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92416B1 - 접속함 기밀유지용 탄소실링재 및 방열판을 구비한 태양광 발전시스템 - Google Patents

접속함 기밀유지용 탄소실링재 및 방열판을 구비한 태양광 발전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92416B1
KR102192416B1 KR1020190027683A KR20190027683A KR102192416B1 KR 102192416 B1 KR102192416 B1 KR 102192416B1 KR 1020190027683 A KR1020190027683 A KR 1020190027683A KR 20190027683 A KR20190027683 A KR 20190027683A KR 102192416 B1 KR102192416 B1 KR 1021924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junction box
sealing material
heat sink
solar
carb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276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08691A (ko
Inventor
김대호
정준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경산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경산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경산전
Priority to KR10201900276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92416B1/ko
Publication of KR202001086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086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924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924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40/00Components or accessories in combination with PV modul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2S10/00 - H02S30/00
    • H02S40/30Electrical components
    • H02S40/34Electrical components comprising specially adapted electrical connection means to be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PV module, e.g. junction boxes
    • H02S40/345Electrical components comprising specially adapted electrical connection means to be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PV module, e.g. junction boxes with cooling means associated with the electrical connection means, e.g. cooling means associated with or applied to the junction box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40/00Components or accessories in combination with PV modul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2S10/00 - H02S30/00
    • H02S40/40Thermal components
    • H02S40/42Cooling mea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50/00Monitoring or testing of PV systems, e.g. load balancing or fault identification
    • H02S50/10Testing of PV devices, e.g. of PV modules or single PV cel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10/00Integration of renewable energy sources in buildings
    • Y02B10/10Photovoltaic [PV]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Landscapes

  • Photovoltaic Devices (AREA)
  • Cooling Or The Like Of Semiconductors Or Solid State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접속함 기밀유지용 탄소실링재 및 방열판을 구비한 태양광 발전시스템은, 태양광으로부터 전력을 생성하는 태양광 전지 모듈, DC 전력을 AC 전력으로 변환하여 가정이나 발전소로 송전하는 인버터, 상기 태양광 전지 모듈에서 발생한 DC 전력을 상기 인버터로 공급하는 태양광 접속반, 상기 태양광 접속반을 모니터링 하는 시스템, 상기 인버터와 연결되어 전기를 저장하는 에너지 저장 시스템을 포함하며, 상기 태양광 접속반은, 접속함, 상기 접속함 내부에 설치된 내부부품들과, 상기 접속함 내부의 열을 외부로 방출하는 방열판을 포함하며,
상기 방열판은 중앙에서 위아래로 갈수록 그 높이가 낮아져 곡선형 열방출 경로를 형성하는 방열핀들이 배열된 머리부와, 상기 머리부의 후면 중앙에 형성되며 상기 머리부보다 작은 몸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접속함의 후면에는 상기 몸체부만이 통과할 수 있는 통공이 뚫리고, 상기 접속함의 후면에는, 상기 몸체부가 상기 통공을 통과한 후 상기 머리부의 후면이 상기 접속함의 후면에 밀착된 상태에서, 상기 머리부와 상기 접속함을 연결하는 볼트가 통과하는 볼트공이 형성되며, 상기 볼트공의 바깥쪽으로, 상기 머리부와 상기 접속함의 후면 사이에는 탄소실링재가 위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접속함 기밀유지용 탄소실링재 및 방열판을 구비한 태양광 발전시스템{Solar photovoltaic system with carbon sealing member and heat sink for sealing junction box hermetically}
본 발명은 태양광 발전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태양광 발전 시스템(1)은 태양광으로부터 전력을 생성하는 태양광 전지 모듈, DC 전력을 AC 전력으로 변환하여 가정이나 발전소로 송전하는 인버터, 태양광 전지 모듈에서 발생한 DC 전력을 인버터로 공급하는 태양광 접속반(10), 태양광 접속반(10)을 모니터링 하는 시스템, 인버터와 연결되어 전기를 저장하는 에너지 저장 시스템으로 구성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태양광 접속반(10)은, 접속함(11), 접속함(11) 내부에 설치된 내부부품들과, 접속함(11) 내부의 열을 외부로 방출하는 방열판(13), 접속함(11)의 전면에 설치된 모니터(19), 방열판(13)과 접속함(11) 사이를 실링하는 고무실링재(30)로 구성된다.
내부부품들은, 태양광 관련 통합정보를 모니터링 시스템으로 전송하는 RTU(12), 반복적인 역전방을 차단하고 병렬회로에서 각 회로간 순환전력을 차단하는 다이오드모듈(14), 실시간으로 각 채널별 전압.전류.전력 등의 태양광 발전 설비에 필요한 정보를 측정하는 스트링모듈(15), 낙뢰 및 과전압으로부 태양광 설비를 보호하는 서지보호기(16), DC차단기, 단락전류 및 과전류부터 기기를 보호하는 퓨즈홀더(18)로 구성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속함(11)은 문(11a)과 본체(11b)로 구성된다. 도 3에 도시된 수평 및 수직 방향의 직선화살표는 열이 방출되는 방향을 나타낸다.
본체(11b)의 후면에는 통공(11ba)이 뚫린다. 방열판(13)은 통공(11ba)에 걸쳐진다. 방열판(13)의 후면과 본체(11b)의 후면 사이에 고무실링재(30)가 위치된다.
방열판(13)의 리브(13a)와 접속함(11)의 후면은 볼트(B)와 너트(N)로 결합된다. 이때, 고무실링재(30)는 압착된다. 압착된 고무실링재(30)는 방열판(13)과 통공(11ba) 사이의 틈을 통해, 접속함(11)의 내부로 먼지, 수분, 염분이 들어오는 것을 막는다.
한편, 종래 방열판(13)은 리브(13a)에 의해, 접속함(11)의 후면에 볼트(B)와 너트(N)로 결합되므로, 접속함(11)의 후면에 볼트(B)가 통과하는 볼트공(11bb)이 뚫려야 한다. 이렇게 뚫린 볼트공(11bb)을 통해서 외부의 먼지 및 수분이 접속함(11) 내부로 쉽게 들어와, 내부부품을 고장내고 합선을 일으켜 화재를 발생시킨다.
한편, 종래 방열판(13)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일한 크기의 핀(13b)이 일자로 높이 편차 없이 배치되므로, 수평방향의 열 방출은 양호하나, 수직방향의 열 방출은 상승하는 뜨거운 공기가 핀(13b) 사이사이에 가로 막혀 원활하지 않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한편, 최근 들어 태양광발전시스템은, 평야, 임야 보다 넓은 설치 면적을 제공하는 바다에 많이 설치되고 있다. 바다에서는 염분을 포함한 바람이 지속적으로 불어와, 고무실링재(30)를 쉽게 부식시킨다. 이렇게 고무실링재(30)가 부식되면, 고무실링재(30)에 틈이 생기고, 이러한 틈을 통해 접속함 (11) 내부로 먼지, 수분, 염분이 들어와 내부부품을 고장내고 합선을 일으켜 화재를 발생시킨다.
한국공개특허(10-2017-0114383)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문제점을 모두 해결할 수 있는 접속함 기밀유지용 탄소실링재 및 방열판을 구비한 태양광 발전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접속함 기밀유지용 탄소실링재 및 방열판을 구비한 태양광 발전시스템은,
태양광으로부터 전력을 생성하는 태양광 전지 모듈, DC 전력을 AC 전력으로 변환하여 가정이나 발전소로 송전하는 인버터, 상기 태양광 전지 모듈에서 발생한 DC 전력을 상기 인버터로 공급하는 태양광 접속반, 상기 태양광 접속반을 모니터링 하는 시스템, 상기 인버터와 연결되어 전기를 저장하는 에너지 저장 시스템을 포함하며,
상기 태양광 접속반은, 접속함, 상기 접속함 내부에 설치된 내부부품들과, 상기 접속함 내부의 열을 외부로 방출하는 방열판을 포함하며,
상기 방열판은 중앙에서 위아래로 갈수록 그 높이가 낮아져 곡선형 열방출 경로를 형성하는 방열핀들이 배열된 머리부와, 상기 머리부의 후면 중앙에 형성되며 상기 머리부보다 작은 몸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접속함의 후면에는 상기 몸체부만이 통과할 수 있는 통공이 뚫리고,
상기 접속함의 후면에는, 상기 몸체부가 상기 통공을 통과한 후 상기 머리부의 후면이 상기 접속함의 후면에 밀착된 상태에서, 상기 머리부와 상기 접속함을 연결하는 볼트가 통과하는 볼트공이 형성되며,
상기 볼트공의 바깥쪽으로, 상기 머리부와 상기 접속함의 후면 사이에는 탄소실링재가 위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머리부와 접속함을 연결하는 볼트가 통과하는 접속함의 볼트공은 머리부의 후면에 의해 완전히 가려지므로, 볼트공을 통해 접속함의 내부로 먼지, 수분, 염분이 들어오지 못한다.
본 발명은, 방열판의 머리부에 중앙에서 위아래로 갈수록 그 높이가 낮아져 곡선형 열방출 경로를 형성하는 방열핀들을 구비한다. 따라서, 방열핀에서 방출되는 뜨거운 공기가 곡선형 열방출 경로를 따라 원활하게 상승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수평방향 뿐만 아니라 수직방향의 열 방출도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탄소실링재는, 고무재질 내재의 표면에 부식방지재가 코팅되어 있어, 탄소실링재 자체의 부식이 방지된다. 또한, 내재에 탄소섬유직물 또는 짧은 탄소섬유가 혼합되어 있어, 가스켓 자체의 부식을 지연시킨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탄소실링재를 사용하면, 접속함의 내부로 먼지, 수분, 염분이 들어가는 것이 원천적으로 차단되어, 태양광 발전 시스템이 평야, 임야는 물론 바다에 설치되더라도, 내부부품이 충분히 보호될 수 있다. 또한, 부식방지재가 열전도성이 뛰어난 탄소나노튜브나 그래핀으로 구성되어 있어, 접속함 내부의 열을 신속하게 외부로 방출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방열판의 온도변화, 접속함 내부의 온도 및 습도 변화, 탄소실링재의 저항 변화를 측정하여, 탄소실링재의 부식 여부를 직간접적으로 판단한다. 따라서, 탄소실링재가 뚫리는 특이 상황에 신속하게 대처가능하다.
도 1은 일반적인 태양광 발전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태양광 접속반의 내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접속함과, 접속함의 후면에 설치된 방열판과, 접속함과 방열판 사이에 설치된 고무실링재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속함 기밀유지용 탄소실링재 및 방열판을 구비한 태양광 발전시스템에서, 접속함과, 접속함의 후면에 설치된 방열판과, 접속함과 방열판 사이에 설치된 탄소실링재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방열판의 측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4에 도시된 방열판의 후면도이다.
도 7은 방열원판을 절단하여 여러 개의 방열판을 만드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도 4에 도시된 탄소실링재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제1변형예에 따른 탄소실링재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제2변형예에 따른 탄소실링재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방열판에 설치된 온도센서, 접속함 내부에 설치된 온도센서 및 습도센서, 탄소실링재의 저항을 측정할 수 있는 저항측정기, 탄소실링재의 부식 여부를 직간접적으로 판단하여 경고하는 판단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속함 기밀유지용 탄소실링재 및 방열판을 구비한 태양광 발전시스템을 자세히 설명한다. 이하, “태양광 발전시스템”이라 약칭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발전시스템은, 도 1에 도시된 일반적인 태양광 발전시스템과 태양광 접속반을 제외하고 동일하다. 이하, 태양광 접속반에 대해서 자세히 설명한다.
도 4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태양광 접속반(20)은, 접속함(21), 접속함(21) 내부에 설치된 내부부품들과, 접속함(21) 내부의 열을 방출하는 방열판(50), 탄소실링재(100,200,300)로 구성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속함(21)은 문(21a)과 본체(21b)로 구성된다. 도 4에 도시된 수평방향의 직석화살표와 수직방향의 곡선 화살표는 열이 방출되는 방향을 나타낸다.
본체(21b)의 후면에는 방열판(50)과 탄소실링재(100,200,300)가 위치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열판(50)은, 머리부(51)와 몸체부(52)로 구성된다. 도 5에 도시된 수평방향의 직석화살표와 수직방향의 곡선 화살표는 열이 방출되는 방향을 나타낸다.
머리부(51)의 앞쪽으로 방열핀(51a)들이 배열된다. 방열핀(51a)들은 머리부(51)의 중앙에서 위아래로 갈수록 그 높이가 낮아지면서 곡선형 열방출 경로를 형성한다. 이로 인해, 방열핀(51a)에서 방출되는 뜨거운 공기가 곡선형 열방출 경로를 따라 원활하게 상승할 수 있다. 따라서, 방열핀(51a)에서 수평방향의 열 방출은 물론 수직방향의 열 방출도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몸체부(52)는 머리부(51)의 후면 중앙에 형성되며 머리부(51)보다 작다. 접속함(21)의 후면에는 몸체부(52) 만이 통과할 수 있는 크기의 통공(21ba)이 뚫린다.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부(52)의 후면에는 다이오드모듈(24)을 고정하기 위한 제1체결공(53)이 형성된다. 볼트(B)는 제1체결공(53)을 파고들어 나사산을 내면서 체결된다. 다이오드모듈(24)의 양측에는 볼트(B)가 통과하는 구멍이 구비된다.
제1체결공(53)은 입구(53a), 입구(53a) 안쪽에 입구(53a)보다 넓게 형성된 파티클저장구(53b)로 구성된다. 볼트(B)가 입구(53a)를 파고들면서 발생시킨 파티클은 파티클저장구(53b)에 쌓인다.
머리부(51)와 몸체부(52)가 만나는 모서리부(55)는 라운드진다. 몸체부(52)가 통공(21ba)을 통과하여 머리부(51)의 후면이 접속함(21)의 후면에 밀착되면, 모서리부(55)가 뭉겨져, 머리부(51)의 후면과 접속함(21)의 후면 사이 틈을 없앤다.
머리부(51)의 후면에는 제2체결공(54)이 형성된다. 제2체결공(54)에는 방열판(50)을 접속함(21)에 고정하기 위해 볼트(B)가 파고들어 나사산을 내면서 체결된다.
제2체결공(54)은 입구(54a), 입구(54a) 내주면에 형성된 제1파티클저장구(54b), 입구(54a) 안쪽에 입구(54a) 보다 넓게 형성된 제2파티클저장구(54c)로 구성된다. 볼트(B)가 입구(53a)를 파고들면서 발생시킨 파티클은 1차적으로 제1파티클저장구(54b)에 쌓이고, 2차적으로 제2파티클저장구(54c)에 쌓인다.
볼트(B)가 접속함(21)을 통과하여 제2체결공(21bb)에 체결되기 위해, 접속함(21)의 후면에는 볼트공(21bb)이 형성된다.
몸체부(52)가 통공(21ba)을 통과하여, 머리부(51)의 후면이 접속함(21)의 후면에 밀착된 상태에서, 볼트가 볼트공(21bb)을 통과하여 체결공(21bb)에 체결되면, 방열판(50)이 접속함(21)의 후면에 밀착된다. 이로 인해, 볼트공(21bb)은 머리부(51)의 후면에 의해 완전히 가려지므로, 볼트공(21bb)을 통해 접속함(21)의 내부로 먼지, 수분, 염분이 들어오지 못한다.
머리부(51)의 후면 제2체결공(54)의 바깥쪽으로 탄소실링재(100,200,300)가 설치되는 실링홈(56)이 형성된다.
상술한 방열판(50)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은, 양쪽에만 실링홈(56)이 없는 방열원판(50')을 압출하여 뽑아낸 뒤, 설정된 크기로 자르고 양쪽에 실링홈(56)을 더 파는 방식으로, 여러 개를 한꺼번에 만들어질 수 있다.
한편, 방열판(50)의 표면에 열전도성이 뛰어난 탄소나노튜브나 그래핀을 코팅하여, 접속함(21) 내부의 열을 보다 신속하게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소실링재(100)는, 내재(110), 부식방지재(120)로 구성된다.
내재(110)는 고무재질로 만들어진다.
부식방지재(120)는 내부식성을 가진 탄소나노튜브 또는 그래핀으로 구성된다. 부식방지재(120)는 내재(110)의 표면에 코팅되어, 내재(110)가 부식되는 것을 막아준다. 또한, 부식방지재(120)가 열전도성이 뛰어난 탄소나노튜브나 그래핀으로 구성되어 있어, 접속함(21) 내부의 열을 신속하게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다.
부식방지재(120)는 내재(110)의 표면에 스프레이로 뿌려져 코팅되거나, 붓으로 발라져 코팅된다.
한편, 부식방지재(120)가 내재(110)의 표면에 균일한 두께로 코팅될 경우, 내재(110)가 압착될 때, 압착되는 부분의 부식방지재(120)가 옆으로 퍼져 밀도가 낮아진다. 이 경우, 밀도가 낮아지는 부분에서 부식이 일어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부식방지재(120)는 내재(110)가 압착되어 퍼지는 쪽에 더 많이 코팅된다.
이하, 제1변형예에 따른 탄소실링재를 설명한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변형예에 따른 탄소실링재(200)는, 내재(210), 부식방지재(220)로 구성된다.
내재(210)는 매트릭스 고무재(R)와 탄소섬유(CF)로 구성된다. 탄소섬유(CF)는 매트릭스 고무재(R) 안에 무작위로 섞여 있다. 무작위로 섞여진 탄소섬유(CF)로 인해, 염분이 부식방지재(220)를 뚫고 침투하더라도, 내재(210)의 부식을 최대한 지연시킬 수 있다, 또한, 탄소섬유(CF)로 인해, 탄소실링재(200)의 강도가 보강된다. 탄소섬유(CF)는 1~2mm로 짧아, 탄소섬유(CF)를 용융된 매트릭스 고무재(R)에 섞어, 압출하고 경화시키는 방법으로 탄소실링재(200)를 만들어 낼 수 있다.
부식방지재(220)는 내부식성을 가진 탄소나노튜브 또는 그래핀으로 구성된다. 부식방지재(220)는 내재(210)의 표면에 코팅되어, 내재(210)가 부식되는 것을 막아준다. 또한, 부식방지재(220)가 열전도성이 뛰어난 탄소나노튜브나 그래핀으로 구성되어 있어, 접속함(21) 내부의 열을 신속하게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다.
부식방지재(220)는 내재(210)의 표면에 스프레이로 뿌려져 코팅되거나, 붓으로 발라져 코팅된다.
부식방지재(220)는 내재(210)가 압착되어 퍼지는 쪽에 더 많이 코팅된다. 그 이유는 전술한 바와 같다.
이하, 제2변형예에 따른 탄소실링재를 설명한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변형예에 따른 탄소실링재(300)는, 내재(310), 부식방지재(320)로 구성된다.
내재(310)는 매트릭스 고무재(R)와 탄소섬유직물(FB)로 구성된다. 탄소섬유직물(FB)은 탄소섬유(CF)가 가로와 세로로 직조되어 만들어진다. 이러한 탄소섬유직물(FB)로 인해, 염분이 부식방지재(320)를 뚫고 침투하더라도, 가로와 세로 방향으로 직조된 탄소섬유로 인해, 내재(310)의 부식을 최대한 지연시킬 수 있다, 또한, 탄소섬유직물(FB)로 인해, 탄소실링재(300)의 강도가 보강된다.
부식방지재(320)는 내부식성을 가진 탄소나노튜브 또는 그래핀으로 구성된다. 부식방지재(320)는 내재(310)의 표면에 코팅되어, 내재(310)가 부식되는 것을 막아준다. 또한, 부식방지재(320)가 열전도성이 뛰어난 탄소나노튜브나 그래핀으로 구성되어 있어, 접속함(21) 내부의 열을 신속하게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다.
부식방지재(320)는 내재(310)의 표면에 스프레이로 뿌려져 코팅되거나, 붓으로 발라져 코팅된다.
부식방지재(320)는 내재(310)가 압착되어 퍼지는 쪽에 더 많이 코팅된다. 그 이유는 전술한 바와 같다.
한편, 본 태양광 발전시스템은, 실링홈(56)에 탄소실링재(100)를 넣은 후, 실링홈(56)과 탄소실링재(100) 사이 및 주위에 이중실링제를 발라, 만에 하나 있을 작은 틈까지 없앤다. 이러한 이중실링제는 실리콘, 합성고무, 시클로헥사논, 톨루엔 등의 성분으로 구성된다.
한편, 본 태양광 발전시스템은, 탄소실링재(100,200,300)를 사용하였음에도 불구하고, 만에 하나 탄소실링재(100,200,300)가 부식되어 구멍이 뚫리는 것도 신속하게 감지하기 위한 구성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은, 방열판(50)의 몸체부(52)에 설치된 온도센서(64), 접속함(21) 내부에 설치된 온도센서(61) 및 습도센서(62), 탄소실링재(300)의 저항을 측정할 수 있는 저항측정기(63), 탄소실링재(300)의 부식 여부를 직간접적으로 판단하여 관리자에게 경고하는 판단부(65)가 있다.
판단부(65)는 접속함(21) 내부에 설치된 온도센서(61) 및 습도센서(62)로부터 접속함(21) 내부의 온도 및 습도정보를 받는다. 만약, 탄소실링재(300)가 부식되어 구멍이 뚫리면, 접속함(21) 내부의 온도 및 습도가 급격하게 변하게 된다. 이 경우, 판단부(65)는 탄소실링재(300)가 부식되어 구멍이 뚫렸다고 간접적으로 판단하고, 관리자에게 경고를 보낸다.
판단부(65)는 저항측정기(63)로 탄소실링재(300)의 저항을 측정하여, 탄소실링재(300)의 부식여부를 판단한다. 물론, 다른 종류의 탄소실링재(100,200)의 경우에도 저항을 측정하여, 탄소실링재(100,200)의 부식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탄소실링재(300)의 내재(310)에는 탄소섬유가 서로 연결된 탄소섬유 직물FB)이 들어가 있어, 탄소실링재(300)에 전기를 흘려보내면 탄소실링재(300)의 저항값을 얻어낼 수 있다. 도면부호 W는 탄소섬유직물(FB)과 저항측정기(40)를 연결하는 전선이다. 만약, 탄소실링재(300)가 부식되어 탄소섬유직물(FB)이 끊어지게 되면, 탄소실링재(300)의 저항이 급격하게 올라간다. 이 경우, 판단부(42)는 탄소실링재(300)가 부식되어 구멍에 뚫렸다고 직접적으로 판단하고, 관리자에게 경고를 보낸다.
판단부(65)는 방열판(50)의 몸체부(52)에 설치된 온도센서(64)로부터 방열판(50)의 온도정보를 받아, 탄소실링재(300)의 부식여부를 판단한다. 탄소실링재(300)가 부식되어 구멍이 뚫리면, 방열판(50)의 온도가 급격하게 변하게 된다. 이 경우, 판단부(42)는 탄소실링재(300)가 부식되어 구멍에 뚫렸다고 간접적으로 판단하고, 관리자에게 경고를 보낸다.
판단부(65)는 상술한 방법을 섞어서 탄소실링재(300)의 부식여부를 직간접적으로 판단할 수 있다.
1: 태양광 발전 시스템 10,20: 태양광 접속반
50: 방열판 51: 머리부
52: 몸체부 61,64: 온도센서
62: 습도센서 63: 저항측정기
65: 판단부 100,200,300: 탄소실링재
110,210,310: 내재 120,220,320: 부식방지재

Claims (4)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태양광으로부터 전력을 생성하는 태양광 전지 모듈, DC 전력을 AC 전력으로 변환하여 가정이나 발전소로 송전하는 인버터, 상기 태양광 전지 모듈에서 발생한 DC 전력을 상기 인버터로 공급하는 태양광 접속반, 상기 태양광 접속반을 모니터링 하는 시스템, 상기 인버터와 연결되어 전기를 저장하는 에너지 저장 시스템을 포함하며,
    상기 태양광 접속반은, 접속함, 상기 접속함 내부에 설치된 내부부품들과, 상기 접속함 내부의 열을 외부로 방출하는 방열판을 포함하며, 상기 방열판은 중앙에서 위아래로 갈수록 그 높이가 낮아져 곡선형 열방출 경로를 형성하는 방열핀들이 배열된 머리부와, 상기 머리부의 후면 중앙에 형성되며 상기 머리부보다 작은 몸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접속함의 후면에는 상기 몸체부만이 통과할 수 있는 통공이 뚫리고, 상기 접속함의 후면에는, 상기 몸체부가 상기 통공을 통과한 후 상기 머리부의 후면이 상기 접속함의 후면에 밀착된 상태에서, 상기 머리부와 상기 접속함을 연결하는 볼트가 통과하는 볼트공이 형성되며, 상기 볼트공의 바깥쪽으로, 상기 머리부와 상기 접속함의 후면 사이에는 탄소실링재가 위치되며,
    상기 방열판의 몸체부에 설치된 온도센서로부터 상기 방열판의 온도정보를 받거나, 상기 접속함의 내부에 설치된 온도센서와 습도센서로부터 상기 접속함 내부의 온도 및 습도 정보를 받거나, 상기 탄소실링재의 저항을 측정하기 위한 저항측정기로부터 상기 탄소실링재의 저항값을 받아, 상기 탄소실링재의 부식여부를 직접적으로 판단하는 판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함 기밀유지용 탄소실링재 및 방열판을 구비한 태양광 발전시스템.
KR1020190027683A 2019-03-11 2019-03-11 접속함 기밀유지용 탄소실링재 및 방열판을 구비한 태양광 발전시스템 KR1021924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7683A KR102192416B1 (ko) 2019-03-11 2019-03-11 접속함 기밀유지용 탄소실링재 및 방열판을 구비한 태양광 발전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7683A KR102192416B1 (ko) 2019-03-11 2019-03-11 접속함 기밀유지용 탄소실링재 및 방열판을 구비한 태양광 발전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8691A KR20200108691A (ko) 2020-09-21
KR102192416B1 true KR102192416B1 (ko) 2020-12-16

Family

ID=727079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27683A KR102192416B1 (ko) 2019-03-11 2019-03-11 접속함 기밀유지용 탄소실링재 및 방열판을 구비한 태양광 발전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92416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08264A (ja) * 2001-06-26 2003-01-10 Nissan Motor Co Ltd 電子部品の冷却装置
KR101228603B1 (ko) * 2012-07-31 2013-01-31 엘지전자 주식회사 그라파이트 밀폐형 열전도성 탄성 가스켓
JP2014054183A (ja) * 2013-12-16 2014-03-20 Fuji Electric Co Ltd 密閉形配電盤
KR101666147B1 (ko) * 2016-02-03 2016-10-13 운지파워텍(주) 태양광발전시스템의 접속반 방열장치
JP2017208323A (ja) * 2016-05-17 2017-11-24 現代自動車株式会社Hyundai Motor Company 燃料電池用フレームガスケットおよびその成形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13578B1 (ko) 2016-04-04 2017-12-29 인피니티에너지주식회사 태양광 모듈 접속함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08264A (ja) * 2001-06-26 2003-01-10 Nissan Motor Co Ltd 電子部品の冷却装置
KR101228603B1 (ko) * 2012-07-31 2013-01-31 엘지전자 주식회사 그라파이트 밀폐형 열전도성 탄성 가스켓
JP2014054183A (ja) * 2013-12-16 2014-03-20 Fuji Electric Co Ltd 密閉形配電盤
KR101666147B1 (ko) * 2016-02-03 2016-10-13 운지파워텍(주) 태양광발전시스템의 접속반 방열장치
JP2017208323A (ja) * 2016-05-17 2017-11-24 現代自動車株式会社Hyundai Motor Company 燃料電池用フレームガスケットおよびその成形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8691A (ko) 2020-09-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00962B1 (ko) 태양광 발전 모듈용 정션박스
KR102192416B1 (ko) 접속함 기밀유지용 탄소실링재 및 방열판을 구비한 태양광 발전시스템
CN207265584U (zh) 一种便于安装的防水监控接线箱
CN107947241A (zh) 一种散热稳定的光伏微电网用蓄电储能装置
CN210577300U (zh) 一种安全防火的配电柜
KR200481602Y1 (ko) 실링 수단을 갖는 태양광 인버터
KR101959247B1 (ko) 탄소가스켓 방열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태양광 발전 시스템
CN201673904U (zh) 太阳能光伏组件及其用的接线盒和二极管结构
CN206211942U (zh) 一种交流汇流箱
KR101558847B1 (ko) 화재예방을 위한 신재생에너지 발전설비 접속함
CN209419187U (zh) 一种自降温电缆接头防爆盒
CN220913162U (zh) 一种直流充电桩分流器计量保护罩
KR20200037659A (ko) 가스켓 및 이를 포함하는 태양광 접속반
CN210744717U (zh) 一种全绝缘和全密封性的高压电缆分支箱
KR20140005054U (ko) 태양 전지용 터미널 박스
CN208028528U (zh) 一种阻燃型电工套管
CN210721599U (zh) 一种智能出租屋门禁系统
CN110460017B (zh) 一种配电变压器低压过载智能保护装置
CN207069333U (zh) 一种户外用配电柜
CN210806511U (zh) 高速etc门架电源
CN213546959U (zh) 一种具有防漏电功能的壳式电梯配电箱
CN211830703U (zh) 一种稳定性高的光伏发电汇流箱
CN210628897U (zh) 一种组装式散热型控制箱
CN112384019B (zh) 一种用于电瓶车的防爆型控制箱
CN215991647U (zh) 一种配电控制设备用防开路保护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