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95427B1 - 블록체인을 앵커링 하는 장치 - Google Patents
블록체인을 앵커링 하는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195427B1 KR102195427B1 KR1020180103900A KR20180103900A KR102195427B1 KR 102195427 B1 KR102195427 B1 KR 102195427B1 KR 1020180103900 A KR1020180103900 A KR 1020180103900A KR 20180103900 A KR20180103900 A KR 20180103900A KR 102195427 B1 KR102195427 B1 KR 10219542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lockchain
- blockchain network
- information
- anchoring
- network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4873 anchoring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4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3
- 238000006243 chemical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0000003362 replicative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12795 verification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15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8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7423 decrease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4044 response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4075 alte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9471 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3500 data storag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429 gener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726 management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544 monito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068 stat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0—Protocols in which an application is distributed across nodes in the network
- H04L67/1095—Replication or mirroring of data, e.g. scheduling or transport for data synchronisation between network node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12—Applying verification of the received information
- H04L63/123—Applying verification of the received information received data contents, e.g. message integrity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0—Protocols in which an application is distributed across nodes in the network
- H04L67/104—Peer-to-peer [P2P] networks
- H04L67/1087—Peer-to-peer [P2P] networks using cross-functional networking aspects
- H04L67/1093—Some peer nodes performing special func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0—Protocols in which an application is distributed across nodes in the network
- H04L67/1097—Protocols in which an application is distributed across nodes in the network for distributed storage of data in networks, e.g. transport arrangements for network file system [NFS], storage area networks [SAN] or network attached storage [NA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5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using hash chains, e.g. blockchains or hash tre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inancial Or Insurance-Related Operations Such As Payment And Settlement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블록체인의 앵커링 방법에 관한 것으로, 좀더 상세하게는 블록체인의 고질적인 문제점인 적은 수의 노드에 의한 제한된 검증 능력을 해결하기 위한 앵커링을 수행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블록체인을 앵커링 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좀더 상세하게는 블록체인의 고질적인 문제점인 적은 수의 노드에 의한 제한된 검증 능력을 해결하기 위한 앵커링을 수행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블록체인 기술이 각광받는 가장 큰 이유는 탈중앙화를 꼽을 수 있다. 이러한 탈중앙화로 인해 신분 뿐만 아니라 데이터의 무결성을 매개자의 중개 또는 신뢰 보장이 없이도 신뢰할 수 있다는 점은 인터넷이라는 익명성 네트워크에서 더 많은 가능성과 기회를 만들어 낼 수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비트코인의 상용화를 시점으로 시험대에 오른 블록체인은 확장성(scalability)문제가 제기되고 있다.
즉, 블록체인에 참여하는 참여자들이 증가할 수록 동일한 데이터를 보관해야 하는 블록체인의 속성상, 한정된 네트워크 속도와 저장용량으로 인해 블록체인의 처리속도가 늦어지고 이러한 속도문제를 해결해야만 성공적인 상용화가 가능하다는 문제이다.
또한, 블록체인 초기에 등장한 비트코인, 2세대 플랫폼인 이더리움 플랫폼은 탈중앙화, 보안성을 유지하였지만, 비트 코인은 대략 초당 3~4건, 이더리움은 초당 7~8건의 트랜잭션 밖에 지원하지 못하는 등 처리 속도면에서 큰 한계를 가지고 있다.
결과적으로 이러한 속도문제로 암호화폐로써 지불수단으로 사용하기 어려우며, 네트워크가 점차 확장함에 따라 한계를 나타내고 있다.
이렇게 트랜잭션 속도가 느려지는 이유는 시간의 흐름에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생성되는 블록의 크기(사이즈) 와 그 블록에 담을 수 있는 거래내역들이 한정되어 있기 때문이다.
블록체인에 관한 기술이, 국내등록특허 제1628005호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하는 디지털 콘텐츠의 저작권리 위변조 감지 시스템, 2016.06.13." 에 개시된 바 있다.
상기 선행기술은 콘텐츠제공업체측이 운영하는 서버에 저장, 관리되는 저작권자의 저작권리가 금액으로 환산 되며, 저작권자의 저작권리를 행사하는데 필요한 정보가 위변조 시 이를 감지하고 차단하여 줌으로써, 저작권자가 저작권리를 올바르게 행사가능하도록 안내하여 주는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하는 감지시스템을 제공하고 있다.
하지만, 상기 선행기술은, 블록체인의 고질적인 문제점인 적은 수의 노드에 의한 제한된 검증 능력을 고려하고 있지 않아, 검증능력에 한계가 있으며, 서로 분리되어 있는 블록체인 사이에서는 항상 정의될수 없는 문제가 있다.
블록체인은 비교적 적은 수의 노드를 가진 프라이빗 블록체인(private blockchain)과 비교적 많은 수의 노드를 가진 퍼블릭 블록체인(public blockchain)으로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은 프라이빗 블록체인(private blockchain)의 고질적인 문제점인, 적은 수의 노드에 의한 제한된 검증 능력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프라이빗 블록체인(private blockchain)보다 더 검증능력이 뛰어난 퍼블릭 블록체인(public blockchain)에 주기적으로 프라이빗 블록체인의 정보를 저장하여 추가적으로 검증받는 앵커링 과정을 진행하는 장치를 구성하고자 한다.
블록체인을 앵커링 하는 장치에 있어서, 사용자의 정보를 이용하여 생성된 노출시킬 정보를 포함하는 블록체인 보유 제 1 블록체인 네트워크, 상기 제 1 블록체인 네트워크로부터 노출시킬 정보를 전달받아 저장하는, 상위 블록체인 보유 제 2 블록체인 네트워크 및 상기 제 1 블록체인 네트워크 및 상기 제 2 블록체인 네트워크는 저장된 데이터를 고정된 길이의 데이터로 변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 1 블록체인 네트워크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노출시킬 정보를 결합하여, 제 2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제 1 블록체인 네트워크는 사용자가 설정하는 기준에 따라 또는 무작위로 선택되는 노출시킬 정보를 결합하여 제 2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장치는 상기 제 1 블록체인 네트워크의 노출시킬 정보를 상기 제 2 블록체인 네트워크로 전달하기 위해, 상기 제 1 블록체인 네트워크에서 상기 제 2 블록체인 네트워크로 정보를 전송하는 아웃바운드 릴레이(Outbound Relay), 상기 제 2 블록체인 네트워크에서 상기 제 1 블록체인 네트워크로 정보를 전송하는 인바운드 릴레이(Inbound Relay) 및 상기 제 2 블록체인 네트워크에서 동작하며, 상기 아웃바운드 릴레이(Outbound Relay)에서 받은 정보를 상기 인바운드 릴레이(Inbound Relay)에 복제하는 리플렉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노출시킬 정보는 해시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앵커링 과정을 통해 블록체인의 고질적인 문제점인 적은 수의 노드를 보유하였을 때 발생하는 제한된 검증 능력에 관한 문제가 해결될 수 있다.
즉, 검증능력이 뛰어난 상위 블록체인에 상대적으로 검증능력이 덜 뛰어난 블록체인의 정보를 저장하여 추가적으로 검증받음으로써, 계약, 이체, 정보 교류 등 다양한 분야에서 검증 능력을 발휘 할 수 있다.
또한, 상위 블록체인에 검증받을 시, 정보를 결합하여 전송하던지, 또는 사용자의 설정 기준에 따라 전송하던지, 또는 무작위로 선택되는 노출시킬 정보를 결합하여 전송함으로써 좀 더 정확성을 높일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을 나타낸 도면.
도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플렉터를 이용한 앵커링을 나타낸 도면.
도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플렉터를 이용한 앵커링을 나타낸 도면.
이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첨부된 도면을 사용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일례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첨부된 도면의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1을 참조하면, 블록체인은 관리 대상 데이터를 '블록'이라고 하는 소규모 데이터들이 P2P 방식을 기반으로 생성된 체인 형태의 연결고리 기반 분산 데이터 저장환경에 저장되어 누구라도 임의로 수정할 수 없고 누구나 변경의 결과를 열람할 수 있는 분산 컴퓨팅 기술 기반의 데이터 위변조 방지 기술이다. 즉, 신규로 생성되는 정보 또한 블록화 되어, 생성되는 곳 그곳에만 저장되는 것이 아닌 다른 블록시스템에도 저장되게 된다.
블록체인 기술이 각광받는 가장 큰 이유는 탈중앙화를 꼽을 수 있다. 이러한 탈중앙화로 인해 신분 뿐만 아니라 데이터의 무결성을 매개자의 중개 또는 신뢰 보장이 없이도 신뢰할 수 있다는 점은 인터넷이라는 익명성 네트워크에서 더 많은 가능성과 기회를 만들어 낼 수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블록체인에 참여하는 참여자들이 증가할 수록 동일한 데이터를 보관해야 하는 블록체인의 속성상, 한정된 네트워크 속도와 저장용량으로 인해 블록체인의 처리속도가 늦어지고 있다.
블록체인은 크게 프라이빗 블록체인(private blockchain)과 퍼블릭 블록체인(public blockchain)으로 구분 할 수 있다. 프라이빗 블록체인과 퍼블릭 블록체인을 구분하는 중요한 기준으로는 각 블록체인을 구성하는 노드의 수를 들 수 있다. 여기서 노드란, 블록화된 데이터를 저장하여, 결과적으로 블록체인의 데이터 무결성을 검증할 수 있는 컴퓨팅 주체(예를 들어 서버)를 이야기한다.
그러므로, 예를 들어, 많은 노드가 연결되어 있는 비트코인 네트워크를 퍼블릭 블록체인이라고 생각할 수 있고, 기업인프라 내부적으로 사용되며 노드 수가 한정되어 있는 블록체인을 프라이빗 블록체인이라고 생각할 수 있다.
이러한 구분에 의해 정의된 프라이빗 블록체인(private blockchain)의 고질적인 문제점으로, 적은 수의 노드에 의한 제한된 검증 능력이 점점 문제점으로 제시되고 있다. 이러한 검증 능력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 정의하고 제안하는 것은 앵커링(anchoring)이다.
앵커링에 대한 정의를 위해 예를 들자면, 프라이빗 블록체인에서 검증능력이 더 뛰어나고 노드 수가 더 많은 퍼블릭 블록체인에, 주기적으로 프라이빗 블록체인의 정보를 저장하는 행위를 할 수 있고, 이러한 행위를 통해 프라이빗 블록체인의 무결성을 추가적으로 검증받을 수 있는데, 바로 이러한 행위를 앵커링이라 정의할 수 있다. 여기서 행위란 컴퓨팅 주체가 특정한 컴퓨팅 수단을 통해 의미있는 정보를 다른 컴퓨팅 주체와 주고받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유사한 의미로, 블록체인을 이루는 시스템의 검증능력을 블록체인의 계층 순서라고 정의하고, 계층 순서가 높은 블록체인(예를 들어 퍼블릭 블록체인)을 계층 순서가 낮은 블록체인(예를 들어 프라이빗 블록체인)보다 상위 레벨(higher level)에 있다고 정의할 수 있다. 이러한 의미에서는 앵커링의 정의를 임의의 블록체인에서 분리된 상위 레벨의 블록체인에 임의의 블록체인의 정보를 저장하는 것으로도 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는 이러한 앵커링을 통해 임의의 블록체인 정보의 신뢰도를 높일 수 있게 된다.
앵커링은 정보의 검증의 측면이 강하지만, 후술하는 릴레이(relay) 또는 게이트웨이(gateway) 노드의 기능이 강화하면, 분리되어 있는 블록체인 시스템 간의 정보를 교환하는 상호운용시스템의 기능을 제공하는 것으로도 볼 수 있다.
이렇듯 블록체인의 상태(state)에 기반하여, 앵커링할 데이터를 고정하여 앵커링 방법을 오프라인(offline) 앵커링 방법이라 정의할 수 있다. 상기 오프라인 앵커링과 다른 온라인/동적 앵커링 방법과의 주요한 차이점은 앵커링할 정보가 사용자나 시스템의 정책 등에 의해 추후 변경이 가능한지 여부에 따른 것이다. 이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1
또한 오프라인(offline) 앵커링을 정적(static) 앵커링이라 명명하기도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하는 앵커링 장치는, 크게 제 1 블록체인 네트워크 및 제 2 블록체인 네트워크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제 1 블록체인 네트워크 및 상기 제 2 블록체인 네트워크는 블록체인 보유 서버로서, 상기 제 1 블록체인 네트워크는 사용자의 정보를 이용하여 생성된 노출시킬 정보를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제 2 블록체인 네트워크는 상기 제 1 블록체인 네트워크로부터 노출시킬 정보를 전달받아 저장하는 상위블록체인 서버이다. 또한, 상기 제 1 블록체인 네트워크 및 상기 제 2 블록체인 네트워크는 저장된 데이터를 고정된 길이의 데이터로 변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다.
상기 블록체인은 비교적 적은 수의 노드를 가진 블록체인을 프라이빗 블록체인(private blockchain)이라 부르며, 비교적 많은 수의 노드를 가진 퍼블릭 블록체인(public blockchain)이라고 지칭하고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 1 블록체인 네트워크 및 제 2 블록체인 네트워크는, 각각 프라이빗 블록체인(private blockchain)과 퍼블릭 블록체인(public blockchain)으로 대체하여 적용 가능하다.
상기 블록체인 보유 제 1 블록체인 네트워크는 현재 내용의 요약된 내용 또는 일부분을, 고정된 길이의 데이터로 변환한다. 이때, 고정된 길이의 데이터로 변환된 정보를 노출시킬 정보라고 하며, 상기 노출시킬 정보는 블록체인 내에서 거래, 매매, 사건 등과 같은 개별 정보의 단위를 일정한 주기로 저장한다. 즉, 한 블록체인 시스템에서 변환된 노출시킬 정보는 타 블록체인 시스템이자 상위 블록체인 시스템으로 저장되어 신뢰성을 높이게 된다.
이때, 상기 노출시킬 정보는 앵커링 실시예에 따라 해시 정보 등의 정보 일 수 있다. 상기 해시 정보는, 저장을 위한 일반적인 방법 중 하나로서, 꼭 해시 정보를 저장하는 것에 국한하지 않고 실시예에 따라 다양한 정보를 적용 가능하다.
또한, 상기 제 1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기록된 노출시킬 정보를 상위 블록체인 보유 제 2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저장하는 주기도 일정한 주기에 따라 수행 가능하다. 또한 다른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제 1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기록된 노출시킬 정보는 사용자가 설정한 특정한 조건이 충족되는 경우마다 저장하는 것 또한 가능하다.
즉, 상기 제 1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기록된 노출시킬 정보는 적어도 하나 이상이 결합되고, 개별 정보의 단위로 일정한 주기마다 결합되어 상기 제 2 블록체인 네트워크로 전송된다.
앵커링이 자주 일어나게 되면, 블록체인간의 트래픽이 자주 일어나게 되어 사용자의 체감 속도가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으며, 앵커링이 너무 적게 일어나게 되면, 프라이빗 블록체인의 안정성이 떨어져 신뢰할 수 없는 결과가 나타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일정한 주기 또는 특정 조건에 따라 저장하게 된다면 사용자의 체감 속도가 떨어지지 않고,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주기적으로 프라이빗 블록체인의 정보를 저장하여 추가적으로 검증받는 과정을 수행하기 위한 과정을 다음 실시예에 따라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제 1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저장된 노출시킬 정보를 제 2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전송할 시, 노출시킬 정보 각각을 전송하는 것이 아닌, 적어도 하나 이상의 노출시킬 정보를 결합하여 전송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노출시킬 정보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노출시킬 정보를 결합할 시, 검증을 받아야 하는 대상이 명시적으로 드러나 있을 경우, 특정 메시지나 사건의 발생 여부를 바로 확인 및 공표함과 동시에 앵커링을 진행 가능하다. 일 실시예로, 두 계좌가 메시지를 주고 받을 때, 금액에 대한 부분만 노출시킬 정보로 결합하여 전송하고, 나머지 일반적인 대화 메시지는 노출시킬 정보로 결합하지 않고 제외 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 인터넷 상에서 계약을 체결할 시, 계약 정보 중 필요한 정보만 골라 노출시킬 정보로 결합하여 전송하고, 나머지 일반적인 사항들은 결합하지 않고 제외 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은 온라인(online) 앵커링이라 정의할 수 있다.
또한, 제 1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저장된 노출시킬 정보를 제 2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전송할 시, 앵커링 하고자 하는 대상 노출시킬 정보를 미리 선택하지 않고 동적으로 선택하여 전송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앵커링의 대상 정보를 미리 고정하지 않고 동적으로 선택하는 것 또한 가능하다. 상기 대상 정보를 동적으로 선택하는 방법에 있어, 사용자가 미리 설정한 일정한 기준에 따라 선택되거나 또는 무작위로 선택될 수 있다.
이러한 앵커링 방법을 동적(dynamic) 앵커링 방법으로 정의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상기 동적(dynamic) 앵커링은 앵커링의 시점과 대상을 선택가눙하다. 즉, 거래나 대화의 중간에도 공증이 필요한 경우, 즉각적으로 앵커링을 실시하여 해당 거래나 대화 만을 퍼블릭 블록체인(public blockchain)에 기록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메세지를 주고 받고자 하는 두명 사이에 주고 받는 정보들일 경우, 주고 받는 정보들 중 중요하다고 판단되는 메시지는 앵커링을 진행하면서 전달하는 방식으로 검증 받을 수 있다. 즉, 다른 예로, 투표에 블록체인을 적용 할 경우, 사용자는 투표의 결과를 확인하는 과정만 앵커링할지, 또는 투표하는 과정 자체도 앵커링 할지, 또는 미리 기설정한 조건에 따라 투표의 결과가 박빙이 되는 경우에만 투표하는 과정을 앵커링 할지 등을 설정 가능하다. 즉, 상기 동적(dynamic) 앵커링은, 원하는 정보를 언제든지 퍼블릭 블록체인에 노출시켜, 안정성을 확보 가능하다.
일견 온라인 앵커링과 동적 앵커링은 둘 다 상태에 기반하여 고정된 노출시킬 정보를 앵커링하지 않는다는 점에서는 공통되지만, 예를 들어, 온라인 앵커링은 앵커링할 데이터(노출시킬 정보)를 사용자의 설정 변경에 의해 변경하는 반면 동적 앵커링은 앵커링할 데이터가 특정 블록체인의 상황에 따라 특정 성능을 만족시키도록 동적으로 변경될 수 있다. 동적 앵커링의 구현 예로는, 시스템의 무결성과 시스템의 응답속도를 모두 고려하여 응답속도가 너무 느려지는 경우에는 앵커링할 데이터나 주기 등을 시스템 응답속도가 높은 방향으로 변경하고, 큰 거래대금이 오고가는 것처럼 시스템의 무결성이 매우 중요한 시점에는 앵커링할 데이터, 주기 등을 강한 정도로 설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제 1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저장된 노출시킬 정보는 리플렉터(reflector)를 통하여 앵커링 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플렉터를 이용한 앵커링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2를 참조하여, 리플렉터를 이용한 앵커링에 대해 좀 더 상세히 살펴본다.
상기 리플렉터는 입력된 정보를 송신자에게 복제하여 재전송하는 장치로서, 도2를 살펴보면, 상기 제 1 블록체인 네트워크의 노출시킬 정보를 상기 제 2 블록체인 네트워크로 전달하기 위해, 상기 제 1 블록체인 네트워크에서 상기 제 2 블록체인 네트워크로 정보를 전송하는 아웃바운드 릴레이(Outbound Relay) 와 상기 제 2 블록체인 네트워크에서 상기 제 1 블록체인 네트워크로 정보를 전송하는 인바운드 릴레이(Inbound Relay)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 2 블록체인 네트워크에서 동작하며, 상기 아웃바운드 릴레이(Outbound Relay)에서 받은 정보를 상기 인바운드 릴레이(Inbound Relay)에 복제하는 리플렉터가 더 구비되어 있다. 즉, 도2를 참조하면, 하나의 계정 또는 하나의 계약 등에서 메시지를 앵커링을 통하여 저장하고자, 동적으로 결정한다면, 사용자는 아웃바운드 릴레이(Outbound Relay)를 통하여 상위 블록체인을 거쳐서 전송 가능하다. 즉, 상기 리플렉터는 상위 블록체인에서 동작하며, 아웃바운드 릴레이(Outbound Relay)에서 받은 정보를 인바운드 릴레이(Inbound Relay)에 복제하여 알려주는 역할을 한다.
이때, 상기 릴레이(relay)는 아웃바운드 릴레이(outbound relay)와 인바운드 릴레이(inbound relay)로 구성된다. 상기 아웃바운드 릴레이(outbound relay)는 상기 앵커링을 지원하기 위하여 상위 블록체인 시스템으로 메시지를 전송하는 릴레이이며, 상기 인바운드 릴레이(inbound relay)는 상위 블록체인 시스템에서 하위 블록체인 시스템으로 메시지를 전달하는 릴레이이다. 상기와 같은 실시예에서, 상기 릴레이는, 노출시킬 정보를 전달하기 위해 구비된 것으로, 실시예에 따라, 서버, S/W 프로그램, 클라우드 서비스 등 다양한 장치로 구현 가능하다.
즉, 상기 노출시킬 정보는 아웃바운드 릴레이(Outbound Relay)로부터 제 2 블록체인 네트워크로 전송되며, 상기 전송된 노출시킬 정보는 인바운드 릴레이(Inbound Relay)에 복제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릴레이(relay)는, 아웃바운드 릴레이(Outbound Relay)와 inbound relay를 분리하여 메시지를 전달하였지만, 다른 실시예에 따라 하나의 릴레이(relay)만을 구성하여 아웃바운드 릴레이(Outbound Relay)와 인바운드 릴레이(Inbound Relay)의 기능 모두를 수행하는 것 또한 가능하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아웃바운드 릴레이(outbound relay)와 인바운드 릴레이(inbound relay)의 실시예이다. 도 3을 참조하여 상기 아웃바운드 릴레이(outbound relay)와 인바운드 릴레이(inbound relay) 구체적인 실시예에 대해 좀 더 상세히 설명한다.
블록체인 시스템을 포함하는 제 1 블록체인 네트워크 및 제 2 블록체인 네트워크내에 계약정보를 보함하는 계정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 1 블록체인 네트워크의 정보를 제 2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앵커링 할 시, 상기 제 1 블록체인 네트워크의 연결모듈, 제 2 블록체인 네트워크의 연결모듈 및 제 1 블록체인 네트워크 및 제 2 블록체인 네트워크간의 젼환 모듈이 하나로 구성되어 인바운드 릴레이 및 아웃바운드 릴레이 역할을 동시에 하게 된다.
제 1 블록체인 네트워크의 정보를 제 2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앵커링 할 시, 앵커링 하고자 하는 정보를 블록체인 제 1 블록체인 네트워크의 연결모듈의 계정에 전송한다. 상기 정보를 수신받은 연결모듈은, 해당 정보의 입력을 감지한다. 상기 연결모듈은 해당 정보의 입력을 감지할 시, 블록체인에서 제공하는 event 시스템을 이용하거나 또는 블록체인 내의 거래를 모니터링하여 확인 가능하다.
또한, 앵커링을 위해 전송된 정보는, 블록체인 거래 정보 변환 모듈에서, 해당 정보를 제 2 블록체인 네트워크에서 사용가능한 구조로 변경한다. 즉, 제 2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해당하는 정보 구조로 변환한다.
상기 앵커링 하고자 하는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거래는, 제 2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통해 리플렉터(reflector)에 전송된다. 상기 리플렉터는 해당정보를 다시 제 2 블록체인 네트워크의 계정으로 전송한다. 송신된 정보는 변환과정을 다시 거쳐 제 1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전달되어, 앵커링의 결과를 확인 가능하다.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적용범위가 다양함은 물론이고,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100 : 리플렉터
200 : 아웃바운드 릴레이(Outbound Relay)
300 : 인바운드 릴레이(Inbound Relay)
200 : 아웃바운드 릴레이(Outbound Relay)
300 : 인바운드 릴레이(Inbound Relay)
Claims (5)
- 블록체인을 앵커링 하는 장치에 있어서,
사용자의 정보를 이용하여 생성된 노출시킬 정보를 포함하는 블록체인 보유 제 1 블록체인 네트워크;
상기 제 1 블록체인 네트워크로부터 노출시킬 정보를 전달받아 저장하는, 상위 블록체인 보유 제 2 블록체인 네트워크; 및
상기 제 1 블록체인 네트워크 및 상기 제 2 블록체인 네트워크는 저장된 데이터를 고정된 길이의 데이터로 변환하되,
상기 제 1 블록체인 네트워크는 프라이빗 블록체인이며, 상기 제 2 블록체인 네트워크는 퍼블릭 블록체인이며,
상기 제 1 블록체인 네트워크의 노출시킬 정보를 상기 제 2 블록체인 네트워크로 전달하기 위해 상기 제 1 블록체인 네트워크에서 상기 제 2 블록체인 네트워크로 정보를 전송하는 아웃바운드 릴레이;
상기 제 2 블록체인 네트워크에서 상기 제 1 블록체인 네트워크로 정보를 전송하는 인바운드 릴레이; 및
상기 제 2 블록체인 네트워크에서 동작하며, 상기 아웃바운드 릴레이에서 받은 정보를 상기 인바운드 릴레이에 복제하는 리플렉터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 1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저장된 노출시킬 정보를 제 2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저장하기 위해 전송할 시, 앵커링 하고자 하는 대상인 노출시킬 정보를 미리 선택하지 않고 동적으로 선택하여 전송하며 동적으로 선택하는 방법에 있어 사용자가 미리 설정한 일정한 기준에 따라 선택되거나 또는 무작위로 선택되고, 동적으로 선택되는 시점과 대상이 선택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 1 블록체인 네트워크 및 상기 제 2 블록체인 네트워크 내에는 계약정보를 포함하는 계정이 형성되며,
상기 제 1 블록체인 네트워크의 정보를 제 2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앵커링 할 시, 상기 제 1 블록체인 네트워크의 연결모듈, 제 2 블록체인 네트워크의 연결모듈 및 제 1 블록체인 네트워크 및 제 2 블록체인 네트워크간의 전환 모듈이 하나로 구성되어, 상기 아웃바운드 릴레이와 상기 인바운드 릴레이의 역할을 동시에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체인을 앵커링하는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블록체인 네트워크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노출시킬 정보를 결합하여, 제 2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체인을 앵커링 하는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블록체인 네트워크는
사용자가 설정하는 기준에 따라 또는 무작위로 선택되는 노출시킬 정보를 결합하여 제 2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체인을 앵커링 하는 장치.
- 삭제
- 제1항 내지 제3항 중 선택되는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노출시킬 정보는
해시 정보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체인을 앵커링하는 장치.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103900A KR102195427B1 (ko) | 2018-08-31 | 2018-08-31 | 블록체인을 앵커링 하는 장치 |
PCT/KR2019/006484 WO2020045799A1 (ko) | 2018-08-31 | 2019-05-30 | 블록체인을 앵커링 하는 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103900A KR102195427B1 (ko) | 2018-08-31 | 2018-08-31 | 블록체인을 앵커링 하는 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025907A KR20200025907A (ko) | 2020-03-10 |
KR102195427B1 true KR102195427B1 (ko) | 2020-12-28 |
Family
ID=696445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103900A KR102195427B1 (ko) | 2018-08-31 | 2018-08-31 | 블록체인을 앵커링 하는 장치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KR (1) | KR102195427B1 (ko) |
WO (1) | WO2020045799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1709751B (zh) * | 2020-06-20 | 2023-03-17 | 山西警察学院 | 一种区块链中锚节点的拓展化方法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835521B1 (ko) * | 2016-12-29 | 2018-04-19 | 주식회사 코인플러그 | 블록체인 내의 블록별로 밸런스 데이터베이스를 관리하여 통합 포인트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지원 서버 |
Family Cites Familie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10200198B2 (en) * | 2015-06-11 | 2019-02-05 | PeerNova, Inc. | Making cryptographic claims about stored data using an anchoring system |
KR101865073B1 (ko) * | 2016-04-19 | 2018-06-07 | 가천대학교 산학협력단 | 개인화된 건강 데이터 중계 시스템 및 방법 |
KR101877335B1 (ko) * | 2017-01-02 | 2018-08-09 | 주식회사 코인플러그 | 블록체인 및 이와 연동되는 머클 트리 구조 기반의 모바일 아이디를 이용하여 사용자를 비대면 인증하는 방법, 단말 및 이를 이용한 서버 |
KR101816651B1 (ko) * | 2017-02-14 | 2018-01-09 | 주식회사 코인플러그 | Utxo 기반 프로토콜의 블록체인 데이터베이스를 사용하여 서비스 제공 서버에 의하여 제공되는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한 사용자의 로그인 요청에 대하여 pki 기반의 인증을 통해 로그인을 대행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서버 |
KR101816653B1 (ko) * | 2017-02-14 | 2018-02-21 | 주식회사 코인플러그 | 스마트 컨트랙트 및 블록체인 데이터베이스를 사용하여 서비스 제공 서버에 의하여 제공되는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한 사용자의 로그인 요청에 대하여 pki 기반의 인증을 통해 로그인을 대행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서버 |
-
2018
- 2018-08-31 KR KR1020180103900A patent/KR102195427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9
- 2019-05-30 WO PCT/KR2019/006484 patent/WO2020045799A1/ko active Application Filing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835521B1 (ko) * | 2016-12-29 | 2018-04-19 | 주식회사 코인플러그 | 블록체인 내의 블록별로 밸런스 데이터베이스를 관리하여 통합 포인트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지원 서버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WO2020045799A1 (ko) | 2020-03-05 |
KR20200025907A (ko) | 2020-03-1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108848119B (zh) | 跨区块链的交互方法及装置、系统、电子设备 | |
US11729129B2 (en) | Message quests for rapid re-hosting of client devices | |
JP7432686B2 (ja) | ブロックチェーンネットワークにおける効率的な伝播のための確率的リレー | |
CN111164935A (zh) | 在基于区块链的私有交易中提供隐私和安全保护的系统和方法 | |
CN108667717B (zh) | 基于即时通信消息记录的区块链处理方法、介质、装置和计算设备 | |
JP6046726B2 (ja) | 災害復旧システム及び方法 | |
CN112948153B (zh) | 一种消息跨链传输的方法和装置 | |
CN110915164A (zh) | 基于可信执行环境中执行的智能合约操作处理区块链数据 | |
Kang et al. | The pump: A decade of covert fun | |
JP2020524434A (ja) | ブロックチェーン・ネットワークにおける高速伝搬のための方法及び特殊ネットワーク・ノード | |
CN113067707B (zh) | 基于区块链的数据处理方法、装置、设备及可读存储介质 | |
CN109716317A (zh) | 用于创建时间准确的事件流的系统和方法 | |
KR20200089687A (ko) | 블록체인 네트워크와 같은 네트워크에서 데이터의 전파 및 통신을 위한 컴퓨터 구현 시스템 및 방법 | |
CN111211911B (zh) | 一种协同签名方法、装置、设备及系统 | |
WO2020011028A1 (en) | System and method for information generation and delivery | |
CN109951490A (zh) | 基于区块链的网页防篡改方法、系统及电子设备 | |
CN107707517B (zh) | 一种HTTPs握手方法、装置和系统 | |
KR102195427B1 (ko) | 블록체인을 앵커링 하는 장치 | |
CN111311254A (zh) | 一种基于区块链的业务处理方法、装置和系统 | |
CN102099812A (zh) | 用于验证远程数据的完整性的协议 | |
KR102195429B1 (ko) | 블록체인의 앵커링 방법 | |
CN101188574B (zh) | 一种即时通信用户之间的信息传送方法及系统 | |
Halpin | Deconstructing the decentralization trilemma | |
JP2006215910A (ja) | 災害情報伝達システム | |
Blundo et al. | Certified email: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a new optimistic protocol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