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90446B1 - Tv 시청 데이터와 바이오 데이터를 융합한 헬스케어 시스템 - Google Patents

Tv 시청 데이터와 바이오 데이터를 융합한 헬스케어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90446B1
KR102190446B1 KR1020200046091A KR20200046091A KR102190446B1 KR 102190446 B1 KR102190446 B1 KR 102190446B1 KR 1020200046091 A KR1020200046091 A KR 1020200046091A KR 20200046091 A KR20200046091 A KR 20200046091A KR 102190446 B1 KR102190446 B1 KR 1021904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user
bio
viewing
abnormal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460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90446B9 (ko
Inventor
이성희
이승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이티에이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이티에이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이티에이엠
Priority to KR10202000460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9044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904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90446B1/ko
Priority to PCT/KR2021/004766 priority patent/WO2021210933A1/ko
Priority to US17/799,942 priority patent/US20230068508A1/en
Publication of KR102190446B9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90446B9/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4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responsive to non-activity, e.g. of elderly persons
    • G08B21/0438Sensor means for detecting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4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67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remote oper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2Social work or social welfare, e.g. community support activities or counselling servic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4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responsive to non-activity, e.g. of elderly persons
    • G08B21/0407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responsive to non-activity, e.g. of elderly persons based on behaviour analysis
    • G08B21/0423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responsive to non-activity, e.g. of elderly persons based on behaviour analysis detecting deviation from an expected pattern of behaviour or schedule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4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responsive to non-activity, e.g. of elderly persons
    • G08B21/0438Sensor means for detecting
    • G08B21/0453Sensor means for detecting worn on the body to detect health condition by physiological monitoring, e.g. electrocardiogram, temperature, breathing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4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responsive to non-activity, e.g. of elderly persons
    • G08B21/0438Sensor means for detecting
    • G08B21/0492Sensor dual technology, i.e. two or more technologies collaborate to extract unsafe condition, e.g. video tracking and RFID tracking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2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4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63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local operation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3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calculating health indices; for individual health risk assessmen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Epidemi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Social Psychology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Psychology (AREA)
  • Psychiatry (AREA)
  • Pathology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Economics (AREA)
  • Card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ultimedia (AREA)
  • Biophysics (AREA)
  • Pulmonology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hysiology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TV 시청 데이터와 바이오 데이터를 융합한 헬스케어 시스템이 개시된다. TV 시청 데이터와 바이오 데이터를 융합한 헬스케어 시스템은 사용자가 제1 방송매체를 통해 시청하고 있는 제1 방송 콘텐츠의 제1 오디오 데이터를 수집하여 전송하고, 주변 소리를 수집하여 전송하는 스마트 미터기; 상기 사용자가 제2 방송매체를 통해 시청하고 있는 제2 방송 콘텐츠의 제2 오디오 데이터를 수집하여 전송하고,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의 사용 데이터를 수집하여 전송하는 스마트기기; 상기 사용자의 바이오 데이터를 수집하여 전송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상기 제1 오디오 데이터 및 상기 제2 오디오 데이터 중 하나 이상과 비교할 수 있는 방송 레퍼런스 데이터를 저장하고, 상기 제1 오디오 데이터 및 상기 제2 오디오 데이터 중 하나 이상을 저장하고, 상기 주변 소리는 생활습관 데이터로 저장하며,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사용 데이터를 저장하고, 상기 바이오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 베이스; 상기 제1 오디오 데이터 및 상기 제2 오디오 데이터 중 하나 이상과 상기 방송 레퍼런스 데이터를 비교하여 상기 사용자가 시청하고 있는 제3 방송 콘텐츠를 특정하는 방송 콘텐츠 판별부; 및 특정된 상기 제3 방송 콘텐츠의 시청 테이터, 상기 생활습관 데이터, 상기 어플리케이션 사용 데이터 및 상기 바이오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의 생활 패턴을 분석하고, 상기 생활 패턴이 상기 사용자의 기존 생활 패턴을 일정 범위 이상 벗어나는 경우 상기 사용자의 신변에 이상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는 이상 감지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TV 시청 데이터와 바이오 데이터를 융합한 헬스케어 시스템{HEALTH CARE SYSTEM COMBINED WITH TV DATA AND BIO DATA}
본 발명은 헬스케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방송 콘텐츠를 시청하는 사용자 시청기록과 사용자의 바이오 데이터 등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신변에 이상이 발생하였는지 판단하고 이상이 발생한 경우 이를 알려주는 TV 시청 데이터와 바이오 데이터를 융합한 헬스케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현대 사회의 중요한 이슈 중 하나가 핵가족화 및 고령화이다. 특히, 댁내에 노인만이 홀로 거주하는 형태인 독거노인 세대가 점차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와 같은 독거노인은 일상 시 또는 응급상황 시 도움을 받을 수 없는 환경에 놓여 있기 때문에, 독거노인에 대해 365일 24시간 관리 체계가 확립되지 못한 경우에 큰 위험에 처할 것이며, 전 세계적으로 증가하는 노인 인구와 1인 가구에 적절한 돌봄(케어) 서비스가 사회적으로 큰 이슈가 되고 있다.
이러한 케어 서비스와 관리하여 다음과 같은 기술이 소개된 바 있다. 종래기술에서는 사회복지관의 담당자가 일일이 독거노인의 댁내를 방문해 현재의 독거노인 상태를 확인해야 되는 문제점을 자동화된 시스템에 의해 개선시킨 것으로서, 댁내의 호출버튼을 통한 독거노인의 호출, 콜센터 연계를 통한 독거노인 수시 확인 전화를 통해 독거노인의 현재 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은 단순히 자동화 시스템에 의존해 호출, 전화 등을 통해 독거노인과의 상담을 토대로 사회복지관 담당자 또는 콜센터 직원이 일회성으로 독거노인의 현재 상태를 확인해 문서에 기입하는 정도에 그치고 있는 정도이다.
또한, IPTV를 통한 건강관리시스템이 소개된 바 있으나, 실제 TV 전원의 온/오프와 관계없이 IPTV에 연결된 셋톱박스 전원의 온/오프에 따라 TV를 시청하는 것으로 판단되기 때문에 실제로 TV를 시청하는 것인지를 정확하게 판단하지 못한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방송 콘텐츠를 시청하는 사용자 시청기록을 정확히 측정하고 이를 사용자의 바이오 데이터 등과 종합하여 사용자의 신변에 이상이 발생하였는지 판단하여 이상이 발생한 경우에는 이를 알려주는 헬스케어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TV 시청 데이터와 바이오 데이터를 융합한 헬스케어 시스템은 사용자가 제1 방송매체를 통해 시청하고 있는 제1 방송 콘텐츠의 제1 오디오 데이터를 수집하여 전송하고, 주변 소리를 수집하여 전송하는 스마트 미터기; 상기 사용자가 제2 방송매체를 통해 시청하고 있는 제2 방송 콘텐츠의 제2 오디오 데이터를 수집하여 전송하고,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의 사용 데이터를 수집하여 전송하는 스마트기기; 상기 사용자의 바이오 데이터를 수집하여 전송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상기 제1 오디오 데이터 및 상기 제2 오디오 데이터 중 하나 이상과 비교할 수 있는 방송 레퍼런스 데이터를 저장하고, 상기 제1 오디오 데이터 및 상기 제2 오디오 데이터 중 하나 이상을 저장하고, 상기 주변 소리는 생활습관 데이터로 저장하며,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사용 데이터를 저장하고, 상기 바이오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 베이스; 상기 제1 오디오 데이터 및 상기 제2 오디오 데이터 중 하나 이상과 상기 방송 레퍼런스 데이터를 비교하여 상기 사용자가 시청하고 있는 제3 방송 콘텐츠를 특정하는 방송 콘텐츠 판별부; 및 특정된 상기 제3 방송 콘텐츠의 시청 테이터, 상기 생활습관 데이터, 상기 어플리케이션 사용 데이터 및 상기 바이오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의 생활 패턴을 분석하고, 상기 생활 패턴이 상기 사용자의 기존 생활 패턴을 일정 범위 이상 벗어나는 경우 상기 사용자의 신변에 이상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는 이상 감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위에서 측정된 데이터들은 사용자의 생활데이터로 통칭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TV 시청 데이터와 바이오 데이터를 융합한 헬스케어 시스템은 상기 사용자의 신변에 이상이 발생한 경우 이상경고를 알려주는 이상 발생 경고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하나의 실시예로 상기 이상 발생 경고부는 상기 사용자의 신변에 이상이 최초로 발생한 경우 상기 사용자를 집중 모니터링 대상자로 분류하고, 상기 집중 모니터링 대상자의 신변에 다시 이상이 발생한 경우 이상경고를 알려줄 수 있다.
하나의 실시예로 상기 사용자가 복수인 경우, 각각의 사용자를 구별할 수 있는 개인식별번호를 부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하나의 실시예로 상기 바이오 데이터는 상기 사용자의 심박수, 수면시간, 운동정보, 맥박, 체온, 위치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사용자가 실제 시청 중인 방송 콘텐츠의 소리를 근거로 시청기록을 측정하기 때문에 셋톱박스의 전원 온/오프 상태와 상관없이 정확한 시청기록 측정이 가능하다.
본 발명은 사용자의 신변에 이상이 생긴 경우 이를 알려줌으로써 사용자가 신속히 도움을 받을 수 있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사용자의 생활패턴을 생성하여 사용자의 신변에 이상이 생겼는지 여부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TV 시청 데이터와 바이오 데이터를 융합한 헬스케어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TV 시청 데이터와 바이오 데이터를 융합한 헬스케어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3은 사용자의 생활 패턴 분석을 위해 수집된 데이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생성된 사용자의 생활 패턴 데이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생성된 사용자의 패턴 데이터와 사용자의 생활 데이터를 비교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생성된 사용자의 패턴 데이터와 사용자의 생활 데이터를 비교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다른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TV 시청 데이터와 바이오 데이터를 융합한 헬스케어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TV 시청 데이터와 바이오 데이터를 융합한 헬스케어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고, 도 3은 사용자의 생활 패턴 분석을 위해 수집된 데이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4는 생성된 사용자의 생활 패턴 데이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5는 생성된 사용자의 패턴 데이터와 사용자의 생활 데이터를 비교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6은 생성된 사용자의 패턴 데이터와 사용자의 생활 데이터를 비교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다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TV 시청 데이터와 바이오 데이터를 융합한 헬스케어 시스템(1000)은 스마트 미터기(100), 스마트기기(200), 웨어러블 디바이스(300), 데이터 베이스(400), 방송 콘텐츠 판별부(500) 및 이상 감지부(600)를 포함할 수 있다.
스마트 미터기(100)는 사용자가 제1 방송매체를 통해 시청하고 있는 제1 방송 콘텐츠의 제1 오디오 데이터를 수집하여 전송할 수 있다.
일 예로 스마트 미터기(100)는 가구 내에 설치된 시청률 측정장비를 의미할 수 있고, (주)ATAM의 스마트 미터기가 사용될 수 있다. 제1 방송매체는 방송 콘텐츠를 출력하는 전자기기로 예를 들면 TV를 의미할 수 있다. 스마트 미터기(100)는 소리를 녹음할 수 있고, 소리 녹음을 위한 마이크가 내장되어 있다.
일 예로 제1 방송 콘텐츠는 제1 방송매체를 통해 출력되는 방송 내용을 의미하며, 제1 방송 콘텐츠는 TV를 통해 방송되는 드라마, 뉴스, 영화 등일 수 있다.
일 예로 제1 오디오 데이터는 제1 방송 콘텐츠 출력 시 TV를 통해 출력되는 오디오를 의미하며, 제1 오디오 데이터는 스마트 미터기(100)를 통해 수집될 수 있다.
또한, 스마트 미터기(100)는 주변 소리를 수집하여 전송할 수 있다. 주변 소리는 스마트 미터기(100)가 설치된 곳을 기준으로 일정 거리 범위 내를 의미할 수 있고, 예를 들면 스마트 미터기(100)를 기준으로 반경 2M까지의 거리까지가 주변으로 정의될 수 있다.
주변 소리는 사용자의 생활 중에 발생하는 대화, 전화통화, 식사, 가구 내 이동 등의 소리를 의미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스마트 미터기(100)를 통해 수집된 제1 오디오 데이터와 주변 소리는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되어 전송될 수 있다.
스마트기기(200)는 사용자가 제2 방송매체를 통해 시청하고 있는 제2 방송 콘텐츠의 제2 오디오 데이터를 수집하여 전송할 수 있다.
일 예로 제2 방송매체는 스마트폰을 의미할 수 있고, 제2 방송 콘텐츠는 스마트폰을 통해 출력되는 방송 내용을 의미할 수 있으며, 제2 방송 콘텐츠는 스마트폰을 통해 출력되는 드라마, 뉴스, 영화 등일 수 있다.
또한, 스마트기기(200)는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의 사용 데이터를 수집하여 전송할 수 있다. 사용 데이터는 어플리케이션의 시작, 종료에 관한 데이터, 다수의 어플리케이션 중 자주 사용하는 어플리케이션과 접속횟수, 접속시간 등 사용자의 스마트폰 사용 현황을 알려줄 수 있는 다양한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스마트기기(200)는 위치정보도 수집하여 전송할 수 있다.
웨어러블 디바이스(300)는 사용자의 바이오 데이터를 수집하여 전송할 수 있다. 일 예로 웨어러블 디바이스(300)는 사용자 신체에 부착되어 사용자의 바이오 데이터를 측정하여 전송하는 기기를 의미할 수 있고, 스마트 워치, 스마트 밴드 등이 웨어러블 디바이스(300)로 사용될 수 있다.
일 예로 바이오 데이터는 사용자의 심박수, 수면시간, 운동정보, 맥박, 체온, 위치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데이터 베이스(400)는 제1 오디오 데이터 및 제2 오디오 데이터 중 하나 이상과 비교할 수 있는 방송 레퍼런스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일 예로 방송 레퍼런스 데이터는 실시간 또는 비실시간의 방송 콘텐츠를 의미할 수 있고, 방송 콘텐츠는 드라마, 영화, 다큐멘터리, 예능 프로 등 다양한 프로그램을 포함할 수 있다.
데이터 베이스(400)는 제1 오디오 데이터 및 제2 오디오 데이터 중 하나 이상을 저장할 수 있고, 어플리케이션의 사용 데이터와 바이오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데이터 베이스(400)는 주변 소리는 생활습관 데이터로 저장할 수 있다. 일 예로 데이터 베이스(400)에 저장되는 모든 데이터는 디지털 방식으로 저장될 수 있다.
일 예로 사용자가 복수인 경우에는 각각의 사용자를 구별할 수 있는 개인식별번호를 사용자 각각에게 부여하여 데이터들이 데이터 베이스(400)에 저장될 수 있다.
방송 콘텐츠 판별부(500)는 제1 오디오 데이터 및 제2 오디오 데이터 중 하나 이상과 방송 레퍼런스 데이터를 비교하여 사용자가 시청하고 있는 제3 방송 콘텐츠를 특정할 수 있다.
일 예로 제3 방송 콘텐츠는 사용자가 제1 방송매체 또는 제2 방송매체를 통해 시청하고 있는 방송 콘텐츠를 의미할 수 있다.
일 예로 제1 오디오 데이터와 방송 레퍼런스 데이터의 오디오 핑거프린팅 데이터를 서로 비교하여 현재 사용자가 시청하고 있는 제1 방송 콘텐츠가 어떤 방송 콘텐츠에 해당하는지 특정할 수 있다.
다른 일 예로 제1 오디오 데이터와 방송 레퍼런스 데이터의 오디오 데이터를 서로 비교하여 현재 사용자가 시청하고 있는 제1 방송 콘텐츠가 어떤 방송 콘텐츠에 해당하는지 특정하는 방식을 사용할 수도 있다.
제2 오디오 데이터와 방송 레퍼런스 데이터를 비교하여 제3 방송 콘텐츠를 특정하는 방식은 위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제3 방송 콘텐츠가 특정되면 사용자의 시청기록이 데이터 베이스(400)에 추가로 저장될 수 있다. 시청기록은 시청시작시간, 시청종료시간, 시청횟수 등 시청과 관련된 다양한 데이터들을 의미할 수 있다.
종래 IPTV와 디지털 케이블TV의 경우, TV 전원은 오프인 상태이지만 TV 방송 수신기인 셋톱박스의 전원이 온인 상태면 TV 방송 수신 상태가 계속적으로 유지되기에 실제로 사용자가 방송 콘텐츠를 시청하지 않는 경우에도 방송 콘텐츠를 시청하는 것으로 시청기록이 저장될 수 있다.
즉, 셋톱박스를 기준으로 시청기록을 저장하는 경우에는 정확한 시청기록이 반영되지 못하는 문제가 있지만,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TV 시청 데이터와 바이오 데이터를 융합한 헬스케어 시스템(1000)은 사용자가 시청하는 방송 콘텐츠의 오디오를 비교하여 사용자의 시청 방송 콘텐츠를 측정하기 때문에 정확한 방송 콘텐츠의 시청기록(시청 데이터)을 저장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 감지부(600)는 특정된 제3 방송 콘텐츠의 시청 데이터, 생활습관 데이터, 어플리케이션 사용 데이터 및 바이오 데이터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생활 패턴을 분석할 수 있다.
일 예로 데이터 베이스(400)에 저장되는 시청 데이터, 생활습관 데이터, 어플리케이션 사용 데이터 및 바이오 데이터들은 인공지능(AI) 분석 알고리즘에 적합한 학습 데이터로 전처리 가공될 수 있다.
사용자의 생활 패턴은 인공지능(AI) 분석 알고리즘으로 장기간 수집된 데이터들을 분석하여 생성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3일간 날짜별 기상시간, 아침식사 시간 및 TV 시청기록이 나타나 있다. 이상 감지부(600)는 3일간의 데이터들에 기초하여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생활 패턴을 분석할 수 있다.
일 예로 기상시간의 경우 오전 6시 30분을 기준으로 일정 시간 차이가 있으므로 기상시간은 오전 6시부터 6시 45분 정도로 기상한다는 생활패턴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아침식사 및 드라마 시청 시간도 위와 같은 방식을 적용하여 생활패턴을 분석하여 패턴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이상 감지부(600)는 분석된 생활 패턴이 사용자의 기존 생활 패턴을 일정 범위 이상 벗어나는 경우 사용자의 신변에 이상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2019.12.27. 사용자의 기상 시간이 오전 8시 이후인 것으로 나타나므로 이는 기존 생성된 생활패턴과는 상당한 차이가 발생한 것이므로 사용자의 신변에 이상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2019.12.28. 사용자의 기상 시간과 아침식사 시간 모두 생성된 생활패턴의 범위 안에 들어가나, 아침드라마 시청이 없는 것으로 나타나므로 사용자의 신변에 이상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일 예로 사용자의 생활데이터가 생성된 생활패턴과 차이가 크거나 생활패턴을 크게 벗어나는 경우에는 스마트기기(200) 및 웨어러블 디바이스(300) 중 하나 이상을 통해 사용자에게 생활패턴을 벗어나고 있음을 알려줄 수 있다. 사용자는 이를 통해 본인의 행동이 기존 생활패턴과는 다르다는 것을 인식하게 함으로써 사용자가 미리 경각심을 갖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TV 시청 데이터와 바이오 데이터를 융합한 헬스케어 시스템(2000)은 스마트 미터기(100), 스마트기기(200), 웨어러블 디바이스(300), 데이터 베이스(400), 방송 콘텐츠 판별부(500), 이상 감지부(600) 및 이상 발생 경고부(700)를 포함할 수 있다.
스마트 미터기(100), 스마트기기(200), 웨어러블 디바이스(300), 데이터 베이스(400), 방송 콘텐츠 판별부(500) 및 이상 감지부(600)는 위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상 발생 경고부(700)는 사용자의 신변에 이상이 발생한 경우 이상경고를 알려줄 수 있다.
일 예로 이상 발생 경고부(700)는 사용자의 신변에 이상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면 이상경고를 가족의 스마트폰, 정부, 지차체 및 병원 등 사전에 등록된 자에게 알려줄 수 있다.
일 예로 이상 발생 경고부(700)는 메시지 또는 메신저 등을 통해 이상경고를 알려줄 수 있으나 방식에 제한이 있는 것은 아니다.
이상 발생 경고부(700)는 사용자의 신변에 이상이 최초로 발생한 경우 사용자를 집중 모니터링 대상자로 분류하고, 집중 모니터링 대상자의 신변에 다시 이상이 발생한 경우 이상경고를 알려줄 수 있다.
일 예로 사용자의 기상 시간이 기존 생활패턴 데이터에서 벗어난 경우라 하더라도 그 이후의 사용자의 생활데이터가 기존 생활패턴 데이터에서 벗어나지 않는다면 이상경고를 알리지 않을 수 있다. 이는 사용자의 생활패턴이 한번쯤은 벗어날 수 있는 경우를 반영하여 이상경고 발생에 대한 신뢰성이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또한, 사용자의 생활데이터가 다시 기존 생활패턴 데이터 범위 안에 들어오는 경우에는 사용자를 집중 모니터링 대상자에서 제외한다.
그러나, 최초로 사용자의 신변에 이상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한 후에도 사용자의 생활데이터가 기존 생활패턴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에는 이상경고를 알려줌으로써 사용자의 신변을 신속하게 보호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생활데이터의 중요도에 따라 처음으로 생활패턴을 벗어나는 경우라도 즉시 이상경고를 알려줄 수 있다. 일 예로 사용자가 천식이 있는 환자인 경우 대표 증상으로 천명이 있는데 쌕쌕거리는 숨소리가 수집되는 경우에는 이상 발생 경고부(700)는 즉시 이상경고를 알려주어 신속하게 사용자가 도움을 받을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이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적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범위의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다음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0, 2000: TV 시청 데이터와 바이오 데이터를 융합한 헬스케어 시스템
100: 스마트 미터기 200: 스마트기기
300: 웨어러블 디바이스 400: 데이터 베이스
500: 방송 콘텐츠 판별부 600: 이상 감지부
700: 이상 발생 경고부

Claims (5)

  1. 사용자가 제1 방송매체를 통해 시청하고 있는 제1 방송 콘텐츠의 제1 오디오 데이터를 수집하여 전송하고, 주변 소리를 수집하여 전송하는 스마트 미터기;
    상기 사용자가 제2 방송매체를 통해 시청하고 있는 제2 방송 콘텐츠의 제2 오디오 데이터를 수집하여 전송하고,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의 사용 데이터를 수집하여 전송하는 스마트기기;
    상기 사용자의 바이오 데이터를 수집하여 전송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상기 제1 오디오 데이터 및 상기 제2 오디오 데이터 중 하나 이상과 비교할 수 있는 방송 레퍼런스 데이터를 저장하고, 상기 제1 오디오 데이터 및 상기 제2 오디오 데이터 중 하나 이상을 저장하고, 상기 주변 소리는 생활습관 데이터로 저장하며,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사용 데이터를 저장하고, 상기 바이오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 베이스;
    상기 제1 오디오 데이터 및 상기 제2 오디오 데이터 중 하나 이상과 상기 방송 레퍼런스 데이터를 비교하여 상기 사용자가 시청하고 있는 제3 방송 콘텐츠를 특정하는 방송 콘텐츠 판별부; 및
    특정된 상기 제3 방송 콘텐츠의 시청 데이터, 상기 생활습관 데이터, 상기 어플리케이션 사용 데이터 및 상기 바이오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의 생활 패턴을 분석하고, 상기 생활 패턴이 상기 사용자의 기존 생활 패턴을 일정 범위 이상 벗어나는 경우 상기 사용자의 신변에 이상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는 이상 감지부를 포함하는, TV 시청 데이터와 바이오 데이터를 융합한 헬스케어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신변에 이상이 발생한 경우 이상경고를 알려주는 이상 발생 경고부를 더 포함하는, TV 시청 데이터와 바이오 데이터를 융합한 헬스케어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이상 발생 경고부는,
    상기 사용자의 신변에 이상이 최초로 발생한 경우 상기 사용자를 집중 모니터링 대상자로 분류하고, 상기 집중 모니터링 대상자의 신변에 다시 이상이 발생한 경우 이상경고를 알려주는, TV 시청 데이터와 바이오 데이터를 융합한 헬스케어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가 복수인 경우,
    각각의 사용자를 구별할 수 있는 개인식별번호를 부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TV 시청 데이터와 바이오 데이터를 융합한 헬스케어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오 데이터는,
    상기 사용자의 심박수, 수면시간, 운동정보, 맥박, 체온, 위치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TV 시청 데이터와 바이오 데이터를 융합한 헬스케어 시스템.
KR1020200046091A 2020-04-16 2020-04-16 Tv 시청 데이터와 바이오 데이터를 융합한 헬스케어 시스템 KR1021904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6091A KR102190446B1 (ko) 2020-04-16 2020-04-16 Tv 시청 데이터와 바이오 데이터를 융합한 헬스케어 시스템
PCT/KR2021/004766 WO2021210933A1 (ko) 2020-04-16 2021-04-15 Tv 시청 데이터와 바이오 데이터를 융합한 헬스케어 시스템
US17/799,942 US20230068508A1 (en) 2020-04-16 2021-04-15 Healthcare system with combining tv viewing data and bio data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6091A KR102190446B1 (ko) 2020-04-16 2020-04-16 Tv 시청 데이터와 바이오 데이터를 융합한 헬스케어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90446B1 true KR102190446B1 (ko) 2020-12-11
KR102190446B9 KR102190446B9 (ko) 2022-03-11

Family

ID=737865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46091A KR102190446B1 (ko) 2020-04-16 2020-04-16 Tv 시청 데이터와 바이오 데이터를 융합한 헬스케어 시스템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230068508A1 (ko)
KR (1) KR102190446B1 (ko)
WO (1) WO2021210933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055746A (zh) * 2021-04-19 2021-06-29 广州欢网科技有限责任公司 基于电视观看行为的老人监护方法、装置、服务器及系统
WO2021210933A1 (ko) * 2020-04-16 2021-10-21 주식회사 에이티에이엠 Tv 시청 데이터와 바이오 데이터를 융합한 헬스케어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69030B1 (ko) * 2011-07-28 2013-05-29 주식회사 씨제이헬로비전 시청자 위급 상황 모니터링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101562247B1 (ko) * 2013-06-25 2015-10-23 아주대학교산학협력단 라이프 스타일 분석 시스템 및 방법
KR101952286B1 (ko) * 2017-11-22 2019-02-26 에스케이브로드밴드주식회사 이벤트처리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102152717B1 (ko) * 2018-08-28 2020-09-07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휴먼 행동 인식 장치 및 방법
KR102190446B1 (ko) * 2020-04-16 2020-12-11 주식회사 에이티에이엠 Tv 시청 데이터와 바이오 데이터를 융합한 헬스케어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210933A1 (ko) * 2020-04-16 2021-10-21 주식회사 에이티에이엠 Tv 시청 데이터와 바이오 데이터를 융합한 헬스케어 시스템
CN113055746A (zh) * 2021-04-19 2021-06-29 广州欢网科技有限责任公司 基于电视观看行为的老人监护方法、装置、服务器及系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90446B9 (ko) 2022-03-11
WO2021210933A1 (ko) 2021-10-21
US20230068508A1 (en) 2023-03-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27020B2 (en) Logging individuals for TV measurement compliance
KR102190446B1 (ko) Tv 시청 데이터와 바이오 데이터를 융합한 헬스케어 시스템
CN102098574B (zh) 视频流测量方法和系统
US9294813B2 (en) Probabilistic methods and apparatus to determine the state of a media device
US20150342519A1 (en) System and method for diagnosing medical condition
KR101990803B1 (ko) IoT를 이용한 취약계층 보호관리 시스템
CN102625668B (zh) 监控eeg的eeg监控系统和方法
US20180098122A1 (en) Viewer rating calculation server, method for calculating viewer rating, and viewer rating calculation remote apparatus
CN110013261B (zh) 情绪监测的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KR101706186B1 (ko) 클라우드 기반의 위험 감지 시스템
CN111919242B (zh) 用于处理多个信号的系统和方法
WO2015091302A1 (en) Scheduling device for scheduling patient monitoring by patient-accessible devices
CN111653067A (zh) 智能家居设备及基于音频的报警方法
JP6680563B2 (ja) 見守りシステムおよび見守り方法
Huang et al. Monitoring sleep and detecting irregular nights through unconstrained smartphone sensing
KR20120138313A (ko) 응급상황 알림방법 및 이를 이용한 u-헬스 장치
Levine et al. Anxiety detection leveraging mobile passive sensing
CN113055746B (zh) 基于电视观看行为的老人监护方法、装置、服务器及系统
KR102633604B1 (ko) 방송 시청기록 분석을 통한 치매 조기진단 시스템
Truong et al. Alert management for home healthcare based on home automation analysis
KR20210057332A (ko) 스마트미러기반의 레이더 및 생체정보,음성을 이용한 헬스 케어모니터링 시스템
KR102407150B1 (ko) 지능형 응급상황 알람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US20230326589A1 (en) Signal processing for care provision
Shrivastava et al. A total smart security solution for women and children using IOT
JP6183839B2 (ja) 行動予測システム、行動予測装置、行動予測方法、行動予測プログラム及び行動予測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