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90912B1 - IoT 기반 실시간 녹조 측정 시스템 - Google Patents

IoT 기반 실시간 녹조 측정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90912B1
KR102190912B1 KR1020200068174A KR20200068174A KR102190912B1 KR 102190912 B1 KR102190912 B1 KR 102190912B1 KR 1020200068174 A KR1020200068174 A KR 1020200068174A KR 20200068174 A KR20200068174 A KR 20200068174A KR 102190912 B1 KR102190912 B1 KR 1021909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cable
water quality
green algae
ro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681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경진
권봉경
김대만
정남희
허태영
Original Assignee
동문이엔티(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문이엔티(주) filed Critical 동문이엔티(주)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909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909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17Systems in which incident light is modified in accordance with the properties of the material investigated
    • G01N21/25Colour; Spectral properties, i.e. comparison of effect of material on the light at two or more different wavelengths or wavelength bands
    • G01N21/31Investigating relative effect of material at wavelengths characteristic of specific elements or molecules, e.g. atomic absorption spectrometry
    • G01N21/314Investigating relative effect of material at wavelengths characteristic of specific elements or molecules, e.g. atomic absorption spectrometry with comparison of measurements at specific and non-specific wavelength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18Wate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WMETEOROLOGY
    • G01W1/00Meteorology
    • G01W1/02Instruments for indicating weather conditions by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e.g. humidity, pressure, temperature, cloud cover or wind spee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20/00Water conservation; Efficient water supply; Efficient water use
    • Y02A20/152Water filtr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20/00Water conservation; Efficient water supply; Efficient water use
    • Y02A20/20Controlling water pollution; Waste water treatme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90/00Technologies having an indirect contribution to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90/1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supporting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e.g. for weather forecasting or climate simulat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arket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Pathology (AREA)
  • Immunolog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Atmospheric Science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Ec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Optical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대상 유역의 수면 상에 부상되는 부체부; 상기 부체부 상에 결합되며, 상부와 하부가 개방된 설치 공간부가 형성된 몸체부; 상기 설치 공간부에 고정 설치되는 윈치부; 상기 몸체부 상에 결합된 설치 고정부; 상기 설치 고정부에 설치되며, 수면을 촬영하는 영상 촬영부; 상기 설치 고정부에 설치되며, 기상 정보를 측정하는 기상 측정부; 상기 윈치부에 의해 높낮이 조절이 이루어지며, 수심별 수질 상태를 측정하는 다항목 수질 측정부; 상기 영상 촬영부, 기상 측정부 및 다항목 수질 측정부로부터 측정된 정보를 외부로 전송하는 통신부; 및 상기 통신부로부터 제공된 상기 영상 촬영부, 기상 측정부 및 다항목 수질 측정부의 정보를 기초로 대상 유역의 수질 상태를 판단하는 서버부를 포함하는 IoT 기반 실시간 녹조 측정 시스템을 제공한다.

Description

IoT 기반 실시간 녹조 측정 시스템{REAL TIME WATER-BLOOM MEASUREMENT SYSTEM BASED INTERNET OF THINGS}
본 발명은 IoT 기반 실시간 녹조 측정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실시간으로 대상 유역의 녹조 상태를 모니터링하도록 이루어진 IoT 기반 실시간 녹조 측정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비점오염물질(non-point source contaminant)은 비특정(非特定) 오염물질, 면(面) 오염물질, 이동 오염물질 또는 기타수질 오염물질이라고도 하는데, 도시, 도로, 농지, 산지, 공사장 등의 불특정장소에서 불특정하게 수질 오염물질을 배출하는 배출원인 비점오염원으로부터 배출되는 오염물질을 통칭한다.
점오염물질이 특정한 배출경로를 가진 것과는 달리 비점오염물질은 도시노면배수나 농경지배수와 같이 불특정한 배출경로를 통해 발생된다.
특히, 하천이나 저수지, 댐 등과 같은 지류나 지천에서의 수질오염은 축산분뇨나 공장폐수, 생활하수의 무분별한 방류가 주원인이며, 공장폐수와 축산분뇨의 무단방류에 의한 오염이 총 수질오염원의 70% 이상을 차지하고 있다.
이러한 수질오염에 대한 문제를 개선하여 정화된 수질을 확보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지류나 지천의 오염된 물에 대해 수질을 측정하기 위한 기술들이 다양하게 제안되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기존 측정기술의 경우에는 대규모 장비로 이루어져 있어 본류에만 국한되어 설치될 수 밖에 없다. 이에, 다양한 대상 유역에 대해 수질 상태를 실시간으로 파악하기에는 어려움이 있다.
선행문헌 1 : 한국등록특허 제10-1663163호(2016.09.29)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실시간으로 대상 유역의 녹조 상태를 모니터링하도록 이루어진 IoT 기반 실시간 녹조 측정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대상 유역의 수면 상에 부상되는 부체부; 상기 부체부 상에 결합되며, 상부와 하부가 개방된 설치 공간부가 형성된 몸체부; 상기 설치 공간부에 고정 설치되는 윈치부; 상기 몸체부 상에 결합된 설치 고정부; 상기 설치 고정부에 설치되며, 수면을 촬영하는 영상 촬영부; 상기 설치 고정부에 설치되며, 기상 정보를 측정하는 기상 측정부; 상기 윈치부에 의해 높낮이 조절이 이루어지며, 수심별 수질 상태를 측정하는 다항목 수질 측정부; 상기 영상 촬영부, 기상 측정부 및 다항목 수질 측정부로부터 측정된 정보를 외부로 전송하는 통신부; 및 상기 통신부로부터 제공된 상기 영상 촬영부, 기상 측정부 및 다항목 수질 측정부의 정보를 기초로 대상 유역의 수질 상태를 판단하는 서버부를 포함하는 IoT 기반 실시간 녹조 측정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서버부는, 외부의 접속을 제어하는 접속 인증부; 상기 통신부로부터 전달된 정보를 기초로 대상 유역의 수질 상태를 판단하는 녹조 예측 분석부; 및 상기 녹조 예측 분석부로부터 분석된 결과값을 미리 정해진 사용자 단말기로 제공하는 알림부를 포함하며, 상기 녹조 예측 분석부는, 기 분석된 분석 평가 자료가 저장된 데이터 저장부; 상기 통신부로부터 전달되는 정보를 제공받는 정보 수신부; 및 상기 정보 수신부로부터 제공된 자료를 기초로 상기 데이터 저장부로부터 분석 알고리즘을 도출하여 대상 유역의 수질 상태를 판단하는 분석 알고리즘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윈치부는, 이격된 상태로 한 쌍을 이루며 상기 설치 공간부에 설치되는 고정 프레임; 상기 고정 프레임으로부터 미리 정해진 각도를 이루며 상기 고정 프레임에 결합되는 제1 지지 프레임; 상기 고정 프레임에 지지되며, 케이블이 권취된 와인더부; 상기 와인더부를 선택적으로 회전시키는 회전 제어부; 이격된 상기 제1 지지 프레임을 연결하는 이동 가이드바; 상기 이동 가이드바가 삽입되는 가이드홀이 형성되며, 상기 이동 가이드바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되는 롤러 지지부; 상기 롤러 지지부에 지지 고정되며, 케이블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 롤러; 상기 롤러 지지부에 지지 고정되되, 상기 가이드 롤러의 하부에 구비되며 상기 가이드 롤러와 함께 케이블의 이동을 안내하는 케이블 안내 롤러; 상기 제1 지지 프레임으로부터 연장되는 제2 지지 프레임; 이격된 상기 제2 지지 프레임의 일단부를 연결하는 제1 고정바와, 이격된 상기 제2 지지 프레임의 타단부를 연결하는 제2 고정바를 갖는 고정 지지바; 및 상기 제2 지지 프레임에 결합되되, 상기 제1 고정바와 제2 고정바 사이에 구비되며 케이블의 이동을 안내하는 제1 줄꼬임 방지롤러와 제2 줄꼬임 방지롤러를 갖는 줄꼬임 방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고정바와 제1 줄꼬임 방지롤러 사이에는 제1 이동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제1 줄꼬임 방지롤러와 제2 줄꼬임 방지롤러 사이에는 제2 이동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제2 줄꼬임 방지롤러와 제2 고정바 사이에는 제3 이동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 롤러로부터 안내된 케이블은 상기 제1 이동공간으로 이동된 후, 상기 제1 줄꼬임 방지롤러를 감싸며 상향하여 상기 제2 이동공간으로 이동되고, 상기 제2 이동공간으로 이동된 케이블은 상기 제2 줄꼬임 방지롤러를 감싸며 하향하여 상기 제3 이동공간으로 이동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이동공간의 폭은 케이블의 굵기에 비해 3배 이상으로 형성되어 케이블의 권취 또는 풀림 작업시, 상기 제1 이동공간에서의 걸림 발생을 방지하도록 이루어지고, 상기 제3 이동공간의 폭은 케이블의 굵기에 비해 1.2 ~ 1.5배로 형성되어 상기 제3 이동공간의 폭 사이에서의 케이블의 이동을 제한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다항목 수질 측정부는 상부에 배치되는 상한 리미트부와 하부에 배치되는 하한 리미트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다항목 수질 측정부가 수심별 수질 상태를 파악 과정에서 1차로 상기 몸체부에 고정 설치된 수심 측정기를 통해 전체 수심을 감지하여 상기 윈치부에 구비된 케이블의 풀림 길이를 조절하고, 2차로 상기 하한 리미트부를 통해 상기 다항목 수질 측정부의 측정 위치를 감지하도록 이루어지고, 상기 영상 촬영부는 다분광 센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에 지지되며, 태양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하는 태양광 모듈을 더 포함하며, 상기 태양광 모듈로부터 발생되는 전기에너지는 상기 몸체부의 배터리 수용부에 수용된 배터리로 공급될 수 있다.
상기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IoT 기반 실시간 녹조 측정 시스템의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르면, 서버부는 수중의 수질 상태를 측정하는 다항목 수질 측정부와, 수면의 수질 상태를 측정하는 영상 촬영부 및 기상 상태를 측정하는 기상 측정부로부터 제공된 측정된 측정 정보를 기반으로 해당 유역의 수질오염 여부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윈치부에는 줄꼬임 방지부가 구비되어 해당 유역의 유속으로 인한 케이블의 꼬임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IoT 기반 실시간 녹조 측정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서버부의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녹조 예측 분석부의 알고리즘 도출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녹조 측정장치를 정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녹조 측정장치를 후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일측의 태양광 모듈을 제거한 녹조 측정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녹조 측정장치에 구비된 윈치부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이드 롤러와 케이블 안내 롤러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따라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상부와 하부는 대상부재의 위 또는 아래에 위치함을 의미하는 것으로, 반드시 중력방향을 기준으로 상부 또는 하부에 위치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IoT 기반 실시간 녹조 측정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서버부의 구성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녹조 예측 분석부의 알고리즘 도출 예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녹조 측정장치를 정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녹조 측정장치를 후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일측의 태양광 모듈을 제거한 녹조 측정장치의 사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녹조 측정장치에 구비된 윈치부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이드 롤러와 케이블 안내 롤러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IoT 기반 실시간 녹조 측정 시스템(3000)은 녹조 측정장치(1000)와 서버부(2000)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녹조 측정장치(1000)에는 다항목 수질 측정부(1700), 영상 촬영부(1500) 및 기상 측정부(1600)가 구비되어 측정이 요구되는 대상 유역의 수질 상태를 측정할 수 있다.
이렇게 녹조 측정장치(1000)에 구비된 다항목 수질 측정부(1700), 영상 촬영부(1500) 및 기상 측정부(1600)로부터 측정된 다양한 측정 정보는 통신부(1800)를 통해 서버부(2000)로 제공될 수 있다.
그리고 서버부(2000)는 녹조 측정장치(1000)로부터 제공된 다양한 측정 정보를 기초로 대상 유역의 수질 상태를 판단하게 된다. 즉, 서버부(2000)는 예를 들어 대상 유역의 녹조 상태가 심각한 상태인지, 양호한 상태인지 등을 파악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서버부(2000)는 녹조 예측 분석부(2100), 접속 인증부(2200) 및 알림부(230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녹조 예측 분석부(2100)는 녹조 측정장치(1000)로부터 제공된 다양한 정보를 기초로 대상 유역의 수질 상태를 판단하게 된다.
이러한 녹조 예측 분석부(2100)는 정보 수신부(2110), 데이터 저장부(2120) 및 분석 알고리즘부(213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정보 수신부(2110)는 녹조 측정장치(1000)에 구비된 통신부(1800)와 통신 가능하도록 이루어져, 녹조 측정장치(1000)로부터 측정된 정보를 제공받도록 이루어진다.
그리고 분석 알고리즘부(2130)는 정보 수신부(2110)로 제공된 다양한 정보를 통해 녹조 측정장치(1000)가 위치하는 해당 유역의 수질 상태를 판단하게 된다.
이러한 분석 알고리즘부(2130)는 데이터 저장부(2120)에 기 저장된 다양한 측정 분석 자료를 기반으로 최적의 분석 알고리즘을 도출하여 녹조 측정장치(1000)가 위치하는 해당 유역의 수질 상태를 정확히 판단하게 된다.
도 3을 참조하면, 데이터 저장부(2120)에 기 저장된 다양한 측정 분석 자료는 예로 이전에 분석평가가 이루어진 자료일 수 있다.
이러한 데이터 저장부(2120)에 저장된 자료는 예를 들어 녹조 측정장치(1000)에 구비된 다항목 수질 측정부(1700), 영상 촬영부(1500) 및 기상 측정부(1600)가 측정한 정보를 기초로 분석 알고리즘부(2130)가 분석한 분석 평가 자료와, 실제 해당 유역에 존재하는 시료 샘플의 결과값을 비교한 자료일 수 있다. 다시 말해서, 데이터 저장부(2120)에 기 저장된 다양한 측정 분석 자료는 분석 알고리즘부(2130)의 다양한 녹조 예측 방법을 통해 구해진 분석 평가 자료와 실제 샘플과의 결과값을 비교한 것으로, 분석 알고리즘부(2130)가 최적의 수질 상태를 예측 판단하도록 이루어진 빅데이터일 수 있다.
여기서 분석 알고리즘부(2130)가 해당 유역의 녹조 상태를 예측하는 방법으로는, 다양한 녹조 예측 방법이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분석 알고리즘부(2130)는 기계학습 방법 중 SVR(Support Vector Regression)을 통해 해당 유역의 녹조 상태를 예측할 수도 있다.
이러한 SVR 분석 방법은 SVM(Support Vector Machine)을 회귀문제 영역의 해결을 위해 확장한 모형으로, 도 3의 (a)에서와 같이 SVR은 가장 가까운 훈련용 자료까지의 거리(마진)를 가장 크게 하는 초평면을 찾는 것을 목적으로 하며, 학습을 통해 최적의 초평면을 찾았을 때 새로운 자료에 대한 예측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진다.
그리고 분석 알고리즘부(2130)는 랜덤포레스트(Random Forest)를 통해 해당 유역의 녹조 상태를 예측할 수도 있다. 여기서 랜덤포레스트 분석 방법은 앙상블(ensemble) 방법의 일종으로 앙상블 방법은 재표본(resampling) 기법을 이용하여 여러개의 모형에 의한 결과를 종합하여 단일 모형보다 더 나은 성능을 갖도록 모형을 구축하는 방법이다. 도 3의 (b)에서 보는 바와 같이, 랜덤 포레스트는 다수의 샘플 자료들로 회귀나무 (Regression tree) 모형들을 구축하고, 이때 변수의 랜덤화를 통해 각각의 나무들이 조금씩 다른 특성을 갖게 하며 나무들의 평균값을 예측 결과로 얻도록 이루어진다.
그리고 분석 알고리즘부(2130)는 인공신경망(Artificial Neural Network)을 통해 해당 유역의 녹조 상태를 예측할 수도 있다. 여기서 인공신경망 분석 방법은 인간 두뇌의 세포구조를 공학적으로 모델링한 모형으로 최근 연구에서 가장 주목받는 모형이다. 도 3의 (c)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인공신경망의 입력자료는 개별신호의 강도에 따라 가중치가 곱해지며 내부 함수를 통해 출력값이 계산된다. 이러한 인공신경망 모델은 모형을 통한 출력값과 실제 출력값의 차이를 줄이기 위해 가중치를 조절하는 학습 알고리즘인 델타 규칙과 오류 역전파 학습을 이용하여 예측 결과를 얻도록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분석 알고리즘부(2130)는 앞서 설명된 SVR 분석 방법, 랜덤포레스트 분석 방법 및 인공신경망 분석 방법 등의 다양한 분석 방법을 종합적으로 이용하여 해당 유역에 대한 최적의 녹조 상태를 예측하게 된다. 이러한 분석 알고리즘부(2130)는 반드시 상기에서 언급된 방법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보다 정확한 예측 결과를 얻을 수 있다면 어떠한 방법이라도 함께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여기서 분석 알고리즘부(2130)는 녹조 측정장치(1000)에 구비된 다항목 수질 측정부(1700)로부터 제공되는 수질에 대한 다양한 수질 정보와, 영상 촬영부(1500)로부터 제공되는 수면에 대한 정보 및 기상 측정부(1600)로부터 제공되는 해당 지역의 기후 정보를 종합적으로 함께 분석한 후, 해당 상황에 가장 적합한 분석 알고리즘을 도출한 후, 도출된 분석 알고리즘을 통해 해당 유역에 대한 정확한 녹조 상태를 예측하게 된다.
이러한 분석 알고리즘부(2130)는 단순 하나의 자료만으로 녹조 측정장치(1000) 주변의 녹조 상태를 예측하는 것이 아니라, 수질 측정 자료와 기상 자료 간의 기상과 수질 간의 인과관계 분석과, 수면의 촬영 자료와 기상 자료 간의 수면 영상과 기상 간의 인과관계 분석 및 수질과 수면과의 인과관계 분석 등의 다양한 분석을 통해 도출된 최적의 분석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해당 유역에 대한 보다 정확한 녹조 상태를 실시간으로 분석하도록 이루어진다.
다시 말해서, 분석 알고리즘부(2130)는 정보 수신부(2110)로부터 제공된 자료를 기초로 그에 부합되는 데이터 저장부(2120)에 기 분석된 분석 평가 자료를 통해 최적의 분석 알고리즘을 도출하여 대상 유역의 수질 상태를 판단하게 된다.
한편, 접속 인증부(2200)는 인증된 외부 기기만이 서버부(2000)에 접속될 수 있도록 통제한다. 이에, 예를 들어 인증된 사용자 단말기(1)를 보유하고 있는 사용자는 외부에서도 서버부(2000) 접속을 통해 간편하게 녹조 측정장치(1000)가 위치하는 지역의 녹조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접속 인증부(2200)와 통신 가능하도록 이루어진 사용자 단말기(1)는 예를 들어, 문자입력이 가능한 입력 장치와 화면상에 표시 가능한 출력장치가 구비된 장치라면 어떠한 장치라도 상관없다.
이러한 사용자 단말기(1)는 예로 휴대폰, 스마트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태블릿 PC 등과 같이 터치 스크린 패널이 구비된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일 수도 있고, 데스크탑 PC, 태블릿 PC, 랩탑 PC, 셋탑 박스를 포함하는 IPTV 등과 같이 애플리케이션을 설치하고 실행할 수 있는 기반이 마련된 장치일 수도 있다.
이와 같은 사용자 단말기(1)는 접속 인증부(2200)에 접속 가능한 전용 프로그램이 설치된 사용자 단말기(1)에 한해서 접속 가능하도록 이루어진다.
그리고 사용자 단말기(1)를 이용하여 접속 인증부(2200)에 접속하는 경우, 미리 지정된 고유의 아이디(ID)와 패스워드(PW)를 부여받은 사용자만이 접속 인증부(2200)에 접속 가능하도록 이루어진다. 이는, 서버부(2000)의 사용 및 관리상 보안을 위함이다.
이러한 사용자 단말기(1)를 비롯한 서버부(2000) 및 녹조 측정장치(1000)는 인터넷망, 인트라넷망, 이동통신망 및 위성 통신망 등 다양한 유무선 통신 기술을 이용하여 인터넷 프로토콜로 데이터의 송수신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진다.
여기서 통신망은 LAN(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등의 폐쇄형 네트워크, 인터넷(Internet)과 같은 개방형 네트워크뿐만 아니라,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LTE(Long Term Evolution), EPC(Evolved Packet Core) 등의 네트워크와 향후 구현될 차세대 네트워크 및 컴퓨팅 네트워크를 통칭하는 개념일 수 있다.
그리고 알림부(2300)는 분석 알고리즘부(2130)로부터 분석된 결과값이 미리 정해진 범위 이상인 경우(예를 들어 녹조 측정장치 주변의 녹조 상태가 나쁨 또는 매우 나쁨인 경우)에 미리 정해진 사용자 단말기(1)로 해당 정보를 제공하도록 이루어질 수도 있다.
도 4 내지 도 8을 참고하면, 녹조 측정장치(1000)는 부체부(1100), 몸체부(1200), 윈치부(1300), 설치 고정부(1400), 영상 촬영부(1500), 기상 측정부(1600), 다항목 수질 측정부(1700), 통신부(1800) 및 태양광 모듈(1900)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부체부(1100)는 폰툰(pontoon)과 같은 수상 플랫폼을 의미할 수 있으며, 비점오염물질이 포함된 대상 유역의 수질을 측정하기 위하여 대상 유역의 수면 상에 부상하도록 구비되는 부상 부재를 의미할 수 있다. 이때, 비점오염물질이란 수산물양식시설, 골프장시설, 농지 및 제품야적장 등과 같은 비점오염원에서 발생하는 수질오염물질을 의미할 수 있다.
이것은 생활하수, 산업폐수 및 축산폐수와 같이 오염물질이 특정한 지점에서 발생하는 점오염물질과 달리, 비점오염물질은 도시노면배수나 농경지 배수와 같이 불특정한 배출경로를 통해 발생될 수 있으며, 상기와 같이 비점오염물질이 포함되는 대상 유역의 수질을 측정하는 부표 부재가 구비될 수 있다.
대상 유역은 지류, 지천 등의 수심이 얕고 폭이 좁은 유역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는 자연 하천, 지류, 지천의 수질을 측정하는 데에 적용될 수 있다.
그리고 몸체부(1200)는 부체부(1100) 상에 결합된다. 이러한 몸체부(1200)는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한 쌍을 이루며 이격된 배치된 부체부(1100) 상에 안정적으로 지지 고정된다.
이와 같은 몸체부(1200)에는 상부와 하부가 개방된 설치 공간부(1210)가 형성된다. 이러한 설치 공간부(1210)에는 윈치부(1300)가 설치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몸체부(1200)에는 배터리 수용부(1220)가 구비된다. 따라서, 배터리 수용부(1220) 내에 수용된 배터리(미도시)는 녹조 측정장치(1000)에 구비된 다양한 구성품으로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이러한 배터리는 태양광 모듈(1900)로부터 공급되는 전기 에너지를 저장하도록 이루어진다.
또한, 몸체부(1200)에는 배터리 수용부(1220) 이외에 예를 들어, 통신부(1800)인 RTU 장비이외에 블랙박스가 수용될 수 있는 수용 공간이 더 마련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윈치부(1300)는 설치 공간부(1210)에 설치되며, 다항목 수질 측정부(1700)의 높낮이를 선택적으로 조절하도록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윈치부(1300)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은 후술하기로 한다.
그리고 설치 고정부(1400)는 몸체부(1200) 상에 결합된다. 이러한 설치 고정부(1400)는 녹조 측정장치(1000)의 주변을 촬영하는 영상 촬영부(1500), 기상 정보를 측정하는 기상 측정부(1600)를 안정적으로 지지하도록 이루어진다. 여기서 설치 고정부(1400)에는 녹조 측정장치(1000)의 존재 여부를 주변으로 알리기 위한 경광등(1410)과 광량 센서(142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녹조 측정장치(1000) 주변의 수면 상태를 촬영하는 영상 촬영부(1500)는 다분광 센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은 다분광 센서는 예를 들어, RGB 기반으로 수면의 녹조 상태를 파악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으며, 최소 64지점 이상의 목표 지점을 선정하여 해당 목표 지점을 촬영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이는, 더욱 정확한 수면의 녹조 상태를 파악하기 위함이다.
이러한 영상 촬영부(1500)는 반드시 다분광 센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수면의 영상을 보다 정확히 촬영할 수 있다면 어떠한 것이라도 사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기상 측정부(1600)는 녹조 측정장치(1000) 주변의 기상 상태를 측정하도록 이루어진다. 이러한 기상 측정부(1600)는 예를 들어, 풍향, 풍속, 온도, 습도 및 일사량 등 기상과 관련된 다양한 자료를 획득하도록 이루어진다.
그리고 다항목 수질 측정부(1700)는 윈치부(1300)에 의해 높낮이 조정이 이루어지며, 수심별 수질 상태를 파악하게 된다. 이러한 다항목 수질 측정부(1700)는 예를 들면 수온, 전기 전도도, 탁도(SS; 부유물질 농도), pH 및 DO 등의 다양한 수질 상태를 측정할 수 있다. 이러한 다항목 수질 측정부(1700)로부터 측정되는 항목은 상기 언급된 것으로만 한정되지는 않는다.
이와 같은 다항목 수질 측정부(1700)에는 상한 리미트부(1710)와 하한 리미트부(1720)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상한 리미트부(1710)와 하한 리미트부(1720)는 다항목 수질 측정부(1700)의 높낮이 조정이 이루어짐에 있어, 다항목 수질 측정부(1700)의 정확한 위치를 파악하도록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한 리미트부(1710)는 스토퍼 형태를 이루며 다항목 수질 측정부(1700)의 상부에 구비되어, 윈치부(1300)가 다항목 수질 측정부(1700)를 감으며 들어 올릴 시, 다항목 수질 측정부(1700)의 상한 리미트 위치를 파악하도록 이루어진다. 다시 말해서, 윈치부(1300)는 상한 리미트부(1710)로부터 제공되는 위치 정보를 통해 다항목 수질 측정부(1700)가 상한 지점까지 감겨질 경우, 케이블(C)의 감김을 멈추도록 이루어진다.
그리고 하한 리미트부(1720)는 다항목 수질 측정부(1700)의 일측에 구비되되, 하면은 다항목 수질 측정부(1700)의 하면보다 아래에 배치된다. 이러한 하한 리미트부(1720)에는 바닥 감지 센서가 구비되어, 다항목 수질 측정부(1700)로부터 바닥면까지의 거리를 측정하거나 하부의 존재하는 이물질 등을 감지하도록 이루어진다.
한편, 녹조 측정장치(1000)에는 몸체부(1200)에 고정 설치된 수심 측정기(143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수심 측정기(140)는 녹조 측정장치(1000)가 위치하는 해당 위치의 수심을 측정하도록 이루어진다.
이에, 다항목 수질 측정부(1700)를 통해 수심별로 수질 상태를 파악함에 있어, 먼저 수심 측정기(1430)를 통해 전체 수심을 감지하여 윈치부(1300)에 구비된 케이블(C)의 풀림 길이를 조절하게 된다. 다음으로 하한 리미트부(1720)를 통해 다항목 수질 측정부(1700)의 측정 위치를 감지하게 된다. 이에, 다항목 수질 측정부(1700)는 해당 수심별 수질 상태를 정확히 파악할 수 있다.
그리고 통신부(1800)는 영상 촬영부(1500), 기상 측정부(1600) 및 다항목 수질 측정부(1700)로부터 측정된 측정 자료를 서버부(2000)로 전송하도록 이루어진다. 이러한 통신부(1800)는 녹조 측정장치(1000)의 위치 정보도 함께 서버부(2000)로 전송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태양광 모듈(1900)은 몸체부(1200)에 지지된다.
이러한 태양광 모듈(1900)은 복수개의 집광판(1910)을 통해 에너지를 생산하게 된다. 즉, 태양광 모듈(1900)은 입사한 태양광의 태양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시켜, 생성된 에너지를 배터리로 공급하게 된다.
여기서 집광판(1910)이 부착된 덮개부(1920)는 중앙으로부터 외측으로 갈수록 낮아지는 기울기를 갖도록 대칭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기울기는 집광판(1910)의 평평한 면에 태양광이 수직으로 입사되도록 함으로써 태양에너지의 집광율을 극대화시키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와 같이, 녹조 측정장치(1000)에 태양광 모듈(1900)이 구비된 경우, 장기간 외부에서 녹조 측정장치(1000)를 운영하거나 전원 공급이 어려운 지역에서 녹조 측정장치(1000)를 운영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윈치부(1300)는 다항목 수질 측정부(1700)의 높낮이를 선택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 이러한 윈치부(1300)는 해당 유역의 유속에 의해 케이블(C)의 꼬임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윈치부(1300)는 고정 프레임(1311), 제1 지지 프레임(1312), 제2 지지 프레임(1313), 와인더부(1320), 회전 제어부(1330), 이동 가이드바(1340), 롤러 지지부(1350), 가이드 롤러(1360), 케이블 안내 롤러(1370), 고정 지지바(1381, 1382) 및 줄꼬임 방지부(139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고정 프레임(1311)은 이격된 상태로 한쌍을 이루며, 설치 공간부(1210)에 고정 설치된다.
그리고 제1 지지 프레임(1312)은 고정 프레임(1311)과 같이 한 쌍을 이루되, 고정 프레임(1311)의 내측에 구비된다. 이러한 제1 지지 프레임(1312)은 고정 프레임(1311)으로부터 미리 정해진 각도(A)를 이루며 고정 프레임(1311)에 결합된다. 이때, 제1 지지 프레임(1312)과 고정 프레임(1311)의 결합 각도(A)는 40 ~ 50°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제1 지지 프레임(1312)은 고정 프레임(1311)으로부터 상기와 같은 결합 각도(A) 범위로 결합됨에 따라 와인더부(1320)로부터 풀려지는 케이블(C)은 꼬임이 방지된 상태에서 수중으로 부드럽게 안내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지지 프레임(1312)과 고정 프레임(1311)의 결합 각도(A)가 40 ~ 50°를 벗어날 경우, 이동중인 케이블(C)이 급격하게 꺽이게 되어 케이블(C)이 파손될 수 있다. 또는, 케이블(C)의 부드러운 이동에 제약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제1 지지 프레임(1312)과 고정 프레임(1311)의 결합 각도(A)는 40 ~ 50°로 이루어진 상태에서 케이블(C)의 이동이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와인더부(1320)는 고정 프레임(1311)에 지지된다.
이러한 와인더부(1320)는 회전 제어부(1330)에 의해 정회전 또는 역회전이 이루어지며, 와인더부(1320)에 케이블(C)을 감거나 와인더부(1320)에 감긴 케이블(C)을 풀 수 있다. 여기서 회전 제어부(1330)는 모터일 수 있다.
한편, 이동 가이드바(1340)는 이격된 제1 지지 프레임(1312)을 지지하도록 이루어진다. 이러한 이동 가이드바(1340)는 제1 지지 프레임(1312)을 지지함과 동시에 롤러 지지부(1350)의 이동 방향을 안내하도록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이동 가이드바(1340)는 복수개로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이동 가이드바(1340)가 2개인 형태를 예로 설명하고 있다. 이렇게 이동 가이드바(1340)가 복수개로 구비됨에 따라 롤러 지지부(1350)는 이동 가이드바(1340)를 따라 안정적으로 이동될 수 있다.
그리고 롤러 지지부(1350)에는 이동 가이드바(1340)가 삽입되는 가이드홀(1351)이 형성된다. 이와 같은 롤러 지지부(1350)는 이동 가이드바(1340)를 따라 이동되며, 와인더부(1320)에 권취되어 있는 케이블(C)이 더욱 효과적으로 풀릴 수 있도록 한다. 또는, 와인더부(1320)에 케이블(C)을 권취할 경우, 와인더부(1320)에 효과적으로 케이블(C)이 권취될 수 있도록 이동이 이루어진다.
이러한 롤러 지지부(1350)는 특정의 제어수단(미도시)에 의해 롤러 지지부(1350)의 좌, 우 이동이 선택적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롤러 지지부(1350)는 미리 정해진 시간 단위로 일측에 배치되는 제1 지지 프레임(1312)과 마주보는 타측에 배치된 제1 지지 프레임(1312)으로 좌, 우 이동이 이루어질 수도 있다.
그리고 가이드 롤러(1360)는 롤러 지지부(1350)에 지지 고정된다. 이러한 가이드 롤러(1360)는 와인더부(1320)로부터 풀려지는 케이블(C)을 제1 줄꼬임 방지롤러(1391)로 안내하거나, 와인더부(1320)가 케이블(C)을 권취할 시 제1 줄꼬임 방지롤러(1391)로부터 이동되는 케이블(C)을 와인더부(1320)로 안내하도록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가이드 롤러(1360)의 외측면은 케이블(C)과 대응되는 환형의 홈 형태를 이루어 케이블(C)의 이탈을 방지함과 동시에 케이블(C)의 안정적인 이동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진다.
그리고 케이블 안내 롤러(1370)는 가이드 롤러(1360)의 하부에 구비되며, 가이드 롤러(1360)와 함께 케이블(C)의 이동을 안내하게 된다. 이러한 케이블 안내 롤러(1370)는 가이드 롤러(1360)와 같이 롤러 지지부(1350)에 결합된 상태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이루어진다.
여기서 가이드 롤러(1360)와 케이블 안내 롤러(1370)의 이격 거리는 케이블(C)의 굵기와 대응되도록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이는, 케이블(C)이 가이드 롤러(1360)와 케이블 안내 롤러(1370) 사이를 경유하여 이동됨에 있어, 케이블(C)의 흔들림 발생을 최소화하기 위함이다. 또한, 가이드 롤러(1360)와 케이블 안내 롤러(1370)는 케이블(C)의 풀림 또는 감김시, 케이블(C)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롤러 지지부(1350)에 결합된 가이드 롤러(1360)와 케이블 안내 롤러(1370)는 롤러 지지부(1350)와 함께 이동 가이드바(134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될 수 있다. 따라서, 케이블(C)의 풀림 또는 감김 작업시, 케이블(C)의 풀림 또는 감김 작업은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와인더부(1320)에 권취되는 케이블(C)은 와인더부(1320)의 폭 방향 전체에 걸쳐 균일하게 권취되어 있기에, 가이드 롤러(1360)와 케이블 안내 롤러(1370)는 선택적인 좌, 우 이동이 이루어지며, 케이블(C)의 풀림 또는 감김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한다.
한편, 제2 지지 프레임(1313)은 제1 지지 프레임(1312)으로부터 연장설치된다. 이와 같은 제2 지지 프레임(1313)은 제1 지지 프레임(1312)과 같이 미리 정해진 간격을 이루며 이격 설치된다.
이러한 제2 지지 프레임(1313)에는 제2 지지 프레임(1313)의 길이 방향을 따라 위치 조절홀(1314)이 형성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제2 지지 프레임(1313)에 설치 고정되는 제1 줄꼬임 방지롤러(1391)와 제2 줄꼬임 방지롤러(1392)의 설치 위치를 선택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
그리고 고정 지지바(1381, 1382)는 한 쌍을 이루며 이격 배치된 제2 지지 프레임(1313)을 지지 고정하게 된다.
이러한 고정 지지바(1381, 1382)는 제1 고정바(1381)와 제2 고정바(1382)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고정바(1381)는 이격된 제2 지지 프레임(1313)의 일단부를 연결하도록 이루어지고, 제2 고정바(1382)는 이격된 제2 지지 프레임(1313)의 타단부를 연결하도록 이루어진다.
그리고 줄꼬임 방지부(1390)는 제2 지지 프레임(1313)에 설치되되, 제1 고정바(1381)와 제2 고정바(1382) 사이에 배치된다.
이와 같은 줄꼬임 방지부(1390)는 제1 줄꼬임 방지롤러(1391)와 제2 줄꼬임 방지롤러(139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줄꼬임 방지부(1390)는 케이블(C)의 풀림 또는 감김 작업이 이루어짐에 있어, 케이블(C)의 줄꼬임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특히나, 줄꼬임 방지부(1390)는 해당 유역의 유속에 의해 케이블(C)의 꼬임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이루어진다.
여기서 제1 줄꼬임 방지롤러(1391)는 제1 고정바(1381) 측에 가까이 배치되고, 제2 줄꼬임 방지롤러(1392)는 제2 고정바(1382) 측에 가까이 배치된다. 이와 같이, 제2 지지 프레임(1313)에 고정 지지바(1381, 1382)와 줄꼬임 방지부(1390)가 설치됨에 있어, 제1 고정바(1381)와 제1 줄꼬임 방지롤러(1391) 사이에는 제1 이동공간(1301)이 형성되고, 제1 줄꼬임 방지롤러(1391)와 제2 줄꼬임 방지롤러(1392) 사이에는 제2 이동공간(1302)이 형성되며, 제2 줄꼬임 방지롤러(1392)와 제2 고정바(1382) 사이에는 제3 이동공간(1303)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케이블(C)의 풀림 작업시, 제1 고정바(1381)보다 상부에 배치되는 가이드 롤러(1360)로부터 안내된 케이블(C)은 제1 이동공간(1301)으로 이동된 후, 제1 줄꼬임 방지롤러(1391)를 감싸며 상향하여 제2 이동공간(1302)으로 이동된다. 그리고 제2 이동공간(1302)으로 이동된 케이블(C)은 제2 줄꼬임 방지롤러(1392)를 감싸며 하향하여 제3 이동공간(1303)으로 이동되도록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가이드 롤러(1360)로부터 안내된 케이블(C)은 제1 이동공간(1301)과 제2 이동공간(1302) 및 제3 이동공간(1303)을 경유함에 있어, 사행(蛇行)으로 이동되도록 이루어짐에 따라 해당 유역의 유속으로 인한 케이블(C)의 꼬임 발생이 방지됨은 물론 케이블(C)의 흔들림 발생도 최소화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이동공간(1301)의 폭(W1)은 케이블(C)의 굵기에 비해 3배 이상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는, 케이블(C)의 권취 또는 풀림 작업시, 제1 이동공간(1301)에서의 케이블(C)의 걸림 발생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제2 이동공간(1302)의 폭(W2)은 제1 이동공간(1301)의 폭(W1) 및 제3 이동공간(1303)의 폭(W3)보다 넓게 형성된다. 이는, 제1 이동공간(1301)을 경유하여 제3 이동공간(1303)으로 사행으로 이동되는 케이블(C)의 이동이 부드럽게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제3 이동공간(1303)의 폭(W3)은 케이블(C)의 굵기에 비해 1.2 ~ 1.5배로 형성되어 제3 이동공간(1303)의 폭(W3) 사이에서의 케이블(C)의 이동을 제한하도록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이는, 제3 이동공간(1303)에서의 케이블(C)의 이동 범위를 미리 정해진 범위내로 제한함으로써, 케이블(C)의 풀림 또는 감김시 케이블(C)의 흔들림 발생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케이블(C)의 풀림 또는 감김 작업은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만, 이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불과할 뿐, 본 발명의 권리 범위가 이러한 실시예의 기재 범위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사용자 단말기
1000: 녹조 측정장치
1100: 부체부
1200: 몸체부
1210: 설치 공간부
1220: 배터리 수용부
1300: 윈치부
1301: 제1 이동공간
1302: 제2 이동공간
1303: 제3 이동공간
1311: 고정 프레임
1312: 제1 지지 프레임
1313: 제2 지지 프레임
1314: 위치 조절홀
1320: 와인더부
1330: 회전 제어부
1340: 이동 가이드바
1350: 롤러 지지부
1351: 가이드홀
1360: 가이드 롤러
1370: 케이블 안내 롤러
1381: 제1 고정바
1382: 제2 고정바
1390: 줄꼬임 방지부
1391: 제1 줄꼬임 방지롤러
1392: 제2 줄꼬임 방지롤러
1400: 설치 고정부
1410: 경광등
1420: 광량 센서
1430 : 수심 측정기
1500: 영상 촬영부
1600: 기상 측정부
1700: 다항목 수질 측정부
1710: 상한 리미트부
1720: 하한 리미트부
1800: 통신부
1900: 태양광 모듈
1910: 집광판
1920: 덮개부
2000: 서버부
2100: 녹조 예측 분석부
2110: 정보 수신부
2120: 데이터 저장부
2130: 분석 알고리즘부
2200: 접속 인증부
2300: 알림부
3000: IoT 기반 실시간 녹조 측정 시스템

Claims (7)

  1. 대상 유역의 수면 상에 부상되는 부체부;
    상기 부체부 상에 결합되며, 상부와 하부가 개방된 설치 공간부가 형성된 몸체부;
    상기 설치 공간부에 고정 설치되는 윈치부;
    상기 몸체부 상에 결합된 설치 고정부;
    상기 설치 고정부에 설치되며, 수면을 촬영하는 영상 촬영부;
    상기 설치 고정부에 설치되며, 기상 정보를 측정하는 기상 측정부;
    상기 윈치부에 의해 높낮이 조절이 이루어지며, 수심별 수질 상태를 측정하는 다항목 수질 측정부;
    상기 영상 촬영부, 기상 측정부 및 다항목 수질 측정부로부터 측정된 정보를 외부로 전송하는 통신부; 및
    상기 통신부로부터 제공된 상기 영상 촬영부, 기상 측정부 및 다항목 수질 측정부의 정보를 기초로 대상 유역의 수질 상태를 판단하는 서버부를 포함하며,
    상기 서버부는,
    외부의 접속을 제어하는 접속 인증부; 상기 통신부로부터 전달된 정보를 기초로 대상 유역의 수질 상태를 판단하는 녹조 예측 분석부; 및 상기 녹조 예측 분석부로부터 분석된 결과값을 미리 정해진 사용자 단말기로 제공하는 알림부를 가지되,
    상기 녹조 예측 분석부는,
    기 분석된 분석 평가 자료가 저장된 데이터 저장부; 상기 통신부로부터 전달되는 정보를 제공받는 정보 수신부; 및 상기 정보 수신부로부터 제공된 자료를 기초로 상기 데이터 저장부로부터 분석 알고리즘을 도출하여 대상 유역의 수질 상태를 판단하는 분석 알고리즘부를 포함하는 것인 IoT 기반 실시간 녹조 측정 시스템.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윈치부는,
    이격된 상태로 한 쌍을 이루며 상기 설치 공간부에 설치되는 고정 프레임;
    상기 고정 프레임으로부터 미리 정해진 각도를 이루며 상기 고정 프레임에 결합되는 제1 지지 프레임;
    상기 고정 프레임에 지지되며, 케이블이 권취된 와인더부;
    상기 와인더부를 선택적으로 회전시키는 회전 제어부;
    이격된 상기 제1 지지 프레임을 연결하는 이동 가이드바;
    상기 이동 가이드바가 삽입되는 가이드홀이 형성되며, 상기 이동 가이드바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되는 롤러 지지부;
    상기 롤러 지지부에 지지 고정되며, 케이블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 롤러;
    상기 롤러 지지부에 지지 고정되되, 상기 가이드 롤러의 하부에 구비되며 상기 가이드 롤러와 함께 케이블의 이동을 안내하는 케이블 안내 롤러;
    상기 제1 지지 프레임으로부터 연장되는 제2 지지 프레임;
    이격된 상기 제2 지지 프레임의 일단부를 연결하는 제1 고정바와, 이격된 상기 제2 지지 프레임의 타단부를 연결하는 제2 고정바를 갖는 고정 지지바; 및
    상기 제2 지지 프레임에 결합되되, 상기 제1 고정바와 제2 고정바 사이에 구비되며 케이블의 이동을 안내하는 제1 줄꼬임 방지롤러와 제2 줄꼬임 방지롤러를 갖는 줄꼬임 방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oT 기반 실시간 녹조 측정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고정바와 제1 줄꼬임 방지롤러 사이에는 제1 이동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제1 줄꼬임 방지롤러와 제2 줄꼬임 방지롤러 사이에는 제2 이동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제2 줄꼬임 방지롤러와 제2 고정바 사이에는 제3 이동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 롤러로부터 안내된 케이블은 상기 제1 이동공간으로 이동된 후, 상기 제1 줄꼬임 방지롤러를 감싸며 상향하여 상기 제2 이동공간으로 이동되고, 상기 제2 이동공간으로 이동된 케이블은 상기 제2 줄꼬임 방지롤러를 감싸며 하향하여 상기 제3 이동공간으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oT 기반 실시간 녹조 측정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이동공간의 폭은 케이블의 굵기에 비해 3배 이상으로 형성되어 케이블의 권취 또는 풀림 작업시, 상기 제1 이동공간에서의 걸림 발생을 방지하도록 이루어지고,
    상기 제3 이동공간의 폭은 케이블의 굵기에 비해 1.2 ~ 1.5배로 형성되어 상기 제3 이동공간의 폭 사이에서의 케이블의 이동을 제한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IoT 기반 실시간 녹조 측정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항목 수질 측정부는 상부에 배치되는 상한 리미트부와 하부에 배치되는 하한 리미트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다항목 수질 측정부가 수심별 수질 상태를 파악 과정에서 1차로 상기 몸체부에 고정 설치된 수심 측정기를 통해 전체 수심을 감지하여 상기 윈치부에 구비된 케이블의 풀림 길이를 조절하고, 2차로 상기 하한 리미트부를 통해 상기 다항목 수질 측정부의 측정 위치를 감지하도록 이루어지고,
    상기 영상 촬영부는 다분광 센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IoT 기반 실시간 녹조 측정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에 지지되며, 태양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하는 태양광 모듈을 더 포함하며,
    상기 태양광 모듈로부터 발생되는 전기에너지는 상기 몸체부의 배터리 수용부에 수용된 배터리로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oT 기반 실시간 녹조 측정 시스템.
KR1020200068174A 2019-12-20 2020-06-05 IoT 기반 실시간 녹조 측정 시스템 KR10219091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2285 2019-12-20
KR20190172285 2019-12-2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90912B1 true KR102190912B1 (ko) 2020-12-15

Family

ID=737805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68174A KR102190912B1 (ko) 2019-12-20 2020-06-05 IoT 기반 실시간 녹조 측정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90912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711087A (zh) * 2019-04-15 2021-11-26 国立研究开发法人理化学研究所 环境因子预测装置、方法、程序、学习完毕模型以及存储介质
KR20230057501A (ko) * 2021-10-21 2023-05-02 동양하이테크산업주식회사 수심형 녹조 측정방법
KR20240011215A (ko) * 2021-10-21 2024-01-25 동양하이테크산업주식회사 상하 이격된 측정 모듈부를 갖는 수심형 녹조 측정시스템
WO2024143801A1 (ko) * 2022-12-30 2024-07-04 ㈜세종강우 고해상도 다중분광위성센서를 이용한 좁은 수역에서의 유해 조류 2단 조기 경보 시스템
CN118392107A (zh) * 2024-06-24 2024-07-26 山东省地矿工程集团有限公司 一种矿洞勘探用深度测量装置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8518A (ja) * 1992-07-03 1994-01-25 Tsurumi Seiki:Kk 水質デ−タ測定装置
KR100748680B1 (ko) * 2006-04-21 2007-08-10 주식회사 한일환경테크 수질측정시스템
KR20120052153A (ko) * 2010-11-15 2012-05-23 한국바이오시스템(주) Ip-usn기반의 이동형 수질측정부를 이용한 수질 관리 방법 및 수질 관리 시스템
KR101518415B1 (ko) * 2014-07-29 2015-05-27 동문이엔티(주) 윈치기구를 포함하는 자동 수질 측정 시스템
KR101663163B1 (ko) 2014-04-21 2016-10-07 (주)링크옵틱스 녹조 및 적조 발생 원격 측정 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8518A (ja) * 1992-07-03 1994-01-25 Tsurumi Seiki:Kk 水質デ−タ測定装置
KR100748680B1 (ko) * 2006-04-21 2007-08-10 주식회사 한일환경테크 수질측정시스템
KR20120052153A (ko) * 2010-11-15 2012-05-23 한국바이오시스템(주) Ip-usn기반의 이동형 수질측정부를 이용한 수질 관리 방법 및 수질 관리 시스템
KR101663163B1 (ko) 2014-04-21 2016-10-07 (주)링크옵틱스 녹조 및 적조 발생 원격 측정 장치
KR101518415B1 (ko) * 2014-07-29 2015-05-27 동문이엔티(주) 윈치기구를 포함하는 자동 수질 측정 시스템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711087A (zh) * 2019-04-15 2021-11-26 国立研究开发法人理化学研究所 环境因子预测装置、方法、程序、学习完毕模型以及存储介质
CN113711087B (zh) * 2019-04-15 2023-11-14 国立研究开发法人理化学研究所 环境因子预测装置、方法、程序、学习模型及存储介质
KR20230057501A (ko) * 2021-10-21 2023-05-02 동양하이테크산업주식회사 수심형 녹조 측정방법
KR102568144B1 (ko) * 2021-10-21 2023-08-21 동양하이테크산업주식회사 수심형 녹조 측정방법
KR20240011215A (ko) * 2021-10-21 2024-01-25 동양하이테크산업주식회사 상하 이격된 측정 모듈부를 갖는 수심형 녹조 측정시스템
KR102675721B1 (ko) 2021-10-21 2024-06-18 동양하이테크산업주식회사 상하 이격된 측정 모듈부를 갖는 수심형 녹조 측정시스템
WO2024143801A1 (ko) * 2022-12-30 2024-07-04 ㈜세종강우 고해상도 다중분광위성센서를 이용한 좁은 수역에서의 유해 조류 2단 조기 경보 시스템
CN118392107A (zh) * 2024-06-24 2024-07-26 山东省地矿工程集团有限公司 一种矿洞勘探用深度测量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90912B1 (ko) IoT 기반 실시간 녹조 측정 시스템
Jamroen et al. A novel UV sensor-based dual-axis solar tracking system: Implementation and performance analysis
CN105223937B (zh) 梯级水电站群生态调控智能控制系统及方法
CN105438408B (zh) 全方位智能检测浮标
Nicolaus et al. A modern concept for autonomous and continuous measurements of spectral albedo and transmittance of sea ice
Trowbridge et al. The ocean observatories initiative
CN108168604A (zh) 一种基于太阳能的土壤环境监测装置
CN104849424B (zh) 一种水质垂直剖面监测系统
CN203101370U (zh) 一种浅水湖泊湖泛自动监测系统
CN103175946A (zh) 一种浅水湖泊湖泛自动监测系统及湖泛自动监测方法
CN103729969B (zh) 嵌入式地质灾害视频监控预警系统及方法
CN208350177U (zh) 一种用于水文监测的水位变化监测装置
CN107192801A (zh) 大水深断面水质在线自动监测系统及监测方法
Siddula et al. Real time monitoring and controlling of water level in dams using iot
Norris et al. Update on EMEC activities, resource description, and characterisation of wave-induced velocities in a tidal flow
CN103616341A (zh) 一种浅水湖泊水下光场同步监测系统及监测方法
Guo et al. An integrated study on change detection and environment evaluation of surface water
KR20210013997A (ko) 영농형 태양광 시스템
CN114205501A (zh) 一种全角度藻类监测识别系统及其使用方法
KR101895872B1 (ko) 취수구 수중 및 해수면 이물질 감지 시스템
Dunne et al. The oceanic remote chemical/optical analyzer (ORCA)—an autonomous moored profiler
KR20210074167A (ko) 태양광 발전량 예측 시스템
EP2162871A2 (fr) Procédé et dispositif de détection de bouchons routiers
KR101135149B1 (ko) 센서 네트워크를 이용한 스마트 천일염 모니터링 제어시스템
KR102589732B1 (ko) 교량 부착형 스마트 수질모니터링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