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90111B1 - 상이한 무선 디바이스들이 공통 호스트 디바이스를 제어하기 위한 허가 관리 - Google Patents

상이한 무선 디바이스들이 공통 호스트 디바이스를 제어하기 위한 허가 관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90111B1
KR102190111B1 KR1020197020345A KR20197020345A KR102190111B1 KR 102190111 B1 KR102190111 B1 KR 102190111B1 KR 1020197020345 A KR1020197020345 A KR 1020197020345A KR 20197020345 A KR20197020345 A KR 20197020345A KR 102190111 B1 KR102190111 B1 KR 1021901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less device
permissions
level
top box
host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203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86782A (ko
Inventor
보브 브래들리
윌리암 엠. 범가너
비제이 순다람
마르크 제이. 크로크말
Original Assignee
애플 인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애플 인크. filed Critical 애플 인크.
Priority to KR10202070351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59149B1/ko
Publication of KR201900867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867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901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901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44Program or device authent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5End-user interface for inputting end-user data, e.g. personal identification number [PIN], preference data
    • H04N21/4753End-user interface for inputting end-user data, e.g. personal identification number [PIN], preference data for user identification, e.g. by entering a PIN or passwor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2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e.g. protecting personally identifiable information [PII]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60Protecting data
    • G06F21/604Tools and structures for managing or administering access control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08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 H04L63/0876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based on the identity of the terminal or configuration, e.g. MAC address, hardware or software configuration or device fingerpri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60Network streaming of media packets
    • H04L65/61Network streaming of media packets for supporting one-way streaming services, e.g. Internet radio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32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32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 H04L9/3247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involving digital signatur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8External card to be used in combination with the client device, e.g. for conditional access
    • H04N21/4185External card to be used in combination with the client device, e.g. for conditional access for pay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6Interfacing a local distribution network, e.g. communicating with another STB or one or more peripheral devices inside the home
    • H04N21/43615Interfacing a Home Network, e.g. for connecting the client to a plurality of peripher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6Interfacing a local distribution network, e.g. communicating with another STB or one or more peripheral devices inside the home
    • H04N21/4363Adapting the video stream to a specific local network, e.g. a Bluetooth® network
    • H04N21/43637Adapting the video stream to a specific local network, e.g. a Bluetooth® network involving a wireless protocol, e.g. Bluetooth, RF or wireless LAN [IEEE 802.11]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8Supplemental services, e.g. displaying phone caller identification, shopping application
    • H04N21/47815Electronic shopp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3Protecting confidentiality, e.g. by encryp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6Authentication
    • H04W12/065Continuous authent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6Authentication
    • H04W12/068Authentication using credential vaults, e.g. password manager applications or one time password [OTP] appl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6Authentication
    • H04W12/069Authentication using certificates or pre-shared key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8Access security
    • H04W12/082Access security using revocation of authoris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8Access security
    • H04W12/084Access security using delegated authorisation, e.g. open authorisation [OAuth] protoc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50Secure pairing of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4Direct-mode setu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08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 H04L63/083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using passwor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1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controlling access to devices or network resour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1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controlling access to devices or network resources
    • H04L63/105Multiple levels of secur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50Secure pairing of devices
    • H04W12/55Secure pairing of devices involving three or more devices, e.g. group pair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60Context-dependent security
    • H04W12/69Identity-dependent
    • H04W12/71Hardware ident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6Selective distribution of broadcast services, e.g. multimedia broadcast multicast service [MBMS]; Services to user groups; One-way selective calling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04W84/10Small scale networks; Flat hierarchical networks
    • H04W84/12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ultimedia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Bioethic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무선 디바이스들의 그룹에 제공되는 호스트 디바이스의 제어와 연관된 허가들을 관리하기 위한 기법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다. 호스트 디바이스는 제1 무선 디바이스와 페어링하도록 구성된다. 제1 무선 디바이스와 페어링하는 것에 응답하여, 호스트 디바이스는 호스트 디바이스를 제어하기 위한 제1 레벨의 허가들을 제1 무선 디바이스에 승인한다. 후속적으로, 호스트 디바이스는 호스트 디바이스와 페어링하라는 제2 요청을 제2 무선 디바이스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제2 무선 디바이스와 페어링하는 것에 응답하여, 호스트 디바이스는 호스트 디바이스를 제어하기 위한 제2 레벨의 허가들을 제2 무선 디바이스에 승인할 수 있으며, 여기서 제2 레벨의 허가들은 제1 레벨의 허가들과 구별된다.

Description

상이한 무선 디바이스들이 공통 호스트 디바이스를 제어하기 위한 허가 관리
본 명세서에 기술된 실시예들은 무선 디바이스들의 그룹에 제공되는 호스트 디바이스(예컨대, 셋톱 박스)의 제어와 연관된 허가들을 관리하기 위한 기법을 기재한다.
무선 디바이스들(예컨대, 스마트 폰, 태블릿, 웨어러블 기기 등)은 통상적으로 보조 디스플레이들(예컨대, "스마트" 텔레비전), 또는 그러한 보조 디스플레이들에 접속되는 셋톱 박스들로 콘텐츠를 브로드캐스트하는 데 사용되고 있다. 일반적인 사용 사례 시나리오는 사용자가 그들의 스마트 폰 상으로 슬라이드쇼 프리젠테이션(slideshow presentation)을 로딩하고, 그들의 스마트폰을 네트워크-기반 인터페이스를 사용하여 셋톱 박스에 접속하고, 이어서 스마트 폰으로 하여금 (예컨대, 셋톱 박스를 통해) 슬라이드쇼 프리젠테이션을 보조 디스플레이로 출력하게 하는 것을 수반한다. 네트워크-기반 인터페이스의 일례는 애플® 에어플레이(AirPlay)®를 포함하며, 이는 에어플레이®-장착 휴대용 컴퓨팅 디바이스들(예컨대, 아이폰®, 아이패드®, 애플 워치® 등과 같은 iOS-기반 디바이스들)이 에어플레이®-장착 컴포넌트들(예컨대, 애플 TV®)로 콘텐츠를 브로드캐스트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대부분의 경우들에서, 셋톱 박스의 소유자는 셋톱 박스의 동작을 둘러싸는 전반적인 보안에 대해 염려하지 않고 상이한 무선 디바이스들이 셋톱 박스로 콘텐츠를 무선으로 브로드캐스트하도록 할 수 있다. 그러나, 셋톱 박스들 및 무선 디바이스들이 더 복잡해짐에 따라 - 그리고 무선 디바이스들이 셋톱 박스들을 새로운 그리고 향상된 방식들로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추가적인 특징들이 개발됨에 따라 - 보안 문제들이 또한 증가할 것이다. 이와 관련하여, 셋톱 박스들이 안전하고 의도된 방식으로 동작하는 것을 보장하기 위해 다른 무선 디바이스들에 할당된 허가들을 증가시키면서 일부 무선 디바이스들에 할당된 허가들을 제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대표적인 실시예들은 호스트 디바이스(예컨대, 셋톱 박스)를 제어하기 위한 허가들을 관리하기 위한 다양한 기법들을 개시하며, 여기서 상이한 허가들은 상이한 무선 디바이스들/상이한 무선 디바이스들과 연관된 사용자 계정들에 할당될 수 있다.
일 실시예는 상이한 무선 디바이스들에 의한 호스트 디바이스의 제어와 연관된 허가들을 관리하기 위한 호스트 디바이스에 의해 구현되는 방법을 기재한다. 일부 실시예들에 따르면, 호스트 디바이스는 호스트 디바이스와 무선으로 페어링하라는 제1 요청을 제1 무선 디바이스로부터 수신한다. 제1 요청에 응답하여, 호스트 디바이스는 제1 무선 디바이스와의 제1 무선 접속을 확립할(즉, 그와 페어링할) 수 있다. 제1 무선 접속을 확립하는 것과 함께, 호스트 디바이스는 호스트 디바이스를 제어하기 위한 제1 레벨의 허가들을 제1 무선 디바이스에 승인할 수 있다. 후속적으로, 호스트 디바이스는 호스트 디바이스와 무선으로 페어링하라는 제2 요청을 제2 무선 디바이스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제2 요청에 응답하여, 호스트 디바이스는 제2 무선 디바이스와의 제2 무선 접속을 확립할 수 있다. 제2 무선 접속을 확립하는 것과 함께, 호스트 디바이스는 호스트 디바이스를 제어하기 위한 제2 레벨의 허가들을 제2 무선 디바이스에 승인할 수 있으며, 여기서 제2 레벨의 허가들은 제1 레벨의 허가들과 구별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는 무선 디바이스의 익명성을 촉진하면서 호스트 디바이스와 무선 디바이스 사이의 보안 통신 채널을 확립하기 위한 방법을 기재한다. 일부 실시예들에 따르면, 본 방법은, 호스트 디바이스가, 호스트 디바이스와 무선으로 페어링하라는 요청을 무선 디바이스로부터 수신하는 단계를 수반한다. 요청에 응답하여, 호스트 디바이스는 무선 디바이스와의 무선 접속을 확립할 수 있다. 본 방법은, 호스트 디바이스가, 무선 디바이스로부터, i) 무선 디바이스와 연관된 개인 키로 암호화된 제1 메시지, 및 ii) 개인 키에 대한 대응하는 공개 키를 수신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호스트 디바이스는 (다른 무선 디바이스들로부터 수신된/그와 연관된) 공개 키들의 보관소에 공개 키를 저장할 수 있다. 후속적으로, 호스트 디바이스는 무선 디바이스로부터 제2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으며, 여기서 제2 메시지는 또한 개인 키로 암호화되지만, 무선 디바이스와 연관된 식별 정보(예를 들어, 공개 키, 무선 디바이스와 연관된 고유 식별자들 등)를 포함하지 않는다. 이어서, 호스트 디바이스는 i) 공개 키들의 보관소 내의 각각의 공개 키를 사용하여 제2 메시지의 복호화를 수행하려고 시도하고, ii) 제2 메시지를 성공적으로 복호화하는 공개 키를 식별함으로써, 제2 메시지가 무선 디바이스와 연관된다고 결정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호스트 디바이스 및 무선 디바이스는 보안 접속을 확립하면서, 그렇지 않았으면 스누핑/악의적인 디바이스들에 의해 획득가능할 수 있는 무선 디바이스의 정보를 억제함으로써, 전반적인 보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다른 실시예들은, 컴퓨팅 디바이스에 포함된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컴퓨팅 디바이스로 하여금 전술한 방법들 중 임의의 것의 다양한 단계들을 수행하게 하는 명령어들을 저장하도록 구성된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를 포함한다. 추가의 실시예들은 전술한 방법들 중 임의의 것의 다양한 단계들을 수행하도록 구성되는 컴퓨팅 디바이스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들 및 이점들은 설명되는 실시예들의 원리들을 예로서 예시하는 첨부 도면들과 함께 취해지는 하기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하게 될 것이다.
본 개시내용은 첨부 도면들과 함께 하기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에 의해 용이하게 이해될 것이며, 도면에서 유사한 도면 부호들은 유사한 구조적 요소들을 지정한다.
도 1은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본 명세서에 기술된 다양한 기법들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는 상이한 컴퓨팅 디바이스들을 포함하는 시스템을 도시한다.
도 2a는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셋톱 박스와 페어링하는 모바일 디바이스의 개념도를 도시한다.
도 2b는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셋톱 박스가 무선 디바이스들과 페어링할 수 있게 하고 셋톱 박스를 제어하는 것과 연관된 무선 디바이스들에 할당된 허가들을 관리할 수 있게 위한 방법을 도시한다.
도 2c는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무선 디바이스의 익명성을 촉진하면서 셋톱 박스와 무선 디바이스 사이에 신뢰 접속을 확립하기 위한 방법을 도시한다.
도 3a는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무선 디바이스가 다른 무선 디바이스에게 셋톱 박스를 잠금해제하는 허가를 승인하는, 개념도를 도시한다.
도 3b는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무선 디바이스에게, 무선 디바이스가 현재 수행하도록 허용되지 않은 (셋톱 박스와 연관되어) 특정 기능을 수행하는 허가를 승인하기 위한 방법을 도시한다.
도 4a는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무선 디바이스가 셋톱 박스와 함께 콘텐츠 아이템을 구매하는 개념도를 도시한다.
도 4b는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무선 디바이스가 셋톱 박스를 통해 콘텐츠 아이템을 구매하기 위한 방법을 도시한다.
도 5a는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모바일 디바이스가 셋톱 박스로 하여금 모바일 디바이스에 할당된 허가들에 따라 상이한 기능들을 수행하게 하는 개념도를 도시한다.
도 5b는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모바일 디바이스가 셋톱 박스로 하여금 모바일 디바이스에 할당된 허가들에 따라 상이한 기능들을 수행하게 하는 것을 수반하는 방법을 도시한다.
도 6a 및 도 6b는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무선 디바이스와 함께 수행되는 초기 페어링 및/또는 동작에 기초하여 무선 디바이스에 대한 특권 레벨들을 자동으로 확립하기 위한 방법을 도시한다.
도 7은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본 명세서에 기술된 다양한 기법들을 구현하는 데 사용될 수 있는 컴퓨팅 디바이스의 상세도를 도시한다.
본 출원에 따른 방법들 및 장치들의 대표적인 응용예들이 이 섹션에 기술된다. 이 예들은 단지 맥락을 부가하고 기술된 실시예들의 이해에 도움을 주기 위해 제공되어 있다. 따라서, 기술된 실시예들이 이들의 구체적인 세부사항들의 일부 또는 전부가 없이도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다른 경우들에서, 잘 알려진 프로세스 단계들은 기술된 실시예들을 불필요하게 불명료하게 하지 않기 위해 상세히 기술되지 않았다. 다른 응용예들도 가능하며, 따라서 이하의 예들은 제한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서는 안된다.
하기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설명의 일부를 형성하고 기술된 실시예들에 따른 특정 실시예들이 예시로서 도시되어 있는 첨부 도면들이 참조된다. 이러한 실시예들은 통상의 기술자가 기술된 실시예들을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충분히 상세히 기술되어 있지만, 이러한 예들은 제한하는 것이 아니어서, 다른 실시예들이 사용될 수 있으며, 기술된 실시예들의 기술적 사상 및 범주를 벗어남이 없이 변경들이 행해질 수 있음이 이해된다.
본 명세서에 기술된 대표적인 실시예들은 호스트 디바이스를 제어하기 위해 무선 디바이스들에 할당된 허가들을 관리하기 위한 기법을 기재한다. 일부 실시예들에 따르면, 호스트 디바이스는 직접 접속(예컨대, 로컬 무선 접속 또는 로컬 유선 접속)을 통해 또는 간접 접속(예컨대, 인터넷)을 통해 임의의 수의 무선 디바이스들과 통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직접 접속 시나리오의 일례는 호스트 디바이스가 호스트 디바이스와 무선 디바이스 사이에 무선 접속을 확립하라는 요청을 무선 디바이스로부터 수신하는 것을 수반할 수 있다. 일단 무선으로 접속되면, 호스트 디바이스는 어떻게 무선 디바이스가 호스트 디바이스를 제어할 수 있는지를 특정하는 허가들을 무선 디바이스에 승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폴트 허가들은 호스트 디바이스와의 성공적인 페어링 시에 무선 디바이스에 승인될 수 있는데, 여기서 디폴트 허가들은 무선 디바이스가 호스트 디바이스로 콘텐츠를 스트리밍하고 호스트 디바이스의 사용자 인터페이스(UI)를 원격으로 내비게이팅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다른 예에서, 관리 허가들이 무선 디바이스에 허가될 수 있는데, 여기서 관리 허가들은 무선 디바이스가 호스트 디바이스로 하여금 강화된 활동(예컨대, 다른 무선 디바이스들과 연관된 허가들을 관리하는 것, 결제들을 인가하는 것, 동작을 위해 호스트 디바이스를 잠금해제하는 것, 호스트 디바이스에서의 재생을 위해 콘텐츠를 승인하는 것 등)을 수행하게 하도록 허용한다. 추가적인 무선 디바이스들이 호스트 디바이스와 페어링됨에 따라, 호스트 디바이스는 그들 무선 디바이스들에 추가적인 허가들을 승인할 수 있고, 관리-레벨 허가들을 소유하는 무선 디바이스들/사용자 계정들에 의해 이루어진 선택들에 따라 그들 허가들을 추가하거나 뺄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기술된 대표적인 실시예들은 또한 호스트 디바이스가 전반적인 보안을 향상시키도록 익명성을 촉진하는 방식으로 무선 디바이스와의 보안 접속을 확립할 수 있게 하기 위한 기법을 기재한다. 일부 실시예들에 따르면, 호스트 디바이스는 무선 디바이스와의 보안 접속을 확립하라는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보안 접속을 확립하기 위해, 무선 디바이스는 - 예를 들어, 초기 페어링 프로세스 동안 - i) 호스트 디바이스에 제1 메시지를 - 여기서 제1 메시지는 무선 디바이스에 의해 소유된 개인 키로 암호화됨 -, 그리고 ii) 개인 키에 대한 대응하는 공개 키를 제공한다. 이어서, 호스트 디바이스는 (호스트 디바이스가 이전에 페어링한 상이한 무선 디바이스들과 연관된) 공개 키들의 보관소에 공개 키를 저장할 수 있다. 후속적으로 - 예를 들어, 무선 디바이스가 나중에 호스트 디바이스와 근접하게 복귀할 때 - 무선 디바이스는 호스트 디바이스에 제2 메시지를 제공하며, 여기서 제2 메시지는 또한 개인 키로 암호화지만, 무선 디바이스를 고유하게 식별하는 무선 디바이스와 연관된 정보(예컨대, 공개 키, 고유 소프트웨어-기반/하드웨어-기반 식별자 등)를 포함하지 않는다. 이어서, 호스트 디바이스는 i) 공개 키들의 보관소 내의 각각의 공개 키를 사용하여 제2 메시지의 복호화를 수행하려고 시도하고, ii) 제2 메시지를 성공적으로 복호화하는 공개 키를 식별함으로써, 제2 메시지가 제1 무선 디바이스와 연관된다고 결정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호스트 디바이스 및 무선 디바이스는 보안 접속을 확립하면서, 그렇지 않았으면 스누핑/악의적인 디바이스들에 의해 획득가능할 수 있는 무선 디바이스의 식별 정보를 억제함으로써, 전반적인 보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기법들은 셋톱 박스와 연관되고 다양한 무선 디바이스들에 할당된 허가들이 보안을 유지하면서 의도된 기능을 제공하도록 수정될 수 있는 매우 유연한 환경을 가능하게 한다. 이들 기법의 보다 상세한 설명은 도 1 내지 도 7과 함께 아래에 제공된다.
도 1은 본 명세서에 기술된 다양한 기법들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는 상이한 컴퓨팅 디바이스들의 시스템(100)을 도시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스템(100)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2), 셋톱 박스(104), 모바일 디바이스(106), 태블릿 디바이스(108), 및 웨어러블 디바이스(110)를 포함한다. 본 개시내용 전반에 걸쳐, 모바일 디바이스(106), 태블릿 디바이스(108), 및 웨어러블 디바이스(110) 각각은 본 명세서에서 "무선 디바이스들"로 총칭된다는 것에 유의한다. 또한, 본 개시내용 전반에 걸쳐, 용어 "호스트 디바이스" 및 "셋톱 박스"는 컴퓨팅 디바이스를 제어하기 위해 다양한 무선 디바이스들에 할당된 허가들을 관리하는 임의의 컴퓨팅 디바이스를 기술하기 위해 상호교환가능하게 사용된다는 것에 유의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셋톱 박스(104)는 독립형 디바이스일 수 있다. 그러나, 셋톱 박스(104)가 또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2)와 같은 다른 디바이스 내에 통합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하여야 한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2)는 모니터, 텔레비전 등과 같은 임의의 종래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일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2)는 유선 또는 무선 접속을 통해서든 임의의 적합한 통신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셋톱 박스(104)에 통신가능하게 접속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2)는 셋톱 박스(104)와 인터페이싱하고, 셋톱 박스(104)에 의해 생성되고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2)에 제공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UI)를 디스플레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2)는 셋톱 박스(104)에서 생성된 콘텐츠를 디스플레이한다.
일부 실시예들에 따르면, 셋톱 박스(104), 모바일 디바이스(106), 태블릿 디바이스(108), 및 웨어러블 디바이스(110) 각각은, 이들 디바이스들이 본 명세서에 기술된 다양한 기법들을 수행할 수 있게 하는 각각의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들을 실행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모바일 디바이스(106), 태블릿 디바이스(108), 및 웨어러블 디바이스(110)는 이들 무선 디바이스로 하여금 셋톱 박스(104) 상에 실행되고 있는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예컨대, 운영 체제(OS))(예컨대, 애플 TV(Apple TV)®)를 원격으로 내비게이팅할 수 있게 하는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예컨대, 애플 TV®리모콘(Apple TV® Remote))을 실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무선 디바이스들 각각은 홈 자동화 기법들을 가능하게 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모바일 디바이스(106)는 홈 자동화 네트워크(예컨대, 애플®의 홈킷(HomeKit))를 통해 셋톱 박스(104)와 연관되는 외부 디바이스를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특히, 그리고 도 1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이들 컴퓨팅 디바이스들은 각각의 애플리케이션들의 실행을 가능하게 하는 다양한 하드웨어 컴포넌트들을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이 잘 이해된다. 예를 들어, 이들 디바이스는 적어도 하나의 저장 디바이스(예를 들어, 솔리드 스테이트 드라이브, 하드 드라이브 등),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예를 들어, 멀티-코어 중앙 처리 장치(CPU)), 및 적어도 하나의 메모리(예컨대,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를 포함할 수 있으며, 그 내에 OS가 실행될 수 있고, 여기서 OS는 상이한 애플리케이션들을 로딩/실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 따르면,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 이전에 기술된 바와 같이, 셋톱 박스(104)는 무선 디바이스(예컨대, 모바일 디바이스(106), 태블릿 디바이스(108), 또는 웨어러블 디바이스(110) 중 하나)로 하여금 셋톱 박스(104)에 의해 제공되는 상이한 기능들을 제어할 수 있게 하는 특정 허가들을 무선 디바이스에 승인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디바이스에 승인될 수 있는 특정 허가들은 셋톱 박스(104)로 콘텐츠를 스트리밍하는 것, 셋톱 박스(104)에 액세스가능한 콘텐츠(예컨대, 영화, TV 쇼, 음악 등)에 대한 결제들을 수행하는 것, 셋톱 박스(104)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내비게이팅하는 것, 셋톱 박스(104)의 자녀 보호 기능(parental controls)에 액세스하는 것, 셋톱 박스(104)의 구성 설정을 변경하는 것, 셋톱 박스(104)를 잠금해제하는 것 등을 포함할 수 있지만, 이로 제한되지 않는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셋톱 박스(104)를 잠금해제하는 것은 무선 디바이스를 동작시키고 있는 사용자가 셋톱 박스(104)에 의해 제공되는 특정 세트의 기능들에 액세스할 수 있게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셋톱 박스(104)의 소정 기능들은, 셋톱 박스(104)가 잠겨 있고 무선 디바이스가 셋톱 박스(104)를 잠금해제하기 위한 허가들을 할당받지 않을 때, 무선 디바이스에 대해 거부될 수 있다. 그러나, 일부 실시예들에서, 셋톱 박스(104)의 소정 기능들 - 예컨대, 디폴트, 저-보안 기능들 - 은 셋톱 박스(104)가 잠금해제될 것을 요구하지 않으면서 무선 디바이스들에 액세스가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모든 무선 디바이스들은 셋톱 박스(104)의 잠금해제를 요구하지 않으면서 셋톱 박스(104)로 콘텐츠를 스트리밍하도록 허용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셋톱 박스(104)는 셋톱 박스(104)와 연관된(예컨대, 그에 로그인된) 사용자 계정에 따라 페어링된 무선 디바이스들에 기능들을 승인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 따르면, 사용자 계정은 사용자 계정에 특정적인, 결제정보, 구성 설정, 자녀 보호 기능, 암호 동작 정보(예컨대, 메시지들을 암호화/복호화하는 데 사용되는 키들) 등과 연관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 따르면, 셋톱 박스(104)는, 관리자의 지시에 따라, 특정 사용자 계정과 연관된 하나 이상의 기능들을 이용하는 허가들을 셋톱 박스(104)와 현재 페어링된 무선 디바이스에 승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부모의 사용자 계정이 현재 셋톱 박스(104)에 로그인되어 있는 시나리오 - 여기서 사용자 계정은 부모의 결제 크리덴셜들(예를 들어, 가족 신용 카드)과 연관됨 - 를 고려해본다. 이 시나리오에서, 셋톱 박스(104)는, 부모의 허가 하에, 부모의 사용자 계정(즉, 그와 연관된 결제 크리덴셜들)을 사용하여 영화를 구매하는 허가들을 아이에게 승인할 수 있다. 다른 시나리오에서, 부모가 (예컨대, 무선 디바이스를 통해 셋톱 박스(104)에 원격으로 또는 로컬로) 생체측정 인증을 사용하여 셋톱 박스(104)를 잠금해제할 때, 셋톱 박스(104)는 다른 사용자(예컨대, 아이)가 셋톱 박스(104)를 동작시키고 있을 때 부모에게 허용된 기능들을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어린이는 부모의 사용자 계정에 특정적인 기능들에 대한 액세스를 획득할 수 있는데, 여기서 그러한 기능들은 부모의 재량에 따라 제거될 수 있다. 또 다른 시나리오에서, 가족의 몇몇 구성원들은 셋톱 박스(104)가 부모의 사용자 계정에 로그인되는 동안 셋톱 박스(104)를 사용하고 있을 수 있다. 이 예에서, 가족이 영화에 대한 검색 질의를 수행하고 있는 경우, 드롭-다운 메뉴 또는 키보드 - 이는 부모의 사용자 계정에 할당된 허가들에 따라 허용됨 - 는 페어링된 무선 디바이스들 각각에 셋톱 박스(104)에 의해 제공되어, 상이한 가족 구성원들이 입력을 제공하도록 허용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각각의 가족 구성원은 부모의 사용자 계정을 통해 액세스가능한 동일한 기능에 액세스할 수 있다. 또한, 이들 기능 각각이 단일 사용자 계정에 따라 제공될 수 있기 때문에, 셋톱 박스(104)와 상호작용하고 있는 각각의 디바이스는 사용자 계정과 연관된 암호 정보(예컨대, 암호 서명)를 사용하여 그렇게 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기술된 실시예들은 상이한 레벨들의 허가들을 상이한 무선 디바이스들과 연관시키는 것을 수반한다는 것에 유의한다. 그러나, 그러한 허가들은 시스템(100)의 전체 유연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무선 디바이스들 상에 구성된/그와 연관된 사용자들/사용자 계정들과 구체적으로 연관될 수 있다는 것에 유의한다. 예를 들어, 특정 사용자는 공통 사용자 계정(예컨대, 클라우드 서비스와 연관된 사용자명/패스워드 조합)을 통해 모바일 디바이스(106), 태블릿 디바이스(108), 및 웨어러블 디바이스(110) 각각과 연관될 수 있다. 공통 계정을 사용함으로써, 다수의 무선 디바이스들은 (예를 들어, 아이클라우드 키체인(iCloud Keychain)을 통해) 패스워드들을 공유하고, 암호 정보를 공유하고(예컨대, 암호 키들을 공유함), (예를 들어, 애플페이(Apple Pay)를 통해) 결제 정보를 공유하는 등을 수행할 수 있다. 이 예에서, 사용자가 모바일 디바이스(106)를 셋톱 박스(104)와 페어링하고 제1 레벨의 허가들을 수신할 때 - 페어링의 결과로서 또는 관리자에 의해 강화된 허가들을 승인받음으로써 - 이들 허가들은 기능을 수행하는 데 사용되고 있는 무선 디바이스에 상관없이 사용자 계정과 연관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사용자는 자신의 상이한 무선 디바이스들로부터 셋톱 박스(104)의 동일한 기능들에 액세스하도록 허용되며, 이는 사용자의 전반적인 경험을 향상시킬 수 있다.
추가적으로, 그리고 도 1에 도시되지 않지만, 모바일 디바이스(106), 태블릿 디바이스(108), 및 웨어러블 디바이스(110)는 단지 셋톱 박스(104)와 인터페이싱하도록 구성될 수 있는 컴퓨팅 디바이스들의 예들이라는 것이 잘 이해된다. 추가적으로, 본 명세서에서 논의된 상이한 컴퓨팅 디바이스들이 도 1에 단수형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들은 그렇게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에 유의한다. 예를 들어, 시스템(100)은 본 명세서에 기술된 기법들을 구현하도록 구성되는 다수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들(102), 셋톱 박스들(104), 모바일 디바이스들(106), 태블릿 디바이스들(108), 웨어러블 디바이스들(11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도 1은 본 명세서에 기술된 다양한 기법들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상이한 컴퓨팅 디바이스들을 포함하는 예시적인 시스템(100)을 제시한다. 이들 다양한 기법들에 대한 보다 상세한 설명은 도 2a 내지 도 2c, 도 3a, 도 3b, 도 4a, 도 4b, 도 5a 및 도 5b와 함께 아래에 제공된다.
도 2a는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셋톱 박스(104)와 페어링하는 모바일 디바이스(106-0)의 개념도(200)를 도시한다. 일부 실시예들에 따르면, 모바일 디바이스(106-0)가 셋톱 박스(104)와 (예컨대, 블루투스®, Wi-Fi, 근거리 통신 "NFC" 등을 통해) 직접 통신 채널을 확립하기 위한 범위 내에 있을 때, 모바일 디바이스(106-0) 및/또는 셋톱 박스(104)는 페어링 프로세스를 개시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 따르면, 페어링 프로세스는 도 2c에 도시되고 아래에서 보다 상세히 기술되는 기법들에 따라 보안 통신 채널을 형성하는 것을 수반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셋톱 박스(104)는 모바일 디바이스(106-0)와 페어링하기 전에 모바일 디바이스(106-0)를 인증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증은 모바일 디바이스(106-0)의 조작자가 셋톱 박스(104)에 근접해 있고 그리고/또는 셋톱 박스(104)가 접속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2)에 대한 액세스를 갖는 것을 보장하기 위해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셋톱 박스(104)는 도 2a에 도시된 사용자 인터페이스(202)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204)에 따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2) 상에 디스플레이된 PIN 번호가 모바일 디바이스(106-0) 상에 입력되도록 요구함으로써 모바일 디바이스(106-0)를 인증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 따르면, PIN 번호는 셋톱 박스(104)에 의해 랜덤으로 생성되고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2)를 통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셋톱 박스(104)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2) 상에 디스플레이되고 있는) PIN 번호 "1838"이 모바일 디바이스(106-0)에서 성공적으로 입력되고 셋톱 박스(104)에 제공될 때 모바일 디바이스(106-0)를 인증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모바일 디바이스(106-0)를 인증하는 데 사용되는 랜덤으로 생성된 PIN 번호는 셋톱 박스(104)와 모바일 디바이스(106-0) 사이에 보안 통신 채널을 암호적으로 확립하기 위한 시드로서 사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제공된 기능들을 수행하기 위해 추가적인 형태들의 인증이 사용될 수 있다는 것에 유의한다. 예를 들어, 생체측정 인증(예를 들어, 얼굴 인식, 홍채 인식, 지문 인식 등)이 전술된 PIN-기반 기법을 대체하거나 보완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일단 모바일 디바이스(106-0)가 셋톱 박스(104)에 페어링되면, 특정 레벨의 허가들이 모바일 디바이스(106-0)/모바일 디바이스(106-0)와 연관된 사용자 계정에 승인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 따르면, 허가들의 레벨은 셋톱 박스(104)의 기능들을 제어하기 위한 허가들의 동적 세트를 지칭하며, 명세서에서 더 상세히 기술되는 바와 같이, 허가들의 동적 세트는 셋톱 박스(104) 및/또는 셋톱 박스(104)에 알려진 무선 디바이스들(예컨대, 관리 특권들을 가짐)에 의해 수정될 수 있다. 일례에서, 셋톱 박스(104)와의 페어링 시에, 모바일 디바이스(106-0)는 모바일 디바이스(106-0)가 셋톱 박스(104)에 의해 제공되는 제한된 수의 기능들을 제어할 수 있게 하는 허가들의 레벨을 승인받을 수 있다.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여 기술되는 바와 같이, 셋톱 박스(104)가 모바일 디바이스(106-0)와 페어링되는 동안 수행할 수 있는 기능들의 레벨을 증가시키기 위해, 추가적인 레벨들의 허가들이 모바일 디바이스(106-0)에 승인될 수 있다.
특히, 그리고 일부 실시예들에 따르면, 셋톱 박스(104)가 모바일 디바이스(106-0)에 허가들의 레벨을 승인하기 전에 모바일 디바이스(106-0)가 셋톱 박스(104)와 페어링되는 것이 필수적인 것은 아니다. 특히, 그리고 일부 실시예들에 따르면, 모바일 디바이스들(106)에 대한 허가들은 셋톱 박스(104)와의 페어링 전에 사전-할당될 수 있다. 일례에서, 셋톱 박스(104)에 알려진 관리자 - 예컨대, 가정의 부모 - 는 (예를 들어, 부모/모바일 디바이스들(106)과 연관된 상이한 사용자 계정들을 통해) 부모에게 링크되는 모바일 디바이스들(106)을 참조할 수 있고, 그들이 최종적으로 셋톱 박스(104)와 페어링할 때 모바일 디바이스들(106)에 자동으로 할당될 허가들의 레벨들을 특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아이가 자신의 모바일 디바이스(106-0)를 셋톱 박스(104)와 페어링할 때, 모바일 디바이스(106-0)는 - 아이의 부모에 의해 선택된 이전 허가들에 기초하여 - 이전에 구매된 콘텐츠를 보도록 허용되지만, 새로운 콘텐츠를 구매/대여하는 것은 제한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허가들은, 그렇지 않을 경우 달성하기에 불편할 수도 있는 모든 모바일 디바이스들(106)의 선행(upfront) 페어링을 요구하지 않으면서 가정 내에서 유연하게 할당될 수 있다.
도 2b는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셋톱 박스(104)가 무선 디바이스들과 페어링할 수 있게 하고 셋톱 박스(104)를 제어하는 것과 연관된 무선 디바이스들에 할당된 허가들을 관리할 수 있게 위한 방법(250)을 도시한다.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법(250)은 단계(252)에서 시작하며, 여기서 셋톱 박스(104)는 페어링 모드에 진입하라는 초기 요청을 수신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페어링 모드에 진입하라는 초기 요청은 (예컨대, 셋톱 박스(104)의 설정 UI를 내비게이팅하는 데 사용되는) 셋톱 박스(104)의 원격 제어부를 통해, (예컨대, 직접 또는 간접 접속을 통해) 셋톱 박스(104)와 통신할 수 있는 무선 디바이스를 통해 등으로 개시될 수 있다. 단계(254)에서, 셋톱 박스(104)는 셋톱 박스(104)와 페어링하라는 제1 요청을 제1 무선 디바이스로부터 수신한다. 이에 응답하여, 단계(256)에서, 셋톱 박스(104)는 예컨대, 블루투스 접속, NFC 접속 등을 통해, 제1 무선 디바이스와 제1 무선 접속을 확립 - 즉, 페어링 - 할 수 있다.
제1 무선 디바이스가 셋톱 박스(104)와 성공적으로 페어링하는 것에 응답하여, 단계(258)에서, 셋톱 박스(104)는 셋톱 박스(104)를 제어하기 위한 제1 레벨의 허가들을 제1 무선 디바이스에 승인할 수 있다. 일례에서, 제1 무선 디바이스와 셋톱 박스(104) 사이의 페어링은 셋톱 박스(104)의 초기 셋업 동안 수행될 수 있다. 이 예를 더 설명하기 위해, 셋톱 박스(104)는 제1 무선 디바이스를 관리자인 것으로 간주할 수 있는데, 이는, 셋톱 박스(104)의 초기 셋업 동안 페어링이 발생했기 때문에, 또는 제1 무선 디바이스가 셋톱 박스(104)와 페어링하는 첫번째(즉, 유일한) 무선 디바이스이기 때문이다. 일례에서, 제1 레벨의 허가들은 결제들을 인가하는 것, 동작을 위해 셋톱 박스(104)를 잠금해제하는 것, 셋톱 박스(104)에서의 재생을 위한 콘텐츠(예컨대, 비디오, 오디오, 또는 다른 미디어)를 승인하는 것, 자녀 보호 기능을 변경하는 것, 구성 설정을 변경하는 것, 기밀 정보(예컨대, 금융 정보)에 액세스하는 것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제1 무선 디바이스는, 관리자로서, 셋톱 박스(104)에 후속적으로 알려지게 되는 무선 디바이스들에 할당되는 특정 허가들을 관리하는 권한을 획득한다. 예를 들어, 제1 무선 디바이스/제1 무선 디바이스와 연관된 사용자 계정은 셋톱 박스(104)에 알려진 일부 무선 디바이스들에 관리 특권들을 할당하도록, 또는 셋톱 박스(104)에 알려진 다른 무선 디바이스들에 보다 제한적들인 특권을 할당하도록 허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계(260)에서, 셋톱 박스(104)는 셋톱 박스(104)와 페어링하라는 제2 요청을 제2 무선 디바이스로부터 수신한다. 이에 응답하여, 단계(262)에서, 셋톱 박스(104)는 제2 무선 디바이스와의 제2 무선 접속을 확립할 수 있다. 제2 무선 접속을 확립하는 것과 함께, 단계(264)에서, 셋톱 박스(104)는 셋톱 박스(104)를 제어하기 위한 제2 레벨의 허가들을 제2 무선 디바이스에 승인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제2 레벨의 허가들은, 예를 들어, 제1 무선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된 명령들에 기초하여, (예컨대, 모든 이차 무선 디바이스들에 제한된 허가들을 자동으로 할당하기 위한) 셋톱 박스(104)의 설정에 기초하는 등으로, 제1 레벨의 허가들과 구별된다.
일부 실시예들에 따르면, 셋톱 박스(104)에 의해 승인될 수 있는 제2 레벨의 허가들은 셋톱 박스(104)의 보안을 손상시킬 상당한 위험을 제기하지 않는 셋톱 박스(104)의 기능들과 연관된다. 제2 레벨의 허가들은 예를 들어, 제2 무선 디바이스가 셋톱 박스(104)로에 콘텐츠를 스트리밍하도록 허용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초기 페어링 및 제2 레벨의 허가들의 승인 후에, (예컨대, 전술한 예들에 따라, 제1 무선 디바이스와 연관된) 셋톱 박스(104)에 알려진 관리자는 추가적인 레벨의 허가들을 제2 무선 디바이스에 승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무선 디바이스가 셋톱 박스(104)를 통해 콘텐츠를 대여하기 위해, 제2 무선 디바이스는 더 높은 레벨의 허가들을 요구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셋톱 박스(104)는, 도 3a를 참조하여 아래에서 더 상세히 기술되는 바와 같이, 제2 무선 디바이스에 더 높은 레벨의 허가들을 할당하는 것을 승인하도록 관리자(또는 다른 관리자들)에 질의할 수 있다.
도 2c는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무선 디바이스의 익명성을 촉진하면서 셋톱 박스(104)와 무선 디바이스 사이에 신뢰 접속을 확립하기 위한 방법(270)을 도시한다. 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법(270)은 단계(272)에서 시작하며, 여기서, 셋톱 박스(104)는 제1 무선 디바이스와의 제1 무선 접속을 확립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제1 무선 접속은 초기 페어링 동안, 예컨대 제1 무선 디바이스 및 셋톱 박스(104)가 처음으로 페어링할 때, 발생한다. 이러한 초기 페어링 동안, 제1 무선 디바이스는 (예컨대, 도 2a와 관련하여 전술된 바와 같이) 랜덤하게 생성된 PIN 번호를 사용하여 인증될 수 있다. 또한, 그리고 본 명세서에 앞서 기술된 바와 같이, 제1 무선 디바이스를 인증하는 데 사용되는 랜덤으로 생성된 PIN 번호는 셋톱 박스(104)와 제1 무선 디바이스 사이에 보안 통신 채널을 암호적으로 확립하기 위한 시드로서 기능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셋톱 박스(104)와 제1 무선 디바이스 사이에 전달되는 후속 메시지들 - 예컨대, 단계들(274 내지 282)과 관련하여 이하에서 기술되는 것들 - 은 보안 통신 채널을 통해 통신될 수 있다.
단계(274)에서, 셋톱 박스(104)는 보안 통신 채널을 통해 개인 키로 암호화된 제1 메시지를 제1 무선 디바이스로부터 수신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제1 무선 디바이스는 공개 키 암호 방식에 따라 제1 메시지를 암호화한다. 예를 들어, 제1 무선 디바이스는 제1 무선 디바이스에 의해서만 소유되는 개인 키를 사용하여 제1 메시지를 암호화할 수 있다. 그 후, 제1 메시지는 보안 통신 채널을 통해 송신될 수 있으며, 여기서 제1 메시지는 셋톱 박스(104)에 개인 키를 노출시키지 않으면서 제1 메시지를 복호화하기 위해 셋톱 박스(104)에 의해 사용될 수 있는 (개인 키에 대한) 대응하는 공개 키를 동반한다.
단계(276)에서, 셋톱 박스(104)는 (예를 들어, 셋톱 박스(104)에 액세스가능한 저장 디바이스에 저장된) 공개 키들의 보관소에 공개 키를 저장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 따르면, 공개 키들의 보관소는 이전에 그리고 현재 셋톱 박스(104)와 공유된 모든 공개 키, 예컨대 다른 무선 디바이스들로 수행되는 페어링 프로세스들 동안 셋톱 박스(104)에 제공된 상이한 공개 키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셋톱 박스(104)는 셋톱 박스(104)와 성공적으로 페어링하지 않았던 무선 디바이스들의 공개 키들을 무시하면서, 셋톱 박스(104)와 성공적으로 페어링한 무선 디바이스들의 공개 키들을 선택적으로 저장할 수 있어서, 전체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단계(278)에서, 셋톱 박스(104)는 제1 무선 디바이스로부터 제2 메시지를 수신하는데, 여기서 제2 메시지는 개인 키로 암호화된다. 일부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2 메시지는 후속 시간에, 예컨대 제1 무선 디바이스가 셋톱 박스(104)로부터 접속해제된 다음에(예컨대, 사용자가 자신의 집을 떠날 때), 셋톱 박스(104)에 재접속하려고 시도한 후에(예컨대, 사용자가 집에 돌아올 때), 제1 무선 디바이스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제2 메시지는 제1 무선 디바이스와 연관된 정보, 예컨대 제1 무선 디바이스와 연관된 공개 키, 제1 무선 디바이스와 연관된 고유 식별자(예컨대, 제1 무선 디바이스의 일련번호, 제1 무선 디바이스와 연관된 사용자 계정의 고유 ID 등)를 식별하지 않고서 제1 무선 디바이스로부터 셋톱 박스(104)로 전송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제2 메시지는, 예컨대 셋톱 박스(104)와 연관된 착신/발신 통신들을 스누핑하려고 시도하고 있는 악의적인 디바이스에 의해, 제1 무선 디바이스로부터 전송된 메시지들을 추적하는 데 사용될 수 있는 식별 정보가 없다.
단계(280)에서, 셋톱 박스(104)는 제2 메시지를 성공적으로 복호화하는 공개 키를 식별하기 위해 공개 키들의 보관소 내의 각각의 공개 키를 사용하여 제2 메시지를 복호화하려고 시도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2 메시지를 암호화하는 데 사용되었던 개인 키에 대응하지 않는 임의의 공개 키는 제2 메시지를 성공적으로 복호화하지 않을 것이고, 이는 효과적으로 셋톱 박스(104)가 제거 프로세스를 통해 적절한 대응하는 공개 키들 - 및 전이적으로, 제1 무선 디바이스 - 를 식별할 수 있게 한다. 따라서, 셋톱 박스(104)가 제2 메시지를 성공적으로 복호화하는 공개 키를 식별할 때, 셋톱 박스(104)는 이어서 식별된 공개 키를 초기에 제공했던 무선 디바이스와 제2 메시지를 연관시킬 수 있으며, 이는 단계(282)에서 수행된다.
따라서, 도 2c는, 잠재적으로 스누핑/악의적인 디바이스들에 의해 수집될 수 있는 무선 디바이스들에 관한 민감한 정보를 드러내지 않으면서 무선 디바이스들이 셋톱 박스(104)와 보안 통신 채널들을 확립할 수 있게 하는 기법을 제공한다. 또한, 이러한 이익을 달성하기 위해, 셋톱 박스(104)는 무선 디바이스로부터 개인 키로 암호화된 메시지를 수신하고, 무선 디바이스가 셋톱 박스(104)에 알려져 있는지 여부를 식별하기 위해 암호화된 메시지를 상이한 공개 키들 - 초기 페어링들 동안 셋톱 박스(104)에 의해 보유된 것들 - 로 복호화하려고 시도한다. 이러한 접근법을 사용하여, 셋톱 박스(104)가 특정 공개 키를 사용하여 암호화된 메시지를 복호화할 수 있을 때, 무선 디바이스는 특정 공개 키에 기초하여 식별되고 인증될 수 있다. 반대로, 셋톱 박스(104)가 메시지를 복호화할 수 없을 때, 무선 디바이스는 식별될 수 없으며, 인증되지 않는다.
따라서, 도 1 및 도 2a 내지 도 2c는 셋톱 박스(104)가 다수의 무선 디바이스들과 페어링하고 그들 무선 디바이스들과 연관된 허가들을 관리할 수 있는 실시예들을 기재한다. 이러한 허가들이 어떻게 관리될 수 있는지의 더 상세한 분석 및 다양한 예들이 아래에서 도 3a, 도 3b, 도 4a, 도 4b, 및 도 5a와 도 5b와 관련하여 제공된다.
도 3a는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무선 디바이스가 다른 무선 디바이스에게 셋톱 박스(104)를 잠금해제하는 허가를 승인하는 개념도(300)를 도시한다.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재 셋톱 박스(104)와 페어링되어 있는 모바일 디바이스(106-1)는 셋톱 박스(104)를 잠금해제하려고 시도하고 있다. 본 명세서에 이전에 기재된 바와 같이, 모바일 디바이스(106-1)는 셋톱 박스(104)와 인터페이싱하기 위해(예를 들어, 셋톱 박스(104)에 콘텐츠를 스트리밍하기 위해) 기본 레벨의 허가들을 셋톱 박스(104)에 의해 승인받을 수 있다. 그러나, 기본 레벨의 허가들은 셋톱 박스(104)에 의해 제공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내비게이팅하기 위해 셋톱 박스(104)를 잠금해제하는 것과 같은 다른 기능들을 배제할 수 있다. 이러한 결함을 해결하기 위해, 모바일 디바이스(106-1)가 금지된 기능들에 액세스하려고 시도할 때, 셋톱 박스(104)는 관리 특권들과 연관된 무선 디바이스를 식별하고 시도를 인가하라는 요청을 무선 디바이스에 포워딩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이는 도 3a에 도시된 단계 1 내지 단계 3과 관련하여 이하에서 기술된다.
단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바일 디바이스(106-1)는, 모바일 디바이스(106-1)가 셋톱 박스(104)로 하여금 수행하도록 요청할 수 있는 다양한 기능들 - "셋톱 박스 잠금해제"라고 적혀 있는 기능(302)을 포함함 - 을 나타내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한다. 도 3a에 도시된 예에서, 모바일 디바이스(106-2)는 관리자-레벨 허가들과 연관된다. 일부 예들에 따르면, 모바일 디바이스(106-2)는 셋톱 박스(104)와 페어링하는 첫번째 무선 디바이스인 것에 의해 - 예를 들어, 셋톱 박스(104)의 초기 셋업 동안 -, 또는 관리자-레벨 허가들을 갖는 모바일 디바이스(106-2)를 승인하기에 충분한 레벨의 허가들을 갖는 다른 무선 디바이스/사용자 계정으로부터 관리자-레벨 허가들의 할당을 수신하는 것에 의해, 관리자-레벨 허가들을 수신하였다. 예를 들어, 관리자-레벨 허가들을 소유하는 무선 디바이스는 셋톱 박스(104)에 의해 공급되는 기능들의 전체 세트를 동작시킬 뿐만 아니라 셋톱 박스(104)에 알려진 다른 무선 디바이스들과 연관된 허가들을 수정할(예컨대, 추가할/뺄) 수 있다.
단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바일 디바이스(106-1)는 "셋톱 박스 잠금해제" 기능(302)을 선택함으로써 셋톱 박스(104)를 잠금해제할 것을 요청한다. 이에 응답하여, 모바일 디바이스(106-1)의 사용자가 관리자가 셋톱 박스(104)를 잠금해제하는 허가를 승인하기를 기다리는 동안, "셋톱 박스를 잠금해제하는 허가를 요청 중"이라고 적혀 있는 메시지(304)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모바일 디바이스(106-1)로부터의 요청에 응답하여, 셋톱 박스(104)는, 모바일 디바이스(106-1)가 셋톱 박스(104)를 잠금해제하는 허가를 요청하고 있음을 모바일 디바이스(106-2)에 통지할 수 있다. 또한, 이것은, 셋톱 박스(104)가, 모바일 디바이스(106-2)가 관리자-레벨 허가들과 연관되어 있음을 식별하고 모바일 디바이스(106-2)로, 그리고/또는 관리자-레벨 허가들(또는 셋톱 박스(104)를 잠금해제하라는 요청을 승인하기에 충분한 허가들)과 연관된 다른 무선 디바이스들로 요청을 포워딩하는 것을 수반할 수 있다.
일부 경우에, 모바일 디바이스(106-1)가 요청을 셋톱 박스(104)에 발행할 때, 관리자(예를 들어, 모바일 디바이스(106-2))는 현재 직접 접속을 통해 셋톱 박스(104)와 통신가능하게 결합되지 않을 수 있다. 이러한 결점을 해결하기 위해, 셋톱 박스(104)는 허가를 위해 간접 통신 채널(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해 모바일 디바이스(106-2)에 질의할 수 있다. 하나의 예시적인 인터페이스(310)에서, 모바일 디바이스(106-2)는 "카렌(Karen)의 디바이스가 셋톱 박스를 잠금해제하고 싶어합니다"라고 적혀 있는 표시 뿐만 아니라, 모바일 디바이스(106-2)를 동작시키는 사용자가 요청에 응답할 수 있게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요소들을 제시할 수 있으며, 여기서" 카렌의 디바이스"는 모바일 디바이스(106-1)에 대응한다. 셋톱 박스(104)를 잠금해제하라는 요청을 수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요소들(312(즉, "허용") 및 314(즉, "거부"))을 사용하여, 관리자는 셋톱 박스(104)를 잠금해제하라는 "카렌의 디바이스"로부터의 요청을 허용할지 셋톱 박스(104)를 잠금해제하라는 요청을 거부할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 따르면, 모바일 디바이스(106-2)는 인가된 사용자가 모바일 디바이스(106-2)를 동작시키고 있음을 보장하는 것을 돕기 위해 다양한 보안 프롬프트들을 채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모바일 디바이스(106-2)는 사용자가 모바일 디바이스(106-2)에서 요청을 수락하거나 거부하는 것에 응답하여 보안 크리덴셜들(예를 들어, 패스워드 데이터, 생체측정 데이터 등)의 입력을 요구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모바일 디바이스(106-1)를 동작시키고 있는 - 그리고 모바일 디바이스(106-2)(예를 들어, 남겨진(left-behind) 모바일 디바이스)에 대한 액세스를 갖는 - 악의적인 사용자는, 모바일 디바이스(106-1)로부터 셋톱 박스(104)를 잠금해제하려고 시도할 때 간단히 모바일 디바이스(106-2) 상의 "수락" 버튼을 누를 수 없다. 대신에, 악의적인 사용자는 또한 모바일 디바이스(106-2)에 의해 요구되는 보안 크리덴셜들을 제공할 수 있을 필요가 있을 것이며, 이는 그/그녀가 할 수 없을 것이다.
단계 3에서, 모바일 디바이스(106-2)는 셋톱 박스(104)를 잠금해제하라는 요청을 승인한다(예를 들어, 도 3의 요소(316)에 의해 나타낸 바와 같음). 일부 실시예들에 따르면, 모바일 디바이스(106-2)가 요청을 승인하는 것에 응답하여, 셋톱 박스(104)는 셋톱 박스(104)를 잠금해제하기 위한 필요한 허가들을 모바일 디바이스(106-1)에 승인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그러한 허가들은 "1회" 기준으로 승인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허가가 "1회" 기준으로 승인되고 모바일 디바이스(106-1)가 셋톱 박스(104)와 페어링 해제될 때, 허가는, 예컨대 셋톱 박스(104)에 의해 관리되는 허가 구성을 업데이트함으로써, 모바일 디바이스(106-1)로부터 자동으로 취소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허가가 "1회" 기준으로 승인될 때, 허가는 모바일 디바이스(106-1)가 셋톱 박스(104)를 잠금해제하라는 요청을 발행한 후에 자동적으로 취소된다. 대안적으로, 다른 실시예들에서, 허가가 승인될 때, 그 허가는 하나 이상의 조건들이 만족될 때까지 유효하게 유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조건은 관리자가 모바일 디바이스(106-1)로부터 허가를 수동으로 취소할 것을 요구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조건은 임계량의 시간이 경과한 후에 만료되는 시간-기반 조건일 수 있다(예컨대, 1시간, 1일, 1주일 등에 대한 허가 승인). 또 다른 예에서, 지리적 경계가 정의될 수 있고(예를 들어, 셋톱 박스(104)가 위치되는 건물 주위의 반경), 허가는 모바일 디바이스(106-1)가 지리적 경계 밖에 있을 때 자동으로 취소될 수 있다(예컨대, 지오펜싱). 이들은 단지 예들일 뿐이며, 적절한 경우 허가가 모바일 디바이스(106-1)로부터 취소되도록 하는 임의의 조건이 구현될 수 있다는 것에 유의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기술된 예들에서 일시적/조건부 허가들의 할당이 반드시 셋톱 박스(104)의 잠금해제를 달성하는 데 필수적인 것은 아니며, 다른 접근법들이 사용될 수 있다는 것에 유의한다. 예를 들어, 셋톱 박스(104)는 모바일 디바이스(106-1)에 일시적/조건부 허가들을 할당하는 대신에 모바일 디바이스(106-2)로부터 승인을 수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간단히 그 자체를 잠금해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모바일 디바이스(106-1)는 셋톱 박스(104)가 잠금 상태에 있을 때 모바일 디바이스(106-1)가 셋톱 박스(104)를 잠금해제하려고 시도할 때마다 인증 프로세스를 거치도록 요구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셋톱 박스(104)에 알려진 상이한 무선 디바이스들에 상이한 허가들이 할당되도록 허용하는 허가 페이지(318)가 모바일 디바이스(106-2)에서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카렌의 디바이스"에 대한 허가들의 목록을 나타내는 허가 페이지(318)의 부분(322)에서, 셋톱 박스(104)를 잠금해제하는 것 및 콘텐츠를 스트리밍하는 것과 연관된 허가들은 "켜짐" 위치로 토글링되어 있으며, 모바일 디바이스(106-2)가 모바일 디바이스(106-1)가 셋톱 박스(104)를 잠금해제하려는 요청을 승인한 후의 현재 구성 상태를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어, 요청을 승인한 후에, 모바일 디바이스(106-2)는 관리자에게 그/그녀가 모바일 디바이스(106-1)로 하여금 언제든지 셋톱 박스(104)를 잠금해제할 수 있게 하고 싶은지 여부를 결정하도록 관리자에게 프롬프트하여 관리자가 미래에 귀찮아질 필요가 없도록 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셋톱 박스(104)를 사용하여 결제들을 개시하는 것(예를 들어, 영화를 구매/대여하는 것)과 연관된 허가들은 "끔" 위치로 토글링되는데, 이는 관리자가, 모바일 디바이스(106-1)가 셋톱 박스(104)를 통해 콘텐츠를 구매하는 것에 대해 여전히 편안하지 않을 수 있기 때문이다. 대조적으로, "존의 디바이스"(예를 들어, 관리자가 신뢰하는 사용자에 속하는 모바일 디바이스(106))에 제공된 허가들을 나타내는 허가 페이지(318)의 부분(320) 하에서, 셋톱 박스(104)를 잠금해제하는 것, 콘텐츠를 셋톱 박스(104)로 스트리밍하는 것, 및 셋톱 박스(104)를 통해 결제들을 개시하는 것과 연관된 허가들은 "켜짐" 위치로 토글링될 수 있다.
도 3b는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무선 디바이스에게, 무선 디바이스가 현재 수행하도록 허용되지 않은 (셋톱 박스(104)와 연관되어) 특정 기능을 수행하는 허가를 승인하기 위한 방법(350)을 도시한다. 특히, 방법(350)은 도 3a와 관련하여 전술된 바와 같이 셋톱 박스(104)에 의해 수행되는 다양한 단계들의 더 상세한 분석을 제공한다.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법(350)은 단계(352)에서 시작하며, 여기서 셋톱 박스(104)는 제1 무선 디바이스/제1 무선 디바이스와 연관된 제1 사용자 계정에 현재 할당되지 않은 허가에 대한 요청을 제1 무선 디바이스로부터 수신한다. 일례에서, 요청은, 도 3a의 단계 1과 관련하여 전술된 바와 같이, 동작을 위해 셋톱 박스(104)를 잠금해제하는 것과 연관된 허가에 대한 것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셋톱 박스(104)는, 제1 무선 디바이스와 연관된 사용자 계정이 동작을 위해 셋톱 박스(104)를 잠금해제하기 위한 필요한 레벨의 허가들을 승인받지 않았다고 결정할 수 있다.
단계(354)에서, 셋톱 박스(104)는 제1 사용자 계정에 현재 할당되지 않은 허가를 승인하기에 충분한 허가들을 할당받은 제2 사용자 계정과 연관된 제2 무선 디바이스를 식별할 수 있다. 일례에서, 셋톱 박스(104)는 관리자(즉, 단계(354)에서 참조된 제2 사용자 계정)를 식별하고, 요청과 연관된 허가를 제1 무선 디바이스/제1 사용자 계정에 승인하는 승인에 대해 관리자에게 질의할 수 있다. 단계(356)에서, 제2 무선 디바이스가 식별될 때, 셋톱 박스(104)는 제1 사용자 계정에 현재 할당되지 않은 허가를 승인하기 위한 제2 요청을 제2 무선 디바이스에 전송할 수 있다. 후속적으로, 제2 무선 디바이스는, 도 3a와 관련하여 전술된 단계 2에 따라, (예컨대, 제2 무선 디바이스의 인가된 사용자에게의) 프롬프트 및 제1 무선 디바이스가 허가를 승인받도록 하는 옵션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단계(358)에서, 셋톱 박스(104)는 제2 무선 디바이스가 제2 요청을 승인하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응답을 제2 무선 디바이스로부터 수신한다. 일례에서, 단계(360)는 제2 무선 디바이스의 관리자가 요청을 거부하는 것을 나타낼 수 있으며, 여기서, 결과적으로, 셋톱 박스(104)는 제1 무선 디바이스에 허가를 승인하지 않는다. 일부 실시예들에 따르면, 요청은 임계량의 시간 후에 타임아웃될 수 있고, 거부는 적절한 경우 관리자/제2 무선 디바이스를 대신하여 셋톱 박스(104)에 의해 발행될 수 있다. 그러한 경우에, 제1 무선 디바이스는 제1 무선 디바이스의 사용자가 다른 수단을 통해 관리자에게 연락하려고 시도할 수 있도록 타임아웃의 표시를 디스플레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단계(362)는 제2 무선 디바이스의 관리자가 제1 무선 디바이스로부터의 요청을 수락하는 것을 나타낼 수 있으며, 그 결과 셋톱 박스(104)는 제1 무선 디바이스에 요청을 승인한다.
도 4a는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무선 디바이스가 셋톱 박스(104)와 함께 콘텐츠 아이템을 구매하는 개념도(400)를 도시한다. 도 4a에 도시된 예시적인 시나리오에서, 모바일 디바이스(106-3)는 셋톱 박스(104)와 페어링하였고, 셋톱 박스(104)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내비게이팅하는 허가를 적어도 획득하였다. 일례에서, 모바일 디바이스(106-3)는 셋톱 박스(104)와 초기에 페어링하는 것에 응답하여 모바일 디바이스(106-3)에 승인되었던 레벨의 허가들의 일부로서 셋톱 박스(104)를 내비게이팅하는 허가를 수신하였다.
단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바일 디바이스(106-3) - 이는 셋톱 박스(104)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내비게이팅하는 데 사용되고 있음 - 영화 타이틀(402)을 구매하는 데 관심을 나타내었다. 구매를 완료하기 위해, 모바일 디바이스(106-3)는 콘텐츠 아이템들을 구매하는 것과 연관된 허가를 획득해야 한다. 일례에서, 셋톱 박스(104)는 영화 타이틀(402)을 구매하는 능력뿐만 아니라, "무선 디바이스로 결제하기"라고 적혀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요소(408)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동일한 견지에서, 모바일 디바이스(106-3)는 영화 타이틀(402), 및 모바일 디바이스(106-3)를 사용하여 영화 타이틀을 구매하기 위한 옵션(404)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그러나, 모바일 디바이스(106-3)는 모바일 디바이스(106-3)가 셋톱 박스(104)를 사용하여 결제를 개시하는 것과 연관된 허가들을 할당받을 때에만 구매를 완료하도록 허용될 것이며, 이는 모바일 디바이스(106-3)에 현재 할당된 허가들에 따라 그러할 수 있거나 그렇지 않을 수도 있다.
단계 2에서, 모바일 디바이스(106-3)를 동작시키는 사용자는 (예컨대, 모바일 디바이스(106-3)에서 영화 타이틀(402)을 구매하기 위한 옵션(404)을 선택함으로써) 영화 타이틀(402)을 구매하고자 하는 요구를 나타내고, 셋톱 박스(104)는 (예컨대, 도 4a의 요소(412)에 의해 나타낸 바와 같이) 모바일 디바이스(106-3)가 결제를 개시하기를 기다린다. 위에서 전술된 바와 같이, 모바일 디바이스(106-3)/그와 연관된 사용자 계정은 (셋톱 박스(104)와 함께) 콘텐츠 아이템들을 구매하기 위한 허가들을 이미 할당받을 수 있다. 대안적으로, 허가들이 이미 할당되지 않은 경우, 셋톱 박스(104)는 도 3a 및 도 3b의 교시에 따라 허가들에 대한 요청을 관리자(또는 셋톱 박스(104)에 알려진 다른 적절한 허가-장착 디바이스(들)/사용자(들))에게 발행할 수 있다.
어느 경우든, 허가들이 모바일 디바이스(106-3)에 할당될 때, 모바일 디바이스(106-3)를 동작시키는 사용자는 (예를 들어, 도 4a에서 요소(410)에 의해 나타낸 바와 같이) 결제를 완료하도록 프롬프트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 따르면, 사용자는, 예컨대 애플®에 의한 애플페이를 사용하여 셋톱 박스(104)에서 콘텐츠 아이템을 구매하기 위해 모바일 디바이스(106-3)와 연관된 결제 크리덴셜들을 적용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들에서, 사용자는 다른 무선 디바이스와 연관된 결제 크리덴셜들을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관리자는 모바일 디바이스(106-3)에게, 언제든지 그들의 결제 크리덴셜을 사용하는 허가들을 승인할 수 있다. 이 예에서, 각각이 각자의 사용자 계정들과 연관되는 여러 무선 디바이스들 - 예컨대 가족의 구성원들에 의해 소유된 무선 디바이스들 - 은 가족에 의해 공유되는 단일 세트의 결제 크리덴셜들(예를 들어, 가족 신용 카드)로 미디어 콘텐츠(예를 들어, 영화 타이틀(402))를 구매할 수 있다. 특히, 사용자들이 그들의 모바일 디바이스들(106)과 연관된 결제 크리덴셜들을 사용하여 콘텐츠 아이템들을 구매할 수 있게 하는 것은 셋톱 박스(104)의 보안을 증가시킬 수 있는데, 그 이유는 그러한 사용자들이 간단히 (만약 있다면) 셋톱 박스(104) 상에서 관리되는 결제 크리덴셜들에 액세스하여 결제를 완료하는 것이 금지될 것이기 때문이다.
단계 3에서, 셋톱 박스(104)는 모바일 디바이스(106-3)가 콘텐츠 아이템에 대한 결제를 성공적으로 완료했다고 결정한다. 일부 실시예들에 따르면, 결제가 모바일 디바이스(106-3)에서 성공적으로 완료될 때, 모바일 디바이스(106-3)는 결제가 성공적이었음을 나타내는 보안 메시지를 셋톱 박스(104)에 발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어서, 셋톱 박스(104)는 결제가 확인되었다는 표시(416)를 제시할 수 있고, 모바일 디바이스(106-3)는 콘텐츠 아이템이 셋톱 박스(104) 상에서 볼 준비가 되어 있다는 표시(414)를 제시할 수 있다.
도 4b는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무선 디바이스가 셋톱 박스(104)를 통해 콘텐츠 아이템을 구매하기 위한 방법(450)을 도시한다. 특히, 방법(450)은 도 4a와 관련하여 전술된 바와 같이 셋톱 박스(104)에 의해 수행되는 다양한 단계들에 대한 대안을 제공한다.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법(450)은 단계(452)에서 시작하며, 여기서, 셋톱 박스(104)는 제1 무선 디바이스로부터 콘텐츠 아이템을 구매하라는 요청을 수신한다. 단계(454)에서, 셋톱 박스(104)는 콘텐츠 아이템을 구매하는 것과 연관된 허가를 승인하기에 충분한 허가들을 할당받은 사용자 계정과 연관된 제2 무선 디바이스를 식별할 수 있다. 단계(456)에서, 셋톱 박스(104)는 요청된 허가를 승인하라는 요청을 제2 무선 디바이스에 전송할 수 있다. 결정 블록(458)에서, 셋톱 박스(104)는 요청을 승인하거나 거부할 수 있는 제2 무선 디바이스 - 예를 들어, 제2 무선 디바이스를 동작시키는 관리자 - 로부터의 응답을 기다릴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 따르면, 단계(460)에서, 요청은 제2 무선 디바이스에 의해 거부되고, 셋톱 박스(104)는 제1 무선 디바이스가 콘텐츠 아이템을 구매하는 것과 연관된 허가를 승인받지 않을 것임을 나타내는 메시지가 제1 무선 디바이스에서 디스플레이되게 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단계(462)에서, 셋톱 박스(104)는 제1 무선 디바이스가 콘텐츠 아이템을 구매하게 할 수 있고, 제1 무선 디바이스가 콘텐츠 아이템의 구매를 완료했다는 표시를 수신하기를 기다릴 수 있다. 이어서, 블록(464)에서, 셋톱 박스(416)는 콘텐츠 아이템에의 액세스를 가능하게 할 수 있는데, 예컨대 셋톱 박스(104)가 통신가능하게 결합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2)를 통해 콘텐츠 아이템을 재생할 수 있다.
도 5a는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모바일 디바이스(106-4)에 할당된 허가들에 따라 셋톱 박스(104)로 하여금 상이한 기능들을 수행하게 하는 모바일 디바이스(106-4)의 개념도(500)를 도시한다. 단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바일 디바이스(106-4)는 (예를 들어, 셋톱 박스(104)를 통해) 미디어 아이템(502)을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2)로 스트리밍한다. 특히,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2)는 예시적인 인터페이스(504)에 미디어 아이템(502)을 디스플레이하고 있다. 이 예에서, 미디어 아이템(502)을 스트리밍하는 것은 셋톱 박스(104)와의 성공적인 페어링 시에 모바일 디바이스(106-4)에 승인되는 허가들의 레벨과 연관되고, 셋톱 박스(104)가 잠금해제될 것을 요구하지 않는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관리자는 셋톱 박스(104)가 먼저 잠금해제될 것을 요구하는 특정 동작들, 예컨대 콘텐츠 스트리밍하기를 지정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들에서, 스트리밍과 같은 일부 동작들은, 셋톱 박스(104)가 잠금해제될 것을 요구하지 않으면서 이용가능할 수 있다.
단계 2에서, 모바일 디바이스(106-4)는 셋톱 박스(104)로 콘텐츠를 스트리밍하는 것을 중단하였고, (예를 들어, 셋톱 박스(104)를 원격으로 제어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제공된 트랙 패드(506)를 사용하여) 셋톱 박스(104)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내비게이팅하려고 시도하고 있다. 이 예에서, 셋톱 박스(104)를 내비게이팅하는 것은 강화된 레벨의 허가들을 요구하는 동작이고, 모바일 디바이스(106-4)는 모바일 디바이스(106-4)가 셋톱 박스(104)를 잠금해제하는 것과 연관된 허가를 수신할 때까지 셋톱 박스(104)를 내비게이팅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바일 디바이스(106)가 셋톱 박스(104)를 내비게이팅하는 것으로 전이되고 있음에 따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2)는 스크린 세이버(510)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단계 3에서, 모바일 디바이스(106-4)는 셋톱 박스(104)를 잠금해제하는 것이 방지되는데, 그 이유는 모바일 디바이스(106-4)가 셋톱 박스를 잠금해제하는 데 요구되는 강화된 레벨의 허가들을 획득하지 못했기 때문이다. 하나의 예시적인 사용자 인터페이스(512)에서, 모바일 디바이스(106-4)는 셋톱 박스(104)가 잠겨 있다고 경보를 받는다. 더욱이, 단계 4에서, 셋톱 박스(104)는 셋톱 박스(104)를 잠금해제하기 위해 모바일 디바이스(106-4)를 대신하여 관리자에게 필요한 허가들에 대한 요청을 발행할 수 있다. 유사하게, 셋톱 박스(104)는 (예컨대, 도 5의 요소(514)에 의해 나타낸 바와 같이) 셋톱 박스(104)가 잠겨 있음/셋톱 박스(104)를 잠금해제하기 위해 필요한 허가들을 모바일 디바이스(106-4)에 승인하는 허가를 관리자로부터 요청하는 중임을 나타내는 표시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단계 4에서, 관리자(또는 다른 인가된 무선 디바이스/사용자 계정)는 셋톱 박스(104)를 잠금해제하는 데 필요한 허가들을 모바일 디바이스(106-4)에 승인하였다. 모바일 디바이스(106-4)의 사용자는 이제 셋톱 박스(104)를 제어하기 위해 트랙 패드(516)를 내비게이팅할 수 있다. 유사하게, 셋톱 박스(104)는 이제 모바일 디바이스(106-4)가 예시적인 인터페이스(5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셋톱 박스(104)를 내비게이팅할 수 있게 한다.
도 5b는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무선 디바이스가 셋톱 박스(104)로 하여금 무선 디바이스에 할당된 허가들에 따라 상이한 기능들을 수행하게 하는 것을 수반하는 방법(550)을 도시한다. 특히, 방법(550)은 도 5a와 관련하여 전술된 바와 같이 셋톱 박스(104)에 의해 수행되는 다양한 단계들의 더 상세한 분석을 제공한다.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법(550)은 단계(552)에서 시작하며, 여기서, 셋톱 박스(104)는 셋톱 박스(104)에서 특정 동작을 수행하라는 요청을 무선 디바이스로부터 수신한다. 일례에서, 특정 동작은 셋톱 박스(104)로 콘텐츠를 스트리밍하는 것을 수반할 수 있다.
단계(554)에서, 셋톱 박스(104)는 특정 동작이 셋톱 박스(104)가 잠금해제될 것을 요구하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셋톱 박스(104)와 연관된 관리자는 셋톱 박스(104)가 잠금해제될 것을 요구하지 않으면서 셋톱 박스(104)에서 수행될 수 있는 동작들을 특정할 수 있다. 이 예에서, 관리자는 무선 디바이스로부터 셋톱 박스(104)로 콘텐츠를 스트리밍하는 것이 셋톱 박스(104)가 잠금해제될 것을 요구하지 않는다는 것을 특정할 수 있다. 그러나, 관리자는 다른 동작들 - 예컨대, 결제 크리덴셜들에 액세스하는 것 또는 영화들을 구매하는 것 - 은 셋톱 박스(104)가 먼저 잠금해제될 것을 요구한다는 것을 특정할 수 있다. 따라서, 무선 디바이스는 셋톱 박스(104)가 잠금해제될 것을 요구하는 특정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셋톱 박스(104)를 잠금해제하는 것과 연관된 강화된 레벨의 허가들을 승인받아야 한다.
단계(556)에서, 셋톱 박스(104)는 특정 동작이 셋톱 박스(104)가 잠금해제될 것을 요구하지 않는다고 결정하고, 무선 디바이스가 셋톱 박스(104)에서 특정 동작을 수행할 수 있게 한다. 일례에서, 셋톱 박스(104)가 특정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잠금해제될 필요가 없을 때, 무선 디바이스는 강화된 레벨의 허가들을 수신하지 않으면서 그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단계(558)에서, 셋톱 박스(104)는 특정 동작이 셋톱 박스(104)가 잠금해제될 것을 요구한다고 결정한다. 이에 응답하여, 셋톱 박스(104)는 셋톱 박스(104)를 잠금해제하는 허가들을 승인하기에 충분한 허가들을 할당받은 사용자 계정과 연관된 상이한 무선 디바이스를 식별할 수 있다. 다음으로, 단계(560)에서, 셋톱 박스(104)는 무선 디바이스가 셋톱 박스(104)를 잠금해제하고 특정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허가를 (예컨대, 관리자로부터) 획득할 수 있다. 허가를 수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셋톱 박스(104)는 셋톱 박스(104)를 잠금해제하는 무선 디바이스 허가를 승인하고, 단계(562)에서, 무선 디바이스가 특정 동작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일부 실시예들에서, 승인된 허가는 셋톱 박스(104)에 의해 기억될 수 있어서, 무선 디바이스가 그것이 셋톱 박스(104)와 페어링할 때마다 셋톱 박스(104)를 잠금해제하도록 허용될 것이다.
추가적으로, 도 6a 및 도 6b는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무선 디바이스와 함께 수행되는 초기 페어링 및/또는 동작에 기초하여 무선 디바이스에 대한 특권 레벨들을 자동으로 확립하기 위한, 셋톱 박스(104)에 의해 구현되는, 방법(600)을 도시한다.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법(600)은 단계(602)에서 시작하며, 여기서 셋톱 박스(104)가 페어링 모드에 진입한다. 예를 들어, 셋톱 박스(104)는 무선 디바이스에로의 직접 무선 접속(예컨대, 블루투스, WiFi 등)을 통해, 셋톱 박스(104) 및 무선 디바이스가 이미 접속되어 있는 기존의 무선 접속(예컨대, WiFi 네트워크) 등을 통해 페어링 이용가능성을 능동적으로 브로드캐스트할 수 있다.
다음으로, 단계(604)에서, 셋톱 박스(104)는 셋톱 박스와 페어링하라는 제1 요청을 무선 디바이스로부터 수신한다. 예를 들어, 무선 디바이스는 셋톱 박스(104)와 연관되어 하나 이상의 동작들(예컨대, 셋톱 박스(104)로 콘텐츠를 스트리밍하는 것, (예컨대, 무선 디바이스 상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을 사용하여) 셋톱 박스(104)를 원격-제어하는 것 등)을 수행하고자 하는 사용자와 함께 제1 요청을 발행할 수 있다. 어떤 경우든, 셋톱 박스(104)는 (단계(606)에서 후술되는) 원하는 초기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상이한 레벨들의 인가를 확립하기 위해 상이한 접근법들을 사용하여 무선 디바이스와 페어링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디바이스가 셋톱 박스(104)로 콘텐츠를 스트리밍하려고만 할 때, (예컨대, 블루투스를 사용하여) 셋톱 박스(104)와 무선 디바이스 사이의 직접 접속을 통해 페어링이 확립될 수 있다(여기서, (예컨대, 도 2a와 관련하여 전술된 바와 같이) 온-스크린 코드는 요구되지 않음). 다른 예에서, 무선 디바이스가 셋톱 박스(104)를 원격-제어하고자 할 때, 셋톱 박스(104)는 더 진보된 페어링(예컨대, 도 2a와 관련하여 전술된 온-스크린 코드 접근법)을 요구할 수 있다.
어떤 경우든, 단계(606)에서, 셋톱 박스(104)는 무선 디바이스와 페어링한다. 다음으로, 단계(608)에서, 셋톱 박스(104)는 무선 디바이스와 연관되어 초기 동작을 수행하라는 제2 요청을 무선 디바이스로부터 수신한다. 이에 응답하여, 단계(610)에서, 셋톱 박스(104)는 액세스 권한들의 세트를 무선 디바이스에 제공한다. 일부 실시예들에 따르면, 액세스 권한들의 세트는 (1) 무선 디바이스 및 셋톱 박스(104)가 초기에 페어링되었던 방식(예컨대, 단계(606)에서), 및/또는 (2) 초기 동작을 수행하라는 제2 요청에 기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초기 동작이 무선 디바이스로부터 셋톱 박스(104)로 스크린-캐스팅을 수행하는 것을 수반할 때, 액세스 권한들의 세트는 무선 디바이스를, 셋톱 박스(104)와 함께 스크린 캐스팅들을 수행할 수 있는 것으로만 제한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초기 동작이 무선 디바이스와 셋톱 박스(104) 사이의 원격-제어 동작을 수행하는 것을 수반할 때, 액세스 권한들의 세트는 무선 디바이스를 단지 다음을 수행할 수 있는 것으로 제한할 수 있다: (1) 무선 디바이스와 셋톱 박스(104) 사이의 원격 제어 동작, 및 (2) 무선 디바이스로부터 셋톱 박스(104)로의 스크린-캐스팅들. 또 다른 예에서, 초기 동작이 셋톱 박스(104)에서 (예컨대, 무선 디바이스의 지시 하에서) 스크린 레코딩을 수행하는 것을 수반할 때, 액세스 권한들의 세트는 무선 디바이스를 단지 다음을 수행할 수 있는 것으로 제한할 수 있다: (1) 무선 디바이스의 지시 하에서 셋톱 박스(104)에서의 스크린 레코딩들, (2) 무선 디바이스와 셋톱 박스(104) 사이의 원격 제어 동작, 및 (3) 무선 디바이스로부터 셋톱 박스(104)로의 스크린-캐스팅들. 전술한 예들은 단지 예시적인 것이며, 임의의 수의 동작들이 본 명세서에 기술된 액세스 권한들의 세트들 내에서 특정될 수 있다는 것에 유의한다.
어떤 경우든, 단계(612)에서, 셋톱 박스(104)는 초기 동작을 수행한다. 다음으로, 도 6b에서, 단계(614)에서, 셋톱 박스(104)는 무선 디바이스와 연관되어 제2 동작을 수행하라는 제3 요청을 무선 디바이스로부터 수신한다. 단계(616)에서, 셋톱 박스(104)는 제3 동작이 수행되도록 허용되는지 여부를 식별하기 위해 무선 디바이스와 연관된 액세스 권한들의 세트를 참조한다. 예를 들어, 셋톱 박스(104)는 셋톱 박스(104)가 무선 디바이스로 하여금 (셋톱 박스(104)와 함께) 제3 동작을 수행하도록 허용해야 하는지 여부를 식별하기 위해 액세스 권한들의 세트에 대해 제2 동작을 참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초기 페어링이 셋톱 박스(104) 사이의 단순/직접 페어링을 수반할 때 - 그리고 초기 동작은 스크린 캐스트를 수반함 - 무선 디바이스는 (적어도, (예컨대, 도 2a에 따라) 더 안전한 페어링이 형성될 때까지) 셋톱 박스(104)로 후속 스크린 캐스트들을 수행하는 것으로만 제한될 수 있다. 이 예에서, 무선 디바이스가 상승된 동작 - 예컨대, 허용된 것으로서 액세스 권한들의 세트 내에 열거된 것들을 초과하는 동작 - 을 수행하려고 시도할 때 셋톱 박스(104)는 요청을 거부할 수 있다.
따라서, 단계(618)에서, 셋톱 박스(104)는 제2 동작이 액세스 권한들의 세트에 기초하여 허용되는지 여부를 결정한다. 단계(618)에서, 셋톱 박스(104)가 제2 동작이 액세스 권한들의 세트에 기초하여 허용된다고 결정하는 경우, 방법(600)은 단계(620)로 진행하며, 여기서, 셋톱 박스(104)는 무선 디바이스와 연관되어 제2 동작을 수행한다. 그렇지 않으면, 방법(600)은 단계(622)로 진행하며, 여기서, 셋톱 박스(104)는 제2 동작을 수행하라는 제3 요청을 거부한다. 일부 실시예들에 따르면, 요청을 거부하는 것과 함께, 셋톱 박스(104)는 더 안전한 페어링 절차가 발생할 필요가 있음을 무선 디바이스(및 동작중인 사용자)에게 나타낼 수 있다.
셋톱 박스(104) 및 무선 디바이스를 수반하는 전술한 시나리오들은 단지 예시적이며 어떠한 방식으로도 제한하려는 것이 아님에 유의한다. 반대로, 임의의 형태의 컴퓨팅 디바이스는 셋톱 박스(104)의 기능을 구현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임의의 형태의 컴퓨팅 디바이스는 무선 디바이스의 기능을 구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본 명세서에 기술된 다양한 상호작용들이 무선 및 유선 접속들 둘 모두를 통해 수행될 수 있다는 것에 유의한다.
도 7은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본 명세서에 기술된 다양한 컴포넌트들을 구현하는 데 사용될 수 있는 컴퓨팅 디바이스(700)의 상세도를 도시한다. 특히, 상세한 도면은 도 1에 도시된 모바일 디바이스(106), 태블릿 디바이스(108), 웨어러블 디바이스(110), 셋톱 박스(104), 및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2)에 포함될 수 있는 다양한 컴포넌트들을 도시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컴퓨팅 디바이스(700)는 컴퓨팅 디바이스(7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제어기를 나타내는 프로세서(702)를 포함할 수 있다. 컴퓨팅 디바이스(700)는 또한 컴퓨팅 디바이스(700)의 사용자가 컴퓨팅 디바이스(700)와 상호작용할 수 있게 하는 사용자 입력 디바이스(708)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입력 디바이스(708)는 버튼, 키패드, 다이얼, 터치 스크린, 오디오 입력 인터페이스, 시각/이미지 캡처 입력 인터페이스, 센서 데이터 형태의 입력 등과 같은 다양한 형태를 취할 수 있다. 게다가, 컴퓨팅 디바이스(700)는 사용자에게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도록 프로세서(702)에 의해 제어될 수 있는 디스플레이(710)(스크린 디스플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데이터 버스(716)는 적어도 저장 디바이스(740), 프로세서(702), 및 제어기(713) 사이의 데이터 전달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제어기(713)는 장비 제어 버스(714)를 통해 상이한 장비와 인터페이싱하고 그를 제어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컴퓨팅 디바이스(700)는 또한 데이터 링크(712)에 결합되는 네트워크/버스 인터페이스(711)를 포함할 수 있으며, 여기서 네트워크/버스 인터페이스(711)는 예를 들어, 도 1, 도 2a 내지 도 2c, 도 3a, 도 3b, 도 4a, 도 4b, 도 5a 및 도 5b를 참조하여 논의된 메시지들을 송신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무선 접속의 경우, 네트워크/버스 인터페이스(711)는 무선 송수신기를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컴퓨팅 디바이스(700)는 또한 단일의 디스크 또는 복수의 디스크들(예컨대, 하드 드라이브들)을 포함할 수 있는 저장 디바이스(740)를 포함하고, 저장 디바이스(740) 내의 하나 이상의 파티션들을 관리하는 저장 관리 모듈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저장 디바이스(740)는 플래시 메모리, 반도체(솔리드 스테이트) 메모리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컴퓨팅 디바이스(700)는 또한,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720) 및 판독-전용 메모리("ROM")(722)를 포함할 수 있다. ROM(722)은 실행될 프로그램들, 유틸리티들 또는 프로세스들을 비휘발성 방식으로 저장할 수 있다. RAM(720)은 휘발성 데이터 저장소를 제공할 수 있고, 모바일 디바이스(106), 태블릿 디바이스(108), 및 웨어러블 디바이스(110)뿐만 아니라 셋톱 박스(104) 상에서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들의 동작에 관련된 명령어들을 저장한다.
기술된 실시예들의 다양한 양태들, 실시예들, 구현들 또는 특징들은 개별적으로 또는 임의의 조합으로 사용될 수 있다. 기술된 실시예들의 다양한 양태들은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조합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기술된 실시예들은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상에 컴퓨터 판독가능 코드로서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나중에 컴퓨터 시스템에 의해 판독될 수 있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임의의 데이터 저장 디바이스이다.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의 예들은 판독 전용 메모리, 랜덤 액세스 메모리, CD-ROM들, DVD들, 자기 테이프,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들, 솔리드 스테이트 드라이브들, 및 광학 데이터 저장 디바이스들을 포함한다.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코드가 분산 방식으로 저장 및 실행되도록 네트워크로 결합된 컴퓨터 시스템들에 걸쳐 분산될 수 있다.
전술한 설명은, 설명의 목적을 위해, 기술된 실시예들의 충분한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특정 명명법을 사용하였다. 그러나, 특정 상세사항들은 기술된 실시예들을 실시하는 데 필수적인 것은 아니라는 것이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따라서, 특정 실시예들에 대한 전술한 설명은 예시 및 설명의 목적을 위해 제시되어 있다. 이들은 총망라하고자 하거나 기술된 실시예들을 개시된 정확한 형태들로 제한하려고 하는 것은 아니다. 많은 수정들 및 변형들이 상기 교시 내용들에 비추어 가능하다는 것이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Claims (26)

  1. 호스트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것과 연관된 허가들을 관리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상기 호스트 디바이스에서:
    제1 무선 디바이스와의 제1 무선 접속을 확립하는 단계 - 상기 제1 무선 디바이스는 상기 호스트 디바이스를 제어하기 위한 제1 레벨의 허가들을 소유함 -;
    상기 호스트 디바이스와 무선으로 페어링하라는 요청을 제2 무선 디바이스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2 무선 디바이스와의 제2 무선 접속을 확립하는 단계; 및
    제2 무선 디바이스에, 상기 호스트 디바이스를 제어하기 위한 제2 레벨의 허가들을 승인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2 레벨의 허가들은 상기 제1 레벨의 허가들과 구별되고,
    상기 제1 무선 디바이스는 상기 제2 레벨의 허가들이 상기 제2 무선 디바이스에 승인된 후에 상기 제1 레벨의 허가들의 소유를 보유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레벨의 허가들은 관리 허가들을 나타내고, 상기 제1 무선 디바이스로 하여금 상기 제2 무선 디바이스에 승인된 상기 제2 레벨의 허가들을 수정할 수 있게 하는,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레벨의 허가들은:
    상기 호스트 디바이스를 잠금해제하는 것, 및
    상기 호스트 디바이스와 연관되어 전자 결제들을 수행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레벨의 허가들은 적어도:
    상기 호스트 디바이스로의 콘텐츠의 무선 스트리밍, 및
    상기 호스트 디바이스에 의해 제공된 사용자 인터페이스(UI)의 원격 내비게이션을 포함하는,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적어도 제1 엔트리 및 제2 엔트리를 포함하는 구성 정보를 관리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제1 엔트리는 상기 제1 무선 디바이스와 연관된 제1 무선 디바이스 식별자 및 상기 제1 레벨의 허가들의 제1 대응하는 설명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엔트리는 상기 제2 무선 디바이스와 연관된 제2 무선 디바이스 식별자 및 상기 제2 레벨의 허가들의 제2 대응하는 설명을 포함하는,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레벨의 허가들은 일차 사용자 계정과 연관되고, 상기 일차 사용자 계정은 상기 호스트 디바이스에 로그인되지만 상기 제2 무선 디바이스와 연관된 다른 사용자 계정과는 구별되며, 상기 제2 레벨의 허가들은:
    i) 상기 일차 사용자 계정과 연관된 암호 동작들,
    ii) 상기 일차 사용자 계정과 연관된 패스워드들, 및
    iii) 상기 일차 사용자 계정과 연관된 결제 크리덴셜들에 대응하는, 방법.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무선 디바이스와 연관된 결제 크리덴셜들의 세트를 사용하여 전자 결제를 수행하라는 제2 요청을 상기 제2 무선 디바이스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1 무선 디바이스가 상기 결제 크리덴셜들의 세트를 사용하여 전자 결제들을 수행하는 것과 연관된 허가를 상기 제2 무선 디바이스에 승인하였다고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무선 디바이스가 상기 결제 크리덴셜들의 세트를 사용하여 상기 전자 결제를 수행하도록 허용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
  9. 적어도 하나의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로서, 호스트 디바이스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단계들을 수행함으로써 상기 호스트 디바이스로 하여금 상기 호스트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것과 연관된 허가들을 관리하게 하는 명령어들을 저장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단계들은:
    제1 무선 디바이스와의 제1 무선 접속을 확립하는 단계 - 상기 제1 무선 디바이스는 상기 호스트 디바이스를 제어하기 위한 제1 레벨의 허가들을 소유함 -;
    상기 호스트 디바이스와 무선으로 페어링하라는 요청을 제2 무선 디바이스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2 무선 디바이스와의 제2 무선 접속을 확립하는 단계; 및
    제2 무선 디바이스에, 상기 호스트 디바이스를 제어하기 위한 제2 레벨의 허가들을 승인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2 레벨의 허가들은 상기 제1 레벨의 허가들과 구별되고,
    상기 제1 무선 디바이스는 상기 제2 레벨의 허가들이 상기 제2 무선 디바이스에 승인된 후에 상기 제1 레벨의 허가들의 소유를 보유하는, 적어도 하나의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레벨의 허가들은 관리 허가들을 나타내고, 상기 제1 무선 디바이스로 하여금 상기 제2 무선 디바이스에 승인된 상기 제2 레벨의 허가들을 수정할 수 있게 하는, 적어도 하나의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레벨의 허가들은:
    상기 호스트 디바이스를 잠금해제하는 것, 및
    상기 호스트 디바이스와 연관되어 전자 결제들을 수행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적어도 하나의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레벨의 허가들은 적어도:
    상기 호스트 디바이스로의 콘텐츠의 무선 스트리밍, 및
    상기 호스트 디바이스에 의해 제공된 사용자 인터페이스(UI)의 원격 내비게이션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들은:
    적어도 제1 엔트리 및 제2 엔트리를 포함하는 구성 정보를 관리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제1 엔트리는 상기 제1 무선 디바이스와 연관된 제1 무선 디바이스 식별자 및 상기 제1 레벨의 허가들의 제1 대응하는 설명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엔트리는 상기 제2 무선 디바이스와 연관된 제2 무선 디바이스 식별자 및 상기 제2 레벨의 허가들의 제2 대응하는 설명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14.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레벨의 허가들은 일차 사용자 계정과 연관되고, 상기 일차 사용자 계정은 상기 호스트 디바이스에 로그인되지만 상기 제2 무선 디바이스와 연관된 다른 사용자 계정과는 구별되며, 상기 제2 레벨의 허가들은:
    i) 상기 일차 사용자 계정과 연관된 암호 동작들,
    ii) 상기 일차 사용자 계정과 연관된 패스워드들, 및
    iii) 상기 일차 사용자 계정과 연관된 결제 크리덴셜들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15. 호스트 디바이스로서, 상기 호스트 디바이스는 상기 호스트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것과 연관된 허가들을 관리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호스트 디바이스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및
    명령어들을 저장하는 적어도 하나의 메모리를 포함하고, 상기 명령어들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호스트 디바이스로 하여금 단계들을 수행하게 하며, 상기 단계들은:
    제1 무선 디바이스와의 제1 무선 접속을 확립하는 단계 - 상기 제1 무선 디바이스는 상기 호스트 디바이스를 제어하기 위한 제1 레벨의 허가들을 소유함 -;
    상기 호스트 디바이스와 무선으로 페어링하라는 요청을 제2 무선 디바이스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2 무선 디바이스와의 제2 무선 접속을 확립하는 단계; 및
    제2 무선 디바이스에, 상기 호스트 디바이스를 제어하기 위한 제2 레벨의 허가들을 승인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2 레벨의 허가들은 상기 제1 레벨의 허가들과 구별되고,
    상기 제1 무선 디바이스는 상기 제2 레벨의 허가들이 상기 제2 무선 디바이스에 승인된 후에 상기 제1 레벨의 허가들의 소유를 보유하는, 호스트 디바이스.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레벨의 허가들은 관리 허가들을 나타내고, 상기 제1 무선 디바이스로 하여금 상기 제2 무선 디바이스에 승인된 상기 제2 레벨의 허가들을 수정할 수 있게 하는, 호스트 디바이스.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레벨의 허가들은:
    상기 호스트 디바이스를 잠금해제하는 것, 및
    상기 호스트 디바이스와 연관되어 전자 결제들을 수행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호스트 디바이스.
  18.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레벨의 허가들은 적어도:
    상기 호스트 디바이스로의 콘텐츠의 무선 스트리밍, 및
    상기 호스트 디바이스에 의해 제공된 사용자 인터페이스(UI)의 원격 내비게이션을 포함하는, 호스트 디바이스.
  19.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추가로 상기 호스트 디바이스로 하여금 단계들을 수행하게 하며, 상기 단계들은:
    적어도 제1 엔트리 및 제2 엔트리를 포함하는 구성 정보를 관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엔트리는 상기 제1 무선 디바이스와 연관된 제1 무선 디바이스 식별자 및 상기 제1 레벨의 허가들의 제1 대응하는 설명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엔트리는 상기 제2 무선 디바이스와 연관된 제2 무선 디바이스 식별자 및 상기 제2 레벨의 허가들의 제2 대응하는 설명을 포함하는, 호스트 디바이스.
  20.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레벨의 허가들은 일차 사용자 계정과 연관되고, 상기 일차 사용자 계정은 상기 호스트 디바이스에 로그인되지만 상기 제2 무선 디바이스와 연관된 다른 사용자 계정과는 구별되며, 상기 제2 레벨의 허가들은:
    i) 상기 일차 사용자 계정과 연관된 암호 동작들,
    ii) 상기 일차 사용자 계정과 연관된 패스워드들, 및
    iii) 상기 일차 사용자 계정과 연관된 결제 크리덴셜들에 대응하는, 호스트 디바이스.
  21. 삭제
  22. 삭제
  23. 삭제
  24. 삭제
  25. 삭제
  26. 삭제
KR1020197020345A 2017-01-15 2018-01-08 상이한 무선 디바이스들이 공통 호스트 디바이스를 제어하기 위한 허가 관리 KR1021901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7035119A KR102259149B1 (ko) 2017-01-15 2018-01-08 상이한 무선 디바이스들이 공통 호스트 디바이스를 제어하기 위한 허가 관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9)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762446521P 2017-01-15 2017-01-15
US62/446,521 2017-01-15
US201762449582P 2017-01-23 2017-01-23
US62/449,582 2017-01-23
US201762514871P 2017-06-04 2017-06-04
US62/514,871 2017-06-04
US15/805,034 US10853471B2 (en) 2017-01-15 2017-11-06 Managing permissions for different wireless devices to control a common host device
US15/805,034 2017-11-06
PCT/US2018/012813 WO2018132335A1 (en) 2017-01-15 2018-01-08 Managing permissions for different wireless devices to control a common host device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35119A Division KR102259149B1 (ko) 2017-01-15 2018-01-08 상이한 무선 디바이스들이 공통 호스트 디바이스를 제어하기 위한 허가 관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86782A KR20190086782A (ko) 2019-07-23
KR102190111B1 true KR102190111B1 (ko) 2020-12-11

Family

ID=62838739

Famil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17301A KR20230079469A (ko) 2017-01-15 2018-01-08 상이한 무선 디바이스들이 공통 호스트 디바이스를 제어하기 위한 허가 관리
KR1020207035119A KR102259149B1 (ko) 2017-01-15 2018-01-08 상이한 무선 디바이스들이 공통 호스트 디바이스를 제어하기 위한 허가 관리
KR1020227029302A KR20220123735A (ko) 2017-01-15 2018-01-08 상이한 무선 디바이스들이 공통 호스트 디바이스를 제어하기 위한 허가 관리
KR1020237033615A KR20230145513A (ko) 2017-01-15 2018-01-08 상이한 무선 디바이스들이 공통 호스트 디바이스를 제어하기 위한 허가 관리
KR1020227003142A KR102437530B1 (ko) 2017-01-15 2018-01-08 상이한 무선 디바이스들이 공통 호스트 디바이스를 제어하기 위한 허가 관리
KR1020197020345A KR102190111B1 (ko) 2017-01-15 2018-01-08 상이한 무선 디바이스들이 공통 호스트 디바이스를 제어하기 위한 허가 관리
KR1020217015979A KR102358169B1 (ko) 2017-01-15 2018-01-08 상이한 무선 디바이스들이 공통 호스트 디바이스를 제어하기 위한 허가 관리

Family Applications Before (5)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17301A KR20230079469A (ko) 2017-01-15 2018-01-08 상이한 무선 디바이스들이 공통 호스트 디바이스를 제어하기 위한 허가 관리
KR1020207035119A KR102259149B1 (ko) 2017-01-15 2018-01-08 상이한 무선 디바이스들이 공통 호스트 디바이스를 제어하기 위한 허가 관리
KR1020227029302A KR20220123735A (ko) 2017-01-15 2018-01-08 상이한 무선 디바이스들이 공통 호스트 디바이스를 제어하기 위한 허가 관리
KR1020237033615A KR20230145513A (ko) 2017-01-15 2018-01-08 상이한 무선 디바이스들이 공통 호스트 디바이스를 제어하기 위한 허가 관리
KR1020227003142A KR102437530B1 (ko) 2017-01-15 2018-01-08 상이한 무선 디바이스들이 공통 호스트 디바이스를 제어하기 위한 허가 관리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15979A KR102358169B1 (ko) 2017-01-15 2018-01-08 상이한 무선 디바이스들이 공통 호스트 디바이스를 제어하기 위한 허가 관리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3) US10853471B2 (ko)
KR (7) KR20230079469A (ko)
CN (2) CN110249633B (ko)
WO (1) WO201813233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853471B2 (en) 2017-01-15 2020-12-01 Apple Inc. Managing permissions for different wireless devices to control a common host device
US11039319B2 (en) * 2017-03-06 2021-06-15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Access control levels between devices
CN112119666A (zh) * 2018-05-08 2020-12-22 诺基亚通信公司 用于管理无线电接入网内的资源的方法、计算机程序和电路系统
CN109474595B (zh) * 2018-11-13 2022-09-20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电子设备绑定方法、电子设备、移动终端和服务器
US10867608B1 (en) * 2019-05-31 2020-12-15 Apple Inc. Multi-user configuration
EP3772795A1 (de) * 2019-08-05 2021-02-10 Siemens Aktiengesellschaft Registrieren eines geräts bei einer recheneinrichtung
US11115726B2 (en) * 2019-11-22 2021-09-07 Verizon Patent And Licensing Inc. Content delivery to over the top device from customer premises equipment using notifications and dynamic port assignment
US20240129966A1 (en) * 2022-10-13 2024-04-18 Toyota Motor North America, Inc. Bluetooth rf signature for active security countermeasur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50149358A1 (en) * 2013-11-25 2015-05-28 Apple Inc. Linked user accounts
US20160309532A1 (en) * 2015-04-20 2016-10-20 Hisense Usa Corp. Private social networking platform for real-time content sharing

Family Cites Families (4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820146B2 (en) * 2002-10-01 2004-11-16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Filter driver for blocking access by host to devices
US8146142B2 (en) * 2004-09-03 2012-03-27 Intel Corporation Device introduction and access control framework
US20070150918A1 (en) * 2005-12-22 2007-06-28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Methods, device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s for providing parental control over access to media content using a mobile terminal
US10637724B2 (en) * 2006-09-25 2020-04-28 Remot3.It, Inc. Managing network connected devices
KR100825127B1 (ko) 2006-09-26 2008-04-25 백옥기 디지털 개인 정보의 안전한 관리 방법 및 그 시스템
US8583915B1 (en) * 2007-05-31 2013-11-12 Bby Solutions, Inc. Security and authentication systems and methods for personalized portable devices and associated systems
US20090132813A1 (en) * 2007-11-08 2009-05-21 Suridx, Inc. Apparatus and Methods for Providing Scalable, Dynamic, Individualized Credential Services Using Mobile Telephones
US8402484B2 (en) * 2007-11-14 2013-03-19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Systems and method of controlling access to media content
US20090270036A1 (en) * 2008-04-29 2009-10-29 Microsoft Corporation Wireless Pairing Ceremony
US9398089B2 (en) * 2008-12-11 2016-07-19 Qualcomm Incorporated Dynamic resource sharing among multiple wireless devices
US8590037B2 (en) * 2008-12-23 2013-11-19 Sandisk Technologies Inc. Managing host application privileges
KR101555063B1 (ko) * 2009-07-07 2015-09-23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단말기의 다중 화면 서비스를 위한 시스템 및 방법
US20120036045A1 (en) * 2010-08-09 2012-02-09 William Patrick Lowe Methods and Systems for Reserving and Completing Purchases
GB2483499A (en) * 2010-09-10 2012-03-14 S3 Res & Dev Ltd Diagnostics and Analysis of a Set Top Box
CN102075802B (zh) * 2011-03-08 2012-12-12 广东爱科数字科技有限公司 一种机顶盒和智能卡安全通信的方法
US8978149B2 (en) * 2011-05-17 2015-03-10 Next Issue Media Media content device, system and method
KR101844222B1 (ko) * 2011-05-27 2018-04-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이것의 모드 제어 방법
US9363250B2 (en) * 2011-12-23 2016-06-07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Hub coordination service
FR2979515B3 (fr) * 2011-12-29 2013-09-27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eil d'affichage et procedes de controle de celui-ci
US9372823B1 (en) * 2012-02-24 2016-06-21 Sprint Spectrum L.P. Controlling an access point connection
US20140337041A1 (en) * 2012-03-30 2014-11-13 Joseph Madden Mobile Application for Defining, Sharing and Rewarding Compliance with a Blood Glucose Level Monitoring Regimen
US9031050B2 (en) * 2012-04-17 2015-05-12 Qualcomm Incorporated Using a mobile device to enable another device to connect to a wireless network
US9345026B2 (en) * 2012-07-09 2016-05-17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apparatus for requested reverse direction protocol
US10171458B2 (en) * 2012-08-31 2019-01-01 Apple Inc. Wireless pairing and communication between devices using biometric data
US20140068725A1 (en) * 2012-08-31 2014-03-06 Apple Inc. Wireless Pairing and Communication Between Devices Using Biometric Data
EP2802118B1 (en) * 2012-12-07 2021-02-03 Duvon Corporation File sharing system and method
US9497137B2 (en) * 2013-01-04 2016-11-15 Sookbox, LLC Digital content connectivity and control via a plurality of controllers that are treated discriminatively
US20140213181A1 (en) * 2013-01-29 2014-07-31 Einar Rosenberg Linking Manager
CN103260070A (zh) * 2013-02-04 2013-08-21 上海琥智数码科技有限公司 基于网络的智能终端控制方法
US9519756B2 (en) * 2013-03-15 2016-12-13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Managing policy and permissions profiles
CN103220554A (zh) * 2013-04-12 2013-07-24 四川长虹电器股份有限公司 基于智能机顶盒的远程实时播放系统及实现方法
US9979438B2 (en) * 2013-06-07 2018-05-22 Apple Inc. Controlling a media device using a mobile device
US9515832B2 (en) * 2013-06-24 2016-12-06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Process authentication and resource permissions
US10142668B1 (en) * 2014-03-12 2018-11-27 Cox Communications, Inc. Pairing wireless set-top box with a wired set-top box
US10448080B1 (en) * 2014-04-02 2019-10-15 Cox Communications, Inc. Pairing and correlating mobile devices to provide a personalized user experience
US10440499B2 (en) * 2014-06-16 2019-10-08 Comcast Cable Communications, Llc User location and identity awareness
US9326089B2 (en) * 2014-06-24 2016-04-26 Google Inc. Passenger casted content to infotainment system
US9473504B2 (en) * 2014-10-15 2016-10-18 Ayla Networks, Inc. Role based access control for connected consumer devices
US9847998B2 (en) * 2015-05-21 2017-12-19 Go Daddy Operating Company, LLC System and method for delegation of permissions to a third party
US9924010B2 (en) * 2015-06-05 2018-03-20 Apple Inc. Audio data routing between multiple wirelessly connected devices
US9872061B2 (en) * 2015-06-20 2018-01-16 Ikorongo Technology, LLC System and device for interacting with a remote presentation
CN105392141A (zh) * 2015-10-30 2016-03-09 小米科技有限责任公司 设备控制方法及装置
US10057772B2 (en) * 2016-03-29 2018-08-21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Projection via a device
US10616184B2 (en) * 2016-06-30 2020-04-07 Intel Corporation Wireless display streaming of protected content
US10853471B2 (en) 2017-01-15 2020-12-01 Apple Inc. Managing permissions for different wireless devices to control a common host device
US11468181B2 (en) * 2020-04-21 2022-10-11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Secure access to accessory device resources
US20230081318A1 (en) * 2021-09-15 2023-03-16 Inter Ikea Systems B.V. Smart device access system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50149358A1 (en) * 2013-11-25 2015-05-28 Apple Inc. Linked user accounts
US20160309532A1 (en) * 2015-04-20 2016-10-20 Hisense Usa Corp. Private social networking platform for real-time content shar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86782A (ko) 2019-07-23
US11693946B2 (en) 2023-07-04
US20180206122A1 (en) 2018-07-19
KR20200140403A (ko) 2020-12-15
US10853471B2 (en) 2020-12-01
KR20220020396A (ko) 2022-02-18
KR102259149B1 (ko) 2021-06-01
WO2018132335A1 (en) 2018-07-19
US20230289430A1 (en) 2023-09-14
US20210081522A1 (en) 2021-03-18
CN113630770A (zh) 2021-11-09
KR20210064426A (ko) 2021-06-02
KR20230145513A (ko) 2023-10-17
KR102358169B1 (ko) 2022-02-08
KR102437530B1 (ko) 2022-08-29
CN110249633A (zh) 2019-09-17
KR20230079469A (ko) 2023-06-07
KR20220123735A (ko) 2022-09-08
CN110249633B (zh) 2021-09-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90111B1 (ko) 상이한 무선 디바이스들이 공통 호스트 디바이스를 제어하기 위한 허가 관리
US10333711B2 (en) Controlling access to protected objects
US11184353B2 (en) Trusted status transfer between associated devices
KR20220040506A (ko) 관련 디바이스들 간의 동기화 및 검증 그룹들
US7822863B2 (en) Personal domain controller
EP2382830B1 (en) Multi-mode device registration
US9723003B1 (en) Network beacon based credential store
KR20160104996A (ko) 무선충전 시스템 및 무선충전 시스템에서의 충전 허용 제어 방법
US9223942B2 (en) Automatically presenting rights protected content on previously unauthorized device
KR20080095856A (ko) 홈 네트워크상의 장치로의 액세스를 인가하기 위한 방법,홈 네트워크에 대한 인가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및 이 방법을 수행하게 하기 위한 컴퓨터 실행가능명령어를 지니는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JP2019149739A (ja) 認証器管理装置、認証器管理方法、認証器管理プログラム及び認証器管理システム
US10129299B1 (en) Network beacon management of security policies
CN104412561A (zh) 用于云服务器的凭证授权
EP2741465B1 (en) Method and device for managing secure communications in dynamic network environments
KR20180135232A (ko) 전자장치, 전자장치의 제어방법 및 시스템
US10063592B1 (en) Network authentication beacon
WO2023137757A1 (zh) 数字车钥匙的分享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Matejka et al. Security manager for hybrid broadcast broadband architecture evolution
WO2018045475A1 (en) Secure indirect access provisioning of off-line unpowered devices by centralized authorit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