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91069B1 - Kiosk - Google Patents

Kiosk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91069B1
KR102191069B1 KR1020200137248A KR20200137248A KR102191069B1 KR 102191069 B1 KR102191069 B1 KR 102191069B1 KR 1020200137248 A KR1020200137248 A KR 1020200137248A KR 20200137248 A KR20200137248 A KR 20200137248A KR 102191069 B1 KR102191069 B1 KR 1021910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attendance
user
body temperature
ca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37248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도준호
이경철
강종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올댓페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올댓페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올댓페이
Priority to KR10202001372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91069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910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9106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7/00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 G07F17/40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for devices for accepting orders, advertisement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1Measuring temperature of body parts ; Diagnostic temperature sensing, e.g. for malignant or inflamed tissu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4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 A61B5/746Alarms related to a physiological condition, e.g. details of setting alarm thresholds or avoiding false alar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18Payment architectures involving self-service terminals [SST], vending machines, kiosks or multimedia terminal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2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 G07C9/29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the pass containing active electronic elements, e.g. smartcard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7/00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 G07F17/04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for anthropometrical measurements, such as weight, height, strength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7/00Mechanisms actuated by objects other than coins to free or to actuate vending, hiring, coin or paper currency dispensing or refunding apparatus
    • G07F7/08Mechanisms actuated by objects other than coins to free or to actuate vending, hiring, coin or paper currency dispensing or refunding apparatus by coded identity card or credit card or other personal identification means
    • G07F7/10Mechanisms actuated by objects other than coins to free or to actuate vending, hiring, coin or paper currency dispensing or refunding apparatus by coded identity card or credit card or other personal identification means together with a coded signal, e.g. in the form of perso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like personal identification number [PIN] or biometric data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7/00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 G08B7/06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using electric transmission, e.g. involving audible and visible signalling through the use of sound and light sourc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athology (AREA)
  • Biophys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Fina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ology (AREA)
  • Burglar Alarm System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kiosk comprising: a kiosk terminal including a touch screen type display unit that displays a tuition payment selection icon to provide a tuition payment means to a user and an attendance check selection icon to provide an attendance authentication means, and a recognition means for recognizing a credit card or a debit card; a card recognition unit for acquiring electronic chip information or magnetic information provided in the credit card or debit card inserted into the recognition means; a control unit which processes a card payment request of the user as the user presses the tuition payment selection icon and the card recognition unit acquires the electronic chip information; and an attendance processing execution unit for accessing an attendance management server when the user presses the attendance check selection icon and an attendance confirmation signal is input by the user, and executing attendance processing for classes by comparing it with the previously stored attendance book data.

Description

키오스크{KIOSK}Kiosk{KIOSK}

본 발명은 학원과 같은 장소에서 학생들의 출석체크와 수강료 결제를 무인으로 처리할 수 있는 키오스크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kiosk capable of unattended processing of student attendance check and tuition payment at a place such as an academy.

일반적으로, 키오스크(KIOSK)는 정보통신 분야에서 정보 서비스와 업무의 무인자동화를 위하여 대중들이 쉽게 이용할 수 있도록 공공장소에 설치한 무인 단말기를 말한다.In general, a kiosk (KIOSK) refers to an unmanned terminal installed in a public place so that the public can easily use it for unmanned automation of information services and tasks in th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field.

현재, 각종 공공시설, 대형서점, 백화점, 전시장 또는 공항이나 철도역 등에 설치하여 각종 행정절차나 상품정보, 시설물의 이용 방법, 인근지역 관광정보 등을 제공한다.Currently, it is installed in various public facilities, large bookstores, department stores, exhibition halls, airports or railway stations, and provides various administrative procedures, product information, facility usage methods, and nearby tourist information.

대부분 키보드를 사용하지 않고 손을 화면에 갖다 대는 터치스크린(touch screen)을 채택하여 단계적으로 쉽게 검색할 수 있고, 이용자에게 편의를 제공한다는 장점 외에도, 정보 제공자 쪽에서 보면 직접 안내하는 사람을 두지않아도 되기 때문에 인력절감 효과가 크다. 특히 인터넷을 시간과 장소에 구애 받지 않고 쓸 수 있는 인터넷 전용 키오스크가 관심을 끌고 있다.Most of them do not use a keyboard, and they adopt a touch screen that puts their hand on the screen, so they can easily search step by step, and in addition to the advantage of providing convenience to users, there is no need to have a person to guide directly from the information provider side. Therefore, the effect of manpower saving is great. In particular, Internet-only kiosks that can use the Internet anytime and anywhere are attracting attention.

그러나, 종래의 키오스크는 학원과 같은 곳에서 무인으로 출석체크를 처리하거나 또는 무인으로 수강료를 결제할 수 있는 기능을 포함하고 있지 아니하다.However, the conventional kiosk does not include a function of unattended attendance check or payment of tuition fees at a place such as an academy.

따라서, 강사가 강의시간을 할애해서 모든 학생들의 출석을 직접 체크해야 해서 실제로 강의를 할 수 있는 시간이 부족한 문제점이 있다.Therefore, there is a problem that there is not enough time to actually give a lecture because the instructor has to devote the lecture time to check the attendance of all students.

그리고, 수강료 결제의 경우 학부모가 학원에 수강료를 계좌로 이체해줘야 하고, 학원 담당자는 학생들을 일일이 체크해가면서 수강료 결제여부를 파악해야 하는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다.And, in the case of tuition payment, there is a cumbersome problem in that parents must transfer tuition fees to the academy, and the academy manager must check whether the tuition is paid by checking each student.

따라서, 학생들의 출석을 무인으로 체크할 수 있도록 하여 강의시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하고, 수강료를 무인으로 결제할 수 있도록 하여 학부모와 학원 담당자의 편의성을 향상시켜줄 수 있는 키오스크의 개발이 절실한 실정이다.Therefore, there is an urgent need to develop a kiosk that can improve the convenience of parents and academia managers by allowing students to check attendance unattended to efficiently utilize lecture time and to pay tuition fees unattended.

한편, 전술한 배경 기술은 발명자가 본 발명의 도출을 위해 보유하고 있었거나, 본 발명의 도출 과정에서 습득한 기술 정보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게 공개된 공지기술이라 할 수는 없다.On the other hand, the above-described background technology is technical information that the inventor possessed for deriv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or acquired during the derivation proces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s not necessarily a known technology disclosed to the general public prior to filing the present invention. .

한국등록특허 제10-2137505호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2137505

본 발명은, 학원과 같은 장소에서 학생들의 출석체크를 무인으로 처리할 수 있고, 신용카드 또는 체크카드로 수강료를 무인으로 결제할 수 있는 키오스크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kiosk capable of unattended processing of student attendance checks in a place such as an academy, and unattended payment of tuition fees by credit card or debit card.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학생들이 강의실에서 실질적으로 수업을 들었는지 여부를 확인함으로써, 학생들이 출석체크를 한 이후에 강의시간에 강의실을 몰래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하여 학습의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는 키오스크를 제공한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kiosk that can improve the effect of learning by checking whether students have actually taken a class in the classroom, thereby preventing students from secretly leaving the classroom during the lecture time after checking attendance. to provide.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사용자의 체온을 실시간으로 측정하고, 사용자의 체온이 기 설정된 온도 이상일 경우 서로 다른 종류의 소음을 다중 복합적으로 발생시켜 사용자와 주변 사람들에게 경각심을 줄 수 있는 키오스크를 제공한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kiosk that measures a user's body temperature in real time and, when the user's body temperature is above a preset temperature, generates different types of noise multiplexedly to give an alert to the user and the people around him. .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사용자의 체온이 기 설정된 온도 이상일 경우 서로 다른 종류의 소음을 다중 복합적으로 발생시킴과 아울러 향을 발생시켜 사용자와 주변 사람들이 보다 효과적으로 경각심을 줄 수 있는 키오스크를 제공한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kiosk in which different types of noise are generated multiplexedly and scent is generated when the user's body temperature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preset temperature so that the user and the surrounding people can more effectively give an alert.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technical proble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technical problem mentioned above, and other technical problems that are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키오스크는, 사용자에게 수강료결제 수단을 제공하기 위한 수강료결제 선택아이콘과 출석인증 수단을 제공하기 위한 출석체크 선택아이콘을 디스플레이하는 터치스크린 타입의 디스플레이부 및 신용카드 또는 체크카드를 인식하는 인식수단을 포함하는 키오스크 단말, 상기 인식수단에 투입된 신용카드 또는 체크카드에 구비된 전자칩 정보나 마그네틱 정보를 획득하는 카드 인식부, 사용자가 상기 수강료결제 선택아이콘을 누르고, 상기 카드 인식부가 전자칩 정보를 획득함에 따라 사용자의 카드결제 요청을 처리하는 제어부, 사용자가 상기 출석체크 선택아이콘을 누름에 따라 사용자에 의해 출석 확인 신호가 입력되면 출석 관리 서버에 접속하여 기저장된 출석부 데이터와 비교하여 수업에 대한 출석 처리를 실행하는 출석 처리 실행부를 포함하고,
상기 키오스크 단말은, 지면에 고정되는 기초판, 상기 기초판의 상면에 결합되는 승강실린더, 상기 키오스크 단말의 저면에 결합되고 상기 승강실린더의 작동에 의해 높낮이가 조절되는 지지대, 상기 키오스크 단말의 상측과 하측에 각각 배치되며 상기 지지대가 상승 또는 하강하도록 상기 승강실린더의 작동을 제어하는 상승 버튼 및 하강 버튼, 비콘 신호를 전송하고, 강의실에 위치하고 상기 출석 처리 실행부에 의해 출석 처리가 완료된 사용자의 휴대 단말기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비콘 신호를 일정 범위 내의 상기 휴대 단말기로 기 설정된 시간 간격을 갖고 주기적으로 전송하고,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가 강의시간 동안 강의실에 있었는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하여 비콘 신호를 일정 범위 내의 휴대 단말기들로 전송하도록 통신부를 제어하면서 기 설정된 시간동안 휴대 단말기로부터 응답 신호가 수신되는지 여부를 파악하고, 응답 신호가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상기 통신부로 수신되었을 때는 휴대 단말기의 사용자가 강의실 내에 존재하며 수업을 들은 것으로 간주하여 출석을 인정하고, 상기 응답 신호가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상기 통신부를 통해 수신되지 않을 경우에는 상기 휴대 단말기의 사용자가 강의실을 벗어나서 수업을 듣지 않은 것으로 간주하여 출석을 인정하지 않으며,
상기 키오스크 단말에 설치되고 전방에 위치한 사용자의 체온을 측정하는 비접촉식 체온 측정부,
상기 키오스크 단말에 설치되고 상기 비접촉식 체온 측정부가 측정한 인체의 체온이 기 설정된 온도 이상일 경우 소음을 발생시켜 경보하는 제1 청각적 경보부,
상기 키오스크 단말에 설치되고 상기 비접촉식 체온 측정부가 측정한 인체의 체온이 기 설정된 온도 이상을 경우 소음을 발생시키되, 상기 제1 청각적 경보부가 작동하고 5초 내지 10초 이후에 작동되어 소음을 증대시키는 제2 청각적 경보부,
상기 키오스크 단말에 설치되고 상기 비접촉식 체온 측정부가 측정한 인체의 체온이 기 설정된 온도 이상을 경우 향을 분사하여 경보하는 후각적 경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청각적 경보부는, 상,하 방향으로 서로 대향되도록 배치되고 내부에 파형형상의 내리막 통로가 형성되며, 상기 내리막 통로 상에 상,하 방향으로 서로 대각선상에 위치되는 복수개의 충돌면부가 형성된 제1,2 공명음 발생부, 상기 제1,2 공명음 발생부의 내리막 통로에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수용되며, 상기 내리막 통로를 따라 하강하면서 상기 충돌면부에 충돌되어 소음을 발생시키는 제1 소음발생부, 상측과 하측에 상기 제1,2 공명음 발생부가 각각 결합되며, 상기 제1 소음발생부가 반복적으로 소음을 발생시키도록 상기 제1,2 공명음 발생부의 상,하 위치를 기 설정된 시간 간격으로 바꾸는 제1 모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청각적 경보부는, 지지대, 상기 지지대의 일측에 설치되며, 길이방향을 따라 서로 연속적으로 교차되는 형태로 연결되는 복수개의 산부와 골부가 형성되어 압축 또는 팽창 가능한 신축부, 종점에 위치된 산부에 접촉되는 압축부, 상기 지지대의 상면에 설치되고 압축부가 상기 종점에 위치된 산부에 접촉된 상태를 유지시키고, 상기 비접촉식 체온 측정부가 측정한 사용자의 체온이 기 설정된 온도 이상을 경우 상기 신축부가 압축되도록 상기 압축부를 후진 시키는 압축용 실린더, 상기 지지대의 상면에 설치되고 상기 압축용 실린더가 상기 압축부를 후진시킬 경우, 상기 신축부가 팽창되도록 상기 압축용 실린더를 상승시키는 팽창용 실린더, 상기 산부의 사이 공간에 복수개로 채움되며 알맹이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신축부가 팽창시 요동되면서 소음을 발생시키는 제2 소음발생부를 포함하며,
상기 후각적 경보부는, 상기 키오스크 단말에 설치되고 전면과 양측면에 복수개의 분사홀이 각각 형성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공간에 수용되며, 액상의 향 발생물질이 저장된 복수개의 저장탱크, 상기 저장탱크에 각각 연결되고 향 발생물질을 펌핑하는 복수개의 펌프, 상기 분사홀에 각각 고정되며, 상기 펌프에 의해 펌핑된 향 발생물질을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분사하는 복수개의 분사노즐, 상기 향 발생물질을 주변으로 확산시키도록 상기 하우징을 그네 운동시키는 확산부를 포함하고,
상기 확산부는, 상기 키오스크 단말의 상면에 서로 대향되도록 배치되는 한 쌍의 지주부, 상기 지주부에 그네 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한 쌍의 그네줄, 일측과 타측이 상기 그네줄에 각각 고정되고 상기 하우징을 고정하는 고정박스, 상기 고정박스와 상,하 대향되도록 배치되는 타격부, 상기 타격부가 고정박스를 타격하여 상기 하우징이 그네운동 하도록 상기 타격부를 기 설정된 시간 간격으로 회전시키는 제2 모터를 포함한다.
A kios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touch screen type display unit and a credit card or check displaying an attendance check selection icon for providing a tuition payment selection icon for providing a tuition payment means to a user and an attendance authentication means. A kiosk terminal including a recognition means for recognizing a card, a card recognition unit for acquiring electronic chip information or magnetic information provided in the credit card or debit card inserted into the recognition means, the user presses the tuition payment selection icon, and the card A control unit that processes a user's card payment request as the recognition unit acquires electronic chip information, and when an attendance confirmation signal is input by the user as the user presses the attendance check selection icon, it connects to the attendance management server and stores the previously stored attendance book data. Comprising an attendance processing execution unit for executing attendance processing for the class by comparison,
The kiosk terminal includes a base plate fixed to the ground, an elevator cylinder coupled to an upper surface of the base plate, a support coupled to a bottom surface of the kiosk terminal and adjustable in height by operation of the elevator cylinder, and an upper side of the kiosk terminal A portable terminal of a user, which is disposed at the lower side and transmits a rise button, a descend button, and a beacon signal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lifting cylinder to raise or lower the support, and which is located in a lecture room and has completed attendance processing by the attendance processing unit. Further comprising a communication unit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with,
The control unit periodically transmits a beacon signal to the portable terminal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at a preset time interval,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communication unit to transmit a beacon signal to mobile terminals within a certain range in order to determine whether the user has been in the lecture room during the lecture time, and determines whether a response signal is received from the mobile terminal for a preset time. , When the response signal is received by the communication unit for a preset time, the user of the mobile terminal is present in the classroom and attendance is deemed to have been taken, and the response signal is not received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for a preset time. , Attendance is not recognized as the user of the mobile terminal is deemed to have not taken the class outside the classroom,
A non-contact body temperature measuring unit installed in the kiosk terminal and measuring the body temperature of a user located in front,
A first audible alarm unit that is installed in the kiosk terminal and generates a noise when the body temperature of the human body measured by the non-contact body temperature measuring unit is higher than a preset temperature,
It is installed in the kiosk terminal and generates noise when the body temperature of the human body measured by the non-contact body temperature measurement unit is higher than a preset temperature, but is operated 5 to 10 seconds after the first audible alarm unit is activated to increase the noise. A second audible alarm unit,
An olfactory alarm unit installed in the kiosk terminal and configured to alert by spraying incense when the body temperature of the human body measured by the non-contact type body temperature measurement unit exceeds a preset temperature,
The first audible alarm unit is disposed so as to face each other in up and down directions, and a corrugated downhill passage is formed therein, and a plurality of collision surface portions disposed diagonally to each other in the up and down directions on the downhill passage At least one is received in the downhill passage of the formed first and second resonance sound generators and the first and second resonance sound generators, and generates a first noise that collides with the collision surface while descending along the downhill passage to generate noise The first and second resonance sound generators are respectively coupled to the sub, upper and lower sides, and the first and second resonance sound generators are positioned at a preset time interval so that the first and second resonance sound generators repeatedly generate noise. Including a first motor to change to,
The second audible alarm unit is a supporter,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supporter, and a plurality of peaks and valleys connected in a form that continuously cross each other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so that a compressible or expandable elastic part, located at an end point The compression unit in contact with the mountain, the compression unit is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and maintains a state in which the compression unit is in contact with the mountain at the end point, and when the user's body temperature measured by the non-contact body temperature measurement unit is higher than a preset temperature A compression cylinder for retracting the compression unit to be compressed, an expansion cylinder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and for raising the compression cylinder so that the expansion and contraction expands when the compression cylinder moves the compression unit backward, between the mountain portions Includes a second noise generator that is filled in a plurality of spaces and is formed in a grain shape, and generates noise while swinging when the expansion and contraction is expanded,
The olfactory alarm unit, a housing installed in the kiosk terminal and having a plurality of injection holes formed on the front and both sides thereof, is accommodated in the inner space of the housing, a plurality of storage tanks in which liquid scent-generating substances are stored, and the storage tank A plurality of pumps each connected and pumping the fragrance-generating material, a plurality of injection nozzles each fixed to the injection hole and injecting the fragrance-generating material pumped by the pump to the outside of the housing, the fragrance-generating material around And a diffusion portion for swinging the housing to diffuse,
The diffusion unit includes a pair of pillars arranged to face each other on the upper surface of the kiosk terminal, a pair of swing ropes coupled to the support to enable swing movement, and one side and the other side are respectively fixed to the swing row and fix the housing And a second motor configured to rotate the striking part at predetermined time intervals so that the striking box and the striking part are arranged to face up and down the fixing box, and the striking part strikes the fixing box so that the housing swings.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상술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학원과 같은 장소에서 학생들의 출석체크를 무인으로 처리할 수 있고, 신용카드 또는 체크카드로 수강료를 무인으로 결제할 수 있어 사용상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it is possible to unattended the attendance check of students in a place such as an academy, and the tuition can be paid unattended with a credit card or debit card, thereby improving convenience in use. There is.

그리고, 학생들이 강의실에서 실질적으로 수업을 들었는지 여부를 확인함으로써, 학생들이 출석체크를 한 이후에 강의시간에 강의실을 몰래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하여 학습의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by checking whether or not the students actually took the class in the classroom, there is an effect of improving the effectiveness of learning by preventing students from secretly leaving the classroom during the lecture time after the attendance check.

또한, 사용자의 체온을 실시간으로 측정하고, 사용자의 체온이 기 설정된 온도 이상일 경우 서로 다른 종류의 소음을 다중 복합적으로 발생시켜 사용자와 주변 사람들에게 경각심을 주어 전염병 확산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user's body temperature is measured in real time, and when the user's body temperature is higher than a preset temperature, different types of noise are generated multiplexedly to alert the user and the surrounding people to prevent the spread of infectious diseases.

그리고, 사용자의 체온이 기 설정된 온도 이상일 경우 서로 다른 종류의 소음을 다중 복합적으로 발생시킴과 아울러 향을 발생시켜 사용자와 주변 사람들이 보다 효과적으로 경각심을 줄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when the user's body temperature is higher than a preset temperature, different types of noise are generated multiplexedly and scent is generated, so that the user and the surrounding people can more effectively alert the user.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이하에서 설명할 내용으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범위 내에서 다양한 효과들이 포함될 수 있다.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effects, and various effects may be included within a range apparent to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from the contents to be described below.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키오스크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키오스크에 적용된 구성들의 연결상태를 도시한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키오스크에 제1 청각적 경보부, 제2 청각적 경보부 및 후각적 경보부가 적용된 예를 도시한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키오스크에 적용된 제1 청각적 경보부를 도시한 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키오스크에 적용된 제2 청각적 경보부를 도시한 도.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키오스크에 적용된 후각적 경보부를 도시한 도.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kios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connection state of components applied to a kios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front view showing an example in which a first audible alarm unit, a second audible alarm unit, and an olfactory alarm unit are applied to a kios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first audible alarm applied to a kios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view showing a second audible alarm applied to a kios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and 7 are diagrams showing an olfactory alarm applied to a kios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o be described later refers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hich illustrate specific embodiments in which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racticed. These embodiments are described in detail sufficient to enable a person skilled in the art to practice the present invention.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but need not be mutually exclusive. For example, certain shapes, structures, and characteristics described herein may be implemented in other embodiment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relation to one embodiment. In addition,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location or arrangement of individual components within each disclosed embodiment may be changed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ly, the detailed description to be described below is not intended to be taken in a limiting sense,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f properly described, is limited only by the appended claims, along with all scopes equivalent to those claimed by the claims. Like reference numerals in the drawings refer to the same or similar functions over several aspects.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키오스크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키오스크에 적용된 구성들의 연결상태를 도시한 블록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kios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connection state of components applied to a kios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키오스크는, 학원에 비치되어 사용자가 무인으로 수강료 결제를 하거나 출석체크를 할 수 있도록 한 제품으로, 키오스크 단말(10), 카드 인식부(20), 제어부(30), 출석 처리 실행부(40)를 포함할 수 있다.A kios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product that is provided in an academy so that a user can unattended tuition payment or attendance check, and includes a kiosk terminal 10, a card recognition unit 20, and a control unit 30. , It may include an attendance processing execution unit 40.

키오스크 단말(10)은 터치스크린 타입의 디스플레이부(11) 및 신용카드 또는 체크카드를 인식하는 인식수단(13)을 포함할 수 있다.The kiosk terminal 10 may include a touch screen type display unit 11 and a recognition means 13 for recognizing a credit or debit card.

디스플레이부(11)는 사용자가 수강료 결제와 출석체크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터치 방식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제공하며,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은 사용자에게 수강료 결제 수단을 제공하기 위한 수강료 결제 선택아이콘(111)과, 사용자에게 출석인증 수단을 제공하기 위한 출석체크 선택아이콘(112)을 포함할 수 있다.The display unit 11 provides a touch-type user interface screen allowing the user to select a tuition payment and attendance check, and the user interface screen includes a tuition payment selection icon 111 for providing a tuition payment method to the user, It may include an attendance check selection icon 112 for providing an attendance authentication means to the user.

일 예로 사용자가 수강료결제 선택아이콘(111)을 클릭하면 팝업 형식으로 수학, 국어, 영어 등 다양한 아이콘을 사용자 인터페이스화면에 제공한다.For example, when the user clicks the tuition payment selection icon 111, various icons such as math, Korean, and English are provided on the user interface screen in a pop-up format.

그리고, 사용자가 특정 과목을 선택하면 사용자 인터페이스화면에는 터치방식의 키보드가 디스플레이 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user selects a specific subject, a touch keyboard may be displayed on the user interface screen.

사용자가 자신의 이름, 생년월일, 핸드폰 번호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정보를 입력하면 출석 관리 서버(41)에 접속하여 기저장된 출석부 테이터와 비교하게 되고, 사용자가 입력한 정보가 기저장된 정보일 경우 인터페이스화면에 인식수단(13)에 카드를 인식하라는 문구가 디스플레이 될 수 있다.When a user enters at least one of his/her name, date of birth, and mobile phone number, it is connected to the attendance management server 41 and compared with the pre-stored attendance data. If the information entered by the user is pre-stored information, the interface screen In the recognition means 13 may be displayed a phrase to recognize the card.

다른 예로, 키오스크 단말에는 바코드 스케너가 설치될 수 있다.As another example, a barcode scanner may be installed in the kiosk terminal.

바코드 스케너는 학원에서 사용자 마다 보급한 사용자 카드에 구비된 바코드의 고유 정보를 인식하고, 출석부 데이터와 비교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barcode scanner may be configured to recognize the unique information of the barcode provided on the user card supplied to each user in the academy and compare it with the attendance book data.

이때, 고유정보는 학생의 이름, 생년월일, 핸드폰 번호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일 수 있다.In this case, the unique information may be at least one of a student's name, date of birth, and mobile phone number.

그리고, 사용자 카드에 저장된 고유 정보가 출석부 테이터에 저장된 이름과 일치할 경우 사용자 인터페이스화면에 인식수단에 카드를 인식하라는 문구가 디스플레이 된다.In addition, when the unique information stored in the user card matches the name stored in the attendance data, a phrase prompting the recognition means to recognize the card is displayed on the user interface screen.

인식수단은 일반적으로 키오스크에 구비되는 것으로, 신용카드 또는 체크카드를 투입하는 타입, 신용카드 또는 체크카드를 긁는 타입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recognition means is generally provided in a kiosk, and may be formed in a type of inserting a credit or debit card, or a type of scratching a credit or debit card.

이러한 인식수단(13)은 상점, 편의점, 페스트푸드점에 비치된 일반적인 키오스크의 인식수단과 같이 상용화된 기술이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Since the recognition means 13 is a commercialized technology like the recognition means of a general kiosk provided in stores, convenience stores, and fast food stores, detailed descriptions are omitted.

카드 인식부(20)는 인식수단이 신용카드 또는 체크카드를 투입하는 타입으로 형성될 경우 신용카드 또는 체크카드에 구비된 전자칩 정보를 인식하고, 인식수단이 긁는 타입으로 형성될 경우 신용카드 또는 체크카드에 구비된 마그네틱 정보를 인식한다.The card recognition unit 20 recognizes electronic chip information provided on the credit card or debit card when the recognition means is formed in a type in which a credit card or debit card is inserted, and when the recognition means is formed in a scratch type, a credit card or Recognizes magnetic information provided on the check card.

이러한 카드 인식부(20)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신용카드 또는 체크카드 결제기기에 마련된 구성 및 원리와 동일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Since the card recognition unit 20 is the same as the configuration and principle provided in a generally used credit card or debit card payment device, a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제어부(30)는 사용자가 수강료 결제 선택아이콘을 누르고, 카드 인식부(20)가 전자칩 정보를 획득함에 따라 사용자의 카드결제 요청을 처리한다.The control unit 30 processes the user's card payment request as the user presses the tuition payment selection icon and the card recognition unit 20 obtains electronic chip information.

이러한 제어부(30)는 일반적인 카드 결제기기에 구비된 구성과 동일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Since the controller 30 is the same as the configuration provided in a general card payment device, a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한편, 사용자가 출석체크 선택아이콘을 선택하면 사용자 인터페이스화면에는 터치방식의 키보드가 디스플레이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user selects the attendance check selection icon, a touch-type keyboard is displayed on the user interface screen.

사용자가 자신의 이름, 생년월일, 핸드폰 번호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입력하면, 출석 처리 실행부(40)는 사용자의 출석 확인 신호에 따라 출석 관리 서버(41)에 접속하여 기저장된 출석부 테이터와 비교하게 되고, 사용자가 입력한 이름이 기저장된 이름일 경우, 사용자 인터페이스화면에 출석확인이라는 문구가 디스플레이되도록 하면서 해당 사용자의 출석 처리를 실행한다.When a user enters at least one of his/her name, date of birth, and mobile phone number, the attendance processing execution unit 40 connects to the attendance management server 41 according to the user's attendance confirmation signal and compares it with the previously stored attendance data. And, if the name input by the user is a pre-stored name, the attendance process of the user is executed while displaying the word attendance confirmation on the user interface screen.

다른 예로, 사용자가 출석체크 선택아이콘을 선택하면 사용자 인터페이스화면에 바코드 스캐너에 사용자 카드의 바코드를 인식하라는 문구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바코드 스캐너에 사용자 카드를 인식하면, 출석 처리 실행부(40)는 사용자의 출석 확인 신호에 따라 출석 관리 서버(41)에 접속하여 기저장된 출석부 테이터와 비교하게 되고, 사용자 카드에 입력된 고유 정보가 기저장된 이름일 경우, 사용자 인터페이스화면에 출석확인이라는 문구가 디스플레이되도록 하면서 해당 사용자의 출석 처리를 실행한다.As another example, when the user selects the attendance check selection icon, a phrase prompting the barcode scanner to recognize the barcode of the user card may be displayed on the user interface screen. When the user recognizes the user card in the barcode scanner, the attendance processing execution unit 40 ) Is connected to the attendance management server 41 according to the user's attendance confirmation signal and compared with the pre-stored attendance data, and if the unique information entered in the user card is a pre-stored name, the phrase attendance confirmation is displayed on the user interface screen. While being displayed, the attendance process of the user is executed.

키오스크 단말은 비콘 신호를 전송하고, 강의실에 위치한 사용자 휴대 단말기(H)와 데이터를 송수신 하는 통신부(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kiosk terminal may further include a communication unit 50 that transmits a beacon signal and transmits and receives data to and from the user's portable terminal H located in the lecture room.

통신부(50)는 일정한 시간 단위로 지정된 강의실에 근거리 통신신호를 발신하는 비콘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communication unit 50 may be formed as a beacon that transmits a short-range communication signal to a designated lecture room in a predetermined time unit.

비콘은 블루투스 로우 에너지(Bluetooth Low Energy)를 이용한 RECO 비콘을 포함하여 소정의 주기마다 블루투스 신호를 발신한다.The beacon includes a RECO beacon using Bluetooth Low Energy and transmits a Bluetooth signal every predetermined period.

이러한 통신부(50)는 복수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출석 처리 실행부(40)에 의해 출석 처리가 완료된 사용자들의 휴대 단말기(H)와 근거리 통신신호를 통해 1:1로 데이터를 송수신한다.The communication unit 50 may be formed in a plurality, and transmits and receives data 1:1 through a short-range communication signal with the mobile terminals H of users whose attendance processing is completed by the attendance processing execution unit 40.

통신부(50)에서 발신되는 근거리 통신신호의 고유값은 각 강의실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부(50)에서 발신되는 근거리 통신신호의 고유값이 '101', '102', '103'인 경우, 첫 번째 건물의 첫번째 강?첵?, 두번째 강의실, 세번째 강의실에 각각 대응될 수 있다.The intrinsic value of the short-range communication signal transmitted from the communication unit 50 may vary according to each classroom. For example, if the intrinsic values of the short-range communication signal transmitted from the communication unit 50 are '101', '102', and '103', the first lecture room, the second lecture room, and the third lecture room of the first building will be respectively corresponded. I can.

제어부(30)는 비콘 신호를 일정 범위 내의 상기 휴대 단말기(H)로 기 설정된 시간 간격을 갖고 주기적으로 전송하도록 통신부(50)를 제어한다.The controller 30 controls the communication unit 50 to periodically transmit a beacon signal to the portable terminal H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at a preset time interval.

제어부(30)는 사용자가 강의시간 동안 강의실에 있었는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하여 비콘 신호를 일정 범위 내의 휴대 단말기(H)들로 전송하도록 통신부(50)를 제어하면서 기 설정된 시간동안 휴대 단말기(H)로부터 응답 신호가 수신되는지 여부를 파악하고, 응답 신호가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상기 통신부(50)로 수신되었을 때는 휴대 단말기(H)의 사용자가 강의실 내에 존재하며 수업을 들은 것으로 간주하여 출석을 인정하고, 응답 신호가 기 설정된 시간 동안 통신부(50)를 통해 수신되지 않을 경우에는 휴대 단말기(H)의 사용자가 강의실을 벗어나서 수업을 듣지 않은 것으로 간주하여 출석을 인정하지 않는다.The control unit 30 controls the communication unit 50 to transmit a beacon signal to the mobile terminals H within a certain range in order to determine whether the user has been in the lecture room during the lecture time, while controlling the mobile terminal H for a preset time. It checks whether a response signal is received from and when the response signal is received by the communication unit 50 for a preset time, the user of the mobile terminal H is considered to be present in the lecture room and taking the class, and attendance is acknowledged, If the response signal is not received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50 for a preset time, the user of the portable terminal H is regarded as not taking classes outside the classroom and attendance is not recognized.

제어부(30)는 사용자가 화장실을 가는 등의 이유로 잠시 통신부(50)에 응답 신호가 수신되지 않더라도, 사용자가 강의실로 복귀하여 다시 통신부(50)에 응답 신호가 수신되면 출석을 인정하도록 프로그래밍 될 수 있다.The control unit 30 can be programmed to acknowledge attendance when the user returns to the classroom and receives a response signal from the communication unit 50 again, even if the response signal is not received from the communication unit 50 for a while due to reasons such as going to the bathroom. hav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키오스크(1)는 이러한 통신부(50)와 제어부(30)를 통해 비교적 사용자가 강의시간에 강의실을 몰래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하여 학습의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The kiosk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improve the effectiveness of learning by relatively preventing the user from secretly leaving the classroom during lecture time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50 and the control unit 30.

이러한 키오스크 단말(1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탁상형으로 형성되거나 또는, 도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탠드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Such a kiosk terminal 10 may be formed in a table-top shape as shown in FIG. 1, or may be formed in a stand shape as shown in FIG. 3.

그리고, 키오스크 단말(10)은 스탠드형으로 적용되는 경우 지면에 안착되는 기초판(14), 기초판(14)의 상면에 결합되는 승강실린더(15), 키오스크 단말(10)의 저면에 결합되는 지지대(16), 키오스크 단말(10)에 설치되는 상승 버튼(17) 및 하강 버튼(18)을 더 포함할 수 있다.And, when the kiosk terminal 10 is applied as a stand type, the base plate 14 that is seated on the ground, the lifting cylinder 15 coupl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plate 14, the kiosk terminal 10 is coupled to the bottom surface. It may further include a support 16, an up button 17 and a down button 18 installed on the kiosk terminal 10.

승강실린더(15)는 유압이 공급되거나 배출됨에 따라 피스톤이 상승 또는 하강되는 유압실린더로 형성될 수 있다.The lifting cylinder 15 may be formed of a hydraulic cylinder in which a piston rises or falls as hydraulic pressure is supplied or discharged.

승강실린더(15)의 피스톤은 지지대(16)의 저면에 결합되어 지지대(16) 및 키오스크 단말(10)을 상승 또는 하강시킬 수 있다.The piston of the lifting cylinder 15 is coupl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support 16 to raise or lower the support 16 and the kiosk terminal 10.

상승 버튼(17)은 승강실린더(15)의 피스톤을 상승시키고, 하강 버튼(18)은 승강실린더(15)의 피스톤을 하강시키도록 마련되는 구성이다.The rising button 17 is configured to raise the piston of the lifting cylinder 15, and the descending button 18 is provided to lower the piston of the lifting cylinder 15.

하강 버튼(18)은 초등학생과 같이 비교적 키가 작은 사용자나 휠체어를 탄 사용자가 용이하게 누를 수 있도록 키오스크 단말(10)의 하측 부분에 설치된다.The down button 18 is installed on the lower part of the kiosk terminal 10 so that a user with a relatively small height such as an elementary school student or a user in a wheelchair can easily press it.

즉, 하강 버튼(18)을 누르면 키오스크 단말(10)이 일정 높이로 하강되어 키가 작은 사용자의 눈높이에 위치됨으로, 키가 작은 사용자도 수강료결제 선택아이콘(111), 출석체크 선택아이콘(112) 등 키오스크 단말(10)의 기능을 용이하게 사용 할 수 있다.That is, when the down button 18 is pressed, the kiosk terminal 10 is lowered to a certain height and is located at the eye level of a user with a small height, so that a user with a small height also selects a course fee payment selection icon 111 and an attendance check selection icon 112 The functions of the kiosk terminal 10 can be easily used.

상승 버튼(17)은 중,고등학생과 같이 초등학생보다 비교적 키가 큰 사용자가 용이하게 누를 수 있도록 키오스크 단말(10)의 상측 부분에 설치된다.The lift button 17 is installed on the upper part of the kiosk terminal 10 so that users who are relatively taller than elementary school students, such as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can easily press.

즉, 비교적 키가 큰 사용자가 키오스크 단말(10)을 이용하려고 하는데, 키오스크 단말(10)이 하강되어 있을 경우, 키오스크 단말(10)의 상측에 설치된 상승 버튼(17)을 누르면 키오스크 단말(10)이 일정 높이로 상승되어 키가 큰 사용자의 눈높이에 위치된다.That is, a relatively tall user tries to use the kiosk terminal 10, but when the kiosk terminal 10 is lowered, pressing the upward button 17 installed on the upper side of the kiosk terminal 10, the kiosk terminal 10 It is raised to a certain height and positioned at the eye level of a tall user.

따라서, 키가 큰 사용자도 수강료결제 선택아이콘(111), 출석체크 선택아이콘(112) 등 키오스크 단말(10)의 기능을 용이하게 사용 할 수 있다.Therefore, even a tall user can easily use the functions of the kiosk terminal 10 such as the tuition payment selection icon 111 and the attendance check selection icon 112.

이때, 상승 버튼(17)은 키오스크 단말(10)의 상측에 설치되기 때문에 키가 큰 사용자가 허리를 많이 숙이지 아니하고도 키오스크 단말(10)을 자신의 눈높이로 상승시키는 것이 가능하다.At this time, since the rising button 17 is installed on the upper side of the kiosk terminal 10, it is possible for a tall user to raise the kiosk terminal 10 to his or her eye level without lowering the waist.

다음으로, 도 3 내지 도 7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키오스크(1)에 적용된 비접촉식 체온 측정부(60), 제1 청각적 경보부(70), 제2 청각적 경보부(80), 후각적 경보부(90)에 대해 설명한다.Next, referring to FIGS. 3 to 7, a non-contact body temperature measurement unit 60, a first audible alarm unit 70, and a second audible alarm unit 80 applied to the kiosk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olfactory alarm unit 90 will be described.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키오스크에 제1 청각적 경보부, 제2 청각적 경보부 및 후각적 경보부가 적용된 예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키오스크에 적용된 제1 청각적 경보부를 도시한 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키오스크에 적용된 제2 청각적 경보부를 도시한 도이고,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키오스크에 적용된 후각적 경보부를 도시한 도이다.3 is a front view showing an example in which a first audible alarm unit, a second audible alarm unit, and an olfactory alarm unit are applied to a kios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4 is a kios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diagram showing a second audible alarm applied to a kios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s. 6 and 7 are It is a diagram showing the olfactory alarm applied to the kiosk according to.

비접촉식 체온 측정부(60)는 공지의 열 화상 카메라 또는 공지의 비접촉식 체온측정기로 형성될 수 있다.The non-contact body temperature measuring unit 60 may be formed by a known thermal imaging camera or a known non-contact body temperature measuring device.

비접촉식 체온 측정부(60)는 키오스크 단말(10)의 상측이나 측면에 설치되어, 키오스크 단말(10)의 전방에 위치한 사람의 체온을 실시간으로 측정한다.The non-contact body temperature measuring unit 60 is installed on the top or side of the kiosk terminal 10 to measure the body temperature of a person located in front of the kiosk terminal 10 in real time.

비접촉식 체온 측정부(60)는 사용자의 체온이 코로나 감염시 발생되는 온도인 약 37.5 ℃ 이상일 경우,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어부(30)에 전송한다.The non-contact body temperature measuring unit 60 transmits the body temperature of the user to the control unit 30 electrically connected when the temperature is about 37.5° C. or higher, which is a temperature generated during corona infection.

제어부(30)는 비접촉식 체온 측정부(60)가 측정한 사용자의 체온이 약 37.5 ℃일 경우 제1 청각적 경보부(70), 제2 청각적 경보부(80) 및 후각적 경보부(90)를 순차적으로 작동시킨다.When the user's body temperature measured by the non-contact body temperature measurement unit 60 is about 37.5° C., the control unit 30 sequentially includes the first audible alarm unit 70, the second audible alarm unit 80, and the olfactory alarm unit 90. To operate.

제1 청각적 경보부(70)는 비접촉식 체온 측정부(60)가 측정한 사용자의 체온이 37.5 ℃ 이상일 경우에만 소음, 즉 경보음을 발생시켜 발열이 있는 사용자와 주변에 위치한 사람들에게 알리는 구성이다.The first audible alarm unit 70 generates a noise, that is, an alarm sound only when the user's body temperature measured by the non-contact body temperature measurement unit 60 is 37.5° C. or higher, and notifies the user with heat and people located nearby.

이를 위해 제1 청각적 경보부(70)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키오스크 단말(10)의 상측에 설치되는 제1 케이스(71), 제1 공명음 발생부(72), 제2 공명음 발생부(73), 제1 소음발생부(74), 제1 모터(75)를 포함할 수 있다.To this end, the first audible alarm unit 70 includes a first case 71 installed on the upper side of the kiosk terminal 10, a first resonance sound generating unit 72, and a first, as shown in FIGS. 3 and 4. 2 It may include a resonance sound generator 73, a first noise generator 74, and a first motor 75.

제1 공명음 발생부(72)와 제2 공명음 발생부(73)는 제1 케이스(71)의 내부공간에 상,하 방향으로 서로 대향되도록 배치되고 내부에 파형형상의 내리막 통로(72a,73a)가 형성되며, 상기 내리막 통로(72a,73a) 상에 상,하 방향으로 서로 대각선상에 위치되는 복수개의 충돌면부(72b,73b)가 각각 형성된다.The first resonance sound generation unit 72 and the second resonance sound generation unit 73 are arranged to face each other in the upper and lower directions in the inner space of the first case 71, and the downhill passage 72a having a waveform shape therein, 73a) is formed, and a plurality of collision surface portions 72b and 73b are formed on the downhill passages 72a and 73a, respectively, which are located diagonally to each other in the up and down directions.

제1 공명음 발생부(72)는 상면이 개방되고 내부에 빈 공간이 형성된 직사각형 박스 형성될 수 있다.The first resonance sound generator 72 may be formed of a rectangular box with an open top surface and an empty space therein.

제1 공명음 발생부(72)의 상면 개구부는 내리막 통로(72a)에 제1 소음발생부(74)를 수용할 수 있도록 덮개(721)에 의해 개폐될 수 있다.The upper surface opening of the first resonance sound generating unit 72 may be opened and closed by the cover 721 to accommodate the first noise generating unit 74 in the downhill passage 72a.

제1 공명음 발생부(72)는 내리막 통로(72a)에 의해 공명음을 발생시킬 수 있다.The first resonance sound generator 72 may generate a resonance sound through the downhill passage 72a.

제2 공명음 발생부(73)는 저면이 개방되고 내부에 빈 공간이 형성된 직사각형 박스 형성될 수 있으며, 내부공간에 전술한 내리막 통로(73a)가 형성된다.The second resonance sound generator 73 may be formed of a rectangular box with an open bottom surface and an empty space therein, and the downhill passage 73a described above is formed in the inner space.

제2 공명음 발생부(73)의 저면 개구부는 내리막 통로(73a)에 제1 소음발생부(74)를 수용할 수 있도록 덮개(731)에 의해 개폐될 수 있다.The bottom opening of the second resonance sound generator 73 may be opened and closed by the cover 731 to accommodate the first noise generator 74 in the downhill passage 73a.

제2 공명음 발생부(73)는 내리막 통로(73a)에 의해 공명음을 발생시킬 수 있다.The second resonance sound generator 73 may generate a resonance sound through the downhill passage 73a.

제1 소음발생부(74)는 내리막 통로(72a,73a)를 각각 따라 내려갈 수 있도록 볼 형상으로 형성된다.The first noise generating unit 74 is formed in a ball shape so as to descend along the downhill passages 72a and 73a, respectively.

제1 소음발생부(74)는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적용될 수 있다.At least one first noise generating unit 74 may be applied.

제1 소음발생부(74)는 제1 공명음 발생부(72)와 제2 공명음 발생부(73)의 내리막 통로(72a,73a)를 따라 각각 하강하는데, 그 과정에서 충돌면부(72b,73b)들에 반복적으로 충돌되면서 경보음을 발생시킨다.The first noise generator 74 descends along the downhill passages 72a and 73a of the first resonance sound generator 72 and the second resonance sound generator 73, respectively, and in the process, the impact surface portion 72b, 73b) is repeatedly collided and an alarm sound is generated.

이때, 제1 소음발생부(74)와 제1 공명음 발생부(72) 및 제2 공명음 발생부(73)는 경보음과 공명음을 크게 발생시키도록 금속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first noise generating unit 74, the first resonance sound generating unit 72, and the second resonance sound generating unit 73 may be formed of a metal material so as to generate large alarm sounds and resonance sounds.

제1 모터(75)는 제1 케이스(71)의 내부 바닥면에 형성된 지지블록(711)의 상면에 고정된다.The first motor 75 is fix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block 711 formed on the inner bottom surface of the first case 71.

제1 모터(75)는 모터축이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되는 AC모터 또는 DC모터로 형성될 수 있다.The first motor 75 may be formed of an AC motor or a DC motor in which a motor shaft is rotated in a forward or reverse direction.

제1 모터(75)의 모터축 상측과 하측에는 제1 공명음 발생부(72) 및 제2 공명음 발생부(73)가 각각 결합된다.A first resonance sound generator 72 and a second resonance sound generator 73 are respectively coupled to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motor shaft of the first motor 75.

따라서, 제1 공명음 발생부(72) 및 제2 공명음 발생부(73)는 기립된 상태를 유지한다.Accordingly, the first resonance sound generation unit 72 and the second resonance sound generation unit 73 maintain an upright state.

이와 같은 상태에서 제1 모터(75)는 제1 소음발생부(74)가 반복적으로 내리막 통로(72a,73a)를 따라 각각 내려가도록 제1 공명음 발생부(72)와 제2 공명음 발생부(73)의 상,하 위치를 바꾼다. 따라서, 제1 소음발생부(74)가 충돌면부(72b,73b)들에 여러 번 충돌되면서 경보음을 발생시킨다.In this state, the first motor 75 includes the first resonance sound generation unit 72 and the second resonance sound generation unit so that the first noise generation unit 74 repeatedly descends along the downhill passages 72a and 73a, respectively. Change the top and bottom position of (73). Therefore, the first noise generating unit 74 collides with the collision surface portions 72b and 73b several times, thereby generating an alarm sound.

이때, 제1 모터(75)는 제1 소음발생부(74)가 소음을 반복적으로 발생시키도록 제1 공명음 발생부(72) 및 제2 공명음 발생부(73)의 상,하 위치를 기 설정된 시간 간격으로 바꾼다.At this time, the first motor 75 adjusts the upper and lower positions of the first resonant sound generator 72 and the second resonant sound generator 73 so that the first noise generator 74 repeatedly generates noise. It changes at preset time intervals.

즉, 제어부(30)는 제1 소음발생부(74)가 내리막 통로(72a,73a)의 상단에서 하단에 도달하는 시간에 맞춰서 제1 모터(75)의 모터축을 약 180도 각도로 회전시켜 제1 공명음 발생부(72) 및 제2 공명음 발생부(73)의 상,하 위치를 바꾸는 것이다.That is, the control unit 30 rotates the motor shaft of the first motor 75 at an angle of about 180 degrees in accordance with the time when the first noise generating unit 74 reaches the lower end of the downhill passages 72a and 73a. It is to change the upper and lower positions of the 1 resonance sound generating unit 72 and the second resonance sound generating unit 73.

예를 들어 제1 소음발생부(74)가 내리막통로의 상단에서 하단에 도달하는 시간이 5초 정도라면 제어부(30)는 5초 간격으로 제1 모터(75)의 모터축을 180도 각도로 회전시킨다.For example, if the time for the first noise generator 74 to reach the lower end of the downhill passage is about 5 seconds, the control unit 30 rotates the motor shaft of the first motor 75 at an angle of 180 degrees every 5 seconds. Let it.

이와 같이 제1 청각적 경보부(70)가 경보음을 발생시킴에 따라, 발열이 있는 사람과 주변 사람들이 경각심을 느끼게 할 수 있어, 발열이 있는 사람이 자리를 떠나 병원으로 가도록 유도 하는 등의 조치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고, 주변 사람들에게는 발열이 있는 사람과 거리를 두도록 유도할 수 있는 등 전염병 확산을 예방할 수 있다.In this way, as the first audible alarm unit 70 generates an alarm sound, measures such as inducing a person with fever to leave the seat and go to the hospital can be made to be alert to a person with fever and those around him. The spread of infectious diseases can be prevented, such as inducing people around them to distance themselves from those who have fever.

제2 청각적 경보부(80)는 경보음의 크기를 보다 증대시켜 보다 확실한 조치가 이루어 질 수 있도록 유도하는 구성이다.The second audible alarm unit 80 is configured to induce a more reliable measure by increasing the volume of the alarm sound.

제2 청각적 경보부(80)는 키오스크 단말(10)에 설치되고, 비접촉식 체온 측정부(60)가 측정한 사용자의 체온이 37.5 ℃ 이상일 경우에만 제1 청각적 경보부(70)(90)와 함께 경보음을 발생시켜 사용자와 주변에 위치한 사람들에게 알리는 기능을 수행한다.The second audible alarm unit 80 is installed in the kiosk terminal 10, together with the first audible alarm unit 70, 90 only when the user's body temperature measured by the non-contact body temperature measuring unit 60 is 37.5 °C or higher. It generates an alarm sound and notifies the user and the people in the vicinity.

이를 위해 제2 청각적 경보부(8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To this end, as shown in FIG. 5, the second audible alarm unit 80

키오스크 단말(10)의 상측에 설치되는 제2 케이스(81), 지지대(82), 신축부(83), 압축부(84), 압축용 실린더(85), 팽창용 실린더(86), 제2 소음발생부(87)를 포함할 수 있다.The second case 81 installed on the upper side of the kiosk terminal 10, the support 82, the expansion and contraction 83, the compression unit 84, the compression cylinder 85, the expansion cylinder 86, the second It may include a noise generator 87.

지지대(82)는 제2 케이스(81)의 내부공간에 설치되며, 일측면에 신축부(83)가 설치된다.The support 82 is installed in the inner space of the second case 81, and an extension part 83 is installed on one side thereof.

신축부(83)는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개의 산부(831)와 골부(832)가 연속적으로 교차형성되어 압축 또는 팽창될 수 있다.The elastic part 83 may be compressed or expanded by successively cross-forming a plurality of peaks 831 and valleys 832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압축부(84)는 신축부(83)를 압축시키기 위해 종점에 위치한 산부(831)에 접촉되며, 대략 'ㄷ'자 단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compression unit 84 is in contact with the peak portion 831 located at the end point in order to compress the elastic portion 83, and may be formed in an approximately'U' cross-sectional shape.

압축용 실린더(85)는 압축부(84)를 전진 또는 후진 시킬 수 있도록 리니어 실린더 또는 로드레스 실린더로 형성될 수 있으며, 피스톤이 압축부(84)에 결합된다.The compression cylinder 85 may be formed as a linear cylinder or a rodless cylinder so as to move the compression unit 84 forward or backward, and a piston is coupled to the compression unit 84.

압축용 실린더(85)는 압축부(84)가 종점에 위치된 산부(831)에 접촉된 상태를 유지시키고, 비접촉식 체온 측정부(60)가 측정한 사용자의 체온이 약 37.5 ℃ 이상일 경우 신축부(83)가 압축되도록 압축부(84)를 후진시킨다.The compression cylinder 85 maintains a state in which the compression part 84 is in contact with the mountain part 831 located at the end point, and when the user's body temperature measured by the non-contact body temperature measuring part 60 is about 37.5 ℃ or more, the elastic part The compression unit 84 is moved backward so that 83 is compressed.

팽창용 실린더(86)는 지지대(82)의 상면에 설치된다.The expansion cylinder 86 is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82.

팽창용 실린더(86)는 유압실린더로 형성될 수 있으며, 피스톤이 압축용 실린더(85)에 결합된다.The expansion cylinder 86 may be formed as a hydraulic cylinder, and a piston is coupled to the compression cylinder 85.

팽창용 실린더(86)는 압축용 실린더(85)가 압축부(84)를 후진시킴에 따라 신축부(83)가 압축된 경우, 신축부(83)가 다시 팽창되도록 압축용 실린더(85)를 상승시킨다.In the expansion cylinder 86, when the expansion and contraction 83 is compressed as the compression cylinder 85 moves the compression part 84 backward, the compression cylinder 85 is re-expanded so that the expansion and contraction 83 is expanded again. Raise.

제2 소음발생부(87)는 산부(831)들의 사이 공간 마다 복수개로 채움되며 알맹이 형상으로 형성된다.The second noise generating unit 87 is filled in a plurality of spaces between the ridges 831 and is formed in a grain shape.

제2 소음발생부(87)는 신축부(83)가 팽창될 시 요동되면서 경보음을 발생시킨다.The second noise generating unit 87 oscillates when the expansion and contraction 83 is inflated and generates an alarm sound.

뿐만 아니라, 제2 소음발생부(87)의 일부는 서로 충돌되면서 경보음을 발생시키고, 다른 일부는 산부(831)에 충돌되면서 경보음을 발생시킨다.In addition, some of the second noise generating units 87 collide with each other to generate an alarm sound, and other parts collide with the mountain unit 831 to generate an alarm sound.

이때, 신축부(83) 및 제2 소음발생부(87)는 소음을 크게 발생시키도록 금속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expansion and contraction unit 83 and the second noise generating unit 87 may be formed of a metal material to generate a large noise.

그리고, 제어부(30)는 팽창용 실린더(86)와 압축용 실린더(85)를 반복적으로 순차 되게 작동시켜 제2 소음발생부(87)가 지속적으로 경보음을 발생시키도록 한다.In addition, the control unit 30 repeatedly operates the expansion cylinder 86 and the compression cylinder 85 in sequential order so that the second noise generating unit 87 continuously generates an alarm sound.

구체적으로, 제어부(30)는 팽창용 실린더(86)가 압축용 실린더(85)를 상승시킨 이후에, 압축용 실린더(85)가 압축부(84)를 전진시키도록 제어하고, 신축부(83)의 신축작용이 끝나 원 상태로 복원되는 시점에 맞춰 팽창용 실린더(86)가 압축용 실린더(85)를 하강시켜 압축부(84)가 다시 종점에 위치된 산부(831)에 접촉되도록 제어하며, 다시 압축용 실린더(85)가 압축부(84)를 후진시키고 팽창용 실린더(86)가 압축용 실린더(85)를 상승시키도록 제어한다.Specifically, the control unit 30 controls the compression cylinder 85 to advance the compression unit 84 after the expansion cylinder 86 raises the compression cylinder 85, and the expansion and contraction unit 83 The expansion cylinder 86 lowers the compression cylinder 85 at the time when the expansion and contraction of) is finished and is restored to its original state, and the compression unit 84 is controlled to contact the ridge 831 located at the end point again. Then, the compression cylinder 85 is controlled to move the compression unit 84 backward and the expansion cylinder 86 to raise the compression cylinder 85.

이로써, 제2 소음발생부(87)가 서로 충돌되거나 산부(831)에 충돌되면서 경보음을 발생시키게 된다.As a result, the second noise generating units 87 collide with each other or the mountain portion 831 to generate an alarm sound.

이때, 신축부(83)의 신축작용이 끝나는 원 상태로 복원되는 시점은 신축부(83)의 길이에 따라 상이하다.At this time, the time point at which the elastic part 83 is restored to its original state at which the stretching action ends is different depending on the length of the elastic part 83.

예를 들어 신축부(83)의 신축작용이 끝나는 시간이 5초 라면 제어부(30)는 5초 후에 압축용 실린더(85)와 팽창용 실린더(86)를 작동시킨다.For example, if the time that the stretching action of the stretching part 83 is completed is 5 seconds, the controller 30 operates the compression cylinder 85 and the expansion cylinder 86 after 5 seconds.

또한, 제어부(30)는 제1 모터(75)를 작동시킨 시점을 기준으로 약 5초 내지 10초 이후에 압축용 실린더(85)와 팽창용 실린더(86)를 순차적으로 작동시킨다.In addition, the control unit 30 sequentially operates the compression cylinder 85 and the expansion cylinder 86 after about 5 to 10 seconds from the time when the first motor 75 is operated.

따라서, 제1 청각적 경보부(70)와 제2 청각적 경보부(80)가 함께 경보음을 발생시킨다.Accordingly, the first audible alarm unit 70 and the second audible alarm unit 80 together generate an alarm sound.

이와 같은 경우, 제1 청각적 경보부(70)에 의해 발생되는 경보음과 제2 청각적 경보부(80)에 의해 발생되는 경보음의 크기가 합이되어 발열이 있는 사람과 주변 사람들에게 확실하게 경보할 수 있다. 따라서, 전염병의 확산을 보다 효율적으로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In this case, the amount of the alarm sound generated by the first audible alarm unit 70 and the alarm sound generated by the second audible alarm unit 80 are summed to reliably alert a person who has a fever and those around him. can do. Therefore, it is possible to more efficiently prevent the spread of infectious diseases.

후각적 경보부(90)는 비접촉식 체온 측정부(60)가 측정한 사용자의 체온이 37.5 ℃ 이상일 경우에만 일정 향을 분사하여 후각적으로 경보하는 구성이다.The olfactory alarm unit 90 is configured to emit a certain scent only when the user's body temperature measured by the non-contact type body temperature measurement unit 60 is 37.5° C. or higher to give an olfactory alarm.

즉, 후각적 경보부(90)는 청각이 좋지 아니한 사용자 또는 키오크스 단말(10)로부터 일정거리 떨어져 있어 제1 청각적 경보부(70) 및 제2 청각적 경보부(80)에서 발생되는 경보음을 듣지 못하는 주변 사람들에게 알려, 보다 많은 사람들에게 발열 사실을 확실한 조치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That is, the olfactory alarm unit 90 does not hear the alarm sound generated by the first audible alarm unit 70 and the second audible alarm unit 80 because it is a certain distance away from the user with poor hearing or the kiosk terminal 10. It performs a function of notifying those around you who are unable to do so, so that more people can be sure of the fact of the fever.

이를 위해 후각적 경보부(90)는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키오스크 단말(10)의 상측에 배치되는 하우징(91), 하우징(91)의 내부공간에 수용되며, 액상의 향 발생물질(921)이 저장된 복수개의 저장탱크(92), 저장탱크(92)에 각각 열견되고 향 발생물질(921)을 펌핑하는 복수개의 펌프(93), 분사홀(91a)과 펌프(93)에 각각 연결되며 펌프(93)에 의해 펌핑된 향 발생물질(921)을 하우징(91)의 외부로 분사하는 복수개의 분사노즐(94), 분사노즐(94)에 의해 분사되는 향 발생물질(921)을 주변으로 확산시키도록 하우징(91)을 그네 운동시키는 확산부(95)를 포함할 수 있다.To this end, the olfactory alarm unit 90 is accommodated in the inner space of the housing 91 and the housing 91 disposed on the upper side of the kiosk terminal 10, as shown in Figs. In the plurality of storage tanks 92 in which the substance 921 is stored, the plurality of pumps 93, which are respectively opened to the storage tank 92 and pump the fragrance-generating material 921, the injection hole 91a, and the pump 93 A plurality of spray nozzles 94 that are respectively connected and spray the fragrance-generating material 921 pumped by the pump 93 to the outside of the housing 91, and the fragrance-generating material 921 sprayed by the spray nozzle 94 It may include a diffusion unit 95 for swinging the housing 91 so as to diffuse around it.

이때, 제어부(30)는 제1 청각적 경보부(70)와 후각적 경보부(90)를 동시에 작동시킨 후 약 5초 내지 10초 이후에 제2 청각적 경보부(80)를 작동시키도록 프로그래밍 된다.At this time, the control unit 30 is programmed to operate the second audible alarm unit 80 after about 5 to 10 seconds after simultaneously operating the first audible alarm unit 70 and the olfactory alarm unit 90.

향 발생물질(921)은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다양한 종류의 향수액 중 어느 하나로 적용되거나 또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방향제액 중 어느 하나로 적용될 수 있다.The fragrance generating material 921 may be applied to any one of various types of perfume liquids that are generally used, or may be applied to any of the perfume liquids that are generally used.

향 발생물질(921)은 경각심을 유발할 수 있도록 민트향을 갖는 것으로 적용될 수 있다.The fragrance-generating material 921 may be applied to have a mint scent so as to induce alertness.

분사노즐(94)은 향 발생물질(921)을 미립자 형태로 분무할 수 있는 제품으로 적용될 수 있다.The spray nozzle 94 may be applied as a product capable of spraying the fragrance-generating material 921 in the form of fine particles.

분사노즐(94)은 하우징(91)의 전면과 양측면에 설치되는 바, 향 발생물질(921)을 다양한 방향으로 분무하여 사용자 뿐만 아니라 주변의 많은 사람들에게 사용자의 발열 사실을 알릴 수 있다.The spray nozzle 94 is installed on the front and both sides of the housing 91, and sprays the fragrance-generating material 921 in various directions to notify not only the user but also many people around the user about the heat generation.

확산부(95)는 향 발생물질(921)을 주변으로 확산시키도록 하우징(91)을 그네 운동시키는 구성이다.The diffusion unit 95 is configured to swing the housing 91 to diffuse the fragrance-generating material 921 around it.

이를 위해 확산부(95)는 키오스크 단말(10)의 상면에 서로 대향되도록 배치되는 한 쌍의 지주부(951), 지주부(951)에 그네 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한 쌍의 그네줄(952), 일측과 타측이 그네줄(952)에 각각 고정되고 하우징(91)의 하측 일부분이 수용 및 고정되는 고정박스(953), 고정박스(953)를 타격하는 부분이 라운딩처리된 타격부(954), 타격부(954)가 고정박스(953)를 타격하도록 타격부(954)를 기 설정된 시간 간격으로 회전시키는 제2 모터(955)를 포함할 수 있다.To this end, the diffusion unit 95 includes a pair of holding portions 951 arranged to face each other on the upper surface of the kiosk terminal 10, a pair of swing strings 952 coupled to the holding portion 951 to enable swing movement, One side and the other side are fixed to the swing string 952, respectively, and a fixed box 953 in which a portion of the lower side of the housing 91 is received and fixed, a hitting part 954 with a rounded part hitting the fixed box 953, and hitting It may include a second motor 955 that rotates the striking part 954 at preset time intervals so that the part 954 strikes the fixed box 953.

지주부(951)와 그네줄(952)은 놀이터에 마련된 그네와 동일한 원리로 고정박스(953) 및 하우징(91)을 그네 운동시킬 수 있다.The holding part 951 and the swing rope 952 may swing the fixed box 953 and the housing 91 on the same principle as the swing provided in the playground.

타격부(954)는 고정박스(953)와 상,하 대향되도록 배치된다.The striking part 954 is arranged to face the fixing box 953 up and down.

타격부(954)는 고무나 실리콘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타격부(954)와 고정박스(953)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The striking part 954 may be formed of a rubber or silicone material. Therefore, it is possible to prevent damage to the hitting part 954 and the fixing box 953.

제2 모터(955)는 키오스크 단말(10)의 상면에 고정되며 고정박스(953)의 하측에 배치된다.The second motor 955 is fix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kiosk terminal 10 and disposed below the fixing box 953.

제2 모터(955)는 모터축이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되는 AC 모터 또는 DC 모터로 형성될 수 있다.The second motor 955 may be formed of an AC motor or a DC motor in which a motor shaft is rotated in a forward or reverse direction.

제어부(30)는 제2 모터(955)가 기 설정된 시간 간격으로 타격부(954)를 1회전 시키도록 제어한다.The control unit 30 controls the second motor 955 to rotate the hitting unit 954 once at a preset time interval.

타격부(954)는 키오스크 단말(10)의 상면에 대해 직각을 이루는 상태를 유지하며, 제2 모터(955)는 비접촉식 체온 측정부(60)가 측정한 사용자의 체온이 37.5 ℃ 이상일 경우 타격부(954)를 360도 회전시키고, 타격부(954)는 회전에 의해 고정박스(953)를 타격하여 고정박스(953) 및 하우징(91)을 그네 운동시킨다.The striking part 954 maintains a state perpendicular to the upper surface of the kiosk terminal 10, and the second motor 955 is the striking part when the user's body temperature measured by the non-contact body temperature measuring part 60 is 37.5 °C or higher. The 954 is rotated 360 degrees, and the striking part 954 strikes the fixing box 953 by rotation to swing the fixing box 953 and the housing 91.

따라서, 분사노즐(94)에 의해 분무되는 향 발생물질(921)이 키오스크 단말(10)의 전방과 양측으로 확산되어 보다 많은 사람들에게 사용자의 발열사실을 알리고 경각심을 갖도록 할 수 있다.Therefore, the fragrance generating material 921 sprayed by the injection nozzle 94 is diffused to the front and both sides of the kiosk terminal 10 to inform more people about the user's heat and to be alert.

이때, 제어부(30)는 고정박스(953)의 그네 운동이 멈춰지는 시점에 맞춰 제2 모터(955)가 타격부(954)를 1회전시키도록 제어한다.At this time, the control unit 30 controls the second motor 955 to rotate the striking unit 954 once in accordance with the time point at which the swing movement of the fixing box 953 is stopped.

예를 들어, 고정박스(953)의 그네 운동이 멈춰지는 시간이 약 5초라면 제어부(30)는 5초 후에 제2 모터(955)가 타격부(954)를 다시 1회전시키도록 제어한다.For example, if the time at which the swing movement of the fixed box 953 is stopped is about 5 seconds, the controller 30 controls the second motor 955 to rotate the striking unit 954 once again after 5 seconds.

부가적으로, 확산부(95)는 하우징(91)의 상면에 설치되며 향 발생물질(921)을 보다 멀리 확신시키기 위한 송풍팬(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 있다.Additionally, the diffusion unit 95 is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housing 91 and may further include a blowing fan (not shown) to assure the fragrance generating material 921 further away.

송풍팬은 하우징(91)의 전방과 양측으로 분무되는 향 발생물질(921)을 각각 확산시킬 수 있도록 총 3개로 적용될 수 있다.A total of three blowing fans may be applied to diffuse the fragrance generating substances 921 sprayed to the front and both sides of the housing 91, respectively.

이때, 제어부(30)는 키오스크 단말(10)의 전방에서 발열이 있는 사용자가 이탈하여 비접촉식 체온 측정부(60)가 체온을 측정하지 아니할 경우 제1 청각적 경보부(70)와 제2 청각적 경보부(80) 및 후각적 경보부(90)의 작동을 정지시키도록 프로그래밍 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control unit 30 is the first audible alarm unit 70 and the second audible alarm unit when the non-contact body temperature measurement unit 60 does not measure the body temperature due to the departure of the user with heat from the front of the kiosk terminal 10 80 and can be programmed to stop the operation of the olfactory alarm 90.

상술된 실시예들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상술된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된 실시예들이 갖는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for illustrative purposes only, and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belong can easily transform into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idea or essential features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You can understand. Therefor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illustrative and non-limiting in all respects. For example, each component described as a single type may be implemented in a distributed manner, and similarly, components described as being distributed may also be implemented in a combined form.

본 명세서를 통해 보호받고자 하는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e scope to be protected through the present specification is indicated by the claims to be described later rather tha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should be interpreted as including all changes or modified form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the concept of equivalents thereof. .

1 : 키오스크 10 : 키오스크 단말
11 : 디스플레이부 111 : 수강료결제 선택아이콘
112 : 출석체크 선택아이콘 13 : 인식수단
14 : 기초판 15 : 승강실린더
16,82 : 지지대 17 : 상승 버튼
18 : 하강 버튼 20 : 카드 인식부
30 : 제어부 40 : 출석 처리 실행부
41 : 출석 관리 서버 50 : 통신부
60 : 비접촉식 체온 측정부 70 : 제1 청각적 경보부
71 : 제1 케이스 711 : 지지블록
72 : 제1 공명음 발생부 72a,73a : 내리막 통로
72b,73b : 충돌면부 721,731 : 덮개
73 : 제2 공명음 발생부 74 : 제1 소음발생부
75 : 제1 모터 80 : 제2 청각적 경보부
81 : 제2 케이스 83 : 신축부
831 : 산부 832 : 골부
84 : 압축부 85 : 압축용 실린더
86 : 팽창용 실린더 87 : 제2 소음발생부
90 : 후각적 경보부 91 : 하우징
91a : 분사홀 92 : 저장탱크
921 : 향 발생물질 93 : 펌프
94 : 분사노즐 95 : 확산부
951 : 지주부 952 : 그네줄
953 : 고정박스 954 : 타격부
955 : 제2 모터
1: kiosk 10: kiosk terminal
11: display unit 111: tuition payment selection icon
112: attendance check selection icon 13: recognition means
14: base plate 15: lifting cylinder
16,82: support 17: up button
18: down button 20: card recognition unit
30: control unit 40: attendance processing execution unit
41: attendance management server 50: communication department
60: non-contact body temperature measurement unit 70: first audible alarm unit
71: first case 711: support block
72: first resonance sound generating unit 72a, 73a: downhill passage
72b,73b: impact surface 721,731: cover
73: second resonance sound generation unit 74: first noise generation unit
75: first motor 80: second audible alarm unit
81: second case 83: expansion part
831: maternal 832: bone
84: compression unit 85: compression cylinder
86: expansion cylinder 87: second noise generator
90: olfactory alarm unit 91: housing
91a: injection hole 92: storage tank
921: fragrance generating substance 93: pump
94: spray nozzle 95: diffusion
951: holding part 952: swing rope
953: fixed box 954: hitting part
955: second motor

Claims (2)

사용자에게 수강료결제 수단을 제공하기 위한 수강료결제 선택아이콘과 출석인증 수단을 제공하기 위한 출석체크 선택아이콘을 디스플레이하는 터치스크린 타입의 디스플레이부 및 신용카드 또는 체크카드를 인식하는 인식수단을 포함하는 키오스크 단말,
상기 인식수단에 투입된 신용카드 또는 체크카드에 구비된 전자칩 정보나 마그네틱 정보를 획득하는 카드 인식부,
사용자가 상기 수강료결제 선택아이콘을 누르고, 상기 카드 인식부가 전자칩 정보를 획득함에 따라 사용자의 카드결제 요청을 처리하는 제어부,
사용자가 상기 출석체크 선택아이콘을 누름에 따라 사용자에 의해 출석 확인 신호가 입력되면 출석 관리 서버에 접속하여 기저장된 출석부 데이터와 비교하여 수업에 대한 출석 처리를 실행하는 출석 처리 실행부를 포함하고,
상기 키오스크 단말은,
지면에 고정되는 기초판,
상기 기초판의 상면에 결합되는 승강실린더,
상기 키오스크 단말의 저면에 결합되고 상기 승강실린더의 작동에 의해 높낮이가 조절되는 지지대,
상기 키오스크 단말의 상측과 하측에 각각 배치되며 상기 지지대가 상승 또는 하강하도록 상기 승강실린더의 작동을 제어하는 상승 버튼 및 하강 버튼,
비콘 신호를 전송하고, 강의실에 위치하고 상기 출석 처리 실행부에 의해 출석 처리가 완료된 사용자의 휴대 단말기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비콘 신호를 일정 범위 내의 상기 휴대 단말기로 기 설정된 시간 간격을 갖고 주기적으로 전송하고,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가 강의시간 동안 강의실에 있었는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하여 비콘 신호를 일정 범위 내의 휴대 단말기들로 전송하도록 통신부를 제어하면서 기 설정된 시간동안 휴대 단말기로부터 응답 신호가 수신되는지 여부를 파악하고, 응답 신호가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상기 통신부로 수신되었을 때는 휴대 단말기의 사용자가 강의실 내에 존재하며 수업을 들은 것으로 간주하여 출석을 인정하고, 상기 응답 신호가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상기 통신부를 통해 수신되지 않을 경우에는 상기 휴대 단말기의 사용자가 강의실을 벗어나서 수업을 듣지 않은 것으로 간주하여 출석을 인정하지 않으며,
상기 키오스크 단말에 설치되고 전방에 위치한 사용자의 체온을 측정하는 비접촉식 체온 측정부,
상기 키오스크 단말에 설치되고 상기 비접촉식 체온 측정부가 측정한 인체의 체온이 기 설정된 온도 이상일 경우 소음을 발생시켜 경보하는 제1 청각적 경보부,
상기 키오스크 단말에 설치되고 상기 비접촉식 체온 측정부가 측정한 인체의 체온이 기 설정된 온도 이상을 경우 소음을 발생시키되, 상기 제1 청각적 경보부가 작동하고 5초 내지 10초 이후에 작동되어 소음을 증대시키는 제2 청각적 경보부,
상기 키오스크 단말에 설치되고 상기 비접촉식 체온 측정부가 측정한 인체의 체온이 기 설정된 온도 이상을 경우 향을 분사하여 경보하는 후각적 경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청각적 경보부는,
상,하 방향으로 서로 대향되도록 배치되고 내부에 파형형상의 내리막 통로가 형성되며, 상기 내리막 통로 상에 상,하 방향으로 서로 대각선상에 위치되는 복수개의 충돌면부가 형성된 제1,2 공명음 발생부,
상기 제1,2 공명음 발생부의 내리막 통로에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수용되며, 상기 내리막 통로를 따라 하강하면서 상기 충돌면부에 충돌되어 소음을 발생시키는 제1 소음발생부,
상측과 하측에 상기 제1,2 공명음 발생부가 각각 결합되며, 상기 제1 소음발생부가 반복적으로 소음을 발생시키도록 상기 제1,2 공명음 발생부의 상,하 위치를 기 설정된 시간 간격으로 바꾸는 제1 모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청각적 경보부는,
지지대,
상기 지지대의 일측에 설치되며, 길이방향을 따라 서로 연속적으로 교차되는 형태로 연결되는 복수개의 산부와 골부가 형성되어 압축 또는 팽창 가능한 신축부,
종점에 위치된 산부에 접촉되는 압축부,
상기 지지대의 상면에 설치되고 압축부가 상기 종점에 위치된 산부에 접촉된 상태를 유지시키고, 상기 비접촉식 체온 측정부가 측정한 사용자의 체온이 기 설정된 온도 이상을 경우 상기 신축부가 압축되도록 상기 압축부를 후진 시키는 압축용 실린더,
상기 지지대의 상면에 설치되고 상기 압축용 실린더가 상기 압축부를 후진시킬 경우, 상기 신축부가 팽창되도록 상기 압축용 실린더를 상승시키는 팽창용 실린더,
상기 산부의 사이 공간에 복수개로 채움되며 알맹이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신축부가 팽창시 요동되면서 소음을 발생시키는 제2 소음발생부를 포함하며,
상기 후각적 경보부는,
상기 키오스크 단말에 설치되고 전면과 양측면에 복수개의 분사홀이 각각 형성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공간에 수용되며, 액상의 향 발생물질이 저장된 복수개의 저장탱크,
상기 저장탱크에 각각 연결되고 향 발생물질을 펌핑하는 복수개의 펌프,
상기 분사홀에 각각 고정되며, 상기 펌프에 의해 펌핑된 향 발생물질을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분사하는 복수개의 분사노즐,
상기 향 발생물질을 주변으로 확산시키도록 상기 하우징을 그네 운동시키는 확산부를 포함하고,
상기 확산부는,
상기 키오스크 단말의 상면에 서로 대향되도록 배치되는 한 쌍의 지주부,
상기 지주부에 그네 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한 쌍의 그네줄,
일측과 타측이 상기 그네줄에 각각 고정되고 상기 하우징을 고정하는 고정박스,
상기 고정박스와 상,하 대향되도록 배치되는 타격부,
상기 타격부가 고정박스를 타격하여 상기 하우징이 그네운동 하도록 상기 타격부를 기 설정된 시간 간격으로 회전시키는 제2 모터를 포함하는 키오스크.
A kiosk terminal including a touch screen type display that displays a tuition payment selection icon for providing a tuition payment means to a user and an attendance check selection icon for providing an attendance authentication means, and a recognition means for recognizing a credit card or a check card ,
A card recognition unit for obtaining electronic chip information or magnetic information provided in the credit card or debit card inserted into the recognition means,
A control unit that processes a user's card payment request as the user presses the tuition payment selection icon and the card recognition unit acquires electronic chip information,
When the user presses the attendance check selection icon and an attendance confirmation signal is input by the user, it accesses an attendance management server and includes an attendance processing execution unit for executing attendance processing for a class by comparing it with pre-stored attendance book data,
The kiosk terminal,
Base plate fixed to the ground,
An elevation cylinder coupl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plate,
A support that is coupled to the bottom of the kiosk terminal and whose height is adjusted by the operation of the lifting cylinder,
An up button and a down button respectively disposed on the upper side and the lower side of the kiosk terminal and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lifting cylinder so that the support rod rises or falls,
Further comprising a communication unit that transmits a beacon signal and transmits and receives data to and from a mobile terminal of a user who is located in the lecture room and has completed attendance processing by the attendance processing execution unit,
The control unit periodically transmits a beacon signal to the portable terminal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at a preset time interval,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communication unit to transmit a beacon signal to mobile terminals within a certain range in order to determine whether the user has been in the lecture room during the lecture time, and determines whether a response signal is received from the mobile terminal for a preset time. , When the response signal is received by the communication unit for a preset time, the user of the mobile terminal is present in the classroom and attendance is deemed to have been taken, and the response signal is not received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for a preset time. , Attendance is not recognized as the user of the mobile terminal is deemed to have not taken the class outside the classroom,
A non-contact body temperature measuring unit installed in the kiosk terminal and measuring the body temperature of a user located in front,
A first audible alarm unit that is installed in the kiosk terminal and generates a noise when the body temperature of the human body measured by the non-contact body temperature measuring unit is higher than a preset temperature,
It is installed in the kiosk terminal and generates noise when the body temperature of the human body measured by the non-contact body temperature measurement unit is higher than a preset temperature, but is operated 5 to 10 seconds after the first audible alarm unit is activated to increase the noise. A second audible alarm unit,
An olfactory alarm unit installed in the kiosk terminal and configured to alert by spraying incense when the body temperature of the human body measured by the non-contact type body temperature measurement unit exceeds a preset temperature,
The first audible alarm unit,
First and second resonant sounds are generated, arranged to face each other in the up and down directions, and a downhill passage in a waveform shape is formed inside, and a plurality of collision surfaces located diagonally on each other in the up and down directions are formed on the downhill passage. part,
A first noise generator that is accommodated in at least one or more downhill passages of the first and second resonance sound generators, and collides with the collision surface while descending along the downhill passage to generate noise,
The first and second resonance sound generators are respectively coupled to the upper and lower sides, and the upper and lower positions of the first and second resonance sound generators are changed at a preset time interval so that the first and second resonance sound generators repeatedly generate noise. Including a first motor,
The second audible alarm unit,
support fixture,
A plurality of ridges and valleys that are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support and connected in a form that continuously cross each other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Compression part contacting the mountain part located at the end point,
It is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and keeps the compression unit in contact with the mountain portion located at the end point, and moves the compression unit backward so that the elastic unit is compressed when the user's body temperature measured by the non-contact body temperature measurement unit is higher than a preset temperature. Cylinder for compression,
An expansion cylinder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and raising the compression cylinder so that the expansion and contraction expands when the compression cylinder moves the compression unit backward,
A second noise generator that is filled in a plurality of spaces between the ridges and is formed in a grain shape, and is vibrated when the elastic part is expanded and generates noise,
The olfactory alarm unit,
A housing installed on the kiosk terminal and having a plurality of injection holes formed on the front and both sides, respectively,
A plurality of storage tanks accommodated in the inner space of the housing and storing liquid fragrance-generating substances,
A plurality of pumps respectively connected to the storage tanks and pumping fragrance-generating substances,
A plurality of spray nozzles each fixed to the spray hole and spraying the fragrance generating material pumped by the pump to the outside of the housing,
Includes a diffusion unit for swinging the housing so as to diffuse the fragrance generating material around,
The diffusion unit,
A pair of holding portions disposed to face each other on the upper surface of the kiosk terminal,
A pair of swing ropes coupled to the support to enable swing movement,
A fixing box having one side and the other side fixed to the swing row and fixing the housing,
A striking portion disposed to face the fixing box up and down,
A kiosk comprising a second motor for rotating the striking part at preset time intervals so that the striking part strikes the fixed box so that the housing swings.
삭제delete
KR1020200137248A 2020-10-22 2020-10-22 Kiosk KR10219106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7248A KR102191069B1 (en) 2020-10-22 2020-10-22 Kiosk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7248A KR102191069B1 (en) 2020-10-22 2020-10-22 Kiosk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91069B1 true KR102191069B1 (en) 2020-12-14

Family

ID=737798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37248A KR102191069B1 (en) 2020-10-22 2020-10-22 Kiosk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91069B1 (en)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00104A (en) * 2004-06-28 2006-01-06 정상엽 Student-watch-system linked by institute-management-system
KR20070097666A (en) * 2006-03-28 2007-10-05 주식회사 웰파크 A parking control system for a nonstop opening type of the gate
KR20100001922A (en) * 2008-06-27 2010-01-06 김별희 Key board temperature awareness system
KR102137505B1 (en) 2018-09-14 2020-07-24 주식회사 더베스트페이 Method for paying cost using kiosk
KR20200112202A (en) * 2019-03-21 2020-10-05 심정현 Mobile phone case card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00104A (en) * 2004-06-28 2006-01-06 정상엽 Student-watch-system linked by institute-management-system
KR20070097666A (en) * 2006-03-28 2007-10-05 주식회사 웰파크 A parking control system for a nonstop opening type of the gate
KR20100001922A (en) * 2008-06-27 2010-01-06 김별희 Key board temperature awareness system
KR102137505B1 (en) 2018-09-14 2020-07-24 주식회사 더베스트페이 Method for paying cost using kiosk
KR20200112202A (en) * 2019-03-21 2020-10-05 심정현 Mobile phone case card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360572B2 (en) Method and system for the detection and augmentation of tactile interactions in augmented reality
Ofli et al. Design and evaluation of an interactive exercise coaching system for older adults: lessons learned
Samet et al. Face recognition-based mobile automatic classroom attendance management system
US8458032B2 (en) System for selectively communicating promotional information to a person
JP4642287B2 (en) Autonomous mobile robot
KR102117708B1 (en) System for managing fitness
US11017654B2 (en) Method and system for motivating and monitoring hand washing in a food service or related environment
EP2557507A3 (en) User verification method and user verification system
KR102191069B1 (en) Kiosk
JP3231594U (en) Admission management device
EP3473970A1 (en) Dart game apparatus and dart game system with display unit
EP3967968A1 (en) Dart game apparatus and dart game system outputting event effect
CN109378067A (en) Terminal control method and healthy and safe educational management all-in-one machine
CN106251496A (en) System used by a kind of orange umbrella
KR100960970B1 (en) Electronic apparatus with module providing haptic feedback using impulse
CN209086961U (en) A kind of information kiosk and its system for human-computer interaction
KR102137262B1 (en) Fitness gym system
AU2020218207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wireless acquisition and presentation of local spatial information
CN208433024U (en) A kind of hotel occupancy machine
KR102522582B1 (en) Golf practice device and control method of golf practice device using AI
US20240120066A1 (en) Interactive therapy booth
KR102202803B1 (en) Artificial intelligence exercise service system using smart trampolin
KR102404890B1 (en) Drunkometer
EP1697881A1 (en) Display system and method for enhancing a retail environment
CN116740873B (en) Measurement detection system and method based on optical sensing technolog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