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92121B1 - Eyeliner with function of vibration - Google Patents

Eyeliner with function of vibrati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92121B1
KR102192121B1 KR1020190105587A KR20190105587A KR102192121B1 KR 102192121 B1 KR102192121 B1 KR 102192121B1 KR 1020190105587 A KR1020190105587 A KR 1020190105587A KR 20190105587 A KR20190105587 A KR 20190105587A KR 102192121 B1 KR102192121 B1 KR 1021921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yeliner
ink
vibration
vibration function
brus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05587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조지원
Original Assignee
조지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지원 filed Critical 조지원
Priority to KR10201901055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92121B1/en
Priority to PCT/KR2019/010971 priority patent/WO2021040080A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921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9212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45D34/04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 e.g. using roller or ball
    • A45D34/042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 e.g. using roller or ball using a brush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45D34/04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 e.g. using roller or ball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20Pencil-like cosmetics; Simple holders for handling stick-shaped cosmetics or shaving soap while in use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26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pasty paint, e.g. using roller, using a ball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26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pasty paint, e.g. using roller, using a ball
    • A45D40/262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pasty paint, e.g. using roller, using a ball using a brush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11/00Brushes with reservoir or other means for applying substances, e.g. paints, pastes, water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11/00Brushes with reservoir or other means for applying substances, e.g. paints, pastes, water
    • A46B11/001Brushes with reservoir or other means for applying substances, e.g. paints, pastes, water with integral reservoirs
    • A46B11/0013Brushes with reservoir or other means for applying substances, e.g. paints, pastes, water with integral reservoirs dispensing by gravity or by shaking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45D2034/005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with a cartridge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20Pencil-like cosmetics; Simple holders for handling stick-shaped cosmetics or shaving soap while in use
    • A45D2040/201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20Pencil-like cosmetics; Simple holders for handling stick-shaped cosmetics or shaving soap while in use
    • A45D2040/204Pencil-like cosmetics; Simple holders for handling stick-shaped cosmetics or shaving soap while in use the cosmetic being in a cartridge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D
    • A45D2200/10Details of applicators
    • A45D2200/1072Eyeliner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D
    • A45D2200/20Additional enhancing means
    • A45D2200/207Vibration, e.g. ultrasound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2200/00Brushes characterized by their functions, uses or applications
    • A46B2200/10For human or animal care
    • A46B2200/1046Brush used for applying cosmetics

Landscapes

  • Coating Apparatus (AREA)
  • Pens And Brushe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yeliner, which generates vibration before use of the eyeliner to properly mix particles and the like contained in a pigment and ink by inserting an eyeliner body (2) into a case portion (3) having a vibration motor (33), ensures that a pigment can be sufficiently supplied to a brush (22) at the same time, and is capable of separating the eyeliner body (2) from the case portion (3) and replacing the same for use when all filled pigments are used. To this end, an eyeliner having a vibration function comprises: an eyeliner body (2) for discharging filled ink; a case portion (3) including a housing (32) having a body insertion hole (321) for inserting the eyeliner body (2); and a vibration motor (33) located inside the housing (32) and generating vibration for vibrating the eyeliner body (2).

Description

진동 기능이 구비된 아이라이너{Eyeliner with function of vibration}Eyeliner with function of vibration}

본 발명은 진동 기능이 구비된 아이라이너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진동을 발생시키는 케이스에 아이라이너 본체를 삽입하여 사용함으로써, 카트리지 내의 내용물을 잘 혼합할 수 있도록 하고, 혼합물을 브러시까지 효율적으로 전달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잉크가 소진된 아이라이너 본체를 교체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매번 진동 케이스를 포함한 전체 상품을 구매해야 하는 번거로움과 부담을 줄일 수 있도록 하는 진동 기능이 구비된 아이라이너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yeliner equipped with a vibration function, and more particularly, by inserting and using the eyeliner body in a case that generates vibration, the contents in the cartridge can be well mixed, and the mixture can be efficiently mixed up to the brush. The eyeliner is equipped with a vibration function that allows the user to purchase the entire product including the vibration case every time by making it possible to transfer and to replace the body of the eyeliner that has run out of ink. About.

아이라이너는 눈매를 아름답게 표현하기 위해 눈꺼풀에 선을 그려 넣는 도구로서, 그 표현 방법이나 색상 등을 달리하여 개성을 표현하거나 다른 인상으로 보이게 할 수 있어 메이크업에 많이 사용되는 화장 도구이다.Eyeliner is a tool that draws lines on the eyelids to beautifully express the eyes. It is a makeup tool that is often used for makeup because it can express individuality or make it look different by different expression methods and colors.

아이라이너는 펜슬형과 잉크가 포함된 액상형 등으로 구분되는데, 이 중 액상형은 잉크 특유의 광택 등이 외부로 표출되면서 특유의 효과를 연출할 수 있어 널리 이용되고 있는 타입의 아이라이너이다.Eyeliners are classified into a pencil type and a liquid type containing ink. Of these, the liquid type is a type of eyeliner that is widely used because it can create a unique effect by expressing the gloss of ink to the outside.

한편, 액상형 아이라이너에는 항상 순수한 잉크만이 사용되는 것이 아니라, 색을 띠도록 하는 입자나 반짝임 등의 효과를 나타내는 펄 입자 등 다양한 입자가 포함된 잉크도 널리 사용되고 있고, 사용되는 잉크의 점성, 밀도 등의 물성도 매우 다양한 실정이다.On the other hand, not only pure ink is always used for liquid eyeliner, but inks containing various particles such as colored particles or pearl particles that exhibit effects such as sparkle are also widely used, and the viscosity and density of the ink used The physical properties of the back are also very diverse.

따라서, 이처럼 잉크에 여러 입자가 포함된 안료의 경우에는 사용 전에 충분히 혼합되어야 할 필요가 있는데, 사용자로 하여금 매번 사용 전 아이라이너를 흔들게 하여 안료를 혼합한 후 사용하도록 하는 것은 많은 불편함을 초래한다.Therefore, in the case of pigments containing several particles in the ink, it is necessary to be sufficiently mixed before use, but it is inconvenient to have the user shake the eyeliner before each use to mix the pigment and then use it. .

또한, 아이라이너 본체에 충진된 안료가 모두 소진된 경우, 진동 케이스를 포함한 전체 상품을 다시 구매해야 한다면, 이는 소비자에게 있어 과도한 비용적 부담을 지우게 하는 문제가 있다.In addition, if all of the pigments filled in the eyeliner body are exhausted, if the entire product including the vibration case has to be purchased again, this poses a problem of removing an excessive cost burden on the consumer.

따라서, 사용자가 아이라이너를 이용하기 전 안료가 충분히 혼합되도록 하며, 안료가 소진된 경우 아이라이너 본체만을 교체하여 케이스부는 계속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아이라이너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Therefore, there is a demand for the development of an eyeliner that allows the user to sufficiently mix the pigment before using the eyeliner, and when the pigment is exhausted, only the eyeliner body is replaced so that the case portion can continue to be used.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14-0000942Republic of Korea Public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20-2014-0000942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기존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안료가 충진된 아이라이너 본체(2)를 진동 모터(33)를 포함한 케이스부(3)에 탈착 가능하도록 삽입하여 사용함으로써, 아이라이너의 사용 전에 진동을 발생시켜 안료가 충분히 혼합될 수 있고, 이와 동시에 진동으로 인해 안료가 브러시(22)에 충분히 공급될 수 있으며, 안료가 소진된 후 아이라이너 본체(2) 만을 교체하여 사용 가능할 수 있도록 하는 아이라이너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was conceived to solve the existing problems as described above, by inserting and using the pigment-filled eyeliner body 2 to be detachably inserted into the case 3 including the vibration motor 33, Vibration is generated before the use of the liner so that the pigment can be sufficiently mixed, and at the same time, the pigment can be sufficiently supplied to the brush 22 due to the vibration, and only the eyeliner body 2 can be replaced after the pigment is exhausted. The purpose is to provide an eyeliner that allows you to do it.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본 발명에 따른 진동 기능이 구비된 아이라이너는,Eyeliner equipped with a vibration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충진된 잉크가 배출되는 아이라이너 본체(2), 상기 아이라이너 본체(2)가 삽입되기 위한 본체 삽입구(321)가 형성된 하우징(32)을 포함하는 케이스부(3) 및 상기 하우징(32) 내측에 위치하고 상기 아이라이너 본체(2)를 진동시키기 위한 진동이 발생되는 진동 모터(3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case portion 3 including an eyeliner body 2 from which the filled ink is discharged, a housing 32 having a body insertion hole 321 for inserting the eyeliner body 2 into the eyeliner body 2, and an inner side of the housing 32 It is located at and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vibration motor 33 to generate vibration for vibrating the eyeliner body (2).

또한, 상기 아이라이너 본체(2)는 잉크가 충진되기 위한 충진 공간(251)이 형성된 카트리지(25), 일측이 상기 카트리지(25)에 삽입되어 충진된 잉크를 전달하는 도포체, 상기 도포체의 타측을 감싸도록 형성되고, 도포체로부터 잉크를 전달받아 외부로 토출하는 브러시(22) 및 상기 브러시(22)를 감싸도록 형성되어 브러시(22)를 고정시키는 노즐(21)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eyeliner body 2 includes a cartridge 25 having a filling space 251 for filling ink, an applicator that is inserted into the cartridge 25 to deliver the filled ink, and It is formed to surround the other sid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brush 22 that receives ink from the applicator and discharges it to the outside, and a nozzle 21 that is formed to surround the brush 22 and fixes the brush 22 do.

아울러, 상기 도포체는 일측에 직경이 감소되도록 하는 단턱(243)이 형성된 중계심(24)이고, 상기 아이라이너 본체(2)는 상기 중계심(24)이 삽입되기 위한 내공(231)이 형성되고, 중계심(24)을 통해 전달되는 잉크량을 조절하는 잉크조절기(23)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applicator is a relay core 24 having a stepped 243 to reduce the diameter on one side, and the eyeliner body 2 has a hole 231 for inserting the intermediate core 24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n ink regulator (23) for adjusting the amount of ink delivered through the relay core (24).

이에 더하여, 상기 잉크조절기(23)는 길이 방향을 따라 내측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잉크조절기 홈(232)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ink regulator 23 is characterized in that at least one ink regulator groove 232 is formed on an inner surface of the ink regulator 23 along a longitudinal direction.

한편, 상기 도포체는 잉크가 통과하기 위한 이격 공간(284)이 형성된 스프링 형상의 탄성부재(28)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On the other hand, the coating body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spring-shaped elastic member 28 is formed with a space 284 for the ink to pass through.

또한, 상기 아이라이너 본체(2)는 케이스부(3)에 탈착 가능하여 교체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eyeliner main body (2)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an be replaced by detachable from the case (3).

아울러, 상기 케이스부(3)는 사용자의 누름 동작에 의해 아이라이너 본체(2)를 분리가능하게 하기 위한 후크(31)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case portion 3 is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includes a hook 31 for separating the eyeliner body 2 by a user's pressing operation.

이에 더하여, 상기 케이스부(3)는 사용자의 누름 동작에 의해 아이라이너 본체(2)를 분리가능하게 하기 위한 후크(31)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case portion 3 is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includes a hook 31 for separating the eyeliner body 2 by a user's pressing operation.

한편, 상기 케이스부(3)는 배터리(4)를 충전시키기 위한 충전 단자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Meanwhile, the case portion 3 is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includes a charging terminal for charging the battery 4.

또한, 상기 케이스부(3)는 상기 회로 판넬(35)과 연결되어 진동 모터(33)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스위치(323)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case part 3 is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includes a switch 323 connected to the circuit panel 35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vibration motor 33.

아울러, 상기 진동 기능이 구비된 아이라이너는 아이라이너 본체(2)를 감싸도록 케이스부(3) 일측에 결합되는 캡부(1)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캡부(1)는 회로 판넬(35)과 전기적으로 연동되어 캡부(1)를 케이스부(3)로부터 이탈시키는 경우 진동 모터(33)가 작동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eyeliner provided with the vibration function further includes a cap portion 1 coupled to one side of the case portion 3 to surround the eyeliner body 2, wherein the cap portion 1 includes a circuit panel 35 ) And is electrically interlocked to cause the vibration motor 33 to operate when the cap 1 is separated from the case 3.

이에 더하여, 상기 진동 모터(33)는 작동을 시작한 후 1내지 4초간 진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vibration motor 33 is characterized in that it vibrates for 1 to 4 seconds after starting the operation.

상기와 같은 진동 기능이 구비된 아이라이너는 아이라이너 본체(2)를 진동 모터(33)를 구비한 케이스부(3)에 삽입하여 이용함으로써, 아이라이너를 사용하기 전 진동을 발생시켜 안료를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The eyeliner equipped with the vibration function as described above is used by inserting the eyeliner main body 2 into the case part 3 equipped with the vibration motor 33 to generate vibration before using the eyeliner to mix the pigment. Can be used.

또한, 상기 진동을 통해 브러시(22)에 안료를 효과적으로 전달하여 적절하고 효율적이며 연속적인 화장을 할 수 있다.In addition, by effectively transferring the pigment to the brush 22 through the vibration, appropriate, efficient and continuous makeup can be performed.

아울러, 아이라이너 본체(2)를 케이스부(3)의 본체 삽입구(321)에 탈착 가능하게 삽입하여 사용함으로써, 안료가 모두 소진된 경우 아이라이너 본체(2)를 케이스부(3)로부터 분리하여 교체할 수 있다.In addition, by using the eyeliner main body 2 detachably inserted into the main body insertion port 321 of the case unit 3, when all of the pigment is exhausted, the eyeliner main body 2 is separated from the case unit 3 Can be replaced.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진동 기능이 구비된 아이라이너의 전체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진동 기능이 구비된 아이라이너의 전체 형상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아이라이너 본체(2)와 케이스부(3)의 결합상태를 개략적으로 표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아이라이너 본체(2)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표현한 단면도이다.
도 5 (a)는 본 발명에 따른 잉크조절기(23)의 전체 형상을 개략적으로 표현한 사시도이다.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잉크조절기(23)의 수직 단면을 개략적으로 표현한 수직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중계심(24)을 개략적으로 표현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탄성부재(28)를 개략적으로 표현한 도면이다.
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an eyeliner equipped with a vibration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overall shape of the eyeliner equipped with a vibration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coupling state of the eyeliner main body 2 and the case 3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the eyeliner main body 2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A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overall shape of the ink regulator 23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b) is a vertical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vertical cross-section of the ink regulator 23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relay core 24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n elastic member 28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발명자는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적절한 용어나 단어를 선택하거나 정의하여 설명할 수 있고, 이 경우에 있어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의미에 한정하여 해석할 것이 아니라, 발명자의 의도를 참작하여 발명에서 구현된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도록 해석되어야 한다.In describing the invention, the inventor may select or define an appropriate term or word. In this case, the term or word used in this case is not limited to the commonly used meaning, but in consideration of the intention of the inventor. It should be interpreted to conform to the technical idea embodied in the invention.

따라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서 사용되는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의미에 한정되는 것이라고 볼 수는 없다. 이하 상술되는 내용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거나 한정하는 것은 아니라 할 것이므로 통상의 기술자의 입장에서 용이하게 대체 가능한 요소 및 균등범위에 해당하는 예가 존재할 수 있다.Accordingly, terms or words used in the specification and claims cannot be considered to be limited to the meanings commonly used. The details described below are only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since they will not represent or limit all of the present technical ideas, there may be examples corresponding to elements and equivalent ranges that can be easily replaced from the standpoint of a person skilled in the art.

아울러, 본 명세서에서 펄 입자 등으로 일컬어지는 것은 한 종류의 특정 입자만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잉크에 함유되어 색을 나타내는 탄소, 티타늄 등의 입자 또는 이들의 산화물, 아울러 반짝임 등 여러 미적 효과를 부여하는 펄, 알루미늄, 코팅된 입자 등을 모두 포함하며, 각자 별도의 기능을 수행하는 크기가 큰 모든 입자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what is referred to as pearl particles does not mean only one type of specific particles, but particles such as carbon, titanium, or oxides thereof, which are contained in the ink to show color, and provide various aesthetic effects such as sparkl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it includes all of pearl, aluminum, coated particles, and the like, and means all particles having a large size each performing a separate function.

이에 더하여, 잉크로 일컬어지는 것은, 순수한 잉크만이 아니라 잉크 내에 상기와 같은 펄 입자 등이 함유되어 화장용으로 사용될 수 있는 안료를 통칭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잉크는 다양한 점도, 밀도 등의 물성을 가질 수 있다.In addition,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what is referred to as an ink refers not only to pure ink, but also to a pigment that can be used for cosmetic purposes by containing such pearl particles in the ink. In addition, the ink may have physical properties such as various viscosities and densities.

이하 상술한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잉크 배출 조절 기능이 구비된 아이라이너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based on the above-described principle, an eyeliner with an ink discharge control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진동 기능이 구비된 아이라이너는 충진된 잉크가 배출되는 아이라이너 본체(2), 상기 아이라이너 본체(2)가 삽입되기 위한 본체 삽입구(321)가 형성된 하우징(32)을 포함하는 케이스부(3) 및 상기 하우징(32) 내측에 위치하고 상기 아이라이너 본체(2)를 진동시키기 위한 진동이 발생되는 진동 모터(33)로 이루어질 수 있다.As shown in Figs. 1 to 3, the eyeliner with a vibration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eyeliner body 2 from which filled ink is discharged, and a body insertion hole for inserting the eyeliner body 2 ( A case portion 3 including a housing 32 in which 321 is formed, and a vibration motor 33 located inside the housing 32 and generating vibration for vibrating the eyeliner body 2 may be formed.

아이라이너 본체(2)는 도 1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충진된 잉크를 전달하여 외부로 토출시켜 화장에 사용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으로, 잉크가 충진되기 위한 충진 공간(251)이 형성된 카트리지(25), 일측이 상기 카트리지(25)에 삽입되어 충진된 잉크를 전달하는 도포체, 상기 도포체의 타측을 감싸도록 형성되고, 도포체로부터 잉크를 전달받아 외부로 토출하는 브러시(22) 및 상기 브러시(22)를 감싸도록 형성되어 브러시(22)를 고정시키는 노즐(21)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1 and 4, the eyeliner body 2 is configured to deliver filled ink and discharge it to the outside so that it can be used for makeup, and a cartridge having a filling space 251 for filling ink (25), an applicator having one side inserted into the cartridge 25 to transfer the filled ink, a brush 22 formed to surround the other side of the applicator, and discharging ink from the applicator to the outside, and The nozzle 21 may be formed to surround the brush 22 to fix the brush 22.

카트리지(25)는 길이 방향으로 일측은 잉크가 충진되기 위한 충진 공간(251)이 형성되고, 타측은 잉크를 토출시키기 위한 브러시(22)가 형성된 구성이다. 또한, 카트리지(25)는 잉크가 충진 된 후, 잉크가 새어나오지 않도록 하기 위해 별도의 잉크 마개(27)를 구비할 수 있다. 타측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포체 및 브러시(22)가 관통하도록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브러시(22)는 정밀한 화장을 위해 외부로 노출된 부위가 뾰족하게 형성될 수 있는데, 이에 대응되도록 카트리지(25)의 타측 또한 잉크의 진행 방향을 따라 내경이 감소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artridge 25, a filling space 251 for filling ink is formed on one side, and a brush 22 for discharging ink is formed on the other side. In addition, the cartridge 25 may be provided with a separate ink stopper 27 to prevent ink from leaking out after the ink is filled. On the other side, as shown in FIG. 4, a space may be formed so that the applicator and the brush 22 pass. In this case, the brush 22 may have a sharply formed area exposed to the outside for precise makeup, and it is preferable that the other side of the cartridge 25 is formed to decrease the inner diameter along the progression direction of the ink to correspond to this. .

또한, 카트리지(25)의 충진 공간(251)이 형성된 부분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부(3)의 본체 삽입구(321)에 삽입될 수 있다. 따라서, 카트리지(25) 부분의 외경은 케이스부(3)의 내경과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portion in which the filling space 251 of the cartridge 25 is formed may be inserted into the main body insertion hole 321 of the case 3 as shown in FIG. 3. Accordingly, the outer diameter of the cartridge 25 may be formed to correspond to the inner diameter of the case 3.

카트리지(25) 내부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요에 따라 내측에 삽입되어 자유롭게 이동 가능한 응고방지볼(26)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응고방지볼(26)은 카트리지(25)의 내경에 비해 작은 직경을 가짐으로써 카트리지(25) 내측에서 자유롭게 이동 가능할 수 있는데, 이를 통해 잉크 또는 펄 입자가 함유된 잉크가 뭉치거나 마름에 의해 고형화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Inside the cartridge 25, as shown in FIG. 1, an anti-coagulation ball 26 may be further included that is inserted into the inside and can move freely as needed. The anti-coagulation ball 26 has a diameter smaller than the inner diameter of the cartridge 25, so that it can be freely movable inside the cartridge 25, through which ink or ink containing pearl particles is solidified by agglomeration or drying. It can be prevented in advance.

도포체는 카트리지(25)의 충진 공간(251)에 충진된 잉크를 브러시(22)까지 전달하여 공급하는 구성이다. 이를 위해선 도포체는 잉크가 이동되기 위한 통로가 형성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또한, 잉크에 펄 입자 등이 함유된 경우 이러한 입자가 이동하기 위한 경로도 마련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도포체는 중계심(24) 및 탄성부재(28)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일 수 있다.The coating body is configured to deliver and supply ink filled in the filling space 251 of the cartridge 25 to the brush 22. To this end, the coating body needs to have a passage through which the ink moves. In addition, when the ink contains pearl particles or the like, it is necessary to provide a path for these particles to move. Accordingly, the coating bod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ny one selected from the relay core 24 and the elastic member 28.

도포체로서 중계심(24)이 선택되는 일 실시예로서, 상기 도포체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에 직경이 감소되도록 하는 단턱(243)이 형성된 중계심(24)일 수 있다. 상기 단턱(243)을 경계로 직경이 작은 제1중계심(241)과 직경이 큰 제2중계심(242)으로 구분될 수 있는데, 상기 단턱(243)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브러시(22)에 형성된 삽입구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어 삽입공에 걸려 통과할 수 없어 중계심(24) 자체가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As an embodiment in which the relay core 24 is selected as the applicator, the applicator may be a relay core 24 having a stepped 243 formed on one side thereof to reduce a diameter, as shown in FIG. 6. The stepped 243 may be divided into a first center 241 having a small diameter and a second center 242 having a large diameter. As shown in FIG. 4, the stepped 243 is a brush Since it is formed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insertion hole formed in (22), it cannot be caught by the insertion hole and thus cannot pass through, thereby preventing the central core 24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outside.

또한, 중계심(24)이 도포체로서 이용되는 경우, 아이라이너 본체(2)는 중계심(24)이 삽입되기 위한 내공(231)이 형성되고, 중계심(24)을 통해 전달되는 잉크량을 조절하는 잉크조절기(23)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relay core 24 is used as an applicator, the eyeliner body 2 is formed with a hole 231 for inserting the relay core 24, and the amount of ink transferred through the relay core 24 It may further include an ink regulator 23 to adjust the.

중계심(24)은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아크릴, 나일론 또는 PBT((Poly-Butylene-Terephthalate fiber) 실을 결합하여 원기둥의 형상을 이루도록 제조될 수 있다. 복수의 실이 모여 중계심(24)을 구성함으로써 각각의 실 사이에 형성된 공간으로 잉크가 모세관 현상을 통해 연속적으로 이동될 수 있고, 잉크가 과하지 않게 적절한 양만큼 공급될 수 있다. 이 때, 중계심(24)은 복수의 실이 중계심(24)의 길이방향으로 나란하게 결합되어 접착되거나, 또는 짧은 복수의 실이 비스듬하게 얽히도록 하여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The relay core 24 may be manufactured to form a cylindrical shape by combining polyethylene, polypropylene, acrylic, nylon, or PBT (Poly-Butylene-Terephthalate Fiber) yarns. By configuring, ink can be continuously moved to the space formed between each of the yarns through capillary phenomenon, and an appropriate amount can be supplied without excess ink. At this time, the relay core 24 includes a plurality of yarns. It may be bonded and bonded side by si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24), or may be formed so that a plurality of short threads are obliquely entangled.

잉크조절기(23)는 중계심(24)을 통해 이동하는 잉크의 양을 조절하는 구성이다. 잉크조절기(23)는 잉크의 열팽창 등에 의한 부피 변화 또는 카트리지(25)내의 공기의 부피 변화를 완충하기 위한 역할을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잉크조절기(23)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연통홈 및 환형 슬릿(234)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The ink regulator 23 is a component that adjusts the amount of ink that moves through the relay core 24. The ink regulator 23 may serve to buffer a change in volume due to thermal expansion of ink or a change in the volume of air in the cartridge 25. To this end, the ink regulator 23 may include at least one communication groove and an annular slit 234.

일반적으로 온도가 높아지는 경우 잉크 및 공기는 열에 의해 부피 팽창이 발생하게 되고, 이로 인해 잉크조절기(23) 내부의 압력이 높아질 수 있다. 이를 해소하기 위해 필요에 따라 부피 팽창에 의해 압력이 증가한 경우에는 선택적으로 잉크가 잉크조절기(23) 외부로 배출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잉크조절기(23)는 내측면과 외측면이 연통되도록 하는 0.05 내지 0.15mm의 너비를 갖는 연통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는 현재 금형 기술상 0.05mm이하의 너비를 갖는 연통홈을 형성하는 것은 현실적인 어려움이 있으며, 지나치게 큰 너비를 갖는 연통홈을 포함하는 경우 잉크가 중력에 의해 쉽게 흘러나오는 현상이 발생될 수 있기 때문이다.In general, when the temperature is increased, volume expansion of ink and air occurs due to heat, and thus, the pressure inside the ink regulator 23 may increase.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when the pressure is increased due to volume expansion as necessary, it is necessary to selectively discharge the ink to the outside of the ink regulator 23. To this end, the ink regulator 23 may further include a communication groove having a width of 0.05 to 0.15 mm so that the inner and outer surfaces communicate with each other. This is because, according to the current mold technology, it is practically difficult to form a communication groove having a width of less than 0.05 mm, and when a communication groove having an excessively large width is included, a phenomenon in which ink can easily flow out due to gravity may occur.

잉크가 온도의 증가에 의해 부피 팽창되거나, 카트리지 내의 공기가 팽창하여 잉크를 밀어내는 경우 잉크는 상기 연통홈을 통해 흘러나오게 되고, 흘러나온 잉크는 잉크조절기(23) 외측면으로 공급된다. 이 경우 잉크조절기(23) 외측면에 위치된 환형 슬릿(234)의 사이로 공급된 잉크가 흡인될 수 있다.When ink is expanded in volume due to an increase in temperature, or when air in the cartridge expands and pushes out ink, ink flows out through the communication groove, and the spilled ink is suppli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ink regulator 23. In this case, ink supplied through the annular slits 234 locat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ink regulator 23 may be sucked.

이경우, 상기 환형 슬릿(234)은 0.05 내지 0.3mm의 간격으로 배치되어 있어, 추가적으로 모세관현상이 발생될 수 있고 잉크조절기(23) 외측면으로 공급된 잉크를 흡인할 수 있게 된다. 이후 온도가 다시 떨어지는 등의 이유로 잉크에 의한 압력이 감소하는 경우, 환형 슬릿(234) 사이에 흡인된 잉크는 중력이나 압력차 또는 모세관현상에 의해 다시 잉크조절기(23) 내부로 이동되게 된다.In this case, the annular slits 234 are arranged at intervals of 0.05 to 0.3 mm, so that a capillary phenomenon may occur additionally and ink suppli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ink regulator 23 may be sucked. Thereafter, when the pressure due to the ink decreases due to a drop in temperature again, the ink sucked between the annular slits 234 is moved back into the ink regulator 23 due to gravity, pressure difference, or capillary phenomenon.

잉크에 펄 입자 또는 다른 입자 등이 함유되는 경우, 이러한 입자들은 직경이 크므로 중계심(24)내에서 막힘 현상을 발생시킬 우려가 있다. 따라서, 상기 입자들이 중력, 압력차 또는 모세관 현상에 의해 유통할 수 있도록 하는 통로를 별도로 마련할 필요가 있는데, 잉크조절기(23)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를 경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잉크조절기(23)는 길이 방향을 따라 내측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잉크조절기 홈(232)이 형성될 수 있다. 잉크조절기 홈(232)은 잉크조절기(23) 내측의 둘레를 따라 복수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When the ink contains pearl particles or other particles, since these particles have a large diameter, there is a concern that clogging may occur in the relay core 24.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provide a separate passage for allowing the particles to flow due to gravity, pressure difference, or capillary phenomenon.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ink regulator 23, as shown in FIG. The regulator 23 may have at least one ink regulator groove 232 formed on an inner surface of the regulator 23 along the length direction. It is preferable that a plurality of ink regulator grooves 232 are formed along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ink regulator 23.

각 잉크조절기 홈(232)의 너비는, 현재 이용되는 금형기술에 비추어 0.05mm 보다 작은 값을 갖도록 하는 것은 기술적인 어려움이 있고, 모세관현상이 발생될 수 있도록 길이를 조절해야 할 필요도 있으므로, 상기 각 잉크조절기 홈(232)은 0.05 내지 0.3mm의 너비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각 잉크조절기 홈(232)의 높이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은 연유로 0.05 내지 0.3mm의 길이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It is technical difficulty to have the width of each ink regulator groove 232 to have a value smaller than 0.05mm in light of the currently used mold technology, and it is necessary to adjust the length so that a capillary phenomenon can occur. Each ink regulator groove 232 may be formed to have a width of 0.05 to 0.3mm. In addition, the height of each ink regulator groove 232 may also be formed to have a length of 0.05 to 0.3 mm due to the above-described reason.

도포체는 중계심(24)이 아닌 탄성부재(28)로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 도포체로서 탄성부재(28)가 선택되는 일 실시예에 따를 경우, 상기 도포체는 잉크가 이동하기 위한 중공(281)이 형성된 스프링 형상의 탄성부재(28)일 수 있다. 스프링 형상을 이루는 경우 탄성부재(28)는 외력에 의해 변형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고, 외력이 제거된 경우 원 상태로 쉽게 복구될 수 있는 직경이 작은 제1단부(282)와, 직경이 상대적으로 큰 제2단부(283)로 구분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부재(28)는 잉크가 통과하기 위한 이격 공간(284)이 형성된 나선으로 이루어진 스프링 형상일 수 있다. 즉, 잉크가 상기 스프링 형상을 가진 탄성부재(28)의 선단부에서 배출되는 것에 더하여 상기 측부에 형성되는 이격 공간(284)을 통해서도 배출될 수 있으므로 브러시(22)에 효과적으로 잉크가 침입할 수 있다. 이러한 이격 공간(284)은 잉크가 최종적으로 브러시(22)로 배출되는 상기 제1단부(282)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탄성부재(28)(23)의 형상은 나선 형상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브러시(22)와 잉크를 주고 받을 수 있도록 이격 공간(284)(234)이 형성되어 있으며, 외력에 의해 휘어지는 등 변형이 가능한 형상이라면 채용가능할 수 있다.The applicator may be made of an elastic member 28 other than the intermediate core 24. According to an embodiment in which the elastic member 28 is selected as the applicator, the applicator may be a spring-shaped elastic member 28 in which a hollow 281 for moving ink is formed. When forming a spring shape, the elastic member 28 can be easily deformed by an external force, and when the external force is removed, a first end portion 282 having a small diameter that can be easily restored to its original state, and a relatively diameter It can be divided into a large second end 283. In addition, as shown in FIG. 7, the elastic member 28 may have a spring shape formed of a spiral in which a space 284 through which ink passes. That is, in addition to being discharged from the front end of the spring-shaped elastic member 28, ink may be discharged through the spacing space 284 formed on the side, so that ink may effectively penetrate the brush 22. It is preferable that the spaced space 284 is formed in the first end 282 through which ink is finally discharged to the brush 22. However, the shape of the elastic members 28 and 23 is not limited to the spiral shape, and the spaced spaces 284 and 234 are formed to exchange ink with the brush 22, and are bent by external force, etc. Any shape that can be deformed may be employed.

브러시(22)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즐(21)에 삽입되고 도포체의 일측 단부를 감싸도록 위치하는 구성으로서, 도포체를 통해 전달된 잉크를 외부로 토출시키는 역할을 하게 된다. 즉, 도포체를 통해 선단부로 이동된 잉크는 브러시(22) 내부로 침투하게 되고, 그 결과 브러시(22)는 잉크로 인해 젖게 되며, 사용자는 이러한 브러시(22)를 직접 눈꺼풀 등에 접촉하여 화장을 수행하게 된다. 브러시(22)는 PBT(Polybutylen Terepthalate)를 포함하는 재질 또는 나일론과 같은 재질로 구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As shown in FIG. 4, the brush 22 is inserted into the nozzle 21 and positioned to surround one end of the applicator, and serves to discharge the ink transferred through the applicator to the outside. That is, the ink transferred to the tip through the applicator penetrates into the brush 22, and as a result, the brush 22 becomes wet due to the ink, and the user directly contacts the brush 22 to apply makeup by contacting the eyelid or the like. Will perform. The brush 22 may be made of a material including polybutylen terepthalate (PBT) or a material such as nylon, but is not limited thereto.

노즐(21)은 도 1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브러시(22)가 끼워지는 구성으로서, 브러시(22)를 고정시킬 수 있는 구성이다. 브러시(22)는 노즐(21)을 통과하여 외부로 노출되어야 하므로, 노즐(21)에는 브러시(22)가 관통하기 위한 브러시(22) 삽입구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노즐(21)은 상기 카트리지(25) 선단부 측에 삽입되므로, 잉크의 진행 방향을 따라 직경이 점차적으로 작아지는 형상을 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As shown in FIGS. 1 and 4, the nozzle 21 is a configuration in which the brush 22 is fitted, and is a configuration capable of fixing the brush 22. Since the brush 22 must pass through the nozzle 21 and be exposed to the outside, an insertion hole of the brush 22 through which the brush 22 passes may be formed in the nozzle 21. In addition, since the nozzle 21 is inserted into the distal end of the cartridge 25, the nozzle 21 may be configured to have a shape in which the diameter gradually decreases along the advancing direction of the ink.

한편,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진동 기능이 구비된 아이라이너는 아이라이너 본체(2)가 케이스부(3)에 탈착 가능하여 교체가능할 수 있다. 즉, 아이라이너 본체(2)에 충진된 잉크가 모두 소진되는 경우, 케이스부(3)로부터 분리하여 새로운 아이라이너 본체(2)로 교체함으로써 케이스부(3)는 기존의 것을 계속 사용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아이라이너 본체(2)는 사용자의 필요에 의해서만 분리되도록 할 필요가 있으므로, 케이스부(3)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누름 동작에 의해 아이라이너 본체(2)를 분리가능하게 하기 위한 후크(31)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S. 2 and 3, the eyeliner provided with a vibration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replaceable because the eyeliner main body 2 is detachable from the case 3. That is, when all the ink filled in the eyeliner body 2 is exhausted, the case 3 can continue to use the existing one by separating it from the case 3 and replacing it with a new eyeliner body 2. have. In addition, since the eyeliner main body 2 needs to be separated only according to the needs of the user, the case part 3 can be separated by the user's pressing motion as shown in FIG. It may be made by further including a hook 31 for doing.

한편, 잉크가 최종적으로 토출되는 아이라이너 본체(2)의 브러시(22) 선단부가 공기와 계속하여 직접적으로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진동 기능이 구비된 아이라이너는 브러시(22) 선단부를 감싸기 위한 캡부(1)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캡부(1)는 내면 캡(13), 캡 스프링(12), 및 외면 캡(11)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캡부(1)는 내면 캡(13)과 외면 캡(11) 사이에 캡 스프링(12)을 배치하여 캡부(1)가 잉크 배출부에 장착될 때, 내면 캡(13)이 잉크 배출부에 밀착되어 브러시(22)가 공기 중에 노출되는 것을 효율적으로 방지 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상기와 같은 구성을 채용함으로써 캡부(1)를 개방할 때 잉크의 펌핑 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n order to prevent the tip of the brush 22 of the eyeliner main body 2 from which ink is finally discharged, the eyeliner equipped with a vibration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the tip of the brush 22 It may be made to further include a cap portion (1) for wrapping. The cap 1 may include an inner cap 13, a cap spring 12, and an outer cap 11. When the cap part 1 is mounted on the ink discharge part by arranging a cap spring 12 between the inner cap 13 and the outer cap 11, the inner cap 13 adheres to the ink discharge part. As a result, it is possible to efficiently prevent the brush 22 from being exposed to the air. In addition, by employing the above configurat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ink from being pumped when the cap 1 is opened.

아이라이너에 이용되는 잉크는 안료로서 전술한 바와 같이 순수한 잉크만이 이용되는 것이 아니라, 펄 입자, 색을 표현하는 입자 등 다양한 입자가 함유될 수 있고, 잉크 또한 점성, 밀도 등이 균일하지 않아 뭉침, 마름, 분리 현상 등이 일어날 수 있다. 이러한 현상으로 인해 브러시(22) 내에 잉크가 균일하게 침입되어 있지 않거나, 중계심(24) 등을 통해 잉크가 전달 자체가 잘 되지 않을 우려가 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사용자로 하여금 아이라이너를 사용하기 전에 상기 잉크를 혼합하여야 할 필요가 있다.The ink used for the eyeliner is not only pure ink as described above, but may contain various particles such as pearl particles and color expressing particles, and the ink also clumps due to not uniform viscosity and density. , Dryness, separation, etc. may occur. Due to this phenomenon, there is a concern that ink may not be uniformly penetrated into the brush 22 or the ink may not be delivered through the relay core 24 or the like. Therefore,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it is necessary for the user to mix the ink before using the eyeliner.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진동 기능이 구비된 아이라이너는 진동 모터(33)를 구비함으로써 아이라이너 본체(2)에 진동을 발생시켜 잉크를 혼합시킴과 동시에 잉크가 중계심(24)과 브러시(22) 내에서 널리 분산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To this end, the eyeliner equipped with a vibration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vibration motor 33 to generate vibration in the eyeliner body 2 to mix ink, and at the same time, the ink is transferred to the center 24 and the brush ( 22) can be widely distributed within.

아이라이너의 사용 전 진동을 발생시키기 위한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케이스부(3)는 케이스부(3)의 전체 외형을 이루는 하우징(32), 아이라이너 본체(2)를 진동 시키기 위한 진동 모터(33)와 상기 진동 모터(33)를 작동시키기 위한 회로 판넬(35)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고, 상기 하우징(32)에는 상기 회로 판넬(35)에 에너지를 공급하는 배터리(4)가 삽입되기 위한 배터리 홈(322)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배터리(4)가 건전지 등의 교체형 배터리(4)인 경우, 케이스부(3)는 배터리 홈(322)을 막는 배터리 홈 마개(3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와는 달리, 상기 배터리(4)는 충전 가능한 배터리(4)일 수 있는데, 이 경우 케이스부(3)에는 배터리(4) 충전을 위한 단자가 더 형성될 수 있다.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for generating vibration before use of the eyeliner, the case part 3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vibrates the housing 32 and the eyeliner body 2 constituting the entire outer shape of the case part 3. A vibration motor 33 for operating the vibration motor 33 and a circuit panel 35 for operating the vibration motor 33 may be included, and the housing 32 includes a battery 4 supplying energy to the circuit panel 35 A battery groove 322 for inserting) may be formed. In addition, when the battery 4 is a replaceable battery 4 such as a dry cell, the case 3 may further include a battery groove stopper 34 that blocks the battery groove 322. Unlike this, the battery 4 may be a rechargeable battery 4, in which case a terminal for charging the battery 4 may be further formed on the case part 3.

상기 케이스부(3)는 도 2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로 판넬(35)과 연결되어 진동 모터(33)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스위치(323)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또는, 진동 모터(33)를 작동시키기 위한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아이라이너 본체(2)를 감싸는 캡부(1)가 회로 판넬(35)과 전기적으로 연동되도록 하고, 캡부(1)를 케이스부(3)로부터 이탈시키는 경우 자동으로 진동 모터(33)가 작동하도록 할 수 있다.The case part 3 may further include a switch 323 connected to the circuit panel 35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vibration motor 33 as shown in FIGS. 2 to 3. Alternatively, as another embodiment for operating the vibration motor 33, the cap portion 1 surrounding the eyeliner body 2 is electrically interlocked with the circuit panel 35, and the cap portion 1 is placed in the case portion 3 In case of separation from ), the vibration motor 33 can be automatically operated.

상기 진동 모터(33)는 스위치(323) 또는 캡부(1)의 이탈 중 선택되는 어느 한가지 방식에 의해서만 동작하는 것은 아니고, 두가지 방식이 혼용되어 작동을 제어하는 것도 가능하다. 두 가지 방식이 혼용되는 경우, 캡부(1)를 이탈시키는 경우 진동이 자동으로 발생되어 화장 전 필수적으로 최소한의 진동이 발생하게 되고, 추가적인 진동이 필요한 경우에만 선택적으로 스위치(323)를 이용하여 진동을 발생시키는 것이 가능할 수도 있다. 또는, 필요에 따라 캡부(1)가 이탈되지 않는 경우에도 스위치(323)를 눌러 진동을 미리 발생 시킨 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The vibration motor 33 is not operated only by any one method selected from the switch 323 or the detachment of the cap unit 1, but it is also possible to control the operation by mixing the two methods. When the two methods are used together, vibration is automatically generated when the cap part 1 is separated, so that minimal vibration is essentially generated before makeup, and only when additional vibration is required, it is selectively vibrated using the switch 323 It may be possible to generate. Alternatively, if necessary, even when the cap 1 is not separated, it may be possible to use the switch 323 to generate vibration in advance.

한편, 아이라이너를 이용하여 화장을 하는 과정은 눈꺼풀에 잉크가 토출되는 브러시(22)를 직접 접촉하여 수행되며, 화장이 수행되는 면적도 좁아 정교함이 요구된다. 따라서, 진동이 계속하여 발생하는 경우 화장을 수행함에 있어 불편함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상기 진동 모터(33)는 스위치(323) 또는 캡부(1)의 이탈로인해 작동을 시작한 후 1내지 4초간 진동한 후 자동으로 종료되는 것이 바람직하다.On the other hand, the process of applying makeup using an eyeliner is performed by directly contacting the brush 22 from which ink is discharged to the eyelid, and the area in which the makeup is performed is also narrow, so elaboration is required. Therefore, if the vibration continues to occur, discomfort may occur in performing makeup, so the vibration motor 33 vibrates for 1 to 4 seconds after starting the operation due to the detachment of the switch 323 or the cap 1 It is preferable to automatically terminate after.

이상,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와 함께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이러한 도면과 실시예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예 또는 균등한 범위의 실시예가 존재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 따른 기술적 사상의 권리범위는 청구범위에 의해 해석되어야 하고, 이와 동등하거나 균등한 범위 내의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In the 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together with a preferred embodiment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but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se drawings and embodiments. Accordingly, various modifications or embodiments of an equivalent range may exist within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interpreted by the claims, and the technical idea within the scope equivalent or equivalent thereto should be construed as belonging to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 캡부 26: 응고방지볼
11: 외면 캡 27: 잉크 마개
12: 캡 스프링 28: 탄성부재
13: 내면 캡 281: 중공
2: 아이라이너 본체 282: 제1단부
21: 노즐 283: 제2단부
22: 브러시 284: 이격 공간
23: 잉크조절기 3: 케이스
231: 내공 31: 후크
232: 잉크조절기 홈 32: 하우징
234: 환형 슬릿 321: 본체 삽입구
24: 중계심 322: 배터리 홈
241: 제1중계심 323: 스위치
242: 제2중계심 33: 진동 모터
243: 단턱 34: 배터리 홈 마개
25: 카트리지 35: 회로 판넬
251: 충진 공간 4: 배터리
1: cap 26: anti-coagulation ball
11: outer cap 27: ink stopper
12: cap spring 28: elastic member
13: inner cap 281: hollow
2: eyeliner body 282: first end
21: nozzle 283: second end
22: brush 284: separation space
23: ink regulator 3: case
231: hole 31: hook
232: ink regulator groove 32: housing
234: annular slit 321: body insertion port
24: center 322: battery groove
241: first center 323: switch
242: second center of gravity 33: vibration motor
243: step 34: battery groove plug
25: cartridge 35: circuit panel
251: charging space 4: battery

Claims (12)

충진된 잉크가 배출되는 아이라이너 본체(2);
상기 아이라이너 본체(2)가 삽입되기 위한 본체 삽입구(321)가 형성된 하우징(32)을 포함하는 케이스부(3); 및
상기 하우징(32) 내측에 위치하고 상기 아이라이너 본체(2)를 진동시키기 위한 진동이 발생되는 진동 모터(33);를 포함하고,
상기 아이라이너 본체(2)는,
잉크가 충진되기 위한 충진 공간(251)이 형성된 카트리지(25);
일측이 상기 카트리지(25)에 삽입되어 충진된 잉크를 전달하는 도포체; 및
상기 도포체의 타측을 감싸도록 형성되고, 도포체로부터 잉크를 전달받아 외부로 토출하는 브러시(22);를 포함하고,
상기 도포체는,
잉크가 통과하기 위한 이격 공간(284)이 형성된 스프링 형상의 탄성부재(28);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 기능이 구비된 아이라이너
An eyeliner body 2 from which filled ink is discharged;
A case portion (3) including a housing (32) having a body insertion hole (321) into which the eyeliner body (2) is inserted; And
Including; a vibration motor 33 located inside the housing 32 and generating vibration for vibrating the eyeliner body 2,
The eyeliner main body 2,
A cartridge 25 having a filling space 251 for filling ink;
An applicator having one side inserted into the cartridge 25 to deliver the filled ink; And
Includes; a brush 22 formed to surround the other side of the applicator, receiving ink from the applicator and discharging it to the outside,
The coating body,
A spring-shaped elastic member 28 having a spaced space 284 through which ink passes;
Eyeliner equipped with a vibration function, characterized in tha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아이라이너 본체(2)는,
상기 브러시(22)를 감싸도록 형성되어 브러시(22)를 고정시키는 노즐(21);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 기능이 구비된 아이라이너
The method of claim 1,
The eyeliner main body 2,
A nozzle 21 formed to surround the brush 22 to fix the brush 22;
Eyeliner equipped with a vibration function,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아이라이너 본체(2)는,
상기 탄성부재(28)가 삽입되기 위한 내공(231)이 형성되고, 상기 탄성부재(28)를 통해 전달되는 잉크량을 조절하는 잉크조절기(23);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 기능이 구비된 아이라이너
The method of claim 2,
The eyeliner main body 2,
An ink regulator 23 having an inner hole 231 into which the elastic member 28 is inserted, and adjusting the amount of ink delivered through the elastic member 28;
Eyeliner with a vibration function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잉크조절기(23)는,
길이 방향을 따라 내측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잉크조절기 홈(232);
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 기능이 구비된 아이라이너
The method of claim 3,
The ink regulator 23,
At least one ink regulator groove 232 on the inner surfac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Eyeliner equipped with a vibration funct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formed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아이라이너 본체(2)는 케이스부(3)에 탈착 가능하여 교체가능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 기능이 구비된 아이라이너
The method of claim 1,
The eyeliner body 2 is detachable and replaceable in the case part 3;
Eyeliner equipped with a vibration function characterized by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부(3)는,
사용자의 누름 동작에 의해 아이라이너 본체(2)를 분리가능하게 하기 위한 후크(31);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 기능이 구비된 아이라이너
The method of claim 6,
The case portion 3,
A hook 31 for separating the eyeliner body 2 by a user's pressing operation;
Eyeliner with a vibration function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부(3)는,
상기 진동 모터(33)를 작동시키기 위한 회로 판넬(35); 및
상기 회로 판넬(35)에 에너지를 공급하는 배터리(4)가 삽입되기 위한 배터리 홈(322);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 기능이 구비된 아이라이너
The method of claim 1,
The case portion 3,
A circuit panel 35 for operating the vibration motor 33; And
A battery groove 322 into which a battery 4 that supplies energy to the circuit panel 35 is inserted;
Eyeliner equipped with a vibration function,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부(3)는,
배터리(4)를 충전시키기 위한 충전 단자;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 기능이 구비된 아이라이너
The method of claim 8,
The case portion 3,
A charging terminal for charging the battery 4;
Eyeliner with a vibration function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부(3)는,
상기 회로 판넬(35)과 연결되어 진동 모터(33)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스위치(323);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 기능이 구비된 아이라이너
The method of claim 8,
The case portion 3,
A switch 323 connected to the circuit panel 35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vibration motor 33;
Eyeliner with a vibration function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 기능이 구비된 아이라이너는,
아이라이너 본체(2)를 감싸도록 케이스부(3) 일측에 결합되는 캡부(1);
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캡부(1)는 회로 판넬(35)과 전기적으로 연동되어 캡부(1)를 케이스부(3)로부터 이탈시키는 경우 진동 모터(33)가 작동하도록 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 기능이 구비된 아이라이너
The method of claim 8,
The eyeliner equipped with the vibration function,
A cap portion 1 coupled to one side of the case portion 3 to surround the eyeliner body 2;
It is made including more,
The cap unit 1 is electrically interlocked with the circuit panel 35 to allow the vibration motor 33 to operate when the cap unit 1 is separated from the case unit 3;
Eyeliner equipped with a vibration function characterized by
제10항 및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 모터(33)는,
작동을 시작한 후 1내지 4초간 진동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 기능이 구비된 아이라이너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0 and 11,
The vibration motor 33,
Vibrating for 1 to 4 seconds after starting operation;
Eyeliner equipped with a vibration function characterized by
KR1020190105587A 2019-08-28 2019-08-28 Eyeliner with function of vibration KR102192121B1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5587A KR102192121B1 (en) 2019-08-28 2019-08-28 Eyeliner with function of vibration
PCT/KR2019/010971 WO2021040080A1 (en) 2019-08-28 2019-08-28 Eyeliner having vibration func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5587A KR102192121B1 (en) 2019-08-28 2019-08-28 Eyeliner with function of vibratio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92121B1 true KR102192121B1 (en) 2020-12-16

Family

ID=740419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05587A KR102192121B1 (en) 2019-08-28 2019-08-28 Eyeliner with function of vibration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192121B1 (en)
WO (1) WO2021040080A1 (en)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12818U (en) * 2009-06-17 2010-12-27 이-린 차이 Electrically-driven powder cosmetics application device
KR101274866B1 (en) * 2012-04-20 2013-06-17 주식회사 신환코스텍 A cosmetic eyeliner
KR20130083518A (en) * 2012-01-13 2013-07-23 미즈온(주) Compatibility via vibrating mascara massage roller
KR20140000942U (en) 2012-08-01 2014-02-11 전명석 Cremation equipment using vibration
KR101474324B1 (en) * 2013-07-22 2014-12-18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Electromotive Mascara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66483A (en) * 1987-11-12 1990-10-30 Ancos Co., Ltd. Valve operating mechanism
FR2882506B1 (en) * 2005-02-25 2007-05-18 Oreal MAKE-UP PROCESS USING A VIBRANT APPLICATOR
JP2006238998A (en) * 2005-03-01 2006-09-14 Key Tranding Co Ltd Electromotive cosmetic equipment
FR2940023B1 (en) * 2008-12-18 2011-03-18 Oreal MAKE-UP METHOD AND DEVICE FOR IMPLEMENTING SUCH A METHOD, COMPRISING A VIBRANT APPLICATOR
KR101985002B1 (en) * 2017-12-28 2019-06-03 김태수 Cosmetic case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12818U (en) * 2009-06-17 2010-12-27 이-린 차이 Electrically-driven powder cosmetics application device
KR20130083518A (en) * 2012-01-13 2013-07-23 미즈온(주) Compatibility via vibrating mascara massage roller
KR101274866B1 (en) * 2012-04-20 2013-06-17 주식회사 신환코스텍 A cosmetic eyeliner
KR20140000942U (en) 2012-08-01 2014-02-11 전명석 Cremation equipment using vibration
KR101474324B1 (en) * 2013-07-22 2014-12-18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Electromotive Mascara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040080A1 (en) 2021-03-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653685B (en) Cosmetic material application container
KR200475064Y1 (en) Eye liner
KR101226806B1 (en) Eyeliner pencil
TWI727113B (en) Cosmetic container
JP2007181675A (en) Cosmetic case
WO2019073703A1 (en) Applicator
JPH1085037A (en) Applicator unit for liquid or semi-liquid product
JP6155408B1 (en) Applicator
KR102192121B1 (en) Eyeliner with function of vibration
KR101267518B1 (en) Eye liner
JP3221020U (en) Replaceable cosmetic container
CA1259010A (en) Applicator means for cosmetics
KR102175091B1 (en) Applicator equipped with pearl guide component with having grooves for pearl
CN209769402U (en) Cosmetic tool
CN114040692A (en) Applicator endpiece for a cosmetic product, associated applicator and applicator assembly
KR102187398B1 (en) Eyeliner with an applicator integral liquid feeding core
KR102040113B1 (en) Cosmetic brush
JP5486296B2 (en) Applicator
KR20180105947A (en) Cosmetic containers that can replace containers and brushes
KR200281544Y1 (en) Eye Liner With An Ink Regulator
US10492587B2 (en) Rod-shaped cosmetic material feeding container
KR102175072B1 (en) Applicator equipped with a double compartment ink supply regulator with grooves for pearl
KR102528886B1 (en) Brush for ink containing pearl particles and eyeliner comprising the same
KR102575049B1 (en) A cartridge for an applicator having a plurality of brushes and an applicator comprising the same
JP2004344858A (en) Coating too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