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88479B1 - 데이터 이중화 장치 - Google Patents

데이터 이중화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88479B1
KR102188479B1 KR1020190116730A KR20190116730A KR102188479B1 KR 102188479 B1 KR102188479 B1 KR 102188479B1 KR 1020190116730 A KR1020190116730 A KR 1020190116730A KR 20190116730 A KR20190116730 A KR 20190116730A KR 102188479 B1 KR102188479 B1 KR 1021884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k
information
unit
transmission frame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167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희석
박성수
이승창
박학열
Original Assignee
한전케이디엔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전케이디엔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전케이디엔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167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8847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884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884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9/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independent of the application payload and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H04L69/4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independent of the application payload and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for recovering from a failure of a protocol instance or entity, e.g. service redundancy protocols, protocol state redundancy or protocol service redir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9/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independent of the application payload and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H04L69/24Negotiation of communication capabilit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mall-Scale Network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송신 데이터를 이중화하여 양방향 링크로 출력하는 데이터 이중화 장치에 있어서, 이중화 된 제1송신 프레임을 제1링크 방향으로 송신하며 제2링크 방향에서 전달 프레임을 수신하는 제1링크부; 이중화 된 제2송신 프레임을 상기 제2링크 방향으로 송신하며 상기 제1링크 방향에서 전달 프레임을 수신하는 제2링크부; 및 상기 제1링크부는 상기 제1송신 프레임의 출발지 포트 정보 및 수신 상태 정보를 태그 정보로 설정하는 제1태그 정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링크부는 상기 제2송신 프레임의 출발지 포트 정보 및 수신 상태 정보를 태그 정보로 설정하는 제2태그 정보부를 포함하는 데이터 이중화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데이터 이중화 장치{APPARATUS FOR DUPLEXING DATA}
본 발명은 데이터 이중화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HSR(High-availability Seamless Redundancy)프로토콜을 사용하는 환형망(Ring network)에 사용되는 데이터 이중화 장치에 관한 것이다.
한전의 전력망에서 전력을 관리, 제어하기 위한 변전소내의 보호계전기의 통신을 위한 구성은 HSR RedBox와 같은 통신장비를 통해 이중링(Dual Ring)으로 구성이 되어 있다.
변전소간에 연결된 송전선로의 감시 및 보호제어를 위한 보호계전 IED는 개별 변전소의 송전단의 전압과 전류를 계측하고, 송전/수전단의 보호계전IED들은 상호 취득 정보를 통신망을 통해 상호 송·수신하여 해당 송전선로의 이상유무를 실시간으로 감시함으로써 이상 상태 발생 시 해당 송전선로를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송전선로의 사고는 대규모 정전 등의 후속 사고로 이어지는 관계로 전력관리 측면에서 매우 중요한 기능이며, 관련되는 전력장비들의 통신을 연결하는 통신장치 및 통신망은 높은 신뢰성이 요구된다. 따라서, IEC61850과 같은 전력망 규격에서 통신방식은 장애시에도 무손실절체를 통해 통신을 유지하는 IEC62439-3의 HSR 프로토콜을 권고하고 있다.
HSR통신망의 관리는 개별 장치들의 동작 설정 및 운용상태 등을 감시하는 통신망 관리서버를 통해 수행한다. 상호 통신장치간에 연결된 회선의 상태를 감시하는 동작에서 편도회선 장애 발생시의 상황도 통신망관리서버가 해당 장치에서 장애 정보를 취득하여 경보를 발생하여 현장조치를 할 수 있도록 하게 되는데, HSR 프로토콜에서는 관련 현상 발생시 프로토콜에서 이를 지원하는 규정이 없는 상태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자국 단말장치의 수신 링크에 장애가 발생시 대국 장치에게 원격지 장애(Remote Fault) 정보를 송신할 수 있는 데이터 이중화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송신 데이터를 이중화하여 양방향 링크로 출력하는 데이터 이중화 장치에 있어서, 이중화 된 제1송신 프레임을 제1링크 방향으로 송신하며 제2링크 방향에서 전달 프레임을 수신하는 제1링크부; 이중화 된 제2송신 프레임을 상기 제2링크 방향으로 송신하며 상기 제1링크 방향에서 전달 프레임을 수신하는 제2링크부; 및 상기 제1링크부는 상기 제1송신 프레임의 출발지 포트 정보 및 수신 상태 정보를 태그 정보로 설정하는 제1태그 정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링크부는 상기 제2송신 프레임의 출발지 포트 정보 및 수신 상태 정보를 태그 정보로 설정하는 제2태그 정보부를 포함하는 데이터 이중화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제1링크부는 상기 제2링크 방향에서 수신한 전달 프레임의 태그 정보를 이용하여 대국 장치의 상태정보를 확인하는 제1체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링크부는 상기 제1링크 방향에서 수신한 전달 프레임의 태그 정보를 이용하여 대국 장치의 상태정보를 확인하는 제2체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신 상태 정보는 정상 수신 상태, 오프라인 수신 상태, 링크 에러 상태 및 미사용 상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장치 초기화 시에 Auto-Nego 기능을 사용하지 않는 강제모드(Forced Mode)로 초기화 하는 링크 처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인 데이터 이중화 장치는 기존의 물리계층(Physical Layer)에서 수행하는 Auto nego 절차를 통한 원격지 장애(Remote Fault) 정보의 관리를 HSR에서 정의된 표준의 이더넷 프레임에 추가된 HSR TAG 정보를 활용하여 데이터 링크계층(Data Link layer)에서 처리할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이중화 장치의 전력망 개념도이다.
도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이중화 장치의 구성 블록도이다.
도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이중화 장치의 회로 구성도이다.
도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프레임의 구조이다.
도5 및 도6은 본 발명의 실시예예 따른 통신망 회선의 연결 구성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프레임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8은 Auto-Negotiation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9 및 도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이중화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은 설명되는 일부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본 발명의 기술 사상 범위 내에서라면, 실시 예들간 그 구성 요소들 중 하나 이상을 선택적으로 결합, 치환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기술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일반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으며,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를 고려하여 그 의미를 해석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할 수 있고, "A 및(와) B, C 중 적어도 하나(또는 한 개 이상)"로 기재되는 경우 A, B, C로 조합할 수 있는 모든 조합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되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구성 요소와 그 다른 구성 요소 사이에 있는 또 다른 구성 요소로 인해 '연결', '결합' 또는 '접속' 되는 경우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각 구성 요소의 "상(위) 또는 하(아래)"에 형성 또는 배치되는 것으로 기재되는 경우, 상(위) 또는 하(아래)는 두 개의 구성 요소들이 서로 직접 접촉되는 경우뿐만 아니라 하나 이상의 또 다른 구성 요소가 두 개의 구성 요소들 사이에 형성 또는 배치되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상(위) 또는 하(아래)"으로 표현되는 경우 하나의 구성 요소를 기준으로 위쪽 방향뿐만 아니라 아래쪽 방향의 의미도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이중화 장치의 전력망 개념도이다. 도1을 참조하면, 한전의 전력망에서 전력을 관리, 제어하기 위한 변전소내의 보호계전기의 통신을 위한 구성은 HSR RedBox(1)와 같은 통신장비를 통해 이중링(Dual Ring)으로 구성이 되어 있다. 변전소간에 연결된 송전선로의 감시 및 보호제어를 위한 보호계전 IED(2)는 개별 변전소의 송전단의 전압과 전류를 계측하고, 수전단에 위치하는 보호계전IED(2)도 동시에 전압과 전류를 계측한다. 송전단 및 수전단의 보호계전IED(2)는 통신망을 통하여 취득한 정보를 상호간 송, 수신하여 해당 송전선로의 이상유무를 실시간으로 감시하며, 이상 상태 발생시에는 해당 송전선로를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통신방식은 장애 발생시에도 무손실절체를 통해 통신을 유지하는 IEC62439-3의 HSR 프로토콜이 적용될 수 있다. 도1에서는 관련 전력통신망이 개별 변전소간의 통신을 위한 HSR RedBox장비들과 해당 통신망에 위치한 통신장치들의 운용상태를 관리하기 위한 통신망 관리서버로 구성이 되는 것을 일예로 도시하였다.
도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이중화 장치의 구성 블록도이고, 도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이중화 장치의 회로 구성도이다. 도2및 도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이중화 장치(100)는 제1링크부(110), 제2링크부(120), 링크 처리부(200), 버퍼부(300), 스위치(400) 및 이더넷 포트(500-1~500-n)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제1링크부(110)는 이중화 된 제1송신 프레임을 제1링크 방향으로 송신하며 제2링크 방향에서 전달 프레임을 수신할 수 있다. 제1링크부(110)는 송신단(111), 멀티플렉서(112), 수신단(113), 디멀티플렉서(114), 제1태그 정보부(115) 및 제1체크부(11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더넷 포트(500)로 수신된 데이터는 링크 처리부(200)에서 태그가 설정되어 제1송신 프레임 및 제2송신 프레임으로 이중화된다. 멀티플렉서(112)는 이중화 된 제1송신 프레임과 제2링크부(120)로부터 전달된 전달 프레임을 송신단(111)으로 출력한다. 송신단(111)은 제1링크부(110)의 제어에 따라 제1송신 프레임 및 전달 프레임의 전부 또는 일부를 제1링크 방향으로 출력한다. 수신단(113)은 제2링크 방향에서 전달되는 전달 프레임을 수신한다. 디멀티플렉서(114)는 제어부(200)의 제어에 따라 전달 프레임이 등록된 전달 프레임인 경우 이더넷 포트(700)의 멀티 플렉서(801)로 전달하고, 등록되지 않은 전달 프레임인 경우 버퍼부(501)를 거쳐 제2링크부(120)로 전달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1링크부(110)의 송신단(111)과 수신단(113)은 하나의 포트로 구성될 수 있다.
제1태그 정보부(115)는 제1송신 프레임의 출발지 포트 정보 및 수신 상태 정보를 태그 정보로 설정할 수 있다. 출발지 포트 정보는 제1링크부(110)를 통하여 데이터의 송수신이 이루어지는 데이터 포트를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수신 상태 정보는 출발지 포트 정보를 통한 데이터 수신 상태를 의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수신 상태 정보는 정상 수신 상태, 오프라인 수신 상태, 링크 에러 상태 및 미사용 상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체크부(116)는 제2링크 방향에서 수신한 전달 프레임의 태그 정보를 이용하여 대국 장치의 상태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제2링크부(120)는 이중화 된 제2송신 프레임을 제2링크 방향으로 송신하며 제1링크 방향에서 전달 프레임을 수신할 수 있다. 제2링크부(120)는 송신단(121), 멀티플렉서(122), 수신단(123), 디멀티플렉서(124), 제2태그 정보부(125) 및 제2체크부(12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더넷 포트(700)로 수신된 데이터는 링크 처리부(200)에서 태그가 설정되어 제1송신 프레임 및 제2송신 프레임으로 이중화된다. 멀티플렉서(122)는 이중화 된 제2송신 프레임과 제1링크부(110)로부터 전달된 전달 프레임을 송신단(121)으로 출력한다. 송신단(121)은 제어부(200)의 제어에 따라 제2송신 프레임 및 전달 프레임의 전부 또는 일부를 제2링크 방향으로 출력한다. 수신단(123)은 제1링크 방향에서 전달되는 전달 프레임을 수신한다. 디멀티플렉서(124)는 제어부(200)의 제어에 따라 전달 프레임이 등록된 전달 프레임인 경우 이더넷 포트(700)의 멀티 플렉서(801)로 전달하고, 등록되지 않은 전달 프레임인 경우 버퍼부(502)를 거쳐 제1링크부(110)로 전달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2링크부(120)의 송신단(121)과 수신단(123)은 하나의 포트로 구성될 수 있다.
제2태그 정보부(125)는 제2송신 프레임의 출발지 포트 정보 및 수신 상태 정보를 태그 정보로 설정할 수 있다. 출발지 포트 정보는 제2링크부(120)를 통하여 데이터의 송수신이 이루어지는 데이터 포트를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수신 상태 정보는 출발지 포트 정보를 통한 데이터 수신 상태를 의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수신 상태 정보는 정상 수신 상태, 오프라인 수신 상태, 링크 에러 상태 및 미사용 상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제2체크부(126)는 제1링크 방향에서 수신한 전달 프레임의 태그 정보를 이용하여 대국 장치의 상태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링크 처리부(200)는 장치 초기화 시에 Auto-Nego 기능을 사용하지 않는 강제모드(Forced Mode)로 초기화 할 수 있다.
스위치(400)는 등록된 전달 프레임을 출력할 이더넷 포트(500)를 결정하고 해당 포트(500-1~500-n)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데이터를 전달한다.
도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프레임의 구조이다.
도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프레임의 구조는 이더넷 프레임 구조에서 6 바이트(Bytes)가 추가된 형태이다. 링크 처리부는 아래 HSR태그 정보를 데이터 프레임에 추가할 수 있다.
· 16-bit Ethertype (HSR_EtherType = 0x892F)
· 4-bit path identifier (PathId)
· 12 bit frame size (LSDUsize)
· 16-bit sequence number (SeqNr).
도4 에 따른 IEEE802.3의 이더넷 프레임 구조를 나타내며 payload분의 PDU에 링 프로토콜이 정의되어 운용된다.
링크 처리부는 이더넷 포트로부터 수신한 IEEE802.3의 송신 프레임의 헤더부에 6BYTE의 HSR태그 정보를 정의하여 출력한다. 추가되는 태그 정보는 이더넷 타입 정보(EtherType), 링크 경로 정보(PathId), 프레임 크기 정보(size), 순서 정보(sequence counter)를 포함한다.
제1태그 정보부 및 제2태그 정보부는 HSR태그 정보에서 4-bit로 정의된 "PATHId"를 설정할 수 있다. "PATHId"의 용도는 링네트워크를 구성하는 2개의 A, B 통신 포트를 통해 데이터 프레임을 송신할 때, 해당 패킷의 출발지 포트와 통신 포트의 수신 상태를 알려줄 수 있다.
제1태그 정보부 및 제2태그 정보부는 아래 <표1>에 따라 "PATHId"에 출발지 포트 및 수신 상태 정보를 설정할 수 있다.
Figure 112019096968855-pat00001
PATH: 0 <- HSR A포트가 출발지
1 <- HSR B포트가 출발지
RF[1:0]: 00 <- 수신상태 정상
01 <- 수신상태 오프라인
10 <- 수신상태 링크 에러
11 <- 미사용
제1태그 정보부 및 제2태그 정보부는 포트의 수신 상태에 따라 정의된 PATHId 정보를 송신하는 모든 데이터 프레임패킷에 부착하여 송신을 수행할 수 있다.
도5 및 도6은 본 발명의 실시예예 따른 통신망 회선의 연결 구성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5 및 도6을 참조하면, 통신망의 관리는 개별 장치들의 동작 설정 및 운용상태 등을 감시하는 통신망 관리서버를 통해 수행될 수 있다. 상호 통신장치간에 연결된 회선의 상태를 감시하는 동작 중 도6과 같은 편도회선 장애 발생시, 통신망 관리서버가 해당 장치에서 장애 정보를 취득하여 경보를 발생하여 현장조치를 할 수 있도록 한다. 이 때,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이중화 장치는HSR 프로토콜에서는 관련 현상 발생 시 프로토콜에서 이를 지원하는 규정이 없는 상태이다.
따라서, 기존의 이더넷 네트워크에서의 단말은 IEEE802.3 Clause 37(1000Base-X 용 자동협상 기능)에서 정의된 바에 따라 원격지 장애(Remote Fault) 정보를 송수신한다. 즉, 수신 포트에 장애가 발생된 대국장치는 자국장치로 정상 운용중인 "경로2"를 통해 원격지 경보(Remote Fault) 정보를 송출하고, 이를 수신한 자국장비는 원격지경보를 발생함으로 인해 자국에 위치한 운용자가 해당 장애를 인지하여 장애의 원인파악 및 장애조치를 할 수 있도록 한다.
IEEE802.3 Clause 37에서 규정된 Auto-Negotiation의 수행은 도7과 같이 물리계층의 이더넷 PHY부의 PCS Layer에서 상위의 MAC을 통해 명령을 통해 수행이 되는 구조이다. 이러한, 기능은 해당 이더넷 통신포트가 통신이 연결되는 초기에 수행하며, 연결되는 장치간에 해당 통신포트의 동작 설정상태를 상호 교환하여 동작 상태를 동기화하며, PHY부에 위치한 내부 레지스터(Register)를 통해 상위의 MAC에서 확인하여 후속 동작을 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방식은 해당 통신 포트가 링크(LINK)에 연결될 시에만 수행이 된다. 따라서, 정상 운용 시에는 해당 동작을 수행하지 않는다. 이로 인해 도8과 같이 해당 링크 연결 상태를 판단하는 지연과 상대장치와의 Auto-Negotiation를 수행하는 지연시간을 더하여 5초 이상의 지연이 발생한다는 문제가 있다. 일반적인 네트워크 장비로 운영 시에는 초기 링크가 살아나는 지연시간이 서비스에 큰 영향이 없으나, 전력망에서 이러한 지연은 매우 큰 문제가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이중화 장치는 Auto-Negotiation 기능을 OFF하여 강제모드(Forced Mode)로 운영을 하되, 데이터 링크 레이어에 출발지 포트 정보 및 수신 상태 정보를 설정하여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Auto-Negotiation 기능기능은 장치에서 ON/OFF 할 수 있으며, OFF 모드로 설정되면, 장치에서 설정한 동작모드(예: Duplex mode, Flow control 방식)로만 동작이 되고, 기존 방식에 따른 원격지 정보 처리를 수행하지 않는다.
도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이중화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9에서, 데이터 이중화 장치의 A 포트는 대향하여 연결되는 데이터 이중화 장치의 B 포트로 연결되고, B 포트는 대향하여 연결되는 데이터 이중화 장치의 A 포트로 연결된다.
먼저, 링크 처리부는 장치 초기화 시에 A, B 포트 모두를 Auto-Nego 기능을 사용하지 않는 강제모드(Forced Mode)로 초기화 한다(S901).
A포트를 관리하는 제1링크부는 수신단의 상태가 회선 연결이 안된 상태라면 PATHId의 값을 "0100"으로 설정하고(S902), 회선 연결이 된 상태에서 링크장애(Link Fault)이면 "1000"으로 설정하고(S903), 정상 상태라면 "0000"으로 설정하여(S906) 매 데이터 프레임이 송출될 때 해당 정보가 갱신된 데이터 프레임으로 송신 한다.
B 포트를 관리하는 제2링크부는 수신단의 상태가 회선 연결이 안된 상태라면 PATHId의 값을 "0101"으로 설정하고(S905), 회선 연결이 된 상태에서 링크장애(Link Fault)이면 "1001"으로 설정하고(S906), 정상 상태라면 "0001"으로 설정하여(S907) 매 데이터 프레임이 송출될 때 해당 정보가 갱신된 데이터 프레임으로 송신 한다.
도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이중화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먼저, 링크 처리부는 장치 초기화 시에 A, B 포트 모두를 Auto-Nego 기능을 사용하지 않는 강제모드(Forced Mode)로 초기화 한다(S1001).
A 포트를 관리하는 제1링크부는 수신된 PATHId 4 비트정보가 "0101"이면 원격지 OFFLINE 경보를 "PATH Information" 경로로 보고하고(S1002), "1001"이면 원격지 Link Fault 경보를 보고하고(S1003), "0001"이면 원격지 정상상태로 보고 처리한다(S1004).
B 포트를 관리하는 제2링크부는 수신된 PATHId 4 비트정보가 "0100"이면 원격지 OFFLINE 경보를 [그림8]의 "PATH Information" 경로로 보고하고(S1005), "1000"이면 원격지 Link Fault 경보를 보고하고(S1006), "0000"이면 원격지 정상상태로 보고 처리한다(S1007).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이중화 장치는 Auto-Negotiation 기능을 OFF하여 강제모드(Forced Mode)로 운영을 하되, 데이터 링크 레이어에 출발지 포트 정보 및 수신 상태 정보를 추가함으로써 순간적인 장애가 발생되는 경우에도 지연 시간 없이 정보를 전달함으로써 보호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는 기술적 효과가 있다. 이를 통하여 연계되어 있는 타 장치들이 지체없이 관련 보호동작을 수행할 수 있게 하고, 보호계전 IED가 통신정보의 유실 없이 계통 보호동작을 위한 통신을 수행할 수 있게 한다.
본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부'라는 용어는 소프트웨어 또는 FPGA(field-programmable gate array) 또는 ASIC과 같은 하드웨어 구성요소를 의미하며, '~부'는 어떤 역할들을 수행한다. 그렇지만 '~부'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다. '~부'는 어드레싱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예로서 '~부'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한다. 구성요소들과 '~부'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부'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부'들로 더 분리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구성요소들 및 '~부'들은 디바이스 또는 보안 멀티미디어카드 내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CPU들을 재생시키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데이터 이중화 장치
110: 제1링크부
120: 제2링크부
200: 링크 처리부(200)
300: 버퍼부
400: 스위치
500-1~500-n: 이더넷 포트

Claims (4)

  1. 송신 데이터를 이중화하여 양방향 링크로 출력하는 데이터 이중화 장치에 있어서,
    장치 초기화 시에 Auto-Nego 기능을 사용하지 않는 강제모드(Forced Mode)로 초기화 하는 링크 처리부;
    이중화 된 제1송신 프레임을 제1링크 방향으로 송신하며 제2링크 방향에서 전달 프레임을 수신하는 제1링크부;
    이중화 된 제2송신 프레임을 상기 제2링크 방향으로 송신하며 상기 제1링크 방향에서 전달 프레임을 수신하는 제2링크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링크부는 상기 제1송신 프레임의 출발지 포트 정보 및 수신 상태 정보를 태그 정보로 설정하는 제1태그 정보부 및 상기 제2링크 방향에서 수신한 전달 프레임의 태그 정보를 이용하여 대국 장치의 상태정보를 확인하는 제1체크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링크부는 상기 제2송신 프레임의 출발지 포트 정보 및 수신 상태 정보를 태그 정보로 설정하는 제2태그 정보부 및 상기 제1링크 방향에서 수신한 전달 프레임의 태그 정보를 이용하여 대국 장치의 상태정보를 확인하는 제2체크부를 포함하며,
    상기 수신 상태 정보는 정상 수신 상태, 오프라인 수신 상태, 링크 에러 상태 및 미사용 상태 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 이중화 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190116730A 2019-09-23 2019-09-23 데이터 이중화 장치 KR1021884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6730A KR102188479B1 (ko) 2019-09-23 2019-09-23 데이터 이중화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6730A KR102188479B1 (ko) 2019-09-23 2019-09-23 데이터 이중화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88479B1 true KR102188479B1 (ko) 2020-12-08

Family

ID=737792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16730A KR102188479B1 (ko) 2019-09-23 2019-09-23 데이터 이중화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88479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2725B1 (ko) * 2006-10-31 2009-10-22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이더넷 물리계층에서 상태정보 시그널링에 의한 이더넷링크 이중화 장치 및 그 방법
KR101726375B1 (ko) * 2015-11-04 2017-04-12 한전케이디엔주식회사 데이터 이중화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2725B1 (ko) * 2006-10-31 2009-10-22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이더넷 물리계층에서 상태정보 시그널링에 의한 이더넷링크 이중화 장치 및 그 방법
KR101726375B1 (ko) * 2015-11-04 2017-04-12 한전케이디엔주식회사 데이터 이중화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31741B1 (ko) FCoE 스위치 고장을 감지하고 관리하기 위한 리던던트 중계 스위치 솔루션
US7719956B2 (en) Trunk network system for multipoint-to-multipoint relay
US7869376B2 (en) Communicating an operational state of a transport service
US8117337B2 (en) Method and device for implementing link pass through in point-to-multipoint network
US20080068985A1 (en) Network redundancy method and middle switch apparatus
CN103209099B (zh) 一种节点间的网络通信线路的自动切换保护方法
CN110445533B (zh) 一种双冗余光纤以太网传输系统
CN103095480B (zh) 头端系统主备切换的方法、网管设备和头端系统
CN1949700B (zh) 一种混合组网的保护方法和装置
JP2008131615A (ja) リンクアグリゲーション用の通信装置及びプログラム
CN105323080B (zh) 一种链路备份、电源备份方法、装置及系统
CN104486128A (zh) 一种实现双控制器节点间冗余心跳的系统及方法
KR20210044467A (ko) 디지털 변전소를 위한 고신뢰 저비용 차세대 네트워크 시스템
AU2015237261A1 (en) Built in alternate links within a switch
CN102407868B (zh) 适用于轨道交通现代监控系统通讯规约的热备双连接方法
JP3008850B2 (ja) ネットワークサーバの冗長構成方式
KR102188479B1 (ko) 데이터 이중화 장치
KR102197916B1 (ko) 데이터 이중화 장치
US20150163844A1 (en) Communication system in an aircraft comprising a redundant network
KR101726375B1 (ko) 데이터 이중화 장치
CN104901880A (zh) 一种业务运行的方法及装置
CN107302452B (zh) 一种用于pbx业务连续性的控制方法
JP2012191329A (ja) 冗長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終端装置及び中継点隣接装置
CN109510725A (zh) 通信设备故障检测系统及方法
CN217037201U (zh) 一种用于存储产品的管理网络装置及存储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