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94048B1 - 모바일 게임을 이용한 암호화폐 마이닝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모바일 게임을 이용한 암호화폐 마이닝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94048B1
KR102194048B1 KR1020190010717A KR20190010717A KR102194048B1 KR 102194048 B1 KR102194048 B1 KR 102194048B1 KR 1020190010717 A KR1020190010717 A KR 1020190010717A KR 20190010717 A KR20190010717 A KR 20190010717A KR 102194048 B1 KR102194048 B1 KR 1021940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ryptocurrency
module
block chain
game
mobile g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107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93345A (ko
Inventor
김철웅
Original Assignee
김철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철웅 filed Critical 김철웅
Priority to KR10201900107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94048B1/ko
Publication of KR202000933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933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940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940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07Discounts or incentives, e.g. coupons or rebates
    • G06Q30/0215Including financial accounts
    • G06Q30/0216Investment account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90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video game devic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3F13/20 or A63F13/25, e.g. housing, wiring, connections or cabinets
    • A63F13/92Video game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be hand-held while play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4Payment circuits
    • G06Q20/06Private payment circuits, e.g. involving electronic currency used among participants of a common payment scheme
    • G06Q20/065Private payment circuits, e.g. involving electronic currency used among participants of a common payment scheme using e-cash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6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electronic wallets or electronic money safes
    • G06Q20/367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electronic wallets or electronic money safes involving electronic purses or money safes
    • G06Q20/3678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electronic wallets or electronic money safes involving electronic purses or money safes e-cash details, e.g. blinded, divisible or detecting double spend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07Discounts or incentives, e.g. coupons or rebates
    • G06Q30/0209Incentive being awarded or redeemed in connection with the playing of a video gam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40/00Finance; Insurance; Tax strategies; Processing of corporate or income taxes
    • G06Q40/06Asset management; Financial planning or analysi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Technology Law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모바일 게임을 이용한 암호화폐 마이닝 시스템 및 방법이 개시된다. 모바일 단말 상에서 실행되는 모바일 게임 모듈; 상기 모바일 게임 모듈을 실행하여 사용자가 획득하는 포인트(point)에 상응하는 소정의 암호화폐를 자동 생성하는 암호화폐 마이닝 모듈; 상기 암호화폐 마이닝 모듈에서 자동 생성된 암호화폐를 이용하여 블록체인(blockchain)을 생성하는 블록체인 생성 모듈; 상기 블록체인 생성 모듈에서 생성된 블록체인을 실시간 갱신 저장하고, 실시간 갱신 저장된 블록체인을 다른 노드(node)로 실시간 송신하는 지갑 프로그램 모듈을 구성한다. 상술한 모바일 게임을 이용한 암호화폐 마이닝 시스템 및 방법에 의하면, 모바일 게임의 획득 포인트에 상응하는 암호화폐를 사용자의 유료 가입비/구입비의 한도 내에서 마이닝할 수 있도록 구성됨으로써, 오프라인 상의 경제 규모 내에서 자본이나 시설이 부족한 많은 일반 사용자들이 암호화폐를 채굴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유투브(Youtube) 등의 콘텐츠(contents)를 업로드하거나 실제 오프라인 상의 카드 포인트나 적립 포인트를 적립하는 경우, 이에 상응하는 암호화폐를 마이닝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암호화폐의 탈중앙화와 공유경제를 실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모바일 게임을 이용한 암호화폐 마이닝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OF MINING CRYPTOCURRENCY USING MOBILE GAME}
본 발명은 암호화폐 마이닝(cryptocurrency mining)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모바일 게임(mobile game)을 이용한 암호화폐 마이닝 및 블록체인(blockchain) 생성 시스템과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암호화폐(cryptocurrency)의 본질은 탈중앙화와 공유경제의 실현에 있다. 그리고 블록체인(blockchain)은 암호화폐의 본질과 취지를 뒷받침하기 위한 필요불가결한 관계를 갖는다.
암호화폐를 마이닝(mining)하여 합의를 하는 과정에 있어서는 가장 널리 이용되는 방식인 작업증명방식(Proof of Work)이 이용되고 있다.
그런데, 작업증명방식의 마이닝 과정에서 실제로는 탈중앙화와 공유경제의 실현에 반하는 요소들이 나타나고 있다.
실제 마이닝을 하는 주체들은 많은 자본을 보유하거나 지원을 받는 자들이며, 이들은 고성능의 CPU, GPU, ASIC을 갖는 수백대의 서버를 가동하여 마이닝을 하고 있다. 여기서 수많은 전기를 소모하게 되고 전기요금 또한 상상을 초월할 정도이다. 이러한 현실적인 문제는 탈중앙화와 공유경제에 반하는 결과를 낳게 된다.
마이닝의 과정 자체에서 탈중앙화와 공유경제에 합하는 프로세스를 유도할 필요가 있으며, 고가의 수많은 컴퓨터와 전기요금을 감당하지 않아도 암호화폐를 채굴할 수 있는 채굴 방식이 요구되고 있다.
10-2015-0129098 10-1668793
본 발명의 목적은 모바일 게임을 이용한 암호화폐 마이닝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모바일 게임을 이용한 암호화폐 마이닝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에 따른 모바일 게임을 이용한 암호화폐 마이닝 시스템은, 모바일 단말 상에서 실행되는 모바일 게임 모듈; 상기 모바일 게임 모듈을 실행하여 사용자가 획득하는 포인트(point)에 상응하는 소정의 암호화폐를 자동 생성하는 암호화폐 마이닝 모듈; 상기 암호화폐 마이닝 모듈에서 자동 생성된 암호화폐를 이용하여 블록체인(blockchain)을 생성하고, 생성된 블록체인을 다른 노드(node)로 실시간 송신하는 블록체인 생성 모듈; 상기 블록체인 생성 모듈에서 생성된 블록체인을 실시간 갱신 저장하여 암호화폐를 보유하는 지갑 프로그램 모듈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모바일 게임 모듈은, 퀴즈 게임, 퍼즐 게임, 보드 게임, 아케이드(arcade) 게임, 어드벤처(adventure) 게임, 시뮬레이션(simulation) 게임, 롤플레잉(RPG), 카지도 게임, 로또 게임, 스낵 게임, 스포츠 게임, 액션 게임, 캐쥬얼 게임, 레이싱 게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에 따른 모바일 게임을 이용한 암호화폐 마이닝 방법은, 모바일 단말 상에서 모바일 게임 모듈이 실행되는 단계; 암호화폐 마이닝 모듈이 상기 실행되는 모바일 게임 모듈에서 사용자가 획득하는 포인트(point)에 상응하는 소정의 암호화폐를 자동 생성하는 단계; 블록체인(blockchain) 생성 모듈이 상기 암호화폐 마이닝 모듈에서 자동 생성된 암호화폐를 이용하여 블록체인을 생성하는 단계; 지갑 프로그램 모듈이 상기 블록체인 생성 모듈에서 생성된 블록체인을 실시간 갱신 저장하는 단계; 상기 지갑 프로그램 모듈이 상기 실시간 갱신 저장된 블록체인을 다른 노드(node)로 실시간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모바일 게임 모듈은, 퀴즈 게임, 퍼즐 게임, 보드 게임, 아케이드(arcade) 게임, 어드벤처(adventure) 게임, 시뮬레이션(simulation) 게임, 롤플레잉(RPG), 카지도 게임, 로또 게임, 스낵 게임, 스포츠 게임, 액션 게임, 캐쥬얼 게임, 레이싱 게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술한 모바일 게임을 이용한 암호화폐 마이닝 시스템 및 방법에 의하면, 모바일 게임의 획득 포인트에 상응하는 암호화폐를 사용자의 유료 가입비/구입비의 한도 내에서 마이닝할 수 있도록 구성됨으로써, 오프라인 상의 경제 규모 내에서 자본이나 시설이 부족한 많은 일반 사용자들이 암호화폐를 채굴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유투브(Youtube) 등의 콘텐츠(contents)를 업로드하거나 실제 오프라인 상의 카드 포인트나 적립 포인트를 적립하는 경우, 이에 상응하는 암호화폐를 마이닝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암호화폐의 탈중앙화와 공유경제를 실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게임을 이용한 암호화폐 마이닝 시스템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암호화폐 지갑 프로그램의 암호화 알고리즘의 모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게임을 이용한 암호화폐 마이닝 방법의 흐름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제1, 제2, A, B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게임을 이용한 암호화폐 마이닝 시스템의 블록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암호화폐 지갑 프로그램의 암호화 알고리즘의 모식도이다.
먼저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게임을 이용한 암호화폐 마이닝 시스템(100)은 모바일 게임(mobile game) 모듈(110), 콘텐츠(contents) 제공 모듈(120), 포인트(point) 적립 모듈(130), 사용자 인증 모듈(140), 암호화폐 마이닝(cryptocurrency mining) 모듈(150), 블록체인(blockchain) 생성 모듈(160), 지갑 프로그램 모듈(170)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하, 세부적인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모바일 게임 모듈(110)은 모바일 단말 상에서 실행되는 게임으로서, 퀴즈 게임, 퍼즐 게임, 보드 게임, 아케이드(arcade) 게임, 어드벤처(adventure) 게임, 시뮬레이션(simulation) 게임, 롤플레잉(RPG), 카지도 게임, 로또 게임, 스낵 게임, 스포츠 게임, 액션 게임, 캐쥬얼 게임, 레이싱 게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게임의 종류는 한정하지 않는다.
모바일 게임 모듈(110)은 모바일 게임 서버(10)에 접속하여 실행되는 온라인 게임이 될 수 있다.
모바일 게임 모듈(110)은 사용자가 사용자 계정을 가지며, 사용자는 일정 가입비나 아이템 구입비 등을 모바일 게임 서버(10) 측으로 지불할 수 있다.
사용자는 모바일 게임을 즐기면서 다양한 포인트를 획득할 수 있는데, 모바일 게임 서버(10)는 그 사용자의 계정에 모바일 게임 포인트를 적립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콘텐츠 제공 모듈(120)은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책, 동영상, 뉴스, 디자인, 책, 문자, 이미지 등의 다양한 정보를 웹(web) 서버(20)로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네이버(NAVER) 사이트(web site)에 지식인 정보를 업로드하거나 유투브(Youtube)에 동영상 콘텐츠를 업로드하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
사용자 자신의 네이버 계정 또는 유투브 계정을 통해 이러한 자신의 창의적인 콘텐츠나 지식 콘텐츠 등을 업로드하는 활동을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유투브의 경우 동영상 콘텐츠를 업로드하는 경우 조회수나 광고 노출에 상응하는 현금을 유투버(Youtuber)에게 지급한다. 그런데, 본 발명에서는 유투브 서버가 그 현금 대신 그 조회수나 광고 노출에 상응하는 유투브 포인트를 적립할 수 있다. 물론, 업로드만으로도 그에 상응하는 콘텐츠 포인트를 적립할 수 있다.
포인트 적립 모듈(130)은 사용자가 다양한 온라인 활동 또는 오프라인 활동을 통해 포인트를 생성하고, 포인트 서버(30)는 그 사용자의 계정에 포인트를 적립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포인트는 신용카드 포인트, 주유 포인트, 온라인 판매 사이트의 구매 적립 포인트 등 다양한 포인트를 망라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모바일 게임 포인트와 콘텐츠 포인트 그 외에 다양한 적립 포인트는 모두 사용자의 온라인/오프라인 경제 활동이나 지식 활동에 기반하며, 기존처럼 수많은 서버를 보유한 자의 작업에 의해 무한정 생성할 수 있는 것이 아니다.
사용자 인증 모듈(140)은 사용자가 갖는 모바일 게임 서버(10)의 계정 정보, 웹 서버(20)의 계정 정보, 포인트 서버(30)의 계정 정보를 요청하고 수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 인증 모듈(140)은 지갑 프로그램 모듈(170)의 사용자 정보를 앞서 수신한 모바일 게임 서버(10)의 계정 정보, 웹 서버(20)의 계정 정보, 포인트 서버(30)의 계정 정보와 대비하여 동일한 사용자인지 여부를 인증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모바일 게임 서버(10), 웹 서버(20), 포인트 서버(30)는 해당 계정의 포인트를 사용자 인증 모듈(140)로 제공하고, 사용자 인증 모듈(140)은 해당 사용자의 포인트를 암호화폐 마이닝 모듈(150)로 전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암호화폐 마이닝 모듈(150)은 사용자 인증 모듈(140)에서 인증된 모바일 게임 포인트, 콘텐츠 포인트, 각종 적립 포인트를 전달받고, 그 포인트들에 상응하는 암호화폐를 자동 생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각 포인트 대 암호화폐의 가치 비율은 다르게 설정될 수 있으며, 암호화폐의 종류 역시 각각 다를 수도 있다. 한편, 모바일 게임 포인트의 경우 사용자가 지불한 가입비/아이템구입비 등의 한도 내에서 암호화폐를 생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블록체인 생성 모듈(160)은 암호화폐 마이닝 모듈(150)에서 자동 생성된 암호화폐를 이용하여 블록체인을 생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블록체인 생성 모듈(160)은 암호화폐 저장부(161), 블록 생성부(162), 블록체인 생성부(163), 블록체인 송신부(164)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하, 세부적인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암호화폐 저장부(161)는 암호화폐 마이닝 모듈(150)에서 수신한 암호화폐를 저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블록 생성부(162)는 암호화폐 저장부(161)에 저장된 암호화폐를 이용하여 블록을 생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블록체인 생성부(163)는 블록 생성부(162)에서 생성된 블록을 기존에 지갑 프로그램 모듈(170)에 이미 저장되어 있는 암호화폐의 블록체인에 연결하여 블록체인을 생성할 수 있다. 생성된 블록체인은 지갑 프로그램 모듈(170)에 다시 전달될 수 있다.
여기서, 블록체인 생성부(163)는 격자 암호(lattice cryptography) 방식을 기반으로 하는 공개키 암호화 알고리즘을 사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2는 이러한 격자 암호 방식을 모식화하여 나타내고 있다.
격자 암호화는 양자 컴퓨터의 양자 공격(quantum attack)에 대비할 수 있는 암호화 기법으로서, 포스트 양자 알고리즘(post quantum algorithm)의 하나이다.
격자(lattice)는 n차원의 공간 R에서 점들이 규칙적, 주기적, 반복적으로 격자 무늬(grid) 배열로 배치되어 있는 것을 의미한다. 여기서, 각 점을 격자점(lattice point)라 하고, 격자점의 집합이 격자이다.
격자점은 특정한 간격 및 각도의 패턴으로 무한 반복되며, 베이시스 벡터(basis vector)에 의해서 결정된다. n차원의 공간 R에는 수많은 벡터값들이 존재하며, 격자 암호화 기법은 수백 차원의 격자에서 임의의 위치를 정하고, 이로부터 '가장 가까운 격자점은 찾기가 어렵다'는 전제에 기반한다.
즉, 가장 가까운 격자점을 찾기 위해 계산하는 데 엄청난 시간이 필요하다. 이에 따라 변형된 격자 구조 내의 좌표에 정보를 숨기고 인가 받은 사람만 본래의 격자 구조의 정보를 알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통상 시작하는 임의의 위치(A)는 퍼블릭 키(public key)를 만드는데 사용하고, 가장 가까운 격자점 B인 가장 짧은 벡터(shortest vector)는 개인키(private key)를 만드는데 사용할 수 있다.
이를 기반으로 격자 기반 해쉬(래쉬)(lattice based Hash(Lash))를 적용할 수 있다.
블록체인 송신부(164)는 블록체인 생성 부(163)에 의해 새로 생성된 블록체인을 다른 노드(node)(40)로 송신할 수 있다. 이러한 블록체인은 다른 노드(40)에 분산 저장되어 분산 장부로서의 기능을 할 수 있다.
지갑 프로그램 모듈(170)은 암호화폐의 블록체인을 사용자가 자신의 모바일 단말 상에 직접 보유하기 위한 구성이다.
지갑 프로그램 모듈(170)은 동일성 인증부(171), 블록체인 갱신 저장부(172), 암호화폐 이체부(173)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하, 세부적인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동일성 인증부(171)는 사용자 인증 모듈(140)에 지갑 프로그램의 사용자 정보를 제공하여 사용자 인증 모듈(140)의 사용자 인증을 지원하기 위한 구성이다.
블록체인 갱신 저장부(172)는 블록체인 생성부(163)에서 생성된 블록체인을 갱신하여 저장하기 위한 구성이다.
암호화폐 이체부(173)는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암호화폐가 담긴 블록체인을 특정의 다른 노드(50)의 지갑 프로그램으로 이체하기 위한 구성이다.
암호화폐 이체부(173)는 격자 암호화 기법을 이용하여 다른 노드(50)의 지갑 프로그램으로 암호화폐를 이체할 수 있다.
여기서, 도 2를 다시 참조하면, A 점을 공개키로 암호화하고 n 차원에서 B 점을 개인키로 암호화하면, 공개키의 A지점은 누군가의 지갑 프로그램 주소가 되고, 개인키의 B지점은 지갑의 암호 화폐를 보낼 수 있는 목적지의 암호키가 된다. 이 때 지갑 주소인 공개키 A는 모두에게 공개되기 때문에 알게 되지만, 개인키인 B는 n차원이므로 거의 알 수가 없다.
다시 말해, 평면에서 A 점을 알면 B 점은 얼마 지나지 않아 찾아낼 수 있지만 이것이 입체적으로 무한대로 이루어진 n차원에서 B 점은 찾기가 어렵다. 이로써 지갑의 보안 상태를 무한대로 높일 수 있어, 양자 컴퓨터에도 대응할 수 있는 보안 상태가 만들어진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게임을 이용한 암호화폐 마이닝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모바일 단말 상에서 모바일 게임 모듈(110)이 실행된다(S101).
여기서, 모바일 게임 모듈(110)은 퀴즈 게임, 아케이드(arcade) 게임, 어드벤처(adventure) 게임, 시뮬레이션(simulation) 게임, 롤플레잉(RPG) 게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게임의 종류를 한정하지는 않는다.
다음으로, 암호화폐 마이닝 모듈(150)이 앞서 실행되는 모바일 게임 모듈(110)에서 사용자가 획득하는 포인트에 상응하는 소정의 암호화폐를 자동 생성한다(S102).
다음으로, 블록체인 생성 모듈(160)이 암호화폐 마이닝 모듈(150)에서 자동 생성된 암호화폐를 이용하여 블록체인을 생성한다(S103).
다음으로, 지갑 프로그램 모듈(170)이 블록체인 생성 모듈(160)에서 생성된 블록체인을 실시간 갱신 저장한다(S104).
다음으로, 지갑 프로그램 모듈(170)이 실시간 갱신 저장된 블록체인을 다른 노드(node)(40)로 실시간 송신한다(S105).
이상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10: 모바일 게임 모듈
120: 콘텐츠 제공 모듈
130: 포인트 적립 모듈
140: 사용자 인증 모듈
150: 암호화폐 마이닝 모듈
160: 블록체인 생성 모듈
161: 암호화폐 저장부
162: 블록 생성부
163: 블록체인 생성부
164: 블록체인 송신부
170: 지갑 프로그램 모듈
171: 동일성 인증부
172: 블록체인 갱신 저장부
173: 암호화폐 이체부

Claims (4)

  1. 모바일 게임 서버에 접속하여 모바일 단말 상에서 실행되는 모바일 게임 모듈;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책, 동영상, 뉴스, 디자인, 책, 문자 또는 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정보를 웹(web) 서버로 업로드하는 콘텐츠 제공 모듈;
    상기 모바일 게임 모듈을 통해 실행되는 점수에 상응하는 게임 포인트 및 상기 콘텐츠 제공 모듈에 의해 업로드된 정보의 조회수 또는 광고 노출에 상응하는 콘텐츠 포인트를 사용자 계정에 각각 적립하는 포인트 적립 모듈;
    상기 모바일 게임 서버에 미리 설정된 사용자 계정 정보, 상기 웹 서버에 미리 설정된 사용자 계정 및 상기 포인트 서버에 미리 설정된 사용자 계정 정보를 각각 요청하여 수신하고, 수신된 각 사용자 계정 정보를 인증하는 사용자 인증 모듈;
    상기 사용자 인증 모듈에 의해 인증된 각 사용자 계정 정보의 게임 포인트 및 콘텐츠 포인트에 상응하는 암호화폐를 채굴하여 자동 생성하는 암호화폐 마이닝 모듈;
    상기 암호화폐 마이닝 모듈에서 자동 생성된 암호화폐를 이용하여 블록체인(blockchain)을 생성하고, 생성된 블록체인을 다른 노드(node)로 실시간 송신하는 블록체인 생성 모듈;
    상기 블록체인 생성 모듈에서 생성된 블록체인을 실시간 갱신 저장하여 암호화폐를 보유하는 지갑 프로그램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모바일 게임 모듈은,
    퀴즈 게임, 퍼즐 게임, 보드 게임, 아케이드(arcade) 게임, 어드벤처(adventure) 게임, 시뮬레이션(simulation) 게임, 롤플레잉(RPG), 카지도 게임, 로또 게임, 스낵 게임, 스포츠 게임, 액션 게임, 캐쥬얼 게임, 레이싱 게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구성되고,
    상기 블록체인 생성 모듈은,
    상기 암호화폐 마이닝 모듈로부터 수신된 암호화폐를 저장하는 암호화폐 저장부;
    상기 암호화폐 저장부에서 저장된 암호화폐를 이용하여 블록을 생성하는 블록 생성부;
    상기 블록 생성부에서 생성된 블록을 이용하여 상기 지갑 프로그램 모듈에 이미 저장되어 있는 암호화폐의 블록체인에 연결하여 블록체인을 생성하는 블록체인 생성부;
    상기 블록체인 생성부에서 생성된 블록체인을 다른 노드로 송신하여 분산 저장하는 블록체인 송신부를 포함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지갑 프로그램 모듈은,
    상기 사용자 인증 모듈이 사용자 인증을 할 수 있도록 상기 지갑 프로그램 모듈의 사용자 정보를 상기 사용자 인증 모듈로 제공하는 동일성 인증부;
    상기 블록체인 생성부에서 생성된 블록체인을 갱신하여 저장하는 블록체인 갱신 저장부;
    상기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암호화폐가 담긴 블록체인을 분산 장하기 위해 다른 노드로 이체하는 암호화폐 이체부를 포함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블록체인 생성부는,
    격자 암호(lattice cryptography) 방식을 기반으로 하는 공개키 암호화 알고리즘을 사용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격자는,
    n차원의 공간 R에서 격자점(lattice point)들이 규칙적이고 주기적이고 반복적으로 격자 무늬(grid) 배열로 배치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격자점은,
    소정 간격 및 소정 각도의 변형 패턴으로 무한 반복되며, 베이시스 벡터(basis vector)에 의해서 특정되도록 구성되며, 수백 단위 차원의 변형 패턴의 격자 구조는 소정 위치 A의 격자점을 기준으로 '가장 가까운 격자점의 위치 B도 찾기가 어렵다'는 전제에 기반하여 설정되며,
    상기 기준이 되는 소정 위치 A는,
    모든 사용자에게 공개되는 퍼블릭 키(public key)를 생성하는 데 사용되고,
    상기 가장 가까운 격자점의 위치 B는,
    개인 키(private key)를 생성하는 데 사용되고,
    상기 블록체인 생성부는,
    상기 퍼블릭 키 및 개인 키를 이용하여 격자 기반 해쉬(lattice based Has)를 적용하여 블록체인을 생성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소정 위치 A는,
    소정 사용자의 지갑 프로그램 주소가 되고,
    상기 위치 B는,
    해당 지갑 프로그램 모듈의 암호화폐를 보낼 수 있는 목적지의 암호키가 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모바일 게임을 이용한 암호화폐 마이닝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190010717A 2019-01-28 2019-01-28 모바일 게임을 이용한 암호화폐 마이닝 시스템 및 방법 KR1021940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0717A KR102194048B1 (ko) 2019-01-28 2019-01-28 모바일 게임을 이용한 암호화폐 마이닝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0717A KR102194048B1 (ko) 2019-01-28 2019-01-28 모바일 게임을 이용한 암호화폐 마이닝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93345A KR20200093345A (ko) 2020-08-05
KR102194048B1 true KR102194048B1 (ko) 2020-12-22

Family

ID=720417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10717A KR102194048B1 (ko) 2019-01-28 2019-01-28 모바일 게임을 이용한 암호화폐 마이닝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9404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13847A (ko) 2020-07-27 2022-02-04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압력 측정 유닛 및 배터리 검사 장치
KR102663780B1 (ko) * 2023-06-01 2024-05-10 주식회사 비트코인그룹 실생활 자동 채굴 및 동형암호 기반의 데이터 분석 서비스 중개를 융합한 비트코인 헌터 시스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1244B1 (ko) * 2014-11-06 2016-02-05 주식회사 코인플러그 멤버십 포인트 또는 사이버머니를 블록체인을 갖는 디지털 가상통화로 전환하여 주는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8793B1 (ko) 2010-09-15 2016-10-25 주식회사 엔씨소프트 Pc방 관리자용 가상화폐를 이용한 온라인 게임 재화 대리구매 장치 및 그 방법
KR20150129098A (ko) 2014-05-07 2015-11-19 주식회사 타임백 가상화폐 채굴장치가 구비된 게임시스템
KR102407187B1 (ko) * 2017-04-05 2022-06-10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블록체인 기반 전자 화폐 자동 충전 방법 및 그 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1244B1 (ko) * 2014-11-06 2016-02-05 주식회사 코인플러그 멤버십 포인트 또는 사이버머니를 블록체인을 갖는 디지털 가상통화로 전환하여 주는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93345A (ko) 2020-08-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651217B2 (en) Architectures, systems and methods having segregated secure and public functions
WO2020080145A1 (ja) コンテンツ契約システム、コンテンツ契約方法、権利者端末、譲受人端末、制御端末、コンテンツ蓄積サーバ、権利者プログラム、譲受人プログラム、制御プログラムおよびコンテンツ蓄積プログラム
US11836720B2 (en) Infinitely scalable cryptocurrency system with fast, secure verification
US8433656B1 (en) Group licenses for virtual objects in a distributed virtual world
JP6358658B2 (ja) ブロックチェーン生成装置、ブロックチェーン生成方法、ブロックチェーン検証装置、ブロックチェーン検証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EP4184410A1 (en) Operating system for blockchain iot devices
CN101120351B (zh) 派生种子的分发方法
CN108781161A (zh) 用于控制和分发数字内容的区块链实现的方法
JP2021500831A5 (ko)
JP6709243B2 (ja) 情報処理装置
KR102194048B1 (ko) 모바일 게임을 이용한 암호화폐 마이닝 시스템 및 방법
Grushack Currency 3.0, Examining Digital Crypto Currency Markets
JP2018050973A (ja) 乱数生成システム、乱数生成装置、乱数生成方法及びプログラム
Aggarwal et al. A comparative investigation of consensus algorithms in collaboration with IoT and blockchain
Jennath et al. Survey on blockchain consensus strategies
Rojo-Rivas et al. Kriper: A blockchain network with permissioned storage
Jovanović et al. VoRtex enterprise: Decentralized virtual reality blockchain-based platform
JP7321481B2 (ja) 第1通信装置、第2通信装置、方法、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Sahitya et al. D-lotto: the lottery dapp with verifiable randomness
Mohanty et al. The world of blockchains
Bharimalla et al. ANN based block chain security threat mechanism
KR102483486B1 (ko) 블록체인 기반 케리코인 거래 관리 플랫폼
Dookie Building an Inclusive Distributed Ledger System
Trivedi et al. The Blockchain
JP7482893B2 (ja) ブロックチェーンネットワークを利用して取引コストを減らしながらも公正な抽選を行う方法及び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