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96126B1 - Apparatus for treating construction waste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treating construction wast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96126B1
KR102196126B1 KR1020200114664A KR20200114664A KR102196126B1 KR 102196126 B1 KR102196126 B1 KR 102196126B1 KR 1020200114664 A KR1020200114664 A KR 1020200114664A KR 20200114664 A KR20200114664 A KR 20200114664A KR 102196126 B1 KR102196126 B1 KR 1021961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rushing
construction waste
transfer unit
blocking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14664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문광일
Original Assignee
문광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문광일 filed Critical 문광일
Priority to KR10202001146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96126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961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9612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23/00Auxiliary methods or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crushing or disintegrating not provided for in preceding groups or not specially adapted to apparatus covered by a single preceding group
    • B02C23/08Separating or sorting of material, associated with crushing or disintegr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1/00Magnetic separation
    • B03C1/02Magnetic separation acting directly on the substance being separated
    • B03C1/16Magnetic separation acting directly on the substance being separated with material carriers in the form of belts
    • B03C1/18Magnetic separation acting directly on the substance being separated with material carriers in the form of belts with magnets moving during operation
    • B03C1/20Magnetic separation acting directly on the substance being separated with material carriers in the form of belts with magnets moving during operation in the form of belts, e.g. cross-belt typ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7/00Fencing, e.g. fences, enclosures, corrals
    • E04H17/14Fences constructed of rigid elements, e.g. with additional wire fillings or with posts
    • E04H17/20Posts therefor
    • E04H17/22Anchoring means therefor, e.g. specially-shaped parts entering the ground; Struts or the 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Disintegrating Or Milling (AREA)

Abstract

A construction waste disposa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supply transfer unit located on the ground and transferring introduced construction waste along one direction; a crushing unit connected to the supply transfer unit and crushing the construction waste to a predetermined size while passing the construction waste supplied from the supply transfer unit; a discharge transfer unit connected to the crushing unit, receiving the crushed construction waste from the crushing unit, and transferring the construction waste along one direction; a sorting unit located on the upper side of the discharge transfer unit in a direction intersecting one direction, separating a metal material contained in the crushed construction waste, and transferring the metal material in a direction intersecting the one direction; and a blocking unit including a plurality of blocking posts that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long one direction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the supply transfer unit and the discharge transfer unit while corresponding to the supply transfer unit and the discharge transfer unit, and are respectively positioned in a vertical direction, a blocking body that is positioned between the blocking posts and is connected to the blocking posts to close between the blocking posts, an installation body that has an insertion spac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thereof to allow a part of the blocking post to be inserted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is inserted into the ground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a guide body that has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insertion space, can be inserted into the insertion space, and has a guide spac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thereof to allow the blocking post to be inserted. Accordingly, the construction waste can be disposed of in a reusable condition and size.

Description

건설 폐기물 처리 장치{Apparatus for treating construction waste}Construction waste treatment device {Apparatus for treating construction waste}

본 발명은 건설 폐기물 처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건축물 철거과정에서 생성된 건설 폐기물을 재사용할 수 있도록 처리할 수 있는 건설 폐기물 처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struction waste treatment apparatus, and more particularly, to a construction waste treatment apparatus that can be treated to reuse the construction waste generated in the process of building demolition.

도시의 재개발이 이루어지면서, 노후되거나 기능 저하된 건축물의 해체 및 도로의 보수가 이루어지기도 한다. 이로 인해, 폐콘크리트, 폐시멘트, 건설 쓰레기 등과 같은 건설 폐기물이 다량으로 배출되고 있다. 이러한 건설 폐기물은 적절한 처리 장치를 통해 처리되어야 하지만, 불법 매립, 불법 투기 등과 같이 적절하게 처리되지 못하여, 환경오염 등과 같은 다양한 사회문제를 유발하고 있는 실정이다.As cities are redeveloped, old or deteriorated buildings are dismantled and roads are repaired. For this reason, construction waste such as waste concrete, waste cement, and construction waste is being discharged in large quantities. Such construction waste must be disposed of through an appropriate treatment device, but is not properly disposed of, such as illegal landfill and illegal dumping, thereby causing various social problems such as environmental pollution.

건설 폐기물이 다량으로 발생되고 있는 상황 가운데에서, 건설 폐기물 중 불필요한 쓰레기는 분리되어 폐기되고, 나머지 건설 폐기물은 재활용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이는 자원 절약 및 에너지 절약 뿐 만 아니라 환경보호를 위하여 중요하다고 볼 수 있다. In a situation where a large amount of construction waste is generated, unnecessary waste among the construction waste needs to be separated and disposed of, and the remaining construction waste needs to be recycled. This can be seen as important for not only saving resources and energy, but also protecting the environment.

하지만, 오늘날 건설 폐기물을 처리하기 위한 별도의 대안 또는 구조적인 장치가 제대로 갖춰지지 있지 않아, 건설 폐기물 중 일부는 재활용될 수 있음에도 재활용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However, today, a separate alternative or structural device for treating construction waste is not properly equipped, and thus some of the construction waste is not recycled even though it can be recycled.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건설 폐기물 처리 장치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건설 폐기물을 재사용가능한 상태 및 크기로 처리할 수 있도록 하는 건설 폐기물 처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The technical problem to be achieved by the construction waste treatment apparatus according to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nstruction waste treatment apparatus capable of treating construction waste in a reusable state and size.

또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건설 폐기물 처리 장치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건설 폐기물의 처리에 따른 작업 환경을 보다 안전하게 구현할 수 있도록 하는 건설 폐기물 처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In addition, the technical problem to be achieved by the construction waste treatment apparatus according to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nstruction waste treatment apparatus capable of more safely realizing a work environment according to the treatment of construction waste.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건설 폐기물 처리 장치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는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technical problem to be achieved by the construction waste treatment apparatus according to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problem mentioned above, and another problem that i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일 실시예에 따른 건설 폐기물 처리 장치는, 지면에 위치되고, 유입된 건설 폐기물을 일방향을 따라 이송시키는 공급 이송부; 공급 이송부와 연결되고, 공급 이송부로부터 공급된 건설 폐기물을 통과시키면서 소정의 크기로 파쇄하는 파쇄부; 파쇄부와 연결되고, 파쇄부로부터 파쇄된 건설 폐기물을 공급받아 일방향을 따라 이송시키는 배출 이송부; 배출 이송부의 상측에서 일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위치되고, 파쇄된 건설 폐기물에 포함된 금속재를 분리하여 일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이송시키는 선별부; 및 공급 이송부 및 배출 이송부에 대응되면서 공급 이송부 및 배출 이송부로부터 이격되도록 일방향을 따라 상호 간에 이격되고, 각각 수직 방향으로 위치되는 복수 개의 차단 지주와, 차단 지주들 사이에 위치되어 차단 지주들에 연결되어 차단 지주들 사이를 폐쇄할 수 있는 차단 몸체와, 상면에는 차단 지주의 일부가 수직 방향으로 삽입가능한 삽입 공간이 오목하게 형성되면서 지면에 수직 방향으로 삽입된 설치 몸체와, 삽입 공간에 상응하는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삽입 공간에 삽입될 수 있고, 상면에는 차단 지주가 삽입될 수 있는 유도 공간이 형성된 유도 몸체를 포함하는 차단부를 포함하되, 유도 몸체는, 삽입 공간에 상응하는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상면에는 유도 공간이 오목하게 형성된 삽입 몸체; 각각 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삽입 몸체의 상면에서 유도 공간 주위를 따라 위치되고 회동가능하여, 상호 간에 접촉가능하도록 위치되어 삽입 몸체의 외측면과 동일 평면을 형성하거나, 상호 간에 멀어지도록 기울어져 삽입 몸체의 외측면과 둔각을 형성하는 복수 개의 유도 부재; 및 삽입 몸체와 유도 부재 사이에 위치되어 삽입 몸체와 유도 부재를 연결하고, 유도 부재를 상호 간에 멀어진 상태로 삽입 몸체의 상면에 기울어지도록 하는 유도 탄성 부재를 포함하고, 유도 부재가 유도 탄성 부재에 의해 상호 간에 멀어진 상태에서, 삽입 몸체는 삽입 공간에 삽입되면, 유도 부재는 설치 몸체의 상면에 지지되고, 차단 지주는 유도 부재들 사이를 통해 유도 공간에 삽입되어, 삽입 몸체는 삽입 공간의 바닥면에 접촉되도록 삽입 공간에 삽입되고, 유도 부재는 상호 간에 근접하도록 회동되면서 삽입 공간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Construction waste treatment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according to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located on the ground, the supply transfer unit for transporting the introduced construction waste along one direction; A crushing unit connected to the supply and transfer unit and crushed to a predetermined size while passing the construction waste supplied from the supply and transfer unit; A discharge transfer unit connected to the crushing unit and receiving the construction waste crushed from the crushing unit and transferring it along one direction; A sorting unit positioned in a direction crossing one direction from the upper side of the discharge transfer unit, separating the metal material contained in the crushed construction waste and transferring it in a direction crossing the one direction; And a plurality of blocking posts which are spaced from each other along one direction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the supply transfer part and the discharge transfer part while corresponding to the supply transfer part and the discharge transfer part, and are located between the blocking posts and are connected to the blocking posts. A blocking body that can close between the blocking posts, and an installation body inserted in a vertical direction on the ground with a concave insertion space in which a part of the blocking posts can be inserted in a vertical direction on the upper surface, and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insertion space. It is made, but can be inserted into the insertion space, the upper surface includes a blocking portion including an induction body formed with an induction space into which the blocking post can be inserted, the induction body is made of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insertion space, but on the upper surface An insertion body with a concave induction space; Each consists of a plate shape, but is located along the guide space around the upper surface of the insertion body and is rotatable, so that it is positioned to contact each other to form the same plane as the outer surface of the insertion body, or the insertion body is inclined away from each other. A plurality of guiding members forming an obtuse angle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And an induction elastic member positioned between the insertion body and the induction member to connect the insertion body and the induction member, and inclining the induction member to an upper surface of the insertion body in a state away from each other, wherein the induction member is formed by the induction elastic member. In a state away from each other, when the insertion body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space, the guide member is suppor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installation body, and the blocking post is inserted into the guidance space through the guide members, so that the insertion body is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insertion space. It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space so as to be in contact, and the guide members are rotated so as to be close to each other and inserted into the insertion space.

또한, 파쇄부에는 파쇄 유도 개구가 상하 방향으로 관통 형성되고, 파쇄부는, 파쇄 유도 개구의 내측면에서 공급 이송부에 대응하도록 위치되고, 각각 상하방향으로 볼록하게 형성된 복수 개의 파쇄 유도 돌기; 및 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파쇄 유도 돌기와 마주하도록 파쇄 유도 개구의 내측면에 위치되고, 상단부가 파쇄 유도 개구의 내측면에서 회전가능하도록 위치되는 파쇄 몸체를 포함하되, 건설 폐기물이 파쇄 유도 개구에 유입될 때, 파쇄 몸체의 상단부가 회전하고, 파쇄 몸체의 하단은 파쇄 유도 돌기에 근접하거나, 파쇄 유도 돌기로부터 이격되도록 이동되어, 건설 폐기물은 파쇄 몸체에 의해 파쇄될 수 있다.In addition, a crushing guide opening is formed through the crushing portion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crushing portion, a plurality of crushing guide projections are positioned so as to correspond to the feed transfer portion on the inner surface of the crushing guide opening, each convex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a crushing body formed in a plate shape, but locat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crushing guidance opening so as to face the crushing guidance protrusion, and having an upper end rotatably position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crushing guidance opening, wherein construction waste flows into the crushing guidance opening When the crushing body is rotated, the lower end of the crushing body is moved to be close to the crushing induction protrusion or spaced apart from the crushing induction protrusion, so that construction waste can be crushed by the crushing body.

또한, 파쇄 유도 개구의 하면은 배출 이송부의 상면에 대응하도록 위치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lower surface of the crushing guide opening may be positioned to correspon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discharge conveying unit.

또한, 선별부는 전자석 및 감지 센서를 포함하는 컨베이어 벨트 형태로 이루어지되, 선별부는 배출 이송부에 대응되는 부분에 대하여 자성을 갖고 배출 이송부에 대응되지 않는 부분에 대하여 자성을 갖지 않을 수 있다.In addition, the sorting part may be made in the form of a conveyor belt including an electromagnet and a detection sensor, but the sorting part may have magnetism with respect to a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discharge transfer part and no magnetism with respect to a portion not corresponding to the discharge transfer part.

또한, 건설 폐기물 처리 장치는, 배출 이송부와 연결되고, 배출 이송부로부터 파쇄된 건설 폐기물을 공급받아 통과시키면서 소정의 크기보다 작게 파쇄하는 보조 파쇄부; 및 보조 파쇄부와 연결되고, 보조 파쇄부로부터 소정의 크기보다 작게 파쇄된 건설 폐기물을 공급받아 일방향을 따라 이송시키는 보조 이송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struction waste treatment apparatus includes: an auxiliary crushing unit connected to the discharge transfer unit, receiving and passing the crushed construction waste from the discharge transfer unit, and crushing it to a size smaller than a predetermined size; And an auxiliary transfer unit connected to the auxiliary crushing unit and receiving construction waste crushed smaller than a predetermined size from the auxiliary crushing unit and transferring it along one direction.

또한, 배출 이송부 및 보조 이송부의 하측에는 일방향을 따라 배출 이송부의 폭 및 보조 이송부의 폭보다 큰 폭을 갖는 보호부가 설치될 수 있다.In addition, a protection unit having a width greater than the width of the discharge transfer unit and the width of the auxiliary transfer unit may be installed below the discharge transfer unit and the auxiliary transfer unit.

또한, 차단 지주는 보조 이송부에 대응되면서 보조 이송부로부터 이격되도록 일방향을 따라 위치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blocking post may be positioned along one direction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the auxiliary transport unit while corresponding to the auxiliary transport unit.

또한, 설치 몸체는 설치 몸체 주위에 토사가 공급되어 압축되거나, 콘크리트가 타설된 상태로 지면에 삽입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installation body may be compressed by supplying soil around the installation body or inserted into the ground in a state in which concrete is poured.

또한, 삽입 몸체가 삽입 공간의 바닥면에 접촉된 상태에서, 보조 부재는 설치 몸체의 양측면 및 삽입 몸체의 양측면을 관통하여 설치 몸체에 나사결합되고 차단 지주에 접촉될 수 있다.In addition, in a state in which the insertion body is in contact with the bottom surface of the insertion space, the auxiliary members penetrate both side surfaces of the installation body and both side surfaces of the insertion body, are screwed to the installation body, and may contact the blocking posts.

또한, 유도 몸체는, 삽입 몸체의 양측면 사이의 유도 공간의 내측면으로부터 연장되어 유도 공간의 바닥면을 향하도록 구부러지고, 유도 공간의 내측면에 근접되도록 변형되면서 복원력을 축적하는 고정 탄성 부재를 더 포함하되, 차단 지주가 유도 공간에 삽입될 때, 고정 탄성 부재는 차단 지주에 접촉되어 유도 공간의 내측면에 근접하도록 변형되면서 차단 지주를 가압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induction body further includes a fixed elastic member that extends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induction space between both side surfaces of the insertion body and is bent toward the bottom surface of the induction space, and is deformed to be close to the inner surface of the induction space to accumulate a restoring force. However, when the blocking post is inserted into the guide space, the fixing elastic member may press the blocking post while being deformed to be in contact with the blocking post and close to the inner surface of the guide space.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실시예들에 따른 건설 폐기물 처리 장치는 하기와 같은 효과를 가진다.Construction waste treatment apparatus according to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following effects.

(1) 건설 폐기물이 재사용가능한 상태 및 크기로 처리될 수 있다. (1) Construction waste can be disposed of in a reusable condition and size.

(2) 건설 폐기물의 처리에 따른 작업 환경이 보다 안전하게 구현될 수 있다.(2) The working environment according to the disposal of construction waste can be implemented more safely.

다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설 폐기물 처리 장치가 달성할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However, the effects that can be achieved by the construction waste treatment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ose mentioned above,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I will be able to.

본 명세서에서 인용되는 도면을 보다 충분히 이해하기 위하여 각 도면의 간단한 설명이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설 폐기물 처리 장치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설 폐기물 처리 장치의 작동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설 폐기물 처리 장치에서 차단부가 적용된 모습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설 폐기물 처리 장치에서 차단부가 부분적으로 분리된 모습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설 폐기물 처리 장치에서 차단부의 설치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들이다.
In order to more fully understand the drawings cit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 brief description of each drawing is provided.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struction waste treatment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view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construction waste treatment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blocking portion is applied in the construction waste treatment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blocking portion is partially separated in the construction waste treatment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diagram showing an installation state of a blocking portion in the construction waste treatment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이를 상세한 설명을 통해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and various embodiments may be provided, and specific embodiments ar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hrough detailed description. However,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o specific embodiments, and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changes, equivalents, and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본 명세서의 설명 과정에서 이용되는 숫자(예를 들어, 제 1, 제 2 등)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한 식별기호에 불과하다.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related known technologies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In addition, numbers (eg, first, second, etc.) used in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are merely identification symbols for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other components.

또한, 본 명세서에서, 일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와 "연결된다" 거나 "접속된다" 등으로 언급된 때에는, 상기 일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와 직접 연결되거나 또는 직접 접속될 수도 있지만,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존재하지 않는 이상, 중간에 또 다른 구성요소를 매개하여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when one component is referred to as "connect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the one componen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directly connected to the other component, but specially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as long as there is no opposing substrate, it may be connected or may be connected via another component in the middle.

또한, 본 명세서에서 '~부'로 표현되는 구성요소는 2개 이상의 구성요소가 하나의 구성요소로 합쳐지거나 또는 하나의 구성요소가 보다 세분화된 기능별로 2개 이상으로 분화될 수도 있다. 또한, 이하에서 설명할 구성요소 각각은 자신이 담당하는 주기능 이외에도 다른 구성요소가 담당하는 기능 중 일부 또는 전부의 기능을 추가적으로 수행할 수도 있으며, 구성요소 각각이 담당하는 주기능 중 일부 기능이 다른 구성요소에 의해 전담되어 수행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In addition, as for the constituent elements represented by'~ unit'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wo or more constituent elements may be combined into one constituent element, or one constituent element may be divided into two or more for each more subdivided function. In addition, each of the components to be described below may additionally perform some or all of the functions that other components are responsible for in addition to its own main function, and some of the main functions that each component is responsible for are different. It goes without saying that it may be performed exclusively by components.

이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실시예들을 차례로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sequentially described in detail.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설 폐기물 처리 장치(100)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설 폐기물 처리 장치(100)의 작동을 도시하는 도면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struction waste treatment apparatus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view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construction waste treatment apparatus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설 폐기물 처리 장치(100)는 공급 이송부(101), 파쇄부(102), 배출 이송부(103), 선별부(104), 보조 파쇄부(105) 및 보조 이송부(106)를 포함하고, 지면에 위치되어 건설 폐기물을 파쇄하여 골재로서 사용가능하도록 처리할 수 있다. 여기서, 건설 폐기물은 토사를 비롯하여, 폐콘크리트, 폐아스팔트, 폐벽돌, 폐타일, 폐석재 등을 포함할 수 있다.1 and 2, the construction waste treatment apparatus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upply transfer unit 101, a crushing unit 102, a discharge transfer unit 103, and a sorting unit 104 It includes an auxiliary crushing unit 105 and an auxiliary conveying unit 106, and is located on the ground to crush the construction waste so that it can be treated to be usable as an aggregate. Here, the construction waste may include soil, waste concrete, waste asphalt, waste brick, waste tile, waste stone, and the like.

공급 이송부(101)는 컨베이어 벨트의 형태로 이루어지되, 지면에서 일방향(A)을 따라 위치될 수 있다. 건설 폐기물은 작업자 또는 중장비를 이용하여 공급 이송부(101)에 위치될 수 있고, 일방향(A)을 따라 이송될 수 있다.The supply transfer unit 101 is made in the form of a conveyor belt, but may be located along one direction A on the ground. Construction waste may be located in the supply transport unit 101 using a worker or heavy equipment, it may be transported along one direction (A).

한편, 공급 이송부(101)의 양측에는 각각 일방향(A)을 따라 이송 가이드(111)가 설치될 수 있고, 이송 가이드(111)는 공급 이송부(101)의 상면과 교차하도록 위치될 수 있다. 이로 인해, 건설 폐기물은 공급 이송부(101)로부터 이탈을 최소한 상태로 일방향(A)을 따라 이송될 수 있다.Meanwhile, a transfer guide 111 may be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supply transfer unit 101 along one direction A, respectively, and the transfer guide 111 may be positioned so as to intersect the upper surface of the supply transfer unit 101. Due to this, the construction waste can be transported along one direction (A) with minimal deviation from the supply transport unit 101.

파쇄부(102)는 공급 이송부(101)로부터 건설 폐기물을 공급받을 수 있다. 건설 폐기물은 파쇄부(102)를 통과하면서 소정의 크기로 파쇄될 수 있다. 여기서, 파쇄부(102)는 건설 폐기물을 재사용가능한 골재의 크기로 가공할 수도 있다.The crushing unit 102 may receive construction waste from the supply and transfer unit 101. Construction waste may be crushed to a predetermined size while passing through the crushing unit 102. Here, the crushing unit 102 may process construction waste into the size of a reusable aggregate.

또한, 파쇄부(102)에는 상하방향으로 파쇄 유도 개구(102a)가 형성될 수 있다. 건설 폐기물은 공급 이송부(101)로부터 파쇄 유도 개구(102a)에 유입되어, 파쇄 유도 개구(102a)를 통과하면서 파쇄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파쇄부(102)는 파쇄 유도 돌기(121) 및 파쇄 몸체(123)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rushing portion 102 may be formed with a crushing guide opening 102a in the vertical direction. Construction waste may be introduced into the crushing guide opening 102a from the supplying and conveying unit 101 and crushed while passing through the crushing guide opening 102a. The crushing part 102 as described above may include a crushing guide protrusion 121 and a crushing body 123.

파쇄 유도 돌기(121)는 복수 개로 이루어지되, 공급 이송부(101)에 대응되는 파쇄 유도 개구(102a)의 내측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되고 상호 간에 이격되어 위치될 수 있다. 여기서, 파쇄 유도 돌기(121)는 상하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crushing induction protrusion 121 may be formed in a plurality, and may be formed to protrude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crushing induction opening 102a corresponding to the supply transfer unit 101 and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Here, the crushing induction protrusion 121 may be formed in the vertical direction.

파쇄 몸체(123)는 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파쇄 유도 돌기(121)와 마주하도록 파쇄 유도 개구(102a)의 내측면에 위치될 수 있다. 여기서, 파쇄 몸체(123)의 상단부는 파쇄 유도 개구(102a)의 내측면에 회전가능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 파쇄 몸체(123)의 상단부가 회전함에 따라, 파쇄 몸체(123)의 하단은 파쇄 유도 돌기(121)에 근접하거나, 파쇄 유도 돌기(121)로부터 이격되도록 이동될 수 있다. 특히, 파쇄 몸체(123)의 하단이 파쇄 유도 돌기(121)에 근접하도록 파쇄 몸체(123)의 상단부가 회전될 때, 파쇄 몸체(123)는 파쇄 유도 개구(102a)를 통과하는 건설 폐기물에 충격을 가하여 건설 폐기물을 파쇄할 수 있다. 이로 인해, 건설 폐기물은 소정의 크기를 갖도록 파쇄될 수 있다.The crushing body 123 is formed in a plate shape, and may be located on the inner side of the crushing induction opening 102a so as to face the crushing induction protrusion 121. Here, the upper end of the crushing body 123 may be rotatably connect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crushing induction opening 102a. As the upper end of the crushing body 123 rotates, the lower end of the crushing body 123 may be moved to be close to the crushing guide protrusion 121 or be spaced apart from the crushing guide protrusion 121. In particular, when the upper end of the crushing body 123 is rotated so that the lower end of the crushing body 123 is close to the crushing guide protrusion 121, the crushing body 123 impacts the construction waste passing through the crushing guide opening 102a. Construction waste can be shredded by adding. Due to this, the construction waste can be crushed to have a predetermined size.

배출 이송부(103)는 컨베이어 벨트의 형태로 이루어지되, 파쇄부(102)와 연결되도록 지면에서 일방향(A)을 따라 위치될 수 있다. 여기서, 배출 이송부(103)는 공급 이송부(101)로부터 점점 멀어지도록 위치될 수 있다. 건설 폐기물은 파쇄부(102)를 통과하면서 파쇄부(102)에서 파쇄된 후에 배출 이송부(103)에 위치될 수 있고, 일방향(A)을 따라 이송될 수 있다. 또한, 파쇄부(102)의 파쇄 유도 개구(102a), 특히 파쇄 유도 개구(102a)의 하면은 배출 이송부(103)의 상면에 대응하도록 위치될 수 있다.The discharge transfer unit 103 is made in the form of a conveyor belt, and may be located along one direction (A) on the ground so as to be connected to the crushing unit 102. Here, the discharge transfer unit 103 may be positioned to gradually move away from the supply transfer unit 101. Construction waste may be located in the discharge transfer unit 103 after being crushed in the crushing unit 102 while passing through the crushing unit 102, and may be transported along one direction (A). In addition, the crushing guide opening 102a of the crushing portion 102, in particular, the lower surface of the crushing guide opening 102a may be positioned so as to correspon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discharge conveying unit 103.

배출 이송부(103)는 파쇄된 건설 폐기물을 일방향(A)을 따라 이송시킨 후에 지면으로 낙하시켜 지면에 적치시킬 수도 있다.The discharge transfer unit 103 may drop the crushed construction waste along one direction (A) and then drop it to the ground and place it on the ground.

선별부(104)는 컨베이어 벨트의 형태로 이루어지되, 배출 이송부(103)의 상측에 일방향(A)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위치될 수 있다. 여기서, 선별부(104)의 일부는 배출 이송부(103)에 대응되도록 위치되고, 선별부(104)의 나머지 일부는 배출 이송부(103)에 대응되지 않도록 위치될 수 있다.The sorting part 104 is made in the form of a conveyor belt, and may be located above the discharge conveying part 103 in a direction crossing the one direction A. Here, a part of the sorting part 104 may be positioned so as to correspond to the discharge conveying part 103, and the remaining part of the sorting part 104 may be located so as not to correspond to the discharge conveying part 103.

또한, 선별부(104)는 전자석 및 감지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선별부(104)는 배출 이송부(103)를 감지하고 배출 이송부(103)에 대응되는 부분에 대하여 자성을 가질 수 있고, 배출 이송부(103)에 대응되지 않는 부분에 대하여는 자성을 갖지 않을 수 있다. 건설 폐기물이 파쇄부(102)에 의해 파쇄될 때, 파쇄된 건설 폐기물은 소정의 크기로 파쇄된 상태에서 건설 폐기물에 포함된 금속재와 혼합될 수 있다. 선별부(104)에서 배출 이송부(103)에 대응되는 부분은 자성을 갖기에, 금속재는 선별부(104)에 부착되고 선별부(104)에 의해 일방향(A)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이송될 수 있다. 금속재가 배출 이송부(103)에 대응하지 않도록 선별부(104)에 위치될 때, 배출 이송부(103)에 대응하지 않는 선별부(104)는 자성을 갖지 않을 수 있다. 여기서, 금속재는 선별부(104)로부터 분리되어 낙하될 수 있고, 지면에 위치되어 적치될 수 있다. 이로 인해, 파쇄된 건설 폐기물은 금속재가 제거된 상태에서 배출 이송부(103)에 의해 일방향(A)을 따라 이송될 있다.In addition, the sorting unit 104 may include an electromagnet and a detection sensor. Here, the sorting unit 104 may sense the discharge transfer unit 103 and have magnetism for a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discharge transfer unit 103, and may not have magnetism for a portion that does not correspond to the discharge transfer unit 103. have. When the construction waste is crushed by the crushing unit 102, the crushed construction waste may be mixed with a metal material included in the construction waste in a state crushed to a predetermined size. Since the part corresponding to the discharge transfer part 103 in the sorting part 104 has magnetic properties, the metal material is attached to the sorting part 104 and can be transferred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one direction (A) by the sorting part 104. have. When the metal material is positioned in the sorting part 104 so as not to correspond to the discharge conveying part 103, the sorting part 104 that does not correspond to the discharge conveying part 103 may not have magnetism. Here, the metal material may be separated from the sorting unit 104 and dropped, and may be placed on the ground and stacked. Due to this, the crushed construction waste can be transferred along one direction (A) by the discharge transfer unit 103 in a state in which the metal material is removed.

보조 파쇄부(105)는 배출 이송부(103)로부터 파쇄된 상태의 건설 폐기물을 공급받을 수 있다. 건설 폐기물은 소정의 크기를 가진 상태에서 보조 파쇄부(105)를 통과하면서 소정의 크기보다 작게 파쇄될 수 있다. 여기서, 보조 파쇄부(105)는 파쇄부(102)와 조합하여 사용가능한 골재의 형태로 건설 폐기물을 가공할 수도 있다.The auxiliary crushing unit 105 may receive construction waste in a crushed state from the discharge transfer unit 103. Construction waste may be crushed smaller than a predetermined size while passing through the auxiliary crushing unit 105 in a state having a predetermined size. Here, the auxiliary crushing unit 105 may process construction waste in the form of aggregate usable in combination with the crushing unit 102.

또한, 보조 파쇄부(105)는 파쇄부(102)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In addition, the auxiliary crushing unit 105 may have substantially the same configuration as the crushing unit 102.

보조 이송부(106)는 컨베이어 벨트의 형태로 이루어지되, 보조 파쇄부(105)와 연결되도록 지면에서 일방향(A)을 따라 위치될 수 있다. 여기서, 보조 이송부(106)는 배출 이송부(103)로부터 멀어지도록 위치될 수 있다. 건설 폐기물은 보조 파쇄부(105)를 통과하면서 보조 파쇄부(105)에서 소정의 크기보다 작게 파쇄된 후에 보조 이송부(106)에 위치될 수 있고, 일방향(A)을 따라 이송될 수 있다. 또한, 보조 파쇄부(105)의 하면은 보조 이송부(106)의 상면에 대응하도록 위치될 수 있다.The auxiliary transfer unit 106 is made in the form of a conveyor belt, and may be located along one direction A on the ground so as to be connected to the auxiliary crushing unit 105. Here, the auxiliary transfer unit 106 may be positioned so as to be away from the discharge transfer unit 103. The construction waste may be located in the auxiliary transfer unit 106 after passing through the auxiliary crushing unit 105 and being crushed to be smaller than a predetermined size in the auxiliary crushing unit 105, and may be transported along one direction (A). In addition, the lower surface of the auxiliary crushing unit 105 may be positioned to correspon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auxiliary transport unit 106.

보조 이송부(106)는 파쇄된 건설 폐기물을 일방향(A)을 따라 이송시킨 후에 지면으로 낙하시켜 지면에 적치시킬 수도 있다.The auxiliary transfer unit 106 may drop the crushed construction waste along one direction (A) and then drop it to the ground and place it on the ground.

한편, 배출 이송부(103) 및 보조 이송부(106)의 하측에는 일방향(A)을 따라 보호부(110)가 설치될 수 있고, 보호부(110)는 배출 이송부(103)의 폭 및 보조 이송부(106)의 폭보다 큰 폭을 가질 수 있다. 이로 인해, 건설 폐기물은 배출 이송부(103) 또는 보조 이송부(106)로부터 이탈되어 낙하되더라도 보호부(110)에 위치될 수 있다. 즉, 보호부(110)는 지면에 위치된 작업자 또는 장비를 일방향(A)을 따라 이송되던 중 낙하되는 파쇄된 건설 폐기물로부터 보호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t the lower side of the discharge transfer unit 103 and the auxiliary transfer unit 106, a protection unit 110 may be installed along one direction (A), and the protection unit 110 includes the width of the discharge transfer unit 103 and the auxiliary transfer unit ( 106) can have a larger width. Due to this, construction waste may be located in the protection unit 110 even if it is separated from the discharge transfer unit 103 or the auxiliary transfer unit 106 and falls. That is, the protection unit 110 may protect a worker or equipment located on the ground from crushed construction waste falling while being transported along one direction (A).

본 실시예의 건설 폐기물 처리 장치(100)는 건설 폐기물을 소정의 크기로 파쇄하고, 파쇄된 상태로 포함된 금속재를 분리할 수 있다. 이로 인해, 건설 폐기물은 재사용가능한 상태 및 크기로 처리되어 재활용될 수 있다.The construction waste treatment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y crush construction waste to a predetermined size and separate the metal material included in the crushed state. Due to this, construction waste can be treated and recycled in a reusable state and size.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설 폐기물 처리 장치(100)에서 차단부(107)가 적용된 모습을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설 폐기물 처리 장치(100)에서 차단부(107)가 부분적으로 분리된 모습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설 폐기물 처리 장치(100)에서 차단부(107)의 설치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들이다.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blocking portion 107 is applied in the construction waste treatment apparatus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4 is a construction waste treatment apparatus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blocking part 107 is partially separated, and FIG. 5 is a view showing the installation state of the blocking part 107 in the construction waste treatment apparatus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dmit.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건설 폐기물 처리 장치(100)는 차단부(10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차단부(107)는 공급 이송부(101), 배출 이송부(103) 및 보조 이송부(106)에 대응되면서 공급 이송부(101), 배출 이송부(103) 및 보조 이송부(106)로부터 이격되도록 일방향(A)을 따라 위치될 수 있다. 이러한 차단부(107)는 공급 이송부(101), 배출 이송부(103) 및 보조 이송부(106)에 의해 이송되던 중 공급 이송부(101), 배출 이송부(103) 및 보조 이송부(106)로부터 이탈되는 건설 폐기물을 차단하는 데에 이용될 수 있다. 즉, 차단부(107)는 건설 폐기물 처리 장치(100) 주위 환경을 건설 폐기물로부터 안전한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3 to 5, the construction waste treatment apparatus 100 of this embodiment may further include a blocking part 107. The blocking part 107 corresponds to the supply transfer part 101, the discharge transfer part 103, and the auxiliary transfer part 106 and is spaced apart from the supply transfer part 101, the discharge transfer part 103 and the auxiliary transfer part 106 in one direction (A). It can be located along. Such a blocking unit 107 is a construction that is separated from the supply transfer unit 101, the discharge transfer unit 103 and the auxiliary transfer unit 106 while being transferred by the supply transfer unit 101, the discharge transfer unit 103 and the auxiliary transfer unit 106 It can be used to block waste. That is, the blocking unit 107 can maintain the environment around the construction waste treatment apparatus 100 in a safe state from construction waste.

또한, 차단부(107)는 차단 지주(171), 차단 몸체(173), 설치 몸체(175) 및 유도 몸체(177)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blocking portion 107 may include a blocking post 171, a blocking body 173, an installation body 175 and an induction body 177.

차단 지주(171)는 복수 개로 이루어지되, 공급 이송부(101), 배출 이송부(103) 및 보조 이송부(106)에 대응되면서 공급 이송부(101), 배출 이송부(103) 및 보조 이송부(106)로부터 이격되도록 일방향(A)을 따라 위치될 수 있다. 차단 지주(171)는 상호 간에 이격된 상태로 각각 수직 방향으로 위치될 수 있다. 여기서, 수직 방향은 지면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차단 지주(171)는 H빔의 형태로 이루어져, 웨브(web)(171a) 및 플랜지(flange)(171b)들을 포함할 수 있다.Blocking posts 171 are made of a plurality of, while corresponding to the supply transfer unit 101, the discharge transfer unit 103 and the auxiliary transfer unit 106, spaced apart from the supply transfer unit 101, the discharge transfer unit 103 and the auxiliary transfer unit 106 It may be located along one direction (A) as possible. The blocking posts 171 may be positioned in a vertical direction whil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Here, the vertical direction may mean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ground. In addition, each blocking post 171 is made in the form of an H-beam, and may include a web 171a and a flange 171b.

웨브(171a)는 판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차단 지주(171)가 상호 간에 이격되어 위치될 때, 웨브(171a)는 각각 수직 방향으로 위치되면서 상호 간에 마주하면서 평행하게 위치될 수 있다.The web 171a is formed in a plate shape. When the blocking posts 171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the webs 171a may be positioned in parallel while facing each other while being positioned in a vertical direction, respectively.

플랜지(171b)들은 한 쌍으로 이루어지되, 각각 판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플랜지(171b)들은 각각 웨브(171a)와 직교하도록 수직 방향으로 위치되어 웨브(171a)에 연결되고, 상호 간에 마주하면서 평행하도록 위치된다. 여기서, 웨브(171a)는 플랜지(171b)들 사이에 위치되고, 플랜지(171b)들과 조합하여 차단 지주(171)에서 각각 한 쌍의 결합 공간들을 형성할 수 있다.The flanges 171b are made in a pair, each made in a plate shape. The flanges 171b are each positioned in a vertical direction so as to be perpendicular to the web 171a and connected to the web 171a, and are positioned so as to be parallel while facing each other. Here, the web 171a is located between the flanges 171b, and in combination with the flanges 171b, a pair of coupling spaces may be formed in the blocking posts 171, respectively.

차단 몸체(173)는 차단 지주(171)들 사이에 위치되어 차단 지주(171)들 사이를 폐쇄할 수 있다. 여기서, 차단 몸체(173)는 복수 개의 메쉬를 포함하면서 볼트 및 너트의 조합에 의해 차단 지주(171)에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차단 몸체(173)의 양측부는 플랜지(171b)들 사이에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다.The blocking body 173 may be positioned between the blocking posts 171 to close the blocking posts 171. Here, the blocking body 173 may be coupled to the blocking post 171 by a combination of a bolt and a nut while including a plurality of meshes. Here, both sides of the blocking body 173 may be inserted and coupled between the flanges 171b.

설치 몸체(175)는 차단 지주(171)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지면에 삽입되어 수직 방향으로 위치될 수 있다. 또한, 설치 몸체(175)의 상면에는 삽입 공간(175')이 오목하게 형성되고, 삽입 공간(175')에는 차단 지주(171)의 일부(특히, 하단부)가 수직 방향으로 삽입가능하다. 차단 지주(171)는 삽입 공간(175')에 삽입되어 설치 몸체(175)에 의해 지지되고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설치 몸체(175)의 상면은 지면과 동일 평면 상에 위치되거나, 지면보다 상측에 위치될 수 있다.The installation body 175 is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blocking post 171, but may be inserted into the ground and positioned in a vertical direction. In addition, an insertion space 175' is formed in a concave upper surface of the installation body 175, and a part (particularly, a lower end) of the blocking post 171 can be inserted in the vertical direction in the insertion space 175'. The blocking post 171 may be inserted into the insertion space 175 ′ and supported and fixed by the installation body 175. In addition, the upper surface of the installation body 175 may be located on the same plane as the ground, or may be located above the ground.

본 실시예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차단 지주(171)가 H빔의 형태로 이루어진 경우, 삽입 공간(175')은 사각 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As shown in the present embodiment, when the blocking post 171 is made in the form of an H beam, it may be preferable that the insertion space 175 ′ be made in the shape of a square pillar.

또한, 설치 몸체(175)에는 보조 부재(175a)가 설치될 수 있다. 보조 부재(175a)는 복수 개로 이루어지되, 각각 막대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보조 부재(175a)는 설치 몸체(175)의 양측면을 관통하여 설치 몸체(175)에 나사결합될 수 있고, 상호 간에 동일 직선 상에 위치될 수 있다.In addition, an auxiliary member 175a may be installed on the installation body 175. A plurality of auxiliary members 175a may be formed, but each may be formed in a rod shape. The auxiliary members 175a may pass through both side surfaces of the installation body 175 and be screwed to the installation body 175, and may be positioned on the same straight line with each other.

차단 지주(171)가 삽입 공간(175')에 삽입된 상태에서, 보조 부재(175a)는 설치 몸체(175)의 양측면을 관통하여 차단 지주(171)에 접촉되어 차단 지주(171)를 고정시킬 수 있다.In the state where the blocking post 171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space 175', the auxiliary member 175a penetrates both sides of the installation body 175 and contacts the blocking post 171 to fix the blocking post 171. I can.

유도 몸체(177)는 삽입 공간(175')에 상응하는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삽입 공간(175')에 삽입될 수 있다. 또한, 유도 몸체(177)의 상면에는 유도 공간(177')이 오목하게 형성되고, 차단 지주(171)는 유도 공간(177')에 삽입될 수 있다. 유도 몸체(177)에서 유도 공간(177')의 하부는 일정한 횡단면적을 가질 수 있고 유도 공간(177')의 상부는 변형가능한 횡단면적을 가질 수 있다. 유도 몸체(177)가 삽입 공간(175')에 삽입되기 전에는 유도 공간(177')의 상부는 하부보다 큰 단면적을 갖는 반면에, 유도 몸체(177)가 삽입 공간(175')의 바닥면에 접촉되어 완전히 삽입되면, 유도 공간(177')의 상부는 하부와 동일한 횡단면적을 가질 수 있다.The induction body 177 has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insertion space 175 ′, but may be inserted into the insertion space 175 ′. In addition, an induction space 177' is formed concave on the upper surface of the induction body 177, and the blocking post 171 may be inserted into the induction space 177'. In the induction body 177, the lower portion of the induction space 177' may have a constant cross-sectional area, and the upper portion of the induction space 177' may have a deformable cross-sectional area. Before the induction body 177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space 175', the upper portion of the induction space 177' has a larger cross-sectional area than the lower portion, while the induction body 177 is locat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insertion space 175'. When in contact and completely inserted, the upper portion of the induction space 177' may have the same cross-sectional area as the lower portion.

또한, 유도 몸체(177)는 삽입 몸체(177a), 유도 부재(177b), 유도 탄성 부재(177c) 및 고정 탄성 부재(177d)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induction body 177 may include an insertion body 177a, an induction member 177b, an induction elastic member 177c, and a fixed elastic member 177d.

삽입 몸체(177a)는 삽입 공간(175')에 상응하는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삽입 공간(175')에 삽입될 수 있다. 삽입 몸체(177a)의 상면에는 유도 공간(177')이 오목하게 형성되고, 차단 지주(171)는 수직 방향으로 위치되도록 유도 공간(177')에 삽입될 수 있다.The insertion body 177a has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insertion space 175 ′, and may be inserted into the insertion space 175 ′. An induction space 177' is formed concave on the upper surface of the insertion body 177a, and the blocking post 171 may be inserted into the induction space 177' so as to be positioned in a vertical direction.

본 실시예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차단 지주(171)가 H빔의 형태로 이루어지고, 삽입 공간(175')이 사각 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진 경우, 삽입 몸체(177a)는 사각 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유도 공간(177')은 사각 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한편, 삽입 몸체(177a)의 양측면은 보조 부재(175a)에 의해 관통될 수 있다.As shown in the present embodiment, when the blocking post 171 is made in the form of an H-beam, and the insertion space 175' is made in a square column shape, the insertion body 177a is made in a square column shape and is guided. It may be desirable that the space 177' has a rectangular column shape. Meanwhile, both side surfaces of the insertion body 177a may be penetrated by the auxiliary member 175a.

유도 부재(177b)는 복수 개로 이루어지되, 각각 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삽입 몸체(177a)의 상면에서 유도 공간(177') 주위를 따라 위치되고 회동가능하다.The guide member 177b is made of a plurality, each of which has a plate shape, and is located along the guide space 177' on the upper surface of the insertion body 177a and is rotatable.

유도 부재(177b)가 각각 수직 방향으로 위치될 때, 유도 부재(177b)는 상호 간에 접촉가능하도록 위치되면서 삽입 몸체(177a)의 외측면과 동일 평면을 형성하도록 위치될 수 있다. 한편, 유도 부재(177b)가 상호 간에 멀어지도록 기울어질 때, 유도 부재(177b)는 삽입 몸체(177a)의 외측면과 둔각을 형성하도록 위치될 수 있다. 여기서, 유도 부재(177b)들 사이의 횡단면적은 유도 공간(177')의 횡단면적보다 클 수 있다.When the guide members 177b are respectively positioned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guide members 177b may be positioned so as to be in contact with each other and to form the same plane as the outer surface of the insertion body 177a. On the other hand, when the induction member 177b is inclined to move away from each other, the induction member 177b may be positioned to form an obtuse angle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insertion body 177a. Here, the cross-sectional area between the guide members 177b may be larger than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guide space 177'.

삽입 몸체(177a)가 사각 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유도 공간(177')이 사각 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진 경우, 유도 부재(177b)는 4개로 이루어지고, 각각 직사각형 판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When the insertion body 177a is formed in a rectangular column shape and the induction space 177 ′ is formed in a rectangular column shape, the guiding members 177b may be formed in four, and each may be formed in a rectangular plate shape.

유도 탄성 부재(177c)는 삽입 몸체(177a)와 유도 부재(177b) 사이에 위치되어 삽입 몸체(177a)와 유도 부재(177b)를 연결할 수 있다. 여기서, 유도 부재(177b)는 유도 탄성 부재(177c)에 의해 삽입 몸체(177a)의 상면에서 기울어진 상태로 유지되어 상호 간에 멀어진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또한, 유도 부재(177b)들이 상호 간에 근접하도록 회동될 때, 유도 탄성 부재(177c)는 복원력을 축적할 수 있다.The induction elastic member 177c may be positioned between the insertion body 177a and the induction member 177b to connect the insertion body 177a and the induction member 177b. Here, the induction member 177b may be maintained in an inclined state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insertion body 177a by the induction elastic member 177c to be kept in a state away from each other. In addition, when the induction members 177b are rotated to be close to each other, the induction elastic members 177c may accumulate a restoring force.

고정 탄성 부재(177d)는 삽입 몸체(177a)의 양측면 사이의 유도 공간(177')의 내측면에 형성된다. 여기서, 고정 탄성 부재(177d)는 유도 공간(177')의 내측면으로부터 연장되어 유도 공간(177')의 바닥면을 향하도록 구부러진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고정 탄성 부재(177d)는 가압되어 유도 공간(177')의 내측면에 근접하도록 변형될 수 있다. 여기서, 고정 탄성 부재(177d)는 복원력을 축적할 수 있다.The fixing elastic member 177d is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induction space 177' between both side surfaces of the insertion body 177a. Here, the fixed elastic member 177d may be formed in a shape extending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induction space 177' and bent toward the bottom surface of the induction space 177'. The fixing elastic member 177d may be deformed so as to be pressurized and close to the inner surface of the induction space 177'. Here, the fixed elastic member 177d may accumulate a restoring force.

차단 지주(171)가 유도 공간(177')에 삽입될 때, 고정 탄성 부재(177d)는 차단 지주(171)에 접촉되어 유도 공간(177')의 내측면에 근접하도록 변형되면서 차단 지주(171)를 가압할 수 있다. 한편, 차단 지주(171)가 유도 공간(177')으로부터 분리될 때, 고정 탄성 부재(177d)는 유도 공간(177')의 내측면으로부터 멀어지도록 변형되어 원래의 형상으로 복원될 수 있다.When the blocking post 171 is inserted into the induction space 177', the fixing elastic member 177d is in contact with the blocking post 171 and is deformed to be close to the inner surface of the induction space 177' while the blocking post 171 ) Can be pressurized. On the other hand, when the blocking post 171 is separated from the induction space 177', the fixing elastic member 177d may be deformed to move away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induction space 177' to restore its original shape.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유도 몸체(177)는 차단 지주(171)를 삽입 공간(175')에 삽입하는 데에 다음과 같이 이용될 수 있다.The guide body 177 made of the above configuration may be used as follows to insert the blocking post 171 into the insertion space 175'.

유도 부재(177b)가 유도 탄성 부재(177c)에 의해 상호 간에 멀어진 상태에서, 삽입 몸체(177a)는 삽입 공간(175')에 삽입될 수 있다. 여기서, 유도 부재(177b)는 유도 탄성 부재(177c)에 의해 설치 몸체(175)의 상면에 지지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In a state in which the guiding members 177b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by the guiding elastic members 177c, the insertion body 177a may be inserted into the insertion space 175'. Here, the induction member 177b may be maintained in a state suppor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installation body 175 by the induction elastic member 177c.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차단 지주(171)는 유도 부재(177b)들 사이를 통해 유도 공간(177')에 삽입될 수 있다. 여기서, 유도 부재(177b)들은 유도 공간(177')보다 큰 횡단면적을 갖기에, 차단 지주(171)는 보다 용이하게 유도 공간(177')에 삽입될 수 있다.In the above state, the blocking posts 171 may be inserted into the induction space 177' through the induction members 177b. Here, since the guide members 177b have a larger cross-sectional area than the guide space 177', the blocking posts 171 may be more easily inserted into the guide space 177'.

차단 지주(171)가 유도 공간(177')에 삽입되어 하측으로 이동된 상태에서, 차단 지주(171), 특히 차단 지주(171)의 플랜지(171b)들은 고정 탄성 부재(177d)에 접촉되어 고정 탄성 부재(177d)를 유도 공간(177')의 내측면에 근접하도록 변형시킬 수 있다. 또한, 차단 지주(171)는 고정 탄성 부재(177d)들 사이에 위치되어 고정 탄성 부재(177d)에 가압되어 고정될 수 있다.In a state in which the blocking support 171 is inserted into the guide space 177' and moved downward, the blocking support 171, especially the flanges 171b of the blocking support 171, are in contact with the fixed elastic member 177d to be fixed. The elastic member 177d may be deformed to be close to the inner surface of the induction space 177'. In addition, the blocking posts 171 may be positioned between the fixed elastic members 177d and pressed against the fixed elastic members 177d to be fixed.

차단 지주(171)가 유도 공간(177')의 바닥면에 접촉된 이후에, 삽입 몸체(177a)는 차단 지주(171)에 의해 점점 삽입 공간(175')에 삽입되고 유도 부재(177b)도 삽입 공간(175')에 삽입되면서 상호 간에 근접하도록 회동될 수 있다. 삽입 몸체(177a)가 삽입 공간(175')의 바닥면에 접촉되면, 유도 부재(177b)들은 삽입 공간(175')에 완전히 삽입될 수 있고 삽입 공간(175')의 내측면과 평행하면서 수직 방향으로 위치될 수 있다. 여기서, 보조 부재(175a)는 설치 몸체(175) 및 삽입 몸체(177a)의 양측면을 관통하여 차단 지주(171)의 웨브(171a)에 접촉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차단 지주(171)는 고정 탄성 부재(177d) 및 보조 부재(175a)에 의해 유도 공간(177') 및 삽입 공간(175')에 삽입되어 고정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즉, 유도 공간(177')의 횡단면적의 크기를 고려하여 다양한 크기의 차단 지주(171)가 유도 공간(177')에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After the blocking post 171 is in contact with the bottom surface of the guide space 177', the insertion body 177a is gradually inserted into the insertion space 175' by the blocking post 171, and the guide member 177b is also While being inserted into the insertion space 175 ′, they may be rotated to be close to each other. When the insertion body 177a is in contact with the bottom surface of the insertion space 175', the guide members 177b can be completely inserted into the insertion space 175' and are parallel and perpendicular to the inner surface of the insertion space 175'. Can be positioned in any direction. Here, the auxiliary member 175a may pass through both side surfaces of the installation body 175 and the insertion body 177a to contact the web 171a of the blocking support 171. For this reason, the blocking post 171 may be inserted into the guide space 177' and the insertion space 175' by the fixed elastic member 177d and the auxiliary member 175a to be maintained in a fixed state. That is, in consideration of the size of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induction space 177', blocking posts 171 of various sizes may be inserted and fixed in the induction space 177'.

차단부(107)는 차단 지주(171)의 위치에 대응되는 설치 공간(10)에 설치될 수 있다. 설치 공간(10)에는 콘크리트(20)의 타설이 이루어진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콘크리트(20)의 타설 이전에 작업자는 설치 공간(10)에 설치 몸체(175)를 설치할 수 있다. 설치 몸체(175)가 설치된 설치 공간(10)에 콘크리트(20)의 타설이 이루어질 수 있다. 타설된 콘크리트(20)는 설치 몸체(175) 주위에 위치될 수 있고, 양생됨으로써 낙석방지책용 설치 몸체(175)를 더욱더 강하게 지면에 고정시킬 수 있다. 여기서, 보조 부재(175a)는 콘크리트(20)에 대한 보강재로서의 기능을 하고, 양생된 콘크리트(20)와 조합하여 설치 몸체(175)를 고정된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The blocking part 107 may be installed in the installation space 10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of the blocking support 171. It is shown that the concrete 20 is poured into the installation space 10. Before the concrete 20 is poured, the worker may install the installation body 175 in the installation space 10. Concrete 20 may be poured into the installation space 10 in which the installation body 175 is installed. The poured concrete 20 may be located around the installation body 175, and by being cured, the installation body 175 for rockfall prevention measures may be more strongly fixed to the ground. Here, the auxiliary member 175a functions as a reinforcing material for the concrete 20 and may maintain the installation body 175 in a fixed state in combination with the cured concrete 20.

한편, 본 실시예에서 설치 공간(10)에 콘크리트(20)가 타설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토사 등이 공급되어 압축될 수 있다. 압축된 토사가 설치 몸체(175) 주위에 위치될 수 있다. 또한, 설치 몸체(175)의 상면은 삽입 공간(175')을 형성한 상태로 설치 공간(10)의 상면보다 상측에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설치 공간(10)에 토사가 공급되거나 콘크리트(20)가 타설될 때, 토사 또는 콘크리트(20)는 삽입 공간(175')으로 유도되지 않을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although it is shown that the concrete 20 is poured in the installation space 10 in the present embodiment, it is not limited thereto, and soil or the like may be supplied and compressed. The compressed soil may be located around the installation body 175. In addition, it may be preferable that the upper surface of the installation body 175 is positioned above the upper surface of the installation space 10 in a state in which the insertion space 175 ′ is formed. For this reason, when soil is supplied to the installation space 10 or when the concrete 20 is poured, the soil or concrete 20 may not be guided to the insertion space 175'.

본 실시예의 차단부(107)에서 차단 지주(171)는 설치된 상태에 파손되더라도 삽입 공간(175')으로부터 분리되어 해체될 수 있고, 새로운 차단 지주(171)가 삽입 공간(175')에 삽입되어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차단부(107)의 차단 지주(171)는 건설 폐기물과 충돌로 인해 손상되거나 파손된 상태에서 용이하게 유지보수될 수 있어, 차단 지주(171)의 유지보수에 따른 시간 및 비용을 절감할 수 있도록 한다.In the blocking part 107 of this embodiment, the blocking support 171 may be separated from the insertion space 175 ′ and disassembled even if it is damaged in the installed state, and a new blocking support 171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space 175 ′. Can be installed. Therefore, the blocking support 171 of the blocking unit 107 can be easily maintained in a damaged or damaged state due to a collision with construction waste, thus saving time and cost according to the maintenance of the blocking support 171 Make it possible.

이상,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상기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여러 가지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Above,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preferred embodiments, but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mbodiments,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in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Various modifications and changes are possible by the user.

100: 건설 폐기물 처리 장치
101: 공급 이송부
102: 파쇄부
103: 배출 이송부
104: 선별부
105: 보조 파쇄부
106: 보조 이송부
107: 차단부
100: construction waste treatment device
101: supply transfer unit
102: crushing part
103: discharge transfer unit
104: selection unit
105: auxiliary crushing part
106: auxiliary transfer unit
107: blocking portion

Claims (10)

지면에 위치되고, 유입된 건설 폐기물을 일방향을 따라 이송시키는 공급 이송부;
공급 이송부와 연결되고, 공급 이송부로부터 공급된 건설 폐기물을 통과시키면서 소정의 크기로 파쇄하는 파쇄부;
파쇄부와 연결되고, 파쇄부로부터 파쇄된 건설 폐기물을 공급받아 일방향을 따라 이송시키는 배출 이송부;
배출 이송부의 상측에서 일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위치되고, 파쇄된 건설 폐기물에 포함된 금속재를 분리하여 일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이송시키는 선별부; 및
공급 이송부 및 배출 이송부에 대응되면서 공급 이송부 및 배출 이송부로부터 이격되도록 일방향을 따라 상호 간에 이격되고, 각각 수직 방향으로 위치되는 복수 개의 차단 지주와, 차단 지주들 사이에 위치되어 차단 지주들에 연결되어 차단 지주들 사이를 폐쇄할 수 있는 차단 몸체와, 상면에는 차단 지주의 일부가 수직 방향으로 삽입가능한 삽입 공간이 오목하게 형성되면서 지면에 수직 방향으로 삽입된 설치 몸체와, 삽입 공간에 상응하는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삽입 공간에 삽입될 수 있고, 상면에는 차단 지주가 삽입될 수 있는 유도 공간이 형성된 유도 몸체를 포함하는 차단부를 포함하되,
유도 몸체는,
삽입 공간에 상응하는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상면에는 유도 공간이 오목하게 형성된 삽입 몸체;
각각 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삽입 몸체의 상면에서 유도 공간 주위를 따라 위치되고 회동가능하여, 상호 간에 접촉가능하도록 위치되어 삽입 몸체의 외측면과 동일 평면을 형성하거나, 상호 간에 멀어지도록 기울어져 삽입 몸체의 외측면과 둔각을 형성하는 복수 개의 유도 부재; 및
삽입 몸체와 유도 부재 사이에 위치되어 삽입 몸체와 유도 부재를 연결하고, 유도 부재를 상호 간에 멀어진 상태로 삽입 몸체의 상면에 기울어지도록 하는 유도 탄성 부재를 포함하고,
유도 부재가 유도 탄성 부재에 의해 상호 간에 멀어진 상태에서, 삽입 몸체는 삽입 공간에 삽입되면, 유도 부재는 설치 몸체의 상면에 지지되고,
차단 지주는 유도 부재들 사이를 통해 유도 공간에 삽입되어, 삽입 몸체는 삽입 공간의 바닥면에 접촉되도록 삽입 공간에 삽입되고, 유도 부재는 상호 간에 근접하도록 회동되면서 삽입 공간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 폐기물 처리 장치.
A supply transfer unit located on the ground and transferring the introduced construction waste along one direction;
A crushing unit connected to the supply and transfer unit and crushed to a predetermined size while passing the construction waste supplied from the supply and transfer unit;
A discharge transfer unit connected to the crushing unit and receiving the construction waste crushed from the crushing unit and transferring it along one direction;
A sorting unit positioned in a direction crossing one direction from the upper side of the discharge transfer unit, separating the metal material contained in the crushed construction waste and transferring it in a direction crossing the one direction; And
Corresponding to the supply transfer unit and the discharge transfer unit, they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along one direction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the supply transfer unit and the discharge transfer unit, and a plurality of blocking posts positioned in the vertical direction, respectively, are located between the blocking posts and connected to the blocking posts to block It consists of a blocking body that can close between the posts, and an installation body inserted in a vertical direction on the ground with a concave insertion space in which a part of the blocking posts can be inserted in the vertical direction on the upper surface, and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insertion space. But, it may be inserted into the insertion space, and includes a blocking portion including an induction body formed with an induction space in which the blocking support can be inserted on the upper surface,
The induction body,
An insertion body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insertion space, and an induction space formed concave on the upper surface;
Each consists of a plate shape, but is located along the guide space around the upper surface of the insertion body and is rotatable, so that it is positioned to contact each other to form the same plane as the outer surface of the insertion body, or the insertion body is inclined away from each other. A plurality of guiding members forming an obtuse angle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And
It includes an induction elastic member positioned between the insertion body and the induction member to connect the insertion body and the induction member, and to tilt the induction member away from each other to the upper surface of the insertion body,
In a state where the guiding members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by the guiding elastic member, when the insertion body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space, the guiding member is suppor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installation body,
The blocking post is inserted into the guide space through the guide members, the inserting body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space so as to contact the bottom surface of the insertion space, and the guide members are inserted into the insertion space while being rotated to be close to each other. Construction waste treatment device.
제1항에 있어서,
파쇄부에는 파쇄 유도 개구가 상하 방향으로 관통 형성되고,
파쇄부는,
파쇄 유도 개구의 내측면에서 공급 이송부에 대응하도록 위치되고, 각각 상하방향으로 볼록하게 형성된 복수 개의 파쇄 유도 돌기; 및
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파쇄 유도 돌기와 마주하도록 파쇄 유도 개구의 내측면에 위치되고, 상단부가 파쇄 유도 개구의 내측면에서 회전가능하도록 위치되는 파쇄 몸체를 포함하되,
건설 폐기물이 파쇄 유도 개구에 유입될 때, 파쇄 몸체의 상단부가 회전하고, 파쇄 몸체의 하단은 파쇄 유도 돌기에 근접하거나, 파쇄 유도 돌기로부터 이격되도록 이동되어, 건설 폐기물은 파쇄 몸체에 의해 파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 폐기물 처리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A crushing guide opening is formed through the crushing portion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crushed part,
A plurality of crushing guidance protrusions positioned so as to correspond to the feeding and conveying portions on the inner side of the crushing guidance opening, and each formed to be convex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It is made in a plate shape, and is locat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crushing guide opening so as to face the crushing guide protrusion, and includes a crushing body positioned so that the upper end is rotatable at the inner surface of the crushing guide opening,
When the construction waste flows into the crushing guide opening, the upper end of the crushing body rotates, and the lower end of the crushing body is moved to be close to the crushing guide protrusion or away from the crushing guide protrusion, so that the construction waste is crushed by the crushing body. Construction waste treatment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제2항에 있어서,
파쇄 유도 개구의 하면은 배출 이송부의 상면에 대응하도록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 폐기물 처리 장치.
The method of claim 2,
Construction waste treatment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the lower surface of the crushing guide opening is positioned to correspon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discharge conveying unit.
제1항에 있어서,
선별부는 전자석 및 감지 센서를 포함하는 컨베이어 벨트 형태로 이루어지되,
선별부는 배출 이송부에 대응되는 부분에 대하여 자성을 갖고 배출 이송부에 대응되지 않는 부분에 대하여 자성을 갖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 폐기물 처리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sorting unit is made in the form of a conveyor belt including an electromagnet and a detection sensor,
A construction waste treatment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the sorting unit has magnetic properties for a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discharge transfer unit and does not have magnetism for a portion not corresponding to the discharge transfer unit.
제1항에 있어서, 건설 폐기물 처리 장치는,
배출 이송부와 연결되고, 배출 이송부로부터 파쇄된 건설 폐기물을 공급받아 통과시키면서 소정의 크기보다 작게 파쇄하는 보조 파쇄부; 및
보조 파쇄부와 연결되고, 보조 파쇄부로부터 소정의 크기보다 작게 파쇄된 건설 폐기물을 공급받아 일방향을 따라 이송시키는 보조 이송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 폐기물 처리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construction waste treatment device,
An auxiliary crushing unit connected to the discharge conveying unit and crushing smaller than a predetermined size while receiving and passing the crushed construction waste from the discharge conveying unit; And
A construction waste treatment apparatus comprising an auxiliary conveying unit connected to the auxiliary crushing unit and receiving the construction waste crushed smaller than a predetermined size from the auxiliary crushing unit and transferring it along one direction.
제5항에 있어서,
배출 이송부 및 보조 이송부의 하측에는 일방향을 따라 배출 이송부의 폭 및 보조 이송부의 폭보다 큰 폭을 갖는 보호부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 폐기물 처리 장치.
The method of claim 5,
Construction waste treatment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a protection unit having a width greater than the width of the discharge transfer unit and the width of the auxiliary transfer unit is installed below the discharge transfer unit and the auxiliary transfer unit.
제5항에 있어서,
차단 지주는 보조 이송부에 대응되면서 보조 이송부로부터 이격되도록 일방향을 따라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 폐기물 처리 장치.
The method of claim 5,
Blocking post is a construction waste treatment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positioned along one direction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the auxiliary transfer unit while corresponding to the auxiliary transfer unit.
제1항에 있어서,
설치 몸체는 설치 몸체 주위에 토사가 공급되어 압축되거나, 콘크리트가 타설된 상태로 지면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 폐기물 처리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installation body is a construction waste treatment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soil and sand are supplied around the installation body and compressed, or inserted into the ground in a state in which concrete is poured.
제1항에 있어서,
삽입 몸체가 삽입 공간의 바닥면에 접촉된 상태에서, 보조 부재는 설치 몸체의 양측면 및 삽입 몸체의 양측면을 관통하여 설치 몸체에 나사결합되고 차단 지주에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 폐기물 처리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In a state in which the insertion body is in contact with the bottom surface of the insertion space, the auxiliary member is screwed to the installation body through both side surfaces of the installation body and both side surfaces of the insertion body, and is in contact with the blocking post.
제1항에 있어서, 유도 몸체는,
삽입 몸체의 양측면 사이의 유도 공간의 내측면으로부터 연장되어 유도 공간의 바닥면을 향하도록 구부러지고, 유도 공간의 내측면에 근접되도록 변형되면서 복원력을 축적하는 고정 탄성 부재를 더 포함하되,
차단 지주가 유도 공간에 삽입될 때, 고정 탄성 부재는 차단 지주에 접촉되어 유도 공간의 내측면에 근접하도록 변형되면서 차단 지주를 가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 폐기물 처리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induction body,
Further comprising a fixed elastic member extending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induction space between both side surfaces of the insertion body and bent toward the bottom surface of the induction space, and accumulating a restoring force while being deformed to be close to the inner surface of the induction space,
When the blocking post is inserted into the guide space, the fixing elastic member is in contact with the blocking post and deformed to be close to the inner surface of the guide space, and presses the blocking post.
KR1020200114664A 2020-09-08 2020-09-08 Apparatus for treating construction waste KR10219612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4664A KR102196126B1 (en) 2020-09-08 2020-09-08 Apparatus for treating construction wast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4664A KR102196126B1 (en) 2020-09-08 2020-09-08 Apparatus for treating construction wast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96126B1 true KR102196126B1 (en) 2020-12-29

Family

ID=740904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14664A KR102196126B1 (en) 2020-09-08 2020-09-08 Apparatus for treating construction wast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96126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445747A (en) * 2022-09-09 2022-12-09 江苏顺通建设集团有限公司 Building rubbish breaker for building engineering
CN116550468A (en) * 2023-07-07 2023-08-08 赣州金环磁选科技装备股份有限公司 Magnetic separation equipment with gradient structur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44896Y1 (en) * 2001-06-12 2001-10-17 (주)수도권환경 Blowing system for intercepting scattering dust and construction waste recycling system using the same
KR101240171B1 (en) * 2010-11-26 2013-03-07 한국건설기술연구원 A Fence For Preventing Rock-Falling And Method For It
KR101762405B1 (en) * 2016-12-22 2017-07-27 (주)한국샌드플랜트 Recycled aggregate manufacturing method
KR102124772B1 (en) * 2019-08-19 2020-06-23 민경기술 주식회사 Self-supporting retaining wall and construction method using it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44896Y1 (en) * 2001-06-12 2001-10-17 (주)수도권환경 Blowing system for intercepting scattering dust and construction waste recycling system using the same
KR101240171B1 (en) * 2010-11-26 2013-03-07 한국건설기술연구원 A Fence For Preventing Rock-Falling And Method For It
KR101762405B1 (en) * 2016-12-22 2017-07-27 (주)한국샌드플랜트 Recycled aggregate manufacturing method
KR102124772B1 (en) * 2019-08-19 2020-06-23 민경기술 주식회사 Self-supporting retaining wall and construction method using it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445747A (en) * 2022-09-09 2022-12-09 江苏顺通建设集团有限公司 Building rubbish breaker for building engineering
CN116550468A (en) * 2023-07-07 2023-08-08 赣州金环磁选科技装备股份有限公司 Magnetic separation equipment with gradient structure
CN116550468B (en) * 2023-07-07 2023-09-01 赣州金环磁选科技装备股份有限公司 Magnetic separation equipment with gradient structur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96126B1 (en) Apparatus for treating construction waste
US20050196238A1 (en) Sewer grate locking mechanism and method of installing same
US20090014973A1 (en) Movable Support for a Waste Container
KR101787091B1 (en) Ready-mixed concrete manufacturing method using recycled coarse aggregate and recycled fine aggregate
KR20080069740A (en) Backfilling apparatus for wale
CN1111634C (en) Drop delivery chute
KR100436545B1 (en) Apparatus for separating rejuvenating aggregate from construction waste articles
Bedair Design of mobile facilities used in surface mining projects
KR20070119212A (en) Jaw crusher having shock absorber
KR19990017560A (en) Construction Waste Recycling Process
CN205677269U (en) Frontier defense protection unit is faced in a kind of pin-connected panel sizing
KR100463447B1 (en) A sectional conveyer belt for crushed construction waste
EP3354357A1 (en) Mobile aggregate processing plant
KR20220045526A (en) Apparatus for Recycling of Concrete Scrapped Material including Waste Wood
JP2000024534A (en) Concrete column crushing machine
KR0118267Y1 (en) Wet separation device for constructional waste
KR100259394B1 (en) Screw type stiffener for wale
KR100766319B1 (en) Anti-lumping apparatus of circulation aggregate of construction waste by triangular array of free swing roller device and method thereof
KR100650173B1 (en) Apparatus for dividing aggregate to two-way
CN111877192A (en) Method for dismantling and recycling bridge hollow slab
KR100488168B1 (en) disposal device and method of building-waste matter
KR200204210Y1 (en) Separation apparatus for reproducing used-aggregate
KR100320094B1 (en) Field treatment method wastes of reconstruction,redeveloping
KR200370343Y1 (en) Variable horizontal support for mold installation
CN219972856U (en) Asphalt pavement reclaimed material feeding pretreatment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