 재구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체인을 활용한 매출 정보관리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감독기관모듈은 상기 제1해시값과 상기 제2해시값이 일치하는 경우, 상기 문서파일을 수신한 후, 복호화된 문서파일의 문자열을 토큰으로 분류하고 구문트리로 재구성하는 파싱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B)단계는, 기 설정된 기준구문을 포함하여, 상기 파싱부에서 재구성된 구문트리를 기준구문과 대비하여 기준구문과 구문트리 간 일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체인을 활용한 매출 정보관리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B)단계는 기준구문과 구문트리가 일치하면 일치신호를 발생시키면 상기 확정자료로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체인을 활용한 매출 정보관리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B)단계는, 상기 기준구문과 상기 구문트리가 일치하였을 때, 확정자료들을 설정크기의 블록에 저장시켜 하나의 블록파일을 생성하며 각 블록파일에 블록번호를 할당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체인을 활용한 매출 정보관리방법.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감독기관모듈은, 상기 기준구문과 상기 구문트리가 일치한 확정자료들을 설정크기의 블록에 저장켜 하나의 블록파일을 생성하며 각 블록파일에 블록번호를 할당하는 블록형성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B)단계는 상기 확정자료들이 하나의 블록(제1블록)에 다 저장되지 못한 경우, 다음 블록(제2블록)에 저장하고, 상기 블록형성부는 제1블록에 포함된 트랜잭션 데이터가 선택되면, 상기 제1블록에 포함된 복수의 트랜잭션 데이터들의 해시값을 연산하여, 상기 제2블록의 해시값으로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체인을 활용한 매출 정보관리방법.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B)단계는 상기 블록번호를 일련번호로 설정하고, 상기 제2블록의 해시값을 클라이언트모듈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체인을 활용한 매출 정보관리방법.
KR1020190068695A 2019-06-11 2019-06-11 블록체인을 활용한 매출 정보관리시스템 및 블록체인을 활용한 매출 정보관리방법 KR1021965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8695A KR102196574B1 (ko) 2019-06-11 2019-06-11 블록체인을 활용한 매출 정보관리시스템 및 블록체인을 활용한 매출 정보관리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8695A KR102196574B1 (ko) 2019-06-11 2019-06-11 블록체인을 활용한 매출 정보관리시스템 및 블록체인을 활용한 매출 정보관리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41760A KR20200141760A (ko) 2020-12-21
KR102196574B1 true KR102196574B1 (ko) 2020-12-30

Family

ID=740884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68695A KR102196574B1 (ko) 2019-06-11 2019-06-11 블록체인을 활용한 매출 정보관리시스템 및 블록체인을 활용한 매출 정보관리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9657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469743B (zh) * 2021-07-01 2024-02-27 浙江数秦科技有限公司 基于区块链的大棚种植收益预测系统
KR102454497B1 (ko) * 2022-05-24 2022-10-14 유닉온 주식회사 자체 저장된 게임 정보를 바탕으로 게임 콘텐츠를 제공하면서 사용자와 관련된 이벤트를 블록 정보로 공유하는 전자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62288B1 (ko) 2018-12-31 2019-03-26 주식회사 미탭스플러스 블록체인을 이용해 공유재화의 가용성을 검증하는 공유경제 관리 장치
KR101962289B1 (ko) 2018-12-31 2019-03-26 주식회사 미탭스플러스 블록체인 기반의 공유경제를 위해 비대칭키 방식으로 이용자를 식별하는 분산 원장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5785B1 (ko) * 2015-03-20 2018-07-04 소프트캠프(주) 문서 검증 및 변환을 통한 문서 보안시스템 및 문서 보안방법
KR20190053778A (ko) 2017-11-10 2019-05-20 최우혁 블록체인 정보 관리 및 거래 지원 서비스 제공 방법
KR101995339B1 (ko) * 2017-11-30 2019-07-04 (주)시큐어비즈 블록체인 기반 IoT 센서 노드 인증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62288B1 (ko) 2018-12-31 2019-03-26 주식회사 미탭스플러스 블록체인을 이용해 공유재화의 가용성을 검증하는 공유경제 관리 장치
KR101962289B1 (ko) 2018-12-31 2019-03-26 주식회사 미탭스플러스 블록체인 기반의 공유경제를 위해 비대칭키 방식으로 이용자를 식별하는 분산 원장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41760A (ko) 2020-1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704620B1 (en) System and method for blockchain-based notification
US10637669B2 (en) Data and data lineage control, tracking, and verification
CN106982203B (zh) 基于区块链技术的鲁棒的atm网络系统及其信息处理方法
US20210192512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toring and obtaining merchant authentication data in blockchain network
US10425428B2 (en) Verification lineage tracking and transfer control of data sets
CN115210741B (zh) 部分有序的区块链
JP2022549581A (ja) Dag構造のブロックチェーンにおいてブロックの連続的順序を決定するためのコンピューティング・システム、方法、非一時的コンピュータ可読媒体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US10924288B2 (en) Managing blockchain-based centralized ledger systems
US11271760B2 (en) Managing blockchain-based centralized ledger systems
CN108292351A (zh) 使用诸如以时间为中心的默克尔散列树之类的散列树的数据验证方法和系统
AU2019320957C1 (en) Managing trust points in ledger systems
EP3777006B1 (en) Methods and devices for cryptographic key management based on blockchain system
WO2020115748A1 (en) Secure consensus over a limited connection
KR102196574B1 (ko) 블록체인을 활용한 매출 정보관리시스템 및 블록체인을 활용한 매출 정보관리방법
CN111833190A (zh) 年金数据处理方法、装置、介质及电子设备
US11327946B2 (en) Hybrid centralized and decentralized enterprise system
CN102299927B (zh) 内容安全监管系统及方法
CN112215710A (zh) 年金数据处理方法、区块链系统、介质及电子设备
CN110827034A (zh) 用于发起区块链交易的方法及装置
KR102051454B1 (ko) 조건 검증에 의한 블록체인 기반 의사결정 시스템
TW202135504A (zh) 平台服務驗證技術
JP6901373B2 (ja) ユーザ管理装置、ユーザ管理システム
CN112163917B (zh) 基于区块链的票据处理方法、装置、介质及电子设备
CN117499416A (zh) 一种基于区块链技术的空间信息管理方法及系统
CN117354329A (zh) 一种基于区块链技术的地名信息管理方法及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