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92098B1 - 여자시스템의 점호출력 선택카드 시험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여자시스템의 점호출력 선택카드 시험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92098B1
KR102192098B1 KR1020190114949A KR20190114949A KR102192098B1 KR 102192098 B1 KR102192098 B1 KR 102192098B1 KR 1020190114949 A KR1020190114949 A KR 1020190114949A KR 20190114949 A KR20190114949 A KR 20190114949A KR 102192098 B1 KR102192098 B1 KR 1021920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ring output
firing
selection card
test
output sel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149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진엽
김인성
강민구
Original Assignee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149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9209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920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920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28Testing of electronic circuits, e.g. by signal tracer
    • G01R31/317Testing of digital circuits
    • G01R31/31703Comparison aspects, e.g. signature analysis, comparato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28Testing of electronic circuits, e.g. by signal tracer
    • G01R31/317Testing of digital circuits
    • G01R31/31712Input or output aspec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28Testing of electronic circuits, e.g. by signal tracer
    • G01R31/317Testing of digital circuits
    • G01R31/3177Testing of logic operation, e.g. by logic analys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28Testing of electronic circuits, e.g. by signal tracer
    • G01R31/317Testing of digital circuits
    • G01R31/3181Functional testing
    • G01R31/319Tester hardware, i.e. output processing circuits
    • G01R31/31903Tester hardware, i.e. output processing circuits tester configuration
    • G01R31/31905Interface with the device under test [DUT], e.g. arrangements between the test head and the DUT, mechanical aspects, fixtur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28Testing of electronic circuits, e.g. by signal tracer
    • G01R31/317Testing of digital circuits
    • G01R31/3181Functional testing
    • G01R31/319Tester hardware, i.e. output processing circuits
    • G01R31/31917Stimuli generation or application of test patterns to the device under test [DUT]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PCONTROL OR REGULATION OF ELECTRIC MOTORS, ELECTRIC GENERA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CONTROLLING TRANSFORMERS, REACTORS OR CHOKE COILS
    • H02P9/00Arrangements for controlling electric generators for the purpose of obtaining a desired output
    • H02P9/10Control effected upon generator excitation circuit to reduce harmful effects of overloads or transients, e.g. sudden application of load, sudden removal of load, sudden change of loa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Debugging And Monitoring (AREA)

Abstract

실시 예는 점호출력 선택카드의 시험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시험장치는, 점호출력 선택카드와 신호를 송수신하는 인터페이스 모듈, 및 상기 인터페이스 모듈을 통해 3중화된 점호출력신호들을 포함하는 시험 신호 세트를 상기 점호출력 선택카드로 인가하며, 상기 시험 신호 세트에 응답하여 상기 점호출력 선택카드로부터 출력되는 최종 점호출력신호와 상기 시험 신호 세트에 대응하여 기 설정된 최종 점호출력결과를 비교하여 상기 점호출력 선택카드의 건전성 검증을 수행하는 제어기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여자시스템의 점호출력 선택카드 시험장치 및 그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TESTING OF FIRING OUTPUT SELECTION CARD OF EXCITATION SYSTEM}
본 개시는 여자 시스템에서의 점호출력 선택카드 시험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주 발전기의 3중화된 여자시스템에서 사용되는 점호출력 선택카드의 시험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발전소 내 주발전기의 여자시스템은 안정적인 출력을 유지하기 위해 3중화 시스템으로 설계되어 운용된다. 3중화로 설계된 여자시스템에서는 3중화 제어기가 3중화된 점호 신호를 출력하면, 선택 로직으로 설계된 점호출력 선택카드가 이들 중 하나를 선택하여 최종 점호 출력으로 출력한다.
점호출력 선택카드의 출력은 여자시스템의 최종 제어 신호이다. 점호출력 선택카드의 출력에 문제가 발생할 경우 발전기의 전압 헌팅을 유발하고, 최악의 경우 계통의 동요 및 발전 정지를 일으킬 수 있다. 따라서, 안정적인 전력 운영을 위해서는 점호출력 선택카드의 건전성 검증이 필요하다.
실시 예를 통해 해결하려는 과제는 3중화된 여자시스템의 점호출력 선택카드에 대해 정확한 건전성 검증이 가능한 점호출력 선택카드 시험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실시 예에 따른 점호출력 선택카드의 시험장치는, 점호출력 선택카드와 신호를 송수신하는 인터페이스 모듈, 및 상기 인터페이스 모듈을 통해 3중화된 점호출력신호들을 포함하는 시험 신호 세트를 상기 점호출력 선택카드로 인가하며, 상기 시험 신호 세트에 응답하여 상기 점호출력 선택카드로부터 출력되는 최종 점호출력신호와 상기 시험 신호 세트에 대응하여 기 설정된 최종 점호출력결과를 비교하여 상기 점호출력 선택카드의 건전성 검증을 수행하는 제어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기는, 상기 3중화된 점호출력신호들 간의 크기 관계에 기초해 복수의 시험 항목을 분류하고, 상기 복수의 시험 항목 각각에 대해 상기 시험 신호 세트와 상기 최종 점호출력결과를 설정할 수 있다.
상기 시험 신호 세트는, 상기 3중화된 점호출력신호들, 상기 점호출력 선택카드의 출력에 대한 온/오프를 지시하는 점호출력 차단신호, 및 상기 3중화된 점호출력신호들 각각의 건전성을 지시하는 건전성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기는, 상기 복수의 시험 항목 각각의 상기 시험 신호 세트를 상기 점호출력 선택카드로 순차적으로 인가하여 상기 점호출력 선택카드의 건전성 검증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3중화된 점호출력신호들은 소정의 범위 내에서 변동하는 값을 가지며, 상기 제어기는, 상기 복수의 시험 항목 각각에 대응하는 상기 3중화된 점호출력신호들 간의 크기 관계를 만족하도록, 상기 시험 신호 세트에 포함되는 상기 3중화된 점호출력신호들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실시 예에 따른 점호출력 선택카드의 시험방법은, 복수의 시험 항목 각각에 대해 시험 신호 세트와 최종 점호출력결과를 설정하는 단계, 상기 점호출력 선택카드의 검증 작업이 개시되면, 상기 복수의 시험 항목 각각에 대응하는 상기 시험 신호 세트를 상기 점호출력 선택카드로 인가하는 단계, 및 상기 시험 신호 세트에 응답하여 상기 점호출력 선택카드로부터 출력되는 최종 점호출력신호와 상기 시험 신호 세트에 대응하는 상기 최종 점호출력결과를 비교하여 상기 점호출력 선택카드의 건전성 검증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복수의 시험 항목은, 상기 시험 신호 세트에 포함된 3중화된 점호출력신호들 간의 크기 관계에 기초해 분류될 수 있다.
상기 시험방법에서, 상기 시험 신호 세트는, 상기 3중화된 점호출력신호들, 상기 점호출력 선택카드의 출력에 대한 온/오프를 지시하는 점호출력 차단신호, 및 상기 3중화된 점호출력신호들 각각의 건전성을 지시하는 건전성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시험방법에서, 상기 3중화된 점호출력신호들은 소정의 범위 내에서 변동하는 값을 가지며, 상기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시험 항목 각각에 대응하는 상기 3중화된 점호출력신호들 간의 크기 관계를 만족하도록, 상기 시험 신호 세트에 포함되는 상기 3중화된 점호출력신호들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르면, 3중화된 여자시스템의 점호출력 선택카드에 대한 정확한 건전성 검증이 가능하다.
도 1은 실시 예에 따른 점호출력 선택카드 시험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2a 내지 도 2c는 3중화 여자시스템의 점호출력 선택카드 내 선택 로직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실시 예에 따른 점호출력 선택카드 시험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이하, 필요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실시 예에 따른 점호출력 선택카드의 시험장치 및 그 방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실시 예에 따른 점호출력 선택카드 시험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실시 예에 따른 점호출력 선택카드 시험장치(10)는, 인터페이스 모듈(11), 디스플레이(12), 사용자 입력장치(13), 메모리(14), 및 제어기(15)를 포함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 모듈(11)은 점호출력 선택카드(5)와 연결되어, 점호출력 선택카드(5)와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터페이스 모듈(11)은 점호출력 선택카드(5)로 시험 신호를 전송할 수도 있고, 점호출력 선택카드(5)로부터 출력되는 점호 신호를 수신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12)는 점호출력 선택카드 시험장치(10)에서 처리되는 정보들을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12)는 점호출력 선택카드(5)에 대한 시험 결과를 화면 상에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장치(13)는 사용자로부터 제어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12)가 터치 스크린인 경우, 디스플레이는 사용자 입력장치(13)로도 동작할 수 있다.
메모리(14)는 제어기(15)의 동작을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14)는 점호출력 선택카드(5)의 검증을 위해 수행되는 복수의 시험 항목 별로, 점호출력 선택카드(5)로 인가되는 시험 신호 세트들과 정상인 점호출력 선택카드(5)의 최종 점호출력신호를 대응시켜 저장할 수 있다.
아래 표 1은 점호출력 선택카드(5)로 인가되는 시험 신호 세트들과, 각 시험 신호 세트에 대응하여 점호출력 선택카드(5)로부터 출력되어야 하는 출력신호를 도시한 나타낸다.
시험 신호 세트 점호출력 선택카드 출력결과
점호출력 차단신호 건전성 신호 점호출력신호들
FALSE A, B, C: 양호 A ≥ B ≥ C ON(출력: B)
A ≥ C ≥ B ON(출력: C)
B ≥ A ≥ C ON(출력: A)
B ≥ C ≥ A ON(출력: C)
C ≥ A ≥ B ON(출력: A)
C ≥ B ≥ A ON(출력: B)
A, B: 양호 C: 불량 A ≥ B ON(출력: B)
B ≥ A ON(출력: A)
A, C: 양호 B: 불량 A ≥ C ON(출력: C)
C ≥ A ON(출력: A)
B, C: 양호 A: 불량 B ≥ C ON(출력: C)
C ≥ B ON(출력: B)
A: 양호 B, C: 불량 모든 경우 ON(출력: A)
B: 양호 A, C: 불량 모든 경우 ON(출력: B)
C: 양호 A, B: 불량 모든 경우 ON(출력: C)
A, B, C: 불량 모든 경우 OFF
TRUE 모든 경우  모든 경우 OFF
위 표 1을 참조하면, 건전성 검증을 위해 점호출력 선택카드(5)로 인가되는 각 시험 신호 세트는, 점호출력 차단신호, 건전성 신호, 및 3중화된 점호출력신호들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점호출력 차단신호는 점호출력 선택카드(5)의 출력에 대한 온(On)/오프(Off)를 지시하는 신호로서, 점호출력 차단신호가 False이면 점호출력 선택카드(5)의 출력이 온 되고, 점호출력 차단신호가 True이면 점호출력 선택카드(5)의 출력이 오프되어야 한다. 또한, 건전성 신호는 3중화된 점호출력신호 각각의 건전성을 양호 또는 불량으로 지시하는 신호로서, 불량으로 지시된 점호출력신호는 점호출력 선택카드(5)의 최종 점호출력신호의 선택에서 제외된다. 또한, 3중화된 점호출력신호들은 점호출력 선택카드(5)에서 출력되는 최종 점호출력신호를 결정하기 위한 신호들이다. 3중화 제어기(미도시)에서 점호출력 선택카드(5)로 인가되는 점호출력신호들(A, B, C)은 T(True)/F(False)가 아닌 소정 범위 내에서 변동하는 값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점호출력 선택카드(5)로 인가될 수 있는 모든 점호출력신호(A, B, C) 조합에 대해 점호출력 선택카드(5)의 건전성을 검증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따라서, 실시 예에서는 전술한 표 1과 같이, 점호출력 차단신호와 건전성 신호와 함께, 점호출력 선택카드(5)로 인가되는 점호출력신호들(A, B, C)의 절대적인 값이 아닌 크기 관계로만 시험 항목을 분류하고, 각 크기 관계를 만족하도록 점호출력신호들(A, B, C)을 생성할 수 있다.
위 표 1에서 점호출력 선택카드 출력결과는 각 시험 신호 세트에 대응하여 정상인 점호출력 선택카드에서 출력되어야 하는 최종 점호출력결과로서, 점호출력 선택카드(5)의 실제 출력을 검증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도 2a 내지 도 2c는 3중화 여자시스템의 점호출력 선택카드(5) 내 선택 로직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a를 참조하면, 모든 점호출력신호들(A, B, C)의 건전성이 양호한 상태에서, A 신호의 값이 B 신호의 값보다 크고 C 신호의 값이 B 신호의 값보다 작은 경우, 점호출력 선택카드(5)는 중간 값인 B 신호를 최종 점호출력신호로 선택하여 출력할 수 있다.
도 2b를 참조하면, 점호출력신호들(A, B, C) 중 C 신호가 불량한 상태에서, 건전성이 양호한 즉, 정상인 A 신호의 값이 B 신호의 값보다 큰 경우, 점호출력 선택카드(5)는 값이 낮은 B 신호를 최종 점호출력신호로 선택하여 출력할 수 있다.
도 2c를 참조하면, 점호출력신호들(A, B, C) 중 B 신호 및 C 신호가 불량한 상태에서는, 신호 크기와 상관없이 상관 없이 정상인 A 신호를 최종 점호출력신호로 선택하여 출력할 수 있다.
제어기(15)는 점호출력 선택카드 시험장치(1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기(15)는 사용자 입력장치(13)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제어입력에 기초하여, 점호출력 선택카드(5)를 검증하기 위한 시험 항목들과, 각 시험 항목 별로 시험 신호 세트들과 최종 점호출력결과를 설정할 수 있다.
제어기(15)는 점호출력 선택카드(5)의 검증 작업이 시작되면, 미리 정의된 각 시험 항목에 대응하여 시험 신호들을 점호출력 선택카드(5)로 인가할 수 있다. 그리고, 시험 신호들의 인가에 응답하여 점호출력 선택카드(5)로부터 실제 출력되는 점호출력신호와 각 시험 항목에 대응하여 미리 정의된 점호출력결과와의 정합성을 확인하여 점호출력 선택카드(5)의 건전성을 검증할 수 있다.
제어기(15)는 또한 점호출력 선택카드(5)의 건전성 검증 작업이 완료되면, 건전겅 검증 결과를 디스플레이(12)를 통해 화면 상에 표시할 수 있다.
도 3은 실시 예에 따른 점호출력 선택카드 시험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3의 시험방법은 위에서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 점호출력 선택카드 시험장치(10)의 제어기(15)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점호출력 선택카드 시험장치(10)는 사용자 입력장치(13)를 통해 입력되는 제어입력에 기초하여, 점호출력 선택카드(5)의 건전성 검증을 위해 수행할 시험 항목들과, 각 시험 항목 별 시험 신호 세트들과 최종 점호출력결과를 설정한다(S10).
이후, 점호출력 선택카드 시험장치(10)는 점호출력 선택카드(5)가 인터페이스 모듈(11)을 통해 연결되어 점호출력 선택카드(5)에 대한 검증 작업이 개시되면(S11), 각 시험 항목에 대응하는 시험 신호 세트를 점호출력 선택카드(5)로 순차적으로 인가한다(S12). 그리고, 인가된 시험 신호 세트에 대응하여 점호출력 선택카드(5)로부터 실제 출력되는 최종 점호출력신호를 수신하고(S13), 수신된 최종 점호출력신호와, 대응하는 시험 항목에 대해 미리 정의된 최종 점호출력결과의 정합성을 검증한다(S14).
점호출력 선택카드 시험장치(10)는 미리 정의된 모든 시험 항목에 대해 검증이 완료될 때까지(S15), 상기 S12 단계 내지 S14 단계를 반복해서 수행한다. 그리고, 모든 시험 항목에 대해 검증이 완료되면, 상기 S14 단계를 통해 획득된 정합성 검증 결과들에 기초하여, 점호출력 선택카드(5)의 건전성을 최종으로 결정한다(S16). 그리고, 최종 결정된 점호출력 선택카드(5)의 건전성 검증결과를 디스플레이(12)를 통해 화면 상에 표시한다(S17).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점호출력 선택카드 시험 방법은 소프트웨어를 통해 실행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로 실행될 때, 본 발명의 구성 수단들은 필요한 작업을 실행하는 코드 세그먼트들이다. 프로그램 또는 코드 세그먼트들은 프로세서에 의해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 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장치의 예로는, ROM, RAM, CD-ROM, DVD_ROM, DVD_RA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다. 또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장치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지금까지 참조한 도면과 기재된 발명의 상세한 설명은 단지 본 발명의 예시적인 것으로서,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 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용이하게 선택하여 대체할 수 있다. 또한 당업자는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구성요소 중 일부를 성능의 열화 없이 생략하거나 성능을 개선하기 위해 구성요소를 추가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당업자는 공정 환경이나 장비에 따라 본 명세서에서 설명한 방법 단계의 순서를 변경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형태가 아니라 특허청구범위 및 그 균등물에 의해 결정되어야 한다.

Claims (8)

  1. 점호출력 선택카드의 시험장치로서,
    점호출력 선택카드와 신호를 송수신하는 인터페이스 모듈, 및
    상기 인터페이스 모듈을 통해 3중화된 점호출력신호들을 포함하는 시험 신호 세트를 상기 점호출력 선택카드로 인가하며, 상기 시험 신호 세트에 응답하여 상기 점호출력 선택카드로부터 출력되는 최종 점호출력신호와 상기 시험 신호 세트에 대응하여 기 설정된 최종 점호출력결과를 비교하여 상기 점호출력 선택카드의 건전성 검증을 수행하는 제어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기는, 상기 3중화된 점호출력신호들 간의 크기 관계에 기초해 복수의 시험 항목을 분류하고, 상기 복수의 시험 항목 각각에 대해 상기 시험 신호 세트와 상기 최종 점호출력결과를 설정하는, 시험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험 신호 세트는,
    상기 3중화된 점호출력신호들,
    상기 점호출력 선택카드의 출력에 대한 온/오프를 지시하는 점호출력 차단신호, 및
    상기 3중화된 점호출력신호들 각각의 건전성을 지시하는 건전성 신호
    를 포함하는 시험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상기 복수의 시험 항목 각각의 상기 시험 신호 세트를 상기 점호출력 선택카드로 순차적으로 인가하여 상기 점호출력 선택카드의 건전성 검증을 수행하는, 시험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3중화된 점호출력신호들은 소정의 범위 내에서 변동하는 값을 가지며,
    상기 제어기는, 상기 복수의 시험 항목 각각에 대응하는 상기 3중화된 점호출력신호들 간의 크기 관계를 만족하도록, 상기 시험 신호 세트에 포함되는 상기 3중화된 점호출력신호들을 생성하는, 시험장치.
  6. 점호출력 선택카드의 시험방법으로서,
    복수의 시험 항목 각각에 대해 시험 신호 세트와 최종 점호출력결과를 설정하는 단계,
    상기 점호출력 선택카드의 검증 작업이 개시되면, 상기 복수의 시험 항목 각각에 대응하는 상기 시험 신호 세트를 상기 점호출력 선택카드로 인가하는 단계, 및
    상기 시험 신호 세트에 응답하여 상기 점호출력 선택카드로부터 출력되는 최종 점호출력신호와 상기 시험 신호 세트에 대응하는 상기 최종 점호출력결과를 비교하여 상기 점호출력 선택카드의 건전성 검증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시험 항목은, 상기 시험 신호 세트에 포함된 3중화된 점호출력신호들 간의 크기 관계에 기초해 분류되는, 시험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시험 신호 세트는,
    상기 3중화된 점호출력신호들,
    상기 점호출력 선택카드의 출력에 대한 온/오프를 지시하는 점호출력 차단신호, 및
    상기 3중화된 점호출력신호들 각각의 건전성을 지시하는 건전성 신호
    를 포함하는 시험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3중화된 점호출력신호들은 소정의 범위 내에서 변동하는 값을 가지며,
    상기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시험 항목 각각에 대응하는 상기 3중화된 점호출력신호들 간의 크기 관계를 만족하도록, 상기 시험 신호 세트에 포함되는 상기 3중화된 점호출력신호들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시험방법.
KR1020190114949A 2019-09-18 2019-09-18 여자시스템의 점호출력 선택카드 시험장치 및 그 방법 KR1021920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4949A KR102192098B1 (ko) 2019-09-18 2019-09-18 여자시스템의 점호출력 선택카드 시험장치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4949A KR102192098B1 (ko) 2019-09-18 2019-09-18 여자시스템의 점호출력 선택카드 시험장치 및 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92098B1 true KR102192098B1 (ko) 2020-12-16

Family

ID=740420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14949A KR102192098B1 (ko) 2019-09-18 2019-09-18 여자시스템의 점호출력 선택카드 시험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92098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30766A (ja) * 1991-10-31 1993-05-25 Kawasaki Steel Corp 点弧回路の診断方法
KR20110079166A (ko) * 2009-12-31 2011-07-07 한국전력공사 고장 감시 시스템
KR101085175B1 (ko) * 2009-10-29 2011-11-18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디지털 삼중화 제어기와 이중화 정류기를 이용한 원자력발전소의 비상디젤발전기 디지털 여자시스템과, 그 운전모드 변경 방법 및, 급기동 방법
KR20150124655A (ko) * 2014-04-29 2015-11-06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점호 신호 점검 기능이 구비된 hvdc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30766A (ja) * 1991-10-31 1993-05-25 Kawasaki Steel Corp 点弧回路の診断方法
KR101085175B1 (ko) * 2009-10-29 2011-11-18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디지털 삼중화 제어기와 이중화 정류기를 이용한 원자력발전소의 비상디젤발전기 디지털 여자시스템과, 그 운전모드 변경 방법 및, 급기동 방법
KR20110079166A (ko) * 2009-12-31 2011-07-07 한국전력공사 고장 감시 시스템
KR20150124655A (ko) * 2014-04-29 2015-11-06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점호 신호 점검 기능이 구비된 hvdc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40986B2 (en) Generating test scenarios using reusable triggers indicating graphical user interface (GUI) elements and actions
US20170139811A1 (en) System, method and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 for software testing
CN111984239B (zh) 一种页面配置方法、装置、服务器及存储介质
CN105224458A (zh) 一种数据库测试方法及系统
US11409623B2 (en) Integrated circuit (IC) power-up testing method and device, and electronic equipment
CN104156305A (zh) 一种应用程序测试方法及装置
CN109684213B (zh) 一种测试方法、装置及存储介质
US9501390B1 (en) Enhancing automated mobile application testing
KR102192098B1 (ko) 여자시스템의 점호출력 선택카드 시험장치 및 그 방법
KR101252358B1 (ko) Plc 명령어 테스트 장치 및 방법
CN107203373B (zh) 界面控件的获取方法、测试方法及获取装置、测试装置
CN110717315B (zh) 系统数据批量修改方法、装置、存储介质及电子设备
CN111767218A (zh) 一种用于持续集成的自动化测试方法、设备及存储介质
CN117009248A (zh) 机器学习模型测试方法及装置、电子设备和存储介质
US20140281719A1 (en) Explaining excluding a test from a test suite
US6021359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an inspection schedule for a production line
CN114817033A (zh) 自动化产线的产品测试方法、装置、终端设备及存储介质
CN115185819A (zh) 系统测试方法、装置、设备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06599312A (zh) 知识库的检验方法、装置及终端
JP2020153804A (ja) 試験装置、試験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CN106979794B (zh) 传感器测试方法及装置
CN108628750B (zh) 一种测试代码处理方法及装置
CN114154838B (zh) 一种产品兼容性决策平台、方法及存储介质
KR102432940B1 (ko) 반도체 테스트 시스템
CN116683987B (zh) 调制光芯片通道测试方法、装置和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