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93912B1 - 전력설비의 부분방전 신호 검출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전력설비의 부분방전 신호 검출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93912B1
KR102193912B1 KR1020200087807A KR20200087807A KR102193912B1 KR 102193912 B1 KR102193912 B1 KR 102193912B1 KR 1020200087807 A KR1020200087807 A KR 1020200087807A KR 20200087807 A KR20200087807 A KR 20200087807A KR 102193912 B1 KR102193912 B1 KR 1021939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rtial discharge
signal
noise
peak
detection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878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병갑
백종만
강정원
Original Assignee
한국남부발전(주)
한국서부발전(주)
한국중부발전(주)
한국동서발전(주)
한국남동발전(주)
와이피피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남부발전(주), 한국서부발전(주), 한국중부발전(주), 한국동서발전(주), 한국남동발전(주), 와이피피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남부발전(주)
Priority to KR10202000878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9391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939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939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12Testing dielectric strength or breakdown voltage ; Testing or monitoring effectiveness or level of insulation, e.g. of a cable or of an apparatus, for example using partial discharge measurements; Electrostatic testing
    • G01R31/1227Testing dielectric strength or breakdown voltage ; Testing or monitoring effectiveness or level of insulation, e.g. of a cable or of an apparatus, for example using partial discharge measurements; Electrostatic testing of components, parts or materials
    • G01R31/1263Testing dielectric strength or breakdown voltage ; Testing or monitoring effectiveness or level of insulation, e.g. of a cable or of an apparatus, for example using partial discharge measurements; Electrostatic testing of components, parts or materials of solid or fluid materials, e.g. insulation films, bulk material; of semiconductors or LV electronic components or parts; of cable, line or wire insulation
    • G01R31/1272Testing dielectric strength or breakdown voltage ; Testing or monitoring effectiveness or level of insulation, e.g. of a cable or of an apparatus, for example using partial discharge measurements; Electrostatic testing of components, parts or materials of solid or fluid materials, e.g. insulation films, bulk material; of semiconductors or LV electronic components or parts; of cable, line or wire insulation of cable, line or wire insulation, e.g. using partial discharge measuremen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29/00Arrangements for measuring or indicating electric quantities not covered by groups G01R19/00 - G01R27/00
    • G01R29/08Measuring electromagnetic field characteristics
    • G01R29/0864Measuring electromagnetic field characteristic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or functional features
    • G01R29/0878Sensors; antennas; probes; detecto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29/00Arrangements for measuring or indicating electric quantities not covered by groups G01R19/00 - G01R27/00
    • G01R29/08Measuring electromagnetic field characteristics
    • G01R29/0864Measuring electromagnetic field characteristic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or functional features
    • G01R29/0892Details related to signal analysis or treatment; presenting results, e.g. displays; measuring specific signal features other than field strength, e.g. polarisation, field modes, phase, envelope, maximum valu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12Testing dielectric strength or breakdown voltage ; Testing or monitoring effectiveness or level of insulation, e.g. of a cable or of an apparatus, for example using partial discharge measurements; Electrostatic testing
    • G01R31/14Circuits therefor, e.g. for generating test voltages, sensing circuits

Abstract

본 발명은 전력설비의 부분방전 신호 검출장치 및 그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전력설비의 부분방전 신호 검출장치는, 노이즈 신호를 검출하기 위한 노이즈 측정 UHF 안테나; 부분방전 신호를 검출하기 위한 부분방전 측정 UHF 안테나; 노이즈 측정 UHF 안테나로부터 측정된 신호로부터 노이즈 신호의 피크를 검출하여 출력하는 노이즈 검출부; 부분방전 측정 UHF 안테나로부터 측정된 신호로부터 설정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제거하는 가변 주파수 필터부; 가변 주파수 필터부의 출력 신호로부터 부분방전 신호의 피크를 검출하여 출력하는 부분방전 검출부; 및 노이즈 검출부의 스캔 주파수를 제어하여 노이즈 검출부로부터 출력되는 노이즈 신호의 피크에 기초하여 가변 주파수 필터부의 설정 주파수 대역을 조정하고, 부분방전 검출부로부터 출력되는 부분방전 신호의 피크를 입력받아 부분방전의 특성을 진단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전력설비의 부분방전 신호 검출장치 및 그 방법{PARTIAL DISCHARGING SIGNAL DETECTOR OF POWER EQUIPMENTS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전력설비의 부분방전 신호 검출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전력설비에서 발생되는 부분방전 신호를 검출할 때 현장에서 노이즈 신호를 추출한 후 부분방전 신호로부터 노이즈 신호 대역을 필터링하여 제거함으로써, 현장의 노이즈 신호로 인한 인식오류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한 전력설비의 부분방전 신호 검출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송변전용 전력설비는 발전소에서 생산된 전기를 도시 등의 대규모 사용처에 전송하는 송전 또는 변전 설비로 고압 및 특고압(수만볼트 이상)을 사용하는 변압기를 포함하는 전력설비가 설치된다.
이러한 전력설비는 기계적 스트레스, 온도 등의 영향으로 절연열화가 발생하여 내부 절연부분에서의 국부적인 부분방전이 발생하게 된다.
부분방전은 일반적으로 절연열화 현상에 의하여 절연파괴전압(Breakdown voltage)에 도달하였을 때 발생되며 나타나는 물리적 현상은 빛(Light), 소리(음향신호), RF신호(전자파신호), 방전누설전류(전기적신호)의 신호가 방출된다.
이러한 부분방전 신호는 짧은 펄스폭을 가지는 임펄스 형태로 발생되어지고 방전량에 따라 신호의 크기가 비례하며 반복되는 AC사이클에서 방전 개시전압을 초과하는 경우 발생되기 때문에 부분방전을 유발하는 원인에 따라 특정 위상에 반복되어 나타나는 특성을 가진다.
이러한 부분방전 현상은 초기에는 시스템의 성능 및 작동에 문제가 없더라도 지속적인 시간동안 발생하는 경우 전기트리 및 부분방전 시 발생하는 산화물 등에 의하여 절연열화의 정도가 증가하게 된다.
이러한 절연열화 현상은 전력설비의 기능정지를 초래할 수 있으며 극단적일 경우 폭발로 이어져, 정전(shutdown)과 같은 문제가 발생하여 도시 전체 또는 산업공단 등으로의 전기 공급이 중단되어 도시나 공단 등의 기능이 마비되는 치명적인 상황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부분방전에 의한 문제를 방지하기 위해 다양한 방법이 강구되고 있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0-0036667호(2010.04.08. 공개, 고전압 전력 기기의 극 초단파 부분 방전 및 방전위치 측정장치)에 개시되어 있다.
전력설비 내 절연열화에 의한 부분방전을 전력설비의 정상운전 중에 실시간으로 측정 및 진단하기 위한 방법으로 초음파센서들을 이용하거나 누설전류 검출 센서를 이용한 부분방전 신호를 검출하는 방법이 사용되어 왔다.
하지만 활선상태의 전력설비로부터 절연열화로 인해 발생되는 초음파신호를 검출할 경우 기계적 진동신호와 외부에 설치되는 경우 우천이나 모래바람 등과 같은 진동을 수반하는 기후조건 등 광대역 임펄스성 외부 노이즈 신호에 영향을 받는다.
또한, 부분방전으로 인해 발생된 누설전류를 검출하는 방식은 전기적 신호만을 검출하는 방식이기 때문에 초음파신호에서 영향을 주는 기계적 잡음과 환경잡음에 의한 영향을 배제할 수는 있으나 실제 현장에서는 다양한 전자장치와 동일계통상의 다양한 전력설비들이 운용됨에 따라 계통 및 접지를 통한 다양한 전기적 노이즈에 영향을 받게 된다.
따라서 이와 같이 실제 현장에 설치되어 운용되는 경우 다양한 현장의 잡음신호에 의하여 부분방전신호를 검출하고 진단하는데 있어서 많은 어려움이 있으며 노이즈 신호를 부분방전 신호로 인식하는 진단오류가 빈번히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일 측면에 따른 본 발명의 목적은 전력설비에서 발생되는 부분 방전 신호를 검출할 때 현장에서 노이즈 신호를 추출한 후 부분 방전 신호로부터 노이즈 신호 대역을 필터링하여 제거함으로써, 현장의 노이즈 신호로 인한 인식오류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한 전력설비의 부분 방전 신호 검출장치 및 그 방법에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전력설비의 부분방전 신호 검출장치는, 노이즈 신호를 검출하기 위한 노이즈 측정 UHF 안테나; 부분방전 신호를 검출하기 위한 부분방전 측정 UHF 안테나; 노이즈 측정 UHF 안테나로부터 측정된 신호로부터 노이즈 신호의 피크를 검출하여 출력하는 노이즈 검출부; 부분방전 측정 UHF 안테나로부터 측정된 신호로부터 설정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제거하는 가변 주파수 필터부; 가변 주파수 필터부의 출력 신호로부터 부분방전 신호의 피크를 검출하여 출력하는 부분방전 검출부; 및 노이즈 검출부의 스캔 주파수를 제어하여 노이즈 검출부로부터 출력되는 노이즈 신호의 피크에 기초하여 가변 주파수 필터부의 설정 주파수 대역을 조정하고, 부분방전 검출부로부터 출력되는 부분방전 신호의 피크를 입력받아 부분방전의 특성을 진단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부분방전 측정 UHF 안테나는, 300~1800MHz 성분을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노이즈 검출부는, 설정 시간과 설정 주파수 간격으로 스캔하여 노이즈 신호를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제어부는, 10~100MHz의 설정 주파수 간격으로 노이즈 검출부의 스캔 주파수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제어부는, 노이즈 검출부와 부분방전 검출부에서 각각 입력되는 노이즈 신호와 부분방전 신호에서 전원의 위상신호를 기반으로 동일 간격의 피크 성분이 발생할 경우 부분방전 신호로부터 노이즈 피크 성분을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제어부는, 부분방전 신호에 대해 QM(Quality Magnitude)과 NQN(Normalized Quantity Number)를 계산하여 부분방전 패턴과 비교하여 부분방전의 특성을 진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제어부의 작동상태 및 부분방전의 특성 진단결과를 출력하는 출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전력설비의 부분방전 신호 검출방법은, 제어부가 노이즈 검출부의 스캔 주파수를 제어하는 단계; 제어부가 노이즈 검출부로부터 검출된 노이즈 신호의 피크를 입력받는 단계; 제어부가 노이즈 신호의 피크에 기초하여 가변 주파수 필터부의 설정 주파수 대역을 조정하는 단계; 제어부가 부분방전 검출부로부터 출력되는 부분방전 신호의 피크를 입력받는 단계; 및 제어부가 부분방전 신호를 기반으로 부분방전 특성을 진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노이즈 검출부의 스캔 주파수를 제어하는 단계는, 제어부가 10~100MHz 간격으로 노이즈 검출부의 스캔 주파수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부분방전 신호의 피크를 입력받는 단계는, 부분방전 검출부로부터 부분방전 측정 UHF 안테나를 통해 300~1800MHz 성분을 측정하여 검출한 부분방전 신호의 피크를 입력받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부분방전 특성을 진단하는 단계는, 제어부가 노이즈 검출부와 부분방전 검출부에서 각각 입력되는 노이즈 신호와 부분방전 신호에서 전원의 위상신호를 기반으로 동일 간격의 피크 성분이 발생할 경우 부분방전 신호로부터 노이즈 피크 성분을 제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부분방전 특성을 진단하는 단계는, 제어부가 부분방전 신호에 대해 QM(Quality Magnitude)과 NQN(Normalized Quantity Number)를 계산하여 부분방전 패턴과 비교하여 부분방전의 특성을 진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제어부의 작동상태 및 부분방전의 특성 진단결과를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전력설비의 부분방전 신호 검출장치 및 그 방법은 전력설비에서 발생되는 부분 방전 신호를 검출할 때 현장에서 노이즈 신호를 추출한 후 부분 방전 신호로부터 노이즈 신호 대역을 필터링하여 제거함으로써, 현장의 노이즈 신호로 인한 인식오류를 최소화할 수 있어 부분방전 검출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가변 주파수 필터를 통해 노이즈를 자동으로 제거함으로써 현장에서 노이즈를 제거하기 위한 캘리브레이션 작업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설비의 부분방전 신호 검출장치를 나타낸 블록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설비의 부분방전 신호 검출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전력설비의 부분방전 신호 검출장치 및 그 방법을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설비의 부분방전 신호 검출장치를 나타낸 블록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설비의 부분방전 신호 검출장치는, 노이즈 측정 UHF 안테나(10), 부분방전 측정 UHF 안테나(40), 노이즈 검출부(20), 가변 주파수 필터부(50), 부분방전 검출부(60) 및 제어부(30)를 비롯하여 출력부(70)를 포함할 수 있다.
노이즈 측정 UHF(Ultra High Frequency) 안테나(10)는 전력설비인 변압기가 설치된 외부 환경에서 발생되는 휴대폰, 사설망, 방송파 및 여러 RF 신호가 혼재된 극초단파의 노이즈 신호를 검출한다.
부분방전 측정 UHF 안테나(40)는 300~1800MHz 성분을 측정하여 변압기 내에서 부분방전 시 발생되는 부분방전 신호를 검출한다.
노이즈 검출부(20)는 노이즈 측정 UHF 안테나(10)로부터 측정된 신호로부터 설정 시간과 설정 주파수 간격으로 스캔하여 노이즈 신호의 피크를 검출하여 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 노이즈 검출부(20)는 제어부(30)에서 설정한 10~100MHz로 설정 주파수 간격으로 스캔 주파수를 제어하여 노이즈 신호를 검출한다.
가변 주파수 필터부(50)는 고주파 영역제거 필터(LPF ; Low Pass Filter)와 저주파 영역제거 필터(HPF ; High Pass Filter)를 기반으로 구성되어 부분방전 측정 UHF 안테나(40)로부터 측정된 신호로부터 설정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제거할 수 있다.
부분방전 검출부(60)는 가변 주파수 필터부(50)의 출력 신호로부터 부분방전 신호의 피크를 검출하여 출력할 수 있다.
제어부(30)는 노이즈 검출부(20)의 스캔 주파수를 제어하여 노이즈 검출부(20)로부터 출력되는 노이즈 신호의 피크에 기초하여 가변 주파수 필터부(50)의 설정 주파수 대역을 조정하고, 부분방전 검출부(60)로부터 출력되는 부분방전 신호의 피크를 입력받아 부분방전의 특성을 진단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부(30)는 노이즈 검출부(20)와 부분방전 검출부(60)에서 각각 입력되는 노이즈 신호와 부분방전 신호에서 전원의 위상신호를 기반으로 동일 간격의 피크 성분이 발생할 경우 부분방전 신호로부터 피크 성분을 제거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서는 1단계로 노이즈 검출부(20)로부터 출력되는 노이즈 신호의 피크에 기초하여 부분방전 신호에 포함된 노이즈 주파수 성분을 제거할 수 있고, 2단계로 전원의 위상신호를 기반으로 동일 간격의 피크를 제거하여 순수 부분방전 신호만을 검출하여 부분방전의 특성을 진단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30)는 부분방전 신호에 대해 전원의 위상에 동기된 위상정보에 기초하여 QM(Quality Magnitude)과 NQN(Normalized Quantity Number)를 계산하여 부분방전 패턴과 비교하여 부분방전의 특성을 진단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부분방전 신호를 검출하고 위상에 따른 패턴분석을 통하여 부분방전 현상이 발생한 원인에 대한 분석을 수행할 수 있다.
출력부(70)는 제어부(30)의 작동상태 및 부분방전의 특성 진단결과를 출력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전력설비의 부분방전 신호 검출장치에 따르면, 전력설비에서 발생되는 부분 방전 신호를 검출할 때 현장에서 노이즈 신호를 추출한 후 부분 방전 신호로부터 노이즈 신호 대역을 필터링하여 제거함으로써, 현장의 노이즈 신호로 인한 인식오류를 최소화할 수 있어 부분방전 검출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가변 주파수 필터를 통해 노이즈를 자동으로 제거함으로써 현장에서 노이즈를 제거하기 위한 캘리브레이션 작업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설비의 부분방전 신호 검출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설비의 부분방전 신호 검출방법에서는, 먼저 제어부(30)가 노이즈 검출부(20)의 스캔 주파수를 제어한다(S10).
여기서, 제어부(30)는 10~100MHz 간격으로 노이즈 검출부(20)의 스캔 주파수를 제어할 수 있다.
S10 단계에서 노이즈 검출부(20)의 스캔 주파수를 제어하면서 제어부(30)는 노이즈 측정 UHF 안테나(10)를 통해 검출되는 노이즈 신호에 대해 노이즈 검출부(20)를 통해 노이즈 신호의 피크를 입력받는다(S20).
S20 단계에서 노이즈 신호의 피크를 입력받은 후 제어부(30)는 노이즈 신호의 피크에 기초하여 가변 주파수 필터부(50)의 설정 주파수 대역을 조정한다(S30).
S30 단계에서 가변 주파수 필터부(50)의 설정 주파수 대역을 조정한 후 제어부(30)는 부분방전 검출부(60)로부터 출력되는 부분방전 신호의 피크를 입력받는다(S40).
여기서 제어부(30)는 부분방전 검출부(60)로부터 부분방전 측정 UHF 안테나(40)를 통해 300~1800MHz 성분을 측정하여 검출한 부분방전 신호의 피크를 입력받을 수 있다.
S40 단계에서 부분방전 신호의 피크를 입력받은 후 제어부(30)는 노이즈 검출부(20)와 부분방전 검출부(60)에서 각각 입력되는 노이즈 신호와 부분방전 신호에서 전원의 위상신호를 기반으로 동일 간격의 피크 성분이 발생할 경우 부분방전 신호로부터 피크 성분을 제거할 수 있다(S50).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1단계로 노이즈 검출부(20)로부터 출력되는 노이즈 신호의 피크에 기초하여 부분방전 신호에 포함된 노이즈 주파수 성분을 제거할 수 있고, 2단계로 전원의 위상신호를 기반으로 동일 간격의 피크를 제거하여 순수 부분방전 신호만을 검출하여 부분방전의 특성을 진단할 수 있다.
S50 단계에서 부분방전 신호에서 노이즈 신호를 제거한 후 제어부(30)는 부분방전 신호에 대해 전원의 위상에 동기된 위상정보에 기초하여 QM(Quality Magnitude)과 NQN(Normalized Quantity Number)를 계산하여 부분방전 패턴과 비교하여 부분방전의 특성을 진단한다(S60).
이와 같이 부분방전 신호를 검출하고 위상에 따른 패턴분석을 통하여 부분방전 현상이 발생한 원인에 대한 분석을 수행할 수 있다.
S60 단계에서 부분방전의 특성을 진단한 후 제어부(30)는 출력부(70)를 통해 작동상태 및 부분방전의 특성 진단결과를 출력한다(S70).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전력설비의 부분방전 신호 검출방법에 따르면, 전력설비에서 발생되는 부분 방전 신호를 검출할 때 현장에서 노이즈 신호를 추출한 후 부분 방전 신호로부터 노이즈 신호 대역을 필터링하여 제거함으로써, 현장의 노이즈 신호로 인한 인식오류를 최소화할 수 있어 부분방전 검출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가변 주파수 필터를 통해 노이즈를 자동으로 제거함으로써 현장에서 노이즈를 제거하기 위한 캘리브레이션 작업을 최소화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구현은, 예컨대, 방법 또는 프로세스, 장치,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데이터 스트림 또는 신호로 구현될 수 있다. 단일 형태의 구현의 맥락에서만 논의(예컨대, 방법으로서만 논의)되었더라도, 논의된 특징의 구현은 또한 다른 형태(예컨대, 장치 또는 프로그램)로도 구현될 수 있다. 장치는 적절한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및 펌웨어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방법은, 예컨대, 컴퓨터, 마이크로프로세서, 집적 회로 또는 프로그래밍 가능한 로직 디바이스 등을 포함하는 프로세싱 디바이스를 일반적으로 지칭하는 프로세서 등과 같은 장치에서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는 또한 최종-사용자 사이에 정보의 통신을 용이하게 하는 컴퓨터, 셀 폰, 휴대용/개인용 정보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및 다른 디바이스 등과 같은 통신 디바이스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 노이즈 측정 UHF 안테나 20 : 노이즈 검출부
30 : 제어부 40 : 부분방전 측정 UHF 안테나
50 : 가변 주파수 필터부 60 : 부분방전 검출부
70 : 출력부

Claims (13)

  1. 노이즈 신호를 검출하기 위한 노이즈 측정 UHF 안테나;
    부분방전 신호를 검출하기 위한 부분방전 측정 UHF 안테나;
    상기 노이즈 측정 UHF 안테나로부터 측정된 신호로부터 상기 노이즈 신호의 피크를 검출하여 출력하는 노이즈 검출부;
    상기 부분방전 측정 UHF 안테나로부터 측정된 신호로부터 설정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제거하는 가변 주파수 필터부;
    상기 가변 주파수 필터부의 출력 신호로부터 상기 부분방전 신호의 피크를 검출하여 출력하는 부분방전 검출부; 및
    상기 노이즈 검출부의 스캔 주파수를 제어하여 상기 노이즈 검출부로부터 출력되는 상기 노이즈 신호의 피크에 기초하여 상기 가변 주파수 필터부의 상기 설정 주파수 대역을 조정하고, 상기 부분방전 검출부로부터 출력되는 상기 부분방전 신호의 피크를 입력받아 부분방전의 특성을 진단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노이즈 검출부는, 설정 시간과 설정 주파수 간격으로 스캔하여 노이즈 신호를 검출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노이즈 검출부와 상기 부분방전 검출부에서 각각 입력되는 상기 노이즈 신호와 상기 부분방전 신호에서 전원의 위상신호를 기반으로 동일 간격의 피크 성분이 발생할 경우 상기 부분방전 신호로부터 노이즈 피크 성분을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설비의 부분방전 신호 검출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부분방전 측정 UHF 안테나는, 300~1800MHz 성분을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설비의 부분방전 신호 검출장치.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10~100MHz의 설정 주파수 간격으로 상기 노이즈 검출부의 상기 스캔 주파수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설비의 부분방전 신호 검출장치.
  5. 삭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부분방전 신호에 대해 QM(Quality Magnitude)과 NQN(Normalized Quantity Number)를 계산하여 부분방전 패턴과 비교하여 상기 부분방전의 특성을 진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설비의 부분방전 신호 검출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의 작동상태 및 상기 부분방전의 특성 진단결과를 출력하는 출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설비의 부분방전 신호 검출장치.
  8. 제어부가 노이즈 검출부의 스캔 주파수를 제어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가 상기 노이즈 검출부로부터 검출된 노이즈 신호의 피크를 입력받는 단계;
    상기 제어부가 상기 노이즈 신호의 피크에 기초하여 가변 주파수 필터부의 설정 주파수 대역을 조정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가 부분방전 검출부로부터 출력되는 부분방전 신호의 피크를 입력받는 단계; 및
    상기 제어부가 상기 부분방전 신호를 기반으로 부분방전 특성을 진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부분방전 특성을 진단하는 단계는, 상기 제어부가 상기 노이즈 검출부와 상기 부분방전 검출부에서 각각 입력되는 상기 노이즈 신호와 상기 부분방전 신호에서 전원의 위상신호를 기반으로 동일 간격의 피크 성분이 발생할 경우 상기 부분방전 신호로부터 노이즈 피크 성분을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설비의 부분방전 신호 검출방법.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노이즈 검출부의 상기 스캔 주파수를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제어부가 10~100MHz 간격으로 상기 노이즈 검출부의 상기 스캔 주파수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설비의 부분방전 신호 검출방법.
  10.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부분방전 신호의 피크를 입력받는 단계는, 상기 부분방전 검출부로부터 부분방전 측정 UHF 안테나를 통해 300~1800MHz 성분을 측정하여 검출한 상기 부분방전 신호의 피크를 입력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설비의 부분방전 신호 검출방법.
  11. 삭제
  12.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부분방전 특성을 진단하는 단계는, 상기 제어부가 상기 부분방전 신호에 대해 QM(Quality Magnitude)과 NQN(Normalized Quantity Number)를 계산하여 부분방전 패턴과 비교하여 상기 부분방전의 특성을 진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설비의 부분방전 신호 검출방법.
  13.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가 상기 부분방전 특성을 진단한 후 상기 부분방전의 특성 진단결과를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설비의 부분방전 신호 검출방법.
KR1020200087807A 2020-07-15 2020-07-15 전력설비의 부분방전 신호 검출장치 및 그 방법 KR1021939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7807A KR102193912B1 (ko) 2020-07-15 2020-07-15 전력설비의 부분방전 신호 검출장치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7807A KR102193912B1 (ko) 2020-07-15 2020-07-15 전력설비의 부분방전 신호 검출장치 및 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93912B1 true KR102193912B1 (ko) 2020-12-23

Family

ID=740894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87807A KR102193912B1 (ko) 2020-07-15 2020-07-15 전력설비의 부분방전 신호 검출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9391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77936B1 (ko) * 2021-12-24 2022-03-23 지투파워(주) 초고주파전기신호를 이용한 지능형 배전반 부분방전 감시진단 시스템
KR102547467B1 (ko) * 2022-12-23 2023-06-26 주식회사 솔라리치 Uhf 고주파 신호를 이용한 지능형 부분방전 진단기능을 탑재한 배전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07445A (ko) * 2008-07-14 2010-01-22 (주) 피에스디테크 전력설비의 부분방전 노이즈 제거 장치 및 부분방전발생구간 검출 장치
KR20130028545A (ko) * 2011-09-09 2013-03-19 한국남부발전 주식회사 전력설비의 부분방전신호 검출장치
KR101539436B1 (ko) * 2013-12-30 2015-07-24 주식회사 효성 가스 절연 개폐기의 부분 방전 검출 장치
KR101820040B1 (ko) * 2016-08-03 2018-02-28 한빛이디에스(주) 부분 방전 펄스 측정 장치 및 방법
KR102089187B1 (ko) * 2018-12-11 2020-03-13 한국전력공사 전력케이블 접속함 진단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07445A (ko) * 2008-07-14 2010-01-22 (주) 피에스디테크 전력설비의 부분방전 노이즈 제거 장치 및 부분방전발생구간 검출 장치
KR20130028545A (ko) * 2011-09-09 2013-03-19 한국남부발전 주식회사 전력설비의 부분방전신호 검출장치
KR101539436B1 (ko) * 2013-12-30 2015-07-24 주식회사 효성 가스 절연 개폐기의 부분 방전 검출 장치
KR101820040B1 (ko) * 2016-08-03 2018-02-28 한빛이디에스(주) 부분 방전 펄스 측정 장치 및 방법
KR102089187B1 (ko) * 2018-12-11 2020-03-13 한국전력공사 전력케이블 접속함 진단 시스템 및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77936B1 (ko) * 2021-12-24 2022-03-23 지투파워(주) 초고주파전기신호를 이용한 지능형 배전반 부분방전 감시진단 시스템
KR102547467B1 (ko) * 2022-12-23 2023-06-26 주식회사 솔라리치 Uhf 고주파 신호를 이용한 지능형 부분방전 진단기능을 탑재한 배전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97901B1 (ko) 전력선의 부분 방전의 검출 및 감시
CN1306672C (zh) 气体绝缘装置中局部放电的诊断方法和局部放电诊断系统
KR100968519B1 (ko) 전력설비의 부분방전 노이즈 제거 장치 및 부분방전발생구간 검출 장치
JP5482078B2 (ja) 部分放電検出装置
KR102193912B1 (ko) 전력설비의 부분방전 신호 검출장치 및 그 방법
US6297642B1 (en) Partial discharge detection method
JP2009222537A (ja) 電磁波測定による部分放電検出方法
CN107192943A (zh) 基于开关操作辐射电场测量的gis内开关故障诊断方法
Nicolae et al. Conducted emission measurements for a laptop
US11372040B2 (en) Method and arrangement for detecting partial discharges in an electric operating means
JP3861736B2 (ja) ガス絶縁機器の部分放電診断装置
KR20210004096A (ko) 부분방전 발생 위치 검출 장치
JP2004328810A (ja) ガス絶縁開閉装置の部分放電診断方法および装置
KR200422405Y1 (ko) 부분방전에 의한 펄스 검출장치
CN108736478B (zh) 一种测试受高次谐波污染的信号对控制保护的影响的方法
KR102348448B1 (ko) 맨홀 지중케이블 부분방전 발생개소 판별 장치 및 방법
TWI598601B (zh) 局部放電偵測方法、特高頻天線、局部放電偵測系統以及訊號處理單元
CN112136054A (zh) 频谱分析方法以及其装置
Zhao et al. Study on the Electromagnetic Characteristics of two Different Types of Partial Discharge at the Initial Stage
CN114089139B (zh) 基于频域能量的测量变频电机匝间绝缘pdiv的方法及装置
CN103685659B (zh) 电话装置的测试装置以及测试方法
CN110045251B (zh) 一种电力电缆内部绝缘缺陷检测及探伤装置及方法
Shu et al. A field calibration method based on forward transport coefficient for UHF partial discharge detection sensors in GIS
CN115436765A (zh) 局放检测仪器设备噪声抑制能力检测系统及其应用方法
Bell et al. Range to Fault Technolog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