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90407B1 - 스마트 블록 어셈블리 및 이를 이용한 감각운동 자극 기반 인지훈련방법 - Google Patents

스마트 블록 어셈블리 및 이를 이용한 감각운동 자극 기반 인지훈련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90407B1
KR102190407B1 KR1020180104630A KR20180104630A KR102190407B1 KR 102190407 B1 KR102190407 B1 KR 102190407B1 KR 1020180104630 A KR1020180104630 A KR 1020180104630A KR 20180104630 A KR20180104630 A KR 20180104630A KR 102190407 B1 KR102190407 B1 KR 1021904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device
target block
base board
user
bi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046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27120A (ko
Inventor
김기웅
한지원
한지현
서승완
신정아
김예은
신정훈
정원교
Original Assignee
서울대학교병원
(주)나인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울대학교병원, (주)나인원 filed Critical 서울대학교병원
Priority to KR10201801046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90407B1/ko
Publication of KR202000271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271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904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904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00Manually or mechanically 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using elements forming, or bearing, symbols, signs, pictures, or the like which are arranged or adapted to be arranged in one or more particular ways
    • G09B1/32Manually or mechanically 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using elements forming, or bearing, symbols, signs, pictures, or the like which are arranged or adapted to be arranged in one or more particular ways comprising elements to be used without a special support
    • G09B1/40Manually or mechanically 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using elements forming, or bearing, symbols, signs, pictures, or the like which are arranged or adapted to be arranged in one or more particular ways comprising elements to be used without a special support to form symbols or signs by appropriate arrange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1/00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0Educatio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00Manually or mechanically 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using elements forming, or bearing, symbols, signs, pictures, or the like which are arranged or adapted to be arranged in one or more particular ways
    • G09B1/32Manually or mechanically 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using elements forming, or bearing, symbols, signs, pictures, or the like which are arranged or adapted to be arranged in one or more particular ways comprising elements to be used without a special support
    • G09B1/325Manually or mechanically 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using elements forming, or bearing, symbols, signs, pictures, or the like which are arranged or adapted to be arranged in one or more particular ways comprising elements to be used without a special support the elements comprising interacting electronic componen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00Manually or mechanically 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using elements forming, or bearing, symbols, signs, pictures, or the like which are arranged or adapted to be arranged in one or more particular ways
    • G09B1/32Manually or mechanically 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using elements forming, or bearing, symbols, signs, pictures, or the like which are arranged or adapted to be arranged in one or more particular ways comprising elements to be used without a special support
    • G09B1/36Manually or mechanically 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using elements forming, or bearing, symbols, signs, pictures, or the like which are arranged or adapted to be arranged in one or more particular ways comprising elements to be used without a special support the elements being connectible by corresponding projections and recess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5/00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 G09B5/06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with both visual and audible presentation of the material to be studi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Hematology (AREA)
  • Anesthes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syc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conom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대상자의 오감을 충분히 자극하면서 동시에 재미와 흥미를 유발하여 재활훈련의 효과를 높일 수 있는 스마트 블록 어셈블리 및 이를 이용한 인지훈련 방법이 제공된다. 이 인지훈련 방법은, 모바일 디바이스는 표본 블록 중 대상 블록에만 색상 또는 소리를 출력하도록 제어하고 사용자가 대상 블록을 정확히 선택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제1 단계; 대상 블록 각각은 고유한 색상 또는 소리를 출력하고, 모바일 디바이스는 대상 블록의 조립순서를 나타낸 조감도를 화면에 표시하고 조감도에 따라 사용자가 각 대상 블록을 순차적으로 정확히 선택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제2 단계; 및 베이스 보드는 조감도에 따라 대상 블록의 결합위치를 사전에 정의하고, 모바일 디바이스는 대상 블록이 베이스 보드 상의 결합위치에 정확히 결합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제3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스마트 블록 어셈블리 및 이를 이용한 감각운동 자극 기반 인지훈련방법{Smart block assembly and cognitive training method based on sensory motor stimulation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스마트 블록 어셈블리 및 이를 이용한 인지훈련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경도인지장애환자, 치매환자 등의 인지재활 훈련을 돕는 스마트 블록 어셈블리 및 이를 이용한 인지훈련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고령화에 따른 국내 치매환자가 가파르게 증가하여 경제적 부담으로 작용하고 있다. 2014년 국내 치매환자(65세 이상)는 약 61만명으로 추정되며, 2024년에는 100만명, 2041년 이후에는 200만명을 상회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이에 따른 연간 치매관리비용은 2010년 기준으로 11조(1인당 평균 1,851만원) 수준에서 2050년에는 약 134조로 급속하게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와 같이 치매환자가 급격히 늘어가고 있으나, 이들을 지원할 케어서비스나 전문 조호인력(인지재활훈련 강사, 요양보호사, 사회복지사 등)은 매우 부족한 상황이다. 특히, 치매환자의 인지기능 악화를 저지하기 위해서는 보다 효율적이고 체계적인 인지재활 훈련이 절실히 요구된다. 최근 장기노인요양보험의 치매특별등급 도입으로 초기 치매환자에 대해 '인지기능 증진 프로그램'을 주 3회 이상 이용하는 것이 제도화되어 있다. 하지만, 종래 인지재활 프로그램의 경우 사회복지사나 요양보호사의 개인 역량에 따라 프로그램 효과가 달라지기 때문에 균질한 인지재활훈련 효과를 기대하기는 어렵다. 또한 종래 훈련법은 페이퍼 앤 펜슬(paper and pencil)을 기반으로 한 2D 훈련법이기 때문에, 대상자의 흥미를 유발시키기 어렵고 대상자의 오감을 충분히 자극하거나 소근육 운동을 유도하기는 어려운 한계가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대상자의 오감을 충분히 자극하면서 동시에 재미와 흥미를 유발하여 재활훈련의 효과를 높일 수 있는 인지훈련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이러한 인지훈련방법에 사용되는 스마트 블록 어셈블리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지훈련 방법은, 사용자에게 미션을 전달하는 모바일 디바이스;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와 통신하며 상기 미션의 수행여부를 판단하는 베이스 보드; 및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 또는 상기 베이스 보드와 통신하며 상기 베이스 보드에 결합 또는 분리되는 복수의 블록(이를 '표본 블록'이라 함)을 포함하는 스마트 블록 어셈블리를 이용한 인지훈련 방법으로서,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는 상기 표본 블록 중 일부(이를 '대상 블록'이라 함)에만 색상 또는 소리를 출력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사용자가 상기 대상 블록을 정확히 선택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제1 단계; 상기 대상 블록 각각은 고유한 색상 또는 소리를 출력하고,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는 상기 대상 블록의 조립순서를 나타낸 조감도를 화면에 표시하고 상기 조감도에 따라 사용자가 각 대상 블록을 순차적으로 정확히 선택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제2 단계; 및 상기 베이스 보드는 상기 조감도에 따라 상기 대상 블록의 결합위치를 사전에 정의하고,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는 상기 대상 블록이 상기 베이스 보드 상의 상기 결합위치에 정확히 결합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제3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제1 단계는,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가 음성 안내와 함께 상기 대상 블록의 정보를 알려주면 상기 대상 블록은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와 통신하여 기설정된 색상 또는 소리를 출력하고, 상기 사용자가 상기 표본 블록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면 선택된 표본 블록이 선택 이벤트를 발생하여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에 전송하고,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는 상기 선택 이벤트를 이용하여 상기 선택된 표본 블록이 상기 대상 블록인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대상 블록이 기설정된 색상 또는 소리를 출력하기 위한 전제로서,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가 상기 사용자로부터 기설정된 패턴의 박수소리를 입력받는 것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단계는, 상기 각 대상 블록은 고유한 색상 또는 소리를 출력하고,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는 조립순서에 맞춰 상기 대상 블록을 상기 조감도 상에 순차적으로 표시하고,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표시에 맞춰 상기 사용자가 상기 대상 블록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면 선택된 대상 블록이 선택 이벤트를 발생하여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에 전송하고,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는 상기 선택 이벤트를 이용하여 상기 선택된 대상 블록이 상기 조감도에 표시된 블록인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각 대상 블록은 서로 다른 색상을 출력하거나 서로 다른 음계의 소리를 출력할 수 있다.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가 조립순서에 맞춰 상기 대상 블록을 상기 조감도 상에 순차적으로 표시하는 동안,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가 상기 사용자로부터 기설정된 패턴의 박수소리를 입력받는 것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3 단계는, 상기 사용자가, 상기 베이스 보드 상에서 가이드 조명이 턴온된 결합위치 또는 상기 조감도에 대응하는 상기 베이스 보드 상의 결합위치에, 상기 선택된 대상 블록을 결합하면 상기 베이스 보드는 결합 이벤트를 발생하여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에 전송하고,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는 상기 결합 이벤트를 이용하여 상기 대상 블록이 상기 결합위치에 결합한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단계에서 상기 대상 블록은 서로 동일한 색상 또는 소리를 출력하고, 상기 제2 단계에서 상기 대상 블록은 서로 다른 색상 또는 소리를 출력할 수 있다.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는 상기 사용자가 상기 제1 단계를 완성하기까지의 소요 시간과 오류 회수, 상기 제2 단계를 완성하기까지의 소요 시간과 오류 회수, 및 상기 제3 단계를 완성하기까지의 소요 시간과 오류 회수를 분석하여 결과지표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다른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블록 어셈블리는, 사용자에게 미션을 전달하는 모바일 디바이스;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와 통신하며 상기 미션의 수행여부를 판단하는 베이스 보드; 및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 또는 상기 베이스 보드와 통신하며 상기 베이스 보드에 결합 또는 분리되는 복수의 블록(이를 '표본 블록'이라 함)을 포함하고, 아래 제1 내지 3 단계의 인지훈련을 수행한다:
(제1 단계)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는 상기 표본 블록 중 일부(이를 '대상 블록'이라 함)에만 색상 또는 소리를 출력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사용자가 상기 대상 블록을 정확히 선택하는지 여부를 판단함;
(제2 단계) 상기 대상 블록 각각은 고유한 색상 또는 소리를 출력하고,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는 상기 대상 블록의 조립순서를 나타낸 조감도를 화면에 표시하고 상기 조감도에 따라 사용자가 각 대상 블록을 순차적으로 정확히 선택하는지 여부를 판단함;
(제3 단계) 상기 베이스 보드는 상기 조감도에 따라 상기 대상 블록의 결합위치를 사전에 정의하고,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는 상기 대상 블록이 상기 베이스 보드 상의 상기 결합위치에 정확히 결합하는지 여부를 판단함.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구체적인 내용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블록 어셈블리에 따르면, 상하 결합 구조를 갖는 조립형 블록들로 구성되어 있으며 색상, 소리, 동작 등 다양한 감각 기능을 사용하여 인지훈련을 실시할 수 있다. 예컨대, 대상자는 모바일 디바이스 등을 통해 미션을 전달받고 모바일 디바이스에서 지시하는 바대로 스마트 블록을 직접 고르고 다양한 형태로 베이스 보드에 결합하거나 결합된 조립품을 이용한 활동과제를 수행함으로써 시각, 청각, 촉각 등의 감각 기능을 강화시키고 기억력, 판단력, 공간구성능력 등 포괄적 인지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블록 어셈블리를 개념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블록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색상 또는 소리 유도 훈련 방법을 순차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다른 동작 유도 훈련 방법을 순차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블록 어셈블리를 개념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블록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스마트 블록 어셈블리는 모바일 디바이스(10), 베이스 보드(20) 및 복수의 블록(30)을 포함한다.
모바일 디바이스(10)는 사용자에게 미션(또는 인지훈련과제)을 전달하는 장치로서, 사용자의 키 조작, 터치 조작 또는 명령에 따라 유무선 네트워크를 경유하여 각종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단말기를 말한다. 모바일 디바이스(10)는 출력수단을 통해 사용자에게 미션을 전달하고,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베이스 보드(20) 및/또는 블록(30)과 통신하며 미션 수행 과정을 모니터링하고 훈련 결과를 분석한다. 예를 들어, 모바일 디바이스(10)로는 이동통신 단말 장치, 스마트폰, 태블릿 PC, 웨어러블 스마트장치, PDA, 네비게이션 단말 장치 등이 있다. 모바일 디바이스(10)는 프로세서, 내부 메모리, 입력수단 및 출력수단을 포함한다. 입력수단은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입력기를 포함하며, 출력수단은 스피커와 디스플레이를 포함한다. 디스플레이는 화면을 출력하는 수단임과 동시에 사용자의 터치 이벤트를 감지하는 입력수단인 터치스크린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입력수단으로서 하드웨어 입력기는 외부 소리를 입력신호로 하는 마이크를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 보드(20)는 무선 네트워크, 바람직하게는 근거리 무선 통신인 NFC, 블루투스 또는 와이파이 등을 경유하여 모바일 디바이스(10) 또는 블록(30)과 통신할 수 있다. 베이스 보드(20)는 모바일 디바이스(10)와 통신하여 사용자의 미션 수행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베이스 보드(20)의 일면에는 블록(30)이 편리하게 결합 또는 분리할 수 있도록 일정한 패턴의 돌출부가 형성될 수 있다. 베이스 보드(20)에 블록(30)이 결합하면, 베이스 보드(20)는 그 결합위치를 센싱하여 위치정보가 포함된 결합 이벤트를 모바일 디바이스(10)에 전송한다. 또한, 베이스 보드(20)는 돌출부가 형성된 일면에 가이드 조명을 구비하여 특정 블록(30)의 결합위치를 사용자에게 알려줄 수 있다. 베이스 보드(20)는 무선 충전 보드를 구비하여, 블록(30)이 베이스 보드(20)에 결합하면 유도 전력을 일으켜 블록(30) 내의 충전 코일을 충전할 수 있다.
블록(30)은 전체적으로 육면체 형상을 가지며, 적어도 일면에는 요철부가 형성되어 베이스 보드(20)와 손쉽게 결합 또는 분리될 수 있다. 블록(30)은 통신 모듈(31), 조명 모듈(32), 스피커 모듈(33), 충전 모듈(34) 및 확인 버튼(35)을 포함한다. 통신 모듈(31)은 무선 네트워크, 바람직하게는 근거리 무선 통신인 NFC, 블루투스 또는 와이파이 등을 통하여 모바일 디바이스(10) 또는 베이스 보드(20)와 통신할 수 있다. 조명 모듈(32)은 모바일 디바이스(10) 또는 베이스 보드(20)의 제어명령을 받아서 블록(30)의 적어도 일면에 기설정된 색상을 출력할 수 있다. 스피커 모듈(33)은 모바일 디바이스(10) 또는 베이스 보드(20)의 제어명령을 받아서 음성 안내 메시지 또는 기설정된 패턴의 소리를 출력할 수 있다. 충전 모듈(34)은 충전 코일로 구성되는데, 베이스 보드(20)의 무선 충전 보드와 커플링하여 무선 충전을 구현할 수 있다. 확인 버튼(35)은 사용자가 블록(30)을 선택할 경우 선택 이벤트를 발생하는 수단으로서, 사용자가 힘을 가하여 작동시키는 물리적 버튼 또는 터치센서와 같이 사용자가 블록(30)을 손으로 잡을 경우 작동하는 기능적 버튼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모바일 디바이스(10)는 블록(30)와 직접 통신할 수도 있고, 베이스 보드(20)를 경유하여 블록(30)와 간접 통신할 수 있다. 반대의 경우도 마찬가지이다. 본 발명에서는 특별히 "직접" 또는 "간접"이라는 언급이 없는 이상 두 가지 경우를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스마트 블록 어셈블리를 이용하여 색상 유도 훈련, 소리 유도 훈련, 및 동작 유도 훈련을 수행할 수 있다. 각 유도 훈련은 공통적으로 아래와 같은 세가지 기본훈련으로 구성된다.
제1 기본훈련: 사용자가 전체 블록(이를 '표본 블록'이라 함) 중 기설정된 일부 블록(이를 '대상 블록'이라 함)을 선택하는 훈련.
제2 기본훈련: 선택된 대상 블록을 가지고, 조감도의 지시에 따라 사용자가 기설정된 순서에 따라 대상 블록을 순차적으로 선택하는 훈련.
제3 기본훈련: 제2 기본훈련에서 순차적으로 선택된 대상 블록을 베이스 보드의 기설정된 위치에 결합하여 조감도를 완성하는 훈련.
위 세가지 기본훈련을 통하여, 사용자는 색상 인지 능력, 소리 인지 능력, 동작 실행 능력을 훈련할 수 있다. 또한, 사용되는 블록의 개수를 조절하여 난이도를 조절할 수 있으며, 각 기본훈련을 완성할 때까지 소요되는 시간과 오류 회수를 기반으로 사용자의 인지훈련결과에 대한 피드백을 제공할 수도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각 훈련방법에 대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색상 유도 훈련 및 소리 유도 훈련>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색상 또는 소리 유도 훈련 방법을 순차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먼저, 모바일 디바이스(10)는 안내 음성과 함께 표본 블록 중 선택해야 하는 대상 블록에 대한 정보를 알려주어 사용자에게 블록 선택을 요청한다(S10). 예컨대, 모바일 디바이스(10)의 화면에 특정 색상의 블록을 표시하면서 이 색상을 가지는 블록을 선택하라는 안내 음성을 제공할 수 있다. 또는 모바일 디바이스(10)는 표본 블록 중에서 특정 소리를 출력하는 블록(30)을 선택하라는 안내 음성을 제공할 수 있다.
모바일 디바이스(10)는 복수의 블록(30)에 제어신호를 전송하여, 표본 블록 중 일부(즉, 대상 블록)만이 기설정된 색상 또는 소리를 출력하도록 한다(S11). 여기서 대상 블록은 서로 동일한 색상 또는 소리를 출력할 수 있다.
사용자가 표본 블록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면, 예컨대 손으로 잡고 확인 버튼(35)을 누르면, 해당 블록(30)은 선택 이벤트를 발생하여 모바일 디바이스(10)에 전송한다(S12).
모바일 디바이스(10)는 선택 이벤트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선택한 블록이 대상 블록인지를 판단한다(S13). 만일 사용자가 선택한 블록이 대상 블록이 아니면, 모바일 디바이스(10)는 그 결과를 사용자에게 알리고 사용자가 다른 블록을 선택하도록 안내한다. 만일 사용자가 선택한 블록이 대상 블록과 일치하면, 모바일 디바이스(10)는 그 결과를 사용자에게 알리고 다음 훈련을 진행한다. 다만, 대상 블록이 복수 개이면, 사용자가 대상 블록을 모두 선택할 수 있도록 위 과정을 반복한다.
이어서, 모바일 디바이스(10)는 대상 블록을 조립해 완성한 조감도를 화면에 표시한다(S20). 각 대상 블록마다 고유한 색상 또는 소리(음계)가 설정되어 있어서, 각 대상 블록은 서로 다른 색상이나 소리(음계)를 출력한다(S21).
모바일 디바이스(10)는 조립순서에 맞춰 대상 블록을 조감도 상에 순차적으로 표시한다(S22). 예컨대, 모바일 디바이스(10) 상에 소정의 색상을 가진 대상 블록이 표시되면서, 사용자에게 표시된 대상 블록과 동일한 색상을 가진 블록을 선택하라는 안내 음성을 출력할 수 있다. 또는 모바일 디바이스(10)는 대상 블록을 표시하면서 특정한 소리(음계)를 출력하고, 사용자에게 동일한 소리를 내는 대상 블록을 선택하라는 안내 음성을 출력할 수 있다.
사용자는 안내 음성과 모바일 디바이스(10)의 표시에 맞춰 대상 블록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면, 예컨대 손으로 블록을 잡고 확인 버튼(35)을 누르면, 선택된 대상 블록은 선택 이벤트를 발생하여 모바일 디바이스(10)에 전송한다(S23).
모바일 디바이스(10)는 선택 이벤트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선택한 대상 블록이 조감도에 표시된 블록인지를 판단한다(S24). 즉, 조감도에 따라 사용자가 각 대상 블록을 순차적으로 정확히 선택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만일 사용자가 선택한 대상 블록이 조감도에 표시된 블록이 아니면, 모바일 디바이스(10)는 그 결과를 사용자에게 알리고 사용자가 다른 대상 블록을 선택하도록 안내한다. 만일 사용자가 선택한 대상 블록이 조감도에 표시된 블록과 일치하면, 모바일 디바이스(10)는 그 결과를 사용자에게 알리고 다음 훈련을 진행한다.
베이스 보드(20)는 앞서 올바르게 선택된 대상 블록의 결합위치에 가이드 조명을 턴온하여 표시한다(S30). 모바일 디바이스(10)는 사용자에게 선택한 대상 블록을 베이스 보드(20)의 가이드 조명이 들어오는 위치에 결합하라는 음성 안내를 제공할 수 있다. 베이스 보드(20)는 모든 대상 블록에 대하여 가이드 조명을 턴온할 수도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베이스 보드(20)는 선택된 대상 블록이 조감도 상의 첫 번째 블록일 경우에만 기정의된 결합위치에 가이드 조명을 턴온하고, 그 후에 선택되는 대상 블록에 대해서는 별도의 가이드 조명이 없는 상태에서 사용자는 모바일 디바이스(10) 상에 표시된 조감도를 통해 결합위치를 확인하면서 후속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이 때 모바일 디바이스(10)는 사용자에게 선택된 대상 블록을 조감도에 따라 베이스 보드(20) 상에 결합하라는 음성 안내를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가 대상 블록(30)을 베이스 보드(20)의 결합하면, 베이스 보드(20)는 실제 결합된 위치 정보와 함께 결합 이벤트를 발생하여 모바일 디바이스(10)에 전송한다(S31).
모바일 디바이스(10)는 결합 이벤트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대상 블록을 베이스 보드(20)의 기설정된 결합위치에 정확히 결합한지를 판단한다(S32). 만일 대상 블록이 잘못된 위치에 결합한 경우, 모바일 디바이스(10)는 그 결과를 사용자에게 알리고 사용자가 다른 위치에 대상 블록을 결합하도록 안내한다. 만일 대상 블록이 올바른 위치, 즉 기설정된 결합위치에 결합한 경우, 모바일 디바이스(10)는 그 결과를 사용자에게 알리고, 다음 조립순서에 해당하는 대상 블록을 조감도 상에 표시한다(S22). 이어서 사용자의 대상 블록을 선택하는 과정(S23)과, 선택의 정반응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S24), 베이스 보드(20)의 결합 위치에 가이드 조명을 턴온하거나 턴오프하는 과정(S30), 대상 블록을 베이스 보드(20)에 결합하고(S31), 결합의 정반응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S32)을 다시 수행한다. 조감도의 조립순서에 맞춰 모든 대상 블록을 베이스 보드(20)에 결합할 때까지 이러한 과정을 반복하여 수행한다.
사용자가 조감도의 지시에 따라 모든 대상 블록을 베이스 보드(20)에 결합하여 제1 내지 제3 기본훈련을 모두 완료하면, 모바일 디바이스(10)는 제1 내지 제3 기본훈련을 각각 완성하기까지 소요된 시간과 오류 회수를 분석하여 결과지표로서 훈련결과 피드백을 제공한다(S33).
<동작 유도 훈련>
동작 유도 훈련은 앞서 설명한 색상 또는 소리 유도 훈련과 대부분이 실질적으로 동일하며, 이하 차이점을 위주로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다른 동작 유도 훈련 방법을 순차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모바일 디바이스(10)는 안내 음성과 함께 표본 블록 중 선택해야 하는 대상 블록에 대한 정보를 알려주어 사용자에게 블록 선택을 요청한다(S10). 예컨대, 모바일 디바이스(10)는 사용자가 박수를 쳐서 이에 반응하여 특정 색상을 출력하는 블록을 선택하라는 안내 음성을 제공할 수 있다.
모바일 디바이스(10)가 사용자로부터 기설정된 패턴의 박수소리를 입력 받으면(S40), 모바일 디바이스(10)는 복수의 블록(30)에 제어신호를 전송하여 표본 블록 중 일부(즉, 대상 블록)만이 기설정된 색상을 출력하도록 한다(S11).
사용자가 표본 블록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면, 예컨대 손으로 잡고 확인 버튼(35)을 누르면, 해당 블록(30)은 선택 이벤트를 발생하여 모바일 디바이스(10)에 전송한다(S12).
모바일 디바이스(10)는 선택 이벤트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선택한 블록이 대상 블록인지를 판단한다(S13).
이어서, 모바일 디바이스(10)는 대상 블록을 조립해 완성한 조감도를 화면에 표시한다(S20). 각 대상 블록마다 고유한 소리(박자)가 설정되어 있다(S21).
모바일 디바이스(10)는 조립순서에 맞춰 대상 블록을 조감도 상에 순차적으로 표시한다(S22). 예컨대, 모바일 디바이스(10)는 대상 블록을 표시하면서 특정한 소리(박자)를 출력하고, 사용자에게 동일한 소리(박자)로 박수를 치고 그 박수에 맞춰 특정 색상을 출력하는 블록을 선택하라는 안내 음성을 출력할 수 있다.
모바일 디바이스(10)가 사용자로부터 기설정된 패턴의 박수소리를 입력 받으면(S42), 모바일 디바이스(10)는 이에 대응하는 대상 블록이 특정 색상을 출력하도록 제어한다.
사용자는 안내 음성과 모바일 디바이스(10)의 표시에 맞춰 대상 블록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면, 예컨대 손으로 블록을 잡고 확인 버튼(35)을 누르면, 선택된 대상 블록은 선택 이벤트를 발생하여 모바일 디바이스(10)에 전송한다(S23).
모바일 디바이스(10)는 선택 이벤트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선택한 대상 블록이 조감도에 표시된 블록인지를 판단한다(S24).
베이스 보드(20)는 앞서 올바르게 선택된 대상 블록의 결합위치에 가이드 조명을 턴온하여 표시한다(S30). 모바일 디바이스(10)는 사용자에게 선택한 대상 블록을 베이스 보드(20)의 가이드 조명이 들어오는 위치에 결합하라는 음성 안내를 제공할 수 있다. 베이스 보드(20)는 모든 대상 블록에 대하여 가이드 조명을 턴온할 수도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베이스 보드(20)는 선택된 대상 블록이 조감도 상의 첫 번째 블록일 경우에만 기정의된 결합위치에 가이드 조명을 턴온하고, 그 후에 선택되는 대상 블록에 대해서는 별도의 가이드 조명이 없는 상태에서 사용자는 모바일 디바이스(10) 상에 표시된 조감도를 통해 결합위치를 확인하면서 후속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이 때 모바일 디바이스(10)는 사용자에게 선택된 대상 블록을 조감도에 따라 베이스 보드(20) 상에 결합하라는 음성 안내를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가 대상 블록(30)을 베이스 보드(20)의 결합하면, 베이스 보드(20)는 실제 결합된 위치 정보와 함께 결합 이벤트를 발생하여 모바일 디바이스(10)에 전송한다(S31).
모바일 디바이스(10)는 결합 이벤트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대상 블록을 베이스 보드(20)의 기설정된 결합위치에 정확히 결합한지를 판단한다(S32).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 모바일 디바이스
20: 베이스 보드
30: 블록
31: 통신 모듈
32: 조명 모듈
33: 스피커 모듈
34: 충전 모듈
35: 확인 버튼

Claims (10)

  1. 사용자에게 미션을 전달하는 모바일 디바이스;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와 통신하며 상기 미션의 수행여부를 판단하는 베이스 보드; 및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 또는 상기 베이스 보드와 통신하며 상기 베이스 보드에 결합 또는 분리되는 복수의 블록(이를 '표본 블록'이라 함)을 포함하는 스마트 블록 어셈블리를 이용한 인지훈련 방법으로서,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는 상기 표본 블록 중 일부(이를 '대상 블록'이라 함)에만 동일한 색상 또는 소리를 출력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색상 또는 소리를 출력하는 대상 블록을 선택하라는 안내 음성을 제공하면서 상기 사용자가 상기 대상 블록을 정확히 선택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제1 단계;
    상기 대상 블록 각각은 서로 다른 고유한 색상 또는 소리를 출력하고,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는 상기 대상 블록의 조립순서를 나타낸 조감도를 화면에 표시하고 상기 조감도의 조립순서에 따라 상기 고유한 색상 또는 소리를 출력하는 대상 블록을 순차적으로 선택하라는 안내 음성을 제공하면서 상기 조감도에 따라 사용자가 각 대상 블록을 순차적으로 정확히 선택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제2 단계; 및
    상기 베이스 보드는 상기 조감도에 따라 상기 대상 블록의 결합위치를 사전에 정의하고,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는 상기 대상 블록이 상기 베이스 보드 상의 상기 결합위치에 정확히 결합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제3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베이스 보드는 상기 대상 블록의 결합위치를 안내할 가이드 조명을 구비하고,
    상기 제3 단계는, 상기 조감도에 따라 사전에 정의된 상기 베이스 보드의 결합위치에 상기 가이드 조명이 턴온되고, 상기 가이드 조명이 턴온된 결합위치에 상기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대상 블록이 결합하면 상기 베이스 보드는 결합 이벤트를 발생하여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에 전송하고,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는 상기 결합 이벤트를 이용하여 상기 대상 블록이 상기 결합위치에 결합한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인지훈련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계는,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가 음성 안내와 함께 상기 대상 블록의 정보를 알려주면 상기 대상 블록은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와 통신하여 기설정된 색상 또는 소리를 출력하고, 상기 사용자가 상기 표본 블록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면 선택된 표본 블록이 선택 이벤트를 발생하여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에 전송하고,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는 상기 선택 이벤트를 이용하여 상기 선택된 표본 블록이 상기 대상 블록인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인지훈련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대상 블록이 기설정된 색상 또는 소리를 출력하기 위한 전제로서,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가 상기 사용자로부터 기설정된 패턴의 박수소리를 입력받는 것을 더 포함하는 인지훈련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단계는,
    상기 각 대상 블록은 고유한 색상 또는 소리를 출력하고,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는 조립순서에 맞춰 상기 대상 블록을 상기 조감도 상에 순차적으로 표시하고,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표시에 맞춰 상기 사용자가 상기 대상 블록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면 선택된 대상 블록이 선택 이벤트를 발생하여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에 전송하고,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는 상기 선택 이벤트를 이용하여 상기 선택된 대상 블록이 상기 조감도에 표시된 블록인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인지훈련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각 대상 블록은 서로 다른 색상을 출력하거나 서로 다른 음계의 소리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지훈련 방법.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가 조립순서에 맞춰 상기 대상 블록을 상기 조감도 상에 순차적으로 표시하는 동안,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가 상기 사용자로부터 기설정된 패턴의 박수소리를 입력받는 것을 더 포함하는 인지훈련 방법.
  7. 삭제
  8. 삭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단계 후에,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는 상기 사용자가 상기 제1 단계를 완성하기까지의 소요 시간과 오류 회수, 상기 제2 단계를 완성하기까지의 소요 시간과 오류 회수, 및 상기 제3 단계를 완성하기까지의 소요 시간과 오류 회수를 분석하여 결과지표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인지훈련 방법.
  10. 사용자에게 미션을 전달하는 모바일 디바이스;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와 통신하며 상기 미션의 수행여부를 판단하는 베이스 보드; 및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 또는 상기 베이스 보드와 통신하며 상기 베이스 보드에 결합 또는 분리되는 복수의 블록(이를 '표본 블록'이라 함)을 포함하고,
    아래 제1 내지 3 단계의 인지훈련을 수행하는 스마트 블록 어셈블리:
    (제1 단계)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는 상기 표본 블록 중 일부(이를 '대상 블록'이라 함)에만 동일한 색상 또는 소리를 출력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색상 또는 소리를 출력하는 대상 블록을 선택하라는 안내 음성을 제공하면서 상기 사용자가 상기 대상 블록을 정확히 선택하는지 여부를 판단함;
    (제2 단계) 상기 대상 블록 각각은 서로 다른 고유한 색상 또는 소리를 출력하고,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는 상기 대상 블록의 조립순서를 나타낸 조감도를 화면에 표시하고 상기 조감도의 조립순서에 따라 상기 고유한 색상 또는 소리를 출력하는 대상 블록을 순차적으로 선택하라는 안내 음성을 제공하면서 상기 조감도에 따라 사용자가 각 대상 블록을 순차적으로 정확히 선택하는지 여부를 판단함;
    (제3 단계) 상기 베이스 보드는 상기 조감도에 따라 상기 대상 블록의 결합위치를 사전에 정의하고,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는 상기 대상 블록이 상기 베이스 보드 상의 상기 결합위치에 정확히 결합하는지 여부를 판단함;
    상기 베이스 보드는 상기 대상 블록의 결합위치를 안내할 가이드 조명을 구비하고;
    상기 제3 단계는, 상기 조감도에 따라 사전에 정의된 상기 베이스 보드의 결합위치에 상기 가이드 조명이 턴온되고, 상기 가이드 조명이 턴온된 결합위치에 상기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대상 블록이 결합하면 상기 베이스 보드는 결합 이벤트를 발생하여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에 전송하고,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는 상기 결합 이벤트를 이용하여 상기 대상 블록이 상기 결합위치에 결합한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함.
KR1020180104630A 2018-09-03 2018-09-03 스마트 블록 어셈블리 및 이를 이용한 감각운동 자극 기반 인지훈련방법 KR1021904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4630A KR102190407B1 (ko) 2018-09-03 2018-09-03 스마트 블록 어셈블리 및 이를 이용한 감각운동 자극 기반 인지훈련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4630A KR102190407B1 (ko) 2018-09-03 2018-09-03 스마트 블록 어셈블리 및 이를 이용한 감각운동 자극 기반 인지훈련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7120A KR20200027120A (ko) 2020-03-12
KR102190407B1 true KR102190407B1 (ko) 2020-12-14

Family

ID=698031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04630A KR102190407B1 (ko) 2018-09-03 2018-09-03 스마트 블록 어셈블리 및 이를 이용한 감각운동 자극 기반 인지훈련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9040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36818A (ko) 2022-09-14 2024-03-21 주식회사크리모 스마트 블록을 사용한 인지력 증강 장치 및 인지력 증강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70473B1 (ko) * 2020-09-18 2022-03-14 노은아 인지활동 교육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인지활동 교육방법
KR102519335B1 (ko) * 2022-10-25 2023-04-10 주식회사 크리모 자폐 스펙트럼 장애의 개선을 위한 훈련 도구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11296Y1 (ko) * 2003-02-07 2003-04-23 유윤정 교육용 블록완구
KR101752225B1 (ko) * 2015-09-16 2017-06-29 김영미 인지능력 향상을 위한 블록완구 및 이를 이용한 인지능력을 향상시키는 방법
KR101946464B1 (ko) * 2017-01-26 2019-02-11 (주)로보케어 체감형 인터랙티브 콘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도구 및 그 방법
KR102060063B1 (ko) * 2017-11-28 2019-12-30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치매 환자를 위한 인지 훈련 장치

Non-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공개특허공보 제10-2017-0033054호(2017.3.24. 공개) 1부.*
공개특허공보 제10-2018-0088281호(2018.8.3. 공개) 1부.*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11296호(2003.4.23. 공고) 1부.*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36818A (ko) 2022-09-14 2024-03-21 주식회사크리모 스마트 블록을 사용한 인지력 증강 장치 및 인지력 증강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7120A (ko) 2020-03-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90407B1 (ko) 스마트 블록 어셈블리 및 이를 이용한 감각운동 자극 기반 인지훈련방법
KR102130622B1 (ko) 패그 보드, 재활 훈련 시스템 및 재활 훈련 방법
US10130845B2 (en) Gymnastic machine, system, method, and program product for easily controlling the training of a user on a gymnastic machine
US20080146329A1 (en) Movement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KR101582347B1 (ko) 개인 트레이닝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CN113209554A (zh) 立柱插板型康复训练系统
AU2016100297A4 (en) Wearable blasting system apparatus
JP6770981B2 (ja) 心肺蘇生連携方法、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製品及びシステム
KR20170127362A (ko) 스마트통신기기 기반의 저출력 광선치료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US20150017619A1 (en) Recording and communicating body motion
JP2022182673A (ja) 学習システム及び学習方法
Xu et al. Design and evaluation of vibrating footwear for navigation assistance to visually impaired people
US20220233391A1 (en) Human-interface device and a guiding apparatus for a visually impaired user including such human-interface device
KR20200110485A (ko) 유산소 운동 기능이 구비된 요가 매트
KR101729060B1 (ko) 블록을 이용한 교육용 음악보드 및 이를 포함하는 음악교육 시스템
KR101683160B1 (ko) 시각장애인용 사물 인지 시스템
KR102131139B1 (ko) 인지 장애 아동을 위한 인지 훈련 장치 및 방법
JP2022032362A (ja) システム、方法、情報処理装置
KR102091206B1 (ko) 위치정보를 이용한 운동 및 인지훈련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훈련방법
US9818319B2 (en) Wearable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9501948B1 (en) Interactive educational system and method
KR20200108141A (ko) 스마트 요가 매트
KR20200106385A (ko) 운동 유도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1858679B1 (ko) 점자의 입력과 출력을 위한 마이크로 구동 모듈
KR20200110484A (ko) 무선 충전 기능이 구비된 요가 매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