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96507B1 - 전기적 절환 가능한 유리를 이용한 가시광 통신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전기적 절환 가능한 유리를 이용한 가시광 통신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96507B1
KR102196507B1 KR1020150081124A KR20150081124A KR102196507B1 KR 102196507 B1 KR102196507 B1 KR 102196507B1 KR 1020150081124 A KR1020150081124 A KR 1020150081124A KR 20150081124 A KR20150081124 A KR 20150081124A KR 102196507 B1 KR102196507 B1 KR 1021965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sible light
glass
state
transmittance
electrically switch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811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44687A (ko
Inventor
김유진
김대호
김현석
김현종
전지훈
강태규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500811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96507B1/ko
Priority to US15/132,664 priority patent/US9893809B2/en
Publication of KR201601446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446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965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965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0Transmission systems employing electromagnetic waves other than radio-waves, e.g.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or employing corpuscular radiation, e.g. quantum communication
    • H04B10/11Arrangements specific to free-space transmission, i.e. transmission through air or vacuum
    • H04B10/114Indoor or close-range type systems
    • H04B10/116Visible light communication

Abstract

전기적 절환 가능한 유리를 이용한 가시광 통신 장치 및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적 절환 가능한 유리를 이용한 가시광 통신 장치는 데이터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데이터 신호에 상응하는 전류 및 전압을 생성하고, 상기 전류 및 전압에 기반하여 전기적 절환 가능한 유리의 투과율을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투과율에 기반하여 상기 유리를 통과하는 가시광의 밝기를 조절하고, 상기 유리를 통과한 가시광을 이용하여 가시광 통신을 수행하는 송신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전기적 절환 가능한 유리를 이용한 가시광 통신 장치 및 방법{APPARATUS FOR VISIBLE LIGHT COMMUNICATION USING ELECTRICALLY SWITCHABLE GLASS AND METHOD USING SAME}
본 발명은 가시광 통신을 수행하는 기술에 관한 것으로, 특히 가시광 통신을 수행할 수 없는 기존의 광원과 전기적 절환 가능한 유리를 이용하여 가시광 통신을 수행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가시광 무선 통신(Visible light communication)은 광원소스(lighting Source)에 직접 모듈레이션 된 신호를 인가하여 광출력(lighting output)에 데이터를 전송하므로 가시광 무선 통신이 가능한 광원소스까지 포함된 장치를 사용해야만 하는 문제점이 있다.
어둠을 밝히는 단순한 조명에서는 가시광 무선 통신이 가능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가시광 무선 통신 기능이 내장되어 있지 않은 종래에 통상적으로 사용하고 있는 다양한 광원소스를 포함한 조명 장치들은(형광등, 백열등, LED등, OLED등, 메탈하이라이트 등) 가시광 무선 통신이 가능하지 않다.
전기적 절환 가능한 유리(electrically switchable glass)는 전압이 인가 되었을 때, 유리에 투과되는 광 전송을 변화 시켜 밝기를 조절하는 유리(glass)이다. 이러한 유리(glass)는 통상적으로 스마트 창(smart window) 또는 스마트 유리(smart glass)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장치들은 통상적인 예로써 전기변색 유리(electrochromic glass), 부유 입자 장치 유리(suspended particle device glass), PDLC 유리 (Polymer Dispersed Liquid Crystal glass) 등을 이용하나, 다양한 방법으로 적용 가능하므로 통상적인 예에 국한하지는 않는다.
또한, 유리(glass)라는 재질에 국한되지 않으며, 합성수지(synthetic)류를 유리에 붙이는 경우도 포함하고, 전압이 인가되었을 때 투과되는 광량을 변화시켜 밝기를 조절하는 재료 역시 스마트 유리에 포함된다.
이러한 스마트 유리들은 외부 광원으로부터 투과되는 광량을 조절하는 용도로 사용하여 가시광 무선 통신이 가능하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 공개 특허 제 2013-0101617호는 가시광 통신을 통해 가시광 통신 단말로 서버로부터 부가 정보를 제공 하는 기술에 대해서 개시하고 있다.
하지만, 한국 공개 특허 제 2013-0101617호는 가시광 통신을 수행함에 있어, 가시광을 출력하는 광원이 가시광 통신을 수행할 수 있도록, 특정 주파수를 가지고 온/오프(ON, OFF)를 수행할 수 있는 광원을 이용한 기술로서, 가시광 통신을 수행할 수 없는 기존의 광원을 이용하여 가시광 통신을 수행하는 기술에 대해서는 침묵하고 있다.
따라서, 최근의 가시광 통신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는 추세와 가시광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광원은 기존의 광원에 비해 상대적으로 고가인 문제점에 비추어 볼때, 기존의 광원을 이용하면서도 가시광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기술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가시광 통신을 용이하게 수행하기 위하여 가시광의 밝기를 쉽게 조절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가시광 통신을 수행할 수 없는 기존의 광원을 그대로 이용하면서 가시광 통신을 수행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가시광 통신을 수행할 수 없는 기존의 광원을 그대로 이용하여 가시광 통신 설비 설치 비용을 절감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전기적 절환 가능한 유리를 이용한 가시광 통신 장치는 데이터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데이터 신호에 상응하는 전류 및 전압을 생성하고, 상기 전류 및 전압에 기반하여 전기적 절환 가능한 유리의 투과율을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투과율에 기반하여 상기 유리를 통과하는 가시광의 밝기를 조절하고, 상기 유리를 통과한 가시광을 이용하여 가시광 통신을 수행하는 송신부를 포함한다.
이 때, 상기 제어부는 기설정된 규칙에 기반하여 상기 데이터 신호를 변환하여 코드 데이터를 생성하는 코드 데이터 생성부; 상기 코드 데이터를 변조하여 상기 데이터 신호에 상응하는 전송 신호를 생성하는 변조부; 및 상기 전송 신호에 기반하여 스위칭을 수행하여 상기 전송 신호에 상응하는 전류 및 전압의 흐름을 제어하는 절환 가능한 회로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전기적 절환 가능한 유리는 상기 절환 회로 내부에서 전류 및 전압의 변화 여부에 기반하여 상기 투과율이 제어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절환 가능한 회로 유닛은 상기 전송 신호에 기반하여 스위칭을 수행하고, 수행 결과 디지털 로직 0 상태 및 디지털 로직 1 상태 중 어느 하나의 상태가 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전기적 절환 가능한 유리는 상기 디지털 로직 0 상태 일 때, 상기 투과율이 가장 낮고, 상기 디지털 로직 1 상태일 때 상기 투과율이 가장 높을 수 있다.
이 때, 상기 전기적 절환 가능한 유리는 상기 디지털 로직 0 상태 일 때, 상기 투과율이 가장 높고, 상기 디지털 로직 1 상태일 때 상기 투과율이 가장 낮을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기적 절환 가능한 유리, 상기 코드 데이터 생성부, 상기 변조부 및 상기 절환 가능한 회로 유닛에 전력을 전달하는 전력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절환 가능한 회로 유닛은 상기 전송 신호 내부의 비트가 0일 때, 상기 디지털 로직 0 상태가 되고, 상기 전송 신호 내부의 비트가 1일 때, 상기 디지털 로직 1 상태가 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절환 회로 유닛은 상기 전송 신호 내부의 비트가 1일 때, 상기 디지털 로직 0 상태가 되고, 상기 전송 신호 내부의 비트가 0일 때, 상기 디지털 로직 1 상태가 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기적 절환 가능한 유리를 이용한 가시광 통신 방법은 데이터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데이터 신호에 상응하는 전류 및 전압을 생성하고, 상기 전류 및 전압에 기반하여 전기적 절환 가능한 유리의 투과율을 제어하는 단계; 및 상기 투과율에 기반하여 상기 유리를 통과하는 가시광의 밝기를 조절하고, 상기 유리를 통과한 가시광을 이용하여 가시광 통신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 때, 상기 투과율을 제어하는 단계는 기설정된 규칙에 기반하여 상기 데이터 신호를 변환하여, 코드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코드 데이터를 변조하여 상기 데이터 신호에 상응하는 전송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및 절환 가능한 회로 유닛이 상기 전송 신호에 기반하여 스위칭을 수행하여 상기 전송 신호에 상응하는 전류 및 전압의 흐름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전기적 절환 가능한 유리는 상기 절환 가능한 회로 유닛 내부에 전류 및 전압의 변화 여부에 기반하여 상기 투과율이 제어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전류의 흐름을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전송 신호 내부에 기반하여 스위칭을 수행하고, 수행 결과 상기 절환 가능한 회로 유닛이 디지털 로직 0 상태 및 디지털 로직 1 상태 중 어느 하나의 상태가 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전기적 절환 가능한 유리는 상기 디지털 로직 0 상태 일 때, 상기 투과율이 가장 낮고, 상기 디지털 로직 1 상태일 때, 상기 투과율이 가장 높을 수 있다.
이 때, 상기 전기적 절환 가능한 유리는 상기 디지털 로직 0 상태일 때, 상기 투과율이 가장 높고, 상기 디지털 로직 1 상태일 때 상기 투과율이 가장 낮을 수 있다.
이 때, 상기 전송 신호에 상응하는 전류의 흐름을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전송 신호 내부의 비트가 0일 때, 상기 절환 가능한 회로 유닛의 상태가 상기 디지털 로직 0 상태가 되고, 상기 전송 신호 내부의 비트가 1일 때, 상기 절환 가능한 회로 유닛의 상태가 상기 디지털 로직 1 상태가 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전송 신호에 상응하는 전류의 흐름을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전송 신호 내부의 비트가 0일 때, 상기 절환 가능한 회로 유닛이 상기 디지털 로직 1 상태가 되고, 상기 전송 신호 내부의 비트가 1일 때, 상기 절환 가능한 회로 유닛이 상기 디지털 로직 0 상태가 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전기적 절환 가능한 유리를 이용하여 가시광의 밝기를 통신 신호와 함께 제어할 수 있어, 가시광 통신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가시광 통신을 수행할 수 없는 기존의 광원을 이용하면서도 가시광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가시광 통신을 수행할 수 없는 기존의 광원을 그대로 이용할 수 있어, 가시광 통신 설비 설치 비용이 절감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2는 전기적 절환 가능한 유리를 이용하여 가시광 통신을 수행하는 원리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기적 절환 가능한 유리를 이용한 가시광 통신 장치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제어부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기적 절환 가능한 유리를 이용한 가시광 통신 장치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6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기적 절환 가능한 유리를 이용한 가시광 통신 장치를 이용하여 가시광 통신을 수행하는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기적 절환 가능한 유리를 이용한 가시광 통신 방법을 나타낸 동작 흐름도이다.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반복되는 설명,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2는 전기적 절환 가능한 유리를 이용하여 가시광 통신을 수행하는 원리를 도시한 도면이다.
먼저, 광원에서 출력된 가시광은 전기적 절환 가능한 유리를 통과하고, 수광기(Photo detector)에 도달하고, 수광기에서 작업을 수행하여,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게 된다. 가시광 통신에서는 빛이 도달하면 디지털 신호 1을 수신하였다고 판단하고, 빛이 도달하지 않으면 디지털 신호 0을 수신하였다고 판단하게 된다. 예를 들면, 1001이라는 정보를 송신하기 위해서는 빛이 도달한 이후에 빛이 도달하지 않다가 다시 빛이 도달하는 방식으로 광원을 조절하면 된다.
이 때, 광원을 온(on) 또는 오프(off)를 적절하게 반복하여 가시광 통신을 수행하는 방법이 있을 수 있다. 하지만, 이 방법은 광원 내부에 온 또는 오프를 자동으로 수행하게 하는 장치가 삽입되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 때, 광원에서는 빛이 계속 출력되고, 빛을 통과 시켜 수광기에 도달하게 하거나(디지털 신호 1에 상응), 빛을 통과 시키지 않게 하여 수광기에 도달하지 않게 하는(디지털 신호 0에 상응) 방법을 이용하여 가시광 통신을 수행하는 방법이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방법을 이용하여 가시광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기존의 광원을 그대로 이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절환 가능한 회로 유닛(110)이 존재하여, 회로 유닛(110)에 디지털 신호 0이 도달하는 경우, 오픈(open) 상태로 스위칭하여, 유리에 전압이 전달되지 않게 조절할 수 있다.
이 때, 전기적 절환 가능한 유리는 전압이 전달되지 않는 경우, 통과되는 가시광을 차단할 수 있다. 따라서, 수광기(photo detector)에 가시광이 전달되지 않을 수 있고, 이는 디지털 신호 0에 상응하게 된다.
도 2를 참조하면, 도 1과 동일하게 절환 가능한 회로 유닛(210)이 존재하여, 회로 유닛(210)에 디지털 신호 1이 전송되는 경우, 쇼트(short) 상태로 스위칭하여, 유리에 전압이 전달될 수 있게 조절할 수 있다.
이 때, 전기적 절환 가능한 유리는 전압이 전달되는 경우, 가시광을 통과 시킬 수 있다. 따라서, 수광기(photo detector)에 가시광이 전달될 수 있고, 이는 디지털 신호 1에 상응하게 된다.
도 1 내지 도 2에서는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수광기(photo detector)에 가시광이 전달이 되는지 유무로 디지털 신호 0 또는 1을 구별하였으나, 임계치를 설정하고, 임계치를 넘는 밝기의 가시광이 수신되는 경우, 디지털 신호 1를 수신하였다고 판단할 수 있고, 임계치 이하의 가시광이 수신되는 경우, 디지털 신호 0을 수신하였다고 판단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기적 절환 가능한 유리를 이용한 가시광 통신 장치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기적 절환 가능한 유리를 이용한 가시광 통신 장치는 수신부(310), 제어부(320) 및 송신부(330)로 구성되어 있다.
수신부(310)는 통신을 수행하여 전달되어야 할 데이터 신호를 수신한다.
제어부(320)는 데이터 신호에 상응하는 전류 및 전압을 생성하고, 상기 전류
및 전압에 기반하여 전기적 절환 가능한 유리의 투과율을 제어한다.
이 때, 제어부(320)는 데이터 신호를 변환하여 전송 신호를 생성하고, 전송 신호를 이용하여 전기적 절환 가능한 유리의 투과율을 제어할 수도 있다.
이 때, 전기적 절환 가능한 유리의 투과율은 절환 가능한 회로 유닛을 이용하여 스위칭을 수행하여 전류 및 전압의 변화에 기반하여 제어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절환 가능한 회로 유닛에 데이터 신호 1이 전송되는 경우, 디지털 신호 0의 상태가 될 수 있고, 데이터 신호 0이 전송되는 경우, 디지털 신호 1의 상태가 될 수 있다. 따라서, 데이터 신호가 1인지 0인지에 따라 절환 가능한 회로 유닛에 전류가 흐르는지 여부가 결정될 수 있고, 절환 가능한 회로 유닛에 전류가 흐르는지 여부에 따라 전기적 절환 가능한 유리의 투과율이 변할 수 있다.
또 예를 들면, 절환 가능한 회로 유닛에 데이터 신호 0이 전송되는 경우, 디지털 신호 0의 상태가 될 수 있고, 데이터 신호 1이 전송되는 경우, 디지털 신호 1의 상태가 될 수 있다. 따라서, 데이터 신호가 1인지 0인지에 따라 절환 가능한 호로 유닛에 전류가 흐르는지 여부가 결정될 수 있고, 절환 가능한 회로 유닛에 전류가 흐르는지 여부에 따라 전기적 절환 가능한 유리의 투과율이 변할 수 있다.
이 때, 디지털 신호 0의 상태는 디지털 신호 1의 상태에 비하여 낮은 조도의 가시광을 전송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지털 신호 0 상태는 가시광을 모두 차단한 상태로서, 가시광을 수신할 수 없는 상태를 의미하고, 디지털 신호 1 상태는 가시광을 모두 투과시킨 상태로서, 가시광을 수신하는 상태를 의미한다.
또 예를 들면, 디지털 신호 0 상태는 가시광을 특정 임계치 이하로 송신할 수 있는 상태를 의미하고, 디지털 신호 1 상태는 가시광을 특정 임계치 이상으로 송신할 수 있는 상태를 의미한다.
이 때, 제어부(320)는 주위의 밝기를 고려하여 유리의 투과율을 제어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다른 광원들이 출력하는 광원에 의하여 주위가 밝은 경우, 데이터 신호 1을 송신할 때, 투과율을 기존보다 더 크게 하여 가시광 통신을 수행하는데 이용하는 가시광의 세기를 크게 할 수도 있다. 또 예를 들면, 주위가 어두운 경우, 데이터 신호 0을 송신할 때, 투과율을 기존보다 더 작게 하여 가시광 통신을 수행하는데 이용하는 가시광의 세기를 낮게 할 수도 있다. 주위가 어두운 경우, 가시광의 세기를 낮게 하여도 가시광 통신을 수행하는데 지장이 없기 때문이다. 오히려, 가시광의 세기를 낮게 하지 않으면, 사람들의 눈에 불편을 줄 수 있으므로, 가시광의 세기를 낮게 하는 것이 더 바람직할 수도 있기 때문이다.
송신부(330)는 투과율에 기반하여 유리를 통과하는 가시광의 밝기를 조절하고, 유리를 통과한 가시광을 이용하여 가시광 통신을 수행한다.
이 때, 투과율에 기반하여 가시광의 밝기를 조절하는 것의 의미는, 가시광이 많이 통과할수록 가시광의 밝기가 밝아지며, 가시광이 통과하지 못할수록, 가시광의 밝기가 어두워지는 것을 의미한다.
이 때, 유리를 통과한 가시광이 존재할 때, 가시광을 수신하는 수광기가 디지털 신호 1을 생성하고, 유리를 통과한 가시광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가시광을 수신하지 못하는 수광기가 디지털 신호 0을 생성하는 방식을 이용하여 가시광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제어부(320)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제어부(320)는 코드 데이터 생성부(410), 변조부(420) 및 절환 가능한 회로 유닛(430)으로 구성되어 있다.
코드 데이터 생성부(410)는 기 설정된 규칙에 기반하여 상기 데이터 신호를 변환하여 코드 데이터를 생성한다.
이 때, 코드 데이터는 데이터 신호들을 가공하여 전송하고자 하는 데이터를 의미할 수도 있다.
이 때, 기 설정된 규칙은 제한이 없다. 통신 분야에서 이용하는 인코딩 규칙을 그대로 이용할 수도 있다.
변조부(420)는 상기 코드 데이터를 변조하여 상기 데이터 신호에 상응하는 전송 신호를 생성한다.
이 때, 변조하는 방법은 제한이 없다. 기존의 디지털 통신에서 이용하는 OOK(On-Off Keying), ASK(Amplitude Shift Keying), FSK(Frequency Shift Keying), PSK(Phase Shift Keying)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OFDM(Orthogonal frequency-division multiplexing) 등의 변조 방법을 이용하여 코드 데이터를 변조하여 전송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절환 가능한 회로 유닛(430)는 상기 전송 신호에 기반하여 스위칭을 수행하여 상기 전송 신호에 상응하는 전류 및 전압의 흐름을 제어한다.
이 때, 전기적 절환 가능한 유리는 전류와 전압이 변화할 때, 투과율이 상승하고, 전류와 전압이 변화하지 않을 때, 투과율이 하락할 수 있다. 반대로, 전기적 절환 가능한 유리는 전류와 전압이 변화할 때 투과율이 하락하고, 전류와 전압이 변화하지 않을 때 투과율이 상승할 수도 있다. 따라서, 절환 가능한 회로 유닛(430)는 전류와 전압의 변화를 제어함으로써, 전기적 절환 가능한 유리의 투과율을 제어할 수가 있게 된다.
예를 들면, 절환 가능한 회로 유닛에 데이터 신호 1이 전송되는 경우, 디지털 신호 0의 상태가 될 수 있고, 데이터 신호 0이 전송되는 경우, 디지털 신호 1의 상태가 될 수 있다. 따라서, 데이터 신호가 1인지 0인지에 따라 절환 가능한 회로 유닛에 전류가 흐르는지 여부가 결정될 수 있고, 절환 가능한 회로 유닛에 전류가 흐르는지 여부에 따라 전기적 절환 가능한 유리의 투과율이 변할 수 있다.
또 예를 들면, 절환 가능한 회로 유닛에 데이터 신호 0이 전송되는 경우, 디지털 신호 0의 상태가 될 수 있고, 데이터 신호 1이 전송되는 경우, 디지털 신호 1의 상태가 될 수 있다. 따라서, 데이터 신호가 1인지 0인지에 따라 절환 가능한 호로 유닛에 전류가 흐르는지 여부가 결정될 수 있고, 절환 가능한 회로 유닛에 전류가 흐르는지 여부에 따라 전기적 절환 가능한 유리의 투과율이 변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4에서 설명한 방법을 데이터 신호 1010을 전송하는 예시를 들어, 다시 한 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데이터 신호 1010을 수신부(310)에서 수신한다.
이 때, 제어부(320)에서는 데이터 신호 1010에 상응하는 전류 및 전압을 생성하고, 전류 및 전압에 기반하여 전기적 절환 가능한 유리의 투과율을 제어하게 된다.
이 부분에 대하여 자세히 설명하면, 먼저 첫 번째 1의 경우, 제어부(320)에서 절환 가능한 회로 유닛(430)이 쇼트 상태가 되도록 제어하고, 전기적 절환 가능한 유리에 전류와 전압이 변화할 수 있다. 이 때, 송신부(330)는 유리의 투과율이 높아져서 유리를 향해 접근하는 가시광을 통과하게 할 수 있고, 수광기에 가시광을 도달하게 할 수 있다. 이 때, 수광기는 가시광을 수신하였으므로 1이라는 정보를 수신하게 된다.
그 다음 0의 경우, 제어부(330)에서 절환 가능한 회로 유닛(430)이 오픈 상태가 되도록 제어하고, 전기적 절환 가능한 유리에 전류와 전압이 변화하지 않게 할 수 있다. 이 때, 송신부(320)는 유리의 투과율이 낮아져서, 유리를 향해 접근하는 가시광을 차단할 수 있고, 수광기에 가시광이 도달하지 않게 할 수 있다. 이 때, 수광기는 가시광을 수신하지 못하였으므로, 0이라는 정보를 수신하게 된다.
그 다음 1의 경우, 제어부(320)에서 절환 가능한 회로 유닛(430)이 쇼트 상태가 되도록 제어하고, 전기적 절환 가능한 유리에 전류 및 전압이 변화할 수 있다. 이 때, 송신부(330)는 유리의 투과율이 높아져서 유리를 향해 접근하는 가시광을 통과하게 할 수 있고, 수광기에 가시광을 도달하게 할 수 있다. 이 때, 수광기는 가시광을 수신하였으므로 1이라는 정보를 수신하게 된다.
그 다음 0의 경우, 제어부(330)에서 절환 가능한 회로 유닛(430)이 오픈 상태가 되도록 제어하고, 전기적 절환 가능한 유리에 전류와 전압이 변화하지 않게 할 수 있다. 이 때, 송신부(320)는 유리의 투과율이 낮아져서, 유리를 향해 접근하는 가시광을 차단할 수 있고, 수광기에 가시광이 도달하지 않게 할 수 있다. 이 때, 수광기는 가시광을 수신하지 못하였으므로, 0이라는 정보를 수신하게 된다.
결국, 전기적 절환 가능한 유리를 이용한 가시광 통신 장치를 이용하여 데이터 신호 1010을 전송하고, 수광기에서 동일한 데이터 신호인 1010을 수신할 수 있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기적 절환 가능한 유리를 이용한 가시광 통신 장치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전기적 절환 가능한 유리를 이용한 가시광 통신 장치는 수신부(510), 제어부(520) 및 전기적 절환 가능한 유리(530)를 포함한다.
이 때, 제어부(520)는 전력 공급부(521), 제어기(522), 코드 데이터 생성부(523), 변조부(524) 및 절환 가능한 회로 유닛(525)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제어부(520)는 전기적 절환 가능한 유리(530)과 서로 연동될 수 있다.
이 때, 수신부(510)는 송신하기 위한 데이터를 수신한다. 이 때, 데이터는 제한이 없다. 예를 들면, 식별 코드(ID, Identification) 데이터, 텍스트 데이터, 음성 데이터 또는 영상 데이터가 해당될 수 있다.
이 때, 전력 공급부(521)는 통신을 수행하는데 필요한 전력을 제어기(522)에 공급한다. 제어기(522)는 전력 공급부(521)에서 받은 전력을 코드 데이터 생성부(523), 변조부(524) 및 절환 가능한 회로 유닛(525)에 공급할 수 있다.
이 때, 제어기(522)는 수신부(510)로부터 데이터를 수신 받고, 코드 데이터 생성부(523)에 데이터를 전송하고,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수신한 데이터의 양이 송신 할 수 있는 데이터의 양을 초과하는 경우, 임시로 데이터의 일부를 저장하고, 나머지만 코드 데이터 생성부(523)에 전송하는 방법을 이용하여 제어를 수행할 수도 있다.
이 때, 코드 데이터 생성부(523)은 제어기(522)로부터 수신한 데이터를 가공하여, 변조부(524)에 전송할 수 있다.
이 때, 코드 데이터를 생성하는 방법에는 제한이 없다. 예를 들어, 통신을 할 때 기존에 수행되는 인코딩 방법을 그대로 이용할 수도 있다.
이 때, 변조부(524)는 코드 데이터 생성부(523)로부터 수신한 코드 데이터를 변조(modulation)하여, 전송 신호를 생성한다.
이 때, 변조부(524)에서 코드 데이터를 변조하는 방법에는 제한이 없다. 기존의 디지털 통신에서 이용하는 OOK(On-Off Keying), ASK(Amplitude Shift Keying), FSK(Frequency Shift Keying), PSK(Phase Shift Keying)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OFDM(Orthogonal frequency-division multiplexing) 등의 변조 방법을 이용하여 코드 데이터를 변조하여 전송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절환 가능한 회로 유닛(525)는 상기 전송 신호에 기반하여 스위칭을 수행하여 상기 전송 신호에 상응하는 전류 및 전압의 흐름을 제어한다. 또한, 절환 가능한 회로 유닛(525)는 전기적 절환 가능한 유리(530)에 전력을 공급할 수도 있다.
이 때, 전기적 절환 가능한 유리(530)는 전류와 전압이 변화할 때, 투과율이 상승하고, 전류와 전압이 변화하지 않을 때, 투과율이 하락할 수 있다. 반대로, 전기적 절환 가능한 유리(530)는 전류와 전압이 변화할 때 투과율이 하락하고, 전류와 전압이 변화하지 않을 때 투과율이 상승할 수도 있다. 따라서, 절환 가능한 회로 유닛(525)는 전류와 전압의 변화를 제어함으로써, 전기적 절환 가능한 유리의 투과율을 제어할 수가 있게 된다.
예를 들면, 절환 가능한 회로 유닛(525)에 데이터 신호 1이 전송되는 경우, 오픈 상태가 될 수 있고, 데이터 신호 0이 전송되는 경우, 쇼트 상태가 될 수 있다. 따라서, 데이터 신호가 1인지 0인지에 따라 절환 가능한 회로 유닛(525)에 전류가 흐르는지 여부가 결정될 수 있고, 절환 가능한 회로 유닛(525)에 전류 및 전압의 변화 여부에 따라 전기적 절환 가능한 유리(530)의 투과율이 변할 수 있다.
또 예를 들면, 절환 가능한 회로 유닛(525)에 데이터 신호 0이 전송되는 경우, 오픈 상태가 될 수 있고, 데이터 신호 1이 전송되는 경우, 쇼트 상태가 될 수 있다. 따라서, 데이터 신호가 1인지 0인지에 따라 절환 가능한 회로 유닛에 전류가 흐르는지 여부가 결정될 수 있고, 절환 가능한 회로 유닛(525)에 전류 및 전압의 변화 여부에 따라 전기적 절환 가능한 유리(530)의 투과율이 변할 수 있다.
도 5에서 예시한 전기적 절환 가능한 유리(530)는 전류 및 전압이 변화할 때, 투과율이 높아지고, 전류 및 전압이 변화하지 않을 때, 투과율이 낮아지는 것을 가정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하지 않고, 반대로 전기적 절환 가능한 유리(530)가 전류 및 전압이 변화할 때, 투과율이 낮아지고, 전류 및 전압이 변화하지 않을 때, 투과율이 높아지는 유리에도 적용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업자에게 명확하다.
도 5에서 서술한 본 발명은 광원에 대한 제한이 없다. 기존에 이용하던 백열 전구, 형광등, LED 전구 등 데이터 신호를 수신하고, 데이터 신호에 기반하여 온 또는 오프를 결정할 수 없어 기존에 가시광 통신을 수행할 수 없었던 광원에도 적용이 가능하다. 본 발명은 광원에서 출력한 가시광의 밝기를 전기적 절환 가능한 유리를 이용하여 제어할 수 있기 때문이다.
도 6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기적 절환 가능한 유리를 이용한 가시광 통신 장치를 이용하여 가시광 통신을 수행하는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기존의 광원과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기적 절환 가능한 유리를 이용한 가시광 통신 장치를 이용하여 가시광 통신을 수행하는 것을 도시한 도면으로, 도 6을 참조하면, 전기적 절환 가능한 유리를 이용한 가시광 통신 장치와 광원(620)과 수광기(660)가 도시되어 있다.
전기적 절환 가능한 유리를 이용한 가시광 통신 장치는 전력 제어부(610), 전력선(611, 612), 전기적 절환 가능한 유리(630) 및 제어부(640)를 포함한다.
전력 제어부(610)는 전력선(611)을 통하여 전력을 수신하고, 전력선(612)를 이용하여 제어부(640)에 전력을 공급한다.
이 때, 광원(620)에서 출력된 가시광은 전기적 절환 가능한 유리(630)에 도달하여, 본 발명의 전기적 절환 가능한 유리를 이용한 가시광 통신 장치에서 제어하는 투과율에 기반하여 밝기가 조절되어 변조된 신호(630)로 출력된다.
이 때, 수광기(660)는 변조된 신호(630)를 수신하고, 복조하여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이 때, 광원(620)의 종류에는 제한이 없다. 기존에 이용하던 백열 전구, 형광등, LED 전구 등 데이터 신호를 수신하고, 데이터 신호에 기반하여 온 또는 오프를 결정할 수 없어 기존에 가시광 통신을 수행할 수 없었던 광원에도 적용이 가능하다. 본 발명은 광원에서 출력한 가시광의 밝기를 전기적 절환 가능한 유리를 이용하여 제어할 수 있기 때문이다.
도 7은 태양 또는 대기의 빛을 광원으로 이용하고,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기적 절환 가능한 유리를 이용한 가시광 통신 장치를 이용하여 가시광 통신을 수행하는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광원(710)이 외부에 존재하고, 광원(710)에서 출력된 가시광이 벽 사이에 설치된 전기적 절환 가능한 유리를 통과하게 된다.
이 때, 제어부(720)가 전기적 절환 가능한 유리의 투과율을 데이터 신호에 기반하여 조절할 수 있게 되고, 따라서, 광원(710)에서 출력된 가시광은 밝기가 데이터 신호에 상응하게 조절되어, 변조된 신호(740)로 변환된다.
이 때, 변조된 신호(740)는 수광기(750)에 도달하고, 수광기(750) 내부에서 복조되어 데이터 신호로 다시 변환되어, 데이터 신호를 수신할 수 있게 된다.
이 때, 광원(710)의 종류에는 제한이 없다. 기존에 이용하던 백열 전구, 형광등, LED 전구뿐 만 아니라, 태양에서 출력되는 가시광이나 야외 조명(가로등, 보안등, 경관등이 일예이다)을 이용하여 가시광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도 7에서 도시한 것처럼,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기적 절환 가능한 유리를 이용한 가시광 통신 장치는 창문의 형태로서도 이용이 가능하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기적 절환 가능한 유리를 이용한 가시광 통신 방법을 나타낸 동작 흐름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먼저 데이터 신호를 수신한다(S810).
또한, 데이터 신호에 상응하는 전류 및 전압을 생성하고, 상기 전류 및 전압에 기반하여 전기적 절환 가능한 유리의 투과율을 제어한다(S820).
이 때, S810 단계에서 수신한 데이터 신호를 변환하여 전송 신호를 생성하고, 전송 신호를 이용하여 전기적 절환 가능한 유리의 투과율을 제어할 수도 있다.
이 때, 전기적 절환 가능한 유리의 투과율은 절환 가능한 회로 유닛을 이용하여 스위칭을 수행하여 전류 및 전압의 변화에 기반하여 제어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절환 가능한 회로 유닛에 데이터 신호 1이 전송되는 경우, 디지털 신호 0의 상태가 될 수 있고, 데이터 신호 0이 전송되는 경우, 디지털 신호 1의 상태가 될 수 있다. 따라서, 데이터 신호가 1인지 0인지에 따라 절환 가능한 회로 유닛에 전류가 흐르는지 여부가 결정될 수 있고, 절환 가능한 회로 유닛에 전류가 흐르는지 여부에 따라 전기적 절환 가능한 유리의 투과율이 변할 수 있다.
또 예를 들면, 절환 가능한 회로 유닛에 데이터 신호 0이 전송되는 경우, 디지털 신호 0의 상태가 될 수 있고, 데이터 신호 1이 전송되는 경우, 디지털 신호 1의 상태가 될 수 있다. 따라서, 데이터 신호가 1인지 0인지에 따라 절환 가능한 호로 유닛에 전류가 흐르는지 여부가 결정될 수 있고, 절환 가능한 회로 유닛에 전류가 흐르는지 여부에 따라 전기적 절환 가능한 유리의 투과율이 변할 수 있다.
이 때, 디지털 신호 0의 상태는 디지털 신호 1의 상태에 비하여 낮은 조도의 가시광을 전송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지털 신호 0 상태는 가시광을 모두 차단한 상태로서, 가시광을 수신할 수 없는 상태를 의미하고, 디지털 신호 1 상태는 가시광을 모두 투과시킨 상태로서, 가시광을 수신하는 상태를 의미한다.
또 예를 들면, 디지털 신호 0 상태는 가시광을 특정 임계치 이하로 송신할 수 있는 상태를 의미하고, 디지털 신호 1 상태는 가시광을 특정 임계치 이상으로 송신할 수 있는 상태를 의미한다.
이 때, 주위의 밝기를 고려하여 유리의 투과율을 제어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다른 광원들이 출력하는 광원에 의하여 주위가 밝은 경우, 데이터 신호 1을 송신할 때, 투과율을 기존보다 더 크게 하여 가시광 통신을 수행하는데 이용하는 가시광의 세기를 크게 할 수도 있다. 또 예를 들면, 주위가 어두운 경우, 데이터 신호 0을 송신할 때, 투과율을 기존바다 더 작게 하여 가시광 통신을 수행하는데 이용하는 가시광의 세기를 낮게 할 수도 있다. 주위가 어두운 경우, 가시광의 세기를 낮게 하여도 가시광 통신을 수행하는데 지장이 없기 때문이다. 오히려, 가시광의 세기를 낮게 하지 않으면, 사람들의 눈에 불편을 줄 수 있으므로, 가시광의 세기를 낮게 하는 것이 더 바람직할 수도 있기 때문이다.
또한, 투과율에 기반하여 유리를 통과하는 가시광의 밝기를 조절하고(S830), 유리를 통과한 가시광을 이용하여 가시광 통신을 수행한다(S840).
이 때, 투과율에 기반하여 가시광의 밝기를 조절하는 것의 의미는, 가시광이 많이 통과할수록 가시광의 밝기가 밝아지며, 가시광이 통과하지 못할수록, 가시광의 밝기가 어두워지는 것을 의미한다.
이 때, 유리를 통과한 가시광이 존재할 때, 가시광을 수신하는 수광기가 디지털 신호 1을 생성하고, 유리를 통과한 가시광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가시광을 수신하지 못하는 수광기가 디지털 신호 0을 생성하는 방식을 이용하여 가시광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기적 절환 가능한 유리를 이용한 가시광
통신 장치 및 방법은 상기한 바와 같이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110, 210: 절환 가능한 회로 유닛
520: 제어부
610: 전력 제어부
611, 612: 전력선
620, 710: 광원
630, 730: 전기적 절환 가능한 유리
640, 721: 제어부
650, 740: 변조된 신호
660, 750: 수광기

Claims (17)

  1. 삭제
  2. 데이터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데이터 신호에 상응하는 전류 및 전압을 생성하고, 상기 전류 및 전압에 기반하여 전기적 절환 가능한 유리의 투과율을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투과율에 기반하여 상기 유리를 통과하는 가시광의 밝기를 조절하고, 상기 유리를 통과한 가시광을 이용하여 가시광 통신을 수행하는 송신부
    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기설정된 규칙에 기반하여 상기 데이터 신호를 변환하여 코드 데이터를 생성하는 코드 데이터 생성부;
    상기 코드 데이터를 변조하여 상기 데이터 신호에 상응하는 전송 신호를 생성하는 변조부; 및
    상기 전송 신호에 기반하여 스위칭을 수행하여 상기 전송 신호에 상응하는 전류 및 전압의 흐름을 제어하는 절환 가능한 회로 유닛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적 절환 가능한 유리를 이용한 가시광 통신 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전기적 절환 가능한 유리는
    상기 절환 가능한 회로 유닛 내부에서 전류 및 전압의 변화 여부에 기반하여 상기 투과율이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적 절환 가능한 유리를 이용한 가시광 통신 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절환 가능한 회로 유닛은
    상기 전송 신호에 기반하여 스위칭을 수행하고, 수행 결과 디지털 로직 0 상태 및 디지털 로직 1 상태 중 어느 하나의 상태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적 절환 가능한 유리를 이용한 가시광 통신 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전기적 절환 가능한 유리는
    상기 디지털 로직 0 상태 일 때, 상기 투과율이 가장 낮고, 상기 디지털 로직 1 상태일 때 상기 투과율이 가장 높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적 절환 가능한 유리를 이용한 가시광 통신 장치.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전기적 절환 가능한 유리는
    상기 디지털 로직 0 상태일 때, 상기 투과율이 가장 높고, 상기 디지털 로직 1 상태일 때 상기 투과율이 가장 낮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적 절환 가능한 유리를 이용한 가시광 통신 장치.
  7.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기적 절환 가능한 유리, 상기 코드 데이터 생성부, 상기 변조부 및 상기 절환 가능한 회로 유닛에 전력을 전달하는 전력 제어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적 절환 가능한 유리를 이용한 가시광 통신 장치.
  8.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절환 가능한 회로 유닛은
    상기 전송 신호가 데이터 신호 0에 상응하는 것일 때, 상기 디지털 로직 0 상태가 되고, 상기 전송 신호가 데이터 신호 1에 상응하는 것일 때, 상기 디지털 로직 1 상태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적 절환 가능한 유리를 이용한 가시광 통신 장치.
  9.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절환 가능한 회로 유닛은
    상기 전송 신호가 데이터 신호 1에 상응하는 것일 때, 상기 디지털 로직 0 상태가 되고, 상기 전송 신호가 데이터 신호 0에 상응하는 것일 때, 상기 디지털 로직 1 상태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적 절환 가능한 유리를 이용한 가시광 통신 장치.
  10. 삭제
  11. 데이터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데이터 신호에 상응하는 전류 및 전압을 생성하고, 상기 전류 및 전압에 기반하여 전기적 절환 가능한 유리의 투과율을 제어하는 단계; 및
    상기 투과율에 기반하여 상기 유리를 통과하는 가시광의 밝기를 조절하고, 상기 유리를 통과한 가시광을 이용하여 가시광 통신을 수행하는 단계
    를 포함하되,
    상기 투과율을 제어하는 단계는
    기설정된 규칙에 기반하여 상기 데이터 신호를 변환하여, 코드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코드 데이터를 변조하여 상기 데이터 신호에 상응하는 전송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및
    절환 가능한 회로 유닛이 상기 전송 신호에 기반하여 스위칭을 수행하여 상기 전송 신호에 상응하는 전류 및 전압의 흐름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적 절환 가능한 유리를 이용한 가시광 통신 방법.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전기적 절환 가능한 유리는
    상기 절환 가능한 회로 유닛 내부에 전류 및 전압의 변화 여부에 기반하여 상기 투과율이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적 절환 가능한 유리를 이용한 가시광 통신 방법.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전류의 흐름을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전송 신호에 기반하여 스위칭을 수행하고, 수행 결과 상기 절환 가능한 회로 유닛이 디지털 로직 0 상태 및 디지털 로직 1 상태 중 어느 하나의 상태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적 절환 가능한 유리를 이용한 가시광 통신 방법.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전기적 절환 가능한 유리는
    상기 디지털 로직 0 상태 일 때, 상기 투과율이 가장 낮고, 상기 디지털 로직 1 상태일 때, 상기 투과율이 가장 높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적 절환 가능한 유리를 이용한 가시광 통신 방법.
  15.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전기적 절환 가능한 유리는
    상기 디지털 로직 0 상태일 때, 상기 투과율이 가장 높고, 상기 디지털 로직 1 상태일 때 상기 투과율이 가장 낮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적 절환 가능한 유리를 이용한 가시광 통신 방법.
  16.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전송 신호에 상응하는 전류의 흐름을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전송 신호가 데이터 신호 0에 상응하는 것일 때, 상기 절환 가능한 회로 유닛의 상태가 상기 디지털 로직 0 상태가 되고, 상기 전송 신호가 데이터 신호 1에 상응하는 것일 때, 상기 절환 가능한 회로 유닛의 상태가 상기 디지털 로직 1 상태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적 절환 가능한 유리를 이용한 가시광 통신 방법.
  17.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전송 신호에 상응하는 전류의 흐름을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전송 신호가 데이터 신호 0에 상응하는 것일 때, 상기 절환 가능한 회로 유닛이 상기 디지털 로직 1 상태가 되고, 상기 전송 신호가 데이터 신호 1에 상응하는 것일 때, 상기 절환 가능한 회로 유닛이 상기 디지털 로직 0 상태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적 절환 가능한 유리를 이용한 가시광 통신 방법.
KR1020150081124A 2015-06-09 2015-06-09 전기적 절환 가능한 유리를 이용한 가시광 통신 장치 및 방법 KR1021965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1124A KR102196507B1 (ko) 2015-06-09 2015-06-09 전기적 절환 가능한 유리를 이용한 가시광 통신 장치 및 방법
US15/132,664 US9893809B2 (en) 2015-06-09 2016-04-19 Apparatus and method for visible light communication using electrically switchable glas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1124A KR102196507B1 (ko) 2015-06-09 2015-06-09 전기적 절환 가능한 유리를 이용한 가시광 통신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44687A KR20160144687A (ko) 2016-12-19
KR102196507B1 true KR102196507B1 (ko) 2020-12-30

Family

ID=575173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81124A KR102196507B1 (ko) 2015-06-09 2015-06-09 전기적 절환 가능한 유리를 이용한 가시광 통신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9893809B2 (ko)
KR (1) KR10219650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96507B1 (ko) * 2015-06-09 2020-12-30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전기적 절환 가능한 유리를 이용한 가시광 통신 장치 및 방법
CN108628018B (zh) * 2017-03-22 2022-03-15 上海幻玻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多个卫生间调光玻璃隔断控制系统
CN108736973B (zh) * 2018-06-08 2021-10-12 上海大学 一种可见光通信的调频编码解码及扩码方法
CN113014320B (zh) * 2021-02-08 2022-05-17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电子设备的可见光通信控制方法、装置和电子设备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50071655A1 (en) * 2012-01-23 2015-03-12 Smartershade, Inc. Mechanical translation of a variable radiation transmission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48044B1 (ko) * 2003-07-14 2006-01-31 학교법인 한양학원 인공 와우 삽입 보조 장치 및 방법
CN1989716B (zh) * 2004-07-28 2010-05-05 松下电器产业株式会社 影像显示装置及影像显示系统
KR100860667B1 (ko) * 2006-11-07 2008-09-26 삼성전자주식회사 가시광 통신을 위한 휴대용 무선 단말기
KR20090009465A (ko) 2007-07-20 2009-01-23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스마트 유리를 이용한 엘이디 램프 배광 제어 장치 및 방법
US8223217B2 (en) * 2009-07-30 2012-07-17 Motorola Mobility, Inc. Solid state shutter devices and methods
JP5583999B2 (ja) * 2010-03-24 2014-09-03 太陽誘電株式会社 可視光通信用送信機及び可視光通信システム
KR20140066258A (ko) 2011-09-26 2014-05-30 마이크로소프트 코포레이션 투시 근안 디스플레이에 대한 센서 입력에 기초한 비디오 디스플레이 수정
KR101241074B1 (ko) 2011-12-23 2013-03-11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거울상태와 투명상태의 고속 전환장치
US8879924B2 (en) * 2012-01-25 2014-11-04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Visible light communication method using DMX-512 network and apparatuses for the same
KR101974366B1 (ko) 2012-02-10 2019-05-03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지털 정보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영상 내 각 객체에 대한 부가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 이를 위한 디지털 정보 디스플레이 장치 그리고 상기 부가 정보를 제공받는 가시광 통신 단말
US20140161466A1 (en) * 2012-11-30 2014-06-12 Nabeel Agha Riza Multiple mode wireless data link design for robust energy efficient operation
KR101830248B1 (ko) * 2013-04-16 2018-02-2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엘이디 조명 제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엘이디 조명 제어 시스템
KR102081109B1 (ko) 2013-06-17 2020-02-25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복수 시청자용 무안경 입체 표시 장치
KR102196507B1 (ko) * 2015-06-09 2020-12-30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전기적 절환 가능한 유리를 이용한 가시광 통신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50071655A1 (en) * 2012-01-23 2015-03-12 Smartershade, Inc. Mechanical translation of a variable radiation transmission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44687A (ko) 2016-12-19
US9893809B2 (en) 2018-02-13
US20160365923A1 (en) 2016-1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96507B1 (ko) 전기적 절환 가능한 유리를 이용한 가시광 통신 장치 및 방법
US20100111538A1 (en) Illuminating light communication device
Mahendran Integrated LiFi (Light Fidelity) for smart communication through illumination
US9917644B2 (en) Method and system for data transmission and communication using imperceptible differences in visible light
JP2013512638A (ja) データ送信に使用される光源の明るさを調節するための装置及び方法
WO2008050729A1 (fr) Système de transmission spatiale optique utilisant une lumière visible et une lumière infrarouge
US9906297B2 (en) Method and system for implementing visible-light communication, sending apparatus, and receiving apparatus
EP3162171B1 (en) A method for driving a light source, a driver system to drive a light source and a luminaire comprising said light source and driver system
KR20090024104A (ko) 자유 공간에서의 광학 전송을 위한 전계 발광 디바이스
CN105846896A (zh) 一种红外补偿全范围调光的可见光ofdm通信装置
CN207283557U (zh) 基于led灯的可见光通信传输系统
Le et al. Frequency shift on-off keying for optical camera communication
Choudhari et al. High sensitivity universal Lifi receiver for enhance data communication
CN205196026U (zh) 一种由wifi通信控制的智能照明控制装置
US9559773B1 (en) Add-on VLC controller for LED lighting device
CN106027161B (zh) 可见光通信的控制方法、装置和系统
Haas A light-connected world
JP2008312081A (ja) 照明光通信におけるled変調駆動回路
KR101501600B1 (ko) 스마트 가시광통신상에서의 led 램프 플리커방지형 하이브리드 가시광통신장치 및 방법
JP2007267036A (ja) 照明光伝送用受信装置並びに照明光伝送システム
Ashida et al. A VLC receiving devise using audio jacks with a folding noise
KR20170036245A (ko) 가시광 무선통신 송신기, 변조기, 그리고 이에 적용되는 제어 방법
KR101587732B1 (ko) 가시광 통신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Kaushik et al. Light fidelity: a new prototype in wireless communication
KR20170043247A (ko) 가시광 통신 장치 및 이의 가시광 통신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