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92292B1 - 텔레비전 채널 변경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기술 - Google Patents

텔레비전 채널 변경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기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92292B1
KR102192292B1 KR1020167017521A KR20167017521A KR102192292B1 KR 102192292 B1 KR102192292 B1 KR 102192292B1 KR 1020167017521 A KR1020167017521 A KR 1020167017521A KR 20167017521 A KR20167017521 A KR 20167017521A KR 102192292 B1 KR102192292 B1 KR 1021922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gram
window
display
channel
w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175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94400A (ko
Inventor
준영 박
지현 박
사미르 메타
Original Assignee
오픈티브이, 인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픈티브이, 인크. filed Critical 오픈티브이, 인크.
Publication of KR201600944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944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922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922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1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 H04N21/4312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 H04N21/4316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for displaying supplemental content in a region of the screen, e.g. an advertisement in a separate window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2End-user interface for program sel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445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for displaying additional information
    • H04N5/45Picture in picture, e.g. displaying simultaneously another television channel in a region of the scree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50Tuning indicators; Automatic tuning contro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Fina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Abstract

향상된 사용자 소유 장치는 채널 변경 경험을 향상시킨다. 채널 업 또는 채널 다운 명령에 응답하여, 현재 표시된 프로그램은 더 작은 프로그램 윈도우 내에 정합하게 크기가 조절된다. 현재 표시된 프로그램의 작아진 크기로 인하여 노출되는 디스플레이 영역 내에 광고 또는 채널 변경 진행 정보와 같은 추가 콘텐츠가 표시된다.하나 이상의 위 프로그램 또는 하나 이상의 아래 프로그램의 스냅 샷을 렌더링하는 추가 프로그램 윈도우는 현재 표시된 프로그램의 프로그램 윈도우와 수직방향 정렬로 조직화된 윈도우 내에 표시될 수 있다. 프로그램 윈도우는 애니메이션화되거나 어떤 방향으로 스크롤되어 사용자가 희망하는 다음 프로그램의 프로그램 윈도우가 현재 표시되는 프로그램의 프로그램 윈도우의 자리에 오게 된다. 다음 프로그램의 프로그램 윈도우는 전체 디스플레이를 차지하도록 리사이즈된다.

Description

텔레비전 채널 변경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기술{USER INTERFACE TECHNIQUES FOR TELEVISION CHANNEL CHANGES}
본 발명은 디지털 비디오 프로그램의 표시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프로그램 채널 변경에 있어서의 사용자 경험(experience)에 관한 것이다.
디지털 비디오 전송 시스템은 종래의 아날로그 비디오 전송 시스템 상에서 향상된 비디오 품질을 제공하며 다른 이점을 제공한다. 프로그램 또는 텔레비전 채널 변경에 있어서의 사용자 경험은 디지털 비디오 전송 시스템에서 품질 파라미터의 중요한 특성이다. 그러나, 현존하는 어떤 디지털 비디오 전송 시스템에서는 채널 변경 시간이 아날로그 전송 시스템에서의 채널 변경 보다 느려지는 경향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채널 변경 동안 콘텐츠의 화면 표시(on-screen display)를 제어하는 기술이 제공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사용자-개시(user-initiated) 채널 변경에 앞서서, 현재의 프로그램은 전체 디스플레이 영역에 표시될 수 있다. 채널 변경 요청을 수신함에 따라, 현재 프로그램의 디스플레이 크기는 감소되어 다음 프로그램으로부터의 콘텐츠를 표시하기 위한 공간(room)이 만들어진다. 일부 실시예에서, 현재 프로그램과 다음번 프로그램에 대한 디스플레이 윈도우들은 수직 배열(vertical alignment)로 정렬된다. 정렬된 윈도우들은 중첩되지 않고 수직 방향에서 애니메이션(animated)(예를 들면, 스크롤됨)되어 채널 변경의 처리가 현재 진행되고 있음을 사용자에게 시각적으로 피드백해준다. 다음번 프로그램에 대한 윈도우가, 예를 들면 현재 프로그램 윈도우에 의해 미리 점령된 위치와 같은 미리설계된 위치에 도달되고 나면, 다음번 프로그램 윈도우는 전체 디스플레이 스크린 영역을 점령하도록 다시 크기조정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스크롤링 동작 동안, 다른 시각적 정보, 예를 들면, 애니매이션화된 그래픽 또는 광고가 현재 프로그램 또는 다음번 프로그램에 의해 점령되지 않은 스크린 영역에 표시된다.
본 발명의 일양태에서, 디스플레이 상에 채널 변경을 시각적으로 나타내는 방법이 제공된다. 이 방법은, 디스플레이 상의 제1 위치에 있는 제1 윈도우 내에 제1 프로그램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제1 채널 변경 명령을 수신하는 단계; 제1 채널 변경 명령에 응답하여, 디스플레이의 배경 레이어의 일부분이 노출되도록 제1 윈도우의 제1 시각적 특성을 변경하는 단계; 제2 프로그램의 적어도 일부분을, 디스플레이의 노출된 부분에, 제1 윈도우에 대해서 수직 방향에 위치되는 제2 윈도우 내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제1 윈도우와 제2 윈도우를 디스플레이를 가로질러 수직 방향으로 자동으로 스크롤링 하는 단계 - 제1 윈도우는 디스플레이의 외측으로 이동하고 제2 윈도우는 제1 위치의 방향으로 이동을 시작함 - ; 및 제2 윈도우가 디스플레이 상의 제1 위치에 도달한 후, 제1 윈도우가 디스플레이로부터 사라지면서 제2 윈도우가 디스플레이를 차지하도록, 제2 윈도우의 제2 시각적 특성을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다른 양태에서, 디스플레이 영역을 가진 디스플레이 상에 시각적으로 연속인 채널 변경을 제공하기 위한 장치가 개시된다. 이 장치는, 디스플레이 영역의 실질적으로 모든 영역에 현재 프로그램을 디스플레이 하는 디스플레이 모듈; 다음 프로그램을 보기 위한 명령을 수신하는 명령 수신 모듈; 명령에 응답하여, 시각적으로 연속인 방식으로, 디스플레이의 최초 위치를 차지하는 디스플레이 내의 제1 윈도우에 정합하여 현재 프로그램을 리스케일하는 제1 리스케일러(rescaler) 모듈; 제1 위치와 겹치지 않는 디스플레이의 제2 위치에 위치되는 제2 윈도우 내에, 다음 프로그램의 적어도 일부분을 나타내는 프리젠테이션 모듈; 시각적으로 연속인 방식으로, 제1 윈도우를 디스플레이 영역으로부터 외측 전이하고(transitions out) 또한 제2 윈도우를 제1 윈도우에 의해 이전부터 차지된 최초 위치로 내측 전이(transitioning in)하는 윈도우 전이 모듈; 및 제2 윈도우가 최초 위치로 이동한 후 제2 윈도우가 디스플레이 영역의 실질적으로 모든 영역을 차지하도록 확장하는 제2 리스케일러 모듈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서, 향상된 채널 변경 경험을 제공하기 위해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방법이 제공되고, 이 방법은, 제1 채널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제2 채널을 보기 위한 제1 명령어를 수신하는 단계; 제1 채널로부터 제2 채널로의 채널 변경을 개시하는 단계 - 채널 변경은, 제1 채널의 디스플레이 크기를 감소시키는 단계; 제2 채널의 더 많은 데이터가 수신됨에 따라 제2 채널로부터의 비디오를 점차적으로 더 많이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제1 채널이 디스플레이로부터 점차적으로 사라지도록 제1 채널을 스크롤 아웃하고 제2 채널이 제1 채널의 온-스크린 위치를 차지하도록 제2 채널을 스크롤링하는 단계; 및 제2 채널에 대한 충분한 데이터가 이용가능한 후 제2 채널을 전체 크기로 확장하는 단계를 포함함 - ; 채널 변경 중에 그리고 제2 채널을 전체 크기로 확장하기 이전에 제3 채널을 보기 위한 제2 명령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제2 명령어에 응답하여, 제3 채널의 더 많은 데이터가 수신됨에 따라 제3 채널로부터의 비디오를 점차적으로 더 많이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제1 채널과 제2 채널이 디스플레이로부터 점차적으로 사라지도록 제1 채널과 제2 채널을 스크롤 아웃하고, 제3 채널이 제1 채널의 위치를 차지하도록 스크롤링 하는 단계; 및 제3 채널에 대한 충분한 데이터가 이용가능한 후 제3 채널을 전체 크기로 확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서, 복수의 비디오 프로그램을 동시적으로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장치는, 제1 프로그램 윈도우 내에 제1 비디오 프로그램을 디스플레이하는 제1 디스플레이 모듈; 제2 프로그램 윈도우 내에 제2 비디오 프로그램을 디스플레이하는 제1 디스플레이 모듈; 제2 프로그램 윈도우가 제1 프로그램 윈도우에 겹치지 않고 직접 인접하여 위치되도록, 제1 프로그램 윈도우와 제2 프로그램 윈도우의 크기와 위치를 제어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윈도우 관리 모듈; 제1 프로그램으로부터 제2 프로그램으로의 채널 변경을 위한 제1 명령을 수신하는 명령 모듈; 제1 명령에 응답하여, 제1 프로그램 윈도우가 스크린의 제1 위치에서 완전히 보여지는 초기 상태로부터, 제1 프로그램 윈도우가 완전히 보여지지 않고 제2 프로그램 윈도우가 제1 위치에서 있는 최종 상태로, 제1 프로그램 윈도우와 제2 프로그램 윈도우를 전이하는 전이 모듈; 제1 프로그램 윈도우가 전체 스크린 영역을 차지하는 제1 전체-스크린 모드로부터 제1 프로그램 윈도우가 전체 스크린 디스플레이 영역 보다 작은 영역을 차지하는 제1 윈도우-모드로, 제1 프로그램 윈도우를 리스케일하는 제1 리스케일러 모듈; 제2 프로그램 윈도우가 전체 스크린 영역보다 더 작은 영역을 차지하는 제2 윈도우 모드로부터 제2 프로그램 윈도우가 전체 스크린 디스플레이 영역을 차지하는 제2 전체 스크린 모드로, 제2 프로그램 윈도우를 리스케일하는 제2 리스케일러 모듈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전술한 양태 및 실시예가 이하의 도면, 상세한 설명 및 특허청구범위에 설명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전술한 목적이 달성될 수 있다.
도 1은 현재의 프로그램이 표시되는 예시적인 디스플레이 스크린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현재의 프로그램이 크기조정되고(rescaled) 표시된 예시적인 디스플레이 스크린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현재 프로그램과 다음 프로그램이 표시된 예시적인 디스플레이 스크린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현재 프로그램과 다음 프로그램이 표시되고 수직 방향으로 스크롤된 예시적인 디스플레이 스크린을 나타낸 도면.
도 5는 현재 프로그램과 다음 프로그램이 표시되고 수직 방향으로 더 스크롤된 예시적인 디스플레이 스크린을 나타낸 도면.
도 6은 현재 프로그램과 다음 프로그램이 표시되고 수직 방향으로 더 스크롤되어 제2 프로그램이 온-스크린 위치에 있는 예시적인 디스플레이 스크린을 나타낸 도면.
도 7은 다음 프로그램이 전체 디스플레이 영역을 차지하도록 크기조정된 예시적인 디스플레이 스크린을 나타낸 도면.
도 8은 다음 프로그램이 표시된 예시적인 디스플레이 스크린을 나타낸 도면.
도 9는 추가적인 채널 변경 요청이 수신될 때 다음 프로그램이 전체 디스플레이 영역을 차지하도록 크기조정된 예시적인 디스플레이 스크린을 나타낸 도면.
도 10은 다른 프로그램을 위한 프로그램 디스플레이 윈도우를 수용하기 위해 다음 프로그램이 점령된 영역을 감소시키도록 크기조정된 예시적인 디스플레이 스크린을 나타낸 도면.
도 11은 현재 프로그램, 다음 프로그램 및 다른 프로그램이 중첩됨이 없는 배열로 수직방향에 동시적으로 표시된 예시적인 디스플레이 스크린을 나타낸 도면.
도 12는 현재 프로그램, 다음 프로그램 및 다른 프로그램이 중첩됨이 없는 배열로 수직방향에 동시적으로 표시되고 스크롤되는 예시적인 디스플레이 스크린을 나타낸 도면.
도 13은 현재 프로그램, 다음 프로그램 및 다른 프로그램이 중첩됨이 없는 배열로 수직방향에 동시적으로 표시되고 더 스크롤되는 예시적인 디스플레이 스크린을 나타낸 도면.
도 14는 현재 프로그램, 다음 프로그램 및 다른 프로그램이 중첩됨이 없는 배열로 수직방향에 동시적으로 표시되고 더 스크롤되어 원하는 다른 프로그램이 현재 프로그램에 의해 처음 점령된 위치에 오게되는 예시적인 디스플레이 스크린을 나타낸 도면.
도 15는 제2 연속 채널 변경 동안 예시적인 디스플레이 스크린을 나타낸 도면.
도 16은 제2 연속 채널 변경 동안 다른 예시적인 디스플레이 스크린을 나타낸 도면.
도 17은 제2 연속 채널 변경이 수행된 후 예시적인 디스플레이 스크린을 나타낸 도면.
도 18은 채널 변경의 시각적 표현에 대한 예시적인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
도 19는 시각적으로 연속적인 방법으로 채널 변경을 제공하는 예시적인 장치의 블록도.
도 20은 다중 채널 변경 명령으 시퀀스에 응답하여 채널 변경의 시각적 표현을 위한 예시적인 방법의 흐름도.
도 21은 다중 채널 변경 명령으 시퀀스에 응답하여 채널 변경의 시각적 표현을 제공하는 예시적인 장치의 블록도.
도 22는 예시적인 통신 네트워크의 하이 레벨 아키텍처를 도시한 도면.
도 23은 종단 사용자 장치(end user devices)에 프로그램의 리사이즈(re-sized) 이미지(섬네일 이미지(thumbnail images))를 전송하기 위한 예시적인 일방향(one-way) 통신 네트워크의 하이 레벨 아키텍처를 도시한 도면 - 이 실시예에서, 본 발명은 프로그램 메타-데이터를 일방향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하는 것과 유사하게 데이터 캐러셀(carousel)을 이용하여 섬네일을 전송함 - .
전술한 도면들에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엘리먼트를 나타낸다.
특정 디지털 네트워크 또는 다이렉트-홈 위성 네트워크와 같은 일부 디지털 프로그램 전송 네트워크에서, 채널 변경은 비교적 느리고 1.5초 내지 2초의 지연(delay)과 같은 분명한 지연을 나타낸다. 일부 시스템에서, 고밀도 프로그램 사이의 채널 변경은 예를 들면, 2.7초 내지 4.5초와 같은 더 긴 시간이 소요된다. 고해상도 포맷을 가진, 예를 들면 초고밀도(ultra high definition) 또는 4K 포맷을 가진 특정 디지털 전송 시스템은 현존하는 디지털 전송 시스템 보다 더 긴 채널 변경 시간을 가진다. 유사하게, 브로드캐스트 프로그램, 비디오 온 디맨드 프로그램, 디지털 비디오 리코더로부터 검색되는 프로그램 등에서 채널이 변경될 때 상대적으로 긴 채널 변경 시간이 경험될 수 있다.
채널 변경 요청이 수신될 때와 원하는 채널이 표시될 때 사이의 시간 동안, 사용자 장치(예를 들면, 셋탑 박스 또는 디지털 텔레비전 또는 테블렛 컴퓨터와 같은 휴대 장치)는 테이블 파싱(parsing), 튜너의 재튜닝, 비디오 데이터로 디코딩 버퍼 충전 등과 같은 하나 이상의 동작을 수행한다. 일부 디지털 배송 시스템은 보여질 새로운 채널 또는 다음 채널의 비디오의 일부분에 대한 충분한 데이터가 수신될 때 까지 새로운 채널에 대한 일부 정보를 가진 블랙(또는 블랭크(blank)) 스크린을 표시한곤 한다.
일부 사용자는 현존하는 디지털 전송 시스템의 일부에서 채널 지연 시간이 지나치게 길고 사용자 경험의 질을 떨어뜨린다고 여긴다. 또한 사용자 장치가 현재 프로그램의 표시를 중단하고 다음번 프로그램을 디스플레이하기 시작하도록 디스플레이를 업데이트 하는 동안, 사용자는 요청된 채널 변경에 대해 사용자 장치에서 어떤 처리가 진행되는지에 대해 매우 적은 정보(feedback)를 가진다. 본 발명자는 예를 들면, 일부 시스템에서 2초 내지 4초의 채널 변경 시간과 같은 채널 변경 동안의 시간 지연이, 사용자의 텔레비전의 시청 경험을 유지하면서, 예를 들면 사용자에게 광고 및/또는 기타 시각적 콘텐츠를 표시할 수 있는 큰 기회를 제공하는 것과 같이, 사용자에게 추가적 또는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는데 유리하게 이용될 수 있다는 것을 인지하였다. 본 발명자는 또한 채널 변경과 관련된 시각적 피드백이 전혀 없을 때, 사용자는 채널 변경이 얻어지는 시간 보다 빠른 속도로 채널-업 또는 채널-다운 콘트롤을 조급하게 누르는 것을 주시하였다. 결과적으로, 사용자가 사용자 장치에 그런 연속적인 채널 변경 모드를 입력하면 사용자 장치는 여러 채널을 차례대로 변경하는 것을 시도하게 되고, 디스플레이는 2초 내지 10초 동안 블랭크를 표시하며(또는 비디오의 깨진 화면(broken tiles)을 표시할 수도 있음) 이는 사용자의 텔레비전 시청 경험을 방해한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기술은 사용자의 텔레비전 시청 경험에서 전술하여 논의된 결점 및 디지털 비디오 프로그램의 표현과 연관된 문제점을 극복하도록 방법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또한 프로그램 또는 TV 채널을 변경함에 있어서의 사용자 경험을 향상시키거나 개선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보여지는 하나의 프로그램(브로드케스트 텔레비전 또는 스트리밍 콘텐츠 또는 다른 전송 매커니즘을 이용함)으로부터 다른 하나로의 변경은 본 발명의 기술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개시된 일부 실시예에서, 사용자-요청 채널 변경은 다른 디지털 시스템에서와 같이 대략 동일한 시간이 걸릴 수 있지만, 채널 변경시 블랭크 또는 블랙 스크린을 사용자에게 표시하는 대신에, 디스플레이는 사용자에게 흥미있는 영화 픽처 및/또는 다른 콘텐츠를 표시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일부 실시예에서, "포춘 쿠키(fortune cookie)" 형태의 메시지가 사용자에게 표시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채널 변경시 또는 사용자가 채널을 변경하는 다음 시간 동안 사소한 질문(trivia question)이 사용자에게 표시되고, 답이 제공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미리캐시된(pre-cached) 일일 코믹 스트립이 채널 변경 시간 동안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표시된 텍스트 및 그래픽은 텔레비전 서비스 제공자와 사용자 장치 제조자에 의해 제공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변경하고자 하는 채널 또는 변경할 채널과는 연관되지 않을 수도 있다. 이들 및 다른 실시예는 흥미있는 또는 유용한 콘텐츠를 제공하기 위해 채널 변경시 지연을 이용한다.
도 22는 예시적인 콘텐츠 네트워크(100)를 나타낸다. 사용자 장치(108)(예를 들면, 셋탑 박스, 홈 게이트웨이 장치, 디지털 텔레비전, 휴대 또는 이동식 장치 등)는, 네트워크(106)을 통해서 사용자 장치(108)에 여러 오디오/비디오 프로그램 또는 채널을 유니캐스트 또는 브로드캐스트하는 콘텐츠 서버(104)와 통신가능하게 결합된다. 콘텐츠 서버(104)는 콘텐츠 제공자로부터 프로그래밍 입력(102)을 통해 프로그래밍을 수신한다. 각종 실시예에서, 콘텐츠 서버(104)는 케이블 헤드엔드(headend), 위성 헤드엔드, 사용자 거주지에서의 개인 비디오 리코더 박스 또는 스트리밍 서버 등으로서 구현될 수 있다. 각종 실시예에서, 네트워크(106)는 예를 들면, 유선(케이블, 디지털 가입자 루프 또는 광섬유 라인) 또는 무선(802.11, 마이크로웨이브, 3G 또는 4G 네트워크, WiMAX, 위성 등)과 같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네트워킹 기술을 포함할 수도 있다.
도 23은 종단 사용자 장치(18)에 프로그램의 리사이즈된 이미지를 전송하기 위한 에시적인 통신 네트워크(2300)의 블록도를 나타낸다. 사용자 장치(108)는 위성 네트워크와 같은 무선 네트워크 상에서 라이브 피드(live feed)를 수신할 수 있다. 네트워크 상에서, 비디오 콘텐츠는 라이브 피드 또는 테이프 또는 인게스트(ingest) 인코더로의 다른 미디어로부터 수신될 수 있다.
인코더는 스토리지 모듈 내에 저장을 위한 인코딩된 비디오 데이터를 생성하기 위해 이 피드를 포맷, 인코딩 또는 프로세싱할 수 있다. 스토리지 모듈은 파일 전송 프로토콜과 같은 전송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미리 인코딩된 데이터를 수신할 수도 있다. 저장된 데이터는, 스케줄러 모듈(scheduler module)을 이용하여 플레이아웃(playout)을 스케줄하는 브로드캐스트 관리 시스템(BMS)와 같은 헨드엔드 제어 시스템의 제어하에서 디코더로 제공(played out)될 수 있다. 디코딩된 비디오 데이터는 제2 인코더(인제스트 아님)를 이용하여 재 인코딩되고, 프리뷰 스냅샷과 다중화되고(multiplexed), 업링크를 위해 제공될 수 있다.
도 23의 예에서, "섬네일 & 프로그램 메타-데이터 생성기" 모듈(2302)은 프로그램의 MPEG 데이터를 캡처하는 것에 기반한 JPEG를 생성하고, 스트리머 모듈(2304)에게 EMMS(entitlement management messages)와 ECM(entitlement control message)를 포함하는 프로그램의 다른 메타 데이타를 혼합하는 것에 의해 JPEG 이미지를 브로드캐스트할 것을 명령한다. 일단 사용자 장치(108)가 JPEG 이미지를 수신하면, 사용자 장치(108)는 다른 프로그램 연관 데이터와 함께 데이터베이스에 JPEG 이미지를 저장하고 본 명세서에서 기재된 바와 같이 채널 변경 동안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를 위해 이용한다. 스케줄러는 저장된 프로그램의 XML(extensible markup language)를 모듈(2302)에 더 제공하여 "채널 번호"의 개념(notion)이 프로그램과 연관지어 진다. 이 채널 번호의 개념은 본 명세서에서 기재된 "채널 업" 또는 "채널 다운" 동작 동안 프리뷰(previews)를 제공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술의 일부 특징을 두개의 예시적인 채널 변경 시나리오를 사용해서 설명한다.
예 1
도 1은 현재 프로그램(154)이 전체 화면 모드에서, 즉 현재 프로그램(154)이 디스플레이 영역의 대부분을 차지하여 디스플레이되는 윈도우에 표시되는 프로그램 시청 디스플레이(150)의 예를 나타낸다. 도시된 예에서, 디스플레이(150)는 일반적으로 사각형(rectangular) 형상일 수 있고, 사용자의 관점에서 정의되는, 저부 에지(156), 상부 에지(158), 좌측 에지(160), 우측 에지(162)에 의해 정의될 수 있다.
현재 프로그램(154)을 시청하는 동안, 사용자는 채널 변경 동작을 시작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는 사용자 장치와 연관된 리모콘 상의 "채널 업" 또는 "채널 다운" 버튼을 누르거나, 사용자 장치 상의 온-스크린 메뉴 또는 채널 변경 버튼을 누룰 수 있다.
도 2는 채널 변경 명령어에 응답하여, 현재의 프로그램(154)이 전체 디스플레이 영역 보다 적은 영역을 차지하는 윈도우(202)에 표시되도록 디스플레이(150)가 업데이트되는 디스플레이 상태(200)의 예를 나타낸다. 일부 실시예에서, 예를 들면, 사용자 장치가 충분한 리소스(그래픽 메모리, 패킷 필터링, 해독화, 튜너 등)를 구비한 경우, 하나의 채널 업 / 하나의 채널 다운으로부터의 콘텐츠를 수직 배열(디스플레이(150)의 상부 에지로부터 저부 에지)로 윈도우들(202,204,206)을 적층(stacking)하는 것으로 추가의 윈도우(204,206)가 표시될 수도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윈도우(204,206)에 표시되는 이전/다음 채널의 콘텐츠는 처음에는 정적일 수도 있고, 예를 들면 동영상 비디오 아닌 스틸 픽처일 수도 있다. 이들 스틸 픽처(still pictures)는 사용자에게 이용가능한 채널 라인업(lineup)에 대한 썸네일 그래픽으로서 종종(매 5 내지 10초) 사용자 장치에 의해 수신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윈도우(204,206)에 표시된 이전/다음 채널로부터의 콘텐츠는 각각의 채널에 대해 수신된 데이터 패킷에 기반하여 조립될 수 있다(예를 들면, 모든 수신된 내부코딩된(intra-coded) 블록, 후속하는 예측적으로 코딩된(predictively coded) 블록 등을 초기 디코딩하고 표시함).
도 1에 도시된 디스플레이(사용자는 제1 프로그램을 시청함) 상태로부터 디스플레이 상태(200)로의 전환(transtion)은 단일 프레임 리프레시 시간(single frame refresh time)(초당 30 프레임에 대해 33미리세컨드 또는 60Hz 프레임 속도에 대해 16.7 미리세컨드) 내에서 신속하게 변경될 수 있다. 하나의 유리한 특성으로, 도 1에서 도2 디스플레이 상태로의 신속한 전환은 사용자 장치가 채널 변경 명령을 맏고 사용자를 위한 채널 변경이 동작중이라는 즉각적인 피드백을 사용자에게 제공한다는 점이다. 윈도우(202)로의 현재 프로그램(154)의 전환은 시각적으로 연속적인 방식으로, 즉 전체 화면 모드로부터 조금 작은 전체 화면 모드로 윈도우가 탄력적으로 축소되는 방식으로 수행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2 프로그램, 예를 들면 광고는 윈도우(202,204,206)에 의해 가려지지 않는 디스플레이 영역(208)에 표시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사용자 장치는, 광고주에게는 보다 중요한 픽처 영역 내의 광고의 위치에 관한 위치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이러한 가려짐이 없는 정보(non-occlusion information)는 광고 내의 중요한 콘텐츠가 사용자에게 보여지도록, 윈도우(202,204,206)의 온-스크린 위치를 조정하기 위해 사용자 장치에 의해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광고주는 로고 또는 판매 가격 표시 영역을 가려짐 없음 영역으로서 식별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사용자 장치는 최종 온-스크린 픽처를 생성하기 위해 그래픽 메모리 내에 여러 그래픽 레이어를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광고 콘텐츠(208)는 배경 그래픽 레이어에 대응하는 반면, 프로그램 윈도우(202,204,206)는 하나 이상의 전경 그래픽 레이어에 대응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0과 1(포함하는) 사이의 알파 값을 가진 알파-브렌딩(alpha-blending)이 이용되어 디스플레이(150) 상에 복합적인 픽처를 생성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상태(200)는 현재 프로그램(154)을 나타내는 윈도우(202)가 리스케일(줄어듬)되지만 여전히 다른 프로그램 윈도우들(204,206) 보다는 큰, 시간 인스턴트(time instant)를 나타낸다. 각종 실시예에서, 윈도우 202와 204/206의 상이한 디스플레이 크기는 서로 겹쳐지거나 겹쳐지지 않을 수 있으며 동영상 비디오 또는 정지된 픽처일 수 있다.
도 3은 현재의 프로그램 윈도우(302)가 그 최소 크기로 리스케일되어진 예시적인 디스플레이 상태(300)를 나타낸다. 도시된 예에서, 3개의 윈도우(302,204,206) 모두 유사하거나 동일한 크기를 가지며, 그들의 좌측 및 우측 에지에 대해 수직 배열된다. 문맥상 "수직"이란 용어는 사용자의 관점에서 디스플레이의 상부 에지와 디스플레이의 하부 에지 사이의 방향에서 윈도우의 배열을 나타낸다.
일부 실시예에서, 도 1로부터 도 2 및 도 3으로의 리스케일링 동안, 윈도우 202와 302에 표시된 비디오 콘텐츠는 정지되어 있거나, 채널 변경이 시작하기 이전 표시되어 있는 최종 프로그램 프레임이 멈춰진 것일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윈도우 202와 302 내의 콘텐츠는 활동(active)되거나 비디오(동영상) 콘텐츠에 대응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 상태(300)는 표시된 프로그램 윈도우 사이의 관계를 가르키는 아이콘(304,306)(예를 들면, 채널 업 방향을 나타내는 윗 화살표(304), 채널 다운 방향을 나타내는 아래 화살표(306))을 표시할 수 있는 윈도우 분리 영역을 가지며 겹쳐지지 않는 프로그램 윈도우(302,204,206)들을 정렬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150)는, 프로그램 윈도우(302)의 위치가, 스크롤링 프로세스 직전 또는 그 역으로, 리스케일 프로세스의 끝에 윈도우가 정합되는 시드 위치(seed position)인 시각적 큐(visual cue)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는 중간(intermediary) 디스플레이 상태(400)의 예를 나타내고, 여기서 프로그램 윈도우(402,404,406)는 수직방향(디스플레이(150)의 상부 및 하부에지로부터 하부 및 상부 위치로)으로 이동되도록 애니메이션되었다. 예를 들면, 윈도우(206,208)에 비교하여, 윈도우(406)은 상부 픽처 에지(158)로부터 실제 픽처 영역의 외측으로 스크롤되었고, 윈도우(404)는 윈도우(204)에 비해서 더 많은 디스플레이의 영역을 차지한다.
도 5는 중간 디스플레이 상태(500)의 예를 나타내고, 현재 프로그램 윈도우(502)는, 위도우의 일부분이 디스플레이(150)의 상부 에지를 지나 사라졌기 때문에 디스플레이 영역(150) 내에 일부분만이 보여진다. 다음 프로그램을 나타내는 윈도우(504)는 디스플레이의 아래로부터 위쪽 방향으로 나타나지게 됨에 따라 더 커졌다.
도 6은 디스플레이 상태(600)의 예를 나타내고, 여기서 다음 채널용의 윈도우(604)는 현재 프로그램 윈도우(도 3 참조)이 차지하던 이전의 위치로 이동되었다.
도 7은 새로운 프로그램용의 윈도우(704)가 확장되어 최종적으로는 전체 디스플레이를 차지하도록 리스케일되고 있는 디스플레이 상태(700)의 예를 나타낸다. 현재 프로그램(702)(이제는 이전 시청된 프로그램임)과 다른 프로그램(706)을 표시하고 있는 윈도우들은 옵션에 따라서 존재될 수 있다. 또한, 광고(152)는 여전히 부분적으로 보여질 수 있다.
도 8은 채널 변경이 완료된 디스플레이 상태(800)의 예를 나타내며, 다음 프로그램은 디스플레이 영역의 전체를 자치하는 윈도우(802)에 표시되고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전술한 도1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은 현재 프로그램으로부터 다음 프로그램으로의 전환은 현재의 기술에 이용되는 채널 변경 시간과 대략 동일한 시간(예를 들면, 표준 정의 텔레비전 프로그램에서 1.5 내지 2초)에서 발생된다. 하나의 양태에서, 현재 개시된 기술은 채널 변경 명령이 수신되고 채널 변경이 진행중인 즉각적인 시각적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1 디스플레이(전체 스크린)로부터 도 2 디스플레이(현재 프로그램의 리스케일링)로의 전환은 즉시적이다(< 15~60 밀리세컨드).
다른 양태에서, 현재 개시된 기술은, 다음 프로그램의 더 많은 데이터가 이용가능하게 만들어진 다음 프로그램과 연관된 시각적 정보와 함께, 현재 프로그램과 다음 프로그램의 동시적으로 보는 것을 허용한다. 또한, 광고 또는 연관된 제2 프로그램은 채널 변경 시간 동안 사용자에게 표시될 수 있다. 하나의 변형예에서, 다음 프로그램에 대한 시각적 정보는, 작은 해상도의 압축된 그래픽 섬네일의 형태로, 프로그램 콘텐츠와 함께 대역을 벗어나 보내진 인코딩된 픽처와 같은 다른 메커니즘을 이용하여 보내질 수 있다.
다른 양태에서, 현재 개시된 기술은 채널 라인업(현재 프로그램, 다음 프로그램 및 이들 두 프로그램의 위쪽 또는 아래쪽의 다른 채널들)을 사용자에게 직관적인 방식으로 스크롤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가 발생시킨 "채널 업" 명령 또는 "채널 다운" 명령에 따라서 윈도우(204,302,206)(도 3 참조)에 의해 형성된 필름스트립은 스크롤 업되거나 다운된다. 프로그램 윈도우의 수직방향 이동은 사용자구성가능하게 만들어질 수 있으며, 따라서 사용자는 채널 변경의 동작 모드를 선택할 수 있다(예를 들면, 채널 업 명령어에 대해 윈도우를 위쪽 또는 아래쪽 중 어느 곳으로 움직일지, 또한 채널 다운 명령어에 대해서도 유사함)
예 2
도 8, 도 9, 도 10, 도 11, 도 12, 도 13, 도 14, 도 15, 도 16 및 도 17을 참조하면, 예시적인 실시예는 첫번째 채널 변경이 완료되기 이전에 사용자가 여러번의 채널 변경 명령을 발생시킨 것을 나타낸다.
도 8은 전술한 바와 같이 채널 변경이 완료된 디스플레이 상태(800)를 나타낸다. 사용자는 "채널 다운" 버튼을 선택한다고 가정한다.
도 9는 윈도우(902)가 더 작은 영역으로 리사이즈되고, 제2 프로그램 또는 광고가 디스플레이(150) 상의 나머지 영역에서 보여진다.
도 10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상태(1000)에서, 소비자는 다른 "채널 다운" 명령을 생성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채널 다운" 버튼을 두번 선택하였고 이는 소비자가 채널을 다음 채널 아래로 변경하기 원하는 것을 나타낸다. 도 10에서 현재 프로그램은 윈도우(1002)에 표시되고, 윈도우 1006과 윈도우 1004에 각각 위쪽의 하나의 프로그램과 아래쪽 하나의 프로그램이 부분적으로 표시된다.
도 11은 두번째 채널 변경 명령에 응답하여, 프로그램 윈도우 1102(현재 프로그램), 1104(사용자가 보기 원하는 프로그램), 및 1106(이전 보았던 프로그램)이 디스플레이(150) 내에 완전히 맞도록 리케일된 디스플레이 상태(1100)의 예를 나타낸다.
도 12는 픽처 윈도우 1202, 1204, 1206, 1208, 및 1210이 디스플레이(150) 내에 보여지는 디스플레이 상태(1200)의 예를 나타낸다. 이들 리스케일된 윈도우는 애니매이션화될 수 있고, 또는 사용자가 원하는 프로그램 채널이 디스플레이(150)의 미리 정해진 위치에 오도록 수직방향으로 스크롤될 수 있다. 일단 사용자가 보기 희망하는 다음 프로그램에 대한 프로그램 윈도우가 미리정해진 위치에 있으면, 프로그램 윈도우(1204)는 전체 디스플레이 영역을 차지하도록 리스케일될 수 있다.
도 13은, 모든 픽처들이, 대응하는 윈도우 1202, 1204, 1206, 1208, 1210에 대한 수직방향으로 표시된 위치에서 윈도우 1302, 1304, 1306, 1308, 1310 및 1312로 나타낸 것 처럼, 아래의 다음 채널로 애니메이션화되는 중간 도면을 나타낸다.
도 14는 모든 픽처 윈도우가 윈도우 1302, 1304, 1308, 1312에 각각 대응하는 윈도우 1402, 1404, 1408, 1412, 1414(윈도우 1414는 도 12 및 도 13에 도시된 이전에 보여지지 않는 프로그램에 대응함)에 의해 도시된 것 같이 디스플레이 상태(1300)에 비교하여 아래의 다음 채널로 애니매이션되는 디스플레이 상태(1400)를 나타낸 예이다.
도 15는 사용자가 보기 희망하는 프로그램에 대응하는 프로그램 윈도우가, 윈도우 프로그램(1507)가 전체 스크린 영역을 차지하도록 스케일이 커질 수 있는 미리 결정된 자리에 있는 디스플레이 상태(1500)의 예를 나타낸다.
도 16은 프로그램 윈도우(1607)(윈도우 1507에 대응)가 전체 디스플레이 스크린 영역까지 크기가 확장되어 있는 디스플레이 상태(1600)의 예를 나타낸다.
도 17은 다음 채널(2 채널 다운)까지 채널 변경 다운이 완료되고 사용자가 원하는 프로그램이 전체 디스플레이 스크린에 표시된 디스플레이 상태(1700)의 예를 나타낸다.
일부 실시예에서, 도 8 내지 도 17에 대해 설명한 모든 전환은 2 채널 다운에 대한 통상의 채널 변경 시간(1.5초 내지 3초)에서 완료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프로그램 윈도우에 대한 배경으로 디스플레이(150) 상에 표시된 두번째 프로그램(152)은 채널 변경에 관한 소비자 습관에 기반하여 적응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는 서로 혼합된 여러 레이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각각의 윈도우(예를 들면, 디스플레이 1300에 표시된 5개의 프로그램 윈도우)는 배경 광고에 있어서 하나의 추가적인 그래픽 레이어를 가진 개별 그래픽 레이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팝인(pop-in) 또는 팝아웃(pop-out) 선형 아이콘 또는 라이브 콘텐츠 타이틀이 다른 그래픽 레이어 상에서 사용자에게 표시될 수 있따.
일부 실시예에서, 그래픽 레이어는 사용자에게 채널 변경 진행 피드백을 제공하는 시각적 디스플레이 위젯(widget)을 표시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일부 실시예에서, 타임 바(time bar)가 표시될 수도 있고, 이는 채널 변경에서 이루어지는 진행과정의 퍼센트 또는 량(amount)을 표시하도록 점차적으로 체워진다. 일부 실시예에서, 진행 바(progress bar)는 시각적 마커이거나 마일스톤(milestones)일 수 있고, 진행 바는 대응하는 임무(task)(예를 들면, "프로그램 테이블 파싱(parsed)", "채널 취득", "비디오 해독", "버퍼 채움(buffer filled)" 등)의 완료에 따라 마커까지 채워질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채널 변경 동작 중에 진행을 리포팅하기 위해 텍스트 메시지가 사용자에게 표시될 수 있다.
사용자에게 채널 변경을 표시하기 위한 전술한 기술들은 사용자에 의해 경험되는 채널 변경 시간을 저하시키지 않고 동작하도록 구현될 수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다른 말로, 하나의 채널의 전체 스크린 디스플레이로로부터 다른 채널의 전체 스크린 디스플레이까지 변화되는 모든 UI는 일반적인 채널 변경 시간 내에서 종료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는 사각형(예를 들면, 종래 16:9 또는 4:3 형태)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는 사각형이고 초상화 모드 방향(portrait mode orientation)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는 적어도 하나의 곡선형(curvilinear) 에지, 예를 들면, 원형 또는 타원형 디스플레이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는 수평방향 및/또는 수직방향으로 휘어질 수 잇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일 수도 있다.
여러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150)의 상이한 형태와 크기가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일부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는 일반적으로 원형의 형태일 수 있으며, 첫번째 윈도우는 수직 방향(상향 또는 하향)에서 선형 변형하는 디스플레이의 바깥으로의 전이(transition)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첫번째 윈도우는 디스플레이의 중앙으로부터 외측으로 나선형으로 움직이는(spiraling) 전이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윈도우가 수직 방향으로 애니메이션되는 기술에 대해 설명하고 있지만, 다른 실시예에서 윈도우는 수평 또는 대각선(diagonal) 방향으로 애니메이션되는 것도 가능하다. 여러 실시예에서, 광고는 정지 또는 움직이는 픽처 광고를 포함하지만, 그래픽, 시스템 정보, 메시지(날씨, 점(horoscope) 등) 등과 같은 부가적인 콘텐츠 요소도 포함할 수도 있다.
도 18은 디스플레이 상에서 시각적으로 표시되는 채널 변경에 대한 예시적인 방법(1500)의 흐름도를 나타낸다.
단계 S1502에서, 본 방법(1500)은 디스플레이 상의 제1 위치에서 제1 윈도우 내에 제1 프로그램을 표시한다. 예를 들면, 도 1에 도시된 것 처럼, 제1 윈도우는 전체 스크린 영역을 차지하고, 제1 위치는 디스플레이 영역과 단순히 오버랩될 수도 있다.
단계 S1504에서, 본 방법(1500)은 제1 채널 변경 명령을 수신한다. 채널 변경 명령은 한 채널 위로 또는 한 채널 아래로 가는 명령일 수 있다.
단계 S1506에서, 본 방법(1500)은, 제1 채널 변경 명령에 응답하여, 제1 윈도우의 제1 시각적 특징을 변경하고, 따라서 디스플레이의 배경 레이어의 일부분이 노출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1 시각적 특징은 디스플레이의 크기 및/또는 여러 시각적 레이어의 혼합동안 윈도우에 인가되는 알파 값 가중치(alpha value weight)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시각적 특징은 제1 윈도우에 맞는(fit) 부분만 표시하도록 제1 프로그램의 디스플레이를 크롭(cropping)하는 것에 의해 변경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1 시각적 특성은 픽처를 리스케일하는 것에 의해 변경된다. 즉, 사용자는 비디오의 전체 프레임을 작은 윈도우에 맞도록 감소된 해상도로 볼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방법(1500)은 디스플레이 상에서 제1 위치를 식별하기위한 시각적 큐(visual cue)를 제공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전술한 바와 같이, 시드 위치(seed position)은 반투명 아웃라인(semi-transparent outline) 또는 정렬 화살표(alignment arrow)를 이용하여 식별될 수 있다.
단계 1508에서, 방법(1500)은 제1 윈도우에 대해서 수직 방향에 위치되는 제2 윈도우 내의 디스플레이의 노출 부분 내에 제2 프로그램의 적어도 일부분을 표시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일부 실시예에서, 수직 방향 스크롤링은 윈도우를 상부 에지(하부 에지로부터 멀어지는 방향)를 향해 또는 디스플레이의 하부 에지를 향해(상부 에지로부터 멀어지는 방향) 이동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사용자 명령어가 "채널-업" 명령일 때, 제1 및 제2 윈도우는 아래방향으로 이동된다. 이는 제1 프로그램 윈도우를 그 위의 다음 프로그램 윈도우(상부 에지측의 윈도우)로 대체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1 채널 변경 명령은 채널 다운 명령을 포함하고, 자동 스크롤링은 제1 윈도우와 제2 윈도우를 수직방향에서 아래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일부 실시예에서, 채널 업 및 채널 다운 명령에 대해 발생되는 윈도우 이동을 보는 제어가 사용자에게 주어진다.
단계 1510에서, 방법(1500)은 자동으로 제1 윈도우와 제2 윈도우를 디스플레이의 수직방향을 가로질러 스크롤하고, 그에 따라 제1 윈도우는 디스플레이의 외부로 이동되고 제2 윈도우는 제1 위치의 방향으로 이동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방법(1500)은 추가적 콘텐츠 엘리먼트(예를 들면, 광고 또는 다른 정보 텍스트 또는 그래픽)를 배경 레이어 상에 표시하고, 따라서 제1 윈도우와 제2 윈도우와 겹치지 않는 광고의 적어도 일부분이 보여진다. 방법(1500)은 제1 디스플레이 특성이 변화되자마자 광고 표시를 시작하거나, 또는 스크롤링 동작 중에 광고 표시를 시작할 수도 있다.
단계 1512에서, 방법(1500)은 제2 윈도우가 디스플레이의 제1 위치에 있게 된 후, 제2 윈도우가 디스플레이를 차지하고 또한 제1 윈도우가 디스플레이로부터 사라져가도록 제2 윈도우의 시각 특성을 변경한다. 제2 시각 특성은 프로그램의 크롭(cropping), 리스케일링 등을 포함할 수도 있다.
도 19는 디스플레이 상에서 시각적으로 연속된 채널 변경을 제공하기 위한 장치(1600)의 블록도의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모듈(1602)(예를 들면, 디스플레이 모듈)는 디스플레이의 대략 모든 영역 상에 현재 프로그램을 디스플레이한다.
모듈(1604)(예를 들면, 명령 수신 모듈)은 다음 프로그램을 보기 위한 명령을 수신한다.
모듈(1606)(예를 들면 제1 스케일러 모듈)은 명령에 응답해서 시각적으로 연속적인 방식으로, 디스플레이 상의 최초 위치를 점령하면서 현재의 프로그램을 디스플레이 내의 제1 윈도우 내에 딱맞게 리스케일링한다.
모듈(1608)(예를 들면 프리젠테이션 모듈)은 제1 부분과 겹치지지 않는 디스플레이 상의 제2 부분에 위치된 제2 윈도우 내에 다음 프로그램의 적어도 일부분을 나타낸다.
모듈(1610)(예를 들면 윈도우 전이 모듈)은 시각적으로 연속인 방식으로 디스플레이로부터 제1 윈도우를 외측 전이(transitions out)하고, 또한 제1 윈도우에 의해 이전 점령된 최초 위치로 제2 윈도우를 내측 전이(transitions in)한다.
모듈(1612)(예를 들면 제2 리스케일러 모듈)은 제2 윈도우가 최초 위치에 위치된 이후 디스플레이의 대략 전체 영역을 차지하도록 제2 윈도우를 확장시킨다.
일부 실시예에서, 장치(1600)는 제1 윈도우와 제2 윈도우에 의해 점령되지 않은 디스플레이의 영역 내에 제2 프로그램이 보여지도록 제2 프로그램을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하는 제2 프로그램 디스플레이 모듈을 더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장치(1600)는 제2 프로그램의 키 부분을 판단하는 ad 분석 모듈과, 디스플레이 내에서 제1 윈도우에 대한 위치를 제2 프로그램의 키 부분에 기반하여 위치시키는 윈도우 포지셔닝 모듈을 포함한다. ad 분석 모듈은 광고 내에서 시각 정보를 추출하는 패턴 인식과 같은 기술을 이용할 수도 있고, 또는 광고와 관련된 비가림(un-occlusion) 정보가 제공될 수도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장치(1600)는 현재 프로그램과 다음 프로그램의 적어도 하나에 기반하여 제2 프로그램을을 선택하는 선택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사용자가 스포츠 프로그램을 보고 있었다면, ad와 관련된 키워드에 의해 지시되는 바와 같은 스포츠와 연관된 ad를 표시함).
일부 실시예에서, 입력 프로그램은 MPEG-2 또는 H.264 또는 H.265 포맷에서 MPEG(moving pictures expert group) 전송 스트림으로서 수신될 수 있다. 이들 포맷을 이용하여 인코딩된 비디오는 디코딩을 위한 모든 콘텐츠 정보를 포함하는 인트라 블록 또는 다른 픽처 블록과는 다른 인터 코딩된 블록으로서 인코딩될 수 있다. 그런 실시예에서, 장치(1600)는 그 기간동안 다음 프로그램을 위한 추가 비디오 데이터를 수신하고, 추가 비디오 데이터를 디코딩하고, 디코딩된 추가 비디오 데이터가 프리젠테이션 모듈에 이용가능하게 하는 프로그램 디코더 모듈을 포함할 수도 있고, 따라서 프리젠테이션 모듈은 그 이용가능성에 따라서 디코딩된 추가 비디오 데이터를 렌더링하도록 제2 윈도우를 리플레쉬(refresh)할 수 있다.
다중-채널 콘텐츠 전달 시스템에서, 용어 "채널"은 종종 문맥적 의미(contextual meaning)을 가진다. 예를들면, 물리적 레이어에서 "채널"은 주파수 밴드(예를 들면, 미국내에서 동축 케이블 전송에서 6MHz 주파수 밴드)로 언급된다. 어플리케이션 레이어에서, 용어 "채널"은 오디오/비디오 프로그램(또는 오디오-전용 프로그램)으로 단순히 언급될 수 있다. 아날로그 전송 시스템에서, 하나의 물리적 레이어 채널은 종종 하나의 어플리케이션 레이어 채널(또는 프로그램)으로 맵핑되기도 한다. 디지털 비디오 전송에 있어서, 사용자가 "채널 업" 버튼을 누르면, 이 명령이 수행되고, 사용자 장치는 사용자 장치가 대응하는 콘텐츠를 수신하는 물리적 라디오 주파수(RF)를 변경하거나 변경하지 않을 수 있다. 디지털 케이블 또는 위성 전송 시스템에서, 물리적 채널은 종종 10 내지 12 비디오 프로그램(어플리케이션 레이어 "채널")에 대한 콘텐츠를 운반하고, 채널 올림의 일부 사용자 명령어는 수신 RF 주파수에 대한 변경이 없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인터넷 프로토콜 기반 프로그램 전송 시스템에서, 모든 프로그램은 동일한 RF(물리적 레이어) 채널 상에서 수신될 수 있고, "채널 업" 및 "채널 다운" 명령은 수신된 패킷에 대한 상이한 필터 크리테리아를 이용하는 것으로 수행될 수 있다.
도 20은 향상된(시각적으로 끊김없는(seamless)) 채널 변경 경험을 제공하기 위해 디스플레이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1700)을 나타내는 예시적인 흐름도이다.
단계(1702)에서, 방법(1700)은 제1(어플리케이션 레이어) 채널(예를들면, 도 1)을 표시한다. 단계 1704에서, 방법(1700)은 제2 채널을 보기 위한 제1 명령을 수신한다.
단계 1706에서, 방법(1700)은 제1 채널로부터 제2 채널로의 채널 변경을 시작하고, 여기서 채널 변경은 제1 채널의 표시 크기를 감소시키고, 제2 채널에 대한 더 많은 데이터가 수신될 수록 제2 채널로부터의 비디오를 점차적으로 디스플레이하고, 제1 채널이 점차적으로 디스플레이로부터 사라지도록 제1 채널을 스크롤 아웃하고, 대응하여 제2 채널이 제1 채널의 온-스크린 위치를 차지하도록 스크롤하며, 제2 채널에 대한 충분한 데이터가 이용가능한 이후 제2 채널을 전체 크기로 확장시킨다.
단계 1708에서, 방법(1700)은 채널 변경 중에 그리고 제2 채널을 전체 크기로 확장하기 전에 제3 채널을 보기 위한 제2 명령을 수신하고 응답한다.
단계 1710에서, 방법(1700)은 제3 채널에 대한 더 많은 데이터가 수신되면 제3 채널로부터 비디오를 디스플레이하고 제1 채널과 제2 채널을 스크롤 아웃하여 제1 채널과 제2 채널이 점차적으로 디스플레이로부터 사라져가고, 따라서 제3 채널이 제1 채널의 위치를 차지하도록 스크롤링하고, 제3 채널이 제3 채널에 대한 충분한 데이터가 이용가능할 때 전체 크기로 확장된다.
도 8 내지 도 17을 참조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일부 실시예에서, 방법(1700)은 제1 채널과 제2 채널로부터의 비디오의 적어도 일부분을 디스플레이하고, 제2 채널로부터의 비디오를 점차적으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예를 들면, 도 12, 도 13, 도 14 등). 일부 실시예에서, 방법(1700)은 제2 채널을 보기 위한 제1 명령을 수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라디오 주파수 튜너를 상이한 주파수로 튜닝할 수 있다. 이 튜닝은 방법(1700)이 사용자-요청 다음 채널이 동일한 물리적 레이어 채널에서 이용가능하지 않고 다른 캐리어에서 이용가능함을 판단한다.
인트라(intra) 및 인터(inter) 코딩된 비디오 모두 사용하는 실시예에서, 방법(1700)은 제2 채널로부터의 비디오의 인트라 코딩된 블록을 최초 디코딩 및 디스플레잉하는 것에 의해, 또한 인트라 코딩된 블록에 대한 기준 블록의 이용가능성(avalability)에 따라, 제2 채널로부터의 비디오의 인터 코딩된 블록을 추가 디코딩 및 디스플레잉하는 것에 의해 제2 채널로부터의 비디오를 점차적으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방법(1700)은 다중 비디오 프로그램의 콘텐츠가 사용자에게 보여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1 윈도우와 제2 윈도우의 크기를 줄일 수 있고, 따라서 다른 채널 상에서 이용가능한 프로그램의 손쉬운 프리뷰(preview)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 상태(1200,1300,1400)의 각각은 5개의 연속적인 프로그램이 사용자에게 동시적으로 디스플레이되는 5개의 상이한 윈도우를 나타낸다.
도 21은 여러 비디오 프로그램을 동시적으로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장치(1800)의 블록도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모듈(1802)(예를 들면, 제1 디스플레이 모듈)은 제1 프로그램 윈도우 내에 제1 비디오 프로그램을 디스플레이한다.
모듈(1804)(예를 들면, 제2 디스플레이 모듈)은 제2 프로그램 윈도우 내에 제2 비디오 프로그램을 디스플레이한다.
모듈(1806)(예를 들면, 디스플레이 윈도우 관리 모듈)은 제1 프로그램 윈도우와 제2 프로그램 윈도우의 크기와 위치를 제어하여, 제2 프로그램 윈도우는 제1 프로그램 윈도우의 바로 위에 또는 바로 아래에서 겹치지 않게 위치될 수 있다. 이 맥락에서, 용어 "위"와 "아래"는 디스플레이 스크린 상에서 프로그램 윈도우(윈도우 1202, 1204, 1206, 1208)의 배열을 의미하고, 디스플레이(150)의 상부 에지(158)로부터 멀어지거나 그를 향해서 수직 방향으로 기울러진다.
모듈(1808)(예를 들면, 명령 모듈)은 제1 프로그램을 제2 프로그램으로 채널변경하는 제1 명령어를 수신한다.
모듈(1810)(예를 들면, 전이 모듈)은 제1 명령어에 응답하여, 제1 프로그램 윈도우와 제2 프로그램 윈도우가, 제1 윈도우가 완전하게 보여지는 스크린의 제1 위치에 있는 초기 상태로부터, 제1 프로그램 윈도우가 완전히 안보여지고 제2 프로그램이 제1 위치에 있는 최종 상태로의 전이를 일으킨다.
모듈(1812)(예를 들면, 제1 리스케일러 모듈)은, 제1 프로그램 윈도우가 전체 스크린 디스플레이 영역을 차지하는 제1 전체 스크린 모드로부터 제1 프로그램 윈도우가 전체 스크린 디스플레이 영역보다 작은 영역을 차지하는 제1 윈도우 모드로, 제1 프로그램 윈도우를 리스케일링하는다.
모듈(1814)(예를 들면, 제2 리스케일러 모듈)은, 제2 프로그램 윈도우가 전체 스크린 디스플레이 영역 보다 작은 영역을 제2 윈도우 모드로부터 제2 프로그램 윈도우가 전체 스크린 디스플레이 영역을 차지하는 제2 전체 스크린 모드로, 제2 프로그램 윈도우를 리스케일링하는다.
일부 실시예에서, 장치(1800)는 제1 프로그램 윈도우와 제2 프로그램 윈도우에 의해 차지되지 않은 디스플레이의 영역 내에서 제2 프로그램을 보여지게하는 제2 프로그램 디스플레이 모듈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전이 모듈은 제2 프로그램의 전체 픽처에 대한 이미지 정보가 수신되는 전체 시간 동안 초기 상태로부터 최종 상태로의 전이를 제어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전이 모듈은, 제1 프로그램 윈도우와 제2 프로그램 윈도우를 수직 방향으로 스크롤링하는 것에 의해 초기 상태로부터 최종 상태로의 전이를 제어하고, 따라서 스크린의 외측에 있는 제1 프로그램 윈도우와 제2 프로그램 윈도우의 어떤 부분도 디스플레이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서 설명된 기술은 채널 변경 동안 애니메이션화된 프로그램 윈도우 및/또는 광고 및/또는 다른 에니메이션을 제공하는 것에 의해 사용자와 시각적으로 관계되고, 그에 따라 채널 변경 시간 동안 사용자의 경험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 설명된 기술은 콘텐츠 제공자, 네트워크 오퍼레이터 및 장치 제조자에게, 추가적인 시간 자원(채널 변경 시간)과 스크린 실제 영역(real estate)(프로그램 윈도우에 의해 가려지지 않은 디스플레이 영역)를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광고를 표시하는 것에 의해 광고 수익을 생성하여 추가적인 기회를 제공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본 발명에서 설명된 실시예 및 다른 실시예, 기능적 동작 및 모듈은 본 명세서에서 기재된 구성과 등가인 구성을 포함하거나 또는 이들의 하나 이상의 조합에 의해 디지터 전자 회로, 또는 컴퓨터 소프트웨어, 펌웨어, 또는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 및 다른 실시예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예를 들면, 데이터 처리 장치에 의한 동작의 제어 또는 실행에 의해 컴퓨터 판독가능한 매체 상에 인코딩된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어의 하나 이상의 모듈로서 구현될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한 매체는 머신-판독가능한 스토리지 장치, 머신-판독가능한 스토리지 기판, 메모리 장치, 머신-판독가능한 전파 신호에 영향을 주는 물질의 구성(composition), 또는 이들의 하나 이상의 조합일 수 있다. 용어 "데이터 처리 장치"는 예를 들면 프로그램가능한 프로세서, 컴퓨터 또는 다중 프로세서 또는 컴퓨터를 예시적으로 포함하는, 데이터 처리를 위한 모든 장치, 디바이스 및 머신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장치는 하드웨어에 더하여, 컴퓨터 프로그램을 위한 실행 환경을 생성하는 코드, 프로세서 펌웨어를 구성하는 코드, 프로토콜 스택,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 오퍼레이팅 시스템, 또는 이들의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전파 신호는 인위적으로 생성되는 신호, 예를 들면, 머신 생성 전기, 광, 전자기, 신호일 수 있고, 적당한 수신기 장치로의 전송을 위해 정보를 인코딩하도록 생성된다.
컴퓨터 프로그램(프로그램, 소프트웨어,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 스크립트 또는 코드로도 알려져 있음)은 컴파일형 언어 또는 해석형 언어를 포함하는 모든 형태의 프로그래밍 언어로 기록될 수있고, 독립식 프로그램 또는 모듈, 컴포넌트, 서브루틴, 또는 연산 환경에 이용되기 적합한 기타 형태를 포함하는 어떤 형태도 채용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은 파일 시스템에서으 파일에 반듯이 대응할 필요는 없다. 프로그램은 다른 프로그램 또는 데이터(마크업 랭귀지 문서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스크립트)를 유지하는 파일의 일부분에 저장될 수 있고, 미지 프로그램에 전용된 하나의 파일 또는 여러 코디네이트된 파일(예를 들면, 하나 이상의 모듈, 서브 프로그램 도는 코드의 부분을 저장하는 파일)에 저장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은 하나의 컴퓨터 상에서, 또는 하나의 장소에 위치되거나 또는 여러 장소에 분산되고 통신 네트워크에 의해 상호연결된 복수의 컴퓨터들에 의해 실행되도록 채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설명된 프로세스 및 논리 흐름은 입력 데이터에 작용하여 출력을 생성하는 것에 의해 기능(functions)을 수행하도록 하나 이상의 컴퓨터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가능한 프로세서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프로세스 및 논리 흐름은 예를 들면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또는 ASIC(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등의 전용의 논리 회로에 의해 수행될 수 있고, 또한 장치에 의해서도 구현가능하다.
컴퓨터 프로그램의 실행에 적합한 프로세서는, 예시적인 방식으로서, 범용 및 전용의 마이크로프로세서 및 임의 종류의 디지털 컴퓨터의 임의의 하나 또는 복수의 프로세스들을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프로세서는 판독 전용 메모리 또는 램(RAM) 또는 이들 모두로부터 명령어 및 데이터를 수신한다. 일반적으로, 컴퓨터는 마그네틱, 마그네토 옵틱 디스크, 또는 옵틱 디스크와 같은 데이터 저장을 위한 하나 이상의 대용량 저장 장치로의 데이터 전송 또는 대용량 저장 장치로부터의 데이터 수신을 위해 대용량 저장 장치를 포함하거나 그에 동작가능하게 결합된다. 그러나, 컴퓨터는 그러한 장치를 가질 필요는 없다.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어 및 데이터를 저장하기 적합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모든 형태의 비휘발성 메모리, 매체 및 메모리 장치를 포함하는데, 예시적인 방식으로, EPROM, EEPROM 및 플래쉬 메모리 장치와 같은 반도체 장치, 내부 하드 디스크 또는 외장 디스크와 같은 자기 디스크, 마그네토 옵틱 디스크, 및 CD ROM 및 DVD-ROM 디스크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 및 메모리는 전용의 논리 회로에 의해 보충되거나 내장될 수 있다.
특정 실시예로서, 예시적인 프로세스 코드가 전술한 프로세싱의 구현을 위해 포함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많은 실시예를 포함하지만, 이들 실시예들은 청구되거나 청구될 수도 있는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며, 특정한 실시예의 특성을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서 각각의 실시예의 맥락에서 설명된 특정 특징들은 하나의 실시예에서 조합되어 구현될수도 있다. 반대로, 하나의 실시예에서의 맥락에서 설명된 다양한 특징들은 여러 실시예에서 분리되어 구현되거나 어떤 적합한 부-조합(sub-combination)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이 특징들은 특정 조합에서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더라도, 청구된 조합으로부터의 하나 이상의 특징은 일부 경우에 조합으로부터 실시될 수 있고, 청구된 조합은 부-조합 또는 부조합의 변형으로 될 수도 있다. 유사하게 특정한 순서로 동작이 도면에 도시되고 있지만, 이는 필수적인 것은 아니며 이런 동작은 도시된 특정한 순서로 또는 순차적인 순서로 수행될 수 있고, 모든 도시된 동작은 바람직한 결과가 얻어지도록 수행될 수 있다.
극히 일부의 실시예와 구현만이 설명되었다. 전술하여 설명한 실시예에 대해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각종 변형, 변경, 개선이 이루어질 수 있다.

Claims (26)

  1. 디스플레이 상에 프로그램 변경을 시각적으로 나타내는 방법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상의 제1 위치에서 제1 크기를 갖는 제1 윈도우 내에 제1 프로그램이 나타나게하는 단계;
    프로그램 변경 명령에 대응하는 입력을 감지하는 단계;
    입력에 응답하여, 제2 프로그램에 대한 데이터가 수신되는 기간 동안 디스플레이 상의 제2 위치에서 제2 크기를 갖는 제2 윈도우 내에 제2 프로그램을 점진적으로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로서, 제2 윈도우는 디스플레이 상의 제1 윈도우에 대해서 제1 방향에 위치되는, 단계;
    감지된 입력에 대응하는 프로그램 변경 명령에 따라 디스플레이상의 제1 윈도우의 제1 위치 및 제2 윈도우의 제2 위치를 변경하도록 디스플레이를 조정하는 단계로서, 제2 윈도우가 제1 윈도우의 화면상(on-screen) 위치를 차지함에 따라 제1 프로그램이 디스플레이로부터 사라지도록 하는, 단계; 및
    제2 프로그램에 대한 데이터가 수신된 후 제2 윈도우를 전체 크기로 확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상에 프로그램 변경을 시각적으로 나타내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조정하는 단계 동안, 제1 윈도우 및 제2 윈도우와 겹쳐지지 않은 추가적 콘텐츠 요소(Assitional Content Element, ACE)의 적어도 일부분이 가시화하도록 추가적 콘텐츠 요소(ACE)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상에 프로그램 변경을 시각적으로 나타내는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추가적 콘텐츠 요소는 광고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상에 프로그램 변경을 시각적으로 나타내는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제1 프로그램은 입력에 응답하여 정지되어 있거나 활동상태(active)로 유지되는
    디스플레이 상에 프로그램 변경을 시각적으로 나타내는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제1 윈도우 및 제2 윈도우는 동일한 폭을 갖는
    디스플레이 상에 프로그램 변경을 시각적으로 나타내는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방향을 표시하는 화살표가 나타나도록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상에 프로그램 변경을 시각적으로 나타내는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디스플레이를 조정하는 단계는 제1 윈도우 및 제2 윈도우를 수평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상에 프로그램 변경을 시각적으로 나타내는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디스플레이를 조정하는 단계는 제1 윈도우 및 제2 윈도우를 대각선(diagonal)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상에 프로그램 변경을 시각적으로 나타내는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제2 비디오가 나타나게 하기 전에 추가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및
    제2 프로그램의 제2 비디오를 제3 프로그램으로 대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상에 프로그램 변경을 시각적으로 나타내는 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제1 크기 및 제2 크기는 동일한 크기인
    디스플레이 상에 프로그램 변경을 시각적으로 나타내는 방법.
  11. 제1항에 있어서,
    제1 크기 및 제2 크기는 상이한 크기인
    디스플레이 상에 프로그램 변경을 시각적으로 나타내는 방법.
  12. 제1항에 있어서,
    디스플레이를 조정하는 단계는 제1 윈도우 및 제2 윈도우를 수직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상에 프로그램 변경을 시각적으로 나타내는 방법.
  13. 제1항에 있어서,
    제1 위치는 제2 위치와 상이한
    디스플레이 상에 프로그램 변경을 시각적으로 나타내는 방법.
  14. 하나 이상의 데이터 프로세서; 및
    하나 이상의 데이터 프로세서상에서 실행될 때,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의 단계를 포함하는 동작을 하나 이상의 데이터 프로세서가 수행하도록하는 명령을 포함하는 비-일시적 컴퓨터-판독 가능 저장 매체를 포함하는
    시스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21. 삭제
  22. 삭제
  23. 삭제
  24. 삭제
  25. 삭제
  26. 삭제
KR1020167017521A 2013-12-06 2014-12-04 텔레비전 채널 변경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기술 KR10219229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4/099,805 2013-12-06
US14/099,805 US9906751B2 (en) 2013-12-06 2013-12-06 User interface techniques for television channel changes
PCT/US2014/068565 WO2015085067A1 (en) 2013-12-06 2014-12-04 User interface techniques for television channel change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94400A KR20160094400A (ko) 2016-08-09
KR102192292B1 true KR102192292B1 (ko) 2020-12-18

Family

ID=532724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17521A KR102192292B1 (ko) 2013-12-06 2014-12-04 텔레비전 채널 변경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기술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2) US9906751B2 (ko)
EP (1) EP3077889A4 (ko)
KR (1) KR102192292B1 (ko)
CN (2) CN111954057B (ko)
AU (3) AU2014360418A1 (ko)
BR (1) BR112016012914A2 (ko)
CA (1) CA2932893C (ko)
MX (1) MX2016007348A (ko)
SG (1) SG11201604599WA (ko)
WO (1) WO201508506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08645B1 (ko) 2014-12-29 2021-10-05 삼성전자주식회사 사용자 단말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US10455270B2 (en) * 2016-03-15 2019-10-22 Sony Corporation Content surfing, preview and selection by sequentially connecting tiled content channels
US10284900B2 (en) 2016-03-15 2019-05-07 Sony Corporation Multiview as an application for physical digital media
CN106802759A (zh) * 2016-12-21 2017-06-06 华为技术有限公司 视频播放的方法及终端设备
KR102336805B1 (ko) * 2020-03-03 2021-12-07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컨텐츠를 표시하는 도중 채널을 전환하는 방법 및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172543A1 (en) * 2007-12-27 2009-07-02 Microsoft Corporation Thumbnail navigation bar for video
US20100199308A1 (en) * 2009-01-30 2010-08-05 Neale Hall Channel Change Insert
US20110231878A1 (en) * 2010-03-22 2011-09-22 Mobitv, Inc. Tile based media content selection

Family Cites Families (3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896018A (en) * 1956-12-19 1959-07-21 Rca Corp Automatic frequency control apparatus
US5808608A (en) * 1990-09-10 1998-09-15 Starsight Telecast, Inc. Background television schedule system
US6384869B1 (en) * 1998-10-30 2002-05-07 Sony Corporation Channel scan function and method of displaying scanned channels
WO2000033570A1 (fr) * 1998-11-30 2000-06-08 Sony Corporation Procede et dispositif de fourniture d'informations
US6425129B1 (en) * 1999-03-31 2002-07-23 Sony Corporation Channel preview with rate dependent channel information
AU4672800A (en) * 1999-04-30 2000-11-17 Thomson Licensing S.A. Advertisement presentation and tracking in a television apparatus
US6721953B1 (en) * 2000-02-11 2004-04-13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Display of television program information using dynamically-adjusted scroll rate
BRPI0017159B1 (pt) * 2000-03-16 2015-09-08 Thomson Licensing Sa método para substituição de um programa transmitido em um segundo canal de difusão por um programa transmitido em um primeiro canal de difusão
JP4325075B2 (ja) * 2000-04-21 2009-09-02 ソニー株式会社 データオブジェクト管理装置
DE10052695B4 (de) * 2000-10-24 2004-04-08 Infineon Technologies Ag Verfahren zur Verschiebung eines auf einer Anzeigeneinheit darzustellenden Bilds sowie entsprechende Vorrichtung
US6795972B2 (en) * 2001-06-29 2004-09-21 Scientific-Atlanta, Inc. Subscriber television system user interface with a virtual reality media space
US20030046693A1 (en) * 2001-08-29 2003-03-06 Digeo, Inc. System and method for focused navigation within an interactive television user interface
US7650569B1 (en) * 2001-08-29 2010-01-19 Allen Paul G System and method for focused navigation within a user interface
US7055104B1 (en) * 2002-03-29 2006-05-30 Digeo, Inc. System and method for focused navigation using filters
US7051354B2 (en) * 2003-01-24 2006-05-23 Thomson Licensing System and method for advertising a currently airing program through the use of an electronic program guide interface
US7313764B1 (en) * 2003-03-06 2007-12-25 Apple Inc. Method and apparatus to accelerate scrolling for buffered windows
JP4289025B2 (ja) * 2003-05-28 2009-07-01 ソニー株式会社 機器制御処理装置、表示処理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US20050071782A1 (en) * 2003-09-30 2005-03-31 Barrett Peter T. Miniaturized video feed generation and user-interface
JP2005210686A (ja) * 2003-12-26 2005-08-04 Canon Inc 信号出力方法およびチャンネル選択装置
US20060212829A1 (en) * 2005-03-17 2006-09-21 Takao Yahiro Method, program and device for displaying menu
US7966577B2 (en) * 2005-10-11 2011-06-21 Apple Inc. Multimedia control center
KR100781518B1 (ko) * 2006-02-22 2007-12-03 삼성전자주식회사 채널 변경에 따른 화면 변환을 3차원으로 구현하는 사용자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US9024864B2 (en) * 2007-06-12 2015-05-05 Intel Corporation User interface with software lensing for very long lists of content
US9524072B1 (en) * 2007-08-29 2016-12-20 The Directv Group, Inc. Method and system for forming content in a fantasy sporting event
KR101397541B1 (ko) * 2007-09-05 2014-05-27 주식회사 알티캐스트 디지털 방송 수신기의 화면 구성 제어 방법 및 장치
US8209723B2 (en) * 2007-10-16 2012-06-26 Panasonic Corporation Broadcast receiving apparatus, and method and program for broadcast reception
US8151215B2 (en) * 2008-02-07 2012-04-03 Sony Corporation Favorite GUI for TV
US9003315B2 (en) * 2008-04-01 2015-04-07 Litl Llc System and method for streamlining user interaction with electronic content
KR20110042331A (ko) * 2008-07-28 2011-04-26 톰슨 라이센싱 2차 채널 비디오 스트림을 이용한 고속 채널 변경 방법 및 장치
KR101075728B1 (ko) * 2008-09-25 2011-10-21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표시장치 및 영상표시장치의 채널정보 표시방법
KR101624157B1 (ko) * 2009-06-09 2016-05-26 삼성전자주식회사 컨텐츠 탐색을 위한 gui 제공방법 및 이를 적용한 디바이스
CN102307285B (zh) * 2011-03-18 2017-03-01 海尔集团公司 一种电视节目多画面的处理方法及系统
CN102307286B (zh) * 2011-03-18 2016-08-31 海尔集团公司 一种电视多画面的处理方法
US8589977B1 (en) * 2011-12-30 2013-11-19 Time Warner Cable Enterprises Llc Methods and apparatus for improving scrolling through program channel listings
US20140310600A1 (en) * 2013-04-12 2014-10-16 Fanhattan Llc System and method for changing live media content channels
US9510056B2 (en) * 2013-11-27 2016-11-29 Time Warner Cable Enterprises Llc Methods and apparatus that support display and use of a program guide based on time spent by a user dwelling on a channel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172543A1 (en) * 2007-12-27 2009-07-02 Microsoft Corporation Thumbnail navigation bar for video
US20100199308A1 (en) * 2009-01-30 2010-08-05 Neale Hall Channel Change Insert
US20110231878A1 (en) * 2010-03-22 2011-09-22 Mobitv, Inc. Tile based media content selec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1954057B (zh) 2022-07-15
US9906751B2 (en) 2018-02-27
AU2020203569A1 (en) 2020-06-18
MX2016007348A (es) 2017-10-31
AU2014360418A1 (en) 2016-06-23
EP3077889A4 (en) 2017-08-09
CN106104415A (zh) 2016-11-09
US20150163445A1 (en) 2015-06-11
SG11201604599WA (en) 2016-07-28
BR112016012914A2 (pt) 2017-08-08
EP3077889A1 (en) 2016-10-12
AU2021218173B2 (en) 2023-03-16
AU2020203569B2 (en) 2021-05-27
CN111954057A (zh) 2020-11-17
CA2932893A1 (en) 2015-06-11
CA2932893C (en) 2022-11-29
AU2021218173A1 (en) 2021-09-09
CN106104415B (zh) 2020-09-01
KR20160094400A (ko) 2016-08-09
WO2015085067A1 (en) 2015-06-11
US11012658B2 (en) 2021-05-18
US20180227535A1 (en) 2018-08-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20203569B2 (en) User interface techniques for television channel changes
US9271048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immersive viewing experience
CA2738911C (en) Video branching
US9197927B2 (en) Viewing of commercial break content during fast-forwarding of a video stream
KR101862372B1 (ko) 커스터마이징된 포맷에 따라 비디오 스트림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방법
US9055326B2 (en) Content control method and content player using the same
US11509858B2 (en) Automatic program formatting for TV displays
CA2602109A1 (en) Method and system of providing user interface
US20100199308A1 (en) Channel Change Insert
US20070200953A1 (en) Method and Device for Displaying the Content of a Region of Interest within a Video Image
KR101452902B1 (ko) 방송 수신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CA2992715C (en) Carrier-based active text enhancement
US20230039717A1 (en) Automatic program formatting for tv display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