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95830B1 - 블록체인 기반의 보안이 강화된 암호화폐 시스템 - Google Patents

블록체인 기반의 보안이 강화된 암호화폐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95830B1
KR102195830B1 KR1020190003663A KR20190003663A KR102195830B1 KR 102195830 B1 KR102195830 B1 KR 102195830B1 KR 1020190003663 A KR1020190003663 A KR 1020190003663A KR 20190003663 A KR20190003663 A KR 20190003663A KR 102195830 B1 KR102195830 B1 KR 1021958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ryptocurrency
transaction
exchange
blockchain
publ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036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87418A (ko
Inventor
백창우
변시섭
Original Assignee
(주)헬스허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헬스허브 filed Critical (주)헬스허브
Priority to KR10201900036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95830B1/ko
Publication of KR202000874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874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958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958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4Payment circuits
    • G06Q20/06Private payment circuits, e.g. involving electronic currency used among participants of a common payment scheme
    • G06Q20/065Private payment circuits, e.g. involving electronic currency used among participants of a common payment scheme using e-cash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8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 G06Q20/381Currency convers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8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 G06Q20/382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insuring higher security of transa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06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the encryption apparatus using shift registers or memories for block-wise or stream coding, e.g. DES systems or RC4; Hash functions; Pseudorandom sequence generat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209/00Additional information or applications relating to 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 H04L9/00
    • H04L2209/56Financial cryptography, e.g. electronic payment or e-cash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ina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conom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Financial Or Insurance-Related Operations Such As Payment And Settle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블록체인 기반의 보안이 강화된 암호화폐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블록체인 기반의 암호화폐 시스템에서 암호화폐의 거래를 추적하여 개인을 특정할 수 없어 익명성이 보장되도록 함으로써, 안전하게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블록체인 기반의 보안이 강화된 암호화폐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블록체인 기반의 보안이 강화된 암호화폐 시스템{SYSTEM FOR SECURITY ENFORCED CRYPTO CURRENCY BASED ON BLOCK CHAIN}
본 발명은 블록체인 기반의 보안이 강화된 암호화폐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블록체인 기반의 암호화폐 시스템에서 암호화폐의 거래를 추적하여 개인을 특정할 수 없어 익명성이 보장되도록 함으로써, 안전하게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블록체인 기반의 보안이 강화된 암호화폐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블록체인 기반 암호화폐의 개념이 확산되고, 실제 활용처가 늘어나면서 다양한 서비스를 암호화폐를 통해 이용할 수 있게 되었다.
암호화폐(crypto currency)는 블록체인(blockchain) 기술로 암호화(예, 해시(hash))되어 분산 발행되고 네트워크상에서 화폐로 사용할 수 있는 전자정보이며, 인터넷상에서 P2P(Peer-to-Peer) 방식으로 분산 저장되어 운영ㅇ관리되며, 분산 거래장부(distributed ledger)로 기능하는 것이다.
즉, 블록체인은 암호화폐 거래 등에서 사용되는 디지털화, 탈중앙화된 공개 장부다. 각 블록에는 일정 시간 동안 확정된 거래 내역이 담기고 이 블록은 네트워크에 있는 모든 참여자에게 전송되어 참여자들이 중앙 장부 없이 디지털 화폐 거래를 추적할 수 있다.
암호화폐는 원래 재화교환의 매체, 즉 일종의 지급수단으로 고안된 것이지만, 현재는 액면가가 없고 투자의 목적이 되어 거래소를 통하여 시장의 수급에 따라 형성되는 가격으로 거래되기에 이르렀다. 따라서 암호화폐에 투자하면 소득 또는 손실이 발생하게 된다.
블록체인에는 누구나 거래 당사자로 참여할 수 있는 퍼블릭 블록체인(public blockchain), 한 명의 관리자가 모든 결정을 내리고, 금융기관에서 주로 사용하는 방법인 프라이빗 블록체인(private blockchain) 및 다수의 관리자가 존재해 모든 결정이 노드의 합의에 따라 이루어지는 컨소시엄 블록체인(consortium blockchain) 등이 있다.
기존 블록체인인 퍼블릭 블록체인이 가지는 한계점을 보완하기 위해 컨소시엄 블록체인과 프라이빗 블록체인이 등장하였다. 따라서 서비스 안정성을 중시한다면 프라이빗 블록체인을, 신뢰성을 중시한다면 퍼블릭 블록체인을 이용하면 유리하다.
이와 더불어 사이드 체인(side chain)이 있는데, 컨소시엄 블록체인과 프라이빗 블록체인이 기존 블록체인을 대체하기 위한 체인이라면, 사이드 체인은 블록체인 플랫폼 활성화를 위해 각기 다른 기능을 가진 블록체인들의 리소스를 활용할 수 있는 블록체인 간의 상호운용성을 확보하는 기술이다.
특히, 비트코인(bitcoin)은 지폐나 동전과 달리 물리적인 형태가 없는 온라인 가상화폐(디지털 통화)를 말한다. 중앙집중적 권력의 개입 없이 작동하는 새로운 화폐를 창출하기 위해 만들어졌으며 은행을 거치지 않고 개인과 개인이 직접 돈을 주고받을 수 있도록 분산화된 거래장부인 블록체인 기술을 도입했다.
비트코인은 익명으로 거래되며, 컴퓨터가 인터넷에 연결만 되면 누구나 비트코인 계좌를 개설할 수 있다. 이렇듯 비트코인은 익명의 통화라고 믿고 있으나, 이는 부분적으로는 맞지만, 어떻게 보면 아니기도 하다. 실제로 익명이 아닌 익명성을 지닌 것이다. 모든 비트코인 거래는 거래자에 대한 정보가 포함되어 있지 않지만, 거래 기록 자체는 블록체인에 기록되어 공개된다.
물론, 비트코인의 최종 목적은 이상적으로는 완전하게 분산화되어 있고, 익명성을 보장하는 글로벌한 금융시스템을 만드는 것이므로, 사용자의 데이터를 공개하지 않는 구조를 가지고 있지만, 주의하지 않고 쓰면 개인을 특정할 수 있고, 이로 인해서 개인정보가 공개될 수 있다.
금전적인 이득을 취하거나 개인정보를 받는 대가로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업과는 달리, 비트코인은 금전적인 이득을 목표로 하지 않기 때문에 개인정보 없이도 잘 작동할 수 있지만, 실제로 익명인지 살펴보면, 비트코인은 개인과 공개된 주소를 연결 지을 수만 있으면 자산의 추적이 가능하다. 이런 방식으로 블록체인을 이용하면 그 사용자가 참여한 모든 거래 내역을 확인 할 수가 있다.
블록체인에 보관되어 있는 데이터를 보면, 거래의 시작주소, 목표주소, 보내는 개수와 날짜 정보 등을 확인할 수가 있다. 이 주소의 주인이 누구인지 어디에도 그 정보는 없으며, 실제로 주소는 주인에 대한 정보를 보관하고 있지 않다. 그러나 실제 거래 추적이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블록체인이 품고 있는 비밀들이 풀리게 된다. 이는 비트코인을 이용하여 지불을 할 때, 거래자가 정체를 굳이 밝히지 않더라도 블록체인에서 돈의 흐름을 추적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컴퓨터 또는 휴대기기가 지불을 할 때, 거래자가 사용하는 하드웨어의 IP 주소와 같은 개인정보를 기록한다. 실제 기업은 오래시간동안 일반적인 네트워크를 오고가는 비트코인 전송기록을 보고 관련된 IP를 저장하고 있을 수 있다. 따라서 네트워크를 오가는 비트코인 전송기록을 보고 거래자가 사용하는 하드웨어의 IP 주소를 알아내고, 이로부터 거래자의 개인정보를 더욱 상세하게 추적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2개 이상의 암호화폐를 사용하여, 이들 암호화폐를 추적하여 개인을 특정할 수 없는 형태의 거래로 교환하고자 한다. 즉, 퍼블릭(public) 암호화폐를 동일한 가치를 가지고 복수의 참여자가 동시에 참여하는 화폐의 풀(pool)인 인터널(internal) 암호화폐를 만들어 환전하고, 민감한 서비스의 경우 인터널 암호화폐로 거래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누군가가 암호화폐의 계좌를 추적하여 개인을 특정할 수 없도록 하여 익명성을 보장하는 암호화폐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 존재하는 선행기술에 대하여 간단하게 설명하고, 이어서 본 발명이 상기 선행기술에 비해서 차별적으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사항에 대해서 기술하고자 한다.
미국공개특허 US 2018/0307859 A1호(2018.10.25.)는 탈중앙화된 시스템에서 중앙집중화된 프라이버시(privacy) 제어를 강화하는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블록체인과 같은 분산원장 데이터 구조에서 데이터 주체와 관련된 데이터가 사용 및 저장되어 있는 곳에서, 데이터 프라이버시/익명성 및 데이터 값 모두를 개선하기 위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상기 선행기술은 권한이 없는 자들에 의한 재식별과 위험을 최소화한다. 또한 데이터 주체와 관련된 유사 식별자를 포함한 데이터가 권한이 부여된 자의 목적, 기간, 장소 및 특정 데이터 값의 난독화(obfuscation)를 통한 다른 수준과 관련한 데이터에만 액세스 권한을 부여함으로써 권한이 부여된 자에게 공개되도록 한다. 특히 블록체인에 정보를 기록하기 전에 해체(disassociation), 교체(replace) 등으로 변경한 후, 기록하여 블록체인 상에서 데이터를 읽어도 명확히 그 뜻을 알지 못하게 하는 일종의 프록시(proxy)를 통한 기술이므로, 대신 쿼리(query)시에는 적법한 인증을 통과한 경우 블록체인에서 값을 꺼내올 때 다시 이 프록시를 거치면서 일종의 복호화가 진행되어 원본을 가져올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선행기술에서 제시하고 있는 기술은 트랜잭션 데이터의 분산된 저장소에 대한 블록체인 및 기타 분산원장 기술에 의해 요구되는 불변성, 감사 가능성 및 검증을 여전히 만족하면서 어떤 수준의 개인 정보보호 및 익명성을 유지한다.
한편, 한국등록특허 KR 1833323호(2018.02.22.)는 블록체인을 이용한 의사 표시 확인 방법에 대한 것으로서, 좀 더 구체적으로는 익명성이 보장되고 시빌 공격(Sybil Attack)을 방지할 수 있는 의사 표시 확인 방법에 대한 것이다. 시빌 공격을 막기 위해서는 참여자의 고유성을 보장할 수 있어야 하고, 결국 민감한 개인정보 가 수집되고 저장되어야 한다. 이는 사용자의 프라이버시와 익명성을 훼손하고, 오히려 자유로운 의사 표시가 제한될 수 있다. 암호화된 상태에서 계산이 가능한 동형암호를 적용함으로써 사용자의 고유성과 익명성을 동시에 보장할 수 있다. 본 선행기술은 온라인 의사 표시 확인 방법의 장점을 유지하면서, 위조, 변조, 강압에 의한 의사 표시 등 온라인 의사 표시 방법의 단점을 극복하고, 익명성을 보장하면서 시빌 공격을 원천적으로 차단하고, 참여자가 자신의 의사가 결과에 제대로 반영되었는지 확인이 가능한 의사 표시 확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반면에 본 발명에서 제시하는 기술은 블록체인과 관련한 데이터가 공개되어 암호화폐를 추적하더라도 실제 해당 암호화폐가 누구의 것인지 특정할 수 없도록 하는 것이다. 즉, 블록체인에 저장되는 정보 자체를 변경하는 것이 아니고 엔티티(entity)를 식별할 수 있는 식별자(전자지갑)를 2개 이상으로 만들어 외부 사용으로 인해 노출될 가능성이 있는 식별자와 실제 서비스 이용 식별자를 구분하고 이들 사이의 거래를 추적할 수 없도록 해서 거래에서 개인을 특정할 수 없도록 하는 기술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제시하는 기술은 상기 선행기술에서 제시하고 있는 액세스 권한을 강화하여 익명성을 보장하고자 하는 것과 접근 방법이 근본적으로 상이하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작된 것으로서, 블록체인 기반의 암호화폐 시스템에서 암호화폐의 거래를 추적하여 개인을 특정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거하여 익명성을 보장함으로써, 안전하게 암호화폐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블록체인 기반의 보안이 강화된 암호화폐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통상의 퍼블릭 암호화폐를 인터널 암호화폐로 환전하되, 상기 인터널 암호화폐로의 환전은 한 번에 다수를 참여시키고, 상기 퍼블릭 암호화폐와 상기 인터널 암호화폐 간은 동일한 환율로 환전하도록 함으로써 보안이 강화된 암호화폐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복수의 참여자가 공통의 인터널 암화화폐를 사용하여 거래하기 때문에 상기 암호화폐의 거래를 추적하여 개인을 특정할 수 없도록 함으로써, 개인의 익명성을 보장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암호화폐의 환전 요청이 추가로 있을 때까지 이전의 환전 요청을 지연시키거나, 암호화폐를 통한 특정 서비스 제공자나 거래 당사자를 포함한 참여자의 가상계좌를 참여시킴으로써, 한 번의 환전 거래에 복수의 참여자 전체가 동일한 금액으로 환전하도록 하고, 참여자마다 서로 다른 금액의 환전을 요청하는 경우, 환전 거래를 복수 회 나누어서 분산시킴으로써, 블록체인 기반의 보안이 강화된 암호화폐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의료 서비스를 이용하고 암호화폐로 대금을 지불하는 것과 같이 개인의 익명성을 보장하는 것이 요구되는 경우, 암호화폐의 사용을 추적하여 개인을 특정할 수 없도록 함으로써, 보안이 강화된 암호화폐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의 보안이 강화된 암호화폐 시스템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클라이언트에서 생성한 트랜잭션을 수신하여 상기 트랜잭션을 인접한 노드와 공유하는 블록체인 노드 및 상기 블록체인 노드에서 공유한 트랜잭션을 모아 블록을 생성하고, 상기 생성한 블록에 포함된 트랜잭션을 적용하여 잔액장부를 갱신하며, 상기 생성한 블록을 다른 노드에 전파하는 블록생성노드를 포함하며, 상기 트랜잭션은, 특정 암호화폐를 다른 암호화폐로 환전하는 것을 포함하며, 상기 암호화폐의 거래를 추적하여 개인을 특정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거하여 익명성을 보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암호화폐 시스템은, 복수의 참여자에 대해 각자의 퍼블릭 암호화폐를 상기 참여자 각 개인을 특정할 수 없는 인터널 암호화폐로 환전하는 환전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환전부는, 상기 퍼블릭 암호화폐의 환전 요청이 추가로 있을 때까지 이전의 퍼블릭 암호화폐의 환전 요청을 지연시키거나, 암호화폐를 통한 특정 서비스 제공자나 거래 당사자를 포함한 참여자의 가상계좌를 참여시킴으로써, 한 번의 환전 거래에 복수의 참여자 전체가 동일한 금액으로 환전하도록 하고, 참여자마다 서로 다른 금액의 환전을 요청하는 경우, 환전 거래를 복수 회 나누어서 분산시켜 수행하도록 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블록체인 기반의 보안이 강화된 암호화폐 시스템은 인터널 암호화폐를 퍼블릭 암호화폐로 역환전하는 역환전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역환전부는, 클라이언트가 인터널 암호화폐만 구비하고 있을 경우, 퍼블릭 암호화폐로 트랜잭션을 수행하도록 인터널 암호화폐를 퍼블릭 암호화폐로 역환전하는 것을 지원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 암호화폐 시스템의 보안을 강화하는 방법은, 특정 클라이언트에서 암호화폐 환전 트랜잭션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클라이언트에 접속된 노드에 상기 환전 트랜잭션을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접속된 노드에서 상기 환전 트랜잭션을 블록생성노드를 포함한 다른 노드와 공유하는 단계; 상기 블록생성노드에서 상기 암호화폐 환전 트랜잭션을 모아서 블록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생성한 블록에 환전 트랜잭션을 적용한 잔액장부를 갱신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한 블록을 상기 노드에 전파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환전 트랜잭션은, 복수의 참여자에 대해 각자의 퍼블릭 암호화폐를 상기 참여자 각 개인을 특정할 수 없는 인터널 암호화폐로 환전하는 것을 포함하며, 상기 환전은, 상기 퍼블릭 암호화폐의 환전 요청이 추가로 있을 때까지 이전의 퍼블릭 암호화폐의 환전 요청을 지연시키거나, 암호화폐를 통한 특정 서비스 제공자나 거래 당사자를 포함한 참여자의 가상계좌를 참여시킴으로써, 한 번의 환전 거래에 복수의 참여자 전체가 동일한 금액으로 환전하도록 하고, 참여자마다 서로 다른 금액의 환전을 요청하는 경우, 환전 거래를 복수 회 나누어서 분산시켜 수행하도록 하는 것을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블록체인 기반 암호화폐 시스템의 보안을 강화하는 방법은, 상기 노드가 상기 생성한 블록을 공유하고 갱신된 블록체인 환전 트랜잭션을 보관하는 단계; 및 상기 클라이언트에 상기 환전 트랜잭션과 관련한 잔액장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 암호화폐 시스템의 보안을 강화하는 방법은, 특정 클라이언트에서 암호화폐 트랜잭션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클라이언트에 접속된 노드에 상기 트랜잭션을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접속된 노드에서 상기 트랜잭션을 블록생성노드를 포함한 다른 노드와 공유하는 단계; 및 상기 트랜잭션을 수행하기 위해 환전이 필요한 경우, 해당 클라이언트의 전자지갑에서 인터널 암호화폐를 퍼블릭 암호화폐로 역환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블록체인 기반 암호화폐 시스템의 보안을 강화하는 방법은, 상기 노드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암호화폐 트랜잭션을 모아서 블록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생성한 블록에 상기 트랜잭션을 적용한 잔액장부를 갱신하고, 상기 생성한 블록을 다른 노드에 전파하는 단계; 상기 노드는 상기 생성한 블록을 공유하고 블록체인 트랜잭션을 보관하는 단계; 및 상기 클라이언트에 상기 환전 트랜잭션과 관련한 잔액장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블록체인 기반의 보안이 강화된 암호화폐 시스템은 암호화폐의 거래를 추적하여 개인을 특정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거하여 익명성을 보장함으로써, 안전하게 암호화폐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의료 서비스를 이용하고 암호화폐로 대금을 지불하는 것과 같이 개인의 익명성을 보장하는 것이 요구되는 경우, 암호화폐의 사용을 추적하여 개인을 특정할 수 없기 때문에 보안이 강화된 암호화폐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의 보안이 강화된 암호화폐 시스템에 대한 구성과 환전절차를 보인 다이어그램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복수의 참여자가 서로 다른 금액을 환전하고자 하는 경우에 대한 처리흐름을 나타낸 다이어그램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각 블록체인 노드에서 퍼블릭 암호화폐가 인터널 암호화폐로 환전되어, 해당 블록체인 트랜잭션이 이동하는 과정을 나타낸 다이어그램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퍼블릭 암호화폐와 인터널 암호화폐의 환전 트랜잭션을 처리하는 각 노드의 구성을 보인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의 보안이 강화된 암호화폐 시스템에서 퍼블릭 암호화폐를 인터널 암호화폐로 환전하는 과정을 보인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의 보안이 강화된 암호화폐 시스템에서 암호화폐 트랜잭션의 처리 과정을 보인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블록체인 기반의 보안이 강화된 암호화폐 시스템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의 보안이 강화된 암호화폐 시스템에 대한 구성과 환전절차를 보인 다이어그램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의 보안이 강화된 암호화폐 시스템은 복수의 노드(100)와 각 노드에 접속할 수 있는 클라이언트(200)로 구성된다.
예를 들어, ① 클라이언트(C1)(200)에서 퍼블릭(public) 암호화폐를 인터널(internal) 암호화폐로 환전하는 트랜잭션을 생성하고, ② 클라이언트(C1)(200)는 자신의 비밀키로 암호화하여 해당 노드에 상기 환전 트랜잭션을 전송한다. ③ 상기 전송한 환전 트랜잭션은 분산 네트워크 노드(100)들에 공유된다. ④ 상기 공유된 환전 트랜잭션은 블록생성노드(100)에서 모두 모아서 블록을 생성한다. 이때 퍼블릭 암호화폐를 인터널 암호화폐로 교환하여 환전하는 것은 한 번에 다수의 참여자를 참여시켜 한 번의 환전 거래를 통해서 참여자 전체가 동일한 금액으로 환전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서 암호화폐의 환전 요청이 추가로 있을 때까지 이전의 환전 요청을 지연시키거나, 암호화폐를 통한 특정 서비스 제공자나 거래 당사자를 포함한 참여자의 가상계좌를 참여시킴으로써, 한 번의 환전 거래에 복수의 참여자 전체가 동일한 금액으로 환전하도록 하고, 참여자마다 서로 다른 금액의 환전을 요청하는 경우, 환전 거래를 복수 회 나누어서 분산시켜 수행할 수 있다. ⑤ 다음으로 블록생성노드에서는 상기 생성한 블록의 트랜잭션을 적용하여 잔액장부를 갱신한다. ⑥ 이어서 블록생성노드는 갱신된 블록을 각 노드에 전파한다. ⑦ 각 노드는 상기 전파된 블록을 공유한다. 이로써 각 참여자는 클라이언트(C1, C2)를 통해서 해당 트랜잭션의 결과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모든 노드가 블록생성노드가 될 수도 있고, 일부 노드만 블록생성을 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암호화폐의 거래를 추적하여 개인을 특정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거하여 익명성을 보장함으로써, 안전하게 암호화폐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블록체인 기반의 보안이 강화된 암호화폐 시스템을 제공한다. 즉, 본 발명은 복수의 참여자가 공통의 인터널 암화화폐를 사용하여 거래하기 때문에 상기 암호화폐의 거래를 추적하여 개인을 특정할 수 없도록 함으로써, 개인의 익명성을 보장한다.
본 발명은 통상의 퍼블릭 암호화폐를 인터널 암호화폐로 환전하되, 상기 인터널 암호화폐로의 환전은 한 번에 다수를 참여시키고, 상기 퍼블릭 암호화폐와 상기 인터널 암호화폐 간은 동일한 환율로 환전하도록 함으로써 보안이 강화된 암호화폐 시스템을 제공한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암호화폐의 환전 요청이 추가로 있을 때까지 이전의 환전 요청을 지연시키거나, 암호화폐를 통한 특정 서비스 제공자나 거래 당사자를 포함한 참여자의 가상계좌를 참여시킴으로써, 한 번의 환전 거래에 복수의 참여자 전체가 동일한 금액으로 환전하도록 하고, 참여자마다 서로 다른 금액의 환전을 요청하는 경우, 환전 거래를 복수 회 나누어서 분산시켜 수행하도록 한다.
그 결과 본 발명은 의료 서비스를 이용하고 암호화폐로 대금을 지불하는 것과 같이 개인의 익명성을 보장하는 것이 요구되는 경우, 암호화폐의 사용을 추적하여 개인을 특정할 수 없기 때문에, 익명성이 보장되어 보안이 강화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복수의 참여자가 서로 다른 금액을 환전하고자 하는 경우에 대한 처리흐름을 나타낸 다이어그램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의 암호화폐, A, B 간의 환전하는 예를 보인 것이다. 2개의 암호화폐 사이에 환전을 요청하는 사용자가 P1 ~ P5라면 이들은 모두 암호화폐 A용 계좌와 암호화폐 B용 계좌를 보유하고 있어야 한다. 예를 들어, P1: 40, P2: 20, P3: 10, P4: 80, P5: 50의 암호화폐 A를 보유하고 있으며, 각각 암호화폐 B로 환전하고자 한다. 매 환전거래는 10분(M)에 한번 이뤄지며, 한 계좌당 10만큼만 환전되고, 환율은 1이라고 하면 다음과 같은 과정을 거쳐 환전이 이루어진다.
먼저 T=10M에 환전 요청자 P1, P2에 대해서 암호화폐 A를 B로 10씩 환전하고, 그 결과 잔금을 정산하여 저장한다. 다음으로, T=20M(분)에 환전 요청자 P1, P2, P3에 대해서 각각 10씩 암호화폐 A에서 B로 환전하고, 거래 후 잔금을 기록한다. 이때 P1은 암호화폐 A가 20이 남아 있고, P2, P3은 암호하폐 A의 잔금이 없다. 따라서 P2, P3에 대해서는 이 후 환전이 일어나지 않는다.
이어서 T=30M에, 환전 요청자 P1, P4의 암호화폐 A가 B로 환전되며 거래 후 잔금은 각각 10, 70이 된다. T=40M에서 P1, P4, P5의 암호화폐 A를 B로 각각 10씩 환전하면 잔금은 각각 0, 60, 40이 되고, T=50M에는 환전 요청자 P4, P5에 대해 각각 10씩 환전이 이루어지고, 이어서 T=60M에 지속적으로 반복하여 10씩 환전이 이루어진다. 이러한 방식으로 암호화폐 A의 잔금이 모두 없어질 때 까지 환전이 이루어져, 암호화폐 A가 모두 B로 환전되게 된다.
이와 같이, 암호화폐 A는 퍼블릭 암호화폐 계좌이기 때문에 개인을 특정할 수 있지만, 매 10분마다 환전 요청자를 다수 묶어 동일금액으로 환전 거래를 하면 실제로 환전된 암호화폐 B의 계좌는 개인과 매칭할 수 없어 실제 암호화폐 B를 통한 거래는 당화된 보안성을 갖게 된다.
퍼블릭 암호화폐로 분류된 암호화폐 계좌는 개인을 특정할 수 있으므로, 개인을 특정할 수 없도록 하여야 하는 민감한 사안의 경우, 인터널 암호화폐로 환전하되, 퍼블릭 암호화폐와 인터널 암호화폐 사이의 환전을 동일 환율로 다수 계좌가 참여토록 함으로써, 이미 노출된 퍼블릭 암호화폐 계좌와 인터널 암호화폐 계좌를 매칭할 수 없도록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암호화폐의 환전 요청이 추가로 있을 때까지 이전의 환전 요청을 지연시켜서 복수의 참여자가 모이도록 하여, 한 번의 환전 거래에 복수의 참여자 전체가 동일한 금액으로 환전하도록 하고, 참여자마다 서로 다른 금액의 환전을 요청하는 경우, 환전 거래를 복수 회 나누어서 분산시키도록 한다.
한편, 암호화폐를 통한 특정 서비스 제공자나 거래 당사자를 포함한 참여자의 가상계좌를 참여시켜 인터널 암호화폐의 계좌로 활용하고, 환전에 따른 블록을 생성하며, 상기 생성한 블록으로 인터널 암호화폐의 트랜잭션과 잔액을 관리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각 블록체인 노드에서 퍼블릭 암호화폐가 인터널 암호화폐로 환전되어, 해당 블록체인 트랜잭션이 이동하는 과정을 나타낸 다이어그램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클라이언트가 퍼블릭 암호화폐 트랜잭션을 생성하여 각 노드에 전송하면, 각 노드는 트랜잭션을 공유하고, 블록생성노드에서 트랜잭션을 모아서 블록을 생성하며, 블록의 트랜잭션을 적용하여 잔액장부를 갱신한다. 이렇게 갱신된 블록을 전파하면 모든 블록체인 노드가 이를 공유하며, 각 노드는 블록체인을 퍼블릭 암호화폐 블록체인 트랜잭션 데이터베이스(300)에 저장한다.
만약 적어도 하나 이상의 클라이언트가 환전을 요청하면, 각 노드는 해당 환전 요청에 대한 트랜잭션을 각 노드 간에 공유하고, 블록생성노드는 공유된 환전 트랜잭션을 모아서 블록을 생성하며, 블록의 트랜잭션을 적용하여 잔액장부를 갱신하고, 해당 블록을 전파하면 각 노드는 블록을 공유하게 된다. 이때 각 노드는 블록체인을 인터널 암호화폐 블록체인 트랜잭션 데이터베이스(400)에 저장한다. 만약 모든 클라이언트가 환전 요청을 하게 되면, 퍼블릭 암호화폐 블록체인 트랜잭션 데이터베이스(300)의 잔액은 모두 인터널 암호화폐 블록체인 트랜잭션 데이터베이스(400)로 이동하게 된다. 만약 일부 클라이언트가 환전을 요청하더라도 해당 트랜잭션으로 인한 암호화폐의 잔액은 퍼블릭 암호화폐 트랜잭션 데이터베이스(300)에서 인터널 암호화폐 트랜잭션 데이터베이스(400)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 퍼블릭 암호화폐 트랜잭션 데이터베이스(300)와 인터널 암호화폐 트랜잭션 데이터베이스(400)는 각각 트랜잭션 목록을 보관하는 데이터베이스이며, 블록체인의 구조로 저장된다. 따라서 이 데이터베이스의 특이한 구조가 블록체인이라고 명명되어 진다. 따라서 블록체인 자료구조를 이용하면 모든 트랜잭션 순서를 확정지을 수 있다.
본 발명의 경우 복수의 환전 요청가가 동시에 동일한 환율로 퍼블릭 암호화폐에서 인터널 암호화폐로 환전하기 때문에, 퍼블릭 암호화폐 계좌와 인터널 암호화폐 계좌를 매칭할 수 없도록 한다. 즉, 퍼블릭 암호화폐와 인터널 암호화폐 사이의 환전을 동일 환율로 다수 계좌가 참여토록 하기 때문에, 인터널 암호화폐 계좌를 통해서는 퍼블릭 암호화폐의 계좌에 대한 개인을 특정할 수 없게 된다.
여기서 암호화폐 어플리케이션 데이터베이스(500)는 트랜잭션을 어플리케이션(암호화폐(예: 비트코인))에 적용한 어플리케이션(app) 데이터베이스이다. 상기 어플리케이션에는 퍼블릭 암호화폐를 인터널 암호화폐로 환전하거나 인터널 암호화폐를 퍼블릭 암호화폐로 환전하는 것을 포함한다.
지금까지 퍼블릭 암호화폐에 대한 트랜잭션을 생성하고, 이에 해당하는 블록을 생성하여 각 노드에 저장하는 과정을 설명하였고, 이어서 환전 요청이 있을 경우 퍼블릭 암호화폐를 인터널 암호화폐로 환전하는 과정을 설명하였다.
이하에서는 이미 환전하여 인터널 암호화폐의 계좌에 들어와 있는 암호화폐를 퍼블릭 암호화폐로 다시 환전하여 다른 클라이언트와 거래하는 과정에 대해서 설명하고자 한다.
각 클라이언트는 일단 퍼블릭 암호화폐와 인터널 암호화폐에 대한 계좌를 각각 가지고 있다. 특정 클라이언트가 퍼블릭 암호화폐를 거래하고자 하는데, 모든 잔금이 인터널 암호화폐로 보관하고 있는 경우, 상기 클라이언트는 인터널 암호화폐를 퍼블릭 암호화폐로 환전하고, 상기 환전한 퍼블릭 암호화폐를 다른 참여자와 거래하면 될 것이다. 즉, 클이언트는 인터널 암호화폐를 퍼블릭 암호화폐로 환전한 다음, 상기 환전한 퍼블릭 암호화폐를 다른 클라이언트에게 제공하면 된다.
구체적으로는 클라이언트는 먼저 환전 트랜잭션을 생성하고, 해당 트랜잭션을 노드에 송신한다. 노드는 환전 트랜잭션을 각 노드와 공유하고, 블록생성노드는 이러한 환전 요청을 모아서 블록을 생성한다. 생성한 블록의 트랜잭션을 적용하여 잔액장부를 갱신하고, 해당 블록을 각 노드에 전파하여 공유한다. 이로써, 인터널 암호화폐에서 퍼블릭 암호화폐로 환전된 잔금이 계좌에서 확인된다.
이어서 클라이언트는 퍼블릭 암호화폐 계좌에 있는 퍼블릭 암호화폐를 다른 클라이언트에게 제공하는 거래를 할 수 있다. 이 과정은 상기 클라이언트가 원하는 트랜잭션을 생성하고, 이를 암호화한 다음 노드에 전송한다. 노드들은 트랜잭션을 공유하고, 블록생성노드는 상기 트랜잭션에 따른 블록을 생성하고, 상기 블록의 트랜잭션을 적용하여 잔액장부를 갱신한다. 이어서 블록을 다른 노드들에 전파하여 블록을 공유한다.
환전 과정에서 암호화폐를 통한 특정 서비스 제공자나 거래 당사자를 포함한 참여자의 가상계좌를 참여시켜 인터널 암호화폐의 계좌로 활용하고, 환전에 따른 블록을 생성하며, 상기 생성한 블록으로 인터널 암호화폐의 트랜잭션과 잔액을 관리할 수도 있다.
한편, 인터널 암호화폐를 퍼블릭 암호화폐로 환전하지 않고도, 상대방 거래 참여자가 인터널 암호화폐를 수신하는 것을 원한다면, 그에 따라 인터널 암호화폐를 퍼블릭 암호화폐로 환전하지 않고, 바로 인터널 암호화폐를 이용하여 트랜잭션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인터널 암호화폐를 퍼블릭 암호화폐로 환전함과 동시에 트랜잭션을 수행하도록 할 수도 있다. 이 방법은 트랜잭션을 반으로 줄여 효과적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퍼블릭 암호화폐와 인터널 암호화폐에 대한 환전 트랜잭션을 처리하는 각 노드의 구성에 대해서 설명하고자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퍼블릭 암호화폐와 인터널 암호화폐의 환전 트랜잭션을 처리하는 각 노드의 구성을 보인 블록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드(100)는 전자지갑부(110), 마이닝부(120), 블록체인부(130), 라우팅부(140), 환전부(150) 및 역환전부(1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전자지갑부(110)는 사용자인 클라이언트의 개인키와 공개키를 관리하고 거래에 사용되는 주소를 생성하는 기능을 한다. 전자지갑은 개인키(Private key)를 생성할 수 있고, 상기 개인키로부터 공개키(Public key)를 생성할 수 있으며, 상기 공개키로 주소를 만들 수 있다. 또한 거래를 승인함으로써 암호화폐를 전송한다. 이는 개인키로부터 만들어진 특별한 서명으로 거래의 진위를 판별함으로써 이루어진다. 여기서 생겨난 정보를 암호화폐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공유 또는 방송한다. 상기 주소는 암호화폐를 보낼 주소를 말한다.
상기 전자지갑부(110)는 암호화폐를 통한 특정 서비스 제공자나 거래 당사자를 포함한 참여자의 가상계좌에 대한 정보를 관리하는 것을 포함한다.
상기 마이닝부(120)는 작업증명(PoW: Proof of Work)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일정시간 동안(예: 10분) 유효한 거래를 블록으로 생성하고, 블록체인에 연결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 작업증명은 모든 노드가 동시에 블록을 만들 수 없게 하는 것으로, 일종의 확률적 합의 알고리즘이다. 합의는 ① 블록생성노드가 클라이언트들의 요청을 수집하여 정렬하고 실행 결과와 함께 다른 노드들에 전파한다, ② 블록생성노드의 메시지를 받은 노드들은 다른 노드들에서 받은 메시지를 다시 한 번 나머지 노드들에게 전파한다. ③ 모든 노드는 자신이 다른 노드에서 가장 많이 받은 같은 메시지(정족수 이상의)가 무엇인지 다른 노드들에게 전파한다. 상기 ①, ②, ③의 과정이 끝나면 모든 노드들은 정족수 이상이 동의한 합의를 이룬 같은 데이터를 가지게 된다.
상기 블록체인부(130)는 최초의 블록인 제네시스 블록(Genesis Block)과 가장 최신의 블록까지 포함한 완전한 블록체인 복사본을 가지고 있다. 상기 생성한 블록을 상기 블록체인에 연결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 블록체인으로 연결된 정보는 모든 블록에 대한 정보를 다 가지고 있다.
상기 라우팅부(140)는 블록체인 상의 P2P 네트워크 전송 기능을 담당한다.
상기 환전부(150)는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을 포함하는 것으로, 클라이언트로부터 환전 트랜잭션이 수신되면, 상기 환전 트랜잭션에 따라 공유 암호화폐를 인터널 암호화폐로 환전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공유 암호화폐의 환전 트랜잭션이 요청되면, 노드들이 환전 트랜잭션을 공유하고, 특정수의 환전 트랜잭션을 모아서 블록을 생성하고, 블록의 트랜잭션을 반영하여 트랜잭션의 결과로 인한 잔액장부를 갱신한다. 갱신한 블록은 라우팅부(140)를 통해서 다른 노드에 전파된다.
상기 환전부(150)를 통해서, 암호화폐의 거래를 추적하여 개인을 특정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거하여 익명성을 보장함으로써, 안전하게 암호화폐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환전부(150)는 통상의 퍼블릭 암호화폐를 인터널 암호화폐로 환전하되, 상기 인터널 암호화폐로의 환전은 한 번에 다수를 참여시키고, 상기 퍼블릭 암호화폐와 상기 인터널 암호화폐 간은 동일한 환율로 환전하도록 한다. 특히, 복수의 참여자가 공통의 인터널 암화화폐를 사용하여 거래하기 때문에 상기 암호화폐의 거래를 추적하여 개인을 특정할 수 없도록 하여 개인의 익명성을 보장한다.
또한 상기 환전부(150)는 암호화폐의 환전 요청이 추가로 있을 때까지 이전의 환전 요청을 지연시키거나, 암호화폐를 통한 특정 서비스 제공자나 거래 당사자를 포함한 참여자의 가상계좌를 참여시킴으로써, 한 번의 환전 거래에 복수의 참여자 전체가 동일한 금액으로 환전하도록 하고, 참여자마다 서로 다른 금액의 환전을 요청하는 경우, 환전 거래를 복수 회 나누어서 분산시켜 수행할 수 있다.
이를 통해서 본 발명은 의료 서비스를 이용하고 암호화폐로 대금을 지불하는 것과 같이 개인의 익명성을 보장하는 것이 요구되는 경우, 암호화폐의 사용을 추적하여 개인을 특정할 수 없도록 한다.
상기 가상계좌를 참여시키는 것은 상기 환전부에서 임시로 가상계좌를 발행하고 환전이 완료되면 해당 가상계좌를 폐쇄하는 것과 같은 다양한 조치를 취할 수 있다.
상기 역환전부(160)는 본 발명의 또 다른 기술적 특징을 반영한 것으로, 특정 클라이언트가 전자지갑에 인터널 암호화폐만 소지하고 있는 경우, 상기 클라이언트에서 퍼블릭 암호화폐를 다른 클라이언트에게 제공하는 거래하고자 할 때, 인터널 암호화폐를 퍼블릭 암호화폐로 다시 환전하여 트랜잭션을 수행하도록 한다.
상기 클라이언트에서 퍼블릭 암호화폐를 다른 클라이언트에게 제공하는 트랜잭션을 생성하고, 이를 암호화한 다음 노드에 전송하면, 이를 수신한 노드의 역환전부(160)에서는 상기 클라이언트가 퍼블릭 암호화폐를 소지하고 있지 않으므로, 인터널 암호화폐를 퍼블릭 암호화폐로 환전하여 퍼블릭 암호화폐 블록체인 트랜잭션 데이터베이스에 보관하고, 다른 노드들과 상기 역환전 트랜잭션에 따른 블록을 생성하고, 상기 블록의 트랜잭션을 적용하여 퍼블릭 암호화폐와 인터널 암호화폐의 잔액장부를 갱신한다. 이어서 블록을 다른 노드들에 전파하여 블록을 공유한다.
한편, 인터널 암호화폐를 퍼블릭 암호화폐로 역환전하지 않고도, 상대방 거래 참여자가 인터널 암호화폐를 수신하는 것을 원한다면, 그에 따라 인터널 암호화폐를 퍼블릭 암호화폐로 환전하지 않고, 바로 인터널 암호화폐를 이용하여 트랜잭션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인터널 암호화폐를 퍼블릭 암호화폐로 환전함과 동시에 트랜잭션을 수행하도록 할 수도 있다. 이 방법은 트랜잭션을 반으로 줄여 효과적이다. 물론 이 과정에서 각 참여자는 가상계좌를 활용하여 역환전한 다음 해당 가상계좌를 폐쇄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의 보안이 강화된 암호화폐 시스템에서 퍼블릭 암호화폐를 인터널 암호화폐로 환전하는 과정을 보인 흐름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의 보안이 강화된 암호화폐 시스템은 먼저 특정 클라이언트(200)에서 암호화폐 환전 트랜잭션을 생성하고 접속된 노드(100)에 전송한다(S110). 상기 접속된 노드(100)는 전체 블록체인 네트워크의 각 노드(100)와 상기 암호화폐 환전 트랜잭션을 공유한다(S120).
특히 블록생성노드(100)는 상기 암호화폐 환전 트랜잭션을 모아서 블록을 생성한다(S130). 또한 상기 블록생성노드(100)는 상기 생성한 블록에 환전 트랜잭션을 적용한 잔액장부를 갱신하고 상기 생성한 블록을 다른 노드(100)에 전파한다(S140).
다음으로 각 노드는 블록을 공유하고 블록체인 환전 트랜잭션을 보관한다(S150). 이렇게 하면, 각 클라이언트는 환전 트랜잭션과 관련한 잔액장부를 확인할 수 있다(S160).
이 과정을 통해서 암호화폐의 거래를 추적하여 개인을 특정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거하여 익명성을 보장할 수 있는데, 통상의 퍼블릭 암호화폐를 인터널 암호화폐로 환전하되, 상기 인터널 암호화폐로의 환전은 한 번에 다수를 참여시키고, 상기 퍼블릭 암호화폐와 상기 인터널 암호화폐 간은 동일한 환율로 환전하도록 한다. 따라서 복수의 참여자가 공통의 인터널 암화화폐를 사용하여 거래하기 때문에 상기 암호화폐의 거래를 추적하여 개인을 특정할 수 없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환전하는 과정에서, 암호화폐의 환전 요청이 추가로 있을 때까지 이전의 환전 요청을 지연시키거나, 암호화폐를 통한 특정 서비스 제공자나 거래 당사자를 포함한 참여자의 가상계좌를 참여시킴으로써, 한 번의 환전 거래에 복수의 참여자 전체가 동일한 금액으로 환전하도록 하고, 참여자마다 서로 다른 금액의 환전을 요청하는 경우, 환전 거래를 복수 회 나누어서 분산시켜 수행한다.
따라서 의료 서비스를 이용하고 암호화폐로 대금을 지불하는 것과 같이 개인의 익명성을 보장하는 것이 요구되는 경우, 암호화폐의 사용을 추적하여 개인을 특정할 수 없도록 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의 보안이 강화된 암호화폐 시스템에서 암호화폐 트랜잭션의 처리 과정을 보인 흐름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특정 클라이언트(200)에서 암호화폐 트랜잭션을 생성하고, 상기 클라이언트에 접속된 특정 노드에 전송한다(S210). 상기 접속된 노드는 상기 암호화폐 트랜잭션을 전체 노드와 공유한다(S220).
이 경우에 만약 특정 클라이언트가 퍼블릭 암호화폐를 보유하고 있지 않고, 환전이 가능한 인터널 암호화폐만 보유하고 있는 경우, 역환전이 필요한지 여부를 판단하고(S230), 해당 클라이언트의 전자지갑에서 인터널 암호화폐를 퍼블릭 암호화폐로 역환전한다(S240). 트랜잭션을 수행할 퍼블릭 암호화폐를 보유하고 있는 경우, 역환전 절차를 거치지 않고, 블록생성노드에서 암호화폐 트랜잭션을 모아서 블록을 생성한다(S250). 상기 생성한 블록에 트랜잭션을 적용한 잔액장부 갱신하고, 상기 갱신한 블록을 각 노드에 전파한다(S260). 이후 각 노드는 상기 갱신한 블록을 공유하고 블록체인 트랜잭션을 보관한다(S270). 이로써 각 클라이언트는 상기 트랜잭션과 관련한 잔액장보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S280).
이처럼, 본 발명은 블록체인 기반의 보안이 강화된 암호화폐 시스템에서, 암호화폐의 거래를 추적하여 개인을 특정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거하여 익명성을 보장함으로써, 안전하게 암호화폐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으며, 통상의 퍼블릭 암호화폐를 인터널 암호화폐로 환전하되, 상기 인터널 암호화폐로의 환전은 한 번에 다수를 참여시키고, 상기 퍼블릭 암호화폐와 상기 인터널 암호화폐 간은 동일한 환율로 환전하도록 함으로써 보안이 강화된 암호화폐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복수의 참여자가 공통의 인터널 암화화폐를 사용하여 거래하기 때문에 상기 암호화폐의 거래를 추적하여 개인을 특정할 수 없도록 함으로써, 개인의 익명성을 보장한다.
또한 본 발명은 암호화폐의 환전 요청이 추가로 있을 때까지 이전의 환전 요청을 지연시키거나, 암호화폐를 통한 특정 서비스 제공자나 거래 당사자를 포함한 참여자의 가상계좌를 참여시킴으로써, 한 번의 환전 거래에 복수의 참여자 전체가 동일한 금액으로 환전하도록 하고, 참여자마다 서로 다른 금액의 환전을 요청하는 경우, 환전 거래를 복수 회 나누어서 분산시킴으로써, 블록체인 기반의 보안이 강화된 암호화폐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결국, 의료 서비스를 이용하고 암호화폐로 대금을 지불하는 것과 같이 개인의 익명성을 보장하는 것이 요구되는 경우, 암호화폐의 사용을 추적하여 개인을 특정할 수 없도록 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판단되어야 할 것이다.
100 : 블록체인 노드 200 : 클라이언트
300 : 퍼블릭 암호화폐 블록체인 트랜잭션 보관 데이터베이스
400 : 인터널 암호화폐 블록체인 트랜잭션 보관 데이터베이스
500 : 암호화폐 어플리케이션 보관 데이터베이스
110 : 전자지갑부 120 : 마이닝부
130 : 블록체인부 140 : 라우팅부
150 : 환전부 160 : 역환전부

Claims (9)

  1. 적어도 하나 이상의 클라이언트에서 생성한 트랜잭션을 수신하여 상기 트랜잭션을 인접한 노드와 공유하는 블록체인 노드; 및
    상기 블록체인 노드에서 공유한 트랜잭션을 모아 블록을 생성하고, 상기 생성한 블록에 포함된 트랜잭션을 적용하여 잔액장부를 갱신하며, 상기 생성한 블록을 다른 노드에 전파하는 블록생성노드;를 포함하며,
    상기 트랜잭션은, 복수의 참여자에 대해 각 개인의 퍼블릭 암호화폐를 상기 복수의 참여자 각 개인을 특정할 수 없는 인터널 암호화폐로 환전하는 것을 포함하며,
    상기 퍼블릭 암호화폐를 상기 인터널 암호화폐로 환전하는 것은, 상기 복수의 참여자를 참여시켜 한 번의 환전 거래를 통해서 상기 복수의 참여자 전체가 동일한 금액으로 환전하도록 하는 것이며,
    상기 복수의 참여자가 상기 인터널 암호화폐를 사용하여 거래하도록 함으로써, 암호화폐의 거래를 추적하여 개인을 특정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거하여 익명성을 보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체인 기반의 보안이 강화된 암호화폐 시스템.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암호화폐 시스템은,
    상기 퍼블릭 암호화폐의 환전 요청이 추가로 있을 때까지 이전의 퍼블릭 암호화폐의 환전 요청을 지연시키거나, 암호화폐를 통한 특정 서비스 제공자나 거래당사자를 포함한 참여자의 가상계좌를 참여시킴으로써, 한 번의 환전 거래를 통해서 상기 복수의 참여자 전체가 동일한 금액으로 환전하도록 하고, 참여자마다 서로 다른 금액의 환전을 요청하는 경우, 환전 거래를 복수 회 나누어서 분산시켜 수행하도록 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체인 기반의 보안이 강화된 암호화폐 시스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암호화폐 시스템은,
    상기 인터널 암호화폐를 상기 퍼블릭 암호화폐로 역환전하는 역환전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역환전부는, 클라이언트가 상기 인터널 암호화폐만 구비하고 있을 경우, 상기 퍼블릭 암호화폐로 트랜잭션을 수행하도록 상기 인터널 암호화폐를 상기 퍼블릭 암호화폐로 역환전하는 것을 지원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체인 기반의 보안이 강화된 암호화폐 시스템.
  5. 특정 클라이언트에서 트랜잭션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클라이언트에 접속된 노드에 상기 트랜잭션을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접속된 노드에서 상기 트랜잭션을 블록생성노드를 포함한 다른 노드와 공유하는 단계;
    상기 블록생성노드에서 상기 트랜잭션을 모아서 블록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생성한 블록에 트랜잭션을 적용한 잔액장부를 갱신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한 블록을 상기 노드에 전파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트랜잭션은, 복수의 참여자에 대해 각 개인의 퍼블릭 암호화폐를 상기 복수의 참여자 각 개인을 특정할 수 없는 인터널 암호화폐로 환전하는 것을 포함하며,
    상기 퍼블릭 암호화폐를 상기 인터널 암호화폐로 환전하는 것은, 상기 복수의 참여자를 참여시켜 한 번의 환전 거래를 통해서 상기 복수의 참여자 전체가 동일한 금액으로 환전하도록 하는 것이며,
    상기 복수의 참여자가 상기 인터널 암호화폐를 사용하여 거래하도록 함으로써, 암호화폐의 거래를 추적하여 개인을 특정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거하여 익명성을 보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체인 기반 암호화폐 시스템의 보안을 강화하는 방법.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환전은,
    상기 퍼블릭 암호화폐의 환전 요청이 추가로 있을 때까지 이전의 퍼블릭 암호화폐의 환전 요청을 지연시키거나, 암호화폐를 통한 특정 서비스 제공자나 거래당사자를 포함한 참여자의 가상계좌를 참여시킴으로써, 한 번의 환전 거래를 통해서 상기 복수의 참여자 전체가 동일한 금액으로 환전하도록 하고, 참여자마다 서로 다른 금액의 환전을 요청하는 경우, 환전 거래를 복수 회 나누어서 분산시켜 수행하도록 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체인 기반 암호화폐 시스템의 보안을 강화하는 방법.
  7.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블록체인 기반 암호화폐 시스템의 보안을 강화하는 방법은,
    상기 노드는 상기 생성한 블록을 공유하고, 상기 갱신한 트랜잭션을 보관하는 단계; 및
    상기 트랜잭션과 관련한 잔액장부를 상기 클라이언트에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체인 기반 암호화폐 시스템의 보안을 강화하는 방법.
  8.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블록체인 기반 암호화폐 시스템의 보안을 강화하는 방법은,
    상기 트랜잭션을 수행하기 위해 환전이 필요한 경우, 해당 클라이언트의 전자지갑에서 상기 인터널 암호화폐를 상기 퍼블릭 암호화폐로 역환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체인 기반 암호화폐 시스템의 보안을 강화하는 방법.
  9. 삭제
KR1020190003663A 2019-01-11 2019-01-11 블록체인 기반의 보안이 강화된 암호화폐 시스템 KR1021958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3663A KR102195830B1 (ko) 2019-01-11 2019-01-11 블록체인 기반의 보안이 강화된 암호화폐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3663A KR102195830B1 (ko) 2019-01-11 2019-01-11 블록체인 기반의 보안이 강화된 암호화폐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87418A KR20200087418A (ko) 2020-07-21
KR102195830B1 true KR102195830B1 (ko) 2020-12-28

Family

ID=718326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03663A KR102195830B1 (ko) 2019-01-11 2019-01-11 블록체인 기반의 보안이 강화된 암호화폐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9583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967031B (zh) * 2020-08-13 2024-02-20 合肥壹物易证科技有限公司 一种数据交易式传输方法
KR102504150B1 (ko) * 2022-06-27 2023-02-27 주식회사 더줌코리아 블록체인기반의 더줌코인보상형 포인트환전마켓플레이스 생성장치 및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29678B1 (ko) * 2016-03-25 2017-04-25 주식회사 스트리미 화폐를 환전 또는 송금하기 위한 방법 및 서버
KR101920015B1 (ko) * 2018-03-13 2018-11-19 주식회사 웨이투빗 이종 블록체인 기반의 토큰 관리 방법 및 이를 이용한 토큰 관리 서버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194767B1 (ko) * 1996-10-25 1999-06-15 이계철 전자화폐 대금결제의 익명성 보장 방법
KR102382127B1 (ko) * 2017-04-05 2022-04-04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블록체인 기반의 데이터 처리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29678B1 (ko) * 2016-03-25 2017-04-25 주식회사 스트리미 화폐를 환전 또는 송금하기 위한 방법 및 서버
KR101920015B1 (ko) * 2018-03-13 2018-11-19 주식회사 웨이투빗 이종 블록체인 기반의 토큰 관리 방법 및 이를 이용한 토큰 관리 서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87418A (ko) 2020-07-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873270B2 (ja) ブロックチェーンにおけるスマートコントラクトに基づくトランザクション活動の取扱注意データを保護するための方法及びデバイス
JP6794527B2 (ja) 安全な台帳分散の方法及び安全な分散型台帳技術を用いたコンピューターシステム
CN109691008B (zh) 网络拓扑
KR102332034B1 (ko) 정보 보호를 위한 시스템 및 방법
Baird et al. Hedera: A governing council & public hashgraph network
AU2023200072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using digital signatures to create trusted digital asset transfers
US20200127813A1 (en) Method and system for creating a user identity
JP2022031817A (ja) 分散型トランザクション伝播および検証システム
US20190295069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integrating cryptocurrency wallet identifiers with digital certificates
CN112437938A (zh) 用于区块链地址和所有者验证的系统和方法
CN113439281A (zh) 数字法定货币
JP2020071617A (ja) 取引方法、プログラム、検証装置及び生成方法
CN112801778B (zh) 联盟式不良资产区块链系统
KR102383099B1 (ko) 블록체인 기반의 did 서비스, ipfs 기반의 데이터 공유 기술, 및 개인키 분산 저장 기술이 결합된 비대면 대용량 문서 접근 블록체인 시스템
JP7114078B2 (ja) 電子認証方法及びプログラム
Gayvoronskaya et al. Blockchain
CN114900290A (zh) 一种基于区块链的数据交易模型和隐私保护方法
KR102195830B1 (ko) 블록체인 기반의 보안이 강화된 암호화폐 시스템
Conesa Bitcoin: A solution for payment systems or a solution in search of a problem?
WO2019168104A1 (ja) 正当性管理システム、正当性管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12070498A (zh) 所有权处理系统及方法
KR20210017964A (ko) 블록체인 기반의 p2p 대출 서비스 자율보증증명 방법 및 장치
EP4099248A1 (en) A system and method for trading cryptocurrencies, tokenized assets and/or fiat currencies on a permission-less unified and interoperable blockchain distributed ledger system with anchor-of-trust organizations
Barde Blockchain and Cryptocurrencies: Techniques, Applications, and Challenges
Malchow et al. New Directions for Trust in the Certificate Authority Eco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