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90937B1 - 선박 - Google Patents

선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90937B1
KR102190937B1 KR1020150186576A KR20150186576A KR102190937B1 KR 102190937 B1 KR102190937 B1 KR 102190937B1 KR 1020150186576 A KR1020150186576 A KR 1020150186576A KR 20150186576 A KR20150186576 A KR 20150186576A KR 102190937 B1 KR102190937 B1 KR 1021909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el cell
unit
supplied
steam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865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76925A (ko
Inventor
오태영
Original Assignee
한국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조선해양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865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90937B1/ko
Publication of KR201700769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769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909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909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4Auxiliary arrangements, e.g. for control of pressure or for circulation of fluids
    • H01M8/04082Arrangements for control of reactant parameters, e.g. pressure or concentration
    • H01M8/04089Arrangements for control of reactant parameters, e.g. pressure or concentration of gaseous reacta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JAUXILIARIES ON VESSELS
    • B63J3/00Driving of auxiliari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GHOT GAS OR COMBUSTION-PRODUCT POSITIVE-DISPLACEMENT ENGINE PLANTS; USE OF WASTE HEAT OF COMBUSTION ENG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2G5/00Profiting from waste heat of combustion eng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2G5/02Profiting from waste heat of exhaust gas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4Auxiliary arrangements, e.g. for control of pressure or for circulation of fluids
    • H01M8/04007Auxiliary arrangements, e.g. for control of pressure or for circulation of fluids related to heat exchang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4Auxiliary arrangements, e.g. for control of pressure or for circulation of fluids
    • H01M8/04082Arrangements for control of reactant parameters, e.g. pressure or concentration
    • H01M8/04089Arrangements for control of reactant parameters, e.g. pressure or concentration of gaseous reactants
    • H01M8/04119Arrangements for control of reactant parameters, e.g. pressure or concentration of gaseous reactants with simultaneous supply or evacuation of electrolyte; Humidifying or dehumidifying
    • H01M8/04156Arrangements for control of reactant parameters, e.g. pressure or concentration of gaseous reactants with simultaneous supply or evacuation of electrolyte; Humidifying or dehumidifying with product water removal
    • H01M8/04164Arrangements for control of reactant parameters, e.g. pressure or concentration of gaseous reactants with simultaneous supply or evacuation of electrolyte; Humidifying or dehumidifying with product water removal by condensers, gas-liquid separators or filt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6Combination of fuel cells with means for production of reactants or for treatment of residues
    • H01M8/0606Combination of fuel cells with means for production of reactants or for treatment of residues with means for production of gaseous reactants
    • H01M8/0612Combination of fuel cells with means for production of reactants or for treatment of residues with means for production of gaseous reactants from carbon-containing material
    • H01M8/0618Reforming processes, e.g. autothermal, partial oxidation or steam reform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6Combination of fuel cells with means for production of reactants or for treatment of residues
    • H01M8/0606Combination of fuel cells with means for production of reactants or for treatment of residues with means for production of gaseous reactants
    • H01M8/0612Combination of fuel cells with means for production of reactants or for treatment of residues with means for production of gaseous reactants from carbon-containing material
    • H01M8/0625Combination of fuel cells with means for production of reactants or for treatment of residues with means for production of gaseous reactants from carbon-containing material in a modular combined reactor/fuel cell structure
    • H01M8/0631Reactor construction specially adapted for combination reactor/fuel cel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09/00Energy supply or activating mea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50/00Fuel cell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Specific features of fuel cell system
    • H01M2250/20Fuel cells in motive systems, e.g. vehicle, ship, plan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50/00Fuel cell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Specific features of fuel cell system
    • H01M2250/40Combination of fuel cells with other energy production systems
    • H01M2250/407Combination of fuel cells with mechanical energy genera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30Hydrogen technology
    • Y02E60/50Fuel cel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uel Cell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젤엔진을 갖는 디젤엔진 배기시스템, 상기 디젤엔진 배기시스팀과 연동하는 연료전지 시스템, 및 상기 연료전지 시스템에서 출력되는 직류전류(DC)를 교류전류(AC)로 변환하는 전력변환부를 포함하는 선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선박{SHIP}
본 발명은 환경 친화적인 선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체 에너지의 대부분은 화석연료로부터 얻고 있다. 그런데 화석연료의 매장량은 제한되어 있고, 화석연료의 사용은 대기오염 및 산성비, 지구 온난화 등 환경에 심각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이러한 화석연료의 사용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환경 친화적인 발전시스템이 개발되고 있다.
환경 친화적인 발전시스템에는 햇빛, 물, 지열, 강수, 생물유기체 등을 포함하는 재생 가능한 에너지를 변환시켜 전기를 생산하는 발전시스템이 있다. 또한, 환경 친화적인 발전시스템에는 화석연료를 변환하거나 수소와 산소 등의 화학 반응을 통해 전기를 생산하는 연료전지를 포함하는 연료전지 시스템이 있다.
연료전지는 사용되는 전해질의 종류에 따라, 알칼리 연료전지(AFC, Alkaline Fuel Cell), 인산형 연료전지(PAFC, Phosphoric Acid Fuel Cell), 용융탄산염 연료전지(MCFC, Molten Carbonate Fuel Cell), 고체산화물 연료전지(SOFC, Solid Oxide Fuel Cell), 고분자전해질 연료전지(PEMFC, Polymer Electrolyte Membrane Fuel Cell), 직접메탄올 연료전지(DMFC, Direct Methanol Fuel Cell) 등으로 분류된다. 이들 각각의 연료전지는 근본적으로 동일한 원리에 의해 작동되지만 운전온도, 전해질, 발전효율, 발전성능이 서로 다르다. 연료전지는 연료 및 스팀(H20)을 개질반응시키는 개질기로부터 수소가 포함된 연료를 공급받아 전기를 생산할 수 있다. 개질기는 원료 공급부에서 공급되는 원료와 스팀(H20)에서 수분을 분리하는 기수분리기로부터 공급된 스팀(H20)을 개질반응시켜 수소를 생성할 수 있다. 연소기는 연료전지에서 배출되는 배기가스를 연소시킴에 따라 발생하는 폐열을 열원으로 개질기를 가열한다.
한편, 열차, 선박, 산업용 차량 등에서는 디젤엔진을 사용하여 필요한 전력을 발전하는 발전 시스템이 보편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그런데, 디젤엔진을 이용한 발전시스템은 열효율이 40 ∼ 50 %로 낮다. 최근 들어, 업계에서는 디젤엔진을 이용한 발전 시스템, 환경 친화적인 발전시스템인 연료전지 시스템 및 스팀(H2O)을 이용하여 전기를 생산하는 스팀터빈 등을 복합적으로 사용하여 필요한 전력을 발전함과 동시에 전 세계적인 환경오염 규제에 대응할 수 있는 새로운 방안을 연구하고 있다.
그런데, 디젤엔진을 사용하는 발전 시스템과 연료전지 시스템에 스팀터빈을 복합적으로 적용하는 종래 기술의 경우,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발생한다.
첫째, 종래에는 별도의 가열장치를 설치하여 스팀터빈에 공급되는 스팀(H2O)을 가열하였다. 이에 따라, 종래에는 스팀 생성을 위해 연료를 가열장치에도 공급해야 하므로, 발전시스템에서 연료가 많이 소모될 뿐만 아니라 전기 생산 효율이 저하되므로 발전시스템을 운영하기 위한 비용이 증가하는 문제가 있다.
둘째, 종래에는 스팀터빈에 공급되는 스팀(H2O)을 가열하기 위해 별도의 가열장치를 설치해야하므로 가열장치 설치비용이 상승하게 된다. 이에 따라, 종래에는 전기를 생산하기 위한 구축 비용이 상승하게 되는 문제가 있다.
셋째, 종래에는 스팀터빈에 공급되는 스팀(H2O)을 가열하기 위한 가열장치 설치공간이 필요하다. 따라서, 종래에는 가열장치 설치로 인해 전기를 생산 및 저장하기 위한 다른 장치들의 공간이 협소해지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전기 생산 효율을 향상시키고 발전시스템 운영비를 감소시킬 수 있는 선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전기를 생산하기 위한 구축 비용을 줄일 수 있는 선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설치공간의 범용성을 높일 수 있는 선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하기와 같은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선박은 디젤엔진을 갖는 디젤엔진 배기시스템; 상기 디젤엔진 배기시스팀과 연동하는 연료전지 시스템; 및 상기 연료전지 시스템에서 출력되는 직류전류(DC)를 교류전류(AC)로 변환하는 전력변환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료전지 시스템은 원료 공급부에서 공급되는 원료를 전처리하는 원료처리부, 원료수 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원료수를 전처리하기 위해 스팀(H20)에서 수분을 분리하는 기수분리기를 포함하는 원료수 처리부, 상기 원료 처리부로부터 공급된 전처리된 연료 및 상기 원료수 처리부로부터 공급된 스팀(H20)을 개질반응시키는 개질기, 및 상기 개질기를 가열하기 위한 연소기를 포함하는 수소생성부; 상기 수소생성부로부터 수소를 포함하는 연료에 기초하여 전기를 생산하는 연료전지; 상기 기수분리기에서 공급되는 스팀(H20)으로 전기를 생산하는 터빈부; 및 상기 터빈부에 공급되는 스팀(H20)을 가열하도록 상기 연소기 또는 상기 연료전지에서 배출되는 배기가스 및 상기 기수분리기에서 공급되는 스팀(H20)을 열교환시키는 제1열교환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선박에 있어서, 상기 디젤엔진 배기시스템은, 상기 디젤엔진에서 배출되는 배기가스를 이용하여 상기 디젤엔진의 출력을 증가시키는 과급기, 상기 과급기를 거친 배기가스의 폐열을 열원으로 이용하는 이코노마이저를 포함하고, 상기 이코노마이저는 상기 기수분리기에서 공급되는 물 및 스팀(H20)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가열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연소기에서 배출되는 배기가스의 폐열을 이용하여 스팀터빈에 공급되는 스팀(H20)을 가열하도록 구현됨으로써, 종래 스팀 생산을 위한 가열장치에 공급되는 연료를 전기 생산에 사용할 수 있으므로 전기 생산량 및 전기 생산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연소기에서 배출되는 배기가스의 폐열을 이용하여 스팀터빈에 공급되는 스팀(H20)을 가열하도록 구현됨으로써, 별도의 가열장치를 생략할 수 있으므로 가열장치 설치를 위한 구축비용을 절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설치공간에 대한 범용성을 높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체 시스템의 개념적인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연료전지 시스템의 개념적인 구성도
도 3a, 도 3b는 본 발명에 사용되는 연료전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로서, 도 3a는 고체산화물 연료전지(SOFC)의 개념적인 구성도
도 3b는 고분자전해질 연료전지(PEMFC)의 개념적인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소생성부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연료전지 시스템의 개념적인 구성도
도 7은 도 5의 연료전지 시스템에 대한 제1실시예에 따른 구성도
도 8은 도 5의 연료전지 시스템에 대한 제2실시예에 따른 구성도
도 9는 도 5의 연료전지 시스템에 대한 제3실시예에 따른 구성도
도 10은 도 5의 연료전지 시스템에 대한 제4실시예에 따른 구성도
도 11은 도 5의 연료전지 시스템에 대한 제5실시예에 따른 구성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선박의 일례를 나타낸 개략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연료전지 시스템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체 시스템의 개념적인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연료전지 시스템의 개념적인 구성도, 도 3a, 도 3b는 본 발명에 사용되는 연료전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로서, 도 3a는 고체산화물 연료전지(SOFC)의 개념적인 구성도, 도 3b는 고분자전해질 연료전지(PEMFC)의 개념적인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소생성부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1을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연료전지 시스템(200)은 발전시스템(100)에 적용되어 전기를 생산하는 기능을 담당한다. 본 발명에 따른 연료전지 시스템(200)을 설명하기에 앞서, 상기 발전시스템(100)을 먼저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상기 발전시스템(100)은 원료 공급부(110), 원료수 공급부(120), 공기 공급부(130), 전력변환부(140), 및 본 발명에 따른 연료전지 시스템(200)을 포함한다.
상기 원료 공급부(110)는 원료 저장탱크를 포함하며, 상기 원료 저장탱크로부터 원료를 공급한다. 예를 들어, 원료는 탄화수소 계열의 물질로, LNG(액화천연가스), LPG(액화석유가스), 메탄올(CH3OH), 에탄올(C2H5OH), 가솔린, 디메틸에테르, 메탄가스, 수소정제 오프가스, 순수소 등일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발전시스템(100)이 자동차에 적용되는 경우, 상기 원료 공급부(110)는 가스 저장탱크와 상기 가스 저장탱크로부터 가스를 공급하는 장치(예컨대, 펌프)를 포함하여 구현된다. 다른 예로, 상기 발전시스템(100)이 LNG 운반선에 적용되는 경우, 상기 원료 공급부(110)는 LNG 저장탱크와 상기 LNG 저장탱크에서 발생하는 증발가스를 제공하는 장치를 포함하여 구현된다. 또 다른 예로, 상기 발전시스템(100)이 디젤엔진 선박에 적용되는 경우, 상기 원료 공급부(110)는 디젤연료 저장탱크와 상기 디젤연료 저장탱크로부터 디젤연료를 공급하는 장치를 포함하여 구현된다.
상기 원료수 공급부(120)는 원료수 저장탱크와 상기 원료수 저장탱크로부터 원료수를 공급하는 장치(예컨대, 펌프)를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 원료수는 예를 들어, 상수(上水), 민물, 또는 해수일 수 있다. 다른 예로, 원료수는 민물, 해수에서 불순물의 제거 처리나 이온제거 처리된 물일 수 있다. 다른 예로, 원료수는 민물, 해수에서 불순물이 제거된 상태의 물일 수 있다.
상기 공기 공급부(130)는 본 발명에 따른 연료전지 시스템(200)에 공기를 공급한다. 통상적으로 공기는 질소, 산소, 이산화탄소 등을 포함하는 기체를 의미하지만, 본 명세서에서는 공기에서 질소 또는 이산화탄소, 또는 두 기체 등 산소 이외의 모든 기체를 제거한 경우도 포함한다. 상기 공기 공급부(130)는 공기 저장탱크와 상기 공기 저장탱크로부터 공기를 공급하는 장치(예컨대, 블로워)를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 다른 예로, 공기 공급부(130)는 외부공기를 공급받아 압축한 후 압축된 고압의 공기를 공급하거나 상압으로 공급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전력변환부(140)는 본 발명에 따른 연료전지 시스템(200)에서 나오는 직류전류(DC)를 교류전류(AC)로 변환한다. 상기 전력 변환부(140)는 본 발명에 따른 연료전지 시스템(200)에서 나오는 출력전압을 승압 또는 감압하기 위한 DC-DC 컨버터 및 직류전류(DC)를 교류전류(AC)로 변환하는 DC-AC 인버터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전력변환부(140)는 본 발명에 따른 연료전지 시스템(200)으로부터 공급된 전기를 전력부하로 배출한다. 전력부하는, 예를 들어 선박의 경우 선박의 기본 전기설비 및 화물계통 전기설비 등과 같은 선박 내 전기설비일 수 있다. 도시하지 않았지만, 상기 전력변환부(140)는 에너지 저장장치, 예를 들어 배터리로 전기를 전송하여 저장하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연료전지 시스템(200)은 연료, 물(H2O), 및 공기를 이용하여 전기를 생산한다. 본 발명에 따른 연료전지 시스템(200)은 가정이나 자동차와 같은 소형 구조물에 사용될 수 있고, 선박 등과 같이 대형 구조물에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연료전지 시스템(200)은 연료의 연소 에너지를 이용하는 디젤엔진, 가스엔진, 증기터빈, 가스터빈, 또는 랭킨 사이클(Rankine Cycle) 시스템과 연동하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연료전지 시스템(200)에 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2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연료전지 시스템(200)은 연료전지(210), 및 수소생성부(400)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연료전지 시스템(200)은 상기 연료전지(210), 상기 수소생성부(400) 등을 포함한 모든 구성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250)를 포함하여 구현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수소생성부(400)에 유입되는 것을 원료 및 원료수, 상기 수소생성부(400)에서 생성되어 연료전지(210)로 유입되는 것을 연료로 정의한다.
상기 연료전지(210)는 연료전지 스택(stack)을 포함하여 구현된다. 상기 연료전지 스택은 공기극(cathode)과 연료극(anode) 사이에 전해질(electrolyte)층이 형성되고, 연료극(anode)과 공기극(cathode)에는 수소공급 및 공기공급, 열회수를 위한 분리판(separator)이 설치되어 있는 단위전지 모듈을 필요수량만큼 직렬 연결된 형태로 구성된다.
상기 연료전지(210)는 온도센서와 온도 유지용 기기. 즉 히터나 공기극 팬과 연료극 팬, 냉각판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온도센서는 연료전지 스택의 온도, 공기극(cathode)의 온도, 연료극(anode)의 온도를 센싱한다. 상기 히터에 의해 연료전지를 가열하여 운전에 필요한 온도를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공기극 팬은 연료전지 스택의 공기극(cathode)에서 발열한 열을 방열시킨다. 상기 연료극 팬은 연료전지 스택의 연료극(anode)에서 발열한 열을 방열시킨다. 상기 공기극 팬 및 연료극 팬은 연료전지 스택에 사용되는 열교환기의 일부 구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연료전지 시스템(200)이 제어부(250)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250)는 온도센서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이용하여 히터나 공기극 팬과 연료극 팬을 제어하여 상기 연료전지(210)의 운전온도를 적절하게 유지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250)는 인산형 연료전지(PAFC)의 경우 운전온도를 190∼210℃로 유지하며, 용융탄산염 연료전지(MCFC)의 경우 운전온도를 550∼650℃로 유지하며, 고체산화물 연료전지(SOFC)의 경우 운전온도를 650∼1000℃로 유지하며, 고분자전해질 연료전지(PEMFC)의 경우 운전온도를 30∼80℃로 유지하도록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연료전지 시스템(200)에 구비되는 연료전지(210)의 동작을 도 3a, 도 3b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3a는 고체산화물 연료전지(SOFC))의 개념적인 구성도이고, 도 3b는 고분자전해질 연료전지(PEMFC)의 개념적인 구성도이다.
먼저, 도 3a를 참조하면 고체산화물 연료전지(SOFC)(310)는 공기극(cathode)(311)에서 산소의 환원 반응에 의해 생성된 산소이온이 전해질(312)을 통해 연료극(anode)(313)으로 이동한다. 연료극(anode)(313)에서는 수소(H2)를 포함하는 연료가 유입되는데, 전해질(312)을 통해 연료극(anode)(313)으로 이동한 산소이온(O2-)과 수소(H2)가 전기화학적으로 반응하여 물(H20)과 전자(e-)가 생성된다. 공기극(cathode)(311)에서는 전자가 소모되므로 공기극(cathode)(311)과 연료극(anode)(313)을 서로 연결하면 전기가 흐르게 된다.
고체산화물 연료전지(SOFC)(310)는 연료극(anode)(313)에 공급된 연료 중 포함될 수 있는 일산화탄소(CO), 이산화탄소(CO2)와 같은 전기화학 미반응물질과 미반응 수소(H2)와 같은 잔여물질과 반응생성물인 물(액체 혹은 기체상태로서의 H20)을 배출한다. 또한, 고체산화물 연료전지(SOFC)(310)의 공기극(cathode)(311)에서는 미반응 산소 및 질소 등을 배출한다.
도 3b를 참조하면 고분자전해질 연료전지(PEMFC)(320)는 연료극(anode)(321)에 형성된 촉매층(322)에서 수소(H2)가 수소이온(H+)과 전자(e-)로 생성된다. 수소이온(H+)은 고분자 전해질막(Polymer Membrane)(323)을 통해 공기극(cathode)(324)으로 이동한다. 고분자전해질 연료전지(PEMFC)(320)는 공기극(cathode)(324)에 형성된 촉매층(325)에서 수소이온(H+)과 산소(O2)가 반응하여 물(H20)을 생산한다. 연료극(anode)(321)에 형성된 촉매층(322)과 공기극(cathode)(324)에 형성된 촉매층(325)을 서로 연결하면 전기가 흐르게 된다.
고분자전해질 연료전지(PEMFC)(320)는 연료극(anode)(321)의 촉매층(322)에서 미반응 수소(H2)와 같은 잔여물질을 배출한다. 또한, 고분자전해질 연료전지(PEMFC)(320)는 공기극(cathode)(324)에서 미반응 산소와 물(H20)을 배출한다.
그 외에 용융탄산염 연료전지(MCFC)는 연료극(anode)에서 수소(H2)와 탄산이온(CO3 2-)이 반응하여 물(H2O)과 이산화탄소(CO2), 전자(e-)가 생성된다. 생성된 이산화탄소(CO2)는 공기극(cathode)으로 보내지게 되고, 공기극(cathode)에서 이산화탄소(CO2)와 산소(O2)가 반응하여 탄산이온(C03- 2)을 생산한다. 탄산이온(C03- 2)은 전해질을 통해 연료극(anode)으로 이동한다. 용융탄산염 연료전지(MCFC)에서는 전기를 생성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이산화탄소(CO2)를 외부로 배출하지 않고 연료전지 내부에서 순환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도 2 및 도 4를 참고하면, 상기 수소생성부(400)는 원료를 이용하여 연료전지(210)의 연료극(anode)에 필요한 연료, 즉 수소(H2) 가스를 생성하는 장치를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상기 수소생성부(400)에 유입되는 것을 원료 및 원료수, 상기 수소생성부(400)에서 생성되어 상기 연료전지(210)로 유입되는 것을 연료로 정의한다.
수소생성부(400)는 연료전지(210)의 종류에 따라 또는 전기 생성 효율 향상을 위해 그 구조가 다양하게 설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연료전지(210)가 인산형 연료전지(PAFC) 또는 고체산화물 연료전지(SOFC)인 경우, 상기 수소생성부(400)는 개질기(Reformer)와 연소기를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상기 연료전지(210)가 용융탄산염 연료전지(MCFC) 또는 고분자전해질 연료전지(PEMFC)인 경우 상기 수소생성부(400)는 개질기(Reformer)와 연소기 외에도 수성가스화반응기(Water Gas Shift reactor, WGS)를 더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수성가스화반응기(WGS)는 고온 수성가스화반응기(HTS, High-Temperature Shift Reactor), 중온 수성가스화반응기(MTS, Mid-Temperature Shift Reactor), 저온 수성가스화반응기(LTS, Low-Temperature Shift Reactor), 또는 일산화탄소 제거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일산화탄소 제거기는 일산화탄소(CO)만을 연소시켜 제거하는 선택적산화반응기(Preferential Oxidation, PROX), 또는 일산화탄소(CO)를 수소(H2)와 반응시켜 그 농도를 저감시키는 메탄화반응기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를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연료전지 시스템(200)에 있어서, 상기 수소생성부(400)의 일례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상기 수소생성부(400)는 원료 처리부(410), 원료수 처리부(420), 개질기(Reformer)(430), 및 연소기(440)를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원료 처리부(410)는 원료 저장탱크를 포함하는 원료 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원료를 전처리한다. 예를 들어, 상기 원료 처리부(410)는 LNG 저장탱크에서 공급되는 액화천연가스를 증발시키는 LNG 증발기를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 원료가 해상 가스유(Marine Gas Oil, MGO), 해상 디젤유(Marine Diesel Oil, MDO), 일반 중유(Heavy Fuel Oil, HFO) 등과 같이 상대적으로 높은 분자량을 갖는 액상 원료인 경우, 상기 원료 처리부(410)는 해상 가스유(MGO), 해상 디젤유(MDO), 또는 일반 중유(HFO)에 열을 가하는 히터와 상기 가열된 원료를 촉매 반응하여 메탄(CH4)을 생성하는 메탄화기를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원료 처리부(410)는 원료에 포함된 불순물을 제거하는 필터나 황화물을 제거하는 탈황기를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원료수 처리부(420)는 원료수 저장탱크를 포함하는 원료수 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원료수를 전처리한다. 상기 원료수 처리부(420)는 예를 들어, 원료수를 가열하여 스팀(H2O)을 생성하고, 상기 스팀(H2O)을 개질기(Reformer)로 공급한다. 상기 원료수 처리부(420)는 예를 들어, 연소기(440)에서 발생하는 배기가스의 폐열로 원료수를 가열하는 열교환기를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원료수 처리부(420)는 연료전지 시스템의 배기가스나 증기 내에 포함된 수분(물방울)을 분리하는 기수분리기(steam separator)를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원료수 처리부(420)는 원료수를 연료전지 시스템에서 요구하는 순도를 유지하기 위해 활성탄, 이온제거용 수지 등을 이용할 수도 있으며, 이를 측정하는 센서 및 제어 시스템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원료수 처리부(420)에 일정 수준의 수량을 유지하기 위한 외부 물 공급 라인 및 시스템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개질기(Reformer)(430)는 상기 원료 처리부(410)로부터 공급된 전처리된 연료 및 상기 원료수 처리부(420)로부터 공급된 스팀(H20)의 개질반응을 진행하여 수소(H2)를 포함하는 개질가스를 발생시킨다. 이러한 개질반응을 진행함에 있어서, 상기 개질기(430)는 상기 연소기(440)에서 제공되는 열 에너지를 이용할 수 있다. 이하 본 명세서에서는 상기 개질기(330)에서 나오는 개질가스를 연료로 정의한다.
상기 개질기(Reformer)(430)는 개질반응을 촉발시키는 개질촉매층을 포함하여 구현된다. 개질촉매층은 개질촉매가 담체에 담지된 촉매를 충전한 구조로 이루어진다. 개질촉매는 니켈(Ni), 루테늄(Ru), 백금(Pt) 등으로 이루어지며, 촉매를 담지하는 담체의 형상은, 예컨대 입상, 펠릿형상 및 허니컴형상 등이 될 수 있고, 담체를 구성하는 재료는 세라믹, 내열성금속 등, 예컨대 알루미나(Al2O3)나 티타니아(TiO2) 등이 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연료전지 시스템(200)에 있어서, 상기 개질기(330)는 상기 연료전지(210)의 외부에 설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연료전지(210)는 외부 개질형으로 구현된다. 본 발명에 따른 연료전지 시스템(200)에 있어서, 상기 개질기(330)는 상기 연료전지(210)의 내부에 개질촉매층의 형태로 설치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연료전지(210)는 내부 개질형으로 구현된다.
상기 연소기(440)는 상기 개질기(Reformer)(430)에서 개질반응이 원활하게 진행되도록 열을 제공한다. 상기 연소기(440)에 의한 개질기 가열온도가 낮은 경우, 상기 개질기(Reformer)(430)의 흡열반응에 의한 개질반응이 잘 진행되지 않으며 수분(물방울)이 상기 개질기(Reformer)(430) 내에 발생한다. 상기 연소기(440)의 가열온도가 높은 경우 상기 개질기(Reformer)(430)의 개질촉매층의 촉매활성이 저하될 수 있다.
상기 연소기(440)는 시스템 전체의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해, 상기 원료 처리부(410)에서 전처리된 원료, 상기 연료전지(210)의 연료전지 스택의 연료극(anode)에서 배출되는 배기가스, 또는 그 둘을 혼합한 것을 연료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연소기(440)는 공기 공급부(130, 도 1에 도시됨)에서 공급되는 공기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연료전지 시스템(200)에 있어서, 상기 연소기(440)는 추가로 상기 연료전지(210)의 연료전지 스택의 공기극(cathode)에서 배출되는 공기를 사용할 수 있다.
도시하지 않았지만, 상기 수소생성부(400)는 하나 이상의 온도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온도센서는 개질기(Reformer)(430)의 온도를 검출한다. 상기 개질기(Reformer)(430)의 온도는 상기 개질기(Reformer)(430)의 구성 및 상기 원료 처리부(410)에서 전처리된 연료와 스팀(H2O)과의 혼합비율 등의 조건에 의해서 최적 온도 범위가 변화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연료전지 시스템(200)이 상기 제어부(250, 도 2에 도시됨)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250)는 온도센서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연소기(440)의 원료 연소량을 증감시켜 상기 개질기(Reformer)(430)의 온도를 제어한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250)는 최적 온도 범위에 대하여 ±20℃ 정도의 범위 내로 제어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개질기(Reformer)(430)에서 개질반응을 통해 발생하는 가스에는 수소(H2)뿐 아니라 일산화탄소(CO), 이산화탄소(CO2) 등이 포함된다. 상기 연료전지(210)가 고분자전해질 연료전지(PEMFC)인 경우 일산화탄소(CO)는 고분자전해질 연료전지(PEMFC)의 연료전지 스택의 전극 촉매를 피독하여 연료전지(210)의 수명을 단축시킨다. 이에 일산화탄소(CO)의 농도를 10 ∼ 20 ppm 이하로 줄이기 위해, 상기 수소생성부(400)는 수성가스화반응기(WGS)(4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성가스화반응기(WGS)(450)는 일산화탄소(CO)와 스팀(H20)을 반응시켜 이산화탄소(CO2)와 수소(H2)를 생산한다. 상기 수성가스화반응기(WGS)(450)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온 수성가스화반응기(HTS)와 저온 수성가스화반응기(LTS)를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
상기 고온 수성가스화반응기(HTS)와 상기 저온 수성가스화반응기(LTS)의 최적 온도는 사용하는 촉매의 종류에 따라 다르고, 제어온도의 평형에 의해서 배출되는 가스의 조성이 결정된다. 도 4에 도시하지 않았지만, 상기 고온 수성가스화반응기(HTS)와 상기 저온 수성가스화반응기(LTS)에는 각각 냉각기와 온도센서가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연료전지 시스템(200)이 제어부(250, 도 2에 도시됨)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250)는 온도센서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이용하여 냉각기를 제어함으로써 상기 고온 수성가스화반응기(HTS)와 상기 저온 수성가스화반응기(LTS)의 온도를 제어한다. 예를 들어, 상기 고온 수성가스화반응기(HTS)는 300∼430℃ 범위 내에서 제어되고, 상기 저온 수성가스화반응기(LTS)는 200∼250℃ 범위 내에서 제어된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기 수성가스화반응기(WGS)(450)는 일산화탄소 제거기를 포함할 수 있다. 일산화탄소 제거기는 저온 수성가스화반응기(LTS) 후단에 저온 수성가스화반응기(LTS)에서 완전히 처리되지 않고 남은 극소량의 일산화탄소(CO)를 제거한다. 상기 일산화탄소 제거기는 공기공급부로부터 공기를 공급받아 저온 수성가스화반응기(LTS)에서 배출되는 가스 중 일산화탄소(CO)만을 연소시켜 제거하는 선택적산화반응기(Preferential Oxidation, PROX), 또는 일산화탄소(CO)를 수소(H2)와 반응시켜 그 농도를 저감시키는 메탄화반응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선택적산화반응기(PROX)는 냉각기와 온도센서가 설치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연료전지 시스템(200)이 상기 제어부(250, 도 2에 도시됨)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250)는 온도센서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이용하여 냉각기를 제어함으로써 선택적산화반응기(PROX)의 온도를 제어한다. 예를 들어, 상기 선택적산화반응기(PROX)는 120∼160℃ 범위 내에서 제어된다. 그러나, 상기 선택적산화반응기(PROX)의 최적 온도는 사용하는 촉매의 종류 및 사용방법 등의 조건에 따라 다르게 설정된다.
상기 선택적산화반응기(PROX)의 촉매층은 선택적산화촉매를 담지하는 담체가 충전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선택적산화촉매는 백금(Pt) 등으로 이루어지며, 촉매를 담지하는 담체의 형상은, 예컨대 입상, 펠릿형상 및 허니컴형상 등이 될 수 있고, 담체를 구성하는 재료는 예컨대 알루미나(Al2O3), 산화마그네슘(MgO) 등이 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연료전지 시스템(200)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연료전지 시스템의 개념적인 구성도, 도 7은 도 5의 연료전지 시스템에 대한 제1실시예에 따른 구성도, 도 8은 도 5의 연료전지 시스템에 대한 제2실시예에 따른 구성도, 도 9는 도 5의 연료전지 시스템에 대한 제3실시예에 따른 구성도, 도 10은 도 5의 연료전지 시스템에 대한 제4실시예에 따른 구성도, 도 11은 도 5의 연료전지 시스템에 대한 제5실시예에 따른 구성도이다. 여기서, 도 1 내지 도 4와 동일한 구성은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한다.
도 5 내지 도 7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연료전지 시스템(200)은 연료전지(210), 수소생성부(400), 터빈부(500) 및 제1열교환부(60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연료전지 시스템(200)은 디젤엔진(1000)을 포함하는 디젤엔진 배기시스템(1500)과 연동하도록 구현된다. 본 발명에 따른 연료전지 시스템(200)은 상기 연료전지(210), 상기 수소생성부(400), 상기 터빈부(500) 및 상기 제1열교환부(600) 등을 포함하는 모든 구성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250)를 포함하여 구현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연료전지 시스템(200)과 상기 디젤엔진(1000)은 상기 원료 공급부(110)로부터 원료를 공급받도록 구현된다.
상기 디젤엔진 배기시스템은 디젤엔진(1000), 배기리시버(1100), 과급기(1200), 및 이코노마이저(1300)를 포함한다.
상기 디젤엔진 배기시스템(1500)은 디젤엔진을 사용하는 발전시스템에 포함되는 구성으로서, 디젤엔진 연소실 내에서 발생하는 질소산화물(NOX) 등과 같은 환경오염물질을 포함하는 배기가스를 정화시키고 배기가스의 열을 회수하여 외부로 배출하는 장치이다. 상기 디젤엔진 배기시스템(1500)은 배기가스에 함유된 질소산화물(NOX) 등을 줄이기 위해 선택적 환원촉매 반응기(Selective Catalytic Reduction, SCR)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디젤엔진 배기시스템(1500)은 디젤엔진에서 배출되는 고온의 배기가스의 폐열을 이용하여 물을 증발시키는 증발기(1301)와 공기를 가열하는 가열기를 포함하는 이코노마이저(economizer)을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이코노마이저(1300)는 상기 원료수공급부(120)에서 공급되는 물 또는 스팀(H20)을 가열한다. 상기 이코노마이저(1300)는 상기 원료수 공급부(120)에서 상기 기수분리기(4201)를 거쳐 공급되는 상기 증발기(1301)에서 물을 가열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이코노마이저(1300)는 상기 디젤엔진(1000)과 연결되게 설치하여 상기 디젤엔진(1000)으로부터 배출되는 배기가스의 폐열을 열원으로 상기 기수분리기(4201)에서 공급되는 수분을 가열할 수 있다. 상기 이코노마이저(1300)는 상기 디젤엔진(1000)의 배기리시버(1100)와 배기 출구 사이에 설치된다. 상기 배기리시버(1100)는 상기 디젤엔진(1000)의 배기가스가 배출되는 관로이다. 상기 이코노마이저(1300)와 상기 배기리시버(1100) 사이에는 과급기(1200)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과급기(1200)는 터보차저(Turbocharger) 또는 파워터빈이라고도 하며, 상기 배기리시버(1100)를 통과한 배기가스의 배출속도에 의하여 구동되는 터빈 휠이 원심식 공기압축기(또는 송풍기)와 연결되어 공기를 압축하도록 함으로써, 밀도가 높은 공기를 디젤 엔진에 공급하도록 하여 디젤 엔진의 출력 증가 및 효율을 높이는 증가시키는 장치이다. 도시하지 않았지만, 상기 과급기(1200)의 후단에는 상기 과급기(1200)로부터 배출되는 배기가스가 함유된 질소산화물(NOx)을 저감하기 위한 선택적 환원촉매 반응기(Selective Catalytic Reduction, SCR)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과급기(1200)에서 배출되는 배기가스는 상기 이코노마이저(1300)을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상기 이코노마이저(1300)는 입구관, 고압 증발기, 중간관, 저압 증발기, 및 출구관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입구관은 상기 과급기(1200)에 접속되어 상기 디젤엔진(1000)으로부터 배출되는 배기가스를 상기 고압 증발기로 안내한다. 상기 중간관은 상기 고압 증발기에서의 열교환 후의 배기가스를 저압 증발기로 안내한다. 상기 출구관은 저압 증발기에서의 열교환 후의 배기가스를 배기 출구로 안내한다. 상기 기수분리기(4201)에서 공급되는 물은 상기 고압 증발기 및 상기 저압 증발기를 거치면서 상기 디젤엔진(1000)에서 배출되는 고온의 배기가스와 열교환된다. 상기 이코노마이저(1300)에서 열교환되어 상변화된 스팀(H20)은 상기 기수분리기(4201)로 공급된다.
디젤연료 공급부(710)는 디젤연료 저장탱크를 포함하며, 상기 디젤연료 저장탱크로부터 상기 디젤엔진 배기시스템(1500)의 디젤엔진으로 디젤연료를 공급한다. 상기 디젤연료는 해상 가스유(MGO), 해상 디젤유(MDO), 일반 중유(HFO), 메탄올, 디메틸에테르(DME), 및 액화석유가스(LPG) 등이 될 수 있다.
도 5 내지 도 7을 참고하면, 상기 연료전지(210)는 상기 수소생성부(400)로부터 수소가 포함된 연료를 공급받아 전기 화학적 반응을 통해 전기를 생산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연료전지(210)는 개질기(430)로부터 수소가 포함된 연료를 공급받아 상기 공기공급부(130)에서 공급된 공기와의 전기 화학적 반응을 통해 전기를 생산할 수 있다. 상기 연료전지(210)는 1개 또는 복수개의 연료전지 모듈로 구성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연료전지(210)는 알칼리 연료전지(AFC), 인산형 연료전지(PAFC), 용융탄산염 연료전지(MCFC), 고체산화물 연료전지(SOFC), 고분자전해질 연료전지(PEMFC), 및 직접메탄올 연료전지(DMFC) 중 적어도 하나의 연료전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료전지(210)는 전기 화학적 반응을 거치면서 발생하는 배기가스를 상기 수소생성부(400)에 공급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연료전지(210)는 상기 연소기(440)에 배기가스를 공급할 수 있다.
도 5 내지 도 7을 참고하면, 상기 수소생성부(400)는 원료 처리부(410), 원료수 처리부(420), 개질기(430), 및 연소기(440)를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수소생성부(400)는 상기 원료 처리부(410)로부터 원료를 공급받고, 상기 원료수 공급부(120)로부터 물 또는 스팀 (H20)을 공급받아 상기 연료전지(210)에 필요한 수소가 포함된 연료를 생성한다. 상기 원료 저장탱크에 저장되는 원료는 해상 가스유(MGO), 해상 디젤유(MDO), 일반 중유(HFO), 메탄올, 디메틸에테르(DME), 및 액화석유가스(LPG) 등과 같은 액상 원료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원료 처리부(410)는 원료 저장탱크를 포함하는 원료 공급부(110)에서 공급되는 원료를 전처리한다. 예를 들어, 상기 원료 처리부(410)는 LNG 저장탱크로부터 공급되는 LNG(액화천연가스)를 증발시키는 LNG 증발기와 상기 LNG 증발기 내에 설치되는 기화기를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원료수 처리부(420)는 원료수 저장탱크를 포함하는 원료수 공급부(120)로부터 공급되는 원료수를 전처리한다. 원료수는 예를 들어, 상수(上水), 민물, 또는 해수일 수 있다. 다른 예로, 원료수는 민물, 해수에서 불순물의 제거 처리나 이온제거 처리된 물일 수 있다. 다른 예로, 원료수는 민물, 해수에서 불순물이 제거된 상태의 물일 수 있다.
상기 원료수 처리부(420)는 원료수를 가열하여 스팀(H2O)을 생성하고, 상기 스팀(H2O)을 상기 개질기(430)와 상기 스팀터빈(500)으로 공급한다. 상기 원료수 처리부(420)는 상기 디젤엔진(1000)에서 발생하는 배기가스의 폐열로 원료수를 가열하는 열교환기 및 상기 기수분리기(4201)를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원료수 처리부(420)는 일정 수준의 수량을 유지하기 위한 외부 물 공급 라인 및 시스템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수분리기(4201)는 스팀(H20)에서 수분을 분리한다. 상기 기수분리기(4201)는 상기 이코노마이저(1300)와 물 또는 스팀(H20)을 순환시키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기수분리기(4201)는 상기 원료수 공급부(120)에서 공급되는 물을 상기 이코노마이저(1300)로 공급할 수 있다. 상기 기수분리기(4201)는 상기 이코노마이저(1300)에서 가열되어 상변화된 스팀(H20)을 공급받을 수 있다. 상기 기수분리기(4201)는 원심분리기, 금속망, 방해판 등을 이용하여 수분을 분리할 수 있다. 상기 기수분리기(4201)에서 분리된 수분은 외부로 배출되거나 상기 원료수 공급부(120)로 공급되어 저장될 수 있다. 상기 기수분리기(4201)는 상기 이코노마이저(1300)로부터 공급받은 스팀(H20)을 상기 개질기(430) 및 상기 제1열교환부(600)에 공급할 수 있으며, 상기 제1열교환부(600)에 공급된 스팀(H20)은 가열된 후 상기 터빈부(500)로 공급되어 전기를 생산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도시하지 않았지만, 상기 증발기(1301)에서 상기 기수분리기(4201)로 순환되는 회수 관로에 바이패스(by-pass) 라인을 설치하여 다른 용도로 스팀(H20)을 사용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연소기(440)는 상기 개질기(430)에서 개질반응이 원활하게 진행되도록 열을 제공한다. 상기 연소기(440)에 의한 개질기 가열온도가 낮은 경우, 상기 개질기(430)의 흡열반응에 의한 개질반응이 잘 진행되지 않으며 수분(물방울)이 상기 개질기(430) 내에 발생할 수 있다. 상기 연소기(440)의 가열온도가 높은 경우 상기 개질기(430)의 개질촉매층의 촉매활성이 저하될 수 있다. 상기 연소기(440)는 시스템 전체의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해, 상기 원료 처리부(410)에서 전처리된 원료, 상기 연료전지(210)의 연료전지 스택의 연료극(anode)에서 배출되는 배기가스, 또는 그 둘을 혼합한 것을 연료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연료전지 시스템(200)에 있어서, 상기 연소기(440)는 상기 연료전지(210)의 연료전지 스택 배기가스에 포함된 공기, 또는 상기 공기 공급부(130, 도 5에 도시됨)에서 공급되는 공기를 사용할 수 있다.
도 5 내지 도 7을 참고하면, 상기 터빈부(500)는 상기 기수분리기(4201)에서 배출되는 스팀(H20)으로 전기를 생산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터빈부(500)는 상기 기수분리기(4201)에서 상기 제1열교환부(600)를 거쳐 공급되는 스팀(H20)으로 전기를 생산한다. 예컨대, 상기 터빈부(500)는 스팀터빈(Steam Turbine)일 수 있다. 도시하지 않았지만, 상기 터빈부(500)는 다이어프램, 로터, 버켓, 발전기를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 상기 다이어프램에는 고정익 구비되고, 상기 버켓에는 회전익이 구비된다. 상기 고정익은 상기 제1열교환부(600)에서 배출되는 스팀(H20)의 방향을 바꾸어 상기 회전익으로 유도하고, 상기 회전익은 상기 고정익으로부터 유도된 스팀(H20)에 의해 회전력을 발생시켜 로터를 회전시킨다. 상기 로터는 발전기에 연결되게 설치된다. 상기 발전기는 로터가 회전함에 따라 전기를 생산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터빈부(500)는 상기 기수분리기(4201)에서 상기 제1열교환부(600)를 거쳐 배출되는 스팀(H20)으로 전기를 생산할 수 있다. 상기 터빈부(500)에서 생산된 전기는 전기설비 또는 에너지 저장장치, 예를 들어 배터리로 공급될 수 있다. 상기 터빈부(500)는 상기 제1열교환부(600)에서 공급되는 스팀(H20)의 유량 및 압력에 따라 전기 생산량이 달라진다. 예컨대, 상기 터빈부(500)는 상기 제1열교환부(600)에서 공급되는 스팀(H20)의 압력, 즉 증기압이 높으면 상기 로터가 더 빨리 회전됨으로써 전기 생산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도 5 내지 도 7을 참고하면, 상기 제1열교환부(600)는 상기 기수분리기(4201) 및 상기 터빈부(500) 사이에 설치된다. 상기 제1열교환부(600)는 상기 연소기(440)에서 배출되는 배기가스와 상기 기수분리기(4201)에서 공급되는 스팀(H20)을 열교환시킨다. 예컨대, 상기 제1열교환부(600)는 상기 기수분리기(4201)에서 상기 터빈부(500)로 스팀(H20)이 유동하는 관로, 및 상기 연소기(440)에서 배출되는 배기가스가 유동하는 관로를 근접시킴으로써 열교환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연소기(440)에서 배출되는 배기가스의 폐열이 상기 터빈부(500)로 공급되는 스팀(H20)을 가열하는 열원이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1열교환부(600)는 상기 기수분리기(4201)에서 상기 터빈부(500)로 공급되는 스팀(H20)을 가열시킬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열교환부(600)는 상기 터빈부(500)에 공급되는 스팀(H20)의 양을 증가시켜, 상기 터빈부(500)에 공급되는 증기압을 높임으로써, 상기 터빈부(500)의 전기 생산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상기 연료전지 시스템(200)의 운전 시 이상 등으로 인해 정지되거나 보수 등으로 인해 상기 연료전지 시스템을 사용하지 않는 경우, 상기 제1열교환부(600) 전단에 설치된 바이패스(by-pass) 라인을 설치하여 상기 연료전지 시스템(200)의 상기 연소기(440) 배가스에 의해 2차 가열하지 않을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터빈부(500)에 공급되는 스팀을 가열하는 보일러를 상기 바이패스(by-pass) 라인에 설치하여, 상기 이코노마이저(1300)에서 충분히 가열되지 못한 스팀이 공급될 경우 2차 가열함으로써 높은 온도의 스팀이 상기 터빈부(500)으로 공급되도록 하여 전력을 생산하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보일러의 연료는 상기 LNG 증발기에서 증발되어 공급되는 NG나 별도의 탱크에서 공급되는 디젤과 같은 연료일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기 제1열교환부(600)를 거쳐 배출되는 상기 연소기(440)의 배기가스를 응축하기 위해 응축기를 설치할 수 있다. 상기 응축기는 상기 연소기(440)의 배기가스 중의 물을 응축하여, 응축된 물을 상기 원료수 공급부인 물탱크(120)로 공급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상기 응축기에서 응축된 물은 상기 기수분리기(4201)로 공급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250)는 상기 기수분리기(4201) 후단에 설치된 밸브를 제어하여 관로 개방을 조절함으로써 상기 기수분리기(4201)에서 상기 제1열교환부(600)로 공급되는 스팀(H20) 중 일부를 상기 개질기(430)로 공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개질기(430)는 상기 기수분리기(4201)에서 상기 제1열교환기(600)를 통해 상기 터빈부(500)로 공급되는 스팀(H20)의 일부를 공급받아 개질반응에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250)는 상기 개질기(430)에 공급되는 스팀(H20)의 필요한 양을 상기 밸브를 제어하여 관로를 개폐함으로써, 상기 기수분리기(4201)에서 상기 개질기(430)로 적절하게 스팀(H20)이 공급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연료전지 시스템(200)에 대한 제1실시예는 다음과 같은 작용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첫째, 본 발명에 따른 연료전지 시스템(200)에 대한 제1실시예는 상기 연소기(440)에서 배출되는 배기가스의 폐열을 이용하여 상기 터빈부(500)에 공급되는 스팀(H20)을 가열하도록 구현됨으로써, 종래 가열장치에 공급되는 연료를 전기 생산에 사용할 수 있으므로 전기 생산량을 증가시키고 상기 발전시스템의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둘째, 본 발명에 따른 연료전지 시스템(200)에 대한 제1실시예는 상기 연소기(440)에서 배출되는 배기가스의 폐열을 이용하여 상기 터빈부(500)에 공급되는 스팀(H20)을 가열하도록 구현됨으로써, 별도의 가열장치를 생략할 수 있으므로 전기를 생산하는데 소모되는 구축비용을 절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설치공간에 대한 범용성을 높일 수 있다.
셋째, 본 발명에 따른 연료전지 시스템(200)에 대한 제1실시예는 상기 제1열교환부(600) 후단에 상기 터빈부(500)를 배치시킴으로써, 상기 연료전지(210)와 별도로 전기를 추가 생산할 수 있으므로 전기 생산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넷째, 본 발명에 따른 연료전지 시스템(200)에 대한 제1실시예는 상기 기수분리기(4201)에서 가열되어 상기 터빈부(500)로 공급되는 스팀(H20) 일부를 상기 개질기(430)에 공급할 수 있도록 구현됨으로써, 스팀 생성을 위한 열 공급을 줄임으로써 상기 연료전지 시스템(200)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7을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연료전지 시스템(200)에 대한 제1실시예는 공기공급부(130) 및 복수기(7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공기공급부(130)는 상기 연료전지(210)에 공기를 공급하기 위해 설치된다. 통상적으로 공기는 질소, 산소, 이산화탄소 등을 포함하는 기체를 의미하지만, 본 명세서에서는 공기에서 질소 또는 이산화탄소, 또는 산소 이외의 모든 기체를 제거한 경우도 포함한다. 상기 공기공급부(130)는 공기 저장탱크와 상기 공기 저장탱크로부터 공기를 공급하는 장치(예컨대, 블로워)를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상기 공기공급부(130)는 외부공기를 공급받아 압축한 후 압축된 고압의 공기를 공급하거나 상압으로 공급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상기 복수기(700)는 상기 터빈부(500)에서 배출되는 스팀(H20)을 냉각시켜 물을 생성한다. 상기 복수기(700)는 응축기의 일종으로, 밀폐된 용기 내부로 공급되는 냉각수에 의해 유입되는 스팀(H20)의 증발열(蒸發熱)을 빼앗아 스팀(H20)을 물로 응축시킨다. 상기 복수기(700)는 스팀(H20)과 냉각수가 직접 접촉하는 혼합복수기 및 전열면(傳熱面)을 통해서 열교환을 하는 표면복수기 등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연료전지 시스템(200)에 대한 제1실시예는 냉각매체인 상기 냉각수 대신 상기 공기공급부(130)에서 공급되는 공기를 냉각매체로 사용한다. 이 경우, 상기 복수기(700)에 공급되는 공기는 상기 스팀(H20)과 열교환되어 가열된다. 즉, 상기 복수기(700)는 상기 터빈부(500)에서 배출되는 스팀(H20)을 열원으로 상기 공기공급부(130)에서 공급되는 공기를 가열할 수 있다. 상기 복수기(700)는 생성된 물을 펌프 등을 통해 상기 원료수 공급부(110)로 공급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연료전지 시스템(200)에 대한 제1실시예는 상기 연료전지(210)에 공급되는 공기를 상기 터빈부(500)에서 배출되는 배출가스로 가열하도록 구현됨으로써, 상기 연료전지(210)의 적절한 운전온도를 빠른 시간 안에 도달시킬 수 있으므로 비상시 신속하게 전기를 생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연료전지 시스템(200)에 대한 제1실시예는 상기 연료전지(210)에 공급되는 공기를 가열하기 위한 별도의 가열장치가 필요없으므로 전기 생산에 소모되는 구축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도 8을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연료전지 시스템(200)에 대한 제2실시예는 제2열교환부(8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열교환부(800)는 상기 원료수 공급부(110)에서 상기 기수분리기(4201)로 공급되는 물과 상기 제1열교환부(600)에서 배출되는 상기 연소기(440)의 배기가스를 열교환시킨다. 이 경우, 상기 제1열교환부(600)에서 배출되는 상기 연소기(440)의 배기가스는 상기 기수분리기(4201)로 공급되는 물을 가열하는 열원이 된다. 상기 원료수 공급부(110)는 물탱크(120)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물탱크(120)로부터 공급되는 물은 상기 제2열교환부(800)에서 상기 연소기(440)의 배기가스에 의해 가열되어 스팀(H20)으로 상변화된다. 따라서, 상기 제2열교환부(800)는 상기 기수분리기(4201)에 공급되는 스팀(H20)의 양을 증가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연료전지 시스템(200)에 대한 제2실시예는 상기 원료수 공급부(110)에서 상기 기수분리기(4201)로 공급되는 스팀(H20)의 양을 증가시키고 물(액체 상태의 H20)의 양을 감소시킴으로써, 상기 기수분리기(4201)의 부하를 감소시켜, 상기 기수분리기(4201)의 효율을 높이고 사용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다.
도 9를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연료전지 시스템(200)에 대한 제3실시예는 공급부(8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공급부(810)는 상기 연료전지(210) 및 상기 제1열교환부(600)를 연결시킨다. 예컨대, 상기 공급부(810)는 관 또는 파이프와 같은 관로, 및 상기 관로에 설치되는 임펠러(Impeller), 블로워(Blower)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공급부(810)는 상기 연료전지(210)에서 배출되는 배기가스를 상기 제1열교환부(600)로 공급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기수분리기(4201)에서 상기 터빈부(500)로 공급되는 스팀(H20)은 상기 연료전지(210)에서 배출되는 배기가스에 의해 가열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터빈부(500)는 상기 제1열교환부(600)로부터 공급받는 스팀(H20)의 양이 증가됨에 따라 전기 생산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연료전지 시스템(200)에 대한 제3실시예는 상기 연료전지(210)에서 배출되는 배기가스를 상기 제1열교환부(600)에 공급함으로써, 상기 터빈부(500)의 전기 생산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연료전지 시스템(200)에 대한 제3실시예는 상기 제1열교환부(600)가 스팀(H20)을 가열하는 열원으로 상기 연소기(440)에서 배출되는 배기가스 및 상기 연료전지(210)에서 배출되는 배기가스, 또는 이들의 혼합가스 중 적어도 하나의 배기가스를 사용할 수 있도록 구현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연료전지 시스템(200)에 대한 제3실시예는 전력량이 부족한 경우, 상기 연소기(440)에서 배출되는 배기가스 및 상기 연료전지(210)에서 배출되는 배기가스를 모두 열원으로 사용함으로써 상기 터빈부(500)의 전기 생산량을 더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연료전지 시스템(200)에 대한 제3실시예는 상기 제1열교환부(600)에 공급되는 상기 연소기(440)의 배기가스 또는 상기 연료전지(210)의 배기가스 중 하나가 공급되지 않더라도, 나머지 하나의 배기가스를 이용하여 상기 터빈부(500)에 공급되는 스팀(H20)을 가열할 수 있다.
도 10을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연료전지 시스템(200)에 대한 제4실시예는 제1열교환부(600)와 제2열교환부(800)를 포함한 도 8 및 도 9와 다른 구성의 예이다.
상기 제1열교환부(600)는 상기 연소기(440)의 배기가스와 상기 기수분리기(4201)에서 상기 터빈부(500)으로 공급되는 스팀을 열교환시킨다. 또한, 상기 제2열교환부(800)는 상기 물탱크(120)에서 상기 기수분리기(4201)로 공급되는 물과 상기 연료전지(210)에서 배출되는 배기가스를 열교환시킨다. 이 경우, 상기 제1열교환부(600)에서 배출되는 상기 연소기(440)의 배기가스는 상기 터빈부(500)로 공급되는 스팀을 가열하는 열원이 되고, 상기 제2열교환부(800)에서 상기 연료전지(210) 배기가스는 상기 기수분리기(4201)로 공급되는 물을 가열하는 열원이 된다. 이에 따라, 상기 기수분리기(4201)에서 상기 터빈부(500)으로 공급되는 스팀은 추가 가열될 수 있고, 또한 상기 물탱크(120)로부터 공급되는 물은 상기 제2열교환부(800)에서 상기 연료전지(210)의 배기가스에 의해 가열되어 스팀(H20)으로 상변화된다. 따라서, 상기 제1열교환부(600)는 상기 터빈부(500)로 공급되는 스팀의 온도를 높일 수 있고, 상기 제2열교환부(800)는 상기 기수분리기(4201)에 공급되는 스팀(H20)의 양을 증가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연료전지 시스템(200)에 대한 제4실시예는 상기 기수분리기(4201)에서 상기 터빈부(500)로 공급되는 스팀의 온도를 높임으로써 터빈부의 발전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연료전지 시스템(200)에 대한 제4실시예는 상기 물탱크(120)에서 상기 기수분리기(4201)로 공급되는 스팀(H20)의 양을 증가시키고 물(액체 상태의 H2O)의 양을 감소시킴으로써, 상기 기수분리기(4201)의 부하를 감소시켜, 상기 기수분리기(4201)의 효율을 높이고 사용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다.
도 11을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연료전지 시스템(200)에 대한 제5실시예는 제1열교환부(600)와 제2열교환부(800)을 포함한 도 8, 도 9 및 도 10과 다른 구성의 예이다.
상기 제1열교환부(600)는 상기 연료전지(210)의 배기가스와 상기 기수분리기(4201)에서 상기 터빈부(500)으로 공급되는 스팀을 열교환시킨다. 또한, 상기 제2열교환부(800)는 상기 물탱크(120)에서 상기 기수분리기(4201)로 공급되는 물과 상기 연소기(440)에서 배출되는 배기가스를 열교환시킨다. 이 경우, 상기 제1열교환부(600)에서 배출되는 상기 연료전지(210)의 배기가스는 상기 터빈부(500)로 공급되는 스팀을 가열하는 열원이 되고, 상기 제2열교환부(800)에서 상기 연소기(440) 배기가스는 상기 기수분리기(4201)로 공급되는 물을 가열하는 열원이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연료전지 시스템(200)에 대한 제5실시예는 제4실시예와 동일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선박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선박의 일례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1 내지 도 12를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선박(900)은 선체(910)에 발전시스템(100)이 설치된다. 상기 발전시스템(100)은 연료전지 시스템(200) 및 디젤엔진 배기시스템(1500)을 포함한다. 상기 연료전지 시스템(200)은 연료전지(210), 수소생성부(400), 터빈부(500), 제1열교환부(600), 복수기(700), 제2열교환부(800) 및 공급부(810)를 포함한다. 상기 디젤엔진 배기시스템(1500)은 디젤엔진(100), 배기리시버(1100), 과급기(1200) 및 이코노마이저(1300)로 구성되며, 디젤연료 공급부(710)와 연결되게 설치된다. 상기 연료전지 시스템(200)은 상기 연료전지(210), 상기 수소생성부(400), 상기 터빈부(500), 상기 열교환부(600), 상기 복수기(700), 상기 제2열교환부(800) 및 상기 공급부(810) 등을 포함한 모든 구성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250)를 포함하여 구현될 수도 있다.
상기 디젤엔진 배기시스템(1500)은 상기 디젤엔진(1000)을 사용하는 발전시스템에 포함되는 구성으로서, 디젤엔진 연소실 내에서 발생하는 질소산화물(NOX) 등과 같은 환경오염물질을 포함하는 배기가스를 정화시키고 배기가스의 열을 회수하여 외부로 배출하는 장치이다. 상기 디젤엔진 배기시스템(1500)은 배기가스에 함유된 질소산화물(NOX) 등을 줄이기 위해 선택적 환원촉매 반응기(Selective Catalytic Reduction, SCR)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디젤엔진 배기시스템(1500)은 디젤엔진에서 배출되는 고온의 배기가스의 폐열을 이용하여 물을 증발시키는 증발기(1301)와 공기를 가열하는 가열기를 포함하는 이코노마이저(1300)를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
상기 디젤연료 공급부(710)는 디젤연료 저장탱크를 포함하며, 상기 디젤연료 저장탱크로부터 상기 디젤엔진 배기시스템(1500)의 상기 디젤엔진(1000)으로 디젤연료를 공급한다. 상기 디젤연료는 해상 가스유(MGO), 해상 디젤유(MDO), 일반 중유(HFO), 메탄올, 디메틸에테르(DME), 및 액화석유가스(LPG) 등이 될 수 있다.
상기 연료전지(210)는 상기 수소생성부(400)로부터 수소가 포함된 연료를 공급받아 전기 화학적 반응을 통해 전기를 생산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연료전지(210)는 개질기(430)로부터 수소가 포함된 연료를 공급받아 전기 화학적 반응을 통해 전기를 생산할 수 있다. 상기 연료전지(210)는 알칼리 연료전지(AFC), 인산형 연료전지(PAFC), 용융탄산염 연료전지(MCFC), 고체산화물 연료전지(SOFC), 고분자전해질 연료전지(PEMFC), 및 직접메탄올 연료전지(DMFC) 중 적어도 하나의 연료전지를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수소생성부(400)는 원료 처리부(410), 원료수 처리부(420), 개질기(430), 및 연소기(440)를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원료 처리부(410)는 상기 원료 공급부(110)에서 원료를 공급받아 전처리한다. 상기 원료수 처리부(420)는 기수분리기(4101) 및 응축기(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소생성부(400)는 상기 원료 공급부(110)로부터 원료를 공급받고, 상기 원료수 공급부(120)로부터 스팀(H20)을 공급받아 상기 연료전지(210)에 필요한 수소가 포함된 연료를 생성한다.
상기 터빈부(500)는 상기 기수분리기(4201)에서 상기 제1열교환부(600)를 거쳐 공급되는 스팀(H2O)으로 전기를 생산한다. 예컨대, 상기 터빈부(500)는 스팀터빈(Steam Turbine)일 수 있다. 상기 터빈부(500)에서 생산된 전기는 전기설비 또는 에너지 저장장치, 예를 들어 배터리로 공급될 수 있다. 상기 터빈부(500)를 거친 스팀(H2O)은 상기 복수기(700)로 공급되어 상기 공기공급부(130)에서 공급되는 공기를 가열하는 열원으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제1열교환부(600)는 상기 기수분리기(4201)와 상기 터빈부(500)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기수분리기(4201)에서 상기 터빈부(500)로 공급되는 스팀(H2O)을 상기 연소기(440)나 상기 연료전지(210)에서 배출되는 배기가스를 열교환시킨다. 이 경우, 상기 연소기(440)나 상기 연료전지(210)에서 배출되는 배기가스는 상기 터빈부(500)에 공급되는 스팀(H2O)을 가열하는 열원이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1열교환부(600)는 상기 터빈부(500)에 공급되는 스팀(H2O)의 양을 증가시켜 상기 터빈부(500)의 전기 생산량을 증가시키고, 상기 발전시스템의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열교환부(600)의 전단에 바이패스(by-pass) 라인을 설치하여, 상기 연료전지(210) 시스템을 사용하지 않는 경우 상기 터빈부(500)에 공급되는 스팀을 가열하는 보일러를 설치함으로써 상기 이코노마이저에서 충분히 가열되지 못한 스팀을 2차 가열함으로써 높은 온도의 스팀이 상기 터빈부(500)으로 공급되도록 하여 전력을 생산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복수기(700)는 상기 터빈부(500)에서 배출되는 스팀(H20)을 냉각시켜 물을 생성한다. 상기 복수기(700)는 상기 공기공급부(130)에서 공급되는 공기를 냉각매체로 사용한다. 이 경우, 상기 복수기(700)에 공급되는 공기는 상기 스팀(H20)과 열교환되어 가열된다. 즉, 상기 복수기(700)는 상기 터빈부(500)에서 배출되는 스팀(H20)을 열원으로 상기 공기공급부(130)에서 공급되는 공기를 가열할 수 있다.
상기 제2열교환부(800)는 상기 물탱크(120)에서 상기 기수분리기(4201)로 공급되는 물과 상기 연소기(440)나 상기 연료전지(210)의 배기가스를 열교환시켜 스팀을 생성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연소기(440)나 상기 연료전지(210)의 배기가스는 상기 기수분리기(4201)로 공급되는 물을 가열하는 열원이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2열교환부(800)는 상기 기수분리기(4201)에 공급되는 스팀(H20)의 양을 증가시킬 수 있다.
상기 공급부(810)는 상기 연료전지(210) 및 상기 제1열교환부(600)를 연결시킨다. 이에 따라, 상기 공급부(810)는 상기 연료전지(210)에서 배출되는 배기가스를 상기 제1열교환부(600)로 공급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기수분리기(4201)에서 상기 터빈부(500)로 공급되는 스팀(H20)은 상기 연료전지(210)에서 배출되는 배기가스에 의해 가열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터빈부(500)는 상기 제1열교환부(600)로부터 공급받는 스팀(H20)의 양이 증가됨에 따라 전기 생산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선박(900)은 다음과 같은 작용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첫째, 본 발명에 따른 선박(900)은 상기 연소기(440)에서 배출되는 배기가스의 폐열을 이용하여 상기 터빈부(500)에 공급되는 스팀(H20)을 가열하도록 구현됨으로써, 종래 가열장치에 공급되는 연료를 전기 생산에 사용할 수 있으므로 전기 생산량을 증가시키고 상기 발전시스템의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둘째, 본 발명에 따른 선박(900)은 상기 연소기(440)에서 배출되는 배기가스의 폐열을 이용하여 상기 터빈부(500)에 공급되는 스팀(H20)을 가열하도록 구현됨으로써, 별도의 가열장치를 생략할 수 있으므로 전기를 생산하는데 소모되는 구축비용을 절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설치공간에 대한 범용성을 높일 수 있다.
셋째, 본 발명에 따른 선박(900)은 상기 제1열교환부(600) 후단에 상기 터빈부(500)를 배치시킴으로써, 상기 연료전지(210)와 별도로 전기를 추가 생산할 수 있으므로 전기 생산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넷째, 본 발명에 따른 선박(900)은 상기 기수분리기(4201)에서 가열되어 상기 터빈부(500)로 공급되는 스팀(H20) 일부를 상기 개질기(430)에 공급할 수 있도록 구현됨으로써, 스팀 생성을 위한 열 공급을 줄임으로써 상기 연료전지 시스템(200)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다섯째, 본 발명에 따른 선박(900)은 상기 연료전지(210)에 공급되는 공기를 가열하도록 구현됨으로써, 상기 연료전지(210)의 적절한 운전온도를 빠른 시간 안에 도달시킬 수 있으므로 비상시 신속하게 전기를 생산할 수 있다.
여섯째, 본 발명에 따른 선박(900)은 상기 원료수 공급부(110)에서 상기 기수분리기(4201)로 공급되는 스팀(H20)의 양을 증가시키고 수분의 양을 감소시킴으로써, 상기 기수분리기(4201)의 부하를 감소시켜 사용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다.
일곱째, 본 발명에 따른 선박(900)은 상기 제1열교환부(600)가 스팀(H20)을 가열하는 열원으로 상기 연소기(440)에서 배출되는 배기가스 및 상기 연료전지(210)에서 배출되는 배기가스 중 적어도 하나의 배기가스를 사용할 수 있도록 구현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선박(900)은 상기 제1열교환부(600)에 공급되는 열원을 조절하여 스팀(H20)을 생성하도록 함으로써 상기 기수분리기(4201)의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도 1 내지 도 12를 참고하면, 상기 선체(910)는 본 발명에 따른 선박(900)의 전체적인 외관을 이룬다. 상기 선체(910)에는 선체(910)를 이동시키기 위한 추진력을 발생시키는 엔진과 상기 엔진에 원료를 공급하는 원료 공급부(110)가 설치된다. 예를 들어, 원료는 탄화수소 계열의 물질로, NG(천연가스), LPG(액화석유가스), 메탄올(CH3OH), 에탄올(C2H5OH), 가솔린, 디메틸에테르, 메탄가스, 수소정제 오프가스, 순수소, 및 해상 가스유(Marine Gas Oil, MGO), 해상 디젤유(Marine Diesel Oil, MDO), 일반 중유(Heavy fuel oil, HFO) 등과 같이 상대적으로 높은 분자량을 갖는 액상 원료 등일 수 있다.
상기 선체(910)에는 원료수를 저장하는 원료수 저장탱크와 상기 원료수 저장탱크로부터 원료수를 공급하는 원료수 공급부(120)가 설치된다. 상기 원료수는 예를 들어, 민물, 또는 해수일 수 있다. 다른 예로, 원료수는 상수, 민물, 해수에서 불순물 제거 처리나 이온제거 처리된 물일 수 있다.
상기 선체(910)에는 상기 연료전지 시스템(200)에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 공급부(130)가 설치된다. 통상적으로 공기는 질소, 산소, 이산화탄소 등을 포함하는 기체를 의미하지만, 본 명세서에서는 공기에서 질소 또는 이산화탄소, 또는 두 기체 등 산소 이외의 모든 기체를 제거한 경우도 포함한다. 상기 공기 공급부(130)는 공기 저장탱크와 상기 공기 저장탱크로부터 공기를 공급하는 장치(예컨대, 블로워)를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 다른 예로, 공기 공급부(130)는 외부공기를 공급받아 압축한 후 압축된 고압의 공기를 공급하거나 외부공기의 불순물 제거 후 상압으로 공급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선체(910)에는 상기 연료전지 시스템(200)에서 나오는 출력전압을 승압 또는 감압하기 위한 DC-DC 컨버터 및 직류전류(DC)를 교류전류(AC)로 변환하는 DC-AC 인버터 등으로 구성된 전력변환부(140)가 설치된다. 상기 전력변환부(140)는 상기 연료전지 시스템(200)으로부터 공급된 전기를 전력부하로 배출한다. 전력부하는, 예를 들어 선박의 경우 선박의 기본 전기설비 및 화물계통 전기설비 등과 같은 선박 내 전기설비일 수 있다. 도시하지 않았지만, 상기 전력변환부(140)는 에너지 저장장치, 예를 들어 배터리로 전기를 공급하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선박"이라는 용어는 수상을 항해하는 구조물을 의미하는 것으로 한정되지 않으며, 수상을 항해하는 구조물뿐만 아니라, 수상에서 부유하며 작업을 수행하는 부유식 원유생산저장하역설비(FPSO) 등과 같은 해상 구조물을 포함한다.
지금까지, 본 명세서에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지닌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이해하고 재현할 수 있도록 도면에 도시한 실시예들을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지닌 자라면 본 발명의 실시예들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 발전시스템
110 : 원료 공급부 120 : 원료수 공급부
130 : 공기 공급부 140 : 전력변환부
200 : 연료전지 시스템
210 : 연료전지 250 : 제어부
400 : 수소생성부 500 : 터빈부
600 : 제1열교환부 700 : 복수기
710 : 디젤연료 공급부 800 : 제2열교환부
810 : 공급부 1000 : 디젤엔진
1500 : 디젤엔진 배기시스템

Claims (8)

  1. 선박으로서,
    디젤엔진 및 상기 디젤엔진의 배기가스의 폐열을 열원으로 이용하는 이코노마이저를 포함하는 디젤엔진 배기시스템;
    상기 디젤엔진 배기시스템과 연동하는 연료전지 시스템; 및
    상기 연료전지 시스템에서 출력되는 직류전류(DC)를 교류전류(AC)로 변환하는 전력변환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료전지 시스템은,
    원료 공급부에서 공급되는 원료를 전처리하는 원료처리부, 원료수 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원료수를 전처리하기 위해 스팀(H20)에서 수분을 분리하는 기수분리기를 포함하는 원료수 처리부, 상기 원료 처리부로부터 공급된 전처리된 연료 및 상기 원료수 처리부로부터 공급된 스팀(H20)을 개질반응시키는 개질기, 및 상기 개질기를 가열하기 위한 연소기를 포함하는 수소생성부;
    상기 수소생성부로부터 수소를 포함하는 연료에 기초하여 전기를 생산하는 연료전지;
    상기 기수분리기에서 공급되는 스팀(H20)으로 전기를 생산하는 터빈부; 및
    상기 터빈부에 공급되는 스팀(H20)을 가열하도록 상기 연소기 또는 상기 연료전지에서 배출되는 배기가스 및 상기 기수분리기에서 공급되는 스팀(H20)을 열교환시키는 제1열교환부를 포함하며,
    상기 이코노마이저는 상기 기수분리기에서 공급되는 물 및 스팀(H2O)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가열하며,
    상기 기수분리기는, 상기 이코노마이저에 의해 생성된 스팀을 상기 개질기 또는 상기 제1열교환부로 분배하는 선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젤엔진 배기시스템은, 상기 디젤엔진에서 배출되는 배기가스를 이용하여 상기 디젤엔진의 출력을 증가시키는 과급기, 상기 과급기를 거친 배기가스의 폐열을 열원으로 이용하는 상기 이코노마이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3. 디젤엔진 및 상기 디젤엔진의 배기가스의 폐열을 열원으로 이용하는 이코노마이저를 포함하는 디젤엔진 배기시스템과 연동하는 연료전지 시스템으로서,
    원료 공급부에서 공급되는 원료를 전처리하는 원료처리부, 원료수 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원료수를 전처리하기 위해 스팀(H20)에서 수분을 분리하는 기수분리기를 포함하는 원료수 처리부, 상기 원료 처리부로부터 공급된 전처리된 연료 및 상기 원료수 처리부로부터 공급된 스팀(H20)을 개질반응시키는 개질기, 및 상기 개질기를 가열하기 위한 연소기를 포함하는 수소생성부;
    상기 수소생성부로부터 수소를 포함하는 연료에 기초하여 전기를 생산하는 연료전지;
    상기 기수분리기에서 공급되는 스팀(H20)으로 전기를 생산하는 터빈부; 및
    상기 터빈부에 공급되는 스팀(H20)을 가열하도록 상기 연소기 또는 상기 연료전지에서 배출되는 배기가스 및 상기 기수분리기에서 공급되는 스팀(H20)을 열교환시키는 제1열교환부를 포함하며,
    상기 기수분리기에서 공급되는 물 및 스팀(H2O) 중에서 적어도 하나는, 상기 이코노마이저에 의해 가열되며,
    상기 기수분리기는, 상기 이코노마이저에 의해 생성된 스팀을 상기 개질기 또는 상기 제1열교환부로 분배하는 연료전지 시스템.
  4. 삭제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열교환부의 전단 및 후단에 연결되게 설치된 바이패스(by-pass) 라인; 및
    상기 바이패스 라인에 설치되고, 상기 기수분리기에서 상기 터빈부로 공급되는 스팀(H20)을 가열하기 위한 보일러를 포함하는 연료전지 시스템.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연료전지에 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공기공급부; 및
    상기 터빈부에서 배출되는 스팀(H20)을 응축시켜 물을 생성하는 복수기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기는 상기 터빈부에서 배출되는 스팀(H20)을 열원으로 하여 상기 공기공급부에서 공급되는 공기를 가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 시스템.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원료수 공급부에서 상기 기수분리기로 공급되는 물 및 상기 연소기 또는 상기 연료전지의 배기가스를 열교환시키는 제2열교환부를 포함하는 연료전지 시스템.
  8.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연료전지 및 상기 제1열교환부를 연결시키는 공급부를 포함하고,
    상기 공급부는 상기 터빈부에 공급되는 스팀(H20)이 가열되도록 상기 연료전지에서 배출되는 배기가스를 상기 제1열교환부로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 시스템.
KR1020150186576A 2015-12-24 2015-12-24 선박 KR1021909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6576A KR102190937B1 (ko) 2015-12-24 2015-12-24 선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6576A KR102190937B1 (ko) 2015-12-24 2015-12-24 선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76925A KR20170076925A (ko) 2017-07-05
KR102190937B1 true KR102190937B1 (ko) 2020-12-15

Family

ID=593523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86576A KR102190937B1 (ko) 2015-12-24 2015-12-24 선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90937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16992A (ja) * 2000-02-01 2001-08-10 Mitsubishi Heavy Ind Ltd 複合発電プラント
KR101422825B1 (ko) * 2013-03-15 2014-07-24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개질가스 발생 장치
KR101572982B1 (ko) * 2014-03-27 2015-11-30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연료전지를 탑재한 선박의 폐열 회수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45350A (ja) * 1995-07-28 1997-02-14 Toshiba Corp 燃料電池発電プラント
JP5374465B2 (ja) * 2010-09-06 2013-12-25 三菱重工業株式会社 発電プラント設備およびこれを備えた船舶ならびに発電プラント設備の運転方法
KR101496716B1 (ko) * 2012-12-05 2015-02-27 두산엔진주식회사 폐열 회수 가능한 선박용 동력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16992A (ja) * 2000-02-01 2001-08-10 Mitsubishi Heavy Ind Ltd 複合発電プラント
KR101422825B1 (ko) * 2013-03-15 2014-07-24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개질가스 발생 장치
KR101572982B1 (ko) * 2014-03-27 2015-11-30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연료전지를 탑재한 선박의 폐열 회수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76925A (ko) 2017-07-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90939B1 (ko) 선박
KR102238761B1 (ko) 선박
KR102153760B1 (ko) 선박
KR102355411B1 (ko) 선박
KR102355412B1 (ko) 연료전지 시스템 및 이를 구비한 선박
KR102175736B1 (ko) 선박
KR102190948B1 (ko) 선박
KR102190938B1 (ko) 선박
KR102153758B1 (ko) 선박
KR102200361B1 (ko) 선박
KR102190941B1 (ko) 선박
KR20170080810A (ko) 선박
KR20170015823A (ko) 선박
KR102190936B1 (ko) 선박
KR102190937B1 (ko) 선박
KR102106656B1 (ko) 선박
KR102190949B1 (ko) 선박
KR102153759B1 (ko) 선박
KR20170076916A (ko) 선박
KR102190934B1 (ko) 선박
KR102252149B1 (ko) 선박
KR102190944B1 (ko) 선박
KR102219830B1 (ko) 선박
KR102190943B1 (ko) 선박
KR102175550B1 (ko) 선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